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232B1 - 수직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 Google Patents

수직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232B1
KR102133232B1 KR1020190178595A KR20190178595A KR102133232B1 KR 102133232 B1 KR102133232 B1 KR 102133232B1 KR 1020190178595 A KR1020190178595 A KR 1020190178595A KR 20190178595 A KR20190178595 A KR 20190178595A KR 102133232 B1 KR102133232 B1 KR 102133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door
guide rail
coupled
guide
guid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석천
신판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일피앤에스
신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일피앤에스, 신판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일피앤에스
Priority to KR1020190178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3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 E06B11/026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horizont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우측 가동문 및 우측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크린도어 모듈로서, 상기 우측 가동문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우측 구동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의 일 지점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결합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 지점과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의 상기 일 지점은, 상기 결합 슬릿을 관통하는 고정나사 및 상기 결합 슬릿을 관통하는 고정나사에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 너트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 슬릿에서의 상기 고정나사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우측 가동문의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수직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난간형 스크린도어{Parapet type screen door with height-adjustable door structure}
본 발명은 승강장에 설치되는 스크린도어에 관한 것으로써 상단이 개방되어 있는 난간형 스크린도어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 기차, 및 전철 등을 위한 승강장의 보행자가 선로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열차로부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스크린도어 스크린도어는 개폐되는 방향에 따라 좌우개폐형, 및 수직개폐형으로 구분되며 좌우개폐형은 밀폐형, 반밀폐형, 난간형으로 구분되고 있다.
난간형 스크린도어의 각 가동문은, 상기 가동문을 구동하는 구동부에 외팔보 형태로 결합된다. 그런데 난간형 스크린도어는 밀폐형 스크린도어와 달리, 스크린도어의 위쪽에서 가동문의 상단부를 고정하여 가이드해 주는 상단 프레임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각 가동문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가동문 중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지 않은 반대편 단부가 중력에 의해 아래로 쳐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쳐짐은 난간형 스크린도어의 설치과정에서 발생할 수도 있고, 설치된 이후 가동문의 가중에 의해 토크에 의해 발생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난간형 스크린도어에 있어서 가동문의 일단부의 쳐짐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는 난간형 스크린도어에서 좌측 가동문 모듈과 우측 가동문 모듈이 분리되어 있으며, 승강장에 설치 시 승강장의 구배 및 모듈 제작 공차에 따라 좌측 가동문과 우측 가동문이 맞닿는 중심부가 수직으로 일치하지 않아 틈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틈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난간형 스크린도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지하철, 기차, 전철 등의 출입문 당 좌측 가동문 모듈과 우측 가동문 모듈 그리고 비상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동문 모듈은 구동부 어세이(Assy)와 가동문 어세이로 구분된다.
가동문 어세이는 가동문과 가이드 레일로 구성되는데 가이드 레일에는 LM가이드가 포함되어 있다.
가이드레일은 구동부 어세이에 고정된 LM가이드 블록에 따라 수평을 유지하지만, 가동문은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의 높낮이 조절부를 통하여 고정축을 중심으로 높낮이가 조절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수직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난간형 스크린도어는, 좌측 가동문과 우측 가동문이 맞닿는 중심부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좌측 가동문과 우측 가동문을 수직으로 높낮이 조절을 하기 위하여, 좌측 가동문과 우측 가동문의 가이드 지지대에 높낮이 조절 장치를 포함시켜 수직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 가동문과 상기 우측 가동문 각각의 후면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에는 LM가이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LM가이드에 조립된 LM가이드 블록은 구동부 지지대에 조립하여 연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좌측 가동문과 상기 우측 가동문이 맞닿는 중심부가 수직으로 일치하지 않아 틈이 발생하게 되면 좌측 가동문과 우측 가동문의 가이드 지지대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높낮이 조절 장치로 높낮이를 조절하여 가동문의 일 부분의 높이를 수직으로 재조정할 수 있다.
상기 높낮이 조절 장치는 가이드 지지대와 가이드 레일의 조립 부분에 편차를 발생시켜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좌측 가동문 및 상기 우측 가동문은 외팔보 형태이다. 이와 같이 외팔보 형태로 외부로 돌출된 좌측 가동문 및 우측 가동문을 지탱하기 위해서는 돌출된 폭의 약1/3 이상의 폭을 갖는 지지부가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지지부는 구동부 모듈 후면에 위치함으로써 좌측 가동문 및 우측 가동문이 개방되고 서로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
차량의 출입문의 간격이 넓으면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겠지만 차량의 출입문 간격이 좁은 경우 여유 공간이 없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좌측 가동문 모듈에 조립된 가이드 레일과 우측 가동문 모듈에 조립된 가이드 레일을 수직방향으로 편차를 두어 배치함으로써 간섭을 피하고 개방폭을 넓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우측 가동문(12) 및 우측 구동부(22)를 포함하는 스크린도어 모듈(10)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우측 가동문(12)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우측 구동부(22)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41)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일 지점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결합 슬릿(5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레일(41)의 일 지점과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상기 일 지점은, 상기 결합 슬릿(56)을 관통하는 고정나사(59) 및 상기 결합 슬릿(56)을 관통하는 고정나사(59)에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 너트(51)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 슬릿(56)에서의 상기 고정나사(59)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우측 가동문(12)의 상기 가이드레일(41)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타 지점에는 결합 홀(5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레일(41)의 타 지점과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상기 타 지점은, 상기 결합 홀(56)을 관통하는 고정나사(59) 및 상기 결합 홀(56)을 관통하는 고정나사(59)에 결합되는 고정축 너트(52)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높낮이 조절 너트(51)의 하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결합부(5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에는 상기 수직결합부(512)에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 나사(55)를 통과시키는 홀(5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높낮이 조절 나사(55)는 상기 홀(501)을 통과하여 상기 수직결합부(512)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높낮이 조절 나사(55)와 상기 수직결합부(512) 간의 결합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우측 가동문(12)의 자세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우측 가동문(12)의 자세가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나사(59)와 상기 높낮이 조절 너트(51)를 결함함으로써, 상기 결정된 상기 우측 가동문(12)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41)과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사이에는 간격 유지 라이너(54)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간격 유지 라이너(54)에는 상기 결합 슬릿(56)과 정렬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1슬릿(5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41)과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는 상기 간격 유지 라이너(54)의 두께에 해당하는 간격을 갖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간격 유지 라이너(54)에는 하측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측 절곡부에는 상기 높낮이 조절 나사(55)가 상기 수직결합부(512)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된 홀(54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41)과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사이에는 제2간격 유지 라이너(154)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제2간격 유지 라이너(154)에는 상기 결합 홀(57)과 정렬된 제1홀(15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41)과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는 상기 제2간격 유지 라이너(54)의 두께에 해당하는 간격을 갖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스크린도어 모듈은, 좌측 가동문(11) 및 좌측 구동부(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가동문(11)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좌측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좌측 구동부(21)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좌측 가이드레일(41, 411)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가이드레일(41, 411)과 상기 좌측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는 서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좌측 가동문(11)과 상기 우측 가동문(12)이 열리는 동안, 상기 가이드레일(41, 412)과 상기 좌측 가이드레일(41, 411)은 서로 가까워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좌측 가동문(11)과 상기 우측 가동문(12)이 완전히 열리면, 상기 가이드레일(41, 412)과 상기 좌측 가이드레일(41, 411)이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 포개지도록, 상기 가이드레일(41, 412)이 배치된 높이와 상기 좌측 가이드레일(41, 411)이 배치된 높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상기 스크린도어 모듈을 포함하는 난간형 스크린도어(1)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난간형 스크린도어에서 좌측 가동문 모듈과 우측 가동문 모듈이 분리되어 있으며, 승강장에 설치 시 승강장의 구배 및 모듈 제작 공차에 따라 좌측 가동문과 우측 가동문이 맞닿는 중심부가 수직으로 일치하지 않아 발생하는 틈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난간형 스크린도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난간형 스크린도어를 플랫폼에서 선로 쪽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에 나타낸 난간형 스크린도어를 선로에서 플랫폼 쪽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2의 (b) 및 (c)는 도 2의 (a)에 나타낸 난간형 스크린도어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측 가동문과 우측 구동부를 더 자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난간형 스크린도어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측 가동문에 포함되는 우측 가동문 프레임을 선로로부터 플랫폼 쪽으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도 5에 나타낸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에 결합되는 부속품들 및 이들의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높낮이 조절 나사를 이용하여 가이드레일과 우측 가동문 간의 상대적인 높이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 및 여기에 결합되는 다른 부품들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는 우측 구동부의 일부 구성을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9b는 도 9a에 나타낸 타이밍 벨트를 이용한 구체적인 LM가이드의 구동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가이드레일과 우측 가동문 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한 세트의 스크린도어 모듈의 커버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난간형 스크린도어의 동작상태 및 이에 따른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난간형 스크린도어(1)를 플랫폼에서 선로 쪽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난간형 스크린도어(1)는 좌측 구동부(21), 좌측 가동문(11), 우측 가동문(12), 및 우측 구동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 한 세트의 스크린도어 모듈(1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스크린도어 모듈(10)들은 플랫폼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한 스크린도어 모듈 사이에는 비상문(31)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의 (a)는 도 1에 나타낸 난간형 스크린도어를 선로에서 플랫폼 쪽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의 (b) 및 (c)는 도 2의 (a)에 나타낸 난간형 스크린도어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b)는 도 1에 나타낸 난간형 스크린도어(1)가 80% 정도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의 (c)는 도 1에 나타낸 난간형 스크린도어(1)가 100%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난간형 스크린도어(1)가 개방되는 동안, 좌측 가동문(11)은 좌측 구동부(21) 쪽으로 이동하고 좌측 구동부(21)은 우측 구동부(22)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측 가동문과 우측 구동부를 더 자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우측 가동문(12) 및 우측 구동부(22)의 구조와 좌측 가동문(11) 및 좌측 구동부(21)의 구조는 서로 좌우 대칭이며 그 동작 원리는 동일하다.
도 3의 (a) 및 (b)는 플랫폼으로부터 선로 쪽으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의 (c) 및 (d)는 선로로부터 플랫폼 쪽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우측 구동부(22)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41) 및 모터(49)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구동부(22)는 플랫폼 또는 선로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다만 우측 구동부(22) 중 가이드레일(41)은 좌우방향으로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우측 가동문(12)는 가이드레일(41)에 결합되어 있으며, 플랫폼 또는 선로에 고정되어 설치된 것은 아니다. 우측 가동문(12)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외팔보 방식으로 지지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도 4는 난간형 스크린도어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우측 가동문(12)은 가이드레일(41)을 이용하여 우측 구동부(22)에 외팔보 방식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우측 가동문(12)이 닫힌 상태에서 한 쪽 단부가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기울 수 있다. 이러한 기울기는 설치 과정에서 발생할 수도 있고, 설치 완료 후 중력에 의해 서서히 발생할 수도 있다.
도 4의 (a)는 0도가 아닌 기울기가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4의 (b)는 기울기가 발생하지 않은 바람직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측 가동문에 포함되는 우측 가동문 프레임을 선로로부터 플랫폼 쪽으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우측 가동문 프레임(12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완성된 형태의 우측 가동문 프레임(120)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가동문 프레임(120)은 강화유리(121), 걸레받이(122), 상부바(123), 쿠션바(124), 쿠션(125), 수직바(126), 중간바(127), 하부바(128),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및 이들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복수 개의 결합편들(129)을 포함할 수 있다.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우측 단부에는 마감캡(53)이 결합될 수 있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도 5에 나타낸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에 결합되는 부속품들 및 이들의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및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에 결합되는 부속품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b는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및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에 결합되는 부속품들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c는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중 높낮이 조절 너트(51)가 배치된 위치에서의 부품들 간의 상호 결합관계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선로로부터 플랫폼 쪽으로 바라본 사시도인 반면, 도 6c는 플랫폼으로부터 선로 쪽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중 플랫폼 쪽 일면에는 1개 이상의 높낮이 조절 너트(51)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a와 같이 3개의 높낮이 조절 너트(51)가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중 플랫폼 쪽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중 플랫폼 쪽 일면에는 1개의 고정축 너트(52)가 삽입될 수 있다. 특히 고정축 너트(52)는 수직바(126)와 수직방향으로 정렬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높낮이 조절 너트(51)와 고정축 너트(52)가 배치된 후 소정의 조립과정이 완료되면 마감캡(53)이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우측단부를 막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6a에 나타낸 예에서 3개의 높낮이 조절 너트(51)들과 1개의 고정축 너트(52)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개 이상의 높낮이 조절 너트(51)에 대응하는 각각의 위치에는 한 개 이상의 간격 유지 라이너(5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간격 유지 라이너(54)는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중 선로 쪽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중 플랫폼 쪽 일면과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중 선로 쪽 타면은 서로 반대면일 수 있다.
상기 한 개의 고정축 너트(52)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한 개의 간격 유지 라이너간격 유지 라이너(15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간격 유지 라이너(154)는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중 선로 쪽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축 너트(52) 및 고정축 너트(52)에 대응하는 간격 유지 라이너(154)의 사이에는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골조가 개재되도록 되어 있고, 각각의 높낮이 조절 너트(51) 및 상기 각각의 높낮이 조절 너트(51)에 대응하는 간격 유지 라이너(54)의 사이에도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골조가 개재되도록 되어 있다.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은 대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절곡한 단면을 가질 수 있고, 또는 이와 달리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은 대체적으로 상부 절곡면이 생략된 'ㄴ'자 형태로 절곡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6c에서는 대체적으로 'ㄷ'자 형태의 예를 제시하였다.
간격 유지 라이너(54)는 대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절곡한 단면을 가질 수 있고, 또는 이와 달리 간격 유지 라이너(54)는 대체적으로 상부 절곡면이 생략된 'ㄴ'자 형태로 절곡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6c에서는 대체적으로 'ㄷ'자 형태의 예를 제시하였다.
가이드레일(41), 간격 유지 라이너(54),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및 높낮이 조절 너트(51)는 순차적으로 겹친 상태에서 고정나사(59)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고정나사(59)는 높낮이 조절 너트(5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한 개의 높낮이 조절 너트(51)에 대하여 복수 개의 고정나사(59)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나사(59)의 구체적인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고정나사(59)와 높낮이 조절 너트(51) 간의 결합을 위하여, 가이드레일(41)에는 제1홀(411)이 형성되어 있고, 간격 유지 라이너(54)에는 제1슬릿(58)이 형성되어 있고,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에는 결합 슬릿(56)이 형성되어 있고, 높낮이 조절 너트(51)에는 수평결합부(5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수평결합부(511)에는 고정나사(59)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높낮이 조절 너트(51)의 상하폭은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고정나사(59)는 제1홀(411), 제1슬릿(58), 및 결합 슬릿(56)을 차례로 통과하여 수평결합부(511)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41)과 높낮이 조절 너트(51)는 언제나 상대적으로 상항 방향으로 서로 이동하지 않도록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간격 유지 라이너(54)와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는 언제나 상대적으로 상항 방향으로 서로 이동하지 않고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고정나사(59)가 결합 슬릿(56) 중 어느 높이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가이드레일(41)과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상대적인 높이 그리고 가이드레일(41)과 간격 유지 라이너(54)의 상대적인 높이는 변화될 수 있다.
높낮이 조절 너트(51)에는 아래쪽에서부터 위쪽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직결합부(512)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간격 유지 라이너(54)의 하측 절곡면에는 높낮이 조절 나사(55)가 통과할 수 있는 홀(54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하측 절곡면에는 높낮이 조절 나사(55)가 통과할 수 있는 홀(50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수직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설치되는 높낮이 조절 나사(55)는 홀(543) 및 홀(501)을 통과하여 수직결합부(512)에 결합될 수 있다. 수직결합부(512)에는 높낮이 조절 나사(55)가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높낮이 조절 나사(55)를 수직결합부(512)에 얼마나 깊이 결합시킬 것인가는 설치하는 사람의 판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가이드레일(41)과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상대적인 높이는 높낮이 조절 나사(55)를 얼마나 조이는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6c에는 높낮이 조절 너트(51)의 결합관계를 나타내었지만, 도 6a에서의 고정축 너트(52)의 결합관계 역시 도 6c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도 6c에 도시된 간격 유지 라이너(54) 및 높낮이 조절 너트(51)를 각각 간격 유지 라이너(154) 및 고정축 너트(52)로 대체하여 이해할 수 있다. 간격 유지 라이너(154)에는 제1슬릿(58)이 제공되지 않고, 그 대신 고정나사(59)를 통과시키기 위한 홀이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중 간격 유지 라이너(154)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결합 슬릿(5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결합 홀(57)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중 간격 유지 라이너(154)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가이드레일(41)과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상대적인 높이는 일정한 값으로 고정되어 있고, 그 높이가 실질적으로 변경될 수 없다.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중 간격 유지 라이너(154)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도 6c의 높낮이 조절 나사(55)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높낮이 조절 나사(55)는 가이드레일(41)과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상대적인 높이를 설치자의 의도에 의해 변경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인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중 간격 유지 라이너(154)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가이드레일(41)과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상대적인 높이는 일정한 값으로 고정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간격 유지 라이너(154)는 간격 유지 라이너(54)와는 달리 하측 절곡면이 제공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6a에 제시한 고정축 너트(52)와 간격 유지 라이너(154)는 높낮이 조절 너트(51)와 간격 유지 라이너(54)로 대체될 수 있다. 이렇게 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41)은 그 일부가 우측 구동부(22)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레일(41)의 타부는 고정나사(59)를 통해 우측 가동문(12)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레일(41)의 상기 타부는 고정나사(59)를 통해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타부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도 6a에 나타낸 실시에에서는 상기 타부는 총 4개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중 3개는 3개의 높낮이 조절 너트(51)가 배치된 위치에 있고, 나머지 1개는 1개의 고정축 너트(52)가 배치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한 설치 상태에서, 가이드레일(41)은 항상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되어 있으며, 기본적으로 그 자세를 변경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이 항상 일정한 자세를 취하도록 되어 있는 가이드레일(41)에 결합되는 우측 가동문(12)의 자세는 가이드레일(41)에 대해 가변하도록 조절 가능한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는 우측 가동문(12)의 고정된 프레임 중 일부이므로, 가이드레일(41)과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간의 상대적인 높이를 가변하도록 조절 가능한 메커니즘이 제공된다고 말할 수 있다. 높낮이 조절 너트(51)가 복수 개 제공된 경우, 상술한 상대적인 높이는 높낮이 조절 너트(51)가 제공된 각 위치마다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높낮이 조절 나사(55)를 이용하여 가이드레일(41)과 우측 가동문(12) 간의 상대적인 높이를 조절하는 메커니즘, 즉, 가이드레일(41)과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간의 상대적인 높이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가이드레일(41)과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간의 상대적인 높이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은 이미 도 6c를 통해 제시되어 있으며, 도 7a 및 도 7b는 이 메커니즘을 이용한 구체적인 상태변화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의 (a)는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높낮이 조절 너트(51), 간격 유지 라이너(54), 가이드레일(41), LM가이드(42)를 고정나사(59)를 이용하여 결합한 결합체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단면은 고정나사(59)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나사(59)의 중심 위치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a의 (b)는 간격 유지 라이너(54)의 하측 절곡면에 형성된 홀(543)과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하측면에 형성된 홀(501)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의 (c)는 홀(501) 및 홀(543)을 통해 삽입된 높낮이 조절 나사(55)가 높낮이 조절 너트(51)에 결합된 제1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높낮이 조절 나사(55)는 수직결합부(512)에 결합된다. 여기서 높낮이 조절 나사(55)는 수직결합부(512)에 완전히 결합되어 있지 않다.
도 7a의 (d)는 홀(501) 및 홀(543)을 통해 삽입된 높낮이 조절 나사(55)가 높낮이 조절 너트(51)에 결합된 제2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높낮이 조절 나사(55)는 수직결합부(512)에 완전히 결합되어 있다.
도 7a의 (c)에서 가이드레일(41)의 상측 단부와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상측 단부는 거의 비슷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지만, 이에 비하여 도 7a의 (d)에서 가이드레일(41)의 상측 단부는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상측 단부보다 더 아래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높낮이 조절 나사(55)와 높낮이 조절 너트(51) 간의 결합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가이드레일(41)과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간의 상대적인 높이 차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레일(41)과 우측 가동문(12) 간의 상대적인 높이 차이를 조절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41)과 우측 가동문(12) 간의 상대적인 높이 차이의 조절은, 각각의 높낮이 조절 너트(51)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7b는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중 높낮이 조절 너트(51)이 배치된 위치에서의 부품들 간의 상호 결합관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높낮이 조절 나사(55)와 높낮이 조절 너트(51) 간의 결합길이에 따른 가이드레일(41)과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간의 상대적인 높이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7b의 (a)에서의 높낮이 조절 나사(55)와 높낮이 조절 너트(51) 간의 결합길이는 도 7b의 (b)에서의 높낮이 조절 나사(55)와 높낮이 조절 너트(51) 간의 결합길이보다 짧다. 그리고 그 결과 도 7b의 (b)에서는 도 7b의 (a)보다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가 더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7b에서, 간격 유지 라이너(54)를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에 결합하기 위하여 고정나사(541)가 이용되며, 간격 유지 라이너(54)의 상측 절곡면에는 고정나사(541)이 삽입되기 위한 고정홀(542)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중 높낮이 조절 너트(51)가 배치된 위치에서의 부품들 간의 상호 결합은 난간형 스크린도어(1)이 플랫폼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설치 작업자는 설치과정에서 우측 가동문(12)의 자세를 확인하여 우측 가동문(12)이 쳐지지 않도록 자세를 잡기 위하여, 우선 높낮이 조절 나사(55)와 높낮이 조절 너트(51) 간의 결합길이를 조절하여 우측 가동문(12)의 자세를 조절한 다음, 고정나사(59)를 높낮이 조절 너트(51)에 결합하여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중 높낮이 조절 너트(51)가 배치된 위치에서의 부품들 간의 상호 결합을 완료할 수 있다. 이때, 높낮이 조절 나사(55)의 나사머리가 간격 유지 라이너(54)의 하측 절곡면의 하면에 밀착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나사(59)는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와 가이드레일(41)을 고정하는 나사로서,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높낮이 조절이 필요할 때는 고정나사(59)의 고정된 조립을 임시로 풀은 상태에서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 고정나사(59)를 다시 높낮이 조절 너트(51)에 단단히 조여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라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단계(S10)에서 모든 높낮이 조절 너트(51) 및 고정축 너트(52)에 결합된 고정나사(59)들을 임시로 풀어둔다.
단계(S20)에서, 높낮이 조절 나사(55)를 모두 푼다.
단계(S30)에서, 고정축 너트(52)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높낮이 조절 너트(51)에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 나사(55)를 조여가면서 우측 가동문(12)의 높이를 맞추고, 그 상태에서 고정나사(59)들을 풀리지 않도록 높낮이 조절 너트(51)에 단단히 고정한다.
단계(S40)에서, 고정축 너트(52)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높낮이 조절 너트(51)와 고정축 너트(52) 사이에 배치된 다른 높낮이 조절 너트(51)에 대해서도 높낮이 조절 나사(55) 및 고정나사(59)를 단단히 조여 조립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 및 여기에 결합되는 다른 부품들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a)는 가이드 레일의 결합체의 모습을 레일로부터 플랫폼 쪽으로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8의 (b)는 가이드레일(41), LM가이드(42), LM가이드 블록(43), 및 타이밍 벨트(44)의 상호 결합 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9a는 우측 구동부(22)의 일부 구성을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9a의 (a)는 우측 구동부(22)의 일부 구성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것이며, 도 9a의 (b)는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우측 구동부(22)를 구성하는 구동부 밑판(221)에는 구동부 프레임(222)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구동부 프레임(222)에는 모터(225)가 고정되어 결합되어 있다. 구동부 프레임(222)의 제1지점(223) 및 제2지점(224)에는 각각 LM가이드 블록(43)이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지점(223) 및 제2지점(224)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그 결과 두 개의 LM가이드 블록(43)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가이드레일(41)은 수평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도 9b는 도 9a에 나타낸 타이밍 벨트(44)를 이용한 구체적인 LM가이드(42)의 구동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타이밍 벨트(44)에는 구동 시브(45)가 결합되어 있으며, 구동 시브(45)의 회전축은 모터(49)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텐션 조절 시브(46)은 타이밍 벨트(44)의 처짐을 방지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모터(49)가 회전하여 구동 시브(45)가 회전하면, 구동 시브(45)에 맞물린 타이밍 벨트(44)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이드레일(4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가이드레일(41)과 우측 가동문(12) 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높낮이 조절 너트(51) 및 고정축 너트(52)가 배치된 위치에서 가이드레일(41)과 우측 가동문(12)이 서로에 대하여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를 통해 고정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49)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레일(41)이 좌우로 이동하면,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및 우측 가동문(12)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한 세트의 스크린도어 모듈(10)의 커버들을 나타낸 것이다.
가이드레일 커버(47)는 가이드레일(41)의 상부를 덮도록 가이드레일(41)에 부착될 수 있으며, 우측 가동문 커버(1201)는 우측 가동문(12)의 하단부 중 선로 측에 노출된 부분을 덮도록 우측 가동문(12)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난간형 스크린도어(1)의 동작상태 및 이에 따른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의 (a)는 좌측 가동문(11)과 우측 가동문(12)이 완전히 열리지 않은 상태를 선로로부터 플랫폼 방향으로 바라본 것이고, 도 12의 (a)는 좌측 가동문(11)과 우측 가동문(12)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선로로부터 플랫폼 방향으로 바라본 것이다.
좌측 가동문(11)에 포함된 가이드레일(41, 411)과 우측 가동문(12)에 포함된 가이드레일(41, 412)의 배치높이는 서로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는 점은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일단 우측 가동문(12)의 우측에 배치된 좌측 가동문(11)과 상기 우측 가동문(12) 간의 간격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즉, 비상문(31)의 폭이 충분히 넓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좌측 가동문(11)과 우측 가동문(12)이 열릴 때에 가이드레일(41, 411)와 가이드레일(41, 412)이 서로 부딪히거나 간섭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간격 유지 라이너(54)의 수직면의 두께는 예컨대 약 1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간격 유지 라이너(54)의 두께 때문에 가이드레일(41)이 인접한 다른 가동문의 프레임과 선로 쪽으로 충분한 간격을 갖고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문의 개방 시에 가이드레일(41)이 인접하는 다른 가동문의 프레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좌측 가동문(11)에 결합된 간격 유지 라이너(54)의 수직면의 두께가 10mm로 주어진 경우, 좌측 가동문(11)에 결합된 가이드레일(41, 411)이 좌측 가동문(11)의 좌측에 배치된 우측 가동문(12)의 우측 가동문 프레임(120)과 선로 쪽으로 충분한 간격을 갖고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가동문(11)과 우측 가동문(12)이 개방될 때에, 좌측 가동문(11)에 결합된 가이드레일(41, 411)이 우측 가동문(12)의 우측 가동문 프레임(120)에 간섭되지 않는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1: 난간형 스크린도어
10: 한 세트의 스크린도어 모듈, 한 세트의 스크린도어 장치
11: 좌측 가동문
12: 우측 가동문
21: 좌측 구동부
22: 우측 구동부
31: 비상문
41: 가이드레일
42: LM가이드
43: LM가이드 블록
44: 타이밍 벨트
45: 구동 시브
46: 텐션 조절 시브
47: 가이드레일 커버
49: 모터
50: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
51: 높낮이 조절 너트
52: 고정축 너트
53: 마감캡
54: 간격 유지 라이너
154: 간격 유지 라이너
158: 제1홀
55: 높낮이 조절 나사
56: 결합 슬릿
57: 결합 홀
58: 제1슬릿
59: 고정나사
120: 우측 가동문 프레임
121: 강화유리
122: 걸레받이
123: 상부바
124: 쿠션바
125: 쿠션
126: 수직바
127: 중간바
128: 하부바
129: 결합편
221: 구동부 밑판
222: 구동부 프레임
223: 제1지점
224: 제2지점
225: 모터
411: 제1홀
501: 홀
511: 수평결합부
512: 수직결합부
541: 고정나사
542: 고정홀
543: 홀
1201: 우측 가동문 커버

Claims (8)

  1. 가이드레일(41)을 포함하는 우측 구동부(22) 및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를 포함하는 우측 가동문(12)을 포함하는 스크린도어 모듈(10)로서,
    상기 가이드레일(41)의 일부분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우측 구동부(22)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우측 가동문(12)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일 지점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결합 슬릿(5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타 지점에는 결합 홀(5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상기 타 지점과 상기 가이드레일(41)의 타 지점은, 상기 결합 홀(57)을 관통하는 고정나사(59) 및 상기 결합 홀(57)을 관통하는 고정나사(59)에 결합되는 고정축 너트(52)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상기 일 지점과 상기 가이드레일(41)의 일 지점은, 상기 결합 슬릿(56)을 관통하는 고정나사(59) 및 상기 결합 슬릿(56)을 관통하는 고정나사(59)에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 너트(51)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에 대한 상기 가이드레일(41)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 슬릿(56)에서의 상기 고정나사(59)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상기 일 지점에서의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의 상기 가이드레일(41)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구동부(22)는,
    상기 우측 구동부(22)의 고정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LM가이드 블록들(43); 및
    상기 한 쌍의 LM가이드 블록들(43)에 결합되어 있는 LM가이드(42);
    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 구동부(22)에서, 상기 LM가이드(42)는 상기 가이드레일(41)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 너트(51)의 하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결합부(5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에는 상기 수직결합부(512)에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 나사(55)를 통과시키는 홀(5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높낮이 조절 나사(55)는 상기 홀(501)을 통과하여 상기 수직결합부(512)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높낮이 조절 나사(55)와 상기 수직결합부(512) 간의 결합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우측 가동문(12)의 자세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우측 가동문(12)의 자세가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나사(59)와 상기 높낮이 조절 너트(51)를 결함함으로써, 상기 결정된 상기 우측 가동문(12)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41)과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사이에는 간격 유지 라이너(54)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간격 유지 라이너(54)에는 상기 결합 슬릿(56)과 정렬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1슬릿(5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41)과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는 상기 간격 유지 라이너(54)의 두께에 해당하는 간격을 갖도록 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 너트(51)의 하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결합부(5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에는 상기 수직결합부(512)에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 나사(55)를 통과시키는 홀(5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레일(41)과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사이에는 간격 유지 라이너(54)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간격 유지 라이너(54)에는 하측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측 절곡부에는 상기 높낮이 조절 나사(55)가 상기 수직결합부(512)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된 홀(543)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41)과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 사이에는 제2간격 유지 라이너(154)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제2간격 유지 라이너(154)에는 상기 결합 홀(57)과 정렬된 제1홀(15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41)과 상기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50)는 상기 제2간격 유지 라이너(54)의 두께에 해당하는 간격을 갖도록 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좌측 가동문(11) 및 좌측 구동부(2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측 가동문(11)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좌측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좌측 구동부(21)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좌측 가이드레일(411)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가이드레일(411)과 상기 좌측 가동문 가이드 지지대는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가동문(11)과 상기 우측 가동문(12)이 열리는 동안, 상기 가이드레일(41)과 상기 좌측 가이드레일(411)은 서로 가까워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좌측 가동문(11)과 상기 우측 가동문(12)이 완전히 열리면, 상기 가이드레일(41)과 상기 좌측 가이드레일(411)이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 포개지도록, 상기 가이드레일(41)이 배치된 높이와 상기 좌측 가이드레일(411)이 배치된 높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 모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스크린도어 모듈을 포함하는 난간형 스크린도어(1).
KR1020190178595A 2019-12-30 2019-12-30 수직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KR102133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595A KR102133232B1 (ko) 2019-12-30 2019-12-30 수직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595A KR102133232B1 (ko) 2019-12-30 2019-12-30 수직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232B1 true KR102133232B1 (ko) 2020-08-07

Family

ID=72049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595A KR102133232B1 (ko) 2019-12-30 2019-12-30 수직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2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680B1 (ko) * 2005-03-04 2007-10-08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도어 장치
KR100936946B1 (ko) * 2007-11-13 2010-01-15 최경돈 밀림방지장치 및 스크린 도어 실을 형성하는 가이드 레일
KR20110004499U (ko) * 2009-10-29 2011-05-06 신용판 문틀받침용 수평조절기구
JP2012106591A (ja) * 2010-11-17 2012-06-07 Kyosan Electric Mfg Co Ltd 可動ホーム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680B1 (ko) * 2005-03-04 2007-10-08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도어 장치
KR100936946B1 (ko) * 2007-11-13 2010-01-15 최경돈 밀림방지장치 및 스크린 도어 실을 형성하는 가이드 레일
KR20110004499U (ko) * 2009-10-29 2011-05-06 신용판 문틀받침용 수평조절기구
JP2012106591A (ja) * 2010-11-17 2012-06-07 Kyosan Electric Mfg Co Ltd 可動ホーム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827B1 (ko)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승하강 방식의 플랫폼 스크린도어
KR102043665B1 (ko) 철도차량 하부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JP5514087B2 (ja) 可動ホーム柵
US20170297867A1 (en) Guide rail support configured to account for building settling
WO2011079256A2 (en) Profile track integrated drive system
US20090288344A1 (en) Cable Brake Bracket
US20190100410A1 (en) Elevator car,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maintaining an elevator system
EP3381859A1 (en) Elevator car wall panel securing system
KR102133232B1 (ko) 수직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JPH11287067A (ja) プラットホーム用可動柵
JP5114062B2 (ja)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り案内装置
JP5456837B2 (ja) エスカレータ
JP6693373B2 (ja) エレベータ
KR100768791B1 (ko) 지상 승강장용 플랫폼스크린도어
JP5676496B2 (ja) ガイドレールを支持するエレベータシステムドアフレーム
US20180327229A1 (en) Machine mounting structure for elevator system
JP5452728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及びエレベータのかご
KR20170040670A (ko) 경량형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JP6873658B2 (ja) 間仕切パネル装置
KR20100018745A (ko) 출입구의 차단장치
WO2017216863A1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固定装置
CN111836750A (zh) 月台用闸门装置
US11691852B2 (en) Height raising member for raising mounting position of motor for elevator door, car door device equipped with height raising member for raising mounting position of motor for elevator door, and elevator car equipped with height raising member for raising mounting position of motor for elevator door
KR20210008721A (ko) 스크린도어 가이드 장치
CN106006337B (zh) 乘客传送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