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390B1 - 이동형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390B1
KR100632390B1 KR1020040025272A KR20040025272A KR100632390B1 KR 100632390 B1 KR100632390 B1 KR 100632390B1 KR 1020040025272 A KR1020040025272 A KR 1020040025272A KR 20040025272 A KR20040025272 A KR 20040025272A KR 100632390 B1 KR100632390 B1 KR 100632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vehicle
frame
vertical
parking 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0094A (ko
Inventor
황태홍
Original Assignee
황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태홍 filed Critical 황태홍
Priority to KR1020040025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390B1/ko
Publication of KR20050100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Abstract

차량을 안전하게 수직이동 및 수평이동 시키기 위한 이동형 주차장치가 개시된다. 이동형 주차장치는 지면 상에서 주차공간 및 진입공간 간을 이동하는 이동 베이스, 이동 베이스 상에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 프레임, 수직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팔레트부재, 수직 프레임에 장착되어 팔레트 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직이송장치 및 이동 베이스를 수평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송장치를 구비한다. 이동형 주차장치에서 팔레트부재는 차량을 적재하여 상하로 이송하며, 이동 베이스 및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는 주차장치 자체가 차량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차량을 안전하게 지지하면서 수평하게 이송하여 차량을 주차 및 출차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형 주차장치{MOVING-TYPE PARKING DEVICE}
도 1a은 종래의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해 차량을 들어올리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해 차량을 들어올린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주차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c의 A-A 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에서 팔레트 지지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와 유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다.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에서 1층의 주차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주차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의 팔레트 및 차량 지지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주차장치 110:이동 베이스
112:베이스 프레임 120:수직 프레임
130:팔레트 132:수직 가이드
140:수직이송장치 150:수평이송장치
본 발명은 주차설비(parking equipment)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한정된 주차공간 상에 2층 이상의 주차구조를 형성하여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는 다층형 주차설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대중적으로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자동차 이용률 및 자동차 보급률이 매년마다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자동차 보급률의 증가와 함께 자동차 관련 시설에 대한 필요성도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이용의 증가로 인해 가장 중요하게 거론되는 이슈(issue) 중 하나가 주차(parking)이다. 주변의 주차공간은 한정된 것에 비해 자동차 대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주차공간의 확보가 점점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주차공간 이용에 따른 문제는 자동차 이용자 간에 첨예한 갈등 문제가 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사회 전반의 문제로 발전될 수도 있다. 게다가, 자동차 보급이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2대 이상의 자동차를 보유하는 가정이 증가하면서 주차공간 확보의 과제는 더욱 심각한 수준에 다다르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정된 주차공간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주차 설비(parking equipment)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주차 설비의 주목적은 한정된 공간에 최대한 많은 주차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며, 부수적인 목적으로 간단한 구조 및 시스템, 조작의 편의성, 신속한 입고 및 출고, 저렴한 공사비용 등이 있다.
도 1a은 종래의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해 차량을 들어올리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해 차량을 들어올린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주차설비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38195호 인 "2단 주차장치" (2004. 1. 13.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의 주차설비는 철골구조로 된 프레임(1)으로 구성되며, 주차설비의 상하부는 각각 상부주차부(2) 및 하부주차부(3)로 구분된 2단 구조를 갖는다. 동력전달부(20)는 감속모터, 그 양측에 장착된 와이어 권취보빈 및 주축을 포함하며, 동력을 전달하는 주축과 이송판 이송장치(26)가 상호 연결되어 이송판(25)을 소정의 거리만큼 전후 이송시킨다. 이송판(25)은 이송판 이송장치(26)의 작용에 의해 레일(28)을 따라 전후 이송되며, 상부주차판(27)은 이송판(25)의 저면을 지지하여 이송판(25)이 전방으로 완전히 이송되었을 때 승강을 한다.
상부 주차부(2)와 마찬가지로 하부 주차부(3)도 감속모터(31)가 장착된 주축(32) 및 그 주축(32)과 연결되어 하부주차판(33)을 전후 이송시키는 하부주차판 이송장치(34)를 포함한다.
주차장치는 차량을 2층으로 이송하기 위해서 상하로 이동하는 상부주차판(27)을 이용하며, 수평이동을 위해 상부주차판(27) 상에 위치한 이송판(25)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한다. 또한, 하부주차판(33)도 별도의 동력장치를 이용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송을 한다.
종래의 주차장치는 2층 이상의 주차공간에 차량을 수용하기 위해서 주차장치 전면에 설치된 승강판을 이용하며, 차량을 지지하는 강판을 상하로 이동시켜 차량을 목적된 층으로 이송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주차장치는 상부주차판(27) 및 이송판(25)을 이용하여 2단계로 이송을 하기 때문에 장치의 동작 과정이 복잡하고, 오작동 또는 고장이 빈번히 발생할 수가 있다. 또한, 무거운 차량 및 상부주차판(27)이 와이어(280)에 의해서만 지지 및 이동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로 하여금 불안한 심리를 갖게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외팔보 형태로 상부주차판의 일단부만 지지하여 차량을 이송하는 주차장치가 있지만, 고하중의 차량 및 주차판을 외팔보로 지지하기 때문에 차량을 이동하는 도중에 흔들리거나 과도한 토크 등이 발생하여 안전하지 않을 수가 있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주차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주차 장치(10)는 승강횡행식 주차장치로서, 수직 프레임(12), 수평 프레임(14), 구동장치(20), 체인(22) 및 플랫폼(24)을 포함한다. 수직 프레임(12) 및 수평 프레임(14)이 상호 연결되어 2층 구조를 형성하고, 각각의 플랫폼(24)에 대응하는 구동장치(20)가 장착된다. 구동장치(20)에는 기어축 및 스프로킷들이 연결되며, 각 스프로킷에는 체인(22)이 맞물려 플랫폼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한다.
종래의 주차장치(10)에서 2층에 적재된 차량을 출고하기 위해서는 바로 아래의 1층에 주차된 차량을 옆으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도2에 도시된 주차장치(10)는 적어도 옆으로 2개 이상의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따라서, 1대의 차량만 주차시킬 수 있는 주차공간만 확보되어 있다면, 종래의 주차장치(10)와 유사한 구조를 사용할 수가 없다.
또한, 종래의 주차장치(10)에서 구동장치(20)는 각각의 플랫폼(24)을 동작하기 위해서 일대일로 대응되어야 하며, 주차 공간의 열이 증가할수록 구동장치(20) 및 동력전달장치인 체인(22)도 비례하여 증설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한정된 주차공간 내에 2층 이상의 주차구조를 형성하되, 차량을 이송하기 위한 수직이송장치 및 수평이송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고하중의 차량 및 팔레트부재를 안전하게 지지하여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심리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형 주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대의 차량만 주차시킬 수 있는 협소한 공간이라도 다층의 주차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이동형 주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차장치의 구조를 최대한 간단하면서 최적화시켜, 제조 과정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한 이동형 주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부합하는 주차장치는 작동이 간단하여 고장 발생 비율이 적고, 일단 고장이 발생하여도 보수 및 수리가 용이하여 장치의 관리 및 유지가 매우 쉽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 르면, 지면 상에서 주차공간 및 진입공간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 베이스, 이동 베이스 상에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 프레임, 수직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팔레트부재, 수직 프레임에 장착되어 팔레트 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직이송장치 및 이동 베이스를 수평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송장치를 포함한다. 이동형 주차장치에서 이동 베이스 및 수직 프레임은 일체를 이루며 함께 이동하며, 수평이송장치에 의해서 주차공간 및 진입공간 간에 이동을 한다.
1층에 차량을 주차하기 위해서 운전자는 일반적인 경우와 같이 직접 운전하여 가로 또는 세로 주차를 할 수 있다. 2층에 차량을 주차하기 위해서 이동 베이스가 차량의 진입공간으로 이동하고, 팔레트부재가 지면으로 내려와 차량을 적재한 다음 수직 프레임을 따라 위로 이동한 후, 차량을 안전하게 적재한 상태로 주차장치가 전체적으로 이동하여 차량을 안전하게 이송 및 주차할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이동형 주차장치는 차량을 2층에 적재하기 위해서 팔레트부재 및 주차장치를 단순하게 이송시키기 때문에 오작동 또는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현저하게 적으며, 제작이나 유지/보수 비용이 적어 경제적이기도 하다.
또한, 수직 프레임은 1층 주차공간의 측면에 위치하며, 프레임 구조의 특성상 수직 프레임은 적은 면적을 차지한다. 따라서, 1층 주차공간은 주차장치의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을 향해 넓게 개방된 입구를 갖는다. 1층 주차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은 입구를 갖기 때문에 차량의 진입이 용이한 것은 물론, 주차장치 앞에 필수적으로 확보되어야 하는 공간도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주차장치는 설치 장소에 대한 제약을 적게 받는다. 또한, 1층에 주차된 차량이 운전을 통해서 직접 출입할 수 있으며, 2층에 주차된 차량도 1층 주차공간에 주차된 차량 유무와 무관하게 차량을 직접 입고 및 출고할 수 있어 1대의 차량만 주차할 수 있는 공간만 있어도 2층 이상의 주차구조를 형성할 수가 있으며, 주차공간의 운용이 매우 용이하다.
이동형 주차장치는 실내 또는 실외 주차장 등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단층 구조의 주차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효율적인 주차공간의 효율적인 운영을 가능케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며,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100)는 이동 베이스(110), 수직 프레임(120), 팔레트(pallet)(130), 수직이송장치(140) 및 수평이송장치(150)를 포함한다.
이동 베이스(110)는 지면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수직 프레임(120)은 이동 베이스(110)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동 베이스(110)와 함께 움직인다. 구체적으로 이동 베이스(110)는 저면에 롤러가 장착된 2개의 베이스 프레임(112)으로 구성된다. 2개의 베이스 프레임(112)은 대략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는 정도의 폭으 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데, 일반적으로는 차량의 전폭 또는 전장의 길이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이 세로 방향으로 주차되기 때문에 베이스 프레임(112)은 차량의 전폭 남짓하게 이격되며, 이동 베이스(110)는 차량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움직인다.
또한, 지면에는 베이스 프레임(112)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된다. 베이스 프레임(112)은 가이드 홈을 따라 매립된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며, 그 결과 1층 주차공간을 이용하는 차량은 베이스 프레임(112)의 방해를 받지 않고 보통 지면과 같이 걸림 없이 편하게 차량을 출고 및 입고시킬 수가 있다.
각각의 베이스 프레임(112)의 중앙부에는 2개의 수직 프레임(120)이 수직하게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인접한 수직 프레임(120)의 상단은 상호 연결되어 견고한 직사각형의 구조를 형성하고, 직사각형의 수직 프레임(120) 구조는 중앙 지지대에 의해 연결되어 수직이송장치(140)를 지지하게 된다. 수직 프레임(120)이 대략 베이스 프레임(112)의 중앙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수직 프레임(120)의 전후로 개방된 부분이 형성된다.
수직 프레임(120)에 대응하여 팔레트(130)의 양측에 수직 가이드(132)가 장착된다. 수직 가이드(132)의 일 부분은 팔레트(130)와 일체로 연결되며, 반대 부분은 수직 프레임(120)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팔레트(13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수직 가이드(132) 또는 그 수직 가이드(132)에 인접한 팔레트(130)는 수직이송장치(140)와 연결되며, 수직이송장치(140)의 작동에 따라 차량을 적재한 상 태로 상하 이동을 한다.
수직이송장치(140)는 수직구동장치(142), 구동풀리(144), 제1 가이드풀리(145), 제2 가이드풀리(146) 및 와이어(148)를 포함한다. 구동장치(142)는 수직 프레임(120) 상에 장착되며, 구동장치(142)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구동축을 포함한다. 구동축의 양단에는 구동풀리(144)가 고정되어, 와이어(148)를 감거나 풀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한다. 구동풀리(144)의 하부 양측에는 각각의 수직 프레임(120)에 대응하여 제1 가이드풀리(145) 및 제2 가이드풀리(146)가 장착된다. 각각의 구동풀리(144)에는 와이어(148)의 일단이 고정되고, 와이어(148) 중 하나는 제1 가이드풀리(145)를 경유하여 수직 하방의 팔레트(130) 일측과 결속되고, 다른 하나는 제1 가이드풀리(145) 및 제2 가이드풀리(146)를 경유하여 팔레트(130)의 타측과 결속된다. 본 실시예에서 팔레트(130)는 총 4개의 와이어(148)에 의해서 지지되며 수직 프레임(12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수평이송장치(150)는 수평구동장치(152), 구동스프로킷(154), 종동스프로킷(156) 및 체인(158)을 포함한다. 수평구동장치(152) 및 구동스프로킷(154)은 주차장치(100)의 안쪽에 장착되며, 종동스프로킷(156)은 구동스프로킷(154)의 반대편인 바깥쪽에 장착된다. 체인(158)은 구동스프로킷(154) 및 종동스프로킷(156)을 경유하며, 이동 베이스(110)에 연결되어 이동 베이스(110)를 이송하기 위한 힘을 전달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층의 주차공간에는 제1 차량(C1)이 주차되어 있다. 제1 차량(C1) 외에 제2 차량(C2)을 더 주차하기 위해서 주차장치(100)가 주차 공간에서 진입공간을 향해 앞으로 이동한다. 수평이송장치(150)에 의해서 주차장치(100)가 진입공간으로 이송된 후, 수직이송장치(140)가 작동하여 팔레트(130)가 수직 프레임(120)을 따라 지면으로 하강한다. 지면과 접촉하고 있는 팔레트(130) 상으로 제2 차량(C2)이 진입하여 팔레트(130) 상에 안착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2 차량(C2)이 팔레트(130) 상에 위치하고 운전자가 하차한 후, 수직이송장치(140)가 작동하기 시작하여 팔레트(130) 및 차량을 상승시킨다. 수직 가이드(132)에 의해서 팔레트(130)는 수직 프레임(120)을 따라 위로 이동하며, 팔레트(130)가 대략 2층 주차공간의 높이에 근접하였을 때 수직이송장치(140)는 작동을 멈춘다.
이후로 팔레트(130)는 수직 프레임(120) 상에서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며, 이때 구동장치(142)가 회전축을 고정시키거나 그에 상당하는 동력을 제공함으로써 팔레트(130)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걸림장치를 이용하여 팔레트(130)를 지지하게 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팔레트(130)와 수직 프레임(120)을 상대적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팔레트(130)의 이동이 정지된 후, 수평이송장치(150+)가 작동하여 이동 베이스(110) 및 수직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주차장치(100)를 주차공간으로 이송시킨다. 제2 차량(C2)을 적재한 상태에서 주차장치(100) 전체가 진입공간에서 주차공간으로 이송되기 때문에 차량을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다.
수직이송장치(140)의 수직구동장치(142)는 차량 및 팔레트(130)를 승강시키는 기능만 하기 때문에, 승강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구동장치가 2이상의 기능을 하는 종래의 주차장치에 비해, 본 실시예의 수직구동장치(142)는 오직 한가지 기능만 수행하기 때문에 감속기 등의 선택에서 제한이 없으며, 상대적으로 저렴한 소용량의 구동장치를 사용하여도 제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직 프레임(120) 및 팔레트(13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차량을 안전하게 이송하기 때문에 불시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갖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이송장치(140)에서 풀리-와이어로 구성된 전달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수평이송장치(150)에서는 스프로킷-체인으로 구성된 전달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일 예로서 주차장치는 이 외에도 종래의 체인, 벨트, 와이어 등 다양한 종류의 동력전달장치들 중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수직 또는 수평이송장치에 적용할 수가 있다.
도 5는 도 3c의 A-A 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차량(C1)이 1층의 주차공간에 주차되어 있으며, 제1 차량(C1)의 양측으로는 베이스 프레임(112)이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고, 베이스 프레임(112) 상에는 각각 2개의 수직 프레임(120)이 형성되어 있다. 양측의 수직 프레임(120)이 베이스 프레임(112)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1층의 주차공간은 주차장치(100)의 전면은 물론 측면으로는 수직 프레임(120)의 바깥쪽을 향해 부분적으로 개방된 입구를 갖는다. 따라서, 제1 차량(C1)은 1층 주차공간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기 전이라도 비스듬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에 주차장치(100) 앞에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차량이 외부에서 1 층 주차공간으로 진입할 때에도 주차공간에 똑바로 들어가기 위해서 급격하게 회전하거나 방향을 맞출 필요 없이 완만하게 진입할 수 있어 차량을 편하게 주차시킬 수가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이동형 주차장치(200)는 이동 베이스(210), 수직 프레임(220), 팔레트(230), 수직이송장치(240) 및 수평이송장치(250)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의 주차장치(100)와 비교할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치(200)는 각각의 베이스 프레임(212) 상에 하나의 수직 프레임(220)만 형성되며, 팔레트(230)는 양측에 장착된 2개의 수직 가이드(232)에 의해서 수직 프레임(22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각각의 구성요소 및 기능은 제1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12) 상에 하나의 수직 프레임(220)이 형성되기 때문에 베이스 프레임(212) 및 수직 프레임(220)의 연결 부위는 물론, 팔레트(230) 및 수직 가이드(232)의 연결 부위에는 삼각형 형상의 보강편(214, 234)이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되어 양측에 연결된 부품들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실시예 2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에서 팔레트 지지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 도이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 주차장치(101)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은 제1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전 실시예와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101)도,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치(100)와 유사하게, 이동 베이스(110), 수직 프레임(120), 팔레트(131), 수직이송장치(140), 수평이송장치(150) 및 팔레트 지지대(160)를 포함한다.
이동베이스(110)는 저면에 롤러가 장착된 2개의 베이스 프레임(112)으로 구성되며, 베이스 프레임(112)의 중앙부에는 2개의 수직 프레임(120)이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동 베이스(110) 및 수직 프레임(120)은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움직인다. 수직 프레임(120)에 대응하여 팔레트(131)의 양측에 수직 가이드(132)가 장착되며, 수직 가이드(132)는 수직 프레임(120)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팔레트(13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수직이송장치(140)는 수직구동장치(142), 구동풀리(144), 2개의 가이드풀리(146) 및 와이어(148)를 포함한다. 구동장치(142)는 수직 프레임(120) 상에 장착되며, 와이어(148)를 통해 팔레트(131)와 결속되어 팔레트(131)를 상하로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수평이송장치(150)는 수평구동장치, 구동스프로킷, 종동스프로킷 및 체인을 포함하며, 스프로킷 및 체인을 이용하여 주차장치(101)를 수평하게 이송시킨다. 수평구동장치 및 구동스프로킷은 주차장치(101)의 안쪽에 장착되며, 종동스프로킷은 바깥쪽에 장착된다. 체인은 구동스프로킷 및 종동스프로킷을 경유하며, 이동 베이스(11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131)의 저면 양단에는 롤러(136)가 장착되며, 상기 롤러(136)를 지지하기 위해 주차공간에는 팔레트 지지대(160)가 설치된다. 팔레트 지지대(160)는 팔레트(131)의 롤러(136)를 지지하기 위한 레일 프레임(162)을 포함한다. 레일 프레임(162)은 대략 2층 주차공간의 높이에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차량을 적재한 주차장치(101)가 주차공간으로 진입할 때, 팔레트(131) 및 롤러(136)를 지지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의 주차장치(100)는 차량을 2층 주차공간에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걸림구 또는 브레이크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팔레트를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동력을 가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치(101)는 주차공간에서 팔레트(131)를 지지할 수 있는 팔레트 지지대(160)를 이용함으로써, 팔레트(131)를 더 안전하게 지지할 수가 있다.
팔레트(131)가 팔레트 지지대(160) 상으로 진입하는 과정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팔레트(131)의 롤러(136) 저면이 레일 프레임(162)의 상면과 일치하도록 정확히 조절하여 주차장치(101)를 진입시킬 수 있으며, 다른 예로는 팔레트(131)의 롤러(136) 저면을 레일 프레임(162)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시키고 주차장치(101)를 진입시킨 다음, 팔레트(131)의 높이를 낮춰 팔레트 지지대(160) 상에 올려 놓을 수도 있다.
도 9는 제2 실시예와 유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 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치(102)는 가이드바(165)를 포함하는 팔레트 지지대(161)를 포함한다. 수직 프레임(120)의 일측에 가이드바(165)가 고정되며, 레일 프레임(164)을 따라 형성된 홈에 가이드바(165)가 부분적으로 수용됨으로써 주차장치(102)는 진입공간 및 주차공간 사이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가 있다. 가이드바(165) 및 레일 프레임(164)은 항상 맞물림을 유지한다.
실시예 3
도 10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10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가 주차공간으로 이송된 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에서 1층의 주차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300)는 이동 베이스(310), 제1 내지 제3수직 프레임(321~323), 팔레트 박스(pallet box)(330), 수직이송장치(340) 및 수평이송장치(350)를 포함한다.
이동 베이스(310)는 저면에 롤러가 장착된 제1 베이스 프레임(312) 및 제2 베이스 프레임(314)을 포함하며, 지면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베이스 프레임(312)은 제2 베이스 프레임(314)의 약 1/2길이 정도로 형성되며, 차량을 가로 방향으로 주차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베이스 프레임(312, 314)은 차량의 전장 길이에 남짓하게 이격된다. 제1 베이스 프레임(312) 및 제2 베이스 프레임(314)은 대략 주차장치의 안쪽으로 붙어서 정렬되기 때문에, 제1 베이스(312)의 단부는 대략 제2 베이스 프레임(314)의 중간 부위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베이스 프레임(312, 314)는 지면의 가이드 홈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1층 주차공간에서 차량이 입고 및 출고할 때 차량의 출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같은 조건 하에서는 제1 베이스 프레임(312)을 제2 베이스 프레임(314)과 동일한 길이도 형성함으로써 주차장치를 더욱 안전하게 지지할 수도 있다.
제1 수직 프레임(321)은 중앙부에 위치한 제1 베이스 프레임(312)의 단부에 형성되며, 제2 및 제3 수직 프레임(322, 323)은 제2 베이스 프레임(314)의 양단에 형성된다. 제1 내지 제3 수직 프레임(321~323)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는 대략 직육면체의 구조를 형성하되, 제1 수직 프레임(321)의 바깥쪽은 직육면체 구조의 모서리에 해당하는 프레임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1층의 주차공간은 주차장치(300)의 정면 및 측면을 향해 넓게 개방된 입구를 갖는다.
제1 내지 제3 수직 프레임(321~323)의 내부에는 팔레트 박스(330)가 제공된다. 팔레트 박스(330)의 일측면에는 입구가 형성되어 주차장치(300)의 측면으로부터 차량이 진입할 수 있으며, 수직이송장치(340)에 의해 팔레트 박스(330)는 차량을 상하로 이송할 수가 있다. 또한, 팔레트 박스(330)에는 제1 내지 제3 수직 프레임(321~323)에 대응하여 수직 가이드(332)가 장착된다. 수직 가이드(332)는 팔레트 박스(330)의 주변을 따라 형성되며, 수직 가이드(332)의 일 부분은 팔레트 박스(330)와 일체로 연결되며, 반대 부분은 수직 프레임(321~323)을 전체 또는 부 분적으로 수용하여 팔레트 박스(33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팔레트 박스는(330)는 수직이송장치(340)와 연결되며, 수직이송장치(340)의 작동에 따라 차량을 적재한 상태로 상하 이동을 한다.
수직이송장치(340)는 수직구동장치(342), 구동풀리(344) 및 와이어(348)를 포함한다. 구동장치(342)는 직육면체의 프레임 구조 상에 장착되며, 구동축에 장착된 구동풀리(344)를 통해 와이어(348)를 감거나 풀기 어 팔레트 박스(330)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수평이송장치(350)는 수평구동장치, 구동스프로킷, 종동스프로킷 및 체인을 포함하며, 체인 및 스프로킷 구조를 이용하여 이동 베이스(310)를 이송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치(300)에서 차량이 주차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1 차량(C1) 상에 제2 차량(C2)을 더 주차하기 위해서 주차장치(300)는 주차공간에서 진입공간을 향해 앞으로 이동한다. 수평이송장치(350)에 의해서 주차장치(300)가 진입공간으로 이송된 후, 수직이송장치(340)가 작동하여 팔레트 박스(330)가 수직 프레임(320)을 따라 지면으로 하강한다. 지면과 접촉하고 있는 팔레트 박스(330)의 측면 입구를 통해 제2 차량(C2)이 진입하여 팔레트 박스(330) 안으로 들어간다.
제2 차량(C2)이 팔레트 박스(330) 내에 위치한 후, 수직이송장치(340)을 이용하여 팔레트 박스(330) 및 차량을 상승시킨다. 수직 가이드(332)와 결합된 팔레트 박스(330)는 수직 프레임(320)을 따라 위로 이동하며, 팔레트 박스(330)가 대략 2층 주차공간의 높이에 다다랐을 때 수직이송장치(340)는 작동을 멈춘다. 이때, 수직 프레임(320)으로부터 걸림구(324)가 돌출되어 팔레트 박스(330)의 저면을 안전하게 지지한다.
그 다음, 수평이송장치(350)가 작동하여 주차장치(300) 전체를 주차공간으로 수평 이송시킴으로써, 팔레트 박스(330) 및 제2 차량(C2)을 제1 차량(C1) 상에 주차시킬 수가 있다.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직이송장치(340)의 수직구동장치(342)는 차량 및 팔레트 박스(330)를 승강시키는 기능만 하기 때문에, 승강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수평이송장치(350)에서 수평구동장치도 주차장치(300) 전체를 전후로 이동시키기만 하기 때문에 전후 이동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의 구동장치들은 오직 한가지 기능만 수행하기 때문에 감속기 등의 선택에서 제한이 없으며, 상대적으로 저렴한 소용량의 구동장치를 사용하여도 제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차량(C1)이 1층의 주차공간에 주차되어 있다. 그리고, 1층 주차공간은 제1 차량(C1)의 전방 좌측, 즉 제1 수직 프레임(321)의 바깥쪽으로 측면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입구를 갖는다. 따라서, 제1 차량(C1)은 좌측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쉽게 1층 주차공간으로부터 나올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직육면체에 구조의 모든 모서리가 차단되어 있으면, 제1 차량(C1)은 1층 주차공간으로부터 나오기 위해 여러 차례 앞뒤로 왕복 운동을 하여야 한다. 하지만, 제1 수직 프레임(321)을 주차장치(300)의 측면 중앙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을 향해 개방된 입구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입구를 통해 1층 주차공간에서 차량이 용이하게 빠져 나올 수가 있다.
또한, 차량이 외부에서 1층 주차공간으로 진입할 때에도 주차공간에 똑바로 들어가기 위해서 급격하게 회전하거나 방향을 맞출 필요 없이 완만하게 진입하여도 보통 가로 주차(평행 주차)처럼 차량을 편하게 주차시킬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차량(C1)이 1층 주차공간에 전면 및 측면으로 넓게 형성된 입구를 통해 출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차량은 지면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하는 이송 주차판에 의해서 1층 주차공간에 출입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주차장치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직접 출입할 수도 있다. 상기 내용과 같이, 이송 주차판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1층 주차공간으로부터 이송 주차판이 진입공간으로 이송되고, 밖으로 나온 이송 주차판에 차량이 적재된 후 이송주차판을 1층 주차공간으로 다시 이송시켜 차량을 쉽고 신속하게 입고시킬 수도 있다.
실시예 4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주차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13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400)는 이동 베이스(410), 수직 프레임(420), 팔레트 박스(pallet box)(430), 수직이송장치(440) 및 수평이송장치(450)를 포함한다.
이동 베이스(410)는 저면에 롤러가 장착된 2개의 베이스 프레임(412)을 포함하며, 2개의 베이스 프레임(412)이 평행을 이루며 지면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차량을 가로 방향으로 주차시키기 위해 베이스 프레임(412)은 차량의 전장 길이에 남짓하게 이격된다.
수직 프레임(420)은 베이스 프레임(412)의 안쪽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며, 수직 프레임(420)의 상단에는 상부 지지대(422)가 형성되고, 상부 지지대(422) 상에는 수직이송장치(440)가 장착된다. 상부 지지대(422) 및 수직 프레임(420) 간의 견고한 지지력을 유지하게 위해 그 사이에 보강편이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2개의 베이스 프레임(412) 상에 각각 수직 프레임(420)이 형성되며, 상부 지지대(422)가 좌우의 수직 프레임(420) 상단을 연결하면서 그 상면으로는 수직이송장치(440)를 지지한다.
수직 프레임(420)의 전방에 인접하게 팔레트 박스(430)가 제공된다. 팔레트 박스(430)의 일측면에는 입구가 형성되어 주차장치(400)의 측면으로부터 차량이 진입할 수 있으며, 수직이송장치(440)에 의해 팔레트 박스(430)는 차량을 상하로 이송할 수가 있다. 또한, 팔레트 박스(430)에는 수직 프레임(420)에 대응하여 가이드 롤러(432)가 장착된다. 가이드 롤러(432)는 팔레트 박스(430)의 일측에 장착되며, 가이드 롤러(432)는 수직 프레임(420)의 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432)가 팔레트 박스(43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때문에 팔레트 박스(430)가 안정적으로 승강하게 된다. 팔레트 박스는(430)는 상부 지지대(422) 상에 장착된 수직이송장치(440)와 연결되며, 수직이송장치(440)의 작동에 따라 차량을 적재한 상태로 상하 이동을 한다.
수직이송장치(440)는 수직구동장치, 구동풀리 및 와이어를 포함한다. 구동장치는 상부 지지대(422) 상에 장착되며, 구동축에 장착된 구동풀리를 통해 와이어를 감거나 풀면서 팔레트 박스(430)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수평이송장치(450)는 수평구동장치, 구동스프로킷, 종동스프로킷 및 체인을 포함하며, 체인 및 스프로킷 구조를 이용하여 이동 베이스(410)를 이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박스(430)의 저면 양단에는 롤러(436)가 장착되며, 상기 롤러(436)를 지지하기 위해 주차공간에는 팔레트 지지대(460)가 설치된다. 팔레트 지지대(460)는 팔레트 박스(430)의 롤러(436)를 지지하기 위한 레일 프레임(462)을 포함한다. 레일 프레임(462)은 대략 2층 주차공간의 높이에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차량을 적재한 주차장치(400)가 주차공간으로 진입할 때, 팔레트 박스(430) 및 롤러(436)를 지지하도록 한다.
팔레트 박스(430)가 팔레트 지지대(460) 상으로 진입하는 과정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팔레트 박스(430)의 롤러(436) 저면이 레일 프레임(462)의 상면과 일치하도록 정확히 조절하여 주차장치(400)를 진입시킬 수 있으며, 다른 예로는 팔레트 박스(430)의 롤러(436) 저면을 레일 프레임(462)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시키고 주차장치(400)를 진입시킨 다음, 팔레트 박스(430)의 높이를 낮춰 팔레트 지지대(460) 상에 올려 놓을 수도 있다.
주차장치(400)가 주차공간으로 진입한 후, 팔레트 박스(430)는 팔레트 지지 대(460)에 의해서 지지되기 때문에 수직이송장치(440)는 팔레트 박스(430)를 지지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또한, 차량을 장시간 주차해야 하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동력을 제공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구조물을 이용하여 차량을 지지하기 때문에 정전 등으로 인해서 에너지 공급이 중단되어도 2층에 주차된 차량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가 있다.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직이송장치(440)의 수직구동장치(442)는 차량 및 팔레트 박스(430)를 승강시키는 기능만 하기 때문에, 승강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수평이송장치(450)에서 수평구동장치도 주차장치(400) 전체를 전후로 이동시키기만 하기 때문에 전후 이동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가 있다.
또한 1층의 주차공간에 주차되어 있는 제1 차량(C1)은 주차공간을 쉽게 출입할 수가 있다. 수직 프레임(420)이 안쪽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팔레트 박스(430)가 2층에 위치하였을 때, 1층 주차공간은 제1 차량(C1)의 전후방 측면, 즉 수직 프레임(420)의 바깥쪽으로 측면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입구를 갖는다. 따라서, 제1 차량(C1)은 완만하게 회전하는 방향으로 1층 주차공간은 쉽게 출입할 수가 있다.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차량(C1)이 1층 주차공간에 전면 및 측면으로 넓게 형성된 입구를 통해 출입하지만, 이 외에도 제1 차량은 지면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하는 이송 주차판에 의해서 1층 주차공간에 출입할 수 있으며, 주차장치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직접 출입할 수도 있다.
실시예 5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15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의 팔레트 및 차량 지지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500) 역시,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치(100)와 유사하게, 이동 베이스(510), 수직 프레임(520), 팔레트(530), 수직이송장치(540), 수평이송장치(550) 및 3층 구조를 형성하는 차량 지지대(560)를 포함한다.
이동베이스(510)는 저면에 롤러가 장착된 2개의 베이스 프레임(512)으로 구성되며, 베이스 프레임(512)의 중앙부에는 각각 2개의 수직 프레임(520)이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동 베이스(510) 및 수직 프레임(520)은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움직인다. 수직 프레임(520)에 대응하여 팔레트(530)의 양측에 수직 가이드(532)가 장착되며, 수직 가이드(532)는 수직 프레임(520)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팔레트(53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수직이송장치(540)는 수직구동장치(542), 구동풀리(544), 2개의 가이드풀리(546) 및 와이어(548)를 포함한다. 구동장치(542)는 수직 프레임(520) 상에 장착되며, 와이어(548)는 구동풀리(544)에 일단이 감기고 타단은 가이드 풀리(546)를 경유하여 팔레트(530)와 결속된다. 구동장치(542)는 와이어(548)를 통해 팔레트(530)와 결속되어 팔레트(530)를 상하로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수평이송장치(550)는 수평구동장치(552), 구동스프로킷(554), 종동스프로킷(556) 및 체인(558)을 포함하며, 스프로킷 및 체인을 이용하여 주차장치(500)를 수평하게 이송시킨다. 수평구동장치 및 구동스프로킷(552, 554)은 주차장치(500)의 안쪽에 장착되며, 종동스프로킷(556)은 바깥쪽에 장착된다. 체인(558)은 구동스프로킷 및 종동스프로킷을 경유하며 이동 베이스(510)에 연결됨으로써, 수평구동장치(552)로부터 이동 베이스(510)를 이송하기 위한 동력을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500)는 차량을 지지하기 위해 주차공간에 설치되는 차량 지지대(56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 지지대(560)는 3층 구조를 형성한다. 차량 지지대(560)에서 1층에는 별도의 구조물 없이 지면만 있지만, 2층 및 3층에는 차량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을 포함한다. 차량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은 플랫폼 프레임(562), 플랫폼 프레임(562) 상에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페이서(564), 상기 스페이서(564) 상에서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차량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 차량 지지바(566)를 포함한다. 플랫폼 프레임(562)은 층 구조를 형성하는 일반적인 지지구조로서, 철골 구조 또는 콘크리트-철근 구조 등과 같이 종래의 구조물 양식을 따른다. 플랫폼 프레임(562) 상에는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스페이서(564)가 제공된다. 스페이서(564)는 플랫폼 프레임(562) 및 제2 차량 지지바(566) 사이를 이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바닥면과 제2 차량 지지바(566)를 이격시키기 위한 다른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스페이서(564) 상에는 그와 수직하게 제2 차량 지지바(566)가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장착된다. 제2 차량 지지바(566)는 차량의 일부를 직접 지지하여 잠정적으로 차량 을 주차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의 수개의 제2 차량 지지바(566)가 차량의 휠을 지지하기 위해 균일 간격만큼 이격되어 하나의 군을 이루고, 이러한 2개 군의 제2 차량 지지바(566)가 차량 휠의 전후 폭만큼 이격되어 차량의 휠을 지지하게 된다.
차량 지지대(560)의 제2 차량 지지바(566) 및 스페이서(564)에 대응하여 팔레트(530) 역시 팔레트 프레임(534) 및 제1 차량 지지바(536)를 포함한다. 제1 차량 지지바(536)는 제2 차량 지지바(566)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즉, 수개의 제1 차량 지지바(536)가 차량의 휠을 지지하기 위해 균일 간격만큼 이격되어 하나의 군을 이루고, 각 군의 제1 차량 지지바(536)가 차량의 전후 폭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팔레트 프레임의 안쪽에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차량 지지바(566)가 안쪽에 형성되어 있어 2개의 군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제1 차량 지지바(536)는 바깥쪽에 형성되어 4개의 군으로 형성되어 전후 좌우의 바퀴를 지지한다.
제1 실시예의 주차장치(100)와 유사한 주차장치는 차량을 2층 또는 3층 주차공간에 주차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동력을 가하거나 브레이크 또는 걸림구 등을 사용하여 차량 및 팔레트를 출고시까지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치(500)는 주차공간에서 차량을 지지할 수 있는 차량 지지대(560)를 이용함으로써 차량을 더 안전하게 지지할 수가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치(500)를 이용하여 2층에 차량을 주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참고로, 본 과정은 3층에 차량을 주차하는 과정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우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층에 차량을 주차하기 위해서 이동 베이스(510), 수직 프레임(520), 팔레트(530) 및 수직이송장치(540)로 구성된 하나의 몸체가 주차공간에서 진입공간으로 이동한다. 수평이송장치(550)에 의해서 상기 몸체가 진입공간으로 이송된 후, 수직이송장치(540)는 작동을 시작하여 팔레트(530)를 지면까지 하강하여 차량의 진입을 용이하게 한다.
지면에 안착된 팔레트(530)로 차량이 진입하고, 차량의 휠이 제1 차량 지지바(536) 상에 위치하도록 위치를 조정한 후, 수직이송장치(540)는 다시 작동을 시작하여 차량 및 팔레트(530)를 상승시키고, 수직이송장치(540)는 팔레트(530)가 2층의 제2 차량 지지바(566)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도달할 때, 운전을 정지하여 차량 및 팔레트(530)를 일정한 높이에서 유지되도록 한다.
수직이송장치(540)의 작동이 정지된 후, 수평이송장치(550)가 작동을 시작하여 이동 베이스(510) 및 수직 프레임(520)을 포함하는 상기 몸체를 진입공간에서 주차공간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몸체가 주차공간으로 완전히 이송된 때, 팔레트(530)는 차량 지지대(560)의 2층 구조 상에 위치하게 된다. 수평이송장치(550)가 작동을 정지한 후, 수직이송장치(540)가 다시 작동을 시작하여 차량 및 팔레트(530)를 하강시킨다. 이때, 팔레트(530)의 제1 차량 지지바(536) 및 차량 지지대(560)의 제2 차량 지지바(566)가 상호 교차하게 되면서, 팔레트(530) 상에 적재된 차량은 차량 지지대(560) 상으로 전환되어 주차된다.
2층에 주차된 차량을 출고하기 위해서 주차장치(500)는 상기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면 된다. 또한, 3층에 추가적으로 차량을 주차하기 위해서 팔레트(530)는 차량 지지대(560)로부터 이탈되어야 하는데, 이때 팔레트(530)는 스페이서(564)에 의해서 제공되는 공간을 이용하여 차량 지지대(560)로부터 나올 수가 있다.
참고로, 차량 지지대(560)에서 2층 및 3층을 바로 연결하는 프레임은 존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2층 및 3층을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는 프레임은 수직 프레임(520) 또는 팔레트(530)의 진행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3층을 지지하기 위한 경사보조 프레임(568)을 사용하고 있으며, 경사보조 프레임(568)은 차량 지지대(560)의 메인 프레임(561)에 경사지게 연결되어 3층의 플랫폼 프레임(562)은 경사보조 프레임(568)을 통해 차량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제공 받는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 및 플랫폼 프레임을 충분히 견고하게 설치하여, 경사 프레임과 같이 별도의 프레임 없이 차량을 지지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차량 지지대(560)에서 2층 플랫폼 프레임(562)의 양측에 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가이드바(565)가 그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수직 프레임(520)의 일측에 가이드바(565)가 고정되며, 2층 플랫폼 프레임(562)을 따라 형성된 홈에 가이드바(565)가 부분적으로 수용됨으로써 주차장치(500)는 진입공간 및 주차공간 사이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가 있다. 가이드바(565) 및 플랫폼 프레임(562)은 항상 맞물림을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주차장치는 한정된 주차공간 내에 2층 이상의 주차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이동형 주차장치에서 수직이송장치 및 수평이송장치가 각각 1대씩 존재하면 불편함 없이 충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 및 구입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각각의 이송장치들은 복잡한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단순한 왕복운동만 수행하기 때문에 구조를 간단하게 유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소한 고장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차량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이송할 때도 이동형 주차장치의 수직 프레임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사고 없이 안전하게 차량을 이송할 수가 있다. 특히, 차량을 외팔보로 지지하는 종래의 주차장치와 비교할 때, 수직 프레임 및 팔레트로 구성된 이동형 주차장치는 더 튼튼한 구조로 차량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을 알 수가 있다.
또한, 이동형 주차장치는 1대의 차량만 주차시킬 수 있는 협소한 공간이라도 다층의 주차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실내 및 실외의 주차장에서도 다수개가 설치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주차시스템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지면 상에서 주차공간 및 진입공간 간을 이동하는 이동 베이스;
    상기 이동 베이스 상에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팔레트부재;
    상기 수직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팔레트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직이송장치;
    상기 이동 베이스를 수평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송장치; 및
    2층 이상의 높이에서 상기 팔레트 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주차공간 상에 설치된 팔레트 지지대;를 구비하며,
    상기 팔레트부재는 차량을 적재하여 상하로 이송하며, 상기 이동 베이스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여 상기 차량을 안정적으로 이송하고,
    상기 팔레트 지지대는 상기 이동 베이스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이 상기 주차공간 상으로 이송될 때 상기 팔레트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주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베이스는 저면에 장착된 롤러를 포함하는 2개의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베이스 프레임은 차량의 전폭 또는 전장에 대응하여 이격되고, 각각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는 상기 수직 프레임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팔레트부재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주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부재는 상기 수직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플레이트 형상 의 팔레트를 포함하며, 상기 팔레트는 상기 수직이송장치와 결속되어 승강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주차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중앙부 또는 안쪽에 형성되어, 지면 상의 1층 주차공간은 정면 및 측면을 향해 부분적으로 개방된 입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주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부재는 상기 수직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송하는 팔레트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팔레트 박스는 상기 수직 이송장치와 결속되어 승강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주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기 팔레트 박스의 네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를 제외한 부분과 결속되어, 지면 상의 1층 주차공간은 정면 및 측면을 향해 부분적으로 개방된 입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주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부재는 상기 차량을 지지하기 위한 팔레트 및 상기 팔레트와 일 체로 연결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을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상기 팔레트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수직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주차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팔레트 지지대에 대응하여 롤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주차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지지대의 상부에는 상기 팔레트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레일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 측면에는 상기 이동형 주차장치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바가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레일 프레임 또는 상기 수직 프레임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주차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공간에 3층 이상의 주차구조를 제공하는 차량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량 지지대는 차량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플랫폼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베이스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이 상기 주차공간 상으로 이송될 때, 상기 플랫폼 프레임은 상기 팔레트부재로부터 차량을 인수 받아 상기 차량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주차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지지대는 지면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플랫폼 프레임을 상하로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상기 플랫폼 프레임의 저면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보조 프레임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주차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장치는 수평구동장치 및 상기 수평구동장치와 상기 이동 베이스를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베이스 및 상기 수평이송장치는 지면 상에 또는 지면으로부터 아래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주차장치.
KR1020040025272A 2004-04-13 2004-04-13 이동형 주차장치 KR100632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272A KR100632390B1 (ko) 2004-04-13 2004-04-13 이동형 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272A KR100632390B1 (ko) 2004-04-13 2004-04-13 이동형 주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094A KR20050100094A (ko) 2005-10-18
KR100632390B1 true KR100632390B1 (ko) 2006-10-12

Family

ID=37279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272A KR100632390B1 (ko) 2004-04-13 2004-04-13 이동형 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23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628B1 (ko) * 2017-09-29 2019-01-30 조민서 차량의 이동통로를 없앤 평면주차장의 지능형 차량이송로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778Y1 (ko) 1996-06-15 1999-09-01 안정권 다단식 주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778Y1 (ko) 1996-06-15 1999-09-01 안정권 다단식 주차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25272 - 63239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094A (ko) 200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408B1 (ko) 주차설비
KR101041846B1 (ko) 주차장치
KR100702666B1 (ko) 다층형 주차설비
KR20070072335A (ko) 주차설비
KR100632390B1 (ko) 이동형 주차장치
KR102128086B1 (ko) 차량을 적재하여 주차 및 출차를 실행하는 지능형 차량이송로봇
KR20050021067A (ko) 다층형 주차타워 및 그 주차타워에서의 주차 방법
KR20190130986A (ko) 차량을 적재하여 주차 및 출차를 실행하는 지능형 차량이송로봇
KR20050110171A (ko) 다층형 주차타워 및 주차타워에서의 주차관리방법
KR20050122548A (ko) 다층형 주차설비
KR910007933Y1 (ko) 입체주차장치
JPS6129894Y2 (ko)
JP3069716B2 (ja) 立体駐車装置における車両搬送用の台車
KR101095514B1 (ko) 포크타입 주차설비
KR200332656Y1 (ko) 다층형 주차타워
JP7117865B2 (ja) 立体駐車場
JPH06212822A (ja) 屋上駐車装置
KR100455406B1 (ko) 차량주차설비의팰릿구조
JP2863712B2 (ja) 機械式駐車場におけるパレットリフター
JP2581945Y2 (ja) 縦列型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KR20050041232A (ko) 주차설비
JP3996023B2 (ja) 水平循環式駐車装置
JP4346497B2 (ja) 水平循環式駐車装置
JP2533140Y2 (ja) 立体駐車場の入庫装置
JPS631948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