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5366B1 -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 Google Patents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366B1
KR100805366B1 KR1020070017702A KR20070017702A KR100805366B1 KR 100805366 B1 KR100805366 B1 KR 100805366B1 KR 1020070017702 A KR1020070017702 A KR 1020070017702A KR 20070017702 A KR20070017702 A KR 20070017702A KR 100805366 B1 KR100805366 B1 KR 100805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ulley
fixed
movable
tim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완호
Original Assignee
(주) 이엔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엔이씨 filed Critical (주) 이엔이씨
Priority to KR1020070017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4Type of motion, e.g. braking lin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식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도어가 슬라이딩식으로 개폐되는 자동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면이 개방된 수납케이싱과 상기 수납케이싱의 내측에 다단식으로 연동되면서 차례로 입출되는 제 1도어와 제 2도어와 제 3도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수납케이싱은 후면판의 내측면 상하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이 제 1도어의 후면 상하에 구비된 가이드블록과 각각 가이드결합되어 있고 후면판 내측면 하부에는 구동모터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고정타이밍벨트의 일측이 제 1도어의 후면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벨트구동되어 제 1도어를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는 고정구동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1도어는 전면 상하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이 제 2도어의 후면 상하에 구비된 가이드블록과 각각 가이드결합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고정구동부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의 일측이 제 2도어의 후면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벨트구동되어 제 2도어를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1이동식구동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2도어는 전면 상하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이 제 3도어의 후면 상하에 구비된 가이드블록과 각각 가이드결합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제 1이동식구동부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의 일측이 제 3도어의 후면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벨트구동되어 제 3도어를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2이동식구동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에 관한 것이다.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수납케이싱, 고정구동부, 제 1이동식구동부, 제 2이동식구동부

Description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A multistage auto-do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가 닫혀지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일부를 절개한 상태의 투시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에서 제 1도어에 고정구동부와 제 1이동식구동부가 조립 체결되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에서 제 2도어에 제 1이동식구동부와 제 2이동식구동부가 조립 체결되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에서 제 3도어에 제 2이동식구동부가 조립 체결되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에서 제 1이동식구동부(또는 제 2이동식구동부)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에서 제 1이동식구동부(또 는 제 2이동식구동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가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닫혀지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슬라이딩 자동도어 2. 수납케이싱
3. 제 1도어 4. 제 2도어
5. 제 3도어 6. 후면판
7a, 7b, 7c. 가이드레일 8a, 8b, 8c. 가이드블록
9. 고정구동부 10. 구동모터
11. 고정타이밍벨트 12. 제 1고정구동부풀리
13. 제 2고정구동부풀리 14. 보조풀리
15. 구동풀리 16a, 16b, 16c. 연결편
17a, 17b, 17c. 연결볼트 18. 제 1이동식구동부
19a, 19b, 19c. 관통공 20.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
21a, 21b. 제 1전면풀리 22a, 22b. 제 2전면풀리
23a, 23b. 회전축관통공 24a, 24b. 회전축
25a, 25b. 25c, 25d. 고정베어링 26a, 26b. 후면풀리
27a, 27b, 27c, 27d. 아이들롤러 28. 제 2이동식구동부
29.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
본 발명은 다수개의 타이밍벨트와 풀리에 의해 다단식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도어가 자동으로 슬라이딩식으로 개폐되는 자동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면이 개방된 수납케이싱과 상기 수납케이싱의 내측에 다단식으로 연동되면서 차례로 입출되는 제 1도어와 제 2도어와 제 3도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수납케이싱은 후면판의 내측면 상하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이 제 1도어의 후면 상하에 구비된 가이드블록과 각각 가이드결합되어 있고 후면판 내측면 하부에는 구동모터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고정타이밍벨트의 일측이 제 1도어의 후면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벨트구동되어 제 1도어를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는 고정구동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1도어는 전면 상하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이 제 2도어의 후면 상하에 구비된 가이드블록과 각각 가이드결합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고정구동부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의 일측이 제 2도어의 후면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벨트구동되어 제 2도어를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1이동식구동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2도어는 전면 상하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이 제 3도어의 후면 상하에 구비된 가이드블록과 각각 가이드결합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제 1이동식구동부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제 2이동식 타이밍벨트의 일측이 제 3도어의 후면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벨트구동되어 제 3도어를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2이동식구동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도어는 각종 건물의 자동문으로 설치되거나 전철 역사의 승강장 끝단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개폐되면서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통상적인 상하 레일이 설치된 사각틀형상의 프레임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상하 레일을 따라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도어의 상하부에는 각각 다수개의 롤러가 설치되어 있어 프레임에 설치된 레일위에서 상기 도어가 자연스럽게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슬라이딩 도어는 하나만 설치되어 일측에서만 개폐되도록 하거나 또는 좌우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양쪽에서 동시에 개폐되도록 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는 도어의 개방시 도어가 수납될 수 있도록 도어와 동일한 크기의 도어수납공간이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야 하므로 상기 프레임의 도어수납공간은 더이상 사용할 수 없는 비활용공간으로 되어 공간활용이 비효율적이며 설치공간이 좁은 장소에서는 전혀 설치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도어가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도어의 이동구간에 위치된 프레임의 상하에는 각각 별도의 레일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어 레일설치에 따른 설치비용의 증가 및 설치기간, 노동력 등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 0417171호에서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부에 배열되고 중앙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양편에 대칭되게 돌출된 수평부재,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레일을 포함하는 상부구조체와, 상기 상부구조체의 레일에 얹혀지고 복수의 상부롤러가 집합되어 이루어진 다수의 롤러세트와, 상기 롤러세트를 하나씩 구비하고 있는 다수의 도어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하부레일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 도어패널 하부에는 상기 하부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하부롤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고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된 구동풀리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 타측에 장착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폴리와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와 상기 타이밍벨트 및 도어패널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단 슬라이딩 행거도어"가 개시되었으며, 상기 다단 슬라이딩 행거도어에서는 하나의 도어만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하지 않고 다수개의 도어가 다단식으로 연결된 상태로 개폐되도록 하여 도어수납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상기 다단 슬라이딩 행거도어도 이동되는 구간 상하에 각각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이 설치된 별도의 프레임이 구비된 상태에서 가동되도록 되어 있어 종래와 같이 레일 및 프레임 설치에 따른 각종 문제점이 수반되며, 또한 선단에 설치된 제 1도어패널이 일정거리를 먼저 이동한 후 상기 제 1도어패널이 다음에 위치된 제 2도어패널을 끌어당기는 방식으로 개폐되어 전체 도어패널이 한꺼번에 동시에 작동되지 않아 개폐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 도어를 다수개가 연동되는 다단식으로 분할 구성하여 도어수납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공간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설치공간이 좁은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설치가능하도록 하며 다단식의 도어들이 이동되는 부분에는 별도의 레일이 설치된 프레임없이도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더욱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별도의 레일 및 프레임설치에 따른 문제점이 개선되도록 하고, 전체 도어들이 동시에 연속적으로 연동되면서 개폐되어 전체 도어의 개폐시간이 짧고 자연스럽게 개폐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면이 개방된 수납케이싱과 상기 수납케이싱의 내측에 다단식으로 연동되면서 차례로 입출되는 제 1도어와 제 2도어와 제 3도어로 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케이싱은 후면판의 내측면 상하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이 제 1도어의 후면 상하에 구비된 가이드블록과 가이드결합되어 있고 후면판 내측면 하부에는 구동모터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고정타이밍벨트의 일측이 제 1도어의 후면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벨트구동되어 제 1도어를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는 고정구동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1도어는 전면 상하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이 제 2도어의 후면 상하에 구비된 가이드블록과 가이드결합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고정구동부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의 일측이 제 2도어의 후면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벨트구동되어 제 2도어를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1이동식구동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2도어는 전면 상하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이 제 3도어의 후면 상하에 구비된 가이드블록과 가이드결합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제 1이동식구동부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의 일측이 제 3도어의 후면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벨트구동되어 제 3도어를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2이동식구동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1)는 도 1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건물의 입구에 설치되거나 또는 전철 역사 등의 승강장 끝단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출입구를 형성하면서 미닫이식으로 슬라이딩 자동 개폐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일측면이 개방된 상태로 지면위에 고정설치되는 수납케이싱(2)과, 상기 수납케이싱(2)의 내측에 수납된 상태로 다단식으로 연동(連動)되면서 차례로 입출되는 제 1도어(3)와 제 2도어(4)와 제 3도어(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케이싱(2)은 도 1 내지 4,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위에 고정설치되어 슬라이딩 자동도어(1)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면서 내측에 제 1도어(3)와 제 2도어(4)와 제 3도어(5)가 세워진 상태에서 나란히 인접되어 수납되도록 되어 있는 직육면체형 케이싱으로, 일측이 개방되어 있어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제 1도 어(3)와 제 2도어(4)와 제 3도어(5)가 입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케이싱(2)의 후면판(6) 내측면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가이드레일(7a)이 횡방향으로 길게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7a)은 제 1도어(3)의 후면 상부 및 하부에 고정부착된 가이드블록(8a)과 가이드결합되어 있어 수납케이싱(2)의 가이드레일(7a)을 따라 제 1도어(3)의 가이드블록(8a)이 자연스럽게 좌우양측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판(6)의 내측 하부에는 고정구동부(9)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와 같이 수납케이싱(2)의 후면판(6) 내측면에 가이드결합되어 있는 제 1도어(3)에 구동력을 부여하여 상기 제 1도어(3)가 좌우양측으로 왕복이동되면서 출입구를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동부(9)는 도 1, 2, 4,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케이싱(2)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제 1도어(3)를 좌우 왕복이동시키면서 상기 제 1도어(3)의 제 1이동식구동부(18)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는 부분으로, 상기 수납케이싱(2)의 타측끝단 바닥면에 고정설치된 구동모터(10)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고정타이밍벨트(11)가 수납케이싱(2)의 후면판(6) 내측면 하부에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되, 상기 고정타이밍벨트(11)는 기어이가 형성된 통상의 타이밍 벨트(timing belt)로서 후면판(6)의 내측면 하부에 고정부착된 가이드레일(7a)의 하부쪽에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제 1고정구동부풀리(12)와 제 2고정구동부풀리(13) 및 보조풀리(14)와 구동모터(10)의 축에 축설된 구동풀리(15)에 벨트결합되어 있어 상기 구동모터(10)의 정역회전에 의해 제 1고정구동부풀리(12)와 제 2고정구동부풀 리(13) 및 보조풀리(14)와 구동풀리(15)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정확하게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타이밍벨트(11)의 하부쪽 일측에는 연결편(16a)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편(16a)은 제 1도어(3)의 후면 하부에 연결볼트(17a)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고정타이밍벨트(11)의 정역회전에 따라 제 1도어(3)가 함께 좌우양측으로 왕복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타이밍벨트(11)의 상부쪽 일측에는 제 1도어(3)의 타측 하부에 후면부쪽으로 돌출 설치된 제 1이동식구동부(18)의 후면풀리(26a)가 벨트결합되도록 개재(介在)되어 있어 제 1도어(3)의 좌우 이동과 함께 제 1이동식구동부(18)의 후면풀리(26a)가 상부쪽 고정타이밍벨트(11)를 따라 횡방향으로 좌우 이동되면서 일정하게 회전되어 제 1이동식구동부(18)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편(16a)은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고정타이밍벨트(11)의 하부에서만 좌우 양측으로 수평왕복이동되며 상기 제 1이동식구동부(18)의 후면풀리(26a)는 고정타이밍벨트(11)의 상부에서만 좌우 양측으로 수평왕복이동되어 제 1도어(3)가 수평방향으로 원활히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고정구동부풀리(12)와 제 2고정구동부풀리(13)와 구동풀리(15)는 외주면에 상기 고정타이밍벨트(11)에 형성된 기어이와 동일한 치형을 지닌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어 벨트구동시 미끄러지지 않고 정확하게 맞물려 일정간격으로 벨트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보조풀리(14)는 제 1고정구동부풀리(12)와 제 2고정구동부풀리(13)와 구동풀리(15)에 벨트결합된 고정타이밍벨트(11)를 하부쪽에서 받쳐주어 고정타이밍 벨트(11)의 하부가 아래쪽으로 쳐지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원활히 회전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10)는 통상의 근접감지센서 또는 적외선감지센서 등을 포함한 각종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있어 통상의 근접감지센서 등에 출입자가 감지되거나 또는 통상의 작동스위치를 눌러 수동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10)가 일방향으로 일정시간동안 회전구동되어 제 1도어(3)와 제 2도어(4)와 제 3도어(5)가 수납케이싱(2)의 내측으로 완전히 수납되어 출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일정시간이 경과되거나 출입자가 더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 1도어(3)와 제 2도어(4)와 제 3도어(5)가 수납케이싱(2)의 외측으로 나와 출입구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도어(3)는 도 1 내지 5, 7,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구간에 별도의 레일이나 프레임없이도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구동부(9)에 의해 좌우 왕복이동되면서 상기 고정구동부(9)로부터의 구동력을 제 2도어(4)로 전달하여 동시에 연동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수직으로 세워져 있으며 전면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횡방향으로 길게 가이드레일(7b)이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7b)은 제 2도어(4)의 후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고정부착된 가이드블록(8b)과 가이드결합되어 있어 제 1도어(3)의 가이드레일(7b)을 따라 제 2도어(4)의 가이드블록(8b)이 자연스럽게 좌우양측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 1도어(3)의 하부에는 제 1이동식구동부(18)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와 같이 제 1도어(3)의 전면에 가이드결합되어 있는 제 2도어(4)에 고정구동부(9)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 2도어(4)가 제 1도어(3)와 함께 연동되면서 좌우양측으로 왕복이동되어 출입구를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도어(3)는 하부 타측에 관통공(19a)이 천공되어 있어 고정타이밍벨트(11)의 연결편(16a)을 고정 체결하는 연결볼트(17a)가 상기 관통공(19a)을 통해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편(16a)과 일체로 체결 고정되면서 상기 고정타이밍벨트(11)와 제 1도어(3)가 단단하게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이동식구동부(18)는 도 1, 2, 4, 5,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도어(3)와 함께 이동되면서 고정구동부(9)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으로 제 2도어(4)를 좌우 왕복이동시키고 상기 제 2도어(4)의 제 2이동식구동부(28)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는 부분으로, 상기 제 1도어(3)의 전면 하부에 고정구동부(9)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되는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가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는 기어이가 형성된 통상의 타이밍 벨트(timing belt)로서 제 1도어(3)의 전면 하부에 고정부착된 가이드레일(7b)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제 1전면풀리(21a)와 제 2전면풀리(22a)사이에 벨트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전면풀리(21a)는 제 1도어(3)의 전후면 양측으로 돌출 설치된 회전축(24a)의 전면쪽에 일체로 축설되어 있되 상기 회전축(24a)은 제 1도어(3)의 타측에 천공된 회전축관통공(23a)에 삽입된 상태로 회 전축관통공(23a)의 전후 양측에 삽입 개재(介在)된 고정베어링(25a)(25b)에 관통체결되어 있어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 1도어(3)의 후면쪽으로 돌출된 부분의 회전축(24a)에는 후면풀리(26a)가 일체로 축설되어 있어 상기 제 1전면풀리(21a)와 후면풀리(26a)가 함께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후면풀리(26a)는 고정타이밍벨트(11)의 상부쪽에 벨트결합되도록 개재(介在)되어 있어 제 1도어(3)의 이동과 함께 제 1이동식구동부(18)의 후면풀리(26a)가 상부쪽의 고정타이밍벨트(11)를 따라 횡방향으로 좌우 이동되면서 일정하게 회전되어 회전축(24a)에 의해 일체로 체결된 제 1전면풀리(21a)를 함께 회전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전면풀리(21a)는 고정타이밍벨트(11)가 회전한 만큼 동일하게 회전되면서 상기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를 정역회전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의 하부쪽 일측에는 연결편(16b)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편(16b)은 제 2도어(4)의 후면 하부에 연결볼트(17b)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의 정역회전에 따라 제 2도어(4)가 함께 좌우양측으로 왕복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의 상부쪽 일측에는 제 2도어(4)의 타측 하부에 후면부쪽으로 돌출 설치된 제 2이동식구동부(28)의 후면풀리(26b)가 벨트결합되도록 개재(介在)되어 있어 제 2도어(4)의 좌우 이동과 함께 제 2이동식구동부(28)의 후면풀리(26b)가 상부쪽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를 따라 횡방향으로 좌우 이동되면서 일정하게 회전되어 제 2이동식구동부(28)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편(16b)은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의 하 부에서만 좌우 양측으로 수평왕복이동되며 상기 제 2이동식구동부(28)의 후면풀리(26b)는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의 상부에서만 좌우 양측으로 수평왕복이동되어 제 2도어(4)가 수평방향으로 원활히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전면풀리(21a)와 제 2전면풀리(22a)와 후면풀리(26a)는 외주면에 상기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에 형성된 기어이와 동일한 치형을 지닌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어 벨트구동시 미끄러지지 않고 정확하게 맞물려 일정간격으로 벨트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도어(3)는 후면풀리(26a)가 설치된 부분의 좌우 양측에 각각 아이들롤러(idle roller)(27a)(27b)가 근접 설치되어 있어 후면풀리(26a)에 벨트결합되는 부분의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를 상기 아이들롤러(27a)(27b)가 좌우양측에서 후면풀리(26a)쪽으로 밀착시켜주어 상기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가 후면풀리(26a)의 상부를 완전히 감싸도록 하여 후면풀리(26a)와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가 밀접하게 맞닿은 상태에서 정확한 벨트구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2도어(4)는 도 1 내지 3, 5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구간에 별도의 레일이나 프레임없이도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제 1이동식구동부(18)에 의해 좌우 왕복이동되면서 상기 제 1이동식구동부(18)로부터의 구동력을 제 3도어(5)로 전달하여 동시에 연동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수직으로 세워져 있으며 전면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횡방향으로 길게 가이드레일(7c)이 고정부착되 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7c)은 제 3도어(5)의 후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고정부착된 가이드블록(8c)과 가이드결합되어 있어 제 2도어(4)의 가이드레일(7c)을 따라 제 3도어(5)의 가이드블록(8c)이 자연스럽게 좌우양측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 2도어(4)의 하부에는 제 2이동식구동부(28)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와 같이 제 2도어(4)의 전면에 가이드결합되어 있는 제 3도어(5)에 제 1이동식구동부(18)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 3도어(5)가 제 1도어(3) 및 제 2도어(4)와 함께 연동되면서 좌우양측으로 왕복이동되어 출입구를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도어(4)는 하부 타측에 관통공(19b)이 천공되어 있어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의 연결편(16b)을 고정 체결하는 연결볼트(17b)가 상기 관통공(19b)을 통해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편(16b)과 일체로 체결 고정되면서 상기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와 제 2도어(4)가 단단하게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2이동식구동부(28)는 도 1, 2, 5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도어(4)와 함께 이동되면서 제 1이동식구동부(18)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으로 제 3도어(5)를 좌우 왕복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부분으로, 상기 제 2도어(4)의 전면 하부에 제 1이동식구동부(18)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되는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가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는 기어이가 형성된 통상의 타이밍 벨트(timing belt)로서 제 2도어(4)의 전면 하부에 고정부착된 가이드레일(7c)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제 1전면풀리(21b)와 제 2전면풀리(22b)사이에 벨트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전면풀리(21b)는 제 2도어(4)의 전후면 양측으로 돌출 설치된 회전축(24b)에 일체로 축설되어 있되 상기 회전축(24b)은 제 2도어(4)의 타측에 천공된 회전축관통공(23b)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축관통공(23b)의 전후 양측에 삽입 개재(介在)된 고정베어링(25c)(25d)에 관통체결되어 있어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 2도어(4)의 후면쪽으로 돌출된 부분의 회전축(24b)에는 후면풀리(26b)가 일체로 축설되어 있어 상기 제 1전면풀리(21b)와 후면풀리(26b)가 함께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후면풀리(26b)는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의 상부쪽에 벨트결합되도록 개재(介在)되어 있어 제 2도어(4)의 이동과 함께 제 2이동식구동부(28)의 후면풀리(26b)가 상부쪽의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를 따라 횡방향으로 좌우 이동되면서 일정하게 회전되어 회전축(24b)에 의해 일체로 체결된 제 1전면풀리(21b)를 함께 회전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전면풀리(21b)는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가 회전한 만큼 동일하게 회전되면서 상기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를 정역회전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의 하부쪽 일측에는 연결편(16c)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편(16c)은 제 3도어(5)의 후면 하부에 연결볼트(17c)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의 정역회전에 따라 제 3도어(5)가 함께 좌우양측으로 왕복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편(16c)은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의 하 부에서만 좌우 양측으로 수평왕복이동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제 3도어(5)가 수평방향으로 원활히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전면풀리(21b)와 제 2전면풀리(22b)와 후면풀리(26b)는 외주면에 상기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에 형성된 기어이와 동일한 치형을 지닌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어 벨트구동시 미끄러지지 않고 정확하게 맞물려 일정간격으로 벨트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도어(4)는 후면풀리(26b)가 설치된 부분의 좌우 양측에 각각 아이들롤러(idle roller)(27c)(27d)가 근접 설치되어 있어 후면풀리(26b)에 벨트결합되는 부분의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를 상기 아이들롤러(27c)(27d)가 좌우양측에서 후면풀리(26b)쪽으로 밀착시켜주어 상기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가 후면풀리(26b)의 상부를 완전히 감싸도록 하여 후면풀리(26b)와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가 밀접하게 맞닿은 상태에서 정확한 벨트구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3도어(5)는 도 1 내지 3, 6,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구간에 별도의 레일이나 프레임없이도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제 2이동식구동부(28)에 의해 좌우 왕복이동되도록 되어 있는 부분으로, 수직으로 세워져 있으며 후면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가이드블록(8c)이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블록(8c)은 제 2도어(4)의 전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고정부착된 가이드레일(7c)과 가이드결합되어 있어 제 2도어(4)의 가이드레일(7c)을 따라 제 3도어(5)의 가이드 블록(8c)이 자연스럽게 좌우양측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의 하부쪽 일측에 돌출형성된 연결편(16c)이 제 3도어(5)의 후면 하부에 연결볼트(17c)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의 정역회전에 따라 제 3도어(5)가 함께 좌우양측으로 왕복이동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제 3도어(5)의 하부 타측에는 관통공(19c)이 천공되어 있어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의 연결편(16c)을 고정 체결하는 연결볼트(17c)가 상기 관통공(19c)을 통해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편(16c)과 일체로 체결 고정되면서 상기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와 제 3도어(5)가 단단하게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도어(4)를 구비하지 않고 제 1도어(3)에 제 3도어(5)가 연결된 상태로 연동되어 출입구가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 2도어(4)와 제 3도어(5) 사이에 제 2도어(4)와 동일한 구조로 된 별도의 다른 제 2도어(4)를 추가로 연결 장착하여 더욱 많은 수의 도어가 다단식으로 개폐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너무 많은 수의 도어가 다단식으로 연결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자동도어(1)가 상하부에 별도의 레일이나 프레임없이 작동되는 외팔보(cantilever) 구조로 개폐작동되도록 되어 있어 강한 휨 모멘트를 받기 때문에 하중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는 가장 끝부분의 도어가 아래쪽으로 기울어지거나 가이드레일(7a)(7b)(7c) 및 가이드블록(8a)(8b)(8c)이 쉽게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 므로 전체 도어는 2 ~ 5개가 다단식으로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쪽으로만 개폐되거나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으로 동시에 개폐되도록 하여 각종 건물의 입구에 설치되거나 또는 전철 역사 등의 승강장 끝단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출입구를 형성하면서 미닫이식으로 슬라이딩 자동개폐되도록 하는데, 설치할 곳의 지면위에는 수납케이싱(2)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수납케이싱(2)의 내측에 수납되어 있는 제 1도어(3)와 제 2도어(4)와 제 3도어(5)를 동시에 다단식으로 연동시켜 출입구가 자동으로 개폐작동되도록 한다.
먼저, 출입구가 닫혀진 상태에서 수납케이싱(2)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구동부(9)의 구동모터(10)에 연결된 통상의 근접감지센서 또는 적외선감지센서 등을 포함한 각종 제어장치에서 출입자를 자동으로 감지하면 상기 구동모터(10)가 일방향으로 일정시간동안 회전구동되어 제 1도어(3)와 제 2도어(4)와 제 3도어(5)가 다단식으로 동시에 연동되면서 수납케이싱(2)의 내측으로 완전히 수납되어 출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상기 구동모터(10)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고정구동부(9)의 구동풀리(15)와 제 1고정구동부풀리(12)와 제 2고정구동부풀리(13)에 벨트결합되어 있는 고정타이밍벨트(11)가 정회전되어 벨트구동되면서 상기 고정타이밍벨트(11)의 하부 일측에 일체로 연결된 제 1도어(3)도 고정타이밍벨트(11)의 구동에 의해 수납케이싱(2)의 후면판(6) 내측면 상하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7a)을 따라 타측방향(수납케이싱(2)의 내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고정타이밍벨트(11)의 상부 일측에 벨트결합된 상태로 개재(介在)되어 있는 제 1도어(3)의 후면에 위치된 제 1이동식구동부(18)의 후면풀리(26a)가 고정타이밍벨트(11)를 따라 타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벨트구동으로 회전되어 제 1이동식구동부(18)가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고, 상기 제 1이동식구동부(18)의 전면에 위치된 제 1전면풀리(21a)와 제 2전면풀리(22a)에 벨트결합되어 있는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가 정회전되어 벨트구동되면서 상기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의 하부 일측에 일체로 연결된 제 2도어(4)가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의 구동에 의해 제 1도어(3)의 전면 상하에 구비된 가이드레일(7b)을 따라 타측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와 동시에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의 상부 일측에 벨트결합된 상태로 개재(介在)되어 있는 제 2도어(4)의 후면에 위치된 제 2이동식구동부(28)의 후면풀리(26b)가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를 따라 타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벨트구동으로 회전되어 제 2이동식구동부(28)가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고, 상기 제 2이동식구동부(28)의 전면에 위치된 제 1전면풀리(21b)와 제 2전면풀리(22b)에 벨트결합되어 있는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가 정회전되어 벨트구동되면서 상기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의 하부 일측에 일체로 연결된 제 3도어(5)가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의 구동에 의해 제 2도어(4)의 전면 상하에 구비된 가이드레일(7c)을 따라 타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구동모터(10)의 정회전만으로 제 1도어(3)와 제 2도어(4)와 제 3도어(5)가 함께 연동되면서 수납케이싱(2)의 내측으로 모두 수납되고 출입구가 일정시간동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일정시간이 경과되거나 출입자가 더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구동모터(10)는 역방향으로 일정시간동안 회전구동되어 제 1도어(3)와 제 2도어(4)와 제 3도어(5)가 다단식으로 동시에 연동되면서 수납케이싱(2)의 외측으로 나와 출입구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상기 구동모터(10)의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타이밍벨트(11)는 역회전되어 벨트구동되면서 고정타이밍벨트(11)에 일체로 연결된 제 1도어(3)도 고정타이밍벨트(1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수납케이싱(2)의 가이드레일(7a)을 따라 일측방향(수납케이싱(2)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 1이동식구동부(18)의 후면풀리(26a)가 고정타이밍벨트(11)를 따라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벨트구동으로 회전되어 제 1이동식구동부(18)가 구동력을 전달받아 역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며, 상기 제 1이동식구동부(18)의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가 역회전되어 벨트구동되면서 상기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에 일체로 연결된 제 2도어(4)가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 1도어(3)의 가이드레일(7b)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에 벨트결합된 상태로 개재(介在)되어 있는 상기 제 2이동식구동부(28)의 후면풀리(26b)가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를 따라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벨트구동으로 회전되어 제 2이동식구동부(28)가 구동력을 전달받아 역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상기 제 2이동식구동부(28)의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도 역회전되어 벨트구동되면서 상기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의 하부 일측에 일체로 연결된 제 3도어(5)가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 2도어(4)의 가이드레일(7c)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구동모터(10)의 역회전만으로 제 1도어(3)와 제 2 도어(4)와 제 3도어(5)가 함께 연동되면서 수납케이싱(2)의 외측으로 나와 출입구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 도어를 다수개가 연동되는 다단식으로 분할 구성하여 도어수납공간이 최소화됨으로써 공간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설치공간이 좁은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다단식 도어들이 이동되는 부분에는 도어들의 상하에 별도의 레일이 설치된 프레임없이도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더욱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면서도 별도의 레일 및 프레임설치에 따른 추가 제작비용, 설치비용, 제작기간 등을 감소시킬 수 있고, 다단식 도어들이 동시에 연속적으로 연동되면서 개폐되어 전체 도어의 개폐시간이 짧고 자연스럽게 개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미닫이식으로 개폐되는 슬라이딩 자동도어에 있어서, 지면위에 고정설치되며 일측면이 개방된 수납케이싱(2)과 상기 수납케이싱(2)의 내측에 다단식으로 연동되면서 차례로 입출되는 제 1도어(3)와 제 2도어(4)와 제 3도어(5)로 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케이싱(2)은 후면판(6)의 내측면 상하에 각각 구비된 가이드레일(7a)이 제 1도어(3)의 후면 상하에 각각 구비된 가이드블록(8a)과 가이드결합되어 있고 상기 후면판(6)의 내측면 하부에는 구동모터(10)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고정타이밍벨트(11)의 일측이 제 1도어(3)의 후면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벨트구동되어 제 1도어(3)를 개폐시키는 고정구동부(9)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1도어(3)는 전면 상하에 각각 구비된 가이드레일(7b)이 제 2도어(4)의 후면 상하에 구비된 가이드블록(8b)과 가이드결합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고정구동부(9)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의 일측이 제 2도어(4)의 후면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벨트구동되어 제 2도어(4)를 개폐시키는 제 1이동식구동부(18)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2도어(4)는 전면 상하에 각각 구비된 가이드레일(7c)이 제 3도어(5)의 후면 상하에 각각 구비된 가이드블록(8c)과 가이드결합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제 1이동식구동부(18)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의 일측이 제 3도어(5)의 후면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벨트구동되어 제 3도어(5)를 개폐시키는 제 2이동식구동부(28)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동부(9)는 수납케이싱(2)의 후면판(6) 내측면 하부에 횡방향으로 길게 고정타이밍벨트(11)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고정타이밍벨트(11)는 후면판(6)의 내측면 하부에 고정부착된 가이드레일(7a)의 하부쪽에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제 1고정구동부풀리(12)와 제 2고정구동부풀리(13) 및 보조풀리(14)와 구동모터(10)의 축에 축설된 구동풀리(15)에 벨트결합되어 있어 상기 구동모터(10)의 정역회전에 의해 제 1고정구동부풀리(12)와 제 2고정구동부풀리(13) 및 보조풀리(14)와 구동풀리(15)를 따라 일정하게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타이밍벨트(11)의 하부쪽 일측에는 연결편(16a)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편(16a)은 제 1도어(3)의 후면 하부에 연결볼트(17a)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고정타이밍벨트(11)의 정역회전에 따라 제 1도어(3)가 함께 좌우양측으로 수평왕복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타이밍벨트(11)의 상부쪽 일측에는 제 1도어(3)의 타측 하부에 후면부쪽으로 돌출설치된 제 1이동식구동부(18)의 후면풀리(26a)가 벨트결합되도록 개재되어 있어 제 1도어(3)의 좌우이동과 함께 제 1이동식구동부(18)의 후면풀리(26a)가 상부쪽 고정타이밍벨트(11)를 따라 횡방향으로 좌우이동되면서 일정하게 회전되어 제 1이동식구동부(18)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구동부풀리(12)와 제 2고정구동부풀리(13)와 구동풀리(15)는 외주면에 고정타이밍벨트(11)에 형성된 기어이와 동일한 치형을 지닌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어 벨트구동시 미끄러지지 않고 정확하게 맞물려 일정간격으로 벨트구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풀리(14)는 제 1고정구동부풀리(12)와 제 2고정구동부풀리(13)와 구동풀리(15)에 벨트결합된 고정타이밍벨트(11)를 하부쪽에서 받쳐주어 고정타이밍벨트(11)의 하부가 아래쪽으로 쳐지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원활히 회전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도어(3)는 수직으로 세워져 있으며 이동구간에 별도의 레일이나 프레임없이도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구동부(9)에 의해 좌우 왕복이동되면서 상기 고정구동부(9)로부터의 구동력을 제 2도어(4)로 전달하여 동시에 연동되도록 되어 있고, 하부 타측에는 관통공(19a)이 천공되어 있어 고정타이밍벨트(11)의 연결편(16a)을 고정 체결하는 연결볼트(17a)가 상기 관통공(19a)을 통해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편(16a)과 일체로 체결 고정되면서 상기 고정타이밍벨트(11)와 제 1도어(3)가 단단하게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동식구동부(18)는 제 1도어(3)의 전면 하부에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가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는 제 1도어(3)의 전면 하부에 고정부착된 가이드레일(7b)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제 1전면풀리(21a)와 제 2전면풀리(22a)사이에 벨트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전면풀리(21a)는 제 1도어(3)의 전후면 양측으로 돌출 설치된 회전축(24a)의 전면쪽에 일체로 축설되어 있되 상기 회전축(24a)은 제 1도어(3)의 타측에 천공된 회전축관통공(23a)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축관통공(23a)의 전후 양측에 삽입 개재된 고정베어링(25a)(25b)에 관통체결되어 있어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 1도어(3)의 후면쪽으로 돌출된 부분의 회전축(24a)에는 후면풀리(26a)가 일체로 축설되어 있어 상기 제 1전면풀리(21a)와 후면풀리(26a)가 함께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후면풀리(26a)는 고정타이밍벨트(11)의 상부쪽에 벨트결합되도록 개재되어 있어 제 1도어(3)의 이동과 함께 제 1이동식구동부(18)의 후면풀리(26a)가 상부쪽의 고정타이밍벨트(11)를 따라 횡방향으로 좌우 이동되면서 일정하게 회전되어 회전축(24a)에 의해 일체로 체결된 제 1전면풀리(21a)를 함께 회전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는 하부쪽 일측에 연결편(16b)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편(16b)은 제 2도어(4)의 후면 하부에 연결볼트(17b)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 의 정역회전에 따라 제 2도어(4)가 함께 좌우양측으로 왕복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의 상부쪽 일측에는 제 2도어(4)의 타측 하부에 후면부쪽으로 돌출 설치된 제 2이동식구동부(28)의 후면풀리(26b)가 벨트결합되도록 개재되어 있어 제 2도어(4)의 좌우 이동과 함께 제 2이동식구동부(28)의 후면풀리(26b)가 상부쪽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를 따라 횡방향으로 좌우 이동되면서 일정하게 회전되어 제 2이동식구동부(28)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면풀리(21a)와 제 2전면풀리(22a)와 후면풀리(26a)는 외주면에 상기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에 형성된 기어이와 동일한 치형을 지닌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어 벨트구동시 미끄러지지 않고 정확하게 맞물려 일정간격으로 벨트구동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8.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풀리(26a)는 좌우 양측에 각각 아이들롤러(27a)(27b)가 근접 설치되어 있어 후면풀리(26a)에 벨트결합되는 부분의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를 상기 아이들롤러(27a)(27b)가 좌우양측에서 후면풀리(26a)쪽으로 밀착시켜 정확한 벨트구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도어(4)는 수직으로 세워져 있으며 이동구간에 별도의 레일이나 프레임없이도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제 1이동식구동부(18)에 의해 좌우 왕복이동되면서 제 1이동식구동부(18)로부터의 구동력을 제 3도어(5)로 전달하여 동시에 연동되도록 되어 있고, 하부 타측에는 관통공(19b)이 천공되어 있어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의 연결편(16b)을 고정 체결하는 연결볼트(17b)가 상기 관통공(19b)을 통해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편(16b)과 일체로 체결 고정되면서 상기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와 제 2도어(4)가 단단하게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이동식구동부(28)는 제 2도어(4)의 전면 하부에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가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는 제 2도어(4)의 전면 하부에 고정부착된 가이드레일(7c)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제 1전면풀리(21b)와 제 2전면풀리(22b)사이에 벨트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전면풀리(21b)는 제 2도어(4)의 전후면 양측으로 돌출 설치된 회전축(24b)의 전면쪽에 일체로 축설되어 있되 상기 회전축(24b)은 제 2도어(4)의 타측에 천공된 회전축관통공(23b)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축관통공(23b)의 전후 양측 에 삽입 개재된 고정베어링(25c)(25d)에 관통체결되어 있어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 2도어(4)의 후면쪽으로 돌출된 부분의 회전축(24b)에는 후면풀리(26b)가 일체로 축설되어 있어 상기 제 1전면풀리(21b)와 후면풀리(26b)가 함께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후면풀리(26b)는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의 상부쪽에 벨트결합되도록 개재되어 있어 제 2도어(4)의 이동과 함께 제 2이동식구동부(28)의 후면풀리(26b)가 상부쪽의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를 따라 횡방향으로 좌우 이동되면서 일정하게 회전되어 회전축(24b)에 의해 일체로 체결된 제 1전면풀리(21b)를 함께 회전구동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는 하부쪽 일측에 연결편(16c)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편(16c)은 제 3도어(5)의 후면 하부에 연결볼트(17c)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의 정역회전에 따라 제 3도어(5)가 함께 좌우양측으로 왕복이동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면풀리(21b)와 제 2전면풀리(22b)와 후면풀리(26b)는 외주면에 상기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에 형성된 기어이와 동일한 치형을 지닌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어 벨트구동시 미끄러지지 않고 정확하게 맞물려 일정간격으로 벨트구동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풀리(26b)는 좌우 양측에 각각 아이들롤러(27c)(27d)가 근접 설치되어 있어 후면풀리(26b)에 벨트결합되는 부분의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를 상기 아이들롤러(27c)(27d)가 좌우양측에서 후면풀리(26b)쪽으로 밀착시켜 정확한 벨트구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13. 제 1항이나 제 9항 또는 제 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도어(5)는 수직으로 세워져 있으며 이동구간에 별도의 레일이나 프레임없이도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제 2이동식구동부(28)에 의해 좌우 왕복이동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의 하부쪽 일측에 돌출형성된 연결편(16c)이 제 3도어(5)의 후면 하부에 연결볼트(17c)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의 정역회전에 따라 제 3도어(5)가 함께 좌우양측으로 왕복이동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제 3도어(5)의 하부 타측에는 관통공(19c)이 천공되어 있어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의 연결편(16c)을 고정 체결하는 연결볼트(17c)가 상기 관통공(19c)을 통해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편(16c)과 일체로 체결 고정되면서 상기 제 2이동식타이밍벨트(29)와 제 3도어(5)가 단단하게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14. 미닫이식으로 개폐되는 슬라이딩 자동도어에 있어서, 지면위에 고정설치되며 일측면이 개방된 수납케이싱(2)과 상기 수납케이싱(2)의 내측에 다단식으로 연동되면서 차례로 입출되는 제 1도어(3)와 제 3도어(5)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케이싱(2)은 후면판(6)의 내측면 상하에 각각 구비된 가이드레일(7a)이 제 1도어(3)의 후면 상하에 각각 구비된 가이드블록(8a)과 가이드결합되어 있고 상기 후면판(6)의 내측면 하부에는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고정타이밍벨트(11)의 일측이 제 1도어(3)의 후면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구동모터(10)에 의해 정역회전되면서 벨트구동되어 제 1도어(3)를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는 고정구동부(9)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1도어(3)는 전면 상하에 각각 구비된 가이드레일(7b)이 제 3도어(5)의 후면 상하에 구비된 가이드블록(8c)과 가이드결합되어 있고 제 1도어(3)의 전면 하부에는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제 1이동식타이밍벨트(20)의 일측이 제 3도어(5)의 후면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고정구동부(9)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정역회전되면서 벨트구동되어 제 3도어(5)를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1이동식구동부(18)가 구비되어 있어 제 1도어(3) 및 제 3도어(5)가 함께 연동되면서 개폐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KR1020070017702A 2007-02-22 2007-02-22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KR100805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702A KR100805366B1 (ko) 2007-02-22 2007-02-22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702A KR100805366B1 (ko) 2007-02-22 2007-02-22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5366B1 true KR100805366B1 (ko) 2008-02-20

Family

ID=3938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702A KR100805366B1 (ko) 2007-02-22 2007-02-22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36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46040A (zh) * 2016-09-29 2016-12-21 韩奕贝 一种智能自动窗控制器
KR101749594B1 (ko) 2015-12-11 2017-06-21 김도현 다단 신장되는 가이드바가 구비된 슬라이딩 도어
KR101749596B1 (ko) * 2015-12-11 2017-06-21 김도현 상호 슬라이딩을 위한 회전롤러가 구비된 슬라이딩 도어
WO2018131951A1 (ko) * 2017-01-13 2018-07-19 김남호 텔레스코픽 장치를 갖는 창호
CN108597085A (zh) * 2018-05-23 2018-09-28 国政通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人类识别的系统及控制方法
CN108626399A (zh) * 2018-06-28 2018-10-09 青岛诚利佳机械有限公司 一种滚球机门体密封装置
KR102046460B1 (ko) * 2019-02-18 2019-11-20 신판주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
KR102389924B1 (ko) * 2021-09-30 2022-04-25 (주)디딤돌 수평이동 비상탈출구
KR102611465B1 (ko) * 2023-06-13 2023-12-07 현대제철 주식회사 다단식 차수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014A (ko) * 2000-07-14 2002-01-29 이시카와 요시노리 도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014A (ko) * 2000-07-14 2002-01-29 이시카와 요시노리 도어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594B1 (ko) 2015-12-11 2017-06-21 김도현 다단 신장되는 가이드바가 구비된 슬라이딩 도어
KR101749596B1 (ko) * 2015-12-11 2017-06-21 김도현 상호 슬라이딩을 위한 회전롤러가 구비된 슬라이딩 도어
CN106246040A (zh) * 2016-09-29 2016-12-21 韩奕贝 一种智能自动窗控制器
WO2018131951A1 (ko) * 2017-01-13 2018-07-19 김남호 텔레스코픽 장치를 갖는 창호
CN108597085A (zh) * 2018-05-23 2018-09-28 国政通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人类识别的系统及控制方法
CN108626399A (zh) * 2018-06-28 2018-10-09 青岛诚利佳机械有限公司 一种滚球机门体密封装置
CN108626399B (zh) * 2018-06-28 2024-02-20 青岛同盛佳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滚球机门体密封装置
KR102046460B1 (ko) * 2019-02-18 2019-11-20 신판주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
KR102389924B1 (ko) * 2021-09-30 2022-04-25 (주)디딤돌 수평이동 비상탈출구
KR102611465B1 (ko) * 2023-06-13 2023-12-07 현대제철 주식회사 다단식 차수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366B1 (ko)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KR100805364B1 (ko) 난간형 슬라이딩 자동도어
EP1947048A1 (en) Drive means for elevator
EA022940B1 (ru) Система единых направляющих и секционные подъемные ворота для низкой притолоки
US10385600B2 (en) Horizontal garage door assembly
KR100835989B1 (ko) 출입문 자동개폐장치
JP2007002607A (ja) ヒンジ装置、及び該ヒンジ装置を備えた折り畳み式の自動昇降ゲート
KR100805365B1 (ko) 난간형 이중 슬라이딩 자동도어
KR200450752Y1 (ko) 직선운동기구와 링크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자동문
KR20080073510A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KR200459994Y1 (ko) 다중 슬라이딩도어 구동장치
KR100960948B1 (ko) 미닫이 창호의 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닫이 창호
KR200424974Y1 (ko) 타이밍벨트 이탈방지부재가 구비된 슬라이딩도어
KR101570469B1 (ko)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
KR100960564B1 (ko) 미닫이 창호의 자동개폐장치
EP2088098A2 (en) Flexible transfer conveyor for foodstuff
KR102523703B1 (ko) 4연동 슬라이딩 도어시스템
JP7446175B2 (ja) 電動式の円弧状ドア装置
KR102625667B1 (ko) 레일 및 무레일 겸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KR102295337B1 (ko) 모터부 조립 및 교체수리 용이한 모터작동 연동 슬라이딩 도어
EP2639386B1 (en) Movable support for the ends of movable partition walls of swimming pools
JP4769140B2 (ja) 自動ドア装置
JPH0616078Y2 (ja) シヤツタ−開閉駆動装置
WO2022081043A1 (ru) Устройство с гибкой зубчатой рейкой для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окнами остекления
CN217001624U (zh) 一种卷闸门齿轮驱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