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9815A - 케이블의 고정지그, 팔레트 및 기계식 주차장 - Google Patents

케이블의 고정지그, 팔레트 및 기계식 주차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9815A
KR20120049815A KR1020110114934A KR20110114934A KR20120049815A KR 20120049815 A KR20120049815 A KR 20120049815A KR 1020110114934 A KR1020110114934 A KR 1020110114934A KR 20110114934 A KR20110114934 A KR 20110114934A KR 20120049815 A KR20120049815 A KR 20120049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cable
vehicle
ji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1220B1 (ko
Inventor
야스오 미나미
시게루 오시바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9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3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in combination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e.g. from overhead contact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Abstract

팔레트식의 기계식 주차장에 있어서, 보다 안전하게 주차중에 급전한다.
기계식 주차장은, EV차(22)를 탑재하는 팔레트(32)와, 기계식 주차장 안에서 팔레트(32)를 이동시키는 제1 이재장치, 제2 이재장치와, 팔레트(32) 상에서 EV차(22)에 급전하기 위한 급전케이블(68)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지그(60)를 가진다. 고정지그(60)는, 급전케이블(68)을 파지하는 파지단(62)과, 고정지그(60)를 팔레트(32)의 돌출방지봉에 장착하는 장착단(66)을 가진다. 파지단(62)은 급전케이블(68)을 개방, 내지 고정하는 두 상태를 취하도록 구성되었다.

Description

케이블의 고정지그, 팔레트 및 기계식 주차장{Fixation jig for cable, palette and mechanic parking facilities}
본 출원은, 2010년 11월 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0-249847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이 출원의 전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하여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케이블의 고정지그, 팔레트 및 기계식 주차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은 공간에 다수의 차량을 효율적으로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으로서, 기계식 주차장이 알려져 있다. 기계식 주차장도 다양한 구조가 제공되고 있는데, 그 하나로서 팔레트 상에 차량을 탑재하고, 이 팔레트를 전후 혹은 좌우로 레일이나 홈을 이용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비어 있는 팔레트 공간으로 옮기는 구성으로 한 팔레트식의 기계식 주차장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이 팔레트식의 기계식 주차장에 리프트 및 입체적인 주차층을 조합함으로써, 보다 주차효율을 높인 기계식 주차장도 제공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한편, 최근, 저소음이고 친환경적인 전기자동차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이하 이들을 EV차라고 총칭함)가 보급되기 시작하고 있다. EV차는 거기에 탑재되어 있는 리튬이온전지 등의 2차 전지로부터의 전력을 동력원으로 하고 있다. 이 2차 전지를 충전하기 위하여는, 현 상태에서는 수 십분 내지 수 시간의 충전시간이 필요하다. 그래서 주차장에 EV차를 주차하고 있는 시간을 이용하여 EV차의 2차 전지를 충전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3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9741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21403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5-62667호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팔레트식의 기계식 주차장에 있어서 주차중에 충전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먼저 드라이버는 승강실에 EV차를 정차한다. 그 드라이버 또는 담당자는, 급전을 위한 케이블을 EV차에 장착한다. 다만, 기계식 주차장에 있어서는, 보수점검 등을 제외하고는 통상 주차실에 사람이 들어가는 것은 상정되어 있지 않다.
드라이버 또는 담당자는 승강실의 조작패널을 조작하여, EV차를 탑재한 팔레트를 주차실에 넣는다. 여기서 EV차의 급전구에서 나오는 급전케이블은 팔레트의 면에 도달할 때까지는 자유로운 곡선을 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EV차를 탑재한 팔레트가 기계식 주차장 안을 상하 좌우 전후로 이동하면, 급전케이블의 그 부분이 이동에 의한 관성 때문에 크게 흔들리거나 휘어 오르거나 한다. 그 결과, 급전케이블이 기계식 주차장의 지주나 벽 등에 걸리거나, 최악의 경우 승강장치 등의 가동(可動)부분에 말려 들어가거나 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팔레트식의 기계식 주차장에 있어서, 보다 안전하게 주차중에 급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은 케이블의 고정지그(jig)에 관한 것이다. 이 고정지그는, 차량을 탑재하는 팔레트 상에서 차량에 급전하기 위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지그로서, 케이블을 파지하는 제 1단과, 그 지그를 팔레트에 장착하는 제 2단을 가진다.
이 태양에 의하면, 차량을 탑재하는 팔레트 상에서 차량에 급전하기 위한 케이블로부터 휘어오름이나 늘어짐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도 또한, 케이블의 고정지그이다. 이 고정지그는, 차량을 탑재하는 팔레트 상에서 차량에 급전하기 위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지그로서, 차량의 상하방향의 원하는 위치에 케이블을 이동 및 고정하기 위한 제 1단과, 차량의 전후방향의 원하는 위치에 케이블을 이동 및 고정하기 위한 제 2단을 가진다.
이 태양에 의하면, 고정지그가 차량을 탑재하는 팔레트 상에서 차량에 급전하기 위한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는 차량의 급전구의 위치로서, 차량의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의 넓은 범위를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팔레트이다. 이 팔레트는, 상기의 고정지그를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기계식 주차장이다. 이 기계식 주차장은, 차량을 탑재하는 팔레트와, 그 기계식 주차장 안에서 팔레트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팔레트 상에서 차량에 급전하기 위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지그를 구비한다. 지그는, 케이블을 파지하는 제 1단과, 그 지그를 팔레트에 장착하는 제 2단을 가진다.
이 태양에 의하면, 급전을 위한 케이블이 장착된 차량이 탑재된 팔레트를 기계식 주차장 안에서 보다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도 또한, 기계식 주차장이다. 이 기계식 주차장은, 차량을 탑재하는 팔레트와, 그 기계식 주차장 안에서 팔레트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팔레트 상에서 차량에 급전하기 위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지그를 구비한다. 지그는, 차량의 상하방향의 원하는 위치에 케이블을 이동 및 고정하기 위한 제 1단과, 차량의 전후방향의 원하는 위치에 케이블을 이동 및 고정하기 위한 제 2단을 가진다.
이 태양에 의하면, 급전을 위한 케이블이 장착된 차량이 탑재된 팔레트를 기계식 주차장 안에서 보다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이상의 구성요소의 임의의 조합이나, 본 발명의 구성요소나 표현을 방법, 장치, 시스템 등 사이에서 서로 치환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태양으로서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팔레트식의 기계식 주차장에 있어서, 보다 안전하게 주차중에 급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B1F 주차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급전상태에 있는 급전주차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팔레트 및 그 팔레트에 탑재된 EV차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고정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각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고, 적절히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의 부재의 치수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적절히 확대, 축소하여 나타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실시형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중요하지 않는 부재의 일부는 생략하여 표시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10)의 정면도이다. 도 2는, B1F 주차실(14)의 평면도이다. 도 2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팔레트(32)에 탑재되는 차량을 생략하여 표시한다. 기계식 주차장(10)은, 지상에 설치된 건물(104)의 지하에 지하 3층까지 설치된, 이른바 지하식의 기계식 주차장이다.
기계식 주차장(10)은, 지하 1층의 주차실인 B1F 주차실(14)과, 지하 2층의 주차실인 B2F 주차실(16)과, 지하 3층의 주차실인 B3F 주차실(18)과, 복수의 팔레트(32)와, 제1 이재(移載; 옮겨싣기)장치(56)와, 복수의 제2 이재장치(58)와, 리프트프레임(88)과,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인 승강로(96)의 네 모서리에 지주로서 설치된 4개의 마스트(90, 92, 106, 108)와, 승강장치(94)와, 복수의 급전시스템(40)을 구비한다.
기계식 주차장(10)은, 팔레트(32)를 이용한 팔레트식의 주차장이다. 이 팔레트식의 기계식 주차장(10)은, 승강장치(94)를 이용하여 차량(20)이 탑재된 상태의 팔레트(32)를 승강시키거나, 혹은 제1 이재장치(56)나 제2 이재장치(58)를 사용하여 면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함으로써, 주차실에 차량(20)을 주차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팔레트(32)는, 평판 형상의 부재이다. 팔레트(32)의 차량(20)이 탑재되는 상면(32a)은 대략 직사각형이다. 팔레트(32)의 상세는 후술하지만, 도 1에서는 팔레트(32)에 포함되는 3단자의 팔레트측 급전커넥터(34)가 나타나 있다.
B1F 주차실(14), B2F 주차실(16), B3F 주차실(18)은 각각 10개의 주차공간을 포함한다. 그들 10개의 주차공간은, 평면에서 본 경우에 이재(移載)방향(도면의 x방향)으로 5행, 이재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교차방향(도면의 y방향)으로 2열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다. 각 주차공간은 팔레트(32)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된다. 주차공간은 팔레트(32)와 함께 차량(20)이 주차될 수 있는 주차실 내의 하나의 주차영역(주차의 1단위)이다.
각 주차실에 포함되는 10개의 주차공간 중, 승강로(96)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된 2개의 주차공간은, EV차 등의 급전을 요하는 차량에의 급전이 가능한 급전주차공간이 된다. 급전주차공간은 급전시스템(40)을 가진다.
도 1, 도 2에 나타나 있는 B1F 주차실(14)의 급전주차공간(14a)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급전주차공간(14a)은, B1F 바닥(98) 상에 설치된 제2 이재장치(58a)와, 제2 이재장치(58a)에 탑재된 팔레트(32b)와, 급전시스템(40a)과, 팔레트(32b)에 탑재되어 급전시스템(40a)으로부터 급전되고 있는 EV차(20a)를 포함한다. 즉, 급전주차공간(14a)은 EV차(20a)가 주차되어 있고 또한 EV차(20a)에 급전시스템(40a)으로부터 급전되고 있는 급전상태에 있다. 급전주차공간의 다른 상태로서는,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만 급전은 행하여지고 있지 않은 주차상태와, 팔레트는 있지만 차량은 주차되어 있지 않은 공차상태와, 팔레트가 없는 무팔레트 상태가 있다.
급전시스템(40a)은, 급전반(42a)과, 주차실측 급전커넥터(44a)를 가진다. 급전반(42a)과 주차실측 급전커넥터(44a)는 도면 중에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급전반(42a)은, 외부전원으로부터 얻어지는 전력을 EV차(20a)에 공급하는데 적합한 전압으로 하여 주차실측 급전커넥터(44a)에 공급한다. 주차실측 급전커넥터(44a)는, 예컨대 팔레트측 급전커넥터(34)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급전커넥터이다. 주차실측 급전커넥터(44a)는, 팔레트측 급전커넥터(34)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팔레트(32)가 급전주차공간(14a)에 배치되면, 그 팔레트측 급전커넥터(34)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급전주차공간이 아닌 다른 주차공간은, 기본적으로는 급전주차공간의 구성에서 급전시스템을 제외한 구성이 된다.
기계식 주차장(10)에 있어서는, 승강로(96)가 연직방향(도면의 z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96)는, B1F 주차실(14), B2F 주차실(16), B3F 주차실(18)의 각각과 연통한다. 승강로(96)의 하단에는 승강장치(94)가 설치되어 있다.
평면에서 본 경우에 대략 직사각형의 리프트프레임(88)은, 4개의 마스트(90, 92, 106, 108)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다. 리프트프레임(88)의 상부에는 제1 이재장치(56)가 탑재된다.
승강장치(94)는 승강로(96)를 따라서 리프트프레임(88)을 승강시킨다.
제1 이재장치(56)의 상부에는 팔레트(32)가 탑재된다. 제1 이재장치(56)는, 이재방향으로 팔레트(32)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주차공간과 주차공간의 사이에는, 주차공간을 건너서 팔레트(32)가 이동할 때에 팔레트(32)를 지지하는 전도방지롤러(38)가 설치된다.
리프트프레임(88), 4개의 마스트(90, 92, 106, 108), 승강장치(94)는, 제1 이재장치(56) 및 거기에 탑재된 팔레트(32)를 승강로(96)를 따라서 승강시키는 리프트를 형성한다.
기계식 주차장(10)에 차량(20)을 넣거나 기계식 주차장(10)으로부터 차량(20)을 빼내거나 하기 위한 승강실(12)은 건물(104) 내에 설치되어 있다. 승강실(12)은 승강로(96)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승강실(12)과 승강로(96)는 팔레트(32)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의 연통구멍(100)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다만, 리프트프레임(88), 4개의 마스트(90, 92, 106, 108), 및 승강장치(94)에는, 본 출원인이 먼저 출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리프트프레임, 4개의 마스트, 승강장치를 각각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재장치(58)에는, 예컨대 본 출원인이 먼저 출원한 일본특허공고 평7-29681호에 기재된 반송(搬送)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제2 이재장치(58)의 네 모서리에는,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차륜이 배치되어 있다. 제2 이재장치(58)는, 탑재된 팔레트(32)를 이들 구동차륜을 회전시킴으로써 이동한다. 또한, 이 네 모서리에 배치된 4개의 구동차륜은,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약 90о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구동차륜은 정회전 및 역회전의 어느 것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2 이재장치(58)는, 팔레트(32)를 이재방향 및 교차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제1 이재장치(56)의 구성에 대하여는, 제1 이재장치(56)가 팔레트(32)를 이재방향으로만 이동하는 점, 즉 제1 이재장치(56)의 네 모서리에 설치된 구동차륜은 팔레트(32)를 이재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2 이재장치(58)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도 3은, 급전상태에 있는 급전주차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팔레트(32) 및 그 팔레트(32)에 탑재된 EV차(22)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EV차(22)가 탑재된 팔레트(32)가 승강실(12)로부터 급전주차공간으로 이동하고 있는 동안은, 팔레트(32)는 기본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상태에서 급전반(42) 및 주차실측 급전커넥터(44)를 제외한 상태로 되어 있다.
팔레트(32)는, 팔레트측 급전커넥터(34)와, 고정지그(60)와, 제1 돌출방지봉(72)과, 제2 돌출방지봉(74)과, 제1 방수커버 구비 콘센트(76)와, 제2 방수커버 구비 콘센트(78)를 포함한다.
팔레트(32)는 팔레트측 급전커넥터(34)와 제1 방수커버 구비 콘센트(76), 제2 방수커버 구비 콘센트(78)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을 가진다. 팔레트(32)가 급전주차공간에 배치되면, 3개의 봉 형상의 주차실측 급전커넥터(44)가 도시하지 않은 액츄에이터 등에 의하여 움직여져서, 팔레트측 급전커넥터(34)에 접속된다. 그러면 급전반(42)와 제1 방수커버 구비 콘센트(76), 제2 방수커버 구비 콘센트(78)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급전반(42)으로부터 각 콘센트에 전력이 공급된다.
EV차(22)를 탑재하는 팔레트(32) 상에서 그 EV차(22)에 급전하기 위한 급전케이블(68)은, 팔레트(32)에 구비되어도 되고, EV차(22)에 구비되어도 된다. 급전케이블(68)의 일단은 제1 방수커버 구비 콘센트(76)에 접속된다. 급전케이블(68)의 타단에는 급전건(gun)(80)이 장착되어 있고, 이 급전건(80)이 EV차(22)의 대응하는 급전구에 삽입됨으로써 급전반(42)으로부터 EV차(22)로 전력이 공급된다. EV차(22)로 공급되는 전력은 예컨대 EV차(22)의 2차 전지를 충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급전케이블(68)의 도중에는 코일 형상의 여유길이부(70)가 있고, 팔레트(32) 상면(32a)에 탑재되어 있다.
제1 돌출방지봉(72), 제2 돌출방지봉(74)은, 팔레트(32)의 상면(32a)의 4변 중 EV차(22)의 우측에 대응하는 우변과 좌측에 대응하는 좌변을 따라서 각각 설치된 금속봉이다. 제1 돌출방지봉(72), 제2 돌출방지봉(74)은, EV차(22)의 전후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제1 돌출방지봉(72), 제2 돌출방지봉(74)은 어느 것도 기계적인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하여 팔레트(32)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1 돌출방지봉(72)의 직경은, 행정부가 제정하는 배리어 프리의 기준을 만족시키도록 결정되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약 19mm가 된다. 제2 돌출방지봉(74)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고정지그(60)는, 기계식 주차장(10) 안을 EV차(22)를 탑재한 팔레트(32)가 이동하는 동안, 급전케이블(68)의 공중에 뜬 부분이 휘어오르지 않게 고정하기 위한 지그이다. 고정지그(60)는, 급전케이블(68)을 파지하는 파지단(62)과, 고정지그(60)를 팔레트 단부의 돌출방지봉에 장착하는 장착단(66)과, 파지단(62)과 장착단(66) 사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체(64)를 가진다.
파지단(62)은, 급전케이블(68) 중 급전건(80)에 가까운 쪽에서 공중에 뜬 부분(69)을 개방하는 개방상태, 내지 고정하는 고정상태를 취하도록 구성된다. 장착단(66)은, 돌출방지봉을 개방하는 개방상태, 내지 고정하는 고정상태를 취하도록 구성된다. 고정지그(60)의 사용시에는, 파지단(62), 장착단(66) 모두 고정상태에 있고, 탄성체(64)는 그 자연길이보다 길게 신장된다. 이로써, 파지단(62)과 장착단(66) 사이에 인장력이 생겨, 급전케이블(68) 중 급전건(80)에 가까운 쪽에서 공중에 뜬 부분(69)은 팔레트(32)를 향하여 인장된다. 이로써, 급전케이블(68)의 공중에 뜬 부분(69)의 굴곡부의 반경이 저감되어, 그 부분(69)에서 휘어오름이 제거된다.
도 4는, 고정지그(60)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 (a)는, 기계식 주차장(10) 안을 이동중인 팔레트(32) 및 그 팔레트(32)에 탑재된 EV차(22)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 (b)는, 도 4 (a)의 원형의 파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 (c)는, 파지단(62)으로서의 케이블 고정후크의 상면도이다. 도 4에서는, 급전케이블(68) 중 급전건(80) 쪽의 것이 나타나 있고, 나머지의 부분은 표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4 (a)의 파선으로 그려진 직선은 돌출한계선(Li)으로서, 그 돌출한계선(Li)을 넘어 EV차(22)와 반대측으로 급전케이블(68)이 돌출되면, 팔레트(32)의 이동중에 급전케이블(68)이 벽이나 지주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돌출한계선(Li)은, 팔레트(32)면 내에 있어서의 팔레트(32)의 좌우의 단(端)의 위치 근방으로 정의된다. 고정지그(60)는, 급전케이블(68) 중 급전건(80)에 가까운 쪽에서 공중에 뜬 부분(69)이 돌출한계선(Li)을 넘어 돌출하지 않도록 그 부분(69)을 고정한다.
도 4 (b) 및 도 4 (c)를 참조하면, 파지단(62)은 급전케이블(68)을 기계적으로 파지하여 급전케이블(68)의 파지된 부분에 팔레트(32) 방향의 힘을 가하는 케이블 고정후크이다. 이 케이블 고정후크는 또한, 드라이버 또는 담당자로부터의 조작에 의하여 급전케이블(68)로부터 빼낼 수 있게 구성된다.
장착단(66)은, 돌출방지봉에 장착 가능한 파이프 클립이다. 이 파이프 클립은 또한, 드라이버 또는 담당자로부터의 조작에 의하여 돌출방지봉으로부터 빼낼 수 있게 구성된다.
탄성체(64)는, 일단에 케이블 고정후크가 장착되고, 타단에 파이프 클립이 장착된 코일스프링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계식 주차장(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드라이버가 EV차(22)를 기계식 주차장(10)에 입고하고 입고중에 충전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드라이버는 먼저 EV차(22)를 운전하여 승강실(12)의 팔레트(32) 상에 정차시킨다. 드라이버는 하차하고, 드라이버 또는 담당자는 EV차(22)에 구비된 급전케이블(68)을 꺼낸다. 드라이버 또는 담당자는 급전케이블(68)의 급전건(80)을 EV차(22)의 급전구에 삽입하고, 타단을 제1 방수커버 구비 콘센트(76)에 삽입한다. 드라이버 또는 담당자는, 급전케이블(68) 중 급전건(80)에 가까운 쪽에서 공중에 뜬 부분(69)의 원하는 위치에 파지단(62)을 장착하고, 장착단(66)을 급전구측의 돌출방지봉에 장착한다. 드라이버 또는 담당자는 공중에 뜬 부분(69)에 휘어오름이 없는 것을 확인하면, 승강실(12)의 도시하지 않은 조작패널을 조작하여, EV차(22)의 입고 및 입고중 충전을 지시한다.
기계식 주차장(10)은 그 지시가 있으면, EV차(22)가 탑재된 팔레트(32)를, 승강실(12)로부터 예컨대 B1F 주차실(14)의 급전주차공간(14a)으로, 리프트 및 이재장치를 사용하여 이동시킨다. 팔레트(32)가 급전주차공간(14a)에 도착하면, 팔레트측 급전커넥터(34)에 급전주차공간(14a)의 주차실측 급전커넥터(44)가 접속되어, EV차(22)에의 급전이 개시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10)에 의하면, 팔레트(32)가 승강실(12)로부터 급전주차공간으로 이동하는 동안, 급전케이블(68)은 팔레트(32)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고정지그(60)에 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팔레트(32)의 이동중에 급전케이블(68)이 벽이나 지주에 접촉하거나 걸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보다 안전성이 높은 충전 가능한 기계식 주차장(10)이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기계식 주차장(10)에서는, 파지단(62)은 개방상태 및 고정상태의 두 상태를 가짐으로써, EV차(22)의 상하방향의 원하는 위치에 급전케이블(68)을 이동 및 고정할 수 있다. 장착단(66)은 개방상태 및 고정상태의 두 상태를 가짐으로써, EV차(22)의 전후방향의 원하는 위치에 급전케이블(68)을 이동 및 고정할 수 있다. 이로써, EV차(22)의 급전구가 차량 측면의 어디에 있더라도 급전케이블(68)의 공중에 뜬 부분(69)의 휘어오름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10)의 고정지그(60)는, 파지단(62)과 장착단(66) 사이에 인장력이 생기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파지단(62)에 파지되는 급전케이블(68)의 공중에 뜬 부분(69)에 장력을 부여함으로써, 그 부분(69)에서 휘어오름을 없앨 수 있다. 또한, 탄성체(64)에 의한 인장력의 세기는 용이하게 조정 가능하므로, 그 세기를 급전케이블(68)이나 급전건(80)이나 그들의 접속 부분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10)의 팔레트(32)는 돌출방지봉을 구비한다. EV차(22)의 급전구의 위치는, 메이커나 차종에 따라서 각양각색이다. 또한, 팔레트(32)에 대하여 전방주차하는지 후방주차하는지에 따라서, 동일 차종에서도 급전구의 위치에 차이가 생긴다. 통상, 급전케이블(68)은, 이러한 급전구의 정하여지지 않는 위치에 대응하기 위하여 조금 길게 제작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급전케이블(68)은 도 3에 나타나는 여유길이부(70)와 같이 팔레트(32)의 상면(32a)에 재치되는 여유부분을 가진다. 돌출방지봉은, 팔레트(32)가 승강실(12)로부터 급전주차공간으로 이동하는 동안, 이 여유부분을 포함하는 급전케이블(68)이 팔레트(32)의 상면(32a)으로부터 밀려나오거나 미끄러져 떨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1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 실시형태는 예시이고, 그러한 각 구성요소의 조합에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한 것, 또한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부분이다.
실시형태에서는, 여유길이부(70)를 코일 형상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행(蛇行) 형상 등의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여유길이부는 급전케이블(68)의 도중에 복수 존재하여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승강실이 승강로의 상단에 위치하는, 이른바 지하식의 기계식 주차장(10)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형태의 기술적 사상은 승강실이 승강로의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나, 승강로의 중간에 기계식 주차장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승강로의 네 모서리에 지주로서 마스트가 설치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2개의 마스트를 승강로의 양측에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제1 이재장치, 제2 이재장치는, 4개의 구동차륜으로 팔레트를 이동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대각에 위치하는 2개소에 구동차륜을 배치하고, 나머지 차륜을 종동차륜으로 하여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파지단(62)과 장착단(66) 사이의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탄성체(64)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장력은 예컨대 자력이나 중력에 의하여 생성되어도 된다. 또한, 탄성체를 설치하지 않고 단순히 끈 형상의 부재로 구성하여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팔레트(32)의 상면(32a)에 돌출방지봉을 설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후크 등의 케이블의 돌출, 전락(轉落)을 방지하는 수단이 설치되어도 된다.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10)은, 팔레트(32)의 좌우에 급전케이블(68)의 돌출을 검지하는 검지수단과, 검지수단이 돌출을 검지하면 경고를 발하는 경고수단을 갖추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장착단(66)을 팔레트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구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착단(66)을 상시 팔레트에 고정하여 두고, 팔레트에 장착된 급전건을 충전을 위하여 들어올렸을 때에 케이블에 장력이 걸리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파지단(62)을 상시 급전케이블(68)에 고정하여 두고, 장착단(66)을 팔레트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구성하여도 된다.
10 기계식 주차장, 12 승강실, 14 B1F 주차실, 16 B2F 주차실, 18 B3F 주차실, 22 EV차, 32 팔레트, 40 급전시스템, 56 제1 이재장치, 58 제2 이재장치, 60 고정지그, 62 파지단, 64 탄성체, 66 장착단, 88 리프트프레임, 94 승강장치, 96 승강로, 100 연통구멍, 104 건물.

Claims (9)

  1. 차량을 탑재하는 팔레트 상에서 차량에 급전하기 위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지그로서,
    케이블을 파지하는 제 1단과,
    상기 지그를 팔레트에 장착하는 제 2단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고정지그.
  2. 차량을 탑재하는 팔레트 상에서 차량에 급전하기 위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지그로서,
    차량의 상하방향의 원하는 위치에 케이블을 이동 및 고정하기 위한 제 1단과,
    차량의 전후방향의 원하는 위치에 케이블을 이동 및 고정하기 위한 제 2단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고정지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제 1단과 제 2단의 사이에 인장력이 생기도록 구성된 고정지그.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단은, 케이블을 개방, 내지 고정하는 두 상태를 취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지그.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단은, 팔레트에 대하여 떼어낼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지그.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단은, 팔레트의 차량이 탑재되는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설치되고 팔레트에 대하여 고정된 봉 형상의 부재에 대하여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지그.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정지그를 장착 가능한 팔레트.
  8. 차량을 탑재하는 팔레트와,
    당해 기계식 주차장 안에서 상기 팔레트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상기 팔레트 상에서 차량에 급전하기 위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지그
    를 구비하고,
    상기 지그는, 케이블을 파지하는 제 1단과,
    상기 지그를 팔레트에 장착하는 제 2단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장.
  9. 차량을 탑재하는 팔레트와,
    당해 기계식 주차장 안에서 상기 팔레트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상기 팔레트 상에서 차량에 급전하기 위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지그
    를 구비하고,
    상기 지그는,
    차량의 상하방향의 원하는 위치에 케이블을 이동 및 고정하기 위한 제 1단과,
    차량의 전후방향의 원하는 위치에 케이블을 이동 및 고정하기 위한 제 2단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장.
KR1020110114934A 2010-11-08 2011-11-07 케이블의 고정지그, 팔레트 및 기계식 주차장 KR101361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49847A JP5473865B2 (ja) 2010-11-08 2010-11-08 ケーブルの固定治具、パレットおよび機械式駐車場
JPJP-P-2010-249847 2010-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815A true KR20120049815A (ko) 2012-05-17
KR101361220B1 KR101361220B1 (ko) 2014-02-10

Family

ID=46069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934A KR101361220B1 (ko) 2010-11-08 2011-11-07 케이블의 고정지그, 팔레트 및 기계식 주차장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473865B2 (ko)
KR (1) KR101361220B1 (ko)
CN (1) CN10246562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72652B2 (ja) * 2013-03-13 2018-01-31 日精株式会社 機械式駐車装置
CN104074379B (zh) * 2013-03-31 2017-10-24 朱旭红 组合式人行道架空型停车长廊
JP6618261B2 (ja) * 2015-03-05 2019-12-11 住友重機械搬送システム株式会社 機械式駐車場
CN107985107A (zh) * 2017-12-15 2018-05-04 重庆海通吉佳智能装备有限公司 垂直循环立体车库及其充电桩电源连接机构
CN110015061B (zh) * 2018-08-10 2021-05-14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载车板、立体停车库、充电系统及充电方法
CN111976515B (zh) * 2020-08-28 2022-08-26 重庆文理学院 一种用于电动汽车充电的吊轨式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628A (ja) * 1996-07-05 1998-01-20 Shin Meiwa Ind Co Ltd 多段式駐車設備の給電線支持装置
JP2003105999A (ja) * 2001-10-01 2003-04-0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駐車装置
KR100514720B1 (ko) * 2005-02-07 2005-09-14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JP4615572B2 (ja) * 2008-02-19 2011-01-1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機械式駐車場
JP2010084491A (ja) * 2008-10-02 2010-04-15 Shinmaywa Engineering Ltd 充電機能を備えた立体駐車設備
JP5250403B2 (ja) 2008-11-21 2013-07-31 新明和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充電機能を備えた駐車装置
CN201495815U (zh) * 2009-01-12 2010-06-02 张荣波 立体停车充电汽车库
JP2010196338A (ja) * 2009-02-25 2010-09-09 Shinmaywa Engineering Ltd 充電機能を備えた機械式駐車装置
JP5256100B2 (ja) 2009-04-01 2013-08-07 新明和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充電パレットとそ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装置
JP5400552B2 (ja) 2009-10-07 2014-01-29 東京エンジニアリン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立体駐車装置
JP2011135660A (ja) 2009-12-23 2011-07-07 Aichi Electric Co Ltd 充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65620A (zh) 2012-05-23
JP2012102474A (ja) 2012-05-31
JP5473865B2 (ja) 2014-04-16
KR101361220B1 (ko) 2014-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220B1 (ko) 케이블의 고정지그, 팔레트 및 기계식 주차장
JP5638458B2 (ja) 機械式立体駐車場の充電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機械式立体駐車場
JP6024106B2 (ja) 移載装置及び移動車両
JP5400552B2 (ja) 立体駐車装置
JP5421745B2 (ja) 充電機能付き駐車装置
JP5444034B2 (ja) 充電機能を備えた多段式駐車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318820B1 (ko) 추락방지기능을 갖춘 전기자동차용 견인식 배터리 자동교환시스템
JP5667812B2 (ja) 駐車装置
JP5457209B2 (ja) 駐車装置
JP5421744B2 (ja) 充電機能付き駐車装置のパレット
JP5743572B2 (ja) 充電機能を備えた立体駐車装置
JP5611636B2 (ja) 充電装置付き機械式駐車装置
CN114056176A (zh) 换电装置、换电站及换电方法
KR101083620B1 (ko) 타이어형 포털 크레인, 타이어형 포털 크레인 시스템, 및타이어형 포털 크레인의 이동 방법
JP2013017339A (ja) 駐車装置用パレット
JP2011176961A (ja) 充電ケーブル
KR20220141303A (ko) 로드 취급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0073444A (ja) バッテリ搬入装置及びバッテリユニット
JP6053419B2 (ja) パレットおよび機械式駐車場
JP5797383B2 (ja) 駐車装置
KR102449316B1 (ko) 주차 시스템
JP6180787B2 (ja) パレット
CN217917678U (zh) 换电装置和移动式换电车
CN216268784U (zh) 具有固定式驱动机构的电池转运系统及充换电站
CN211995245U (zh) 换电设备及包含其的换电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