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543A -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543A
KR20220011543A KR1020200090606A KR20200090606A KR20220011543A KR 20220011543 A KR20220011543 A KR 20220011543A KR 1020200090606 A KR1020200090606 A KR 1020200090606A KR 20200090606 A KR20200090606 A KR 20200090606A KR 20220011543 A KR20220011543 A KR 20220011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moving
vertical direction
block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200090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1543A/ko
Priority to PCT/KR2020/013273 priority patent/WO2022019378A1/ko
Publication of KR20220011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5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0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1Wire gates, e.g. traction gates; Fasten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3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 E06B11/025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46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continuous, e.g. closed lo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의 입구로부터 출구의 선택된 위치에 설치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이동부재(230); 양쪽의 상기 이동부재(230)를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차단부재(200);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차단부재(200)를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210); 상기 연결부재(210)의 사이에 형성하는 절첩부재(220); 상기 이동부재(230)와 차단부재(200)의 사이에 다수개의 상기 연결부재(210) 및 차단부재(200)가 서로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거나 반대로 접히는 과정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유닛(240); 상기 이동부재(2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구동유닛(120);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차단부재가 상승하면서 서로 접혀서 승객을 통과시킬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반대로 다수개의 차단부재가 하강하면서 서로 펼쳐져 승객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본체의 높이 최소화하여 설치공간과 높이가 협소한 플랫폼 등에 다수개의 차단부재를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Safety equipment of train platform}
본 발명은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단부재가 상승하면서 서로 접히거나 반대로 하강하면서 서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는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과 선로 사이에 설치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승객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재가 정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배열한 상태이므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불필요하게 구성들을 높게 제작해야 하고 폭이 넓어져야 하므로 설치공간과 높이가 제한된 플랫폼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종래에는 차단부재를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전시켜 승객을 차단 또는 통과시키고 있으나, 이는 넓은 면적을 갖는 차단부재가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주변설비와 간섭 및 충돌이 발생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아울러 종래에는 다수개의 차단부재가 상승하여 승객이 통과하도록 개방하는 경우 차단부재가 접어지는 형태를 적용하고 있으나, 이는 접어지는 거리 및 치수가 이동부재의 직경에 의존하게 되므로 많은 차단부재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구조체의 높이가 증가해야 하는 문제로 인해 차단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흔들림이 발생하여 안전성이 취약해지고 오작동 및 잦은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이로인해 승객을 차단하는 경우 높이의 제약으로 인해 소수의 차단부재를 적용하는 경우 상하간격이 증가하여 승객이 쉽게 손 또는 머리를 집어넣게 되므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01112호(2006.07.19.) 일본공개특허공보 특2008-534827호(2008.08.28.)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43843호(2012.05.04.)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9813호(2014.01.23.)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3411호(2015.02.05.)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3410호(2015.02.05.)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7980호(2014.01.20.)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71543호(2014.12.1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20482호(2019.10.2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차단부재가 상승하면서 서로 접혀서 승객을 통과시키고 반대로 다수개의 차단부재가 하강하면서 서로 펼쳐져 승객을 차단할 수 있는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높이가 낮은 구조체와 같은 이동거리에서 다수개의 차단부재를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승객의 안전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의 입구로부터 출구의 선택된 위치에 설치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이동부재(230); 양쪽의 상기 이동부재(230)를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차단부재(200);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차단부재(200)를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210); 상기 연결부재(210)의 사이에 형성하는 절첩부재(220); 상기 이동부재(230)와 차단부재(200)의 사이에 다수개의 상기 연결부재(210) 및 차단부재(200)가 서로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거나 반대로 접히는 과정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유닛(240); 상기 이동부재(2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구동유닛(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의 입구로부터 출구의 선택된 위치에 설치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본체(110); 구동유닛(120)의 작동으로 상기 본체(110)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130); 상기 이동몸체(13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이동부재(230); 양쪽의 상기 이동부재(230)를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차단부재(200);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차단부재(200)를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210); 상기 연결부재(210)의 사이에 형성하는 절첩부재(220); 상기 이동부재(230)와 차단부재(200)의 사이에 다수개의 상기 연결부재(210) 및 차단부재(200)가 서로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거나 반대로 접히는 과정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유닛(240); 상기 이동몸체(130)가 상기 본체(110)를 따라서 상승할 경우 다수개의 상기 이동부재(230)를 순차적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이동몸체(130)가 상기 본체(110)를 따라서 하강할 경우 다수개의 상기 이동부재(230)를 순차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동유닛(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120)은 상기 본체(11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하는 한 쌍의 회전체(121); 상기 회전체(121)의 일측에 설치하는 모터(122); 상기 회전체(121)를 순환하여 상기 이동부재(230)의 일측 또는 상기 이동몸체(130)의 하부 일측에 연결하는 연결체(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본체(110) 또는 이동몸체(130)의 상부에 다수개의 상기 연결부재(210) 또는 차단부재(200) 중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연결부재(210) 또는 차단부재(200)와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부(131,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유닛(240)은 상기 이동부재(230)의 중앙에 형성하는 중심축(241a)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구(241); 상기 지지구(241)의 전방에 형성하는 통공(242); 상기 차단부재(200)의 일단에 고정하는 고정구(243); 상기 고정구(242)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통공(242)을 관통하여 공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축(2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244)의 끝단에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체결구(244a); 상기 고정구(242)와 체결구(244a)의 사이에 형성하는 탄성체(2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연동유닛(250)은 상기 이동몸체(13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하는 한 쌍의 회전체(251); 상기 회전체(251)를 순환하되 일측은 상기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는 결합구(253)와 연결하고 타측은 다수개의 상기 이동부재(230)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이동부재(230)와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체(2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차단부재가 상승하면서 서로 접혀서 승객을 통과시킬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반대로 다수개의 차단부재가 하강하면서 서로 펼쳐져 승객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본체의 높이 최소화하여 설치공간과 높이가 협소한 플랫폼 등에 다수개의 차단부재를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회전유닛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서 차단부재의 절첩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회전유닛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서 차단부재의 절첩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의 입구로부터 출구의 선택된 위치에 설치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이동부재(230); 양쪽의 상기 이동부재(230)를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차단부재(200);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차단부재(200)를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210); 상기 연결부재(210)의 사이에 형성하는 절첩부재(220); 상기 이동부재(230)와 차단부재(200)의 사이에 다수개의 상기 연결부재(210) 및 차단부재(200)가 서로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거나 반대로 접히는 과정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유닛(240); 상기 이동부재(2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구동유닛(120);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의 입구로부터 출구의 선택된 위치에 설치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본체(110); 구동유닛(120)의 작동으로 상기 본체(110)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130); 상기 이동몸체(13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이동부재(230); 양쪽의 상기 이동부재(230)를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차단부재(200);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차단부재(200)를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210); 상기 연결부재(210)의 사이에 형성하는 절첩부재(220); 상기 이동부재(230)와 차단부재(200)의 사이에 다수개의 상기 연결부재(210) 및 차단부재(200)가 서로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거나 반대로 접히는 과정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유닛(240); 상기 이동몸체(130)가 상기 본체(110)를 따라서 상승할 경우 다수개의 상기 이동부재(230)를 순차적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이동몸체(130)가 상기 본체(110)를 따라서 하강할 경우 다수개의 상기 이동부재(230)를 순차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동유닛(25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본체(110)는 플랫폼의 입구로부터 출구의 선택된 위치에 서로 마주보도록 적어도 한 쌍 이상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본체(110)는 상기 차단부재(200)가 하강한 상태에서 승객을 차단할 수 있는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한다.
특히 상기 본체(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는 롤러 등과 같은 다수개의 가이드부재(111);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몸체(130)가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유닛(120)은 상기 이동부재(230) 또는 이동몸체(1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본체(11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하는 한 쌍의 회전체(121); 상기 회전체(121)의 일측에 설치하는 모터(122); 상기 회전체(121)를 순환하여 가장 하부에 위치한 이동부재(230)의 일측 또는 이동몸체(130)의 하부 일측에 연결하는 연결체(12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체(121)는 스프로킷 휠 또는 풀리 등을 적용하고, 상기 연결체(123)는 체인 또는 벨트 등으로 적용함으로써 상기 모터(122)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이동몸체(1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모터(122)는 감속기 등을 포함하여 원활한 회전속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유닛(120)은 상기 이동부재(230) 또는 이동몸체(1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 또는 스크류잭 및 모터의 조합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동몸체(130)는 상기 구동유닛(120)의 작동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차단부재(200)가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이동몸체(130)는 상기 본체(110)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 또는 이동몸체(130)의 상부에 다수개의 상기 연결부재(210) 또는 차단부재(200) 중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연결부재(210) 또는 차단부재(200)와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부(131,113);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110) 또는 이동몸체(130)가 상승하면서 다수개의 상기 연결부재(210) 또는 차단부재(200)를 들어올릴 수 있고, 반대로 상기 본체(110) 또는 이동몸체(130)가 하강한 상태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연결부재(210) 또는 차단부재(200)를 고정 및 지지하여 하부에 위치한 나머지 연결부재(210) 또는 차단부재(200)가 하강하면서 쉽게 펼쳐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131)는 핀 및 경첩 또는 클램프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는 회전체(132); 상기 이동몸체(130)의 하부 일측에 연결하여 상기 회전체(132)를 순환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체(133); 상기 연결체(133)의 타측에 설치하는 중량체(134);를 포함하여 상기 중량체(134)의 무게에 의해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상기 이동몸체(130)가 쉽게 상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레일(135);을 포함하여 상기 중량체(134)가 상기 레일(135)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체(132)는 스프로킷 휠 또는 풀리 등을 적용하고, 상기 연결체(133)는 체인 또는 벨트 등으로 적용함으로써 상기 중량체(134)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재(200)는 승객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경질의 재질은 물론 로프 등의 외경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질을 피복하여 부식을 방지함은 물론 승객과 부딪칠 경우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연질의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재(21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차단부재(200)를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상기 차단부재(200)를 수직방향으로 펼치거나 수평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유도하고, 두 개 이상의 상기 차단부재(200)의 상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210)의 일측에 형성하는 고정구(211);를 포함하여 상기 차단부재(200)가 상기 고정구(211)를 관통하여 지정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211)의 일측에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나사 결합하여 상기 차단부재(200)를 압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첩부재(220)은 상기 이동부재(23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위치에 따라서 다수개의 상기 연결부재(210)를 절첩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승객을 차단 또는 통과시키기 위한 상기 차단부재(200)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절첩부재(2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의 차단부재(200)를 서로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재(210)의 사이에 형성하여 다수개의 상기 이동부재(230)가 순차적으로 상승하면서 서로 간격이 가까워질 경우 자연스럽게 상기 연결부재(210) 및 차단부재(200)가 접힐 수 있도록 회전시키고, 반대로 다수개의 상기 이동부재(230)가 순차적으로 하강하면서 서로 간격이 멀어질 경우 상기 연결부재(210) 및 차단부재(200)가 수직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첩부재(220)는 경첩 또는 핀 및 베어링 등을 적용하여 상기 연결부재(210)가 원활하게 절첩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230)는 상기 이동몸체(130)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 또는 베어링 및 LM시스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레일(112);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부재(230)가 상기 레일(112)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부재(230)와 차단부재(200)의 사이에 다수개의 상기 연결부재(210) 및 차단부재(200)가 서로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거나 반대로 접히는 과정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유닛(24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210) 및 차단부재(200)가 펼쳐지거나 접히는 과정에서 상기 차단부재(200)와 이동부재(230)의 사이에 피로 및 부하가 발생하여 절단 또는 원활한 동작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회전유닛(240)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회전유닛(240)의 실시예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230)의 중앙에 형성하는 중심축(241a)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구(241); 상기 지지구(241)의 전방에 형성하는 통공(242); 상기 차단부재(200)의 일단에 고정하는 고정구(243); 상기 고정구(242)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통공(242)을 관통하여 공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축(244);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지지구(241)는 상기 차단부재(200)의 위치 및 상하 간격에 따라서 상기 중심축(241a)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간섭 및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공(242)은 상기 회전축(244)이 관통한 상태로 공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상기 차단부재(200)가 절첩과정에서 회전할 경우 동시에 상기 회전축(244)이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244)의 끝단에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체결구(244a); 상기 고정구(242)와 체결구(244a)의 사이에 형성하는 탄성체(245);를 포함하여 상기 체결구(244a)를 작동시켜 상기 회전축(244)이 이동하면서 상기 차단부재(2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탄성체(245)는 스프링 등으로 적용하여 상기 회전축(244)을 이동시켜 상기 차단부재(20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몸체(130)가 상기 본체(110)를 따라서 상승할 경우 다수개의 상기 이동부재(230)를 순차적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이동몸체(130)가 상기 본체(110)를 따라서 하강할 경우 다수개의 상기 이동부재(230)를 순차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동유닛(2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동유닛(250)은 상기 이동몸체(13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하는 한 쌍의 회전체(251); 상기 회전체(251)를 순환하되 일측은 상기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는 결합구(253)와 연결하고 타측은 다수개의 상기 이동부재(230)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이동부재(230)와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체(25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체(251)는 스프로킷 휠 또는 풀리 등을 적용하고, 상기 연결체(252)는 체인 또는 벨트 등으로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120)의 작동으로 상기 이동부재(230) 및 차단부재(200)를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차단부재(200)는 상기 접철부재(220)를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재(210)와 함께 접어지면서 승객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구동유닛(120)의 반대 작동으로 다수개의 이동유닛(120)이 하강하면서 서로 펼쳐져 상기 차단부재(200)가 승객을 차단할 수 있는 넓이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120)의 작동으로 상기 이동몸체(130)가 상승할 경우 동시에 상기 회전체(251)가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체(252)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다수개의 이동부재(230)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상기 이동부재(230)를 상승시켜 나머지 다수개의 이동부재(230)를 순차적으로 들어올린다.
이때 상기 차단부재(200)는 상기 접철부재(220)를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재(210)와 함께 접어지면서 승객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구동유닛(120)의 반대 작동으로 상기 이동몸체(130)가 하강할 경우 동시에 상기 회전체(251)는 반대 회전하며서 상기 연결체(252)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켜 다수개의 이동부재(230)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상기 이동부재(230)를 하강시키고 나머지 이동부재(230)는 자중에 의해서 하강할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 또는 차단부재(200)는 상기 이동몸체(130)가 하강을 완료한 상태에서 상부에 연결한 상태이므로 나머지 다수개의 이동유닛(120)이 자중으로 하강하면서 서로 펼쳐져 상기 차단부재(200)가 승객을 차단할 수 있는 넓이를 확보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본 발명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110: 본체 111: 레일
120: 구동유닛 121: 회전체
122: 모터 123: 연결체
130: 이동몸체 131: 고정부
200: 차단부재 210: 연결부재
220: 절첩부재 230: 이동부재
240: 회전유닛 241: 지지구
241a: 중심축 242: 통공
243: 고정구 244: 회전축
244a: 체결구 245: 탄성체
250: 연동유닛 251: 회전체
252: 연결체 253: 결합구

Claims (7)

  1.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의 입구로부터 출구의 선택된 위치에 설치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이동부재(230); 양쪽의 상기 이동부재(230)를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차단부재(200);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차단부재(200)를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210); 상기 연결부재(210)의 사이에 형성하는 절첩부재(220); 상기 이동부재(230)와 차단부재(200)의 사이에 다수개의 상기 연결부재(210) 및 차단부재(200)가 서로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거나 반대로 접히는 과정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유닛(240); 상기 이동부재(2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구동유닛(120);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2.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의 입구로부터 출구의 선택된 위치에 설치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본체(110); 구동유닛(120)의 작동으로 상기 본체(110)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130); 상기 이동몸체(13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이동부재(230); 양쪽의 상기 이동부재(230)를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차단부재(200);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차단부재(200)를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210); 상기 연결부재(210)의 사이에 형성하는 절첩부재(220); 상기 이동부재(230)와 차단부재(200)의 사이에 다수개의 상기 연결부재(210) 및 차단부재(200)가 서로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거나 반대로 접히는 과정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유닛(240); 상기 이동몸체(130)가 상기 본체(110)를 따라서 상승할 경우 다수개의 상기 이동부재(230)를 순차적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이동몸체(130)가 상기 본체(110)를 따라서 하강할 경우 다수개의 상기 이동부재(230)를 순차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동유닛(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120)은 상기 본체(11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하는 한 쌍의 회전체(121); 상기 회전체(121)의 일측에 설치하는 모터(122); 상기 회전체(121)를 순환하여 상기 이동부재(230)의 일측 또는 상기 이동몸체(130)의 하부 일측에 연결하는 연결체(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 또는 이동몸체(130)의 상부에 다수개의 상기 연결부재(210) 또는 차단부재(200) 중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연결부재(210) 또는 차단부재(200)와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부(131,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240)은 상기 이동부재(230)의 중앙에 형성하는 중심축(241a)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구(241); 상기 지지구(241)의 전방에 형성하는 통공(242); 상기 차단부재(200)의 일단에 고정하는 고정구(243); 상기 고정구(242)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통공(242)을 관통하여 공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축(2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44)의 끝단에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체결구(244a); 상기 고정구(242)와 체결구(244a)의 사이에 형성하는 탄성체(2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동유닛(250)은 상기 이동몸체(13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하는 한 쌍의 회전체(251); 상기 회전체(251)를 순환하되 일측은 상기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는 결합구(253)와 연결하고 타측은 다수개의 상기 이동부재(230)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이동부재(230)와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체(2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20200090606A 2020-07-21 2020-07-21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220011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606A KR20220011543A (ko) 2020-07-21 2020-07-21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PCT/KR2020/013273 WO2022019378A1 (ko) 2020-07-21 2020-09-28 전동차 플랫폼 안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606A KR20220011543A (ko) 2020-07-21 2020-07-21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543A true KR20220011543A (ko) 2022-01-28

Family

ID=79728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606A KR20220011543A (ko) 2020-07-21 2020-07-21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11543A (ko)
WO (1) WO20220193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3894A (ko) 2022-08-16 2024-02-23 조병주 개인 맞춤형 여행 일정 자동 생성 서버 및 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112B1 (ko) 2005-02-14 2006-07-19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JP2008534827A (ja) 2005-04-04 2008-08-28 ドナルド スチュワート ネイピア 柵システム
KR101143843B1 (ko) 2011-11-30 2012-05-04 (주) 금동강건 도로용 가드케이블
KR20140007980A (ko) 2014-01-02 2014-01-20 한국교통연구원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40009813A (ko) 2012-07-13 2014-01-23 한국교통연구원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471543B1 (ko) 2012-06-07 2014-12-11 한국교통연구원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50013411A (ko) 2014-12-23 2015-02-05 한국교통연구원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20150013410A (ko) 2014-12-23 2015-02-05 한국교통연구원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20190120482A (ko) 2018-04-16 2019-10-24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827B1 (ko) * 2013-09-12 2016-03-28 한국교통연구원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승하강 방식의 플랫폼 스크린도어
KR101500875B1 (ko) * 2013-11-25 2015-03-12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JP6356482B2 (ja) * 2014-05-16 2018-07-11 日本信号株式会社 昇降式ホーム柵の間隔調整機構
KR101604863B1 (ko) * 2014-10-02 2016-03-21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로프 장력조절수단을 구비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JP6381401B2 (ja) * 2014-10-17 2018-08-29 株式会社京三製作所 可動柵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112B1 (ko) 2005-02-14 2006-07-19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JP2008534827A (ja) 2005-04-04 2008-08-28 ドナルド スチュワート ネイピア 柵システム
KR101143843B1 (ko) 2011-11-30 2012-05-04 (주) 금동강건 도로용 가드케이블
KR101471543B1 (ko) 2012-06-07 2014-12-11 한국교통연구원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40009813A (ko) 2012-07-13 2014-01-23 한국교통연구원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40007980A (ko) 2014-01-02 2014-01-20 한국교통연구원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50013411A (ko) 2014-12-23 2015-02-05 한국교통연구원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20150013410A (ko) 2014-12-23 2015-02-05 한국교통연구원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20190120482A (ko) 2018-04-16 2019-10-24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3894A (ko) 2022-08-16 2024-02-23 조병주 개인 맞춤형 여행 일정 자동 생성 서버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9378A1 (ko) 202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7347B2 (ja) 電動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JP6290427B2 (ja) 動滑車によって駆動される多段垂直開閉型スクリーンドア
JP5872716B2 (ja) 列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EP3106364B1 (en) Safety equipment for train platform
KR20150013411A (ko)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101391453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50013410A (ko)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20140007980A (ko)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40134887A (ko)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101345027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220011543A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406018B1 (ko) 승하강 방식의 안전장치
KR20170039831A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306648B1 (ko) 상해방지장치를 갖는 로프형 플랫폼 안전장치
KR101471545B1 (ko) 이종 로프체결방식의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WO2018073896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KR20070046996A (ko) 수직이동장치
KR102502694B1 (ko)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
US20220161831A1 (en) Train platform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safety accident
KR20130126561A (ko)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JPWO2019202826A1 (ja) プラットホーム用ゲート装置
KR20140141894A (ko)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CN106092616A (zh) 车轮定位仪升降装置及车轮定位仪
WO2019092781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740468B1 (ko) 턴버클을 이용하여 로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로프타입의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