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098B1 - 자동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098B1
KR101535098B1 KR1020150011630A KR20150011630A KR101535098B1 KR 101535098 B1 KR101535098 B1 KR 101535098B1 KR 1020150011630 A KR1020150011630 A KR 1020150011630A KR 20150011630 A KR20150011630 A KR 20150011630A KR 101535098 B1 KR101535098 B1 KR 101535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ide
unit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준석
고은희
Original Assignee
채준석
고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준석, 고은희 filed Critical 채준석
Priority to KR1020150011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발명은 자동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부가 양측 벽면에 밀착 설치되어 출입구 공간을 최대한 넓게 사용하므로 차량이 여유롭게 통과할 수 있어 차량의 접촉사고를 줄일 수 있고, 도어부가 개폐시 이송부와 도어 고정부가 X자 형태로 벌어질 때, 지지부의 가이드볼트가 경사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좌우 균형을 조절하면서 지지하므로 흔들림 없이 고속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는, 구동 모터가 구비된 모터 폴리와 회전 폴리에 연결된 타이밍 벨트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부로 이루어진 자동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한쪽 면에 외부로 돌출된 결합 돌기를 형성하고 반대 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이송부와 도어가 결합되는 도어 고정부를 서로 X자 형태로 겹쳐지면서 다수 개가 설치되는 도어부와; 상기 이송부와 도어 고정부가 겹쳐지는 부분의 상면에 양측에 회전 롤러가 형성되고 가이드판을 갖는 중앙 가이드돌기와; 상기 이송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면 양측에 회전 롤러가 형성된 보조 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표면에 서로 대칭인 경사홈을 가지면서 경사홈에 체결되는 2개 가이드볼트 중 하나를 이송부에 고정 설치하는 안전판과; 상기 중앙 가이드돌기의 상면에 설치되는 장력스프링과 전면 하측에 회전 롤러가 형성되고 가이드판이 구비된 가이드돌기가 체결하고, 상면에 타이밍벨트에 대칭으로 체결되는 이동뭉치로 구성된 지지부와;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중앙 가이드돌기를 삽입 설치하고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보조 가이드돌기가 삽입 설치되는 상부가이드 레일과;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구동 모터가 구비된 모터 폴리와 회전 폴리를 타이밍벨트로 연결한 동력부에 의해 도어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문 개폐장치{Automatic door clos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부가 양측 벽면에 밀착 설치되어 출입구 공간을 최대한 넓게 사용하므로 차량이 여유롭게 통과할 수 있어 차량의 접촉사고를 줄일 수 있고, 도어부가 개폐시 이송부와 도어 고정부가 X자 형태로 벌어질 때, 지지부의 가이드볼트가 경사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좌우 균형을 조절하면서 지지하므로 흔들림 없이 고속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대형 창고, 모텔, 호텔 및 주차장의 출입문에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자동문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상기 자동문은 사람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부 및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자동문는 이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0-098106호(공개 일자 2010, 09, 06)에 관련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문은 슬라이딩 도어를 좌, 우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폐하는 방식이므로 자동문에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 공간이 필요하고, 이로 인해 출입문의 개폐 공간이 작아 한 사람은 통과할 수 있으나, 부피 및 크기 큰 사물이나 차량은 통과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80089호인 '자동 도어 개폐 장치' 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자동 도어 개폐 장치의 구성은 첨부된 도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동 도어 개폐 장치(10)에 있어서,
모터 폴리(21a)를 구비한 구동 모터(21)와, 회전 폴리(22)를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부(20); 상기 모터 폴리와 상기 회전 폴리에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에 따라서 회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타이밍 밸트(30); 상기 타이밍 밸트에 결합됨과 아울러 좌, 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2 행거부(40)(50); 상기 가이드 레일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2 도어부(60)(70); 및 상기 제 1, 2 도어부들과 상기 제 1, 2 행거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2 행거부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 이동하여 접거나 펼쳐짐과 아울러 상기 제 1, 2 도어부들을 포개지게 하거나 나란하게 배열시키는 제 1, 2 링크부(80)(9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 특허는 첨부된 도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2 링크부가 견고하게 지지되어 있지 않아 작동 중 좌우로 흔들려 도어부의 개폐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제 1, 2 링크부가 접혔을 때 양쪽 벽면과 30cm 정도 떨어진 상태로 마감되어 이를 커버하기 위해 양쪽 벽면에 별도의 마감부재를 설치하므로 활용 공간에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제 1, 2 도어부가 다 열렸을 때도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므로 출입하는 차량 등에 제 1, 2 도어부가 끼어 차량을 파손하거나 훼손함을 물론 심한 경우에는 개발품이 고장 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외부 환경변화(바람)에도 쉽게 도어부가 흔들리는 단점이 있고, 잦은 고장으로 이를 사후 관리하는데에도 많은 노동력과 불필요한 비용을 지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출입구의 개방시 도어부가 벽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한정된 출입구 공간을 최대한 넓게 사용할 수 있으며, 도어부를 개폐시 이송부와 도어 고정부가 X자 형태로 벌어질 때, 지지부의 가이드볼트가 경사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좌우 균형을 조절하면서 지지하고 있으므로 흔들림 없이 고속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자동문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 모터가 구비된 모터 폴리와 회전 폴리에 연결된 타이밍 벨트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부로 이루어진 자동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한쪽 면에 외부로 돌출된 결합 돌기를 형성하고 반대 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이송부와 도어가 결합되는 도어 고정부를 서로 X자 형태로 겹쳐지면서 다수 개가 설치되는 도어부와; 상기 이송부와 도어 고정부가 겹쳐지는 부분의 상면에 양측에 회전 롤러가 형성되고 가이드판을 갖는 중앙 가이드돌기와; 상기 이송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면 양측에 회전 롤러가 형성된 보조 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표면에 서로 대칭인 경사홈을 가지면서 경사홈에 체결되는 2개 가이드볼트 중 하나를 이송부에 고정 설치하는 안전판과; 상기 중앙 가이드돌기의 상면에 설치되는 장력스프링과 전면 하측에 회전 롤러가 형성되고 가이드판이 구비된 가이드돌기가 체결하고, 상면에 타이밍벨트에 대칭으로 체결되는 이동뭉치로 구성된 지지부와;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중앙 가이드돌기를 삽입 설치하고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보조 가이드돌기가 삽입 설치되는 상부가이드 레일과;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구동 모터가 구비된 모터 폴리와 회전 폴리를 타이밍벨트로 연결한 동력부에 의해 도어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의 효과가 있다.
첫째는 도어부가 양측 벽면과 밀착되게 설치되어 종래처럼 출입구에 마감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출입구 공간을 최대한 넓게 사용하므로 차량이 여유롭게 통과할 수 있어 차량의 접촉사고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둘째는 도어부를 개폐시 이송부와 도어 고정부가 X자 형태로 벌어질 때, 지지부의 가이드볼트가 경사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좌우 균형을 조절하면서 지지하고 있으므로 흔들림 없이 고속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는 도어 고정부에 설치되는 도어의 탈부착이 용이하며, 차량이 도어부와 강한 접촉이나 도어부에 끼었을 경우에 도어가 도어 고정부에서 이탈되어 사고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은 종래의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송구의 구성을 나타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지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지지부가 작동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지지부에 결합된 부품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11은 본 발명의 상부가이드 레일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12~13은 본 발명의 동력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14~1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 부품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의 도면 중 부호 200은 본 발명의 자동문 개폐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자동문 개폐장치(200)는 이송부(210)와 도어 고정부(220)가 서로 X자 형태로 겹쳐지게 설치된 도어부(230)와, 도어부(23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중앙 가이드돌기(240)와, 중앙 가이드돌기(240)의 상면에 설치되는 장력스프링(263)과 타이밍벨트(275)에 대칭으로 체결되는 이동뭉치(279)로 구성된 지지부(250)와,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 홈(281)과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282)을 갖는 상부가이드 레일(280)과, 상기 지지부(250)의 상면에 구동 모터(277)가 구비된 모터 폴리(278)와 회전 폴리(276)를 타이밍벨트(275)로 연결된 동력부에 의해 도어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부(230)는 첨부된 도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송부(210)와 도어 고정부(220)로 이루어지며, 이송부(210)는 일정 두께를 갖는 강판으로 상면에 한쪽에 삽입공(212)을 형성하고 양측 단에 구멍(211)을 형성한다.
상기 도어 고정부(220)는 ㄱ자 형태로 절곡되면서 상면 한쪽에 삽입공(222)을 형성하고 양측 단에 구멍(221)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송부(210)의 하측에 도어 고정부(220)를 X자 형태로 겹쳐지도록 설치하고 이송부(210)의 한쪽 구멍(211)과 도어 고정부(220)의 다른 쪽 구멍(221)을 서로 일치시킨 후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도어 고정부(220)의 한쪽 구멍(221)의 상면에 이송부(210)의 다른 쪽 구멍(211)을 일치시킨 후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은 이송부(210)와 도어 고정부(220)를 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다수 개를 연결 설치하여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첫번째 이송부(210)의 구멍(211) 상면과 첫번째 도어 고정부(220)의 구멍(221) 하면에 안내 롤러(215)(225)를 설치한다.
상기 안내 롤러(215)(225)는 벽면과 맞닿아 설치되므로 출입문의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210)는 첨부된 도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면 한쪽에 결합홈(213)을 형성하고 그 반대 면에는 외부로 돌출된 결합 돌기(214)를 형성한다.
상기 결합 돌기(214)는 이송부(210)가 접힐 때, 다른 이송부(210)의 결합홈(213) 내에 위치하므로 접힘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부(210)와 도어 고정부(220)가 겹쳐지는 부분의 상면에 상향 돌출되면서 상면 양측에 회전 롤러(241)가 형성되면서 원형의 가이드판(245)을 갖는 중앙 가이드돌기(240)를 고정 설치한다.
상기 겹쳐지는 부분에 설치된 다수 개의 중앙 가이드돌기(240) 중 후방과 전방 중앙 가이드돌기(240')(240'')의 상면에는 나사공(242)(243)을 형성한다.
상기 도어 고정부(220)에는 로프 커튼(220b)을 설치하여 사용하며, 로프 커튼 외에 다른 커튼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로프 커튼(220b)은 도어 고정부(220)에서 탈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출입되는 차량에 의해 파손 및 훼손되어도 신속하게 보수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50)는 첨부된 도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V자 형태이면서 중앙에 2개의 경사홈(252)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안전판(251)과, 안전판(251)의 상면 양측 단에 상향 돌출되면서 양 측면에 회전 롤러(253)가 형성된 가이드돌기(254)를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2개의 경사홈(252) 내에는 각각 가이드볼트(255)(256)를 체결하고 한쪽 가이드볼트(255)는 이송부(210)의 삽입공(212)에 체결하고, 다른 쪽 가이드볼트(256)는 도어 고정부(220)의 삽입공(222)에 체결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250)의 가이드 돌기(254)의 위치는 첨부된 도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 가이드돌기(254)의 양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후방 중앙 가이드돌기(240')의 상면에 형성된 나사공(242)에 첨부된 도면 도 9에서 보는 바와 후방에 나사공(261)이 형성되고 상면에 고리(262)을 갖는 장력스프링(263)이 설치된 받침대(260)를 나사 결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장력스프링(263)의 고리(262)를 벽면(1)에 형성된 고리홈(2)에 체결한다.
상기 장력스프링(263)은 이송부(210)와 도어 고정부(220)가 펼쳐질 때, 탄성을 받으면서 전진하므로 이송부(210)와 도어 고정부(220)가 흔들림 없어 안정되게 이동되록 한다.
상기와 같이 중앙 가이드돌기(240)와 지지부(250) 및 장력 스프링(253)이 설치된 도어부(230)를 서로 대칭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전방 중앙 가이드돌기(240'')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공(243)에 고정판(270)을 고정 설치한다.
상기 고정판(270)은 후방에 나사공(271)이 형성되고 전방 하측 면에 가이드판(272)이 형성되며 양측 면에 회전 롤러(273)가 구비된 보조 가이드돌기(274)를 체결한다.
그리고 고정판(270)의 상면에 타이밍 벨트(275)와 연결되는 회전 풀리(276)를 설치하고, 타이밍 벨트(275)의 한쪽 면에 이동뭉치(279)를 체결한다.
상기 이동뭉치(279)는 타이밍 벨트(275)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고정판(270)과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또한, 반대편의 전방 중앙 가이드돌기(240'')의 삽입공(243)에는 위에서 서술한 내용하고 동일한 고정판(270)을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고정판(270)의 상면에 타이밍 벨트(275)와 연결되는 구동 모터(277)가 구비된 모터 풀리(278)를 설치하고, 타이밍 벨트(275)의 다른 쪽 면에 이동뭉치(279')를 설치한다.
상기 타이밍 벨트(275)에는 연결된 이동뭉치(279)(279')는 서로 대칭으로 체결되어 있으며 고정판(270)을 이동시키는 주체가 된다.
상기 상부 가이드 레일(280)은 첨부된 도면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의 하측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 홈(281)과 양측 단에 형성된 보조 가이드 홈(282)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다.
그리고 측면판(283)과 상면판(284)을 체결하여 내부 공간에 설치된 부품들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 상부 가이드 레일(280)의 가이드 홈(281) 내에 중앙 가이드돌기(240)와 보조 가이드돌기(274)의 가이드판(245)(272)이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양측 단에 형성된 보조 가이드 홈(282)에는 지지부(250)의 양측 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54)의 회전롤러(253)이 삽입되어 면 접촉을 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부(230)가 벽면에 완벽하게 밀착되도록 벽면(1) 내벽에 양측에 외부로 돌출되면서 구멍(291)을 갖는 이동구(292)가 홈(293)을 따라 이동되도록 고정판(294)을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양측 이동구(292) 중 한쪽 이동구(292)에 이송부(210)를 고정 설치하고, 다른 쪽 이동구(292')에 도어 고정부(220)를 설치한다. 이때, 이송부(210)와 도어 고정부(220)는 X자 형태로 겹쳐지도록 한다.
상기 이동구(292)는 고정판(294) 내에서 좌우로 이동하면서 이송부(210)와 도어 고정부(220)를 절첩하게 되고, 벽면에 밀착되어 있어 출입구 공간을 종래보다는 더욱 넓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장력스프링은 설치하지 않게 되고, 이동구(292)가 고정판(294)의 홈(293)의 안내를 받으면서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 도 13 및 도 14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 가이드 레일(28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도어부(230)의 장력스프링(263)의 한쪽 끝에 형성된 고리(262)를 벽면(1)에 형성된 고리홈(2)에 체결한다.
이때, 첫번째 이송부(210)와 첫번째 도어 고정부(220)에 설치된 안내 롤러(215)(225)가 벽면(1)의 내벽에 밀착되어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이송부(210)와 도어 고정부(220)를 벌어지게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부(230)가 벽면 내벽에 밀착되므로 출입구의 양측에 별도의 마감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출입구 공간을 종래보다 여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차량의 접촉 사고를 감소시키게 된다.
본 발명인 자동문(200)의 초기화 상태는 첨부된 도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이송부(210)와 도어 고정부(220)가 접혀있는 상태이며, 이때, 이송부(210)의 결합돌기(214)가 다른 이송부(210)의 결합홈(213)에 삽입되어 접혀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 모터(277)에 전원을 인가하면, 구동 모터(277)에 연결된 모터 풀리(278)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모터 풀리(278)와 회전 풀리(276)에 연결된 타이밍 벨트(275)도 회전하면서 이동뭉치(279)(279')를 첨부된 도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뭉치(279)(279')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판(270)의 가이드판(272)이 상부 가이드레일(280)의 가이드 홈(281)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함과 동시에 고정판(270)이 설치된 전방 중앙 가이드돌기(24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접혀있던 이송부(210)와 도어 고정부(220)가 펼쳐지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50)는 경사홈(252) 내에 위치한 가이드볼트(255)(256)가 경사진 경사홈(252)을 따라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전방 중앙 가이드돌기(240'')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장력스프링(262)은 중앙 가이드돌기(240)를 따라 전진하면서 탄성을 받게 되고, 이송부(210)와 도어 고정부(220)에 형성된 안내 롤러(215)(225)가 벽면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이송부(210)와 도어 고정부(210)가 벌어지는 것을 도와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 가이드돌기(240)의 가이드판(254)은 상부 가이드 레일(280)의 가이드 홈(281)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지지부(250)의 가이드돌기(254)의 양측에 형성된 회전 롤러(253)가 상부 가이드 레일(280)의 보조 가이드 홈(282) 내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이송부(210)와 도어 고정부(220)가 외부로 벌어질 때, 중앙 가이드돌기(240)의 가이드판(254)과 지지부(250)의 회전 롤러(253)가 가이드 레일(280)의 가이드 홈(281)(282) 내에서 안정되게 이동한다.
그리고 도어부(230)가 X자로 벌어질 때 각도가 지속적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때, 지지부(250)의 가이드볼트(255)가 경사홈(252) 내에서 각도에 맞게 이동하므로 하자발생을 대폭 감소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부(230)가 중앙 가이드돌기(240)을 따라 이동하면서 첨부된 도면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송부(210)와 도어 고정부(220)가 완전히 벌어져 출입구를 완전히 닫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모터(277)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며, X자 형태로 벌어진 이송부(210)와 도어 고정부(22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펼쳐진 상태에서 중앙 가이드돌기(240)을 중심으로 접히게 된다.
이때, 이송부(210)와 도어 고정부(220)에 설치된 안내 롤러(215)(225)가 벽면(1)의 내벽에 밀착되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지지부(250)의 가이드볼트(255)가 다시 원위치인 안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펼쳐진 도어부(230)가 다시 접히면서 출입구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200:자동문 개폐장치 210:이송부
211,221:구멍 212,222:삽입공
213:결합홈 214:결합돌기
215,225:안내 롤러
220:도어 고정부 230:도어부
240:중앙 가이드돌기 250:지지부
260:받침대 262:고리
263:장력스프링 270:고정판
275:타이밍벨트 276:회전 폴리
277:구동 모터 280:상부가이드 레일
281:가이드 홈

Claims (5)

  1. 구동 모터가 구비된 모터 폴리와 회전 폴리에 연결된 타이밍 벨트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부로 이루어진 자동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한쪽 면에 외부로 돌출된 결합 돌기를 형성하고 반대 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이송부와 도어가 결합되는 도어 고정부를 서로 X자 형태로 겹쳐지면서 다수 개가 설치되는 도어부와;
    상기 이송부와 도어 고정부가 겹쳐지는 부분의 상면에 양측에 회전 롤러가 형성되고 가이드판을 갖는 중앙 가이드돌기와;
    상기 이송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면 양측에 회전 롤러가 형성된 보조 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표면에 서로 대칭인 가이드 홈을 가지면서 가이드 홈에 체결되는 2개 가이드볼트 중 하나를 이송부에 고정 설치하는 안전판과;
    상기 중앙 가이드돌기의 상면에 설치되는 장력스프링과 전면 하측에 회전 롤러가 형성되고 가이드판이 구비된 가이드돌기가 체결하고, 상면에 타이밍벨트에 대칭으로 체결되는 이동뭉치로 구성된 지지부와;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중앙 가이드돌기를 삽입 설치하고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보조 가이드돌기가 삽입 설치되는 상부가이드 레일과;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구동 모터가 구비된 모터 폴리와 회전 폴리를 타이밍벨트로 연결한 동력부에 의해 도어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한쪽 면에 외부로 돌출된 결합 돌기를 형성하고 반대 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1개 또는 2개의 구동모터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와 도어 고정부의 첫번째 판의 한쪽 끝에 안내 롤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가 벽면에 완벽하게 밀착되도록 벽면 내벽에 양측에 외부로 돌출되면서 구멍을 갖는 이동구가 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고정판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이동구에 이송부와 도어 고정부를 X자 형태로 설치하여 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개폐장치.
KR1020150011630A 2015-01-24 2015-01-24 자동문 개폐장치 KR101535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630A KR101535098B1 (ko) 2015-01-24 2015-01-24 자동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630A KR101535098B1 (ko) 2015-01-24 2015-01-24 자동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098B1 true KR101535098B1 (ko) 2015-07-09

Family

ID=53792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630A KR101535098B1 (ko) 2015-01-24 2015-01-24 자동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0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101B1 (ko) 2018-06-12 2019-07-31 지티앤피주식회사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539U (ja) * 1993-12-25 1995-07-1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自動車スライドドア自動開閉装置
KR200368512Y1 (ko) * 2004-07-07 2004-11-20 손영필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539U (ja) * 1993-12-25 1995-07-1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自動車スライドドア自動開閉装置
KR200368512Y1 (ko) * 2004-07-07 2004-11-20 손영필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101B1 (ko) 2018-06-12 2019-07-31 지티앤피주식회사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1633B2 (en) Foldable sliding wall and carriage
KR101730612B1 (ko) 전동접이식 도어 시스템
US7104008B2 (en) Door system with a pair of door panels connected by a swivel panel that swings back and forth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gateways in a compartment
KR101874013B1 (ko) 접이식 도어 장치
CN106032736B (zh) 自动门装置
KR101493000B1 (ko) 안티패닉형 자동방화문
KR101535098B1 (ko) 자동문 개폐장치
JPH093843A (ja) プラットホ−ムの簡易可動柵
KR102150314B1 (ko) 슬라이딩 도어 장치
KR102223558B1 (ko) 수동개폐를 위한 구조를 갖는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KR100706196B1 (ko) 전동 도어 수동 조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동 도어
KR20090011218U (ko)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의 가이드구조
KR102046460B1 (ko)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
KR102044100B1 (ko) 일체형 자동문 어셈블리
KR20020078880A (ko) 여닫이 기능을 갖는 미닫이 방식 자동도어장치
KR20200100517A (ko)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
KR20080036571A (ko) 절첩식 무빙 도어 장치
JP2004131009A (ja) 可動ホーム柵装置
KR100960564B1 (ko) 미닫이 창호의 자동개폐장치
JP7446175B2 (ja) 電動式の円弧状ドア装置
JPH11292432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ドア開閉装置
KR101967520B1 (ko) 절첩식 여닫이문의 자동개폐장치
KR200486404Y1 (ko) 도어 링크 꺽임 방지 구조를 갖는 디펜스 도어 개폐장치
KR102303720B1 (ko) 벨트 구동 자동문의 케이블 베어 구조
KR200246101Y1 (ko) 여닫이 기능을 갖는 미닫이 방식 자동도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