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607B1 - 신속한 입출고 가능한 포크식 주차타워 - Google Patents

신속한 입출고 가능한 포크식 주차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607B1
KR102629607B1 KR1020220067445A KR20220067445A KR102629607B1 KR 102629607 B1 KR102629607 B1 KR 102629607B1 KR 1020220067445 A KR1020220067445 A KR 1020220067445A KR 20220067445 A KR20220067445 A KR 20220067445A KR 102629607 B1 KR102629607 B1 KR 102629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forks
parking
carriage
low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7532A (ko
Inventor
정 환 이
한도현
이서희
이은혜
이상은
Original Assignee
한도현
이서희
이은혜
이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도현, 이서희, 이은혜, 이상은 filed Critical 한도현
Priority to KR1020220067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607B1/ko
Publication of KR20230167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omb-type transfe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크식 주차타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렛트 없이 차량을 직접 입출고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차량을 입출고 할 수 있는 신속한 입출고 가능한 포크식 주차타워에 관한 것이다.
신속한 입출고 가능한 포크식 주차타워는, 중앙에 리프트가 승하강 하는 승강로가 형성되고 승강로 양측에 주차대가 복층으로 구비된 주차타워에 있어서, 상기 주차대는 승강로 방향으로 개방된 포크가 다수 구비되며, 상기 리프트는, 인상장치에 연결되어 승하강 하는 수평의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 레일; 안내 레일의 좌측에 구비되어 안내 레일을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1 이송 플레이트; 안내 레일의 우측에 구비되어 안내 레일을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2 이송 플레이트; 제1 이송 플레이트 상부에 구비되어 제1 이송 플레이트와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하고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며 우측 방향으로 개방된 포크가 다수 구비된 제1 운반대; 제2 이송 플레이트 상부에 구비되어 제2 이송 플레이트와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하고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며 좌측 방향으로 개방된 포크가 다수 구비된 제2 운반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운반대와 2 운반대 및 주차대의 포크는 서로 교호되게 위치하여 횡방향 이동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신속한 입출고 가능한 포크식 주차타워{A FORK TYPE PARKING TOWER}
본 발명은 포크식 주차타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렛트 없이 차량을 직접 입출고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차량을 입출고 할 수 있는 신속한 입출고 가능한 포크식 주차타워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자동차가 빠른 속도로 보급되어 주차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작은 공간에 많은 차량을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기계식 주차장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기계식 주차장은 수직 순환 방식, 다층 순환 방식, 수평 순환 방식, 엘리베이터 방식, 평면 왕복 방식, 2단 방식 등이 있다. 이들 방식은 대부분 차량 입출고 시 에너지 소비가 막대한 이유로 비교적 에너지 소비가 적은 엘리베이터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방식의 기계식 주차장은 특허 제10-1049187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워형태의 다층으로 구성된 주차실과, 윈치의 작동에 의하여 차량을 승강시키고 파레트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가 설치된 승강기와, 차량을 실어 상기 승강기 및 주차실에 차량을 실어 나르는 파레트로 구성된 파레트형 주차설비에 있어서, 상기 주차실과 승강기 및 주차실의 바닥에는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이송장치는 승강기에 고정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에서 양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되, 하부의 대차래크가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대차기어에 맞물려 슬라이드 이동하는 대차와;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파레트구동축과 체인 연결되어 연동회전하고, 제1이송기어가 각각 형성된 제1축 및 제2축과; 상기 제1축 및 제2축에는 각각 제1축 및 제2축의 축방향과 수직 연장되고 연결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에는 제1이송기어와 연동회전하는 제2이송기어가 형성됨으로써, 대차가 슬라이드 이동하며 대차의 일측이 상기 연결대를 회전시켜 제1이송기어 및 제2이송기어가 파레트 하부의 파레트래크와 맞물려 회전하여 파레트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방식은 구조가 간단하여 시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차량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항상 빈 파레트를 가져와야 하므로 시간이 올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층수가 많은 경우 고층까지 리프트를 이동시켜 파레트를 가져와야 하므로 이러한 경우 더욱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에너지 소비가 많고 유지 관리 비용이 상승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파레트가 없는 포크 방식의 기계식 주차장이 특허 제10-0257109호 및 제10-1999-0073696호로 공개되었는바, 그 구조를 살펴보면, 중앙부에 승강로가 형성되고 이 승강로의 좌우 양측에 복수 층의 주차실이 형성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승강로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을 승입출장과 각 주차실 사이에서 승강 이동시키는 리프트와, 상기 주차실의 각 층에 설치되어 차량을 적재하는 파레트 와, 상기 리프트에 횡행이동가능 하게 설치되며 상, 하측 걸고리가 설치된 걸고리부재와 상기 파레트에 설치되어 상기 걸고리부재의 상, 하측 걸고리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부재를 가지는 파레트 횡행구동수단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포크식 주차타워는 차량을 주차하는 모든 파레트가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이므로 수많은 부품이 설치되어 시설비가 매우 고가일 수밖에 없고, 파레트를 이송하는 구동계의 마모로 인해 정기적인 부품 교체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 시기에는 운행이 불가능할 그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049187호(2011.07.07) KR 등록특허공보 제10-0257109호(2000.02.28) KR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73696호(1999.10.05)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파레트 없이 차량을 주차할 수 있도록 하여 빈 파레트를 가져와야 하는 불필요한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매우 신속하게 차량을 입출고할 수 있는 신속한 입출고 가능한 포크식 주차타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이 주차되는 주차대는 고정식으로 설치하면서 리프트가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주차대에 차량을 올려놓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주차된 주차대는 매우 안정적이며 시설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신속한 입출고 가능한 포크식 주차타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속한 입출고 가능한 포크식 주차타워는,
중앙에 리프트가 승하강 하는 승강로가 형성되고 승강로 양측에 주차대가 복층으로 구비된 주차타워에 있어서,
상기 주차대는 승강로 방향으로 개방된 포크가 다수 구비되며,
상기 리프트는,
인상장치에 연결되어 승하강 하는 수평의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 레일;
안내 레일의 좌측에 구비되어 안내 레일을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1 이송 플레이트;
안내 레일의 우측에 구비되어 안내 레일을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2 이송 플레이트;
제1 이송 플레이트 상부에 구비되어 제1 이송 플레이트와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하고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며 우측 방향으로 개방된 포크가 다수 구비된 제1 운반대;
제2 이송 플레이트 상부에 구비되어 제2 이송 플레이트와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하고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며 좌측 방향으로 개방된 포크가 다수 구비된 제2 운반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운반대와 2 운반대 및 주차대의 포크는 서로 교호되게 위치하여 횡방향 이동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2 운반대의 포크는 'ㄱ' 모양으로 형성하여 어느 하나의 차량 운반대가 승하강한 상태에서 횡방향 이동시 간섭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를 횡방향으로 한 쌍 설치하고, 제1, 2 이송 플레이트는 스크류와 각각 나선 결합되어 스크류의 정역회전에 따라 제1, 2 이송 플레이트가 각각 이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속한 입출고 가능한 포크식 주차타워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파렛트 없이 차량을 직접 입출고할 수 있어 매우 신속하게 차량을 입출고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주차대는 고정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매우 견고하게 설치 가능하며 차량을 안정되게 주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차량을 이송시키는 구동부를 리프트에 설치함으로써 시설비가 매우 저렴하며 리프트의 부품만 교체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도 저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식 주차타워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크식 주차타워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및 주차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의 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g는 본 발명에 따른 포크식 주차타워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신속한 입출고 가능한 포크식 주차타워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식 주차타워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크식 주차타워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및 주차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의 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속한 입출고 가능한 포크식 주차타워(1)는, 중앙에 리프트(100)가 승하강 하는 승강로가 형성되고 승강로 양측에 주차대(200)가 복층으로 구비되어 리프트(100)를 통해 승강하는 차량(2)은 비어 있는 주차대(200)에 슬라이딩 이동시켜 주차할 수 있다.
승강로의 전방과 후방 각 코너에는 수직의 가이드 바(300)가 설치되고, 리프트(200)는 인상장치(미도시)에 의해 가이드 바(300)에 안내되어 승하강한다.
상기 리프트(200)는 인상장치에 연결되어 승하강 하는 수평의 베이스 플레이트(110);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 레일(120); 안내 레일(120)의 좌측에 구비되어 안내 레일(120)을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1 이송 플레이트(130); 안내 레일(120)의 우측에 구비되어 안내 레일(120)을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2 이송 플레이트(140); 제1 이송 플레이트(130) 상부에 구비되어 제1 이송 플레이트(130)와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하고 실린더(C)에 의해 승하강하며 우측 방향으로 개방된 포크(151)가 다수 구비된 제1 운반대(150); 제2 이송 플레이트(140) 상부에 구비되어 제2 이송 플레이트(140)와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하고 실린더(C)에 의해 승하강하며 좌측 방향으로 개방된 포크(161)가 다수 구비된 제2 운반대(160); 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내부가 빈 틀 형태로 형성하여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선후단 양측에는 아암(111)이 설치되고, 아암(111)의 말단에 가이드 바(300)에 밀착되어 구름운동 하는 롤러(112)가 설치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가이드 바(300)를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
상기 안내 레일(12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데, 두 개 이상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안내 레일(120)은 볼트 및 너트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견고히 설치된다.
상기 제1 이송 플레이트(130)는 안내 레일(120)의 좌측에 설치되어 안내 레일(120)을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상기 제2 이송 플레이트(140)는 안내 레일(120)의 우측에 설치되어 안내 레일(120)을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모터(113)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114)를 횡방향으로 한 쌍 평행하게 설치하고, 제1, 2 이송 플레이트(130, 140)는 스크류(114)와 각각 나선 결합되어 스크류(114)의 정역회전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각각 이송한다.
상기 제1 운반대(150)는 제1 이송 플레이트(130) 상부에 구비되어 제1 이송 플레이트(130)와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하고 실린더(C)에 의해 승하강하며 우측 방향으로 개방된 포크(151)가 다수 구비된다.
상기 제2 운반대(160)는 제2 이송 플레이트(140) 상부에 구비되어 제2 이송 플레이트(140)와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하고 실린더(C)에 의해 승하강하며 좌측 방향으로 개방된 포크(161)가 다수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C)는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며 실린더 본체는 제1, 2 이송 플레이트(130, 140)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고 실린더 본체로부터 출몰되는 로드의 상단에는 제1, 2 운반대(150, 160)가 각각 고정 설치된다.
제1, 2 이송 플레이트(130, 140)에는 별도의 가이드 봉을 다수 설치하고, 제1, 2 운반대(150, 160)는 가이드 봉에 지지되어 승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봉을 설치하면 제1, 2 운반대(150, 160)는 올라온 차량의 하중에도 충분히 안정되게 견딜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 운반대(150, 160)의 포크(151, 161)는 'ㄱ' 모양으로 형성하면서 서로 교호되게 위치하여 어느 하나의 운반대가 승하강한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이동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주차대(200)는 승강로 방향으로 개방된 포크(201)가 다수 구비되며, 주차대(200)의 포크(201)와 제1, 2 운반대(150, 160)의 포크(151, 161) 또한 서로 교호되게 위치하여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신속한 입출고 가능한 포크식 주차타워(1)의 입출고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출입문(D) 앞에 차량(2)을 정차하면 센서가 차량(2)을 인식하여 출입문(D)이 개방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100)에 차량(2)을 주차한 후 주차 시스템에 차량 번호를 입력하여 입고 요청을 하면 출입문(D)이 닫히고, 리프트(100)가 동작한다.
이때, 컨트롤러는 빈 주차대(200) 중 어느 하나를 선정하고, 주차대(200)에 차량을 주차하기 위해 리프트(100)의 제1, 2 운반대(150, 160) 중 어느 하나를 승강시킨다. 예를 들어 선정된 주차대(200)가 왼쪽에 있는 경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운반대(160)의 실린더(C)가 구동하여 제2 운반대(160)가 승강한다. 이 과정에서 차량(2)은 승강하는 제2 운반대(160)에 올려진 상태가 되며 포크(161) 사이에 차량(2) 바퀴가 위치하여 구르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리프트(100)는 인상장치에 의해 승강로를 통해 주차하고자 하는 주차대(200)까지 승강한 다음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운반대(160)는 좌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즉, 모터(113)가 구동하여 스크류(114)를 회전시키고, 스크류(114)와 나선 결합된 제2 이송 플레이트(140)는 안내 레일(120)을 따라 좌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제2 이송 플레이트(140)에 설치된 제2 운반대(160)는 차량(2)이 올려진 상태로 주차대(200)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7d와 같이 주차대(20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주차대(200)의 포크(201)와 제2 운반대(160)의 포크(161)는 서로 교호되게 위치한다.
이후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C)의 구동에 의해 제2 운반대(160)가 하강하면 이 과정에서 제2 운반대(160)의 포크(161)가 주차대(200)의 포크(201) 사이를 통과하면서 하강하고, 제2 운반대(160)에 올려진 차량(2)은 주차대(200)에 올려진다. 주차대(200)에 올려진 차량(2)은 주차대(200)의 포크(201) 사이에 바퀴가 위치하여 구르지 않게 된다. 하강 완료한 제2 운반대(160)는 모터(113)의 구동 및 스크류(114)의 회전에 의해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송 플레이트(140)가 복귀하여 원위치하고, 제2 운반대(160)는 승강하여 도 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운반대(150, 160)는 동일 평면 상태를 이룬다.
반대로 주차된 차량(2)을 출고하고자 할 경우에는 주차 시스템에 차량 번호를 입력하여 출고 요청을 하면 리프트(100)가 승하강하여 출고하고자 하는 주차대(200) 옆에 위치한다. 이때, 제1 운반대(150)는 주차대(200)와 동일 높이로 위치하고 제2 운반대(160)는 하강하여 제1 운반대(150) 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모터(113) 및 스크류(114)의 구동에 의해 제2 이송 플레이트(140) 및 제2 운반대(160)가 주차대(200)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주차대(200) 하단에 제2 운반대(160)가 위치한다. 그리고 실린더(C)가 구동하여 실린더 로드가 출몰하면 제2 운반대(160)가 승강하여 제2 운반대(160)의 포크(161)가 주차대(200)의 포크(201) 사이를 통과하여 승강함과 동시에 차량(2)을 들어올려 제2 운반대(160) 위에 차량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모터(113) 및 스크류(114)를 반대 방향으로 구동하여 제2 이송 플레이트(140) 및 제2 운반대(160)를 원위치시켜 제1 운반대(150) 위에 제2 운반대(160)가 위치된다. 이와 같이 리프트(100)에 차량(2)이 위치하면 리프트(100)를 1층까지 하강시키고 제2 운반대(160)를 제1 운반대(150)와 동일 높이로 위치시켜 차량(2)이 출입문(D)을 통해 출고할 수 있도록 한다.
1 : 주차타워 2 : 차량
100 : 리프트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13 : 모터 114 : 스크류
120 : 안내 레일 130 : 제1 이송 플레이트
140 : 제2 이송 플레이트 150 : 제1 운반대
151, 161, 201 : 포크 160 : 제2 운반대
200 : 주차대 C : 실린더

Claims (3)

  1. 중앙에 리프트(100)가 승하강 하는 승강로가 형성되고 승강로 양측에 주차대(200)가 복층으로 구비된 주차타워(1)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100)는, 인상장치에 연결되어 승하강 하는 수평의 베이스 플레이트(110);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 레일(120); 안내 레일(120)의 좌측에 구비되어 안내 레일(120)을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1 이송 플레이트(130); 안내 레일(120)의 우측에 구비되어 안내 레일(120)을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2 이송 플레이트(140); 제1 이송 플레이트(130) 상부에 구비되어 제1 이송 플레이트(130)와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하고 실린더(C)에 의해 승하강하며 우측 방향으로 개방된 포크(151)가 다수 구비된 제1 운반대(150); 제2 이송 플레이트(140) 상부에 구비되어 제2 이송 플레이트(140)와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하고 실린더(C)에 의해 승하강하며 좌측 방향으로 개방된 포크(161)가 다수 구비된 제2 운반대(160); 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대(200)는 승강로 방향으로 개방된 포크(201)가 다수 구비되며,
    상기 제1 운반대(150)와 제2 운반대(160) 및 주차대(200)의 포크(151, 161, 201)는 서로 교호되게 위치하여 횡방향 이동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1, 2 운반대(150, 160)의 포크(151, 161)는 'ㄱ' 모양으로 형성하여 어느 하나의 운반대가 승하강한 상태에서 횡방향 이동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입출고 가능한 포크식 주차타워.
  2. 중앙에 리프트(100)가 승하강 하는 승강로가 형성되고 승강로 양측에 주차대(200)가 복층으로 구비된 주차타워(1)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100)는, 인상장치에 연결되어 승하강 하는 수평의 베이스 플레이트(110);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 레일(120); 안내 레일(120)의 좌측에 구비되어 안내 레일(120)을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1 이송 플레이트(130); 안내 레일(120)의 우측에 구비되어 안내 레일(120)을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2 이송 플레이트(140); 제1 이송 플레이트(130) 상부에 구비되어 제1 이송 플레이트(130)와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하고 실린더(C)에 의해 승하강하며 우측 방향으로 개방된 포크(151)가 다수 구비된 제1 운반대(150); 제2 이송 플레이트(140) 상부에 구비되어 제2 이송 플레이트(140)와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하고 실린더(C)에 의해 승하강하며 좌측 방향으로 개방된 포크(161)가 다수 구비된 제2 운반대(160); 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대(200)는 승강로 방향으로 개방된 포크(201)가 다수 구비되며,
    상기 제1 운반대(150)와 제2 운반대(160) 및 주차대(200)의 포크(151, 161, 201)는 서로 교호되게 위치하여 횡방향 이동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모터(113)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114)를 횡방향으로 한 쌍 설치하고, 제1, 2 이송 플레이트(130, 140)는 스크류(114)와 각각 나선 결합되어 스크류(114)의 정역회전에 따라 제1, 2 이송 플레이트(130, 140)가 각각 이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입출고 가능한 포크식 주차타워.
  3. 삭제
KR1020220067445A 2022-06-02 2022-06-02 신속한 입출고 가능한 포크식 주차타워 KR102629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445A KR102629607B1 (ko) 2022-06-02 2022-06-02 신속한 입출고 가능한 포크식 주차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445A KR102629607B1 (ko) 2022-06-02 2022-06-02 신속한 입출고 가능한 포크식 주차타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532A KR20230167532A (ko) 2023-12-11
KR102629607B1 true KR102629607B1 (ko) 2024-01-29

Family

ID=89162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445A KR102629607B1 (ko) 2022-06-02 2022-06-02 신속한 입출고 가능한 포크식 주차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607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5922B2 (ja) * 1993-01-22 2000-10-10 健二 郷 立体格納塔におけるホーク式受渡し装置
KR100257109B1 (ko) 1997-11-06 2000-05-15 이종수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팰리트횡행 구동장치
KR19990073696A (ko) 1998-03-02 1999-10-05 이종수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리프트 구조
KR20090091428A (ko) * 2008-02-25 2009-08-28 강승구 포오크형 이동대차를 구비하는 주차설비
KR101049187B1 (ko) 2009-05-15 2011-07-14 권회왕 파레트형 주차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532A (ko) 202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60130A (e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JPH11223038A (ja) エレベータ方式の駐車装置
WO2006066475A1 (fr) Garage tridimensionnel d’encombrement reduit
KR102629607B1 (ko) 신속한 입출고 가능한 포크식 주차타워
KR100702666B1 (ko) 다층형 주차설비
JP2992241B2 (ja) エレベータ方式の立体駐車装置
KR100766227B1 (ko) 평면왕복식 다열 주차장치
JP2863705B2 (ja) 機械式立体駐車装置
KR100766226B1 (ko) 평면왕복식 주차장치
KR20090091428A (ko) 포오크형 이동대차를 구비하는 주차설비
JP3701090B2 (ja) 3縦列型昇降式駐車装置
JP2662816B2 (ja) 地下式立体駐車装置
KR100257109B1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팰리트횡행 구동장치
KR200388208Y1 (ko) 지하형 다단식 주차설비
CN109057445B (zh) 一种立体停车场滚轮式载车板存储装置及立体停车场
KR200172636Y1 (ko)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의 리프트
JP2880115B2 (ja) 機械式駐車場
JPH04343981A (ja) 機械式立体駐車場
JP3960566B2 (ja) 3縦列型昇降式駐車装置
JP4117862B2 (ja) 3縦列型昇降式駐車装置
JP2863712B2 (ja) 機械式駐車場におけるパレットリフター
KR950008461Y1 (ko) 수직 승강식 주차장치
JPH04353173A (ja) 立体駐車装置
JPH0643374Y2 (ja) 駐車設備
JP3916112B2 (ja) 中間乗入3縦列型昇降式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