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474A -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474A
KR20220138474A KR1020210040906A KR20210040906A KR20220138474A KR 20220138474 A KR20220138474 A KR 20220138474A KR 1020210040906 A KR1020210040906 A KR 1020210040906A KR 20210040906 A KR20210040906 A KR 20210040906A KR 20220138474 A KR20220138474 A KR 20220138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pedestrian
crosswalk
mo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210040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8474A/ko
Publication of KR20220138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6Lane control by movable lane separating barriers, e.g. shiftable barriers, retractable kerbs ; Apparatus or barri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heeled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 E01F13/04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the obstructing members moving up in a translatory motion, e.g. telescopic barrie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Abstract

본 발명은 횡단보도의 양측에 설치하는 한 쌍의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측 또는 일측에 승하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이동유닛(120); 서로 바라보는 양측의 상기 이동유닛(120)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차단부재(130); 다수개의 상기 차단부재(130)를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부재(140);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을 상승시키면서 상하간격을 축소시켜 보행자가 간섭없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반대로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을 하강시키면서 상하간격을 확장시켜 보행자를 차단하기 위한 구동유닛(150);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동유닛(120)의 승하강속도 또는 위치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상기 차단부재(130)와 보행자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유무 및 부품들의 손상 및 고장상태를 사전에 진단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진단유닛(160); 상기 본체(110)의 외측에 도로를 따라서 설치하는 안전펜스(200);를 포함하는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단부재의 상하 간격을 축소 또는 확장시켜 보행자를 통과 또는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정전 또는 구동유닛의 고장이 발생할 경우 차단부재를 강제로 상승시켜 보행자가 간섭없이 통과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승하강하는 차단부재의 이동속도 또는 위치를 측정하여 사전에 설정한 기준값과 비교하여 변화량이 발생할 경우 보행자 또는 장애물 등과 충돌유무를 확인함은 물론 부품들의 손상 및 고장상태를 사전에 진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안전펜스의 설치위치에 따라서 높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Pedestrian safety device for crosswalks equipped with safety fences}
본 발명은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자의 무단횡단 및 교통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는 승하강하는 로프 등과 같은 차단부재를 이용하여 보행자를 통과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차단부재가 승하강하면서 보행자 또는 장애물과 충돌할 경우 강한 충격 등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정전 등과 같은 긴급상황에서 차단부재가 상승하지 않고 정지상태를 유지하므로 보행자가 신속하게 이동 및 통과할 수 없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또한, 수없이 승하강하는 차단부재 및 부품들의 변형 및 마모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계적인 오작동 및 고장을 사전에 진단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를 갖게 되었다.
아울러 횡단보도를 기준으로 도로를 따라서 안전펜스를 설치하고 있으나, 이는 형태가 일률적이고 지면의 굴곡 및 높이에 따라서 적절한 대응이 어려워 시공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2008-534827호(2008.08.28.)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61583호(2011.09.0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43843호(2012.05.04.)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9813호(2014.01.23.)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3411호(2015.02.05.)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3410호(2015.02.05.)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7980호(2014.01.20.)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71543호(2014.12.1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20482호(2019.10.2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차단부재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차단부재와 가장 상부에 위치한 차단부재가 구동력을 전달받아 승하강하면서 중간의 나머지 차단부재의 상하간격을 확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는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정전 또는 구동유닛의 고장이 발생할 경우 동력의 연결상태를 해지하여 다수개의 차단부재를 강제로 상승시킬 수 있는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하강하는 차단부재의 이동속도 또는 위치를 측정하여 사전에 설정한 기준값과 비교하여 변화량이 발생할 경우 보행자 또는 장애물 등과 충돌유무를 확인하고 부품들의 손상 및 고장상태를 사전에 진단할 수 있는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안전펜스의 설치위치에 따라서 높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는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100)는,
횡단보도의 양측에 설치하는 한 쌍의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측 또는 일측에 승하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이동유닛(120); 서로 바라보는 양측의 상기 이동유닛(120)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차단부재(130); 다수개의 상기 차단부재(130)를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부재(140);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을 상승시키면서 상하간격을 축소시켜 보행자가 간섭없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반대로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을 하강시키면서 상하간격을 확장시켜 보행자를 차단하기 위한 구동유닛(150);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동유닛(120)의 승하강속도 또는 위치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상기 차단부재(130)와 보행자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유무 및 부품들의 손상 및 고장상태를 사전에 진단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진단유닛(160); 상기 본체(110)의 외측에 도로를 따라서 설치하는 안전펜스(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의 내측 또는 일측에 보행자가 통과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하는 보행자 감지센서(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이동유닛(120)은 상기 본체(110)의 내측 또는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레일(111); 상기 레일(111)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롤러(121); 상기 롤러(121)의 일측에 형성하는 이동몸체(1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동몸체(122)와 차단부재(130)의 사이에 형성하는 탄성체(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150)은 상기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는 모터(151); 상기 모터(151)의 구동축에 형성하는 제1회전체(152); 상기 제1회전체(152)의 외측을 순환하여 일단이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1연결구(152a); 상기 제1연결구(152a)의 타단에 형성하는 중량체(152b); 상기 모터(151)의 구동축과 상기 본체(110)의 하부 일측에 형성하는 한 쌍의 제2회전체(153); 상기 제2회전체(153)의 외측을 순환하여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2연결구(153a); 상기 모터(151)와 제1회전체(152) 및 제2회전체(153)의 사이에 형성하는 클러치(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회전체(152)의 지름은 상기 제2회전체(153)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진단유닛(160)은 상기 본체(110)의 내측 상부에 형성하는 진단센서;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동유닛(120)의 일측에 형성하는 측정판(1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안전펜스(200)는 횡단보도를 기준으로 도로를 따라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설치하는 다수개의 펜스몸체(210); 상기 펜스몸체(21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설치하는 다수개의 회전체(220); 어느 하나의 펜스몸체(210) 일측에 시작하여 상기 다수개의 회전체(220)를 지그재그로 순환하여 어느 하나 펜스몸체(210) 타측에 결합하는 차단로프(230); 상기 차단로프(230)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탄성체(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펜스몸체(210)의 하부 지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펜스몸체(2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삽입하는 높이조절부(211); 상기 높이조절부(211)의 상부와 상기 펜스몸체(210)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통공(212); 상기 통공(212)을 관통하여 고정하는 고정구(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단부재의 상하 간격을 축소 또는 확장시켜 보행자를 통과 또는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정전 또는 구동유닛의 고장이 발생할 경우 차단부재를 강제로 상승시켜 보행자가 간섭없이 통과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승하강하는 차단부재의 이동속도 또는 위치를 측정하여 사전에 설정한 기준값과 비교하여 변화량이 발생할 경우 보행자 또는 장애물 등과 충돌유무를 확인함은 물론 부품들의 손상 및 고장상태를 사전에 진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안전펜스의 설치위치에 따라서 높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에 대한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에 대한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에 대한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서 구동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차단부재를 상승시켜 상하 간격을 축소시킨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안전펜스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에 대한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에 대한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에 대한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서 구동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차단부재를 상승시켜 상하 간격을 축소시킨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서 안전펜스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횡단보도의 양측에 설치하는 한 쌍의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측 또는 일측에 승하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이동유닛(120); 서로 바라보는 양측의 상기 이동유닛(120)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차단부재(130); 다수개의 상기 차단부재(130)를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부재(140);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을 상승시키면서 상하간격을 축소시켜 보행자가 간섭없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반대로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을 하강시키면서 상하간격을 확장시켜 보행자를 차단하기 위한 구동유닛(150);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동유닛(120)의 승하강속도 또는 위치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상기 차단부재(130)와 보행자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유무 및 부품들의 손상 및 고장상태를 사전에 진단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진단유닛(160); 상기 본체(110)의 외측에 도로를 따라서 설치하는 안전펜스(20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본체(110)는 횡단보도의 양측에 지정한 위치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레일(111);을 포함하여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이 원활하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본체(110)의 내측 또는 일측에 보행자가 통과하는 방향을 바라보도록 형성하는 적외선 센서 또는 영역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보행자 감지센서(112);를 포함하여 보행자 또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상기 차단부재(13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110)의 내측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이동유닛(120)에서 절반은 상기 레일(111)의 후방을 따라서 승하강하고, 나머지 절반의 이동유닛(120)은 상기 레일(112)의 전방을 따라서 승하강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일(111)의 후방을 따라서 승하강하는 다수개의 이동유닛(120)과 상기 레일(112)의 전방을 따라서 이동하는 다수개의 이동유닛(120)이 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하여 상기 차단부재(130)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하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유닛(120)은 상기 레일(111)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롤러(121); 상기 롤러(121)의 일측에 형성하는 이동몸체(1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동몸체(122)와 차단부재(130)의 사이에 형성하는 탄성체(131);를 포함하여 상기 차단부재(130)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131)는 스프링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차단부재(130)는 보행자를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경질의 재질은 물론 로프 등의 외경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질을 피복하여 부식을 방지함은 물론 보행자와 부딪칠 경우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연질의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140)는 다수개의 상기 차단부재(130)를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다수개의 상기 차단부재(130)가 상승할 경우 상하간격을 축소할 수 있도록 휘어지고 반대로 다수개의 상기 차단부재(130)가 하강할 경우 펼쳐지면서 상하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40)는 상기 차단부재(130)의 상하간격에 따라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 등과 같은 연질재질로 형성한다.
한편, 상기 구동유닛(150)은 다수개의 이동유닛(120)을 순차적으로 상승시키면서 상하간격을 축소시켜 보행자가 간섭없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반대로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을 하강시키면서 상하간격을 확장시켜 보행자를 차단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구동유닛(150)은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과 연결 및 연동하여 상기 차단부재(130)를 승하강시켜 보행자를 통과 또는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수동버튼을 통해서 보행자가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구동유닛(15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는 모터(151); 상기 모터(151)의 구동축에 형성하는 제1회전체(152); 상기 제1회전체(152)의 외측을 순환하여 일단이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1연결구(152a); 상기 제1연결구(152a)의 타단에 형성하는 중량체(152b); 상기 모터(151)의 구동축과 상기 본체(110)의 하부 일측에 형성하는 한 쌍의 제2회전체(153); 상기 제2회전체(153)의 외측을 순환하여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2연결구(153a); 상기 모터(151)와 제1회전체(152) 및 제2회전체(153)의 사이에 형성하는 클러치(154);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모터(151)는 서버모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를 적용하거나 또는 감속기를 포함하여 원활한 회전속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체(152) 및 제2회전체(153)는 다양한 규격을 갖는 스프로킷 휠 또는 풀리 등을 적용하고, 상기 제1연결구(152a) 및 제2연결구(153a)는 체인 또는 벨트 등으로 적용하여 상기 모터(15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동유닛(120)을 순차적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체(152)의 지름은 상기 제2회전체(153)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모터(151)의 작동으로 상기 제1회전체(152) 및 제2회전체(153)를 동시에 정회전시킬 경우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의 상승속도가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의 상승속도 보다 더 빠르므로 나머지 이동유닛(120)을 순차적으로 들어올려 보행자가 간섭없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반대로 보행자를 차단할 경우 상기 제1회전체(152) 및 제2회전체(153)를 동시에 역회전시켜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의 하강속도가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의 하강속도 보다 더 빠르므로 나머지 이동유닛(120)가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여 보행자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하간격이 확장된다.
이때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이 지정위치에 정지하면 하부에 위치한 나머지 이동유닛(120)은 상기 연결부재(140)가 지지한 상태로 더는 하강하지 않고 서로 상하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클러치(154)는 평소에 상기 모터(151)의 구동력을 상기 제1회전체(152) 및 제2회전체(153)에 전달하여 상기 이동유닛(120) 및 차단부재(130)를 승하강시키고, 정전 또는 모터(151)의 고장 등과 같은 긴급상황에서 상기 클러치(154)의 결합력을 해지하여 상기 제1회전체(152) 및 제2회전체(153)가 공회전 상태에서 상기 중량체(152b)가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면서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및 차단부재(130)를 상승시켜 보행자가 신속하게 이동 및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단유닛(160)은 승하강하는 상기 이동유닛(120)의 승하강 속도 또는 위치를 측정하여 기존에 중앙처리부(174)에 저장된 보행자 또는 장애물과 충돌하지 않은 상태로 승하강하는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변화량이 발생하면 보행자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했음을 진단하여 상기 이동유닛(120) 및 차단부재(130)를 정지 또는 상승시켜 보행자 또는 장애물과 충돌할 경우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단유닛(160)은 반복적으로 승하강하는 상기 이동유닛(120)의 변형 및 마모가 발생하고 이물질이 상기 레일(111)에 묻을 경우 기존에 중앙처리부(174)에 저장된 원활하게 승하강하는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이동유닛(120)의 승하강 속도 또는 위치가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해지므로 이를 진단하여 기계적인 오작동 및 고장이 발생하기 전에 사전에 대비할 수 있는 자가진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진단유닛(160)은 상기 본체(110)의 내측 상부에 형성하는 진단센서(161);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동유닛(120)의 일측에 형성하는 측정판(16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진단센서(161)는 레이저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판(162)은 상기 진단센서에서 발생하는 빛을 반사시켜 상기 이동유닛(120)의 승하강 속도 및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기준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안전펜스(200)는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보행하지 않고 도로로 무단횡단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안전펜스(200)는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단보도를 기준으로 도로를 따라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설치하는 다수개의 펜스몸체(210); 상기 펜스몸체(21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설치하는 다수개의 회전체(220); 어느 하나의 펜스몸체(210) 일측에 시작하여 상기 다수개의 회전체(220)를 지그재그로 순환하여 어느 하나 펜스몸체(210) 타측에 결합하는 차단로프(230); 상기 차단로프(230)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탄성체(240);를 포함한다.
특히 다수개의 상기 펜스몸체(2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상기 펜스몸체(210)의 수직도를 유지하고 상기 차단로프(230)의 장력으로 인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지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220)는 풀리를 사용하여 상기 차단로프(230)의 장력을 조절 및 유지할 경우 공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로프(230)는 경질의 재질은 물론 로프 등의 외경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질을 피복하여 부식을 방지함은 물론 보행자와 부딪칠 경우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연질의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탄성체(240)는 인장스프링을 사용하여 상기 차단로프(230)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펜스몸체(210)의 하부 지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펜스몸체(2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삽입하는 높이조절부(211); 상기 높이조절부(211)의 상부와 상기 펜스몸체(210)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통공(212); 상기 통공(212)을 관통하여 고정하는 고정구(2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로 지면의 기울기 또는 굴곡에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부(211)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펜스몸체(210)의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고정구(213)를 이용하여 지정위치 및 높이에 상기 펜스몸체(21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구(213)는 볼트 및 너트는 물론 핀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횡단보도는 물론 지하철 또는 전동차 승강장에 적용하여 승객의 차단 또는 통과시켜 안전을 보장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본 발명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110: 본체 111: 레일
112: 보행자 감지센서
120: 이동유닛 121: 롤러
122: 이동몸체
130: 차단부재 131: 탄성체
140: 연결부재
150: 구동유닛 151: 모터
152: 제1회전체 152a: 제1연결구
152b: 중량체 153: 제2회전체
153a: 제2연결구 154: 클러치
160: 진단유닛 161: 진단센서
162: 측정판
200: 안전펜스 210: 펜스몸체
211: 높이조절부 212: 통공
213: 고정구 220: 회전체
230: 차단로프 240: 탄성체
250: 지지부

Claims (7)

  1. 횡단보도의 양측에 설치하는 한 쌍의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측 또는 일측에 승하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이동유닛(120); 서로 바라보는 양측의 상기 이동유닛(120)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차단부재(130); 다수개의 상기 차단부재(130)를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부재(140);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을 상승시키면서 상하간격을 축소시켜 보행자가 간섭없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반대로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을 하강시키면서 상하간격을 확장시켜 보행자를 차단하기 위한 구동유닛(150);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동유닛(120)의 승하강속도 또는 위치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상기 차단부재(130)와 보행자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유무 및 부품들의 손상 및 고장상태를 사전에 진단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진단유닛(160); 상기 본체(110)의 외측에 도로를 따라서 설치하는 안전펜스(200);를 포함하되, 상기 안전펜스(200)는 횡단보도를 기준으로 도로를 따라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설치하는 다수개의 펜스몸체(210); 상기 펜스몸체(21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설치하는 다수개의 회전체(220); 어느 하나의 펜스몸체(210) 일측에 시작하여 상기 다수개의 회전체(220)를 지그재그로 순환하여 어느 하나 펜스몸체(210) 타측에 결합하는 차단로프(230); 상기 차단로프(230)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탄성체(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내측 또는 일측에 보행자가 통과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하는 보행자 감지센서(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120)은 상기 본체(110)의 내측 또는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레일(111); 상기 레일(111)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롤러(121); 상기 롤러(121)의 일측에 형성하는 이동몸체(122); 상기 이동몸체(122)와 차단부재(130)의 사이에 형성하는 탄성체(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150)은 상기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는 모터(151); 상기 모터(151)의 구동축에 형성하는 제1회전체(152); 상기 제1회전체(152)의 외측을 순환하여 일단이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1연결구(152a); 상기 제1연결구(152a)의 타단에 형성하는 중량체(152b); 상기 모터(151)의 구동축과 상기 본체(110)의 하부 일측에 형성하는 한 쌍의 제2회전체(153); 상기 제2회전체(153)의 외측을 순환하여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2연결구(153a); 상기 모터(151)와 제1회전체(152) 및 제2회전체(153)의 사이에 형성하는 클러치(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5.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152)의 지름은 상기 제2회전체(153)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단유닛(160)은 상기 본체(110)의 내측 상부에 형성하는 진단센서(161);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동유닛(120)의 일측에 형성하는 측정판(1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펜스몸체(210)의 하부 지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펜스몸체(2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삽입하는 높이조절부(211); 상기 높이조절부(211)의 상부와 상기 펜스몸체(210)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통공(212); 상기 통공(212)을 관통하여 고정하는 고정구(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KR1020210040906A 2021-03-30 2021-03-30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KR20220138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906A KR20220138474A (ko) 2021-03-30 2021-03-30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906A KR20220138474A (ko) 2021-03-30 2021-03-30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474A true KR20220138474A (ko) 2022-10-13

Family

ID=8359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906A KR20220138474A (ko) 2021-03-30 2021-03-30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8474A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4827A (ja) 2005-04-04 2008-08-28 ドナルド スチュワート ネイピア 柵システム
KR101061583B1 (ko) 2011-03-23 2011-09-02 (주) 미도랜드 횡단보도용 지능형 안전차단장치
KR101143843B1 (ko) 2011-11-30 2012-05-04 (주) 금동강건 도로용 가드케이블
KR20140007980A (ko) 2014-01-02 2014-01-20 한국교통연구원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40009813A (ko) 2012-07-13 2014-01-23 한국교통연구원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471543B1 (ko) 2012-06-07 2014-12-11 한국교통연구원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50013411A (ko) 2014-12-23 2015-02-05 한국교통연구원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20150013410A (ko) 2014-12-23 2015-02-05 한국교통연구원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20190120482A (ko) 2018-04-16 2019-10-24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4827A (ja) 2005-04-04 2008-08-28 ドナルド スチュワート ネイピア 柵システム
KR101061583B1 (ko) 2011-03-23 2011-09-02 (주) 미도랜드 횡단보도용 지능형 안전차단장치
KR101143843B1 (ko) 2011-11-30 2012-05-04 (주) 금동강건 도로용 가드케이블
KR101471543B1 (ko) 2012-06-07 2014-12-11 한국교통연구원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40009813A (ko) 2012-07-13 2014-01-23 한국교통연구원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40007980A (ko) 2014-01-02 2014-01-20 한국교통연구원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50013411A (ko) 2014-12-23 2015-02-05 한국교통연구원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20150013410A (ko) 2014-12-23 2015-02-05 한국교통연구원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20190120482A (ko) 2018-04-16 2019-10-24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7347B2 (ja) 電動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KR101471543B1 (ko)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JP6290427B2 (ja) 動滑車によって駆動される多段垂直開閉型スクリーンドア
KR200400235Y1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20140007980A (ko)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547650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060085852A (ko) 보행자 안전장치
KR101345027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220138474A (ko)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KR20110053659A (ko) 속도반응식 과속방지턱
KR101030102B1 (ko) 작동의 정확성을 높인 로터리 주차 장치
KR101953817B1 (ko)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220135931A (ko)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CN115818386A (zh) 电梯井道主动防掉落系统及工作方法
CN206636276U (zh) 一种翻转机
TWI681890B (zh) 包括乘客及障礙物檢測功能的電車平臺安全裝置
KR100838228B1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JP6544947B2 (ja) ロープ式ホーム安全柵
US20230193692A1 (en) Safety apparatus for passengers or pedestrians
KR20220011543A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471545B1 (ko) 이종 로프체결방식의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CN215635873U (zh) 一种应答器旋转升降装置
JP2913080B2 (ja) 保守用昇降体付き出し入れ装置
GB2610340A (en) Safety apparatus for passengers or pedestrians
CN109057435B (zh) 一种升降机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