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590B1 -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590B1
KR100867590B1 KR1020070139968A KR20070139968A KR100867590B1 KR 100867590 B1 KR100867590 B1 KR 100867590B1 KR 1020070139968 A KR1020070139968 A KR 1020070139968A KR 20070139968 A KR20070139968 A KR 20070139968A KR 100867590 B1 KR100867590 B1 KR 100867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oor
closing
locking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배
정기용
Original Assignee
(주)제일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공업 filed Critical (주)제일공업
Priority to KR1020070139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5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66B13/146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method or algorithm for controlling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는,
도어베이스에 좌우로 이격 설치된 아이들풀리 사이를 정역으로 공전하는 개폐작동로프의 상측로프와 하측로프에 도어행거를 각각 장착하고, 각 도어행거에는 좌측도어와 우측도어를 각각 장착하여, 개폐작동로프를 정역으로 공전시키면서 도어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는 도어행거와 함께 좌측도어와 우측도어가 양측으로 이동하여 개방되거나 내측으로 이동하여 폐쇄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도어가 장착되는 도어행거의 상단 내측과 도어베이스와의 사이에는 도어가 닫아지면 록킹되고 도어가 개방되면 록킹 상태가 해제되며 록킹상태에서는 일정한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록킹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된 제1개폐제어시건장치를 장착하고,
상기 제1개폐제어시건장치가 장착된 도어행거의 외측 단부와 도어베이스와의 사이에는 개방된 도어를 억류시키고 일정한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록킹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된 제2무단폐쇄방지시건장치를 장착한 것으로서;
도어가 닫아진 상태에서는 제1개폐제어시건장치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2무단폐쇄방지시건장치에 의해 닫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가 개방되거나 또는 개방된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Figure R1020070139968
엘리베이터개폐장치. 드라이빙감속모터. 좌측도어. 우측도어. 개폐용기동풀리. 개폐용연동풀리.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 제1개폐제어시건장치. 제2무단폐쇄방지시건장치. 시소작동레버. 록킹레버. 작동록킹편. 탄발플레이트. 고정록킹편.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A Door Locking Control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주로 고층아파트와 일반 고층빌딩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문(도어)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어베이스에는 한 쌍의 아이들풀리를 좌우로 이격 설치하여 개폐작동로프를 걸어 주고, 개폐작동로프의 상부 일측에서 도어베이스에는 개폐용기동풀리와 개폐용연동풀리를 이격 설치하여 개폐용벨트를 걸어주되 개폐용기동풀리는 드라이빙감속모터에 의해 정역으로 공전시키며, 개폐용벨트에는 도어행거에 장착된 개방방지시건장치를 장착하고 개폐용벨트의 타측에서 개폐작동로프에는 타측 도어행거를 장착하며, 개폐용벨트를 드라이빙감속모터에 의해 정역으로 공전시키면 도어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는 양측 도어행거와 함께 좌측도어와 우측도어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개방되거나 내측으로 이동하여 폐쇄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도어가 장착되는 도어행거 중에서 일측 도어행거의 상단 내측과 도어베이스와의 사이에는, 도어를 닫아 록킹시키거나 개방하여 록킹를 해제시키기 위하여 개폐용 벨트를 정역시키면 닫힘 또는 개방 상태가 록킹되고, 록킹상태에서는 일정한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록킹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된 제1개폐제어시건장치를 장착하고,
상기 제1개폐제어시건장치가 장착된 도어행거의 외측 단부와 도어베이스와의 사이에는 개방된 도어를 억류시키고, 일정한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록킹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된 제2무단폐쇄방지시건장치를 장착하여서 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주로 각종 고층건물에 설치되는 통상의 엘리베이터장치는 엘리베이터(카)가 승하강장치에 의해 승강 및 하강하게 되고, 엘리베이터(카)는 전면에 하나 또는 한 쌍의 문(개폐문)이 설치되어 출입구를 개방시키거나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 쌍의 지지프레임(3)이 배면에 이격 고정된 도어베이스(2)의 전면에는 한 쌍의 아이들풀리(16-1)(16-2)가 일격 설치되어 있고, 이격 설치된 아이들풀리(16-1)(16-2)에는 개폐작동로프(17)가 걸어져 있으며, 아이들풀리(16-1)(16-2) 중에서 어느 일측의 아이들풀리를 드라이빙감속모터(5)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시키면 개폐작동로프(17)가 정역으로 공전하도록 되어 있다.
개폐작동로프(17)에서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는 로프의 양측에는 좌측도어행거(11)와 우측도어행거(12)가 각각 장착되어 있고, 좌측도어행거(11)와 우측도어행 거(12)에는 행거롤러(11-1)(11-2)(12-1)(12-2)가 각각 굴대 설치되어 도어베이스(2)의 전면 하측에 횡으로 장착된 도어레일(1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좌측도어행거(11)와 우측도어행거(12)에는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는, 아이들풀리(16-1)(16-2) 중에서 어느 일측의 아이들풀리를 드라이빙감속모터(5)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개폐작동로프(17)가 정역으로 공전하게 되고, 개폐작동로프(17)가 정역으로 공전하게 되면 행거롤러(11-1)(11-2)(12-1)(12-2)가 장착된 좌측도어행거(11)와 우측도어행거(12)가 도어레일(13)을 따라 근접하거나 이격되면서 장착된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를 폐쇄시키거나 또는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는, 좌측도어(9-1)와 우측도어(9-2)를 개폐 작동시키는 단순 기능을 실행하는 기동모터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고, 기동모터를 설치함으로써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개폐작동로프(17)의 정역 공전에 의해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를 단순하게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닫혀져 있는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에 적당한 힘을 가하게 되면 쉽게 개방되어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다소 나마 해소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는 국내의 실용신안등록 제20-392167호 "록킹장치를 갖춘 엘리베이터 도어 시스템" 알려져 있다.
이는 아이들풀리의 사이에 걸어진 구동벨트(개폐작동로프)에 고정브라켓을 고정시키고, 고정브라켓에 도어용 행거프레임을 장착하되, 일측의 고정브라켓에는 선단이 V형록킹부로 된 록킹바를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발되도록 장착하고 도어프레임의 중앙부에는 고정롤러를 힌지핀으로 장착하여, 도어프레임이 중앙으로 집결하여 도어가 닫아질 때에 록킹바의 선단에 형성된 V형록킹부의 내경사면이 고정롤러에 걸리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발되는 록킹바의 V형록킹부의 내경사면이 고정롤러에 단순하게 걸려 억류되어 있으므로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이 약하면 도어를 쉽게 개방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을 강하게 하면 도어를 인위적으로 개방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방방지시건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도어베이스에는 한 쌍의 아이들풀리를 좌우로 이격 설치하여 개폐작동로프를 걸어 주고, 개폐작동로프의 상부 일측에서 도어베이스에는 개폐용기동풀리와 개폐용연동풀리를 이격 설치하여 개폐용벨트를 걸어주되 개폐용기동풀리는 드라이빙감속모터에 의해 정역으로 공전시키며, 개폐용벨트에는 도어행거에 장착된 개방방지시건장치를 장착하고 개폐용벨트의 타측에서 개폐작동로프에는 타측 도어행거를 장착하며, 개폐용벨트를 드라이빙감속모터에 의해 정역으로 공전시키면 도어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는 양측 도어행거와 함께 좌측도어와 우측도어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개방되거나 내측으로 이동하여 폐쇄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도어가 장착되는 도어행거의 상단 내측과 도어베이스와의 사이에는, 도어가 닫아지면 록킹되고 도어가 개방되면 록킹 상태가 해제되며 록킹 상태에서는 일정한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록킹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된 제1개폐제어시건장치를 장착하고,
상기 제1개폐제어시건장치가 장착된 도어행거의 외측 단부와 도어베이스와의 사이에는 개방된 도어를 억류시키고, 일정한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록킹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된 제2무단폐쇄방지시건장치를 장착하여서 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가 닫아진 상태에서는 제1개폐제어시건장치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2무단폐쇄방지시건장치에 의해 닫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가 개방되거나 또는 개방된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도어베이스(2)의 전면 중간에는 한 쌍의 아이들풀리(16-1)(16-2)를 좌우로 이격 설치하여 개폐작동로프(17)를 걸어 주고, 개폐작동로프(17)의 상부 일측에서 도어베이스(2)에는 개폐용기동풀리(30)와 장력조절장치(25)에 의해 장력을 조절하도록 된 개폐용연동풀리(31)를 이격 설치하여 개폐용벨트(32)를 걸어주되 개폐용기동풀리(30)는 드라이빙감속모터(5)에 의해 정역으로 공전시키며, 개폐용벨트(32)에는 좌측도어행거(11)에 장착된 개방방지시건장치의 상측을 장착하고 개폐용벨트(32)의 타측에서 개폐작동로프(17)에는 우측도어행거(12)를 장착하며, 개폐용벨트(32)를 드라이빙감속모터(5)에 의해 정역으로 공전시키면 개폐작동로프(17)가 정역으로 공전되면서 도어레일(13)에 의해 가이드되는 양측 좌측도어행거(11) 및 우측도어행거(12)를 내외로 이동시켜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도록 된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개폐용벨트(32)와 좌측도어행거(11)와의 사이에 장착되는 개방방지시건장치를, 도어가 닫아지면 록킹되고 도어가 개방되면 록킹 상태가 해제되며 록킹상태에서는 일정한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록킹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된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로 한 것과;
상기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가 장착된 좌측도어행거(11)의 외측 단부와 도어베이스(2)와의 사이에는, 개방된 도어를 억류시키고 일정한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록킹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된 제2무단폐쇄방지시건장치(42)를 장착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40)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는,
도어베이스에 좌우로 이격 설치된 아이들풀리 사이를 정역으로 공전하는 개폐작동로프의 상측로프와 하측로프에 도어행거를 각각 장착하고, 각 도어행거에는 좌측도어와 우측도어를 각각 장착하여, 개폐작동로프를 정역으로 공전시키면서 도어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는 도어행거와 함께 좌측도어와 우측도어가 양측으로 이동하여 개방되거나 내측으로 이동하여 폐쇄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도어가 장착되는 도어행거의 상단 내측과 도어베이스와의 사이에는, 도어가 닫아지면 록킹되고 도어가 개방되면 록킹 상태가 해제되며 록킹상태에서는 일정한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록킹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된 제1개폐제어시건장치를 장착하고,
상기 제1개폐제어시건장치가 장착된 도어행거의 외측 단부와 도어베이스와의 사이에는 개방된 도어를 억류시키고, 일정한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록킹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된 제2무단폐쇄방지시건장치를 장착하여서 된 것으로서;
도어가 닫아진 상태에서는 제1개폐2제어시건장치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2무단폐쇄방지시건장치에 의해 닫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가 개방되거나 또는 개방된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40)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40)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도어개폐장치(1)를 보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40)를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와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40)의 작동관계 설명도이다.
도 4와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40)에 설치되는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와 제2무단폐쇄방지시건장치(42)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40)가 장착된 엘리베이터 도어개폐장치(1)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도어베이스(2)의 배면에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3)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고정시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엘리베이터(카 본체)의 상측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어베이스(2)의 전면 중간에는 한 쌍의 아이들풀리(16-1)(16-2)를 좌우로 이격 설치하여 개폐작동로프(17)를 걸어 주고, 개폐작동로프(17)의 상부 일측에서 도어베이스(2)에는 개폐용기동풀리(30)와 장력조절장치(25)에 의해 장력을 조절하도록 된 개폐용연동풀리(31)를 이격 설치하여 개폐용벨트(32)를 걸어주었으며, 개 폐작동로프(17)의 하측에는 도어레일(13)을 장착하였다.
상기 개폐용기동풀리(30)는 도어베이스(2)의 상단 중앙에 설치된 드라이빙감속모터(5)의 메인기동풀리(6)와 메인벨트(8)로 연결하여 드라이빙감속모터(5)에 의해 정역으로 공전시키도록 하였고, 드라이빙감속모터(5)의 일측에는 컨트롤박스(4)를 설치하여 엘리베이터 도어개폐장치(1)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폐용벨트(32)에는 좌측도어행거(11)에 장착된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의 상측을 장착하고 개폐용벨트(32)의 타측에서 개폐작동로프(17)에는 우측도어행거(12)를 장착하며, 개폐용벨트(32)를 드라이빙감속모터(5)에 의해 정역으로 공전시키면 개폐작동로프(17)가 정역으로 공전되면서 도어레일(13)에 의해 가이드되는 양측 좌측도어행거(11) 및 우측도어행거(12)를 내외로 이동시켜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도록 하였다.
특히, 개폐용벨트(32)와 좌측도어행거(11)와의 사이 및 도어베이스(20)의 중앙에는,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가 닫아지면 록킹되고 개방되면 록킹 상태가 해제되며 록킹상태에서는 일정한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록킹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된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를 장착하였다.
또한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가 장착된 좌측도어행거(11)의 외측 단부와 도어베이스(2)와의 사이에는, 개방된 도어를 억류시키고 일정한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록킹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된 제2무단폐쇄방지시건장치(42)를 장착하였다.
상기 각 좌측도어행거(11) 및 우측도어행거(12)의 양측에는 행거롤러(11-1)(11-2)(12-1)(12-2)를 각각 굴대 설치하였고, 도어베이스(2)의 전면 하측에는 도 어레일(6)을 횡으로 고정 설치하여 각 좌측도어행거(11) 및 우측도어행거(12)의 행거롤러(11-1)(11-2)(12-1)(12-2)가 도어레일(13)의 상면에서 롤링하면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였으며, 각 좌측도어행거(11) 및 우측도어행거(12)에는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를 각각 장착하였다.
우측도어(10-2)와 도어베이스(2)와의 사이에는 유도가이드수단을 구비하여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가 정확하게 개폐 유도하도록 하였다.
상기 유도가이드수단은 도 1에 구체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23-1)과 하경사면(23-2)이 일체로 된 유도가이드(23)를 도어베이스(2)의 중앙부에 장착하되 하경사면(23-2)이 외측을 향하도록 장착하였고, 우측도어(10-2)에는 가이드롤러(22)가 굴대 설치된 가이드롤러지지대(21)를 각각 장착하였으며,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가 닫아질 때에 가이드롤러(22)가 하경사면(23-2)으로 유도되어 수평면(23-1)에 안치되도록 하였다.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 및 도어베이스(2)와의 사이에는 게이트스위치(25)와 개폐확인스위치뭉치(14) 및 완충스톱퍼(15)를 각각 설치하여, 게이트스위치(25)와 개폐확인스위치뭉치(14)에 의해서는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도록 하였고, 완충스톱퍼(15)에 의해서는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가 닫아질 때에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게이트스위치(25)는 우측도어행거(12)에 지지대(26-1)를 고정하고 지지대(26-1)의 상단에 터치편(26)을 설치하여 우측도어행거(12)가 개폐될 때에 의해 터치편(26)이 게이트스위치(25)를 ON/OFF시키도록 하였다.
개폐용벨트(32)와 좌측도어행거(11)와의 사이 및 도어베이스(20)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는 도 2a와 도 2b 및 도 3과 도 4에 구체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좌측도어행거(11)의 내측(우측) 상단에는 메인베이스(65)를 장착볼트(66)로 장착하였고, 메인베이스(65)의 외측부에는 록킹레버(60)를 축(64)으로 설치하되 베어링(64-1)을 개입시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하였고, 메인베이스(65)의 중앙에서 하측에는 레버회전제어봉(77)을 설치하고 상측에는 시소작동레버(50)의 하단을 시소고정축(53)으로 장착하되 베어링(64)을 개입시켜 시소작동레버(50)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록킹레버(60)는, 상면 내단에 록킹편(61)을 형성하였고, 록킹편(61)의 하측에 록킹홈(64)을 형성하였으며, 내면에는 접촉단부(63)를 수직으로 형성하였다.
메인베이스(65)의 상단에 하단이 시소고정축(53)으로 장착되는 시소작동레버(50)의 상단을 장착편(45)에 의해 개폐용벨트(32)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벨트의 내측 단부에 고정시켰다.
시소작동레버(50)의 상단에는 롤링축(51)을 장착하되 베어링(52)을 개입시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장착하였고, 롤링축(51)은 개폐용벨트(32)의 상면과 하면에 상측장착편(45-1)과 하측장착편(45-2)을 접속시킨 상태에서 장착볼트(46)로 체결하여 일체형으로 장착하였으며, 시소작동레버(50)의 양측에는 좌측록킹봉(55)과 우측록킹봉(56-1)을 각각 설치하였다.
특히, 우측록킹봉(56-1)에는 캠플러베어링(56)을 장착하여 캠플러베어링(56)이 작동록킹편(70)의 록킹단부(71)를 따라 원활하게 롤링되면서 진입 또는 이탈되도록 하였다.
도어베이스(20)의 중앙에는 보조베이스(75)를 장착볼트(76)에 의해 장착 고정시키고, 보조베이스(75)의 양단(선단과 후단)에는 스톱퍼(78)를 고정시켰으며, 스톱퍼(78)의 내측에는 작동록킹편(70)을 축(73)으로 굴대 설치하되 베어링(73-1)을 개입시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보조베이스(75)와 작동록킹편(70)과의 사이에는 탄발수단으로서 축(73)에 끼워지는 토션스프링(74)을 걸어 주어서 작동록킹편(70)을 외향으로 탄발되도록 하였다.
상기 작동록킹편(70)은 상면 선단에는 외면이 만곡면으로 된 록킹단부(71)를 돌출되게 형성하였고, 밑면 후단에는 접속단부(72)를 형성하여 스톱퍼(78)에 의해 후방으로 회전하는 것(작동)이 제어되도록 하였다.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가 장착된 좌측도어행거(11)의 외측 단부와 도어베이스(2)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40)의 제2무단폐쇄방지시건장치(42)는 도 2a와 도 3 및 도 5a와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좌측도어행거(11)의 외측 단부에는 상측탄발편(81)과 하측탄발편(82)이 선단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된 탄발플레이트(80)의 후단을 한 쌍의 장착볼트(88)에 장착하였고, 상측탄발편(81)과 하측탄발편(82)의 각 선단에는 롤러(81-1)(82-1)를 각각 장착하였으며, 상측탄발편(81)과 하측탄발편(82)의 후단에는 스프링지지봉(84-1)(84-2)을 각각 장착하여 스프링지지봉(84-1)(84-2)과 장착볼트(88)에는 확개방지 메인스프링(89)으로서 토션스프링을 걸어 상측탄발편(81)과 하측탄발편(82)이 대향하게 탄발되도록 하였다.
특히, 탄발플레이트(80)의 내측에는 스프링걸이축(85)을 장착하여 상측탄발편(81)과 하측탄발편(82)의 후단에 장착된 스프링지지봉(84-1)(84-2)과 스프링걸이축(85)에는 압축보조스프링(86)으로서 토션스프링을 걸어 주었으며, 스프링걸이축(85)에는 부싱(85-1)을 끼우고 압축보조스프링(86)을 결합시켰다.
상기 탄발플레이트(80)의 중앙 수평선상에서 도어플레이트(2)의 단부에는 원판형의 고정록킹편(90)을 장착축(93)으로 장착 고정시키되, 고정록킹편(90)의 선단 중앙에는 첨예부(91)를 형성하고 후단에는 후단협소편(92)을 일체로 형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40)의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와 제2무단폐쇄방지시건장치(42)가 장착된 엘리베이터 도어개폐장치(1)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개폐장치(1)는 도 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가 닫아지거나 또는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동한다.
엘리베이터 도어개폐장치(1)의 드라이빙감속모터(5)가 작동하여 메인기동풀리(6)를 정역으로 회전시키면 메인벨트(8)가 정역으로 공전하면서 메인연통풀리(7)를 정역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메인연통풀리(7)가 정역으로 회전하게 되면, 메인연통풀리(7)와 동일한 축에 장착된 개폐용기동풀리(30)도 정역으로 회전하게 되고, 개폐용기동풀리(30)가 정역으로 회전하게 되면 개폐용연동풀리(31)와의 사이에 걸어진 개폐용벨트(32)가 정역으로 공전하게 되며, 개폐용벨트(32)가 정역으로 공전하게 되면 개폐용벨트(32)에 상단이 장착된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가 정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가 정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좌측도어행거(11)와 함께 아이들풀리(16-1)(16-2)의 사이에 걸어진 개폐작동로프(17)가 정역으로 이동(공전)하게 된다.
좌측도어행거(11)와 함께 개폐작동로프(17)가 정역으로 이동(공전)하게 되면 개폐작동로프(17)에 장착된 우측도어행거(12)도 함께 정역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좌측도어행거(11)와 우측도어행거(12)에 장착된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는 개방되거나 닫아지게 된다.
즉, 드라이빙감속모터(5)의 작동에 의해 개폐용기동풀리(30)와 개폐용연동풀리(31)에 걸어진 개폐용벨트(32)가 정역으로 공전하고, 이어서 아이들풀리(16-1)(16-2)에 걸어진 개폐작동로프(17)가 정역으로 공전하게 되며, 개폐용벨트(32)와 개폐작동로프(17)에 각각 장착된 좌측도어행거(11)와 우측도어행거(12)가 도어레일(13)을 따라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이들 좌측도어행거(11)와 우측도어행거(12)에 장착된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를 닫아 입구를 폐쇄시키거나 또는 열어 입구를 개방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개방된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가 닫아지거나 개방될 때에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드라이빙감속모터(5)가 정역으로 작동하여 개폐용벨트(32)를 정역으로 공전시키게 되면 장착편(45)에 의해 개폐용벨트(32)에 장착된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와 함께 좌측도어행거(11)가 정역(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와 함께 좌측도어행거(11)가 정역(좌우)로 이동하게 되면 개폐작동로프(17)도 정역으로 함께 공전하게 되며, 따라서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는 개폐 작동된다.
상기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개폐장치(1)가 작동하여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가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를 형성하는 시소작동레버(50)와 메인베이스(65)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유 상태에서 내측으로 이동하여 작동록킹편(70)에 록킹되고,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가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가 작동록킹편(70)에서 이탈되어 록킹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엘리베이터 도어개폐장치(1)가 작동하기 전 상태 즉,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 개폐용벨트(32)는 장력조절장치(25)측으로 완전히 이동되어 있으므로,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를 형성하는 시소작동레버(50)와 메인베이스(65)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유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를 형성하는 시소작동레버(50)와 메인베이스(65)가 자유로운 상태에서, 드라이빙감속모터(5)가 작동하여 개폐용벨트(32)를 공전시켜서 개방되어 있던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를 내측으로 이동시켜 닫아주게 되면, 장착편(45)에 의해 개폐용벨트(32)에 일체형으로 장착되어 있는 시소작동레버(50)와 좌측도어행거(11)에 장착되어 있는 메인베이스(65)가 함께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를 형성하는 시소작동레버(50)와 메인베이스(65)가 내측으로 완전히 이동하게 되면, 시소작동레버(50)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개폐용벨트(32)에 의해 좀 더 이끌리면서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같이 이동하는 상태에서 개폐용벨트(32)가 더욱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시소작동레버(50)가 강제적으로 이끌리면서 시소고정축(53)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시소작동레버(50)가 시소고정축(53)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우측록킹봉(56-1)의 캠플러베어링(56)이 작동록킹편(70)의 록킹단부(71)를 타고 넘어가 걸리게 되고, 캠플러베어링(56)이 록킹단부(71)를 타고 넘어갈 때에 토션스프링(74)에 의해 외측으로 탄발되는 작동록킹편(70)은 선단이 하측으로 기울어지면서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캠플러베어링(56)은 록킹단부(71)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소작동레버(50)의 캠플러베어링(56)이 작동록킹편(70)의 록킹단부(71)에 걸려지게 되면 토션스프링(74)이 작동록킹편(70)을 외향으로 회전시키려 하므로 캠플러베어링(56)은 록킹단부(71)에 더욱 강력하게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가 중앙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시소작동레버(50)의 캠플러베어링(56)이 작동록킹편(70)의 록킹단부(71)에 걸려진 상태가 되면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는 강한 힘을 가하지 않고서는 강제로 개방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시소작동레버(50)의 캠플러베어링(56)이 작동록킹편(70)의 록킹단부(71)에 걸려진 상태에서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를 강제로 개방시키고자 할 때에는, 좌측도어(10-1)에 강한 힘을 가하여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가 장착된 좌측도어행거(11)와 함께 개폐용기동풀리(30)와 개폐용연동풀리(31)와의 사이에 걸어져 있는 개폐용벨트(32)를 강제적으로 공전시켜야 하지만, 개폐용벨트(32)가 드라이빙감속모터(5)의 메인기동풀리(6)에 걸려 있으므로 결국 드라이빙감속모터(5)를 강제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강한 힘으로 밀어 주어야 한다.
좌측도어(10-1)에 강한 힘을 가하여 밀어주게 되면 개폐용벨트(32)와 함께 드라이빙감속모터(5)는 서서히 역으로 공전 및 역회전하게 되고, 개폐용벨트(32)가 역회전하게 되면 시소작동레버(50)는 시소고정축(53)을 기준으로 역회전하게 되며, 시소작동레버(50)가 역회전하게 되면 우측록킹봉(56-1)의 캠프러베어링(56)은 작동록킹편(70)의 록킹단부(71)를 상측으로 이탈하여 벗어나게 된다.
우측록킹봉(56-1)의 캠프러베어링(56)이 작동록킹편(70)의 록킹단부(71)를 상측으로 이탈하여 벗어나면서 시소작동레버(50)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시소작동레버(50)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좌측록킹봉(55)이 록킹레 버(60)의 록킹편(61)을 넘어 록킹홈(62)으로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좌측록킹봉(55)이 록킹레버(60)의 록킹홈(62)에 걸린 상태에서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는 장력조절장치(25)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닫아져 있던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를 강제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닫아져 있던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를 개방시키기 위해 드라이빙감속모터(5)를 역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개폐용벨트(32)가 역으로 공전하면서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와 함께 좌측도어행거(11)를 외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가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개폐작동로프(17)가 역으로 공전하면서 우측도어행거(12)를 외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따라서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는 서서히 개방된다.
특히, 드라이빙감속모터(5)가 역으로 작동하여 개폐용벨트(32)를 역으로 공전시키면서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를 외측으로 이동시킬 때에,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는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를 강제로 개방시키는 것과 같은 과정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하게 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드라이빙감속모터(5)가 역으로 작동하여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가 완전히 개방되면 좌측도어(10-1)에 장착된 제2무단폐쇄방지시건장치(42)가 작동하여 좌측도어(10-1)의 개방상태를 강제로 유지시키게 된다.
좌측도어(10-1)가 개방되면 제2무단폐쇄방지시건장치(42)를 형성하는 탄발플레이트(80)가 좌측도어행거(11)와 함께 외측으로 이동하고, 좌측도어행거(11)와 함께 외측으로 이동하는 탄발플레이트(80)는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측탄발편(81)과 하측탄발편(82)의 선단에 장착된 롤러(81-1)(82-1)가 고정록킹편(90)의 첨예부(91)까지 도달하게 된다.
상측탄발편(81)과 하측탄발편(82)의 선단에 장착된 롤러(81-1)(82-1)가 고정록킹편(90)의 첨예부(91)까지 도달한 상태에서 좌측도어행거(11)와 함께 탄발플레이트(80)가 외측으로 더욱 이동하게 되면 롤러(81-1)(82-1)는 첨예부(91)의 상면과 밑면을 따라 확개되면서 고정록킹편(90)을 넘어 후단협소편(92)의 상면과 밑면에 접촉되어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측탄발편(81)과 하측탄발편(82)의 선단에 장착된 롤러(81-1)(82-1)가 후단협소편(92)의 상면과 밑면에 접촉되어 고정록킹편(90)에 걸려지게 되면 좌측도어(10-1)는 상당한 힘을 가하지 않고서는 강제적으로 닫을 수 없게 되고, 따라서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는 스스로 닫아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강제적으로 닫을 수 없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이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가 개방되어 제2무단폐쇄방지시건장치(42)에 의해 억류되어 있는 상태에서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를 닫아주고자 할 때에는 드라이빙감속모터(5)를 역으로 작동시켜 줌으로서 자동으로 닫을 수 있게 된다.
드라이빙감속모터(5)가 역으로 작동하여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를 닫아 줄 때에 드라이빙감속모터(5)의 힘에 의해 탄발플레이트(80)가 당겨지게 되고, 탄발플레이트(80)가 당겨지게 되면 롤러(81-1)(82-1)가 고정록킹편(90)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상측탄발편(81)과 하측탄발편(82)은 확장되며, 롤러(81- 1)(82-1)가 고정록킹편(90)을 자연스럽게 벗어나(넘어) 첨예부(91)로 이동하게 되면 상측탄발편(81)과 하측탄발편(82)은 다시 압축된 후에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40)는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와 제2무단폐쇄방지시건장치(42)에 의해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가 닫혀져 있거나 개방된 상태에서 강한 힘을 가하여야만 강제로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닫아진 도어를 강제로 개방할 때에 강함 힘을 가해야만 억지로 개방할 수 있고 개방된 도어는 스스로 닫아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며, 따라서 도어가 닫혀져 있거나 개방되어 있을 을 때에는 도어를 임의로 개방하거나 닫을 수 없게 되어 탑승자 및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대하여만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를 보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측면도.
도 2a 및 도 2b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와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의 작동관계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에 설치되는 제1개폐제어시건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 정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에 설치되는 제2무단폐쇄방지시건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 정면도 및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엘리베이터개폐장치 2: 도어베이스 5: 드라이빙감속모터
10-1: 좌측도어 10-2: 우측도어 11: 좌측도어행거
12: 우측도어행거 14: 개폐확인스위치뭉치 15: 완충스톱퍼
25: 장력조절장치 30: 개폐용기동풀리 31: 개폐용연동풀리
32: 개폐용벨트 40: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
40-1: 제1개폐제어시건장치 40-2: 제2무단폐쇄방지시건장치
50: 시소작동레버 60: 록킹레버 70: 작동록킹편
80: 탄발플레이트 90: 고정록킹편

Claims (9)

  1. 도어베이스(2)의 전면 중간에는 한 쌍의 아이들풀리(16-1)(16-2)를 좌우로 이격 설치하여 개폐작동로프(17)를 걸어 주고, 개폐작동로프(17)의 상부 일측에서 도어베이스(2)에는 개폐용기동풀리(30)와 장력조절장치(25)에 의해 장력을 조절하도록 된 개폐용연동풀리(31)를 이격 설치하여 개폐용벨트(32)를 걸어주되 개폐용기동풀리(30)는 드라이빙감속모터(5)에 의해 정역으로 공전시키며, 개폐용벨트(32)에는 좌측도어행거(11)에 장착된 개방방지시건장치의 상측을 장착하고 개폐용벨트(32)의 타측에서 개폐작동로프(17)에는 우측도어행거(12)를 장착하며, 개폐용벨트(32)를 드라이빙감속모터(5)에 의해 정역으로 공전시키면 개폐작동로프(17)가 정역으로 공전되면서 도어레일(13)에 의해 가이드되는 양측 좌측도어행거(11) 및 우측도어행거(12)를 내외로 이동시켜 좌측도어(10-1)와 우측도어(10-2)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도록 된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개폐용벨트(32)와 좌측도어행거(11)와의 사이에 장착되는 개방방지시건장치를, 도어가 닫아지면 록킹되고 도어가 개방되면 록킹 상태가 해제되며 록킹상태에서는 일정한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록킹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된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로 한 것과;
    상기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가 장착된 좌측도어행거(11)의 외측 단부와 도어베이스(2)와의 사이에는, 개방된 도어를 억류시키고 일정한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록킹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된 제2무단폐쇄방지시건장치(42)를 장착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개폐용벨트(32)와 좌측도어행거(11)와의 사이에 장착되는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는;
    좌측도어행거(11)의 내측 상단에 메인베이스(65)를 장착하고, 메인베이스(65)의 외측부에는 록킹레버(60)를 축(64)으로 설치하며, 메인베이스(65)의 중앙에서 하측에는 레버회전제어봉(77)을 설치한 것과;
    메인베이스(65)의 상단에는 시소작동레버(50)의 하단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시소고정축(53)으로 장착하고, 시소작동레버(50)의 양측에는 좌측록킹봉(55)과 우측록킹봉(56-1)을 각각 설치하며, 시소작동레버(50)의 상단을 장착수단에 의해 개폐용벨트(32)를 형성하는 하측 벨트의 내측 단에 장착한 것과;
    도어베이스(20)의 중앙에는 보조베이스(75)를 장착 고정시키고, 보조베이스(75)의 외측 단부에는 스톱퍼(78)를 고정시키며, 스톱퍼(78)의 내측에는 작동록킹편(70)을 축(73)으로 굴대 설치하며, 보조베이스(75)와 작동록킹편(70)과의 사이에는 축(73)에 끼워지는 토션스프링(74)을 걸어 작동록킹편(70)이 외향으로 탄발되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개폐제어시건장치(41)가 장착된 좌측도어행거(11)의 외측 단부와 도어베이스(2)와의 사이에 장착되는 제2무단폐쇄방지시건장치(42)는;
    좌측도어행거(11)의 외측 단부에는 상측탄발편(81)과 하측탄발편(82)이 선단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된 탄발플레이트(80)의 후단을 한 쌍의 장착볼트(88)로 장착한 것과;
    상측탄발편(81)과 하측탄발편(82)의 각 선단에는 롤러(81-1)(82-1)를 각각 장착한 것과;
    상측탄발편(81)과 하측탄발편(82)의 후단에는 스프링지지봉(84-1)(84-2)을 각각 장착하여 스프링지지봉(84-1)(84-2)과 장착볼트(88)에는 확개방지메인스프링(89)을 걸어 상측탄발편(81)과 하측탄발편(82)이 대향하게 탄발되도록 한 것과;
    탄발플레이트(80)의 중앙 수평선상에서 도어플레이트(2)의 단부에는 고정록킹편(90)의 선단 중앙에 첨예부(91)가 형성되고 후단에 후단협소편(92)이 일체로 형성된 원판형의 고정록킹편(90)을 장착 고정시킨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메인베이스(65)에 굴대 장착되는 록킹레버(60)는;
    상면 내단에 록킹편(61)을 형성하고, 록킹편(61)의 하측에 록킹홈(64)을 형성한 것과;
    내면에는 접촉단부(63)를 수직으로 형성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메인베이스(65)에 장착된 시소작동레버(50)의 상단을 장착편(45)에 의해 개폐용벨트(32)에 장착시키는 장착수단은;
    시소작동레버(50)의 상단에는 롤링축(51)을 장착하되 베어링(52)을 개입시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장착한 것과;
    롤링축(51)은 개폐용벨트(32)의 상면과 하면에 상측장착편(45-1)과 하측장착편(45-2)을 접속시킨 상태에서 장착볼트(46)로 체결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보조베이스(75)에 축(73)으로 장착되는 작동록킹편(70)은;
    상면 선단에는 외면이 만곡면으로 된 록킹단부(71)를 돌출되게 형성한 것과;
    밑면 후단에는 접속단부(72)를 형성하여 스톱퍼(78)에 의해 후방으로 회전이 제어되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시소작동레버(50)의 일측에 설치되는 우측록킹봉(56-1)에는 캠플러베어링(56)을 더 장착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탄발플레이트(80)의 내측에는 스프링걸이축(85)을 더 장착하여 상측탄발편(81)과 하측탄발편(82)의 후단에 장착된 스프링지지봉(84-1)(84-2)과 스프링걸이축(85)에는 압축보조스프링(86)을 걸어 준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
  9.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스프링지지봉(84-1)(84-2)과 장착볼트(88)에 걸어지는 확개방지메인스프링(89) 및 스프링지지봉(84-1)(84-2)과 스프링걸이축(85)에 걸어지는 압축보조스프링(86)은;
    토션스프링인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
KR1020070139968A 2007-12-28 2007-12-28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 KR100867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968A KR100867590B1 (ko) 2007-12-28 2007-12-28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968A KR100867590B1 (ko) 2007-12-28 2007-12-28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7590B1 true KR100867590B1 (ko) 2008-11-10

Family

ID=40283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968A KR100867590B1 (ko) 2007-12-28 2007-12-28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5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7132A (zh) * 2021-05-25 2021-08-27 天津市特种设备监督检验技术研究院(天津市特种设备事故应急调查处理中心) 安全电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638Y1 (ko) 1997-12-31 2000-04-01 백영문 엘리베이터용 전동도어 기계장치
KR200376236Y1 (ko) 2004-11-23 2005-03-08 (주)금보엘리베이터 록킹장치를 갖춘 엘리베이터 도어
KR100550154B1 (ko) 2002-10-21 2006-02-07 (주)금보엘리베이터 록킹장치를 갖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638Y1 (ko) 1997-12-31 2000-04-01 백영문 엘리베이터용 전동도어 기계장치
KR100550154B1 (ko) 2002-10-21 2006-02-07 (주)금보엘리베이터 록킹장치를 갖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
KR200376236Y1 (ko) 2004-11-23 2005-03-08 (주)금보엘리베이터 록킹장치를 갖춘 엘리베이터 도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7132A (zh) * 2021-05-25 2021-08-27 天津市特种设备监督检验技术研究院(天津市特种设备事故应急调查处理中心) 安全电梯
CN113307132B (zh) * 2021-05-25 2022-09-02 天津市特种设备监督检验技术研究院(天津市特种设备事故应急调查处理中心) 安全电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9945B2 (en) Device for preventing travel of an elevator with its doors open
KR102060564B1 (ko)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CN101362567A (zh) 电梯的轿厢固定装置
KR101865413B1 (ko)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
JPWO2018138896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798117B1 (ko)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방장치
KR100867590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무단개폐제어시건장치
CN103974869B (zh) 机械升降运载工具
CN112499446A (zh) 一种井道升降机轿厢的自动水平门装置
US9643820B2 (en) Device for preventing travel of an elevator with its doors open
CN111153311B (zh) 泄压装置及电梯
JP2000211859A (ja) エレベ―タドア装置
KR20020093527A (ko)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록킹장치
KR100820946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방방지시건장치
JP2009166933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CN107720505B (zh) 一种电梯轿门门刀及解锁装置
JP5319712B2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装置
JP597164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ロック装置
JPH07106856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CN107640687B (zh) 一种电梯门机
CN111573486A (zh) 一种集成轿门锁门刀
KR101303408B1 (ko) 전동식 도어용 잠금장치
JP2003312968A (ja) かご側ドアーの施錠装置
KR20090019683A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CN209704389U (zh) 无地坎的门及其立体车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