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886Y1 -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 - Google Patents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886Y1
KR200415886Y1 KR2020060004927U KR20060004927U KR200415886Y1 KR 200415886 Y1 KR200415886 Y1 KR 200415886Y1 KR 2020060004927 U KR2020060004927 U KR 2020060004927U KR 20060004927 U KR20060004927 U KR 20060004927U KR 200415886 Y1 KR200415886 Y1 KR 200415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latch
gear
rotat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청운
김동규
Original Assignee
(주)유니맥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니맥시스템 filed Critical (주)유니맥시스템
Priority to KR2020060004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8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8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8Turnstiles; Gates for control of entry or exit of persons, e.g. in supermark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는, 각종 시설물에 설치되어 통행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게이트 몸체; 상기 게이트 몸체의 일측에 중심축이 소정 경사를 가지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의 차단봉이 장착되며, 상기 장착된 차단봉 중 바닥면과 수평으로 장착된 차단봉을 회동시키기 위해 힌지 결합된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일단부가 걸림홈에 맞물려 고정되도록 형성된 걸림쇠로 이루어진 회전체; 및 비상시 상기 회동부를 회동시키기 위해 걸림쇠를 일방향으로 밀어 상기 걸림쇠에 맞물린 회동부를 이격시킴으로써 회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에 의해 동작된 걸림쇠에 비틀림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걸림쇠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단봉, 게이트, 개찰구, 회전

Description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Turn stile gate for ticket gat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의 회동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의 회동구조를 동작시키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의 차단봉을 자동으로 회동 복귀시키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a 내지 5d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의 차단봉이 회동 복귀되는 동작을 단계별로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게이트 몸체 110 : 차단봉
120 : 회전체 132 : 회동부
134 : 걸림쇠 140 : 치차 구동유니트
108, 148 : 솔레노이드
본 고안은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전이나 비상시 개찰용 통로를 신속하게 개방시키고, 정상적인 상태로 전환시 개방된 통로를 자동으로 폐쇄시킬 수 있는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과 같은 교통시설이나, 놀이동산, 경기장 등 출입 통제가 요구되는 시설물의 개찰구에는 해당 티켓이나 패스 등을 체크하여 선택적으로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자동 게이트가 설치된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개찰구용 자동 게이트는 크게 턴 스타일 게이트(Turn stile gate)와, 플랩 게이트(Flap gate)의 두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턴 스타일 게이트는 사람이 직접 차단봉을 밀어서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게이트로서, 삼발이 형상을 이루며 등간격으로 배치된 3개의 차단봉이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고, 그 중에서 상부에 위치되는 차단봉이 출입게이트를 차단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며, 나머지 차단봉은 수직으로 배치되어 회전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게이트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므로 정전이나 비상시 회전문이 회전되지 않고 일정위치에 고정되므로 출입구상에 통행자의 통행을 차단하여 쉽게 나가지 못하며 통행자가 일시에 밀리게 되어 압사되거나 부상당하는 등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정전이나 비상시 통로를 차단하는 차단봉을 회동시켜 통로를 개방시키고, 정상적인 상태로 전환시 개방된 통로를 자동으로 폐쇄할 수 있는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는, 각종 시설물에 설치되어 통행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게이트 몸체; 상기 게이트 몸체의 일측에 중심축이 소정 경사를 가지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의 차단봉이 장착되며, 상기 장착된 차단봉 중 바닥면과 수평으로 장착된 차단봉을 회동시키기 위해 힌지 결합된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일단부가 걸림홈에 맞물려 고정되도록 형성된 걸림쇠로 이루어진 회전체; 및 비상시 상기 회동부를 회동시키기 위해 걸림쇠를 일방향으로 밀어 상기 걸림쇠에 맞물린 회동부를 이격시킴으로써 회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에 의해 동작된 걸림쇠에 비틀림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걸림쇠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레버는 비상시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된다.
한편, 상기 중심축에 설치된 메인치차와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 몸체의 패널에 설치된 치차 구동유니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치차 구동유니트가 중심축과 평행 하게 슬라이드 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솔레노이드에 의해 동작하며,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원위치로 오도록 복귀 스프링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치차 구동유니트는, 상기 게이트 몸체의 패널에 부착되어 상기 메인치차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설치된 구동치차; 상기 구동치차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구동치차를 솔레노이드에 의해 메인치차로 이동시키는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축에 설치된 메인치차는 구동치차와 맞물려 회전됨으로써 회동된 차단봉이 일정 각도의 위치에 오면 자동으로 복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는, 통행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차단봉(110)이 장착된 게이트 몸체(100)와, 상기 게이트 몸체(100)의 일측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체(120)를 구비한다.
상기 게이트 몸체(100)는 출입의 통제가 요구되는 시설물에 설치되어 개찰용 통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차단봉(110)이 장착된 회전체(120)를 지지한다. 이러한 게이트 몸체(100)는 해당 시설물에 요구되는 개찰용 통로의 수에 상응하여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게이트 몸체(100)에는 개찰용 통로를 통과하기 위한 소정의 티켓을 검표하기 위한 장치나, 개찰용 통로에 대한 통행인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미도시)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검표장치나 센서는 통상적인 것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체(120)는 그 중심축(도 2의 '121' 참조)이 소정 경사를 가지며 게이트 몸체(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회전체(120)는 약 45도 기울어져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회전체(120)는 게이트 몸체(100)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체(120)에 등간격으로 장착된 차단봉(110)에 의해 개찰용 통로를 차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단봉(110)은 회전체(120)에 120도 간격으로 3개가 장착되고, 회전체(120)의 상부에 위치한 차단봉(110)은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차단봉(110)이 회전체(120)에 장착되는 부분에는 차단봉(110)이 회동되도록 힌지 결합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의 회동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체(120)는 상기 차단봉(110)이 장착된 회동부(132)와, 상기 회동부(132)와 인접한 면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걸림쇠(134)로 이루어진다. 이때, 걸림쇠(134)는 레버(105)에 의해 동작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회동부(132)는 차단봉(110)이 회동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동부(132)는 차단봉(110)이 장착된 회전체(120)의 일부분으로써, 회동부(132)의 하단측이 힌지핀(132b)에 의해 힌지 고정되며, 그 일단부가 상기 걸림쇠(134)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이때, 회동부(132)의 일단부에는 걸림쇠(134)의 걸림홈(134c)에 맞물리도록 돌기(132b)가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부(132)는 차단봉(110)이 장착된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걸림쇠(134)가 동작되면 회동부(132)는 차단봉(110)의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회전체(120)에 장착된 복수의 차단봉(110) 중 상부에 위치한 수평방향의 차단봉(110)이 회동함으로써 개찰용 통로가 개방된다.
상기 걸림쇠(134)는 갈고리 형상으로, 그 일측에 돌출부(134b)가 형성된다. 걸림쇠(134)는 회동부(132)와 마찬가지로 회전체(120)의 일부분으로서, 회동부(132)와 인접한 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회동부(132)의 일단부에 형성된 돌기(132b)와 걸림쇠(134)의 걸림홈(134c)이 맞물려 요홈형상을 이룬다. 이때, 걸림쇠(134)는 힌지핀(134a)에 의해 힌지 고정되고, 걸림쇠(134)상에 즉, 힌지핀(134a)에 비틀림 스프링(136)이 장착된다. 상기 비틀림 스프링(136)은 걸림쇠(134)가 동작된 후 원위치로 되돌아 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걸림쇠(134)는 레버(105)에 의해 동작된다. 상기 레버(105)는 게이트 몸체(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걸림쇠(134)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134b)를 일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걸림쇠(134)를 동작시킨다. 즉, 걸림쇠(134)의 걸림홈(134c)에 맞물린 회동부(132)의 돌기(132b)가 이격된다. 이에 회동부(132)는 회동부(132)에 장착된 차단봉(110)의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의 회동구조를 동작시키는 구조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레버(105)는 솔레노이드(108)의 작동으로 걸림쇠(134)의 돌출부(134b)측으로 밀림으로써 걸림쇠(134)를 동작시키고, 솔레노이드(108) 동작후 레버(105)에 설치된 리턴 스프링(106)에 의해 레버(105)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여기서, 상기 솔레노이드(108)와 리턴 스프링(106)은 레버(105)가 걸림쇠(134) 측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구조로서, 이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도록 솔레노이드(108)와 스프링(106)의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정전이나 비상시 솔레노이드(108)가 작동되어 레버(105)를 밀어주고, 레버(105)는 다시 걸림쇠(134)의 돌출부(134b)를 밀어줌으로써 걸림쇠(134)와 회동부(132)가 이격되어 회동부(132)에 장착된 차단봉(110)의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의 차단봉을 자동으로 회동 복귀시키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는 상기 회전체(120)의 중심축(121)에 설치된 메인치차(125)와 연결된 치차 구동유니트(14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치차 구동유니트(140)는 상기 게이트 몸체(100)의 패널(101)에 부착되어 상기 메인치차(125)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설치된 구동치차(141), 상기 구동치차 (141)를 회전시키는 모터(142) 및 상기 구동치차(141)를 이동시키는 블록(144)을 구비한다.
상기 치차 구동유니트(140)는 중심축(121)과 평행하게 슬라이드 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솔레노이드(148)에 의해 동작된다. 솔레노이드(148)가 동작되지 않을 때에는 구동치차(14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146)이 장착된다.
상기 구동치차(141)는 모터(142)와 연결되어 모터(142)의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한다. 구동치차(141)와 조립된 블록(144)은 솔레노이드(148)의 동작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구동치차(141)는 블록(144)이 이동됨으로써 중심축(121)에 설치된 메인치차(125)와 맞물려 메인치차(125)를 회전시킨다. 상기 메인치차(125)를 회전시킴으로써 회동된 차단봉(110)이 소정의 각도의 위치에 오면 다시 중력에 의하여 복귀된다. 차단봉(110)이 복귀되면 솔레노이드(148)가 동작을 멈추고, 이와 동시에 복귀 스프링(146)에 의해 구동치가(141)가 후방으로 원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도 5a 내지 5d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의 차단봉이 회동되어 다시 자동으로 복귀되는 동작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a의 상태에서, 회전체(120)의 회동부(132)에는 복수의 차단봉(110)이 장착되어 개찰용 통로가 차단된 구조로서, 정전이나 비상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의 동작에 의해 레버(105)가 화살표 방향 즉, 걸림쇠(134)의 돌출부(134b)를 밀어줌으로써 회동부(132)의 돌기(132b)와 걸림쇠(134)의 걸림홈(134c)이 이격되어 회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b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개찰용 통로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걸림쇠(134)와 이격된 회동부(132)는 회동부(132)에 장착된 차단봉(110)이 중력으로 인해 하방으로 회동되어 통로가 개방됨으로써 사용자가 개찰용 통로를 통해 신속히 대피할 수 있게 된다.
도 5c는 전압이 다시 인가되었을 때 즉, 정상적인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게이트 몸체의 패널에 설치된 치차 구동유니트(140)에 의해 중심축(121)이 회전되어 회동된 차단봉(120)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터(142)와 연결된 구동치차(141)는 솔레노이드(148)의 동작으로 중심축(121)의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슬라이딩된 구동치차(141)는 중심축(121)에 설치된 메인치차(125)와 맞물려 중심축(121)과 연결된 회전체(120)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체(120)에 장착된 차단봉(110)이 회전된다.
마지막으로,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회동된 차단봉(110)이 일정한 각도의 위치로 이동되어 중력에 의해 차단봉(110)이 회동함으로써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즉, 개찰용 통로를 폐쇄시키는 구조로 전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일정한 각도의 위치는 3개의 차단봉(110)이 각각 120도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가리킨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정전시나 비상시 개찰용 통로를 신속히 개방할 수 있다.
둘째, 개방된 개찰용 통로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다.

Claims (4)

  1. 각종 시설물에 설치되어 통행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게이트 몸체;
    상기 게이트 몸체의 일측에 중심축이 소정 경사를 가지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의 차단봉이 장착되며, 상기 장착된 차단봉 중 바닥면과 수평으로 장착된 차단봉을 회동시키기 위해 힌지 결합된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일단부가 걸림홈에 맞물려 고정되도록 형성된 걸림쇠로 이루어진 회전체; 및
    비상시 상기 회동부를 회동시키기 위해 걸림쇠를 일방향으로 밀어 상기 걸림쇠에 맞물린 회동부를 이격시킴으로써 회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에 의해 동작된 걸림쇠에 비틀림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걸림쇠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비상시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에 설치된 메인치차와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 몸체의 패널에 설치된 치차 구동유니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치차 구동유니트가 중심축과 평행하게 슬 라이드 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솔레노이드에 의해 동작하며,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원위치로 오도록 복귀 스프링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치차 구동유니트는,
    상기 게이트 몸체의 패널에 부착되어 상기 메인치차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설치된 구동치차;
    상기 구동치차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구동치차를 솔레노이드에 의해 메인치차로 이동시키는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축에 설치된 메인치차는 구동치차와 맞물려 회전됨으로써 회동된 차단봉이 일정 각도의 위치에 오면 자동으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
KR2020060004927U 2006-02-22 2006-02-22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 KR200415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927U KR200415886Y1 (ko) 2006-02-22 2006-02-22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927U KR200415886Y1 (ko) 2006-02-22 2006-02-22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886Y1 true KR200415886Y1 (ko) 2006-05-10

Family

ID=4176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927U KR200415886Y1 (ko) 2006-02-22 2006-02-22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8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93756S1 (en) * 2017-11-30 2020-08-18 Magnetic Autocontrol Gmbh Three bar access control gate with color authentication
KR102299803B1 (ko) 2020-09-23 2021-09-08 임용수 온도체크가 가능한 개찰구용 리더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93756S1 (en) * 2017-11-30 2020-08-18 Magnetic Autocontrol Gmbh Three bar access control gate with color authentication
KR102299803B1 (ko) 2020-09-23 2021-09-08 임용수 온도체크가 가능한 개찰구용 리더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123Y1 (ko) 게이트도어의 개,폐상태 록킹수단을 가진 출입통제용 게이트장치
KR200415695Y1 (ko) 개찰구용 플랩 게이트 장치
EA008821B1 (ru) Поворотно-откидное окно
US6941997B2 (en) Door assembly
KR200415886Y1 (ko) 개찰구용 회전 게이트
CZ20012862A3 (cs) Posuvná stěna s bočně posuvnými stěnovými elementy
CZ298395A3 (en) Revolving door apparatus
KR20090006190U (ko)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도어 시스템
ZA200007575B (en) Revolving door.
US8127492B1 (en) Compound barrier mechanism for passageway control
KR102113867B1 (ko) 스피드 게이트
KR200385183Y1 (ko) 슬라이딩 타입 게이트 장치
PL177764B1 (pl) Śluza do przepuszczania osób
EA003593B1 (ru) Устройство, обеспечивающее открытие и фиксацию створки окна или двери
KR100260715B1 (ko) 회전기능을 구비한 자동문
CN113947831A (zh) 无人出入控制用门摆系统
KR200340893Y1 (ko) 출입게이트용 회전문
KR200172105Y1 (ko) 슬라이딩스윙문 처짐 방지 구조물
KR200358355Y1 (ko) 개찰구용 스윙 게이트 장치
KR19990032118A (ko) 가상현실 캐빈의 계단도어 개폐장치
KR102672739B1 (ko) 터널용 피난 갱문의 홀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터널용 피난 갱문
KR200399720Y1 (ko) 회전날개의 분산 전개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
EP1482117A2 (en) A transferrable and turnable panel structure, and a guide for the same
ES2287849T3 (es) Cerradura para cajas, cabinas, puertas.
KR200401596Y1 (ko) 회전 개폐식 자동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