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323A - 스크린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6323A
KR20060096323A KR1020060019812A KR20060019812A KR20060096323A KR 20060096323 A KR20060096323 A KR 20060096323A KR 1020060019812 A KR1020060019812 A KR 1020060019812A KR 20060019812 A KR20060019812 A KR 20060019812A KR 20060096323 A KR20060096323 A KR 20060096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ail
guide
rail cover
sty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4680B1 (ko
Inventor
타카시 오카자키
히로마사 츠츠미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6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레일커버가 가이드레일의 지지에 방해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가이드레일 및 레일커버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회피한다.
각 문체(16)에 그 문후단부보다 상대측의 문체를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리니어 레일(27)과, 각 문체(16)에 그 문후단부보다 상대측의 문체를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벨트부재(38)와, 문체(16)를 개폐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벨트부재(38)에 전달하는 구동 풀리(52)와, 리니어 레일(27)을 덮는 형상의 레일커버(28)와, 레일커버(28)내에서 리니어 레일(27)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블록(46)을 갖고, 이 슬라이드 블록(46)을 레일커버(28)의 하방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48)를 구비한다. 양 레일커버(28)는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다른 높이로 설정되고, 양 벨트부재(38)는 양 문체(16)가 가이드박스(12) 사이로 이동해도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다른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스크린도어 장치{SCREEN DOOR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도어 장치의 실시형태를 홈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2는 상기 스크린도어 장치를 궤도를 따른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며, (a)는 도1의 좌측의 가이드박스를 나타내고, (b)는 도1의 우측의 가이드박스를 나타내고 있다.
도3은 도1의 좌측의 가이드박스의 내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도이다.
도4는 도1의 스크린도어 장치를 궤도측에서 본 개략도이며, 벨트부재, 지지 브래킷 및 리니어 레일의 부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5는 도1의 스크린도어 장치를 궤도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a)는 그 전체를 나타내며, (b)는 도1의 좌측의 문체에 설치되는 레일커버를 나타내고, (c)는 도1의 우측의 문체에 설치되는 레일커버를 나타내고 있다.
도6은 레일커버가 오버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7은 종래의 스크린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플랫폼에 설치되는 스크린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목적으로 플랫폼의 궤도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설치되는 스크린도어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이 스크린도어 장치는, 예를 들면 도7에 나타내듯이, 열차가 입선(入線)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문체(95)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한편, 열차가 입선하면 그 승강문의 개폐동작에 따라 좌우 슬라이드 도어식의 문체(95)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문체(95)는 가이드박스(91)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박스(91)가 도시가 생략된 벽체를 통해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플랫폼이 궤도측과 그 내측으로 구획된다.
가이드박스(91)내에는, 문체(95)의 개폐 제어반(96)과, 가이드 레일(92)과, 모터(94)와, 이 모터(94)에 의해 주행하는 벨트(93)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문체(95)에는, 행거(97)가 고정되어 있어서, 이 헹거(97)가 벨트(93)의 주행에 의해 가이드 레일(92)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문체(95)가 개폐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01-164833호 공보
그러나, 가이드박스의 가로폭을 문체의 가로폭보다 짧게 하여, 문체가 승강통로를 개통할 때에는 문체가 인접하는 가이드박스 사이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가이드 레일을 문체측에 부착함과 아울러, 가이드 레일을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가이드박스측에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 가이드 레일이 노출되게 되므로, 가이드 레일에 이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외관을 좋게 하기 위해서 레일커버로 덮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문체에 의한 개폐 이동폭을 넓게 취하기 위해서는, 가이드 레일 및 레일커버를 문체의 문후단부보다 돌출시켜서, 문체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는 그 돌출된 부위를 가이드부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유효하게 된다.
그러나, 가이드 레일을 레일커버로 덮어 버리면, 이 레일커버가 방해로 되어서 가이드부에 의한 가이드 레일의 지지가 곤란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 및 레일커버가 문후단부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하면, 인접하는 가이드박스 사이에서 가이드 레일 및 레일커버의 간섭의 문제가 발생하고,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이드박스 사이의 간격을 어느 정도 넓게 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레일커버가 가이드부에 의한 가이드 레일의 지지에 방해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문체가 가이드박스 사이로 이동했을 때에 가이드 레일 및 레일커버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플랫폼상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박스를 구비하고, 이 가이드박스의 각각에, 양 가이드박스 사이로 진출하도록 문체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크린도어 장치를 전제로 해서, 상기 각 문체에 그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각각 배치됨과 아울러, 그 문체의 후단부보다 상대측의 문체를 향해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리니어 레일과, 상기 각 문체에 그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각각 배치됨과 아울러, 일단부가 상기 문체의 문후단부보다 상대측의 문체 부근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장척부재와, 상기 각 가이드박스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문체를 상기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상기 장척부재에 전달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각 문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리니어 레일의 상방 및 측방을 덮는 형상의 레일커버와, 상기 각 가이드박스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레일커버내에서 상기 리니어 레일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갖고, 이 가이드부를 상기 레일커버의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양 레일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문후단부보다 돌출된 부위는 상기 양 문체가 상기 가이드박스 사이로 이동해도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다른 높이로 설정되고, 상기 양 장척부재는, 상기 양 문체가 상기 가이드박스 사이로 이동해도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다른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부재에 의해 레일커버의 하방으로부터 가이드부를 지지하고, 이 가이드부로 리니어 레일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리니어 레일의 지지상태를 유지하면서 리니어 레일에의 이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양 레일커버가 서로 다른 높이위치에 배치됨과 아울러, 양 장척부재가 서로 다른 높이위치에 배치되도록 했으므로, 양 문체가 가이드박스 사이로 이동했을 때에도 이들이 서로 간섭하는 일은 없다. 이 결과, 양 문체가 가이드박스 사이로 이동했을 때에 양 레일커버 등이 상하로 오버랩될 정도로 양 가이드박스를 근접시켜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도어 장치를, 승강구간이 좁은 차량이 입선하는 플랫폼에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 게 된다.
상기 레일커버와 상기 장척부재는, 상기 문체의 두께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게 배치되고, 상기 한쪽의 문체에 설치된 레일커버와, 상기 다른쪽의 문체에 설치된 장척부재는, 양 문체가 가이드박스 사이로 이동했을 때에, 수평방향으로 볼 때 서로 겹치는 부분이 발생되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양 레일커버와 양 장척부재가 오버랩되지 않을 정도로 상하로 어긋나 있는 구성에 비해서, 양 레일커버 및 양 장척부재의 설치에 필요한 영역의 상하폭을 압축할 수 있다.
상기 양 레일커버 중 상기 문후단부보다 돌출된 부위가 상대측의 레일커버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레일커버에는, 그 하단부에 노치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레일커버의 일부가 상기 노치부내로 들어오도록, 양 레일커버는, 양 문체가 가이드박스 사이로 이동했을 때에, 수평방향으로 볼 때 서로 겹치는 부분이 발생되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양 레일커버를, 수평방향으로 볼 때 오버랩되는 배치관계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양 레일커버의 설치높이의 차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장척부재는, 상기 문체의 두께 범위내에 포함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문체의 두께방향 외측에 장척부재가 배치되는 구성에 비해서, 가이드박스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상기 장척부재는, 양단이 상기 문체에 고정된 벨트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재는,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 풀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구동 풀 리의 양측에는, 이 구동 풀리와 같은 높이위치에 한쌍의 아이들러 풀리가 설치되고, 상기 벨트부재는,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각 아이들러 풀리 사이를 지나도록 상기 구동 풀리에 감겨져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구동 풀리의 구동력을 벨트부재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한편, 구동 풀리 및 아이들러 풀리의 설치에 필요한 영역의 상하폭이 증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장척부재는, 양단이 상기 문체에 고정된 벨트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벨트부재는 상기 레일커버보다 하방으로 돌출된 배치로 설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커버가 있는 것에 의해 보수관리하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일커버가 가이드부에 의한 가이드 레일의 지지에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한 가이드박스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해도, 문체가 가이드박스 사이에 돌출하도록 이동했을 때에 가이드 레일 및 레일커버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스크린도어 장치(10)를 홈측에서 궤도측을 향해 본 정면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듯이, 본 스크린도어 장치(10)는, 플랫폼(P)의 궤도측단부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박스(12,12)와, 이들 가이드박스(12,12)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패널(14)과, 각 가이드박스(12,12)를 관통한 상태로 배치되는 좌우 슬라이드 도어식의 한쌍의 문체(16,1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스크린도어 장치(10)를 다수 줄지어 설치함으로써 플랫폼(P)위가 궤도측과, 그 내측의 홈측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문체(16,16)를 개폐함으로써 열차의 승강객이 지나다니는 승강 통로(20,20)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각 가이드박스(12)는 플랫폼(P)상에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박스(12)는 세로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궤도를 따른 방향(도1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으로 문체(16)가 관통 가능한 통형으로 되어 있다. 이 궤도를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가이드박스(12)의 폭은, 문체(16)의 폭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문체(16)는,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를 궤도를 따른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개방위치란 문체(16)의 문선단부(16a)가 가이드박스(12)의 통로측단부(12a)의 근방에 위치함과 아울러 문체(16)의 문후단부(16b)가 가이드박스(12)의 구획측단부(12b)로부터 돌출되어, 가이드박스(12)보다 문선단부측에 위치하는 승강통로(20)를 개방하는 위치를 말한다. 한편, 폐쇄위치란, 문체(16)의 문후단부(16b)가 가이드박스(12)내로 들어옴과 아울러 문체(16)의 문선단부(16a)가 가이드박스(12)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승강통로(20)를 닫는 위치를 말한다.
도1에 나타내는 좌측의 가이드박스(12)에서는, 통로측단부(12a)로서의 좌단부로부터 문체(16)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좌측의 승강통로(20)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우측의 가이드박스(12)에서는, 통로측단부(12a)로서의 우단부로부터 문체(16)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우측의 승강통로(20)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좌측의 문체(16)에서는 우단부가 문후단부(16b)로 되어 있으며, 우측의 문체(16)에서는 좌단부가 문후단부(16b)로 되어 있다.
양 가이드박스(12,12)는, 양 문체(16,16)가 각각 승강통로(20)를 개통했을 때에 문체본체(25)에 있어서의 문후단부(16b,16b) 끼리가 서로 간섭하지 않는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다.
구획패널(14)은, 직사각형 패널로 이루어지며, 양 가이드박스(12,12)의 구획측단부(12b,12b) 끼리를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랫폼(P)은 궤도측과 승강객의 대기장소로서의 홈측으로 구획된다.
다음에 문체(16) 및 가이드박스(12)의 구성에 대해서, 도2의 (a), (b) 및 도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2의 (a)는, 도1에 있어서의 좌측의 가이드박스(이하, 좌측 가이드박스라고 함)(12)를 나타내고, 도2의 (b)는, 도1에 있어서의 우측의 가이드박스(이하, 우측 가이드박스라고 함)(12)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은, 가이드박스(12)를 각각 궤도를 따른 방향으로 본 것이다. 이하, 좌측 가이드박스(12)를 관통하는 문체를 좌측 문체(16)라고 하고, 우측 가이드박스(12)를 관통하는 문체를 우측 문체(16)라고 한다. 도3은 좌측 가이드박스(12)내의 하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것이며, 홈측에서 본 도이다.
각 가이드박스(12)는 궤도를 따른 방향(도어 개폐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12a,12b)가 개구된 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이드박스(12)는, 홈측벽부(12e)가 평판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궤도측벽부(12f)가 그 높이방향의 중간부에서 단차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이 단차부의 상측부(12c)와 단차부의 하측부(12d)는 도어 두께방향의 두께가 다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가이드박스(12)의 상측부(12c)가 하측부(12d)에 대해서 홈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가이드박스(12)내에 소정의 기기를 수용할 수 있는 두께를 확보하면서, 플랫폼(P)의 건축한계에 보다 근접해서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문체(16)는, 가이드박스(12)의 상측부(12c)로부터 하측부(12d)에 걸친 범위에 설치되는 것이며, 도2의 (a), (b)에 나타내듯이, 문체본체(25)와, 이 문체본체(25)에 부착된 지지 브래킷(26)과, 이 지지 브래킷(26)에 고정된 리니어 레일(27)과, 문체본체(25)에 부착된 레일커버(28)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도3은 레일커버(28)가 생략된 상태로 그려져 있다.
문체본체(25)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세로 프레임(25a)과 수평으로 연장되는 가로 프레임(25b)을 조합함과 아울러, 세로 프레임(25a)의 중간 높이위치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중간 프레임(25c)을 가설(架設)해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부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체부의 상부, 즉 중간 프레임(25c)의 상측부에는 유리패널(25d)이 고착되어 있다. 또, 문체(16)는, 그 상단부에 있어서 도시가 생략된 가이드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문체본체(25)의 하단부를 구성하는 가로 프레임(25b)은, 도2의 (a), (b)에 나타내듯이 좌측 문체(16)와 우측 문체(16)에서 배치높이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우측 문체(16)에 있어서의 하측의 가로 프레임(25b)이, 좌측 문체(16)에 있어서의 하측의 가로 프레임(25b)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 문체(16)에서는, 하측의 가로 프레임(25b)은, 세로 프레임(25a)의 하단부가 아니라, 그것 보다 상방의 중간부에 접합되어 있다(도4 참조, 단 궤도측에서 본 것이다).
하측의 가로 프레임(25b)과 양 세로 프레임(25a)와 중간 프레임(25c) 사이를 막도록 금속 패널(32)이 고착되어 있다. 또한 중간 프레임(25c)으로부터 하측의 가로 프레임(25b)에 걸친 범위에는, 금속 패널(32)의 홈측에 화장 패널(34)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지지 브래킷(26)은, 문체(16)의 개폐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세로로 긴 형상의 것이며, 도2의 (a), (b)에 나타내듯이, 상기 금속 패널(32)에 겹쳐진 상태로 체결된 평판형상의 세로부(26a)와, 이 세로부(26a)의 중간 높이부위에 고정된 평판형상의 가로부(26b)를 구비하고 있다. 세로부(26a)는, 금속 패널(32)의 궤도측면에 겹쳐지며, 가로부(26b)는, 이 세로부(26a)로부터 궤도측을 향해서 수평하게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우측 문체(16)에서는, 금속 패널(32)이 세로부(26a)를 설치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구성되는 한편, 좌측 문체(16)에 설치되는 금속 패널(32)은, 그 약 2배정도의 높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좌측 문체(16)의 금속 패널(32)에 부착된 지지 브래킷(26)은, 우측 문체(16)의 지지 브래킷(26)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니어 레일(27)은, 가로부(26b)에 있어서의 하면에 체결 고정되어, 지지 브래킷(26)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개폐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리니어 레일(27)은, 측면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중간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홈은, 좌우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며, 리니어 레일(27)의 길이방향의 전체에 걸쳐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커버(28)는, 그 상단부에서 중간 프레임(25c)에 체결되어 있다. 즉, 레일커버(28)는 그 상단부가 문체본체(25)에 있어서의 지지 브래킷(26)의 상방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레일커버(28)는, 연직면내에서 중간 프레임(25c)을 따르도록 연장되는 연직면부(28a)와, 이 연직면부(28a)의 하단부로부터 궤도측으로 경사형상으로 돌출된 상면부(28b)와, 이 상면부(28b)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부(28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레일커버(28)는, 상면부(28b) 및 측면부(28c)의 양단부에 각각 끝면부(28d)가 형성되어 있다(도5 및 도6참조). 그리고, 레일커버(28)는, 리니어 레일(27) 및 지지 브래킷(26)의 상방, 측방 및 길이방향 양측을 덮고 있다.
양 레일커버(28)는 각각 연직면부(28a)의 높이폭이 다르다. 이 때문에, 연직면부(28a)의 하단부에 연속되는 상면부(28b)와, 이 상면부(28b)에 연속되는 측면부(28c) 및 끝면부(28d)는, 양 레일커버(28) 사이에서 그 높이위치가 다르다. 구체적으로, 우측 문체(16)의 레일커버(우측 레일커버)(28)에서는, 상면부(28b)가 중간 프레임(25c)의 바로 아래에서부터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도2의 (b)) 것에 대해서, 좌측 문체(16)의 레일커버(좌측 레일커버)(28)에서는, 그것보다 하방, 구체적으로 상면부(28b)가 우측 레일커버(28)의 측면부(28c)에 있어서의 하단부와 같은 높이위치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도2의 (a)). 이 때문에, 좌측 레일커버(28)의 상면부(28b)와, 우측 레일커버(28)의 측면부(28c) 및 끝면부(28d)는 수평방향으로 볼 때 일부 겹치는 부분이 발생되는 높이관계로 되어 있다.
각 문체(16)에는, 장척부재의 일례로서의 벨트부재(38)가 각각 설치되어 있 다. 벨트부재(38)는, 문체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 양단부에 있어서 각각 벨트용 브래킷(30)(도3참조)을 통해 하측의 가로 프레임(25b)에 고정되어 있다.
하측의 가로 프레임(25b)은, 도4에 나타내듯이, 문체본체(25)의 문후단을 구성하는 문후단부(16b)측의 세로 프레임(25a)보다 상대측의 문체(16)를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이 결과, 벨트부재(38)의 문후단부측의 끝부는, 문체본체(25)의 문후단부보다 상대측의 문체(16)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벨트부재(38)는, 톱니가 형성된 벨트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톱니가 위를 향하는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이 벨트부재(38)는, 양단부에서 벨트용 브래킷(30)을 통해 하측의 가로 프레임(25b)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가로 프레임(25b)과는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벨트부재(38)는, 그 문체(16)의 레일커버(28)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양 벨트부재(38)는, 좌측 문체(16)와 우측 문체(16)에서 배치높이가 다르다. 구체적으로, 도2의 (a)에 나타내는 좌측 문체(16)의 벨트부재(38)는, 도2의 (b)에 나타내는 우측 문체(16)의 벨트부재(38)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벨트부재(38)는, 문체본체(25)의 두께보다 얇은 폭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이 벨트부재(38)는, 문체본체(25)로부터 그 면밖으로 튀어나오도록 설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벨트부재(38)는, 문체본체(25)로부터 궤도측으로 돌출된 레일커버(28)와는 문체(16)의 두께방향으로 위치어긋나 있다.
한쪽(도면의 예에서는, 문후단부측)의 벨트용 브래킷(30)에는, 도3에 나타내 듯이, 벨트부재(38)의 텐션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수단(42)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박스(12)의 홈측벽부(12e)에 있어서의 하부에는, 벨트부재(38)에 대응하는 높이위치에, 벨트부재(38) 등의 보수관리시 등에 개방해서 벨트부재(38)를 노출시키는 보수관리문(4O)이 설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박스(12)에는, 문체(16)를 개폐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기(44)와, 가이드부의 일례로서의 슬라이드 블록(46)을 지지하는 지지부재(48)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구동기기(44)에는, 구동원으로서의 구동모터(50)가 포함되어 있다. 이 구동모터(50)는 도시가 생략된 컨트롤러에 의해 구동제어된다. 컨트롤러는, 열차의 입선에 맞춰서 역(驛)의 집중제어반 등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모터(50)의 구동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모터(50)의 출력축에는, 구동부재의 일례로서의 구동 풀리(52)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풀리(52)는, 수평축 둘레로 회전하는 자세로 설치되어 있으며, 벨트부재(38)에 맞물려 있다.
상기 지지부재(48)는, 도어 개폐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저판(54)상에 배치된 다리부(48a)와, 이들 다리부(48a) 사이에 가설된 부착판(48b)과, 이 부착판(48b)에 고정된 받이판(48c)과, 이 받이판(48c)상에 고정된 적재판(48d)을 구비하고 있다.
다리부(48a)는, 가이드박스(12)내에 있어서의 궤도측벽부(12f)에 근접해서 배치되고, 도어 개폐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이들 다리부(48a)는, 레일커버(28)의 하단부의 배치높이에 대응한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 고, 도2의 (b)에 나타내는 우측 가이드박스(12)내에 설치된 다리부(48a)는, 도2의 (a)에 나타내는 좌측 가이드박스(12)내에 설치된 다리부(48a)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받이판(48c)은, 도어 개폐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적재판(48d)은 이들 받이판(48c)에 가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적재판(48d)위에는 상기 슬라이드 블록(46)이 고정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슬라이드 블록(46)은, 그 하방에 배치된 적재판(48d)에 의해 밑에서부터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드 블록(46)은, 리니어 레일(27)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고, 가이드박스(12)내에 있어서의 도어 개폐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병설되어 있다.
각 슬라이드 블록(46)의 상면부에는, 도어 개폐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홈은, 리니어 레일(27)을 가이드하기 위한 홈이며, 리니어 레일에 대응한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리니어 레일(27)이 빠지지 않게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적재판(48d)과 슬라이드 블록(46)은, 레일커버(28)의 하단부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이들은 레일커버(28)내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다리부(48a), 부착판(48b) 및 받이판(48c)은, 레일커버(28)의 하단부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수평방향에서 보면 레일커버(28)로부터 튀어나와 있다.
상기 구동모터(50)는, 모터 브래킷(56)을 통해 상기 부착판(48b)에 고정되어 있다. 도2의 (a)에 나타내는 좌측 가이드박스(12)내에 배치된 구동모터(50)는, 그 구동축이 문체본체(25)보다 아래가 되도록 설치되는 한편, 도2의 (b)에 나타내는 우측 가이드박스(12)내에 배치된 구동모터(50)는, 그 구동축이 문체본체(25)의 하단부보다 위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부착판(48b) 및 받이판(48c)에는, 풀리 브래킷(58)이 고정되어 있다. 이 풀리 브래킷(58)은, 양 받이판(48c)의 하면 사이에 가설되는 평판형상의 평판부(58a)와, 이 평판부(58a)에 체결되어서 구동 풀리(52)의 양측에서 각각 평판부(58a)로부터 기립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부(58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지지부(58b)에는, 도3에 나타내듯이, 아이들러 풀리(60)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양 아이들러 풀리(60)는, 구동 풀리(52)를 사이에 두도록 그 양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 풀리(52)와 같은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아이들러 풀리(60)에는, 구동 풀리(52)의 하측을 지나는 벨트부재(38)가, 구동 풀리(52)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굴곡되어서 상측으로부터 감겨져 있다. 따라서, 아이들러 풀리(60)에는 벨트부재(38)의 배면측이 감겨져 있으며, 이 아이들러 풀리(60)에 의해 벨트부재(38)가 구동 풀리(52)를 따르도록 굴곡됨으로써, 벨트부재(38)가 구동 풀리(52)에 맞물리는 범위가 확대되어 있다.
도4에 나타내듯이, 하측의 가로 프레임(25b)은, 일단부가 문체본체(25)의 문선단을 구성하는 문선단부(16a)측의 세로 프레임(25a)에 결합되는 한편, 타단부가, 문체본체(25)의 문후단을 구성하는 문후단부(16b)측의 세로 프레임(25a)보다 폐쇄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하측의 가로 프레임(25b)은, 상대측의 문체(16)를 향해서 돌출되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 도4는, 궤도측에서 본 것이며, 도2의 (a)에 나타내는 좌측 문체(16)가 도4의 우측에 그려져 있으 며, 도2의 (b)에 나타내는 우측 문체(16)가 도4의 좌측에 그려져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벨트부재(38)의 일부가 하방으로 불룩하게 나오도록 그려져 있지만, 이것은 이것은 구동 풀리(52)에 감겨져 있는 부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4에 나타내듯이, 각 지지 브래킷(26)은, 일단부가 문체본체(25)의 문선단을 구성하는 문선단부(16a)측의 세로 프레임(25a)에 결합되는 한편, 타단부가, 문체본체(25)의 문후단을 구성하는 문후단부(16b)측의 세로 프레임(25a)보다 폐쇄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양 지지브래킷(26)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서로 다른 높이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양 레일커버(28)도, 도5 및 도6에 나타내듯이, 상면부(28b), 측면부(28c) 및 끝면부(28d)가 서로 다른 높이위치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단, 하측에 배치되는 좌측 문체(16)의 레일커버(28)의 상면부(28b)는, 상측에 배치되는 우측 문체(16)의 레일커버(28)의 측면부(28c)가 차지하는 높이범위내에 일부 포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우측 문체(16)의 레일커버(28)의 끝면부(28d)에는, 그 하측의 우각(隅角)부에 노치부(28e)가 형성됨으로써, 양 레일커버(28)가 서로 간섭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도4의 좌측에 나타내는 우측 문체(16)의 하측 가로 프레임(25b) 및 벨트부재(38)는, 도4의 우측에 나타내는 좌측 문체(16)의 레일커버(28) 및 지지 브래킷(26) 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높이범위내에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하측 가로 프레임(25b) 및 벨트부재(38)와, 레일커버(28) 및 지지 브래킷(26)은, 문체(16)의 두께 방향으로 위치어긋나 있으므로, 문체(16)의 개폐동작시에 있어서 서로 간섭하는 일 은 없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크린도어 장치(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열차가 입선하지 않는 통상시에 있어서는, 각 문체(16,16)는 폐쇄위치에 있고, 승강통로(20,20)는 폐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1에 있어서의 좌측의 문체(16)가 좌측방향으로 위치되어지는 한편, 도1에 있어서의 우측의 문체(16)가 우측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랫폼의 승객은 궤도측으로 나갈 수 없어, 승객의 안전이 확보되고 있다.
그리고, 열차가 입선하면, 집중제어반 등으로부터 송신된 제어신호가 각 가이드박스(12)내의 컨트롤러에 입력되어, 구동모터(50)를 구동한다. 이것에 의해, 구동 풀리(52)가 예를 들면 정회전하고, 그것에 맞물리는 벨트부재(38)가 주행한다. 그리고, 양 문체(16,16)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이드박스(12) 사이에서 문후단부(16b) 끼리가 서로 근접할 때까지 이동해서 승강통로(20)가 개방된다. 이 때, 양 레일커버(28)는, 각각 다른 높이위치에 있으며, 또한 오버랩되는 범위내에서는, 끝면부(28d)에 형성된 노치부(28e)내를 다른 한쪽의 레일커버(28)가 통과하므로, 양 레일커버(28)가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하측 가로 프레임(25b) 및 벨트부재(38)는, 좌측 문체(16)와 우측 문체(16)에서 서로 다른 높이위치에 있으므로, 서로 간섭하는 일은 없다. 또한, 레일커버(28)와, 하측 가로 프레임(25b) 및 벨트부재(38)는, 문체(16)의 두께방향으로 어긋나 있으므로, 이들이 서로 간섭하는 일은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지지부재(48)에 의해 레 일커버(28)의 하방으로부터 슬라이더 블록(46)을 지지하고, 이 슬라이더 블록(46)으로 리니어 레일(27)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리니어 레일(27)의 지지상태를 유지하면서 리니어 레일(27)에의 이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양 레일커버(28)가 서로 다른 높이위치에 배치됨과 아울러, 양 벨트부재(38)가 서로 다른 높이위치에 배치되도록 했으므로, 양 문체(16)가 가이드박스(12) 사이로 이동했을 때에 양 레일커버(28) 등이 오버랩될 정도로 양 가이드박스(12)를 근접해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본 스크린도어 장치(10)를 승강구간이 좁은 차량이 입선하는 플랫폼(P)에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벨트부재(38)와 레일커버(28)를 문체(16)의 두께방향으로 어긋나게 함과 아울러, 우측 문체(16)의 벨트부재(38)가 좌측문체(16)의 레일커버(28)에 있어서의 상면부(28b) 및 측면부(28c)가 차지하는 상하방향의 범위내에 포함되도록 했으므로, 양 벨트부재(38)와 양 레일커버(28)가 오버랩되지 않을 정도록 상하로 어긋나 있는 구성에 비해서, 이들의 설치에 필요한 영역의 상하폭을 압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 풀리(52)와 아이들러 풀리(60)를 수평방향으로 병설하고, 벨트부재(38)가 구동 풀리(52)의 권취부분을 제외하고 수평으로 배치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이들을 부착하기 위해서 필요한 영역의 상하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 문체본체(25)의 중간 프레임(25c)의 높이위치를 낮은 위치로 설정할 수 있어, 유리패널(25d)이 부착되는 면적을 상하방향으로 확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다 전망이 좋고 채광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 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벨트부재(38)가 문체본체(25)의 두께범위내에 설치되도록 했으므로, 그 만큼 문체(16)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가이드박스(12)의 하측부(12d)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플랫폼(P)위에서 가이드박스(12)가 차지하는 스페이스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벨트부재(38)가 레일커버(28)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보수관리가 필요하게 되는 벨트부재(38)를 사용한 구성으로 해도, 레일커버(28)가 보수관리에 방해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구동모터(50)에 의해 벨트부재(38)를 주행시켜서 문체(16)의 개폐동작을 행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 대신에, 장척부재를 랙에 의해 구성함과 아울러, 구동모터(50)의 구동축에 피니언(구동부재)을 설치하고, 랙과 피니언이 맞물림으로써, 피니언으로부터 랙에 구동력이 전달되어서 문체(16)의 개폐동작이 행해지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랙과 같이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구성에서는, 아이들러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더욱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장척부재를, 벨트부재(38) 대신에 체인부재로 구성함과 아울러, 구동부재를, 구동 풀리(52) 대신에 스프로킷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브래킷(26)의 가로부(26b)의 하면에 리니어 레일(27)이 부착되는 한편, 슬라이더 블록(46)을 가이드홈이 상면에 형성되는 자세로 배치했지만, 이것 대신에, 지지 브래킷의 가로부(26b)를 생략함과 아울러, 리니어 레일(27)을 지지 브래킷(26)의 세로부(26a)에 고정하고, 가이드홈이 측면에 형 성되는 자세로 슬라이더 블록(46)을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에서도, 슬라이드 블록(46)은 적재판(48d)위에 배치되어 체결되는 구성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일커버가 가이드부에 의한 가이드 레일의 지지에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한 가이드박스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해도, 문체가 가이드박스 사이에 돌출하도록 이동했을 때에 가이드 레일 및 레일커버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Claims (6)

  1. 플랫폼상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박스를 구비하고, 이 가이드박스의 각각에, 양 가이드박스 사이로 진출하도록 문체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크린도어 장치로서,
    상기 각 문체에 그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각각 배치됨과 아울러, 그 문체의 문후단부보다 상대측의 문체를 향해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리니어 레일;
    상기 각 문체에 그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각각 배치됨과 아울러, 일단부가 상기 문체의 문후단부보다 상대측의 문체 부근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장척부재;
    상기 각 가이드박스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문체를 상기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상기 장척부재에 전달하는 구동부재;
    상기 각 문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리니어 레일의 상방 및 측방을 덮는 형상의 레일커버; 및
    상기 각 가이드박스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레일커버내에서 상기 리니어 레일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갖고, 이 가이드부를 상기 레일커버의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양 레일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문후단부부보다 돌출된 부위는 상기 양 문체가 상기 가이드박스 사이로 이동해도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다른 높이로 설정되고,
    상기 양 장척부재는, 상기 양 문체가 상기 가이드박스 사이로 이동해도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다른 높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커버와 상기 장척부재는, 상기 문체의 두께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게 배치되고,
    상기 한쪽의 문체에 설치된 레일커버와, 상기 다른쪽의 문체에 설치된 장척부재는, 양 문체가 가이드박스 사이로 이동했을 때에, 수평방향으로 볼 때 서로 겹치는 부분이 발생되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레일커버 중 상기 문후단부보다 돌출된 부위가 상대측의 레일커버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레일커버에는, 그 하단부에 노치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레일커버의 일부가 상기 노치부내로 들어오도록, 양 레일커버는, 양 문체가 가이드박스 사이로 이동했을 때에, 수평방향으로 볼 때 서로 겹치는 부분이 발생되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부재는, 상기 문체의 두께 범위내에 포함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부재는, 양단이 상기 문체에 고정된 벨트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재는,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 풀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구동 풀리의 양측에는, 이 구동 풀리와 같은 높이위치에 한쌍의 아이들러 풀리가 설치되고,
    상기 벨트부재는,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각 아이들러 풀리 사이를 지나도록 상기 구동 풀리에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부재는, 양단이 상기 문체에 고정된 벨트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벨트부재는 상기 레일커버보다 하방으로 돌출된 배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 장치.
KR1020060019812A 2005-03-04 2006-03-02 스크린도어 장치 KR1007646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60725 2005-03-04
JP2005060725A JP4648729B2 (ja) 2005-03-04 2005-03-04 ホームド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323A true KR20060096323A (ko) 2006-09-11
KR100764680B1 KR100764680B1 (ko) 2007-10-08

Family

ID=3700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812A KR100764680B1 (ko) 2005-03-04 2006-03-02 스크린도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648729B2 (ko)
KR (1) KR100764680B1 (ko)
CN (1) CN100551751C (ko)
HK (1) HK1094689A1 (ko)
TW (1) TWI28276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288B1 (ko) * 2007-10-04 2010-01-13 대덕피에스텍 (주) 조립식 스크린 도어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200449234Y1 (ko) * 2008-07-31 2010-06-25 손병옥 난간형 스크린도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8729B2 (ja) 2005-03-04 2011-03-09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ホームドア装置
ITTO20070396A1 (it) * 2007-06-06 2008-12-07 Oclap Srl Barriera di accesso per banchine di stazioni ferroviarie
KR100867735B1 (ko) 2008-03-14 2008-11-10 대덕피에스디 (주) 도어의 개폐작용력 조절이 가능한 승강장 스크린 도어의구동장치
JP4769281B2 (ja) * 2008-10-30 2011-09-07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ホームドア装置
JP5325536B2 (ja) * 2008-10-30 2013-10-23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ホームドア装置
JP2010188896A (ja) * 2009-02-19 2010-09-02 Nabtesco Corp ホームドア装置
CN102639807A (zh) * 2009-10-23 2012-08-15 克诺尔布莱姆斯轨道系统英国有限公司 站台屏蔽门系统
KR101200068B1 (ko) 2010-12-30 2012-11-12 (주)동우자동도어 스크린 도어 시스템
JP7200545B2 (ja) * 2018-08-27 2023-01-1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道路用消火栓
KR102133232B1 (ko) * 2019-12-30 2020-08-07 주식회사 선일피앤에스 수직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27280B (en) * 1988-10-12 1992-05-06 Westinghouse Brake & Signal Door installation including a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US5145231A (en) 1990-03-31 1992-09-08 Mazda Motor Corporation Roof structure of an automotive vehicle
JPH06239224A (ja) * 1993-02-12 1994-08-30 Nabco Ltd 乗降口扉装置
JP2000108890A (ja) 1998-10-02 2000-04-18 Fuji Electric Co Ltd プラットホーム用開閉柵
JP3227143B2 (ja) 1999-08-03 2001-11-1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可動柵
JP4397493B2 (ja) * 2000-01-12 2010-01-13 三菱電機株式会社 停車場用乗降口装置
JP2002308089A (ja) * 2001-04-18 2002-10-23 Hitachi Ltd プラットホーム用可動柵
JP4141790B2 (ja) * 2002-10-11 2008-08-27 株式会社京三製作所 可動ホーム柵装置
JP4648729B2 (ja) 2005-03-04 2011-03-09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ホームドア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288B1 (ko) * 2007-10-04 2010-01-13 대덕피에스텍 (주) 조립식 스크린 도어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200449234Y1 (ko) * 2008-07-31 2010-06-25 손병옥 난간형 스크린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48729B2 (ja) 2011-03-09
TW200640725A (en) 2006-12-01
JP2006240529A (ja) 2006-09-14
HK1094689A1 (en) 2007-04-04
KR100764680B1 (ko) 2007-10-08
CN100551751C (zh) 2009-10-21
CN1833935A (zh) 2006-09-20
TWI282764B (en) 200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4680B1 (ko) 스크린도어 장치
TWI541153B (zh) Platform door device
JP2012056494A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4536818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5103354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扉開閉装置
JPH06239224A (ja) 乗降口扉装置
JP5500670B2 (ja) ホームドア装置
JP4425705B2 (ja) 可動式ホーム柵装置
JP4536812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4409371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4727716B2 (ja) ホームドア装置
JP2009249155A (ja) エレベータの戸開閉装置
JP2659488B2 (ja) 引戸装置
JP5955932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5784966B2 (ja) ホームドア装置
JP2010241429A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H06239225A (ja) 乗降口扉装置
RU2437823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вери лифта
JP5996054B2 (ja) ホームドア装置
JP4769281B2 (ja) ホームドア装置
JP5654254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WO2004106213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10173517A (ja) プラットホーム用ドア装置の扉体
KR20210008721A (ko) 스크린도어 가이드 장치
KR101354202B1 (ko) 엘리베이터용 다단 도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