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289B1 - 주차설비 입구 평활장치 - Google Patents

주차설비 입구 평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289B1
KR102236289B1 KR1020190076901A KR20190076901A KR102236289B1 KR 102236289 B1 KR102236289 B1 KR 102236289B1 KR 1020190076901 A KR1020190076901 A KR 1020190076901A KR 20190076901 A KR20190076901 A KR 20190076901A KR 102236289 B1 KR102236289 B1 KR 102236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ntrance
parking facility
park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203A (ko
Inventor
황창국
Original Assignee
(주)케이원엔지니어링
황창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원엔지니어링, 황창국 filed Critical (주)케이원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076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289B1/ko
Publication of KR20210001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설비의 입구에 제공되는 평활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차설비의 입구에서 주차로봇(1)이 주행하는 주행로(2)에 형성된 요홈부(3)에 배치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을 승하강시키도록 하우징의 적어도 양단 저면에 제공된 구동부(20)를 포함하며, 주차설비 입구에 차량이 없을 때, 상기 하우징(10)은 그 상면이 주행로(2)의 바닥과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주행로 바닥에 형성된 요홈부(3)에 배치되며, 입구에 차량이 있는 경우 하우징(10)이 주행로 주변과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게 구동부(20)에 의해 하우징이 승강됨으로써, 주차설비 입구에서 주변보다 낮게 형성된 주차로봇의 주행로에서 주차할 차량이 없을 때에는 하우징을 주변과 같은 높이로 승강시켜 주변과 같게 평활화시키고, 입구에 차량이 있을 때에는 주행로와 같은 높이로 하강시켜 주차로봇이 주행할 수 있도록 되어 주차설비의 이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안전사고 발생의 염려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차설비 입구 평활장치{An Apparatus For Leveling The Entrance Of Parking Equipment}
본 발명은 주차설비 입구 평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차설비 입구에서 내부 주차공간으로 차량을 롯봇이 이송하도록 입구에는 로봇용 주행로가 주변부 보다 낮게 형성되어 주행로와 주변부 사이의 돌출턱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도록 로봇용 주행로에 제공된 승강대를 주변부와 같은 수준으로 승하강시켜 평활화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주차장 입구 평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가의 상승으로 옥외에 주차장을 시공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차량의 증가로 인하여 주차난이 발생되어,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건물에 주차설비를 갖추고 많은 차량을 효율적으로 주차 및 관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러한 주차설비의 예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410934호(2003년12월08일)에는 전방 양쪽으로 대칭되는 2개의 받침대가 돌설되고 일정간격으로 프레임에 직립·설치된 승강 스크류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설치된 자동차 자동차 승강기와, 전·후단 중앙에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작동봉이 결합되고 양측단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바퀴가 결합 유설되며 상면 양측방에는 거치구가 형성된 트레이와, 상면에 일정한 깊이를 갖는 안착요홈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지지편에 의해 지면에 일정한 길이로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중심에 해당되는 위치에 그 길이방향으로 전동모우터에 의해 순환·회동되도록 설치된 체인이 구비된 특징을 갖는 자동차 주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주차장치에서는 입구에 도착한 차량을 센서로 감지하여 주차용 로봇이 관재실의 제어하에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바에 따라 주행로를 통하여 이동하면서 입구에서 대차 위에 차량을 얹고 주차공간내의 적절한 장소에 주차하도록 자동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차설비에서 통상적으로 로봇은 주변보다 낮게 형성된 주행로에서 차량 프레임의 저부를 지지하여 들어 올린 상태에서 주행로를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서, 주차 관리자나 운전자의 보행시에 불편을 줄 뿐만 아니라 발에 걸려 부상당할 염려가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410934호(2003년12월08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주차설비 입구에서 주차로봇의 주랭로와 그 주변 사이에 돌출턱이 형성됨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주차설비 입구의 주차로봇 주행로에 하우징을 설치하여 차량이 없을 때에는 주변과 같은 높이로 상승시키고 차량이 있는 경우에는 주차로봇 주행로와 같은 높이로 하강시켜 주차설비 입구를 평활화하는 주차설비 입구 평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주차설비 입구 평활장치는, 주차설비의 입구에서 주차로봇이 주행하는 주행로에 형성된 요홈부에 배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승하강시키도록 하우징의 적어도 양단 저면에 제공된 구동부를 포함하며,
주차설비 입구에 차량이 없을 때, 상기 하우징은 그 상면이 주행로의 바닥과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주행로 바닥에 형성된 요홈부에 배치되며, 입구에 차량이 있는 경우 하우징이 주행로 주변과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여 평활화되도록 구동부에 의해 하우징이 승강된다.
상기 구동부들 각각은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고 타측 단부는 요홈부의 바닥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동지지부들,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는 정역회전가능한 모터를 포함하며, 주차설비 입구에 차량이 없을 때,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가동지지부의 자유단부가 요홈부 바닥에 배치되어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하우징의 상면이 주행로 주변과 같은 높이로 승강시키도록 된다.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가동지지부가 바닥에 대하여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지지부의 자유단부에는 가이드롤러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의 승하강 동작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부재가 상기 요홈부 바닥에 고정되어 수직 상방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주면에서 슬라이드가능하게 배치된 링부재가 하우징의 하부 바닥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의 전후 양측 단부들에는 요홈부의 양측 단부 벽에 접촉되어 하우징의 원활한 승하강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롤러들이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 저면의 전후측 단부들에서 각각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보강부재의 측부에 가이드롤러가 요홈부(3)의 측벽에 접촉되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주차설비 입구에서 주변보다 낮게 형성된 주차로봇의 주행로에서 주차할 차량이 없을 때에는 하우징을 주변과 같은 높이로 승강시켜 주변과 같게 평활화시키고, 입구에 차량이 있을 때에는 주행로와 같은 높이로 하강시켜 주차로봇이 주행할 수 있도록 되어 주차설비의 이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안전사고 발생의 염려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주차설비 입구에 주차할 차량이 도착된 경우에 평활장치의 하우징이 주차로봇 주행로 깊이로 하강한 상태에서 주차로봇이 차량을 들어올려 이송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주차설비 입구에 제공된 하우징이 주행로 주변과 같은 높이로 승강되어 평활하게 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활장치의 하우징의 개략적인 부분평면도.
도 4는 도 3의 평활장치의 부분확대도.
도 5는 도 3의 평활장치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3에서 하우징이 하강된 상태의 평활장치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하우징이 승강되어 주변과 평활하게 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8은 도 6에서 도 7로 하우징이 승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주차설비 입구 평활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5에 있어서, 본 발명의 주차설비 입구 평활장치는 주차설비의 입구에서 주차로봇(1)이 주행하는 주행로(2)에서 승하강하도록 설치되며, 저면측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양단 저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양단과 중앙부의 저면에 각각 설치되어 하우징(10)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2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입구에 차량이 없을 때에는 하우징의 상면이 주행로(2)의 바닥과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주행로 바닥에 형성된 요홈부(3)에 배치되며, 입구에 차량이 있는 경우 하우징(10)이 주행로 주변과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게 구동부(20)에 의해 하우징이 승강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구동부(20)가 하우징(10)의 저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3곳에 제공되어 있으나, 하우징 저면의 양단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요홈부(3)에 고정되어 수직 상방으로 배치된 가이드부재(14)의 외주면에서 슬라이드가능하게 배치된 링부재(14')가 하우징(10)의 하부 바닥에 고정되어 하우징의 승하강 동작이 가이드부재(14)에 의해 가이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의 전후 양측 단부들에는 요홈부(3)의 양측 단부 벽에 접촉되어 하우징의 원활한 승하강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롤러(12,13)들이 제공되며, 또한, 하우징 위로 주차로봇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보강부재(15)가 상기 하우징 저면의 전후측 단부들에서 각각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측부에는 요홈부(3)의 측벽에서 원활하게 상하로 승하강할 수 있게 가이드롤러(16,17)가 요홈부(3)의 측벽에 접촉되게 제공된다.
상기 구동부(20)들 각각은 하우징의 저면에서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상단이 고정되고 지지부재(18)들에 장착된 고정판(21)을 관통하여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22), 상기 회전축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고 타측 단부, 즉 자유단부는 요홈부(3)의 바닥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동지지부(25)들, 상기 회전축(22)을 정역 회전시키는 모터(27)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27)는 하우징 저면에 고정된 브라켓에 장착된다.
상기 가동지지부(25)의 자유단부에는 가이드롤러(251)가 제공되어서 회전축(22)의 회전에 따라 가동지지부(25)가 바닥에 대하여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지지부(25)들은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이 하강된 위치에서는 자유단부가 요홈부(3)의 바닥에 접촉되게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모터(27)에 의해 회전축(2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가동지지부(25)도 회전축과 함께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자유단부가 가이드롤러(251)의 구름운동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면서 하우징(10)이 도 8과 같이 승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10)이 승강된 상태의 하우징 상면은 주차장 입구의 주차로봇 주행로 주변과 같은 높이로 되어서 평활하게 된다. 이로써, 주차설비 입구에서의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보행에 불편함이 업어질 뿐만 아니라 돌출턱이 없어 안전사고 발생의 염려 또한 없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주차설비 입구에 차량 진입이 없는 상태에서는 구동부(20)의 모터(27)가 작동하여 회전축(22)이 회전되면서 가동지지부(25)가 수직으로 세워져 하우징(10)이 승강되어 그 상면이 주차로봇 주행로(2) 주변부와 같은 높이 상태로 유지된다. 그런 다음, 차량이 주차설비 입구에 진입하면, 상기 구동부(20)의 모터(27)가 역회전하여 회전축(22)이 역회전하면서 가동지지부(25)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경사지게 눕혀지면서 하우징은 주차로봇의 주행로와 같은 높이로 된다.
이 상태에서, 주차로봇이 주행로를 통해 하우징 위로 이동하여 차량을 저면에서 로봇팔로 들어 올린 상태로 이동하여 주차설비내의 적절한 장소에 배치하여 주차시킨다.
본 발명은 주차설비 입구에서 주차로봇이 주행하는 주행로가 주변부 보다 낮은 곳에 설치하여 차량이 주차설비 입구에 진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주변부와 동일한 높이로 승강되고 차량이 입구에 진입하면 주차로봇이 주행할 수 있게 주행로와 같은 높이로 하강하여 평활화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1 : 주차로봇 2 : 주행로
3 : 요홈부 10 : 하우징
12,13 : 가이드롤러
14 : 가이드부재 15 : 보강부재
16,17 : 가이드롤러 18 : 지지부재
20 ; 구동부 21 : 고정판
22 : 회전축 25 : 가동지지부
27 : 모터

Claims (5)

  1. 주차설비의 입구에서 주차로봇(1)이 주행하는 주행로(2)에 형성된 요홈부(3)에 배치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을 승하강시키도록 하우징의 적어도 양단 저면에 제공된 구동부(20)를 구비하고, 주차설비 입구에 차량이 없을 때, 상기 하우징(10)은 그 상면이 주행로(2)의 바닥과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주행로 바닥에 형성된 요홈부(3)에 배치되며, 입구에 차량이 있는 경우 하우징(10)이 주행로 주변과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여 평활화되도록 구동부(20)에 의해 하우징이 승강되는 주차설비 입구 평활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들 각각은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22), 상기 회전축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고 타측 단부는 요홈부(3)의 바닥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동지지부(25)들, 상기 회전축(22)을 회전시는 정역회전가능한 모터(27)를 포함하며, 주차설비 입구에 차량이 없을 때, 상기 회전축(22)과 함께 회전되는 가동지지부(25)의 자유단부가 요홈부(3) 바닥에 배치되어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이 주행로(2) 주변과 같은 높이로 승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입구 평활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2)의 회전에 따라 가동지지부(25)가 바닥에 대하여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지지부(25)의 자유단부에는 가이드롤러(251)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입구 평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승하강 동작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부재(14)가 상기 요홈부(3)에 고정되어 수직 상방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14)의 외주면에서 슬라이드가능하게 배치된 링부재(14')가 하우징(10)의 하부 바닥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입구 평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전후 양측 단부들에는 요홈부(3)의 양측 단부 벽에 접촉되어 하우징의 원활한 승하강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롤러(12,13)들이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 저면의 전후측 단부들에서 각각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보강부재(15)의 측부에 가이드롤러(16,17)가 요홈부(3)의 측벽에 접촉되게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입구 평활장치.
KR1020190076901A 2019-06-27 2019-06-27 주차설비 입구 평활장치 KR102236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901A KR102236289B1 (ko) 2019-06-27 2019-06-27 주차설비 입구 평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901A KR102236289B1 (ko) 2019-06-27 2019-06-27 주차설비 입구 평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203A KR20210001203A (ko) 2021-01-06
KR102236289B1 true KR102236289B1 (ko) 2021-04-05

Family

ID=74128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901A KR102236289B1 (ko) 2019-06-27 2019-06-27 주차설비 입구 평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28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0908A (ja) * 1993-02-10 1994-08-30 Sumitomo Heavy Ind Ltd 機械式立体駐車場
KR100410934B1 (en) 2002-04-17 2003-12-18 Kia Motors Corp Releasing system of parking bra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203A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2341B2 (en) Vehicle parking with automated guided vehicles, vertically reciprocating conveyors and safety barriers
US6733226B1 (en) Vehicle moving apparatus
KR102236289B1 (ko) 주차설비 입구 평활장치
JP5351671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CN210370105U (zh) 一种可移装自走坡道中继转向平台组合立体停车库
KR102279631B1 (ko) 2주식 리프트의 승강받침장치
JP3840589B2 (ja) 通路を備えた昇降リフト
JP3372449B2 (ja) 縦型立体駐車場
JP2932879B2 (ja) キャブ付き出し入れ装置
JP2006037592A (ja) 立体駐車装置
JP3435593B2 (ja) 乗込場における載置台の移載装置
JP2633172B2 (ja) トレー型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
JP2022125501A (ja) 機械式駐車設備
JPH0330509Y2 (ko)
JP2589413Y2 (ja) 二段式立体駐車装置
JP3240490B2 (ja) 立体駐車装置の車両入出庫装置
JPH0423166Y2 (ko)
JPH0412214Y2 (ko)
JP2566256Y2 (ja) 立体駐車装置における走行台車構造
KR20220067799A (ko) 대차로봇형 자동주차시스템 및 주차방법
JP2016223085A (ja) 駐車装置
JPH06146638A (ja) 昇降式立体駐車設備及びその使用方法
JP2508737Y2 (ja) 立体駐車装置
JPH0237835Y2 (ko)
JPH06211315A (ja) キャブ付き出し入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