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는, 복수층으로 수평하게 파렛트(11)들이 각각 배치되는 제1격납실(10)과;
상기 제1격납실(10)과 나란하게 거리를 두고 파렛트(11)들이 배치되는 제2격납실(20)과;
상기 제1격납실(10)과 제2격납실(20) 사이로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이동통로(30)와;
상기 제2격납실(10)의 일측으로 나란하게 거리를 두고 파렛트(11)들이 배치되는 제3격납실(90)과;
상기 이동통로(30)를 따라 좌우 횡방향으로 구동되는 구동수단(41)이 구비되고, 그 상부로 파렛트(11)들을 탑재하는 대차(40)와;
상기 대차(40)에 구비되며 제1격납실(10)과 제2격납실(20)에 위치되는 양측 의 각 파렛트(11)들을 탑재 또는 복귀시키도록 서로 위치 이동시키는 한쌍의 프렉션 롤러유니트(50)(60)와;
상기 대차(40)를 케이지(71)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로 출입구의 위치까지 상하 구동시키는 구동부(72)가 구비되 리프트(70)와;
상기 대차(40)를 리프트(70)에 의해 승하강 한 후 해당 층에 위치된 상태에서 유동을 방지하도록 위치 고정하는 로킹수단(80)과;
상기 제2격납실(20)에 설치되어 제3격납실(90)과 제2격납실(20) 위치로 파렛트(11)들을 서로 이동시키는 쉬프트 어세이(100)가 구비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평면왕복식 주차장치에 있어서 격납실을 적어도 3열 이상의 다열로 배치 설계할 수 있으므로 주차 가능한 공간을 늘릴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횡식 장치를 평면도로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리프트 위치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대차 구조를 평면도로 도시하고, 도 4는 대차에 차량이 탑재된 상태를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제2격납실에 설치되는 쉬프트 어세이가 작동되는 상태를 평면상태로 보이고, 도 5b는 도 5a의 작동상태를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대차위에 파렛트가 탑재된 상태를 정면도로 도시하고, 도 7은 대차가 리프트 위치에서 로킹수단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구조를 보인 장치도이다.
도 8는 도 7의 평면도이고, 도 9는 차량이 종방향으로 주차되는 종식 장치의 실시예를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주로 지층에 복수층으로 수평하게 제1격납실(10)과 이동통로(30)를 사이에 두고 제2격납실(20)들을 나란하게 설치하게 되는데, 이 이동통로(30)의 어느 한 임의의 위치에는 케이지(71)의 승강수단을 구비한 리프트(70)가 설치된다.
이 제1격납실(10)과 제2격납실(20)에는 차량이 탑재된 상태로 주차되는 파렛트(11)들이 각각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공간에 맞추어서 설치된다.
또, 제2격납실(20)의 일측으로(제1격납실의 타측방향) 제3격납실(90)들이 동일 구조와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차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통로(30)에는 대차(40)가 구동수단(41)의 구동에 의해 횡레일(43)에 받쳐진 상태로 좌우 횡방향으로 구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대차(40)를 좌우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41)은 도 3및 도 4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차(40)의 양측에 부착된 모터(42)의 구동으로 횡레일(43)의 상부에서 롤러(44)가 구름 운동하는 것에 의해 이동통로(30)를 따라 좌우 이동된다.
그리고, 이동통로(30)를 따라 이동된 후 원하는 위치에서 구동을 정지하여 제1격납실(10) 및 제2격납실(20)에 위치된 파렛트(11)를 대차(40)의 상부로 탑재하거나 또는 대차(40) 상부에 위치된 파렛트(11)를 제1격납실(10) 및 제2격납실(20)의 자기 위치로 차량이 탑재된 상태로 이동시켜 주차가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 다.
이와 같이 파렛트(11)들을 탑재 또는 복귀위치로 서로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대차(40)에는 양측 제1격납실(10) 및 제2격납실(20)을 향해 한쌍의 프렉션 롤러유니트(50)(60)들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파렛트(11)가 제1격납실(10) 및 제2격납실(20)에 위치되어 그 상부로 차량이 탑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프렉션 롤러유니트(50)(60)-frection roller unit-가 해당 위치로 이동된 후 파렛트(11)를 대차(40)의 상부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복귀시키는 파렛트(11)의 종방향 구동수단이다.
대차(40)와 그 상부로 얹혀지는 파렛트(11)들은 프렉션 롤러유니트(50)(60)의 구동에 의해 종방향으로 이동될 때 부드럽고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안내로울러들(12)을 그 접촉부에 다수개 설치하게 된다.
또, 파렛트(11)의 대략 중앙 하부로는 날개부재(13)가 전장 길이에 걸쳐 일직선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프렉션 롤러유니트(50)(60)는 필요시기에 메인 콘트롤러의 지시로 전후진용 모터(51)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그 회전방향에 따라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전체 유니트가 전, 후진 이동 될 수 있는 것이다.
전체 유니트가 전진 이동된 위치에서는 파렛트(11)의 중앙 하부로 일직선으로 고정 부착된 날개부재(13)의 양측면에 2개가 한조로 2열 설치된 마찰롤러(53)(63)들이 접촉되며 회전모터(54)(64)의 구동으로 파렛트(11)가 대차(40)의 상부로 서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프렉션 롤러유니트(50)(60)의 마찰롤러(53)(63)는 마찰력과 내구성이 우수한 고무 또는 합성수지 계열로 성형되며, 텐션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바, 이러한 프렉션 롤러의 구조 및 작동관계는 주차장치에서 통상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대차(40)가 횡으로 이동되는 이동통로(30)의 어느 임의의 위치에는 리프트(70)가 설치된다.
리프트(70)에는 케이지(71)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통상의 엘리베이터와 같이 상하 구동시키는 구동부(7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대차(40)를 리프트(70)에 의해 원하는 층으로 승하강 한 후 대차(40)가 횡레일(43)의 안내로 좌, 우 횡으로 구동시킬 때 정확한 높이를 유지함과 아울러, 유동을 방지하도록 위치 고정하는 로킹수단(80)이 구비되어 있다.
이 로킹수단(80)은 케이지(71)와 대차(40)의 사이로 케이지(71)의 상부로 고정 부착된 후레임(77)의 양단 각 코너부에 설치된다.
즉, 케이지(71)가 리프트(70)의 구동부(72) 작동에 의해 승강된 후 원하는 층의 작동 위치로 정지된 후, 도시하지 않은 콘트롤러의 지시로 로킹모터(81)에 작동 지시를 하게 된다.
로킹모터(81)가 구동되면 체인(82)으로 연결된 샤프트(83)가 회동되어 샤프트(83)의 양측 단부에 축 결합된 피니언(84)이 회동되어 로킹핀(86)에 치차가 형성된 래크(85)를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로킹핀(86)이 양측으로 벌어지게 작동하는 것에 의해 리프트(70)의 골조에 부착 고정된 걸림형강(87)의 상부로 걸려지게 되므로 대차(40)를 포함한 케이지(71)가 더 이상의 하강이나 유동을 방지하게 로킹되는 것이다.
이 경우 파렛트(11)와 그 상부에 탑재된 차량, 그리고 대차(40)와 케이지(71)를 합산한 하중이 상당한 중량이므로 상부로 유동될 가능성은 배제하고 하부로만 처지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로킹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리프트(70)를 가동하여 승강하고자 할 때는 이 로킹수단(80)을 복귀 시키는 콘트롤러의 지시로 로킹모터(81)가 역으로 회전되며 각 로킹핀(86)들이 내측으로 복귀 되는 것에 의해 상하 승강구동이 자유롭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대차(40)위에 파렛트(11)와 차량을 탑재한 상태에서 리프트(70)의 구동부(72) 작동으로 출입구까지 상승시켜 출고하게 된다.
또, 입고할 때는 이와 역으로 작동된다.
한편, 제3격납실(90)에 위치된 파렛트(11)를 출고하거나, 또는 제3격납실(90) 위치로 주차시키기 위하여 제2격납실(20)과 제3격납실(90) 사이에서 파렛트(11)를 서로 이동시키기 위한 쉬프트 어세이(100)가 제2격납실(20)에 설치된다.
쉬프트 어세이(10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렛트(11)의 대략 중앙 하부로 위치되며, 이동 자유롭게 그 둘레에는 가이드롤러(111)들이 설치된다.
그리고, 파렛츠(11)의 저면에 형성된 날개부재(13)를 한쌍의 마찰롤러(104)들이 양측에서 홀딩한 상태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그 회전 방향을 따라 제2격납실(20)과 제3격납실(90) 사이에서 파렛트(11)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쉬프트 어세이(100)는 필요시기에 메인 콘트롤러의 지시로 전후진용 모터(101)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그 회전방향에 따라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피니언(102)이 래크(103)와 치차 결합된 상태로 구동되어 전체 어세이가 제3격납실(90)을 향해 전, 후진 이동 될 수 있는 것이다.
전체 어세이가 전진 이동된 위치에서는 파렛트(11)의 중앙 하부로 일직선으로 고정 부착된 날개부재(13)의 양측면에 2개가 한조로 2열 설치된 마찰롤러(104)들이 접촉되며 회전모터(105)의 구동으로 파렛트(11)가 제2격납실(20)과 제3격납실(90) 사이에서 파렛트(11)를 서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3격납실(90)에 위치된 파렛트(11)는 이 쉬프트 어세이(100)의 가동으로 제2격납실(20)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프렉션 롤러유니트(50)(60)가 해당 파렛트(11)를 대차(40)의 상부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대차(40)가 구동수단(41)의 작동으로 리프트(70)의 위치까지 이동된 후, 다시 리프트(70)의 구동부(72) 작동으로 출입구 위치까지 승강되는 방법으로 출고가 이루어 지는 것이다.
입고는 이와 반대 순서로 이루어 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