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370B1 - 차량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370B1
KR102085370B1 KR1020180005909A KR20180005909A KR102085370B1 KR 102085370 B1 KR102085370 B1 KR 102085370B1 KR 1020180005909 A KR1020180005909 A KR 1020180005909A KR 20180005909 A KR20180005909 A KR 20180005909A KR 102085370 B1 KR102085370 B1 KR 102085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tation
gear
transport apparatus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7738A (ko
Inventor
이해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성쓰리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성쓰리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성쓰리엠
Priority to KR1020180005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3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7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4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dollie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wheeled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ar-gripping transfe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을 주차 공간으로 자동으로 이송시켜서 주차시키는 차량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는,
주행 모터와, 상기 주행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연결된 구동휠과, 주차 공간에 위치한 플랫폼에 형성된 통로 내에서의 직선 주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와, 상기 차량의 바퀴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주행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차량의 바퀴를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들어 올리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이송장치 {Vehicle transport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을 주차 공간으로 자동으로 이송시켜서 주차시키는 차량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하며 차량의 수가 큰 폭으로 증가함에 따라 차량의 주차문제도 심각한 상황에 처하게 되어 그 대처 방안의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협소한 공간에서 많은 수의 차량을 주차시키기 위해서 근래에는 입체식 자동 주차 설비가 증가되고 있다.
기존의 자동 주차 설비는 이송 수단인 파레트를 위치시킨 다음 이 파레트의 상부에 차량을 적재한 상태로 파레트를 이동시키므로 다수의 차량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주차시킬 수는 있으나, 입고된 차량을 주차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차량의 수와 동일한 수의 파레트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이 파레트를 보관하는 공간에 의해 공간의 활용도 저하 및 그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부담이 가중되었으며, 주차 설비의 설치 비용 및 이용자의 주차 비용을 상승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을 주차 공간으로 자동으로 이송시켜서 주차시키는 차량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는,
주행 모터와, 상기 주행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연결된 구동휠과, 주차 공간에 위치한 플랫폼에 형성된 통로 내에서의 직선 주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와, 상기 차량의 바퀴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주행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차량의 바퀴를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들어 올리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터리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어 회전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전달 기어와, 상기 전달 기어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제1 회전 기어와, 상기 제1 회전 기어 상에 상기 제1 회전 기어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기어의 회전과 함께 맞물려서 회전하는 한 쌍의 제2 회전 기어와, 상기 한 쌍의 제2 회전 기어와 체결되어 상기 제2 회전 기어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한 쌍의 지지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암은, 상기 제2 회전 기어와 체결되어 상기 제2 회전 기어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기어 체결부와, 상기 기어 체결부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롤러 체결부와, 상기 롤러 체결부에 체결 형성되는 아이들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 체결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이들 롤러부는 상기 수평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롤러부는, 복수개의 아이들 롤러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의 상면에는 상기 아이들 롤러의 구름 회전을 지원하기 위한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롤러부는, 상기 지지돌기 상에 상기 차량 바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끼임 방지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롤러부는, 상기 수평부의 길이와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하나의 아이들 롤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롤러부는, 상기 수평부의 길이와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하나의 아이들 롤러로 형성되되, 상기 기어 체결부 측의 아이들 롤러 부분의 두께가 타 측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이송장치는 내장된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 공급에 의해 가동하며,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차량 이송장치가 가동하지 않는 홈 위치에 있을 때, 주차 시스템의 운반 장치에서 제공되는 충전 장치에 의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빈 팔레트를 빼내오거나 빈 팔레트를 주차 공간에 다시 넣을 필요가 없으므로, 연속적으로 차량을 주차 시스템에 넣거나 빼내오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차량 인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 인입 시간의 단축되어 차량 운전자의 주차 시스템 입구에서 대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블에 의한 전원 공급 방식이 아니라, 비 가동시의 배터리 충전 방식이므로 케이블 훼손 및 수리에 따라 차량 운전자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아이들 롤러부는 차량 바퀴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차량 바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의 일부가 확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아이들 롤러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를 이용한 주차 시스템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를 이용한 주차 시스템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를 이용한 주차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전원 공급 케이블을 이용한 차량 이송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의 일부가 확대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4b에서, 차량(1)은 도면을 간결하게 하기 위하여 바퀴(1a, 1b)로만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부호 1a는 차량의 앞바퀴(전륜)을 의미하며, 부호 1b는 뒷바퀴(후륜)을 의미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는, 플랫폼(10)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운반대(1000)로 형성된다. 각각의 운반대(1000)는, 메인 프레임(100)과, 메인 프레임(100) 상에 형성되는 지지부(20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운반대(1000)는 플랫폼(10) 상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에는 각종 부품들이 설치되며, 차량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의 재질로 형성된다. 메인 프레임(100)에는 구동축(110)과 연결된 구동휠(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구동축(110)은 동력장치, 예를 들어, 주행 모터(130)에 의해 회전하므로, 구동휠(120)은 주행 모터(130)에 의해 구동되면서 메인 프레임(100)을 이동시킨다.
메인 프레임(100)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하여 공전휠(140)이 설치된다. 공전휠(140)은 메인 프레임(100)이 플랫폼(10) 위를 주행할 때 플랫폼(10)의 바닥면과 접촉하여 구르면서 메인 프레임(100)을 지지한다.
메인 프레임(100)에는 가이드 롤러(150)가 형성되어, 플랫폼(10)에 형성된 통로(15) 내에서 이동하는 운반대(1000)의 직선 주행을 가이드한다. 가이드 롤러(150)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의 양단부 측면에 형성되며, 통로(15)의 측벽 면에 접촉하여 구르면서 운반대(1000)의 직선 주행을 가이드한다.
메인 프레임(100)에는 차량(1)의 바퀴(1a, 1b)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 센서(160)가 형성된다. 위치감지 센서(160)는 지지부(200),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암(250a, 250b)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위치감지 센서(160)는 운반대(1000)가 바퀴(1a, 1b)에 근접하여 바퀴(1a, 1b)를 감지할 수 있도록 광 또는 초음파를 이용한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운반대(1000)는 위치감지 센서(160)가 바퀴(1a, 1b)를 감지한 후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프로그래밍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정지하여 지지부(200)가 바퀴(1a, 1b)에 맞물릴 수 있는 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한편, 두 개의 운반대(1000) 중 어느 하나의 운반대(1000)에는 두 운반대 사이의 간격을 감지하여 운행 중에 두 운반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거리유지 센서(미도시)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면 차량을 이송하기 위해서 두개의 운반대가 하나의 플랫폼에서 다른 플랫폼으로 이동할 경우 두 개의 운반대를 결합하는 체결 장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두개의 운반대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에는 주행 모터(130), 회전 모터(2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170)이 형성된다. 제어 모듈(170)은 위치감지 센서(160)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지부(200)를 이루는 지지암(250a, 250b)의 사이에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이 위치하도록 주행 모터(130)의 동작을 제어하고, 지지암(250a, 250b)의 사이에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이 위치한 후에는, 회전 모터(2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지지암(250a, 250b)이 회전되도록 하여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을 리프팅하도록 한다.
메인 프레임(100)에는 주행 모터(130), 회전 모터(210), 제어 모듈(170)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180)가 형성된다. 배터리부(180)는 차량 이송장치가 홈 위치(home position)에 있을 때, 홈 위치에 형성된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된다. 여기서, 홈 위치(home position)라 함은, 차량 이송장치가 가동하지 않는 상태, 즉, 차량 이송장치가 주차 시스템의 운반 장치(31, 32, 도 7 참조)에 거치된 상태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시스템의 운반 장치(31, 32)에서 케이블(C)이 차량 이송장치에 제공되어, 차량 이송장치의 주행 모터(130), 회전 모터(210) 등에 전원을 공급하였다. 그러나, 차량 이송장치가 차량을 들어 올릴 때, 차량의 하중이 메인 프레임(100)에 가해지고, 차량이 실린 상태에서 메인 프레임(100)은 수십 mm 정도로 내려 앉게 된다.
이로 인해 차량 이송장치가 차량을 운반할 때, 케이블(C)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A)과 메인 프레임(100)이, 케이블(C)에 마찰을 가하게 되어 복수회 반복 사용한 후에는, 케이블(C)은 마찰에 의한 마모로 훼손된다. 케이블(C)이 훼손되면 차랑 이송장치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고, 케이블(C)을 교체해야 한다. 케이블(C) 교체를 위한 작업은 수시간 소요되어 차량의 운전자는 수리가 완료되기까지의 수시간 동안 차량을 출차하지 못하게 되어, 매우 큰 불편함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차량 이송장치에 배터리부(180)를 내장하여 차량 이송장치가 가동하지 않는 홈 위치(home position)에 있을 때 충전하여 케이블 없이 무선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C) 교체에 따른 차량 운전자의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메인 프레임(100)에 결합 형성되며, 한 쌍의 지지암(250a, 250b)은 메인 프레임(100)의 양측으로 회전하여 플랫폼(10)에 올려진 차량(1)의 바퀴를 들어 올리거나 플랫폼에 내려놓는다.
도 3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는 메인 프레임(100)에 대해 수평하게 회전하면서 옆으로 나와서 차량(1)의 바퀴(1a, 1b)에 맞물리는 지지암(250a, 250b)을 포함한다. 지지암(250a, 250b)은 회전하면서 메인 프레임(100)의 양측으로 펼쳐진다. 그리고, 지지암(250a, 250b) 중 회전하면서 완전히 펼쳤을 때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암(250a, 250b)은 하나의 바퀴, 바퀴 하부의 앞뒤에서 밀고 들어가 바퀴(1a, 1b)를 플랫폼(10) 바닥으로부터 상승시키고, 또한 상승시킨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200)는 회전 모터(210)와, 전달 기어(220)와, 제1 회전 기어(230)와, 제2 회전 기어(240)와, 지지암(250a, 250b)을 포함한다.
회전 모터(210)는 배터리부(18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축(211)을 회전시킨다. 전달 기어(220)는 회전축(211)에 체결되어 회전축(211)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면서, 제1 회전 기어(230)를 회전시킨다. 제2 회전 기어(240a)는 제1 회전 기어(230)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회전 기어로 제1 회전 기어(230) 상에 형성되며 제1 회전 기어(23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한다. 한 쌍의 제2 회전 기어(240a, 240b)는 서로 맞물려서 회전한다. 제1 회전 기어(230)는 어느 하나의 지지암(250a) 측에 형성되고, 제2 회전 기어(240a, 240b)는 한 쌍의 지지암(250a, 250b) 양 측에 형성된다.
회전 모터(210)의 회전은 회전축(211)에 체결된 전달 기어(220)를 회전시키고, 전달 기어(220)는 제1 회전 기어(230)를 회전시킨다. 제1 회전 기어(230)는 제2 회전 기어(240a)를 회전시키고, 제2 회전 기어(240a)와 맞물려 있는 제2 회전 기어(240b)도 함께 회전하면서 한 쌍의 지지암(250a, 250b)을 회전시킨다.
한 쌍의 지지암(250a, 250b)은 회전하면서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을 밀어 올려서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지지암(250a, 250b)은 기어 체결부(251), 롤러 체결부(252), 아이들 롤러부(253)를 포함한다.
기어 체결부(251)는 제2 회전 기어와 체결되는 부분으로, 제2 회전 기어의 회전축과 체결되어 제2 회전 기어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롤러 체결부(252)는 기어 체결부(251)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아이들 롤러부(253)가 체결되는 부분이다. 롤러 체결부(252)는 기어 체결부(251)에서 통상적인 바퀴의 폭 만큼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 경사부(252a)와 경사부(252a)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부(252b)로 이루어진다.
아이들 롤러부(253)는 수평부(252b)에 체결되며, 자유롭게 구름이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바퀴와 지지암(250a, 250b) 간의 마찰 저항을 최소화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아이들 롤러부(253)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아이들 롤러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들 롤러부(253)는 작은 길이를 가진 복수개의 아이들 롤러(253a)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평부(252b) 상면에는 복수개의 아이들 롤러(253a)의 구름 회전을 지원하기 위한 지지돌기(252c)가 형성된다.
도 5b의 아이들 롤러부(523)는 상기 지지돌기(252c) 상에 차량 바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끼임 방지판(252d)이 추가로 형성된다. 끼임 방지판(252d)은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도 5a의 아이들 롤러부(253)는 아이들 롤러(253a)와 아이들 롤러(253a) 사이에 이격 공간(S)이 형성되며, 아이들 롤러부(253)로 차량을 들어올릴 때, 차량의 하중에 의해 이격 공간(S)에 차량의 바퀴 표면 일부가 끼게 되어 바퀴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반면에 도 5b의 아이들 롤러부(253)는 차량 바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끼임 방지판(252d)이 형성되어 이격 공간(S)을 메꾸게 되고, 따라서 바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들 롤러부(253)는 수평부(252b)의 길이와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하나의 아이들 롤러(253c)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c의 아이들 롤러부(253)는 도 5a 및 도 5b의 아이들 롤러부(253)와는 달리, 하나의 아이들 롤러(253c)로 형성되어 이격 공간(S)이 생기지 않으므로 바퀴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들 롤러부(253)는 수평부(252b)의 길이와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하나의 아이들 롤러(253d)로 형성되되, 기어 체결부(251) 측의 아이들 롤러(253d) 부분의 두께가 타 측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지지암(250a, 250b)이 회전하면서 아이들 롤러부(253)가 바퀴를 밀어 올릴 때, 기어 체결부(251) 측의 아이들 롤러(253d) 부분이 먼저 바퀴와 접촉하여 밀어 올리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하중은 초기에는 기어 체결부(251) 측의 아이들 롤러(253d) 부분에 집중되고,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하여 바퀴가 아이들 롤러(253d) 전 표면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는 차량의 하중이 분산된다. 따라서, 복수회 반복 사용하면 기어 체결부(251) 측의 아이들 롤러(253d) 부분이 다른 부분 보다 먼저 마모 훼손이 발생하므로, 도 5d와 같이 기어 체결부(251) 측의 아이들 롤러(253d) 부분의 두께가 타 측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6a 내지 도 7g를 참조하여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를 이용한 주차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를 이용한 주차 시스템이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를 이용한 주차 시스템이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7a 내지 도 7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장치를 이용한 주차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될 차량(1)이 주차 시스템의 입구(21)에 제공된 제1 플랫폼(10a)상에 정차하면, 차량 이송장치는 제1 플랫폼(10a)으로 이동한다. 이에 앞서 운전자는 차량을 제1 플랫폼(10a) 상에 위치되도록 주차 시스템의 입구(21) 앞에 정차시킨다. 그리고 입구에 설치된 조작 패널을 사용하여 주차 시스템에 차량(1)을 주차시킬 것을 지시한다. 이때, 운전자는 제1 플랫폼(10a)의 미리 지정된 위치에 차량(1)의 바퀴(1a, 1b)를 위치시킨다. 이후, 주차 시스템은 입구(21)에 있는 도어(23)를 개방한 후 차량 이송장치를 주차 시스템의 외부에 위치된 제1 플랫폼(10a)까지 이동시킨다.
일반적으로 주차 시스템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많은 주차 공간(25)을 가지므로 입구(21)와 각각의 주차 공간(25)은 서로 떨어져 있으며 입구(21)에서 일정 주차 공간(25)으로 주차될 차량(1)을 운반하기 위해 제3 플랫폼(10c)이 구비된 운반 장치(31, 32)가 이용된다. 따라서, 주차 시스템은 운반 장치(31, 32)에 올려진 제3 플랫폼(10c)을 입구(21) 측으로 이동시켜, 도어(23)가 개방된 후 운반 장치(31, 32)상의 제3 플랫폼(10c)을 제1 플랫폼(10a)과 서로의 통로(15c, 15a)가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로(15c, 15a)는 차량 이송장치를 통과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 및 제3 플랫폼들(10a, 10c)에 공통으로 형성된다. 이후 입구(21)의 도어(23)가 개방되면, 차량 이송장치는 통로(15c, 15a)를 통해 제3 플랫폼(10c)으로부터 제1 플랫폼(10a) 상의 차량(1) 아래로 이동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이송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모터(130)와 이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된 구동휠(120)에 의해 이동된다.
차량 이송장치가 제1 플랫폼(10a)으로 이동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이송장치는 제1 플랫폼(10a) 상의 차량(1)의 일부 바퀴들, 예를 들어 전륜(1a)과 후륜(1b) 중 어느 한쌍을 들어 올린다.
주차 시스템의 지시에 따라, 첫번째 운반대(1000)의 지지부(200)는 차량(1)의 전륜(1a)을 맞물고 계속 밀어서 바퀴를 지지암(250a, 250b) 위로 들어 올린다.
첫번째 운반대(1000)가 차량(1)의 전륜(1a)을 들어 올리면, 주차 시스템은 두번째 운반대(1000)를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후륜(1b)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때 두번째 운반대(1000)가 차량(1)의 후륜(1b) 아래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두번째 운반대(1000)는 차량(1)의 후륜(1b)의 위치를 감지하면서 차량(1)의 후륜(1b) 측으로 접근한다. 그러면, 두번째 운반대(1000)는 지지부(200)에 구비된 위치감지 센서(160)가 차량(1)의 후륜(1b)을 감지하게 되고 감지한 후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후륜의 중앙지점에 정지한다.
이때, 두번째 운반대(1000)의 속해 두번째 운반대(1000)와 함께 이동하던 지지암(250a, 250b)이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회전시켜 차량(1)의 후륜(1b)에 맞물면서 후륜(1b)을 들어올려 후륜(1b)을 제1 플랫폼(10a)의 바닥으로부터 들어 올린다.
차량(1)의 전륜(1a)과 후륜(1b)이 차량 이송장치 위로 올려지면, 차량 이송장치는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을 들어 올린 상태로 주차 시스템 내의 주차 공간(25)에 제공된 제2 플랫폼(10b)으로 이동한다.
이를 위해, 차량 이송장치는 먼저, 차량(1)을 운반 장치(31, 32)에 의해 제1 플랫폼(10a)과 연결된 제3 플랫폼(10c)까지 이동시킨다. 주차 시스템의 도어(23)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며, 또한 제3 플랫폼(10c)도 제1 플랫폼(10a)에 연결되어 대기한다. 이에 따라 차량 이송장치는 주차 시스템의 지시에 의해, 서로 연통된 통로(15c,15a)를 따라 제3 플랫폼(10c)까지 이동한다.
이 후, 운반 장치(31, 32)는 제3 플랫폼(10c)에 올려진 차량 이송장치와 차량(1)을 제1 플랫폼(10a)에서 제2 플랫폼(10b)까지 운반한다. 운반 장치(31, 32)가 주차 공간(25)에 이르면, 제3 플랫폼(10c)과 제2 플랫폼(10b)은 서로의 통로(15c,15b)가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제2 플랫폼(10b)이 설치되는 주차 공간(25)은 일반적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운반 과정 중, 차량(1)을 제3 플랫폼(10c) 상에 내려놓는 것이 불필요하므로 차량(1)은 차량 이송장치에 의해 계속 들어 올려진 상태를 유지한다.
운반 장치(31, 32)에 의해 제3 플랫폼(10c)과 제2 플랫폼(10b)이 연결되면, 차량 이송장치는 제3 플랫폼(10c)으로부터 제2 플랫폼(10b)까지 서로 연통된 통로(15c,15b)를 따라 이동한다.
차량 이송장치가 차량(1)을 제2 플랫폼(10b)으로 이송한 다음, 차량 이송장치는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을 제2 플랫폼(10b)에 내려놓는다. 이를 위해, 지지암(250a, 250b)은 상기와는 반대 방향인 메인 프레임(100) 쪽으로 서서히 회전하여 바퀴에 살짝 맞물리거나 바퀴로부터 떨어진다. 이때 차량(1)의 바퀴가 하강하면서 제2 플랫폼(10b)과 접촉하고 제2 플랫폼(10b)에 완전히 지지된다. 지지암(250a, 250b)은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대(1000) 측으로 접힌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배터리부(180)를 내장한 차량 이송장치는, 차량 이송장치가 가동하지 않는 홈 위치(home position)에 있을 때, 배터리부(180)는 주차 시스템의 운반 장치(31, 32)에서 제공되는 충전 장치에 의해 충전된다.
한편, 주차 시스템 내의 주차 공간(25)에 주차된 차량(1)이 출차되는 경우, 앞서 설명된 모든 단계들이 반대로 수행된다. 즉, 차량(1)은 제2 플랫폼(10b)에서 차량 이송장치에 의해 들린 상태로 운반 장치(31, 32)의 제3 플랫폼(10c)으로 이동되고, 제3 플랫폼(10c)은 운반 장치(31, 32)에 의해 주차 시스템의 입구(21)의 제1 플랫폼(10a) 위치까지 운반된다. 다시 차량(1)은 제3 플랫폼(10c)으로부터 제1 플랫폼(10a)까지 운반되고, 이후 운전될 수 있도록 제1 플랫폼(10a)에 내려 놓아진다. 이들 차량을 출차하는 모든 단계들은 앞서 설명된 단계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0 : 운반대 100 : 메인 프레임
110 : 구동축 120 : 구동휠
130 : 주행 모터 140 : 공전휠
150 : 가이드 롤러 160 : 위치 감지 센서
170 : 제어 모듈 180 : 배터리부
200 : 지지부 210 : 회전 모터
220 : 전달 기어 230 : 제1 회전 기어
240 : 제2 회전 기어 250a, 250b : 지지암

Claims (9)

  1. 차량을 주차 공간으로 자동으로 이송시켜서 주차시키는 차량 이송장치에 있어서,
    주행 모터와, 상기 주행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연결된 구동휠과, 주차 공간에 위치한 플랫폼에 형성된 통로 내에서의 직선 주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와, 상기 차량의 바퀴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주행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여 무선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차량의 바퀴를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들어 올리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터리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어 회전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전달 기어와, 상기 전달 기어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제1 회전 기어와, 상기 제1 회전 기어 상에 상기 제1 회전 기어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 기어의 회전과 함께 맞물려서 회전하는 한 쌍의 제2 회전 기어와, 상기 한 쌍의 제2 회전 기어와 체결되어 상기 제2 회전 기어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한 쌍의 지지암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암은, 상기 제2 회전 기어와 체결되어 상기 제2 회전 기어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기어 체결부와, 상기 기어 체결부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롤러 체결부와, 상기 롤러 체결부에 체결 형성되는 아이들 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 체결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이들 롤러부는 상기 수평부에 체결되고,
    상기 아이들 롤러부는, 복수개의 아이들 롤러들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의 상면에는 상기 아이들 롤러의 구름 회전을 지원하기 위한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 상에는 상기 아이들 롤러들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에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바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끼임 방지판이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차량 이송장치가 가동하지 않는 홈 위치에 있을 때, 주차 시스템의 운반 장치에서 제공되는 충전 장치에 의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005909A 2018-01-17 2018-01-17 차량 이송장치 KR102085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909A KR102085370B1 (ko) 2018-01-17 2018-01-17 차량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909A KR102085370B1 (ko) 2018-01-17 2018-01-17 차량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738A KR20190087738A (ko) 2019-07-25
KR102085370B1 true KR102085370B1 (ko) 2020-05-27

Family

ID=67468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909A KR102085370B1 (ko) 2018-01-17 2018-01-17 차량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3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283B1 (ko) 2020-06-09 2020-09-23 주식회사 보성쓰리엠 로봇 주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5838A (zh) * 2020-03-26 2020-07-10 五邑大学 一种车辆运载小车、横移装置及立体车库
KR102494726B1 (ko) * 2021-12-20 2023-02-06 주식회사 포스코 차량의 무인 이송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553B1 (ko) * 2005-05-09 2006-09-13 주식회사 엠피시스템 주차 시스템의 차량 이송 장치
KR101387077B1 (ko) * 2012-12-27 2014-04-30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무파레트 타입의 주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697U (ko) * 2008-12-23 2010-07-01 시마텍(주) 로봇을 이용한 주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553B1 (ko) * 2005-05-09 2006-09-13 주식회사 엠피시스템 주차 시스템의 차량 이송 장치
KR101387077B1 (ko) * 2012-12-27 2014-04-30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무파레트 타입의 주차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283B1 (ko) 2020-06-09 2020-09-23 주식회사 보성쓰리엠 로봇 주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738A (ko)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41644B1 (en) Article storage facility
KR100997530B1 (ko) 주차설비용 차량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이송방법
KR100622553B1 (ko) 주차 시스템의 차량 이송 장치
KR102085370B1 (ko) 차량 이송장치
KR100453147B1 (ko) 이동식 발을 이용한 주차차량 자동 이송장치 및 방법
EP1836366A1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motor vehicle in a parking system
KR100421087B1 (ko) 주차차량 자동 이송장치 및 방법
US6168365B1 (en) Parking facility with movable pallets for carrying vehicles to storage locations
KR20020092780A (ko) 주차기, 주차장치 및 주차방법
CN107973039B (zh) 一种穿梭车上下料机构
KR102159283B1 (ko) 로봇 주차 장치
JPH07269150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3990626B2 (ja) トレー式機械式駐車装置の自動車の乗入部
KR102608146B1 (ko) 주차기의 타이어 스톱퍼장치
JP3990628B2 (ja) トレー式機械式駐車装置の自動車の乗入部
KR950000489B1 (ko) 주차 시스템
JP2010159118A (ja) 自動倉庫
KR200309123Y1 (ko) 타이어 이송장치
JP4335792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3786346B2 (ja) スリーウェイスタッカクレーンを備えた自動倉庫
KR20050122548A (ko) 다층형 주차설비
JP2000160869A (ja) 機械式立体駐車装置
CN115009079A (zh) 用于换电站电池转运的传输到位检测系统和方法
CN114715811A (zh) 一种四向车联合叉车货物转运平台
JP2021042020A (ja) 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