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514B1 - 포크타입 주차설비 - Google Patents

포크타입 주차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514B1
KR101095514B1 KR1020090111088A KR20090111088A KR101095514B1 KR 101095514 B1 KR101095514 B1 KR 101095514B1 KR 1020090111088 A KR1020090111088 A KR 1020090111088A KR 20090111088 A KR20090111088 A KR 20090111088A KR 101095514 B1 KR101095514 B1 KR 101095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lift
bar
rail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4451A (ko
Inventor
이상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Priority to KR1020090111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514B1/ko
Publication of KR20110054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omb-type transf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비투자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성능 향상으로 효율적인 운용을 가능하게 하는 포크타입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구동부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중앙의 승강통로를 통하여 상,하방 향으로 이동하는 리프트와, 상기 승강통로와 연통 되는 각 층의 격납실에 구비되어 격납실과 승강통로를 왕복하면서 리프트로부터 자동차를 인수 인계를 통하여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포크타입 주차설비에 있어서;
상기 격납실과 승강통로에 설치되는 주차레일과 승강레일을 따라 대차가 횡 방향으로 왕복할 때 리프트의 상승과 하강시 주차레일과 승강레일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하여 리프트 승강시 롤러바 경유에 지장없이 견인상태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횡 방향 이동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횡 방향 이동장치는 격납실에 설치되는 주차레일과 나란하게 설치하여 대차를 격납실과 승강통로 방향으로 왕복시키는 견인자와, 상기 대차에 설치하여 리프트의 롤러바 승,강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견인자와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연결자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포크타입 주차설비, 횡 방향 이동장치

Description

포크타입 주차설비{FORK TYPE PARKING SYSTEM}
본 발명은 포크타입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워형태로 구성되는 주차설비의 각 층 양측에 설치되어 자동차를 탑재하는 대차를 리프트의 상,하 왕복에 관계없이 리프트 방향으로 횡 방향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한 횡 방향 이동장치를 가지는 주차설비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타워형 주차설비는 일반적으로 협소한 공간에 효율적으로 많은 수의 자동차를 주차시킬 수 있도록 개발된 것으로 지상 또는 지하에 걸쳐서 높게 구축되는 타워 내부에 주차설비를 갖추게 되며, 이러한 타워형 주차설비는 각 층의 중앙에 리프트가 상,하 방향으로 왕복하는 승강통로와 이 승강통로의 양측으로 대차를 적치해 두는 격납실로 구분된다.
그래서 리프트에 실려진 자동차는 리프트가 승강통로에서 상하로 왕복하면서 각 층의 양측에 위치한 격납실에 대기하고 있던 각각의 대차가 승강통로와 격납실에 각각 나란히 설치된 레일 위를 횡행이송하여 각각의 대차에 공급 또는 인출되게 한다.
타워형 주차설비는 크게 파레트타입과 포크타입으로 양분할 수 있는데, 포크 타입은 파레트타입에 비해서 작동시간이 단축되고 장치의 구조가 심플하여 파레트타입보다 선진화된 방식이라 하겠다.
포크타입의 주차설비는 프레임에 자동차의 바퀴를 안치하기 위한 포크를 가지는 대차와 이에 교합토록 포크를 구비한 리프트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파레트가 필요 없기 때문에 주차설비의 경량화가 가능하여 제작비가 절감되고 장치의 작동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어서 작동시간이 단축되어 편리하고 유지관리비가 절약되는 등의 장점으로 근자에 많이 설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포크타입 주차설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포크타입 주차설비(1)는 상부에 전동기(2)와 웨이트(3), 견인롤러(4) 및 와이어(5)로 구성되는 구동부(6)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6)의 와이어(5)에는 주차설비(1)의 중앙에 형성되는 승강통로를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리프트(7)가 연결된다.
상기 리프트(7)는 승강통로를 구성하는 수직프레임(8)에 형성되는 레일(9)을 따라 활주할 수 있도록 지지바(10)와 상기 지지바(10)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는 롤러바(11)로 리프트프레임(LF)를 형성한다.
상기 지지바(10)의 내측 방향으로는 주차하고자 하는 자동차의 바퀴를 안치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바를 고정시킨 리프트포크(13)를 가지고 한 쌍으로 구비하고, 상기 롤러바(11)의 상,하측에는 승강롤러(12)를 설치한다.
상기 승강통로와 연통 되는 각 층의 격납실에는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프레 임(14)의 양측에 대차포크(15)를 가지는 대차(16)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14)의 전,후측에는 격납실의 수평프레임에 설치되는 이송롤러(17)를 따라 격납실과 승강통로를 왕복할 수 있는 이송레일(18)을 주차설비의 철골프레임 또는 콘크리트구조물의 벽면에 고정하여 구성한다.
상기 대차(16)가 격납실과 승강통로를 왕복할 수 있는 것은 이송롤러(17)를 구동수단으로 구동시키고 이송롤러(17)와 연접한 이송레일(18)의 마찰력에 의해 격납실과 승강통로를 왕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대차가 승강통로에 진입하면 주차시킬 자동차를 실은 리프트가 상측에서 하강하면서 승강통로에 위치한 대차에 자동차를 안치하게 되고, 대차에 실려있는 자동차를 주차설비 외부로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승강통로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리프트가 이동하면서 승강통로에 있는 대차에 실려있는 자동차를 들어올리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대차와 리프트에 형성되는 대차포크와 리프트포크의 위치는 서로 엇갈린 위치에 둠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리프트가 움직일 때 대차포크와 리프트포크가 교차통과하는 형태가 되므로 지장이 없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포크타입 주차설비의 횡 방향 이동장치는 격납실과 승강통로의 철골프레임 또는 콘크리트구조물의 벽면에 이송롤러를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이송롤러를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으로 구동시켜 대차를 구성하는 이송레일을 좌,우 횡 방향으로 움직여 대차가 승강통로와 격납실을 왕복이송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송롤러와 이송레일의 접속에 의한 마찰력으로 대차가 격납실과 승강통로를 횡 방향으로 왕복이송하게 되는 데, 이때 이송롤러와 이송레일의 슬립현상에 의해 이송롤러의 구동에 의한 이송력이 충분하게 발생하지 않아서 대차의 이동이 불안정하였다.
즉, 이송롤러와 이송레일의 슬립현상에 의해 이송롤러가 공회전하거나 또는 대차와 각각의 이송롤러의 구동력의 상이로 인해 대차가 비틀리는 경우 등의 원인에 의해 대차가 필요한 위치로 횡행 이동하지 못하고 제자리에서 헛도는 고장이 자주 발생하였다.
또한 자동차가 실려있지 않는 빈 대차의 경우에는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나 1∼2톤 정도의 중량을 가진 자동차를 싣고 있는 대차의 경우에는 하중이 이송레일을 통하여 이송롤러에 집중되기 때문에 구동력이 발생한다 하여도 과도한 하중에 의하여 이송롤러와 이송레일이 슬립 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역시 필요한 위치로 횡행 이동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송롤러와 이송레일에 랙과 피니언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슬립방지수단을 더 구비하는 등의 방편을 강구하고 있으나, 하중의 과부하로 인하여 랙과 피니언의 손상이 쉽게 일어나 소기 한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격납실과 승강통로에 계속 연결되는 레일을 나란히 설치하고 대차에 활주롤러를 설치하여 대차가 격납실과 승강통로를 왕복 횡행하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리프트가 승강통로의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때 리프트를 구성하는 지지프레임의 양측이 승,하강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계속 연결되는 레일을 설치할 수가 없다.
또, 바람직하기로는 대차에 전동기를 설치하여 자체적으로 구동롤러로써 구동하여 횡행 운동하면 되겠지만 이럴 경우 전동용 동력전선 및 컨트롤 전선 등이 리프트의 지지프레임의 승,하강 시 간섭이 되기 때문에 전기동력의 공급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상부에 구동부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중앙의 승강통로를 통하여 상,하방 향으로 이동하는 리프트와, 상기 승강통로와 연통 되는 각 층의 격납실에 구비되어 격납실과 승강통로를 왕복하면서 리프트로부터 자동차를 인수 인계를 통하여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포크타입 주차설비에 있어서;
상기 격납실과 승강통로에 설치되는 주차레일과 승강레일을 따라 대차가 왕 복할 때 리프트의 상승과 하강시 주차레일과 승강레일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하여 리프트 승강시 롤러바 경유에 지장없이 견인상태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횡 방향 이동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횡 방향 이동장치는 격납실에 설치되는 주차레일과 나란하게 설치하여 대차를 격납실과 승강통로 방향으로 왕복시키는 견인자와, 상기 대차에 설치하여 리프트의 롤러바 승,강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견인자와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연결자로 구성하여, 주차설비의 투자비용을 절감하고 운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포크타입 주차설비를 구성하는 격납실과 승강통로에 이송레일을 설치하고 대차에는 이송레일을 따라 활주할 수 있는 대차롤러를 설치하여 격납실과 승강실을 왕복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리프트의 상,하 승강에 대하여 대차를 횡 방향 이동시키는 데 전혀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함으로써 대차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대차의 이동성을 용이하게 확보하면서도 리프트의 상,하 승강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므로 주차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포크타입 주차설비의 품질과 운용성을 높여 대외적인 경쟁력의 우위에 있을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포크타입 주차설비를 도시한 간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포크타입 주차설비의 횡 방향 이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포크타입 주차설비의 횡 방향 이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포크타입 주차설비의 횡 방향 이동장치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포크타입 주차설비의 횡 방향 이동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 (a,b,c,d,e,f,g)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포크타입 주차설비의 횡 방향 이동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포크타입 주차설비(100)는 상부에 전동기(101)와 웨이트(102), 견인롤러(103) 및 와이어(104)로 구성되는 구동부(105)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105)의 와이어(104)에는 타워형태로 구비되는 주차설비(100) 중앙의 승강통로를 통하여 상,하방 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리프트(110)가 연결된다.
상기 리프트(110)는 승강통로를 구성하는 수직프레임(111)에 형성되는 레일(112)을 따라 활주할 수 있도록 지지바(113)의 전,후측에 상,하 돌출되는 롤러바(114)에 승강롤러(115)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바(113)의 내측 방향으로는 주차하고자 하는 자동차의 바퀴를 안치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바를 고정하여 구성되는 리프트포크(116)를 외팔보 형으로 고정하여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승강통로와 연통 되는 각 층의 격납실에는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프레임(117)의 양측에 대차포크(118)를 가지는 대차(120)를 구비하여 대차(120)가 격납실과 승강통로를 왕복하면서 리프트(110)로부터 자동차를 인계받고 인계하여 주차 할 수 있도록 구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대차(120)를 격납실에 설치되는 주차레일(121)과 승강통로에 설치되는 승강레일(122)을 따라 왕복할 때 리프트(110)의 상승과 하강시 주차레일(121)과 승강레일(122) 사이의 이격공간(G)을 통하여 지지바(113)와 롤러바(114)를 연결하는 연결바(CB)가 경유하는 하는 것과 관계없이 견인상태를 지속하면서 대차(120)를 승강통로와 격납실을 왕복할 수 있도록 하는 횡 방향 이동장치(130)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횡 방향 이동장치(130)는 격납실에 설치되는 주차레일(121)과 나란하게 설치하여 대차(120)를 격납실과 승강통로 방향으로 왕복시키는 견인자(131)와, 대차(120)의 내측 위치(승강통로와 인접한 방향) 전,후측 중 하나의 위치에 설치하여 연결바(CB)의 승,강에 지장없이 견인자(131)와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연결자(132)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견인자(131)는 상방에 주차레일(121)을 가지는 레일서포터(RS)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는 베어링(133)으로 유지되어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134)에 의하여 정,역회전하는 스크류(135)를 설치한다.
상기 스크류(135)에는 스크류블럭(136)을 결합하여 격납실과 승강통로 방향으로 왕복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스크류블럭(136)에는 연결자(132)와 항상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연결블럭(137)을 고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견인자(131)를 움직이기 위한 수단으로 스크류와 스크류블럭 및 모터 조합으로 도면상 예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모터와 체인기어 체인 조합은 물론, 모터와 타이밍풀리 및 타이밍밸트 조합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을 것이므로,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성에서 쉽게 설계변형 및 치환되는 기술내용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연결자(132)는 대차(120)의 내측 단부(승강통로 방향)에서 하향 돌출되게 고정되는 연결판(140)에 연결휠(141)을 회전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연결휠(141)의 가장자리에는 외측 방향으로 절곡된 연결림(142)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연결림(142)은 연결블럭(137)에 연결휠(141)과 동일한 반경을 가지면서 원호형상의 연결홈(145)과 결합시켜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연결홈(145)의 개방위치는 연결림(142)의 이탈우려를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판(146)으로 마감한다.
상기 연결휠(141)에는 리프트(110)의 연결바(CB)가 격납실과 승강통로에 설치되는 주차 및 승강레일(121,122) 사이의 이격공간(G)을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데 지장을 주지 않도록 방사상으로 다수 개의 연결바홈(147)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바홈(147)의 입구(148)는 대차(120)가 승강통로에 위치(진입)하였을 때 항상 연결바(CB)가 진입할 수 있도록 이격공간(G)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연결바홈(147)의 폭(B)은 연결바(CB)의 외경(B1)보다 크게 하여 용이한 진입을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연결바(CB)에는 연결바홈(147)과 연접시 충격을 줄이면서 스무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관체 타입의 부싱(148)을 개재하도록 한다.
또한 연결블럭(137)에 형성되는 연결홈(145)의 전체길이(L)는 연결바홈(147)의 폭(B)보다 길게 하여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는 연결바(CB)에 의하여 연결휠(141)이 회전하더라도 연결블럭(137)과 연결휠(141)이 항상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연결휠(141)에는 연결바홈(147) 형성으로 취약해질 수 있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다수 개의 보강림(149)을 형성하여도 되며, 상기 스크류(135)의 양단부에는 연결바(CB)가 연결바홈(147)이 초기 진입시 야기될 수 있는 충돌에 의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스프링과 같은 완충수단(150)을 더 개재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휠(141) 후방에는 연결바홈(147)이 항상 이격공간(G)의 상측 또는 하즉 중간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결정수단(155)을 더 설치하도록 하고, 상기 위치결정수단(155)은 대차(120)와 힌지핀(156)으로 움직임 자유롭게 연결되는 위치결정바(157)를 하향 돌출시킨다.
상기 위치결정바(157)의 중도에는 연결바홈(147)와 치합 될 수 있는 위치결정돌기(158)를 형성하고, 상기 위치결정바(157)의 하단은 연결판(140)의 하단과 스프링(159)으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포크타입 주차설비(100)의 횡 방향 이동장치(130)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횡 방향 이동장치(130)를 구성하는 견인자(131)와 연결자(132)는 항상 연결 된 상태에 있으며, 초기 상태를 대차(120)가 격납실에 설치되는 주차레일(121)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 보고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대차(120)가 격납실에 설치되는 주차레일(121) 위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대차(120)를 구성하는 프레임(117)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대차롤러(200)가 연접된 상태를 유지한다.
주차레일(121)을 유지하는 레일서포터(RS)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크류(135)에 결합 된 스크류블럭(136)이 격납실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스크류블럭(136)에 구비되는 연결블럭(137)의 연결홈(145)에 결합 된 연결자(132)의 연결휠(141)도 격납실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승강통로에는 대차(120)가 없는 공간을 유지하고, 이러한 승강통로를 리프트(110)가 자유롭게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대차(120)에 주차된 자동차를 리프트(110)로 인계하고자 하거나, 리프트(110)에 실려져 주차하고자 하는 자동차를 인수받기 위하여 대차(120)를 격납실에서 승강통로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구동수단(134)이 작동하여 스크류(135)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스크류(135)와 결합 된 스크류블럭(136)이 격납실 방향에서 승강통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주차레일(121)과 승강레일(122)의 이격공간(G)을 넘어 대차(120)가 승강레일(122)에 완전하게 넘어가 승강통로에 위치하게 되면 구동수단(134)의 동작이 정지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콘트롤러 또는 센서 등을 통하여 정확한 위치 제어가 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격납실에 위치한 대차(120)가 승강통로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대차(120)에 설치되는 연결자(132)의 연결휠(141)과 주차레일(121)을 지지하는 레일서포터(RS)에 설치되는 견인자(131)의 연결블럭(137)은 서로 결합 된 상태에서 주차레일(121)과 승강레일(122) 사이의 이격공간(G) 중간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에는 연결휠(141)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연결바홈(147) 중 하나는 이격공간(G)의 중심위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리프트(110)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주차할 자동차를 대차(120)에 안치시키거나 대차(120)에 안치된 자동차를 리프트(110)가 안치하여 외부로 인출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대차(110)가 격납실에서 승강통로로 이동한 상태에 있고 주차 및 승강레일(121, 122) 사이의 이격공간(G)에 횡 방향 이동장치(130)가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주차된 자동차 또는 주차하고자 하는 자동차를 인출하고 공급하기 위하여 승강통로를 상,하 방향으로 리프트(110)가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를 살펴보면, 연결휠(141)에 형성되는 연결바홈(147)이 이격공간(G)의 중심위치에 있기 때문에 하강 또는 상승하는 리프트(110)의 지지바(113)와 롤러바(114)를 연결하고 있던 연결바(CB)는 자연스럽게 연결바홈(147)으로 진입하게 된다.
연결바홈(147)으로 진입한 연결바(CB)는 리프트(110)의 이동방향을 따라 지속하여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대차(120)에 고정된 연결 판(140)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연결휠(141)을 밀게 되고, 연결휠(141)은 자연스럽게 회전하는 형태가 된다.
즉, 연결바(CB)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연결바(CB)가 연결바홈(147)에 삽입된 상태에서 밀어주므로 반 시계 방향으로 연결휠(141)이 회전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할 경우에도 연결바(CB)가 연결바홈(147)에 삽입된 상태에서 밀어주므로 시계방향으로 연결휠(141)이 회전하여 연결바홈(147)의 입구(148)는 하측에서 상측에 또는 상측에서 하측에 위치하게 되면서 연결바(CB)는 자연스럽게 이격공간(G)을 경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 과정에서 연결블럭(137)과 연결휠(141)은 항상 연접된 상태를 유지하여 분리되는 현상이 없게 되는 데, 연결블럭(137)에 형성하는 연결홈(145)에 연결휠(141)의 연결림(142)이 항상 결합 된 상태를 유지하게 때문에 가능하다.
즉, 연결홈(145)의 전체길이(L)가 연결바(CB)가 경유하도록 형성하는 연결바홈(147)의 폭(B)보다 길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연결홈(145)의 중심위치에 연결바홈(147)이 위치하여도 연결바홈(147)의 양측에 위치한 연결림(142)이 위치하고 있는 상태가 되고, 연결바홈(147)의 일단이 연결림(142)을 벗어나기 전 다른 인접한 연결바홈(147) 주위의 연결림(142)이 연결홈(142)에 진입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바(CB)가 연결바홈(147)에 진입할 때에는 연결바(CB)의 외부에 동심으로 설치되는 부싱(148)에 의하여 연결바홈(147)과 연접되어 자유회전 하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진입과 이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위치결정수단(155)에 의하여 연결휠(141)에 형성되는 연결바홈(147)은 항상 이격공간(G)의 상측 또는 하측 위치 중심에 위치하게 되는데, 연결휠(141)의 후방에 힌지핀(156)으로 유지되는 위치결정바(157)에 일체로 형성되는 위치결정돌기(158)가 연결바홈(147)이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할 때 다른 연결바홈(147)에 치합되어 연결휠(141)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때문이다.
상기 연결바홈(147)의 크기(B)를 연결바(114)의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부싱(148)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연결바(CB)가 연결바홈(147)을 벗어나는 순간에 연결림(142)이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더라도 위치결정수단(155)의 위치결정돌기(158)가 스프링(159)의 힘으로 연결바홈(147)에 밀어 넣어 연결림(142)은 강제적으로 특정위치에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위치결정바(157)의 하단과 연결판(140) 하단을 연결하고 있는 스프링(159)에 의하여 위치결정돌기(158)가 쉽게 연결바홈(147)을 벗어나지 않게 되므로 가능하게 되고, 연결휠(141)이 연결바(CB)에 의하여 움직일 때에는 스프링(159)의 힘보다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연결바(CB)의 힘이 크기 때문에 연결바(CB)가 이동하는 데에는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된다.
혹여, 연결바홈(147)으로 연결바(CB)가 진입하는 초기에 이격공간(G)의 중심위치에 있지 못한 상태에서 연결바(CB)가 진입하게 되며 일시적으로 충돌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데, 이때에는 스크류(135)의 양단부에 더 개재되는 스프링과 같은 완충수단(150)에 의하여 스크류블럭(136)이 좌,우 방향으로 움직여 연결바(CB)의 진입을 도우면서 충격으로 야기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다.
이러한 본 발명은 격납실과 승강통로에 주차레일(121)과 승강레일(122)을 설치하여 대차(120)가 격납실과 승강통로를 왕복 이동할 때 승강통로의 상,하 방향으로 리프트의 움직임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차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주차설비의 투자비용을 절감하고 운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포크타입 주차설비를 도시한 간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포크타입 주차설비의 횡 방향 이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포크타입 주차설비의 횡 방향 이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포크타입 주차설비의 횡 방향 이동장치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포크타입 주차설비의 횡 방향 이동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 (a,b,c,d,e,f,g)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포크타입 주차설비의 횡 방향 이동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7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포크타입 주차설비에 적용되는 횡 방향 이동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포크타입 주차설비
110; 리프트
120; 대차
130; 횡 방향 이동장치
131; 견인자
132; 연결자
137; 연결블럭
141; 연결휠
147; 롤러바홈
150; 완충수단
155; 위치결정수단

Claims (5)

  1. 상부에 구동부(105)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105)와 연결되어 중앙의 승강통로를 통하여 상,하방 향으로 이동하는 리프트(110)와;
    상기 승강통로와 연통 되는 각 층의 격납실에 구비되어 격납실과 승강통로를 왕복하면서 리프트(110)로부터 자동차를 인수 인계를 통하여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포크타입 주차설비(100)에 있어서;
    상기 격납실과 승강통로에 설치되는 주차레일(121)과 승강레일(122)을 따라 대차(120)가 왕복할 때 리프트(110)의 상승과 하강시 주차레일(121)과 승강레일(122) 사이의 이격공간(G)을 통하여 리프트(110) 승강시 지지바(113)와 롤러바(114)을 연결하는 연결바(CB)의 경유에 지장없이 견인상태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횡 방향 이동장치(130)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횡 방향 이동장치(130)는 격납실에 설치되는 주차레일(121)과 나란하게 설치하여 대차(120)를 격납실과 승강통로 방향으로 왕복시키는 견인자(131)와;
    상기 대차(120)에 설치하여 리프트(110)의 연결바(CB) 승,강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견인자(131)와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연결자(132)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타입 주차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자(131)는 주차레일(121)을 유지하는 레일서포터(RS)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동수단(134)에 의하여 정,역회전하는 스크류(135)와;
    상기 스크류(135)에 결합되어 격납실과 승강통로 방향으로 왕복하는 스크류블럭(136)과;
    상기 스크류블럭(136)에 구비하여 연결자(132)와 항상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연결블럭(137)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자(132)는 대차(120)에 고정되는 연결판(140)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하는 연결휠(141)과;
    상기 연결휠(141)의 가장자리에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하여 연결블럭(137)에 연결휠(141)과 동일한 반경을 가지는 원호형상의 연결홈(145)과 결합되는 연결림(142)과;
    상기 리프트(110)의 연결바(CB)가 주차 및 승강레일(121,122) 사이의 이격공간(G)을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휠(141)에 방사상으로 형성하는 다수 개의 연결바홈(1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타입 주차설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홈(145)의 전체길이(L)는 연결바홈(147)의 폭(B)보다 길게 하여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는 연결바(CB)에 의하여 연결휠(141)이 회전하더라도 연결블럭(137)과 연결휠(141)이 항상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타입 주차설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135)의 양단부에는 연결바(CB)가 연결바홈(147)이 초기 진입시 야기될 수 있는 충돌에 의하여 충격을 흡수와 더불어 진입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완충수단(15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타입 주차설비.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휠(141) 후방에는 연결바홈(147)이 항상 이격공간(G)의 상측 또는 하즉 중간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결정수단(155)을 더 설치하고;
    상기 위치결정수단(155)은 대차(120)와 힌지핀(156)으로 움직임 자유롭게 연결되는 위치결정바(157)와;
    상기 위치결정바(157)의 중도에는 연결바홈(147)와 치합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위치결정돌기(158)와;
    상기 위치결정바(157)의 하단과 연결판(140) 하단을 연결하는 스프링(159)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타입 주차설비.
KR1020090111088A 2009-11-17 2009-11-17 포크타입 주차설비 KR101095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088A KR101095514B1 (ko) 2009-11-17 2009-11-17 포크타입 주차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088A KR101095514B1 (ko) 2009-11-17 2009-11-17 포크타입 주차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451A KR20110054451A (ko) 2011-05-25
KR101095514B1 true KR101095514B1 (ko) 2011-12-19

Family

ID=44363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088A KR101095514B1 (ko) 2009-11-17 2009-11-17 포크타입 주차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5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0580A (zh) * 2017-03-14 2017-07-07 成都创客集成房屋有限公司 一种立体停车库的应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1848A (ja) 1997-10-31 1999-05-18 Hitachi Zosen Corp 櫛歯式立体駐車装置
JP2003120066A (ja) 2001-10-05 2003-04-23 Nippon Steel Corp ケージ式立体駐車場
KR200341480Y1 (ko) 2003-11-27 2004-02-14 김순곤 포크식 승강 주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1848A (ja) 1997-10-31 1999-05-18 Hitachi Zosen Corp 櫛歯式立体駐車装置
JP2003120066A (ja) 2001-10-05 2003-04-23 Nippon Steel Corp ケージ式立体駐車場
KR200341480Y1 (ko) 2003-11-27 2004-02-14 김순곤 포크식 승강 주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451A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9817B1 (ko)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 및 주차방법
KR100632408B1 (ko) 주차설비
JP4708955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リフト
KR100775853B1 (ko) 원형주차타워
KR101095514B1 (ko) 포크타입 주차설비
KR100702666B1 (ko) 다층형 주차설비
KR200407929Y1 (ko)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
CN111169362A (zh) 纵梁式移送车辆结构
KR100605503B1 (ko) 이동형 팔레트를 이용한 포크식 주차설비
CN215168528U (zh) 一种立体车库
KR100295876B1 (ko) 엘리베이터방식주차설비의턴테이블장치
JP3103093U (ja) 前後二列タイプの機械式多段トランクボックス装置
JP7496911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CN211869228U (zh) 纵梁式移送车辆结构
KR102629607B1 (ko) 신속한 입출고 가능한 포크식 주차타워
CN103615132B (zh) 一种后悬臂式升降横移停车设备
JP5653134B2 (ja) 連立型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KR100632390B1 (ko) 이동형 주차장치
KR0113685Y1 (ko) 입체주차장치
CN112854849A (zh) 一种立体车库及其使用方法
JP2001065185A (ja) 機械式駐車装置
JP4065633B2 (ja) 機械式駐車装置
KR20050122548A (ko) 다층형 주차설비
JP4369823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3638221B2 (ja) フォーク式立体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