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543B1 -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543B1
KR101471543B1 KR1020120061132A KR20120061132A KR101471543B1 KR 101471543 B1 KR101471543 B1 KR 101471543B1 KR 1020120061132 A KR1020120061132 A KR 1020120061132A KR 20120061132 A KR20120061132 A KR 20120061132A KR 101471543 B1 KR101471543 B1 KR 101471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screen
rope
post
scre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7480A (ko
Inventor
김현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61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543B1/ko
Publication of KR20130137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consisting of two or more independent parts, movable each in its own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wing motor
    • E05Y2400/53Wing impact prevention or reduction
    • E05Y2400/54Obstruction or resistance de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52Frames;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플랫폼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구동되어 개폐되는 스크린을 갖는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가 공개된다. 이 스크린의 아래쪽에는 장애물 감지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스크린이 하강하는 도중 장애물 감지부에 장애물이 접촉되면 스크린의 하강을 중단하도록 전동차 플렛폼 안전장치의 구동부재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Safety equipment of train platform having obstacle detector}
본 발명은 전동차 플랫폼에 설치되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히는 접촉신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또는 철도의 플랫폼은 승객들이 전동차에 탑승할 수 있도록 선로측이 개방된 상태에 놓인다. 그러므로 승객들이 선로 내로 떨어지는 추락사고, 진입하는 전동차와 승객이 부딪히는 충돌사고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에 대비하기 위해서 플랫폼의 지면에 노란색으로 안전선을 구획표시하여 승객들이 안전선 뒤쪽으로 물러나서 대기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안전선은 승객이 안전선 뒤쪽으로 물러날 수 있도록 경각심만 일으켜 줄 수 있을 뿐 실질적으로 승객들이 선로 내에 떨어지거나 전동차와 충돌하는 안전사고를 적극적으로 방지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로서, 플랫폼 선로 사이에 고정벽과 가동문을 설치하여 전동차의 정차시 전동차의 출입문과 연동하여 가동문이 개폐될 수 있는 스크린도어를 설치하여 안전사고에 보다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스크린도어는 전동차의 출입문 위치에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도어가 설치되기 때문에 제작 및 설치비용이 증가하며, 전동차의 정차 위치와 스크린도어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크린도어가 동작하지 않게 되므로 전동차의 승하차 시간이 지연되어 승객들의 불편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크린도어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정장치는 전동차와 ATO(Automatic Train Operating)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데, ATO 시스템은 현재 신설중이거나 최근에 건설된 지하철의 플랫폼에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과거에 설치된 지하철 선로에는 스크린도어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0601112호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에는 이러한 좌우 걔폐식 스크린도어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구성이 공개되어 있다.
로프 승/하강 수단은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의 입구에서부터 출구의 선택된 부분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본체와, 본체를 따라 상/하 이동되게 설치되는 이동체들과, 이동체들을 상호 연결하는 로프와, 이동체들을 이동시키는 구동기 등을 포함한 이동수단을 구비한다.
즉,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는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이동체에 연결된 로프를 통해 승객들이 선로 내로 떨어지는 추락사고, 진입하는 전동차와 승객이 부딪히는 충돌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한국등록특허 제0601112호의 구성을 갖는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는 로프가 설치된 이동체들의 승하강시 중심위치가 서로 달라 부하가 한 쪽 방향으로 집중되면서 비틀림 현상 및 편하중으로 인한 마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이동체를 승하강시키기 위해서 본체에는 개별적으로 구동기가 장착되어야 하므로 전력사용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전기 배선 등 전반적으로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에는 비접촉식의 광학 센서가 구비되어 사람의 접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사람이 스크린 도어에 접촉되었는지를 직접 감지하는 방식은 아니며,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에 대한 사람의 수평적 접근여부를 주로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는 전동차 등에 의하여 사람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인데, 오히려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작동에 따른 사람과 기계와의 접촉에 의하여 사람이 상해를 입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비접촉식 광학 센서가 아닌 접촉식의 센서를 이용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 개폐형 스크린 도어를 위한 접촉신 안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는, 플랫폼에 상호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포스트 및 제2포스트; 기 제1포스트와 상기 제2포스트를 따라 승하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상기 제1포스트 상부에 배치되는 제1활차; 상기 제2포스트 상부에 배치되는 제2활차; 일측이 상기 제1활차에 감겨지며 타측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1로프; 일측이 상기 제2활차에 감겨지며 타측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2로프; 상기 제1활차와 상기 제2활차를 회전시켜 상기 스크린을 승하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중 가장 아래쪽 스크린의 아래에 배치된 장애물 감지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장 아래쪽 스크린이 하강하는 도중 상기 장애물 감지부에 장애물이 접촉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의 하강을 중단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재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는, 플랫폼에 상호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포스트 및 제2포스트; 상기 제1포스트와 상기 제2포스트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며,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제1포스트와 상기 제2포스트를 따라 승하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상기 제1포스트 상부에 배치되는 제1활차; 상기 제2포스트 상부에 배치되는 제2활차; 일측이 상기 제1활차에 감겨지며 타측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1로프; 일측이 상기 제2활차에 감겨지며 타측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2로프; 상기 수평프레임 내부에서 상기 제1활차와 상기 제2활차를 상호 연결시키는 구동로프; 상기 스크린을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제1포스트 및 상기 제2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로프를 상기 제1활차 또는 상기 제2활차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중 가장 아래쪽 스크린의 아래에 배치된 장애물 감지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장 아래쪽 스크린이 하강하는 도중 상기 장애물 감지부에 장애물이 접촉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의 하강을 중단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재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는, 플랫폼에 상호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포스트 및 제2포스트; 상기 제1포스트와 상기 제2포스트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며,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제1포스트와 상기 제2포스트를 따라 승하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상기 제1포스트 상부에 배치되는 제1활차; 일측이 상기 제1활차에 감겨지며 타측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1로프; 상기 제2포스트 상부에 배치되는 제2활차; 일측이 상기 제2활차에 감겨지며 타측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2로프; 및 상기 제1활차와 상기 제2활차를 동시에 회전시켜 상기 스크린을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수평프레임에 장착되는 구동부재;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크린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스크린은, 상부에 배치되는 제1스크린과, 상기 제1스크린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승하면서 상기 제1스크린과 포개지는 제2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로프 및 상기 제2로프는 상호 대응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제1로프는, 상기 제1스크린을 연결하는 제1스크린 연결로프와, 상기 제2스크린을 연결하는 제2스크린 연결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활차 및 상기 제2활차는 상호 대응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제1활차는, 제1스크린 연결로프가 감겨지는 소활차와, 상기 소활차와 동일한 회전축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스크린 연결로프가 감겨지는 대활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수평프레임에 장착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풀리; 및 상기 회전풀리에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감겨지며 각각이 상기 제1활차 및 상기 제2활차와 연결되는 제1구동로프 및 제2구동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수평프레임에 장착되는 한 쌍의 모터; 상기 한 쌍의 모터의 회전축에 각각 설치되는 회전풀리; 및 상기 각 회전풀리에 감겨지며 각각이 상기 제1활차 및 상기 제2활차와 연결되는 제1구동로프 및 제2구동로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앙 영역에 장착되는 리니어 모터; 및 상기 제1활차와 상기 제2활차를 연결하며 상기 리니어 모터에 의해 상기 제1활차 또는 상기 제2활차 방향으로 움직이는 구동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활차 및 상기 제2활차는 각각 상기 제1구동로프 및 상기 제2구동로프, 또는 상기 구동로프가 감겨지는 중활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활차 및 상기 제2활차는 상기 구동부재의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균형추가 연결된 균형추 연결로프가 감겨지는 균형활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는, 플랫폼에 상호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포스트 및 제2포스트; 상기 제1포스트와 상기 제2포스트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며,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제1포스트와 상기 제2포스트를 따라 승하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상기 제1포스트 상부에 배치되는 제1활차; 일측이 상기 제1활차에 감겨지며 타측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1로프; 상기 제2포스트 상부에 배치되는 제2활차; 일측이 상기 제2활차에 감겨지며 타측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2로프; 기 제1활차 및 상기 제2활차의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균형추; 일단이 상기 제1활차 및 상기 제2활차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균형추에 감져지는 균형추 연결로프; 및 상기 제1활차와 상기 제2활차를 각각 회전시켜 상기 스크린을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제1포스트 및 상기 제2포스트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균형추 연결로프를 움직이는 한 쌍의 구동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는, 플랫폼에 상호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포스트 및 제2포스트; 상기 제1포스트와 상기 제2포스트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며,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제1포스트와 상기 제2포스트를 따라 승하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상기 제1포스트 상부에 배치되는 제1활차; 일측이 상기 제1활차에 감겨지며 타측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1로프; 상기 제2포스트 상부에 배치되는 제2활차; 일측이 상기 제2활차에 감겨지며 타측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2로프; 상기 제1활차 및 상기 제2활차의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균형추; 일단이 상기 제1활차 및 상기 제2활차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균형추에 감져는 균형추 연결로프; 상기 수평프레임 내부에서 상기 제1활차와 상기 제2활차를 상호 연결시키는 구동로프; 및 상기 스크린을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제1포스트 및 상기 제2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균형추 연결로프를 움직여 상기 구동로프를 상기 제1활차 또는 상기 제2활차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의 승하강 동작을 균형적이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비틀림 현상 및 편하중으로 인한 마모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구동부를 통해 스크린을 승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전력사용량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전기 배선 등 전반적으로 장치의 구조가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직립 포스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직립 포스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동작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직립 포스트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직립 포스트의 평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이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감지부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접촉부가 피에조일렉트릭 소자를 포함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접촉부가 전도체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18a 및 도 18b는 도 15a 내지 도 15c에 설명한 장애물 감지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도 15a 내지 도 15c에 설명한 장애물 감지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포스트(110) 및 제2포스트(120)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제1포스트(110) 및 제2포스트(120)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동작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1)는 제1포스트(110), 제2포스트(120), 수평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00)와, 제1포스트(110)와 제2포스트(120)를 따라 승하강하는 스크린(140, 150)과, 스크린(140, 150)를 이동시키는 하나의 구동부재(20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포스트(110)와 제2포스트(120)는 플랫폼(미도시)에 상호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130)은 제1포스트(110)와 제2포스트(120)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며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포스트(110), 제2포스트(120), 수평프레임(130)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공간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본체(100)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본체(100)는 각각의 포스트가 별도로 제작된 후 상호 조립되어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의 입구에서부터 출구의 선택된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스크린은 제1포스트(110)와 제2포스트(120)를 따라 승하강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배치되는 제1스크린(140)과, 제1스크린(14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승하면서 제1스크린(140)과 포개지는 제2스크린(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포스트(110)와 제2포스트(120)에는 제1스크린(140) 및 제2스크린(150)이 원활하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각각 가이드레일(111, 112)이 형성될 수 있다. 각 스크린(140, 150)에는 레일(111, 112)을 따라서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롤러(141) 및 제2롤러(151)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롤러(141) 및 제2롤러(151)는 레일(111,112)을 따라서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는 LM블록 및 LM가이드 등과 같은 직선운동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스크린(140, 150)은 승객이 전동차의 승차를 위하여 대기하는 지하철 또는 철도의 안전선상에 설치되어 전동차가 승차위치에 도달하면 상승하여 플랫폼에서 대기하고 있는 승객이 전동차에 승차할 수 있도록 하고, 승차가 완료되어 전동차가 출발하고자 할 때에는 하강하여 승객의 안전을 확보해 주는 역할을 한다.
스크린(140, 150)은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다수개의 로프가 연결된 형태로 이루질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140, 150)은 로프 스크린 도어(Rope Screen Door, "RSD")라고 칭할 수도 있다. 물론, 스크린(140, 150)은 그 밖의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스크린(140, 150)은, 다수개의 로프가 연결된 상태에서, 그 로프들을 골격으로 삼아 커버를 씌운 형태로 제공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커버의 재질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스크린(140, 150)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제1포스트(110)의 상부에는 제1활차(160)가 배치되고, 제2포스트(120)의 상부에는 제2활차(16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활차(160) 및 제2활차(160)는 스크린(140, 150)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1로프 및 제2로프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로프 및 제2로프는 상호 대응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제1활차(160) 및 제2활차(160) 역시 상호 대응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제1포스트(110) 내부에 장착되는 제1활차(160) 및 제1로프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활차(160)는 제1포스트(110) 상부에 배치되며 하나의 회전축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활차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활차(160)는 시브(Sheave), 도르래라고 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활차(16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활차(161), 대활차(162), 중활차(163), 균형활차(164)의 4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활차들은 제1로프가 감겨져 사용될 수 있다.
제1로프는 제1스크린(140)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스크린 연결로프(142)와, 제2스크린(150)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2스크린 연결로프(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크린(140)이 제2스크린(150)에 비해 상부에 위치하므로 제1스크린 연결로프(142)의 길이는 제2스크린 로프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제1스크린 연결로프(142)는 단로프, 제2스크린 로프는 장로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스크린 연결로프(142)는 전술한 소활차(161)에 감겨지고, 제2스크린 연결로프(152)는 대활차(162)에 감겨질 수 있다. 여기서 소활차(161)의 지름보다 대활차(162)의 지름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의 승하강 동작시 제1스크린(140)은 천천히 상승하게 되고, 제2스크린(150)은 빠르게 상승하면서 제1스크린(140)과 포개질 수 있다.
구동부재(200)는 수평프레임(130) 내부에 설치되는데, 제1활차(160)와 제2활차(160)를 동시에 회전시켜 제1스크린(140)과 제2스크린(150)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재(200)는 수평프레임(130)의 중앙 영역에 장착되는 모터(201)와, 모터(201)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풀리(205)와, 회전풀리(205)에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감겨지며 각각이 제1활차(160) 및 제2활차(160)와 연결되는 제1구동로프(171)와 제2구동로프(17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의 모터(201)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풀리(205)에는 제1구동로프(171)와 제2구동로프(173)가 감겨지거나 풀려지게 되고, 제1활차(160) 및 제2활차(160)는 회전하면서 각각의 소활차(161) 및 대활차(162)에 연결된 제1스크린 연결로프(142)와 제2스크린 연결로프(152)를 감거나 풀게 된다.
따라서 제1스크린 연결로프(142)와 제2스크린 연결로프(152)에 각각 연결된 제1스크린(140) 및 제2스크린(150)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시키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부재(200)의 작동으로 소활차(161)와, 소활차(161)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된 대활차(162)가 동시에 회전할 경우, 회전거리가 서로 다르므로 결과적으로 제1스크린(140) 및 제2스크린(150)의 승하강거리 및 승하강속도는 서로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스크린(140) 및 제2스크린(150)의 일단이 상승할 때에 타단도 상승할 수 있는 구조로서, 제1구동로프(171)와 제2구동로프(173)가 회전풀리(205)에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감겨지는 구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반드시 제1구동로프(171)와 제2구동로프(173)가 회전풀리(205)에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감겨지는 구성을 가져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달리 제1(110)의 상부에 설치된 제1활차(160)에 맞물려, 제1활차(16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아가는 보조활차를 설치하고, 이 보조활차에 제1구동로프(171)를 연결하는 구성을 이용할 수도 있음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와같이 제1스크린(140) 및 제2스크린(150)의 일단이 상승할 때에 타단도 상승할 수 있는 구조는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다.
소활차(161)와 대활차(162)는 스크린의 형성 개수에 따라서 동일한 개수가 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서로 지름이 다르게 제작하여 구동부재(200)의 작동에 따라서 승하강거리를 조절시킬 수 있다. 예컨대, 스크린의 개수가 두 개인 경우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두 개의 활차가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스크린의 개수가 세 개인 경우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세 개의 활차가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스크린 개수가 한 개인 경우에는 한 개의 활차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술한 소활차(161)와 대활차(162)는 예를 들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는 기어 또는 풀리 등을 적용할 수 있고, 제1스크린 연결로프(142) 및 제2스크린 연결로프(152)는 소활차(161) 및 대활차(162)의 외경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는 벨트 또는 로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1활차(160) 및 제2활차(160)에는 구동부재(200)의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중량물로서 균형추(180)가 연결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활차(160) 및 제2활차(160)는 균형추(180)가 연결되면서 감겨질 수 있는 균형활차(164)를 구비하며, 균형활차(164)에는 균형추(180)가 연결된 균형추 연결로프(181)가 감겨질 수 있다.
균형추(180)는 작업자가 중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일정중량을 갖는 다수개의 중량물들로서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구동부재(200)를 통해 스크린의 승하강 동작을 균형적이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비틀림 현상 및 편하중으로 인한 마모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구동부재(200)를 통해 스크린을 승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전력사용량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전기 배선 등 전반적으로 장치의 구조가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를 참조하면서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1a)는 2개의 구동부재(210, 220)가 구동부(200a)로 이루어진 점이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다. 즉, 구동부재(200a)는 수평프레임(130)의 중앙 영역에 장착되는 한 쌍의 모터(201)와, 한 쌍의 모터(201)의 회전축에 각각 설치되는 회전풀리(205)와, 각 회전풀리(205)에 감겨지며 각각이 제1활차(160) 및 제2활차(160)와 연결되는 제1구동로프(171) 및 제2구동로프(17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모터(201)는 정방으로 회전하면 제1스크린(140)과 제2스크린(150)을 상승시키고,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스크린(140)과 제2스크린(150)을 하강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반대로 하나의 모터(201)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다른 하나의 모터(201)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1스크린(140)과 제2스크린(150)을 상승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동작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1b)는 1개의 구동부재(200)가 사용된 점이 전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수평프레임(130)의 중앙 영역에는 리니어 모터(200b)가 사용되고, 리니어 모터(200b)에 의해 제1활차(160) 또는 제2활차(160)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제1활차(160)와 제2활차(160)를 연결하는 구동로프(177)가 사용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구동로프(177) 일체로 형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두 개의 개별로프로 제공되어 이 중 하나의 개별로프는 리니어 모터(200b)의 좌측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개별로프는 리니어 모터(200b)의 우측에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리니어 모터(200b)는 구동로프(177)가 연결되는 이동블록(230)과, 이동블록(230)의 수평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블록(230)이 수평프레임(130)의 중앙 영역 좌측에 위치한 경우에는 제1스크린(140) 및 제2스크린(150)이 하강하고, 이동블록(230)이 수평프레임(130)의 중앙 영역 우측으로 이동할 경우에 제1스크린(140) 및 제2스크린(150)이 상승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을 참조하면서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1c)는 2개의 구동부재(300)가 사용된 점이 전술한 제2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제3실시예와 같이 구동부재(300)가 리니어 모터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제3실시예에서 리니어 모터(200b)가 수평프레임(130)의 중앙 영역에 1개가 장착된 반면에 본 실시예의 리니어 모터(300)는 제1포스트(110)와 제2포스트(120)에 각각 설치되는 균형추 연결로프(181)와 연결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점이 다르다. 리니어 모터(300)는 리니어 모터 고정자(301) 사이를 직선운동할 수 있다. 리니어 모터 고정자(301)는 제1포스트(110)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리니어 모터(300)는 리니어 모터 고정자(301)에 대응되는 리니어 모터 이동자의 개념으로 볼 수 있다. 리니어 모터는 고정자 및 이동자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종래 기술에 의해 공개되어 있다. 각 리니어 모터(300)는 수직방향으로 균형추 연결로프(181)를 강제로 이동시킴에 따라 제1활차(160) 및 제2활차(160)를 움직여 제1스크린(140)과 제2스크린(150)을 승하강시키도록 동작한다. 이 경우, 수평프레임(130)에는 공간이 확보되므로 각종 전기배선 등이 효율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8에 제시한 구동부재(300)는 유압실린더 형태의 구동부재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9는 도 8의 제1포스트(110)의 평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낸 구조는 도 3에 나타낸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며, 다만 제1구동로프(171)가 제1포스트(110) 바깥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제1포스트(110) 내부에 존재하는 리니어 모터(300)에 연결된다는 점이 다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1포스트(110)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서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는 전술한 제4실시예처럼 구동부재(200)로서 리니어 모터(300)가 사용되지만 제1포스트(110), 제2포스트(120) 중 하나에만 설치되고, 제1활차(160) 및 제2활차(160)는 구동로프(177)에 의해 수평프레임(130) 내부에서 상호 연결된다. 리니어 모터(300)가 상하로 이동하면, 제1구동로프(171)가 상하로 이동한다. 제1구동로프(171)의 이동에 따라 제1활차(160) 측의 소활차(161), 대활차(162), 매개활차(261), 중활차(163), 균형활차(164)가 회전하게 된다. 매개활차(261)의 회전에 의해 구동로프(177)이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제1스크린(140)과 제2스크린(150)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구동부재를 통해 스크린의 승하강 동작을 균형적이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비틀림 현상 및 편하중으로 인한 마모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구동부재를 효율적으로 배치시켜 스크린을 승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전력사용량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전기 배선 등 전반적으로 장치의 구조가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를 도 12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은 제6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이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6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는 도 6에 따른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변형된 형태이다. 제6실시예에에서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서 도 6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1e)는 제1포스트(110), 제2포스트(120), 수평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00)와, 제1포스트(110)와 제2포스트(120)를 따라 승하강하는 스크린(140, 150)과, 스크린(140, 150)를 이동시키는 하나의 구동부재(200b)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재(200b)는 선형모터일 수 있다.
제1포스트(110)와 제2포스트(120)는 플랫폼(700)에 상호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130)은 제1포스트(110)와 제2포스트(120)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며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포스트(110), 제2포스트(120), 수평프레임(130)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공간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본체(100)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본체(100)는 각각의 포스트(110, 120) 및 수평프레임(130)이 별도로 제작된 후 상호 조립되어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700)의 입구에서부터 출구의 선택된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제2포스트(120)의 내부구조는 제1포스트(110)의 내부구조와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제2포스트(120)의 내부구조의 설명은 제1포스트(110)의 내부구조의 설명으로서 대신한다. 다만, 단 하나의 구동부재(200b)를 사용하여 스크린(140, 150)을 상하 이동하기 위해서는, 제1구동로프(171)와 제2구동로프(173)가 좌우의 활차(160)에 연결되는 방식이 다를 수 있다. 즉, 제1구동로프(171)는 좌측의 활차(160)의 아래쪽으로부터 감기는 반면, 제2구동로프(173)는 우측의 활차(160)의 위쪽으로부터 감길 수 있다.
스크린은 제1포스트(110)와 제2포스트(120)를 따라 승하강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배치되는 제1스크린(140)과, 제1스크린(14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승하면서 제1스크린(140)과 포개지는 제2스크린(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6실시예에서 제1스크린(140) 및 제2스크린(150) 중 적어도 제2스크린(150)은 직사각형 또는 이와 등가의 모양을 갖는 형상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적어도 제2스크린(150)은 단단한 일체형의 부재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격자무늬 또는 수직 또는 수평의 단단한 내부 골격을 가지면서 그 위에 내구성 있는 판형부재가 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제6실시에에서는 제1스크린(140) 및 제2스크린(150)이 모두 로프형 차단막 형태로는 제공되지는 않는데, 이는 로프 차단부재의 도입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제1스크린(140) 및/또는 제2스크린(150)이 로프형 부재로 이루어진다면, 예측하지 못하게 가방 등이 로프 사이에 걸릴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제1스크린(140) 및 제2스크린(150)은 각각 체결부재(190)에 의하여 제1블록(145) 및 제2블록(155)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블록(145) 및 제2블록(155)은 제1포스트(110)와 제2포스트(12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1, 112)을 따라 승하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블록(145) 및 제2블록(155)에는 각각 제1롤러(141) 및 제2롤러(151)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롤러(141) 및 제2롤러(151)는 레일(111,112)을 따라서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는 LM블록 및 LM가이드 등과 같은 직선운동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스크린(140, 150)은 승객이 전동차의 승차를 위하여 대기하는 지하철 또는 철도의 안전선상에 설치되어 전동차가 승차위치에 도달하면 상승하여 플랫폼에서 대기하고 있는 승객이 전동차에 승차할 수 있도록 하고, 승차가 완료되어 전동차가 출발하고자 할 때에는 하강하여 승객의 안전을 확보해 주는 역할을 한다.
스크린(140, 150)은, 예컨대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크린(140, 150)은 그 밖의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스크린(140, 150)은, 다수개의 로프가 연결된 상태에서, 그 로프들을 골격으로 삼아 커버를 씌운 형태로 제공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커버의 재질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술한 플레이트는 휘지않는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탄성을 가지고 휘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스크린(140, 150)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제1포스트(110)의 상부에는 좌측활차(160)가 배치되고, 제2포스트(120)의 상부에는 우측활차(16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좌측활차(160) 및 우측활차(160)는 스크린(140, 150)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1로프 및 제2로프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로프 및 제2로프는 상호 대응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좌측활차(160) 및 우측활차(160) 역시 상호 대응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제1포스트(110) 내부에 장착되는 좌측활차(160) 및 제1로프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좌측활차(160)는 제1포스트(110) 상부에 배치되며 하나의 회전축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활차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활차(160)는 시브(Sheave), 도르래라고 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좌측활차(16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활차(161), 대활차(162), 중활차(163), 균형활차(164)의 4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활차들은 제1로프가 감겨져 사용될 수 있다.
제1로프는 제1스크린(140)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스크린 연결로프(142)와, 제2스크린(150)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2스크린 연결로프(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크린(140)이 제2스크린(150)에 비해 상부에 위치하므로 제1스크린 연결로프(142)의 길이는 제2스크린 연결로프(152)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제1스크린 연결로프(142)는 단로프, 제2스크린 연결로프(152)는 장로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스크린 연결로프(142)는 전술한 소활차(161)에 감겨지고, 제2스크린 연결로프(152)는 대활차(162)에 감겨질 수 있다. 여기서 소활차(161)의 지름보다 대활차(162)의 지름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의 승하강 동작시 제1스크린(140)은 천천히 상승하게 되고, 제2스크린(150)은 빠르게 상승하면서 제1스크린(140)과 포개질 수 있다.
구동부재(200b)는 수평프레임(130) 내부에 설치되는데, 제1활차(160)와 제2활차(160)를 동시에 회전시켜 제1스크린(140)과 제2스크린(150)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재(200b)는 이동자와 고정자를 포함하는 선형모터(리니어 모터)일 수 있으며, 이동자에 연결되며 좌측활차(160) 및 우측활차(160)와 연결되는 제1구동로프(171)와 제2구동로프(17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의 구동부재(200b)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직선 이동하면, 각각의 소활차(161) 및 대활차(162)에 연결된 제1스크린 연결로프(142)와 제2스크린 연결로프(152)를 감거나 풀게 된다. 따라서 제1스크린 연결로프(142)와 제2스크린 연결로프(152)에 각각 연결된 제1스크린(140) 및 제2스크린(150)을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시키거나 도 14에 도시한 바와 다시 일부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부재(200b)의 작동으로 소활차(161)와, 소활차(161)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된 대활차(162)가 동시에 회전할 경우, 회전거리가 서로 다르므로 결과적으로 제1스크린(140) 및 제2스크린(150)의 승하강거리 및 승하강속도는 서로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제6실시예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1e)는 도 6에 도시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1b)와 비슷하지만, 제2스크린(150) 아래쪽에 장애물 감지부(310, 320)가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제2스크린(150) 바로 밑에 사람이 있는 경우, 제2스크린(150)이 하강하면서 사람에 접촉될 수 있다. 제2스크린(150)은 상하로 유연하게 휘지 않는 재질일 수 있으며, 상당히 무거울 수 있기 때문에 제2스크린(150)과 사람이 접촉할 때에 사람이 부상을 입을 수 있다. 물론, 제1포스트(110)와 제2포스트(120)에는,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광학센서 어레이가 상하로 촘촘히 구비되어, 제1포스트(110)와 제2포스트(120) 사이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광학센서 어레이는 제2스크린(150)과 사람이 접촉했는지 여부를 직접적으로 감지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중의 안전대책으로서 제2스크린(150)과 사람이 접촉하기 바로 직전의 순간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제2스크린(150) 아래쪽에 장애물 감지부(310, 320)가 제공된다.
장애물 감지부(310, 320) 중 센서부(320)는 제2스크린(150)이 연결된 제2블록(155)에 연결될 수 있다. 제1포스트(110)와 제2포스트(120)에 구비된 두 개의 센서부(320) 사이에는 장애물 접촉부(310)가 연결될 수 있다. 장애물 접촉부(310)는 가볍고 단단한 봉형의 부재이거나 또는 약간의 신축성이 있는 로프형 부재일 수도 있다.
제2스크린(150)이 하강하는 경로에 장애물(800)이 존재한다면, 장애물(800)은 제2스크린(150)에 닿기 전에 장애물 접촉부(310)에 먼저 접촉된다. 이때, 장애물 접촉부(310)는, 회동가능한 링크부재에 의하여 센서부(32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한 장애물(800)에 큰 충격을 주지 않고 제2스크린(150)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장애물 접촉부(310)는 제2스크린(150) 쪽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그 구조상 어느 순간에는 이동을 멈추게 된다. 이렇게 이동이 중단되기 전까지 장애물(800)이 존재한다는 것을 감지하여 구동부재(200b)의 동작을 멈추게 되면, 장애물(800)이 제2스크린(150)에 닿아 충격을 받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장애물 감지부(310, 320)의 실시예를 도 15 내지 도 19에 나타내었다. 이들 실시예는 예시를 위한 것으로서, 장애물 감지부(310, 320)를 구현하기 위하여 종래의 다양한 감지장치들이 활용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감지부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장애물 감지부(310, 320) 중 센서부(320)는, 링크부재(321), 링크부재(321)의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322), 장애물 접촉부(310)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가이드 슬롯(3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슬롯(322)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자유회동결합부(323), 제2블록(155)에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부(327), 베이스부(327)와 링크부재(321)를 연결하도록되어 있으며 링크부재(321)가 베이스부(327)를 중심으로 회동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슬롯(322)의 타측과 베이스부(327)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회동결합부(324), 고정회동결합부(324)와 함께 일체로서 회전하되 가요성이 있는 감지 접촉부(325), 및 감지 접촉부(325)의 회전을 방해하며 베이스부(327)에 고정되어 있는 접촉돌기(3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a는 제2스크린(150)이 하강하는 도중 장애물이 장애물 접촉부(310)에 아직 접촉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감지 접촉부(326)와 접촉돌기(326)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도 15b는 제2스크린(150)이 하강하는 도중 장애물이 장애물 접촉부(310)에 접촉되어 장애물 접촉부(310)가 어느 정도 제2스크린(150) 쪽으로 이동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감지 접촉부(326)와 접촉돌기(326)는 서로 접촉되어 있다. 감지 접촉부(326)와 접촉돌기(326)의 초기 상대위치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감지 접촉부(326)와 접촉돌기(326)가 서로 접촉되기 시작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5c는 제2스크린(150)이 하강하는 도중 장애물이 장애물 접촉부(310)에 접촉되어 장애물 접촉부(310)가 제2스크린(150) 쪽으로 최대한 이동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감지 접촉부(326)와 접촉돌기(326)는 서로 접촉되어 있다. 장애물 접촉부(310)가 최대한 이동한 경우에도 감지 접촉부(326)와 접촉돌기(326)의 접촉은 해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c를 이용하여 설명한 일련의 과정에 있어서, 감지 접촉부(326)와 접촉돌기(326)가 접촉되면 장애물이 존재한다는 신호가 발생되어야 하며, 이 신호에 따라 구동부재를 제어하여 제2스크린(150)의 하강을 멈출 수 있다. 이러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하는데 이중 두 가지 방법의 예를 도 16 내지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접촉부가 피에조일렉트릭 소자를 포함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6a에 나타낸 감지 접촉부(325)는 피에조일렉트릭 소자(501)와 기저부(502)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다. 피에조일렉트릭 소자(501)는, 압력이 가해져서 형상의 변형이 일어나면 전위차를 발생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잘 알려진 특성을 갖는 소자이다. 도 16b 및 도 16c에 도시한 것과 같이 피에조일렉트릭 소자(501)의 두 지점에 전극(+, -)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6b 및 도 16c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감지 접촉부(325)의 형상이 변형됨으로써 피에조일렉트릭 소자(501)의 형상이 변형되면, 두 전극(+, -) 사이에는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고, 제어부(400)가 이 전위차를 감지하여 장애물 접촉부(310)에 장애물이 접촉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0)는 구동부재(200b)가 구동을 멈추거나 반대로 작동하도록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제어부(400)는 구동부재(200b)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기저부(502)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접촉부가 전도체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17을 참조하면, 감지 접촉부(325)가 전도체이고, 접촉돌기(326)도 전도체일 수 있다. 감지 접촉부(325)와 접촉돌기(326)는, 감지 전류원(401)과 제어부(400)를 연결하는 스위치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장애물 접촉부(310)에 장애물이 접촉되면 감지 접촉부(325)가 접촉돌기(326)에 닿기 때문에, 제어부(400)에 감지 전류가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어부(400)가 이 전류를 감지하여 장애물 접촉부(310)에 장애물이 접촉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0)는 구동부재(200b)가 구동을 멈추거나 반대로 작동하도록 명령을 내릴 수 있다. 감지 전류원(401)은 전압원으로 대체될 수도 있으며, 도 17의 다양한 변형 회로가 존재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도 15a 내지 도 15c에 설명한 장애물 감지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장애물 감지부(310)는 가요성의 로프(311)와 탄성 체결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요성의 로프(311)는 탄성 체결부(312)에 의하여 링크부재(3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탄성 체결부(312)는 인장 스프링과 같은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로프(311)의 장력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여기서 가요성의 로프(311)는 단단한 봉 또는 파이프 형태의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도 15a 내지 도 15c에 설명한 장애물 감지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a 및 도 19b에서는 도 15에서의 접촉돌기(326)의 역할을 자유회동결합부(323)가 대신하게 된다. 그리고, 감지 접촉부(325)가 자유회동결합부(323) 쪽으로 뻗어 있다. 감지 접촉부(325)는 고정회동결합부(324)와 고정결합되어, 고정회동결합부(324)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장애물 접촉부(310)에 장애물이 접촉되면, 자유회동결합부(323)가 감지 접촉부(325) 쪽으로 이동하다가 감지 접촉부(325)와 접촉될 수 있다. 이때, 도 16 또는 도 17에 설명한 방식 등을 이용하여 장애물 접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제6실시예에서는 구동부재가 수평프레임(130)에 단독으로 설치된 예를 나타내었으나, 구동부재가 도 1, 도 8, 및 도 10과 같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동차'라 함은 비단 전기로 운행되는 차량 뿐만이 아니라 화석연료를 이용한 내연기관등 다양한 운송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제1포스트
111,112 : 가이드레일 120 : 제2포스트
130 : 수평프레임 140 : 제1스크린
141 : 제1롤러 142 : 제1스크린 연결로프
145 : 제1블록 150 : 제2스크린 151 : 제2롤러 152 : 제2스크린 연결로프 155 : 제2블록 160 : 제1활차(제2활차)
161 : 소활차 162 : 대활차
163 : 중활차 164 : 균형활차
171 : 제1구동로프 173 : 제2구동로프
175 : 구동로프 177 : 구동로프
180 : 균형추 181 : 균형추 연결로프
190 : 체결부재 200, 200a, 200b, 300 : 구동부재
201 : 모터 205 : 회전풀리
210 : 제1구동부재 220 : 제2구동부재
230 : 이동블록 240 : 가이드레일
261 : 매개활차 300 : 리니어 모터
310 : 장애물 감지부, 장애물 접촉부 311 : 가요성 로프
312 : 탄성 체결부 320 : 장애물 감지부, 센서부
321 : 링크부재 322 : 가이드 슬롯
323 : 자유회동결합부 324 : 고정회동결합부
325 : 감지 접촉부 326 : 접촉돌기
327 : 베이스부 400 : 제어부
401 : 감지 전류원 501 : 피에조일렉트릭 소자
502 : 기저부 700: 플랫폼

Claims (11)

  1. 플랫폼에 상호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포스트 및 제2포스트;
    상기 제1포스트와 상기 제2포스트를 따라 승하강하는 한 쌍의 스크린;
    상기 한 쌍의 스크린을 승하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스크린 중 가장 아래쪽 스크린의 아래쪽에 배치된 장애물 감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가장 아래쪽 스크린이 하강하는 도중 상기 장애물 감지부에 장애물이 접촉되면 상기 한 쌍의 스크린의 하강을 중단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재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스크린은, 제1스크린; 및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제1스크린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승하면서 상기 제1스크린과 포개지는 제2스크린;을 포함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스트 상부에 배치되는 제1활차;
    상기 제2포스트 상부에 배치되는 제2활차;
    상기 제1활차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스크린 각각의 일단부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도록, 상기 제1활차와 상기 한 쌍의 스크린에 결합되어 있는 제1로프; 및
    상기 제2활차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스크린 각각의 타단부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도록, 상기 제2활차와 상기 한 쌍의 스크린에 결합되어 있는 제2로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재는 상기 제1활차와 상기 제2활차를 회전시켜 상기 한 쌍의 스크린을 승하강시키도록 되어 있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감지부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장애물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장애물 접촉부가 상기 가장 아래쪽 스크린 방향으로 접근할 때에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프 및 상기 제2로프는 상호 대응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제1로프는, 상기 제1스크린을 연결하는 제1스크린 연결로프와, 상기 제2스크린을 연결하는 제2스크린 연결로프를 포함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활차 및 상기 제2활차는 상호 대응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제1활차는, 상기 제1스크린 연결로프가 감겨지는 소활차와, 상기 소활차와 동일한 회전축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스크린 연결로프가 감겨지는 대활차를 포함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스트와 상기 제2포스트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며,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재는,
    상기 수평프레임에 장착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풀리; 및
    상기 회전풀리에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감겨지며 각각이 상기 제1활차 및 상기 제2활차와 연결되는 제1구동로프 및 제2구동로프; 를 포함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스트와 상기 제2포스트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며,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수평프레임에 장착되는 한 쌍의 모터;
    상기 한 쌍의 모터의 회전축에 각각 설치되는 회전풀리; 및
    상기 각 회전풀리에 감겨지며 각각이 상기 제1활차 및 상기 제2활차와 연결되는 제1구동로프 및 제2구동로프; 를 포함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스트 상부에 배치되는 제1활차, 상기 제2포스트 상부에 배치되는 제2활차, 및 상기 제1포스트와 상기 제2포스트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며,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앙 영역에 장착되는 리니어 모터; 및
    상기 제1활차와 상기 제2활차를 연결하며 상기 리니어 모터에 의해 상기 제1활차 또는 상기 제2활차 방향으로 움직이는 구동로프;를 포함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활차 및 상기 제2활차는 각각 상기 제1구동로프 및 상기 제2구동로프, 또는 상기 구동로프가 감겨지는 중활차를 더 포함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활차 및 상기 제2활차는 상기 구동부재의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균형추가 연결된 균형추 연결로프가 감겨지는 균형활차를 더 포함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11. 플랫폼에 상호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포스트 및 제2포스트;
    상기 제1포스트와 상기 제2포스트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며,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제1포스트와 상기 제2포스트를 따라 승하강하는 한 쌍의 스크린;
    상기 제1포스트 상부에 배치되는 제1활차;
    상기 제2포스트 상부에 배치되는 제2활차;
    상기 제1활차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스크린 각각의 일단부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도록, 상기 제1활차와 상기 한 쌍의 스크린에 결합되어 있는 제1로프;
    상기 제2활차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스크린 각각의 타단부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도록, 상기 제2활차와 상기 한 쌍의 스크린에 결합되어 있는 제2로프;
    상기 수평프레임 내부에서 상기 제1활차와 상기 제2활차를 상호 연결시키는 구동로프;
    상기 한 쌍의 스크린을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제1포스트 및 상기 제2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로프를 상기 제1활차 또는 상기 제2활차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스크린 중 가장 아래쪽 스크린의 아래에 배치된 장애물 감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가장 아래쪽 스크린이 하강하는 도중 상기 장애물 감지부에 장애물이 접촉되면 상기 한 쌍의 스크린의 하강을 중단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재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스크린은, 제1스크린; 및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제1스크린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승하면서 상기 제1스크린과 포개지는 제2스크린;을 포함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20120061132A 2012-06-07 2012-06-07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471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132A KR101471543B1 (ko) 2012-06-07 2012-06-07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132A KR101471543B1 (ko) 2012-06-07 2012-06-07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380A Division KR20140007980A (ko) 2014-01-02 2014-01-02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480A KR20130137480A (ko) 2013-12-17
KR101471543B1 true KR101471543B1 (ko) 2014-12-11

Family

ID=49983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132A KR101471543B1 (ko) 2012-06-07 2012-06-07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54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912A (ko) 2017-06-01 2018-12-11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EP3495224A1 (en) 2017-12-07 2019-06-12 Skd Hi-Tec Co., Ltd. Train platform safety device including passenger and obstacle detection function
KR20190120482A (ko) 2018-04-16 2019-10-24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WO2022019377A1 (ko) 2020-07-21 2022-01-27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승객 또는 보행자 안전 장치
KR20220011543A (ko)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EP4001045A1 (en) 2020-11-23 2022-05-25 Skd Hi-Tec Co., Ltd. Safety device for electric locomotive platform capable of maintaining interval between ropes
KR20220135931A (ko)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KR20220138474A (ko) 2021-03-30 2022-10-13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KR20240052249A (ko) 2022-10-14 2024-04-23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935B1 (ko) * 2017-04-25 2018-07-26 김운현 승강기용 수직 개폐형 도어 안전장치
KR102045773B1 (ko) * 2017-10-24 2019-11-18 주식회사 포스코 로프형 스크린 도어
KR102088510B1 (ko) 2018-05-24 2020-03-12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승강장의 승객 및 장애물 감지장치
KR102207504B1 (ko) * 2020-05-26 2021-01-27 (주)신승엔지니어링 개량형 안전펜스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973Y1 (ko) * 1991-11-30 1994-03-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를 이용한 자동문
JP4275984B2 (ja) * 2003-04-24 2009-06-1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の簡易可動柵
KR20090083785A (ko) * 2008-01-30 2009-08-04 곽병철 다단으로 승강절첩 및 확개되는 출입구 개폐용 문
KR20100004407U (ko) * 2008-10-21 2010-04-29 (주)디엔테크 횡단보도 차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973Y1 (ko) * 1991-11-30 1994-03-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를 이용한 자동문
JP4275984B2 (ja) * 2003-04-24 2009-06-1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の簡易可動柵
KR20090083785A (ko) * 2008-01-30 2009-08-04 곽병철 다단으로 승강절첩 및 확개되는 출입구 개폐용 문
KR20100004407U (ko) * 2008-10-21 2010-04-29 (주)디엔테크 횡단보도 차단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912A (ko) 2017-06-01 2018-12-11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EP3495224A1 (en) 2017-12-07 2019-06-12 Skd Hi-Tec Co., Ltd. Train platform safety device including passenger and obstacle detection function
KR20190120482A (ko) 2018-04-16 2019-10-24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WO2022019377A1 (ko) 2020-07-21 2022-01-27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승객 또는 보행자 안전 장치
KR20220011543A (ko)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220011544A (ko)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
EP4001045A1 (en) 2020-11-23 2022-05-25 Skd Hi-Tec Co., Ltd. Safety device for electric locomotive platform capable of maintaining interval between ropes
KR20220138474A (ko) 2021-03-30 2022-10-13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KR20220135931A (ko)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KR20240052249A (ko) 2022-10-14 2024-04-23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480A (ko) 2013-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543B1 (ko)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40007980A (ko)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JP5827347B2 (ja) 電動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CN104684834B (zh) 低顶部或低底坑电梯的补偿措施
WO2011024612A1 (ja) ゲート装置
KR101471544B1 (ko) 열차 플랫폼 스크린 안전장치의 스크린도어 개폐제어방법
KR101391453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US20160222716A1 (en) Multi-stage vertical open/close-type screen door operated by moving pulley
JP596247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263650B2 (ja) 電車プラットホーム安全装置
KR101406018B1 (ko) 승하강 방식의 안전장치
US11198594B2 (en) Elevator car apron
US11267679B2 (en) Elevator car apron
CN201907900U (zh) 具有动力轿厢的跨路电梯
KR101500875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30126561A (ko)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953817B1 (ko)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EP3599210A1 (en) Elevator car apron
KR101306648B1 (ko) 상해방지장치를 갖는 로프형 플랫폼 안전장치
JP6648247B2 (ja) 乗客及び障害物検知機能を含む電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KR101471545B1 (ko) 이종 로프체결방식의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JP6544947B2 (ja) ロープ式ホーム安全柵
JP7169418B2 (ja) ホーム柵
JP2019194048A (ja) ホームドア
JPH0978872A (ja) 駐車設備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