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783U - 감지센서가 구비된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 Google Patents

감지센서가 구비된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783U
KR20130006783U KR2020120004134U KR20120004134U KR20130006783U KR 20130006783 U KR20130006783 U KR 20130006783U KR 2020120004134 U KR2020120004134 U KR 2020120004134U KR 20120004134 U KR20120004134 U KR 20120004134U KR 20130006783 U KR20130006783 U KR 201300067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vehicle
sensor
scaffold
scaffol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1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삼걸
Original Assignee
윤삼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삼걸 filed Critical 윤삼걸
Priority to KR20201200041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6783U/ko
Publication of KR201300067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78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7Removable steps or ladders,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2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at the sides, e.g. on running-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감지센서가 구비된 차량용 보조 발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과 출입구의 높이가 높은 차량을 승, 하차하는데 있어 보다 편리하게 승, 하차 가능토록 보조발판장치를 구성하되 선택적으로 차량의 하부에 결착가능토록 구성하고, 정차 시 자동적으로 출입구의 외측방향으로 보조발판(400)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을 부여하고, 무엇보다 상기 보조발판(400)의 내측으로 감지센서(420)를 구성하여 상기 감지센서(420)가 인체 및 물체를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430)에 의해 자동적으로 구동수단(200)의 구동이 정지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편리성과 안전성이 높은 유용한 고안이라 하겠다.

Description

감지센서가 구비된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Vehicles equipped with sensor devices stool}
본 고안은 차량용 보조 발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차량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구성되어 평소에는 은폐되며 정차 시 일측 방향으로 인출되되 사람의 있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제어하여 인출되는 보조발판을 정지 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감지센서가 구비된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사람들의 편리성을 부여하기 위해 만들어져 소형, 중형, 대형으로 나누어진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운행 하여 목적지에 도착 했을 경우에 주차 및 정차를 하게 되는데 승용차의 경우에는 지면에서 좌석까지의 높이가 그리 높지 않기 때문에 탑승자가 승, 하차하는데 큰 문제는 없으나 최근 널리 보급된 승합차 또는 RV와 같은 차들은 차고가 높고, 승, 하차 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어린이집이나 학원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통합 차량인 승합차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어린이들이 탑승을 많이 하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승, 하차 과정에서 높은 차고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어 오고 있었으며 승, 하차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에서 차량 운행으로 인해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 들어 차량의 하부에 결합 구성되어 어린이들이 딛고 승, 하차가 용의하도록 보조발판장치를 별도로 구성하여 운행되는 차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보조 발판의 경우에는 차량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어 있어 좁은 길 등을 운행 시 각종 장애물 등에 걸려서 접촉 사고를 유발하며 차량의 통행에 방해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본원 출원과 동일한 출원인이 출원한 것으로 등록번호 20-0440985 (실) 다수의 설치공을 형성한 한 쌍의 브라켓 사이에 다수의 지지대를 설치하고, 양측 브라켓 외측 단부 사이에는 회전축을 축설하며, 회전축 양단부에는 걸림부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부가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일측 지지대에 걸려서 회전축의 회전을 억제 가능케 하며,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부착판 상면에는 발판을 나사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 일측 단부에는 구동용와이어의 일단부가 고정된 와이어고정부를 형성하여, 일측 브라켓에 설치된 와이어구동부와 상기 와이어고정부 사이에 구동용와이어를 연결하여 와이어구동부에 의해 구동용와이어의 일단부가 고정된 회전축이 회전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본원 출원과 동일한 출원인이 출원한 것으로 등록번호 10-0900590 (특) 차량 하부에 일체화되는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에 길이 방향으로 랙과 함께 직선운동이 가능한 회전장치를 구성하고, 프레임 전방으로 보조발판을 인출할 수 있는 지지판 및 지지대를 구성하여 상기 회전장치와 연결 구성하여 회전장치의 작동으로 인해 보조발판이 인출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원 출원과 동일한 출원인이 출원한 것으로 등록번호 20-0437864 (실) 차량의 외측면 형태에 따라서 다단으로 절곡하여 상단부에는 거치부를 형성하고, 하단부에는 나사공을 구비한 체결부를 일체로 형성한 브라켓트의 하부에 베어링이 내장된 축지지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일측면에 프레임으로 지지되는 발판을 일체로 형성한 회전축의 양단부를 차량 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상기 브라켓의 축지지부에 끼워서 설치하고, 차량의 저면 일측에는 나사공을 가진 설치구가 일체로 형성된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를 설치하여 상기 감속기의 구동축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구동기어가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형성된 피동기어와 치합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은 차량의 하부에 구성되되 정차 시 일 측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보조발판이 인출되며 일정거리만큼 유동하면 정지되어 정지된 보조발판을 딛고 승, 하차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운전자가 차량의 출입구측에 있는 사람 및 장애물을 보지 못하고 보조발판을 인출 시 자칫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구성하여 정차 시 일측 방향으로 인출되되 사람의 있는 것을 감지하면 자동적으로 제어하여 인출되는 보조발판을 정지 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도록 보완된 고안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지면과 출입구의 높이가 높은 차량을 승, 하차하는데 있어 보다 편리하게 승, 하차 가능토록 보조발판장치를 구성하되 선택적으로 차량의 하부에 결착가능토록 구성하고, 정차 시 자동적으로 출입구의 외측방향으로 보조발판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을 부여하고, 무엇보다 상기 보조발판이 인출 시 사람 및 장애물이 감지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정지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함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는 사각형상으로 구성되되 내부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고정봉이 구성되며 차체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로 구성되는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의 양측으로 꺽임 연장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내측에 구성되되 상기 고정봉에 안착되어 전, 후로 유동되는 롤러로 구성되는 유동부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래크와 상기 설치판에 안착되어 상기 래크에 맞물려 상기 래크의 일직선상으로 유동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구동하는 모터로 구성되는 구동수단과, 판상의 형상으로 구성되되 일 측에 돌출부가 각각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외측에 연결 구성되는 보조발판으로 구성되는 차량용 보조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420)는 상기 보조발판(400)이 구동하는 방향의 측면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로 구성되어 상기 감지센서(420)가 인체 또는 물체를 감지하면 상기 모터(25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430)가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발판(400)의 일측에 상기 감지센서(420)를 구성하지 않고 인체 또는 물체가 접촉되면 상기 보조발판(400)의 구동을 멈출 수 있도록 리미트스위치(440)를 구성하여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감지센서가 구비된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여 선택의 폭이 넓으며 차량의 정차 시 차량의 하부에서 출입구 측으로 보조발판이 인출되어 어린이이 편리하게 승, 하차 가능하게 됨으로써 편리성이 부여되고, 무엇보다 감지센서에 의해 사람 및 장애물이 감지되면 자동적으로 제어부에서 의해 보조발판의 인출을 정지시키게 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에 본 고안을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각형상으로 구성되되 내부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고정봉이 구성되며 차체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로 구성되는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의 양측으로 꺽임 연장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내측에 구성되되 상기 고정봉에 안착되어 전, 후로 유동되는 롤러로 구성되는 유동부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래크와 상기 설치판에 안착되어 상기 래크에 맞물려 상기 래크의 일직선상으로 유동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구동하는 모터로 구성되는 구동수단과, 판상의 형상으로 구성되되 일 측에 돌출부가 각각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외측에 연결 구성되는 보조발판으로 구성되는 차량용 보조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420)는 상기 보조발판(400)이 구동하는 방향의 측면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로 구성되어 상기 감지센서(420)가 인체 및 물체를 감지하면 상기 모터(25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430)가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감지센서가 구비된 차량용 보조발판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은 사각형상으로 구성되되 일측으로 내부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결합 고정되는 고정봉(110)이 구성되고, 양측단부에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뭉치(120)가 차량의 하부에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돌출뭉치(120)는 주로 볼트 - 너트로 결합 되는 것을 도시 하였지만 사용에 따라 일체형 또는 통상의 결합방법을 통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프레임(100)을 차량의 하부와 결착 또는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봉(110)은 하기될 유동부(300)가 롤러(330)에 의해 자연스레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용의한 구성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200)은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되 일측면으로 다수개의 기어로 구성되는 래크(210)가 구성되고, 상기 래크(210)와 치합되어 회전하되 상기 래크(210)의 일직선상으로 유동하는 피니언(220)이 구성되며 상기 피니언(220)의 하부로 웜힐(230)이 설치판(310)에 안착구성되되 상기 웜힐(230)을 회전시키는 웜기어(240)가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웜기어(240)를 구동시키기 위해 웜기어(240)의 일측에 모터(250)가 연결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모터(250)에 의해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래크(210)는 프레임(100)에서 일정간격 이격 시킨 다음 구성하여 하기될 설치판(310)이 걸림 되지 않고 용의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구동수단(200)은 설치판(310)에 웜힐(230)이 안착되되 상기 웜힐(230)의 상부로 피니언(220)이 구성되며 상기 피니언(220)은 래크(210)와 맞물려 구성되고, 피니언의(220)의 일측에는 웜기어(240)가 구성되어 모터(250)에 의해 웜기어(240)가 회전함과 동시에 피니언(220)이 회전하며 래크(210)에 일직선상으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유동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설치판(310)이 구성되고, 상기 설치판(310)의 양측단부로 꺽임 연장되는 지지대(32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320)의 내측에 구성되되 고정봉(110)의 상, 하에 안착되어 전, 후로 유동하는 롤러(330)가 구성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웜힐(230)이 상기 설치판(310)에 고정 설치되어 있어 구동수단(200)에 의해 설치판(310)이 전, 후로 유동하게 되며 상기 롤러(330)가 고정봉(110)에서 자연스레 슬라이딩 되며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발판(400)은 본 고안의 가장 중요한 핵심 구성요소로서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형상으로 구성되되 일 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부(410)가 각각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320)의 외측에 각각 연결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조발판(400)의 일측으로는 감지센서(420)가 구성되되 프레임(100)의 내부에 상기 감지센서(42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부(430)가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410)는 본 고안에서 주로 지지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도시 하였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 돌출부(410)에 다수개의 관통된 결합홈(411)을 구성하여 선택적으로 결합 할 수 도 있어 선택의 폭이 넓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 있어, 근래에 승합차에 사용되어 오는 일반적인 보조발판장치는 차량이 정차 후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차량의 하부에서 보조발판이 외측으로 인출되며 일정간격 인출이 되면 자동적으로 멈춰지고, 인출이 완료 되고 어린이들의 승, 하차가 끝난 후에는 재차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내측으로 보조발판이 인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일반적인 구성으로서 차가 멈추게 되면 어린이들은 출입문 앞에 기다리게 되고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보조발판을 인출하게 되는데 자칫 출입문 앞에 기다리고 있는 어린이와 부딪혀 안전사고가 발생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좁은 골목에서 보조발판이 자동적으로 인출되되 끝까지 인출되기 때문에 장애물 등으로 인해 사용상에 불편한 점이 많았다.
이에 본 고안의 감지센서가 구비된 보조 발판장치(10)는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들을 완벽하게 보완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보조발판(400)이 구동하는 방향의 측면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성되어 사람 및 장애물 등과 접지하거나 일정거리가 확인되면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센서(420)가 구비되되 상기 감지센서(420)가 사람 및 장애물 등을 감지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모터(250)의 작동을 정지 시킬 수 있도록 제어부(430)가 구성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로서 설명하면, 차량이 정차 후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보조발판(400)을 차량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인출되되 감지센서(420)에 의해 사람 및 장애물 등을 감지하여 제어부(430)가 회전하는 모터(250)의 작동을 멈추게 됨과 동시에 상기 모터(250)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구동수단(200)이 멈춰지게 되며 상기 구동수단(200)의 웜힐(230)이 멈춰지게 되며 상기 웜힐(230)과 연결되어 있는 설치판(310)이 동시에 멈추게 되고, 상기 설치판(310)의 양측으로 구성된 지지대(320)의 외측으로 연결 구성된 돌출부(410)가 멈춰짐에 따라 최종적으로 보조발판(400)이 멈추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람 및 장애물 등의 위치를 이동 시키고 재차 운전자의 조작 또는 제어부(430)에 의해 자동적으로 보조발판(400)이 재차 외측으로 인출되어 승, 하차 가능하여 종래의 기술에 비해 편리성 및 안전성이 더욱더 부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430)를 인접되는 인체 및 물체의 거리를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사용 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로서 위치, 액면, 온도, 압력 등을 검출 할 수 있는 보조발판(400)의 내부에 리미트스위치(440)를 구성하되, 통상적으로 상기 리미트스위치(440)는 공작기계, 엘리베이터, 자동제어장치, 크레인 등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써 기계장치 등에서 동작이 일정한 한계위치에 달하면 전환되는 스위치인 것이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상기 리미트스위치(440)를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발판(400)의 내부에 구성하여 적용하게 되면 상기 리미트스위치(440)에 물체 또는 인체가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400)가 모터(250)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보조발판(400)이 멈추게 되도록 구성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보조발판장치는 차량의 구조 및 특징에 따라 감지센서(420) 또는 리미트스위치(440)를 선택적으로 적용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성이 부여되며 경제적 효율성이 높은 고안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감지센서가 구비된 차량용 보조발판장치에 따른 사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어린이집, 학원에서 사용되는 승합차를 운행하는 운전자는 어린이들읠 태우기 또는 내려주기 위해서 승합차를 정차시킨 후 운전자가 조작을 하게 되면 차량의 하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보조발판(400)이 인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조발판(400)이 자동적으로 인출 되되 인출되는 방향 또는 위치에 인체 및 물체가 감지센서(420)에 의해 감지가 되면 제어부(430)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250)가 정지됨에 따라 인출되는 보조발판(400)에 부딪혀 어린이들이 다칠 수 있는 안전사고와 상기 보조발판(40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감지센서(420)와 인체 또는 물체와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자동적으로 제어부(430)에 의해 보조발판(400)이 재차 인출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발판(400)이 자동적으로 인출이 완료되면 어린이들은 승, 하차를 용의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평상시 승합차를 주행 시에는 보조발판(400)이 하부로 외부에 쉽게 노출이 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시각적으로 미려함을 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본 고안의 감지센서가 구비된 보조발판 장치(10)를 사용함에 있어 차량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여 선택의 폭이 넓으며 차량의 정차 시 차량의 하부에서 출입구 측으로 보조발판(400)이 인출되어 지면과 출입구의 높이가 높은 차량을 승, 하차하는데 있어 어린이이 편리하게 승, 하차 가능하며 무엇보다 감지센서(420)에 의해 인체 및 물체가 감지되면 자동적으로 제어부(430)에서 의해 보조발판(400)의 인출을 정지시키게 되어 편리성이 부여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등 일반적인 보조발판 장치에 감지센서(420)를 구성한 획기적인 고안이라 하겠다.
100 : 프레임 110 : 고정봉 120 : 돌출뭉치
200 : 구동수단 210 : 래크 220 : 피니언
230 : 웜힐 240 : 웜기어 250 : 모터
300 : 유동부 310 : 설치판 320 : 지지대
330 : 롤러
400 : 보조발판 410 : 돌출부 411 : 결합홈
420 : 감지센서 430 : 제어부 440 : 리미트스위치

Claims (4)

  1. 내부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고정봉이 구성되며 차체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로 구성되는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의 양측으로 꺽임 연장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내측에 구성되되 상기 고정봉에 안착되어 전, 후로 유동되는 롤러로 구성되는 유동부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래크와 상기 설치판에 안착되어 상기 래크에 맞물려 상기 래크의 일직선상으로 유동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구동하는 모터로 구성되는 구동수단과, 판상의 형상으로 구성되되 일 측에 돌출부가 각각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외측에 연결 구성되는 보조발판으로 구성되는 차량용 보조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발판(400)의 일 측에 감지센서(420)가 구성되고,
    상기 감지센서(420)의 감지에 따라 구동수단(200)을 제어하는 제어부(43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된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420)는 상기 보조발판(400)이 구동하는 방향의 측면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센서가 구비된 차량용 보조 발판 장치
  3. 제 1항 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감지센서(420)가 인체 또는 물체를 감지하면 상기 모터(25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된 차량용 보조 발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발판(400)의 일 측에 상기 감지센서(420)를 구성하지 않고 인체 또는 물체가 접촉되면 상기 보조발판(400)의 구동을 멈출 수 있도록 리미트스위치(440)를 구성하여 사용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된 차량용 보조 발판 장치
KR2020120004134U 2012-05-16 2012-05-16 감지센서가 구비된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KR201300067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134U KR20130006783U (ko) 2012-05-16 2012-05-16 감지센서가 구비된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134U KR20130006783U (ko) 2012-05-16 2012-05-16 감지센서가 구비된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783U true KR20130006783U (ko) 2013-11-26

Family

ID=52434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134U KR20130006783U (ko) 2012-05-16 2012-05-16 감지센서가 구비된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6783U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027B1 (ko) * 2014-06-17 201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스텝
KR101694863B1 (ko) * 2016-03-07 2017-01-10 (주)범강이엔지 어린이 승합차용 보조발판장치의 리어 프레임 구조
CN107107830A (zh) * 2014-09-22 2017-08-29 盖伯.伯德有限两合公司 带有应变计元件的踏板
KR20180069342A (ko) * 2016-12-15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접이식 스텝 및 그 구동방법
CN108422937A (zh) * 2018-05-18 2018-08-21 广东东箭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防撞功能的电动踏板装置及系统
CN108437902A (zh) * 2018-05-18 2018-08-24 广东东箭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电动踏板装置及系统
KR20190051179A (ko) * 2017-11-06 2019-05-15 황성공업 주식회사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
WO2019093550A1 (ko) * 2017-11-10 2019-05-16 황성공업 주식회사 비접촉식 전동 스텝 장치
CN111301290A (zh) * 2020-03-23 2020-06-19 贾建亚 一种电动迎宾踏板及汽车
KR102531911B1 (ko) * 2022-08-26 2023-05-16 (주)지엘어소시에이츠 전시용 진열장
KR20230089167A (ko) * 2021-12-13 2023-06-20 대명지이씨(주)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027B1 (ko) * 2014-06-17 201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스텝
CN107107830A (zh) * 2014-09-22 2017-08-29 盖伯.伯德有限两合公司 带有应变计元件的踏板
KR101694863B1 (ko) * 2016-03-07 2017-01-10 (주)범강이엔지 어린이 승합차용 보조발판장치의 리어 프레임 구조
KR20180069342A (ko) * 2016-12-15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접이식 스텝 및 그 구동방법
KR20190051179A (ko) * 2017-11-06 2019-05-15 황성공업 주식회사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
WO2019093550A1 (ko) * 2017-11-10 2019-05-16 황성공업 주식회사 비접촉식 전동 스텝 장치
CN108422937A (zh) * 2018-05-18 2018-08-21 广东东箭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防撞功能的电动踏板装置及系统
CN108437902A (zh) * 2018-05-18 2018-08-24 广东东箭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电动踏板装置及系统
CN111301290A (zh) * 2020-03-23 2020-06-19 贾建亚 一种电动迎宾踏板及汽车
KR20230089167A (ko) * 2021-12-13 2023-06-20 대명지이씨(주) 케이블포설용 거치식 안전발판
KR102531911B1 (ko) * 2022-08-26 2023-05-16 (주)지엘어소시에이츠 전시용 진열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6783U (ko) 감지센서가 구비된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US20070029267A1 (en) Bicycle support rack
CN105986692A (zh) 升降纵移旋转无避让型多层停车系统
KR100900590B1 (ko) 차량용 보조 발판 장치
KR200440985Y1 (ko) 자동차용 보조 발판 장치
JP4610675B1 (ja) 柵状昇降体装置
KR101516071B1 (ko) 고정력과 작동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KR200422025Y1 (ko) 차량용 보조발판의 구조
JP3538599B2 (ja) 立体駐車設備
JP4632120B2 (ja) 身体障害者車両用リフト装置
KR100960125B1 (ko) 보급형 승강구 발판
KR200437864Y1 (ko) 자동차용 보조 발판 장치
CN211447965U (zh) 一种室外停车设备用安全防护报警装置
CN205274955U (zh) 基于台阶式楼梯上的代步扶梯用行走小车
KR200414683Y1 (ko) 승합차용 보조발판장치
KR100935350B1 (ko) 자전거 주차타워용 리프트
CN108104560A (zh) 一种汽车停车位保护系统
CN207211867U (zh) 一种单体双层车位
CN213742570U (zh) 一种立体车库
KR200351311Y1 (ko) 차량용 보조발판장치
KR20080082525A (ko) 기계식 2단 주차기의 팔레트 구동 장치
CN212428240U (zh) 一种简易停车设备
KR102236289B1 (ko) 주차설비 입구 평활장치
CN205894781U (zh) 小型立体车库
CN107558774B (zh) 一种不倒翁型双层停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