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827B1 -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승하강 방식의 플랫폼 스크린도어 - Google Patents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승하강 방식의 플랫폼 스크린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827B1
KR101606827B1 KR1020140031833A KR20140031833A KR101606827B1 KR 101606827 B1 KR101606827 B1 KR 101606827B1 KR 1020140031833 A KR1020140031833 A KR 1020140031833A KR 20140031833 A KR20140031833 A KR 20140031833A KR 101606827 B1 KR101606827 B1 KR 101606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ger
vertical
platform scree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0587A (ko
Inventor
김현
신판주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to JP2016542639A priority Critical patent/JP6290427B2/ja
Priority to CN201480050352.6A priority patent/CN105555632B/zh
Priority to US15/021,747 priority patent/US20160222716A1/en
Priority to PCT/KR2014/008493 priority patent/WO2015037927A1/ko
Priority to EP14843504.3A priority patent/EP3045370A4/en
Publication of KR20150030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4Vertically-sliding wings
    • E06B3/4415Double-hung, i.e. with two vertical slidin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65Detail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3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 E06B11/025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4Vertic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제1도어 및 제2도어; 상기 제2도어를 수직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도어에 결합된 제1움직도르래; 상기 제1움직도르래를 구동하는 제1연결구; 및 상기 제1연결구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에 설치된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도어는 상기 제1연결구의 구동 세그먼트 중 일 지점에 고정 결합된, 플랫폼 스크린도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승하강 방식의 플랫폼 스크린도어{Platform screen door of elevating type using moving pulley}
본 발명은 플랫폼의 스크린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크린도어가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는 스크린도어에 관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열차를 위한 플랫폼 상에 있는 승객들이 선로 내로 떨어지거나 움직이는 차량에 부딪힐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플랫폼과 선로 사이에 좌우로 개폐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플랫폼 안전장치, 플랫폼 안전도어, 또는 플랫폼 스크린 장치로 지칭될 수도 있다. 좌우개폐형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경우, 정차한 열차의 출입문 위치와 스크린도어의 위치가 서로 일치해야만 하므로, 다양한 종류의 열차가 정차하는 플랫폼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601112호에는 수직개폐형 플랫폼 스크린도어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이 기술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플랫폼의 양 단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본체와, 본체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크린도어, 및 스크린도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한다. 이때, 스크린도어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이다. 그리고 스크린도어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제1도어, 및 상기 제1도어의 하부 또는 상부에 위치하여 좌우로 연장되어 있는 제2도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도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개폐형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다양한 종류의 열차가 정차하는 플랫폼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등록특허에 공개된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상측에 존재하는 도어는 하측에 존재하는 도어에 걸려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하로 인접한 두 도어가 서로 걸리는 순간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스크린도어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수직개폐형 플랫폼 스크린도어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스크린도어를 연속적으로 충격의 발생 없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 사이에 배치된 제1도어(181) 및 제2도어(182); 상기 제2도어(182)를 수직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도어에 결합된 제1움직도르래(191); 상기 제1움직도르래(191)를 구동하는 제1연결구(19); 및 상기 제1연결구(19)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에 설치된 구동 어셈블리(1001, 100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도어(181)는 상기 제1연결구(19)의 구동 세그먼트 중 일 지점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제1활차(19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도어(182)에는 제1활차(19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연결구(19)는 상기 제1움직도르래(191)와 상기 제1활차(191)를 연결하는 벨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도어(182)는 상기 제1움직도르래(191)를 통해 상기 제1도어(181)로부터 수직방향의 힘을 받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도어(181) 및 상기 제2도어(182)는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제공된 레일(161, 162)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된 수평프레임(120); 및 상기 구동 어셈블리(1001, 1002)를 수평연결구(140)를 통해 구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에 설치된 한 개의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 어셈블리(1001, 1002)는,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 중 좌측 수직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도어(181)의 좌측단부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좌측 구동 어셈블리(1001); 및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 중 우측 수직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도어(181)의 우측단부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우측 구동 어셈블리(1002)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구동 어셈블리(1001)와 상기 우측 구동 어셈블리(1002)는 상기 한 개의 구동부에 의해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연결구(140)는 벨트, 체인, 또는 로프로 되어 있고 상기 수평프레임(120)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프레임(120)에는 상기 수평연결구(140)의 쳐짐을 방지하기 위한 풀리(142)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 어셈블리(1001, 1002)는, 한 쌍의 풀리(151), 상기 한 쌍의 풀리(151)에 의해 회전하는 수직연결구(150),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제1레일(161), 상기 수직연결구(150)의 일부분과 상기 제1도어(181)를 서로 고정 결합하고 상기 제1레일(161)을 따라 수직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제1행어(1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풀리(151) 중 상측에 있는 제1풀리(151)의 회전축은 상기 수평연결구(140)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수평연결구(140)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상기 제1도어(181)의 좌우측에 연결되는 제1행어(171); 상기 제2도어(182)의 좌우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움직도르래를 포함하는 제2행어(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구(19)는 상기 제1행어(171)로부터 상기 제2행어(172)에게 수직방향의 힘을 상기 제1움직도르래(191)를 통해 전달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행어(171)에 형성된 제1결합부(192)는, 상기 제1연결구(19)의 일부분에 고정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 구동 어셈블리(1001)는, 좌측 수직연결구(150), 상기 좌측 수직연결구(50)의 일부분과 상기 제1도어(181)의 좌측단부를 고정 결합하는 좌측 제1행어(17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우측 구동 어셈블리(1002)는, 우측 수직연결구(150), 상기 우측 수직연결구(150)의 일부분과 상기 제1도어(181)의 우측단부를 고정 결합하는 우측 제1행어(1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도어(181)의 상기 좌측단부는 상기 좌측 수직연결구(150)의 제1지점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1도어(181)의 상기 우측단부는 상기 우측 수직연결구(150)의 제2지점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지점은 그 이동방향이 항상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 구동 어셈블리(1001)와 상기 우측 구동 어셈블리(1002)는 모두 플랫폼 쪽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모두 선로 쪽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 사이에 배치된 제3도어(183)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 스크린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3도어(183)의 위치는 상기 제2도어(182)의 위치보다 높고, 상기 제3도어(183)는, 상기 제2도어(182)의 하단부에 형성된 돌출부(721)에 걸려 상승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스크린도어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수직개폐형 플랫폼 스크린도어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스크린도어 사이를 움직도르래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상기 두 개의 스크린도어를 충격의 발생 없이 상하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행어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복수 개의 행어가 나란히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1의 C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B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낸 행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낸 복수 개의 행어가 결합하여, 서로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일정 수준 이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이때, 도 10a는 복수 개의 행어가 결합되기 전의 구조를 나타내며, 도 10b는 복수 개의 행어가 결합된 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7에 나타낸 복수 개의 행어(171, 172, 173)가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7에 나타낸 복수 개의 행어(171, 172, 173)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3은 도 7에 나타낸 복수 개의 행어(171, 172, 173)가 서로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일정 수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복수 개의 행어(71, 72, 73)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복수 개의 행어(71, 72, 73)가 나란히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1의 C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1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100)는, 플랫폼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0)과, 한 쌍의 수직프레임(10)의 상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두 개의 수평프레임(20)이 플랫폼 스크린도어(100)의 기본 골격을 형성한다. 수평프레임(20)과 한 쌍의 수직프레임(10)은 연결보강재(21)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20)에는 토션 브라켓(31), 벨트 처짐 방지 브라켓(41), 그리고 구동부(30)가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30)는 수평벨트(40)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수평벨트(40)에 결합될 수 있다. 풀리(32, 42)는 수평벨트(40)의 텐션을 유지시키도록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수평벨트(40)는 풀리(51)가 고정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풀리(5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평벨트(40)는 체인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수평벨트' 또는 '체인'을 통칭하여 '수평연결구'라고 지칭할 수 있다.
한 개의 수직프레임(10)에 설치된 한 쌍의 풀리(51)는 상부풀리(51)와 하부풀리(51)로 구분된다. 수직벨트(50)는 한 쌍의 풀리(51)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구동부(30)의 동작에 의해 수직벨트(50)의 운동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벨트(50)는 벨트로 구성되는데, 이와 달리 체인 또는 로프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직프레임(10)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수직벨트(50) 및 그 균등한 대체 구성물인 체인 또는 로프를 통칭하여 '수직연결구'라고 부를 수 있다.
수직벨트(50)의 일 지점(one spot)에는 클램프(52)가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클램프(52)는 결합편(522)을 통해 제1행어(71)에 형성된 클램프(722)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30)의 동작에 의해 수직벨트(50)가 움직일 수 있으며, 제1행어(71)는 수직벨트(50)의 상기 일 지점의 변위와 동일한 변위만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수직프레임(10)에는 제1레일(61), 제2레일(62), 및 제3레일(63)이 형성되어 있다. 제1행어(71), 제2행어(72), 및 제3행어(73)는 각각 제1레일(61), 제2레일(62), 및 제3레일(63)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행어(71), 제2행어(72), 및 제3행어(73)에는 각각 한 개 이상의 롤러(55)가 결합되어 있으며, 롤러(55)의 축은 롤러홀(66)에 결합된다. 도 3에서 제2행어(72), 및 제3행어(73)에 결합되는 롤러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제1행어(71), 제2행어(72), 및 제3행어(73)는 각각 좌측 수직프레임(10)과 우측 수직프레임(10)에 한 개씩 결합되어 있으며, 한 쌍의 제1행어(71), 한 쌍의 제2행어(72), 그리고 한 쌍의 제3행어(73) 사이에는 각각, 제1도어(81), 제2도어(82), 및 제3도어(83)가 결합될 수 있다. 제1행어(71), 제2행어(72), 및 제3행어(73)에는 도어 연결홀(88)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도어(81), 제2도어(82), 및 제3도어(83)는 이들 도어 연결홀(88)에 결합될 수 있다.
제2행어(7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풀리(91)를 위한 풀리 축(723)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풀리(91)는 한 쌍의 풀리 축(7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한 쌍의 풀리(91)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벨트(9)가 결합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벨트(9)는 '회전 연결구'라고 지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연결구'는 벨트가 아닌 체인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제1행어(71)의 상단부에는 제1결합부(92)가 형성되어 있고, 제3행어(73)의 하단부에는 제3결합부(93)가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부(92)는 벨트(9)의 일부분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제3결합부(93)는 벨트(9)의 다른 일부분에 고정되어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구동부(30)의 동작에 따른 제1행어(71), 제2행어(72), 및 제3행어(73)의 운동 원리를 설명한다.
구동부(30)가 회전하면 수평벨트(40)는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좌측 수직프레임(10)과 우측 수직프레임(10)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수직벨트(50)도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수직벨트(50)의 일 지점에 고정되어 결합된 클램프(52)는 수직벨트(50)를 따라 방향으로 이동한다. 결합편(522) 및 클램프(722)를 통해 클램프(52)와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1행어(71)는 클램프(52)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행어(71)의 제1결합부(92)와 벨트(9)가 고정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풀리(91)를 통해 벨트(9)와 결합되어 있는 제2행어(72)도 제1행어(71)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만, 이때 한 쌍의 풀리(moved pulley)(91)(특히 아래쪽의 풀리)가 움직 도르래(즉, 동활차)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2행어(72)의 수직방향 이동속도는 제1행어(71)의 수직방향 이동속도의 절반이 된다. 따라서 제1행어(71)와 제2행어(72)가 각각 최하단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행어(71)와 제2행어(72)의 수직중심부들이 서로 수직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있으나, 위쪽으로 상승할수록 그 수직중심부들 사이의 거리가 줄어든다.
한편, 제1행어(71)의 하단부에는 제1돌출부(7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행어(71)와 상기 제2행어(72)는 상술한 움직 도르래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행어(71)가 제2행어(72)보다 두 배의 속도로 승하강하는데, 제1돌출부(711)가 제2행어(72)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면 이때부터 제1행어(71)와 제2행어(72)는 동일한 속도로 함께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제1행어(71)는 제2행어(72)보다 높이 상승하지는 않는다.
또한, 제2행어(72)의 하단부에도 제2돌출부(721)가 형성되어 있다. 제2행어(72)가 일정 높이만큼 상승하면, 제2돌출부(721)는 제3행어(73)의 하단부에 걸리게 된다. 이때부터 제3행어(73)는 제2행어(72)에 결합되어 제2행어(72)와 동일한 속도로 상승하게 된다. 그 이전까지는 제3행어(73)는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제1돌출부(711)가 제2행어(72)의 하단부에 걸리고, 제2돌출부(721)가 제3행어(72)의 하단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부터 제1행어(71), 제2행어(72), 및 제3행어(73)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로 상승할 수 있다.
반면, 제1행어(71), 제2행어(72), 및 제3행어(73)가 각각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서로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일정 수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이격 상태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1레일(61)과 제2레일(62)에는 각각 제1스토퍼(611)와 제2스토퍼(621)가 형성되어 있다. 제2행어(72)의 하단부는 제1스토퍼(611)에 걸려 제1스토퍼(611) 아래쪽으로는 이동할 수 없으며, 제3행어(73)의 하단부는 제2스토퍼(621)에 걸려 제2스토퍼(621)의 아래쪽으로는 이동할 수 없다.
그 다음, 제1행어(71), 제2행어(72), 및 제3행어(73)가 최상부에 있는 상태에서, 구동부(3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수평벨트(40)는 반시계(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제1행어(71), 제2행어(72), 및 제3행어(73)는 상승할 때와는 반대의 동작으로 하강하게 된다.
제1도어(81), 제2도어(82), 및 제3도어(83)는 각각 제1행어(81), 제2행어(82), 및 제3행어(83)와 함께 움직인다.
이하, 제1도어(81), 제2도어(82), 및 제3도어(83) 각각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가 동시에 승강 또는 하강을 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설치된 플랫폼 스크린도어(100)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한 쌍의 수직벨트(50)는 모두 플랫폼 쪽에 설치되거나 또는 모두 선로 쪽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1, 도 3, 및 도 6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수평벨트(40)와 한 쌍의 수직벨트(50)의 회전방향은 항상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낸 좌측 수직프레임(10)에서는 클램프(52)가 수직벨트(50)의 두 개의 수직 세그먼트 중 바깥쪽(500)의 반대방향(또는 바깥쪽 방향(500))에 고정 결합되고, 도 6에 나타낸 우측 수직프레임(10)에서는 클램프(52)가 수직벨트(50)의 두 개의 수직 세그먼트 중 바깥쪽(500) 방향(또는 바깥쪽(500)의 반대방향)에 고정 결합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좌측 수직프레임(10)의 좌측 수직벨트(50)(즉, 좌측 수직연결구) 중 클램프(52)가 고정 결합된 부분을 '제1지점(a first spot)'이라고 지칭하고, 우측 수직프레임(10)의 우측 수직벨트(50)(즉, 우측 수직연결구) 중 클램프(52)가 고정 결합된 부분을 '제2지점(a second spot)'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하우징(90)은 실시예 1에 나타낸 수직개폐형 플랫폼 스크린도어(100)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하우징(90) 중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은 광고를 위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는 제1행어(71), 제2행어(72), 및 제3행어(73)와 제1도어(81), 제2도어(82), 및 제3도어(83)의 무게를 보상해줄 균형추를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균형추가 설치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3행어(73), 제3레일(63), 제3도어(83)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행어(71)와 제2행어(72)의 운동 상태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부 청구항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관한 내용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중 제3행어(73), 제3레일(63), 및 제3도어(83)가 생략된 구조를 전제로 한 청구항도 존재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D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낸 행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낸 복수 개의 행어(171,172,173)의 상호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도 10의 (a)는 복수 개의 행어(171, 172, 173)가 결합되기 전의 구조를 나타내며, 도 10의 (b)는 복수 개의 행어(171, 172, 173)가 결합된 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7에 나타낸 복수 개의 행어(171, 172, 173)가 상호 결합되는 지점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7에 나타낸 복수 개의 행어(171, 172, 173)가 상승하여 서로 포개어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3은 도 7에 나타낸 복수 개의 행어(171, 172, 173)가 서로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일정 수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13을 함께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실시예 2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200)를 도 1에 도시한 실시예 1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100)를 비교하여 설명하면, 도 7에 도시한 플랫폼 스크린도어(200)는 'D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도 1에 도시한 플랫폼 스크린도어(100)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200)는 플랫폼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과,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의 상측 단부를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20)이 기본 골격을 형성한다. 수평프레임(120)과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은 연결보강재(121)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 수평프레임(120), 및 연결보강재(121)은 도 1에 도시한 한 쌍의 수직프레임(10), 수평프레임(20), 및 연결보강재(21)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각각의 구성요소, 구조, 및 구동 방법 또한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수평프레임(120)에 고정되어 설치된 토션 브라켓(131), 벨트 처짐 방지 브라켓(141), 및 구동부(130)는 도 1에 도시된 토션 브라켓(31), 벨트 처짐 방지 브라켓(41), 및 구동부(30)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수평벨트(140), 풀리(132, 142, 151), 수직벨트(150), 및 클램프(152)는 도 1에 도시된 수평벨트(40), 풀리(32, 42, 51), 수직벨트(50), 및 클램프(52)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수직프레임(110)에는 제1레일(161), 제2레일(162), 및 제3레일(163)이 형성되어 있다. 제1행어(171), 제2행어(172), 및 제3행어(173)는 각각 제1레일(161), 제2레일(162), 및 제3레일(163)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행어(171), 제2행어(172), 및 제3행어(173)에는 각각 한 개 이상의 롤러(155)가 결합되어 있으며, 롤러(155)의 축은 롤러홀(166)에 결합된다.
제1행어(171), 제2행어(172), 및 제3행어(173)는 각각 좌측 수직프레임(110)과 우측 수직프레임(110)에 한 개씩 결합되어 있으며, 한 쌍의 제1행어(171), 한 쌍의 제2행어(172), 그리고 한 쌍의 제3행어(173) 사이에는 각각 제1도어(181), 제2도어(182), 및 제3도어(183)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제1행어(171), 제2행어(172), 및 제3행어(173)에는 각각 한 개 이상의 도어 연결홀(188)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도어(181), 제2도어(182), 및 제3도어(183)는 각각의 행어(171, 172, 173)에 형성되어 있는 도어 연결홀(188)에 결합된다.
제2행어(17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풀리(191)를 위한 풀리 축(723)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풀리(191)는 한 쌍의 풀리 축(7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한 쌍의 풀리(191)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벨트(19)가 결합되어 있다.
제3행어(173)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도 각각 풀리(195)를 위한 풀리 축(724)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풀리(195)는 한 쌍의 풀리 축(72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한 쌍의 풀리(195)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벨트(29)가 결합된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 한 쌍의 풀리(191, 195) 중 상단부에 위치한 풀리(191, 195)는 '활차'라는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으며, 하단부에 위치한 풀리(191, 195)는 '움직도르래'라는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0a, 도 10b,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행어(171)의 상단부에는 제1결합부(192)가 형성되어 있고, 제2행어(172)의 상단부에는 제2결합부(19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3행어(173)의 하단부에는 제3결합부(194)가 형성되어 있고, 수직프레임(110)의 일붕는 제4결합부(196)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결합부(192)는 벨트(19)의 일부분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제2결합부(193)는 벨트(29)의 일부분에 고정되어 결합되며, 제3결합부(194)는 벨트(19)의 다른 일부분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제4결합부(196)는 벨트(29)의 다른 일부분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구동부(130)의 동작에 따른 제1행어(171), 제2행어(172), 및 제3행어(173)의 운동 원리를 설명한다.
구동부(130)가 회전하면 수평벨트(140)는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좌측 수직프레임(110)과 우측 수직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수직벨트(150)도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수직벨트(150)에 고정되어 결합된 클램프(152)는 수직벨트(150)를 따라 방향으로 이동한다. 결합편(522) 및 클램프(722)를 통해 클램프(152)와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1행어(171)는 클램프(152)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행어(171)의 제1결합부(192)와 벨트(19)의 일부분이 고정 결합되어 있고, 제2행어(172)의 제2결합부(193)와 벨트(29)가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제3행어(173)의 제3결합부(194)와 벨트(19)의 다른 일부분이 고정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풀리(191)를 통해 벨트(19)와 결합되어 있는 제2행어(172)와 풀리(195)를 통해 벨트(29)와 결합되어 있는 제3행어(173)도 제1행어(171)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만, 이때 한 쌍의 풀리(191)와 다른 한 쌍의 풀리(195)가 움직도르래(즉, 동활차)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1행어(171)의 수직방향 이동속도, 제2행어(172)의 수직방향 이동속도, 및 제3행어(173)의 수직방향 이동속도의 비율은 3:2:1의 비율을 갖게 된다. 이때, 한 쌍의 풀리(191) 중 특히 하측의 풀리(191)와 다른 한 쌍의 풀리(195) 중 특히 하측의 풀리(195)가 움직도르래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행어(171), 제2행어(172), 그리고 제3행어(173)가 각각 최하단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행어(171), 제2행어(172), 및 제3행어(173)의 수직중심부가 서로 수직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있으나, 위쪽으로 상승할수록 그 거리가 줄어든다.
한편, 제1행어(171)의 하단부에는 제1돌출부(711)가 형성되어 있다. 제1행어(171)와 제2행어(172)는 상술한 움직도르래(ex: 풀리(191))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행어(171)가 제2행어(172)보다 3/2 배의 속도로 승하강하는데, 제1돌출부(711)가 제2행어(172)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면 이때부터 제1행어(171)와 제2행어(172)는 동일한 속도로 함께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제1행어(171)는 제2행어(172)보다 높이 상승하지는 않는다.
또한, 제2행어(172)의 하단부에도 제2돌출부(721)가 형성되어 있다. 제2행어(172)가 일정 높이만큼 상승하면, 제2돌출부(721)는 제3행어(173)의 하단부에 걸리게 된다. 이때 제3행어(173)는 제2행어(172)에 결합되어 제2행어(172)와 동일한 속도로 상승하게 된다.
도 12는 제1돌출부(711)가 제2행어(172)의 하단부에 걸리고, 제2돌출부(721)가 제3행어(172)의 하단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부터 제1행어(171), 제2행어(172), 및 제3행어(173)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로 상승할 수 있다.
반면, 제1행어(171), 제2행어(172), 및 제3행어(173)가 각각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일정 수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이격 상태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1레일(61)과 제2레일(62)에는 각각 제1스토퍼(611)와 제2스토퍼(621)가 형성되어 있다. 제2행어(72)의 하단부는 제1스토퍼(611)에 걸려 제1스토퍼(611) 아래쪽으로는 이동할 수 없으며, 제3행어(73)의 하단부는 제2스토퍼(621)에 걸려 제2스토퍼(621)의 아래쪽으로는 이동할 수 없다.
그 다음, 제1행어(171), 제2행어(172), 및 제3행어(173)가 최상부에 있는 상태에서, 구동부(13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수평벨트(140)은 반시계(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제1행어(171), 제2행어(172), 및 제3행어(173)는 상승할 때와는 반대의 동작으로 하강하게 된다.
제1도어(181), 제2도어(182), 및 제3도어(183)는 각각 제1행어(181), 제2행어(182), 및 제3행어(183)와 함께 움직인다.
<실시예 3>
이하, 도 1 내지 도 13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에 대해 설명한다.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 사이에 배치된 제1도어(181) 및 제2도어(182); 상기 제2도어(182)를 수직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도어에 결합된 제1움직도르래(191); 상기 제1움직도르래(191)를 구동하는 제1연결구(19); 및 상기 제1연결구(19)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에 설치된 구동 어셈블리(1001, 100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도어(181)는 상기 제1연결구(19)의 구동 세그먼트 중 일 지점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예컨대, 상기 제1연결구(19)의 구동 세그먼트 중 일 지점은 상기 제1연결구(19)의 좌측부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제1활차(19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도어(182)에는 제1활차(19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연결구(19)는 상기 제1움직도르래(191)와 상기 제1활차(191)를 연결하는 벨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도어(182)는 상기 제1움직도르래(191)를 통해 상기 제1도어(181)로부터 수직방향의 힘을 받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도어(181) 및 상기 제2도어(182)는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제공된 레일(161, 162)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된 수평프레임(120); 및 상기 구동 어셈블리(1001, 1002)를 수평연결구(140)를 통해 구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에 설치된 한 개의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 어셈블리(1001, 1002)는,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 중 좌측 수직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도어(181)의 좌측단부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좌측 구동 어셈블리(1001); 및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 중 우측 수직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도어(181)의 우측단부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우측 구동 어셈블리(1002)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구동 어셈블리(1001)와 상기 우측 구동 어셈블리(1002)는 상기 한 개의 구동부에 의해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연결구(140)는 벨트, 체인, 또는 로프로 되어 있고 상기 수평프레임(120)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프레임(120)에는 상기 수평연결구(140)의 쳐짐을 방지하기 위한 풀리(142)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 어셈블리(1001, 1002)는, 한 쌍의 풀리(151), 상기 한 쌍의 풀리(151)에 의해 회전하는 수직연결구(150),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제1레일(161), 상기 수직연결구(150)의 일부분과 상기 제1도어(181)를 서로 고정 결합하고 상기 제1레일(161)을 따라 수직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제1행어(1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풀리(151) 중 상측에 있는 제1풀리(151)의 회전축은 상기 수평연결구(140)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수평연결구(140)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상기 제1도어(181)의 좌우측에 연결되는 제1행어(171); 상기 제2도어(182)의 좌우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움직도르래를 포함하는 제2행어(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구(19)는 상기 제1행어(171)로부터 상기 제2행어(172)에게 수직방향의 힘을 상기 제1움직도르래(191)를 통해 전달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행어(171)에 형성된 제1결합부(192)는, 상기 제1연결구(19)의 일부분에 고정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 구동 어셈블리(1001)는, 좌측 수직연결구(150), 상기 좌측 수직연결구(50)의 일부분과 상기 제1도어(181)의 좌측단부를 고정 결합하는 좌측 제1행어(17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우측 구동 어셈블리(1002)는, 우측 수직연결구(150), 상기 우측 수직연결구(150)의 일부분과 상기 제1도어(181)의 우측단부를 고정 결합하는 우측 제1행어(1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도어(181)의 상기 좌측단부는 상기 좌측 수직연결구(150)의 제1지점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1도어(181)의 상기 우측단부는 상기 우측 수직연결구(150)의 제2지점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지점은 그 이동방향이 항상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 구동 어셈블리(1001)와 상기 우측 구동 어셈블리(1002)는 모두 플랫폼 쪽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모두 선로 쪽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 사이에 배치된 제3도어(183)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 스크린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3도어(183)의 위치는 상기 제2도어(182)의 위치보다 높고, 상기 제3도어(183)는, 상기 제2도어(182)의 하단부에 형성된 돌출부(721)에 걸려 상승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예 4>
한편, 도 1 내지 도 13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 사이에 배치된 제1도어(181), 제2도어(182), 및 제3도어(183); 상기 제1도어(181), 상기 제2도어(182), 및 상기 제3도어(183)의 각각 좌우측에 연결되는 제1행어(171), 제2행어(172), 및 제3행어(173); 상기 제2도어(182)를 수직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행어(172)에 결합된 제1움직도르래(191); 상기 제3도어(183)를 수직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3행어(173)에 결합된 제2움직도르래(195); 및 상기 제1움직도르래(191) 및 상기 제2움직도르래(195)를 각각 구동하는 제1연결구(19) 및 제2연결구(29)를 포함한다.
상기 제1행어(171)는 상기 제1연결구(19)의 제1구동세그먼트 중 일 지점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행어(172)는 상기 제2연결구(29)의 제2구동세그먼트 중 일 지점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이때, 예컨대, 상기 제1연결구(19)의 제1구동세그먼트 중 일 지점은 상기 제1연결구(19)의 좌측부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연결구(29)의 제2구동세그먼트 중 일 지점은 상기 제2연결구(29)의 좌측부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 4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제1활차(19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행어(172)에는 제1활차(19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연결구(19)는 상기 제1움직도르래(191)와 상기 제1활차(191)를 연결하는 벨트일 수 있다. 또한, 제2활차(19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행어(173)에는 제2활차(195)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구(29)는 상기 제2움직도르래(195)와 상기 제2활차(195)를 연결하는 벨트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행어(171)에 형성된 제1결합부(192)는, 상기 제1연결구(19)의 일부분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3행어(173)에 형성된 제2결합부(194)는, 상기 제2연결구(29)의 일부분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행어(171), 상기 제2행어(172), 및 상기 제3행어(173)는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제공된 레일(161, 162, 163)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평연결구'와 '수직연결구'는 각각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수평연결구'가 반드시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수직연결구'가 반드시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110 : 수직프레임 20, 120 : 수평프레임
30, 130 : 구동부 31, 131 : 토션 브라켓
32, 42, 51, 132, 142, 151 : 풀리
40, 140 : 수평벨트, 수평연결구, 제1연결구
41, 141 : 벨트 처짐 방지 브라켓
50, 150 : 수직벨트, 수직연결구, 제2연결구
52, 152, 722 : 클램프
61, 161 : 제1레일 62, 162 : 제2레일
63, 163 : 제3레일 66, 166 : 롤러홀
71, 171 : 제1행어 72, 172 : 제2행어
73, 173 : 제3행어 81, 181 : 제1도어
82, 182 : 제2도어 83, 183 : 제3도어
88, 188 : 도어 연결홀
91, 191, 195 : 풀리(moved pulley), 동활차, 움직도르래
92, 192 : 제1결합부 193: 제2결합부
93, 194 : 제3결합부 196: 제4결합부
522 : 결합편
611 : 제1스토퍼 621 : 제2스토퍼
711 : 제1돌출부 721 : 제2돌출부
722 : 클램프 723, 724 : 풀리 축
1001 : 좌측 구동 어셈블리((71, 61, 51, 52, 50, 522) 또는 (171, 161, 151, 152, 150, 522))
1002 : 우측 구동 어셈블리((71, 61, 51, 52, 50, 522) 또는 (171, 161, 151, 152, 150, 522))

Claims (18)

  1. 한 쌍의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제1도어 및 제2도어;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의 각각 좌우측에 연결되는 제1행어 및 제2행어;
    상기 제2도어를 수직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행어에 형성되어 있는 풀리 축에 결합된 제1움직도르래;
    상기 제1움직도르래를 구동하는 제1연결구; 및
    상기 제1연결구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에 설치된 구동 어셈블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도어는 상기 제1행어의 일 지점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제1활차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도어에는 제1활차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연결구는 상기 제1움직도르래와 상기 제1활차를 연결하는 벨트인,
    플랫폼 스크린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는 상기 제1움직도르래를 통해 상기 제1도어로부터 수직방향의 힘을 받도록 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제공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된 수평프레임; 및
    상기 구동 어셈블리를 수평연결구를 통해 구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에 설치된 한 개의 구동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중 좌측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도어의 좌측단부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좌측 구동 어셈블리; 및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중 우측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도어의 우측단부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우측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구동 어셈블리와 상기 우측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한 개의 구동부에 의해 동시에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결구는 벨트, 체인, 또는 로프로 되어 있고 상기 수평프레임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프레임에는 상기 수평연결구의 쳐짐을 방지하기 위한 풀리가 설치되어 있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한 쌍의 풀리, 상기 한 쌍의 풀리에 의해 회전하는 수직연결구,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제1레일, 상기 수직연결구의 일부분과 상기 제1도어를 서로 고정 결합하고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수직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제1행어를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수평연결구를 통해 구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풀리 중 상측에 있는 제1풀리의 회전축은 상기 수평연결구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수평연결구와 결합되어 있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의 좌우측에 연결되는 제1행어;
    상기 제2도어의 좌우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움직도르래를 포함하는 제2행어;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구는 상기 제1행어로부터 상기 제2행어에게 수직방향의 힘을 상기 제1움직도르래를 통해 전달하도록 되어 있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행어에 형성된 제1결합부는, 상기 제1연결구의 일부분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구동 어셈블리는, 좌측 수직연결구, 상기 좌측 수직연결구의 일부분과 상기 제1도어의 좌측단부를 고정 결합하는 좌측 제1행어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 구동 어셈블리는, 우측 수직연결구, 상기 우측 수직연결구의 일부분과 상기 제1도어의 우측단부를 고정 결합하는 우측 제1행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의 상기 좌측단부는 상기 좌측 수직연결구의 제1지점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1도어의 상기 우측단부는 상기 우측 수직연결구의 제2지점에 고정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지점은 그 이동방향이 항상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선택된 것인,
    플랫폼 스크린도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구동 어셈블리와 상기 우측 구동 어셈블리는 모두 플랫폼 쪽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모두 선로 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제3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 스크린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3도어의 위치는 상기 제2도어의 위치보다 높고,
    상기 제3도어는, 상기 제2도어의 하단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걸려 상승하도록 되어 있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14. 한 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제1도어, 제2도어, 및 제3도어;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및 상기 제3도어의 각각 좌우측에 연결되는 제1행어, 제2행어, 및 제3행어;
    상기 제2도어를 수직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행어에 형성되어 있는 풀리 축에 결합된 제1움직도르래;
    상기 제3도어를 수직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3행어에 결합된 제2움직도르래; 및
    상기 제1움직도르래 및 상기 제2움직도르래를 각각 구동하는 제1연결구 및 제2연결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행어는 상기 제1연결구의 제1구동세그먼트 중 일 지점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행어는 상기 제2연결구의 제2구동세그먼트 중 일 지점에 고정 결합된,
    플랫폼 스크린도어.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활차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행어에는 상기 제1활차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연결구는 상기 제1움직도르래와 상기 제1활차를 연결하는 벨트인,
    플랫폼 스크린도어.
  16. 제14항에 있어서, 제2활차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행어에는 상기 제2활차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구는 상기 제2움직도르래와 상기 제2활차를 연결하는 벨트인,
    플랫폼 스크린도어.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행어에 형성된 제1결합부는, 상기 제1연결구의 일부분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3행어에 형성된 제2결합부는, 상기 제2연결구의 일부분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행어, 상기 제2행어, 및 상기 제3행어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제공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KR1020140031833A 2013-09-12 2014-03-18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승하강 방식의 플랫폼 스크린도어 KR101606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542639A JP6290427B2 (ja) 2013-09-12 2014-09-11 動滑車によって駆動される多段垂直開閉型スクリーンドア
CN201480050352.6A CN105555632B (zh) 2013-09-12 2014-09-11 借助移动滑轮驱动的多级垂直开闭型屏蔽门
US15/021,747 US20160222716A1 (en) 2013-09-12 2014-09-11 Multi-stage vertical open/close-type screen door operated by moving pulley
PCT/KR2014/008493 WO2015037927A1 (ko) 2013-09-12 2014-09-11 움직도르레에 의해 구동되는 다단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
EP14843504.3A EP3045370A4 (en) 2013-09-12 2014-09-11 Multi-stage vertical open/close-type screen door operated by moving pulle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886 2013-09-12
KR1020130109886 2013-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587A KR20150030587A (ko) 2015-03-20
KR101606827B1 true KR101606827B1 (ko) 2016-03-28

Family

ID=53024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833A KR101606827B1 (ko) 2013-09-12 2014-03-18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승하강 방식의 플랫폼 스크린도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222716A1 (ko)
EP (1) EP3045370A4 (ko)
JP (1) JP6290427B2 (ko)
KR (1) KR101606827B1 (ko)
CN (1) CN10555563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238B1 (ko) * 2018-09-13 2019-08-13 김기웅 로드킬 방지 자동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5857A1 (de) * 2014-08-11 2016-02-11 Init Innovative Informatikanwendungen In Transport-, Verkehrs- Und Leitsystemen Gmbh Verfahren zum Leiten der Fahrgäste öffentlicher Verkehrsmittel
EP3106365B1 (fr) * 2015-06-19 2018-07-11 Faiveley Transport Tours Systeme de fixation d'un module de porte paliere sur un quai et procede de montage associe
US10246931B2 (en) * 2015-06-26 2019-04-02 Jeld-Wen, Inc. Sliding window arrangement
KR102149715B1 (ko) 2019-01-15 2020-08-31 김중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
CN109720356A (zh) * 2019-02-13 2019-05-07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电子计算技术研究所 一种升降站台门
KR102046459B1 (ko) * 2019-06-03 2019-11-20 신판주 스크린도어의 프레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스크린 도어
KR102168537B1 (ko) 2019-08-14 2020-10-21 주식회사 삼흥정밀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슬라이딩 도어
CN110778238A (zh) * 2019-09-25 2020-02-11 奇点物联网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施工维修装饰门挡
GB2610340A (en) * 2020-07-21 2023-03-01 Skd Hi Tec Co Ltd Safety apparatus for passengers or pedestrians
KR102502694B1 (ko) * 2020-07-21 2023-02-23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
KR20220011543A (ko) *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CN112252883B (zh) * 2020-10-14 2022-07-12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轨道交通站台门的闭合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3047761B (zh) * 2021-04-02 2022-07-01 南京启越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升降式站台门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112B1 (ko) 2005-02-14 2006-07-19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39373A (en) * 1920-06-16 1922-12-19 Perfect Window Regulator Compa Window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US1810496A (en) * 1926-12-03 1931-06-16 Peelle Co The Elevator door
US2154421A (en) * 1938-04-04 1939-04-18 Arthur W Cunningham Collapsible gate
US2373023A (en) * 1940-04-01 1945-04-03 Eugene W Goodwin Sectional sliding door
US2425016A (en) * 1944-12-19 1947-08-05 Edgar R Weaver Hangar door operating mechanism
US3977123A (en) * 1975-06-25 1976-08-31 Whiting Roll-Up Door Mfg. Corporation Upwardly-acting door structure
AR213370A1 (es) * 1978-06-12 1979-01-15 Pecchioni V Unidad integral de puerta levadiza y de marco para la misma
WO1992013162A1 (en) * 1991-01-16 1992-08-06 Lasse Aabel Door
US5271183A (en) * 1992-09-25 1993-12-21 Rite-Hite Corporation Safety barrier assembly
JP2593605Y2 (ja) * 1992-12-25 1999-04-12 トピー工業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におけるガードフェンス
JP4551466B2 (ja) * 2002-10-29 2010-09-29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ダブルスライド式プラットホームゲート
US6860311B1 (en) * 2003-07-02 2005-03-01 Robert L Minor Telescopic door and panel forming apparatus
KR100789706B1 (ko) * 2006-10-13 2008-01-28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용 승하강수단
JP5409793B2 (ja) * 2009-08-25 2014-02-05 株式会社高見沢サイバネティックス ゲート装置
JP2011201340A (ja) * 2010-03-24 2011-10-13 Tokyu Car Corp プラットホームゲート装置
KR101344995B1 (ko) * 2011-03-01 2013-12-24 한성무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112B1 (ko) 2005-02-14 2006-07-19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238B1 (ko) * 2018-09-13 2019-08-13 김기웅 로드킬 방지 자동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90427B2 (ja) 2018-03-07
CN105555632A (zh) 2016-05-04
JP2016536215A (ja) 2016-11-24
CN105555632B (zh) 2018-09-04
EP3045370A1 (en) 2016-07-20
KR20150030587A (ko) 2015-03-20
US20160222716A1 (en) 2016-08-04
EP3045370A4 (en) 2017-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827B1 (ko)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승하강 방식의 플랫폼 스크린도어
CN207226777U (zh) 电梯的带轿厢门锁定机构的卡合装置
JP2011201340A (ja) プラットホームゲート装置
KR101111163B1 (ko) 엘리베이터 출입구 폭 이내 구간에 설치되는 카도어 자동개폐장치
EP3106364B1 (en) Safety equipment for train platform
KR20140007980A (ko)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30101698A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2223558B1 (ko) 수동개폐를 위한 구조를 갖는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JP2015137025A (ja) 鉄道ホーム用の安全装置
KR20080073510A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KR101500875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70039831A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406018B1 (ko) 승하강 방식의 안전장치
KR101306648B1 (ko) 상해방지장치를 갖는 로프형 플랫폼 안전장치
JP2013189294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1776219B1 (ko) 랙-피니언 동력전달구조를 갖는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 장치
JP2014189040A (ja) 可動扉装置
JP6757094B2 (ja) プラットホーム用ゲート装置
KR20220011543A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40029950A (ko) 이종 로프체결방식의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JP5448130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KR20160003957U (ko) 흔들림 방지 구조를 갖는 디펜스 도어 개폐장치
KR102223557B1 (ko)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KR101740468B1 (ko) 턴버클을 이용하여 로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로프타입의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
JP7334304B2 (ja) 工事用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