KR100846747B1 - 안전 게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안전 게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747B1
KR100846747B1 KR1020070051672A KR20070051672A KR100846747B1 KR 100846747 B1 KR100846747 B1 KR 100846747B1 KR 1020070051672 A KR1020070051672 A KR 1020070051672A KR 20070051672 A KR20070051672 A KR 20070051672A KR 100846747 B1 KR100846747 B1 KR 100846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nk
unit
safety gat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김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규 filed Critical 김동규
Priority to KR1020070051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7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G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게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브레이킹부를 모터의 전면에 설치하여 모터, 감속기 또는 커플링 등의 회동유격에 의한 안전 게이트의 흔들림을 방지하며 모터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고, 건물내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긴급상황이 발생하여 전원이 차단될 때 정점지지대와 도어가 비상전원에 의해 안전 게이트가 개방되어 링크부의 중심과 도어의 중심이 일직선이 되면서 건물내의 긴급시에도 안전게이트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며 구성품의 단순화로 고장률과 제작단가 및 유지보수비용등이 절감될 수 있는 안전 게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출입을 제한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브레이킹부와, 상기 도어의 작동을 동력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구동부와, 상기 도어와 연결되며 외부의 동력과 상기 브레이킹부에 의해 제어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킹부는 상기 링크부와 구동부 사이에 위치되어 유격을 흡수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전 게이트, 도어, 구동부, 감지부, 브레이킹부, 링크부, 정점지지대, 도어링크 연결바

Description

안전 게이트 유닛{Security Gate Un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게이트 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본발명에 따른 안전 게이트 유닛의 단면일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게이트 유닛의 브레이킹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게이트 유닛의 링크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단면도.
도 5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게이트 유닛이 작동과정을 나타낸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주요 설명*
1 : 도어 11 : 상부 도어고정구
13 : 하부 도어고정구 15 : 도어 고정부재
17 : 도어 프레임 2 : 구동부
21 : 구동부 프레임 23 : 정역모터
25 : 감속기 27 : 구동축
29 : 커플링 3 : 감지부
31 : 감지부 프레임 33 : 엔코더
35 : 감지부 밸트 폴리 37 : 타이밍 벨트
4 : 브레이킹부 41 : 플렌지
43 : 피동축 45 : 브레이크 하우징
47 : 브레이킹부 밸트 폴리 5 : 링크부
51 : 상부 도어링크 52 : 하부 도어링크 53 : 메인링크 54 : 도어링크 연결바
55 : 정점지지대
본 발명은 안전 게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브레이킹부를 모터의 전면에 설치하여 모터, 감속기 또는 커플링 등의 회동유격에 의한 안전 게이트의 흔들림을 방지하며 모터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고, 건물내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긴급상황이 발생하여 전원이 차단될 때 정점지지대와 도어가 비상전원에 의해 안전 게이트가 개방되어 링크부의 중심과 도어의 중심이 일직선이 되면서 건물내의 긴급시에도 안전게이트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며 구성품의 단순화로 고장률과 제작단가 및 유지보수비용등이 절감될 수 있는 안전 게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호텔이나 빌딩 지하철 개찰구 등 사람이 많이 출입이 많은 건물의 출입구에 안내원이나 경비원에 의한 출입통제가 이루어져 왔으나 근래에는 자동화 요구와 경 비원 채용으로 인한 비용절감차원에서 자동화가 가능한 시스템 사용이 증대되어 외부와 연결되는 출입구에는 출입이 허용된 자의 출입 및 출입이 허용되지 않은 자의 출입통제, 방문객 관리, 침입자 방지, 화재나 재난 발생시 피난 및 구조대원 출입, 건물안내 및 사고지원을 목적으로 출입을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안전 게이트 유닛은 모터에 아무런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즉 정전이나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모터의 구동이 해제되면서 사람이 손으로 도어를 쉽게 열 수 없었다. 따라서 건물에 화재나 기타 긴급상황이 발생하여 건물의 정전사태가 일어나게 될 경우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이 억지로 도어를 열거나 하는 과정에서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안전 게이트 유닛의 링크부를 구성하는 부품종류가 다양하여 제작단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부품수에 비례하는 고장률과 고장에 따른 유지비용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터 자체내부의 각각의 맞물려져 있는 기어와 기어사이에 유격이 존재하고 나아가 모터의 축과 피동축을 연결하는 축 이음 부위에서도 유격이 존재하여 전원에 의한 회전이 아닌 사람의 작은 힘으로도 약간의 회전이 가능함으로서 사용자가 도어를 손으로 움직이면 도어가 그 유격만큼 흔들리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뿐만 아니라 모터의 정상작동시에는 모터의 구동력의 전달 및 차단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구동력의 전달시에는 다소 늦게 도어가 움직이게 되며 구동력의 차단시에는 다소 늦게 정지하게 되어 이로인해 충격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는 결국 제품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제품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어와 기어사이에 유격이 있는 구동부와 사용자의 출입을 제한하는 도어 사이에 브레이킹부를 구비함으로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도어를 건드려도 구동부의 유격에 도어의 흔들림이나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안전 게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 게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각 부의 구성요소 및 링크부의 구조를 단순화 함으로서 고장률과 제작단가 및 유지보수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는 안전 게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전이나 화재등 비상사태가 발생시 비상전원이 공급되어 도어가 링크부의 회동궤도에 따라 회동할 때 정점지지대가 메인링크의 회동을 제한함으로서 링크부의 중심과 도어의 무게중심이 일직선이 되면서 도어가 개방되고 개방 후에는 모터의 비상전원의 공급없이도 도어가 정위치에 멈추어 있을 수 있어 사용자가 쉽게 대피할 수 있는 안전 게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가 열릴 때 정점지지대가 메인링크의 회동을 제한함으로서 엔코더의 감지를 벗나지 않도록 하는 안전 게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저을 달성하기 위한 안전 게이트 유닛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출입을 제한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브레이킹부와, 상기 도어의 작동을 동력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구동부와, 상기 도어와 연결되며 외부의 동력과 상기 브레이킹부에 의해 제어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킹부는 상기 링크부와 구동부 사이에 위치되어 유격을 흡수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는 메인링크와 상기 도어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도어를 작동시키는 상, 하부 도어링크와 상기 메인링크 및 상, 하부 도어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메인링크와 상, 하부 도어링크에 전달하는 도어링크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안전 게이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안전 게이트 유닛은, 회동하는 상기 도어의 궤도를 감지하여 상기 브레이킹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안전 게이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도어링크는 부메랑처럼 "ㄱ"자 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출입을 제한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브레이킹부와, 상기 도어의 작동을 동력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구동부와, 상기 도어와 연결되며 외부의 동력과 상기 브레이킹부에 의해 제어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킹부는 상기 링크부와 구동부 사이에 위치되어 유격을 흡수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도어의 무게중심이 메인링크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도어의 회전범위를 제어하는 정점지지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안전 게이트 유닛은 회동하는 상기 도어의 궤도를 감지하여 상기 브레이킹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안전 게이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는 메인링크와 상기 도어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도어를 작동시키는 상, 하부 도어링크와 상기 메인링크 및 상, 하부 도어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메인링크와 상, 하부 도어링크에 전달하는 도어링크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안전 게이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부메랑처럼 "ㄱ"자 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안전 게이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정점지지대는 상기 메인링크의 중심과 상부 도어링크의 중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저을 달성하기 위한 안전 게이트 유닛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안전 게이트 유닛에 있어서, 사용자의 출입을 제한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브레이킹부와, 상기 도어와 연결되며 외부의 동력과 상기 브레이킹부에 의해 제어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안전 게이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안전 게이트 유닛은, 상기 도어의 작동을 동력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구동부와, 상기 도어의 회동궤도을 감지하여 상기 브레이킹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게이트 유닛.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안전 게이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킹부는, 자체 유격이 있는 상기 구동부에 의한 오작동이 상기 도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정숙한 작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의 앞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안전 게이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상,하부 도어링크와 상기 메인링크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상기 메인링크가 상기 구동부의 회동에 의해 회동될 때 상기 상,하부 도어링크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상,하부 도어링크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링크 연결바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안전 게이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ㄱ"자 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와 브레이킹부에 의해 상기 도어의 작동을 제어하는 상,하부 도어링크와, 상기 도어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와 브레이킹부에 의해 상기 도어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링크와, 무동력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자중에 의해 회동할 때 상기 링크부의 중심부와 상기 도어의 중심부가 일직선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도어의 회동을 제한하여 상기 도어가 무동력 상태에서 열림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정점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게이트 유닛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게이트 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본발명에 따른 안전 게이트 유닛의 단면일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게이트 유닛의 브레이킹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게이트 유닛의 링크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단면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전 게이트 유닛은,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하는 제 1,2 안전 게이트(100, 10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안전 게이트(100)는, 사용자의 출입을 제한하는 도어(1)와, 상기 도어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부(2)와, 상기 도어(1)의 회동궤도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2)의 동력을 제어하는 감지부(3)와,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시 상기 도어(1)의 회동을 제한하는 브레이킹부(4)와, 상기 도어(1)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 부(2)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도어(1)를 열고 닫는 링크부(5)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1)는,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모서리에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라운드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진입시 하기에 설명할 제 2 안전 게이트(100')와 한 쌍을 이루어 각각 양쪽으로 개폐되고 사용자가 통과한 후에는 각각 가운데로 이동하여 폐쇄되도록 하며 상부 도어고정구(11, 도 4참조)와 하부 도어고정구(13, 도 4참조)와 도어 고정부재(15)와, 하기에 설명할 구동부(2, 도 2참조)와 감지부(3, 도 2참조)와 브레이킹부(4, 도 2참조)와 링크부(5)를 고정 할 수 있는 도어 프레임(17)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도어고정구(11, 도 4참조)는, 고정부재(7)가 관통되어 하기에 설명할 도어 고정부재(15)와 링크부(5)를 고정할 수 있도록 원형의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1)의 우측에서 상기 도어(1)의 중심보다 상측에 구비되어 하기에 설명할 도어 고정부재(15)에 의해 하기 링크부(5)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 도어고정구(13, 도 4참조)는, 상기 상부 도어고정구(11, 도 4참조)와 마찬가지로 원형의 홈으로 형성되지만 상기 도어(1)의 우측에서 상기 도어(1)의 중심보다 하측에 구비되며 하기에 설명할 도어 고정부재(15)에 의해 하기 링크부(5)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도어 고정부재(15)는,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의 입방체로 형성되며 그 중심에는 고정부재(7)가 관통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7)와 같은 크기의 둘레를 갖는 홈이 형성되고 홈 내부에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이 삽입되어 상기 도어(1)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어 고정부재(15)는 상기 도 어(1)와 하기에 설명할 링크부(5)의 사이에 고정되므로 상기 도어(1)가 회동할 때 상기 도어 고정부재(15)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회동함으로 상기 도어(1)의 표면에 하기 링크부(5)에 의한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도어 프레임(17)은, 'U'자 형상의 후방이 개방된 장방형 프레임으로서 각각 측면의 끝단부를 연결하는 면을 정면(171), 상기 정면의 반대면을 배면(172)으로 규정할 때 상기 정면(171)의 중심보다 상부측에 원형의 홈으로 형성된 상부 도어 링크고정구(1711, 도 4참조)와 상기 정면(171)의 중심보다 하부측에 원형의 홈으로 형성된 하부 도어링크고정구(1712, 도 4참조)와 상기 상, 하부 도어 링크고정구(1711, 도 4참조)사이에 원형의 홈으로 형성된 메인링크 고정구(1713, 도 4참조)를 통해 상기 도어(1)와 하기에 설명할 링크부(5)를 고정하고 상기 배면(172)에 하기에 설명할 구동부(2)와 감지부(3)와 브레이킹부(4)를 고정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2)는, 상기 도어(1)의 개방과 폐쇄에 따라 상기 도어(1)의 회동방향을 제어하는 정역모터(23)와 상기 도어(1)가 개방위치에 다다를때와 폐쇄 위치에 다다를때 상기 정역 모터(23)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25)와 상기 도어를 개방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정역모터(23)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도어(1)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축(27)과 상기 구동축(27)과 하기에 설명할 피동축(43)을 연결하는 커플링(29)을 포함한다.
상기 정역모터(23)는, 구동부 프레임(21)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정역모터(23)에 전원을 인가하여 사용자가 상기 안전 게이트에 진입하면 상기 정역모 터(2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도어(1)를 개방하고 사용자가 상기 안전 게이트를 통과하면 상기 정역모터(23)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도어(1)가 폐쇄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정역모터(23)의 회동방향에 의한 상기 도어(1)의 개방과 폐쇄는 그 반대로 작동됨도 가능하며 반시계방향과 시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 동력원이라면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적용함도 가능하다.
상기 감속기(25)는, 사용자가 안전 게이트에 진입하여 상기 도어(1)의 개방이 끝날 시점과 사용자가 상기 안전 게이트를 통과하여 상기 도어(1)의 폐쇄가 끝날 시점 사이에 상기 정역모터(23)의 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도어(1)가 가속도에 의해 손상 및 소음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정역모터(23)의 구동속도를 점점 줄여주는 것으로서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적용함도 가능하다.
상기 구동축(27)은, 바람직하게는 원통의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하기에 설명할 브레이킹부(4)와 연결되어 상기 정역모터(23)의 동력을 상기 도어(1)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플링(29)은, 평행한 두 축 사이의 거리가 약간 떨어져 있을 경우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축(27)과 하기에 설명할 브레이킹부(4)와 연결하여 상기 정역모터(23)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도어(1)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적용함도 가능하다.
상기 감지부(3)는, 상기 구동부(2)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코더(33)와 상기 감지부(3)와 하기에 설명할 브레이킹부(4)와 연결되는 감지부 벨트 풀리(35)와 타이밍 벨트(37)를 포함한다.
상기 엔코더(33)는, 감지부 프레임(31)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도어(1)가 상기 구동부(2)의 동력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 상기 도어(1)가 적정회전각 이상으로 넘어가거나 모자르지 않도록 상기 정역모터(23)의 회전각을 검출하면서 출력 펄스를 연산하여 상기 도어(1)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한다.
상기 감지부 벨트 풀리(35)와 타이밍 벨트(37)는, 하기에 설명할 브레이킹부(4)에 구비된 브레이킹부 벨트 풀리(47)와 연결하여 상기 감지부(3)의 감지에 의해 상기 구동부(2)에서 발생 된 동력을 하기 브레이킹부(4)에 전달함으로서 상기 도어(1)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브레이킹부(4)는, 상기 도어(1)가 개방되고 폐쇄될 때 상기 구동부(2)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플랜지(41)와 피동축(43)과 브레이크 하우징(45)과 브레이킹부 벨트 풀리(47)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41)는, 바람직하게는 다단으로 돌출된 원형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심부에는 하기에 설명할 피동축(43)의 직경과 같은 둘레의 홈이 형성되고 하기 피동축(43)이 삽입되며 상기 플랜지(41)의 중심부에 형성된 홈의 내벽에 키홈(411)과 키(412)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에서 전달된 동력에 의해 하기에 설명할 피동축(43)이 회동할 때 상기 플랜지(41)를 회동시키며 상기 도어(1)가 개방되거나 폐쇄되어 도어(1)의 동작을 멈출 때 하기에 설명할 브레이크 하우징(45)과 상기 플랜지(21)의 접촉에 의한 마찰에 의해 상기 플랜지(21)의 회동을 정지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피동축(43)은, 다단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플링(29)에 의해 상기 구동부(2)와 연결되고 상기 피동축(43)의 중간부분에 상기 플랜지(41)의 중심부의 홈 내부에 형성된 상기 키홈(411)과 대응되는 피동축의 키홈(431)을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41)의 키홈(411)과 상기 피동축(43)의 키홈(431) 사이에 상기 키(412)가 삽입되어 상기 구동부(2)에서 전달된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플랜지(41)에 전달하여 상기 플랜지(41)가 회동하고 끝단에는 하기에 설명할 링크부(5)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1)를 개방및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45)은, 바람직하게는 다단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중심부에는 상기 피동축(43)이 관통되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41)의 돌출부가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45)의 후면에 삽입되며 상기 도어(1)가 개방 및 폐쇄될 때 상기 엔코더(33)에 의해 상기 도어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45)이 상기 구동부(2)의 동력에 의해 회동하는 상기 플랜지(41)와 접촉되고 그 마찰에 의해 상기 플랜지(41)의 회동을 정지하면 상기 플랜지(41)와 연결된 상기 구동부(2)의 동력도 차단되어 상기 도어(1)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하우징 장착부(431)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장착부(451)는,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45)의 일단 끝단부에서 테두리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 프레임(21)에 하우징 체결구(4511)를 통하여 고정부재(7)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브레이킹부 밸트 풀리(47)는, 상기 감지부(3)에 구비된 상기 감지부 벨트 풀리(35)와 상기 타이밍 벨트(37)로 연결하여 상기 감지부(3)의 감지에 의해 상기 구동부(2)의 동력을 상기 브레이킹부(4)에 전달함으로서 상기 도어(1)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브레이킹부(4)는 상기 구동축(27)과 하기에 설명할 링크부(5) 사이에 위치하므로 상기 정역모터(23)나 감속기(25), 커플링(29)에서 존재하는 유격을 흡수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도어를 흔들더라도 떨림이 없고 작용과정에서도 정숙하 운전이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링크부(5)는, 상기 구동부(2)에서 전달된 동력을 상기 도어(1)에 연결하여 사용자가 상기 도어(1)에 접근 및 통과함에 따라 상기 도어(1)를 개폐 및 폐쇄하는 것으로서 상, 하상부 도어링크(51, 52)와 메인링크(53)와 도어링크 연결바(54)와 정점지지대(55)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도어링크(51)는, 부메랑 처럼 "ㄱ"자 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도어링크(51)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상부링크 고정구(51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도어링크(51)의 일측 끝단부에는 상부 도어연결구(512)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도어링크(51)의 타측 끝단부에는 상부 연결바 고정구(513)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도어연결구(512)와 상기 도어(1)에 구성된 상기 도어 고정부재(15)에 의해 상기 상부 도어고정구(11)와 고정되며 상기 도어가 회동할 때 상기 도어(1)의 표면에 상기 도어 고정부재(15)에 의한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도어 고정부재(15)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회동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상부링크 고정구(511)와 상기 도어 프레임(17)의 정면에 형성된 상부 도어링크 고정구(1711)와 상부링크 고정부재(5111)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되며 하기에 설명할 하부 도어링크(52)와 같이 상기 구동부(2)에서 발생된 동력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상부 도어링크(51)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도어(1)는 폐쇄되고 상기 상부 도어링크(5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도어(1)는 개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도어링크(51)의 구조가 부메랑 처럼 "ㄱ"자 형으로 형성되어 하기에 설명할 하부 도어링크(52)와의 연결이 용이하고 상기 도어(1) 및 상기 구동부(2)와 각각 바로 연결되며 상기 링크부(5)의 각 구성요소들 간의 연결구조가 단순하므로서 고장률과 제작단가 및 유지보수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 도어링크(52)는, 상기 상부 도어링크(51)와 마찬가지로 하부링크 고정구(521)와 하부 도어연결구(522)와 하부 연결바(523)를 포함하고 이러한 상기 하부 도어링크의 구성과 그 하부구성들은 도면 참고번호는 달리 하였으나 상기 상부 도어링크(51)의 구성들과 대략 일치하는 기능과 형성으로 이루어진바, 이러한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링크(53)는, 상기 상, 하부 도어링크(51, 52)와 같은 두께의 판재로 바람직하게는 오뚜기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17)과 상기 도어(1)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부(2)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도어(1)를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메인링크 고정구(531)와 링크바(532)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링크 고정구(531)는, 상기 메인링크(53)의 넓은 면적의 원형 중심부에 원형의 홈이 형성된 것으로서 메인링크 고정부재(5311)에 의해 상기 도어 프레임(17)과 고정되며 상기 피동축(43)의 일단에 직결되어 있어 상기 구동부(2)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도어(1)로 전달하여 상기 도어(1)가 상기 구동부(2)의 동력에 의해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링크바(532)는, 일측은 상기 메인링크(53)의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의 원형 중심부에 피봇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은 원형의 홈으로 형성된 연결바 고정구(5321)가 형성되어 하기에 설명할 도어링크 연결바(54)와 피봇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2)에서 발생된 동력이 상기 링크부(5)에 전달되어 상기 메인링크(53)가 상기 연결바 고정구에 고정된 하기 도어링크 연결바를 작동시키고 하기 도어링크 연결바(54)와 연결된 상기 상, 하부 도어링크(51, 52)를 회동시켜 상기 상, 하부 도어링크(51, 52)와 연결된 상기 도어(1)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어링크 연결바(54)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바형상의 판재로서 일측에는 상기 상부 도어링크(51)와 연결할 수 있는 상부 도어링크 고정구(5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하부 도어링크(52)와 연결할 수 있는 하부 도어링크 고정구(542)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도어링크 고정구(541)와 하부 도어링크 고정구(542)사이에는 메인링크 연결구(543)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메인링크(53)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2)에서 발생된 동력이 상기 메인링크(53)에 전달되면 상기 메인링크(53)와 연결되는 상기 도어링크 연결바(54)의 메인링크 연결구(543)를 통해 상기 도어링크 연결바(54)를 작동시켜 상기 상, 하부 도어링크(51, 52)와 연결된 상기 도어링크 연결바(54)의 상, 하부 도어링크 고정구(541, 542)에 의해 상기 상, 하부 도어링크(51, 52)를 작동시킴으로서 상기 상, 하부 도어링크(51, 52)가 상기 메인링크 연결구(543)를 중심으로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도어(1)를 개방 및 페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정점지지대(55)는, 상기 도어 프레임(17)의 소정 위치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링크 고정구(1713)와 상부 도어링크 고정구(1711)의 사이에 형성되며 건물내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긴급상황이 발생하여 상기 도어(1)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전원이 차단될때 상기 브레이킹부(4)에 의해 상기 도어(1)가 폐쇄된 채로 고정이 되면 건물내의 사람들이 대피할 수 없으므로 상기 브레이킹부(4)의 제어를 풀기 위하여 비상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브레이킹부(4)의 제어가 풀어지고 상기 도어(1)가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정점지지대(55)가 상기 메인링크(53)에 회동범위를 제한하여 상기 도어(1)의 무게중심이 상기 메인링크 고정구(531)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비상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상기 메인링크(53)와 연결된 상기 도어(1)가 개방된 상태로 정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정점지지대(55)는 상기 메인링크(53)와 접촉시 상기 정점지지대(55)와 메인링크(53)가 손상되거나 파열음이나지 않도록 상기 정점지지대(55)에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정점지지대(55)와 메인링크(53)가 손상되거나 파열음이 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 2 안전 게이트(100')는 상기 제 1 안전 게이트(10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출입을 제한하는 도어(1')와, 상기 도어(1')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부(2')와, 상기 도어(1')의 회동궤도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2')의 동력을 제어하는 감지부(3')와, 상기 도어(1')의 개방과 폐쇄시 상기 도어(1')의 회동을 제한하는 브레이킹부(4')와, 상기 도어(1')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2')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도어(1')를 열고 닫는 링크부(5')를 포함하고 이러한 상기 제 2 안전 게이트(100')의 구성과 그 하부구성들은 도면 참고번호는 달리 하였으나 상기 제 2 안 전 게이트(100')의 도어(1')에 형성된 상,하부 도어고정구(11', 13')가 상기 제 1 안전 게이트(100)의 도어(1)에 형성된 상,하부 도어고정구(11, 13)와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구성하는 것과 상기 링크부(5)에 구성된 상기 상, 하부 도어링크(51, 52)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도어(1)의 개방과 폐쇄되는 순서가 반대로 작동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 1 안전 게이트(100)의 구성들과 대략 일치하는 기능과 형성으로 이루어진바, 이러한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데 따른 안전게이트 유닛의 작동관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게이트 유닛이 작동과정을 나타낸 작동도 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안전 게이트(100)와 제 2 안전 게이트(100')가 한조로 이루어지며 호텔이나 빌딩 지하철 개찰구등 사람들의 출입이 많은 곳에 설치되고 상기 안전 게이트 유닛이 폐쇄된 상태로서 상기 구동부(2)의 정역모터(23)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정역모터(23)의 동력이 상기 구동축(27)과 피동축(43)을 통하여 상기 링크부(5)에 전달된다. 상기 제 1 안전 게이트(100)에 구비된 상기 정역모터(23)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감지부(3)에 구비된 상기 엔코더(33)에 의해 상기 도어(1)가 상기 구동부(2)의 동력에 의해 폐쇄될 때 상기 도어(1)가 적정회전각 이상으로 넘어가거나 모자르지 않도록 상기 정역모터(23)의 회전각을 검출하면서 출력 펄스를 연산하여 상기 도어(1)의 위치를 파악하며 상기 링크부(5)에 연결된 상기 도어(1)가 폐쇄되도록 하고, 상기 제 1 안전 게이트(100)와 반대로 상기 제 2 안전 게이트(100')에 구비된 상기 정역모터(미도시)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제 2 안전 게이트(100')에 구비된 링크부(5')와 상기 도어(1')가 폐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도어 고정부재(15, 15')에 의해 상기 도어(1, 1')와 상기 링크부(5, 5')의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1, 1')가 회동할 때 상기 도어 고정부재(15, 15')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회동함으로 상기 도어(1, 1')의 표면에 하기 링크부(5, 5')에 의한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안전 게이트 유닛이 중간정도 열린 것으로서 상기 제 1 안전 게이트(100)에 구비된 상기 정역모터(2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감지부(3)에 구비된 상기 엔코더(33)에 의해 상기 도어(1)가 상기 구동부(2)의 동력에 의해 개방될 때 상기 도어(1)가 적정회전각 이상으로 넘어가거나 모자르지 않도록 상기 정역모터(23)의 회전각을 검출하면서 출력 펄스를 연산하여 상기 도어(1)의 위치를 파악하며 상기 링크부(5)에 연결된 상기 도어(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 1 안전 게이트(100)와 반대로 상기 제 2 안전 게이트(100')에 구비된 상기 정역모터(미도시)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제 2 안전 게이트(100')에 구비된 링크부(5')와 상기 도어(1')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도 5a 및 도 5b의 단계와 마찬가지로 상기 도어 고정부재(15, 15')에 의해 상기 도어(1, 1')와 상기 링크부(5, 5')의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1, 1')가 회동할 때 상기 도어 고정부재(15, 15')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회동함으로 상기 도어(1, 1')의 표면에 하기 링크부(5, 5')에 의한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안전 게이트 유닛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서 상기 제 1 안전 게이트(100)에 구비된 상기 정역모터(23)가 도 6a 및 도 6b에 비해 좀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감지부(3)에 구비된 상기 엔코더(33)에 의해 상기 도어(1)가 상기 구동부(2)의 동력에 의해 개방될 때 상기 도어(1)가 적정회전각 이상으로 넘어가거나 모자르지 않도록 상기 정역모터(23)의 회전각을 검출하면서 출력 펄스를 연산하여 상기 도어(1)의 위치를 파악하며 상기 링크부(5)에 연결된 상기 도어(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 1 안전 게이트(100)와 반대로 상기 제 2 안전 게이트(100')에 구비된 상기 정역모터(미도시)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제 2 안전 게이트(100')에 구비된 링크부(5')와 상기 도어(1')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때, 건물내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긴급상황이 발생하여 상기 도어(1)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전원이 차단될때 상기 브레이킹부(4)에 의해 상기 도어(1)가 폐쇄된 채로 고정이 되면 건물내의 사람들이 대피할 수 없으므로 상기 브레이킹부(4)의 제어를 풀기 위하여 비상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브레이킹부(4)의 제어가 풀어지고 상기 도어(1)가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정점지지대(55)가 상기 메인링크(53)에 회동범위를 제한하여 상기 도어(1)의 무게중심이 상기 메인링크 고정구(531)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비상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상기 메인링크(53)와 연결된 상기 도어(1)가 개방된 상태로 정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정점지지대(55)는 상기 메인링크(53)와 접촉시 상기 정점지지대(55)와 메인링크(53)가 손상되거나 파열음이나지 않도록 상기 정점지지대(55)에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정점지지대(55)와 메인링크(53)가 손상되거나 파열음이 나지 않도록 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다른실시예로 상기 안전 게이트 유닛이 설치되는 장소의 환경에 따라 한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안전 게이트 유닛이 한 개의 안전 게이트 유닛으로 구성함으로서 비교적 협소한 장소에도 구애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다.
앞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자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게이트 유닛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에일 뿐,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기어와 기어사이에 유격이 있는 구동부와 사용자의 출입을 제한하는 도어 사이에 브레이킹부를 구비함으로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도어를 건드려도 구동부의 유격에 도어의 흔들림이나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안전 게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각 부의 구성요소 및 링크부의 구조를 단순화 함으로서 고장률과 제작단가 및 유지보수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정전이나 화재등 비상사태가 발생시 비상전원이 공급되어 도어가 링크부의 회동궤도에 따라 회동할 때 정점지지대가 메인링크의 회동을 제한함으로서 링크부의 중심과 도어의 무게중심이 일직선이 되면서 도어가 개방되고 개방 후 에는 모터의 비상전원의 공급없이도 도어가 정위치에 멈추어 있을 수 있어 사용자가 쉽게 대피할 수 있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가 열릴 때 정점지지대가 메인링크의 회동을 제한함으로서 엔코더의 감지를 벗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Claims (10)

  1. 사용자의 출입을 제한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브레이킹부와, 상기 도어의 작동을 동력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구동부와, 상기 도어와 연결되며 외부의 동력과 상기 브레이킹부에 의해 제어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킹부는 상기 링크부와 구동부 사이에 위치되어 유격을 흡수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는 메인링크와 상기 도어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도어를 작동시키는 상, 하부 도어링크와 상기 메인링크 및 상, 하부 도어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메인링크와 상, 하부 도어링크에 전달하는 도어링크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게이트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게이트 유닛은,
    회동하는 상기 도어의 궤도를 감지하여 상기 브레이킹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게이트 유닛.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도어링크는,
    부메랑 처럼 "ㄱ"자 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게이트 유닛.
  5. 사용자의 출입을 제한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브레이킹부와, 상기 도어의 작동을 동력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구동부와, 상기 도어와 연결되며 외부의 동력과 상기 브레이킹부에 의해 제어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킹부는 상기 링크부와 구동부 사이에 위치되어 유격을 흡수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도어의 무게중심이 메인링크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도어의 회전범위를 제어하는 정점지지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게이트 유닛.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게이트 유닛은,
    회동하는 상기 도어의 궤도를 감지하여 상기 브레이킹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게이트 유닛.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는 메인링크와 상기 도어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도어를 작동시키는 상, 하부 도어링크와 상기 메인링크 및 상, 하부 도어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메인링크와 상, 하부 도어링크에 전달하는 도어링크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게이트 유닛.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부메랑 처럼 "ㄱ"자 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게이트 유닛.
  10. 제 5 항,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점지지대는 상기 메인링크의 중심과 상부 도어링크의 중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게이트 유닛.
KR1020070051672A 2007-05-28 2007-05-28 안전 게이트 유닛 KR100846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672A KR100846747B1 (ko) 2007-05-28 2007-05-28 안전 게이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672A KR100846747B1 (ko) 2007-05-28 2007-05-28 안전 게이트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747B1 true KR100846747B1 (ko) 2008-07-17

Family

ID=39824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672A KR100846747B1 (ko) 2007-05-28 2007-05-28 안전 게이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74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395B1 (ko) * 2012-12-26 2013-04-05 금동숙 스피드 게이트 장치
KR101460708B1 (ko) * 2014-09-17 2014-11-21 주식회사 지엘앤티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
KR101468684B1 (ko) * 2014-09-17 2014-12-11 주식회사 지엘앤티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
KR101612439B1 (ko) 2015-06-29 2016-04-14 주식회사 엔에스타 개찰구용 자동 게이트
US9834976B2 (en) 2012-12-07 2017-12-05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Device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n automated door and method
KR102085455B1 (ko) * 2018-10-29 2020-03-05 김병기 스윙타입 게이트 장치
KR102388453B1 (ko) * 2021-08-30 2022-04-20 권용찬 의료기기용 도어 개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048A (ko) * 1998-09-04 1999-03-25 이휘웅 안전 도어클로저
JP2000096964A (ja) 1998-09-22 2000-04-04 Higano:Kk ノンレールゲートにおけるブレーキ機構
JP2001311319A (ja) * 2000-04-28 2001-11-09 Hokuyo Automatic Co 駐輪場のゲート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048A (ko) * 1998-09-04 1999-03-25 이휘웅 안전 도어클로저
JP2000096964A (ja) 1998-09-22 2000-04-04 Higano:Kk ノンレールゲートにおけるブレーキ機構
JP2001311319A (ja) * 2000-04-28 2001-11-09 Hokuyo Automatic Co 駐輪場のゲート開閉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4976B2 (en) 2012-12-07 2017-12-05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Device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n automated door and method
KR101250395B1 (ko) * 2012-12-26 2013-04-05 금동숙 스피드 게이트 장치
KR101460708B1 (ko) * 2014-09-17 2014-11-21 주식회사 지엘앤티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
KR101468684B1 (ko) * 2014-09-17 2014-12-11 주식회사 지엘앤티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
KR101612439B1 (ko) 2015-06-29 2016-04-14 주식회사 엔에스타 개찰구용 자동 게이트
KR102085455B1 (ko) * 2018-10-29 2020-03-05 김병기 스윙타입 게이트 장치
KR102388453B1 (ko) * 2021-08-30 2022-04-20 권용찬 의료기기용 도어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747B1 (ko) 안전 게이트 유닛
KR102039070B1 (ko) 스윙 도어 모듈, 그리고 스윙 도어 모듈을 구비한 스윙 게이트 시스템
KR100944392B1 (ko) 비상탈출용 여닫이 문을 구비한 미서기식 방화유리 자동문
HK1055715A1 (en) Safety system for elevator doors and its operatingmethod
TW201408860A (zh) 具備防火、防煙及逃生功能之捲門用門機機構
KR200442468Y1 (ko) 출입게이트용 드롭식 개폐장치
JP7351568B2 (ja) 自動ドア
JP2013227850A (ja) 非常通路の避難用坑門
ES2172352T3 (es) Aparato de vigilancia de un muelle.
KR20160035214A (ko) 창문 개폐장치용 클러치 조립체
KR101021339B1 (ko)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KR100928682B1 (ko) 모터를 이용한 소방용 도어클로저
US7243760B2 (en) Elevator door unit having mechanism to release lock unit manually in emergency
KR20110116500A (ko) 스윙형 플랩 개폐 장치
KR100998667B1 (ko) 플랩게이트 장치
KR101306920B1 (ko) 방화셔터 자동폐쇄장치
CN104574604B (zh) 一种含有滚珠的智能楼宇的门禁系统
KR100864718B1 (ko) 플랩 개폐장치
KR20000019120U (ko) 자동문의 비상 개방장치
KR102028928B1 (ko)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
JP2813372B2 (ja) 自動閉鎖扉
KR100759712B1 (ko) 복수의 방화문을 동시에 폐쇄하는 방화문 동시 폐쇄시스템.
WO2006100928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1349317B1 (ko) 게이트 장치
JP2008267101A (ja) 扉又はゲートの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