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512Y1 -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 - Google Patents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512Y1
KR200368512Y1 KR20-2004-0019259U KR20040019259U KR200368512Y1 KR 200368512 Y1 KR200368512 Y1 KR 200368512Y1 KR 20040019259 U KR20040019259 U KR 20040019259U KR 200368512 Y1 KR200368512 Y1 KR 2003685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iming belt
sliding door
slid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원
손영필
Original Assignee
손영필
강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영필, 강태원 filed Critical 손영필
Priority to KR20-2004-0019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5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5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2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3Adjustable b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측 슬라이딩도어를 동일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시켜 더 넓은 공간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측 슬라이딩도어의 이동범위가 적절히 조정될 수 있는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는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에 의한 제 1 타이밍벨트의 회전구동에 의해, 제 1 타이밍벨트에 일측 제 1 도어행거가 결합된 제 1 슬라이딩도어가 제 1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도어의 타측 제 1 도어행거는, 제 2 슬라이딩도어에 고정된 양측 제 2 도어행거에 각각 구비되는 풀리들을 구동연결하고 그 일지점이 위치고정되는 제 2 타이밍벨트의 다른 일지점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슬라이딩도어의 이동과 동시에 상기 제 2 타이밍벨트의 다른 일지점을 잡아당겨, 상기 제 2 슬라이딩도어를 제 2 가이드레일을 따라 제 1 슬라이딩도어와 동일방향으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POWER TRANSMITTING STRUCTURE OF AN AUTOMETIC OPENING AND CLOSING DOOR}
본 고안은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 슬라이딩도어를 동일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더 넓은 공간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측 슬라이딩도어의 이동범위가 적절히 조정될 수 있는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공서, 백화점, 상가 등과 같은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자동문에는 사람들의 출입에 따라 출입구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딩도어를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동력을 전달하는 소정의 동력전달구조를 포함한다.
종래의 일반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는 건물의 출입구 상측에 고정되는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풀리와,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는 종동풀리와,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를 구동연결하는 타이밍벨트와, 타이밍벨트의 소정의 부위에 고정되는 도어행거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도어과, 문틀프레임에 고정되어 슬라이딩도어가 겹쳐질 수 있는 고정도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일반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는 사람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콘트롤러가 구동모터를 작동시키고,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감속기에 의해 적절히 변화되어 구동풀리를 회전시킴에 따라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 상에 설치되는 타이밍벨트가 회전하게 된다.
슬라이딩도어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도어행거가 타이밍벨트에 고정되므로, 타이밍벨트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딩도어가 슬라이딩되면서 고정도어 상으로 겹쳐지면서 출입구를 개폐시키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로는 고정도어가 문틀에 고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도어만을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출입구의 일측만을 개폐하게 되므로 출입구의 통과공간이 협소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양측 슬라이딩도어를 동일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시켜 더 넓은 공간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측 슬라이딩도어의 이동범위가 적절히 조정될 수 있는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과제를기초로 한다.
전술한 과제는,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에 의한 제 1 타이밍벨트의 회전구동에 의해, 제 1 타이밍벨트에 일측 제 1 도어행거가 결합된 제 1 슬라이딩도어가 제 1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고, 제 1 슬라이딩도어에 결합되어 일체로 이동되는 타측 제 1 도어행거는, 제 2 슬라이딩도어에 고정된 양측 제 2 도어행거에 각각 구비되는 풀리들을 구동연결하고 그 일지점이 위치고정되는 제 2 타이밍벨트의 다른 일지점을 잡아당겨, 제 2 슬라이딩도어를 제 2 가이드레일을 따라 제 1 슬라이딩도어와 동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의 동력전달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의 일측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의 일측작동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
10 : 프레임
20 : 구동모터
30 : 구동풀리
40 : 종동풀리
50 : 제 1 타이밍벨트
60 : 제 1 가이드레일
70, 70' : 일측 제 1 도어행거
80, 80' : 제 1 슬라이딩도어
90, 90' : 타측 제 1 도어행거
100, 100' : 제 2 타이밍벨트
110, 110' : 일측 제 2 도어행거
120, 120' : 타측 제 2 도어행거
130 : 제 2 가이드레일
140, 140' : 제 2 슬라이딩도어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1)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1)의 일측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1)의 일측작동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1)는 프레임(10) 상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0)에 의한 제 1 타이밍벨트(50)의 회전구동에 의해, 제 1 타이밍벨트(50)에 일측 제 1 도어행거(70; 70')가 결합된 제 1 슬라이딩도어(80; 80')가 제 1 가이드레일(60)을따라 좌우로 이동되고, 제 1 슬라이딩도어(80; 80')의 타측 제 1 도어행거(90; 90')는, 제 2 슬라이딩도어(140; 140')에 고정된 양측 제 2 도어행거(110, 120; 110', 120')에 각각 구비되는 풀리들(111, 121; 111', 121')을 구동연결하고 그 일지점이 위치고정되는 제 2 타이밍벨트(100; 100')의 다른 일지점에 연결되어, 제 2 슬라이딩도어(140; 140')의 이동과 동시에 제 2 타이밍벨트(100; 100')의 다른 일지점을 잡아당겨, 제 2 슬라이딩도어(140; 140')를 제 2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제 1 슬라이딩도어(80; 80')와 동일방향으로 제 1 슬라이딩도어(80; 80')의 속도의 0.5배에 해당하는 속도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프레임(10)은 건물의 출입구 상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프레임(10) 상에는 제 1 및 제 2 슬라이딩도어(80, 140; 80', 140')를 개폐하기 위한 구동수단들이 설치된다.
프레임(10) 상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0)는 제 1 및 제 2 슬라이딩도어(80, 140; 80', 140')의 개폐를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일측에 연결되는 감속기(21)를 통해 속도를 적절히 변경시켜 감속기(21)의 출력축에 고정되는 구동풀리(30)를 구동시키며, 구동모터(20) 및 감속기(21)의 작동은 구동모터(20)의 일측에 설치되는 컨트롤러(22)에 의해 제어된다.
감속기(21)의 출력축에 고정되는 구동풀리(30)는 구동모터(20)의 구동력을 제 1 타이밍벨트(50)에 제공하는 것으로, 구동풀리(30)는 제 1 타이밍벨트(50)에 고정되는 일측 제 1 도어행거(70; 70')를 이동시킨다.
프레임(10) 상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풀리(40)는 제 1 타이밍벨트(50)에 의해 구동풀리(30)와 구동연결되는 아이들(idle) 풀리로서, 프레임(10)의 타측 상에서의 고정위치가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조정됨으로써 제 1 타이밍벨트(50)의 장력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풀리(30) 및 종동풀리(40)를 구동연결하는 제 1 타이밍벨트(50)는 구동풀리(30)의 회전에 맞물려 회전됨으로써 그것 상에 고정된 일측 제 1 도어행거(70; 70')를 좌우로 이동시킴에 따라 일측 제 1 도어행거(70; 70')에 그 일측 상단이 고정되는 제 1 슬라이딩도어(80; 80')를 좌우로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프레임(10) 상에서 제 1 타이밍벨트(50) 아래에는 제 1 가이드레일(60)이 고정되는데, 제 1 가이드레일(60)은 차후에 설명될 양측 제 1 도어행거(70, 90; 70', 90')에 지지고정되는 제 1 슬라이딩도어(80; 80')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차후에 설명될 제 2 가이드레일(130) 보다는 전방으로 더 돌출됨으로써 출입구 개방시 제 1 슬라이딩도어(80; 80')가 제 2 슬라이딩도어(140; 140') 상으로 겹쳐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가이드레일(60)의 하단에는 그루브가 형성되고 이 그루브에는 벨트고정구(61; 61')가 좌우로 위치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벨트고정구(61; 61')는 차후에 설명될 제 2 타이밍벨트(100; 100')의 상단 일지점을 위치고정시킴으로써 슬라이딩도어(80, 140; 80', 140')의 이동범위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타이밍벨트(50)의 하단 일지점에는 일측 제 1 도어행거(70; 70')가 결합되는데, 일측 제 1 도어행거(70; 70')는 그 상부에 결합되는 벨트고정구(71;71')에 의해 제 1 타이밍벨트(50)에 고정되고 그 하단은 제 1 슬라이딩도어(80'; 80')의 일측 상단에 지지고정되어, 제 1 타이밍벨트(50)로부터 전달받은 좌우이동력을 제 1 슬라이딩도어(80; 80')로 전달하는 것으로, 그 배면측에는 제 1 가이드레일(60)을 따라 이동가능한 일측 제 1 가이드휠(73; 도시되지 않음)과, 일측 제 1 가이드휠(73; 도시되지 않음)이 제 1 가이드레일(6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롤러(도시되지 않음)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일측 제 1 도어행거(70; 70')의 하단에는 제 1 슬라이딩도어(80; 80')의 일측 상단이 고정되는데, 제 1 슬라이딩도어(80; 80')는 출입구의 도어프레임에 설치되어, 출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제 1 슬라이딩도어(80; 80')는 제 1 타이밍벨트(50)에 결합되어 제 1 가이드레일(60)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일측 제 1 도어행거(70; 70')에 의해 좌우 이동되면서 출입구를 개폐시킨다.
제 1 슬라이딩도어(80; 80')의 타측 상단에는 타측 제 1 도어행거(90; 90')가 결합되는데, 타측 제 1 도어행거(90; 90')는 배면측에 제 1 가이드레일(60)을 따라 이동가능한 타측 제 1 가이드휠(93; 도시되지 않음)과, 타측 가이드휠(93; 도시되지 않음)이 제 1 가이드레일(6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롤러(도 4 참조)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결합되는 벨트고정구(91; 91')를 통해 차후에 설명될 제 2 타이밍벨트(100; 100')의 하단 일지점에 결합되어, 제 1 슬라이딩도어(80; 80')의 이동시에 제 2 타이밍벨트(100; 100')의 하단 일지점을 잡아당기는 역할을 한다.
타측 제 1 도어행거(90; 90')에 의해 잡아당겨지는 제 2 타이밍벨트(100;100')는 차후에 설명될 제 2 슬라이딩도어(140; 140')의 양측 제 2 도어행거(110, 120; 110', 120')에 각각 구비되는 풀리(111, 121; 111', 121')을 구동연결하는 것으로, 그 상단 일지점은 제 1 가이드레일(60)에 고정되는 벨트고정구(61; 61')에 의해 고정되고 그 하단 일지점은 타측 제 1 도어행거(90; 90')에 결합된 벨트고정구(91; 91')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벨트고정구(91; 91')를 통해 제 1 슬라이딩도어(80; 80')의 개폐에 따른 작용력이 가해질 경우에, 벨트고정구(61; 61')에 의해 고정된 상단 일지점을 기준으로 잡아당겨짐에 따라 제 2 슬라이딩도어(140; 140')의 양측 제 2 도어행거(110, 120; 110', 120')에 각각 구비되는 풀리(111, 121; 111', 121')에 의해 그 형상을 유지한 채 좌우로 이동되면서 제 2 슬라이딩도어(140; 140')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 2 타이밍벨트(100; 100')의 좌우이동 범위는 벨트고정구(61; 61')와 일측풀리(111; 111')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제한되므로, 제 2 타이밍벨트(100; 100')의 일지점을 위치고정하는 벨트고정구(61; 61')의 고정위치를 제 1 가이드레일(60) 상에서 적절히 조정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슬라이딩도어(80, 140; 80', 140')의 최대이동범위가 조정될 수 있다.
제 2 타이밍벨트(100; 100')에 의해 구동연결되는 풀리(111, 121; 111', 121')를 각각 포함하는 양측 제 2 도어행거(110, 120; 110', 120')는 제 2 타이밍벨트(100; 100')로 제 1 슬라이딩도어(80; 80')의 이동력이 가해질 경우에 제 2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면서 그 하단에 결합된 제 2 슬라이딩도어(140; 140')를 이동시켜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배면측에는 제 2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이동가능한 양측 제 2 가이드휠(113, 123; 도시되지 않음)과, 양측 제 2 가이드휠(113, 123; 도시되지 않음)이 제 2 가이드레일(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롤러(도시되지 않음)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타측 제 1 도어행거(90; 90')의 밸트고정구(91; 91')가 제 2 타이밍벨트(100; 1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일측풀리(111; 111')는 제 1 슬라이딩도어(80; 80') 상으로 연장되는 일측 제 2 도어행거(111; 110') 상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10) 상에서 제 1 가이드레일(60) 아래에는 제 2 가이드레일(130)이 고정되는데, 제 2 가이드레일(130)은 양측 제 2 도어행거(110, 120; 110', 120')에 지지고정되는 제 2 슬라이딩도어(140; 140')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레일(60) 보다는 전방으로 덜 돌출됨으로써 출입구 개방시 제 1 슬라이딩도어(80; 80')가 제 2 슬라이딩도어(140; 140') 상으로 서서히 겹쳐지면서 최종적으로 고정도어 상에서 완전히 겹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측 제 2 도어행거(110, 120; 110', 120')의 하단에는 제 2 슬라이딩도어(140; 140')의 양측 상단이 각각 고정되는데, 제 2 슬라이딩도어(140; 140')는 출입구의 도어프레임에 설치되어 제 2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 1 슬라이딩도어(80; 80')와 함께 출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특히 출입구 개방시에는 양측 고정도어 상으로 제 1 슬라이딩도어(80; 80')와 함께 겹쳐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1)는 양측으로 개폐되는 이중슬라이딩도어를 중심으로 기재되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일측으로만 개폐되는 이중슬라이딩도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1)의 일측에 의한 개폐작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1)의 일측에 의한 개폐작동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출입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사람의 출입이 감지될 경우에, 건물의 출입구 상측에 고정되는 프레임(10) 상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0)가 컨트롤러(22)에 의해 개방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구동모터(20)의 회전은 감속기(21)를 거쳐 구동풀리(30)로 전달되어, 구동풀리(30)가 개방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구동풀리(30) 및 종동풀리(40)에 걸려진 제 1 타이밍벨트(50)가 개방방향으로 회전된다.
제 1 타이밍벨트(50)가 개방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 1 타이밍벨트(50)에 결합된 일측 제 1 도어행거(70)가 제 1 가이드레일(60)을 따라 개방방향, 즉 고정도어 쪽으로 이동되면서 일측 제 1 도어행거(70)의 하단에 결합된 제 1 슬라이딩도어(80)도 함께 이동되면서 개방되고, 제 1 슬라이딩도어(80)가 이동되기 시작하면, 제 1 슬라이딩도어(80)에 고정됨과 동시에 벨트고정구(91)에 의해 제 2 타이밍벨트(100)의 하단 일지점에 고정된 타측 제 1 도어행거(90)도 일체로 이동되면서 그 상단 일지점이 제 1 가이드레일(60)의 하단에 결합되는 벨트고정구(61)에고정된 제 2 타이밍벨트(100)를 개방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이 힘이 제 2 타이밍벨트(100)에 구동연결된 일측 제 2 도어행거(110)에 전달됨에 따라 일측 제 2 도어행거(1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 2 슬라이딩도어(140)도 제 2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개방방향으로, 즉 고정도어 상으로 이동된다.
이 경우에 제 1 슬라이딩도어(80)는 제 1 타이밍벨트(50)와 동일속도로 이동되지만, 제 2 슬라이딩도어(140)는 제 1 슬라이딩도어(80)에 의해 전달된 속도가 제 2 타이밍벨트(100)의 상, 하단으로 양분됨에 제 1 슬라이딩도어(80)의 속도의 0.5배에 해당하는 속도로 이동되므로, 출입구의 개방시 제 1 가이드레일(60)을 따라 이동되는 제 1 슬라이딩도어(80)는 제 1 가이드레일(60) 보다 전방으로 덜 돌출된 제 2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이동되는 제 2 슬라이딩도어(140) 상으로 점점 더 겹쳐지게 되고, 출입구의 완전 개방시에는 양 슬라이딩도어(80, 140)는 고정도어 상에 중첩된다.
출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사람의 출입이 더 이상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 건물의 출입구 상측에 고정되는 프레임(10) 상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0)가 컨트롤러(22)에 의해 폐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구동모터(20)의 회전은 감속기(21)를 거쳐 구동풀리(30)로 전달되어, 구동풀리(30)가 폐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구동풀리(30) 및 종동풀리(40)에 걸려진 제 1 타이밍벨트(50)가 폐쇄방향으로 회전된다.
제 1 타이밍벨트(50)가 폐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 1 타이밍벨트(50)에 결합된 일측 제 1 도어행거(70)가 제 1 가이드레일(60)을 따라 폐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일측 제 1 도어행거(70)의 하단에 결합된 제 1 슬라이딩도어(80)도 함께 폐쇄방향으로 이동되고, 제 1 슬라이딩도어(80)가 이동되기 시작하면, 제 1 슬라이딩도어(80)에 고정됨과 동시에 벨트고정구(91)에 의해 제 2 타이밍벨트(100)의 하단 일지점에 고정된 타측 제 1 도어행거(90)도 일체로 이동되면서 그 상단 일지점이 제 1 가이드레일(60)의 하단에 결합되는 벨트고정구(61)에 고정된 제 2 타이밍벨트(100)를 폐쇄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이 힘이 제 2 타이밍벨트(100)에 구동연결된 타측 제 2 도어행거(120)에 전달됨에 따라 타측 제 2 도어행거(120)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 2 슬라이딩도어(140)도 제 2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폐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제 2 슬라이딩도어(140)는 제 1 슬라이딩도어(80)에 의해 전달된 속도가 제 2 타이밍벨트(100)의 상, 하단으로 양분됨에 제 1 슬라이딩도어(80)의 속도의 0.5배에 해당하는 속도로 이동되므로, 제 1 슬라이딩도어(80)는 겹쳐진 상태에서 점차 제 2 슬라이딩도어(140) 상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는 양측 슬라이딩도어를 동일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시켜 더 넓은 공간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측 슬라이딩도어의 이동범위가 적절히 조정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에 의한 제 1 타이밍벨트의 회전구동에 의해, 상기 제 1 타이밍벨트에 일측 제 1 도어행거가 결합된 제 1 슬라이딩도어가 제 1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도어의 타측 제 1 도어행거는, 제 2 슬라이딩도어에 고정된 양측 제 2 도어행거에 각각 구비되는 풀리들을 구동연결하고 그 일지점이 위치고정되는 제 2 타이밍벨트의 다른 일지점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슬라이딩도어의 이동과 동시에 상기 제 2 타이밍벨트의 다른 일지점을 잡아당겨, 상기 제 2 슬라이딩도어를 제 2 가이드레일을 따라 제 1 슬라이딩도어와 동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제 1 도어행거와 제 2 타이밍벨트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일측풀리는 제 1 슬라이딩도어 상으로 연장되는 일측 제 2 도어행거 상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이밍벨트의 일지점의 고정위치의 조정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도어들의 최대이동범위가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
KR20-2004-0019259U 2004-07-07 2004-07-07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 KR2003685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259U KR200368512Y1 (ko) 2004-07-07 2004-07-07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259U KR200368512Y1 (ko) 2004-07-07 2004-07-07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512Y1 true KR200368512Y1 (ko) 2004-11-20

Family

ID=49441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259U KR200368512Y1 (ko) 2004-07-07 2004-07-07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51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207B1 (ko) * 2009-07-24 2012-03-27 유경오토메틱스(주) 자전거 수납부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KR200459994Y1 (ko) * 2009-07-01 2012-04-26 성하섭 다중 슬라이딩도어 구동장치
KR101535098B1 (ko) * 2015-01-24 2015-07-09 채준석 자동문 개폐장치
KR20190091240A (ko) 2019-07-26 2019-08-05 곽대성 무레일 슬라이딩 게이트 및 그의 설치 방법
KR20210074793A (ko) 2019-12-12 2021-06-22 강용재 자동문용 이탈 방지 안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994Y1 (ko) * 2009-07-01 2012-04-26 성하섭 다중 슬라이딩도어 구동장치
KR101124207B1 (ko) * 2009-07-24 2012-03-27 유경오토메틱스(주) 자전거 수납부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KR101535098B1 (ko) * 2015-01-24 2015-07-09 채준석 자동문 개폐장치
KR20190091240A (ko) 2019-07-26 2019-08-05 곽대성 무레일 슬라이딩 게이트 및 그의 설치 방법
KR20210074793A (ko) 2019-12-12 2021-06-22 강용재 자동문용 이탈 방지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0026B2 (en) Driven member positioner
US20020062932A1 (en) Multi-panel door with an auxiliary drive mechanism
US8464469B2 (en) Belt driven power sliding door with belt tensioner
JP6501604B2 (ja) 自動ドア装置
KR200368512Y1 (ko)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
KR101798987B1 (ko) 자동문 도어 구동장치
KR20110013829A (ko) 자동문 개폐장치
KR100579824B1 (ko) 이중 슬라이딩 자동문
JP2001003638A (ja) 車両用電動スライドドア装置
JP2008063018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200422571Y1 (ko) 방화유리 자동문
KR200368513Y1 (ko) 자동문용 도어행거
JP6880317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JPH06221054A (ja) 自動開閉引戸の開閉装置
JP2003193743A (ja) 自動ドア
JP261664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KR100788261B1 (ko) 방화유리 자동문
KR200284699Y1 (ko) 자동 도어 및 그것의 제어 장치
JPH11292432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ドア開閉装置
KR200462210Y1 (ko) 자동문 제어 장치
KR200200430Y1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JPH07102953B2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ドア装置
JP2002194950A (ja) ドア開閉装置およびドアシステム
JP2004270343A (ja) 気密保持型自動扉
JPH079142B2 (ja) シャ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