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102B1 - 작동의 정확성을 높인 로터리 주차 장치 - Google Patents

작동의 정확성을 높인 로터리 주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102B1
KR101030102B1 KR1020080112394A KR20080112394A KR101030102B1 KR 101030102 B1 KR101030102 B1 KR 101030102B1 KR 1020080112394 A KR1020080112394 A KR 1020080112394A KR 20080112394 A KR20080112394 A KR 20080112394A KR 101030102 B1 KR101030102 B1 KR 101030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
pin
locking
carrier
proximit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3334A (ko
Inventor
이상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Priority to KR1020080112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102B1/ko
Publication of KR20100053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의 정확성을 높인 로터리 주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캐리어를, 골조 구조의 메인프레임을 따라 이동 할 수 있도록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캐리어를 상승시키고, 수평 방향으로 180°회전한 뒤, 다시 하강하는 턴테이블를 구성하며, 상기 캐리어의 상부 양단에는 내측으로 파인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에 끼움, 해제되는 걸림핀이 구성되는 통상의 로터리 주차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핀에는 로드가 연결되고, 상기 로드 끝단에는 전자석판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걸림핀을 걸림, 해제하는 걸림해제부를 구성하되, 상기 걸림해제부는, 모터에 의해 걸림핀 쪽으로 이동, 복귀하는 내부케이스가 구성되고, 상기 내부케이스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비자성체의 핀을 가지는 전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내부케이스 내측에 돌출된 핀에는 감지판을 일체로 설치하며, 상기 전자석과 감지판 사이의 핀에는 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감지판 타측에는, 상기 스프링보다 장력이 작은 보조 스프링을 설치하며, 상기 내부케이스에는, 스프링을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압축할 수 있는 압축 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턴테이블 상승 및 걸림핀의 해제 후에, 턴테이블이 회전하면서, 회전을 완료하기 전에, 상기 전자석을 오프하고, 압축 수단을 작동함으로써, 걸림핀의 걸림홈에 대한 걸림을 용이하고, 이어지는 캐리어의 하강을 순차적으로 진행함에 따라, 구조를 간단히 하여, 작동의 불량을 최소화하고, 높은 내구성을 가지며, 연속적인 작동으로 작동의 정확성이 높은 것이다.
로터리 주차 장치, 트러스트 베어링, 제어, 근접 센서, 클러치, 작동

Description

작동의 정확성을 높인 로터리 주차 장치 { the rotary parking apparatus with greater accuracy of operation }
본 발명은 작동의 정확성을 높인 로터리 주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캐리어를, 골조 구조의 메인프레임을 따라 이동 할 수 있도록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캐리어를 상승시키고, 수평 방향으로 180°회전한 뒤, 다시 하강하는 턴테이블를 구성하며, 상기 캐리어의 상부 양단에는 내측으로 파인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에 끼움, 해제되는 걸림핀이 구성되는 통상의 로터리 주차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핀에는 로드가 연결되고, 상기 로드 끝단에는 전자석판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걸림핀을 걸림, 해제하는 걸림해제부를 구성하되, 상기 걸림해제부는, 모터에 의해 걸림핀 쪽으로 이동, 복귀하는 내부케이스가 구성되고, 상기 내부케이스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비자성체의 핀을 가지는 전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내부케이스 내측에 돌출된 핀에는 감지판을 일체로 설치하며, 상기 전자석과 감지판 사이의 핀에는 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감지판 타측에는, 상기 스프링보다 장력이 작은 보조 스프링을 설치하며, 상기 내부케이스에는, 스프링을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압축 할 수 있는 압축 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턴테이블 상승 및 걸림핀의 해제 후에, 턴테이블이 회전하면서, 회전을 완료하기 전에, 상기 전자석을 오프하고, 압축 수단을 작동함으로써, 걸림핀의 걸림홈에 대한 걸림을 용이하고, 이어지는 캐리어의 하강을 순차적으로 진행함에 따라, 구조를 간단히 하여, 작동의 불량을 최소화하고, 높은 내구성을 가지며, 연속적인 작동으로 작동의 정확성이 높은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축건물을 지을 때에는, 건축 규정에 따라 일정한 주차 공간을 마련해야하므로, 집을 새로 지을 때에는 적절한 공간을 배정하여 주차 공간을 마련하는데, 대개 지하 공간이나 1층 전체, 또는 건물의 측면 공간을 사용함에 따라, 실제 지어지는 건물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므로, 별도의 공간에 주차 설비를 구성하기도 한다.
또한, 별도의 주차 설비로는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그 중에서도 로터리 주차 장치는 프레임으로 구조물을 구성하고, 이에 자동차를 개별적으로 주차하는 캐리어를 복수개 구성하여, 이 캐리어를 타원 형태로 순환시키면서 여러 대의 차량을 주차하도록 설계한 주차 장치로, 일정 평수만 있으면 높이를 계속해서 올려 주차할 수 있는 차량수를 늘릴 수 있어, 공간 절약이 되고 동작도 간단하여, 많이 설치되고 있다.
그래서 일반적인 로터리 주차 장치는, 대부분 캐리어에 주차할 시에 차를 진입 방향으로 진입하여 캐리어에 바로 주차를 하고, 캐리어에 차를 주차한 후에는, 후에 원활한 출차를 위해 캐리어를 지면의 턴테이블을 통해서, 캐리어를 수평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도록 한다.
또,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로터리 주자 장치에, 평상시에 상기 캐리어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장치 고정을 위한 걸림 구조를 가지고, 캐리어의 회전시에는 상기 걸림 구조가 해제되는 로터리 주차 장치가 있다.
상기 걸림 구조 및 그 해제 장치의 일례로, 국내특허등록 제0664968호에 개시된 ‘턴테이블을 가진 로터리 주차 장치’에 개시된 내용을 살펴보면, 상기 발명의 로터리 주차장치의 캐리어 회전은, 캐리어 상부에 지지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캐리어와 지지프레임은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되,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ㄴ’자 단면의 걸림편이 서로 마주보게 구성하여, 상기 캐리어가, 상기 걸림편에 걸치게 조립되고, 상기와 같은 캐리어는 턴테이블이 상승으로 걸림턱에 간섭받지 않을 만큼 캐리어를 들어올리고, 턴테이블을 회전하는 것으로, 국내등록 국내 상부에 캐리어가 로터리 주차 장치 전체를 따라 이동·순환하기 때문에, 상기 캐리어는, 회전할 때 빼고는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걸림핀을 끼움, 또는, 해제하면서 캐리어의 자유회전을 제한하고 있으며, 상기, 로터리 주차 장치의 순차적인 제어 및 작동을 위해서, 상기 캐리어의 상승 및 걸림핀의 해제는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인지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인지된 신호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와 연결된 집전기에 의해 신호를 받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로터리 주차 장치의 구조는, 캐리어가 회전하지 않을 때에, 외력에 의해 캐리어의 회전을 방지하거나, 위치를 고정해주는 별도의 장치가 없으므로, 캐리어가 전체적으로 이동할 때, 주차나 출차를 위해 대기할 때, 사고 위험율이 높아서,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기존의 걸림 구조와 해제 구조가 있는 로터리 주차 장치는, 리미트 스위치와, 집전기에 의해 캐리어의 상승과, 걸림핀의 해제가 리미트 스위치의 인지 및 집전기에 의한 신호 전달에 이루어지나, 상기 집전기의 구조가 복잡하고, 신호 전달은 전도체의 접점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비나 눈이 내리는 등의 외부 날씨에 따라, 쇼트나 오작동이 발생할 우려가 컸고, 집전기의 전도체의 부식에 이러한 오작동에 따라 로터리 주차 장치의 안전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좀 더 자세히 말하면, 상기와 같은 로터리 주차 장치는, 캐리어의 상승 및 걸림핀의 해제를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인지하기 때문에, 리미트 스위치가 파손되거나, 오작동이 발송될 경우에는, 캐리어의 상승이 멈추지 않게 되므로, 캐리어 또는, 지지프레임의 추가적이 손상이 또는, 걸림핀의 해제 인식이 되지 않으므로, 캐리어의 회전이 순차적으로 발생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캐리어를, 골조 구조의 메인프레임을 따라 이동 할 수 있도록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캐리어를 상승시키고, 수평 방향으로 180°회전한 뒤, 다시 하강하는 턴테이블를 구성하며, 상기 캐리어의 상부 양단에는 내측으로 파인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에 끼움, 해제되는 걸림핀이 구성되는 통상의 로터리 주차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핀에는 로드가 연결되고, 상기 로드 끝단에는 전자석판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걸림핀을 걸림, 해제하는 걸림해제부를 구성하되, 상기 걸림해제부는, 모터에 의해 걸림핀 쪽으로 이동, 복귀하는 내부케이스가 구성되고, 상기 내부케이스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비자성체의 핀을 가지는 전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내부케이스 내측에 돌출된 핀에는 감지판을 일체로 설치하며, 상기 전자석과 감지판 사이의 핀에는 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감지판 타측에는, 상기 스프링보다 장력이 작은 보조 스프링을 설치하며, 상기 내부케이스에는, 스프링을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압축할 수 있는 압축 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턴테이블 상승 및 걸림핀의 해제 후에, 턴테이블이 회전하면서, 회전을 완료하기 전에, 상기 전자석을 오프하고, 압축 수단을 작동함으로써, 걸림핀의 걸림홈에 대한 걸림을 용이하고, 이어지는 캐리어의 하강을 순차적으로 진행함에 따라, 구조를 간단히 하여, 작동의 불량을 최소화하고, 높은 내구성을 가지며, 연속적인 작동으로 작동의 정확성이 높이도록 한다.
또, 상기 내부케이스의 위치, 감지판의 위치, 전자석판과 전자석의 부착은 다수개의 근접센서에 의해 인지되어, 각 작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해제부의 솔레노이드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보조 모터로 대체하여, 걸림해제부의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의 상승은 설정된 정확한 높이로만 상승하고, 상기 지지부와 캐리어 사이에는 베어링, 트러스트 베어링, 금속 부싱, 금속 부재,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한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리어와 지지부의 직접적인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내부케이스에 회전축을 나사 결합하고, 상기 모터로 회전축을 회전하여 상기 내부케이스를 이동, 복귀하되, 상기 모터와 회전축은, 풀리와 브이 벨트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모터의 부하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캐리어를, 골조 구조의 메인프레임을 따라 이동 할 수 있도록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캐리어를 상승시키고, 수평 방향으로 180°회전한 뒤, 다시 하강하는 턴테이블를 구성하며, 상기 캐리어의 상부 양단에는 내측으로 파인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에 끼움, 해제되는 걸림핀이 구성되는 통상의 로터리 주차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핀에는 로드가 연결되고, 상기 로드 끝단에는 전자석판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걸림핀을 걸림, 해제하는 걸림해제부를 구성하되, 상기 걸림해제부는, 모터에 의해 걸림핀 쪽으로 이동, 복귀하는 내부케이스가 구성되고, 상기 내부케이스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비자성체의 핀을 가지는 전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내부케이스 내측에 돌출된 핀에는 감지판을 일체로 설치하며, 상기 전자석과 감지판 사이의 핀에는 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감지판 타측에는, 상기 스프링보다 장력이 작은 보조 스프링을 설치하며, 상기 내부케이스에는, 스프링을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압축할 수 있는 압축 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턴테이블 상승 및 걸림핀의 해제 후에, 턴테이블이 회전하면서, 회전을 완료하기 전에, 상기 전자석을 오프하고, 압축 수단을 작동함으로써, 걸림핀의 걸림홈에 대한 걸림을 용이하고, 이어지는 캐리어의 하강을 순차적으로 진행함에 따라, 구조를 간단히 하여, 작동의 불량을 최소화하고, 높은 내구성을 가지며, 연속적인 작동으로 작동의 정확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 상기 내부케이스의 위치, 감지판의 위치, 전자석판과 전자석의 부착은 다수개의 근접센서에 의해 인지되어, 각 작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해제부의 솔레노이드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보조 모터로 대체하여, 걸림해제부의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의 상승은 설정된 정확한 높이로만 상승하고, 상기 지지부와 캐리어 사이에는 베어링, 트러스트 베어링, 금속 부싱, 금속 부재,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한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리어와 지지부의 직접적인 마찰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내부케이스에 회전축을 나사 결합하고, 상기 모터로 회전축을 회전하여 상기 내부케이스를 이동, 복귀하되, 상기 모터와 회전축는, 풀리와 브이 벨트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모터의 부하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작동의 정확성을 높인 로터리 주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캐리어를, 골조 구조의 메인프레임을 따라 이동 할 수 있도록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캐리어를 상승시키고, 수평 방향으로 180°회전한 뒤, 다시 하강하는 턴테이블를 구성하며, 상기 캐리어의 상부 양단에는 내측으로 파인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에 끼움, 해제되는 걸림핀이 구성되는 통상의 로터리 주차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핀에는 로드가 연결되고, 상기 로드 끝단에는 전자석판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걸림핀을 걸림, 해제하는 걸림해제부를 구성하되, 상기 걸림해제부는, 모터에 의해 걸림핀 쪽으로 이동, 복귀하는 내부케이스가 구성되고, 상기 내부케이스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비자성체의 핀을 가지는 전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내부케이스 내측에 돌출된 핀에는 감지판을 일체로 설치하며, 상기 전자석과 감지판 사이의 핀에는 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감지판 타측에는, 상기 스프링보다 장력이 작은 보조 스프링을 설치하며, 상기 내부케이스에는, 스프링을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압축할 수 있는 압축 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턴테이블 상승 및 걸림핀의 해제 후에, 턴테이블이 회전하면서, 회전을 완료하기 전에, 상기 전자석을 오프하고, 압축 수단을 작동함으로써, 걸림핀의 걸림홈에 대한 걸림을 용이하고, 이어지는 캐리어의 하강을 순차적으로 진행함에 따라, 구조를 간단히 하여, 작동의 불량을 최소화하고, 높은 내구성을 가지며, 연속적인 작동으로 작동의 정확성이 높은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주차 장치는, 차(1)를 개별적으로 주차하는 다수개의 캐리어(20), 상기 캐리어(20)가 가이드레일(11)을 따라 회전·이동하도록 하는 로터리부, 상기 로터리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20)를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려, 캐리어(20)를 수평 방향에 대해 180°로 회전하는 턴테이블(80)로 구성되며, 로터리부의 캐리어(20) 이동과, 상기 턴테이블(80)의 작동은, 외부의 메인 컨트롤러의 제어와, 각 작동에 따른 신호를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전달하여 순차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터리부 및 캐리어(20)로는 인체에 무해한 1 내지 24볼트(AC 또는 DC)의 전기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로터리부의 순환 구조와 턴테이블(80)의 구조는 통상적인 로터리 주차 장치와 일치하므로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로터리 부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로터리 주차 장치에 캐리어(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그 일례를 설명하면, 먼저, 골조 구조의 메인프레임(10)이 구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에 상·하부에 각각 고정형의 상부스프라켓(14) 및 반원형의 하부스프라켓(14′)을 설치하고, 상기 하부스프라켓(14′)의 하부에 회전형의 구동스프라켓(14″)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스프라켓(14), 하부스프라켓(14′) 및 구동스프라켓(14″)에 걸쳐 메인체인(13)이 설치되는데, 상기 상부스프라켓(14), 하부스프라켓(14′), 구동스프라켓(14″) 및 메인체인(13)의 구조는 상기 메인프레임(10)에 서로 마주보게 한 쌍씩 설치하고, 마주 하는 구동스프라켓(14″)은 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일측의 구동스프라켓(14″)에 메인모터(12)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여, 마주하는 메인체인(13)을 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마주하는 메인체인(13)을 따라 적정 간격으로 어태치먼트(15)가 다수개, 정확하게는 설치할 캐리어(20)의 수만큼 서로 마주보게 고정되어, 상기 메인모터(12)의 작동으로 어태치먼트(15)가 메인체인(13)을 따라 회전하는데, 상기 참고로, 상기 마주하는 어태치먼트(15)에는 후설하는 지지부(30)의 양단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일측, 자세하게는, 로터리부의 후면에는, ‘
Figure 112008078323072-pat00001
’ 단면, 또는, ‘
Figure 112008078323072-pat00002
’단면을 가지는 가이드레일(11)을 좌·우 방향 각각 수직 형상이고, 상·하 방향은 원호 형상으로 고정하되, 상기 가이드레일(11)은 후설 할 캐리어(20)에 고정된 모든 가이드롤러(33)가 안내되도록 하므로, 상기 가이드레일(11)의 형태는, 상기 형상 외에도 캐리어(20)의 가이드롤러(33)의 수와 위치에 따른 자취점을 따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캐리어(20)를 이동케하는 로터리부는 통상의 로터리 주차 장치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차(1)를 지지·수용하는 캐리어(20)를 설명하면, 이는 도1 및 도4에 바와 같이, 차(1)가 얹히는 팔레트(21), 상기 팔레트(21)를 일정 거리를 두고 지지하는 행거(22), 상기 팔레트(21)와 행거(22)를 지지하는 지지부(30)로 구성하 며, 먼저 팔레트(21)는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팔레트(21) 위로 차(1)를 주차하는 것으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팔레트(21) 저면에는 고정구(21a)를 설치하되, 상기 고정구(21a)는 하부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단면, 즉 역삼각형의 단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구(21a)로는 일정 각도의 앵글 또는 삼각형 단면의 형강을 팔레트(21) 저면에 일체되게 다수개 설치하며, 상기 고정구(21a)는, 턴테이블(80)을 이용한 캐리어(20)의 회전시에, 캐리어(20)를 턴테이블(80)에 구속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행거(22)는, ‘
Figure 112008078323072-pat00003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22a)을 이격되게 두고, 상기 마주하는 사이드프레임(22a)의 상단에 탑프레임(22b)이 일체로 고정된 구조로 구성하고, 상기 탑프레임(22b) 상면 중심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22d)이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팔레트(21), 행거(22)는 기존 로터리 주차 장치에 일반적인 구조이고, 상기 캐리어(20)는, 팔레트(21)에 주차된 차(1)가 수용·지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캐리어(20)의 팔레트(21) 및 사이드프레임(22b)는, 차를 수용·지지할 수 있는 통상의 캐리어를 그대로 적용하거나, 또는, 사이드프레임(22b)는, 차를 수용·지지할 수 있는 다른 구조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행거(22)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탑프레임(22b)은 일정한 폭을 형성하되, 그 양단이 원호의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22c)를 형성하고, 상기 탑프레임(22b)의 양단 가이드(22c)의 가장자리 중간에는 내측으 로 파인 걸림홈(22c′)을 형성하며, 상기 탑프레임(22b)의 회전축(22d)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지지부재(22e)를 설치한다.
상기 지지부재(22e)로는, 베어링, 트러스트 베어링, 금속 부싱, 링형상의 금속부재, 내구성 및 강도가 우수한 링 형상의 합성 수지 등과 같은 재료 및 재질을 사용하여, 상기 지지부재(22e)에 의해, 후설하는 지지부(30)의 저면과 탑프레임(22b)의 상면의 마찰과 손상을 최소화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부(30)는, 일정 폭을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짜인 프레임으로, 중앙에 관통된 회전공(30′)을 형성하고,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0) 양쪽 하단에는 ‘
Figure 112008078323072-pat00004
’ 와‘
Figure 112008078323072-pat00005
’의 단면으로 각각 형성하는 걸림구(31)를 마주보게 일체로 형성한다.
또, 상기 지지부(30)의 일측 걸림구(31)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걸림핀(40)을 구성하는데, 상기 걸림핀(40)의 슬라이딩을 위한 구조는 뒤에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또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0)의 일측면에는 가이드롤러(33)를 다수개 설치하는데, 상기 가이드롤러(33)는 지지부(30) 측면에 설치하거나, 또는, 별도의 보조지지구(32)를 지지부(30)에 설치하고, 상기 보조지지구(32)에 가이드롤러(33)를 설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걸림핀(40)이 형성된 방향의 지지부(30) 측면에는 보조지지구(32)를 추가로 더 고정하되, 상기 보조지지구(32)는, ‘
Figure 112008078323072-pat00006
’‘
Figure 112008078323072-pat00007
’과 같이, 사각 모양으로 프레임을 짠 것으로, 상기 보조지지구(32)의 네 모서리에는 가이드롤러(33)를 설치하여, 상기 보조지지구(32)가 지지부(30) 일단에 고정되는 구조이며, 참고로, 상기 보조지지구(32) 측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어태치먼트(15)가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롤러(33)가 상기 가이드레일(11)을 따라 구름·이동함에 따라, 상기 캐리어(20)의 메인프레임(10)을 따라 회전·이동(대체로 수직 상승, 수평이동, 수직 하강, 수평 이동의 형태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1, 도3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행거(22)의 회전축(22d)을 지지부(30)의 회전공(30)에 끼워 행거(22)가 지지부(30)에 대해 수평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하되, 상기 행거(22) 상부의 탑프레임(22b)의 양단이 상기 지지부(30) 하단의 걸림구(31)의 내측으로 안착하고, 상기 탑프레임(22b)이 지지부(30)의 걸림구(31)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핀(40)은 지지부(30)의 걸림홈(22c′)에 항상 끼움된 상태를 가지는 구조의 캐리어(20)를 구성한다.
추가로, 앞서 설명한 캐리어(20)의 걸림핀(40)이 걸림홈(22c′)에서 해제되는 구조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전자석판(41′)이 일체로 결합된 로드(41)를 상기 걸림핀(40)에 연결하여, 상기 전자석판(41′)을 전자석(53)에 의해 당겨지면, 끼움된 걸림핀(40)을 해제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걸림핀(40)의 해제를 위한 구조를, 도6 및 도7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정 길이를 가지는 로드(41)의 일단에 전도체의 전자석판(41′)을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로드(41)를 상기 걸림핀(40)과 연결되어, 상기 로드(41)의 끝단 일부 및 전자석판(41′)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또, 전자석판(41′)과 걸림핀(40) 사이에는 다수개의 브라켓을 설치하되, 연결브라켓(42)은, 수평 높이가 다른 걸림핀(40)과 로드(41)를 연결하며, 관통된 구멍을 형성하는 가이드브라켓(43)을 구성하여, 상기 가이드브라켓(43)을 로드(41)에 끼워 지지부(30)에 설치한다.
그래서 상기 연결브라켓(42)와 가이드브라켓(43) 사이에는 스프링(44)이 끼움되어, 상기 스프링(44)에 의해 로드(41) 이동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팔레트(21), 행거(22), 지지부(30)가 연결된 구조로 하나의 캐리어(20)를 구성하며, 상기 각 캐리어(20)는 상기 지지부(30)을 메인프레임(10)의 마주하는 어태치먼트(15)에 각각 하는 방법으로, 다수개의 캐리어(20)를 메인프레임(10)에 설치하여 로터리부를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30)의 걸림핀(40)은 탑프레임(22b)의 걸림홈(22c′)에 끼움되어 항시 잠금 상태를 가지며, 또한, 상기 전자석판(41′)이 전자석(53)에 의해 당겨지면, 걸림핀(40)이 걸림홈(22c′)에서 벗어나 해제하여, 캐리어(20)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데, 상기 전자석판(41′)의 이동을 제어하는 걸림해제 부(5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메인프레임(10)에 설치되는 걸림해제부(50)를 설명하면,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해제부(50)는 상기 걸림핀(40)와 연결된 전자석판(41′)의 맞은편의 메인프레임(1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해제부(50)는, 외부케이스(51)가 구성되어, 상기 외부케이스(51) 내부에 조립되어, 외부케이스(51)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 가능한 내부케이스(52)를 구성하고, 상기 외부케이스(51) 상부에 조립되는 상부케이스(T)로 구성하며, 상기 내부케이스(52) 내부에는 전자석(53)을 설치하고, 상기 외부케이스(51)의 후면과 측면에는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 수단인, 풀리(59a)와 모터(59)를 구성한다.
참고로, 이하 걸림해제부(50)의 설명에서 전진(또는, 전면) 방향은, 전자석에 대해 걸림핀(40) 가까이 이동하는 방향이고, 후진(또는, 전면) 방향은 상기 전진 방향의 반대 방향을 뜻하는 것이다.
우선, 상기 내부케이스(52)와 외부케이스(51)는, 도7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사각 형태로 구성하며, 상기 전자석(53)은 상기 내부케이스(52) 내부에 설치하는데, 상기 전자석(53) 중앙에는 비자성체의 핀(54)이 상기 전자석(53)의 양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내부케이스(52)의 슬라이딩 방향과 같이 좌·우로 이동(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자석(53)이 온(on)되면, 전자석(53)은 자성 을 띄게 되며, 상기 핀(54)이 내부케이스(52)로 돌출된 끝 부분에는 판형의 감지판(54a)을 일체로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석(53)과 고정판(54a) 사이의 핀(54)에는 스프링(54b)을 설치하며, 아울러 상기 감지판(54a)에는 후설하는 압축 수단의 스풀(56a), 또는, 스크류(56a′)보다 같거나 큰 직경으로 관통된 가이드공(54a′)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54a′)에는 후설하는, 압축 수단, 즉, 솔레노이드(56)의 스풀(56a), 또는, 보조 모터(56′)의 스크류(56a′)가 끼움되며, 아울러, 상기 내부케이스(52)에 설치된 전자석(53) 맞은편의 내부케이스(52)에는 관통된 암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암나사에는 후설하는 회전축(57)이 나사 결합한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52)의 전자석(53)에는, 전기적인 신호를 통해, 상기 스프링(54b)을 전진 방향으로 압축하는 압축 수단을 구비하는데, 상기 압축 수단으로는 솔레노이드(56), 또는, 보조 모터(56′)가 사용될 수 있다.
우선, 압축 수단으로 솔레노이드(56)를 도9 내지 도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솔레노이드(56)의 구조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의 중앙을 통과하는 핀 형상의 스풀(56a)로 구성되는데, 상기 스풀(56a)은 상기 전자석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는 자유롭게 전자석 내부를 좌·우 이동하며, 상기 솔레노이드(56)가 온(on)이되면, 상기 스풀(56a)이 정해진 특정 위치대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데, 상기 솔레노이드(56)가 온(on)된 상태는 상기 스풀(56a)이 내측으로 인입된 위치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56)의 스풀(56a)에는 판형의 이동가이드판(55a)을 설치하고, 상기 이동가이드판(55a)은 상기 솔레노이드(56)의 적정 위치에 고정하는데, 상기 이동가이드판(55a)에는 상기 전자석(53)의 핀(54)보다 같거나 큰 직경으로 관통된 가이드공(55a′)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가이드판(55a)은, 감지판(54a) 내측 위치, 즉, 솔레노이드(26)의 전자석과 상기 감지판(54a) 사이에 설치하되, 이동가이드판(55a)은, 가이드공(55a′)을 따라 핀(54)이 끼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동가이드판(55a) 외측에는 전자석(53)의 감지판(54a)이 가이드공(54a′)에 의해 순차로 끼움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내부케이스(52)에는 관통된 가이드공(52″)이 형성된 고정가이드판(52′)이 구성되어, 상기 솔레노이드(56) 스풀(56a)의 끝단이 고정가이드판(52′)의 가이드공(52″)에 항상 끼움되도록 하는데, 상기 솔레노이드(56) 스풀(56a)에 끼움된 전자석(53)의 감지판(54a)과 상기 고정가이드판(52′) 사이의 스풀(56a)에는 보조 스프링(55)이 끼움된다.
참고로, 통상 표준 규격으로 생산되는 상기 솔레노이드(56)의 스풀(56a)이 짧은 경우에는, 솔레노이드(56)의 원래 스풀(56a)에 핀 형상의 보조 스폴(미도시)을 일체로 고정하여 사용하며, 상기 솔레노이드(56)는, 전자석(53)의 핀(54)을 강제 이동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석(53)에 대해서 한 방향만 설치할 경우, 편심이 우려되므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56)는 전자석(53)에 대해 양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각 감지판(54a), 이동가이드판(55a), 고정가이드(52′)의 각각의 가이드공(54a′)(55a′)(52″)은 두 개, 즉, 한 쌍씩 형 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석(53)과 솔레노이드(56)의 결합 구조를 전체적으로 다시 설명하면, 상기 중간에 위치한 전자석(53)의 핀(54) 양쪽에, 한 쌍의 솔레노이드(56)을 평행하게 구성하며, 이동가이드판(55a)이 전자석(53)의 스풀(56a)에 고정되게 설치하면서, 이동가이드판(55a)의 가이드공(55a′)으로, 전자석(53)의 핀(54)에 대해 자유 이동 할 수 있도록 끼움되게 설치하고, 이어서, 상기 전자석(53)의 핀(54) 끝에 감지판(54a)을 일체로 구성하면서, 감지판(54a)의 가이드공(54a′)으로 상기 솔레노이드(56)의 스풀(56a)이 자유 이동 할 수 있도록 끼워져 설치하며, 상기 전자석(53)과 이동가이드판(55a) 사이의 핀(54)에는 스프링(54b)이 설치되고, 상기 감지판(54a)과 고정가이드판(52′) 사이의 스풀(56a)에는 보조 스프링(55)이 끼움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54b)과 보조 스프링(55)의 장력을 살펴보면, 핀(54)에 설치된 스프링(54b)이, 스풀(56a)에 설치된 두 개의 보조 스프링(55)보다 장력이 더 크도록 설정하여,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석(53)과 솔레노이드(56)가 오프(off)된 상태, 즉, 걸림해제부(50)의 대기상태(일반 상태, 자유 상태)를 유지하며, 이러한 걸림해제부(50)의 대기상태에서는, 상기 핀(54)에 설치된 스프링(54b)은 자유고 또는 약간 압축된 상태이고, 상기 스풀(56a)에 설치된 보조 스프링(55)은 압축된 상태이며, 상기 솔레노이드(56)의 스풀(56a)은, 솔레노이드(56)가 온(on)된 상태보다는 후진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해제부(50)의 대기상태에서, 솔레노이드(56)가 온(on)되면, 상기 스풀(56a) 및 이동가이드판(55a)가 전진하여,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54b)은 압축하는 상태가 되며, 상기 상태에서, 이동가이드판(55a)의 핀(54) 전면에 간섭하는 것이 있다면, 이동가이드판(55a)의 가이드공(55a′)에 따라 핀(54)은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핀(54)의 전면에 간섭되는 것이 없거나, 간섭이 해제되면, 상기 압축되어 있던 보조 스프링(55)이 인장하면서 감지판(54a)을 밀게되므로, 이에 따라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스프링(55)의 인장으로 감지판(54a)을 이동된 이동가이드판(55a)까지 이동하도록 한다.
아울러, 도9 및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석(53) 후면 쪽의 내부케이스(52) 및 외부케이스(51)에는 회전축(57)을 설치하고, 상기 외부케이스(51) 측면에는 모터(59)를 구성하여, 내부케이스(52)를 이동시키도록 하는데, 상기 회전축(57)의 일단에는 풀리(57a)을 설치하고, 상기 조립된 풀리(57a)의 타단에는 수나사를 형성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구성한 회전축(57)은 외부케이스(51)에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게 결합하고, 내부케이스(52)의 암나사(42′)로 나사 결합으로 조립되며, 상기 외부케이스(51)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축(57)에는 풀리(57a)를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51) 측면에는, 정회전 및 역회전할 수 있는 모터(59)를 구성하되, 상기 모터(59)의 모터축에는 풀리(59a)를 설치하고, 상기 각 회전축(57)과 모터(59)의 각 풀리(57a)(59a)에는 벨트(58)가 설치되어, 상기 모 터(59) 작동으로 회전축(57)을 회전하는데, 상기 벨트(58)는 브이 벨트(V 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모터(59) 작동으로, 회전축(57)의 풀리(57a)과, 모터(59)의 풀리(59a)에 연결된 풀리(59a)로 순차적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축(57)이 회전축(57)을 회전하면서, 내부케이스(52)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또한, 도9 및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케이스(52)에는 네 개의 근접센서(본 발명에는 근접센서의 종류가 많으므로, 근접센서에 알파벳을 붙여 명명하여 분별하였다. 따라서, 각 근접센서는 순서에 따라, 근접센서A, 근접센서B, 근접센서C, 근접센서D, 근접센서F, 근접센서F가 있다.)를 설치하는데, 우선, 각 근접센서를 도7, 도9 및 도13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근접센서A(52a)는, 상기 감지판(54a)의 전진 방향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압축 수단의 작동 후에, 스프링(54b)의 인장으로 감지판(54a)이 이동 완료한 거리 및 그 이하 거리를 모두 인지(감지, 온, on)한다.
그리고 근접센서B(52b) 및 근접센서C(52c)는 상기 감지판(54a)의 후진 방향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상기 걸림해재부(50)의 대기 상태에 따른 감지판(54a)과의 거리 및 그 이하 거리를 모두 인지(감지, 온, on)하는데, 상기 근접센 서C(52c)는 걸림해재부(50)의 대기 상태에 따른 감지판(54a)과의 거리 및 그 이하 거리를 인지하고, 근접센서C(52c)는 상기 근접센서C(52c)보다 인지 거리가 더 짧아서, 상기 걸림해재부(50)의 대기 상태에서, 전자석(53)과 걸림핀(40)의 전자석(53)판과 접촉했을 때, 감지판(54a)이 더 밀려서(후진하여서) 좁아진 거리를 인지하여, 걸림핀(40)과 전자석판(41′)과의 부착을 인지하며, 따라서, 상기 걸림해재부(50)의 대기 상태에서, 감지판(54a)이 전진하게 되면 근접센서C(52c)는 오프( off)되고, 상기 걸림핀(40)과 전자석판(41′)이 부착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근접센서B(52b)는 오프(off)되어 있다.
그리고 근접센서D(52d)는, 내부케이스(51) 후면서, 모터(59)에 의해 이동되는 내부케이스(52)와 외부케이스(51)와의 최대로 가까운 거리를 인지하는데, 걸림핀(40)이 걸림홈(22c′)에 걸린 상태, 또는, 모터(59)가 정회전을 시작하기 전의 상태, 또는, 모터(59)가 역회전을 완료한 상태에서, 근접센서D(52d)가 온(on)된 상태를 유지하고, 모터(59)에 의해 내부케이스(52)가 이동하면 근접센서D(52d)는 오프(off)되는 것이다.
추가로,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해제부(50)에 사용된 압축 수단으로써, 솔레노이드(56) 및 스풀(56a)를 대체하여, 보조 모터(56′) 및 스크류(56a′)를 사용하며, 상기 보조 모터(56′)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모두 가능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전자석(53)과 평행하게 설치하는데(보조 모터도 전자석에 대해 양쪽 으로 설치하면 편심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모터(56′) 축에는 스크류(56a′)(수나사)를 일체로 설치하며, 상기 이동가이판(55a)의 조립은 솔레노이드(56)의 조립과 대동소이하게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보조 모터(56′)의 스크류(56a′)와 이동가이드판(55a)은 나사 결합하며, 상기 보조 모터(56′)의 작동으로 스크류(56a′)가 회전하여, 이동가이드판(55a)이 이동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스크류(56a′)에는 보조 스프링(55)을 설치한다.
상기, 걸림해제부(50)에 사용된 압축 수단으로써, 보조 모터(56′)가 사용된 경우의 걸림해제부(50)의 대기 상태는, 앞서 솔레노이드(50)와 대동소이하며, 다만, 상기 보조 모터(56′)의 스크류(56a′)는 이동가이드판(55a)이 나사 결합 되어 있으므로, 상기 보조 모터(56′)가 솔레노이드(56)의 온(on)과 같은 효과를 가지기 위해서는, 보조 모터(56′)를 정회전 하여 이동가이드판(55a)를 전진 이동하고, 다시 걸림해제부(50)의 대기 상태로 돌아오기 위해서는, 보조 모터(56′)를 역회전하여 이동가이드판(55a)를 후진하여 복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 수단(솔레노이드 또는, 보조 모터)의 작동(on, 온)은, 후설하는 턴테이블(80)의 근접센서E(75)에 의해 시작되고, 솔레노이드(56)의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56)의 작동 및 걸림핌(40)의 걸림(근접센서A의 인지)된 후에, 이동가이드판(55a) 및 감지판(54a)의 복귀 완료에 의한 근접센서D(52d)의 인지 신호로 솔레노이드(56)가 오프(off)되지만, 상기 보조 모터(56′)의 경우에는, 상기 보 조 모터(56′)의 정회전 및 걸림핌(40)의 걸림으로 근접센서A(52a)의 인지로, 보조 모터(56′) 역회전이 시작되고, 이동가이드판(55a) 및 감지판(54a)의 복귀 완료에 의한 근접센서D(52d)의 인지 신호로 보조 모터(56′)가 오프(off)된다.
참고로, 도6 내지 도13에 도시한 상부케이스(T)는, 상기 외부케이스(51)의 상부를 덮기 위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상기 상부케이스(T)는 적어도 상기 내부케이스(52)가 슬라이딩하는 거리(후설하는 전자석이 이동하는 거리)보다 길게 형성하여, 상기 상부케이스(T) 일측면이 어태치먼트(15)의 근접하거나, 또는, 접촉하여, 메인체인(13)과, 걸림해제부(40)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해제부(50)의 작동 과정을 도18 및 도19를 참고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우선, 상기 걸림해제부(50)의 모터(59)가 작동하여 회전축(57)이 회전하여, 내부케이스(52)가 이동하면서, 전자석(53)이 전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석(53)의 전진하면서 적정 위치에 이르게 되면, 전자석(53)이 온(on)되어, 전자석(53)의 자력으로 전자석판(41′)을 부착하게 되며, 상기 전자석(53)이 전자석판(41′)과 부착하면서, 상기 전자석(53)에 돌출된 핀(54)은 뒤로 밀리게 된다.
또, 부착된 핀(54)과 전자석판(41′)은 모터(59)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나사브라켓(48)과 내부케이스(52)를 당겨, 상기 전자석(53) 및 상기 전자석(53)에 부착된 전자석판(41′)을 당겨 후진하며, 이로 인해, 상기 내부케이스(52)의 원래 위 치로 복귀하고, 모터(59)의 작동은 멈추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59)가 역회전으로 걸림핀(40)이 해제되지만, 실제로, 상기 걸림핀(40)의 해제와 캐리어(20)의 상승은 거의 동시에 발생하나, 극히 순간적으로는 걸림핀(40)의 해제가 먼저 시작되고, 실제로, 상기 걸림핀(40)이 걸림홈(22c′)에서 간섭에 의해 바로 빠지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나, 상기 걸림핀(40)의 해제하면서, 상기 걸림핀(40)의 걸림홈(22c′) 내에서 간섭으로 빠지지 못하더라도, 상기 캐리어(20)의 상승을 통한, 충격, 이완 등에 의해, 걸림핀(40)이 빠질 수 있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모터(59)의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58)(특히, 브이 벨트)가 헛돌게(슬립, slip) 되면서, 모터(59)에 부하를 최소화함에 따라, 상기 걸림핀(40)의 간섭으로 해제가 어렵더라도, 모터(59)의 파손을 방지하고, 걸림핀(40)이 안전하게 해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로터리 주차장치 턴테이블(80)을 도14 내지 도1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턴테이블(80)은 통상적인 턴테이블(80)을 사용하므로, 턴테이블(80)의 구조에 대한 일례를 간단히 설명하면,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턴테이블(80)은 크게 베이스부(60)와 회전부(70) 및 상판(81)으로 구성하며, 먼저, 회전부(70)는 대게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70)에는 다수개의 롤러가 형성하고, 상기 롤러(71c)의 단면은 중앙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홈을 형성하는데, 상기 롤러(71c)는, 상기 캐리어(20)의 팔레트(21) 하부의 고정구(21a) 단면과 대응되 어, 상기 롤러(71c)에 고정구(21a)가 일부 수용하게 되며, 상기 회전부(70)는 베이스부의 상승수단과 회전수단에 의해서 상승하고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부(70)에는 캐리어(20)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수단과 상기 회전부(70) 및 상판(81)을 회전 시키는 회전수단이 있으며, 기존 공지된 로터리 주차장치 및 턴테이블(80)에 많은 상승수단과 회전수단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턴테이블(80)에 많은 상승수단과 회전수단을 간단히 언급만 하자면, 우선, 상기 상승수단으로는 실린더, 링크의 회전 등의 방법으로 회전부(70)를 일정 높이로 상승하는데, 상기 상승 높이는 일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회전부(70)의 회전 수단은, 일반적으로, 모터로 동력을 전달하여 동력 전달 수단(기어와 기어의 맞물림, 체인과 풀리 등의 방법)에 의해, 베이스에 대해 회전부(70)가 수평 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도록 하는데, 상기 회전부(70)의 회전은, 180°를 회전한 다음, 처음 회전한 같은 방향으로 180°를 회전하는 식으로, 같은 방향으로 180°를 회전하는 구조와, 또는, 처음 한 방향으로 180°를 회전한 다음에는, 다시 반대 방향으로 180°회전하는 식으로, 180°씩 회전을 반대 방향으로 반복하면서 회전하는 방식이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60)은 턴테이블(80)의 베이스가 되는 것으로, 통상 턴테이블(80)이 매입되는데, 매입되는 공간이 베이스부(60)가 되기도 하고, 또한, 상기 베이스부(60)는 회전부(70)를 지지하거나 회전하기 위한 지지 골조로 구성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판(81)은 상기 회전부(70)의 상부에 안착하거나, 덮어, 캐리어(20)를 면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턴테이블(80)의 베이스부(60)와 회전부(70)의 구조의 일례를 도14 내지 도16을 참고하여 간단히 설명을 하면, 상기 베이스부(60)는 링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회전부(70)의 상승수단으로는 다수개의 리프트링크(71)가 상승용 모터(72)에 의해 회전되게 구성되되, 상기 리프트링크(71)는, 축(71a)의 양단에 링크(71b)가 각각 고정되고, 상기 링크(71b) 끝단에 상기 롤러(71c)를 설치하며, 상기 리프트링크(71)가 상승용 모터(72)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로 구성하며, 상기 모터의 작동으로 리프트링크(71)가 회전하면서, 캐리어(20)를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회전부(70)의 회전수단에서, 상기 회전부(70)는, 국내특허 제066496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어를 설치하여, 상기 기어를 모터로 돌리는 방법이 있다.
또는, 상기 회전 수단의 예시로, 턴테이블(80)의 회전을 180°회전 후 다시 반대 방향으로 180°회전하는 회전 수단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부(60)에는, ‘
Figure 112008078323072-pat00008
’ 단면의 가이드(61)를, 일측이 트인 원형의 형태로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61)에는 체인(62)을 설치하며, 상기 회전부(70)에는 회전용 모터(73)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용 모터(73)의 최종캐리어(20)에는 스프로켓(74)을 설치하여, 상기 스프로켓(74)에는 상기 베이스부(60)의 가이드(61)에 조립한 체인(62)을 설치하여, 상기 모터의 작동으로 회전부(70)가 체인(62)을 따라 회전함에 따라 회전부(70)가 베이스부(60)에 대해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수단을 구비한다.
아울러, 도14 및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80)에는 두 개의 근접센서, 즉, 근접센서E(75) 및 근접센서F(75′)와, 한 쌍의 감지판(54a)이 설치되는데, 먼저, 상기 베이스부(60)에는 일정 폭을 가지는 판형의 감지판(54a)을 180도 간격으로 마주보게 두 군데에 설치하고, 상기 회전부(70)에는 근접센서E(75)와 근접센서F(75′)를 일정거리를 띄워 설치하며, 상기 근접센서E(75)와 근접센서F(75′)는 상기 회전부(70)가 회전하면서, 상기 감지판(54a)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감지판(54a)의 위치 및 근접센서의 위치는, 상기 체인(62)의 걸림홈(22c′)에 걸림핀(40)이 끼움되는 위치의 수직 하부 위치가 일정 폭으로 걸치도록 각각 설치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부(70)의 회전으로 먼저, 인식하는 근접센서E(75)는, 회전부(70)의 회전으로, 걸림핀(40)이 걸림홈(22c′)에 끼워지기 일정거리를 두고 인식하도록 하여, 상기 근접센서E(75)의 인식으로, 상기 걸림해제부(50)의 압축 수단, 즉, 솔레노이드(56), 또는 보조 모터(56′)가 작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근접센서F(75′)는 걸림핀(40)이 걸림홈(22c′)에 끼워진 후에, 회전되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인식하도록 하여, 걸림핀(40)이 걸림홈(22c′)에 끼워진 후에, 상기 근접센서A(52a)가 인식되지 않는 등의 기타 여러 이유로, 회전부(70)가 멈추지 않고 지속적으로 회전될 때, 상기 근접센서F(75′)의 인지 (온, on)로 의해 회전부(70)의 회전이 멈추도록 한다.
한편, 상기 회전부(70)의 회전은, 같은 방향으로 180°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경우는, 근접센서E(75), 근접센서F(75′)의 역할 구분이 명확하지만, 상기 예시한 구조처럼, 처음 180도 회전한 다음에, 그 반대 방향으로 180도를 회전하는 구조의 턴테이블(80)은, 상기 근접센서E(75), 근접센서F(75′)는 회전할 때마다, 그 역할이 바뀌게 된다.
이렇게 구성한 로터리 주차 장치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이어서, 상기 캐리어의 상승과 하강 사이에, 걸림핀(40)의 해제, 캐리어의 회전, 걸림핀(40)의 잠금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근접센서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되, 우선, 상기 로터리 주차장에 차를 주차하여 로터리 주차 장치가 작동 과정을 도1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우선, 턴테이블(80)의 상부에는 빈 캐리어(20)가 대기한 상태에서, 상기 대기하는 캐리어(20)의 걸림핀(40)이 걸림홈(22c′)에 걸린 캐리어(20)의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캐리어(20)의 대기 상태에서, 주차할 차(1)가 상기 턴테이블(80)에 주차하는데, 참고로, 도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 위치의 전면에는 스토퍼(90)를 설치하여, 캐리어(20)에 진입하는 차(1)의 앞타이어가 상기 스토퍼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 주차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스토퍼(90)는 통상 로 터리 주차 장치에서 다양한 구조 및 형태가 개시되어 있으므로, 스토퍼(90)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래서 캐리어(20)에 차(1)가 주차한 뒤에는, 캐리어(20)의 상승과 걸림핀(40)의 해제가 순차적으로(작동 속도가 빨라서 거의 동시에 일어난다고 해도 무방하다), 우선, 베이스부(60)의 상승수단에 의해 회전부(70)를 상승하여, 회전부(70)의 롤러(71c)가 상승하면서, 팔레트(21) 저면의 고정구(21a)와 결합하며, 캐리어(20)를 상승시키되, 상기 캐리어(20)의 상승은 일정 높이로만 상승하며, 상기 지지부(30)의 회전공(30′) 부분은 캐리어(20)의 무게로 인해 상부로 약간 굽게 되고, 상기 지지부(30)의 굽힘과, 지지부재(22e)에 의해, 지지부(30)과 캐리어(20) 사이의 공간, 즉, 캐리어(20)의 상승 높이가 커지며, 또한, 캐리어(20)의 상부, 즉, 탑프레임(22b)의 회전축(22d)에는 지지부재(22e)로 인해서, 탑프레임(22b)과 지지부(30)가 직접 접촉하거나 파손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20)의 상승 후에 상기 걸림해제부(50)의 모터(59)의 작동(정회전), 전자석(53)과 전자석판(41′)의 부착 및 모터(59)의 작동(역회전)으로, 걸림핀(40)이 걸림홈(22c′)으로부터 빠지면서 걸림 해제 상태가 되며, 걸림핀(40)이 해제 된다(빠진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부(70)의 베이스부(60)의 회전수단에 의해 캐리어(20)를 180° 회전시키되, 지지부(30)는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팔레트(21)와 행거(22)가 같이 180°로 회전하며, 상기 캐리어(20)의 회전 뒤에는, 걸림해제부(50)의 전자석(53)이 자력을 해제함으로써, 전자석(53)과 전자석판(41′)이 분리되어, 걸림핀(40)이 걸림홈(22c′)으로 끼움되어 걸림핀(40)의 걸림 상태가 유지된다.
이어서, 상기 턴테이블(80)의 베이스부(60)의 상승수단에 의해 회전부(70) 및 캐리어(20)를 하강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데, 상기 지지부(30)는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팔레트(21)와 행거(22)가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이어서, 상기 메인모터(12)의 작동으로 상기 차(1)가 주차된 캐리어(20)가 이동하고, 이어서 다음 빈 캐리어(20)가 턴테이블(80) 상부로 대기하게 된다.(본 명세서에서는, 차를 주차한 뒤에 바로 캐리어를 수평 방향으로 180° 회전하고, 캐리어를 메인프레임을 따라 이동시켰지만, 차를 주차한 뒤에, 메인프레임을 따라 캐리어를 이동시킨 뒤에, 출차할 때 캐리어를 수평 방향으로 180° 회전하여도 무방하다.)
이어서, 상기 캐리어(20)의 상승과 캐리어(20)의 하강 사이에 걸림해제부에 의한 걸림핀(40)의 해제, 턴테이블(80)에 의한 캐리어(20)의 회전 및 걸림해제부에 의한 걸림핀(40)의 잠금에 과정에 대해, 근접센서와 함께 상세한 작동 구조를 도18 및 도19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캐리어(20)의 상승 후에, 걸림핀(40)은 걸림홈(22c′)에 걸린 상태로 있으며, 걸림해제부는, 스프링(54b)과 보조 스프링(55)의 힘에 의해, 도9에 도시한 걸림해제부(50)의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따라서, 걸림해제부(50)의 근접센서의 상태, 즉, 근접센서A(52a)는 오프(off), 근접센서B(52b) 오프(off), 근접센서C(52c) 온(on), 근접센서D(52d)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턴테이블(80)의 근접센서E(75)와 근접센서F(75′)는 모두 오프(off)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걸림핀(40)을 해제하기 위해서, 우선, 걸림해제부(50)의 모터(59)가 작동(정회전)하면서, 내부케이스(52) 및 전자석(53)이 전진하며, 상기 내부케이스(52)의 전진으로, 근접센서C(52c)는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근접센서D(52d)는 오프(off)된다.
또, 상기 전자석(53)의 전진으로, 전자석(53)과 전자석판(41′)이 부착되면, 상기 돌출된 핀(54)이 내부케이스(52) 측으로 이동되므로 근접센서B(52b)는 온(on)되고, 상기 근접센서C(52c)는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어서, 상기 근접센서B(52b)의 온(on) 신호에 의해, 전자석(53)이 전자석판(41′)에 부착한 상태에서, 모터(59)가 역회전하면서 내부케이스(52)가 다시 후진하여, 전자석(53)과 전자석판(41′)이 후진하게 된다.
상기 전자석(53)이 후진 후에, 근접센서D(52d) 온(on)이 되면 멈추며, 상기 근접센서D(52d)의 온(on)은 전자석(53)이 복귀 완료된 것으로, 걸림핀(40)이 완전히 해제됨을 의미하며, 이때는, 근접센서C(52c)는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전자석 판(41′)과 전자석(53)은 부착되어 있으므로 근접센서B(52b)의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석(53)이 복귀한 후에는, 걸림핀(40)이 완전히 해제되었으므로, 캐리어(20)가 회전하기 시작하며 상기 캐리어(20)가 회전하게 되는 180도 중에서 대략 90도 정도를 회전하였을 때, 상기 전자석(53)의 자력을 해제(off)하는데, 일례로, 상기 캐리어(20)가 회전하는 속도를 고려하여, 캐리어(20)가 반정도(90도) 돌았을 시간을 타이머로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타이머의 시간이 되면, 전자석(53)의 자력을 해제한다.
그래서 상기 전자석(53)의 자력을 해제하면, 전자석(53)과 전자석판(41′)이 분리되므로, 상기 걸림핀(40)은 허공에 있게 되고, 근접센서B(52b)는 오프(off)되며, 상기 근접센서C(52c) 및 근접센서D(52d)는 모두 온(on)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캐리어(20)가 지속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걸림핀(40)은 상기 탑프레임의 상부 가이드(22c) 가장자리를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 원호의 형태를 가지는 가이드(22c)를 따라서 걸림핀(40)이 따라 접촉하면서, 걸림핀(40)은 후진하면서, 전자석판(41′)이 핀(54)을 살짝 터치하여 핀(54)이 약간 후진하게 되나, 근접센서B(52b)의 온(on)될 정도로는 아닌 상태를 유지하면서 캐리어(20)는 지속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캐리어(20)가 회전하면서, 턴테이블(80)의 회전부(70)의 근접센서E(75)가 감지판(54a)에 다다르면(걸림핀이 걸림홈에 걸리기 전), 근접센서E(75)가 온(on)되며, 상기 근접센서E(75)가 인지하는 신호에 의해, 압축 수단, 즉, 솔레노이드(56), 또는, 보조 모터(56′)가 온(on)된다.
먼저, 솔레노이드(56)의 작동에 따라 과정을 도1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솔레노이드(56)의 작동으로, 스풀(56a)이 전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동가이드판(55a)이 이동하고,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가이드판(55a)의 이동으로 스프링(54b)을 압축하며, 동시에, 상기 보조 스프링(55)은 인장하면서, 감지판(54a)을 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20)가 180도 회전하게 되면, 가이드(22c)를 접촉하던 걸림핀(40)은 걸림홈(22c′)에 끼움되고, 이에 따라, 핀(54) 전면에 간섭되던 전자석판(41′)이 전진하여 간섭이 해제되므로, 의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판(54a)은 보조 스프링(55)의 인장으로 이동가이드판(55a)까지 완전히 이동하게 되며, 근접센서는A는 온(on)되며, 상기 근접센서A(52a)의 인지로 캐리어(20)의 회전은 정지한다.
그리고 상기 근접센서는A는 온(on)의 신호로 솔레노이드(56)는 오프(off)되며, 이에 따라, 스프링(54b)의 인장하면서, 이동가이드판(55a) 및 감지판(54a)은 후진 방향으로 이동하고, 보조 스프링(55)은 압축된다.
그래서, 상기 이동가이드판(55a) 및 감지판(54a)이 완전히 복귀하면, 근접센서C(52c)과 근접센서D(52d) 온(on)이 되고, 이에 따라 걸림해제부(50)는 걸림해제부(50)의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걸림핀(40)의 잠금 상태가 완료된 후에도, 근접센서A(52a)가 온(on)되지 못하는 상황이 되면, 캐리어(20)가 계속 회전하게 됨에 따라, 회전 방향에 있는 턴테이블(80)의 근접센서F(75′)가 온(on)이 되며, 상기 근접센서F(75′)의 신호에 의해 캐리어(20)의 회전이 정지되고, 솔레노이드(56)가 오프(off)됨에 따라, 걸림해제부(50)의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걸림해제부(50)의 압축 수단이 솔레노이드(56)가 보조 모터(56′)로 대체된 상태에서는, 상기 솔레노이드(56)의 작동 과정과 대동소이한데, 이를 도12 및 도19를 참고하여 상기 캐리어(20)가 회전하여 설정된 타이머에 의해 전자석(53)을 오프한 이후의 과정을 살펴보면, 전자석(53)의 해제 이후, 걸림핀(40)이 탑프레임(22b)의 가이드(22c)를 접촉하면서 캐리어(20)가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20)의 회전으로, 상기 턴테이블(80)의 회전부(70)의 근접센서E(75)가 감지판(54a)에 다다르면, 근접센서E(75)가 온(on)되며, 상기 근접센서E(75)의 인지에 의해 보조 모터(56′)가 작동하며, 상기 보조 모터(56′)의 작동으로, 상기 보조 모터(56′)의 작동(정회전)으로, 스풀(56a)이 전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동가이드판(55a)이 이동하고, 상기 이동가이드판(55a)의 이동으로 스프링(54b)이 압축되며, 이때, 이동가이드판(55a)과 감지판(54a)의 위치는 도10의 위치 상태와 같다.
아울러, 상기 보조 스프링(55)은 인장하면서, 상기 감지판(54a)을 밀게 되는데, 상기 캐리어(20)가 180도 회전하게 되면, 가이드(22c)를 접촉하던 걸림핀(40) 은 걸림홈(22c′)에 끼움되고, 이에 따라, 핀(54) 전면에 간섭되던 전자석판(41′)이 전진하여 간섭이 해제되므로, 상기 감지판(54a)은 보조 스프링(55)의 인장으로 이동가이드판(55a)까지 완전히 이동하게 되며, 근접센서는A는 온(on)되고, 상기 근접센서A(52a)의 인지로 캐리어(20)의 회전은 정지하며, 이때의 걸림해제부(50)의 상태는 도12와 같다.
그리고 상기 근접센서는A는 온(on)의 신호로 보조 모터(56′)를 역회전을 하게 작동하며, 이에 따라, 보조 모터(56′)의 역회전으로 이동가이드판(55a) 및 감지판(54a)은 후진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프링(54b)은 인장하고, 보조 스프링(55)은 압축된다.
그래서, 상기 이동가이드판(55a) 및 감지판(54a)이 완전히 복귀하면, 근접센서C(52c)과 근접센서D(52d) 온(on)이 되고, 상기 근접센서D(52d) 온(on) 신호에 의해, 보조 모터(56′)는 작동이 정지, 즉, 오프(off)되며, 걸림해제부(50)의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걸림핀(40)의 잠금 상태가 완료된 후에도, 근접센서A(52a)가 온(on)되지 못하는 상황이 되면, 캐리어(20)가 계속 회전하게 됨에 따라, 회전 방향에 있는 턴테이블(80)의 근접센서F(75′)가 온(on)이 되며, 상기 근접센서F(75′)의 신호에 의해 캐리어(20)의 회전이 정지되고, 보조 모터(56′)가 오프(off)됨에 따라, 걸림해제부(50)의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주차 장치는, 걸림해제부(50)의 압축 수단과 다수개의 근접센서 및 턴테이블(80)의 근접센서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캐리어(20)의 상승, 회전, 하강을 순차적으로 시행하며, 이에 따라, 기존 로터리 주차 장치에서 캐리어(20)의 상승 인식, 캐리어 회전에 따른 걸림핀(40)의 걸림 및 해제에 따른 신호를 주고, 받음에 대해서, 걸림해제부(50)외에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으므로, 날씨에 관련 없이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지고, 내구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주차 장치에 따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주차 장치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주차 장치에 따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주차 장치의 캐리어 및 턴테이블의 측면도.
도 5는 도4의 A부분 확대도.
도 6은 도4의 B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해제부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핀과 걸림해제부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해제부(50)의 대기 상태의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걸림해제부의 솔레노이드가 온된 상태의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해제부의 걸림핀이 걸린 상태의 확대 평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걸림해제부에 보조 모터가 적용된 상태의 평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해제부의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의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CC′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주차 장치의 작동 과정에 따른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라 솔레노이드가 적용된 걸림해제부에 작동 과정에 따른 흐름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모터가 적용된 걸림해제부의 작동 과정에 따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메인프레임 20 : 캐리어
30 : 캐리어 40 : 걸림핀
50 : 걸림해제부 80 : 턴테이블

Claims (7)

  1. 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된 캐리어(20)를, 골조 구조의 메인프레임(10)을 따라 이동 할 수 있도록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하부에는, 상기 캐리어(20)를 상승시키고, 수평 방향으로 180°회전한 뒤, 다시 하강하는 턴테이블(80)를 구성하며, 상기 캐리어(20)의 상부 양단에는 내측으로 파인 걸림홈(22c′)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30)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22c′)에 끼움, 해제되는 걸림핀(40)이 구성되는 통상의 로터리 주차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핀(40)에는 로드(41)가 연결되고, 상기 로드(41) 끝단에는 전자석판(41′)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걸림핀(40)의 걸림, 해제하는 걸림해제부(50)를 구성하되,
    상기 걸림해제부(50)는,
    모터(59)에 의해 걸림핀(40) 쪽으로 이동, 복귀하는 내부케이스(52)가 구성되고,
    상기 내부케이스(52)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비자성체의 핀(54)을 가지는 전자석(53)을 설치하고, 상기 내부케이스(52) 내측에 돌출된 핀(54)에는 감지판(54a)을 일체로 설치하며, 상기 전자석(53)과 감지판(54a) 사이의 핀(54)에는 스프링(54b)을 설치하고, 상기 감지판(54a) 타측에는, 상기 스프링(54b)보다 장력이 작은 보조 스프링(55)을 적어도 하나 설치하며,
    상기 내부케이스(52)에는, 스프링(54b)을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압축할 수 있는 압축 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턴테이블(80) 상승 및 걸림핀(40)의 해제 후에, 턴테이블(80)이 회전하면서, 회전을 완료하기 전에, 상기 전자석(53)을 오프하고, 압축 수단을 작동함으로써, 걸림핀의 걸림홈에 대한 걸림을 용이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의 정확성을 높인 로터리 주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80)은, 베이스부(60)와 상기 베이스부(60)에 대해 회전하는 회전부(70)로 구성하며,
    상기 걸림핀(40)쪽의 전자석(53)의 핀(54)은,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게 설정하고,
    압축 수단의 작동에 의한 감지판(54a)이 이동 완료된 거리를 인지하는 근접센서A(52a)를 설치하며,
    압축 수단이 오프된 상태의 감지판(54a)의 위치를 인지하는 근접센서C(52c)를 설치하고,
    상기 전자석판(41′)과 전자석(43)의 부착으로 짧아진 감지판(54a)의 거리를 인지하는 근접센서B(52b)를 설치하며,
    내부케이스(52)의 원위치를 인지하는 근접센서D(52d)를 설치하고,
    상기 턴테이블(80)의 베이스부(60)에는 180도 간격의 위치에 각각 한 쌍의 지판(54a)을 설치하고, 상기 턴테이블(80)의 회전부(70)에는, 턴테이블(80)이 180도 회전하기 전의 위치에 근접센서E(75)가 설치되어,
    상기 근접센서로 인해, 위치의 제어가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의 정확성을 높인 로터리 주차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20)와 지지부(30) 사이에는 링 형상의 지지부재(22e)가 조립되되,
    상기 지지부재(22e)는 베어링, 트러스트 베어링, 금속 부싱, 금속 부재,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캐리어와 지지부의 직접적인 마찰을 최소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의 정확성을 높인 로터리 주차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41)의 전자석판(41′)과 걸림핀(40) 사이에는 다수개의 브라켓을 조립하되,
    걸림핀(40)과 로드(41)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42)을 설치하고,
    상기 로드(41)에 끼운 가이드브라켓(43)을 지지부(30)에 고정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43)과 연결브라켓(42) 사이의 로드(41)에는 스프링(44)을 끼우며,
    상기 걸림홈(22c′)이 형성된 캐리어(20) 상부 양단은, 원호 형상의 가이드(22c)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핀(40)이 걸림홈(22c′)에 끼움 전에, 걸림핀(40)이 가이드(22c)를 따라 접촉하면서, 전자석판(41′)이 전자석(53)의 핀(54) 끝이 접촉되도록 하여,
    걸림핀의 잠금이 용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의 정확성을 높인 로터리 주차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52)에 회전축(57)을 나사 결합하고, 상기 모터(59)로 회전축(57)을 회전하여 상기 내부케이스(52)의 이동, 복귀하되,
    상기 모터(59)와 회전축(57)은,
    풀리와 브이 벨트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모터의 부하를 최소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의 정확성을 높인 로터리 주차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수단은 스풀(56a)이 포함된 솔레노이드(56)로 구성하되,
    상기 솔레노이드(56)를 상기 전자석(53)과 평행하게 적어도 하나를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의 정확성을 높인 로터리 주차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수단은 스크류(56a′)가 조립된 보조 모터(56′)로 구성하되,
    상기 보조 모터(56′)를 상기 전자석(53)과 평행하게 적어도 하나를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의 정확성을 높인 로터리 주차 장치.
KR1020080112394A 2008-11-12 2008-11-12 작동의 정확성을 높인 로터리 주차 장치 KR101030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394A KR101030102B1 (ko) 2008-11-12 2008-11-12 작동의 정확성을 높인 로터리 주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394A KR101030102B1 (ko) 2008-11-12 2008-11-12 작동의 정확성을 높인 로터리 주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334A KR20100053334A (ko) 2010-05-20
KR101030102B1 true KR101030102B1 (ko) 2011-04-20

Family

ID=42278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394A KR101030102B1 (ko) 2008-11-12 2008-11-12 작동의 정확성을 높인 로터리 주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1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4924A (zh) * 2010-12-28 2011-07-27 东莞市伟创东洋自动化设备有限公司 自动旋转式垂直循环车库
KR101108006B1 (ko) * 2011-04-13 2012-01-31 동양피씨(주) 수직 순환식 주차장치
CN103147602B (zh) * 2013-03-27 2014-12-17 王忠利 一种用于机械式立体车库的车辆自动掉头装置
CN111593920A (zh) * 2020-05-28 2020-08-28 陈玉庆 一种停车结构
CN114526899B (zh) * 2022-02-21 2024-01-09 江苏申牌万向轮有限公司 一种基于磁悬浮技术的脚轮转动性能检测设备及检测方法
CN115424454B (zh) * 2022-08-25 2024-01-26 福建省城市大脑建设有限公司 一种检测车辆驻停的地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4056A (ja) 1996-12-20 1998-07-14 Mitsubishi Heavy Ind Ltd 立体駐車設備
KR200329557Y1 (ko) 2003-07-26 2003-10-10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턴테이블이 내장된 로타리 주차장치
KR20050100339A (ko) * 2005-09-16 2005-10-18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턴테이블을 가진 로터리 주차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4056A (ja) 1996-12-20 1998-07-14 Mitsubishi Heavy Ind Ltd 立体駐車設備
KR200329557Y1 (ko) 2003-07-26 2003-10-10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턴테이블이 내장된 로타리 주차장치
KR20050100339A (ko) * 2005-09-16 2005-10-18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턴테이블을 가진 로터리 주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334A (ko)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102B1 (ko) 작동의 정확성을 높인 로터리 주차 장치
KR100664968B1 (ko) 턴테이블을 가진 로터리 주차 장치
KR100997530B1 (ko) 주차설비용 차량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이송방법
KR102396107B1 (ko) 다층 구조의 스마트 주차 시스템
CN109057446B (zh) 一种立体停车场滚动式载车板存储装置及立体停车场
CN108382942B (zh) 一种双层轿厢电梯
KR20170137890A (ko) 차량 견인 장치 및 차량 견인 방법
KR102395114B1 (ko) 차량용 2단 주차설비
CN110607931B (zh) 立体停车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085370B1 (ko) 차량 이송장치
CN109488078B (zh) 一种基于agv的车辆搬运系统
KR101069711B1 (ko) 로터리 주차 장치
KR100798117B1 (ko)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방장치
CN106223683A (zh) 具有对位结构的无避让多层停车装置及停取车方法
KR101893284B1 (ko) 다층 구조의 스마트 주차 시스템
CN106337579A (zh) 升降横移车库升降传动装置
KR101011116B1 (ko) 평면왕복방식 다열 주차장치
CN209011655U (zh) 一种可折叠式立体车库
JP2012121655A (ja) エレベータの二輪車揚重装置
CN105421843B (zh) 一种多层循环立体车库中自动开合的搬运座台
KR20090021473A (ko) 승강 구동식 주차장치
KR20070098148A (ko) 평면왕복식 다열 주차장치
CN109650230B (zh) 电梯曳引系统及其控制方法
CN109057444B (zh) 一种立体停车场拨片式载车板存储装置及立体停车场
KR101893286B1 (ko) 다층 구조의 스마트 주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