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0441A -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0441A
KR20170070441A KR1020150177930A KR20150177930A KR20170070441A KR 20170070441 A KR20170070441 A KR 20170070441A KR 1020150177930 A KR1020150177930 A KR 1020150177930A KR 20150177930 A KR20150177930 A KR 20150177930A KR 20170070441 A KR20170070441 A KR 20170070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 gate
vehicle
tailgate
inpu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7257B1 (ko
Inventor
문병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7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257B1/ko
Publication of KR20170070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테일게이트를 오픈시키는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테일게이트가 오픈될 때, 차량 외부의 오브젝트와 상기 테일게이트 간 충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테일게이트와 오브젝트 간 충돌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테일게이트의 오픈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가 보호될 수 있고 사용자 편의성의 향상이 기대된다.

Description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Tailgate Control System and Operationa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에 관한 것이다.
전자제어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차량에서도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 동작하던 각종 장치들이 운전자의 편리성 및 운행의 안전성 등의 이유로 전기적인 방법에 의해 구동되고 있으며, 자동차의 시스템은 점차 고도화되고 최첨단화되어 가고 있다.
테일게이트는 차량 후미에 구비된 도어로 소위 트렁크도어라 불리기도 한다.
테일게이트 구동을 버튼 조작만으로 구동시키는 파워 테일게이트가 각광을 받고 있다. 파워 테일게이트의 장점은 트렁크에서 많은 짐을 꺼낼 때, 양손이 자유롭지 못한 것을 해소하는 점, 짐을 든 채로 어설프게 힘을 주어 테일 게이트를 닫는 경우 분명 닫았다고 생각했는데 나중에 보면 트렁크 문이 살짝 열려 있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점, 버튼 하나로 오프닝/클로징이 가능하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테일게이트를 자동으로 구동하는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예를 들면,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소정 시간, 소정 거리에 유저가 서 있는 경우 테일게이트가 자동으로 오픈되거나, 스마트키를 소지한 채로 차량 후미에 유저가 소정 시간 서 있는 경우 테일게이트가 자동으로 오픈되기도 한다. 이는 스마트 테일게이트가 적용된 경우라 볼 수 있다.
다만, SUV(Sport Utility Vehicle) 또는 해치백을 구비한 차량의 경우, 테일게이트가 자동으로 오픈/클로즈되더라도 외부 오브젝트(가령, 벽면, 기둥 등)에 충돌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테일게이트의 오프닝/클로징 전에 충돌 가능성을 감지하는 방법의 대두가 요청된다.
등록특허공보 10-0892511호(2009.04.0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테일게이트가 오픈될 때, 외부 오브젝트와 충돌을 예방하는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탑재된 테일게이트(Tailgate)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상기 테일게이트를 오픈시키는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테일게이트가 오픈될 때, 차량 외부의 오브젝트와 상기 테일게이트 간 충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테일게이트와 상기 오브젝트 간 충돌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테일게이트의 오픈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테일게이트가 오픈될 때, 외부 오브젝트와 충돌을 예방하는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이 제공됨으로써 장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테일게이트가 오픈될 때, 외부 오브젝트와 충돌을 예방하는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상황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의 대표적인 구동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기술한 도면부호를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는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차량이 주차 중인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 "전(앞) 또는 후(뒤)"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 및"전(앞) 또는 후(뒤)"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상황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따르면, 차량(10)은 테일 게이트(13)를 구비한다. 차량(10)은 SUV, 해치백타입 승용차를 상정하기로 한다. 다만, 테일게이트 오픈시 외부 오브젝트와 충동할 가능성이 있는 차량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차량(10)은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은 테일게이트를 오프닝/클로징하는 시스템으로, 사용자 조작에 의해 테일게이트 오프닝/클로징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도록 테일게이트를 조작할 수 있다.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은 테일게이트(13)가 오픈될 때, 벽면(15)에 상기 테일게이트(13)가 충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은 차량(10)의 후미가 벽면(15)과 일정 거리에 위치한 경우 테일게이트(13)를 오픈하지 않고 또는 오픈하다가 멈추어서 경고 알림을 탑승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를 설명하면, 내비게이션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는 차량(10)이 지하주차장을 목적지로 하여 주행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때, 차량(10)이 주행 중 위치 정보(가령, GPS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은 차량(10)이 지하주차장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은 차량(10)에 후진 기어가 입력되고 차량(10)의 조향 장치가 작동되는 경우, 후진 주차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경우,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은 차량(10) 후미에 배치된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후방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은 지하주차장의 주변 온도보다 차량(10) 후미의 온도가 더 낮은 경우, 차량(10) 후미에 벽면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은 차량(10)이 벽면과 테일게이트(13)가 충돌가능성이 있는 온도 구간을 설정하여, 해당 온도 구간에 도달한 경우, 테일게이트(13)와 벽면(15)이 충돌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경우,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은 테일게이트를 후범퍼라인까지 오픈한 후, 탑승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한 후 다시 테일게이트를 클로징시킬 수 있다.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은 테일게이트를 클로징하면서 미등 점등을 하여 탑승자에게 충돌 가능성을 알릴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100)은 온도센서(110), 위치정보 수신부(120), 조향제어부(130), 테일게이트 구동부(140), 스마트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100)은 미등 점등 제어부(미도시) 역시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하지 않은 다양한 구성요소도 더/덜 포함될 수 있으나, 설명에 필요한 경우로 한정하기로 한다.
온도센서(110)는 차량 후미에 탑재되어 차량 후미와 외부 오브젝트 간 거리를 가늠할 수 있다.
위치정보 수신부(120)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차량의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 제어부(150)에 제공할 수 있다. 차량이 지하주차장, 고층빌딩이 즐비한 곳 등에 진입하는 경우 위치정보 수신부(120)는 차량의 GPS 정보를 수신하기 어려울 수 있다.
조향 제어부(130)는 스티어링 휠을 통해 입력되는 조향 명령에 기초하여 차량의 휠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테일게이트 구동부(140)는 테일게이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 제어부(150)는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1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모듈이다.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100)은 거리정보 센서(미도시)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100)은 거리정보 센서를 통해 차량 후미와 외부 오브젝트 간 거리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100)은 전/후방 카메라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100)은 차량 후방을 촬영하여 AVN 단말 또는 후석 디스플레이에 촬영된 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100)은 테일게이트 내부면에 테일게이트를 자동으로 클로징하는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의 대표적인 구동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기술한 도면부호를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일단, 차량(10)이 주행(S310)하고, 차량 내비게이션이 작동된다(S320).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100)은 위치 정보 수신하지 못하면(S325), 차량이 지하주차장이 있는지 판단한다(S330).
가령,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100)은 GPS 정보가 수신되지 않고, 주행 목적지가 지하주차장으로 설정된 경우 지하주차장에 있을 수 있다.
또한,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100)은 촬영부를 구비하여 외부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통해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100)은 차량이 지하주차장에 위치하고 차량 후진기어가 작동되면서(S330), 소정 크기로 조향각이 변경되는 경우, 주차 중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100)은 차량(13)이 정지하면, 주차 상태인지 판단한다(S335).
가령, 차량(13)의 시동이 꺼진다던지, 차량 도어 락이 해제된다든지 등을 통해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100)은 차량(13)의 주차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테일게이트 오픈 명령이 버튼 또는 사용자 음성에 의해 입력된 경우를 이하에서 기술하기로 한다.
그 다음으로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100)은 차량 후미에 탑재된 온도 센서(110)의 측정된 입력값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작은 경우(S345), 대기모드로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100)을 구동시킨다(S350).
여기서, 기 설정된 수치는 차량(13)의 테일 게이트가 오픈될 때, 테일 게이트가 주변 벽면, 기둥 등에 충돌될 수 있는 거리에 있음을 나타내는 온도 임계값을 나타낸다.
또한, 대기모드는 테일게이트가 오픈되다가 중간에 중지하는 모드, 아예 오픈되지 않는 모드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외부 오브젝트가 주차된 다른 차량인 경우를 살펴보자. 제1 차량이 상기 차량(13)의 전면에 주차된 경우는 상술한 경우와 같다.
제1 차량의 전방이 차량(13)의 후방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차량의 엔진열로 인해 온도가 높을 것이므로,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100)은 온도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차량(가령, 트럭)의 전방이 인접하고 제1 차량의 주차시간이 길더라도,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100)은 벽면의 온도와 차량 강판의 온도를 구분할 수 있다.
제1 차량의 후방이 차량(13)의 후방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차량의 머플러 온도가 높을 것이므로,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100)은 온도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차량(가령, SUV)의 후방이 인접하고 제1 차량의 주차시간이 길더라도,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100)은 벽면의 온도와 차량 강판의 온도를 구분할 수 있다.
한편,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100)은 온도 센서(110)의 값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큰 경우, 일반모드로 테일게이트를 구동시킨다(S355).
여기서 테일게이트 오픈은 상술한 스마트 테일게이트 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가령, 유저가 스마트 키를 품고 소정 시간 차량 후미에 머물 때, 테일게이트가 자동으로 오픈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벽면을 인식할 수 있으나,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은 거리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외부 오브젝트와의 거리를 가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차량이 주차 중인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 따르면,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100)은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설정된 목적지가 지하주차장이라면, 현재 차량(13)의 위치를 지하주차장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때,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100)은 도 4(b)와 같이 후방으로 조향이 제어되면서 차량(13)이 움직이는 경우, 주차중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100 :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
110 : 온도 센서
120 : 위치정보 수신부

Claims (22)

  1. 테일게이트(Tailgate)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테일게이트를 오픈시키는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테일게이트가 오픈될 때, 온도 센서를 통해 입력된 온도값에 기초하여, 차량 외부의 오브젝트와 상기 테일게이트 간 충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테일게이트와 상기 오브젝트 간 충돌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테일게이트의 오픈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외부의 오브젝트와 상기 테일게이트 간 충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온도 센서를 통해 입력된 온도값이 소정의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테일게이트가 충돌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외부의 오브젝트와 상기 테일게이트 간 충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온도 센서를 통해 입력된 온도값이 소정의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테일게이트가 충돌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외부의 오브젝트와 상기 테일게이트 간 충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후미에 위치한 거리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오브젝트와 소정거리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테일게이트가 충돌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내비게이션 길 안내를 제공받으면서 주행하는 단계; 및
    주행 목적지가 지하주차장으로 설정되고,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지하주차장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주차장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후방 기어로 기어가 변경되고 동시에 조향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주차장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방 또는 후방에 탑재된 촬영부를 통해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촬영된 영상에서 장소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게이트의 오픈을 중지하는 단계는,
    상기 테일게이트를 후방 범퍼까지 오픈시키는 단계;
    상기 경고 알림음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테일게이트를 클로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게이트 내부에 위치한 테일게이트 클로징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테일게이트를 클로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게이트를 오픈시키는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는,
    테일게이트 조작 버튼 입력 또는 사용자 음성 입력을 통해 상기 명령이 입력되는,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
  11. 테일게이트(Tailgate)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이 외부 오브젝트와 근접 거리에 있는 것을 감지하는 온도 센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 및
    상기 테일게이트를 오픈시키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테일게이트가 오픈될 때, 상기 온도 센서를 통해 입력된 온도값에 기초하여, 차량 외부의 오브젝트와 상기 테일게이트 간 충돌여부를 판단하는 스마트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제어부는,
    상기 테일게이트와 상기 오브젝트 간 충돌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테일게이트의 오픈을 중지하는,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를 통해 입력된 온도값이 소정의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테일게이트가 충돌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제어부는,
    온도 센서를 통해 입력된 온도값이 소정의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테일게이트가 충돌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후미에 위치한 거리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제어부는,
    상기 거리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오브젝트와 소정거리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테일게이트가 충돌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내비게이션 길 안내를 제공받으면서 주행하는 경우, 주행 목적지가 지하주차장으로 설정되고,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지하주차장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조향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제어부는,
    후방 기어로 기어가 변경되고 동시에 상기 조향 제어부를 통해 조향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탑재된 촬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주변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장소를 식별하는,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테일게이트의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테일게이트를 후방 범퍼까지 오픈시키고, 상기 경고 알림음을 발생시키며, 상기 테일게이트를 클로징하는,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제어부는,
    상기 테일게이트 내부에 위치한 테일게이트 클로징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테일게이트를 클로징하는,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제어부는,
    테일게이트 조작 버튼 입력 또는 사용자 음성 입력을 통해 테일게이트 오픈 명령이 입력되는,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
  21.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제1항 내지 제10항에 기재된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22. 제21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50177930A 2015-12-14 2015-12-14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2267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930A KR102267257B1 (ko) 2015-12-14 2015-12-14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930A KR102267257B1 (ko) 2015-12-14 2015-12-14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441A true KR20170070441A (ko) 2017-06-22
KR102267257B1 KR102267257B1 (ko) 2021-06-22

Family

ID=59283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930A KR102267257B1 (ko) 2015-12-14 2015-12-14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2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645A (ko) * 2017-12-02 2019-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8695A (ja) * 1998-06-09 1999-12-21 Nec Corp 後方車両検知装置
KR100892511B1 (ko) 2007-12-13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파워 테일게이트 시스템
JP2009299387A (ja) * 2008-06-16 2009-12-24 Honda Motor Co Ltd 開閉体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8695A (ja) * 1998-06-09 1999-12-21 Nec Corp 後方車両検知装置
KR100892511B1 (ko) 2007-12-13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파워 테일게이트 시스템
JP2009299387A (ja) * 2008-06-16 2009-12-24 Honda Motor Co Ltd 開閉体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645A (ko) * 2017-12-02 2019-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257B1 (ko)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86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arking alert
JP6266491B2 (ja) 自動運転制御装置
CN102398554B (zh) 车辆安全系统和方法
JP5471462B2 (ja) 自動駐車装置
US89559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utside rearview mirror of a vehicle from an unfolded position to a folded position
CN104827989A (zh) 离开后的车辆关闭
US201101415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a collision of an object with a first vehicle door of a stationary vehicle
GB2572057A (en) Accelerometer-based external sound monitoring for position aware autonomous parking
KR20180060937A (ko) 차량용 도어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5101225A (ja) 車両制御装置
KR20220054659A (ko) 드라이브 보조 기기, 방법, 차량 및 저장 매체
JP5286932B2 (ja) 車車間通信装置および車車間通信システム
CN111464797A (zh) 行车辅助设备、方法、车辆及存储介质
KR20220154050A (ko) 차량의 돌출된 화물을 감지하는 화물 감지 시스템 및 방법
JP6400821B2 (ja) 自動運転制御装置
CN102285350A (zh) 碰撞判定装置、碰撞判定方法和乘员保护装置
KR20170070441A (ko) 테일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JP7264031B2 (ja) 制御装置
KR20220080590A (ko) 외부 팽창 에어백을 포함하는 차량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336405B1 (ko)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08930461B (zh) 车门锁的电机控制方法、系统及汽车
JP2009168458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用のプログラム
WO2019038973A1 (ja) 駐車支援装置、駐車支援方法および駐車支援プログラム
KR20190059645A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 장치 및 방법
JP7345007B1 (ja) 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