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9711B1 - 로터리 주차 장치 - Google Patents

로터리 주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711B1
KR101069711B1 KR1020080070635A KR20080070635A KR101069711B1 KR 101069711 B1 KR101069711 B1 KR 101069711B1 KR 1020080070635 A KR1020080070635 A KR 1020080070635A KR 20080070635 A KR20080070635 A KR 20080070635A KR 101069711 B1 KR101069711 B1 KR 101069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tary
guide
shaf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826A (ko
Inventor
이상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Priority to KR1020080070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711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4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endless conveyor chains having load-carrying parts moving vertically, e.g. paternoster lifts also similar transport in which cells are continuously mechanically linked together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리 주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팔레트(21)를 행거(22)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된 캐리어(20)와; 골조 구조의 메인프레임(10)에, 다수개의 어태치먼트(15)가 메인모터(12)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를 가진 로터리부와; 축(75a)의 양단에 링크(75b)가 각각 고정되고, 상기 링크(72b) 끝단에 롤러(75c)가 조립된 리프트링크(75)를 구성하여, 상기 리프트링크(75)를 다수개 설치한 회전부(70)를 베이스부(60) 내부에서 180° 회전하도록 구성한 턴테이블(80)이 구성되어; 상기 로터리부의 어태치먼트(15)에 상기 캐리어(2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로터리부 하부에 턴테이블(80)을 설치한 로터리 주차 장치를 구성하여, 상기 캐리어(20)에 차(1)를 주차하면, 상기 턴테이블(80)의 리프트링크(75) 회전으로, 팔레트(21)를 들어올린 다음, 캐리어(20)를 180° 회전하고, 다시 리프트링크(75)의 회전으로, 캐리어(20)가 복귀한 후에, 메인모터(12)의 작동으로 차(1)가 주차된 캐리어(20)를 이동하여, 다음의 빈 캐리어가 대기하도록 하는 것이다.
로터리 주차 장치, 링크, 체인, 기어, 턴테이블, 집전기, 순환, 충돌 방지

Description

로터리 주차 장치 { the rotary parking apparatus }
본 발명은 로터리 주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면에 역삼각형 단면 형상의 고정구가 다수개 설치된 팔레트가 행거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된 캐리어와; 골조 구조의 메인프레임에, 다수개의 어태치먼트가 메인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를 가진 로터리부와; 축의 양단에 링크가 각각 고정되고, 상기 링크 끝단에 중앙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홈을 형성하는 롤러가 설치된 리프트링크가 설치된 회전부가 베이스부 내부에서 180° 회전하도록 구성한 턴테이블이 구성되어; 상기 로터리부의 어태치먼트에 상기 캐리어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로터리부 하부에 턴테이블을 설치한 로터리 주차 장치를 구성하여, 상기 캐리어에 차를 주차하면, 상기 턴테이블의 리프트링크 회전으로, 캐리어를 들어올린 다음, 캐리어를 180° 회전하고, 다시 리프트링크를 회전한 다음에, 메인모터에 의해 차를 주차한 캐리어가 회전하고, 빈 캐리어가 대기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축건물을 지을 때에는, 건축 규정에 따라 일정한 주차 공간을 마련해야하므로, 집을 새로 지을 때에는 적절한 공간을 배정하여 주차 공간을 마련하는데, 대개 지하 공간이나 1층 전체, 또는 건물의 측면 공간을 사용함에 따라, 실제 지어지는 건물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므로, 별도의 공간에 주차 설비를 구성하기도 한다.
또한, 별도의 주차설비로는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그 중에서도 로터리 주차 장치는 프레임으로 구조물을 구성하고, 이에 자동차를 개별적으로 주차하는 캐리어를 복수개 구성하여, 이 캐리어를 타원 형태로 순환시키면서 여러 대의 차량을 주차하도록 설계한 주차 장치로, 일정 평수만 있으면 높이를 계속해서 올려 주차할 수 있는 차량수를 늘릴 수 있어, 공간 절약이 되고 동작도 간단하여, 많이 설치되고 있다.
그리하여 국내등록실용신안 제0329557호의 ‘턴테이블이 내장된 로터리 주차장치’에 의하면, 로터리 주차장치의 캐리어 하부에 턴테이블을 구성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는 하부에 구성한 원형은 내경부에 톱니부를 가지고, 내경의 둘레를 따라 교대로 구비 동작하는 회전 유압실린더가 구성되고, 승강을 위한 승강 유압 실린더가 더 구비된 구조의 턴테이블이 구성되어, 상기 승강 유압 실린더에 의해 턴테이블이 상승하고, 상기 교대로 구비한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턴테이블이 회전하는 구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통상의 로터리 주차 장치는 차를 그대로 집어넣게 되면, 후에 차를 뺄 때, 후진으로 빼야하므로 불편한 문제가 있었으며, 대체로 바깥 측에 차의 위치를 180°로 바꿔주는 턴테이블이 있으나, 이는 주차해 넣기까지 또 후진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공개된 국내등록실용신안에서는, 회전 유압실린더 및 승강 유압실린더와 같이 유압 실린더가 다수개 설치되어야 하므로, 유압회로가 복잡해지고, 상기 유압실린더를 작동하는데, 다른 유압장치가 부수적으로 더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턴테이블 내부로 유압 실린더가 실치되고, 따라서, 유압 실린더의 크기는 한정될 수밖에 없어서, 차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설치하는 유압 실린더를 많이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주차하는 차의 하중의 상한치를 낮춰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공개된 국내등록실용신안에서는 개별 캐리어의 상부에는 회전축이 있으며, 이는 회전 할 때 외에는 그 유동 및 회전을 잡아주기 위해 고정홈에 잠금핀이 끼움되도록 하는 전자 잠금 장치를 구성하고 있으나, 이는 잠금핀이 하나만 구성되어 그 유동을 효과적으로 잡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외에도 상기 로터리 주차장치에 주차를 할 때, 주차할 위치는 운전자가 눈대중이나 감각으로 주차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저면에 역삼각형 단면 형상의 고정구가 다수개 설치된 팔레트가 행거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된 캐리어와; 골조 구조의 메인프레임에, 다수개의 어태치먼트가 메인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를 가진 로터리부와; 축의 양단에 링크가 각각 고정되고, 상기 링크 끝단에 중앙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홈을 형성하는 롤러가 설치된 리프트링크가 설치된 회전부가 베이스부 내부에서 180° 회전하도록 구성한 턴테이블이 구성되어; 상기 로터리부의 어태치먼트에 상기 캐리어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로터리부 하부에 턴테이블을 설치한 로터리 주차 장치를 구성하여, 상기 캐리어에 차를 주차하면, 상기 턴테이블의 리프트링크 회전으로, 팔레트를 들어올린 다음, 캐리어를 180° 회전하고, 다시 리프트링크를 회전하여 캐리어가 복귀한 다음에, 메인모터에 의해 차가 주차된 캐리어가 이동하고, 빈 캐리어가 턴테이블 상부로 대기하여, 기존의 턴테이블과 달리 유압실린더 대신 리프트링크가 사용되어, 턴테이블의 높이가 낮고,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각 리프트링크는 회전은, 회전전달부에 의해 각각 이루어지되, 일단은 각각 수나사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스프라켓이 조립된 동력전달축과; 중앙에 암나사가 형성된 나사축이 더 구비되어, 상기 동력전달축의 수나사로 나사축을 조립한 회전전달부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부의 양쪽에 회전 가능한 지지축을 마주보게 구성한 지지구를 설치하며, 상기 회전전달부의 동력전달축이, 각각 상기 지지 구의 지지축에 베어링으로 지지·회전되도록 조립하고, 상기 리프트링크의 회전링크에 상기 회전전달부의 나사축의 양단을 조립하여, 상기 모터에 의해 체인으로 동력전달축을 회전 및 나사축의 이동으로 리프트링크가 회전되어, 롤러가 상승하도록 하여, 안전하게 캐리어를 상승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의 베이스부에는 일측이 트인 형태로 가이드를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에는 체인을 설치하며, 상기 회전부에는 모터를 설치하고, 상기 모터축에는 스프로켓을 설치하여, 상기 스프로켓에는 상기 베이스부의 가이드에 조립한 체인을 걸쳐서, 상기 회전부의 모터가 체인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회전부를 회전을 용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저면에 역삼각형 단면 형상의 고정구가 다수개 설치된 팔레트가 행거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된 캐리어와; 골조 구조의 메인프레임에, 다수개의 어태치먼트가 메인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를 가진 로터리부와; 축의 양단에 링크가 각각 고정되고, 상기 링크 끝단에 중앙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홈을 형성하는 롤러가 설치된 리프트링크가 설치된 회전부가 베이스부 내부에서 180° 회전하도록 구성한 턴테이블이 구성되어; 상기 로터리부의 어태치먼트에 상기 캐리어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로터리부 하부에 턴테이블을 설치한 로터리 주차 장치를 구성하여, 상기 캐리어에 차를 주차하면, 상기 턴테이블의 리프트링크 회전으로, 팔레트를 들어올린 다음, 캐리어를 180° 회전하고, 다시 리프트링크를 회전하여 캐리 어가 복귀한 다음에, 메인모터에 의해 차가 주차된 캐리어가 이동하고, 빈 캐리어가 턴테이블 상부로 대기하여, 기존의 턴테이블과 달리 유압실린더 대신 리프트링크가 사용되어, 턴테이블의 높이가 낮고,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각 리프트링크는 회전은, 회전전달부에 의해 각각 이루어지되, 일단은 각각 수나사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스프라켓이 조립된 동력전달축과; 중앙에 암나사가 형성된 나사축이 더 구비되어, 상기 동력전달축의 수나사로 나사축을 조립한 회전전달부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부의 양쪽에 회전 가능한 지지축을 마주보게 구성한 지지구를 설치하며, 상기 회전전달부의 동력전달축이, 각각 상기 지지구의 지지축에 베어링으로 지지·회전되도록 조립하고, 상기 리프트링크의 회전링크에 상기 회전전달부의 나사축의 양단을 조립하여, 상기 모터에 의해 체인으로 동력전달축을 회전 및 나사축의 이동으로 리프트링크가 회전되어, 롤러가 상승하도록 하여, 캐리어를 상승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의 베이스부에는 일측이 트인 형태로 가이드를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에는 체인을 설치하며, 상기 회전부에는 모터를 설치하고, 상기 모터축에는 스프로켓을 설치하여, 상기 스프로켓에는 상기 베이스부의 가이드에 조립한 체인을 걸쳐서, 상기 회전부의 모터가 체인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회전부를 회전을 용이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캐리어에는 걸림핀을 구성하여, 캐리어의 안전성을 높이고, 상기 걸림핀의 해제를 위한 걸림해제부를 구성하여 컬림핌의 걸림 및 해제를 용이하 게 하며, 상기 캐리어의 상승과 상기 걸림핀의 해제에 따른 정보를 집전기로 각각 전달받아, 각 작동에 따른 정보 정달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로터리 주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팔레트(21)를 행거(22)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된 캐리어(20)와; 골조 구조의 메인프레임(10)에, 다수개의 어태치먼트(15)가 메인모터(12)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를 가진 로터리부와; 축(75a)의 양단에 링크(75b)가 각각 고정되고, 상기 링크(72b) 끝단에 롤러(75c)가 조립된 리프트링크(75)를 구성하여, 상기 리프트링크(75)를 다수개 설치한 회전부(70)를 베이스부(60) 내부에서 180° 회전하도록 구성한 턴테이블(80)이 구성되어; 상기 로터리부의 어태치먼트(15)에 상기 캐리어(2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로터리부 하부에 턴테이블(80)을 설치한 로터리 주차 장치를 구성하여, 상기 캐리어(20)에 차(1)를 주차하면, 상기 턴테이블(80)의 리프트링크(75) 회전으로, 팔레트(21)를 들어올린 다음, 캐리어(20)를 180° 회전하고, 다시 리프트링크(75)의 회전으로, 캐리어(20)가 복귀한 후에, 메인모터(12)의 작동으로 차(1)가 주차된 캐리어(20)를 이동하여, 다음의 빈 캐리어가 대기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주차 장치는, 차(1)를 개별적으로 주차하는 다수개의 캐리어(20), 상기 캐리어(20)가 가이드레일(11)을 따라 회전토록 하는 로터리부, 상기 로터리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20)를 들어올려 180°로 회전하는 턴 테이블(80)로 구성되며, 로터리부의 캐리어(20) 이동과, 상기 턴테이블(80)의 작동은, 외부의 메인 컨트롤러의 제어와, 각 작동에 따른 신호를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전달하여 순차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터리부 및 캐리어로는 인체에 무해한 1 내지 24볼트(AC 또는 DC)의 전기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로터리부와 턴테이블(80)에 대한 각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는데, 먼저, 로터리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로타리부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조 구조로 형성된 메인프레임(10)이 구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에 상·하부에 각각 고정형의 상부스프라켓(14) 및 반원형의 하부스프라켓(14′)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스프라켓의 하부에 회전형의 구동스프라켓(14″)이 설치되며, 상기 마주하는 상부스프라켓(14), 하부스프라켓(14′) 및 구동스프라켓(14″)에 걸쳐 메인체인(13)이 설치되는데, 상기 상부스프라켓(14), 하부스프라켓(14′), 구동스프라켓(14″) 및 메인체인(13)의 구조는 상기 메인프레임(10)에 서로 마주보게 한 쌍씩 설치하고, 마주하는 구동스프라켓(14″)은 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일측의 구동스프라켓(14″)에 메인모터(12)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여, 마주하는 메인체인(13)을 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마주하는 메인체인(13)을 따라 적정 간격으로 어태치먼트(15)가 다수개, 정확하게는 설치할 캐리어(20)의 수만큼 서로 마주보게 고정되어, 상기 메인모터(12)의 작동으로 어태치먼트(15)가 메인체인(13)을 따라 회전하는데, 상기 참고로, 상기 마주하는 어태치먼트(15)에는 후설하는 캐리어(20)의 상부 양단이 고 정된다.
상기 어태치먼트(15)에는,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된 이격판(15a)을 일체로 형성하는데, 상기 이격판(15a)은, 메인체인(13)과 후설하는 걸림해제부(40)와의 간섭을 방지한다.
또한, 도2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에는, 충돌방지롤러부(16)를 구성하는데, 상기 출돌방지롤러부(16)는, 판형의 지지부(16a) 사이에, 다수개의 롤러(16b)를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으로, 상기 롤러(16b)는, 강도가 우수하고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롤러(16b)의 길이는,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설치되는 제일 하부에 위치하는 캐리어(20)와 그 상부 양쪽의 캐리어(20)가 이동하면서, 행거(22), 자세하게는, 행거(22)의 사이드프레임(22a)이 이동하는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에 설치되는 캐리어(10)가 턴테이블(80) 상부로 이동할 때나, 또는, 턴테이블(80) 상부에서 대기하고 있는 캐리어(20)가 상부로 이동할 때, 주변의 캐리어(20)와의 간섭 및 충돌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일측, 자세하게는, 로터리부의 후면에는, ‘
Figure 112008052189018-pat00001
’ 단면 , 또는, ‘
Figure 112008052189018-pat00002
’단면을 가지는 가이드레일(11)을 좌·우 방향 각각 수직 형상이고, 상·하 방향은 원호 형상으로 고정하되, 상기 가이드레일(11)은 후설 할 캐리어(20)에 고정된 모든 가이드롤러(24a)가 안내되도록 하므로, 상기 가이드레 일(11)의 형태는, 상기 형상 외에도 캐리어(20)의 가이드롤러(24a)의 수와 위치에 따른 자취점을 따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차(1)를 지지·수용하는 캐리어(20)를 설명하면, 이는 도1 및 도4에 바와 같이, 차(1)가 얹히는 팔레트(21), 상기 팔레트(21)를 일정 거리를 두고 지지하는 행거(22), 상기 팔레트(21)와 행거(22)를 지지하는 지지부(23)로 구성하며, 먼저 팔레트(21)는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어 이 위로 차(1)를 주차하는 것으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팔레트(21)에는 차(1)가 주차할 때 타이어(2)가 지나가는 길을 따라 상대적으로 아래로 파인 타이어가이드(21a)를 형성하고, 또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팔레트(21) 저면에는 고정구(21b)를 설치하되, 상기 고정구(21b)는 하부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단면, 즉 역삼각형의 단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구(21b)로는 일정 각도의 앵글 또는 삼각형 단면의 형강을 팔레트(21) 저면에 일체되게 다수개 설치하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고정구(21b)는, 후설하는 리프트링크(75)의 링크(75c)의 위치와 개수도 일치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팔레트(21)의 저면에는 일정높이 및 폭을 가진 이탈방지구(21c)를 한 쌍을 일정 거리를 두어 일체로 구성한다.
그리고 행거(22)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Figure 112010085981343-pat00003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22a)을 이격되게 두고, 상기 마주하는 사이드프레임(22a)의 상단에 탑프레임(22b)이 일체로 고정된 구조로 구성하며, 상기 탑프레임(22b) 상면 중심에는, 도4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22b′)이 상부로 돌출 고정되고,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탑프레임(22b) 양단 중앙에는 내측으로 파인 걸림홈(22b″)을 형성하는데, 상기 행거(22)는 기존 로터리 주차 장치에 일반적인 구조이므로, 상기 팔레트(21)에 주차된 차(1)가 지지될 수 있도록 다른 형상으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지지부(23)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폭을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짜인 프레임으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된 회전공(23′)을 형성하고, 도7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3) 양쪽 하단에는 ‘
Figure 112010085981343-pat00004
’ 형상의 걸림구(23a)를 마주보게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양쪽에는 브라켓(23c) 을 설치하고, 상기 각 브라켓(23c)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축(23b)을 각각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3)의 길이 방향, 좌·우 양쪽에는 밸런스롤러(23d)가 고정되는데, 상기 밸런스롤러(23d)는 지지부(23)의 저면을 향하고 있고, 밸런스롤러(23d)의 하부는 지지부(23) 저면보다 조금 더 낮은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밸런스롤러(23d) 하부에서 행거(22)가 상승 또는 회전할 때 충격을 완화하도록 한다.
또, 상기 지지부(23)의 일측 걸림구(23a)에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걸림핀(30)을 형성하는데, 상기 걸림핀(30)의 슬라이딩을 위한 구조는 뒤에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또한, 도1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3)의 일측면, 자세하게는, 상기 걸림핀(30)이 형성된 방향의 지지부(23) 측면에는 보조지지구(24)를 추가로 더 고정하되, 상기 보조지지구(24)는 사각 모양으로 프레임을 구성한 것으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가 트인 사각 구조로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는데, 이외에도, ‘
Figure 112010085981343-pat00005
’의 형상과 같이, 상대적으로 높이를 달리한 사각 구조나, 또는,‘
Figure 112010085981343-pat00006
’의 형상과 같이, 온전히 사각 모양 구조의 프레임으로 구성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보조지지구(24)의 네 모서리에는 가이드롤러(24a)를 설치하여, 상기 보조지지구(24)가 지지부(23) 일단에 고정되는 구조이며, 참고로, 상기 보조지지구(24) 측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어태치먼트(15)가 고정되며, 상기 캐리어(20)가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롤러(24a)가 상기 가이드레일(11)을 따라 구름·이동한다.
또한,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3)에는 이동집전구(25)가 구성되는데, 상기 이동집전구(25)는, 상기 보조지지부(23)의 측면, 또는, 같은 방향의 지지부(23)에 고정되며, 이는 고정브라켓(25a), 절연판(25b), 전도판(25c)(25c′)로 구성되며, 먼저 고정브라켓(25a)은, 판형의 고정판(25a′)과, 완만한 호의 형태로 일정 폭을 가지는 접촉판(25a″)이 수직으로 일체 결합되어, ‘
Figure 112008052189018-pat00007
’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고정판(25a′)이 상기 지지부(23)에 고정되고, 상기 접촉판(25a″)과 같이 같은 호의 형태를 가지는 절연판(25b), 전도판(25c)(25c′)가 더 구비되어, 상기 고정된 고정브라켓(25a)의 저면으로는 접촉판(25a″) 전체를 덮는 절연판(25b)을 고정하고, 상기 고정된 절연판(25b) 하부에는 한 쌍(두 개)의 전도 판(25c)(25c′)을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 거리를 두어 고정 한다.
참고로, 상기 이동집전구(25)의 절연판(25b)는 베크라이트와 같이 전기를 절연하는 재질을 사용하고, 상기 전도판(25c)(25c′)은, 구리와 같이 전기를 잘 전도하는 재질을 사용한다.
아울러, 상기 이동집전구(25)의 각 전도판(25c)(25c′)은 한 쌍으로써, 각각 전도판(25c)(25c′)은, 후설하는 리미트스위치(23c)와 리미트스위치(36)와 각각 전선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행거(22)의 회전축(22b′)을 지지부(23)의 회전공(23′)에 끼워 행거(22)가 지지부(23)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하되,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행거(22) 상부의 탑프레임(22b)의 양단이 상기 지지부(23) 하단의 걸림구(23a)의 내측으로 안착하고, 상기 탑프레임(22b)이 지지부(23)의 걸림구(22a)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핀 지지부(23)의 걸림홈(22b″)에 항상 끼움된 상태를 가지는 구조의 캐리어(20)를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23)의 걸림구(22a)에 걸린 탑프레임(22b)의 양단 상면과 지지부(23) 저면 사이에는 공간이 있어, 상기 탑프레임(22b)이 상승할 공간이 있으며, 상기 지지부(23)에는 리미트스위치(23c)를 설치하여, 탑프레임(22b)의 상승에 대한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리미트스위치(23c)는, 상기 이동집전구(25)의 전도판(25c)과 전선으로 연결되어, 탑프레임(22b)의 상승에 대한 신호가 상기 리미트스위치(23c)에 의해 인지되어, 탑프레임(22b)의 상승의 신호를 이동 집전구(25)의 전도판(25c)에 의해 메인 컨트롤러로 전달한다.
추가로, 앞서 설명한 캐리어(20)의 걸림핀(30)이 걸림홈(22b″)에서 해제되는 구조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일단에 전자석판(31d)이 일체로 형성된 로드(31)를 상기 걸림핀(30)에 연결하여, 상기 전자석판(31d)을 전자석(44)에 의해 당겨지면, 끼움된 걸림핀(30)을 해제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걸림핀(30)의 해제를 위한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에 전도체의 전자석판(31d)이 일체로 형성된 로드(31)를 구성하고, 상기 로드(31)를 상기 걸림핀(30)과 연결하면서 상기 로드(31)가 지지부(23)의 일측의 회전축(23b)을 통과하고, 회전축(23b) 바깥 측으로 전자석판(31d)을 돌출하도록 한다.
또, 도7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석판(31d)과 걸림핀(30) 사이에는 다수개의 브라켓을 설치하되, 연결브라켓(32)은, 수평 높이가 다른 걸림핀(30)과 로드(31)를 연결하며, 관통된 구멍을 형성하는 가이드브라켓(33)을 구성하여, 상기 가이드브라켓(33)을 로드(31)에 끼워 지지부(23)에 설치한다.
그래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브라켓(33)와 가이드브라켓(33) 사이에는 스프링(34a)이 끼움되어, 상기 스프링(34a)에 의해 로드(31) 이동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도록 하고, 또,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석판(31d) 방향의 회전축(23b) 끝단 내측에는 오링홈(23b′)을 형성하고, 상기 오링홈(23b′)에는 오링(35)을 삽입하여, 하중에 의해 로드(31)가 휘어지는 경우, 전자석판(31d)과 전자석(44)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23)의 회전축(23b)을 고정한 브라켓(23c)과 가이드브라켓(33) 사이에는 이동브라켓(34)을 로드(31)에 고정하는데, 상기 이동브라켓(34)과 가이드브라켓(33) 사이의 로드(31)에는 방진고무(34b)를 끼워서, 로드(31)의 이동에 따른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3)에는 리미트스위치(36)를 설치하며, 상기 리미트스위치(36)가 이동브라켓(34)의 이동, 즉, 로드(31)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하는데, 상기 리미트스위치(36)는 상기 이동집전구(25)의 전도판(25c′)과 전선으로 연결되어, 로드(31)의 움직임에 따른 이동브라켓(34)의 이동에 대한 신호가 상기 리미트스위치(36)에 의해 인지되어, 상기 이동브라켓(34)의 이동을 신호를 이동집전구(25)의 전도판(25c′)에 의해 메인 컨트롤러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로드(31)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로 분리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로드(31)는, 암로드(31a)와 수로드(31b)로 분리하여 구성하되, 암로드(31a)는, 일단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구멍을 형성하며(파이프 형상, 그래서 파이프를 이용함이 용이하다), 수로드(31b)는 일단에는 수나사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상기 전자석판(31d)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이동브라켓(34)에는 너트(31c)를 일체로 고정하여, 상기 암로드(31a)의 양단은 연결브라켓(32)과 이동브라켓(34)에 각각 고정하고, 상기 이동브라켓(34)의 너트(31c)로는 수로드(31b)의 수나사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수로드(31b)를 회전으로, 로드(31)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팔레트(21), 행거(22), 지지부(23)가 연결된 구조로 하나의 캐리어(20)를 구성하며, 상기 각 캐리어(20)는, 도1과 도2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3)의 양단에 돌출된 회전축(23b)을 메인프레임(10)의 마주하는 각 어태치먼트(15)에 설치하여, 다수개의 캐리어(20)를 메인프레임(10)에 설치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23)의 걸림핀(30)은 탑프레임(22b)의 걸림홈(22b″)에 끼움되어 항시 잠금 상태를 가지며, 또한, 상기 전자석판(31d)이 전자석(44)에 의해 당겨지면, 걸림핀(30)이 걸림홈(22b″)에서 벗어나 해제되는데, 상기 전자석판(31d)의 이동을 제어하는 걸림해제부(40)와, 상기 지지부(23)의 리미트스위치(23c)(36)의 신호를 이동집전구(25)를 거쳐 메인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집전기(50)를 순차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메인프레임(10)에 설치되는 걸림해제부(40)를 도7, 도10 내지 도1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걸림해제부(40)는 외부케이스(41)와, 상기 외부케이스(41) 내부에 조립되어, 외부케이스(41)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 가능한 내부케이스(42)와 상기 외부케이스(41) 상부에 조립되는 간격유지케이스(43)로 구성하고, 상기 내부케이스(42) 내부로 전자석(44)을 설치하며, 상기 외부케이스(41) 전면과 측면에는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47C)를 구성하며, 상기 외부케이스(41) 하부에는 집전기(50)를 구성하며, 그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외부케이스(41)와 내부케이스(42) 및 간격유지케이스(43)는 대략 사각 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외부케이스(41)는 상부와 일측 하부가 트인 구조로 구성하고, 상기 내부케이스(42)는 상·하부와 일측이 트여, ‘
Figure 112010085981343-pat00008
’ 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구조이며, 상기 간격유지케이스(43)는 하부와 일측면이 트인 구조로, 상기 간격유지케이스(43)의 길이는 상기 외부케이스(41)보다 더 길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41)이 내부로 내부케이스(42)가 막힌 부분을 일치하여 조립하고, 상기 내 상기 간격유지케이스(43)가 상기 외부케이스(41)의 상부를 덮은 구조이며, 자세하게는, 상기 간격유지케이스(43)는 적어도 상기 내부케이스(42)가 슬라이딩하는 거리(후설하는 전자석이 이동하는 거리)보다 길게 형성하며, 상기 간격유지케이스(43)는 상기 외부케이스(41) 보다 길이가 길고, 상기 간격유지케이스(43)의 일면이 어태치먼트(15)의 이격판(15a)과 근접하거나, 또는, 접촉하여, 메인체인(13)과, 걸림해제부(40)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접촉 또는 근접하게 되는 간격유지케이스(43)와 어태치먼트(15)의 이격판(15a)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서로 맞대는 양 가장자리는 서로 간섭받지 않도록, 서로 맞대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각도를 꺾어 제작하거나, 양 가장자리의 모서리부분이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격판(15a)과 맞대는 간격유지케이스(43)의 양 가장자리는 이격판(15a)의 반대 방향으로 꺾인 것을 볼 수 있고, 또한, 간격유지케이스(43)과 맞대는 이격판(15a)의 양 가장자리의 모서리는 제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전자석(44)은 상기 내부케이스(42)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전자석(44) 중앙에는 비자성체의 핀(44a)이 상기 전자석(44)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내부케이스(42)의 슬라이딩 방향과 같이 이동(슬라이딩)되도록 설치하며, 내부케이스(42)에는 리미트스위치(45)를 설치하여, 상기 리미트스위치(45)에 의해 핀(44a)의 이동을 감지(실질적으로는 전자석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하며, 상기 외부케이스(41)의 내측 방향으로는 근접센서(46)(46′)를 각각 설치하는데, 하나의 근접센서(46)는, 후설하는 나사브라켓(48)의 판(48a)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다른 하나의 근접센서(46′)는 상기 내부케이스(42)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전자석(44) 상부 및 측면에는 각각 회전축(47)과 모터(47c)를 구성되어 상기 내부케이스(42)를 이동시키는데, 상기 회전축(47)의 일단에는 스프로켓(47a)을 설치하고, 상기 조립된 스프로켓(47a)의 타단에는 수나사를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구성한 회전축(47)은 외부케이스(41)에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게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47)의 스프로켓(47a)이 외부로 돌출되게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41) 측면에는, 모터(47c)를 구성하되, 상기 모터(47c)의 모터축에는 스프로켓(47c)을 설치되어, 상기 각 회전축(47)과 모터(47c)의 각 스프로켓(47a)(47c)에는 체인(47b)이 설치되어, 상기 모터(47c) 작동으로 회전축(47)을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조립된 회전축(47)에 결합하는 나사브라켓(48)을 구성하는데, 상기 나사브라켓(48)은 판(48a)과 상기 판(48a)에 수직으로 돌출된 가이드(48b)가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상기 나사브라켓(48)은 상기 가이드(48b)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암나사를 형성하며, 가이드(48b)의 단면은 원형이되, 적어도 한 부분, 바람직하기로는 마주하는 두 부분은 평면을 형성하여, 대략 , ‘
Figure 112008052189018-pat00009
’의 단면, 또는,‘
Figure 112008052189018-pat00010
’의 단면, 또는, 사각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부케이스(42)에는 상기 나사브라켓(48)의 가이드(48b) 단면과 같은 형상으로 관통된 끼움공(42′)을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내부케이스(42)의 끼움공(42′)으로 나사브라켓(48)의 가이드(48b)를 끼워, 내부케이스(42) 내부로 가이드(48b)를 돌출시키고, 상기 가이드(48b) 중앙으로 스프링(49)을 끼워, 상기 가이드(48b)에 끼워진 스프링(48)의 양단은 각각 내부케이스(42)와 이에 마주하는 외부케이스(41)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그래서, 회전축(47)은 상기 설치된 나사브라켓(48)의 암나사로 조립되며, 상기 회전축(47)의 스프로켓(47a)과, 모터(47c)의 스프로켓(47c)에 연결된 체인(47b)에 의해서, 모터(47c) 작동으로 회전축(47)을 회전하게 된다.
상기 걸림해제부(40)의 작동 과정을, 도23의 작동 개략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우선, 상기 걸림해제부(40)의 모터(47c)가 작동하여 회전축(47)이 회전하여, 나사결합된 나사브라켓(48)과, 상기 나사브라켓(48)이 고정된 내부케이스(42)가 이 동하면서, 전자석(44)이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석(44)의 전진하면서 적정 위치에 이르게 되면, 전자석(44)의 자력으로 전자석판(31d)을 부착하게 되며, 상기 전자석(44)이 전자석판(31d)과 부착하면서, 상기 전자석(44)에 돌출된 핀(44a)은 뒤로 슬라이딩되어 리미트스위치(45)를 터치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45)에 신호를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리미트스위치(45)의 신호에 의해 모터(47c)가 역회전을 하게되어, 상기 나사브라켓(48)과 내부케이스(42) 및 전자석(44) 및 상기 전자석(44)에 부착된 전자석판(31d)을 당겨 후진하며, 이로 인해, 상기 내부케이스(42)의 원래 위치로 복귀되며, 상기 근접센서(46)(46′)의 인식으로 모터(47c)의 작동은 멈추며, 상기 전자석판(31d)의 당김으로 걸림핀(30)이 걸림홈(22b″)으로부터의 해제가 완료된다.
한편, 상기 모터(47c)가 역회전으로 걸림핀(30)이 해제되지만, 실제로, 상기 걸림핀(30)이 걸림홈(22b″)에서 간섭에 의해 바로 빠지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모터(47c)에 무리한 하중(부하)이 걸리게 되어, 모터(47c)의 과열 및 고장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 따른 걸림해제부(40)의 작동 과정을, 도23의 작동 개략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전자석(44)이 모터(47c)의 작동으로 전진한 후에, 상기 걸림핀(30)이 모터(47c)가 역회전에도 걸림핀(30)이 걸림홈(22b″)에 걸려있게 되더라도, 우선 나사브라켓(48)만 복귀하고, 상기 근접센서(46)의 인지로 모터(47c)의 작 동은 멈추며, 상기 내부케이스(42)와 전자석(44)은 복귀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며, 이때, 상기 내부케이스(42)의 이동으로 스프링(49)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한편, 실제로, 상기 걸림핀(30)의 해제와 캐리어(20)의 상승은 거의 동시에 발생하나, 극히 순간적으로는 걸림핀(30)의 해제가 먼저 시작되는데, 상기 걸림핀(30)의 해제하면서, 상기 걸림핀(30)의 걸림홈(22b″) 내에서 간섭으로 빠지지 못하더라도, 상기 캐리어(20)의 상승을 통한, 충격, 이완 등에 의해, 걸림핀(30)이 빠질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상기 나사브라켓(48)이 복귀하여, 모터(47c)는 정지하고, 스프링(49)은 압축된 상황에서, 걸림핀(30)이 빠지게 되면, 상기 압축된 스프링(4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내부케이스(42)를 원래 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내부케이스(42)에 고정된 전자석(44) 복귀하면서, 상기 전자석판(44)에 고정된 전자석판(31)을 당겨 걸림핀(30)을 해제하게 되고, 상기 내부케이스(42)의 복귀는, 상기 근접센서(46′)에 의해 인지되어, 걸림핀(30)의 해제가 완료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49)은, 걸림핀(30)의 간섭으로 해제가 어렵더라도, 모터(47c)의 파손을 방지하고, 걸림핀(30)이 안전하게 해제되도록 한다.
또한, 도10 내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해제부(40)의 하부로는 집전기(50)를 구성하여, 상기 집전기(50)에 의해 각 캐리어(20)의 리미트스위치(23c)(36)의 신호를 받아 메인 컨트롤러로 전달하는데, 우선, 한 쌍의 관통된 핀 홀(51′)을 형성한 홀브라켓(51)을 상기 외부케이스(41) 하부에 고정하고, 상기 핀홀(51′)에 회동링크(52)를 고정한다.
상기 회동링크(52)의 구조는, 도7,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52a)의 양단에 판형의 링크(52b)(52c)를 일체로 결합하되, 상기 양단의 링크(52b)(52c)는 핀(52a)에 대해 일치하지 않고 엇갈리는 각도를 형성하여(예를 들면 90°), 상기 회동링크(52)의 핀(52a)이 핀홀(51′)에 결합되어 회동링크(52)를 홀브라켓(51)에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조립한 회동링크(52)의 마주하는 일단의 링크(52b) 각 끝단에는 스프링(53)의 양단을 각각 고정하고, 그 타측의 링크(52c) 끝단에는 각각 판형의 절연판(54)과 전도판(55)(55′)을 순차로 각각 고정하는데, 상기 절연판(54)은 상기 회동링크(52)와 전도판(55)(55′)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전도판(55)(55′)은 상단 또는 전체가 원형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전기(50)에 조립하는 절연판(54)은 베크라이트와 같이 전기를 절연하는 재질을 사용하고, 상기 전도판(55)(55′)은, 구리와 같이 전기를 잘 전도하는 재질을 사용하며, 상기 각 전도판(55)(55′)에는 메인 컨트롤러로 연결되는 전선을 각각 연결하도록 하며, 상기 집전기(50)의 조립 후에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집전기(50)의 전도판(55)(55′)이 상기 지지부(23)에 구성한 이동집전구(25)의 전도판(25c)(25c′)과 각각 상기 회동링크(52)의 스프링(53)에 의해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집전기(50)의 전기 연결 구조를 도13을 참고하여 다시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집전기(50)와 이동집전구(25)와 리미트스위치(23c)(36), 로터리부 및 메인 컨트롤러의 전기 구조는, 메인 컨트롤러에서 로터리부로 1 내지 24볼트(V)로 전기가 공급되어, 로터리부 및 캐리어(20)에는 인체에는 무해한 전기가 항상 흐르고 있으며, 상기 지지부(23)의 리미트스위치(23c)(36)는 이동접전구(25)의 전도판(25c)(25c′)과 각각 전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동접전구(25)의 전도판(25c)(25c′)은 각각 집전기(50)의 전도판(55)(55′)과 각각 접점되며, 상기 집전기(50)의 전도판(55)(55′)의 정보는 메인 컨트롤러로 전달된다.
이어서 턴테이블(80)을 도14 내지 도2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먼저, 턴테이블(80)은 크게 베이스부(60)와 회전부(70)로 구성하며, 먼저 베이스부(60)는, 도17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판(61)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높이의 테두리프레임(62)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원형판(61)의 중앙에는 상부로 돌출한 회전축(61a)을 형성한다.
상기 회전축(61a)의 둘레로는 전선(63a)을 수용하는 전선트레이(63)가 구성되는데, 상기 전선트레이(63)는 원통형의 용기 형상으로 중앙이 관통된 형상이며, 상기 전선트레이(63)에 수용되는 전선(63a)은 턴테이블(80) 내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서 전선(63a)이 전선트레이(63)로 인입되어, 상기 전선트레이(63) 내부를 따라 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감기면서 회전부(7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데, 상기 전선트레이(63)는 원형으로 감겨 있으 므로 상기 회전부(70)의 회전하여도, 그 감긴 반경만이 늘어나게 되어 전선(63a)의 꼬임을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60)의 전선트레이(63) 둘레로는,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
Figure 112008052189018-pat00011
’의 단면을 가지는 가이드(64)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64)로는 체인(67)이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드(64)는 평면상으로 볼 때, 일측이 개방된 원형 모양으로 설치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64)의 각 양단에는, 상부로 돌출되고 관통된 구멍을 형성한 단턱(64a)을 더 형성하고, 상기 단턱(64a)에는 텐셔너(66)를 더 구성하는데, 상기 텐셔너(66)는, 상기 가이드(64)는 도19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길이의 수나사(66a), 스프링(66b), 와샤(66c)(또는 와샤 모양으로 생긴 부재), 너트(66d), 브라켓(66e) 등으로 구성하며, 먼저, 상기 가이드(64)의 단턱(64a)의 구멍으로, 상기 수나사(66a)를 끼워, 가이드(64) 외측의 수나사(66a)로는 스프링(66b)과 와셔(66c) 및 너트(66d)를 순차로 끼우고 조립하며, 그 타단, 즉, 가이드(64) 내측의 수나사(66a)에는 브라켓(66e)을 끼워, 상기 브라켓(66e)에는, 가이드(64)에 설치된 체인(67)을 양단을 각각 고정하여, 상기 텐셔너(66)의 너트(66d)를 조절하여, 체인(67)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스프링(66a)의 탄성력에 의해 체인(67)이 탄성을 가지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64)에는, 180° 간격을 두고 리미트스위치(68)(69)를 각각 설치한다.
그리고 도16 및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60)의 테두리프레임(62)의 내측, 적정 높이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측면가이드(62a)를 일체되게 구성하며, 이렇게 상기 원형판(61)과 테두리프레임(62)이 일체되게 구성하고, 상기 원형판(61) 중앙으로, 회전축(61a), 전선트레이(63), 가이드(64)를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프레임(62)에 측면가이드(62a)가 형성되어 베이스부(60)를 구성한다.
이어서, 턴테이블(80)의 회전부(70)를, 도14 내지 도18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회전부(70)는, 회전프레임(71)의 중앙의 지지구(73)와 상기 지지구(73)에 결합되는 회전전달부(74), 상기 회전전달부(74)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리프트링크(75)로 구성한다.
먼저, 상기 회전부(70)의 회전프레임(71)은, 도17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하며, 상기 회전프레임(71) 내부에는 다수개의 프레임(71a)을 일체로 더 조립하여, 회전프레임(71)을 보강하고, 기타 다른 구성품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프레임(71)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의 축(71b)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각 축(71b)에는 베어링(71c)을 조립한다.
또한, 상기 회전프레임(71) 내측의 프레임(71a)으로는 링크가이드(72)를 설치하되, 상기 링크가이드(72)는 일정 길이를 가지고, 적정 위치에 관통된 가이드공을 형성한 것으로, 상기 링크가이드(72)는 설치하면서, 상기 링크가이드(72)의 각 가이드공이 일치되게 설치하여, 후설하는 리프트링크(75)의 축(75a)이 상기 링크가이드(72)의 가이드공으로 끼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프레임(71) 중앙에 지지구(73)를 구성하되, 이는 도16 및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구(73)는, 내부가 빈 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하단에는 베어링(73a)을 조립하고, 양측면에는 회전 가능한 지지축(73b)이 마주보게 구성하는데, 상기 지지축(73b)의 부싱이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축(73b)의 중앙에는 관통된 끼움공(73b′)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73b)의 끼움공(73b′)에는 후설하는 회전전달부(74)가 조립되며, 또,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구(73)와 약간 떨어진 위치에 모터(73c)를 설치하고, 상기 모터(73c)의 모터축에는 스프로켓(73d)을 조립한다.
상기 언급한 회전전달부(74)는, 축 형상의 동력전달축(74a)이 구성되어, 상기 동력전달축(74a)의 일단에는 스프로켓(74b)이 조립되고, 그 타단은 수나사(74a′)를 형성하는데, 상기 수나사(74a′) 측으로는 나사축(74d)이 고정되며, 상기 나사축(74d)은, 축 모양으로, 중앙에는 관통된 암나사를 형성한 구조이다.
또한, 리프트링크(75)는, 축(75a)의 양단에, 일정 길이를 가지는 판형의 링크(75b)를 수직으로 각각 고정하고, 상기 각 링크(75b)에 롤러(75c)를 회전하도록 각각 조립한 구조로, 상기 롤러(75c)의 단면은 중앙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홈을 형성하는데, 상기 롤러(75c)는, 상기 캐리어(20)의 팔레트(21) 하부의 고정구(21b) 단면과 대응되어, 상기 롤러(75c)에 고정구(21b)가 일부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링크(75)의 축(75a) 중앙 부근, 즉, 상기 리프트링크(75)의 롤러(75c) 사이에는, 상기 리프트링크(75)의 길이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한 회전링크(75d)를 다수개 일체로 형성하는데, 상기 리프트링크(75)의 링크(75b)와 회전링크(75d)는, 축(75a)에 대해 서로 일치하는 각도를 가지기보다는, 180°에 가까운 정도의 각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리프트링크(75)의 롤러(75c)는, 원통형의 재료를 이용하여, 리본 모양으로 가공하고, 그 축 방향을 따라 구멍(링크와 결합용)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두께를 가지는 원통형의 재료의 일단 모서리에 기울기를 가지도록 가공하고, 그 중앙에 관통된 구멍을 낸 지지부재(75c′)를 구성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75c′)를 상기 기울기를 형성한 쪽이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고, 상기 지지부재(75c′) 사이에 파이프(75c″)를 두어, 용접등과 같은 접합 방법으로 지지부재(75c′)와 파이프(75c″)를 일체화하여 롤러(75c)를 구성하면, 롤러(75c)의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가 덜 소요되며, 제작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회전전달부(74)와 리프트링크(75)는 상기 회전프레임(71)에 적어도 한 쌍씩 조립되되, 이는 도14, 도16 내지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전달부(74)의 동력전달축(74a)의 끝단이 지지구(73)의 지지축(73b)의 중앙의 끼움공(73b′)에 조립하면서, 상기 동력전달축(74a)은 베어링(74c)에 의해 지지·회전되도록 각각 조립하고, 상기 동력전달축(74a)의 스프로켓(74b)은 지지구(73)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링크(75)는, 회전전달부(74)의 동력전달축(74a)과 수직되게 설치되되, 상기 링크가이드(72)의 각 가이드공으로 조립하며, 상기 조립된 회전전달부(74)의 나사축(74d) 양단이, 리프트링크(75)의 회전링크(75d)를 끼워 고정한다.
또한, 상기 지지구(73) 측면의 모터(73c)의 모터축에 고정된 스프로켓(73d)과 상기 지지구(73) 내부에 위치된 회전전달부(74)의 스프로켓(74b)은 체인(73e)을 설치하여, 모터(73c)로부터 회전전달부(74)로 동력을 전달하며, 참고로, 상기 모터(73e)의 작동으로, 상기 회전전달부(74)의 동력전달축(74a)이 회전하면, 상기 나사축(74d)이 수나사(74a′)를 따라 이동하고, 동시에, 회전링크(75d)가 리프트링크(75)의 가이드(75b)에 대해 회전하면서, 상대적으로 롤러(72c)가 상승한다.
한편, 상기 리프트링크(75)의 회전은, 상기 회전전달부(74)가 상·하로 이동하게되는데, 이렇게 회전전달부(74)가 상·하로 이동하더라도, 스프로켓(74b)(73d)과 체인(73e)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므로, 회전전달부(74)의 비틀림에도 동력의 전달이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도16 및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70)의 회전프레임(71)의 내측면 가장자리, 자세하게는, 상기 가이드(64)의 180° 반경, 정확하게는 가이드(64) 주변에 설치한 리미트스위치(68)(69) 내에 모터(76)를 설치하고, 상 기 모터(76)에서 감속이나 동력 전달 방향 변경을 위한 감속기나 다수개의 기어(77)를 구성하고, 상기 모터(76)의 최종축에는, 스프로켓(78)을 설치한다.
아울러, 도15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지지판(79)이 더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70)을 덮는데, 상기 상부지지판(79)은 상기 회전축(70)의 회전프레임(71)의 외측의 베어링(71c) 부분까지 덮으면서, 상기 상부지지판(79)에는 관통된 롤러공(79′)을 다수개 형성하되,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공(79′)은 리프트링크(75)가 회전하면서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부지지판(79)과 간섭받지 않도록 관통되게 형성하며, 상기 상부지지판(79)의 중앙에는 일정 높이로 구성하는 상승스토퍼(79a)가 일체로 고정된다.
참고로, 상기 상승스토퍼(79a)는, 캐리어(20)의 대기 상태에서, 도1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스토퍼(79a)가 팔레트(21) 저면의 이탈방지구(21c)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리프트링크(75)의 롤러(75c)에 의한 팔레트(21)의 상승시에 및 팔레트(21)의 회전시에, 팔레트(21)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베이스부(60), 회전부(70) 및 상부지지판(79)는 조립되어 턴테이블(80)을 구성하는데, 먼저, 회전부(70)가 상기 베이스부(60)에 조립되되, 상기 베이스부(60) 상부로 회전부(70)가 결합하면서, 회전부(70)의 회전프레임(71)의 가장자리의 축(71b)이 베이스부(60)의 측면가이드(62a)에 안착하고, 베이스부(60)의 회전축(61a)에 회전부(70)의 지지구(73) 저부의 베어링(73a)과 조립되며, 상기 베이스부(60)의 가이드(64)의 체인(67)을, 회전부(70) 측면의 모터(76)의 스프로켓(78)에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64) 양단의 텐셔너(66)의 너트(66d)를 조절하여 체인(67)의 장력을 팽팽하게 조절하며, 상기 회전부(70) 상부로 상부지지판(79)을 설치하면 턴테이블(80)의 구조가 완성된다.
따라서, 상기 로터리부의 하부에 턴테이블(80)이 설치되어 로터리 주차 장치를 구성하는데, 상기 턴테이블(80)의 상면, 즉, 상부지지판(79)의 상면은,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턴테이블(80)의 베이스부(60)과 회전부(70)는 지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주차하기에 편리한 특성이 있다.
참고로, 상기 턴테이블(80)이 지면 위로 설치될 경우에는, 별도로 지면과 상부지지판(79)을 연결하는 디딤판(미도시)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로터리 주차 장치의 후면 부분, 즉, 차(1)가 진입·주차한 상태에서의 차(1) 앞 부분의 타이어(2) 전면에 진입스토퍼(90)를 설치하는데, 도2 및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입스토퍼(90)는, 상기 로터리부의 메인프레임(10)의 기둥 또는 별도의 기둥에, 지면과 수평으로 지지판(91)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판(91) 끝 부분에 바퀴, 롤러와 같은 캐스터(92)를 다수개 설치하는데, 상기 캐스터(92)는 지지판(91)에 대해서 약간의 기울기를 두고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캐스터(92)의 반대편에는 근접센서(93)를 설치하되,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91)에 지지봉(93a)을 고정되게 설치하고, 그 지지봉(93a)의 끝단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스프링(93b)과 와셔(93c)(또는, 와셔와 같은 형상의 부재) 및 너트(93d)를 순차로 끼우고 조립하며, 상기 와셔(93c)에 근접센서(93)를 설치하며, 상기 근접센서(93)의 인지로 의해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하거나, 경고등이 켜지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진입스토퍼(90)의 캐스터(92)는 내구성이 좋은 합성수지나 고무류가 사용되어, 회전운동을 하면서 상대방의 긁힘을 최소화하거나, 진동을 흡수한다.
그래서, 상기 진입스토퍼(90)는, 상기 캐스터(92)에 압력이 가해지면, 완충 작용과 함께, 상기 캐스터(92) 부분이 휘면서, 근접센서(93)를 인지하여, 경고음이나 경고등에 의해 운전자가 정위치에 차를 주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메인프레임(10)에 다수개의 캐리어(20)가 설치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0)에 로터리부를 구성하고 하부에 턴테이블(80)이 설치되어, 로터리 주차 장치를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한 로터리 주차 장치의 작동 과정을 이렇게 구성하는 턴테이블의 작동 과정을 첨부된 도22의 작동 개략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우선, 턴테이블(80)의 상부에는 빈 캐리어(20)가 대기한 상태에서, 상기 대기하는 캐리어(20)의 걸림핀(30)이 걸림홈(22b″)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집전기(50)를 통해 대기하는 캐리어(20)에 전기의 공급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주차할 차(1)가 상기 턴테이블(80)에 주차하는데, 차(1)의 진입하면서 적정 위치보다 더 나아가서, 타이어(2)가 진입스토퍼(90)의 캐 스터(92)를 압박하게 되어, 근접센스(93)의 인지로, 경고음이나 경고등을 통해, 최적의 위치에 주차하도록 한다.
이렇게 차(1)가 주차한 뒤에는, 걸림핀(30)의 해제와 캐리어(20)의 상승이 거의 동시에 일어나는데, 우선, 상기 걸림해제부(40)의 모터(47c)의 작동으로, 전자석(44)에 의해, 걸림핀(33)이 걸림홈(22b″)으로부터 빠지면서 걸림 해제 상태가 되며, 걸림핀(33)의 해제 상태는, 앞서 설명한 작동 과정에 따라, 근접센서(46)(46′)에 의해 감지되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핀(30)의 해제와 더불어, 턴테이블(80)의 모터(73c)가 작동하여, 상기 회전전달부(94)로의 동력 전달을 통해 리프트링크(75)가 회전하여, 리프트링크(75)의 롤러(75c)가 상승하면서, 팔레트(21) 저면의 고정구(21b)와 결합하고, 이에 따라, 상부의 캐리어(20), 자세하게는, 지지부(23)는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팔레트(21)와 행거(22)를 들어올리는데, 상기 행거(22)의 상승은, 지지부(23)의 리미트스위치(36)에 의해 감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부(70)의 모터(76)가 작동하여, 회전부(70)가 180°로 회전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캐리어(20), 자세하게는, 지지부(23)는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팔레트(21)와 행거(22)가 같이 180°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부(70)의 회전으로, 모터(76)가 체인(67)을 이동하며, 원래의 위치에 대해서 180° 가 회전한 후에는 가이드(64)의 하나의 리미트스위치(68)(69)의 인지로 인해서, 모터(76)의 작동을 멈추게되며, 상기 회전부(70)는 180° 구간을 회전함에 따라, 회전마다,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는 것을 반복한다.
이어서, 상기 턴테이블(80)의 모터(73c)가 다시 작동하여, 상기 회전전달부(94)로의 동력 전달을 통해 리프트링크(75)가 회전하여, 리프트링크(75)의 롤러(75c)가 하강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며, 상기 캐리어(20), 자세하게는, 지지부(23)는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팔레트(21)와 행거(22)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걸림해제부(40)의 전자석(44)에는 자력이 해제함으로써, 전자석(44)과 전자석판(31d)이 분리되어, 걸림핀(33)이 걸림홈(22b″)으로 끼움되어 걸림 상태가 유지된다.
이어서, 상기 메인모터(12)의 작동으로 상기 차(1)가 주차된 캐리어(20)가 이동하고, 이어서 다음 빈 캐리어(20)가 턴테이블(80) 상부로 대기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하고 작동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는, 상기 캐리어(20)의 상승이 리프트링크(75)의 회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프트링크(75)의 회전은 회전전달부(74)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캐리어(20)의 수직 상승을 도모하고, 작동의 정확성과 안전성이 높은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80)의 회전을 통한, 캐리어(20)의 회전은, 회전부(70)에 설치된 모터(76)가 가이드(64)에 고정된 체인(67)을 따라 회전하므로, 작동에 대한 정확성이 우수하고, 안전성이 높은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캐리어(20)의 상승 및 캐리어(20)의 회전에서는, 통상의 로터리 주차 장치에 사용되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턴테이블(80)의 설치하는데 필요한 공간(깊이)이 단축되는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유압 실린더의 작동에 필요한 부가적인 설비가 필요하지 않은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캐리어(20)는, 설치된 메인프레임(10)의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이동하므로, 흔들림이 최소화되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로터리부 및 턴테이블(80)에 적용하는, 근접센서 또는 리미트스위치에서 감지 또는 검출되는 내용은 모두 메인 컨트롤러로 그 정보가 전달되며, 상기 근접센서 또는 리미트스위치는, 조건에 따라, 근접센서가 리미트스위치로, 또한 근접센서가 리미트스위치로 대체될 수 있고, 또한, 상기 근접센서 또는 리미트스위치 외에도 다른 센서로 대체될 수 있으며, 각 모터의 동력 전달 수단, 즉, 스프로켓과 체인은, 동력 전달 수단의 일례를 든 것으로, 필요에 따라, 기어와 기어의 연결, 풀리와 벨트의 연결, 풀리와 로프 등과 같은 동력 전달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턴테이블(80)에서, 모터(73c)에서 리프트링크(75)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방법은, 상기와 같이 회전전달부(74)를 사용하는 방법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로 구성할 수 있는데, 다른 실시예 두 가지를 추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다음 두 가지 실시예에서는 회전전달부(74)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상기 회전전달 부(74)가 조립되는 리프트링크(75)의 회전링크(75d)는 필요하지 않다.
먼저, 상기 리프트링크(75)의 동력 전달의 다른 실시예를 도25 내지 도2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리프트링크(75)의 축(75a) 중앙에, 스프라켓(101)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부(70)의 모터(73c)의 모터축에는 감속을 위한 기어(102)(102′)를 설치하며, 상기 기어(102)의 최종축에는 스프라켓(103)을 설치하여, 상기 리프트링크(75)의 스프라켓(101)과 모터(73c)의 스프라켓(103)을 체인(104)으로 연결하되, 상기 모터(73c)는 한 쌍으로 나란히 배열하고, 상기 감속을 위한 최종 기어(102′)가 서로 맞물려 돌아가도록 구성하여, 상기 모터(73c)의 작동으로 각 기어(102′)가 맞물려 돌아가서 동기 구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동기 구동으로 인해 체인(104)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여 리프트링크(75)가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링크(75)의 동력 전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28 내지 도3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리프트링크(75)의 축(75a) 중앙에, 반달기어(201)(원이 1/4로 나눠진 형상으로, 외주연에 기어 이를 형성함)를 고정하고, 모터(73c)의 모터축에는 스프라켓(203)과 기어(202)를 조립하여(스프라켓과 기어의 조립 순서는 상관없으며, 기어는 감속 또는 축 방향 변경 등으로 여러 개가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모터(73c)의 기어(202)와 리프트링크(75)의 반달기어(201)가 맞물리도록 하되, 상기 하나의 리프트링크(75)에 하나의 모터(73c)가 대응되며, 각 모터(73c)의 스프라켓(203)은 체인(204)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모터(73c)의 작동으로 각 기어(202)가 맞물려 돌아가서 동기 구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동기 구동으로 인해 기어(202), 반달기어(201) 및 리프트링크(75)로 순차로 동력을 전달하여, 리프트링크(75)가 회전하도록 하는데, 상기 체인(204)은 각 모터(73c)에 연결되어 있어, 리프트링크(75)의 동기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주차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주차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주차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와 턴테이블의 측면도.
도 5는 도4의 A부분의 A′A″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4의 B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해제부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해제부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해제부, 집전기 및 걸림핀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해제부, 집전기의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해제부와 집전기의 후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전기와 지지부의 후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주차 장치의 전기 연결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의 작동 상태도 및 롤러의 확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의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의 내부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의 단면도 및 일부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의 일부 단면 확대도 및 EE′부분의 단면 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의 가이드 및 텐셔너의 일부 확대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의 전선트레이의 평면도 및 FF′부분의 단면도.
도 21은 도4의 C부분 확대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주차 장치의 작동 개략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해제부의 작동 개략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핀의 걸림 상태시의 걸림해제부의 작동 개략도.
도 25는 본 발명의 리프트링크의 동력 전달과 관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리프트링크의 동력 전달과 관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리프트링크의 동력 전달과 관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방향에서의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리프트링크의 동력 전달과 관련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리프트링크의 동력 전달과 관련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리프트링크의 동력 전달과 관련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방향에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메인프레임 11 : 가이드레일 20 : 캐리어
21 : 팔레트 22 : 행거 13 : 지지부
24 : 보조지지구 30 : 걸림핀 31 : 로드
40 : 걸림해제부 44 : 전자석 50 : 집전기
60 : 베이스부 63a : 전선 64 : 가이드
70 : 회전부 72 : 링크가이드 73 : 지지구
74 : 회전전달부 75 : 리프트링크 75c : 롤러
80 : 턴테이블 90 : 진입스토퍼

Claims (23)

  1. 팔레트(21)가 행거(22)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캐리어(20)와,
    베이스부(60)와 상기 베이스부(60)에 대해서 회전하는 회전부(70)로 구성한 턴테이블(80)과,
    골조 구조의 메인프레임(10)에, 다수개의 어태치먼트(15)가 메인모터(12)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의 로터리부가 구성되어,
    상기 로터리부의 각 어태치먼트(15)에 상기 캐리어(2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로터리부 하부에 턴테이블(80)을 설치한 로터리 주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20)의 팔레트(21) 하부에는, 역삼각형 단면 형상의 고정구(21b)를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턴테이블(80)의 회전부(70)는,
    축(75a)의 각 양단에 링크(75b)가 고정된 리프트링크(75)를 다수개 구성하고, 중앙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홈을 형성한 롤러(75c)를 상기 각 링크(75b) 끝단에 설치하며, 상기 각 리프트링크(75)가 모터(73c)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로 구성하며,
    상기 로터리부에는 차(1)의 주차 위치를 인지하는 진입스토퍼(90)가 구성되어,
    상기 리프트 링크의 회전으로, 팔레트를 들어올려, 캐리어를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리프트링크(75)의 회전은, 회전전달부(74)에 의해 각각 이루어지되,
    일단은 수나사(74a′)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스프라켓이 조립된 동력전달축(74a)과; 중앙에 암나사가 형성된 나사축(74d)이 더 구비되어,
    상기 동력전달축(74a)의 수나사로 나사축(74d)이 조립된 회전전달부(74)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부(70)의 중앙에는, 회전 가능한 지지축(73b)을 다수개 구성한 지지구(73)를 설치하며,
    상기 회전전달부(74)의 동력전달축(74a)이, 각각 상기 지지구(73)의 지지축(73b)에 베어링(74c)으로 지지·회전되도록 조립하고,
    상기 리프트링크(75)의 회전링크(75d)에 상기 회전전달부(74)의 나사축(74d)의 양단을 조립하여,
    상기 모터(73c)에 의해 체인(73e)으로 동력전달축(74a)을 회전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링크(75)의 회전은, 하나의 리프트링크(75)에 대응하는 각각의 모터(73c)에 의해 동기 구동되되,
    상기 리프트링크(75)의 축(75a) 중앙에 스프라켓(101)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부(70)의 모터(73c)의 모터축에는 감속을 위한 기어(102)(102′)를 설치하며,
    상기 기어(102)의 최종축에는 스프라켓(103)을 설치하고,
    상기 리프트링크(75)의 스프라켓(101)과 모터(73c)의 스프라켓(103)을 체인(104)으로 연결하며,
    상기 각 모터(73c)의 최종 기어(102′)가 서로 맞물리게 구성되어,
    상기 모터의 작동으로 리프트링크가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링크(75)의 회전은, 하나의 리프트링크(75)에 대응하는 각각의 모터(73c)에 의해 동기 구동되되,
    상기 각 리프트링크(75)의 축(75a) 중앙에, 반달기어(201)를 고정하고,
    상기 모터(73c)의 모터축에는 기어(202)와 스프라켓(203)을 순차로 조립하며,
    상기 각 모터(73c)의 스프라켓(203)이 체인(204)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모터의 작동으로 리프트링크가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60)에는, ‘
    Figure 112008052189018-pat00012
    ’ 단면의 가이드(64)를, 일측이 트인 원형의 형태로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64)에는 체인(67)을 설치하며,
    상기 회전부(70)에는 모터(76)를 설치하고, 상기 모터(76)의 최종축에는 스프로켓(78)을 설치하여,
    상기 스프로켓(78)에는 상기 베이스부(60)의 가이드(64)에 조립한 체인(67)을 설치하여,
    상기 모터의 작동으로 회전부가 체인을 따라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70)가 회전하는 가이드(64)의 180° 간격으로 리미트스위치(68)(69)를 각각 설치하며,
    상기 회전부(70)의 지지구(73)의 하부에는 베어링(73a)을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부(60)의 중앙에는 상부로 돌출한 회전축(61a)을 구성하며,
    상기 베이스부(60)의 내부 측면을 따라 내부로 돌출한 측면가이드(62a)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부(70)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의 축(71b)을 구성하고, 상기 각 축에는 베어링(71c)을 조립하며,
    상기 회전부(70)의 가장자리의 베어링(71c)이 베이스부(60)의 측면가이드(62a)에 안착하고, 상기 베이스부(60)의 회전축(61a)이 지지구(73)의 베어링(73a)에 조립되어,
    회전부의 반바퀴 회전을 용이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64)의 양단에는 단턱(64a)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64a)에 텐셔너(66)를 더 구성하되,
    상기 가이드(64)의 단턱(64a)에는, 별도의 수나사(66a)를 조립하고, 가이드(64) 외측의 수나사(66a)에는 스프링(66b)과 와셔(66c) 및 너트(66d)를 순차로 조립하고 조립하며,
    상기 가이드(64) 내측의 수나사(66a)에는 브라켓(66e)을 끼워 텐셔너(66)를구성하여,
    상기 브라켓(66e)에는, 가이드(64)에 설치된 체인(67)을 양단을 각각 고정되어,
    상기 텐셔너에 의해 체인의 장력조절과 체인의 탄성을 부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의 주차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20)는, 상기 행거(22)의 상부가 지지부(23)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되,
    상기 행거(22) 상면 중앙에 회전축(22b′)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23)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에 관통된 회전공(23′)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23) 양쪽 하단에는 ‘
    Figure 112010085981343-pat00013
    ’ 형상의 걸림구(23a)를 서로 이격되게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23) 양단에는 회전축(23b)를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23) 일단에는 보조지지구(24)를 추가로 설치하되,
    상기 보조지지구(24)는, 사각 모양으로, 각 네 모서리에는 가이드롤러(24a)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23)의 걸림구(23a)로 상기 행거(22) 상부의 양단이 걸쳐지면서, 상기 행거(22)의 회전축(22b′)이 지지부(23)의 회전공(23′)에 회전되도록 고정하고, 상기 지지부(23)의 양단의 회전축(23b)이 메인프레임(10)의 어태치먼트(15)에 각각 고정하며,
    상기 로터리부의 메인프레임(10)에는 ‘
    Figure 112010085981343-pat00014
    ’단면 형상의 가이드레일(11)이 상기 캐리어(20)의 이동에 따른 각 가이드롤러(24a)의 자취점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지지부의 가이드롤러가 상기 메인프레임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의 주차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3)의 길이 방향, 좌·우 양쪽에는 밸런스롤러(23d)를 구성하고,
    상기 캐리어(20)의 팔레트(21)의 중앙 저면에는, 한 쌍의 이탈방지구(21c)를 이격되게 설치하며,
    상기 턴테이블(80) 상부는 판형의 상부지지판(79)으로 덮되,
    상기 상부지지판(79)은 상기 리프트링크(75)의 롤러(75c)와 링크(75b)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된 롤러공(79′)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상부지지판(79)의 중앙에는 상부로 돌출한 상승스토퍼(79a)가 일체로 형성하며,
    캐리어의 의한 상승시에 캐리어의 충돌과 이탈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의 주차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22) 상부 양단에는 내측으로 파인 걸림홈(22b″)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22b″)에는,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걸림핀(30)이 걸림·해제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핀(30)에는 로드(31)가 연결되고, 상기 로드(31) 끝단에는 전자석판(31d)을 일체로 형성하며,
    로터리부의 메인프레임(10)에는 전자석(44)을 설치하여,
    상기 전자석이 전자석판을 당겨 걸림핀을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31)의 전자석판(31d)과 걸림핀(30) 사이에는 다수개의 브라켓을 조립하되,
    걸림핀(30)과 로드(31)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32)을 설치하고,
    상기 로드(31)에 끼운 가이드브라켓(33)을 지지부(23)에 고정하며,
    상기 로드(31)는 지지부(23)의 회전축(23b)을 통과하고, 상기 회전축(23b)의 끝단 내측에는 오링홈(23b′)이 형성되어, 상기 오링홈(23b′)에 오링(35)을 삽입 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33) 사이의 로드(31)에는 스프링(34a)을 끼워
    전자석판이 전자석과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브라켓(33)과 지지부(23)의 회전축(23b) 사이의 로드(31)에 이동브라켓(34)을 고정하고,
    상기 이동브라켓(34)과 가이드브라켓(33) 사이에는 방진고무(34b)를 끼워,
    상기 로드의 이동에 따른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함 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31)는, 암로드(31a)와 수로드(31b)가 결합되어 구성하되,
    수로드(31b)는 일단에는 수나사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상기 전자석판(31d)을 구성하며,
    암로드(31a)는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암로드(31a)의 일단으로 수로드(31b)의 수나사가 결합하여 로드(31)를 구성하며,
    상기 이동브라켓(34)에는 너트(31c)를 일체로 고정하여,
    상기 이동브라켓(34)의 너트(31c)로 수로드(31b)의 수나사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수로드를 회전으로, 로드의 전체 길이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44)은 케이스에 수용되되,
    상기 케이스는 사각 형태로 구성하는 외부케이스(41), 내부케이스(42), 간격유지케이스(43)로 구성하며,
    상기 외부케이스(41)는 상부와 일측 하부가 트인 구조이고, 상기 내부케이스(42)는 상·하부와 일측면이 트인 구조이며,
    간격유지케이스(43)는 하부와 일측면이 트인 구조로, 그 길이가 상기 외부케이스(41)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상기 외부케이스(41) 내부로 내부케이스(42)가 트인 방향을 일치하여 조립되고, 상기 간격유지케이스(43)가 상기 외부케이스(41)를 덮은 구조의 케이스를 구성하며,
    상기 전자석(44)은 상기 내부케이스(42) 내부에 안착하고,
    상기 내부케이스(42)가 외부케이스(41)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전자석과 전자석판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주 차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42)의 이동은 모터(47c)에 의해 이루어지되,
    판(48a)과 상기 판(48a)에 수직으로 돌출된 가이드(48b)가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48b)의 단면에 적어도 한 부분에 평면을 형성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암나사를 형성한 나사브라켓(48)과;
    일단에 수나사를 형성한 회전축(47)이 더 구비되어;
    상기 내부케이스(42)에는 상기 나사브라켓(48)을 조립하고, 상기 나사브라켓(48)으로 회전축(47)을 나사 조립하고,
    상기 내부케이스(42) 내부로 돌출된 나사브라켓(48)의 가이드(48b)에는 스프링(49)을 끼워, 끼움된 스프링(49)의 양단이 내부케이스(42)과 외부케이스(41)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축을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42)에는 리미트스위치(45)가 설치되어 전자석(44)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외부케이스(41)에는 내부로는,
    나사브라켓(48)의 이동을 감지하는 근접센서(46)와,
    내부케이스(42)의 이동을 감지하는 근접센서(46′)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두 근접센서에 의해 걸림부의 해제 완료를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케이스(43))는,
    턴테이블(80)의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10)의 연결판(15)과 수평으로 위치가 일치되되,
    상기 메인프레임(10)의 각 어태치먼트(15)에는 돌출된 이격판(15a)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이격판에 의해, 메인체인과 전자석의 간섭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
  19. 제 10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3)에는 상기 행거(22)의 상승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23c)와
    상기 지지부(23)에는 걸림핀(20)의 이동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36)를 설치하고,
    상기 캐리어(20)의 지지부(23)의 일측면에는 이동집전구(25)를 구성하되, 이동집전구(25)는, ‘
    Figure 112010085981343-pat00015
    ’ 단면을 가지는 고정브라켓(25a)의 저면에, 전체를 덮는 절연판(25b)을 일체 고정하고, 상기 고정된 절연판(25b) 하부에는 한 쌍의 전도판(25c)(25c′)이 각각 고정되어
    각 전도판(25c)(25c′)과 상기 지지부(23)의 리미트스위치(23c)(36)는 전선으로 각각 연결되며,
    상기 이동집전구(25)의 전도판(25c)(25c′)이 각각 접점하는 집전기(50)가 구성되어,
    상기 집전기와 이동집전구의 접점으로 리미트스위치의 신호 전달을 용이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기(50)는,
    한 쌍의 관통된 핀홀(51′)을 형성한 홀브라켓(51)을 구성하여, 상기 핀홀(51′)에 회동링크(52)를 고정하여 구성하되, 상기 회동링크(52)는, 핀(52a)의 양단에 핀(52a)에 대해 엇갈리는 각도를 가지는 판형의 링크(52b)(52c)를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하여, 상기 회동링크(52)의 핀(52a)이 핀홀(51′)에 결합되어, 상기 조립한 회동링크(52)의 마주하는 일단의 링크(52b) 각 끝단에는 스프링(53)의 양단을 각각 고정하고, 그 타측의 링크(52c) 끝단에는 각각 판형의 호 형태를 가지는 절연판(54)과 한 쌍의 전도판(55)(55′)을 순차로 각각 고정하여 집전기(50)를 구성하며,
    집전기의 전도판과 이동집전구의 전도판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의 주차 장치.
  21.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스토퍼(90)는, 지면과 수평으로 설치되는 지지판(91); 상기 지지판(91) 끝단에, 수평 방향보다 기울기를 형성하여 다수개 설치된 캐스터(92); 상기 캐스터(92)의 반대편에는 근접센서(93)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판(91)에 지지봉(93a)을 고정하고, 상기 지지봉(93a)에 스프링(93b)과 와셔(93c) 및 너트(93d)를 순차로 설치하며, 상기 와셔(93c)에 상기 근접센서(93)가 설치되어,
    상기 근접센서의 신호로 경고음의 발생하거나 경고등의 켜져, 차의 주차 위치를 인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의 주차 장치.
  22.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일 하부쪽에 위치하는 캐리어(20)의 상부측 메인프레임(10)에는, 충 돌방지롤러부(16)를 구성하되,
    충돌방지롤러부(16)는, 판형의 지지부(16a) 사이에, 자유 회전하는 다수개의 롤러(16b)를 상기 롤러(16b) 설치한 구조로 구성되어,
    캐리어 사이의 간섭 및 충돌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
  23.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링크(75)의 롤러(75c)는,
    원통형의 일단 모서리를 기울기를 가지도록 가공한 지지부재(75c′) 한 쌍 사이에, 파이프(75c″)를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재(75c′)와 파이프(75c″)를 일체화한 구조로 구성하여,
    롤러의 제작이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
KR1020080070635A 2008-07-21 2008-07-21 로터리 주차 장치 KR101069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635A KR101069711B1 (ko) 2008-07-21 2008-07-21 로터리 주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635A KR101069711B1 (ko) 2008-07-21 2008-07-21 로터리 주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826A KR20100009826A (ko) 2010-01-29
KR101069711B1 true KR101069711B1 (ko) 2011-10-04

Family

ID=41818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635A KR101069711B1 (ko) 2008-07-21 2008-07-21 로터리 주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7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5130A (zh) * 2013-10-18 2014-03-05 湖南地生工业设备有限公司 动态旋转式智能搬运器
CN104652888A (zh) * 2015-02-03 2015-05-27 陕西隆翔停车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多层无避让立体车库
KR101555564B1 (ko) 2014-06-03 2015-09-24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수직순환형 주차장치의 캐리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006B1 (ko) * 2011-04-13 2012-01-31 동양피씨(주) 수직 순환식 주차장치
CN107985107A (zh) * 2017-12-15 2018-05-04 重庆海通吉佳智能装备有限公司 垂直循环立体车库及其充电桩电源连接机构
CN110388110A (zh) * 2019-07-30 2019-10-29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停车位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871B1 (ko) 2000-06-02 2003-09-29 동양기전 주식회사 자동차의 수직 순환식 주차장치
KR200329557Y1 (ko) 2003-07-26 2003-10-10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턴테이블이 내장된 로타리 주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871B1 (ko) 2000-06-02 2003-09-29 동양기전 주식회사 자동차의 수직 순환식 주차장치
KR200329557Y1 (ko) 2003-07-26 2003-10-10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턴테이블이 내장된 로타리 주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5130A (zh) * 2013-10-18 2014-03-05 湖南地生工业设备有限公司 动态旋转式智能搬运器
KR101555564B1 (ko) 2014-06-03 2015-09-24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수직순환형 주차장치의 캐리어
CN104652888A (zh) * 2015-02-03 2015-05-27 陕西隆翔停车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多层无避让立体车库
CN104652888B (zh) * 2015-02-03 2017-02-22 陕西隆翔停车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多层无避让立体车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826A (ko) 201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711B1 (ko) 로터리 주차 장치
KR100664968B1 (ko) 턴테이블을 가진 로터리 주차 장치
JP5421745B2 (ja) 充電機能付き駐車装置
KR101108006B1 (ko) 수직 순환식 주차장치
JP5457209B2 (ja) 駐車装置
JP2011069180A (ja) 電気自動車の充電装置を備えた駐車塔
CN101357608B (zh) 车载升降装置
KR101030102B1 (ko) 작동의 정확성을 높인 로터리 주차 장치
CN115015681A (zh) 一种汽车电子检测平台
KR20120049815A (ko) 케이블의 고정지그, 팔레트 및 기계식 주차장
CN108674532A (zh) 一种自行车停车装置
CN209308508U (zh) 一种二层升降横移立体车库
JP2011208458A (ja) 充電装置付き機械式駐車装置
JP2015145573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の横行装置
JP5568275B2 (ja) 駐車装置及び充電装置
CN210598308U (zh) 一种机械式立体车库
KR20160003956U (ko) 차량 이동장치가 구비된 타워형 주차장치
CN107620506A (zh) 车辆检测系统及立体停车库
KR20110133802A (ko) 전원케이블 점검용 대차
CN220116069U (zh) 一种电池转运系统
KR20080082525A (ko) 기계식 2단 주차기의 팔레트 구동 장치
CN219219941U (zh) 一种地坑式升降横移停车设备
KR100935350B1 (ko)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
CN218187124U (zh) 一种担架运输车
CN215591794U (zh) 一种货盘升降输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