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3510A -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3510A
KR20080073510A KR1020070012214A KR20070012214A KR20080073510A KR 20080073510 A KR20080073510 A KR 20080073510A KR 1020070012214 A KR1020070012214 A KR 1020070012214A KR 20070012214 A KR20070012214 A KR 20070012214A KR 20080073510 A KR20080073510 A KR 20080073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losing device
door opening
ben
elevat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3514B1 (ko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원
Priority to KR1020070012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3514B1/ko
Publication of KR20080073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구동모터가 작동하면, 동력 전달 부재를 통하여 복수 개의 회전체를 회전시켜 도어를 개폐하고 적절한 탄성 부재의 인장력을 이용하여 도어 개폐를 유지 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에 의하여, 도어 개폐시 동력 전달 부재의 장력 조절이 용이하여 열림 폭이 넓게 요구되는 엘리베이터에도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레일과 이를 둘러싼 베어링 구조에 의해 도어의 수직 정렬이 용이하고 레일로부터 상기 도어가 탈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행거 플레이트, 타이밍 벨트, 도어 레일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Apparatus of opening elev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에서,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에서, 도어 개폐시 모터 구동에 따른 동력 전달 과정을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에서, 커넥팅 어셈블리의 구성 및 연결관계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에서, 벨트의 작동과 도어 개폐 과정을 설명한 정면도.
도 6은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우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에서, 행거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에서, 행거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에서, 벤 어셈블리와 행거 어셈블리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10은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벤 어셈블리 구성요소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부분 정면도.
도 11은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벤 어셈블리 구성요소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부분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도어 개폐 장치 11 : 모터
12 : 메인 플레이트 13 : 행거 어셈블리
14 : 벤 어셈블리 15 : 도어 레일
16 : 도어 17 : 좌측 타이밍 벨트
18 : 우측 타이밍 벨트 20 : 커넥팅 어셈블리
21 : 메인 회전체 22 : 서브 회전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도어의 닫힘력이 확보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축물에 구성된 수직방향의 통로 내부에 화물 또 는 승객이 탑승하는 컨테이너가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컨테이너가 구동기구에 의하여 승강하도록 하는 운반용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는 상기 컨테이너의 탑승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인너 도어와, 상기 통로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아우터 도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너 도어와 아우터 도어는 동시에 개방 또는 폐쇄된다. 따라서, 상기 인너 도어와 아우터 도어가 모두 열려야 탑승자가 컨테이너에 탑승 또는 하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아우터 도어에는 별도의 개폐 장치가 설치되지 않고 인너 도어의 전면에 구비된 개폐 장치에 의해 인너 도어가 개폐될 때 아우터 도어가 인너 도어에 연동되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는 한 쌍의 풀리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풀리에 벨트가 감겨서 회전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벨트의 하측과 상측에 한 쌍의 엘리베이터 도어가 연결되는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벨트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한 쌍의 도어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상기 풀리에 감기는 벨트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가운데 부분에서 처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열림 폭이 넓게 요구되는 엘리베이터 구조에서는 도어의 개폐가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벨트가 길어짐에 따라 벨트의 장력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고, 벨트 대신 와이어 로프가 적용되더라도 위치 제어의 정확성 면에서 오차 범위가 커 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 판넬의 상단에 행거 플레이트가 연장되고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배면에는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의 하측에는 레일이 길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가 좌우 왕복 운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행거의 저면에는 이탈 방지용 롤러가 더 결합되고, 상기 이탈 방지용 롤러는 상기 레일의 하단에 접촉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롤러와 이탈 방지용 롤러 사이에 레일이 제공되고, 상기 롤러와 이탈 방지용 롤러에 의하여 도어가 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상기 도어 개폐 장치는 상기 이탈 방지용 롤러의 체결상태가 불량하거나, 도어의 하중에 의해 상기 이탈 방지용 롤러가 아래로 처지는 경우 상기 도어 레일과 이탈 방지용 롤러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어 도어가 탈선될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가 닫히고, 모터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도어의 닫힘 상태가 온전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복잡한 레버구조가 적용되거나, 모터에 제어전원을 인가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경우 복잡한 레버구조로 인하여 제작 설치비가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 모터에 제어 전원을 인가하는 방식은 모터에 계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모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종래의 도 어 개폐 구조를 개선하여 벨트 처짐 현상이 제거되도록 하며, 도어의 개폐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도어의 개폐 구조를 개선하여 도어가 바닥면에 대하여 항상 수직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도어가 닫히고 모터의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행거 플레이트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 스프링의 인장력과 링크 작동에 의해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는, 탑승 공간이 형성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한쌍의 도어와, 상기 도어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유도하는 제 1 전달 부재 및 제 2 전달 부재가 포함되는 주 전달 부재와, 상기 주 전달 부재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이 상기 주 전달 부재로 전달되도록 하는 커넥팅 어셈블리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전방에서 왕복 운동하는 복수의 도어와, 상기 도어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도어 레일와,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행거 플레이트와,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 벤과, 상기 도어의 이동 과정에서 상하 이동하는 구동 벤과, 상기 구동 벤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롤러와, 일단이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 벤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가 포함되는 벤 어셈블리와, 상기 도어의 개폐 과정에서 상기 롤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는 탑승 공간이 형성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전면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복수의 도어와, 상기 도어의 상부에 연결되는 행거 플레이트와,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가 흔들림없이 이동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 유닛 및 상기 베어링 유닛을 관통하여 상기 베어링 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레일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는 복잡한 레버 구조가 필요없게 되어 도어의 제작 설치가 간단하다. 그리고, 모터의 전원이 꺼지더라도 제어 전원을 인가할 필요가 없어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전달 부재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열림 폭이 넓게 요구되는 엘리베이터에 적용이 용이하고,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도어의 정렬 및 수직 구조의 유지에 용이하며, 도어의 탈선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 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 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한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10)에는 메인 플레이트(12)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지지되어 제공되는 구동부(11)와, 상기 구동부(11)의 작동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는 주 전달 부재(19)와, 상기 주 전달 부재와 접속부재에 의해 연결된 행거 어셈블리(13)와, 상기 행거 어셈블리(13)에 결합되어 왕복 운동하는 도어(16)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11)는 본 도면에서 도시된 모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가 제안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주 전달 부재(19)에는 도어 상부 양측에 제 1 전달 부재(17)와 제 2 전달 부재(18)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주 전달 부재는 정확한 위치 제어를 위해 타이밍 벨트(17,18)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구동되는 풀리의 선택에 따라 와이어 로프나 체인등이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에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 전면에 접속되어 있는 벤 어셈블리(14)와, 상기 도어의 왕복운동이 가능토록 가이드 하는 도어 레일(15)이 더 포함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도어 개폐 장치의 구성요소가 결합될 수 있는 본체로서 장치의 후면에 메인 플레이트(12)가 제공되는데, 상기 메인 플레이트(12)는 플레이트 의 상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11)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12)에 결합되어 모터를 지지하는 부재 상단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11)가 지지되는 형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실시 예가 제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에는 상기 모터(11)가 작동되면 그 동력이 전달되는 좌측 타이밍 벨트(17) 및 우측 타이밍 벨트(18)와, 상기 타이밍 벨트(17,18)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레일(15)이 가이드 하는 방향에 따라 왕복운동 가능한 행거 어셈블리(13)가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행거 어셈블리(13)는 도어 상부 양측에 한 쌍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타이밍 벨트(17,18)가 회전하면 이에 결합된 상기 행거 어셈블리(13)는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16)는 상기 행거 어셈블리(13)와 체결되므로 상기 좌측 타이밍 벨트(17) 및 우측 타이밍 벨트(1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행거 어셈블리(13)의 운동에 따라 상기 도어(16)는 개방된다. 상세한 도어 개폐 작동원리는 도면과 함께 후술한다.
도 2는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1)와, 장치가 결합되도록 제공되는 메인 플레이트(12)와, 상기 모터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하는 좌측 타이밍 벨트(17) 및 우측 타이밍 벨트(18)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타이밍 벨트(17,18)와 접속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는 좌측 행거 플레이트(131) 및 우측 행거 플레이트(132)와, 상기 좌측 행거 플레이트(131) 전면에 제공되어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키는 벤 어셈블리(14)가 더 포함된다.
상세하게는, 도어가 닫힐 경우 상기 모터(11)가 작동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좌측 타이밍 벨트(17) 및 우측 타이밍 벨트(18)가 회전하며, 상기 벨트에 연결된 상기 행거 플레이트(131,132)가 중앙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어가 닫히게 된다.
또한, 상기 좌측 타이밍 벨트(17) 및 우측 타이밍 벨트(18)는 각각 좌측 타이밍 벨트 풀리(171) 및 우측 타이밍 벨트 풀리(181)에 감겨 회전하며 양측 도어 상부에 제공된다.
또한, 좌측의 상기 행거 플레이트(131) 전면에 벤 어셈블리(14)가 고정된다. (다만, 상기 벤 어셈블리(14)는 우측 행거 플레이트(132) 전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벤 어셈블리(14)에는 장치들이 결합되도록 제공되는 벤 플레이트(147)와, 상기 벤 플레이트(147) 전면에 결합된 고정 벤(141)과, 이동 가능한 구동 벤(142)이 평행하게 상하 방향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벤(142)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제 1 링크(146a)와, 일단은 상기 벤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 벤(142)과 연결된 제 2 링크(146b)가 더 포함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 벤(142)은 제 1 링크(146a)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벤 플레이트(147)와는 분리된 상태로 (이격된 상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링크(146a)의 타단은 롤러(145)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링크(146a)는 링 크부재 2개가 접착되어 절곡되는 부분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된 부분에서 상기 벤 플레이트(147)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링크(146a)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구동 벤(142)은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벤(141)은 상기 벤 플레이트에 고정된다.
또한, 스프링(143)은 상기 구동 벤(142)과 결합되어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스프링(143)의 상단은 스프링 핀(149)에 의해 상기 구동 벤(142)에 고정되어 있는 접속 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143)의 하단은 상기 스프링 핀(149)에 의해 상기 벤 플레이트(147)에 고정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탄성 부재로서 인장 스프링을 사용하였으나, 탄성력을 가진 다른 부재가 제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구동 벤(142)은 상기 제 1 링크(146a)에 의해 롤러(145)와 연결되어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구동 벤(142)이 좌,우로 이동할 때 상기 롤러(145)는 가이드 부재(144)의 안내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와 상기 구동 벤(142)의 연결 부재로서 상기 제 1 링크(146a) 및 상기 제 2 링크(146b)가 사용되었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기술적 특징을 구현할 수 있는 또 다른 연결 부재인 레버나 캠 장치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어가 닫히게 되면 상기 모터(11)의 전원이 차단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의 안내에 따라 상기 롤러(145)가 상기 가이드 부재(144)의 우측단 경사부에 접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 1 링크(146a)가 회전력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구동 벤(142)은 하강하게 되고, 상기 구동 벤(142)와 연결된 스프링(143)은 압축되어 도어를 밀착시키고 도어의 닫힘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벤(142)과 연결된 제 2 링크(146b) 또한 상기 제 1 링크(146a)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복잡한 레버구조 또는 도어 모터에 제어 전원을 인가하는 방식의 적용 없이도 상기 롤러(145)와 상기 링크(146a,146b)의 작용에 의해 도어의 닫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링크(146a,146b)의 작용 및 스프링(145) 압축과 관련한 작동원리는 도면과 함께 후술한다.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양측에 좌,우측 레일 하우징(152,153)이 제공되며, 개폐되는 상기 도어(16)의 상부 중간에는 중앙 레일 하우징(151)이 제공되어 도어 레일(15)을 지지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에서, 도어 개폐시 모터 구동에 따른 동력 전달 과정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1)와, 상기 모터 전면에 구비되어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측 스프로켓(111)과, 상기 모터측 스프로켓(111)과 한 쌍을 이루어 회전하는 제 1 복열 스프로켓(211)이 포함되며, 상기 모터측 스프로켓(111)과 상기 제 1 복열 스프로켓(211)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측 체인(114)이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복열 스프로켓(211)과 연결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 복열 스프로켓(미도시)과, 상기 제 2 복열 스프로켓과 한 쌍을 이루어 회 전하는 단열 스프로켓(222)과, 상기 제 2 복열 스프로켓과 단열 스프로켓(222)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스프로켓 체인(115)이 더 포함된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회전체로서 각각 체인 스프로켓(111,211,222)이 사용되었다. 다만, 동력 전달 부재의 선택에 따라서 다른 종류의 스프로켓 또는 벨트 풀리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터(11)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부재로서 모터측 체인(114) 및 스프로켓 체인(115)이 사용되었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회전하는 스프로켓 또는 풀리의 선택에 따라 적절하게 와이어 로프나 벨트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2 복열 스프로켓은 상기 도어 개폐 장치의 전면에 위치한 메인 풀리(미도시)와 접속되며, 상기 단열 스프로켓(222)은 서브 풀리(미도시)와 접속되어 상기 2개의 체인 스프로켓의 회전에 의해 상기 풀리(213,223)가 회전하게 된다.
상세한 동력 전달 원리에 대해서는 도면과 함께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에서, 커넥팅 어셈블리의 구성 및 연결관계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에서, 모터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전달하는 커넥팅 어셈블리(20)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20)에는 모터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메인 회전체(21)와, 메인 회전체로부터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서브 회전체(22)와, 모터측 스프로켓(미도시) 과 연결되는 모터측 체인(114)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메인 회전체에는 상기 모터측 스프로켓과 연결되는 제 1 복열 스프로켓(211)과, 상기 제 1 복열 스프로켓(211)과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하는 제 2 복열 스프로켓(212)과, 상기 제 2 복열 스프로켓과 연결되어 도어 개폐 장치 전면에서 회전하는 메인 풀리(21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회전체에는 상기 제 2 복열 스프로켓(212)에 종동되어 회전하는 단열 스프로켓(222)과, 상기 단열 스프로켓(222)과 연결되어 도어 개폐 장치 전면에서 회전하는 서브 풀리(223)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20)와 연결되어 메인 플레이트(12)의 전면 양측에서 회전하는 주전달 부재(19)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주전달 부재에는 좌측에서 제공되는 제 1 전달 부재(17)와, 우측에서 제공되는 제 2 전달 부재(18)가 더 포함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달부재(17,18)는 타이밍 벨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되는 회전체의 선택에 따라 체인이나 와이어 로프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세하게는, 모터에 의해 발생한 동력이 상기 모터측 체인(114)에 의해 상기 복열 스프로켓(211,212)에 전달되어 상기 복열 스프로켓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복열 스프로켓(212)과 연결된 상기 단열 스프로켓(222)이 같이 회전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제 2 복열 스프로켓(212)와 상기 단열 스프로켓(222)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부재로서 스프로켓 체인(115)이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복열 스프로켓과 연결되어 도어 전면에 제공되는 상기 메인풀리(213)와, 상기 단열 스프로켓(222)과 연결되어 도어 전면에 제공되는 상기 서브 풀리(223)가 모두 회전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에서, 벨트의 작동과 도어 개폐 과정을 설명한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에서, 전면에서 개폐되는 도어(16)와, 상기 양측 도어(16)에 각각 연결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131,132)와, 상기 도어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도어 레일(15)과, 상기 행거 플레이트(131,132)에 결합되는 접속부재(133,13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재(133,134)에 체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부재로서 좌측 타이밍 벨트(17)와 우측 타이밍 벨트(18)가 더 포함된다.
다만, 본 도면에서는 상기 벨트에 고정되는 접속부재(133,134)로 고정 브로켓(133,134)이 사용되었으나 다른 실시예로써 벨트 상,하를 고정시킬 수 있는 크로스-암이나 또 다른 버팀수단이 제안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세하게는, 상기 좌측 타이밍 벨트(17)의 경우 하측 벨트 부분에 상기 좌측 고정 브라켓(133)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우측 타이밍 벨트(18)의 경우, 상측 벨트 부분에 상기 우측 고정 브라켓(134)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11)의 작동에 따라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벨트 풀리(171,18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좌측 타이밍 벨트(17)에 연결된 상기 좌측 고정 브라켓(133)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우측 타이밍 벨트(18)에 연결된 상기 고정 브라켓(134)은 우측으로 이동하며 결국 상기 행거 플레이트(131,132)는 각각 열림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는 열리게 된다.
한편, 상기 벨트 풀리(171,18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좌측 타이밍 벨트(17)에 연결된 상기 고정 브라켓(133)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 타이밍 벨트(18)에 연결된 상기 고정 브라켓(134)은 좌측으로 이동하여 결국 상기 행거 플레이트(131,132)는 닫힘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는 닫히게 된다.
다만, 상기 타이밍 벨트(17,18)의 작동 방향에 따라서 상기 고정 브라켓(133,134)이 고정되는 벨트의 상,하측 부분은 상호 반대 방향에 위치해 있을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우측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에서 전면이 개폐되는 도어(16)와, 상기 도어(16)의 상부에 연결된 우측 행거 플레이트(132)와, 상기 행거 플레이트(132)에 고정된 우측 고정 브라켓(134)과, 좌측 행거 플레이트(미도시)에 고정된 좌측 고정 브라켓(133)과, 상기 우측 고정 브라켓(134)과 체결 보스에 의해 결합된 우측 타이밍 벨트(18)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행거 플레이트(132)에 체결된 베어링 유닛(20)과, 상기 베어링 유닛(20) 내부에 가이드 부재로서 관통하는 도어 레일(15)과, 상기 베어링 유닛(20) 내부에 베어링(202)이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좌측에 는 벤 플레이트(147)가 제공되며, 상기 벤 플레이트(147) 전면에는 고정 벤(141)과 구동 벤(142)이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타이밍 벨트(18)가 작동되면 상기 도어 레일(15)이 안내하는 방향에 따라 베어링 유닛(20)과 우측 행거 플레이트(132)가 이동한다.
그리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롤러(145)가 메인 플레이트(12)의 절곡된 부분과 가이드 부재(미도시)의 일측 경사부에 접촉되어 링크 작동에 의해 구동 벤(143)은 자연스럽게 아래 방향으로 내려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어링 유닛(20) 내부에 도어 레일(15)이 상하 또는 수평방향으로 2개 위치하여 도어(16)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을 유지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도어 레일(15)이 상하 또는 수평방향으로 복수 개 위치함으로써 각각의 상기 도어 레일(15)을 축으로 발생할 수 있는 회전 모멘트가 상호 상쇄되기 때문이다. (다만, 지면에 대한 도어의 수직확보가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 레일(15)의 개수 및 상기 베어링 유닛의 내부 구조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어 레일(15)은 환봉 형태로 상기 베어링 유닛(20) 내부에서 이동하므로, 종래의 이탈 방지용 롤러 없이도 상기 행거 플레이트(132)의 탈선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는, 도어 레일(15)이 베어링에 의해 둘러싸여 지지되므로 도어 하중에 의해 상기 행거 플레이트(132)나 도어(16)가 탈선될 염려가 없기 때문이다.
다만, 도어 레일(15)은 도어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환봉이 아닌 리니 어(LINEAR)계통의 또 다른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베어링(202)은 슬라이딩 베어링이 사용된다. 슬라이딩 베어링은 도어의 하중을 지지하는 능력을 크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또 다른 실시예로써 마찰 저항이 작은 구름 베어링 (볼 베어링 또는 롤러 베어링)이 제안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에서, 행거 어셈블리(13)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며, 도 8은 행거 어셈블리(13)의 구조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에서, 행거 어셈블리(13)에는 도어(16)에 연결되는 좌측 행거 플레이트(131)와, 상기 도어(16)와 상기 행거 플레이트(131)를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 플레이트(136)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행거 플레이트(131)의 상부에 제공되는 상기 좌측 고정 브라켓(133)과, 상기 행거 플레이트(131)의 양측에 접속된 2개의 베어링 유닛(20)이 포함된다.
상세하게는, 좌측 타이밍 벨트의 하부에서 상기 좌측 고정 브라켓(133)이 체결 보스(135)에 의해 체결되므로 벨트 작동에 의해 상기 고정 브라켓(133)과 상기 행거 플레이트(131)가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 플레이트(136)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상기 행거 플레이트(131)와 상기 도어(16)가 연결되어 일체로 움직인다.
또한, 상기 베어링 유닛(20) 내부에는 도어 레일(미도시)이 통과될 수 있는 관통홀(20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01) 내주면에는 슬라이딩 베어링(202)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 유닛(20)은 상기 도어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는 방향에 따라 좌우로 왕복운동 하며 그에 따라 도어(16)도 같은 방향으로 개폐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도어 레일 상부에 행거 롤러가 있어 도어의 이동을 가이드 하고, 하부에 이탈 방지용 롤러가 접촉, 지지되어 도어의 탈선을 방지토록 하는 복잡한 구조가 필요치 않는 장점이 있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에서, 벤 어셈블리와 행거 어셈블리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에서 벤 어셈블리(14)가 행거 어셈블리(13)의 전면에 제공된다.
상세히, 벤 어셈블리(14)에는 본체인 벤 플레이트(147)와, 상기 벤 플레이트(147)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벤(141)과, 링크 작동에 의해 이동 가능한 구동 벤(142)과, 스프링 핀(149)에 의해 일측이 상기 구동 벤(142)에 고정되고 타측이 행거 플레이트(131)에 고정되는 스프링(143)이 포함된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미도시)를 따라 롤링되는 롤러(145)와, 상기 구동 벤(142)과 상기 롤러(145)에 각각 체결되고 링크 축(148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1 링크(146a)와, 링크 축(148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 링크(146b)가 더 포함된다.
또한, 행거 어셈블리(13)에는 전면에 제공되는 행거 플레이트(131)와, 상기 행거 플레이트 하부에 연장되어 도어와 연결되는 접속 플레이트(136)와, 상기 행거 플레이트(131)의 배면 양측에 제공되는 베어링 유닛(20)과, 상기 행거 플레이트(131)에 접속된 고정 브라켓(133)이 포함된다.
한편, 상기 고정 벤(141)과 구동 벤(142)은 도어 전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의 대칭형상을 가지고 입체적으로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벤(143)의 작동에 의해 상기 고정 벤(142)과 상기 구동벤(143)간의 수평거리가 조절된다.
또한, 베어링 유닛(20)의 내부에는 도어 레일이 통과될 수 있는 관통홀(20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 내주면에는 슬랑이딩 베어링(202)이 개재된다.
상기 구동 벤(142)과 롤러(145)의 작동과 스프링(143)의 힘의 작용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도 10은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벤 어셈블리 구성요소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부분 정면도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에서 벤 어셈블리(14)가 제공된다. 그리고, 벤 어셈블리에는 본체인 벤 플레이트(147)와, 고정 벤(141)과 구동 벤(142), 상기 구동 벤(142) 및 롤러(145)와 결합되며 링크축(148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 1 링크(146a)와, 상기 제 1 링크(146a)와 연결되어 롤링이 가능한 롤러(145)가 포함되며 링크 축(148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 링크(146b)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구동 벤(142)과 연결되는 탄성부재(143)와, 상기 롤러(145)의 이동경로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144)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벤 어셈블리(14) 배면에는 행거 플레이트(131)가 결합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링크(146a)는 링크부재 2개가 접착되고, 상기 접착된 부분에서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벤 플레이트(147)의 전면에서 상기 링크축(148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링크(146b)는 양 단이 각각 상기 구동 벤(142)과 상기 벤 플레이트(147)에 연결되어 링크 축(148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한편, 도어가 폐쇄될 경우 상기 행거 플레이트(131)와 상기 벤 플레이트(147)가 일체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벤 플레이트(147)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구동 벤(142)과 상기 고정 벤(141)이 함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145)가 상기 가이드 부재(144)의 안내에 따라 상기 가이드 부재(144)의 단측 경사진 부분까지 상승하면 절곡되어 있는 상기 제 1 링크(146a)의 구조상 상기 롤러(145)와 연결된 제 1 링크(146b)가 링크 축(148a)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의 모멘트(M)가 발생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롤러(145)가 상기 가이드 부재(144)의 우측 단부까지 이동하면, 상기 롤러(145)의 상부가 메인 플레이트(12)에 의해 구속되므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되고 상기 제 1 링크(146a)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 1 링크(146a)와 연결된 상기 구동 벤(142)은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벤(142)과 연결된 상기 제 2 링크는 상기 구동 벤(142)에 작용되는 아래방향의 힘에 의해 상기 링크축(148b)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의 모멘트(M)가 작용한다.
또한, 상기 구동 벤의 하강으로 인해 상기 탄성부재(143)가 가압되고, 상기 탄성부재(143)의 복원력으로 인해 상기 도어의 하측이 밀착되어 도어의 닫힘력이 확보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143)은 인장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인장 스프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도어가 닫히고 모터의 전원이 꺼지게 되면 복잡한 레버구조에 의하거나 상기 모터에 제어 전원을 인가해서 닫힌 도어의 상태를 유지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링크(146a,146b)의 작용과 상기 스프링(143)에 의해 간단하게 모터의 구동 없이도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어가 닫히면서 상기 링크(146a,146b)의 작용에 의해 상기 고정 벤(141)과 상기 구동 벤(142)간의 수평거리가 커지게 되면, 상기 벤(141,142)사이에 위치한 아우터 도어(도면 미도시)의 장치 걸림부에 구속되어 아우터 도어가 같이 닫히게 된다.
도 11은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벤 어셈블리 구성요소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부분 정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도 10에 제시된 실시 예와 비교하여, 도어 개폐시 상기 링크(146a,146b)와 상기 스프링(143)의 작동과정에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다른 설명과 도면부호에 대해서는 상기 도 10에 대한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한편, 도어가 개방될 경우 상기 행거 플레이트(13)와 상기 벤 플레이트(147)가 일체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벤 플레이트(147)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구동 벤(142)과 상기 고정 벤(141)이 함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145)가 상기 가이드 부재(144)의 안내에 따라 좌측으로 이 동하게 되며, 상기 롤러(145)와 연결된 상기 제 1 링크(146a)와, 일단이 상기 구동 벤에 연결된 상기 제 2 링크(146b) 및 상기 스프링(143)의 작용에 따라 상기 구동 벤(142)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도어가 개방될 경우, 상기 롤러(145)가 상기 가이드 부재(144)를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롤러(145)가 수평 방향으로 구속되지 않고 상기 구동벤(142)이 더 이상 상기 제 1 링크(146a)에 의해 하측으로 힘을 받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43)의 복원력으로 인해 상기 제 1 링크(146a)는 상기 링크축(148a)을 중심으로, 상기 제 2 링크(146b)는 상기 링크축(148b)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의 모멘트(M)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143)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구동 벤(142)은 상방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벤(142)과 상기 고정 벤(141)간의 수평거리가 작아지고 상기 벤(141,142) 사이에 위치한 아우터 도어(도면 미도시)의 장치와 걸림이 해제되어 아우터 도어가 같이 열리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에 의하여, 도어 개폐를 위해 작동하는 벨트와 같은 동력 전달 부재를 양측 도어 상부에 각각 분리하여 설치함에 따라 열림폭이 넓게 요구되는 엘리베이터에 적용이 가능하며, 벨트의 장력 조절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 유닛 내부에 상하구조의 레일이 포함됨으로써 도어의 개폐 경로를 안내하고, 도어의 정렬 및 정확한 수직 구조를 확보하며 도어 탈선을 방지하 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가 닫히고 모터의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행거 플레이트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 스프링의 인장력과 링크 작동에 의해 닫힌 도어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9)

  1. 탑승 공간이 형성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한쌍의 도어;
    상기 도어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유도하는 제 1 전달 부재 및 제 2 전달 부재가 포함되는 주 전달 부재;
    상기 주 전달 부재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이 상기 주 전달 부재로 전달되도록 하는 커넥팅 어셈블리가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에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는 모터측 전달 부재와,
    적어도 상기 모터측 전달 부재 및 상기 제 1 전달 부재가 연결되는 메인 회전체와,
    일측에 상기 메인 회전체가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제 2 전달 부재가 연결되는 서브 회전체가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측 전달 부재에는 벨트와 체인 및 와이어 로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회전체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회전력이 상기 제 1 전달 부재 및 상기 제 2 전달 부재로 각각 전달되도록 복수 개의 회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회전체 또는 상기 서브 회전체는 복수 개의 회전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회전체는 체인이 감기는 스프로켓과 벨트가 감기는 풀리 중 적어도 한 종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회전체 또는 서브 회전체는 복수 개의 회전체가 축연결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회전체는 상기 메인 회전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상기 제 2 전달 부재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복수 개의 회전체로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회전체와 상기 서브 회전체는 벨트와, 체인 및 와이어 로프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전달 부재에는 벨트와, 체인 및 와이어 로프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상측에 각각 제공되어 상기 주 전달 부재에 연결되는 복수의 행거 플레이트와,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도어 레일이 더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플레이트와 상기 주 전달 부재를 연결하는 접속 부재가 더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 제공되어 상기 도어의 닫힘력이 확보되도록 하는 벤 어셈블리가 더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 제공되어, 도어가 수직한 상태로 이동하도록 하는 베어링 유닛이 더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14.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전방에서 왕복 운동하는 복수의 도어;
    상기 도어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도어 레일;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행거 플레이트;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 벤과, 상기 도어의 이동 과정에서 상하 이동하는 구동 벤과, 상기 구동 벤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롤러와, 일단이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 벤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가 포함되는 벤 어셈블리;
    상기 도어의 개폐 과정에서 상기 롤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인장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 벤이 상승하고,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 벤이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적어도 일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롤러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하강하고,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롤러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19. 제 14항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구동 벤이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롤러가 결합되며, 일측에서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 1 링크와,
    일단이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 벤에 연결되는 제 2 링크가 더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서 상기 행거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와 연결된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 벤이 하강하면서 상기 탄성 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탄성 부재에 발생하는 복원력이 상기 도어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23. 제 14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단이 상기 구동 벤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 벤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모멘트가 발생하도록 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는 링크가 더 포함되고,
    상기 탄성 부재에 발생되는 복원력이 상기 도어에 작용하여 상기 도어의 하측이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24. 탑승 공간이 형성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전면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복수의 도어;
    상기 도어의 상부에 연결되는 행거 플레이트;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가 흔들림 없이 이동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 유닛;및
    상기 베어링 유닛을 관통하여 상기 베어링 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레일이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레일은 상하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유닛에는 상기 레일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과 접촉되는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는 슬라이딩 베어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27.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유닛은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배면에 복수 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28.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력이 상기 행거 플레이트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달 부재가 더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포함되고,
    상기 전달 부재에는 벨트와, 체인 및 와이어 로프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KR1020070012214A 2007-02-06 2007-02-06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KR100863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214A KR100863514B1 (ko) 2007-02-06 2007-02-06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214A KR100863514B1 (ko) 2007-02-06 2007-02-06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510A true KR20080073510A (ko) 2008-08-11
KR100863514B1 KR100863514B1 (ko) 2008-10-15

Family

ID=39883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214A KR100863514B1 (ko) 2007-02-06 2007-02-06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351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02355A1 (en) * 2014-02-03 2015-08-05 Merih Asansör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Sliding elevator door comprising a movement mechanism with linear bearing
ES2596731A1 (es) * 2015-07-10 2017-01-11 Mechanical & Electrical Components For Vertical Installations, S.L.U. Dispositivo para el guiado de puertas de ascensores
CN108810214A (zh) * 2017-05-01 2018-11-13 (株)U欢乐世界 多功能自拍枪
WO2023044994A1 (zh) * 2021-09-22 2023-03-30 方大智创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屏蔽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541B1 (ko) * 2021-04-26 2021-11-01 정광용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KR102330989B1 (ko) 2021-04-29 2021-12-01 정일산업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의 벨트 장력조절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0763A (en) * 1990-07-23 1991-10-29 Otis Elevator Company Simplified automatic telescopic doors for elevators
JPH08245140A (ja) * 1995-03-10 1996-09-24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US5918706A (en) 1997-11-24 1999-07-06 Otis Elevator Company Hold closed feature for elevator car doors
JP2002348075A (ja) * 2001-05-25 2002-12-04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の出入り口安全装置
JP4544887B2 (ja) * 2004-03-26 2010-09-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02355A1 (en) * 2014-02-03 2015-08-05 Merih Asansör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Sliding elevator door comprising a movement mechanism with linear bearing
ES2596731A1 (es) * 2015-07-10 2017-01-11 Mechanical & Electrical Components For Vertical Installations, S.L.U. Dispositivo para el guiado de puertas de ascensores
CN108810214A (zh) * 2017-05-01 2018-11-13 (株)U欢乐世界 多功能自拍枪
WO2023044994A1 (zh) * 2021-09-22 2023-03-30 方大智创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屏蔽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3514B1 (ko)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3514B1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US7350623B2 (en) Elevator door apparatus
EP2503087B1 (en) Door hanging apparatus and door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KR20150030587A (ko)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승하강 방식의 플랫폼 스크린도어
JPWO2008114344A1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6751534B1 (ja) エレベータドア開閉用のかごドア係合装置
WO2008023435A1 (fr) Dispositif de porte pour ascenseur
JP3389181B2 (ja) 係合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ドア
JP2021059426A (ja)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US11661778B2 (en) High speed overhead door
US20200039794A1 (en) Lost motion assembly
KR20180007470A (ko) 경사구간, 수평구간, 방향전환 구간 및 트위스트 구간 이동용 승강기
FI79283B (fi) Doerrdrivanordning foer doerrar till hisskorgar.
KR200400746Y1 (ko)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폐장치
JP6937904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CN101104496B (zh) 电梯门结构
JP6880317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JP2008230844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08001521A (ja) エレベータの敷居装置
JP6710549B2 (ja) エレベータ乗場扉用連動ロープの張力付与装置
CN110392663B (zh) 电梯的轿厢门装置
JP2503741B2 (ja) エレベ―タ―のドア装置
JP2005029328A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CN220333786U (zh) 一种高速托盘提升装置
KR100434406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