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350B1 -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350B1
KR100935350B1 KR1020090075116A KR20090075116A KR100935350B1 KR 100935350 B1 KR100935350 B1 KR 100935350B1 KR 1020090075116 A KR1020090075116 A KR 1020090075116A KR 20090075116 A KR20090075116 A KR 20090075116A KR 100935350 B1 KR100935350 B1 KR 100935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guide
plate
uni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호
Original Assignee
(주)삼환
(주)디자인파크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환, (주)디자인파크개발 filed Critical (주)삼환
Priority to KR1020090075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53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12Hanging-up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05Garages for vehicles on two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건거를 주차시키는 자전거 주차타워에 설치되어 승강동작을 수행하면서 입고되는 자전거를 주차부로 안내함과 동시에 주차된 자전거의 출고시 입구부로 안전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전거 주차타워의 내측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동력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장착되어 승강동작을 수행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어 승강부의 승강동작시 이를 안내하는 안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전거, 주차타워, 지주체, 승강판, 가이드

Description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A bicycle parking tower for lift}
본 발명은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를 주차시키는 자전거 주차타워에 설치되어 승강동작을 수행하면서 입고되는 자전거를 주차부로 안내함과 동시에 주차된 자전거의 출고시 입구부로 안전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이 증가하여 교통체증 및 환경오염이 심해지는 등의 이유로 인해 근거리 이동시에는 자전거가 점차 많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자전거 운행에 따른 환경오염의 걱정이 없고 사용자의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교통수단으로서, 도로공간 이용이 효율적이고 도로가 혼잡할 경우에도 개인의 이동성을 높여 줄 수가 있다.
그러므로, 자전거의 생활화를 정부와 시민단체 등에서 적극 장려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의 하나로 전국에 자전거 도로망이 늘어나게 되었고, 역이나 터미널, 백화점, 공공시설 및 아파트 단지와 같은 공용주거시설 등에 자전거를 보관하기 위한 자전거 주차대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전거 주차대는 처마를 가지는 건축물에 주차 공간만 제공하 거나, 혹은 앞바퀴를 들어올려 정돈 겸 고정할 수 있는 거치대를 함께 제공하고 있다.
즉, 종래의 자전거 주차대는 단순히 자전거를 기대어 놓을 수 있는 체제 구조물로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 같은 자전거 주차대에 자전거를 주차하는 경우에는 자전거 소유자가 별도의 잠금장치를 휴대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전거와 주차대를 결속하는 방식으로 자전거의 도난을 방지하고 있다.
이는 자전거 주차장의 공간이 협소하여 자전거를 주차대에 주차하고 잠금장치를 체결할 때 자전거 사이를 출입하여야 하는 관계로 주차장의 공간이 협소하므로 자전거와 자전거의 사이를 통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113603호 "자전거 주차타워 시스템"이 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개특허공보 제2008-113603호 "자전거 주차타워 시스템"을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되,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구동휠(20)이 구비되고, 이 구동휠(20)을 서로 연결시키는 전달수단(30)이 구비되며, 서로 대응되는 전달수단(30)에 양측부가 고정되는 프레임(40)이 구비되고, 이 프레임(40)에 유동되게 체결되는 거치대(5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구동휠에 의해 거치대가 승강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양측에 대응되게 구비된 구동휠이 설치되어 있어 자전거를 주차할 공간이 좁아지게 되 어 많은 자전거의 주차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동휠간에 프레임이 연결되고 이 프레임에 자전거가 주차되는 거치대가 구비되어 있어 거치대를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소음이 발생되고, 흔들림이 발생되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지주체의 가이드에 의해 승강판이 승강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흔들림 및 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안전하게 승강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지주체가 자전거타워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지주체의 가이드에 의해 자전거를 주차시키기 위하여 입고되는 자전거를 주차부로 안내하는 승강판이 승강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타워의 설치공간을 작게 차지하게 되어 자전거를 주차시킬 수 있는 주차공간을 많이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지주체의 양측부에 가이드체가 더 구비됨으로써, 승강판이 승강동작을 수행할 때 흔들림 없이 안전하게 승강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가이드체의 상, 하부에 완충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승강판이 승강동작을 수행할 때 완충부에 의해 승강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지주체에 승강판의 상승시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어 지주체의 가이드에 의해 상승하는 승강판이 과다하게 상승하여 지주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전거 주차타워의 내측 지면에 고 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동력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장착되어 승강동작을 수행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어 승강부의 승강동작시 이를 안내하는 안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지면에 고정되되, 가장자리 상부에 돌출되게 다수개의 고정구가 형성된 하판이 구비되고, 상기 다수개의 고정구 사이에 구비되어 하판과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며, 고정구에 체결 고정되는 가입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상부에 가이드부가 설치되는 지지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고정부의 지지판 상부에 고정되되,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지주체가 구비되고, 상기 지주체의 상단부에는 일측부로 홀이 형성된 상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의 지주체에는 이 지주체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체는 지주체의 양측부에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체의 상, 하부에는 볼트에 의해 지주체와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주체의 상단부 소정의 위치에는 승강판의 상승시 이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감지센서부는 지주체에 고정되는 결속레일이 구비되고, 이 결속레일에 체결 고정되는 장착판이 구비되며, 이 장착판에는 센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부는 가이드부의 상판에 고정되는 설치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설치브라켓에 체결 고정되되, 모터축에 감속기가 체결되게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홀 양측 상단에 서로 대응되게 고정체가 구비되고, 이 고정체를 관통하여 고정되되, 감속기에 일측부가 결속되는 회전축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에는 한 쌍의 권취로울러가 체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체 외측으로 돌출되게 체결 고정되되, 가이드체의 상, 하부에 대응되는 고정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 체결 고정되는 상, 하부에 구비된 고정브라켓의 대응 방향으로 돌출되게 체결 고정되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진 완충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승강부는 가이드부의 지주체에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 하부에 터치판이 형성된 체결브라켓이 형성되며, 이 체결브라켓 하단 측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승강판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브라켓의 정면에는 동력부에 구비된 권취로울러와 와이어가 결속되는 결속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속부는 체결브라켓 정면에 고정되되, 정면으로 돌출된 고정부재가 형성된 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의 상단 정면에 와이어가 결속되는 와이어결속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수직방향으로 끼워져 상부가 와이어결속부재에 고정되는 고정축이 구비되고, 이 고정축의 하부에 슬라이드체가 체결 고정되며, 슬라이드체의 상부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의 하단부에는 제2감지센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감지센서부는 고정판의 하부에 연결판이 구비되고, 이 연결판 양측부 정면에는 결속레일이 구비되며, 이 결속레일의 정면으로 체결 고정되는 장착판이 구비되고, 이 장착판에 체결 고정되어 슬라이드체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체결브라켓에는 가이드부에 형성된 제1감지센서부의 센서에 접촉 해지되는 접속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는 승강부의 체결브라켓 양측부에 결속되되, 상, 하부로 이격되게 결속판이 구비되고, 상기 결속판에는 수직 방향으로 한 쌍의 지지브라켓이 구비되어 이 지지브라켓의 사이 결속판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브라켓의 사이에 장착되되, 관통홀에 일부가 끼워져 가이드부의 가이드체 외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제1지지로울러가 구비되고, 상기 결속판에 체결 고정되되, 지지브라켓의 양측부에 구비되어 체결브라켓을 관통하여 체결공에 위치되는 고정축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축에 체결 고정되어 가이드체의 양측면에 밀착 지지하는 한 쌍의 제2지지로울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지주체의 가이드에 의해 승강판이 승강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흔들림 및 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안전하게 승강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지주체가 자전거타워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지주체의 가이드에 의해 자전거를 주차시키기 위하여 입고되는 자전거를 주차부로 안내하는 승강판이 승강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타워의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게 되어 자전거를 주차시킬 수 있는 주차공간을 많이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주체의 양측부에 가이드체가 더 구비됨으로써, 승강판이 승강동작을 수행할 때 흔들림 없이 안전하게 승강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가이드체의 상, 하부에 완충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승강판이 승강동작을 수행할 때 완충부에 의해 승강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지주체에 승강판의 상승시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어 지주체의 가이드에 의해 상승하는 승강판이 과다하게 상승하여 지주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가이드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동력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의 a,b는 본 발명의 승강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결속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의 a,b는 본 발 명의 안내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100)은 자전거 주차타워(510)의 내측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10)는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하판(112)이 구비되고, 이 하판(112)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고정구(114)가 형성되며, 이 고정구(114) 사이에 장착되되, 고정구(114)에 체결되는 가압볼트(115)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판(116)이 구비되고, 이 지지판(116)은 하판(112)에 고정볼트(117)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10)의 지지판(116)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2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210)는 지지판(116)의 상부 수직 방향으로는 일체로 형성된 지주체(212)가 구비되고, 이 지주체(212)의 상부에는 일측부가 개방되게 홀(216)이 형성된 상판(214)이 결합 고정된다.
이때, 상기 상판(214)의 하부에는 상판(214)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주체(212)의 측면에 고정되는 리브(217)가 더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지주체(212)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게 가이드체(2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체(220)는 지주체(212)의 양측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되되, 가이드체(220)의 상, 하부에는 볼트(미도시)에 의해 지주체(212)와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게 체결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지주체(212)의 상단부 소정의 위치, 즉 상판(214)의 하단부로 이격되게 제1감지센서부(23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감지센서부(230)는 지주체(212)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판(214)의 하부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고 지주체(212)의 후면부에 고정되는 결속레일(232)이 구비되고, 이 결속레일(232)에 체결 고정되는 장착판(234)이 고정되며, 이 장착판(234)에는 센서(23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체(220) 외측으로 돌출되게 체결 고정되되, 가이드체(220)의 상, 하부에 대응되는 고정브라켓(242)(242a)이 구비되고, 고정브라켓(242)(242a)에 체결 고정되어 상, 하부에 구비된 고정브라켓(242)(242a)의 대응 방향으로 돌출되게 고정되는 완충부재(244)(244a)가 형성된 완충부(240)(240a)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210)의 상판(214)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동력부(3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부(310)는 상판(214)의 상부에 안착 고정되는 설치브라켓(312)이 구비되고, 이 설치브라켓(312)에 결합 고정되되, 모터축이 이 설치브라켓(312)을 관통하여 모터축이 끼워지고, 이 모터축의 끝단부에 감속기(314)가 체결 고정되는 모터(316)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상판(214)의 홀(216)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게 고정체(318)가 구비되고, 이 고정체(318)를 관통하는 회전축(320)이 구비되고, 이때 고정체(320)에는 회전축(32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되며, 회전 축(320)의 일측부는 감속기(314)에 결속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축(320)은 중앙부에 단턱부를 형성하고 이 단턱부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부에 와이어(W)가 권취되는 한 쌍의 권취로울러(3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210)의 지주체(212) 및 가이드체(220)에 의해 승강동작을 수행하는 승강부(4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410)는 가이드부(210)의 지주체(212)에 체결되되, 일측부가 개방된 체결공(413)이 형성되고, 상, 하부에 터치판(414a)(414b)이 형성된 체결브라켓(412)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체결브라켓(412)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타워(110)의 통로(116)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끝단부 상단에 감지센서(417)가 구비된 안착브라켓(416)이 형성된 승강판(411)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판(411)의 상, 하부에 구비된 터치판(414a)(414b)은 가이드체(330)의 상, 후부에 구비된 완충부재(244)(244a)와 접촉되어 충격을 완화시켜 승강판(411) 등 부품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브라켓(412)의 정면, 즉 안착브라켓(416)의 상단부에 위치되게 체결브라켓(412)에 체결되어 동력부(310)에 구비된 권취로울러(322)에 권취된 와이어(W)가 결속되는 결속부(4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결속부(420)는 체결브라켓(412) 정면에 고정되되, 정면으로 돌출된 고정부재(423)가 형성된 고정판(422)이 구비되고, 고정판(422)의 상단부 정면에는 와이어(W)가 연결되는 로울러(425)가 형성된 와이어결속부재(424)가 구비된 다.
나아가, 상기 고정부재(423)에 수직 방향으로 끼워져 상단부가 와이어결속부재(424)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축(426)이 구비되고, 고정축(426)의 하부에는 슬라이드체(427)가 끼워지고, 이 슬라이드체(427)의 하부에는 고정축(426)에 나사 고정되는 너트(428)에 의해 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축(426) 상에 위치되어 고정부재(423)와 슬라이드체(427)의 사이에는 탄성부재(S)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결속부재(424)의 로울러(425)에 연결되는 와이어(W)의 끝단부는 로울러(425)를 감싸는 형상으로 연결한 후 와이어(W)의 끝단부는 와이어(W)의 소정 위치, 즉 로울러(425)를 감싸는 형상으로 하여 로울러(425)의 상부에 위치된 와이어(W)와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와이어매듭고정구(429)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422)의 하단부에는 슬라이드체(427)의 동작을 단속하는 제2감지센서부(4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감지센서부는 상기 고정판(422)의 하부에 연결판(432)이 형성되고, 이 연결판(432) 양측부 정면에 결속레일(433)이 구비되며, 이 결속레일(433)의 정면으로 체결 고정되는 장착판(434)이 구비되고, 이 장착판(434)에 결합 고정되어 슬라이드체(427)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43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판(411)이 승강시에 제2센서부(430)에 의해 승강 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승강판(411)의 상승시에 와이어(W)에 의해 상부로 당기는 힘에 의해 고정축(426)이 상승하면서 슬라드체(427)에 접촉되어 있는 센서(435) 가 이를 감지하고, 반대로 상기 승강판(411)이 하강하게 되면 승강판(411)의 하중에 의해 슬라이드체(427)가 하강하여 센서(435)가 이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부(410)에 설치되어 승강부(410)의 승강동작시 이를 안내하는 안내부(4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440)는 승강부(410)의 체결브라켓(412) 양측부에 구비되되, 상, 하부로 이격되게 결속판(442)이 구비되고, 이 결속판(442)에는 수직 방향으로 한 쌍의 지지브라켓(444)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지지브라켓(444)의 사이에 위치하는 결속판(442)에는 관통홀(442a)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브라켓(444)의 사이에 장착되되, 관통홀(442a)에 일측부가 끼워져 가이드부(310)의 가이드체(330) 외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제1지지로울러(44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결속판(442)에 결합 고정되되, 지지브라켓(444)의 양측부에 구비되어 측부의 체결브라켓(444)을 관통하여 체결공(413)에 위치되는 고정축(447)이 구비되고, 이 고정축(447)에 결합 고정되어 가이드체(330)의 양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한 쌍의 제2지지로울러(448)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 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는 먼저, 상기 승강부(410)가 가이드부(310)의 타워(510)의 하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타워(510)에 구비된 출입구(512)로 자전거(B)가 입고되게 되면 타워(510)에 설치된 제어부(미도시)의 입고버튼을 누르게 되면 자전거 파지수단(미도시)이 타워(510)의 출입구(51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자전거 파지수단이 출입구(512) 방향으로 이동 완료 후 자전거(B)의 앞바퀴를 파지하고 파지 완료 후에는 자전거 파지수단이 승강판(411)의 안착브라켓(416) 상부로 복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동력부(310)의 모터(316)를 작동시키게 되면 권취로울러(322)가 회전하면서 와이어(W)가 권취로울러(322)에 권취되게 되고, 와이어(W)가 권취됨에 따라 승강부(410)가 지주체(212) 및 가이드체(220)의 가이드에 의해 상부로 상승하게 되고, 이때 타워(510)에 다단으로 형성된 주차부(610)에 자전거(B)를 주차하고자 하는 주차판(612)이 형성된 층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모터(316)의 작동이 정지되면서 승강판(411)은 더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자전거(B)를 주차하고자 하는 층에 위치된 상태에서 자전거(B)를 주차하고자 하는 주차판(612)으로 자전거(B)가 주차될 수 있도록 자전거 파지수단이 회전하면서 주차하고자 하는 주차판(612)과 동일선상이 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주차판(612)과 동일선상이 되게 회전 완료 후에 자전거 파지수단은 자전거(B)가 출입구(512)로 입고되어 파지할 때와 동일하게 자전거(B)를 파지 한 상태에서 전진시켜 자전거(B)를 주차판(612)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자전거(B)를 주차판(612)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자전거(B)를 파지하고 있는 자전거 파지수단의 파지력을 해지 시킨 다음 안착브라켓(416)의 상부로 원상복귀하게 되면 자전거(B)의 주차가 완료된다.
이렇게 상기 주차판(612)에 자전거(B)의 주차 완료 후에 동력부(310)의 모터(316)를 승강판(411)이 상승할 때의 반대 방향으로 동작시키게 되면 상기 승강판(411)은 하강하여 처음 상태, 즉 타워(510)의 하부로 복귀하여 출입구(512)로 입고되는 자전거(B)를 주차시키기 위해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주차판(612)에 주차된 자전거(B)를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자전거(B)를 주차시킬 때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자전거(B)를 인출하고자 하는 주차판(612)의 정면 위치에 승강판(411)을 이동시키고, 이 상태에서 자전거 파지수단이 전진하여 주차판(612)에 주차된 자전거(B)를 파지한 다음 자전거 파지수단을 후퇴시켜 안착브라켓(416)의 상부에 위치되게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승강판(411)을 하강시킨 후 자전거 파지수단을 전진시켜 출입구(512) 방향으로 자전거(B)를 출고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판(411)이 지주체(212) 및 가이드체(220)의 안내에 따라 상승할 때 승강판(411)의 접촉판(418)이 지주체(212)에 구비된 제1센서부(230)의 센서(236)에 터치되어 모터(316)의 작동을 단속하게 되어 승강판(411)이 상부로 더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체(220)에 구비된 완충부재(244)(224a)에 의해 승강 판(411)의 상승 또는 하강시에 가이드체(220)의 상, 하부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격을 완화시켜 승강판(411) 및 그외 부품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를 주차시키는 자전거 주차타워에 설치되어 승강동작을 수행하면서 입고되는 자전거를 주차부로 안내함과 동시에 주차된 자전거의 출고시 입구부로 안전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전거 주차타워 시스템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부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가이드부를 보인 도면.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동력부를 보인 도면.
도 6의 a,b는 본 발명의 승강부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결속부를 보인 도면.
도 8의 a,b는 본 발명의 안내부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자전거 타워용 리프트 110 : 고정부
112 : 하판 114 : 고정구
115 : 가압볼트 116 : 지지판
117 : 고정볼트 210 : 가이드부
212 : 지주체 214 : 상판
216 : 홀 220 : 가이드체
230, 430 : 제1감지센서 232, 433 : 결속레일
234, 434 : 장착판 236, 435 : 센서
240, 240a : 완충부 242, 242a : 고정브라켓
244, 244a : 완충부재 310 : 동력부
312 : 설치브라켓 314 : 감속기
316 : 고정체 320 : 회전축
322 : 권취로울러 410 : 승강부
411 : 승강판 412 : 체결브라켓
413 : 체결공 414a, 414b : 터치판
416 : 안착브라켓 417 : 감지센서
420 : 결속부 422 : 고정판
423 : 고정부재 424 : 와이어결속부재
425 : 로울러 426 : 고정축
427 : 슬라이드체 428 : 너트
429 : 와이어매듭고정구 432 : 연결판
440 : 안내부 442 : 결속판
444 : 지지브라켓 446, 448 : 제1,2지지로울러
447 : 고정축 510 : 타워
512 : 출입구 610 : 주차부
612 : 주차판 B : 자전거
S : 탄성부재 W : 와이어

Claims (15)

  1. 자전거 주차타워의 내측 지면에 고정되되, 가장자리 상부에 돌출되게 다수개의 고정구가 형성된 하판이 구비되고, 다수개의 고정구 사이에 구비되어 하판과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며, 고정구에 체결 고정되는 가압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상부에 가이드부가 설치되는 지지판이 구비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동력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장착되어 승강동작을 수행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어 승강부의 승강동작시 이를 안내하는 안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
  2. 삭제
  3. 자전거 주차타워의 내측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되, 고정부의 지지판 상부에 고정되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지주체가 구비되고, 지주체의 상단부에는 일측부로 홀이 형성된 상판이 구비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동력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장착되어 승강동작을 수행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어 승강부의 승강동작시 이를 안내하는 안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지주체에는 이 지주체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체는 지주체의 양측부에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체의 상, 하부에는 볼트에 의해 지주체와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체의 상단부 소정의 위치에는 승강판의 상승시 이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센서부는 지주체에 고정되는 결속레일이 구비되고, 이 결속레일에 체결 고정되는 장착판이 구비되며, 이 장착판에는 센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
  8. 자전거 주차타워의 내측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에 설치되되, 가이드부의 상판에 고정되는 설치브라켓이 구비되고, 설치브라켓에 체결 고정되는 모터가 구비되며, 이 모터의 모터축에는 감속기가 체결 고정되고, 상판의 홀 양측 상단에 서로 대응되게 고정체가 구비되고, 이 고정체를 관통하여 일측부가 감속기에 체결 고정되는 회전축이 구비되며, 회전축에는 한 쌍의 권취로울러가 체결 고정된 동력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장착되어 승강동작을 수행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어 승강부의 승강동작시 이를 안내하는 안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
  9. 자전거 주차타워의 내측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동력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장착되어 승강동작을 수행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어 승강부의 승강동작시 이를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체 외측으로 돌출되게 체결 고정되되, 가이드체의 상, 하부에 대응되는 고정브라켓이 구비되고, 고정브라켓에 체결 고정되는 상, 하부에 구비된 고정브라켓의 대응 방향으로 돌출되게 체결 고정되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진 완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
  10. 자전거 주차타워의 내측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동력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장착되어 승강동작을 수행하되, 가이드부의 지주체에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 하부에 터치판이 형성된 체결브라켓이 형성되며, 이 체결브라켓 하단 측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승강판이 구비된 승강부와,
    상기 체결브라켓의 정면에는 동력부에 구비된 권취로울러와 와이어가 결속되는 결속부와,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어 승강부의 승강동작시 이를 안내하는 안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체결브라켓 정면에 고정되되, 정면으로 돌출된 고정부재가 형성된 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의 상단 정면에 와이어가 결속되는 와이어결속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수직방향으로 끼워져 상부가 와이어결속부재에 고정되는 고정축이 구비되고, 이 고정축의 하부에 슬라이드체가 체결 고정되며, 슬라이드체의 상부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하단부에는 제2감지센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센서부는 고정판의 하부에 연결판이 구비되고, 이 연결판 양측부 정면에는 결속레일이 구비되며, 이 결속레일의 정면으로 체결 고정되는 장착판이 구비되고, 이 장착판에 체결 고정되어 슬라이드체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브라켓에는 가이드부에 형성된 제1감지센서부의 센서에 접촉 해지되는 접속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
  15. 자전거 주차타워의 내측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동력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장착되어 승강동작을 수행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어 승강부의 승강동작시 이를 안내하되, 승강부의 체결브라켓 양측부에 상, 하부로 이격되게 결속판이 구비되고, 결속판에는 수직 방향으로 한 쌍의 지지브라켓이 구비되어 이 지지브라켓의 사이 결속판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지지브라켓의 사이에는 관통홀에 일부가 끼워져 가이드부의 가이드체 외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제1지지로울러가 구비되고, 결속판에는 지지브라켓의 양측부에 구비되어 체결브라켓을 관통하여 체결공에 위치되는 고정축이 구비되며, 고정축에 체결 고정되어 가이드체의 양측면에 밀착 지지하는 한 쌍의 제2지지로울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
KR1020090075116A 2009-08-14 2009-08-14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 KR100935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116A KR100935350B1 (ko) 2009-08-14 2009-08-14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116A KR100935350B1 (ko) 2009-08-14 2009-08-14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5350B1 true KR100935350B1 (ko) 2010-01-06

Family

ID=41809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116A KR100935350B1 (ko) 2009-08-14 2009-08-14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53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835B1 (ko) 2010-06-30 2012-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전거 캐리어용 경고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8518A (ja) * 1995-12-05 1997-06-17 Mitsubishi Heavy Ind Ltd 機械式駐輪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8518A (ja) * 1995-12-05 1997-06-17 Mitsubishi Heavy Ind Ltd 機械式駐輪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835B1 (ko) 2010-06-30 2012-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전거 캐리어용 경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609408U (zh) 应用于停车库停车平台的车辆对中装置
KR100664968B1 (ko) 턴테이블을 가진 로터리 주차 장치
KR100978883B1 (ko) 자전거용 주차타워장치
JP3212724U (ja) 立体式駐輪装置
KR20130006783U (ko) 감지센서가 구비된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US20070029267A1 (en) Bicycle support rack
JP2012218501A (ja) 電動昇降式駐輪機
CN106276514B (zh) 一种便于安放自行车的轿厢
KR20100053130A (ko) 자가구동식 2단 주차장치
CN106703488B (zh) 一种多层旋转式立体车库
CN102691431A (zh) 圆塔式停车设备
KR100935350B1 (ko)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
KR20110064594A (ko) 자전거용 주차타워
CN106429731B (zh) 一种用于快速主干道的电梯系统
KR20110042532A (ko) 자전거 주차 시스템
CN201209331Y (zh) 升降式轿车双层停放台架
CN202467282U (zh) 一种安全强化型卧地式车库
CN108756340A (zh) 一种自牵引立式自行车停放装置
KR101131017B1 (ko) 자전거용 주차타워
CN104088494B (zh) 一种停车位塔库
CN103669938B (zh) 一种多层自动横移升降式立体车库
JP3966526B2 (ja) 駐輪施設
CN103556855B (zh) 一种多层动力外置升降横移停车设备
CN206091449U (zh) 一种升降横移立体车库载车板装置
KR100978885B1 (ko) 자전거 주차타워용 자전거 입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