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4718B1 - 플랩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플랩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4718B1
KR100864718B1 KR1020080017506A KR20080017506A KR100864718B1 KR 100864718 B1 KR100864718 B1 KR 100864718B1 KR 1020080017506 A KR1020080017506 A KR 1020080017506A KR 20080017506 A KR20080017506 A KR 20080017506A KR 100864718 B1 KR100864718 B1 KR 100864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frame
rotor
pai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찬욱
Original Assignee
(주)플래그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래그시스 filed Critical (주)플래그시스
Priority to KR1020080017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7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3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 E06B11/026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horizontal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방형 박스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방측에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단폭 범위 내에 설치되는 제 1 플랩축 및 제 2 플랩축; 상기 제 1 플랩축 및 제 2 플랩축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 1 플랩축 및 제 2 플랩축과 연동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방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제 1 플랩 및 제 2 플랩;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장폭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1 플랩축 및 제 2 플랩축이 각각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구동모터 및 제 2 구동모터; 및 상기 프레임의 상방 또는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플랩 및 제 2 플랩이 회동되도록 상기 제 1 구동모터 및 제 2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제 1 플랩축 및 제 2 플랩축에 전달하는 제 1 구동력 전달수단 및 제 2 구동력 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구조를 갖는 플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한 쌍의 플랩축, 플랩, 구동력 전달수단 및 구동모터를 프레임의 장폭 방향으로 배열 가능하기 때문에, 프레임의 폭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 플랩 개폐장치가 설치되는 게이트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이트, 플랩, 개폐, 슬림 구조, 로터, 자성부재, 센서

Description

플랩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closing flap}
본 발명은 플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철, 놀이동산, 경기장 등의 출입통제가 요구되는 시설물에 설치되는 플랩 게이트의 폭을 슬림하게 구현하여 동일 공간에 보다 많은 수의 게이트를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단위시간당 출입자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플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랩 게이트의 내부를 간편하게 수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으며, 플랩의 회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플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놀이동산, 경기장 등의 출입통제가 요구되는 시설물에는 해당 티켓 또는 출입카드 등을 검사하여 선택적으로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장치를 구비한 게이트가 설치된다.
이러한 게이트로는 도 1에 도시된 턴 스타일 게이트와 도 2에 도시된 플랩 스타일 게이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하철 개찰구용 턴 스타일 게이트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형상의 게이트 본체(10) 내부에 티켓 등을 인식하는 검사수 단(미도시) 및 이 검사수단의 검사결과에 따라 삼발이 형상의 회전봉(11)을 고정시키거나 고정해제시키는 잠금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턴 스타일 게이트는 게이트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투입구(12)에 티겟이 투입되면, 잠금수단의 작동이 해제되어 사용자가 삼발이 형상의 회전봉(11)을 회전시키면서 게이트 본체(10) 사이의 출입공간을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턴 스타일 게이트는 사용자가 게이트를 통과할 때, 손이나 몸체를 이용해 회전봉(11)을 직접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무거운 짐이나 부피가 큰 짐을 가진 사람의 경우 게이트의 통과가 쉽지 않고, 한 사람씩 직접 회전봉(11)을 회전시켜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과 같이 이용객이 많은 경우에 통과시간 지연에 따른 혼잡함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의 플랩 스타일 게이트는 종래의 턴 스타일 게이트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게이트 본체(20)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플랩(21)이 설치되고, 게이트 본체(20) 내부에는 검사수단(미도시) 및 플랩(21)이 회동되도록 하는 구동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플랩 스타일 게이트는 검사수단에 의해 정상적인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개찰구를 통과하려 하면, 구동장치의 작동에 의해 게이트 본체(20)에 설치된 플랩(21)이 회동되면서 게이트와 게이트 사이의 공간을 막아 사용자가 게이트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플랩 스타일 게이트는 평상시에 플랩(21)이 게이트 본 체(20)의 측면에 면접된 상태로 위치되어 게이트 사이의 공간이 개방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손에 짐을 들고 있는 경우에도 통과가 수월하며, 종래의 턴 스타일 게이트에 비해 사용자의 통과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플랩 스타일 게이트는 플랩을 구동시키기 위한 부품들 및 이 부품들(로터 및 모터의 폭이 대략 80mm 정도)로 인해 보통 그 폭이 200 ~ 300mm 정도이며, 지하철역 또는 건물 등의 시설물의 출입구는 한정된 공간을 갖기 때문에, 그 설치대수가 제한될 수밖에 없어 출퇴근 시간대에 혼잡함을 해소하기에는 다소 부족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플랩 스타일 게이트는 내부 부품의 수리, 교체 및 점검시에 전원을 차단하고 수동으로 플랩(21)을 게이트 본체의 외측으로 회동시켜 게이트 본체의 내부를 개방시킨 후, 작업을 해야 했다.
이때, 일반적으로 게이트 본체 내부의 플랩 구동장치는 전원이 차단되면 플랩축, 연동캠, 및 링크 등의 위치 및 결합관계에 의해 잠금 상태가 되어 플랩이 강제적으로 회동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플랩 구동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별도의 잠금 해제 수단 등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플랩 스타일 게이트의 플랩 구동장치는 플랩의 회동시 플랩이 게이트 본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터의 회전각을 감지하여 플랩의 회동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광센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광센서는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쉽게 오염이 되고 이에 따라 빈번하게 오작동이 발생하여 플랩의 회동각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지하철, 놀이동산, 경기장 등의 출입통제가 요구되는 시설물에 설치되는 플랩 게이트의 폭을 최소화하여 동일 공간에 보다 많은 수의 게이트를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단위시간당 출입자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슬림 구조의 플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랩 게이트 내부의 플랩 개폐장치를 점검, 수리해야 하는 경우, 간단하게 수동으로 플랩을 회동시켜 내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플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동되는 플랩과 본체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센서의 오작동을 최소화시켜, 플랩의 회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플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박스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플랩축; 상기 한 쌍의 플랩축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플랩축과 연동되는 한 쌍의 플랩;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랩축이 각각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구동모터; 및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랩이 회동되 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각각 상기 플랩축에 전달하는 한 쌍의 구동력 전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연결되어 회동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상면에 편심되어 설치된 크랭크축, 상기 크랭크축과 연결된 로드, 상기 플랩축과 연결된 링크, 및 상기 로드와 링크를 연결하는 링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플랩축은 상기 프레임의 단폭 범위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플랩은 상기 프레임의 전방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플랩축 중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더 길게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로터 중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더 높이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구동력 전달수단 중 하나는 다른 하나의 상부에 위치되어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플랩이 상기 프레임의 전방측을 향해 위치되도록 상기 플랩축의 외주면에 복귀 스프링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그 단폭이 1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랩의 회동각도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로터의 상면 테두리 근처에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자성부재, 및 상기 로터의 외주연에 인접한 위치에 서로 대면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로터의 180도 회전시마다 상기 자성부재의 자력을 감지하는 한 쌍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은 상기 플랩이 회동되지 않은 상태일 때, 상기 크랭크축, 링크축 및 플랩축이 일직선상에 배열되지 않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랩이 일정한 각도로 회동된 후 정지되도록 하는 멈춤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멈춤 수단은, 상기 로터의 외주연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로터의 외주연과 맞물려 회전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가 상기 로터의 외주연을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지닌 탄성부재를 구비한 멈춤쇠; 및 상기 멈춤쇠의 롤러가 안착되도록 상기 로터의 외주연 일부에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홈은 인접하게 한 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 쌍의 플랩축, 플랩, 구동력 전달수단 및 구동모터를 프레임의 장폭 방향으로 배열 가능하기 때문에, 프레임의 폭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 플랩 개폐장치가 설치되는 게이트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동일 공간에 보다 많은 수의 게이트 설치가 가능하여 단위 시간당 출입인원을 증가시킬 수 있어, 특정시간대의 혼잡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게이트 플랩 게이트의 폭을 슬림하게 구현함으로써, 콤팩트하고 샤프한 디자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제품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모터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복귀 스프링에 의해 플랩이 게이트 사이의 출입공간을 개방하도록 회동되기 때문에, 비상 상황에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랩 개폐장치는 플랩이 게이트 사이의 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한 상태일 때, 플랩축, 링크축 및 크랭크축이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구동력 전달수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 내부에 설치된 부품의 점검, 교체, 수리 등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전원을 차단한 후 플랩을 수동으로 회동시켜 프레임 내부를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로터가 일정각도만큼만 회동되도록 로터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멈춤 수단을 구비하여, 수동으로 플랩을 회전시켜도 항상 일정한 각도로 플랩이 회동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로터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자성부재 및 이의 자력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함으로써, 이물질 등의 오염에 의한 오작동을 최소화하여 플랩의 회동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랩 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실 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랩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플랩 개폐장치의 구동력 전달수단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플랩 개폐장치의 플랩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랩 개폐장치는 장방형 박스 형상의 프레임(100), 프레임(100)의 전방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플랩축(110), 플랩축(110)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플랩(111), 플랩축(110)이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구동모터(120), 및 구동모터(120)의 구동력을 플랩축(110)에 전달해주는 한 쌍의 구동력 전달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100)의 내부 하측에는 PCB(130)가 설치되어 한 쌍의 구동모터(120)의 구동을 제어한다.
프레임(100)은 게이트 본체(도 2 참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단폭과 장폭을 갖는 장방형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00)은 또한 좌우 양측면이 개방되고, 전면 및 후면 프레임(101, 102)과 상면 및 저면 프레임(103, 104)을 구비한다. 상면 및 저면 프레임(103, 104)의 일단은 전면 프레임(101)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더 연장되어 있고, 이 연장 부분에는 각각 프레임(10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브라켓(105)을 구비하며, 이 브라켓(105)은 게이트 본체 내부에 프레임(100) 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 쌍의 플랩축(110)은 제 1 플랩축(110a) 및 제 2 플랩축(110b)으로 구성되고, 프레임(100)의 전방측 즉, 전면 프레임(101)의 외부에서 상면 프레임(103) 및 저면 프레임(104)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 1 플랩축(110a) 및 제 2 플랩축(110b)은 프레임(100)의 단폭 즉, 전면 프레임(101)의 폭 외부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프레임(100)의 단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한 쌍의 플랩(111)은 제 1 플랩(111a) 및 제 2 플랩(111b)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각각 제 1 플랩축(110a) 및 제 2 플랩축(110b)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제 1 플랩축(110a) 및 제 2 플랩축(110b)과 연동된다. 또한, 이 한 쌍의 플랩(111)은 전면 프레임(100)의 전방 외측을 향하여 나란하게 설치된다.
한 쌍의 구동모터(120)는 각각 내부에 전자 브레이크가 구비된 제 1 구동모터(120a) 및 제 2 구동모터(120b)로 구성되고, 이 한 쌍의 모터(120)는 프레임(100)의 내부에 앞뒤로 즉, 장폭 방향으로 설치된다. 제 1 구동모터(120a)는 제 1 플랩축(110a)이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제 2 구동모터(120b)는 제 2 플랩축(110b)이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한 쌍의 구동력 전달수단은 상면 프레임(103)(또는 저면 프레임(104))에 설치되는 제 1 구동력 전달수단 및 제 2 구동력 전달수단으로 구성된다. 제 1 구동력 전달수단은 제 1 구동모터(120a)의 구동력을 제 1 플랩축(110a)에 전달하여 제 1 플랩(111a)이 회동되도록 하며, 제 2 구동력 전달수단은 제 2 구동모터(120b)의 구 동력을 제 2 플랩축(110b)에 전달하여 제 2 플랩(111b)이 회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 1 구동력 전달수단은 제 1 로터(141a), 제 1 크랭크축(142a), 제 1 로드(143a), 제 1 링크(144a), 및 제 1 링크축(145a)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 1 로터(141a)는 프레임(100) 내부에 설치된 제 1 구동모터(120a)의 모터축과 연결되어 회동된다. 제 1 크랭크축(142a)은 제 1 로터(141a)의 상면에서 제 1 로터(141a)의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제 1 로터(141a)의 회전운동에 따라 제 1 로터(141a)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공전운동한다. 제 1 로드(143a)는 일단이 제 1 크랭크축(142a)과 연결되고 상면 프레임(103)과 수평하게 설치된다. 제 1 링크(144a)는 일단이 제 1 플랩축(110a)과 연결되고 상면 프레임(103) 및 제 1 로드(143a)와 수평하게 설치된다. 제 1 링크축(145a)은 제 1 로드(143a)의 타단 및 제 1 링크(144a)의 타단을 연결하여 제 1 로드(143a)와 제 1 링크(144a)를 연동시킨다.
이와 같은 제 1 구동력 전달수단에 의해 제 1 구동모터(120a)가 구동되면 모터축이 회전하면서 제 1 로터(141a)가 회전되고, 제 1 로터(141a)의 회전운동에 의해 제 1 크랭크축(142a)이 제 1 로터(141a)의 상면에서 공전운동하면서 제 1 로드(143a)가 프레임(100)의 장폭 방향으로의 왕복운동과 동시에 단폭 방향으로의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로드(143a)와 연동되어 제 1 링크(144a)가 프레임(100)의 단폭 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되어 제 1 플랩축(110a)이 회동된다.
제 2 구동력 전달수단은 제 1 구동력 전달수단과 마찬가지로, 제 2 로터(141b), 제 2 크랭크축(142b), 제 2 로드(143b), 제 2 링크(144b), 및 제 2 링크 축(145b)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 2 로터(141b)는 프레임(100) 내부에 설치된 제 2 구동모터(120b)의 모터축과 연결되어 회동된다. 제 2 크랭크축(142b)은 제 2 로터(141b)의 상면에서 제 2 로터(141b)의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제 2 로터(141b)의 회전운동에 따라 제 2 로터(141b)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공전운동한다. 제 2 로드(143b)는 일단이 제 2 크랭크축(142b)과 연결되고 상면 프레임(103)과 수평하게 설치된다. 제 2 링크(144b)는 일단이 제 2 플랩축(110b)과 연결되고 상면 프레임(103) 및 제 2 로드(144b)와 수평하게 설치된다. 제 2 링크축(145b)은 제 2 로드(143b)의 타단 및 제 2 링크(144b)의 타단을 연결하여 제 2 로드(143b)와 제 2 링크(144b)를 연동시킨다.
이와 같은 제 2 구동력 전달수단에 의해 제 2 구동모터(120b)가 구동되면 모터축이 회전하면서 제 2 로터(141b)가 회전되고, 제 2 로터(141b)의 회전운동에 의해 제 2 크랭크축(142b)이 공전운동하면서 제 2 로드(143b)가 프레임(100)의 장폭 방향으로의 왕복운동과 동시에 단폭 방향으로의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2 로드(143b)와 연동되어 제 2 링크(144b)가 프레임(100)의 단폭 방향으로의 왕복운동하게 되어 제 2 플랩축(110b)이 회동된다.
이때, 제 2 구동모터(120b)는 제 1 구동모터(120a)의 후방측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로터(141b) 역시 제 1 로터(141a)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이에 따라 제 2 로드(143b)는 제 1 로드(143a)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제 2 플랩축(110b)은 제 1 플랩축(110a)보다 상면 프레임(103)으로부 터 상방으로 일정길이 더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2 로터(141b)는 제 1 로터(141a)보다 상면 프레임(103)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높이 더 높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 2 구동력 전달수단의 제 2 로드(143b), 제 2 링크(144b) 및 제 2 링크축(145b)은 제 1 구동력 전달수단의 제 1 로드(143a), 제 1 링크(144a) 및 제 1 링크축(145a)의 상부에서 제 1 로드(143a), 제 1 링크(144a) 및 제 1 링크축(145a)과 교차되도록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구동모터(120)가 프레임(100)의 내부에서 프레임(100)의 장폭 방향으로 설치되고, 한 쌍의 플랩축(110) 및 플랩(111)이 프레임(100)의 전방측에서 프레임(100)의 장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한 쌍의 구동력 전달수단이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프레임(100)의 장폭 방향으로 교차되어 설치됨으로써, 프레임(100)의 단폭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플랩 개폐장치가 설치되는 플랩 게이트를 슬림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지하철, 놀이동산, 경기장 등의 출입통제가 요구되는 시설물의 출입구에 보다 많은 수의 게이트를 설치할 수 있어 단위시간당 출입자수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출입구의 혼잡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랩 개폐장치는 그 단폭이 대략 100mm 정도로 형성된다.
한편, 제 1 플랩축(111a) 및 제 2 플랩축(111b)은 외주면에 각각 복귀 스프링(150)이 장착되어 있다. 이 복귀 스프링(150)은 상면 프레임(103)과 플랩(111) 사이에서 플랩축(110)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플랩(111)이 프레임(100)의 전방측을 향한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하는 탄성력을 지니고 있다.
다시 말하면, 구동모터(12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플랩(111)이 항상 출입구를 개방하도록 복귀 스프링(150)이 플랩축(110)에 탄성력을 가하기 때문에, 비상시에 플랩(111)에 의해 출입구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랩 개폐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랩 개폐장치를 지하철 개찰구의 게이트에 적용하여 설명하면, 제 1플랩(111a)은 인접한 게이트에 설치된 제 2플랩(111b)과 한 쌍으로 이루어 작동됨으로써, 게이트와 게이트 사이의 출입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먼저, 제 1 플랩(111a) 및 제 2 플랩(111b)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장폭방향으로 프레임(100)의 전방측을 향해 나란하게 위치되어 있으며, 게이트에 지하철 티켓이나 교통카드 등의 출입수단이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람이 통과하게 되면 인접 한 쌍의 게이트의 서로 대응되는 두 플랩이 프레임(100)의 측면과 거의 수직방향이 되도록 회동된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게이트에 비정상적으로 사람이 통과하게 되는 경우, PCB(130)는 플랩 개폐장치의 제 2 구동모터(120b)가 작동되도록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제 2 구동모터(120b)가 작동되면, 제 2 구동력 전달수단에 의해 제 2 구동모터(120b)의 구동력이 제 2 플랩축(110b)에 전달된다. 따라서, 제 2 플 랩(111b)이 프레임(100)의 측면 방향을 향해 회동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제 2 플랩(111b)이 게이트 사이의 출입공간을 개방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제 2 플랩(111b)이 게이트 사이의 출입공간을 폐쇄한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인접한 게이트의 제 1 플랩 역시 상술한 제 2 플랩과 동일한 작동과정을 거쳐 제 2 플랩과 함께 게이트 사이의 출입공간을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플랩(111a) 및 제 2 플랩(111b)이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프레임(100)의 장폭 방향으로 프레임(100)의 전방을 향해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고, 제 1 플랩(111a) 및 제 2 플랩(111b)이 설치 폭이 프레임(100)의 단폭보다 작게 설치되어 있으며, 제 1 구동모터(120a) 및 제 2 구동모터(120b)가 프레임(100)의 장폭 방향으로 배열되며, 제 1 구동력 전달수단 및 제 2 구동력 전달수단이 서로 교차하듯이 프레임(100)의 장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100)의 단폭을 대략 100mm 까지 감소시킬 수 있어, 플랩 개폐장치의 폭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하철, 놀이동산, 경기장 등의 출입통제가 요구되는 시설물의 출입구에 보다 많은 수의 게이트를 설치할 수 있어 단위시간당 출입인원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출입구의 혼잡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플랩(111)이 출입공간을 폐쇄한 상태에서 PCB(130) 또는 구동모터(120)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는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플랩(110)은 복귀 스프링(15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출입공간이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회동된다.
따라서, 비상사태 발생시 개폐장치의 플랩(111)을 직접 개방해야 할 필요가 없어 신속한 상황대처가 가능하다.
<제 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랩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플랩 개폐장치의 구동력 전달수단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랩 개폐장치는 박스 형상의 프레임(200), 프레임(200)의 전방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플랩축(210), 플랩축(210)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플랩(220), 플랩축(210)이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구동모터(230), 및 구동모터(230)의 구동력을 플랩축(210)에 전달해주는 한 쌍의 구동력 전달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200)의 내부 하측에는 PCB(240)가 설치되어 구동모터(230)의 구동을 제어한다.
프레임(200)은 게이트 본체(도 2 참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후 양측면이 개방되고, 좌우 측면 프레임(201, 202)과 상면 및 저면 프레임(203, 204)을 구비한다. 좌우 측면 프레임(201, 202)의 일단은 측방으로 절곡되어 프레임(200)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더 연장된 브라켓(205)을 구비하며, 이 브라켓(205)은 게이트 본체 내부에 프레임(200)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 쌍의 플랩축(210)은 제 1 플랩축(210a) 및 제 2 플랩축(210b)으로 구성되 고, 프레임(200)의 전방측 좌우 모서리 부근에서 상면 프레임(203) 및 저면 프레임(204)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 쌍의 플랩(220)은 제 1 플랩(220a) 및 제 2 플랩(220b)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각각 제 1 플랩축(210a) 및 제 2 플랩축(210b)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제 1 플랩축(210a) 및 제 2 플랩축(210b)과 연동된다. 이 한 쌍의 플랩(220)은 좌우 측면 프레임(201, 202)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플랩(220)의 회동에 따라 프레임(2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한 쌍의 구동모터(230)는 각각 내부에 전자 브레이크가 구비된 제 1 구동모터(230a) 및 제 2 구동모터(230b)로 구성되고, 이 한 쌍의 구동모터(230)는 프레임(200)의 내부에 좌우 방향(횡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제 1 구동모터(230a)는 제 1 플랩축(210a)이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제 2 구동모터(230b)는 제 제 2 플랩축(210b)이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한 쌍의 구동력 전달수단은 상면 프레임(203)(또는 저면 프레임(204))에 설치되는 제 1 구동력 전달수단 및 제 2 구동력 전달수단으로 구성된다. 제 1 구동력 전달수단은 제 1 구동모터(230a)의 구동력을 제 1 플랩축(210a)에 전달하여 제 1 플랩(220a)이 회동되도록 하며, 제 2 구동력 전달수단은 제 2 구동모터(230b)의 구동력을 제 2 플랩축(210b)에 전달하여 제 2 플랩(220b)이 회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 1 구동력 전달수단은 제 1 로터(251a), 제 1 크랭크축(252a), 제 1 로드(253a), 제 1 링크(254a), 및 제 1 링크축(255a)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 1 로터(251a)는 프레임(200) 내부에 설치된 제 1 구동모 터(230a)의 모터축과 연결되어 회동된다. 제 1 크랭크축(252a)은 제 1 로터(251a)의 상면에서 제 1 로터(251a)의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제 1 로터(251a)의 회전운동에 따라 제 1 로터(251a)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공전운동한다. 제 1 로드(253a)는 일단이 제 1 크랭크축(252a)과 연결되고 상면 프레임(203)과 수평하게 설치된다. 제 1 링크(254a)는 일단이 제 1 플랩축(210a)과 연결되고 상면 프레임(203) 및 제 1 로드(253a)와 수평하게 설치된다. 제 1 링크축(255a)은 제 1 로드(253a)의 타단 및 제 1 링크(254a)의 타단을 연결하여 제 1 로드(253a)와 제 1 링크(254a)를 연동시킨다.
이와 같은 제 1 구동력 전달수단에 의해 제 1 구동모터(230a)가 구동되면 모터축이 회전하면서 제 1 로터(251a)가 회전되고, 제 1 로터(251a)의 회전운동에 의해 제 1 크랭크축(252a)이 공전운동하면서 제 1 로드(253a)가 프레임(200)의 앞뒤 방향으로의 왕복운동과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의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로드(253a)와 연동되어 제 1 링크(254a)가 프레임(200)의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되어 제 1 플랩축(210a)이 회동된다.
제 2 구동력 전달수단은 제 1 구동력 전달수단과 마찬가지로, 제 2 로터(251b), 제 2 크랭크축(252b), 제 2 로드(253b), 제 2 링크(254b), 및 제 2 링크축(255b)을 포함하고, 상면 프레임(203) 상에서 제 1 구동력 전달수단과 좌우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2 로터(251b)는 프레임(200) 내부에 설치된 제 2 구동모터(230b)의 모터축과 연결되어 회동된다. 제 2 크랭크축(252b)은 제 2 로터(251b) 의 상면에서 제 2 로터(251b)의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제 2 로터(251b)의 회전운동에 따라 제 2 로터(251b)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공전운동한다. 제 2 로드(253b)는 일단이 제 2 크랭크축(252b)과 연결되고 상면 프레임(203)과 수평하게 설치된다. 제 2 링크(254b)는 일단이 제 2 플랩축(210b)과 연결되고 상면 프레임(203) 및 제 2 로드(253b)와 수평하게 설치된다. 제 2 링크축(255b)은 제 2 로드(253b)의 타단 및 제 2 링크(254b)의 타단을 연결하여 제 2 로드(253b)와 제 2 링크(254b)를 연동시킨다.
이와 같은 제 2 구동력 전달수단에 의해 제 2 구동모터(230b)가 구동되면 모터축이 회전하면서 제 2 로터(251b)가 회전되고, 제 2 로터(251b)의 회전운동에 의해 제 2 크랭크축(252b)이 공전운동하면서 제 2 로드(253b)가 프레임(200)의 앞뒤 방향으로의 왕복운동과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의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2 로드(253b)와 연동되어 제 2 링크(254b)가 프레임(200)의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되어 제 2 플랩축(210b)이 회동된다.
상기와 같은 제 1 구동력 전달수단 및 제 2 구동력 전달수단의 작동에 의해 제 1 플랩축(210a) 및 제 2 플랩축(210b)이 회동되고, 이에 따라 제 1 플랩(220a) 및 제 2 플랩(220b)이 회동됨으로써, 인접하게 설치된 한 쌍의 게이트 사이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폐쇄한다.
이때, 플랩(220)은 구동모터(230)의 구동에 의해 측면 프레임(201, 202)과 나란한 위치 및 측면 프레임(201, 20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데, 플랩(220)이 상기 두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놓인 경우, 크랭크축(252), 링크축(255), 및 플랩축(210)이 일직선 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프레임(200) 내부의 부품을 점검하거나 교체하기 위해 전원을 차단하고 플랩(220)을 수동으로 회동시켜 프레임(200) 내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크랭크축(252), 링크축(255), 및 플랩축(210)이 일직선상에 놓여 있으면, 수동으로 플랩(220)을 회동시키려 해도 링크(254) 및 로드(253)를 회동시키기 위한 힘이 전달되지 않아 수동으로 플랩(220)을 회동시키기가 거의 불가능하지만, 본 발명은 크랭크축(252), 링크축(255), 및 플랩축(210)이 일직선상에 놓여 있지 않기 때문에, 수동으로 플랩(220)을 회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200) 내부의 부품 점검 또는 교체를 위해 전원을 차단한 후, 플랩(220)을 수동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잠금 해제 버튼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한편, 플랩(220)은 그 회동각도 즉, 게이트 사이의 출입 공간을 폐쇄하기 위해 프레임(200)의 측방으로 이격되도록 회동되는 각도가 대략 75도 정도이며, 이 각도까지 플랩(220)이 회동되면, 구동모터(230)의 구동이 정지되어 플랩(220)의 회동이 정지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랩 개폐장치는 플랩(220)의 회동각도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더 구비한다.
이 감지 수단은 로터(251)의 상면 테두리 근처에 형성된 삽입홈(261)과, 삽입홈(261)에 삽입되는 자성부재(262), 및 로터(251)의 외주연에 인접한 위치에 서 로 대면되도록 설치되어 자성부재(262)의 자력을 감지하는 한 쌍의 센서(2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삽입홈(261)에 자성부재(262)를 삽입하면, 로터(251)가 금속 물질이므로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자성부재(262)를 로터(251)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센서(263)는 로터(251)의 외주연과 인접하도록 상면 프레임(203)에 설치되고, 로터(251)를 중심으로 서로 대면되도록 설치되어, 로터(251)가 180도 회전될 때마다 자성부재(262)의 자력을 감지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랩 개폐장치의 감지 수단의 작동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220)이 측면 프레임(201, 202)과 나란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자성부재(262)는 상면 프레임(203)의 후방측에 위치한 센서(263)와 인접하게 위치되고, 이 센서(263)의 감지결과에 의해 PCB(240)는 구동모터(230)를 구동 정지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사용자가 게이트 사이를 비정상적으로 통과하려 하면, 구동모터(230)가 구동되어 구동력 전달수단에 의해 플랩(220)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된다. 이때, 로터(251)가 도 8a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180도 회전하게 되면 자성부재(262)가 상면 프레임(203)의 전방측에 위치한 센서(263)와 인접하게 되고, 이 센서(263)의 감지결과에 의해 PCB(240)는 구동모터(230)를 구동 정지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플랩(220)은 대략 75도 정도 측면 프레임(201, 202)으로부터 이격되어 회동된 후, 정지된다.
이후,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게이트 사이를 통과하려 하면, PCB(240)의 제어에 의해 구동모터(230)가 다시 회동되어 플랩(220)은 도 8a의 상태가 된다. 이때, 상술한 감지 수단에 의해 플랩(220)과 측면 프레임(201, 202)의 각도가 0도가 되는 시점에서 구동모터(230)가 정지되도록 제어됨으로써, 플랩(220)이 측면 프레임(201, 202)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랩 개폐장치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플랩(220)을 회동시키는 경우, 플랩(220)이 일정한 각도로 회동된 후 정지되도록 하는 멈춤 수단을 더 구비한다.
멈춤 수단은 상면 프레임(203)에 설치된 멈춤쇠(270) 및 로터(251)의 외주연에 형성된 안착홈(2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멈춤쇠(270)는 로터(251)의 외주연에 인접하게 상면 프레임(203) 상에 설치되며, 멈춤쇠(270)의 일측에는 로터(251)의 외주연과 맞물려 회전하는 롤러(271)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이 롤러(271)가 로터(251)의 외주연을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지닌 탄성부재(272)가 설치된다.
안착홈(280)은 로터(251)의 외주연에 롤러(271)의 외주연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롤러(271)가 맞물려 안착되도록 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랩 개폐장치의 멈춤 수단의 작동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220)이 측면 프레임(201, 202)과 나란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로터(251)의 안착홈(280)과 멈춤 수단의 롤러(27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프레임(200) 내부의 부품 점검 및 교체를 위해 수동으로 플랩(220)을 회동시키면, 구동력 전달수단에 의해 로터(151)가 회전하고, 플랩(220)이 도 9b에 도시된 위치(플랩과 측면 프레임과의 각도가 대략 75도)까지 회동하면, 로터(251)의 안착홈(280)에 롤러(271)가 안착되고, 이 롤러(271)는 탄성부재(272)의 탄성력에 의해 로터(251)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안착홈(280)에 롤러(271)가 안착되는 순간 플랩(220)의 회동이 정지된다.
한편, 안착홈(280)은 로터(251)의 외주연에 서로 인접한 한 쌍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터(251)의 외주연에 안착홈(280)을 한 쌍으로 인접하게 형성한 것은 플랩(220)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링크축(255)의 위치에 따라 로터(251)의 회전방향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링크축(255)이 플랩축(210) 및 크랭크축(252)으로부터 좌측에 위치한 경우, 수동으로 플랩(220)을 회동시키면 로터(25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링크축(255)이 플랩축(210) 및 크랭크축(252)으로부터 우측에 위치한 경우, 수동으로 플랩(220)을 회동시키면 로터(25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로터(251)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플랩(220)이 항상 일정한 각도만큼만 회동된 상태에서 롤러(271)가 안착홈(280)에 안착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랩 개폐장치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6에서는 한 쌍의 구동모터(230a, 230b) 및 구동력 전달수단 을 프레임(200)의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하였지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구동모터(230a', 230b') 및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플랩축(210a',210b')에 전달하는 한 쌍의 구동력 전달수단을 프레임(200') 상에서 앞뒤, 좌우 방향으로 서로 비스듬하게 배열하였다.
구체적으로, 제 1 구동모터(230a')는 프레임(200') 내부에 전면 좌측에 설치되고, 제 2 구동모터(230b')는 프레임(200) 내부의 후면 우측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 1 구동력 전달수단을 구성하는 제 1 로터(251a'), 제 1 크랭크축(252a'), 제 1 로드(253a'), 제 1 링크(254a'), 및 제 1 링크축(255a')는 프레임(200')의 전면 좌측에 위치되어 제 1 구동모터(230a')의 구동력을 제 1 플랩축(210a')에 전달하여 제 1 플랩(220a')이 회동되도록 한다.
또한, 제 2 구동력 전달수단을 구성하는 제 2 로터(251b'), 제 2 크랭크축(252b'), 제 2 로드(253b'), 제 2 링크(254b'), 및 제 2 링크축(255b')은 프레임(200')의 우측에 제 1 구동력 전달수단보다 뒷편에 위치되어 제 2 구동모터(230b')의 구동력을 제 2 플랩축(210b')에 전달하여 제 2 플랩(220b')이 회동되도록 한다.
이때, 제 1 링크(254a')와 제 2 링크(254b'), 제 1 링크축(255a')과 제 2 링크축(255b')은 좌우로 서로 대칭되어 배열되고, 제 1 로터(251a')와 제 2 로터(251b')는 제 1 구동모터(230a')와 제 2 구동모터(230b')와 같이 서로 사선으로 배열되며, 이와 같은 배열에 의해 제 2로드(253b')는 제 1 로드(253a')보다 일정길이 더 연장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동력 전달수단의 배열에 의해, 제 1 실시예와 같이 한 쌍의 구동모터 및 구동력 전달수단이 프레임의 앞뒤로 나란하게 설치된 경우보다 프레임의 좌우폭이 증가되며,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한 쌍의 구동모터 및 구동력 전달수단이 프레임의 좌우로 나란하게 설치된 경우보다는 프레임의 좌우폭이 감소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 및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력 전달수단의 배열을 달리하여 프레임의 폭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랩 개폐장치는 한 쌍의 플랩축, 플랩, 구동력 전달수단 및 구동모터를 프레임의 장폭 방향으로 배열 가능하기 때문에, 프레임의 폭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 플랩 개폐장치가 설치되는 게이트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게이트 플랩 게이트의 폭을 슬림하게 구현함으로써, 콤팩트하고 샤프한 디자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제품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동일 공간에 보다 많은 수의 게이트 설치가 가능하여 단위 시간당 출입인원을 증가시킬 수 있어, 특정시간대의 혼잡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모터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복귀 스프링에 의해 플랩이 게이트 사이의 출입공간을 개방하도록 회동되기 때문에, 비상 상황에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랩 개폐장치는 플랩이 게이트 사이의 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한 상태일 때, 플랩축, 링크축 및 크랭크축이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구동력 전달수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 내부에 설치된 부품의 점검, 교체, 수리 등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전원을 차단한 후 플랩을 수동으로 회동시켜 프레임 내부를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로터가 일정각도만큼만 회동되도록 로터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멈춤 수단을 구비하여, 수동으로 플랩을 회전시켜도 항상 일정한 각도로 플랩이 회동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로터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자성부재 및 이의 자력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함으로써, 이물질 등의 오염에 의한 오작동을 최소화하여 플랩의 회동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하철 개찰구용 턴 스타일 게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지하철 개찰구용 플랩 스타일 게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랩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플랩 개폐장치의 구동력 전달수단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플랩 개폐장치의 플랩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랩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플랩 개폐장치의 구동력 전달수단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랩 개폐장치의 감지 수단의 작동예를 도시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랩 개폐장치의 멈춤 수단의 작동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랩 개폐장치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프레임 101: 전면 프레임
102: 후면 프레임 103: 상면 프레임
104: 저면 프레임 110a, 110b: 플랩축
111a, 111b: 플랩 120a, 120b: 구동모터
130: PCB 141a, 141b: 로터
142a, 142b: 크랭크축 143a, 143b: 로드
144a, 144b: 링크 145a, 145b: 링크축
150: 복귀 스프링
200: 프레임 201: 좌측면 프레임
202: 우측면 프레임 203: 상면 프레임
204: 저면 프레임 210a, 200b: 플랩축
220a, 220b: 플랩 230a, 230b: 구동모터
240: PCB 251a, 251b: 로터
252a, 252b: 크랭크축 253a, 253b: 로드
254a, 254b: 링크 255a, 255b: 링크축
261: 삽입홈 262: 자성부재
263: 센서 270: 멈춤쇠
271: 롤러 272: 탄성부재
280: 안착홈

Claims (10)

  1. 박스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플랩축;
    상기 한 쌍의 플랩축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플랩축과 연동되는 한 쌍의 플랩;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랩축이 각각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구동모터;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랩이 회동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각각 상기 플랩축에 전달하는 한 쌍의 구동력 전달수단; 및
    상기 플랩의 회동각도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연결되어 회동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상면에 편심되어 설치된 크랭크축, 상기 크랭크축과 연결된 로드, 상기 플랩축과 연결된 링크, 및 상기 로드와 링크를 연결하는 링크축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로터의 상면 테두리 근처에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자성부재, 및 상기 로터의 외주연에 인접한 위치에 서로 대면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로터의 180도 회전시마다 상기 자성부재의 자력을 감지하는 한 쌍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플랩축은 상기 프레임의 단폭 범위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개폐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플랩은 상기 프레임의 전방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개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플랩축 중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더 길게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로터 중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더 높이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구동력 전달수단 중 하나는 다른 하나의 상부에 위치되어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개폐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플랩이 상기 프레임의 전방측을 향해 위치되도록 상기 플랩축의 외주면에 복귀 스프링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개폐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그 단폭이 1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개폐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은 상기 플랩이 회동되지 않은 상태일 때, 상기 크랭크축, 링크축 및 플랩축이 일직선상에 배열되지 않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개폐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이 일정한 각도로 회동된 후 정지되도록 하는 멈춤 수단을 더 포함 하고, 상기 멈춤 수단은,
    상기 로터의 외주연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로터의 외주연과 맞물려 회전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가 상기 로터의 외주연을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지닌 탄성부재를 구비한 멈춤쇠; 및
    상기 멈춤쇠의 롤러가 안착되도록 상기 로터의 외주연 일부에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개폐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인접하게 한 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개폐장치.
KR1020080017506A 2008-02-26 2008-02-26 플랩 개폐장치 KR100864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506A KR100864718B1 (ko) 2008-02-26 2008-02-26 플랩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506A KR100864718B1 (ko) 2008-02-26 2008-02-26 플랩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4718B1 true KR100864718B1 (ko) 2008-10-23

Family

ID=40177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506A KR100864718B1 (ko) 2008-02-26 2008-02-26 플랩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7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688Y1 (ko) * 2009-07-29 2012-05-31 대우정보시스템 주식회사 조립 및 분해 해체가 용이한 슬림형 출입 통제 장치
KR20220030693A (ko) 2020-09-03 2022-03-11 삼원에프에이 (주) 플랩 개폐 솔루션
KR20220033185A (ko) 2020-09-09 2022-03-16 신윤경 게이트 개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6224A (ja) * 1992-12-09 1994-06-24 Nippon Signal Co Ltd:The 自動改札機
JPH087132A (ja) * 1994-06-20 1996-01-12 Nippon Signal Co Ltd:The 自動改札機
KR19990033948U (ko) * 1998-01-09 1999-08-16 이종신 지하철 개,집찰기의 개폐도어장치
KR20060115263A (ko) * 2005-05-04 2006-11-08 (주)와이즈네스코 개찰구용 플랩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6224A (ja) * 1992-12-09 1994-06-24 Nippon Signal Co Ltd:The 自動改札機
JPH087132A (ja) * 1994-06-20 1996-01-12 Nippon Signal Co Ltd:The 自動改札機
KR19990033948U (ko) * 1998-01-09 1999-08-16 이종신 지하철 개,집찰기의 개폐도어장치
KR20060115263A (ko) * 2005-05-04 2006-11-08 (주)와이즈네스코 개찰구용 플랩구동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688Y1 (ko) * 2009-07-29 2012-05-31 대우정보시스템 주식회사 조립 및 분해 해체가 용이한 슬림형 출입 통제 장치
KR20220030693A (ko) 2020-09-03 2022-03-11 삼원에프에이 (주) 플랩 개폐 솔루션
KR102574406B1 (ko) 2020-09-03 2023-09-04 삼원에프에이 (주) 플랩 개폐 솔루션
KR20220033185A (ko) 2020-09-09 2022-03-16 신윤경 게이트 개폐장치
KR102524439B1 (ko) 2020-09-09 2023-04-24 신윤경 게이트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123Y1 (ko) 게이트도어의 개,폐상태 록킹수단을 가진 출입통제용 게이트장치
KR100864718B1 (ko) 플랩 개폐장치
JP2008273638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200415695Y1 (ko) 개찰구용 플랩 게이트 장치
US6991083B2 (en) Bill validator
KR100998667B1 (ko) 플랩게이트 장치
JP2007179120A (ja) 人通行用ゲート装置及びこれを構成するゲートユニット
KR101003757B1 (ko)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
KR100956175B1 (ko) 슬림형 자동집·개표기
KR200460688Y1 (ko) 조립 및 분해 해체가 용이한 슬림형 출입 통제 장치
KR20110116500A (ko) 스윙형 플랩 개폐 장치
KR101460708B1 (ko)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
KR100962224B1 (ko) 전철 게이트용 플랩도어
CN102776850A (zh) 自动检票机的闸门装置
KR200385183Y1 (ko) 슬라이딩 타입 게이트 장치
KR20120007996U (ko) 로터리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플랩개폐장치
KR102573539B1 (ko) 게이트의 출입통제용 플랩도어 장치
CN101597890B (zh) 翼闸装置
KR102524439B1 (ko) 게이트 개폐장치
KR101468684B1 (ko)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
KR102574406B1 (ko) 플랩 개폐 솔루션
KR200415886Y1 (ko)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
KR101170521B1 (ko) 회동식 슬림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게이트
KR101535098B1 (ko) 자동문 개폐장치
JP2005316787A (ja) ゲ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