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1112B1 -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1112B1
KR100601112B1 KR1020050064187A KR20050064187A KR100601112B1 KR 100601112 B1 KR100601112 B1 KR 100601112B1 KR 1020050064187 A KR1020050064187 A KR 1020050064187A KR 20050064187 A KR20050064187 A KR 20050064187A KR 100601112 B1 KR100601112 B1 KR 100601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electric vehicle
moving
main body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한성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한성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Priority to US11/722,89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80098924A1/en
Priority to PCT/KR2005/002604 priority patent/WO2006085706A1/en
Priority to EP05773988A priority patent/EP1848620A1/en
Priority to JP2007551184A priority patent/JP2008526614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4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 D07B1/148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comprising marks or luminous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프를 지하철 또는 철도의 안전선에 승하강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전동차가 승차위치에 도달하면 로프를 상부로 승강시켜 승차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승차가 완료되어 전동차가 출발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승강 된 로프를 하강시켜 승객의 안전을 확보 할 수 있도록 한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의 입구와 출구에는 본체가 직립되게 설치되고, 그 본체의 일 측에는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이동체를 설치하여 된 로프 승/하강수단; 상기 플랫폼의 입구와 출구에 설치된 각 본체를 상호 연이으며, 양 끝단은 상기 각 본체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이동체와 연결 설치하여 된 2줄 이상의 로프; 상기 플랫폼의 입구와 출구에 설치된 각 본체를 상호 연이으는 로프를 따라 인정간격 유지되게 지주가 설치되고, 그 지주에는 상기 로프의 처짐을 방지하고 상하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설치하여 된 로프 처짐 방지수단; 전동차의 플랫폼 진/출입을 감지하여 상기 이동수단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으로서 로프를 승/하강시키는 로프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전동차, 플랫폼, 지하철, 안전선

Description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Safety equipment of train platform}
도1은 본 발명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제1실시예의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제1실시예의 확대도,
도3은 도2의 로프 승/하강수단 작동전의 발췌 사시도,
도4는 도2의 로프 승/하강수단 작용후의 발췌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장력조절수단을 나타낸 발췌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제2실시예의 개략도,
도7은 본 발명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제2실시예의 확대도,
도8은 본 발명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제3실시예의 개략도,
도9은 본 발명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제3실시예의 확대도,
도10은 본 발명의 로프 처짐 방지수단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11은 도10에서 로프 고정매개체의 발췌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로프 처짐 방지수단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13 및 도14는 본 발명의 로프에 광고 및 홍보수단을 나타낸 발췌도,
도15는 본 발명의 지하철 내부 정화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제어수단을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로프 승/하강수단 110,140,170 : 본체
111,141,171 : 기둥 112,142,172 : 레일
120,160,190 : 이동수단 121,161,191 : 모터
122,123,162,163,192,193 : 회전부재
124,164,194 : 동력전달부재 125,126,340 : 인장수단
130,150,180 : 이동체 131,132,151,152,181 : 이동플레이트
133,153 : 로프장력조절수단 134 : 견인부재
200 : 로프 210 : 시트
220 : 경고판 300 : 로프 처짐 방지수단
310 : 지주 320 : 가이드수단
330 : 고정매개 400 : 로프제어수단
410 : 전동차위치감지센서 420 : 승객감지센서
430 : 위치감지센서 440 : 중앙처리장치
450 : 경고부저 460 : 경광등
470 : 점별등 500 : 정화수단
510 : 자외선램프 520 : 광촉매
본 발명은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객이 전동차의 승차를 위하여 대기하는 지하철 또는 철도의 안전선에 설치되어 전동차가 승차위치에 도달하면 로프를 상부로 승강시켜 승차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승차가 완료되어 전동차가 출발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승강 된 로프를 하강시켜 승객의 안전을 확보 할 수 있도록 한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지하철 또는 철도의 플랫폼(Platform)은 승객들이 전동차에 탑승할 수 있도록 선로측이 개방된 상태이므로, 승객들이 선로내로 떨어지는 추락사고 및 진입하는 전동차와 충돌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플랫폼의 지면에 노란색으로 안전선을 구획(區劃)표시하여 승객들이 안전선 뒤쪽으로 물러나 대기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안전선은 단지 개인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선 뒤쪽으로 물러날 수 있도록 경각심만 일으켜 줄뿐, 실질적으로 승객들이 선로 내에 떨어지거나 전동차와 충돌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차단기능은 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플랫폼과 선로사이에 고정 벽과 가동 문을 설치하여 전동차의 정차시 그 전동차의 출입문과 연동하여 상기 가동 문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스크린도어(Platform Screen Door)를 설치하여 승객들의 추락 및 안전사 고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스크린도어는 전동차의 출입문 위치에 대응되도록 수십 개가 설치되기 때문에 제작 및 초기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또한, 전동차의 정차위치에 따라 스크린도어가 작동되므로, 전동차의 정차위치가 스크린도어의 위치와 일치되지 못할 경우에는 스크린도어가 작동이 되지 않게 되고, 결국 전동차의 승하차 시간이 지연되어 승객들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단점을 갖게 된다.
특히 지하철 내의 화재사고와 같은 긴급 상황에서 전원이 차단될 경우에는 스크린도어가 작동되지 않게 되므로 이로 인해 승객이 탈출할 수 있는 출구가 원천적으로 봉쇄(封鎖)되어 대형 참사(慘死)를 초래하게 되는 심각한 폐단을 갖는 것이다.
또, 상기 스크린도어는 전동차와 ATO(Automatic Train Operating)시스템에 의해서 제어되는데, 이러한 ATO시스템은 현재 신설중이거나 최근에 건설된 지하철의 플랫폼에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써, 과거에 건설되어 현재 ATO시스템을 적용하지 않고 있는 지하철에서는 스크린도어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결국 스크린도어의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가 극히 제한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제작 및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지하철의 제어시스템 종류에 관계없이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승객들이 선로내로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가 그 어느 때 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첫째, 승객이 전동차의 승차를 위하여 대기하는 지하철 또는 철도의 안전선에 설치되어 전동차가 승차위치에 도달하면 로프를 상부로 승강시켜 승객이 전동차에 승차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승차가 완료되어 전동차가 출발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승강된 로프를 하강시켜 승객이 지하철 또는 철도의 선로내로 떨어지는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고, 둘째, 상기 첫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저렴하게 함으로서, 경제적인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특징적이 기술적 구성은,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의 입구와 출구에는 본체가 직립되게 설치되고, 그 본체의 일 측에는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이동체를 설치하여 된 로프 승/하강수단; 상기 플랫폼의 입구와 출구에 설치된 각 본체를 상호 연이으며, 양 끝단은 상기 각 본체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이동체와 연결 설치하여 된 2줄 이상의 로프; 상기 플랫폼의 입구와 출구에 설치된 각 본체를 상호 연이으는 로프를 따라 인정간격 유지되게 지주가 설치되고, 그 지주에는 상기 로프의 처짐을 방지하고 상하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설치하여 된 로프 처짐 방지수단; 전동차의 플랫폼 진/출입을 감지하여 상기 이동수단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으로서 로프를 승/하강시키는 로프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는, 승객이 전동차의 승차를 위하여 대기하는 지하철 또는 철도의 안전선상에 설치되어 전동차가 승차위치에 도달하면 로프를 상부로 승강시켜 상기 플랫폼에서 대기하고 있는 승객이 전동차에 승차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승차가 완료되어 전동차가 출발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승강된 로프를 하강시켜 승객의 안전을 확보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본 발명의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에서 로프를 승/하강시키는 제1실시예의 로프 승/하강수단(100)은 도1 내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고 이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의 입구에서부터 출구의 선택된 부분에 직립되게 본체(110)가 설치되는데, 그 본체(110)는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선상으로 일정간격 유지되게 각각의 기둥(111)이 설치되고 그 기둥(111) 일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의 가이드레일(112)이 설치된다.
단, 상기 전동차가 진입하는 입구에서부터 출구의 안전선상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본체(110)는, 승객이 승차를 위하여 대기하는 플랫폼이 곡선일 경우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중간 중간에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플랫폼이 일직선일 경우에는 전동차가 진입하는 입구와 전동차가 빠져나가는 출구에 설치함이 바람직한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플랫폼이 직선일 경우라도 상기 본체(110)를 일정간격 유지되게 중간 중간에 설치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111)의 하단부에는 그 기둥(111)을 고정하는 고정판(113) 이 설치되고, 상기 기둥(111)의 상단에는 상기 2개의 기둥(111)을 고정하는 연결구(114)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판(113)은 지면에 고정되고. 또, 상기 기둥(111)의 후방에는 그 기둥(111)과 동일한 형태의 기둥(115)이 고정판(113)상에 세워지고 상기 전방의 기둥(111)과 후방의 기둥(115)간의 상단에는 덮개(116)가 덮여진다.
또한, 본 발명의 로프 승/하강수단(100)에서 본체(110) 즉 기둥(111)을 따라 상/하 이동되게 설치되는 이동체(130)는, 도3 및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기둥(111)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131,132)가 설치되고, 그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131,132)에는 2줄 이상의 로프(200) 끝단이 로프장력조절수단(133)에 의해 이동플레이트(131,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된다.
또,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31)에는 상기 이동수단(120)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되게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132)는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31)가 일정거리 이동 후 견인부재(134)에 의해 견인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프(200)의 끝단을 고정하는 로프장력조절수단(133)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프의 장력을 조정하는 것으로, 선단부에 로프 끝단을 고정하는 고정부(133b)가 형성되고 후방일부에는 나사(133c)가 형성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볼트(133a)이고 그 볼트는 상기 이동플레이트(131,132)를 관통하여 너트(133d)로 고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로프장력조절수단(133)의 일실시예이고, 그 외에도 로프(2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면 모두 가능하다.
또,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31)가 일정거리 이동 후 제2이동플레이트(132)를 견인하는 도3 및 도4에 나타낸 견인부재는,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31)의 하부에 제2이동플레이트(132) 방향으로 제1연장편(134a)이 형성되고,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132)의 상부에는 제1이동플레이트(131) 방향으로 제2연장편(134b)이 형성되며,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31)의 후면과 제2연장편(134b)간에는 제1이동플레이트(131)의 길이보다 적어도 2배 이상 긴 길이를 갖는 제1가이더(134c)가 설치되어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31)가 제1가이더(134c)를 따라 이동되게 구성되며,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132)의 후면과 제1연장편(134a)간에는 제2이동플레이트(132)의 길이보다 적어도 2배 이상 긴 길이를 갖는 제2가이더(134d)를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단, 상기 제1가이더(134c) 및 제2가이더(134d)는 수직형 로드나 그 이외의 수직형 와이어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더(134c) 및 제2가이더(134d)의 상/하단에는 각각의 스톱퍼(134e,134f,134g,134h)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가이더(134c) 및 제2가이더(134d)가 설치되는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131)와 제1연장편(134a) 및 제2연장편(134b)의 이면에는 각각의 브래킷(135,136)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이에 상기 제1 및 제2가이더(134c,134d)가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 즉 기둥(111)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제1이동플레이트(131) 및 제2이동플레이트(132))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120)은, 상기 본체(110)의 하부 중앙에 설치된 고정판(113)상에 동력전달부재(124)를 구동시키는 모터(121)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121)의 축 및 본체(110))의 상부 중앙에는 상기 동력전달부재(124)가 권취된 상태에서 모터(121)의 작동방향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부재 (122,123)가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124)의 일단은 제1이동플레이트(131)의 하부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124)의 타단은 제1이동플레이트(131)의 상부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131,132)에는 그를 상부로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각각의 인장수단(125,126)을 와이어(127,128)를 매개로 연결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단, 상기 와이어(127,128)의 선단은 각각의 이동플레이트(131,132)에 형성된 고정구(129a,129b)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인장수단(125,126)은 중량체, 쇽업쇼바, 인장스프링 중 어느 하나의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며, 상기 인장수단(125,126)의 역할은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31) 및 제2이동플레이트(132)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31) 및 제2이동플레이트(132)가 승강된다 함은 로프가 상승하여 승객이 전동차에 승차할 수 있거나, 전동차에서 하차하는 승객이 플랫폼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모터(121)의 축 및 본체(11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부재(122,123)는, 회전드럼, 피니언, 스프라켓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동력전달부재(124)는, 상기 회전부재(122,123)가 회전드럼 일 때는 벨트이고, 회전부재(122,123)가 피니언 형태 일 때는 타임벨트이며, 스프라켓 일 때는 체인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로프 승/하강수단(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3은 전동차가 플랫폼에 도착하여 승객이 승차할 수 있도록 된 상태의 것으로, 각 로프(200) 끝단이 연결 설치된 이동체(130)인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131,132)가 상부에 위치한 상태인 바, 이는 이동수단(120)인 모터(121)가 작동되어 회전부재(122,123)가 회전되면서 동력전달부재(124)가 회전되고 그와 동시에 인장수단(125,126)의 당김력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131,132)가 상부로 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로프(200)는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상태에서 승객이 전동차에 승차완료하고 출발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상부에 위치한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131,132)를 하부로 하강시켜 로프(200)로 차단 벽을 형성해야 하는데, 이때에는 상기 이동수단(200)인 모터(121)를 상기 로프(200)를 승강시킬 때의 역 방향으로 작동시켜 회전부재(122,123)를 역회전시키게 되면 동력전달부재(124) 역시 역회전되면서 제1이동플레이트(131)가 견인부재(134)인 제1가이더(134c)를 따라 하부로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의 상태로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31)가 제1가이더(134c)를 따라 하부로 계속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31)의 이면 하부에 위치한 브래킷(135)이 제1가이더(134c)의 하부 스톱퍼(134f)에 걸리게 되고 그와 동시에 제1연장편(134a)이 제2가이더(134d)의 하부에 형성된 스톱퍼(134h)에 걸리면서 그 제2가이더(134d)와 함께 제2이동플레이트(132)를 하부로 끌어내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이동플레이트(131)와 제2이동플레이트(132)가 완전히 하강하게 되면 이는 로프(200)가 도4의 상태가 되어 플랫폼의 차단벽을 역할을 함으로 승객의 안전이 확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31) 및 제2이동플레이트(132)가 완전히 하강된 상태에서의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31) 및 제2이동플레이 트(132) 위치는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31)가 플랫폼의 지면에서부터 그 상부를 향하게 되고,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132)는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31) 상단에서부터 그 상부를 향하게 위치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131,132)가 하강하여 로프(200)가 차단벽 역할을 하다가 플랫폼에 전동차가 진입하면 센서(도면 미도시)가 그를 감지하여 이동수단(200)인 모터(121)를 정 방향으로 작동시켜 회전부재(122,123)와 동력전달부재(124)를 회전시키게 되면 제1이동플레이트(131)가 견인부재인 제1가이더(134c)를 따라 상부로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의 상태로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31)가 제1가이더(134c)를 따라 상부로 계속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31)의 상단부가 제2이동플레이트(132)의 상부에 형성된 제2연장편(134b)과 접촉되면서 그 제2이동플레이트(132)를 상부로 끌고 올라가 도3의 상태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전동차가 플랫폼에 도착하여 승객이 전동차에 승차할 수 있도록 로프(200)를 오픈시킨 상태이다.
한편,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31)와 제2이동플레이트(132)가 완전히 하강하여 로프(200)가 플랫폼의 차단벽 역할을 한 상태에서 지하철내부의 정전 또는 화재 등으로 인하여 모터(121)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면 이때에는 비상조치로 상기 플랫폼의 차단벽 역할을 하도록 상기 하강된 로프(200)를 상부로 끌어 올려야 하는데, 그를 위한 구성으로, 모터(121)의 축에 클러치(C)가 연결 설치되고, 그 클러치(C)의 종동축에는 상기 이동플레이트(131)와 연결 설치된 동력전달부재(124)를 구동시키는 회전부재(122)를 설치하여 상기 모터(121)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면 클러치(C)의 제동력이 해제되어 인장수단(125,126)의 인장력에 의해 각 로프(200)의 끝단이 연결 설치된 이동플레이트(131,132)를 상부로 끌어 올림으로 상기 하강된 로프(200)가 상부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상태는 로프 승/하강수단(100)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 것이고, 이하에서는 로프 승/하강수단(100)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로프 승/하강수단(100) 구성은, 도6 및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의 입구에서부터 출구의 선택된 부분에 직립되게 본체(140)가 설치되는데, 그 본체(140)는 동일선상으로 일정간격 유지되게 각각의 기둥(141)이 설치되고 그 각 기둥(141)의 일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의 가이드레일(14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141)의 하단부에는 그 기둥(141)을 고정하는 고정판(143)이 설치되고, 상기 기둥(141)의 상단에는 상기 각 기둥(141)을 고정하는 연결구(144)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판(143)은 지면에 고정된다. 또, 상기 기둥(141)의 후방에는 그 기둥(141)과 동일한 형태의 기둥(145)이 고정판(143)상에 세워지고 상기 전방의 기둥(141)과 후방의 기둥(145)간의 상단에는 덮개(146)가 덮여진다.
또한, 본 발명의 로프 승/하강수단(100)에서 본체(140)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이동체(150)는,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각 기둥(141)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42)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151,152)가 설치되고, 그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151,152)에는 2줄 이상의 로프(200) 끝단이 로프장력조절수단(153)에 의해 이동플레이트(151,152)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151)에는 상기 이동수단(160)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되게 연결 설치된다. 한편, 상기 로프(200)의 끝단을 고정하는 로프장력조절수단(153)은 도5에 나타낸 구성과 같으며, 그 실시예의 구성 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음으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40)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이동체(150)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160)은, 상기 본체(140)의 하부 중앙의 고정판(143)상에 각각의 동력전달부재(164)를 구동시키는 각각의 모터(161)가 설치되고, 상기 각 모터(161)의 축 및 본체(140)의 상부 중앙에는 동력전달부재(164)가 권취된 상태에서 모터의 작동방향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부재(162,163)가 설치되며, 상기 일측의 동력전달부재(164)의 일단은 제1이동플레이트(151)의 하부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164)의 타단은 제1이동플레이트(131)의 상부와 연결 설치된다. 또, 상기 타측의 동력전달부재(164)의 일단은 제2이동플레이트(152)의 하부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164)의 타단은 제2이동플레이트(152)의 상부와 연결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각 모터(161)의 축 및 본체(14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부재(162,163)는, 회전드럼, 피니언, 스프라켓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동력전달부재(164)는, 상기 회전부재(162,163)가 회전드럼 일 때는 벨트이고, 회전부재(162,163)가 피니언 형태 일 때는 타임벨트이며, 스프라켓 일 때는 체인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로프 승/하강수단(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6은 전동차가 플랫폼에 도착하여 승객이 승차할 수 있도록 된 상태의 것으로, 각 로프(200)의 끝단이 연결 설치된 이동체(150)인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151,152)가 상부에 위치한 상태인 바, 이는 이동수단(160)인 각 모터(161)가 작동되어 회전부재(162,163)가 회전되면서 동력전달부재(164)가 회전되고 그와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151,152)가 상부로 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로프(200)는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상태에서 승객이 전동차에 승차완료하고 출발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상부에 위치한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151,152)를 하부로 하강시켜 로프(200)로 차단 벽을 형성해야 하는데, 이때에는 상기 이동수단(160)인 각 모터(161)를 로프(200)를 승강시킬 때의 역 방향으로 작동시켜 회전부재(162,163)를 역회전시키게 되면 동력전달부재(164) 역시 역회전되면서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151,152)가 하부로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이동플레이트(151)와 제2이동플레이트(152)가 원하는 만큼 하강하게 되면 이는 도7의 상태가 되어 플랫폼의 차단벽을 역할을 함으로 승객의 안전이 확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51) 및 제2이동플레이트(152)가 원하는 만큼 하강된 상태에서의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51) 및 제2이동플레이트(152)의 위치는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51)가 플랫폼의 지면에서부터 그 상부를 향하게 되고,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152)는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51) 상단에서부터 그 상부를 향하게 위치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151,152)가 하강하여 로프(200)가 차단벽 역할을 하다가 플랫폼에 전동차가 진입하면 센서(도면 미도시)가 그를 감지하여 이동수단(160)인 각 모터(161)를 정 방향으로 작동시켜 회전부재(162,163)와 동력전달부재(164)를 회전시키게 되면 제1이동플레이트(151)와 제2이동플레이트(152)가 상부로 이동을 하게 되고 이는 전동차가 플랫폼에 도착하여 승객이 전동차에 승차할 수 있도록 로프(200)를 오픈시킨 상태이다.
이상의 상태는 로프 승/하강수단(100)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 것이고, 이하에서는 로프 승/하강수단(100)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제3실시예의 로프 승/하강수단(100) 구성은, 도8 및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의 입구에서부터 출구의 선택된 부분에 직립되게 본체(170)가 설치되는데, 그 본체(170)는 동일선상으로 일정간격 유지되게 기둥(171)이 설치되고 그 기둥(171) 일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의 가이드레일(172)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로프 승/하강수단(100)에서 본체(170)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이동체(180)는,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각 기둥(171)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72)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181)가 설치되고, 그 이동플레이트(151)에는 각 로프(200) 끝 부분이 휠(182)의 안내를 받으며 각각의 로프컨트롤모터(183)의 로프드럼(184)에 권취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180)를 상하 이동시키는 이동수단(190)은 기둥(171)의 하부 중앙에 모터(191)가 설치되고, 그 모터(191)의 축 및 본체(170)의 상부 중앙에는 동력전달부재(194)가 권취된 상태에서 모터의 작동방향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 부재(192,193)가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194)의 일단은 이동플레이트(181)의 하부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194)의 타단은 이동플레이트(181)의 상부와 연결 설치된다.
한편, 상기 모터(191)의 축 및 본체(17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부재(192,193)는, 회전드럼, 피니언, 스프라켓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동력전달부재(194)는, 상기 회전부재(192,193)가 회전드럼 일 때는 벨트이고, 회전부재(162,163)가 피니언 형태 일 때는 타임벨트이며, 스프라켓 일 때는 체인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제3실시예의 로프 승/하강수단(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8은 전동차가 플랫폼에 도착하여 승객이 승차할 수 있도록 된 상태의 것으로, 2줄 이상의 로프(200) 끝단이 연결 설치된 이동체(150)인 이동플레이트(181)가 상부에 위치한 상태인 바, 이는 이동수단(190)인 모터(161)가 작동되어 회전부재(192,193)가 회전되면서 동력전달부재(194)가 회전되고 그와 동시에 상기 이동플레이트(181)가 상부로 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로프(200)는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상태에서 승객이 전동차에 승차완료하고 출발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상부에 위치한 동플레이트(181)를 하부로 하강시켜 로프(200)로 차단벽을 형성해야 하는데, 이때에는 상기 이동수단(190)인 모터(191)를 상기 로프(200)를 승강시킬 때의 역 방향으로 작동시켜 회전부재(192,193)를 역회전시키게 되면 동력전달부재 (194) 역시 역회전되면서 이동플레이트(181)가 하부로 이동하여 도9와 같이 로프(200)가 차단벽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이동플레이트(181)가 하강하여 로프(200)가 차단벽 역할을 하다가 플랫폼에 전동차가 진입하면 센서(도면 미도시)가 그를 감지하여 이동수단(190)인 모터(191)를 정 방향으로 작동시켜 회전부재(192,193)와 동력전달부재(194)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동플레이트(181)가 상부로 이동을 하게 되고 이는 전동차가 플랫폼에 도착하여 승객이 전동차에 승차할 수 있도록 로프(200)를 오픈시킨 상태이다.
한편, 상기 플랫폼의 입구에서부터 출구의 선택된 부분에 설치된 본체(110.140,170)의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지주(310)가 설치되고, 그 지주에는 상기 로프의 처짐을 방지하고 상하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가이드수단(320)을 설치하여 된 로프 처짐 방지수단(300)이 설치되는데, 그 구성은 도 10 및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그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로프(200)의 상하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가이드수단(320)은, 지주(310)의 상부 양측에 와이어(W)를 안내하는 가이드수단(320)인 풀리(F)가 설치되고, 그 풀리(F)를 중심으로 일 측에 위치한 와이어(W)의 끝단에는 인장수단(340)이 설치되며, 타 측에 위치한 와이어(W)는 각 로프(200)와 고정된다. 단, 상기 지주(310)는 원형 또는 각형의 수직 파이프 형태이다.
그리고, 상기 일 측에 위치한 와이어(W)의 끝단에 설치된 인장수단(340)은, 중량체, 쇽업쇼바, 인장스프링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타 측에 위치한 와이어(W)와 각 로프(200)와의 고정은 도11에 나타낸 고정매개(330)를 이용하여 고정되며, 그 고정매개(330)는 로프(200)를 일정간격으로 고정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고정구(331)가 마련되고 그 고정구(331)의 상단에는 타 측에 위치한 와이어(W)의 끝단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구(331)의 상부 및 하부에는 지주(310)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휠(332) 또는 슬라이더를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구(331)의 상부 및 하부에 휠(332) 또는 슬라이더를 설치하는 이유는, 로프(200)의 승하강시 고정구(331)가 지주와 접촉된 상태로 승/하강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휠(332) 또는 슬라이더가 지주(310)와 접촉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승/하강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주(310)의 내부에 위치한 와이어(W)의 끝단에는 인장수단(340)이 설치되는데, 그 이유는 와이어(W)를 지속적으로 당겨줌으로서 그 와이어(W)의 처짐을 방지함은 물론, 비상시나 정상 작동시 와이어(W)를 상부로 올려줄 때에 용이하게 올라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로프 처짐 방지수단(300)은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로프(20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고정매개(330)를 사용하지 않고 로프(200)를 잡아주는 매듭(333)을 형성시켜 그 매듭(333)이 로프(200)를 견고히 파지하도록 하였다. 단 상기 매듭(333)은 로프(200)의 개수 만큼이다. 또한, 상기 지주(310)의 전방 즉 지주(310)의 외부에 위치한 와이어(W)의 앞에는 그 와이어(W)를 보호하는 보호구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로프(200) 재질은 금속, 합성수지, 강화고무, 폴리우레탄의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재질로 이루어진 로프(200)는, 어두울 때 빛을 발하는 야광물질이 개재된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로프(200)에는 도13 및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홍보 및 광고용 판이나 시트(21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도 있으며, 그 외에 안내문구가 색인된 경고판(220)등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본체는 플렛폼의 해당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내부가 중공체이며 사람의 신장보다 큰 길이를 갖는 것으로, 상기 본체의 선택된 곳에는 지하철내부의 공기 또는 먼지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배출하는 정화수단(500)이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된다.
상기 본체에 정화수단(500)을 설치하는 이유는, 지하철내부는 각종 먼지는 물론, 악취와 인체에 유해한 병균이 존재함으로 이를 정화하여 지하철내부를 쾌적한 분위기로 조성함은 물론, 승객의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지하철내부를 쾌적한 분위기로 조성함은 물론, 승객의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는 정화수단(5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본체의 내부 선택된 곳에 자외선램프(510)가 설치되고, 그 자외선램프(510)와 근접된 위치에는 상기 자외선램프(510)의 빛을 받아 반응하는 광촉매(520)를 마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체의 선택된 곳에 자외선램프(510)와 광촉매(520)를 설치하게 되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된 공기는 자외선램프(510)와 광촉매(52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정화가 일어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하철내부 오연된 공기의 정화를 촉진시기기 위해서는 본체에 지하철 공기를 흡입하여 광촉매(520)로 보내는 팬(도면미도시)를 설치하고, 그 광 촉매를 거친 공기는 다시 지하철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형성시키면 상기 팬에서는 지하철내부의 공기를 계속 흡입하여 정화한 후 배출함으로 지하철내부를 쾌적한 분위기로 조성함은 물론, 승객의 건강을 유지에도 도움이 되는 것이다.
상기 각 이동체의 구성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실시예일 뿐이고, 그 이외에 상기 본체의 일 측면을 따라 상/하이동할 수 있는 이동체면 모두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각 이동체를 승/하강시키는 이동수단에서 각 모터는 정확한 위치와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브레이크(Break)기능이 수반된 기어드모터(Geard motor) 또는 클러치모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실린더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전동차가 진입하는 입구에서부터 출구의 선택된 부분에 설치되어 전동차의 진입 및 진출을 감지하여 상기 이동수단을 작동시킴으로서 상기 승객의 진입을 방지하는 로프(200)를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키는 로프제어수단(400)은,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차위치를 감지하는 전동차위치감지센서(410)와, 승객을 감지하는 승객감지센서(420)와 이동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430)와 상기 각 센서의 정보를 받아 이동체(130)를 승/하강시키는 이동수단의 작동을 명령하는 중앙처리장치(4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프제어수단(400)에는 경고부저(450)와, 경광등(460) 및 점별등(470)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이 추가 설치된다.
상기 전동차감지센서(410)와, 승객감지센서(420)는 접근하는 전동차 또는 승객을 모두 감지할 수 있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플랫 홈의 일측 또는 지주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430)는 리미트스위 치(Limit Switch)로서 본체에 설치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경고부저(450)와 경광등(460) 및 점멸등(470)은 상기 승객감지센서(420)를 통해 승객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경고부저(450)와 경광등(460) 또는 점멸등(470)을 작동시켜 승객에게 경각심을 유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경고부저(450)는 승객에게 청각적 주의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경고멘트는 "전동차가 진입하고 있습니다.", "위험합니다.", "안전선 뒤쪽으로 물러나 주십시오." 등의 다양한 멘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고부저(450)는 정차역의 안내방송을 승객들에게 직접 전달할 수 있으며, 반대로 승객들이 안전선을 넘어서 진입할 경우 정차역내의 안내방송에 의해서 경고방송을 할 수 있도록 서로 연동되어 작동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전동차감지센서(410)에 의해서 전동차의 정차위치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중앙처리장치(440)가 이동수단의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이동체를 하강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2줄 이상이 되게 설치된 로프(200)가 하강하면서 승객의 안전선 진입을 차단하게 된다.
반대로 전동차감지센서(410)에 의해서 전동차의 정차위치가 감지될 경우에는 중앙처리장치(440)가 이동수단의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이동체를 상승시키게 되고, 동시에 2줄 이상이 되게 설치된 로프(200)가 승객이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상승하게 되므로 승객의 원활한 승하차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2줄 이상이 되게 설치된 로프(200)가 승객이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상승할 때에는 상기 2줄 이상이 되게 설치된 로프(200)의 상호 간격이 좁혀지 는 구성을 갖게 하여 플렛폼의 높이 공간 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2줄 이상이 되게 설치된 로프(200)의 상호 간격이 좁혀지는 구성을 갖게 하는 경우에는 상기 로프(200)가 하강할 때에 다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구성을 갖게 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전동차의 운행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로프(200)를 승/하강시킴으로써 승객이 선로내로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주에 설치된 승객감지센서(420)에 의해서 승객 또는 물체가 감지될 경우에는 경고부저(450) 및 경광등(460) 또는 점멸등(470)을 작동시켜 승객으로 하여금 안전의식 고취는 물론, 경각심을 유발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지하철 안전장치는, 첫째, 지하철 안전선에 설치되어 전동차의 진입여부에 따라서 자동으로 승/하강되는 로프를 설치함으로서 승객이 고의 또는 실수로 지하철 선로내로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 설치 및 유지비용이 저렴하므로 경제적인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평소에는 승객의 위치에 로프가 하강된 상태로 있다가 전동차의 완전한 정차시에만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성 및 신뢰성을 증대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승객이 안전선을 넘을 경우에는 경고방송 및 경광등 또는 점멸등이 작 동되므로 승객들로 하여금 안전선을 준수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안전의식을 고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의 입구와 출구에는 본체가 직립되게 설치되고, 그 본체의 일 측에는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이동체를 설치하여 된 로프 승/하강수단;
    상기 플랫폼의 입구와 출구에 설치된 각 본체를 상호 연이으며, 양 끝단은 상기 각 본체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이동체와 연결 설치하여 된 2줄 이상의 로프;
    상기 플랫폼의 입구와 출구에 설치된 각 본체를 상호 연이으는 로프를 따라 인정간격 유지되게 지주가 설치되고, 그 지주에는 상기 로프의 처짐을 방지하고 상하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설치하여 된 로프 처짐 방지수단;
    전동차의 플랫폼 진/출입을 감지하여 상기 이동수단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으로서 로프를 승/하강시키는 로프제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의 입구와 출구에 직립되게 설치된 본체는, 동일선상으로 일정간격 유지되게 기둥이 설치되고 그 기둥 일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의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이동체는, 상기 기둥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가 설치되고, 그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에는 2줄 이상의 로프 끝단이 상기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는 상기 이동수단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되게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는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가 일정거리 이동 후 견인부재에 의해 견인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에 설치되는 2줄 이상의 로프 끝단은, 로프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로프장력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가 일정거리 이동 후 제2이동플레이트를 견인하는 견인부재는,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의 하부에 제2이동플레이트 방향으로 제1연장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제1이동플레이트 방향으로 제2연장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의 후면과 제2연장편 및 제2이동플레이트의 후면과 제1연장편간에는 상기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의 길이보다 적어도 2배 이상 긴 길이를 갖는 제1가이더 및 제2가이더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이동체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은, 상기 본체의 하부 중앙에 동력전달부재를 구동시키는 모터가 설치되고, 그 모터의 축 및 본체의 상부 중앙에는 동력전달부재가 권취된 상태에서 모터의 작동방향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일단은 제1이동플레이트의 하부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타단은 제1이동플레이트의 상부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에는 그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를 상부로 끌어올리는 힘을 가하는 인장수단을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축 및 본체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부재는, 회전드럼, 피니언, 스프라켓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벨트, 타임벨트, 체인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를 상부로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인장수단은, 중량체, 쇽업쇼바, 인장스프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모터의 축에는 클러치가 연결 설치되고, 그 클러치의 종동축에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연결 설치된 동력전달부재를 구동시키는 회전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모터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면 클러치의 제동력이 해제되어 인장수단의 인장력에 의해 각 로프의 끝단이 연결 설치된 이동플레이트가 상부로 상승되게 구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의 처짐을 방지하고 상하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지주에 설치된 가이드수단은, 지주의 상부에 와이어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키면서 안내하는 가이드가 설치되고 그 가이드를 중심으로 일 측에 위치한 와이어의 끝단에는 인장수단이 설치되며, 타 측에 위치한 와이어는 각 로프가 일정간격 유지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일 측에 위치한 와이어의 끝단에 설치된 인장수단은, 중량체, 쇽업쇼바, 인장스프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 측에 위치한 와이어와 각 로프와의 고정은, 고정매개를 이용하여 고정되며, 그 고정매개는 로프를 일정간격으로 고정하는 고정구가 마련되고 그 고정구의 상단에는 타 측에 위치한 와이어의 끝단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구의 선택된 곳에는 지주와 접촉된 상태에서 원활히 이동되는 휠 또는 슬라이더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를 필요에 따라 승/하강시키는 로프제어수단은, 정차위치를 감지하는 전동차위치감지센서와, 승객을 감지하는 승객감지센서와 이동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각 센서의 정보를 받아 이동체를 승/하강시키는 이동수단의 작동을 명령하는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진입방지용 로프제어수단은, 경고부저와, 경광등 및 점별등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이 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는, 금속, 합성수지, 강화고무, 폴리우레탄의 재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는, 어두울 때 빛을 발하는 야광물질이 개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줄 이상으로 설치된 로프의 사이에는, 홍보 및 광고용 판이나 시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에는, 안내문구가 색인된 경고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지주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는, 지하철내부의 오염된 공기 또는 먼지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배출하는 정화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단은, 일 측에 자외선램프가 설치되고, 그 자외선램프와 근접된 위치에는 상기 자외선램프를 빛을 받아 반응하는 광촉매를 구비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2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이동체는, 기둥에 설치된 각각의 가이드레일과 결합되어 상하 이동되는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가 설치되고, 그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에는 각 로프의 끝단부분이 상기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이동플레이트는 상기 이동수단의 동력을 전달받도록 연결 설치하여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2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이동체는, 기둥에 설치된 각각의 가이드레일과 결합되어 상하 이동되는 일체형 이동플레이트가 구비되고 그 일체형 이동플레이트의 중앙부에는 상기 각 로프의 끝부분을 가이드 하도록 회전가능하게 풀리가 설치되며, 그 풀리가 설치된 이동플레이트는 상기 이동수단의 동력을 전달받도록 연결 설치하여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KR1020050064187A 2005-02-14 2005-07-15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KR100601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22,899 US20080098924A1 (en) 2005-02-14 2005-08-11 Safety Device for Train Platforms
PCT/KR2005/002604 WO2006085706A1 (en) 2005-02-14 2005-08-11 Safety device for train platforms
EP05773988A EP1848620A1 (en) 2005-02-14 2005-08-11 Safety device for train platforms
JP2007551184A JP2008526614A (ja) 2005-02-14 2005-08-11 電車プラットフォームの安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786 2005-02-14
KR20050011786 2005-0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1112B1 true KR100601112B1 (ko) 2006-07-19

Family

ID=37184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187A KR100601112B1 (ko) 2005-02-14 2005-07-15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8526614A (ko)
KR (1) KR100601112B1 (ko)
CN (1) CN100528658C (ko)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484B1 (ko) 2007-12-11 2008-06-19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수직포스트
KR100881824B1 (ko) 2008-06-02 2009-02-03 한성무 안전 도어
WO2012118273A2 (ko) 2011-03-01 2012-09-07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258334B1 (ko) 2010-12-06 2013-05-02 한성무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WO2013085096A1 (ko) * 2011-12-09 2013-06-13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WO2013133631A1 (ko) 2012-03-06 2013-09-12 한국교통연구원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306648B1 (ko) 2012-03-19 2013-09-26 한국교통연구원 상해방지장치를 갖는 로프형 플랫폼 안전장치
KR101391453B1 (ko) 2012-03-06 2014-05-07 한국교통연구원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406019B1 (ko) 2012-08-31 2014-06-11 한국교통연구원 로프형 스크린 안전장치
WO2014088305A1 (ko) 2012-12-04 2014-06-12 한국교통연구원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개폐제어방법
KR101471545B1 (ko) * 2012-08-31 2014-12-11 한국교통연구원 이종 로프체결방식의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471544B1 (ko) * 2012-08-31 2014-12-11 한국교통연구원 열차 플랫폼 스크린 안전장치의 스크린도어 개폐제어방법
KR101487607B1 (ko) 2013-07-08 2015-02-04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로프 흔들림 감지부재
WO2015037927A1 (ko) 2013-09-12 2015-03-19 한국교통연구원 움직도르레에 의해 구동되는 다단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
KR20150030587A (ko) * 2013-09-12 2015-03-20 한국교통연구원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승하강 방식의 플랫폼 스크린도어
KR20150133946A (ko) 2014-05-20 2015-12-01 (주)소명 도어 잠금이 가능한 승강장용 안전장치
KR20160076189A (ko) 2014-12-22 2016-06-30 한국산업은행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KR20180131912A (ko) 2017-06-01 2018-12-11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90045580A (ko) 2017-10-24 2019-05-03 주식회사 포스코 로프형 스크린 도어
EP3495224A1 (en) 2017-12-07 2019-06-12 Skd Hi-Tec Co., Ltd. Train platform safety device including passenger and obstacle detection function
KR20190101606A (ko) 2018-02-23 2019-09-02 노준형 승강식 자동문
KR20190120482A (ko) 2018-04-16 2019-10-24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WO2022019377A1 (ko) 2020-07-21 2022-01-27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승객 또는 보행자 안전 장치
KR20220011543A (ko)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EP4001045A1 (en) 2020-11-23 2022-05-25 Skd Hi-Tec Co., Ltd. Safety device for electric locomotive platform capable of maintaining interval between ropes
KR20220135931A (ko)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KR20240052249A (ko) 2022-10-14 2024-04-23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48961B (zh) * 2008-12-19 2012-11-28 深圳市方大自动化系统有限公司 安全光幕万向调节装置
WO2011024612A1 (ja) * 2009-08-25 2011-03-03 オムロン株式会社 ゲート装置
JP5650549B2 (ja) * 2010-01-29 2015-01-07 株式会社高見沢サイバネティックス ゲート装置
JP5607507B2 (ja) * 2010-11-16 2014-10-15 株式会社高見沢サイバネティックス ゲート装置
JP5736154B2 (ja) * 2010-11-16 2015-06-17 株式会社高見沢サイバネティックス ゲート装置
JP5616199B2 (ja) * 2010-11-17 2014-10-29 株式会社高見沢サイバネティックス ゲート装置
JP5840396B2 (ja) * 2011-06-20 2016-01-06 株式会社高見沢サイバネティックス ゲート装置
JP5989372B2 (ja) * 2012-03-26 2016-09-07 日本信号株式会社 安全柵
JP5989379B2 (ja) * 2012-04-05 2016-09-07 日本信号株式会社 安全柵
JP6039949B2 (ja) * 2012-07-17 2016-12-07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遮蔽構造及び該遮蔽構造を備えた遮蔽装置
JP6085452B2 (ja) * 2012-11-02 2017-02-22 西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ホーム安全柵用ポストとホーム安全柵
JP6085457B2 (ja) * 2012-12-05 2017-02-22 日本信号株式会社 ホーム安全柵
JP6085458B2 (ja) * 2012-12-05 2017-02-22 日本信号株式会社 ホーム安全柵
JP5459893B1 (ja) * 2013-09-30 2014-04-02 操 岡村 開閉ゲート
JP6356482B2 (ja) * 2014-05-16 2018-07-11 日本信号株式会社 昇降式ホーム柵の間隔調整機構
JP6381401B2 (ja) * 2014-10-17 2018-08-29 株式会社京三製作所 可動柵
JP6472654B2 (ja) * 2014-12-24 2019-02-20 株式会社京三製作所 ホーム柵
JP6435186B2 (ja) * 2014-12-24 2018-12-05 株式会社京三製作所 ホーム柵
JP6468638B2 (ja) * 2014-12-25 2019-02-13 日本信号株式会社 ロープ式ホーム安全柵
JP6486123B2 (ja) * 2015-01-30 2019-03-20 日本信号株式会社 昇降式ホーム安全柵
JP6460394B2 (ja) * 2015-02-23 2019-01-30 日本信号株式会社 ロープ式ホーム安全柵
JP6544947B2 (ja) * 2015-03-03 2019-07-17 日本信号株式会社 ロープ式ホーム安全柵
CN105976582A (zh) * 2016-06-30 2016-09-28 张毅才 防倚靠系统
CN106223763B (zh) * 2016-07-20 2018-04-13 浙江齐嘉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隐藏式自动门
TWI633031B (zh) * 2017-04-24 2018-08-21 廣運機械工程股份有限公司 月台門裝置
CN109372406A (zh) * 2018-10-15 2019-02-22 北京慧诚广信科技有限公司 一种升降装置、安全门、安全门系统及控制方法
CN109910914B (zh) * 2019-04-08 2024-05-24 山东科技大学 一种矿用工作面巡检机器人及其工作方法
CN110409348A (zh) * 2019-07-24 2019-11-05 杨永 智能安全升降护栏
CN113442951B (zh) * 2020-11-02 2024-03-08 易程(苏州)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车次信息提示的站台升降安全绳装置
CN113047761B (zh) * 2021-04-02 2022-07-01 南京启越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升降式站台门机构
CN113602290B (zh) * 2021-08-24 2022-08-23 甘肃光轩高端装备产业有限公司 防护装置
CN114013458A (zh) * 2021-11-06 2022-02-08 西安铁路信号有限责任公司 具有屏蔽能力的上拉式铁路站台门
CN117087706B (zh) * 2023-08-04 2024-04-19 广东永华通讯科技有限公司 轨道交通安全护栏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1922A (ja) 2000-01-05 2001-07-17 Mitsubishi Electric Corp 停車場用報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41535A (ko) * 1971-09-29 1973-06-18
JPS5148933Y2 (ko) * 1971-11-16 1976-11-25
JPS5396343U (ko) * 1977-01-07 1978-08-05
JPS62295768A (ja) * 1986-06-17 1987-12-23 丸彦渡辺建設株式会社 プラツトホ−ムに取付ける転落防止装置
JPH0415612U (ko) * 1990-05-26 1992-02-07
JPH0577313U (ja) * 1992-03-25 1993-10-22 一則 安西 反射ロープ
JPH0657764U (ja) * 1993-01-22 1994-08-12 鹿島建設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
JP3021933U (ja) * 1995-05-01 1996-03-12 大都産商株式会社 携帯用簡易バリケード
WO1997007005A1 (en) * 1995-08-18 1997-02-27 Yoshitaka Hirano A safety device for a passenger on a platform
JP4021989B2 (ja) * 1998-05-28 2007-12-12 東急建設株式会社 開閉柵
JP2000234316A (ja) * 1999-02-15 2000-08-29 Kyowa Nasta Co Ltd ゲート式車止め
JP3083404U (ja) * 2000-06-16 2002-01-31 シラカワ工業株式会社 光触媒を利用した道路・沿道大気浄化装置
JP2002242142A (ja) * 2001-02-20 2002-08-28 Kazuhiro Yamane プラットホーム用転落防止柵
JP2004268634A (ja) * 2003-03-05 2004-09-30 Kawasaki Heavy Ind Ltd 昇降式プラットホーム可動柵
JP3809498B2 (ja) * 2003-04-02 2006-08-16 京和工業株式会社 給油所用ガード装置
JP4275984B2 (ja) * 2003-04-24 2009-06-1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の簡易可動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1922A (ja) 2000-01-05 2001-07-17 Mitsubishi Electric Corp 停車場用報知装置

Cited B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484B1 (ko) 2007-12-11 2008-06-19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수직포스트
KR100881824B1 (ko) 2008-06-02 2009-02-03 한성무 안전 도어
KR101258334B1 (ko) 2010-12-06 2013-05-02 한성무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WO2012118273A2 (ko) 2011-03-01 2012-09-07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WO2012118273A3 (ko) * 2011-03-01 2012-10-26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US8967050B2 (en) 2011-03-01 2015-03-03 Skd Hi-Tec Co., Ltd. Train platform safety device
EP2682319A4 (en) * 2011-03-01 2015-02-25 Skd Hi Tec Co Ltd SAFETY DEVICE FOR TRAIN PLATFORM
EP2682319A2 (en) * 2011-03-01 2014-01-08 Skd Hi-Tec Co., Ltd. Train platform safety device
KR101344995B1 (ko) 2011-03-01 2013-12-24 한성무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345027B1 (ko) 2011-12-09 2013-12-26 한성무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WO2013085096A1 (ko) * 2011-12-09 2013-06-13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391453B1 (ko) 2012-03-06 2014-05-07 한국교통연구원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WO2013133631A1 (ko) 2012-03-06 2013-09-12 한국교통연구원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306648B1 (ko) 2012-03-19 2013-09-26 한국교통연구원 상해방지장치를 갖는 로프형 플랫폼 안전장치
KR101406019B1 (ko) 2012-08-31 2014-06-11 한국교통연구원 로프형 스크린 안전장치
KR101471545B1 (ko) * 2012-08-31 2014-12-11 한국교통연구원 이종 로프체결방식의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471544B1 (ko) * 2012-08-31 2014-12-11 한국교통연구원 열차 플랫폼 스크린 안전장치의 스크린도어 개폐제어방법
WO2014088305A1 (ko) 2012-12-04 2014-06-12 한국교통연구원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개폐제어방법
KR101487607B1 (ko) 2013-07-08 2015-02-04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로프 흔들림 감지부재
KR101606827B1 (ko) 2013-09-12 2016-03-28 한국교통연구원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승하강 방식의 플랫폼 스크린도어
KR20150030587A (ko) * 2013-09-12 2015-03-20 한국교통연구원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승하강 방식의 플랫폼 스크린도어
WO2015037927A1 (ko) 2013-09-12 2015-03-19 한국교통연구원 움직도르레에 의해 구동되는 다단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
JP2016536215A (ja) * 2013-09-12 2016-11-24 ザ コリア トランスポート インスティテュート 動滑車によって駆動される多段垂直開閉型スクリーンドア
KR20150133946A (ko) 2014-05-20 2015-12-01 (주)소명 도어 잠금이 가능한 승강장용 안전장치
KR20160076189A (ko) 2014-12-22 2016-06-30 한국산업은행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KR20180131912A (ko) 2017-06-01 2018-12-11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90045580A (ko) 2017-10-24 2019-05-03 주식회사 포스코 로프형 스크린 도어
EP3495224A1 (en) 2017-12-07 2019-06-12 Skd Hi-Tec Co., Ltd. Train platform safety device including passenger and obstacle detection function
KR20190101606A (ko) 2018-02-23 2019-09-02 노준형 승강식 자동문
KR20190120482A (ko) 2018-04-16 2019-10-24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WO2022019377A1 (ko) 2020-07-21 2022-01-27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승객 또는 보행자 안전 장치
KR20220011543A (ko)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220011544A (ko)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
EP4001045A1 (en) 2020-11-23 2022-05-25 Skd Hi-Tec Co., Ltd. Safety device for electric locomotive platform capable of maintaining interval between ropes
KR20220135931A (ko)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KR20240052249A (ko) 2022-10-14 2024-04-23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98807A (zh) 2008-01-02
CN100528658C (zh) 2009-08-19
JP2008526614A (ja) 200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1112B1 (ko)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US20080098924A1 (en) Safety Device for Train Platforms
KR101344995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US4576539A (en) Wheelchair passenger lift apparatus for transit stations
JP2012214196A (ja) ホームゲート装置及び安全柵
CN105442471B (zh) 智能安全道闸及安全岛组件
KR101547650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0789706B1 (ko)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용 승하강수단
JP2000086109A5 (ko)
CN112746578A (zh) 一种铁路智能立式安全防护栏
JP5851176B2 (ja) プラットホーム用可動柵装置
CN112723084A (zh) 一种应对电梯急停故障的救援设施
JP6544947B2 (ja) ロープ式ホーム安全柵
CN112723083B (zh) 一种具有紧急逃离设备的电梯救援系统
JP2002348815A (ja) 安全柵
CN210854885U (zh) 一种带安全气垫的乘客电梯
CN210459030U (zh) 铁路口绳索升降式拦截设施
KR101471545B1 (ko) 이종 로프체결방식의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0512255B1 (ko) 지하철 안전장치
CN110626924A (zh) 一种带安全气垫的乘客电梯
EP0236600A1 (en) Wheelchair passenger lift apparatus for transit stations
CN211393517U (zh) 一种自动扶梯安全防护装置
JPH1160111A (ja) 道路横断エスカレーター
JP7438841B2 (ja) プラットホーム柵
CN220842505U (zh) 一种用于拉绳站台门的紧急避险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