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835B1 - 자전거 캐리어용 경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전거 캐리어용 경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835B1
KR101198835B1 KR1020100063045A KR20100063045A KR101198835B1 KR 101198835 B1 KR101198835 B1 KR 101198835B1 KR 1020100063045 A KR1020100063045 A KR 1020100063045A KR 20100063045 A KR20100063045 A KR 20100063045A KR 101198835 B1 KR101198835 B1 KR 101198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ning
bicycle
bicycle carrier
detecting
confirma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255A (ko
Inventor
이승목
장래웅
차동은
김성원
김헌수
조후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3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835B1/ko
Publication of KR20120002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83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1)의 리어 범퍼(20) 내부에 은폐되어 격납되고, 필요시 인출되어 자전거(2)를 적재할 수 있는 인출식 자전거 캐리어(C)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고 경고하기 위한 자전거 캐리어용 경고 시스템이 소개된다.
이러한 자전거 캐리어용 경고 시스템은 차량(1)의 리어 범퍼(20) 내부에 은폐되어 격납되고, 필요시 상기 리어 범퍼(20)로부터 인출되는 자전거 캐리어(C)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고 경고하기 위한 경고 시스템으로서, 상기 자전거 캐리어(C)의 인출 상태를 감지하는 인출 확인 센서(S1)와, 상기 자전거 캐리어(C)의 절첩 상태를 감지하는 절첩 확인 센서(S2)와, 상기 자전거의 고정 상태를 감지하는 고정 확인 센서(S3)와, 상기 자전거 캐리어(C)의 후방 및 측방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S4)와, 상기 센서들(S1,S2,S3,S4)로부터 인가받는 신호에 따라 경고등(L)과 경고벨(B)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P)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등(L)과 경고벨(B)의 작동을 통해 자전거 캐리어(C)의 작동 상태 및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전거 캐리어용 경고 시스템{ALARM SYSTEM FOR BICYCLE CARRIER}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 범퍼 내부에 은폐되어 격납되고, 필요시 인출되어 자전거를 적재할 수 있는 인출식 자전거 캐리어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고 경고하기 위한 자전거 캐리어용 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자전거는 교통수단으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레저 수단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자전거를 레저 수단으로 사용할 경우 자전거 이용자들은 잘 정비된 자전거 전용도로가 마련된 강이나 하천 또는 산악 자전거 코스가 마련된 산 근처까지 차량을 이용하여 자전거를 운반한 뒤 자전거를 이용하곤 한다.
따라서, 차량을 이용한 자전거의 운반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가 개발된 바 있고, 본 출원인은 자전거를 적재하지 않을시 자전거 캐리어가 차량의 리어 범퍼 내측에 은폐되어 격납되도록 함으로써 자전거를 적재하지 않을시 차량의 길이가 증가되지 않게 되고, 빈번히 자전거 캐리어를 탈부착할 필요가 없게 되는 등 편리성이 향상된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특허출원 제2009-0107021호)를 출원한 바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선출원된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자전거 캐리어의 격납 상태 및 자전거의 고정 상태를 감지하여 경보할 수 있고, 나아가 자전거 운반시의 다른 교통 수단과의 충돌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차량의 후방 및 측방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경보할 수 있는 자전거 캐리어용 경보 시스템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의 인출 상태와 절첩 상태는 물론 자전거의 고정 상태 및 차량의 후진 및 방향 전환시 후방 또는 측방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경고할 수 있는 자전거 캐리어용 경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캐리어용 경보 시스템은, 차량의 리어 범퍼의 내부에 위치하고, 차체의 후단부에 고정 설치된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전방 프레임을 직교하여 통과하도록 설치된 중앙 프레임과, 상기 중앙 프레임의 후단부에 고정 설치된 후방 프레임과, 상기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의 양 단부를 각각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 사이의 거리 변화가 가능하도록 절첩되는 절첩 부재와, 상기 중앙 프레임에 설치되어 적재되는 자전거의 일 부분을 고정하는 고정대를 포함하며, 차량의 리어 범퍼 내부에 은폐되어 격납되고, 필요시 상기 리어 범퍼로부터 인출되는 자전거 캐리어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고 경고하기 위한 경고 시스템으로서, 상기 중앙 프레임의 이동을 제한하는 인출 고정장치의 접점부에서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인출 확인 센서와, 상기 절첩 부재를 펴진 상태에 있도록 고정하는 절첩 고정장치의 접점부에서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절첩 확인 센서와, 상기 자전거의 일 부분을 고정하는 자전거 고정장치의 접점부에서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고정 확인 센서와, 상기 센서들로부터 인가받는 신호에 따라 경고등과 경고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인출 확인 센서로부터 비접촉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상기 경고등과 경고벨을 모두 ON시키고, 상기 절첩 확인 센서로부터 접촉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상기 경고벨을 OFF시키며, 상기 고정 확인 센서로부터 접촉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상기 경고등의 색을 전환하거나 경고등을 OFF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절첩 확인 센서로부터 비접촉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상기 경고등과 경고벨의 ON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고정 확인 센서로부터 비접촉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상기 경고등의 ON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고 시스템은 상기 자전거 캐리어의 후방 및 측방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로부터 인가받는 신호에 따라 경고등과 경고벨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는 차량의 방향지시등이 ON되거나 후진 기어가 ON되는 경우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를 작동시키며,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로부터 장애물 감지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상기 경고등의 색을 전환하거나 경고등을 ON시키고, 경고벨을 ON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자전거 캐리어용 경보 시스템에 따르면, 자전거 캐리어의 인출 상태와 절첩 상태는 물론 자전거의 고정 상태 및 차량의 후진 및 방향 전환시 후방 또는 측방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경고할 수 있게 되어 자전거 캐리어의 효용이 증대될 수 있게 되고, 자전거 운반시 발생할 수 있는 차량 측방 및 후방에서의 사고 발생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차량의 리어 범퍼에 은폐되어 격납되고 필요시 인출되도록 구성된 자전거 캐리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캐리어용 경보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캐리어용 경보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자전거 캐리어가 차량의 리어 범퍼에 격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자전거 캐리어에 설치된 인출 고정장치의 고정을 해제하는 인출 해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자전거 캐리어의 전방 프레임에 설치된 인출 고정장치 및 인출 고정장치의 접점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자전거 캐리어가 차량의 리어 범퍼에 격납되었을 때의 절첩 부재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자전거 캐리어가 차량의 리어 범퍼로부터 인출되었을 때의 절첩 부재의 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자전거 캐리어의 절첩 부재에 설치된 절첩 고정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자전거 캐리어의 절첩 부재에 설치된 절첩 고정장치 및 절첩 고정장치의 접점부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자전거 캐리어의 고정대에 설치된 자전거 고정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자전거 캐리어의 고정대에 설치된 자전거 고정장치 및 자전거 고정장치의 접점부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자전거 캐리어의 보조램프에 설치된 장애물 감지 센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자전거 캐리어의 보조램프에 설치된 장애물 감지 센서에 의한 장애물 감지 영역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차량(1)의 리어 범퍼(20) 내부에 은폐되어 격납되고, 필요시 인출되어 자전거(2)를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전거 캐리어(C)는 리어 범퍼(20)의 외형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리어 범퍼(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인출 범퍼(30)를 구비하기에 자전거 캐리어(C)가 차량(1)의 리어 범퍼(20)에 격납되었을 때 은폐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자전거 캐리어(C)는 차량(1)의 리어 범퍼(20)의 내부에 위치하고, 차체의 후단부에 고정 설치된 전방 프레임(100)과, 상기 전방 프레임(100)을 직교하여 통과하도록 설치된 중앙 프레임(200)과, 상기 중앙 프레임(200)의 후단부에 고정 설치된 후방 프레임(300)과, 상기 전방 프레임(100)과 후방 프레임(300)의 양 단부를 각각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방 프레임(100)과 후방 프레임(300) 사이의 거리 변화가 가능하도록 절첩되는 절첩 부재(400)와, 상기 중앙 프레임(200)에 설치되어 적재되는 자전거의 일 부분을 고정하는 고정대(210)를 포함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프레임(100)에는 상기 중앙 프레임(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인출 고정장치(500)가 설치되고,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차량의 트렁크룸에는 상기 인출 고정장치(500)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장치(U)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인출 고정장치(500)는 상기 전방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하우징(510)과, 이 하우징(510)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520)과, 상기 스프링(5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5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중앙 프레임(200)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중앙 프레임(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 돌기(530)를 포함하며, 상기 인출 고정장치(500)와 해제장치(U)는 와이어(W)에 의해 연결된다.
한편, 상기 인출 고정장치(500)의 접점부(N1)는 인출 확인 센서(S1)에 의해 감지되는 부분이며, 상기 인출 확인 센서(S1)는 접촉 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자전거 캐리어(C)가 격납되었을 때는 절첩 부재(400)는 접혀진 상태로 있게 되고, 자전거 캐리어(C)가 인출되었을 때는 절첩 부재(400)는 펴진 상태로 있게 된다. 즉, 절첩 부재(400)를 구성하는 제 1 링크(410)와 제 2 링크(420)는 서로 일직선으로 펴진 상태에 있게 된다.
한편, 도 9 및 도 9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인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절첩 부재(400)에는 절첩 부재(400)를 펴진 상태에 있도록 고정하는 절첩 고정장치(600)가 설치되며, 이러한 절첩 고정장치(600)는 상기 제 1 링크(410)에 설치되는 하우징(610)과, 이 하우징(610)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620)과, 상기 스프링(6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6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제 2 링크(420)를 고정하는 고정 돌기(6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링크(420)의 힌지부(421)에는 상기 고정 돌기(630)가 삽입되는 고정홀(42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돌기(433)는 상기 절첩 부재(400)가 펴진 상태에 있을 때 스프링(432)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링크(420)의 힌지부(421)에 형성된 고정홀(421a)에 삽입되도록 이동하여 상기 제 2 링크(420)를 고정한다.
한편, 상기 절첩 고정장치(600)의 접점부(N2)는 절첩 확인 센서(S2)에 의해 감지되는 부분이며, 상기 절첩 확인 센서(S2)는 접촉 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자전거(2)의 일 부분을 고정하는 자전거 고정장치(700)가 도시되며, 상기 자전거 고정장치(700)는 중앙 프레임(200)에 설치된 고정대(210)의 단부에 설치되며, 도 11 및 도 12는 상기 자전거 고정장치(700)가 자전거의 일 부분 중 패달 링크(21)를 고정하는 경우를 일 예로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자전거 고정 장치(700)는 패달 링크(21) 중 패달이 돌출된 측면에 접촉되는 제 1 고정대(710)와 그 반대 측면측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2 고정대(720)와, 상기 제 2 고정대(720)를 관통하여 상기 패달 링크(21)의 측면 중 패달이 돌출되지 않은 측면을 가압하는 고정 레버(73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자전거 고정장치(700)의 접점부(N3)는 고정 확인 센서(S3)에 의해 감지되는 부분이며, 상기 고정 확인 센서(S3)는 접촉 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자전거 캐리어(C)의 후방 및 측방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S4)가 도시되며,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S4)는 자전거 캐리어(C)의 후방에 설치된 보조램프(900)의 전면 및 측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보조램프(900)의 전면에 설치된 감지 센서(S4)는 차량의 후진시 근거리 영역(Z1)을 감지하고, 보조램프(900)의 측면에 설치된 감지 센서(S4)는 차선 변경시 원거리 영역(Z2)을 감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캐리어용 경고 시스템은 앞서 상세히 설명한 자전거 캐리어(C)의 인출 상태와 절첩 상태는 물론 자전거의 고정 상태 및 차량의 후진 및 방향 전환시 후방 또는 측방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경고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앞서 설명된 도면 및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캐리어용 경고 시스템은 중앙 프레임(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인출 고정장치(500)의 접점부(N1)에서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인출 확인 센서(S1)와, 상기 절첩 부재(400)를 펴진 상태에 있도록 고정하는 절첩 고정장치(600)의 접점부(N2)에서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절첩 확인 센서(S2)와, 상기 자전거의 일 부분을 고정하는 자전거 고정장치(700)의 접점부(N3)에서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고정 확인 센서(S3)와, 상기 자전거 캐리어(C)의 후방 및 측방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S4)와, 상기 센서들(S1,S2,S3,S4)로부터 인가받는 신호에 따라 경고등(L)과 경고벨(B)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P)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구성들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캐리어용 경고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기(P)는 상기 인출 확인 센서(S1)로부터 비접촉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상기 경고등(L)과 경고벨(B)을 모두 ON시키고, 이 후, 상기 절첩 확인 센서(S2)로부터 접촉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상기 경고벨(B)을 OFF시키며, 이 후, 상기 고정 확인 센서(S3)로부터 접촉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상기 경고등(L)의 색을 전환하거나 경고등(L)을 OFF시키고, 이 후, 차량(1)의 방향지시등이 ON되거나 후진 기어가 ON되는 경우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S4)를 작동시키며, 이 후,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S4)로부터 장애물 감지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상기 경고등(L)의 색을 전환하거나 경고등(L)을 ON시키고, 경고벨(B)을 ON시킨다.
한편, 상기 제어기(P)는 상기 절첩 확인 센서(S2)로부터 비접촉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상기 경고등(L)과 경고벨(B)의 ON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고정 확인 센서(S3)로부터 비접촉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상기 경고등(L)의 ON 상태를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자전거 캐리어용 경보 시스템에 따르면, 자전거 캐리어의 인출 상태와 절첩 상태는 물론 자전거의 고정 상태 및 차량의 후진 및 방향 전환시 후방 또는 측방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경고할 수 있게 되어 자전거 캐리어의 효용이 증대될 수 있게 되고, 자전거 운반시 발생할 수 있는 차량 측방 및 후방에서의 사고 발생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전방 프레임 200 : 중앙 프레임
300 : 후방 프레임 400 : 절첩 부재
500 : 인출 고정장치 S1 : 인출 확인 센서
600 : 절첩 고정장치 S2 : 절첩 확인 센서
700 : 자전거 고정장치 S3 : 고정 확인 센서
S4 : 장애물 감지 센서 P : 제어기
L : 경고등 B : 경고벨

Claims (6)

  1. 차량(1)의 리어 범퍼(20)의 내부에 위치하고, 차체의 후단부에 고정 설치된 전방 프레임(100)과, 상기 전방 프레임(100)을 직교하여 통과하도록 설치된 중앙 프레임(200)과, 상기 중앙 프레임(200)의 후단부에 고정 설치된 후방 프레임(300)과, 상기 전방 프레임(100)과 후방 프레임(300)의 양 단부를 각각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방 프레임(100)과 후방 프레임(300) 사이의 거리 변화가 가능하도록 절첩되는 절첩 부재(400)와, 상기 중앙 프레임(200)에 설치되어 적재되는 자전거의 일 부분을 고정하는 고정대(210)를 포함하며, 차량(1)의 리어 범퍼(20) 내부에 은폐되어 격납되고, 필요시 상기 리어 범퍼(20)로부터 인출되는 자전거 캐리어(C)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고 경고하기 위한 경고 시스템으로서,
    상기 중앙 프레임(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인출 고정장치(500)의 접점부(N1)에서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인출 확인 센서(S1)와, 상기 절첩 부재(400)를 펴진 상태에 있도록 고정하는 절첩 고정장치(600)의 접점부(N2)에서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절첩 확인 센서(S2)와, 상기 자전거의 일 부분을 고정하는 자전거 고정장치(700)의 접점부(N3)에서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고정 확인 센서(S3)와, 상기 센서들(S1,S2,S3)로부터 인가받는 신호에 따라 경고등(L)과 경고벨(B)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캐리어용 경고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P)는 상기 인출 확인 센서(S1)로부터 비접촉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상기 경고등(L)과 경고벨(B)을 모두 ON시키고, 상기 절첩 확인 센서(S2)로부터 접촉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상기 경고벨(B)을 OFF시키며, 상기 고정 확인 센서(S3)로부터 접촉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상기 경고등(L)의 색을 전환하거나 경고등(L)을 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캐리어용 경고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P)는 상기 절첩 확인 센서(S2)로부터 비접촉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상기 경고등(L)과 경고벨(B)의 ON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캐리어용 경고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P)는 상기 고정 확인 센서(S3)로부터 비접촉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상기 경고등(L)의 ON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캐리어용 경고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고 시스템은 상기 자전거 캐리어(C)의 후방 및 측방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S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P)는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S4)로부터 인가받는 신호에 따라 경고등(L)과 경고벨(B)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캐리어용 경고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P)는 차량(1)의 방향지시등이 ON되거나 후진 기어가 ON되는 경우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S4)를 작동시키며,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S4)로부터 장애물 감지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상기 경고등(L)의 색을 전환하거나 경고등(L)을 ON시키고, 경고벨(B)을 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캐리어용 경고시스템.
KR1020100063045A 2010-06-30 2010-06-30 자전거 캐리어용 경고 시스템 KR101198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045A KR101198835B1 (ko) 2010-06-30 2010-06-30 자전거 캐리어용 경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045A KR101198835B1 (ko) 2010-06-30 2010-06-30 자전거 캐리어용 경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255A KR20120002255A (ko) 2012-01-05
KR101198835B1 true KR101198835B1 (ko) 2012-11-07

Family

ID=45609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045A KR101198835B1 (ko) 2010-06-30 2010-06-30 자전거 캐리어용 경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8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97591A (zh) * 2013-04-10 2014-10-15 福特全球技术公司 一种用于降低机动车辆碰撞损伤风险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1259B (en) * 2012-04-17 2018-02-21 Ford Global Tech Llc A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vehicle generated carbon dioxide emissions
KR101655524B1 (ko) 2014-08-14 2016-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의 후방 경고 방법
EP3132976B1 (en) * 2015-08-17 2019-04-03 Thule Sweden AB Roof rack comprising a load sens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6665A1 (en) * 2006-07-08 2008-01-10 Magna Car Top Systems Gmbh Load carrier for motor vehicles
US20080142559A1 (en) 2006-12-19 2008-06-19 Lim Stephen T External bicycle rack integrated within a vehicle
KR100935350B1 (ko) 2009-08-14 2010-01-06 (주)삼환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6665A1 (en) * 2006-07-08 2008-01-10 Magna Car Top Systems Gmbh Load carrier for motor vehicles
US20080142559A1 (en) 2006-12-19 2008-06-19 Lim Stephen T External bicycle rack integrated within a vehicle
KR100935350B1 (ko) 2009-08-14 2010-01-06 (주)삼환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97591A (zh) * 2013-04-10 2014-10-15 福特全球技术公司 一种用于降低机动车辆碰撞损伤风险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255A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835B1 (ko) 자전거 캐리어용 경고 시스템
CN103158619B (zh) 泊车辅助系统
JP6337976B2 (ja) Led表示灯を使用する交通事故発生報知システム
US9650016B2 (en) Detection of seatbelt position in a vehicle
US7250869B2 (en) Child carseat alert system
US7857180B2 (en) Load carrier for motor vehicles
KR101148476B1 (ko) 자동차 보조경적 장치
KR101838882B1 (ko) 자동차용 자동 안전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
US10239445B1 (en) Projection assembly for a vehicle
CN112406778B (zh) 轮椅束缚构造
KR101324815B1 (ko) 차량용 비상상황 표시장치
US20140197943A1 (en) On-Board Illuminating Device and Vehicle Having Said Illuminating Device
KR200483285Y1 (ko) 안전 삼각대
CN107206935B (zh) 安全三脚架
JP2008176249A (ja) 空気注入型三角表示器
EP3489119B1 (en) Lighting assembly and control unit for gear change of a bicycle
KR20060059361A (ko) 후진 주차 유도기
KR20090130528A (ko) 자동차문개방경보기
JPH11321562A (ja) シートベルト着用表示装置
EP3604094A1 (en) Tilting vehicle
JP3850892B2 (ja) 移動体検出装置
CN103273903B (zh) 一种新型安全带提醒装置
CN220391187U (zh) 一种车辆安全带提醒的触发装置
CN203283118U (zh) 外后视镜倒车雷达显示装置
CA2601960A1 (en) Child carseat aler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