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2548A - 다층형 주차설비 - Google Patents

다층형 주차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2548A
KR20050122548A KR1020040047686A KR20040047686A KR20050122548A KR 20050122548 A KR20050122548 A KR 20050122548A KR 1020040047686 A KR1020040047686 A KR 1020040047686A KR 20040047686 A KR20040047686 A KR 20040047686A KR 20050122548 A KR20050122548 A KR 20050122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horizontal
elevator
park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필
Original Assignee
황성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필 filed Critical 황성필
Priority to KR1020040047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22548A/ko
Publication of KR20050122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54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0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conveyor chains or rotatable rollers for horizontal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승강기와, 차량승강기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주차공간들을 각 층마다 가지며, 차량승강기에 탑재되어 차량승강기와 함께 수직이동가능하고, 차량승강기와 주차공간 사이를 수평이동함으로써 승강기에 탑재된 차량을 주차공간에 주차시키고 주차공간에 주차된 차량을 차량승강기로 탑재할 수 있는 수평이송장치를 포함하는 다층 주차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주차설비에 의하면, 팔레트를 각 주차공간마다 배치할 필요가 없고, 주차 또는 출차동작을 위해 차량을 들어올려 지지할 때 소요되는 동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주차공간 저면의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주차설비의 제작 및 설치비용을 크게 절감하고, 운영비용 또한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다층형 주차설비{MULTI-STORY PARKING SYSTEM}
본 발명은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정된 공간에 최대한의 주차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다층형 주차설비인 주차타워, 특히 승강기식 주차타워에 관한 것이다.
도 19a를 참조하여 종래의 승강기식 주차타워에 대하여 살펴보면, 종래의 승강기식 주차타워(100)는 건물 중앙에 위치한 차량승강기(110)와 차량승강기의 좌우로 각층마다 위치된 주차공간(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주차공간(130)은 차량의 탑재 및 승강기를 통한 이동을 위한 팔레트(140)를 각각 보유하고 있으며, 팔레트(140)는 차량의 주차 및 출차시에 승강기에 의해 차량진출입구(170)와 해당 주차공간(130) 사이를 왕복한다.
도 19a 내지 도 19c를 참조하여 종래의 승강기식 주차타워의 작동방식을 설명한다. 차량(C)이 진입하게 되면, 상기 차량(C)을 주차할 비어 있는 팔레트(140a)를 차량진출입구(170)로 가져오기 위해 승강기(110)가 상승한다. 팔레트(140a)를 차량진출입구(170)로 가져온 후 차량(C)이 팔레트(140a) 위에 탑재되고, 이어서 승강기(110)가 상승하여, 주차하려는 주차공간, 즉 팔레트(140a)와 짝을 이루는 주차공간(130a)이 있는 층에 정지한다. 다음으로 팔레트(140a)가 수평이동하여 해당 주차공간(130a)으로 들어가게 되면 주차가 완료되며, 승강기(110)는 다시 차량진출입구(170)까지 하강하여 대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승강기식 주차타워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각 주차공간마다 별개의 팔레트를 구비하여야 하고, 게다가 승강기와 주차공간 사이에서 팔레트를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각각의 팔레트에 구비되어야 하므로, 주차타워 설치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차량 주차시에 각 주차공간 내에 차량뿐 아니라 팔레트도 함께 머무르는 것이므로, 주차공간 내에서 주차된 차량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강도가 차량만을 지지하는 경우에 비해 더 클 것이 요구되며, 이 또한 주차타워 설치비용 상승요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차량의 주차시에 주차하려는 주차공간 내의 팔레트를 가져오기 위해 승강기가 상승 및 하강하여야 하고, 출차시에도 승강기가 차량과 팔레트를 함께 이송하여 차량을 출차시킨 후에 다시 상승하여 팔레트를 제 위치에 복귀시켜야 하므로, 주차 및 출차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져 주차장 이용고객의 불편을 초래하고, 또한 승강기의 작동에 소요되는 동력이 많아져 주차타워 운영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승강기식 주차타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위 포크형 또는 퍼즐형 승강기식 주차타워라 불리는 개량된 승강기식 주차타워가 도입되고 있다. 포크형 승강기식 주차타워에 관해서는, 예를 들어 공고번호 20-2004-0341480 의 "포크식 승강 주차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포크형 승강기식 주차타워는 각 주차공간마다 별도의 팔레트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또한 이에 따라 상술한 종래의 주차타워처럼 빈 팔레트를 가지러 가거나 또는 빈 팔레트를 제 위치에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작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대적으로 설치비용 및 운영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포크형 승강기식 주차타워는, 승강기를 이용하여 차량을 주차하려는 층까지 이동시킨 후 차량을 주차공간으로 수평이동시킬 때, 또한 주차되어 있는 차량을 주차공간에서 승강기로 수평이동시킬 때에, 차량을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린 후 수평이동시키고 다시 내려놓는 방식으로 작동하므로, 차량의 수평이송시에 많은 동력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평이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승강기에 설치된 차량의 수평이송장치와 주차공간 저면의 차륜지지부위가 서로 맞물리는 포크형상으로 복잡하게 형성되므로, 그 제작이 번잡하고 시간도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승강기식 주차타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각 주차공간마다 배치되는 수평이동가능한 팔레트의 필요성을 제거함으로써, 팔레트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이로써 주차타워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다층형 승강기식 주차설비, 즉 승강기식 주차타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주차공간마다 배치되는 이동가능한 팔레트의 필요성을 제거함으로써, 빈 팔레트의 이송을 위한 승강기의 승강동작을 없애거나 최소화하여, 주차타워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승강기식 주차타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포크형 주차타워에서와 같이 차량의 수평이송을 위해 차량을 수직으로 들고 또 내려놓을 때 소요되는 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승강기식 주차타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목적은, 상기 포크형 주차타워에서와 같이 복잡한 구조로 형성되는 주차공간 저면의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각 주차공간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승강기식 주차타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에 위치한 차량승강기와, 차량승강기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위치에 배치된 주차공간을 각 층마다 가지는 다층 주차설비로서, 차량승강기에 탑재되어 차량승강기와 함께 수직이동가능하며, 각 층에 정지한 차량승강기와 주차공간 사이를 수평이동함으로써 승강기에 탑재된 차량을 주차공간에 주차시키고 또한 주차공간에 주차된 차량을 차량승강기로 탑재할 수 있는 수평이송장치를 포함하는 다층 주차설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주차설비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주차설비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주차설비(200)의 기본적인 구조는 종래의 주차타워와 유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주차설비(200)는 건물 중앙에 배치된 차량승강기(210)와 승강기(210)의 좌우로 각 층마다 배치된 주차공간(230), 그리고 지상에 위치한 차량진출입구(270)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주차타워와 달리, 본 발명의 주차설비는 각 주차공간(230)이 각각 팔레트를 보유하지 않으며, 승강기(210)와 주차공간(230) 사이에서 수평이동가능한 하나의 수평이송장치(250)만을 갖는다. 즉, 하나의 수평이송장치(250)가 수평이동과 승강기(210)에 의한 수직이동의 복합작용에 의해서 주차와 출차동작을 수행하게 되므로, 종래의 주차타워에서처럼 승강기(210)가 주차 또는 출차를 위해 빈 팔레트를 이송하는 동작이 불필요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팔레트 및 각 팔레트마다 장착되는 팔레트의 수평이송수단(전기모터 등)의 제작 또는 구입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나의 수평이송장치가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하면서 주차 및 출차를 수행하고, 이로써 빈 팔레트의 이송이라는 불필요한 동작을 배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포크형 주차타워와 유사한 면이 있으나,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크형 주차타워와는 그 구체적인 구성이 상이하며 또한 포크형 주차타워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갖는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하나의 수평이송장치(250)만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수평이송장치(250)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평이송장치(250)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로서 수평이송장치가 주차공간(230) 내에 위치해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정면도로서 차량(C)이 주차공간(230) 저면의 차륜지지판(231) 위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4 역시 도 2의 실시예의 정면도로서, 수평이송장치(250)의 슬라이딩 플레이트(255)가 주차공간(230)의 내측으로 신장되어 차량(C)이 들어올려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수평이송장치(250)가 탑재된 승강기(210)가 차량진출입구(270)로 하강해 있는 상태에서 차량이 승강기로 진입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수평이송장치(250)는 프레임(251), 프레임의 일측 하단 내측에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253), 프레임의 타측 하단 내측에 설치된 슬라이딩 플레이트(255), 프레임의 양측 하단 외측에 설치된 수평이동롤러(257)로 이루어진다. 고정 플레이트(253)는 프레임(251)의 하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차륜을 모두 지지할 수 있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255)는 고정 플레이트(253)와 같이 2개의 차륜을 모두 지지할 수 있는 일체형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하나의 차륜을 지지하도록 분리형으로 구성하면, 슬라이딩 플레이트(255)의 중량이 줄어들게 되므로 슬라이딩 플레이트(255)의 작동에 필요한 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55)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성하되, 프레임(251) 내부에 위치한, 차륜을 지지하는 상부 경사면(255a)의 반대쪽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ㄷ'자형으로 일체형으로 구성하면, 두 슬라이딩 플레이트(255)의 동작이 일치되도록 하면서도 그 구동동력을 절감할 수 있어 유리한 점이 있다. 한편, 두 슬라이딩 플레이트(255)를 분리형으로 구성하더라도, 하나의 슬라이딩 플레이트(255) 구동장치(도시되지 않음)로 두 슬라이딩 플레이트(255)를 모두 구동하도록 하면, 두 슬라이딩 플레이트(255)의 동작을 일치시킬 수 있을 것이다.
수평이동롤러(257)는 프레임의 양측 하단 하부에 설치할 수도 있고, 또는 프레임의 양측 하단 내측 하부, 즉 고정 플레이트(253) 하부와 슬라이딩 플레이트(255)가 장착되는 프레임 부분의 하부에 각각 설치할 수도 있다. 수평이동롤러(257)는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한 쌍씩 설치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한 쌍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수평이송장치(250)는 수평이동롤러(257)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도시하지 않음)을 또한 포함한다.
도 3에서, 고정 플레이트(253)와 슬라이딩 플레이트(255) 사이의 프레임(251)의 하부가 단절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차량을 주차공간(230)에 주차한 후 수평이송장치(250)가 다음의 주차 또는 출차동작을 위하여 승강기(210) 쪽으로 수평이동할 때에, 수평이송장치(250)와 주차된 차량간에 간섭이 발생하여 차량에 손상을 가하거나 안정된 주차상태를 불안정하게 만들 소지를 없애기 위함이다.
한편, 차량의 차륜을 지지하기 위한 차륜지지판(231)과, 주차타워의 프레임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고, 그 윗면에 역시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된 차륜지지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33)이 주차공간(230)의 저면을 이룬다. 주차공간(230)의 저면에는 상기 수평이동롤러(257)의 이동, 따라서 수평이송장치(250)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수평이동레일(235)이 또한 설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주차공간의 길이방향 양단부측에 상기 수평이동롤러(257)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차륜지지판(231)은 차량의 4개 차륜 각각에 대응하는 4개의 차륜지지판을 설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전륜 2개를 위한 전차륜지지판과 후륜 2개를 위한 후차륜지지판의 2개로 나누어 설치할 수도 있고, 4륜 모두를 위한 하나의 차륜지지판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주차설비에 있어서는, 각 주차공간(230) 저면의 차량지지부위가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종래 기술의 포크형 주차타워와 비교할 때 그 제작이 훨씬 용이하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륜지지판(231)을 각 차륜마다 대응하도록 4개로 나누어 설치할 경우 소요되는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종래의 주차타워에 비하여 각 주차공간이 경량화되고 이는 주차타워 전체중량의 감소로 이어져, 주차타워 설치를 위한 기초공사나 내력구조 등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각 차륜지지판(231)에서 주차공간(230)의 길이방향으로 대향하는 차륜지지판(230)의 대향 단부 부근, 즉 주차공간(230)의 중앙부분을 향하는 각 차륜지지판(230)의 단부 부근에는, 주차중인 차량 및 주차된 차량이 전후방향으로 과도하게 이동하여 차륜지지판(230)을 이탈하게 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턱(231a)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이송장치(250)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차량진출입구(270)에 도달한 차량(C)을 주차설비 내의 임의의 주차위치, 즉 주차공간(230)에 주차시키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차량(C)은, 슬라이딩 플레이트(255)가 프레임(251) 내부로 후퇴된 상태에서, 차량진출입구(270)에 위치한 승강기(210) 내로 진입하게 된다. 이어서 슬라이딩 플레이트(255)가 신장되면 차량(C)의 차륜과 지면 사이로 파고들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C)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253) 쪽으로 조금 밀리면서 고정 플레이트(253)와 슬라이딩 플레이트(255)의 단부의 상부 경사면(253a, 255a)을 타고 올라가 결과적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C)이 고정 플레이트(253) 및 슬라이딩 플레이트(255)에 의해 들어올려져 지지된 상태에서 승강기(210)는 주차위치의 층까지 상승하고, 주차위치의 층에서 정지한 후 수평이송장치(250)가 주차공간(230)으로 수평이동한다. 수평이송장치(250)가 주차공간(230) 내부로 완전히 이동한 후에 슬라이딩 플레이트(255)가 다시 후퇴되고, 그러면 차량의 각 차륜이 고정 플레이트(253) 및 슬라이딩 플레이트(255)의 상부 경사면(253a, 255a)을 타고 내려와 주차공간(230) 저면의 차륜지지판(231) 위에 안착하게 된다. 이때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상태이며, 차량(C)이 주차공간(230)내에 안착된 후 수평이송장치(250)를 다시 승강기(210)까지 수평이동시키면 주차동작이 완료된다. 출차동작은 위와 반대의 순서로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이 후진하여 주차설비의 승강기(210)에 진입한 후 주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전진하여 승강기(210)에 진입하는 경우에도 별다른 차이점은 없으며, 다만 이때는 차량의 출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차량진출입구(270) 전방에 턴테이블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주차설비의 수평이송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주차설비의 수평이송장치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정면도로서 각각 차량이 안착된 상태와 차량이 들어올려진 상태를 도시한다. 고정 플레이트(253)가 없어지고 이를 대신하여 슬라이딩 플레이트(255)가 프레임(251)의 양측 하단 내측에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며, 작동방식 또한 대동소이하므로 본 제2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두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플레이트(255)의 신장 및 후퇴는 여러 가지 구동수단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그 일례로는 랙 앤 피니언 전동수단(도시되지 않음)과 전기모터(도시되지 않음)를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플레이트(255)를 분리형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도 각 슬라이딩 플레이트(255)의 피니언을 하나의 축으로 전기모터에 연결하게 되면, 두 슬라이딩 플레이트(255)의 동작을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기타 체인전동장치 등에 의해 슬라이딩 플레이트(255)의 신장 및 후퇴동작을 구동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를 구성하는 수평이송수단에 대한 상기 두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된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본 발명의 이점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의 포크형 주차타워의 경우에는, 차량의 주차 및 출차시의 차량의 이송을 위해 수평이송수단으로 차량을 들어올려 지지할 때, 수평이송수단과 결합되어 있는 포크가 수직상방으로 구동되어 그 구동동력으로 차량의 하중을 고스란히 감당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수평이송장치(250)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55)의 수평이동으로 차량을 들어올려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슬라이딩 플레이트(255)는 차량 하중의 일부만을 감당하면 되므로, 차량을 들어올릴 때 필요한 동력이 포크형 주차타워의 경우보다 크게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주차설비의 수평이송장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플레이트(355)가 승강기(210) 및 주차공간(230) 내에서 전후방 단부측이 아닌 중앙부분에 위치되며, 두 개(일체형의 경우) 또는 두 쌍(분리형의 경우)의 슬라이딩 플레이트(355)가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신장하고 또 후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면들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평이송장치(350)는, 상기 제1,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차량을 둘러싸는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으며, 슬라이딩 플레이트(355)의 구동부와 수평이송장치(350) 자체의 수평이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수평이송장치본체(351)와 두 개의 슬라이딩 플레이트(355)가 수평이송장치(350)를 구성한다.
차량을 둘러싸는 수평이송장치의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승강기(210)와 주차공간(230) 사이에서 수평이송장치(350)를 수평이동시키는 기능을 하는 수평이동롤러(357)는 수평이송장치본체(351)의 전후방 단부측 하부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수평이동롤러(357)와 맞물림으로써 수평이송장치(350)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수평이동레일(335)도 상기 수평이동롤러(357)의 설치위치에 대응하여 승강기(210) 및 주차공간(230)의 중앙 부근에 배치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355)의 구동은 다양한 구동수단에 의할 수 있으며, 랙 앤 피니언 전동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이를 구동하는 전기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그 일례로 들 수 있고, 그 외에도 다른 많은 유형의 전동장치들이 사용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수평이동레일(335)이 상기 제1, 2 실시예의 경우에 비하여 서로 훨씬 가까이 위치되므로, 양측의 수평이동롤러(357)를 하나의 축으로 연결하고 하나의 전기모터로 동시에 구동하는 방식으로 수평이송장치(350)를 수평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수평이송장치(350)가 주차공간(230)의 중앙부분으로 진입하게 되므로, 주차 중 및 주차 후의 차량의 과도한 전후이동에 의해 차륜이 차륜지지판(23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턱(231a)이, 상기 제1, 2 실시예의 경우와 반대로 설치된다. 즉,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차륜을 지지하는 차륜지지판(231)의 경우에는 전방단부측에, 후차륜을 지지하는 차륜지지판(231)의 경우에는 후방단부측에 각각 안전턱(231a)이 설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수평이송장치(350)에 의해 차량을 들어올려 수평이동할 때 차량이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평이송장치본체(351) 상부의 전후 양측 단부 부근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전턱(351a)을 설치할 수 있다. 동일한 목적을 위하여, 후술하는 역회전이 억제되는 차륜회전보조롤러(도 14 참조)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기타 다양한 수단이 사용가능할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상기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차륜지지판(231)에 안전턱(231a) 대신 안전롤러(231b)를 돌출설치한 것을 도시한다. 주차된 차량(C)이 어떠한 이유로 전후방으로 일정 정도 이상의 힘을 받아서 이동하게 되면, 안전턱(231a)이 설치된 경우에는 차륜이 안전턱(231a)을 타고 넘어서 결국 차륜지지판(231)으로부터 이탈될 수도 있다. 그러나, 안전롤러(231b)를 설치한 경우에는, 차량의 이동에 의해 차륜이 안전롤러(231b)에 닿아 타고 넘으려는 순간 안전롤러(231b)가 차륜과 함께 맞물려 회전하면서 차륜을 차륜지지판(231) 쪽으로 유도하게 되므로 이러한 위험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도 14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55)의 상부 경사면에 베어링, 또는 차륜회전보조롤러(259)를 설치한 변형예를 도시한다. 주차브레이크 등에 의해 차륜이 잠긴 상태에서는 차륜이 슬라이딩 플레이트(255)의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는 것이 여의치 않으므로, 슬라이딩 플레이트(255)의 신장에 의해 차량을 들어올려 지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베어링 또는 차륜회전보조롤러(259)를 슬라이딩 플레이트(255)의 상부 경사면에 설치하여, 차륜 대신 베어링이 회전하여 차륜의 상대적인 구름운동을 유도하도록 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플레이트(255)의 신장에 의해 차량을 들어올려 지지하려 할 때에, 차륜이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도록 하는 방향(즉, 도 14에서 시계방향)으로만 상기 베어링(259)이 회전하고 반대방향(즉, 도 14에서 반시계방향)으로는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역회전방지장치(도시하지 않음)를 더욱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슬라이딩 플레이트(255)의 후퇴에 의해 차량을 차륜지지판(231) 위에 안착시킬 때에는, 상기 역회전방지장치가 작동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역회전방지장치는 그 기능의 사용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하거나, 주차 또는 출차시에 각각 그 상황에 맞게 기능의 사용여부가 자동적으로 선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55)의 하부면에 슬라이딩보조롤러(261)를 구비한 것을 도시한다. 슬라이딩보조롤러(261)를 구비함으로써 슬라이딩 플레이트(255)가 차륜지지판(231) 위로 슬라이딩할 때 더욱 매끄럽게 동작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슬라이딩 플레이트(255)에 가해지는 차량의 하중을 적절히 분산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플레이트(255)가 최대로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보조롤러(261)가 닿는 위치의 차륜지지판(231) 상부면에 슬라이딩보조롤러(261)의 외경부와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수평이동보조홈(23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평이동보조홈(232)을 구비함으로써, 차량을 들어올려 지지한 상태의 수평이송장치(250)가 승강기(210) 쪽으로 수평이동할 때, 수평이동보조홈(232)이 없다면 발생가능한 슬라이딩보조롤러(261)와 차륜지지판(231)간의 마찰을 방지하여 소음과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다른 방법으로, 슬라이딩보조롤러를 볼베어링으로 구성함으로써 슬라이딩 플레이트(255)의 슬라이딩을 보다 매끄럽게 해 주는 효과와 수평이송장치(250)의 수평이동시의 마찰방지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도 있다.
도 16은 슬라이딩 플레이트(255)의 상부 경사면을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함몰부가 있는 쓰레받기 형상으로 형성한 변형예이다. 이와 같은 쓰레받기 형상을 채택함으로써 승강기(210)와 주차공간(230) 사이에서 차량을 수평이송하기 위해 차량을 들어올리는 높이가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차량을 들어올리는데 소요되는 동력을 더욱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변형예들은 비록 상기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를 기준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모두에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적용가능한 것임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7은 상기 제3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슬라이딩 플레이트 대신에 유압장치 등의 구동원을 이용하는 승강장치(455)를 구비한 수평이송장치(450)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 1 또는 2의 수평이송장치(250)를 응용한 복합주차설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주차설비(500)는 2층 주차설비로서, 1층은 주차건물 내부이며 2층은 건물의 상부이다. 1층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주차공간(530)마다 개별적으로 주차 및 출차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2층에 주차하기 위해서는 승강기(510)를 이용하는데, 승강기(510)는 1층의 차량진출입구(570)에서 3층 높이까지 승강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수평이송장치(550)는 상기 제1,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전체적으로는 승강기(510)와 일체로 구성되어 승강기(510) 자체가 좌우로 수평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명확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주차 및 출차시의 수평이송을 위해 차량을 들어올려 지지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성이 승강기(510) 하부 내측에 구비되고, 따라서 구체적인 구성으로 볼 때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성이 수평이송장치(550)의 수평이송부, 즉 수평이동레일, 수평이동롤러 등의 구성요소들과 분리되어 있다는 점에서도 상기 제1, 2 실시예와는 차이가 있다.
그리고, 1층과 2층에 각각 소정 개수의 주차공간(530)이 배치되고, 소정 위치에 상기 진출입구(570)가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진출입구(570)가 중앙부분에 위치하고, 그 좌우로 각각 3개씩의 주차공간(530)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진출입구(570)의 배치나 주차공간(530)의 개수는 임의로 설정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주차설비의 작동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층에 차량을 주차시킬 때에는 각 주차공간으로 직접 주차 및 출차하는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2층에 차량을 주차시킬 때에는, 차량진출입구(570)에서 승강기(510)에 차량을 탑재하고 승강기 하부에 구비된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조에 의해 차량을 들어올려 지지한 후, 승강기(510)를 3층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이어서, 수평이송장치(550)에 의해 승강기(510)와 차량을 함께 주차하려고 하는 주차공간(530a)의 상부로 수평이동시키고, 다시 2층으로 승강기(510)를 하강시킨 후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후퇴시켜 차량을 주차공간(530a)에 안착시킨다. 차량을 안착시킨 후에는, 승강기(510)를 다시 3층 높이로 상승시키지 않고 2층에 둔 상태 그대로 수평이송장치(550)를 작동하여 수평이동함으로써 차량진출입구(570) 위쪽의 중앙부분으로 돌아올 수 있고, 이후 다시 차량진출입구(570)로 승강기(510)를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주차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주차과정을 홑화살표에 의하여 도시하였으며, 차량을 주차공간(530a)에 안착시킬 때까지가 ①의 과정이고, 차량 안착 후 승강기(510) 및 수평이송장치(550)를 중앙부분으로 복귀시키는 과정이 ②의 과정이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하려는 주차공간(530a)과 중앙에 위치한 수평이송장치(550) 사이에 주차된 차량이 없는 경우에는, 차량을 주차하기 위해 승강기(510)를 3층 높이까지 상승시킬 필요 없이 2층에서 바로 수평이동하여 차량을 주차하고 다시 또 수평이동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도 있다.
출차의 경우에는 반대로, 2층에 위치한, 또는 2층으로 상승시킨 승강기(510)가 수평이송장치(550)에 의해 주차공간(530a)까지 수평이동한 후(과정 ②), 차량을 들어올려 지지하고, 이어서 승강기(510)를 3층으로 상승시키고 차량진출입구(570) 상부까지 수평이동한 후, 승강기(510)를 차량진출입구(570)로 하강시키고 차량을 지면에 안착시킴으로써(과정 ①) 출차가 완료된다. 이러한 출차과정을 겹화살표에 의한 경로로 도면에 나타내었다. 과정 ①에서 승강기(510)와 출차하려는 차량 사이에 주차된 차량이 없을 경우 승강기(510)를 3층으로 상승시키지 않고 2층에서 바로 수평이송할 수 있음은 상기 주차시와 마찬가지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내용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주차설비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각 주차공간마다 배치되는 팔레트를 없앰으로써 주차설비 설치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주차 또는 출차동작을 위해 차량을 들어올려 지지할 때, 수평으로 작동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수직으로 작동하는 예컨대 포크형 기구에 비해 소요되는 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주차공간 저면의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주차설비 제작에 소요되는 재료비용과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제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주차설비의 전체적인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평이송장치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로서, 수평이송장치가 주차공간 내에 위치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실시예의 정면도로서,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주차공간 내측으로 신장되어 차량이 들어올려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수평이송장치가 탑재된 승강기가 차량진출입구로 하강해 있는 상태에서 차량이 승강기로 진입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주차설비의 수평이송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실시예의 정면도로서 각각 차량이 안착된 상태와 차량이 들어올려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주차설비의 수평이송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후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상기 제3 실시예의 평면도로서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상기 제3 실시예의 수평이송장치가 차량승강기와 주차공간 사이에서 수평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상기 제3 실시예의 안전턱을 도시한다.
도 13은 차륜지지판에 안전턱 대신 안전롤러를 돌출설치한 것을 도시한다.
도 14는 상기 실시예들의 변형예로서,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부 경사면에 차륜회전보조롤러를 설치한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상기 실시예들의 다른 변형예로서,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슬라이딩보조롤러를 구비한 것을 도시한다.
도 16은 상기 실시예들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부 경사면을 함몰부가 있는 쓰레받기 형상으로 구성한 것을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의 수평이송장치의 제5 실시예로서, 슬라이딩 플레이트 대신에 유압장치 등의 구동원을 이용하는 승강장치를 구비한 수평이송장치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종래기술에 따른 주차타워의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Claims (24)

  1. 중앙에 위치한 차량승강기와, 차량승강기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위치에 배치된 주차공간을 각 층마다 가지는 다층 주차설비로서,
    차량승강기에 탑재되어 차량승강기와 함께 수직이동가능하며, 각 층에 정지한 차량승강기와 주차공간 사이를 수평이동함으로써 승강기에 탑재된 차량을 주차공간에 주차시키고 또한 주차공간에 주차된 차량을 차량승강기로 탑재할 수 있는 수평이송장치를 포함하는 다층 주차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장치가, 차량승강기와 주차공간 사이에서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차량이 안착되어 있는 차량승강기 또는 주차공간의 저면으로부터 차량을 들어올리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다층 주차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가, 상기 수평이송장치가 차량승강기 또는 주차공간으로의 이동을 완료하여 정지된 때에, 탑재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며 이러한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차량승강기 또는 주차공간의 저면과 차륜 사이로 파고들어 차량승강기 또는 주차공간의 저면에 안착된 차량의 차륜을 들어올리는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주차설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가, 수직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수평이송장치에 설치되어 차량의 차체를 직접 들어올리는 수직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주차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승강기의 저면 및 상기 주차공간의 저면에는 상기 수평이송장치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한 쌍의 수평이동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차량승강기 저면의 수평이동레일과 상기 주차공간 저면의 수평이동레일은 상호 일직선으로 정렬되며, 상기 수평이송장치에는 상기 수평이동레일과 맞물려 회전하는 적어도 두 쌍의 수평이동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주차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장치가, 상기 수평이동롤러를 구동하여 수평이송장치를 상기 수평이동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주차설비.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차량승강기 또는 주차공간의 저면과 차륜 사이로 파고들기 용이하도록 말단부의 상부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주차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이송장치의 일측에 설치되고, 수평이송장치의 타측에는 말단부의 상부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차량승강기 또는 주차공간의 저면과 차륜의 사이로 파고들 때, 차량이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고정 플레이트의 상부 경사면을 따라 위로 이동함으로써 차량승강기 또는 주차공간의 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고, 또한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차량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상부 경사면 위로부터 차량승강기 또는 주차공간의 저면으로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주차설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이송장치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수평이송장치 양측의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동시에 차량을 향하여 또는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차량을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부 경사면을 따라 위로 이동시켜 들어올리거나 상부 경사면으로부터 차량승강기 또는 주차공간의 저면으로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주차설비.
  10. 제7항에 있어서, 수평이송장치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슬라이딩 플레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수평이송장치본체와 수평이송장치본체로부터 각각 차량의 전륜쪽 및 후륜쪽을 향해 신장 및 후퇴되는 적어도 한 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슬라이딩 플레이트들이 신장됨으로써 차량을 들어올리고, 후퇴됨으로써 차량을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주차설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차량을 들어올릴 때 차량의 전후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평이송장치본체 상부면 중 차량의 전륜쪽 및 후륜쪽 가장자리 부근에 각각 한 쌍의 안전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주차설비.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차량승강기 또는 주차공간의 저면과 차륜 사이로 파고들기 용이하도록 말단부의 상부면이 함몰부가 형성된 쓰레받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주차설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공간에는 차량의 각 차륜에 대응하며 차량의 차륜이 놓여져 지지되는 4개의 차륜지지판과 차륜지지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주차설비.
  14.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공간에는 차량의 차륜이 놓여져 지지되는 차륜지지판과 차륜지지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안착 중 및 안착 후에 차량의 전후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차륜지지판은 차량의 전륜 뒤쪽 부근 및 후륜 앞쪽 부근에 각각 위쪽으로 돌출형성된 안전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주차설비.
  15.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공간에는 차량의 차륜이 놓여져 지지되는 차륜지지판과 차륜지지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안착 중 및 안착 후에 차량의 전후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차륜지지판은 차량의 전륜 뒤쪽 부근 및 후륜 앞쪽 부근에 각각 위쪽으로 돌출설치된 안전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주차설비.
  16.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서 차륜과 접촉하는 상기 상부 경사면에 다수의 차륜회전보조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주차설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회전보조롤러는, 차량을 들어올릴 때에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부 경사면 위로 들어올려진 차륜이 상부 경사면 아래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륜이 상부 경사면 아래로 미끄러지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억제되고, 차량을 안착시킬 때에는 양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주차설비.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공간에는 차량의 차륜이 놓여져 지지되는 차륜지지판과 차륜지지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안착 중 및 안착 후에 차량의 전후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차륜지지판은 차량의 전륜 앞쪽 부근 및 후륜 뒤쪽 부근에 각각 위쪽으로 돌출형성된 안전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주차설비.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공간에는 차량의 차륜이 놓여져 지지되는 차륜지지판과 차륜지지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안착 중 및 안착 후에 차량의 전후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차륜지지판은 차량의 전륜 앞쪽 부근 및 후륜 뒤쪽 부근에 각각 위쪽으로 돌출설치된 안전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주차설비.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서 차륜과 접촉하는 상기 상부 경사면에 다수의 차륜회전보조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주차설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회전보조롤러는, 차량을 들어올릴 때에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부 경사면 위로 들어올려진 차륜이 상부 경사면 아래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륜이 상부 경사면 아래로 미끄러지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억제되고, 차량을 안착시킬 때에는 양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주차설비.
  2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저면에 슬라이딩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구름운동을 하는 슬라이딩보조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주차설비.
  2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랙 앤 피니언 전동장치(傳動裝置)를 통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주차설비.
  24. 각각 개별적으로 주차 및 출차가 가능한 다수의 1층 주차공간;
    1층 소정 위치에 위치한 2층 진출입구;
    1층 주차공간 상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2층 주차공간;
    2층 진출입구에서 상방으로 3층 높이까지 상승가능하고 또한 반대로 하강가능한 차량승강기; 및
    2층에 배치되고, 상기 차량승강기가 내부에 설치되며, 2층 주차공간들 사이에서 수평이동가능한 수평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2층에 차량을 주차할 때에는, 2층 진출입구에 위치한 차량을 차량승강기로 3층까지 상승시킨 후, 수평이송수단에 의해 2층의 소정 주차위치로 수평이동하고, 이어서 차량을 주차위치에 안착시키며, 그 후 수평이동에 의해 2층 진출입구 상부로 복귀하도록 작동하고,
    2층에 주차된 차량을 출차할 때에는, 수평이송수단에 의해 출차하려는 차량의 주차위치까지 수평이동한 후, 승강기에 의해 차량을 3층까지 상승시키고, 이어서 2층 진출입구 상부로 수평이동하며, 다음으로 차량을 2층 진출입구로 하강시키도록 작동하는 2층 복합주차설비.
KR1020040047686A 2004-06-24 2004-06-24 다층형 주차설비 KR200501225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686A KR20050122548A (ko) 2004-06-24 2004-06-24 다층형 주차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686A KR20050122548A (ko) 2004-06-24 2004-06-24 다층형 주차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548A true KR20050122548A (ko) 2005-12-29

Family

ID=37294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686A KR20050122548A (ko) 2004-06-24 2004-06-24 다층형 주차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2254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9014A (zh) * 2012-11-02 2013-01-23 赵忠利 立体停车场
CN103174317A (zh) * 2013-03-26 2013-06-26 潍坊大洋自动泊车设备有限公司 停车设备的升降传动系统及升降横移式停车设备
CN108487727A (zh) * 2018-05-23 2018-09-04 巢湖学院 一种新型路边停车装置
CN108571208A (zh) * 2018-07-04 2018-09-25 河南云升通航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固车载车板及无避让停车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9014A (zh) * 2012-11-02 2013-01-23 赵忠利 立体停车场
CN102889014B (zh) * 2012-11-02 2015-03-25 赵忠利 立体停车场
CN103174317A (zh) * 2013-03-26 2013-06-26 潍坊大洋自动泊车设备有限公司 停车设备的升降传动系统及升降横移式停车设备
CN103174317B (zh) * 2013-03-26 2015-05-06 大洋泊车股份有限公司 停车设备的升降传动系统及升降横移式停车设备
CN108487727A (zh) * 2018-05-23 2018-09-04 巢湖学院 一种新型路边停车装置
CN108487727B (zh) * 2018-05-23 2024-04-19 巢湖学院 一种路边停车装置
CN108571208A (zh) * 2018-07-04 2018-09-25 河南云升通航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固车载车板及无避让停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6113B2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motor vehicle in a parking system
KR100453147B1 (ko) 이동식 발을 이용한 주차차량 자동 이송장치 및 방법
CN106639426B (zh) 一种机械式停车库载车板的拆码垛设备及工艺
KR100702666B1 (ko) 다층형 주차설비
KR20050122548A (ko) 다층형 주차설비
RU2331748C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многоуровневая стоянка для автомобилей, винтовое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оставной ходовой винт
KR102608146B1 (ko) 주차기의 타이어 스톱퍼장치
JP3736923B2 (ja) 機械式立体駐車場のターンテーブル旋回装置
CN218623585U (zh) 一种车辆搬送装置及立体车库
CN217680858U (zh) 车库及其停车交换厅
JP3122441B1 (ja) 昇降装置
KR100632390B1 (ko) 이동형 주차장치
JP2863712B2 (ja) 機械式駐車場におけるパレットリフター
JP3372449B2 (ja) 縦型立体駐車場
JP2009270252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2727130B2 (ja) 立体機械式駐車設備
JPH0467550B2 (ko)
JP2002213097A (ja) 立体駐車設備における車受渡し装置
JP2863711B2 (ja) 機械式駐車場におけるパレット保持装置
JP3004228B2 (ja) 3段型立体駐車装置
JP4065633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3295064B2 (ja) 駐車設備及び駐車設備の隙間塞ぎ装置
JPH03228974A (ja) 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
JPH03172470A (ja) 循環移動式駐車装置
KR930002374B1 (ko) 다층순환형 입체 주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