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117B1 -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방장치 - Google Patents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117B1
KR100798117B1 KR1020060100410A KR20060100410A KR100798117B1 KR 100798117 B1 KR100798117 B1 KR 100798117B1 KR 1020060100410 A KR1020060100410 A KR 1020060100410A KR 20060100410 A KR20060100410 A KR 20060100410A KR 100798117 B1 KR100798117 B1 KR 100798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late
screen door
rod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재
Original Assignee
동해기전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해기전산업(주) filed Critical 동해기전산업(주)
Priority to KR1020060100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8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틀의 일측에는 승하강록킹봉을 수직으로 장착하여 솔레노이드에 의해 승하강록킹봉을 상하 작동시킬 수 있고, 승하강로킹봉의 양측에는 중간이 축으로 굴대 설치되는 수동개폐레버를 각각 설치하여 수동개폐레버에 의해 승하강로킹봉을 상하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난간형 스크린 도어 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승하강록킹봉을 수직으로 장착하여 솔레노이드에 의해 자동으로 상하 작동시키거나 수동개폐레버에 의해 상하 작동시켜 록킹 또는 록킹 상태의 해제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실시할 수 있고, 전원이 공급되는 평상시에는 자동으로 작동시키고,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에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작동시켜 스크린도어를 수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승객을 안전하게 탈출시킬 수 있게 된다.
장치틀. 솔레노이드. 제1레버. 제2레버. 승하강작동봉. 수동개페레버.

Description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방장치{A Lock Device For Rail Type Platform Screen Do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방장치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방장치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방이 가능한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방장치의 작동관계 설명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방이 가능한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방장치를 난간형 스크린도어에 설치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스크린도어장치 3: 고정벽 4: 스크린도어
10: 스크린도어 개방장치 11: 장치틀 13: 측판
15: 수직판 16: 외향돌편 20: 솔레노이드
22: 제1레버 30: 제2레버 35: 승하강록킹봉
40: 수동개폐레버 42: 축봉
본 발명은 지하철역이나 전철역의 승강장 단부에 설치되어 승객의 안전을 보호하는 스크린도어 장치에 있어서 개폐도어의 록킹 상태를 자동 및 수동으로 ON/OFF시킬 수 있도록 된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장치틀의 일측에는 승하강록킹봉을 수직으로 장착하여 솔레노이드에 의해 자동으로 상하 작동시켜 록킹 또는 록킹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승하강록킹봉의 양측에는 중간이 축으로 굴대 설치되는 수동개폐레버를 각각 설치하여 수동개폐레버에 의해 승하강록킹봉을 상하 작동시켜 록킹 또는 록킹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방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근자에 역 구내(지하철을 비롯하여 국철 및 전철)의 승강장에는 승하차 하는 승객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스크린도어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플랫폼(Platform)에 설치되는 스크린도어(PSD: Platform Screen Door)는 차상장치와 지상장치간의 통신장치인 TWC(Train to Wayside Communication)와 같은 장치에 의해 차량운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운전모드(자동운전모드: Automatic Mode, 수동운전모드: Manual Mode, 무인운전모드: Driverless Mode)등을 수행하는 ATO(Automatic Train Operation)장치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스크린 도어(PSD: Platform Screen Door)의 개폐장치는 정차한 전동차가 문을 개폐시킬 때에 연동하여 한 쌍의 문을 양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개폐시키는 장치이다.
종래의 스크린도어 개폐장치로서는 국내의 실용신안등록 제20-359711호, 실용신안등록 제20-389410호, 실용신안등록 제20-400746호,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6-96323호가 알려져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359711호(지하철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는, 안전휀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린 도어를 실린더에 의해 내외로 작동시키면서 개폐토록 된 것이다.
실용신안등록 제20-389410호(지하철용 스크린 도어 개폐장치)는 스크린패널의 상부 양측에는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권취드럼을 각각 설치하고 양측의 권취드럼에는 동일한 와이어로프의 양단을 고정하여 감아주며, 와이어로프에는 스크린도어를 고정브래킷으로 장착하여 와이어로프를 양측의 권취드럼에 선택적으로 감아주면서 스크린 도어를 이동시키면서 개폐시키도록 된 것이다.
실용신안등록 제20-400746호(난간형 스크린도어개폐장치)와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6-96323호(스크린도어 장치)는, 구동축 프레임의 양측에 풀리(구동풀리와 연동풀리)를 각각 설치하여 타이밍벨트(벨트 부재)를 걸어주고, 하나의 풀리(구동풀리)에는 감속모터를 장착하여 타이밍벨트(벨트 부재)를 정역으로 공전시키며, 타이밍벨트(벨트 부재)에는 스크린도어(문체)를 장착하여 감속모터의 정역 작동에 의해 스크린도어를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개폐하도록 된 것이다.
이들 스크린 도어 개폐장치들은 실린더에 의해 스크린도어를 작동(개폐)시키거나 또는 모터에 의해 타이밍벨트 또는 벨트 부재를 정역으로 공전시키면서 스크린도어를 작동(개폐)시키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스크린도어 개폐장치는 스크린도어를 개폐 작동시키는 단순한 장치로서, 전기선로의 이상으로 인해 전기가 잘못 공급되면 스크린도어 개방되어 단속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고, 또 다른 전기선로의 이상(비상사태) 등으로 인해 전기가 공급되지 못하면 스크린도어를 인위적으로 개방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차량이 도착한 상태에서 만약 비상사태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여 스크린도어를 개방시키지 못하게 되면 치명적인 인명손실을 배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된 난간형 스크린 도어 개방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장치틀의 일측에는 승하강록킹봉을 수직으로 장착하여 솔레노이드에 의해 승하강록킹봉을 상하 작동시킬 수 있고, 승하강로킹봉의 양측에는 중간이 축으로 굴대 설치되는 수동개폐레버를 각각 설치하여 수동개폐레버에 의해 승하강로킹봉을 상하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난간형 스크린 도어 개방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하강록킹봉을 수직으로 장착하여 솔레노이드에 의해 자동으로 상하 작동시키거나 수동개폐레버에 의해 상하 작동시켜 록킹 또는 록 킹 상태의 해제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된 난간형 스크린 도어 개방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따른 목적은 전원이 공급될 때는 평상시에는 자동으로 작동시키고,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에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작동시켜 스크린도어를 수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승객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된 난간형 스크린 도어 개방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밑판(12)이 스크린 도어장치(1)의 상단바(2)에 고정되고, 각종 장치가 밑판(12)과 측판(13) 및 수직판(15)과 상판(17)에 장착되는 장치틀(11);
로드(21)에 코일스프링(21-1)이 끼워지고, 밑판(12)의 일측에 장착 고정되는 솔레노이드(20);
측판(13)에 나란하게 고정된 제1축봉(25)과 제2축봉(33)에 각각 굴대 설치되고, 중첩부가 연동축봉(26)으로 연결되며, 솔레노이드(20)의 작동에 의해 연동되면서 승하강록킹봉(35)을 상하 작동시키는 제1레버(22) 및 제2레버(30);
상판(17)과 밑판(12)의 동일 수직선상에 뚫어진 유통공(17-1)(12-1)에 코일스프링(39)이 끼워져 수직으로 장착되어 솔레노이드(20)가 작동됨과 동시에 제1레버(22)와 연통 된 제2레버(30)에 의해 상하 작동되는 승하강록킹봉(35);
수직판(15)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외향돌편(16)에 축봉(43)으로 각각 굴대 설치되어, 내측 단이 승하강록킹봉(35)의 상측부에 형성된 작동편(37)의 하측을 받쳐 지지하고, 외측 단에 축공(42)이 뚫어진 한 쌍의 수동개폐레버(40)와;
수직판(15)의 중앙 상측부에 상하로 장착되어 상하 작동되는 승하강록킹봉(35)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제1센서(S1) 및 제2센서(S2);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방장치(10)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도어 개방장치(10)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도어 개방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작동관계 설명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을 난간형 스크린도어장치(1)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도어 개방장치(1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밑판(12)이 스크린 도어장치(1)의 상단바(2)에 고정되고 각종 장치가 장착되는 장치틀(11)은, 일측과 타측에 유통공(12-1)과 솔레노이드장착공(12-2)이 각각 뚫어진 밑판(12)의 타단에는 수직판(15)과 상판(17)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수직판(15)에 인접하여 밑판(12)의 양측에는 장착공(14-1)이 뚫어진 장착편(14)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일측 장착편(14)에 인접하여 밑판(12)의 일측에는 측판(13)을 일체로 형성하여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제1레버(22)와 제2레버(30)를 굴대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밑판(12)의 솔레노이드장착공(12-2)에는 통상의 솔레노이드(20)를 수직판(15)을 향하여 장착하였고, 솔레노이드(20)의 로드(21)에는 코일스프링(21-1)을 끼워주었으며, 로드(21)의 선단에는 로드축봉(21-2)을 장착하였다.
밑판(12)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측판(13)에는 제1레버(22) 및 제2레버(30)를 굴대 설치하였는데, 측판(13)에는 한 쌍의 제1축봉(25)과 제2축봉(33)을 나란하게 설치하였고, 각 제1축봉(25)과 제2축봉(33)에는 제1레버(22) 및 제2레버(30)의 중간을 각각 굴대 설치하였으며, 중첩되는 단부를 연동축봉(26)으로 연결하였다.
상기 제1레버(22) 및 제2레버(30)는 절곡되는 "ㄱ"형상으로 형성하였고, 일단에는 작동홈(24)(31)을 각각 형성하여, 제1레버(22)의 작동홈(24)에는 솔레노이드(20)의 로드(21)의 선단에 장착된 로드축봉(21-2)을 끼워 주었고, 제1레버(22)의 타단에는 연동축봉(26)을 장착하여 제2레버(30)의 작동홈(31)에 끼워 주었으며, 제2레버(30)의 타단에는 밀편(32)을 형성하여 승하강록킹봉(35)의 중간에 형성된 작동편(37)의 하단을 받쳐 지지하도록 하였다.
상판(17)과 밑판(12)에는 유통공(17-1)(12-1)을 각각 동일 수직선상에 뚫어 코일스프링(39)이 끼워진 승하강록킹봉(35)을 수직으로 장착하였는데, 상기 승하강록킹봉(35)은 중간의 작동편(37)을 기준으로 상측에는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고 상부 외주면에 나사테가 형성된 상측작동봉(38)을 일체로 형성하여 코일스프링(39)을 끼운 상태에서 상판(17)의 유통공(17-1)에 삽입시켜 외주면에 나사테가 돌출되도록 한 다음 너트(38-1)를 체결시키고, 작동편(37)의 하측에는 지름이 상대적으로 큰 하측록킹봉(36)을 일체로 형성하여 밑판(12)의 유통공(12-1)에 삽입하였다.
수직판(15)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외향돌편(16)에는 수동개폐레버(40)를 축봉(43)으로 각각 굴대 설치하되, 수동개폐레버(40)의 내측 단에 의해 승하강록킹봉(35)의 상측부에 형성된 작동편(37)의 하측을 받쳐 지지하도록 하였고, 외측 단에는 축공(42)을 뚫어 주었다.
수직판(15)의 중앙 상측부에는 한 쌍의 제1센서(S1) 및 제2센서(S2)를 상하로 장착하고 승하강록킹봉(35)의 작동편(37)을 센싱하여 개폐상태를 감지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제1센서(S1) 및 제2센서(S2)로서는 근접센서 또는 광센서(발광 및 수광)를 설치하였다.
이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도어개방장치(10)는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도어장치(1)에서 공정벽(3)의 상측에 얹혀지는 상단바(2)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고정벽(3)의 내외로 입출되는 스크린도어(4)의 작동을 자동 및 수동으로 단속할 때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도어개방장치(10)는 승하강록킹봉(35)이 하향된 상태가 록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도어개방장치(10)의 자동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승하강록킹봉(35)이 하향 되어 록킹 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20)에 전원이 공급되면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인출되어 있던 로드(21)가 솔레노이드(2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로드축봉(21-2)을 당기게 되고, 로드축봉(21-2)이 당겨지게 되면 제1레버(22)는 제1축봉(25)을 축(기준)으로 하여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1레버(22)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연동축봉(26)으로 연결된 제2레버(30)는 제2축봉(33)을 축(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2레버(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타단의 밀편(32)은 승하강록킹봉(35)의 작동편(37)을 상향시키게 된다.
승하강록킹봉(35)의 작동편(37)이 상승하게 되면 하향 되어 있던 하측록킹봉(36)이 상승하면서 스크린도어(4)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록킹공(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음)을 벗어나게 되고, 따라서 잠금(록킹)상태는 해제되며, 상기와 같이 잠금(록킹)상태가 해제된 스크린도어(4)는 작동(개방)되어 개방된다.
반면에 개방된 스크린도어(4)가 닫아지게 되면 솔레노이드(20)는 역으로 작동한다.
솔레노이드(20)가 역으로 작동하면 인입되었던 로드(21)가 인출되면서 로드축봉(21-2)을 밀어 주게 되고, 로드축봉(21-2)이 밀어지면 제1레버(22)는 제1축봉(25)을 축(기준)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레버(2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연동축봉(26)으로 연결된 제2레버(30)는 제2축봉(33)을 축(기준)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2레버(30)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승하강록킹봉(35)의 작동편(37)을 상향하여 받쳐 지지하고 있던 타단의 밀편(32)은 하향하게 된다.
밀편(32)이 하향하게 되면 압축되었던 코일스프링(39)이 탄발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므로 승하강록킹봉(35)은 하향하게 되고, 승하강록킹봉(35)의 하향에 의해 하측록킹봉(36)이 하향하여 스크린도어(4)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록킹공(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음)으로 삽입되면서 잠금(록킹)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잠금(록킹) 상태가 되면 스크린도어(4)는 작동(개방)되지 못하고 억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도어개방장치(10)를 수동으로 작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승하강록킹봉(35)이 하향하여 록킹된 상태에서 전원이 차단되어 솔레노이드(20)를 작동시킬 수 없는 상태에서 수동개폐레버(40)를 작동시킨다.
스크린도어장치(1)의 고정벽(3)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잠금쇠뭉치(5)에 열쇠를 삽입하여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고정벽(3)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레버(8)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작동레버(6)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축(6-1)으로 연결된 연동레버(7)를 하향시키게 되고, 연동레버(7)가 하향하게 되며 축(7-1)으로 연결된 수동개폐레버(40)는 축봉(40)을 기준(축)으로 하여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수동개폐레버(40)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수동개폐레버(40)의 타단은 승하강록킹봉(35)의 작동편(37)을 상향시키게 된다.
승하강록킹봉(35)의 작동편(37)이 상승하게 되면 하향 되어 있던 하측록킹봉(36)이 상승하면서 스크린도어(4)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록킹공(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음)을 벗어나게 되고, 따라서 잠금(록킹)상태는 해제되며, 상기와 같이 잠금(록킹)상태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스크린도어(4)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스크린도어(4)를 닫은 상태에서 잠금쇠뭉치(5) 또는 개폐레버(8)를 역(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작동레버(6)는 상향(시계방향) 회전하게 되고, 작동레버(6)가 상향(시계방향) 회전하게 되면 연동레버(7)는 상승하며, 연동레버(7)가 상승하면 축(7-1)으로 연결된 수동개폐레버(40)는 축봉(43)을 기준(축)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수동개폐레버(40)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압축되었던 코일스프링(39)이 탄발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므로 승하강록킹봉(35)은 하향하게 되고, 승하강록킹봉(35)의 하향에 의해 하측록킹봉(36)이 하향하여 스크린도어(4)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록킹공(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음)으로 삽입되면서 잠금(록킹)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잠금(록킹)상태가 되면 스크린도어(4)는 작동(개방)되지 못하고 억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솔레노이드(20)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시키거나 잠금쇠뭉치(5) 또는 개폐레버(8)에 의해 수동개폐레버(40)를 수동으로 작동시켜 승하강록킹봉(35)을 승강 및 하강시키면서 록킹 또는 로킹상태를 해제시킬 때에 상하 이동하는 작동편(37)을 상측과 하측의 제2센서(S2) 및 제1센서(S1)가 이를 감지(센싱)하여 록킹 또는 해제 상태의 정보를 메인시스템(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간형 스크린 도어 개방장치는, 장치틀의 일측에는 승하강록킹봉을 수직으로 장착하여 솔레노이드에 의해 승하강록킹봉을 상하 작동시킬 수 있고, 승하강로킹봉의 양측에는 중간이 축으로 굴대 설치되는 수동개폐레버를 각각 설치하여 수동개폐레버에 의해 승하강로킹봉을 상하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승하강록킹봉을 수직으로 장착하여 솔레노이드에 의해 자동으로 상하 작동시키거나 수동개폐레버에 의해 상하 작동시켜 록킹 또는 록킹 상태의 해제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실시할 수 있고, 전원이 공급되는 평상시에는 자동으로 작동시키고,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에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작동시켜 스크린도어를 수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승객을 안전하게 탈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밑판(12)이 스크린 도어장치(1)의 상단바(2)에 고정되고, 각종 장치가 밑판(12)과 측판(13) 및 수직판(15)과 상판(17)에 장착되는 장치틀(11);
    로드(21)에 코일스프링(21-1)이 끼워지고, 밑판(12)의 일측에 장착 고정되는 솔레노이드(20);
    측판(13)에 나란하게 고정된 제1축봉(25)과 제2축봉(33)에 각각 굴대 설치되고, 중첩부가 연동축봉(26)으로 연결되며, 솔레노이드(20)의 작동에 의해 연동되면서 승하강록킹봉(35)을 상하 작동시키는 제1레버(22) 및 제2레버(30);
    상판(17)과 밑판(12)의 동일 수직선상에 뚫어진 유통공(17-1)(12-1)에 코일스프링(39)이 끼워져 수직으로 장착되어 솔레노이드(20)가 작동됨과 동시에 제1레버(22)와 연통 된 제2레버(30)에 의해 상하 작동되는 승하강록킹봉(35);
    수직판(15)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외향돌편(16)에 축봉(43)으로 각각 굴대 설치되어, 내측 단이 승하강록킹봉(35)의 상측부에 형성된 작동편(37)의 하측을 받쳐 지지하고, 외측 단에 축공(42)이 뚫어진 한 쌍의 수동개폐레버(40)와;
    수직판(15)의 중앙 상측부에 상하로 장착되어 상하 작동되는 승하강록킹봉(35)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제1센서(S1) 및 제2센서(S2);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밑판(12)이 스크린 도어장치의 상단바에 고정되고 각종 장치가 장착되는 장치틀(11)은,
    일측에 솔레노이드장착공(12-2)이 뚫어진 밑판(12)의 타단에는 수직판(15)과 상판(17)을 일체로 형성한 것과;
    수직판(15)에 인접하여 밑판(12)의 양측에는 장착공(14-1)이 뚫어진 장착편(14)을 각각 일체로 형성한 것과;
    일측 장착편(14)에 인접하여 밑판(12)의 일측에는 측판(13)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측판(13)의 제1 축봉(25)과 제 2축봉(33)에 굴대 설치되는 제 1레버(22) 및 제 2레버(30)는;
    절곡되는 "ㄱ"형상으로 형성한 것과;
    각 레버의 일단에는 작동홈(24)(31)을 각각 형성하여, 제1레버(22)의 작동홈(24)에는 솔레노이드(20)의 로드(21)의 선단에 장착된 로드축봉(21-2)을 끼워 주고, 제1레버(22)의 타단에는 연동축봉(26)을 장착하여 제2레버(30)의 작동홈(31)에 끼워 준 것과;
    제2레버(30)의 타단에는 밀편(32)을 형성하여 승하강록킹봉(35)의 중간에 형성된 작동편(37)의 하단을 받쳐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판(17)과 밑판(12)의 유통공(17-1)(12-1)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승하강록킹봉(35)은;
    중간의 작동편(37)의 상측에는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은 상측작동봉(38)을 일체로 형성하여 코일스프링(39)을 끼운 상태에서 상판(17)의 유통공(17-1)에 삽입시킨 것과;
    작동편(37)의 하측에는 지름이 상대적으로 큰 하측록킹봉(36)을 일체로 형성하여 밑판(12)의 유통공(12-1)에 삽입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방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직판(15)의 중앙 상측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 1센서(S1) 및 제 2센서(S2)는;
    근접센서 또는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방장치.
KR1020060100410A 2006-10-16 2006-10-16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방장치 KR100798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410A KR100798117B1 (ko) 2006-10-16 2006-10-16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410A KR100798117B1 (ko) 2006-10-16 2006-10-16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8117B1 true KR100798117B1 (ko) 2008-01-28

Family

ID=39219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410A KR100798117B1 (ko) 2006-10-16 2006-10-16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811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073B1 (ko) 2009-11-30 2010-09-28 주식회사 피에쓰링크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록킹장치
KR101109659B1 (ko) 2011-08-30 2012-03-21 김태식 스크린도어 잠금장치
KR101397459B1 (ko) 2012-08-27 2014-05-20 (주)하나토건 승강장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
KR101481261B1 (ko) 2013-04-25 2015-01-12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지하철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의 비상문의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하철 승강장의 비상문
KR101871674B1 (ko) * 2017-10-31 2018-06-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잠금장치
KR101936513B1 (ko) * 2017-07-05 2019-01-11 노준형 도어 잠금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700126A (ko) * 1983-11-17 1985-10-25 레그랑 삐에르 대중 수송차량의 운반장치
KR960704750A (ko) * 1994-07-26 1996-10-09 미첼 존 뉴스테드 문 턱
KR20020033331A (ko) * 2000-10-30 2002-05-06 정희종 전동차 승강장의 발 빠짐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700126A (ko) * 1983-11-17 1985-10-25 레그랑 삐에르 대중 수송차량의 운반장치
KR960704750A (ko) * 1994-07-26 1996-10-09 미첼 존 뉴스테드 문 턱
KR20020033331A (ko) * 2000-10-30 2002-05-06 정희종 전동차 승강장의 발 빠짐 방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073B1 (ko) 2009-11-30 2010-09-28 주식회사 피에쓰링크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록킹장치
KR101109659B1 (ko) 2011-08-30 2012-03-21 김태식 스크린도어 잠금장치
KR101397459B1 (ko) 2012-08-27 2014-05-20 (주)하나토건 승강장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
KR101481261B1 (ko) 2013-04-25 2015-01-12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지하철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의 비상문의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하철 승강장의 비상문
KR101936513B1 (ko) * 2017-07-05 2019-01-11 노준형 도어 잠금 장치
KR101871674B1 (ko) * 2017-10-31 2018-06-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8117B1 (ko)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방장치
CN101362567A (zh) 电梯的轿厢固定装置
CN108263937A (zh) 电梯层站门解锁系统
JP3363711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扉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101992065B1 (ko) 탑차의 측면 도어 자동 오픈 및 폐쇄장치
KR100500728B1 (ko)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KR101689936B1 (ko)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JP3170559B2 (ja) エレベータの乗かごの固定装置
KR101027799B1 (ko) 전동 개폐형 차고문
KR100622395B1 (ko) 자기부상열차 선로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구조물
JPH0812228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11573486A (zh) 一种集成轿门锁门刀
JP5239243B2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及びその改修方法
KR102060507B1 (ko) 공동주택 건축용 창호롤러 교체구조
JP2010037921A (ja) 引戸の開閉装置
KR100728455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 제어 장치
JP2010030725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9091098A (ja) エレベータ用ホールドア
JP4748556B2 (ja) 機械式駐車装置用の安全装置
KR100867590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
CN218844164U (zh) 一种带有定位机构的防火卷帘门
CN216297461U (zh) 一种新型实验室用通风柜
JP2008087921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の改修方法
JPH0331834Y2 (ko)
CN209740448U (zh) 具有远程安全救援功能的电梯救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