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473A - 승강 구동식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승강 구동식 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473A
KR20090021473A KR1020070086017A KR20070086017A KR20090021473A KR 20090021473 A KR20090021473 A KR 20090021473A KR 1020070086017 A KR1020070086017 A KR 1020070086017A KR 20070086017 A KR20070086017 A KR 20070086017A KR 20090021473 A KR20090021473 A KR 20090021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drive
driving
gear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9498B1 (ko
Inventor
영 철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쳐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쳐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쳐캐스트
Priority to KR1020070086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498B1/ko
Publication of KR20090021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4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heeled, hinged, foldable, telescopic, swinging or otherwise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6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승강 구동식 주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주자장치는,
지면에서 소정 높이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주차플레이트; 상기 주차플레이트를 복수의 개소에서 지지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의 신장조절이 자유롭도록 붐대가 접철 가능하게 구성된 접철붐대; 상기 접철붐대의 길이를 신장시켜 주차 플레이트를 상하로 승강 구동시키기 위해 일정 길이를 이루고 있는 구동랙; 및 구동모터의 회동력을 구동샤프트를 통해 전달받아 상기 구동랙을 상하로 유동시키기 위해 구동랙과 기어치합이 이루어지는 구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차, 평지, 공간, 차량, 2단, 승강

Description

승강 구동식 주차장치{UP-DOWN TYPE PAR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용 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 플레이트의 승강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2단식으로 주차가 가능하며, 이러한 승강구동이 구동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동작 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한 주차장치 구성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에 있어서 자동차가 생활의 필수 품목으로 할 수 있을 정도록 보급되고 있는 가운데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른 가구당 두 대 이상의 자동차를 소유하 거나 독립된 세대를 이루는 독신 가구가 늘어남에 따라 주차난이 점차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는 수도권에 인구가 집중되면서 대도시 내로 진입하는 자동차 수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어 주차장의 수가 절대 부족하게 됨으로써 점차적으로 주차 공간이 협소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을 이용한 여러가지 형태의 주차 장치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인 주차 설비의 방식은 차량의 순환식과 왕복식 등으로 구분되고 순환식에는 수직순환방식과 다층순환방식이 있으며, 왕복식은 이단주차방식과 삼단주차 및 평면왕복방식, 엘리베이터방식, 엘리베이터 슬라이딩방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의 다양한 주차 장치는 대부분 대형 주차 장치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구동 방식이 차량이 탑재된 파레트가 수직의 방향으로 순환되거나 파레트 양측이 행거에 의해서 지지되어 다단의 현가 장치에 의해서 수직 또는 수평의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는 구조로써 주로 대형 빌딩이 밀집한 도심이나 유동 인구가 많은 백화점 주변등에 설치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주차 장치는 차량의 주차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도 항시 외부에 노출되어 일정 공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공간의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주차 장치의 설치를 위한 시공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주차장치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차량이 주차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통상의 평지상태를 이룰 수 있는 주차장치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보다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차 플레이트의 승강을 위한 수단으로 수직방향 유동이 가능한 연결형 구동랙을 적용함으로서 시공비용을 절감하고 전체 설비구성을 보다 단순화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주차플레이트;
상기 주차플레이트를 복수의 개소에서 지지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의 신장조절이 자유롭도록 다수의 붐대가 접철 가능하게 구성된 접철붐대;
상기 접철붐대의 길이를 신장시켜 주차 플레이트를 상하로 승강 구동시키기 위해 다수의 랙기어가 체인형태로 연결 구성된 구동랙; 및
구동모터의 회동력을 구동샤프트를 통해 전달받아 상기 구동랙을 상하로 유동시키기 위해 구동랙과 기어치합이 이루어지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승강 구동식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주차장치는, 평상시에는 평지형태를 이루고 있어 공간활용이 가능하며, 차량의 주차가 필요한 경우에는 한 대의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는 공간에서 두 대의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도록 주차 플레이트를 승강 구동시킴으로 도심의 주차난 해소에 크게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진 구동랙 구조로 인하여 직각방향으로 꺽임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짐과 함께, 수직방향으로 곧게 직선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주차플레이트의 승강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체인 구동랙의 특징으로 인하여 지하를 깊이 파지 않고도 본 발명 주차장치의 시공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기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다수개가 안테나 형식으로 길이의 신장 또는 수축이 이루어지는 접철붐대 내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상기 구동랙의 유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기어와 가이드로울러가 쌍을 이루며 구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수직방향으로의 유동과정에서 굴절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차량의 주차 가 가능하도록 바퀴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돌출턱(21)이 상면에 형성된 주차 플레이트(20)가 지면에서 소정 높이로 승강 가능하도록 4개소에서 접철붐대(10)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접철붐대(10)는 내경을 달리하는 다수의 붐대가 접혀진 상태에서 안테나 형태로 길이의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각 붐대간에는 걸림턱(미도시)이 구비되어져 있어 상승 구동시 가장 내측에 있는 붐대 부터 점차 외측 붐대로 순차적인 상승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아울러, 상기 접철붐대의 내부에는 다수의 랙기어가 체인형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구동랙(1)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각 절첩붐대(10)에는 상기 구동랙(1)을 승강 구동시키기 위해 구동기어(13)와 가이드로울러(14)가 쌍을 이루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13)에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4개의 절첩붐대(10)중 한 곳에는 구동모터(17)가 장착되어지며, 나머지 3개의 절첩붐대(10)에는 구동샤프트(15)를 통해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13)에는 구동모터(17)의 정전시 역회전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래칫이 안정장치로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즉, 구동샤프트(15)는 2개가 장착되어져 있어 도 6에서와 같이 양측의 절첩붐대(10)를 상호간에 연결하는 형태를 이루게 되는데, 양측 구동샤프트(15)에는 스프로킷(16)이 체인(18)에 의해 연결된 구성을 이루고 있어 전체적인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동랙(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기어부(1a)가 형성 되고 타측은 평면 형태를 이루고 있는 개별적인 랙기어가 다수개로 체결핀(2)에 의해 체인형태로 연결된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각 랙기어의 양측 연결부위에는 안착턱(1c)이 각각 곡면 형상을 이루어 다른 랙기어의 단부와 면접촉되게 형성되되, 양측의 안착턱(1c)은 상호 대칭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랙(1)의 안착턱(1c) 내측에는 지지벽(1c')이 랙기어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형태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호 연결되어져 있는 개별 랙기어 간에는 최대 90°방향으로 꺽임동작이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동랙(1)은 접철붐대(10) 내부에서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지만, 접철붐대(10) 하부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지하에 매립 설치되어진 관형태의 랙가이드(19) 내에 보관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지지강도 향상을 위해 랙기어를 다수개로 하여 병렬형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접철붐대(10)는 각각의 붐대 내부에 가이드 로울러(11)와 가이드 기어(12)가 쌍을 이루며 구성되어 있어, 승강 동작시 구동랙(1)이 안내되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주차장치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차량이 주차되지 않는 평상시 본 발명의 주차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지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서 평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되고, 따 라서 일반적인 평면과 같이 동일하게 1대를 주차하거나 일시적으로 다른 용도로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차량 2대의 주차가 필요한 경우에는 먼저 주차 플레이트(20)위로 1대의 차량을 이동하여 돌출턱(21) 부위에 타이어가 위치될 수 있도록 주차한 후, 접철붐대(10)를 신장시켜 주차 플레이트(20)를 도 3, 도 6, 도 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소정높이로 상승시키게 된다.
즉, 이때에는 주차관리자가 제어판(미도시)을 통해 상승신호를 인가함으로서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전원인가로 인해 구동모터(17)가 동작되면 구동샤프트(15)가 정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선단측 구동샤프트(15) 양측에 결합된 구동기어가 회동되어지면서 구동랙(1)을 상승시키게 된다.
그리고, 선단측 구동샤프트(15)로 부터 체인(18)을 통해 회동력을 전달받은 후단측 구동샤프트(15)도 동시에 회동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4개의 접철붐대(10)가 동시에 승강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승강 구동 수단으로 사용된 체인형 구동랙(1)은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진 후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꺽여서 상승되어질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하공간을 깊이 파지 않고도 장치의 시공이 가능한 이점을 부여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접철붐대(1)의 상승동작 과정에서 내경을 달리하고 있는 각 붐대에 쌍을 이루며 장착되어져 있는 각각의 가이드기어(11)와 가이드로울러(12)가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소정 간격을 이루며 구동랙(1)을 가이드 하게 되어, 구동 랙(1)은 유동 과정에서 굴절이 발생하지 않고 곧게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먼저 주차플레이트(20)에 주차된 1대를 상승시킨 후, 다른 1대를 그 하부 공간으로 이동시켜 주차시키게 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부지 내에 차량 2대의 동시 주차가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승된 주차플레이트(20)를 하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강신호를 전달받은 구동모터(17)가 구동되어 구동샤프트(15)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구동기어(13)가 역회전 구동되어지면서 구동랙(1)을 하강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랙(1) 선단과 연결 되어져 있는 주차플레이트(20)가 서서히 하강되어지게 되는데, 이때 접철붐대(10)는 내경이 가장 작은 중앙의 분대부터 순차적으로 하강되어 전체적인 길이의 수축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최종적으로 주차플레이트(20)가 지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어지게 되어, 주차되어져 있던 차량의 출차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하강되어진 구동랙(1)은 하부에서 직각방향으로 꺽여진 후 수평방향으로 매립되어져 있는 랙가이드(19)를 통해 원위치로 안내되어져 내부 보관이 이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주차장치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2단 주차가 가능한 주차장치 구성에 대해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접철붐대 및 구동랙의 길이를 증가시켜 3단 이상으로 주차가 가능하게 설치되어질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차장치는 제한된 영역내에서 효율적으로 자동차를 주차/출차시킬 수 있는 주차시스템의 제공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주차장치의 설치상태 단면 구조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 주차장치의 승강 구동상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 주차장치의 평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 주차장치의 승강 구동상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 주차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주차장치에 실시예로 적용된 구동랙을 나타낸 것으로서,
8a는 분해상태도.
8b는 측면 구조도.
8c는 동작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동랙 1a: 기어부
1b: 핀체결공 1c: 안착턱
1c': 지지벽 2 : 체결핀
10 : 접철붐대 11 : 가이드기어
12 : 가이드로울러 13 : 구동기어
14 : 가이드로울러 15 : 구동샤프트
16 : 스프로킷 17 : 구동모터
18 : 체인 19 : 랙가이드
20 : 주차 플레이트 21 : 돌출턱

Claims (6)

  1. 지면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주차플레이트;
    상기 주차플레이트를 복수의 개소에서 지지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의 신장조절이 자유롭도록 다수의 붐대가 접철 가능하게 구성된 접철붐대;
    상기 각 개소의 접철붐대를 길이방향으로 신장시켜 주차 플레이트를 상하로 승강 구동시키기 위해 일정 길이를 이루고 있는 구동랙;
    구동모터의 회동력을 구동샤프트를 통해 전달받아 상기 구동랙을 상하로 유동시키기 위해 구동랙과 기어치합이 이루어지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승강 구동식 주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붐대는 각각의 붐대 내부에 구동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로울러와 가이드 기어가 쌍을 이루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동식 주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랙은 일측에 기어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평면부를 형성하고 있는 다수의 랙기어가 체결핀에 의해 체인형태로 연결 구비된 것으로, 각 랙기어의 양측 연결부위에는 안착턱이 각각 곡면 형상을 이루어 다른 랙기어의 단부와 면접촉 되어지게 구비되되, 양측의 안착턱은 상호 대칭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동식 주차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랙을 이루는 개별 랙기어에 형성된 안착턱 내측에는 지지벽이 랙기어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동식 주차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랙이 보관되어지는 랙가이드가 관형태를 이루어 장치 하부에 매립 구성되되, 상기 랙가이드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동식 주차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샤프트는 다수개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되, 상호간에 회동력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각각에는 스프로킷이 고정 설치되어 체인을 통해 연결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동식 주차장치.
KR1020070086017A 2007-08-27 2007-08-27 승강 구동식 주차장치 KR100919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017A KR100919498B1 (ko) 2007-08-27 2007-08-27 승강 구동식 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017A KR100919498B1 (ko) 2007-08-27 2007-08-27 승강 구동식 주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473A true KR20090021473A (ko) 2009-03-04
KR100919498B1 KR100919498B1 (ko) 2009-09-28

Family

ID=40691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017A KR100919498B1 (ko) 2007-08-27 2007-08-27 승강 구동식 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4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72707A (zh) * 2016-03-22 2016-06-15 安徽工程大学 双动力源停车设备及其动力输出方法
CN108756349A (zh) * 2018-06-29 2018-11-06 莱芜职业技术学院 一种环保型停车架
CN110485777A (zh) * 2019-09-03 2019-11-22 山东天辰智能停车有限公司 一种模块化停车设备用入口装置的微升降平台
CN110697607A (zh) * 2019-11-12 2020-01-17 山东丰汇工程检测有限公司 一种手自一体模块化装配式升降装置
CN111794572A (zh) * 2019-07-29 2020-10-20 南京法特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路边停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2665B2 (ja) * 1995-10-02 1999-11-29 株式会社大林組 昇降パレット式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立体式駐車設備
JP2001262858A (ja) * 2000-03-16 2001-09-26 Toyo Eng Works Ltd 有料駐車場の不正退出防止装置
US20020029534A1 (en) * 2000-05-17 2002-03-14 Mckeown Kevin Parking and storage device and method
JP4224406B2 (ja) * 2004-01-14 2009-02-12 二宮産業株式会社 立体駐車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72707A (zh) * 2016-03-22 2016-06-15 安徽工程大学 双动力源停车设备及其动力输出方法
CN108756349A (zh) * 2018-06-29 2018-11-06 莱芜职业技术学院 一种环保型停车架
CN111794572A (zh) * 2019-07-29 2020-10-20 南京法特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路边停车装置
CN110485777A (zh) * 2019-09-03 2019-11-22 山东天辰智能停车有限公司 一种模块化停车设备用入口装置的微升降平台
CN110485777B (zh) * 2019-09-03 2024-03-26 山东天辰智能停车有限公司 一种模块化停车设备用入口装置的微升降平台
CN110697607A (zh) * 2019-11-12 2020-01-17 山东丰汇工程检测有限公司 一种手自一体模块化装配式升降装置
CN110697607B (zh) * 2019-11-12 2024-04-19 山东丰汇工程检测有限公司 一种手自一体模块化装配式升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9498B1 (ko) 2009-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498B1 (ko) 승강 구동식 주차장치
US20110041267A1 (en) Multipurpose load lifting work platform or/and composite bridge structure
CN102979339B (zh) 多层地坑式液压驱动的立体车库
KR20100053130A (ko) 자가구동식 2단 주차장치
KR20090075475A (ko) 주차설비
CN202578069U (zh) 一种无避让立体车库
KR100702666B1 (ko) 다층형 주차설비
CN109057467B (zh) 载车板升降机构
CN201007096Y (zh) 吊挂式空中汽车停车位
CN106884555B (zh) 吊椅立体车库
CN211081186U (zh) 横向停车立体停车架用车辆吊装机构及立体停车架
CN103452362A (zh) 负一正二升降横移式立体停车设备
JP5519714B2 (ja) 機械式駐車装置
KR200156778Y1 (ko) 다단식 주차장치
CN213393845U (zh) 一种桥架式穿管装置
KR100411934B1 (ko) 자동차 주차장치
RU123051U1 (ru) Многояру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арковки автомобилей
CN2378473Y (zh) 小型汽车升降机
CN203569934U (zh) 一种无避让桥式停车设备
KR100372175B1 (ko) 유압구동식 주차설비
CN111335697A (zh) 全升降势能运行立体车库
CN218150098U (zh) 立体车库
CN215212613U (zh) 一种立体车库
CN212428240U (zh) 一种简易停车设备
CN201460342U (zh) 多层停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