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624B1 -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 - Google Patents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624B1
KR102217624B1 KR1020190122314A KR20190122314A KR102217624B1 KR 102217624 B1 KR102217624 B1 KR 102217624B1 KR 1020190122314 A KR1020190122314 A KR 1020190122314A KR 20190122314 A KR20190122314 A KR 20190122314A KR 102217624 B1 KR102217624 B1 KR 102217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uide frame
guide
doo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성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양프리미엄도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양프리미엄도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양프리미엄도어
Priority to KR1020190122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52Frames; Posts
    • E05Y2800/353Frames; Posts fixed
    • E05Y2800/356Frames; Posts fixed horizontal fram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안내프레임 중 도어의 개폐시 슬라이딩레일에 간섭받지 않는 안내프레임 부위에 형성된 공간을 구동모터와 컨트롤러의 설치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 상기 안내프레임의 슬림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모터와 컨트롤러를 간편하게 점검 및 교체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Multiple sliding electric doors}
본 발명은 안내프레임 중 도어의 개폐시 슬라이딩레일에 간섭받지 않는 안내프레임 부위에 형성된 공간을 구동모터와 컨트롤러의 설치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 상기 안내프레임의 슬림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모터와 컨트롤러를 간편하게 점검 및 교체보수할 수 있는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문은 출입자가 직접 개폐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자체적으로 출입자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문짝을 개폐하거나, 개폐스위치를 조작하기만 하면 손을 대지 않아도 자동으로 문짝이 개폐되는 자동화된 문을 일컫는다.
이 중에서도 특히, 3중문은 문을 구성하는 개별 문짝을 3중으로 구비한 것으로, 이때 개별 문짝을 상호연동하도록 연결하는 장치가 연동장치이다.
이러한 연동장치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개별 문짝을 하나로 모아 3중문을 제작함에 있어 각 문짝의 개폐 동작을 연동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3중문의 횡이동을 자동화 또는 반자동화함으로써 출입자의 이용 편의를 극대화시킨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77570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77570호의 경우, 프레임체의 덮개판 위에 구동모터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체의 상하높이가 커지게 되어 상기 프레임체의 슬림화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모터의 점검과 교체보수를 위해서는 상기 프레임체의 외곽을 둘러싸면서 마감하는 함체로부터 상기 프레임체를 분리해야 번거로움이 있어 상기 구동모터의 간편하게 점검 및 교체보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7757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안내프레임 중 도어의 개폐시 슬라이딩레일에 간섭받지 않는 안내프레임 부위에 형성된 공간을 구동모터와 컨트롤러의 설치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 상기 안내프레임의 슬림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모터와 컨트롤러를 간편하게 점검 및 교체보수할 수 있는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내프레임과; 상기 안내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복수 구비되고, 하부에 도어가 각각 연결되며, 전동수단에 의해 상호 연동하여 상기 안내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자동으로 상기 도어와 함께 자동으로 슬라이딩이동하여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복수의 슬라이딩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에 있어서, 상기 안내프레임 중 상기 도어의 개폐시 복수의 상기 슬라이딩레일에 간섭받지 않으면서 사용되지 않는 상기 안내프레임의 일측부위를 절단하여 형성된 공간에 상기 전동수단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공간을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컨트롤러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안내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고정되는 덮개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전동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력전달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안내프레임의 중간부에 상기 안내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력전달부재는 상기 도어와 함께 상기 슬라이딩레일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안내프레임의 가이드슬릿에 상부가 수용된 상태로 하부가 상기 전동수단의 전동벨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슬릿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안내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회전체 및 상기 안내프레임의 상부 타측에 축결합되어 상기 구동회전체를 따라 회전하는 피동회전체로 이루어지는 회전체와; 상기 구동회전체와 상기 피동회전체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감겨져 상기 구동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피동회전체로 전달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부가 연결되는 감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안내프레임에 상부에 상기 안내프레임을 고정대상물에 고정 및 상기 회전체가 상기 고정대상물에 접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대상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고정프레임이 상기 회전체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안내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안내프레임의 상부 전측에 고정되는 전측고정프레임과; 상기 전측고정프레임을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안내프레임의 상부 후측에 고정되는 후측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측고정프레임과 상기 후측고정프레임 사이에 상기 회전체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시 슬라이딩레일에 간섭받지 않으면서 사용되지 않는 안내프레임의 일측부위를 절단하여 형성된 공간을 구동모터와 컨트롤러의 설치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어 상기 안내프레임의 슬림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모터와 컨트롤러를 간편하게 점검 및 교체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확대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안내프레임으로부터 덮개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안내프레임으로부터 구동모터, 컨트롤러, 슬라이딩레일 및 덮개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복수의 슬라이딩레일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평면도이고,
도 8은 안내프레임으로부터 고정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안내프레임의 설치상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분리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결합측면도이고,
도 15는 안내프레임의 설치상태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분리측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결합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확대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안내프레임으로부터 덮개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안내프레임으로부터 구동모터, 컨트롤러, 슬라이딩레일 및 덮개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안내프레임(10), 복수의 슬라이딩레일(20), 구동모터(30) 및 컨트롤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안내프레임(10)의 내측에는 복수의 상기 슬라이딩레일(20)이 상기 안내프레임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프레임(10)의 상부 중간부에는 상기 안내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가이드슬릿(110)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상기 슬라이딩레일(20)은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안내프레임(10)의 전측부 내측, 중간부 내측 및 후측부 내측에 각각 구비되는 전측슬라이딩레일(210), 중간슬라이딩레일(220) 및 후측슬라이딩레일(2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슬라이딩레일(210), 중간슬라이딩레일(220) 및 후측슬라이딩레일(230)로 구성될 수 있는 복수의 상기 슬라이딩레일(20)의 하부에 3중문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도어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복수의 슬라이딩레일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평면도이다.
상기 전측슬라이딩레일(210), 중간슬라이딩레일(220) 및 후측슬라이딩레일(230)로 구성되는 복수의 상기 슬라이딩레일(20)은 전동수단(240)에 의해 상호 연동하여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자동으로 상기 도어와 함께 슬라이딩이동하여 상기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전동수단(240)은 출입자에 의해 상기 도어에 걸리는 외력을 연동구(250)를 통해 이웃한 도어로 전파하는 수단으로서, 크게, 상기 중간슬라이딩레일(220)의 일측과 타측에 축고정된 한쌍의 풀리(241)와; 한쌍의 상기 풀리(241)에 감겨져 돌아가는 전동벨트(2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동구(250)는 복수의 상기 슬라이딩레일(20)을 상기 전동벨트(242)에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안내프레임(10), 복수의 슬라이딩레일(20), 전동수단(240) 및 연동구(250)는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77570호의 배경기술란을 통해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특히, 본 발명의 상기 안내프레임(10) 중 상기 도어의 개폐시 복수의 상기 슬라이딩레일(20)에 간섭받지 않으면서 사용되지 않는 상기 안내프레임(10)의 일측부위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홈형태의 공간(11)이 형성될 수 있다.
홈형태의 상기 공간(11)은 상기 슬라이딩레일(20)에 간섭받지 않으면서 사용되지 않는 상기 안내프레임(10)의 일측부위를 절단기 등의 절단수단을 통해 절단형성될 수 있으며, 크게 전측공간(111)과 중간공간(1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측공간(111)은 상기 안내프레임(10)의 일측부 전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공간(112)은 상기 전측공간(111)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안내프레임(10)의 일측부 중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공간(111)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W1)은 상기 중간공간(112)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W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11)의 중간공간(112)에는 상기 전동수단(240)의 전동벨트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모터(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기어박스(310)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0)와 함께 상기 기어박스(310)는 고정브라켓(311)에 의해 상기 공간(11)의 중간공간(112)에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311)의 일측 상부에 상기 기어박스(310)의 상부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브라켓(311)의 타측은 상기 고정브라켓(311)의 타측 주변의 상기 안내프레임(10)의 일측부 중간 하부 부위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공간(11)의 전측공간(111)에는 상기 구동모터(3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40)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고정편(4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측공간(111)의 일측 주변 및 타측 주변의 상기 안내프레임(10)의 전측면 부위를 상기 고정편(410)의 고정부위로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편(410)은 상기 전측공간(111)의 일측 주변 및 타측 주변의 상기 안내프레임(10)의 전측면 부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전측공간(111)의 일측 주변 및 타측 주변의 상기 안내프레임(10)의 전측면 부위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정편(410)은 상기 고정편(410)과 마주보는 후술할 커버프레임의 전측부 내측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의 개폐시 상기 슬라이딩(20)에 간섭받지 않으면서 사용되지 않는 상기 안내프레임(10)의 일측부위를 절단하여 형성된 상기 공간(11)을 상기 구동모터(30)와 상기 컨트롤러(40)의 설치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상기 안내프레임(10)의 상하높이를 최소화한 상태로 상기 안내프레임(10)의 슬림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모터(30)와 상기 컨트롤러(40)를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덮개프레임(5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프레임(50)의 내측에 상기 구동모터(30)와 상기 컨트롤러(40)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덮개프레임(50)의 상부는 상기 안내프레임(10)의 공간(11) 주변의 상기 안내프레임(10)의 일측 하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후술할 상기 커버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안내프레임(10)을 분리시키지 않고 상기 안내프레임(10)의 하부방향으로 상기 덮개프레임(50)을 분리시켜 상기 구동모터(30)와 상기 컨트롤러(40)를 간편하게 점검 및 교체보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안내프레임으로부터 고정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을 상기 전동수단(240)의 전동벨트(242)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력전달부재(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60)는 일예로, 도 6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연결프레임(610), 회전체(620) 및 감김부재(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610)이 상기 도어와 함께 상기 슬라이딩레일(20)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안내프레임(10)의 가이드슬릿(110)에 상기 연결프레임(610)의 상부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연결프레임(610)의 하부가 상기 전동수단(240)의 전동벨트(242)에 볼트고정, 접착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프레임(610)은 상기 가이드슬릿(1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상기 슬라이딩레일(20)의 중간슬라이딩레일(220)의 상부 중간부에는 상기 연결프레임(610)의 상부가 통과하는 안내슬릿이 상기 안내프레임(10)의 가이드슬릿(1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620)는 구동회전체(621)와 피동회전체(6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회전체(621)는 상기 구동모터(30)와 결합된 기어박스(310)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안내프레임(10)의 상부 일측에 수평배치되어 상기 기어박스(310)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피동회전체(622)는 상기 안내프레임(10)의 상부 타측에 수평으로 축결합되어 상기 구동회전체(621)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감김부재(63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구동회전체(621)와 상기 피동회전체(622)에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감김부재(630)는 상기 구동회전체(621)의 회전력을 상기 피동회전체(622)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감김부재(630)의 전측부 중간부에 상기 연결프레임(610)의 상부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620)는 풀리, 스프로켓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감김부재(630)는 풀리에 감겨지는 벨트, 스프로켓에 감겨지는 체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안내프레임의 설치상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분리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결합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안내프레임(10)은 도 11 내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틀 상부 또는 천장에 수평으로 설치된 레일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고정대상물(3)에 고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3중문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도어(5)가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폐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안내프레임(10)의 상부에는 도 8 내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프레임(10)을 상기 고정대상물(3)에 고정 및 상기 회전체(620)가 상기 고정대상물(3)에 접하지 않은 상태로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대상물(3)로부터 상기 회전체(620)를 상기 고정대상물(3)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고정프레임(70)이 상기 회전체(62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70)은 상기 안내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수평연장된 상태로 상기 회전체(620) 주변의 상기 안내프레임(10)의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70)은 상기 고정대상물(3)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70)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체(620)를 상기 고정대상물(3)의 하부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격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프레임(70)의 상하높이(H1)는 상기 회전체(620)의 상하높이(H2)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회전체(620) 주변의 상기 안내프레임(10)의 상부에는 1개의 상기 고정프레임(70)이 구비될 수 있겠으나, 상기 회전체(620)를 상기 고정대상물(3)의 하부방향으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이격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체(620) 주변의 상기 안내프레임(10)의 상부에 2개의 상기 고정프레임(70)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이 좋다.
2개의 상기 고정프레임(70)은 도 8 내지 도 10 및 도 13,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전측고정프레임(710)과 후측고정프레임(7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고정프레임(710)과 상기 후측고정프레임(720)은 각각 상기 안내프레임(10)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안착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전측고정프레임(710)과 상기 후측고정프레임(720) 사이에 상기 회전체(620)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5는 안내프레임의 설치상태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분리측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결합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안내프레임(10)은 도 15 내지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버프레임(8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프레임(80)의 상부는 상기 고정프레임(70)과 함께 상기 고정대상물(3)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프레임(80)의 전측과 후측은 상기 커버프레임(8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프레임(80)을 통해 복수의 상기 슬라이딩레일(20)이 상기 커버프레임(8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커버프레임(80)의 외관의 미려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커버프레임(80)의 전측과 후측은 상기 슬라이딩레일(20)을 가릴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슬라이딩레일(2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상하연장될 수 있다.
10; 안내프레임, 20; 슬라이딩레일,
30; 구동모터, 40; 컨트롤러.

Claims (6)

  1. 안내프레임과; 상기 안내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복수 구비되고, 하부에 도어가 각각 연결되며, 전동수단에 의해 상호 연동하여 상기 안내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자동으로 상기 도어와 함께 자동으로 슬라이딩이동하여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복수의 슬라이딩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에 있어서,
    상기 안내프레임의 중간부에 상기 안내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프레임 중 상기 도어의 개폐시 복수의 상기 슬라이딩레일에 간섭받지 않으면서 사용되지 않는 상기 안내프레임의 일측부위를 절단하여 형성된 공간에 상기 전동수단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공간을 활용하며,
    상기 도어와 함께 상기 슬라이딩레일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안내프레임의 가이드슬릿에 상부가 수용된 상태로 하부가 상기 전동수단의 전동벨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슬릿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안내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회전체 및 상기 안내프레임의 상부 타측에 축결합되어 상기 구동회전체를 따라 회전하는 피동회전체로 이루어지는 회전체와, 상기 구동회전체와 상기 피동회전체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감겨져 상기 구동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피동회전체로 전달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부가 연결되는 감김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전동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력전달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컨트롤러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안내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고정되는 덮개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프레임에 상부에 상기 안내프레임을 고정대상물에 고정 및 상기 회전체가 상기 고정대상물에 접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대상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고정프레임이 상기 회전체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안내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안내프레임의 상부 전측에 고정되는 전측고정프레임과;
    상기 전측고정프레임을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안내프레임의 상부 후측에 고정되는 후측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측고정프레임과 상기 후측고정프레임 사이에 상기 회전체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
  5. 삭제
  6. 삭제
KR1020190122314A 2019-10-02 2019-10-02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 KR102217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314A KR102217624B1 (ko) 2019-10-02 2019-10-02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314A KR102217624B1 (ko) 2019-10-02 2019-10-02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624B1 true KR102217624B1 (ko) 2021-02-19

Family

ID=74687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314A KR102217624B1 (ko) 2019-10-02 2019-10-02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6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370B1 (ko) * 2021-09-01 2022-09-01 (주)디앤지오토매틱 교체가 용이한 리니어모터를 구비하는 에너지 절감형 자동문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735B1 (ko) * 2014-07-11 2015-08-05 권인희 슬라이딩 자동문 구동 장치
KR101777570B1 (ko) 2016-06-02 2017-09-13 정영호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735B1 (ko) * 2014-07-11 2015-08-05 권인희 슬라이딩 자동문 구동 장치
KR101777570B1 (ko) 2016-06-02 2017-09-13 정영호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370B1 (ko) * 2021-09-01 2022-09-01 (주)디앤지오토매틱 교체가 용이한 리니어모터를 구비하는 에너지 절감형 자동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9297B2 (en) Rolling door, in particular fast-moving industrial door
KR100805364B1 (ko) 난간형 슬라이딩 자동도어
KR20060055335A (ko) 플랫폼 도어 장치
KR20060096323A (ko) 스크린도어 장치
JP2018035560A (ja) シャッター装置の電源切替方法及びそのシャッター装置
EP2143682A1 (en) Doorway device for elevator
KR100761035B1 (ko)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 가이드장치
KR100805366B1 (ko)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KR102217624B1 (ko)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
US7617860B2 (en) Elevator door system
KR20120134768A (ko) 미닫이문 연동 개폐 장치
JP7043588B2 (ja) ドア、特にスパイラルドア
KR102223558B1 (ko) 수동개폐를 위한 구조를 갖는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JPH06239225A (ja) 乗降口扉装置
KR20010085208A (ko) 포장 기계용 하우징
KR101649494B1 (ko) 비상문 자동 개폐형 도어
KR102046460B1 (ko)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
KR100700296B1 (ko) 나열식 디펜스 도어의 연결구조
KR20160003957U (ko) 흔들림 방지 구조를 갖는 디펜스 도어 개폐장치
KR102625667B1 (ko) 레일 및 무레일 겸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KR890006432Y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개폐장치
JP4782534B2 (ja) 自動扉開閉装置
WO2012150624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EP3929393A1 (en) High speed sliding roll-up door comprising an upper shelter area for accommodating a flexible curtain in the open configuration of the door
KR100460540B1 (ko)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