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757B1 -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757B1
KR101003757B1 KR1020080035059A KR20080035059A KR101003757B1 KR 101003757 B1 KR101003757 B1 KR 101003757B1 KR 1020080035059 A KR1020080035059 A KR 1020080035059A KR 20080035059 A KR20080035059 A KR 20080035059A KR 101003757 B1 KR101003757 B1 KR 101003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shaft
frame
link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9692A (ko
Inventor
전찬욱
Original Assignee
(주)플래그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래그시스 filed Critical (주)플래그시스
Priority to KR1020080035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757B1/ko
Publication of KR20090109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3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 E06B11/026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horizontal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회동되는 플랩축; 상기 플랩축에 결합되어 상기 플랩축과 연동되는 플랩;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랩축이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연결되어 회동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상면에 편심되어 설치된 크랭크축, 상기 크랭크축과 연결된 로드, 상기 플랩축과 연결된 링크, 및 상기 로드와 링크를 연결하는 링크축을 구비하여, 상기 플랩이 출입자의 출입 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플랩축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한 대의 플랩 개폐장치에 좌우 양방향으로 회동되는 하나의 플랩을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게이트를 개폐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이트, 플랩, 양방향 개폐, 로터, 로드, 링크, 가이드 수단, 리미트 스위치

Description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closing flap capable of opening/closing in two way}
본 발명은 지하철, 놀이동산, 경기장 등의 출입통제가 요구되는 시설물에는 해당 티켓 또는 출입카드 등을 검사하여 선택적으로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플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대의 플랩 개폐장치에 좌우 양방향으로 회동되는 하나의 플랩을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게이트를 개폐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놀이동산, 경기장 등의 출입통제가 요구되는 시설물에는 해당 티켓 또는 출입카드 등을 검사하여 선택적으로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장치를 구비한 게이트가 설치된다.
이러한 게이트로는 도 1에 도시된 턴 스타일 게이트와 도 2에 도시된 플랩 스타일 게이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하철 개찰구용 턴 스타일 게이트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시된 바와 같이, 박스 형상의 게이트 본체(10) 내부에 티켓 등을 인식하는 검사수단(미도시) 및 이 검사수단의 검사결과에 따라 삼발이 형상의 회전봉(11)을 고정시키거나 고정해제시키는 잠금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턴 스타일 게이트는 게이트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투입구(12)에 티겟이 투입되면, 잠금수단의 작동이 해제되어 사용자가 삼발이 형상의 회전봉(11)을 회전시키면서 게이트 본체(10) 사이의 출입공간을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턴 스타일 게이트는 사용자가 게이트를 통과할 때, 손이나 몸체를 이용해 회전봉(11)을 직접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무거운 짐이나 부피가 큰 짐을 가진 사람의 경우 게이트의 통과가 쉽지 않고, 한 사람씩 직접 회전봉(11)을 회전시켜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과 같이 이용객이 많은 경우에 통과시간 지연에 따른 혼잡함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의 플랩 스타일 게이트는 종래의 턴 스타일 게이트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게이트 본체(20)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플랩(21)이 설치되고, 게이트 본체(20) 내부에는 검사수단(미도시) 및 플랩(21)이 회동되도록 하는 구동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플랩 스타일 게이트는 검사수단에 의해 정상적인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개찰구를 통과하려 하면, 구동장치의 작동에 의해 게이트 본체(20)에 설치된 플랩(21)이 회동되면서 게이트와 게이트 사이의 공간을 막아 사용자가 게이트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플랩 스타일 게이트는 평상시에 플랩(21)이 게이트 본체(20)의 측면에 면접된 상태로 위치되어 게이트 사이의 공간이 개방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손에 짐을 들고 있는 경우에도 통과가 수월하며, 종래의 턴 스타일 게이트에 비해 사용자의 통과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플랩 스타일 게이트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플랩(21)이 게이트 본체(20)의 측면으로부터 90도 정도만 회동이 되기 때문에, 게이트의 양방향으로 통과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게이트 본체(20)에 좌우 한 쌍의 플랩(21)을 구비한 플랩 개폐장치가 앞뒤로 두 대가 설치되어야만 했다.
이에 따라, 하나의 게이트 본체(20)에는 총 4개의 플랩(21)이 설치되고, 4개의 플랩(21)을 각각 구동하기 위한 4대의 플랩 구동장치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하나의 플랩 개폐장치에 하나의 플랩을 180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게이트의 양방향 출입을 통제할 수 있는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력 전달수단의 작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을 구비하여, 구동력 전달수단의 작동 방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랩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박스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회동되는 플랩축; 상기 플랩축에 결합되어 상기 플랩축과 연동되는 플랩;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랩축이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연결되어 회동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상면에 편심되어 설치된 크랭크축, 상기 크랭크축과 연결된 로드, 상기 플랩축과 연결된 링크, 및 상기 로드와 링크를 연결하는 링크축을 구비하여, 상기 플랩이 출입자의 출입 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플랩축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로드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로드의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하단에 베어링이 설치된 핀 부재; 및 상기 핀 부재의 이동시에 상기 핀 부재와 맞물려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의 작동방향을 안내하도록 상기 핀 부재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한 쌍의 블럭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모터의 오작동시 상기 핀 부재가 상기 블럭 부재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핀 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전원을 차단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의 전원이 차단된 경우, 상기 플랩이 폐쇄된 상태로 복귀하도록 상기 프레임과 상기 플랩축에 연결된 제 1복귀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의 전원이 차단된 경우, 상기 플랩이 폐쇄된 상태로 복귀하도록 상기 프레임과 상기 크랭크축에 연결된 제 2복귀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는 한 대의 플랩 개폐장치에 좌우 양방향으로 회동되는 하나의 플랩을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게이트를 개폐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자의 출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플랩이 회동되도록 구동력 전달수단의 작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을 구비하여 플랩의 회동에 따른 출입자의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구동력 전달수단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의 플랩이 좌측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의 플랩이 우측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는 박스 형상의 프레임(100), 프레임(100)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플랩축(110), 플랩축(110)에 결합되는 플랩(120), 플랩축(110)이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플랩축(110)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수단을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게이트 본체(도 2 참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면 프레임(101) 및 저면 프레임(102)은 전면 프레임(103)의 전방측으로 소정길이 더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다. 프레임(100)의 좌우 측면에는 각각 브라켓(105)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브라켓(105)은 게이트 본체(도 2 참조)와의 체결을 위해 사용된다.
플랩축(110)은 상면 프레임(101) 및 저면 프레임(102)의 전방으로 연장된 부분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플랩(120)은 플랩축(110)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도록 설치된다.
플랩(120)은 평상시에는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플랩(120)이 전면 프레임(103)과 수직인 상태에 놓여 있고, 사용자가 정상적인 상태(출입 승인을 받은 상태)에서 게이트를 통과하려고 할 때에는 사람의 진행 방향에 따라 도 4 또는 도 5에 상태로 회동되며, 비정상적으로 게이트를 통과하려하면 회동되지 않고, 도 3a의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플랩(120)은 인접하게 설치된 다른 게이트의 플랩과 동시에 작동되어 선택적으로 두 게이트 사이의 출입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한다.
구동모터(미도시)는 모터축이 수직방향이 되도록 프레임(100)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플랩축(110)이 회동되도록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구동력 전달수단은 프레임(100) 상부측(정확하게는 상면 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플랩축(110)에 전달하여 플랩(120)이 좌우 양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력 전달수단은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연결되어 회동되는 로터(131), 로터(131)의 상면에 로터(131)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설치된 크랭크축(132), 크랭크축(132)과 연결된 로드(133), 플랩축(110)과 연결된 링크(134), 및 로드(133)와 링크(134)를 연결하는 링크축(1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로터(131)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축이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결합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크랭크축(132)은 로터(131)의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고, 로드(133)의 일측에 결합되어 로터(131)의 회전에 의해 로드(133)가 연동되도록 한다.
로드(133)는 일단이 크랭크축(132)에 결합되고, 타단이 링크축(135)에 결합되어 링크(134)를 연동시킨다.
링크(134)는 일단이 링크축(135)에 결합되어 로드(133)와 연동되고, 타단이 플랩축(110)과 결합되어 플랩축(110)을 연동시킨다.
한편, 프레임(100)이 설치되는 게이트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각각 출입자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부착되고, 이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구동력 전달수단의 작동 방향이 제어된다.
구동력 전달수단의 작동을 살펴보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평상시 게이트 사이의 출입공간을 폐쇄한 상태에서는 플랩(120)이 전면 프레임(103)과 수직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이고, 플랩축(110), 링크축(135), 및 크랭크축(132)이 일직선상에 놓여있다.
이 상태에서, 출입자가 출입승인을 얻어 화살표 A 방향으로 게이트 사이를 통과하려 하면, 구동모터는 로터(131)가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되도록 구동된다.
이에 따라 크랭크축(132)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하고, 크랭크축(132)의 회전에 의해 로드(133) 및 링크(134)가 연동되어 링크축(135)이 상면 프레임(101)의 우측에 치우쳐 위치된다. 이와 동시에 링크(134)와 연동된 플랩축(110)이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되고, 플랩(120) 역시 시계방향으로 90도 회동되어 도 4의 상태가 된다.
출입자가 게이트를 통과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구동모터는 로터(131)가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되도록 구동된다.
이에 따라 크랭크축(132) 역시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하고, 크랭크축(132)의 회전에 의해 로드(133) 및 링크(134)가 연동되어 링크축(135)이 상면 프레임(101)의 중앙에 위치된다, 이와 동시에 링크(134)와 연동된 플랩축(110)이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되고, 플랩(120)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동되어 도 3a의 상태가 된다.
한편, 출입자가 출입승인을 얻어 화살표 B 방향으로 게이트를 통과하려 하면, 구동모터는 로터(131)가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되도록 구동된다.
이에 따라 크랭크축(132) 역시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하고, 크랭크축(132)의 회전에 의해 로드(133) 및 링크(134)가 연동되어 링크축(135)이 상면 프레임(101)의 좌측에 치우쳐 위치된다. 이와 동시에 링크(134)와 연동된 플랩축(110)이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되고, 플랩(120)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동되어 도 5의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는 하나의 플랩을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출입하는 출입자의 출입을 선택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는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연동되는 구동력 전달수단의 작동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랩(120)이 도 3a에 도시된 상태에서 출입자의 출입을 위해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회동하려 할 때, 구동력 전달 수단의 링크축(135)은 로터(131)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그러나, 로드(133), 링크(134), 링크축(135) 등의 부품 중 어느 하나가 미세하게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기울어져 있거나 치우쳐 있는 경우에, 로드(133)와 링크(134) 및 링크축(135)이 잘못된 방향으로 이동되어 플랩(120)의 회동이 중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3a에 도시된 상태에서 출입자가 B방향으로 통과하려 하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로터(13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로드(133) 및 링크(134)가 연동되어 링크축(135)이 상면 프레임(101)의 좌측에 치우쳐 위치되어야 하지만, 상기한 이유로 인해 로드(133) 및 링크(134)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링크축(135)이 상면 프레임(101)의 우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 결과, 플랩(120)은 도 5에 도시된 상태가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상태에 놓여지게 된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출입자가 통과하려는 방향과 플랩(120)이 회동되는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기 때문에, 회동되는 플랩(120)이 출입자를 가격하여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이드 수단은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로터(13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로드(133), 링크(134) 및 링크축(135)이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고, 로터(1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로드(133), 링크(134) 및 링크축(134)이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함으로써, 출입자의 출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플랩(120)이 회동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수단은 로드(133)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로드(133)의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핀 부재(140) 및 핀 부재(141)의 좌우 양측에서 핀 부재(140)의 외주연을 가압하는 한 쌍의 블럭 부재(1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블럭 부재(150)는 플랩(120)이 게이트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핀 부재(140)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인 한 쌍의 형성되며, 로터(131)와 플랩축(110) 사이에서 로터(131)와 인접하여 비스듬히 상면 프레임(101)에 고정된다. 그리고, 블럭 부재(150)는 구동력 전달수단의 작동에 따라 이동하는 핀 부재(140)와 맞물려, 구동력 전달수단의 작동방향을 안내한다.
이때, 핀 부재(140)의 하단에는 베어링(141)이 설치되고, 이 베어링(141)은 구동력 전달수단이 작동될 때 블럭 부재(150)의 측면에 맞물려 회동됨으로써, 구동력 전달수단이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블럭 부재(150)로부터 전면 프레임(103) 및 측면 프레임(104)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160)가 좌우 대칭으로 상면 프레임(101) 상에 설치된다.
이 리미트 스위치(160)는 구동력 전달수단이 오작동시, 즉 플랩(120)이 어느 한 방향으로 개방된 후에 폐쇄될 때 로터(131)가 바로 전의 플랩(120)이 개방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계속 회동되는 경우, 핀 부재(140)의 베어링(141)에 접촉됨으로써, 제어부(미도시)에 신호를 출력하여 구동모터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구동모터가 정지되도록 한다.
즉, 리미트 스위치(160)는 구동력 전달수단의 작동방향이 원치 않는 방향인 경우, 핀 부재(140)가 블럭 부재(150)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플랩축(110)의 외주연과 저면 프레임(102) 사이에는 제 1복귀 스프링(170)이 설치되어 있고, 크랭크축(132)의 외주연과 상면 프레임(101) 사이에는 제 2복귀 스프링(180)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 1복귀 스프링(170) 및 제 2복귀 스프링(180)은 플랩(120)이 게이트 사이의 공간을 개방하는 방향(즉, 플랩(120)이 전면 프레임(103)과 나란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지니고 있어, 구동력 전달수단의 오작동시 리미트 스위치(160)에 의해 구동모터의 전원이 차단되거나, 비상사태 발생시에 구동모터가 정지된 경우에, 플랩(120)이 게이트 사이의 공간을 개방한 상태에 있도록 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의 작동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먼저,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가이드 수단의 작동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플랩(120)이 게이트와 게이트 사이 의 출입공간을 폐쇄한 상태일 때, 크랭크축(132), 링크축(135) 및 플랩축(110)은 일직선상에 위치되고, 가이드 수단의 블럭 부재(150)는 로드(133)의 저면에 일정길이 돌출되어 있는 핀 부재(140)와 인접하여 로터(131)와 핀 부재(140) 사이에서 핀 부재(140)와 매우 밀접하게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출입자가 출입승인을 얻어 화살표 A방향으로 게이트를 통과하려하면, 구동모터가 구동되어 로터(1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크랭크축(132) 역시 로터(131) 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로드(133)가 연동되면서 링크축(135)이 원래 위치에서 우측 하단을 향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로드(133)의 저면 하측으로 돌출된 핀 부재(140)는 링크축(135)의 궤적과 마찬가지로 우측 하단으로 비스듬한 궤적을 갖는데, 링크축(135)이 우측 하단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핀 부재(140) 하단의 베어링(141)의 외주연과 한 쌍의 가이드 수단 중 우측에 위치한 가이드 수단의 블럭 부재(150)가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로터(1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모터가 계속 작동되므로, 핀 부재(140)의 베어링(141)은 블럭 부재(150)의 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계속해서 우측 하단으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링크(134)의 회동에 의해 플랩축(110)이 회동되면서, 플랩(120) 역시 화살표 A방향으로 일정각도 회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모터가 계속 구동되면, 로터(131)는 도 6c에 도시된 것처 럼, 최초 위치에서 대략 180도 정도 회전하고, 로드(133) 및 링크(134)는 링크축(135)이 플랩축(110)과 거의 좌우로 나란한 위치에 놓이도록 이동되며, 이에 따라 플랩(120)은 최초 위치에서 대략 90도 정도 회동되어 게이트를 완전히 개방하게 된다.
한편, 도 6a의 상태에서, 구동력 전달수단의 크랭크축(132), 링크축(135), 및 플랩축(110)의 배열이 정확하게 일직선을 이루고 있지 못한 상태에서, 로터(1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면 링크축(135)이 우측이 아니라 좌측으로 이동되도록 로드(133)가 힘을 받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로터(131)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링크축(135)이 좌측으로 이동되도록 로드(133)가 힘을 받게 될 때, 로드(133)에 설치된 핀 부재(140)의 베어링(141)은 좌측에 위치한 가이드 수단의 블럭 부재(150)와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블럭 부재(150)는 핀 부재(140)가 이동하려고 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핀 부재(140)의 에 힘을 가한다.
이 경우, 로터(131)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따른 로드(133)의 운동방향은 링크축(135)이 좌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힘보다는 링크축(135)이 우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힘이 더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링크축(135)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로드(133)가 잘못된 방향으로 운동하려 하는 경우(로터(1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때 링크축(135)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려 하는 경우)에, 가이드 수단의 블럭 부재(150)가 로드(133)의 운동방향을 바로잡아준다.
구동력 전달수단이 정상적으로 작동되기 위해서, 로터(1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로드(133)는 링크축(135)이 우측으로 이동되도록 움직여야 하고, 반대로 로터(13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로드(133)는 링크축(135)이 좌측으로 이동되도록 움직여야 한다.
본 발명의 가이드 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로터(131)의 회전에 따른 로드(133)의 올바른 운동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구동력 전달수단이 항상 정상적인 방향으로 운동되도록 함으로써, 출입자의 출입방향과 플랩(120)의 회동방향이 항상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한다.
도 6d 및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의 작동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a 내지 도 6e를 참조하여 블럭 부재(150)의 하방에 위치에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160)의 작동예를 설명한다.
먼저, 플랩(110)이 개방된 상태 즉,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로터(131)가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180도 정도 회동되고, 링크축(135)이 우측 하단으로 이동되어 플랩(110)이 좌측방향으로 대략 90도 정도 회동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플랩(110)이 다시 원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동모터가 구동된다.
플랩(110)이 다시 원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동모터가 구동되면, 도 6d에 도시된 것처럼, 로터(131)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핀 부재(140)의 베어링(141)은 블럭 부재(150)의 측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원위치로 복귀된다.
그러나, 도 6e에 도시된 것처럼, 플랩(110)이 다시 원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동모터가 작동될 때 구동모터가 오작동되는 경우 즉, 로터(131)가 시계 방향이 아 니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동모터가 작동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가 오작동되면, 로드(133)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핀 부재(140)의 베어링(141)이 블럭 부재(150)의 측면에 맞물려 회동하지 못하고 블럭 부재(150)와 충돌하게 되어, 구동력 전달수단을 손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구동모터의 오작동에 의해 핀 부재(140)가 블럭 부재(150)에 충돌하기 전에 핀 부재(140)는 리미트 스위치(160)에 접촉되고, 핀 부재(140)와 접촉된 리미트 스위치(160)는 구동모터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여 구동모터가 정지되도록 제어부(미도시)에 신호를 출력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리미트 스위치(160)는 플랩(110)이 개방되고 난 후 플랩(110)이 다시 복귀되도록 구동모터가 작동될 때, 구동모터의 정상작동시에는 핀 부재(140)와 접촉하지 않지만, 구동모터의 오작동시에는 핀 부재(140)와 접촉하여 구동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핀 부재(140)와 블럭 부재(150)와의 충돌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한 대의 플랩 개폐장치에 좌우 양방향으로 회동되는 하나의 플랩을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게이트를 개폐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자의 출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플랩이 회돌되도록 구동력 전달수단의 작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을 구비하여 플랩의 회동에 따른 출입자의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하철 개찰구용 턴 스타일 게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지하철 개찰구용 플랩 스타일 게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구동력 전달수단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의 플랩이 좌측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의 플랩이 우측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의 작동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프레임 101: 상면 프레임
102: 저면 프레임 103: 전면 프레임
104: 측면 프레임 105: 브라켓
110: 플랩축 120: 플랩
131: 로터 132: 크랭크축
133: 로드 134: 링크
135: 링크축 140: 핀 부재
141: 베어링 150: 블럭 부재
160: 리미트 스위치 170: 제 1복귀 스프링
180: 제 2복귀 스프링

Claims (5)

  1. 삭제
  2. 박스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회동되는 플랩축;
    상기 플랩축에 결합되어 상기 플랩축과 연동되는 플랩;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랩축이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연결되어 회동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상면에 편심되어 설치된 크랭크축, 상기 크랭크축과 연결된 로드, 상기 플랩축과 연결된 링크, 및 상기 로드와 링크를 연결하는 링크축을 구비하여, 상기 플랩이 출입자의 출입 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플랩축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수단;
    상기 로드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로드의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하단에 베어링이 설치된 핀 부재; 및
    상기 핀 부재의 이동시에 상기 핀 부재와 맞물려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의 작동방향을 안내하도록 상기 핀 부재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한 쌍의 블럭 부재를 구비한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로터의 회전방향과 상기 링크축의 이동방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오작동시 상기 핀 부재가 상기 블럭 부재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핀 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전원을 차단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전원이 차단된 경우, 상기 플랩이 상기 프레임의 전면과 나란한 상태로 복귀하도록 상기 프레임과 상기 플랩축에 연결된 제 1복귀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전원이 차단된 경우, 상기 플랩이 상기 프레임의 전면과 나란한 상태로 복귀하도록 상기 프레임과 상기 크랭크축에 연결된 제 2복귀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
KR1020080035059A 2008-04-16 2008-04-16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 KR101003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059A KR101003757B1 (ko) 2008-04-16 2008-04-16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059A KR101003757B1 (ko) 2008-04-16 2008-04-16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692A KR20090109692A (ko) 2009-10-21
KR101003757B1 true KR101003757B1 (ko) 2010-12-23

Family

ID=4153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059A KR101003757B1 (ko) 2008-04-16 2008-04-16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7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185A (ko) 2020-09-09 2022-03-16 신윤경 게이트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827A (ko) * 2020-07-16 2022-01-25 주식회사 푸른기술 무인 출입통제용 스윙도어 시스템
KR102574406B1 (ko) 2020-09-03 2023-09-04 삼원에프에이 (주) 플랩 개폐 솔루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069Y1 (ko) * 2003-09-20 2004-02-11 국제시스템산업 주식회사 개찰구용 양방향 플랩구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069Y1 (ko) * 2003-09-20 2004-02-11 국제시스템산업 주식회사 개찰구용 양방향 플랩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185A (ko) 2020-09-09 2022-03-16 신윤경 게이트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692A (ko)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123Y1 (ko) 게이트도어의 개,폐상태 록킹수단을 가진 출입통제용 게이트장치
US20090107049A1 (en) Blocking Element, Particularly for a Gate Used as a Checkpoint
KR101003757B1 (ko)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
JP5725737B2 (ja) 車両通行遮断機
CN1072765C (zh) 用于限制进入区域的自开启入口装置
JP2010007456A (ja) 自動ドア装置の戸挟み回避装置
JP4724534B2 (ja) 車載改札機
KR100998667B1 (ko) 플랩게이트 장치
KR20110116500A (ko) 스윙형 플랩 개폐 장치
KR100864718B1 (ko) 플랩 개폐장치
JP3806355B2 (ja) 自動扉
KR100962224B1 (ko) 전철 게이트용 플랩도어
JP7321073B2 (ja) ホームドア装置
JP3346892B2 (ja) 自動改札機
KR101460708B1 (ko)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
CN111433104A (zh) 用于锁定屏蔽门的门扇的系统
KR102524439B1 (ko) 게이트 개폐장치
KR102574406B1 (ko) 플랩 개폐 솔루션
KR200358355Y1 (ko) 개찰구용 스윙 게이트 장치
JPS5933096Y2 (ja) 自動検札装置のゲ−ト扉開閉機構
JP3471484B2 (ja) 自動改札機
KR200340893Y1 (ko) 출입게이트용 회전문
JP4462049B2 (ja) 輸送機用扉装置
JPH11167650A (ja) ゲート装置
JP3645349B2 (ja) 入出者管理ゲ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