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684B1 -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 - Google Patents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684B1
KR101468684B1 KR1020140123561A KR20140123561A KR101468684B1 KR 101468684 B1 KR101468684 B1 KR 101468684B1 KR 1020140123561 A KR1020140123561 A KR 1020140123561A KR 20140123561 A KR20140123561 A KR 20140123561A KR 101468684 B1 KR101468684 B1 KR 101468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ate
frame
outer doo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3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엘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엘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엘앤티
Priority to KR1020140123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게이트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는, 게이트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장방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제1 구동브라켓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게이트 사이의 출입을 통제하는 외부도어, 및 상기 프레임의 내부 타측에 제2 구동브라켓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게이트 사이의 출입을 통제하는 내부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도어와 내부도어는 서로 대향되게 회동하도록 설치함으로써, 게이트에서 도어 부분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임으로써, 지하철 게이트의 너비 및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지하철 게이트의 설치 공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PASSING CONTROL APPARATUS FOR GATE}
본 발명은 지하철과 같은 통로에 설치되어 통로를 개폐함으로써 승객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통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게이트에서 승객의 출입을 차단하는 도어를 양쪽 슬라이딩식으로 구현하여, 게이트의 설치공간을 줄이고, 비정상운전시 도어를 자동으로 열리게 하는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지하철 승객들은 마그네틱 티켓이나 RF카드를 통한 요금 정산을 수행하여 지하철 게이트를 통과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이 도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의 턴스타일 게이트를 이용한 개찰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으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7079호(명칭:개찰구 시스템)에 개시된 기술로, 도시된 바와 같이, 폴(30)의 승차표 감지수단(20)에 승차표를 투입하거나 감지시킴으로써 폴의 중간에 설치된 개찰도어(40)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구성된 게이트(50)와, 상기 게이트의 상하단에 설치된 센서(5),(6),(8),(9) 및 개찰도어(40)의 회전여부 및 센서신호를 등을 감지하여 승객의 통과 상태를 관리하는 중앙처리장치(12)와, 상기 게이트 부분의 화면을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감시 카메라(11)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게이트 근처에 설치되는 알람장치(10)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턴스타일 게이트는 세 개의 알루미늄 봉을 하나의 축에 연결하여 구성한 삼발이(triode Arm) 또는 턴스타일(turnstile)이라 불리는 3각의 회전체를 이용하여 승객의 출입을 통제하는 형태의 게이트다.
일반적인 턴스타일 게이트의 사양은 높이 1,115mm, 너비 300mm, 길이 880mm의 형태를 가진다. 이처럼, 턴스타일 게이트는 턴스타일을 동작시키기 위한 내부 기구의 구조상 지하철 게이트의 너비가 두꺼워져서 지하철 게이트의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을 갖는다.
또, 도 1c의 종래의 플랩 게이트의 개략적인 구성을 참조하면, 플랩 게이트는 두 개의 플랩(flap) 도어를 이용하여 승객의 출입을 통제하는 형태의 게이트다.
플랩식게이트는 상시 열려있는 모드와 닫혀있는 모드 2가지를 사용하고 있는데, 기본 열림모드는 플랩의 움직임이 최소화되어 기계마모방지와 플랩동작을 위한 전기료 방지에 도움이 되도록 한 것이며, 기본 닫힘모드는 부정방지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이Tdmks, 개표때마다 플랩을 열었다 닫앗다 하여야 하므로 열림모드보다 상대적으로 기계마모도 빠르고, 전기료도 많이드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플랩 게이트의 사양은 높이 1,230mm, 너비 250mm, 길이 1,600mm의 형태를 가진다. 이처럼, 플랩게이트는 좌우방향으로 회전하여 통로를 개폐하는 플랩 도어의 특성상 그 길이가 길기 때문에 이를 어떠한 변형도 없이 그대로 포함해야 하는 지하철 게이트의 길이가 길어질 수 밖에 없고, 플랩을 동작시키기 위한 내부 기구의 구조상 지하철 게이트의 너비가 두꺼워져서 지하철 게이트의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을 갖는다.
그리고 도 1d의 버터플라이형 게이트를 참조하면, 버터플라이 게이트는 두 개의 버터플라이(butterfly) 도어를 이용하여 승객의 출입을 통제하는 형태의 게이트다.
일반적인 버터플라이 게이트의 사양은 높이 1,000mm, 너비 300mm, 길이 2,000mm의 형태를 가진다. 이처럼, 버터플라이 게이트는 버터플라이 도어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이러한 버터플라이 도어의 어떠한 변형도 없이 그대로 포함해야 하는 지하철 게이트의 너비가 두꺼워져서 지하철 게이트의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세 가지 방식의 게이트의 경우에는 그 구동 방식에 따라 또는 설치위치에 따라 제작 비용이 많이 발생한다는 단점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게이트들은 정전이나 불가피한 고장 시 게이트가 닫혀 통행을 방해하기 때문에 출입하기 위해서는 통행자나 또는 관리자가 강제로 게이트를 오픈시켜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를 슬라이딩식으로 구현하여 지하철 게이트의 너비 및 길이를 줄여 지하철 게이트의 설치 공간을 감소시킨 지하철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전이나 불가피한 사정에 의하여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게이트가 오픈되어 사람의 출입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지하철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나의 프레임에 외부도어와 내부도어를 구비한 지하철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게이트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는, 상기 게이트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제1 구동브라켓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게이트 사이의 출입을 통제하는 외부도어, 및 상기 프레임의 내부 타측에 제2 구동브라켓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게이트 사이의 출입을 통제하는 내부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도어와 내부도어는 서로 대향되게 회동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구동브라켓과 제2 구동브라켓은 크랭크축을 지닌 모터에 구동수단을 개재하여 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프레임의 상단에는 상기 외부도어와 연결된 승차표 감지수단과 상기 내부도어와 연결된 승차표 감지수단을 서로 이격되게 각각 구비하고, 상기 승차표 감지수단에서 승차표의 투입이 감지되면, 해당 외부도어 또는 내부도어를 개방하도록 동작된다.
또한, 프레임의 양 상단에는 상기 외부도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승차표 감지수단과 상기 내부도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승차표 감지수단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승차표 감지수단에서 승차표의 투입이 감지되면, 해당 외부도어 또는 외부도어를 폐쇄하도록 동작되게 할 수 있다.
외부도어 및 내부도어는 각각의 구동브라켓에 밸런스웨이트를 개재하여 전원 오프시 웨이트의 무게로 외부도어와 내부도어의 개방을 수행하고, 구동수단은 일단에 외부도어 또는 내부도어의 일측과 회동가능하게 구동브라켓의 하측에 장착되는 구동링크와, 구동링크의 타단과 힌지로 연결되는 연결링크와, 연결링크의 타단과 외부도어 또는 내부도어의 타측에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동브라켓의 상측에 장작되는 피동링크를 개재하여 모터의 크랭크축에 연결된 벨트에 의하여 구동링크가 회동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구동브라켓과 상기 피동링크 또는 구동링크 사이에 인장스피링을 구비하여, 전원 오프시 탄성복귀력으로 외부도어 및 내부도어의 개방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에 의하면, 도어를 슬라이딩방식을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게이트에서 도어 부분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임으로써, 지하철 게이트의 너비 및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지하철 게이트의 설치 공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에 의하면, 모터와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함으로써, 지하철 게이트의 내부 구조를 단순화시켜, 지하철 게이트의 제작 비용을 절감시킴과 동시에 전체적인 승객 처리능력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에 의하면, 정전이나 불가피한 사정에 의하여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게이트를 오픈할 수 있어 사람의 출입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프레임에 외부도어와 내부도어를 구비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 시간을 단축하여 보다 많은 승객의 출입을 허용할 수 있어 출퇴근시의 병목 현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개찰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어가 닫힘상태의 구동브라켓의 정면 상세구성도,
도 4는 도 3의 사시도,
도 5는 도어가 닫힘상태의 구동브라켓의 배면 상세구성도,
도 6은 도어가 닫힘열린상태의 구동브라켓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도어가 열림상태의 구동브라켓의 정면 상세구성도,
도 8은 도 7의 사시도,
도 9는 도어가 열림상태의 구동브라켓의 배면 상세구성도,
도 10은 도 9의 사시도,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주요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본 발명의 게이트 출입통제장치는, 게이트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의 내부 일측에 제1 구동브라켓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게이트 사이의 출입을 통제하는 외부도어(120) 및 프레임(110)의 내부 타측에 제2 구동브라켓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게이트 사이의 출입을 통제하는 내부도어(121)와 외부도어(120)와 내부도어(121) 사이에 프레임(110)의 폭 방향으로 설치된 차단도어(122)를 포함하고, 프레임(110)의 일측 상단에 외부도어(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승차표 감지수단(190)과, 프레임(110)의 타측 상단에 내부도어(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승차표 감지수단(191)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내에서의 통행자의 통해을 감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센서(11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110)은 게이트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나, 프레임(110)은 후술하는 주요 부품(모듈)을 탑재하는 것으로서 해당 역사의 여건에 따라 설치 간격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지만 승객 처리능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설치 간격을 최소로 유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프레임(110)에 외부도어와 내부도어를 구성하여 양쪽에서 즉 게이트의 내외부에서 동시에 통행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게이트의 도어를 외부도어와 내부도어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는 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도 2를 참고하면 프레임의 좌측방향은 외부로 설정하고, 우측방향은 내부로 설정하고, 외부도어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통행하는 즉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하는 통행자의 출입을 차단 또는 개폐하는 도어를 지칭하는 것으로, 내부도어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통행하는 즉, 내부에서 외부로 나오는 통행자의 출입을 차단 또는 개폐하는 도어를 지칭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외부도어와 내부도어는 하나의 프레임에 서로 대향되게 회동하도록 설치한다.
또한, 지하철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는 승객 처리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상시 오픈 방식에 적절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상시 폐쇄 방식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 "폐쇄"는 도어를 닫아 통행자의 통행을 막는 방향으로 도어가 작동되는 것을, "개방"은 도어를 열어 통행자가 통행할 수 있는 방향으로 도어가 작동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프레임(110)은 일정 간격으로 게이트에 설치되어 외부로 진입하거나 내부에서 진출하는 통행자를 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도 11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주요 구성도를 참고하면, 개폐제어부(170)가 제1 승차표감지수단(190)에서 정상적인 승차표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모터구동부(161)가 모터(160)를 구동하여 폐쇄상태의 외부도어(120)를 개방상태로 슬라이딩되게 한다.
또한, 프레임(110)의 상, 하단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111)는 게이트를 승객이 정상적인 승차요금을 지불하고 통과하는가를 감지하여 개폐제어부(170)는 승차표감지수단(190,191)의 감지없이 통행하는 비정상 승객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모터구동부(161,162)를 구동하여 해당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행자가 통행중인 것으로 감지되면 개폐제어부(170)는 그 감지신호에 의해 도어를 개방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반대로 통행체의 통행이 완료된 것으로 감지되면 그 감지신호에 의해 도어가 폐쇄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센서(111)는 게이트 입구 쪽과 게이트 중간 그리고 게이트 출구쪽에 배치하여 각각 센싱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111a 내지 111f).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도어가 닫힘상태의 구동브라켓의 정면 상세구성도와, 도 4, 도 5의 도어가 닫힘상태의 구동브라켓의 배면 상세구성도, 그리고 도 6의 도어가 닫힘상태의 구동브라켓의 배면 사시도를 참고하여 도어의 닫힘상태를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도면부호 120의 외부도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 부호 121의 내부도어는 동일한 구성으로 서로 대향되게 프레임에 설치하여 구동하면 되기 때문에 그 구성요소나 작동원리가 모두 동일하기 때문이다.
즉, 제1 및 제2의 구성요소는 도면 부호만 상이할 뿐 그 작동원리가 동일함을 의미한다.
먼저 도 3을 참고하면, 프레임(110) 내부에 설치된 외부도어(120)를 개방상태로 작동시킨 결과의 구동브라켓(150)과 외부도어(120)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구동브라켓(150)은 크랭크축(161)을 지닌 모터(160)에 구동수단(130)을 개재하여 외부도어(12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구동수단(130)은 일단에 외부도어(120) 또는 내부도어(121)의 일측과 회동가능하게 구동브라켓(150)의 하측에 장착되는 구동링크(131)와, 구동링크(131)의 타단과 힌지(131b)로 연결되는 연결링크(132)와, 연결링크(132)의 타단과 외부도어(120) 또는 내부도어(121)의 타측에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동브라켓(150)의 상측에 장작되는 피동링크(133)를 개재하여 모터(160)의 크랭크축(161)에 연결된 벨트(163)에 의하여 구동링크(131)가 회동하도록 작동된다.
구동링크(131)는 구동브라켓(150)의 하측에 힌지축(131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120)를 폐쇄 또는 개방 상태로 동작시키며 대략 "L"자 형태로 구성하여 축을 중심으로 양단에 연결된 외부도어(120)와 연결링크(132)를 움직이게 된다.
이를 위하여 구동링크(131)는 구동브라켓(150)의 배명에 구비된 모터(160)의 크랭크축(161)과 회전기어(162)가 벨트(163)에 의하여 구동되고, 회전기어(162)의 중심축 상에 구동링크(131)의 힌지축(131a)이 결합되어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링크가 힌지축을 기준으로 일단에 결합된 도어가 일정 각도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모터(160)는 서보모터를 사용하며 설정된 각도 범위(예컨대 180˚) 내에서 왕복회전을 수행한다. 구동링크(131)는 일단이 모터(160)의 크랭크축(161)에 연결되고 타단이 외부도어(120)의 하측에 회전결합된다.
이에 따라, 모터(160)가 행정단을 왕복하는 동안 구동링크(131)가 밀거나 당겨서 외부도어(120)를 개폐하고, 이와 동시에 구동링크(131)의 타단에 힌지(131b)를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링크(132)가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연결링크(132)가 상하로 움직이게 되면, 연결링크의 타단에 연결된 대략 "L"자 형태의 피동링크(133)가 힌지축(133a)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결국 연결링크(132)의 일단에 연결된 피동링크(133)가 힌지축(133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피동링크(133)의 타단에 연결된 외부도어(120)가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보다 효과적으로 도어를 폐쇄 또는 개방상태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구동브라켓(150)의 상하부에 도어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피동링크와 구동링크를 동작시킴으로써, 상하부에서 도어를 지지함과 동시에 도어를 평행하게 움직일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도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대략 "L"자 형태의 구동링크와 피동링크의 회전 반경을 작게 한다면, 도어는 거의 수평으로 슬라이딩방식으로 개폐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어는 유리재질로 구성하고, 구동브라켓과의 원활한 결합을 위하여 구동브라켓(150)과 결합되는 부위를 별도의 지지브라켓(122)을 구비하면 도어를 고정함과 동시에 구동브라켓과 결합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정전이나 불가피한 사정에 의하여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게이트가 오픈되어 사람의 출입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밸런스웨이트와 인장스피링을 구비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즉, 구동브라켓(150)에 밸런스웨이트(134)를 개재하여 전원 오프시 웨이트의 무게로 도어가 개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링크(134)에 밸런스웨이트(134)를 결합하여, 도어가 폐쇄상태에서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밸런스웨이트의 무게로 도어가 개방상태로 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전원이 차단되면, 도어를 폐쇄하던 모터의 구동력이 상실되어 구동수단(130)은 자유로운 상태가 되고, 따라서, 구동링크(131)의 일단과 피동링크(133)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링크(132)가 밸런스웨이트(134)의 무게로 인하여 하부로 낙하하게 되므로, 자동으로 구동링크(131)와 피동링크(133)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외부도어(120)는 개방상태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밸런스웨이트(134)는 외부도어(120)가 개방상태로 일부 열릴 수 있는 정도의 무게로 구성하여 도어가 일부 개방된 상태에서 통행자가 도어를 잡고 개방상태로 만들수 있기 때문에 외부도어(120)의 무게보다 무거운 정도면 족하다.
또한, 전원이 차단된 경우, 구동링크(131)와 피동링크(133)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인장스프링을 개재하여 밸런스웨이트(134)의 무게에 더하여 인장스피링의 복원력으로 이를 효과적으로 작동되게 할 수 있다.
즉, 구동브라켓(150)과 피동링크(133) 또는 구동링크(131) 사이에 인장스피링(180)을 구비하고, 외부도어(120)가 개방 상태로 작동할 때, 인장스프링(180)이 압축되도록 구성하고, 외부도어가 개방 상태에서 전원 차단 시 인장스프링(180)이 복원될려고 하는 복원력이 외부도어(12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동작되게 하는 것이다(도 6참조).
이를 위하여 구동브라켓(150)상에 개구부(151)를 형성하고, 구동브라켓(150)의 일측에서 회동하는 연결링크(132)의 배면에 지지판(135)을 형성하고, 지지판(135)이 개구부(151)를 통하여 구동브라켓(150)의 배면으로 돌출되게 한 다음, 외부도어(120)가 폐쇄상태로 동작할 때, 지지판(135)이 인장스프링(180)을 압축하게 구성하면,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인장스피링의 복원력이 지지판을 밀어 내고 동시에 밸런스웨이트(134)의 무게와 연동되어 외부도어를 개방상태로 열리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벨런스웨이트와 인장스프링은 그 설치 위치에 제한 받지 않고 전원 차단 시 도어의 개방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웨이트가 작용하거나 스피링이 작동하도록 설치 환경에 따라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프레임(110)과 피동링크(133) 사이에 인장스프링(180)과 인접하도록 댐퍼(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댐퍼는 유체를 이용하여 작동의 충격력을 흡수함에 따라 작동부의 내구성을 향상하고 소음을 완화한다.
한편, 외부도어(120)와 내부도어(121)는 유리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각 도어의 외부 테두리에는 유리보다 강도가 낮으며 쿠션 재질의 커버를 형성하여, 갑작스런 도어의 폐쇄로 인하여 출입하는 승객이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시각적으로 도어가 폐쇄되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 본 발명의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더, 게이트의 통로에 설치된 어느 하나의 승차표 감지수단(191,192)을 통해 통로에 진입한 승객이 소지하고 있는 승차표의 식별정보를 개폐제어부(170)가 인식한다. 인식 후 지하철 통행용 승차표로 감지되면 게이트 통로에 설치된 해당되는 외부도어 또는 내부 도어를 개방하고, 게이트의 통로에 진입한 승객으로부터 정상 통행용 승차표로 인식되면 게이트를 폐쇄하도록 도어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10 : 프레임 120 : 외부도어
121 : 내부도어 122 : 차단도어
130 : 구동수단 131 : 구동링크
132 : 연결링크 133 : 피동링크
131a,131b,133a,133b : 힌지 135 : 지지판
161,162 : 모터 구동부 170 : 개폐제어부
180 : 인장스프링 190,191 : 승차표감지수단

Claims (7)

  1. 게이트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장방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제1 구동브라켓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게이트 사이의 출입을 통제하는 외부도어;및
    상기 프레임의 내부 타측에 제2 구동브라켓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게이트 사이의 출입을 통제하는 내부도어;
    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도어와 내부도어는
    서로 대향되게 회동하며 각각의 구동브라켓에 밸런스웨이트를 개재하여 전원 오프시 웨이트의 무게로 외부도어와 내부도어의 개방을 수행하는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브라켓과 제2 구동브라켓은
    크랭크축을 지닌 모터에 구동수단을 개재하여 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단에 상기 외부도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승차표 감지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타측 상단에 상기 내부도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승차표 감지수단을 서로 이격되게 설치하고, 상기 승차표 감지수단에서 승차표의 투입이 감지되면, 해당 외부도어 또는 내부도어를 개방하는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단에 상기 외부도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승차표 감지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타측 상단에 상기 내부도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승차표 감지수단을 서로 이격되게 설치하고, 상기 승차표 감지수단에서 승차표의 투입이 감지되면, 해당 외부도어 또는 외부도어를 폐쇄하여 게이트 사이의 출입을 통제하는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
  5. 삭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일단에 외부도어 또는 내부도어의 일측과 회동가능하게 구동브라켓의 하측에 장착되는 구동링크와, 구동링크의 타단과 힌지로 연결되는 연결링크와, 연결링크의 타단과 외부도어 또는 내부도어의 타측에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동브라켓의 상측에 장작되는 피동링크를 개재하여 모터의 크랭크축에 연결된 벨트에 의하여 구동링크가 회동하여 외부도어 또는 내부도어의 개폐를 행하는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구동브라켓과 피동링크 또는 구동링크 사이에 인장스프링을 구비하여, 전원 오프시 탄성복귀력으로 외부도어 및 내부도어의 개방을 수행하는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




KR1020140123561A 2014-09-17 2014-09-17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 KR101468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561A KR101468684B1 (ko) 2014-09-17 2014-09-17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561A KR101468684B1 (ko) 2014-09-17 2014-09-17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684B1 true KR101468684B1 (ko) 2014-12-11

Family

ID=52677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3561A KR101468684B1 (ko) 2014-09-17 2014-09-17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6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273B1 (ko) * 2007-08-21 2008-01-21 (주)지멕스 벨트로 동시 동작하는 개찰구용 게이트 장치
JP2008027367A (ja) * 2006-07-25 2008-02-07 Nippon Signal Co Ltd:The 自動改札機
KR100846747B1 (ko) * 2007-05-28 2008-07-17 김동규 안전 게이트 유닛
KR101289390B1 (ko) * 2012-08-27 2013-07-29 이대희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7367A (ja) * 2006-07-25 2008-02-07 Nippon Signal Co Ltd:The 自動改札機
KR100846747B1 (ko) * 2007-05-28 2008-07-17 김동규 안전 게이트 유닛
KR100796273B1 (ko) * 2007-08-21 2008-01-21 (주)지멕스 벨트로 동시 동작하는 개찰구용 게이트 장치
KR101289390B1 (ko) * 2012-08-27 2013-07-29 이대희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4566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200468123Y1 (ko) 게이트도어의 개,폐상태 록킹수단을 가진 출입통제용 게이트장치
CN101481059B (zh) 具有开门异常防护功能的安全电梯及其安全控制方法
KR200415695Y1 (ko) 개찰구용 플랩 게이트 장치
KR101460708B1 (ko)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
US7849906B2 (en) Fast door with secure operation
KR20200121660A (ko) 지하철 게이트의 스윙도어 장치
KR101468684B1 (ko)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
KR100956175B1 (ko) 슬림형 자동집·개표기
KR200460688Y1 (ko) 조립 및 분해 해체가 용이한 슬림형 출입 통제 장치
CN100585642C (zh) 检票闸的翼门装置
KR20190004850A (ko) 출입 통제 장치
KR100962224B1 (ko) 전철 게이트용 플랩도어
KR101003757B1 (ko)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
KR20220009827A (ko) 무인 출입통제용 스윙도어 시스템
KR100864718B1 (ko) 플랩 개폐장치
KR101605141B1 (ko) 차량 출입용 자동 보안 게이트 장치
CN212084202U (zh) 一种采用摆闸结构的闸机
CN207601862U (zh) 一种票卡回收设备
JP5190005B2 (ja) セキュリティゲート
CN211395480U (zh) 一种摆闸式闸机
KR101838243B1 (ko) 스윙타입 게이트 장치
KR20120007996U (ko) 로터리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플랩개폐장치
CN216053156U (zh) 一种无感、无接触式双重查验员工装置
KR102112601B1 (ko) 자동 게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