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0590A - 외부 팽창 에어백을 포함하는 차량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팽창 에어백을 포함하는 차량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0590A
KR20220080590A KR1020200169844A KR20200169844A KR20220080590A KR 20220080590 A KR20220080590 A KR 20220080590A KR 1020200169844 A KR1020200169844 A KR 1020200169844A KR 20200169844 A KR20200169844 A KR 20200169844A KR 20220080590 A KR20220080590 A KR 20220080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uffler
airbag
submerged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성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성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성엘텍
Priority to KR1020200169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0590A/ko
Publication of KR20220080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19/20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 B60R19/205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inflatable in the direction of an obstacle upon impending impact, e.g. using air ba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1/00Monitoring or diagnostic devices for exhaust-gas treatment apparatus, e.g. for catalytic activity
    • F01N11/002Monitoring or diagnostic devices for exhaust-gas treatment apparatus, e.g. for catalytic activity the diagnostic devices measuring or estimating temperature or pressure in, or downstream of the exhaust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6Fall i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11Expansion of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60/00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 F01N2560/08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 pressure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관한 차량은, 차량의 외면을 형성하는 차체(car body), 도로를 마주보는 상기 차체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에어백, 차량의 침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에어백 및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침수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침수되었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키며, 상기 에어백은 팽창 시 상기 차체의 적어도 일 영역을 상기 도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 차량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외부 팽창 에어백을 포함하는 차량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An automobile including external inflation airbag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개시는 외부 팽창 에어백을 포함하는 차량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수 상황에서 팽창되어 차량 내부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외부 팽창 에어백을 포함하는 차량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 현상이 심해짐에 따라, 기상 이변으로 발생되는 재해에 대한 예측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재해에 의한 피해 또한 급증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장마철과 같이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시기에는 침수 피해를 입는 지역이 증가하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기상 이변으로 인하여 장마철에 비가 장시간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내리는 것이 아니라, 단시간 안에 기습적으로 퍼붓는 게릴라성 호우가 증가하게 되었으며, 게릴라성 호우는 저지대에서 많은 차량들의 침수 피해를 야기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저지대에 주차된 차량들이 기습적인 폭우에 의한 하천의 범람 또는 역류에 의해 침수 피해를 입는 상황이 점차 증가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 차량의 침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다.
최근 들어 차량의 승차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 장치로 차량 내부에서 팽창되는 에어백뿐만 아니라, 차량의 외부로 팽창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승차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을 포함하는 차량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침수 상황에서 차량의 외부로 팽창되어 차량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침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에어백을 포함하는 차량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침수 상황에서 차량 내부에 물이 유입되어 차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관한 차량은, 차량의 외면을 형성하는 차체(car body), 도로를 마주보는 상기 차체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에어백, 차량의 침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에어백 및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침수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침수되었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키며, 상기 에어백은 팽창 시 상기 차체의 적어도 일 영역을 상기 도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 차량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에어백은 상기 차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도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차체의 바닥면은 상기 에어백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에어백이 팽창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백이 팽창하는 방향으로 개구(openining)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를 상기 차량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통로를 포함하는 머플러(muffl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에어백은 상기 머플러와 인접한 상기 차체의 바닥면의 일 영역에 배치되며, 팽창 시 상기 머플러를 상기 도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 상기 머플러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머플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머플러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져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압력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머플러의 내부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침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압력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머플러의 내부 압력이 지정된 제1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이 침수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킬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머플러의 내부 또는 상기 머플러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머플러의 내부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습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머플러의 내부 습도가 지정된 제2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이 침수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킬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차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차체, 머플러, 도로를 마주보는 상기 차체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에어백, 센서부 및 상기 에어백 및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머플러의 내부 온도 또는 머플러의 내부 습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침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차량이 침수되었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켜 상기 차체의 적어도 일 영역을 상기 도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동작을 포함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차량의 침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져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감지된 상기 머플러의 내부 압력과 지정된 제1 값을 비교하고, 상기 머플러의 내부 압력이 지정된 제1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이 침수된 것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차량의 침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은, 감지된 상기 머플러의 내부 습도와 지정된 제2 값을 비교하고, 상기 머플러의 내부 습도가 지정된 제2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이 침수된 것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관한 차량 및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은, 차량의 침수된 것으로 판단되는 상황에서 에어백을 팽창시켜 차량의 일부 영역을 지면 또는 도로로부터 들어올림으로써, 차량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실시예들에 관한 차량 및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은 침수 상황에서 차량 내부에 물이 유입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을 줄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차량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관한 차량의 일부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관한 차량의 측면 및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에어백이 팽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차량의 내부 공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관한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임의의 구분으로서, 실시예 각각이 서로 배타적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개시된 구성들은 다른 실시예에 적용 및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변경되어 적용 및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실시예들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차량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25) 메모리(130), 출력부(140), 차량 구동부(150), 차량 운전 보조 시스템(ADAS, 160), 제어부(170), 인터페이스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 정보 모듈, 광통신 모듈 및 V2X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운전 조작 수단, 카메라, 마이크로폰 및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수단은, 차량(100)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운전 조작 수단은 조향 입력 수단, 쉬프트 입력 수단, 가속 입력 수단, 브레이크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가속 입력 수단은,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브레이크 입력 수단은,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차량(100)은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어라운드 뷰 카메라 및 차량 후방 영상을 촬영하는 후방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카메라는 렌즈, 이미지 센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촬영되는 영상을 컴퓨터 처리하여, 데이터 또는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카메라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는, 제어부(17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카메라는 집합건물의 주차구역 또는 주차구역 주위, 예를 들면 주차구역의 바닥 또는 기둥에 부착된 QR코드를 촬영한다.
카메라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의 프로세서는, 스테레오 영상에서 검출된 디스페리티(disparity) 차이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영상에서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복수의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는 TOF(Time of Flight)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는, 광원(예를 들면, 적외선 또는 레이저) 및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의 프로세서는, 광원에서 발신되는 적외선 또는 레이저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수신될 때까지의 시간(TOF)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복수의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후방 카메라는, 후방 번호판 또는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 스위치 부근에 배치될 수 있으나, 후방 카메라가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각각의 이미지는, 카메라의 프로세서에 전달되고, 프로세서는 상기 각각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차량 주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주변 영상은 탑뷰 이미지 또는 버드 아이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센싱부(125)는, 차량(100)의 각종 상황을 센싱한다. 이를 위해, 센싱부(125)는,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레이더, 라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센싱부(125)는,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차량 외부 조도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3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제어부(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및 햅틱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는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정보는, 현재 차량의 상태를 알려주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는 현재 차량의 속도(또는 속력), 주변차량의 속도(또는 속력) 및 현재 차량과 주변차량 간의 거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는 운전자가 운전을 함과 동시에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cluster)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는 대시보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는, 시선을 차량 전방에 유지한 채로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는 제어부(1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150)는, 차량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150)는 동력원 구동부, 조향 구동부, 브레이크 구동부, 램프 구동부, 공조 구동부, 윈도우 구동부, 에어백 구동부, 썬루프 구동부 및 서스펜션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는, 차량(100) 내의 동력원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미도시)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가 엔진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제한하여 차량의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는, 차량(1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1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에 각각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달리하여,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정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는, 차량 내, 외부에 배치되는 램프의 턴 온/턴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빛의 세기,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 지시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의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차량(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상술한 사고 유무 판단 장치는 제어부(17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식별 코드로부터 식별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식별 이미지를 인식가능한 경우, 촬영된 식별 코드에 상응하는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 여기서, 추출된 정보는 차량이 주차된 주차구역에 대한 위치정보, 집합건물에 대한 안내정보, 주차결제정보, 또는 집합건물내에서의 예약 및 결제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80)는, 차량(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180)는 이동 단말기(미도시)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미도시)와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부(180)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미도시)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관한 차량의 일부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관한 차량(100)은 프로세서(200)(예: 도 1의 제어부(170)), 센서부(210)(예: 도 1의 센싱부(125)) 및 에어백(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차량(1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에 도시된 차량(1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200)는 차량(100)의 구성 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0)는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센서부(210)와 전기적 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센서부(210)에서 획득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작동적으로 연결된다"는 표현은 구성 요소들이 무선 통신으로 신호를 주고 받거나, 광학적 신호 및/또는 자기 신호 등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연결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해당 표현은 이하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0)는 에어백(300)과도 전기적 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센서부(21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백(300)의 팽창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0)는 차량 구동부(예: 도 1의 차량 구동부(150))를 제어함으로써, 에어백(300)을 팽창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200)는 센서부(210)에서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차량(100)이 침수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100)이 침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어백(300)을 팽창시켜 차량(100)의 일부 영역을 도로 또는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다.
저지대에 주차된 차량 또는 저지대를 주행하는 차량의 경우, 기습적인 호우에 의한 하천의 범람 또는 역류에 의해 침수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차량(100)의 침수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에어백(300)을 팽창시켜 차량(100)의 일부 영역을 들어올림으로써, 침수에 의한 차량의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센서부(210)는 차량(100)이 기습적인 강우에 의해 침수된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210)는 차량(100)의 구성 요소(예: 머플러(muffler)) 또는 차량(100) 주변의 압력 및/또는 습도에 대한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정보들은 프로세서(200)로 전송 또는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10)는 차량(100)의 구성 요소 또는 차량(100) 주변의 압력 및/또는 습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프로세서(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00)는 센서부(2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차량(100)의 구성 요소 또는 차량(100) 주변의 압력 및/또는 습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센서부(210)로부터 수신된 차량(100)의 구성 요소 또는 차량(100) 주변의 압력 및/또는 습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0)이 현재 침수된 상태인지 또는 침수되지 않은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부(210)는 카메라, 레이더 및/또는 라이더를 통해 차량(100)의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프로세서(200)에서는 센서부(210)에서 획득된 외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침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에어백(300)은 차량(100)의 외부로 팽창되어 차량(100)의 일부 영역을 지면 또는 도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차량(100)이 침수된 상태에서 차량(10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백(300)은 차량(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car body)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200)에 의해 팽창하여 차량(100)의 일부 영역을 지면 또는 도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차량(100)이 침수된 상태에서는 차량(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머플러를 통해 외부의 물이 차량(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차량(10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차량(100)의 내부에 배치된 구성 요소들(예: 엔진 및/또는 프로세서(200))의 오작동 내지 고장을 야기할 수 있다.
반면,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백(300)은 팽창 시 차량(100)의 일부 영역(예: 머플러)를 도로 또는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차량(100)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침수에 의한 차량(100)의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또는 도 4를 참조하여 에어백(300)의 팽창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관한 차량의 측면 및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에어백이 팽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에어백(300)이 팽창되지 않은 상태의 차량(100)을 나타내며, 도 4는 에어백(300)이 팽창되어 일부 영역이 도로 또는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진 상태의 차량(100)을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관한 차량(100)은 차체(101), 머플러(102), 프로세서(200), 센서부(210) 및 에어백(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또는 도 4의 차량(1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 또는 도 2의 차량(1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차체(101)는 차량(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차체(101)의 내부 공간에는 차량(100)의 구성 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체(101)의 내부에는 차량(100)의 조향 장치, 탑승자들을 위한 시트, 프로세서(200), 센서부(210) 등의 구성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머플러(102)는 차량(100)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며, 차량(100)의 내부의 엔진 구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차량(10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통로(102e)를 포함할 수 있다. 머플러(102)는 배출 통로(102e)를 통해 차량(100)의 내부에서 발생된 배기가스가 차량(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차량의 후방 영역'은 차량(100)의 전방 주행 방향과 반대 방향(예: 도 3의 x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해당 표현은 이하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센서부(210)는 프로세서(200)와 전기적 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차량(100)의 침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들을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들을 프로세서(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210)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pressur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예를 들어, 머플러(102)의 배출 통로(102e) 내부에 위치하여,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센서부(210)를 통해 감지된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의 압력에 기초하여 차량(100)이 현재 침수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부(210)는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 센서(humidity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습도 센서는 예를 들어, 머플러(102)의 배출 통로(102e) 내부 또는 머플러(102)와 인접한 일 영역에 위치하여,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의 습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센서부(210)를 통해 감지된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의 습도에 기초하여 차량(100)이 현재 침수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다만, 센서부(210)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210)는 카메라, 레이더 및/또는 라이더를 포함하여 차량(100)의 외부 환경 정보(예: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에어백(300)은 차체(101)의 외부에 배치되며, 프로세서(2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차량(100)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백(300)의 내부에는 에어백 구동부(미도시)(또는 "팽창 점화 장치")가 수용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200)는 에어백 구동부를 통해 에어백(300)을 팽창시킬 수 있다
에어백(300)은 내부에 공기가 삽입됨에 따라 팽창될 수 있는데, 에어백 구동부는 에어백(300)의 내부에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0)는 에어백 구동부를 제어하여 에어백(300)의 내부에 공기를 유입시킴으로써, 에어백(300)을 팽창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백(300)은 차량(100)이 정차 또는 주행 중인 지면 또는 도로를 마주보는 차체(101)의 바닥면(101b)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백(300)은 차체(101)의 바닥면(101b)으로부터 도로 또는 지면을 향하는 방향(예: 도 3의 -z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차체(101)의 일부 영역이 도로 또는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300)은 차체(101)의 바닥면(101b) 중 머플러(102)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머플러(102)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된 에어백(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시, 머플러(102)가 배치된 영역을 도로 또는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예: 도 3의 z 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그 결과, 머플러(102)의 배출 통로(102e)를 통해 외부의 물이 차량(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의 머플러(102)가 배치된 영역은 에어백(300)에 의해 발생되는 부력에 의해 도로 또는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일 실시예에 관한 차량(100)은 차체(101)의 바닥면(101b)에서 지면 또는 도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팽창되는 에어백(300)을 활용하여 침수 상황에서 머플러(102)의 배출 통로(102e)를 통해 차량(10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량(100)의 전방 부분은 보닛(bonnet)이 밀폐되어, 침수된 상황에서도 차량(100)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본 개시의 차량(100)은 머플러(102) 영역만 도로 또는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차량(100)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머플러(102)와 인접한 차체(101)의 바닥면(101b)에는 에어백(300)을 수용하는 수용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310)는 차체(101)의 바닥면(101b)에 형성되는 공동 또는 리세스일 수 있으며, 팽창되기 전 상태의 에어백(300)을 수용할 있다. 또한, 수용부(310)의 내부에는 에어백(300)에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에어백 구동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으나, 에어백 구동부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용부(310)는 차체(101)의 바닥면(101b)에서 도로 또는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개구(opening, 3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310)의 내부에 수용된 에어백(300)은 개구(311)를 통과하면서, 지면 또는 도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다.
에어백(300)이 수용부(310)의 개구(311)를 통과하며 팽창함에 따라, 에어백(300)의 팽창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체(101)의 바닥면(101b)의 손상 내지 균열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 및/또는 도 4에는 하나의 에어백(30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에어백(300)의 개수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은 차체(101)의 바닥면(101b)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에어백(30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에어백(300)은 지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차량(100)의 일 영역을 보다 효과적으로 들어올릴 수도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차량의 내부 공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관한 차량(100)은 차체(101), 머플러(102), 프로세서(200), 에어백(300), 수용부(310) 및 스위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관한 차량(100)은 도 3 및/또는 도 4에 도시된 차량(100)에서 스위치(400)가 추가된 차량(100)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스위치(400)는 차량(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사용자(또는 "탑승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수동으로 에어백(300)을 팽창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400)에 인가되는 소정의 압력 내지 터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해당 표현은 이하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400)는 프로세서(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입력(input)을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서(200)에 전달 또는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스위치(4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에어백(300)을 팽창시켜 차량(100)의 일부 영역(예: 머플러(102))을 도로 또는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스위치(400)에 입력을 가하는 경우, 프로세서(200)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고 센서부(210)에서 감지된 정보들과 관계없이 에어백(300)을 팽창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400)는 차량(100) 또는 차체(101)의 내부 공간 중 운전석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어, 운전자는 스위치(40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과 인접한 프런트도어(door)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나, 스위치(400)의 배치 위치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 따르면, 스위치(400)는 차량(100)의 대시보드(dashboard)에 배치되거나, 조향 장치(예: 스티어링 휠)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400)는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입력이 스위치(400)에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부재는 스위치(400)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주행 과정 또는 승하차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스위치(400)에 압력 또는 터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관한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차량(100)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내며,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차량(100)의 구성 요소들을 참고하여 도 6의 차량(100)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601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관한 차량(100)의 프로세서(200)는 차량(100)의 시동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0)는 차량(100)의 시동 모터 또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현재 차량(100)의 시동이 켜져 있는 상태(또는 "온(on) 상태")인지 또는 꺼져 있는 상태(또는 "오프(off)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601 동작에서 차량(100)의 시동이 켜져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관한 차량(100)의 센서부(210)는 602 동작에서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10)는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차량(100)이 시동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는 차량(100)의 내부에서 생성된 배기가스가 머플러(102)를 통해 차량(100)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차량(100)의 침수 여부와 관계 없이 머플러(102)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압력이 대기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될 수 있다.
반면, 차량(100)이 시동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는 차량(100)의 내부에서 생성된 배기가스가 머플러(102)의 배출 통로(102e)를 통해 차량(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침수에 의해 머플러(102)의 배출 통로(102e)로 물이 유입된 상황인 경우, 배출 통로(102e)의 내부에 배기가스가 유동할 수 있는 단면이 좁아질 수 있으며, 그 결과 배출 통로(102e)의 내부(또는 "머플러(102)의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관한 차량(100)의 센서부(210)는 차량(100)의 침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차량(100)의 시동이 켜져 있는 상태인 경우에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210)에서 감지된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압력에 대한 정보들은 프로세서(200)로 전송될 수 있다.
603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관한 차량(100)의 프로세서(200)는 602 동작에서 감지된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압력과 지정된 제1 설정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이 침수된 상황인 경우, 머플러(102)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에 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배기가스가 배출되어 머플러(102)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될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200)는 차량(100)의 침수 상황을 판단하기 위하여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압력이 지정된 제1 설정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지정된 제1 설정 값"은 배출 통로(102e)의 내부에 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배기가스가 배출될 때, 시험을 통해 측정된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압력을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설정 값은 프로세서(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 또는 프로세서(200)에 저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603 동작에서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압력이 지정된 제1 설정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관한 차량(100)의 프로세서(200)는 604 동작에서 차량(100)이 현재 침수된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0)는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압력이 지정된 제1 설정 값 이상인 경우, 머플러(102)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어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된 것으로 인식하고, 차량(100)이 현재 침수된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605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관한 차량(100)의 프로세서(200)는 머플러(102)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된 에어백(300)을 지면 또는 도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팽창시킬 수 있다. 에어백(300)이 팽창함에 따라, 차량(100)의 머플러(102)가 배치된 영역은 지면 또는 도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차량(100)은 머플러(102)에 의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반면, 603 동작에서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압력이 지정된 제1 설정 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관한 차량(100)의 프로세서(200)는 606 동작에서 차량(100)이 현재 침수되지 않은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에어백(300)을 팽창시키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차량(100)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내며,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차량(100)의 구성 요소들을 참고하여 도 7의 차량(100)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701 동작에서 다른 실시예에 관한 차량(100)의 센서부(210)는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10)는 머플러(102)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센서부(210)는 머플러(10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습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침수 상황에서 머플러(102)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는 경우, 머플러(102)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습도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다른 실시예에 관한 차량(100)은 701 동작에서 차량(100)의 침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습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센서부(210)에서 감지된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습도에 대한 정보들은 프로세서(200)로 전송될 수 있다.
702 동작에서, 다른 실시예에 관한 차량(100)의 프로세서(200)는 701 동작에서 감지된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습도와 지정된 제2 설정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이 침수된 상황인 경우, 머플러(102)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어 머플러(102)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의 습도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200)는 차량(100)의 침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습도가 지정된 제2 설정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지정된 제2 설정 값"은 시험을 통해 측정된 배출 통로(102e)의 내부에 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측정된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습도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제2 설정 값은 프로세서(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 또는 프로세서(200)에 저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702 동작에서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습도가 지정된 제2 설정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관한 차량(100)의 프로세서(200)는 703 동작에서 차량(100)이 현재 침수된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0)는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압력이 지정된 제1 설정 값 이상인 경우, 머플러(102)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어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습도가 증가하게 된 것으로 파악하고, 차량(100)이 현재 침수된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704 동작에서, 다른 실시예에 관한 차량(100)의 프로세서(200)는 머플러(102)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된 에어백(300)을 지면 또는 도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팽창시킬 수 있다. 에어백(300)이 팽창함에 따라, 차량(100)의 머플러(102)가 배치된 영역은 지면 또는 도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차량(100)은 머플러(102)에 의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반면, 702 동작에서 머플러(102)의 내부 또는 배출 통로(102e)의 내부 습도가 지정된 제2 설정 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다른 실시예에 관한 차량(100)의 프로세서(200)는 705 동작에서 차량(100)이 현재 침수되지 않은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에어백(300)을 팽창시키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관한 차량(100)은 차량(100)이 침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100)이 침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100)의 외부로 팽창하는 에어백(300)을 팽창시킴으로써, 차량(100)의 머플러(102) 부분을 도로 또는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들에 관한 차량(100)은 침수 상황에서도 머플러(102)를 통해 차량(10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기습적인 폭우에 의해 차량(100)의 고장(예: 엔진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 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 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의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차량
101: 차체
102: 머플러
200: 프로세서
210: 센서부
300: 에어백
310: 수용부
311: 개구
400: 스위치

Claims (15)

  1. 차량의 외면을 형성하는 차체(car body);
    도로를 마주보는 상기 차체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에어백;
    차량의 침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에어백 및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침수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침수되었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키며,
    상기 에어백은 팽창 시 상기 차체의 적어도 일 영역을 상기 도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 차량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상기 차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도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팽창되는,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바닥면은 상기 에어백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에어백이 팽창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백이 팽창하는 방향으로 개구(openining)를 포함하는,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를 상기 차량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통로를 포함하는 머플러(muffler);를 더 포함하는,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상기 머플러와 인접한 상기 차체의 바닥면의 일 영역에 배치되며, 팽창 시 상기 머플러를 상기 도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 상기 머플러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머플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머플러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져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압력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머플러의 내부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침수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압력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머플러의 내부 압력이 지정된 제1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이 침수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차량.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머플러의 내부 또는 상기 머플러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머플러의 내부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습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머플러의 내부 습도가 지정된 제2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이 침수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차량.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차량.
  12. 차체, 머플러, 도로를 마주보는 상기 차체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에어백, 센서부 및 상기 에어백 및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머플러의 내부 온도 또는 머플러의 내부 습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침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차량이 침수되었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켜 상기 차체의 적어도 일 영역을 상기 도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침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져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감지된 상기 머플러의 내부 압력과 지정된 제1 값을 비교하고, 상기 머플러의 내부 압력이 지정된 제1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이 침수된 것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침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은,
    감지된 상기 머플러의 내부 습도와 지정된 제2 값을 비교하고, 상기 머플러의 내부 습도가 지정된 제2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이 침수된 것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00169844A 2020-12-07 2020-12-07 외부 팽창 에어백을 포함하는 차량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220080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844A KR20220080590A (ko) 2020-12-07 2020-12-07 외부 팽창 에어백을 포함하는 차량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844A KR20220080590A (ko) 2020-12-07 2020-12-07 외부 팽창 에어백을 포함하는 차량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590A true KR20220080590A (ko) 2022-06-14

Family

ID=81980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844A KR20220080590A (ko) 2020-12-07 2020-12-07 외부 팽창 에어백을 포함하는 차량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05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405B1 (ko) 2022-09-28 2023-03-2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침수 예방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405B1 (ko) 2022-09-28 2023-03-2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침수 예방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419B1 (ko) 차량용 도어 제어 장치 및 차량
KR101838967B1 (ko) 차량용 편의 장치 및 차량
US9346401B2 (en)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EP3190030B1 (en) Steering input apparatus and vehicle
US10919528B2 (en)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vehicle
KR102640663B1 (ko) 탑승자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030823A (ko) 능동형 안전 장치의 트리거 조정을 위해 앞차의 제동등 인식
KR101918230B1 (ko) 차량용 램프 및 차량
CN109715467B (zh) 车辆控制装置、车辆控制方法以及可移动体
CN109204213B (zh) 车辆及其控制方法
US20210385432A1 (en) Vehicle control device
KR20200072897A (ko) 차량 침입 관리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80590A (ko) 외부 팽창 에어백을 포함하는 차량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JP2021049892A (ja) 自動運転システム
KR20190017339A (ko) 자율 주행 차량의 정보 저장 장치 및 방법
CN109878535B (zh) 驾驶辅助系统和方法
KR102024093B1 (ko) 차량의 운행 시스템
KR20200067120A (ko) 차량 제어장치 및 차량 제어방법
CN107757623A (zh) 一种自动提醒的并线辅助装置
JP2022140026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003915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ire repair
KR102430170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0152833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defective component of a vehicle
KR20170070441A (ko)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US20230406287A1 (en) Data fusion-centric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motion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