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524B1 -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의 후방 경고 방법 - Google Patents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의 후방 경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524B1
KR101655524B1 KR1020140105700A KR20140105700A KR101655524B1 KR 101655524 B1 KR101655524 B1 KR 101655524B1 KR 1020140105700 A KR1020140105700 A KR 1020140105700A KR 20140105700 A KR20140105700 A KR 20140105700A KR 101655524 B1 KR101655524 B1 KR 101655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vehicle
bumper
camera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1323A (ko
Inventor
최우영
김현경
차동은
이승목
정필중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5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524B1/ko
Priority to US14/559,725 priority patent/US9580008B2/en
Priority to DE102014117773.8A priority patent/DE102014117773A1/de
Publication of KR20160021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2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 B60Q9/004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using wave sensors
    • B60Q9/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using wave sensors using a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2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 B60Q9/004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using wave sensors
    • B60Q9/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using wave sensors using a distance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6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at vehicle front or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8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 B60R9/1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fo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510/1005Transmission ratio eng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의 후방 경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3)를 구비한 차량의 후진시에 캐리어(3)의 수납상태에서는 차량후방카메라(11)와 범퍼후방센서(12) 및 캐리어후방카메라(13)를 이용해서 검출영역내의 후방장애물을 검출하고, 캐리어(3)의 인출상태에서는 캐리어후방카메라(13)와 캐리어후방센서(14)만을 이용해서 검출영역내의 후방장애물을 검출하면서 경고발생기(30)의 오작동을 위해 차량후방카메라(11)와 범퍼후방센서(12)는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의 후방 경고 방법{BACK WARNING METHOD OF VEHICLE HAVING REAR BUMPER MULTI CARRIER}
본 발명은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의 후방 경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방으로 인출된 멀티 캐리어에 화물 적재 후 차량의 후진시 후방으로 인출된 캐리어나 또는 적재된 화물을 장애물로 오인하여 경고를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의 후방 경고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개인의 건강과 취미생활, 스트레스 해소 등을 위해 최근 들어 자전거를 이용해서 레저를 즐기는 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목표 장소로의 자전거 이동을 위해 자전거를 적재시킬 수 있는 레저용 차량(RV, SUV 등)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를 적재할 수 있는 레저용 차량에는 자전거를 적재할 수 있는 캐리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는 평상시 차체속에 수납된 상태로 보관되고, 필요시 차체로부터 인출시킨 후 인출된 캐리어에 저전거를 적재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인출식 캐리어는 주행 중 주변 차량 또는 장애물과의 회피를 위해 통상적으로 리어범퍼 또는 러기지룸에 장착되어 사용되며, 또한 캐리어의 후방 인출시 후방 장애물과의 접촉을 예방하기 위해 캐리어후방센서를 장착하게 된다.
따라서, 캐리어를 차체의 후방으로 인출하고, 후방으로 인출된 캐리어에 자전거 또는 화물을 적재시킨 상태에서 차량을 후진시키는 경우, 차량 제어기는 캐리어후방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서 후방 장애물의 존재여부에 따라 경고신호의 발생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하지만, 일반적인 차량은 후방으로 인출된 캐리어에 자전거 또는 화물을 적재시킨 상태에서 후진을 하는 경우, 후방안전을 위해 장착된 차량후방카메라(통상적으로 테일게이트쪽에 위치함)와 범퍼후방센서도 함께 작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후방카메라와 범퍼후방센서가 후방으로 인출된 캐리어 또는 캐리어에 적재된 화물을 후방장애물로 오인식하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경고신호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2-000225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후방 인출식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에서, 후방으로 인출된 멀티 캐리어에 화물 적재 후 차량의 후진시 후방으로 인출된 캐리어나 또는 적재된 화물을 장애물로 오인하여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상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의 후방 경고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의 후방 경고 방법은, 변속레버의 R단(후진단) 신호 발생시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의 수납 또는 인출 상태를 판단하는 캐리어 위치판단 단계; 상기 캐리어의 수납 또는 인출 상태에 따라 후방장애물 검출기의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을 제어하는 검출기 동작제어 단계; 및 상기 검출기 동작제어 단계에서 후방장애물 검출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신호발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방장애물 검출기는 차량후방카메라와 범퍼후방센서와 캐리어후방카메라 및 캐리어후방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속레버가 R단이면서 상기 캐리어의 수납 상태로 판단시 상기 차량후방카메라와 범퍼후방센서 및 캐리어후방카메라는 온(ON)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캐리어후방센서는 전원의 불필요한 낭비방지를 위해 오프(OFF)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속레버가 R단이면서 상기 캐리어의 인출 상태로 판단시 상기 캐리어후방카메라와 캐리어후방센서는 온(ON)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후방카메라와 범퍼후방센서는 인출된 캐리어 및 캐리어에 적재된 화물을 제어기가 후방장애물로 오판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오프(OFF)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ON) 동작된 상기 차량후방카메라와 범퍼후방센서 및 캐리어후방카메라 중 어느 하나가 검출영역내에 후방장애물을 검출하면 제어기는 경고발생기의 동작을 제어해서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ON) 동작된 상기 캐리어후방카메라 및 캐리어후방센서 중 어느 하나가 검출영역내에 후방장애물을 검출하면 제어기는 경고발생기의 동작을 제어해서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의 후진시에 캐리어의 수납상태에서는 차량후방카메라와 범퍼후방센서 및 캐리어후방카메라를 이용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검출영역내의 후방장애물을 검출하고, 캐리어후방센서는 전원이 오프(OFF)됨으로써 전원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후진시 캐리어의 인출상태에서는 캐리어에 적재된 화물에 의해 후방시야가 가려지지 않은 캐리어후방카메라 및 캐리어후방센서만을 이용해서 검출영역내의 후방장애물을 검출하고, 캐리어나 또는 캐리어에 적재된 화물에 의해 후방시야가 가려지는 차량후방카메라와 범퍼후방센서는 전원이 오프(OFF)됨으로써 인출된 캐리어 또는 캐리어에 적재된 화물을 제어기가 후방장애물로 오판단하는 것을 예방하고 이를 통해 경고발생기의 오작동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의 후방 경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은 캐리어의 수납 상태 사시도, 도 2는 캐리어의 인출 상태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의 후방 경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및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의 후방 경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의 후방 경고 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이를 실현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장애물을 검출하기 위한 후방장애물 검출기(10), 제어기(20), 및 경고신호 발생을 위한 경고발생기(30)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장애물 검출기(10)는 통상적으로 테일게이트나 또는 테일게이트 가니쉬에 장착된 차량후방카메라(11), 리어범퍼(1)에 장착된 다수개의 범퍼후방센서(12),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3)에 장착된 캐리어후방카메라(13), 및 캐리어후방센서(14)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기(20)는 차체제어모듈(BCM; Body Control Module)로 상기 후방장애물 검출기와는 LIN 통신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경고발생기(30)는 운전자가 청각 및 시각적으로 경고신호를 알 수 있도록 경고음과 경고영상을 발생하는 장치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후진시에 후방장애물의 존재유무에 따라 경고발생기(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제어기(20)는 변속레버의 R단(후진단) 신호(40)를 TCU(Transmission Control Unit)에서 CAN 통신을 통해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20)는 차량의 시동 온(ON)시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 작동상태 신호(50, 수납 상태 신호 또는 인출 상태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의 후방 경고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변속레버의 R단(후진단) 신호 발생시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3)의 수납 또는 인출 상태를 판단하는 캐리어 위치판단 단계; 상기 캐리어(3)의 수납 또는 인출 상태에 따라 후방장애물 검출기(10)의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을 제어하는 검출기 동작제어 단계; 및 상기 검출기 동작제어 단계에서 후방장애물 검출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신호발생 단계;를 포함한다.
즉, 상기 변속레버가 R단이면서 상기 캐리어(3)의 수납 상태로 판단시에 상기 차량후방카메라(11)와 범퍼후방센서(12) 및 캐리어후방카메라(13)는 온(ON)이 되고, 상기 캐리어후방센서(14)는 전원의 불필요한 낭비방지를 위해 오프(OFF) 제어된다.
여기서, 온(ON) 동작된 상기 차량후방카메라(11)와 범퍼후방센서(12) 및 캐리어후방카메라(13) 중 어느 하나가 검출영역내에 후방장애물을 검출하게 되면 제어기(20)는 경고발생기(30)의 동작을 제어해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속레버가 R단이면서 상기 캐리어(3)의 인출 상태로 판단시에 상기 캐리어후방카메라(13)와 캐리어후방센서(14)는 온(ON)이 되고, 상기 차량후방카메라(11)와 범퍼후방센서(12)는 인출된 캐리어(3) 및 캐리어에 적재된 화물(60, 자전거)을 제어기(20)가 후방장애물로 오판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오프(OFF)되도록 제어된다.
여기서, 온(ON) 동작된 상기 캐리어후방카메라(13) 및 캐리어후방센서(14) 중 어느 하나가 검출영역내에 후방장애물을 검출하게 되면 제어기(20)는 경고발생기(30)의 동작을 제어해서 경고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 시동 온(ON) 상태에서 변속레버의 R단(후진단) 신호가 제어기(20)로 전달되면(단계 S1), 상기 제어기(20)는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3)의 수납상태인지 또는 인출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기(20)가 캐리어(3)의 수납상태로 판단하게 되면(단계 S2), 상기 제어기(20)는 후방장애물 검출기(10) 중에서 차량후방카메라(11)와 범퍼후방센서(12) 및 캐리어후방카메라(13)는 온(ON)이 되도록 제어하게 되고, 반대로 캐리어후방센서(14)는 전원의 불필요한 낭비방지를 위해 오프(OFF)가 되도록 제어하게 된다.(단계 S3)
이때, 온(ON) 동작된 차량후방카메라(11)와 범퍼후방센서(12) 및 캐리어후방카메라(13) 중에서 어느 하나가 차량 후진시에 검출영역내에 후방장애물을 검출하게 되면(단계 S4), 제어기(20)는 경고발생기(30)의 동작을 제어해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단계 S5)
그리고, 제어기(20)가 상기 단계 S1 이후 캐리어(3)의 인출상태로 판단하게 되면(단계 S6), 상기 제어기(20)는 후방안전을 위해 캐리어후방카메라(13)와 캐리어후방센서(14)는 온(ON)이 되도록 제어하게 되고, 인출된 캐리어(3) 및 캐리어에 적재된 화물(60, 자전거)을 제어기(20)가 후방장애물로 오판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차량후방카메라(11)와 범퍼후방센서(12)는 오프(OFF)가 되게 제어하게 된다.(단계 S7)
이때, 온(ON) 동작된 캐리어후방카메라(13)와 캐리어후방센서(14) 중에서 어느 하나가 차량 후진시에 검출영역내에 후방장애물을 검출하게 되면(단계 S4), 제어기(20)는 경고발생기(30)의 동작을 제어해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단계 S5)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3)를 구비한 차량의 후진시에 캐리어(3)의 수납상태에서는 차량후방카메라(11)와 범퍼후방센서(12) 및 캐리어후방카메라(13)를 이용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검출영역내의 후방장애물을 검출하게 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차량을 후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캐리어(3)의 수납상태에서 차량의 후진시에는 캐리어후방센서(14)의 전원이 오프(OFF)됨으로써 전원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차량의 후진시 캐리어(3)의 인출상태에서는 캐리어(3)에 적재된 화물(60)에 의해 후방시야가 가려지지 않은 캐리어후방카메라(13) 및 캐리어후방센서(14)만을 이용해서 검출영역내의 후방장애물을 검출하게 되고, 후방으로 인출된 캐리어(3)나 또는 캐리어(3)에 적재된 화물(60)에 의해 후방시야가 가려지는 차량후방카메라(11)와 범퍼후방센서(12)는 전원이 오프(OFF)됨으로써 인출된 캐리어(3) 또는 캐리어에 적재된 화물(60, 자전거)을 제어기(20)가 후방장애물로 오판단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경고발생기가 오작동하는 종래의 단점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리어범퍼 3 -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
10 - 후방장애물 검출기 11 - 차량후방카메라
12 - 범퍼후방센서 13 - 캐리어후방카메라
14 - 캐리어후방센서 20 - 제어기
30 - 경고발생기

Claims (6)

  1. 변속레버의 R단(후진단) 신호 발생시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의 수납 또는 인출 상태를 판단하는 캐리어 위치판단 단계;
    상기 캐리어의 수납 또는 인출 상태에 따라 후방장애물 검출기의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을 제어하는 검출기 동작제어 단계; 및
    상기 검출기 동작제어 단계에서 후방장애물 검출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신호발생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장애물 검출기는 차량후방카메라와 범퍼후방센서와 캐리어후방카메라 및 캐리어후방센서이고;
    상기 변속레버가 R단이면서 상기 캐리어의 인출 상태로 판단시 상기 캐리어후방카메라와 캐리어후방센서는 온(ON)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후방카메라와 범퍼후방센서는 인출된 캐리어 및 캐리어에 적재된 화물을 제어기가 후방장애물로 오판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오프(OFF)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의 후방 경고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가 R단이면서 상기 캐리어의 수납 상태로 판단시 상기 차량후방카메라와 범퍼후방센서 및 캐리어후방카메라는 온(ON)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캐리어후방센서는 전원의 불필요한 낭비방지를 위해 오프(OFF)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의 후방 경고 방법.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온(ON) 동작된 상기 차량후방카메라와 범퍼후방센서 및 캐리어후방카메라 중 어느 하나가 검출영역내에 후방장애물을 검출하면 제어기는 경고발생기의 동작을 제어해서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의 후방 경고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온(ON) 동작된 상기 캐리어후방카메라 및 캐리어후방센서 중 어느 하나가 검출영역내에 후방장애물을 검출하면 제어기는 경고발생기의 동작을 제어해서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의 후방 경고 방법.
KR1020140105700A 2014-08-14 2014-08-14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의 후방 경고 방법 KR101655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700A KR101655524B1 (ko) 2014-08-14 2014-08-14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의 후방 경고 방법
US14/559,725 US9580008B2 (en) 2014-08-14 2014-12-03 Method for warning back side of vehicle provided with rear bumper multi carrier
DE102014117773.8A DE102014117773A1 (de) 2014-08-14 2014-12-03 Verfahren zum Warnen einer Rückseite eines Fahrzeugs, das mit einer Heckstoßfänger-Mehrzwecktragevorrichtung ausgestattet i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700A KR101655524B1 (ko) 2014-08-14 2014-08-14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의 후방 경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323A KR20160021323A (ko) 2016-02-25
KR101655524B1 true KR101655524B1 (ko) 2016-09-08

Family

ID=55234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700A KR101655524B1 (ko) 2014-08-14 2014-08-14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의 후방 경고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80008B2 (ko)
KR (1) KR101655524B1 (ko)
DE (1) DE1020141177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3120B2 (en) * 2009-10-12 2017-10-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oad carrier for a motor vehicle
US10875482B2 (en) * 2013-12-10 2020-12-29 Maxon Industries, Inc. Mounting system for vehicle underride
GB2523822B (en) * 2014-03-07 2017-11-01 Jaguar Land Rover Ltd Deployable platform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86287C (en) * 2003-10-30 2009-01-13 Mark K. Swannie Trailer hitch mounted reverse sensing system
KR20070117069A (ko) * 2006-06-07 2007-12-12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오경보 방지 기능을 가지는 후방 경보장치 및 그 방법
DE102006031692A1 (de) 2006-07-08 2008-01-17 Magna Car Top Systems Gmbh Lastenträger für Kraftfahrzeuge
KR101198835B1 (ko) 2010-06-30 2012-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전거 캐리어용 경고 시스템
US20130038731A1 (en) * 2011-08-09 2013-02-14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Moveable backup camera
KR101317718B1 (ko) * 2011-10-20 2013-10-11 주식회사대성엘텍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후방 장애물 감지장치
US9154746B2 (en) * 2012-07-20 2015-10-06 Scott Kageta Rear camera system for a vehicle with a trailer
US20140299642A1 (en) * 2013-03-15 2014-10-09 Magna Closures Inc. Powered bicycle rac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46230A1 (en) 2016-02-18
DE102014117773A1 (de) 2016-02-18
US9580008B2 (en) 2017-02-28
KR20160021323A (ko) 2016-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09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s free operation of at least one vehicle door
CN103895643B (zh) 停车辅助系统和方法
KR101655524B1 (ko)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의 후방 경고 방법
JP2018062223A5 (ko)
JP2016089612A (ja) 自動車用スマートテールゲートの開放制御装置及び方法
KR101611081B1 (ko)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시스템
US10086759B2 (en) Vehicle departure support system and method
US108157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s free operation of at least one vehicle door
KR20200024489A (ko) 차량 주차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297121A1 (en) Smart parking assis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94001B1 (ko) 주차 상태에서의 차량 충돌 방지 시스템
KR102348125B1 (ko) 포브 위치 기반 원격 주차 지원 장치 및 방법
US10106055B2 (en) Vehicle control system, portable terminal, and vehicular device
CN104057874A (zh) 一种基于红外线侦测距离的倒车警示装置及其警示方法
JP6525146B2 (ja) シフト制御装置
CN203727262U (zh) 一种基于红外线侦测距离的倒车警示装置
JP6090559B2 (ja) 発進安全装置
KR20220080590A (ko) 외부 팽창 에어백을 포함하는 차량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N107867249B (zh) 智能供电接口、带智能供电接口的车载电子配件及其控制方法
KR102267257B1 (ko)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140146906A (ko)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US11847830B2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3141904A (ja) 車両用ドアミラーの制御装置
US202301044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JP2017132288A (ja) 車両用センサ装置及び車両用センサ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