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929Y1 -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 - Google Patents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7929Y1 KR200407929Y1 KR2020050030456U KR20050030456U KR200407929Y1 KR 200407929 Y1 KR200407929 Y1 KR 200407929Y1 KR 2020050030456 U KR2020050030456 U KR 2020050030456U KR 20050030456 U KR20050030456 U KR 20050030456U KR 200407929 Y1 KR200407929 Y1 KR 20040792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
- pallet
- vehicle
- sides
- trolle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ar-gripping transf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입.출고시 상기 차량을 층간 이동시키는 리프트에 포크식 프레임을 설치하여 리프트 상에 차량의 입.출고를 신속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동 절차의 간소화로 전력소비를 최소화하여 효율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대차의 양측에 설치되는 견인수단 및 축출수단이 각각의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게 하여 구동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구비되는 구동부의 구동용량 즉, 구동모터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하여 대차설치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포크식 조립형 팔레트를 이용하므로 중량감소 및 조립이 용이한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리프트, 포크프레임, 승강구동부, 지지롤러, 대차, 견인수단, 축출수단, 주행휠, 마찰롤러, 안내롤러, 구동모터, 감속기, 팔레트, 지지간, 마찰봉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를 도시해 보인 평면 예시도.
도 2a, 2b는 도 1에 따른 차량의 출.입고시의 작동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개요도.
도 3은 도 1에 적용되는 대차를 확대 도시해 보인 평면 예시도.
도 4는 도 2의 대차에 설치된 견인수단을 도시해 보인 정면 예시도.
도 5는 종래의 다른 견인수단의 일부를 확대 도시해 보인 평면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를 확대 도시해 보인 평면 예시도.
도 8a, 8b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작동 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 예시도.
도 9는 도 7의 측면 예시도.
도 10a, 10b는 본 고안에 따른 포크프레임을 확대 도시해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1a, 11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승강구동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대차를 확대 도시해 보인 평면 예시도.
도 13은 도 12의 정면 예시도.
도 14는 도 12의 측면 예시도.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팔레트를 확대 도시해 보인 평면 예시도.
도 16은 도 15의 정면 예시도.
도 17a, 17b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출.입고시의 작동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개요도.
도 18a, 18b는 도 17a, 17b의 주차시스템에 의한 주차방법을 각각 도시해 보인 상세 설명도.
도 19a, 19b는 도 18a, 18b의 주차방법을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고부 3 : 주행레일 5 : 격납실
100 : 리프트 110 : 상부틀 110' : 하부틀
112 : 지지간 114 : 데크 116, 116' : 지지대
118 : 지지롤러 120 : 포크프레임 122, 122' : 가이드
124 : 지지롤러 126 : 지지간 130 : 승강구동부
132 : 회전축 134 : 샤프트 136 : 피니언기어
138 : 랙기어 140 : 연동기어 142 : 체인
144 : 구동축 146 : 캠 148 : 승강롤러
150 : 안내롤러 200 : 견인수단 212 : 견인판
214 : 회전기어 216, 224 : 고정축 218 : 평기어
220, 220' : 스프로킷 222 : 체인 226 : 마찰롤러
300 : 축출수단 310 : 피니언기어 312 : 랙기어
314 : 축출레일 316 : 유동롤러 318 : 수평롤러
400 : 대차 410 : 본체 412 : 회전축
414 : 주행휠 414' : 보조휠 500 : 팔레트
510 : 마찰봉 520 : 견인휠 530 : 지지간
A : 차량 M1 ~ M4 : 구동모터 R1, R2 : 감속기
본 고안은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할 차량이 탑재되는 리프트에 포크형태의 지지간이 내향되게 형성된 포크프레임이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포크프레임에 형성된 지지간과 대칭되게 다수의 지지간이 외향되게 형성된 팔레트를 탑재하여 이송시키는 대차를 구비하여 상기 대차에 의해 팔레트를 리프트의 포크프레임 하부로 이송.정렬시킨 다음 상기 포크프레임의 작동에 의해 내향되게 형성된 다수의 지지간 상에 탑재된 차량이 상기 팔레트에 외향되게 형성된 다수의 지지간으로 인계되도록 한 후 상기 대차에 의 해 차량이 탑재된 팔레트를 격납실에 주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입.출고시 리프트에 빈 팔레트를 대기시킬 필요없이 리프트와 팔레트 간에 차량을 직접 전달케하여 리프트에 대기하는 팔레트를 원위치시키는 동작이 필요없게 되므로 리프트와 대차의 작동이 간소화되어 입.출고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상기 리프트와 대차를 작동시키는데 소요되는 전력소모를 최소화하여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어진 공간에 많은 수의 차량을 주차하여 주차효율을 높이는 방법의 평면왕복식 주차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격납실(20)이 마련되는 격납층은 다수로 구성되고, 각 격납층에는 별도의 대차(10)가 각각 배치되는데, 상기 격납층은 상기 대차(10)가 전/후 주행되는 통로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다수의 격납실(20)을 형성하고, 이 격납실(20)의 한쪽 열에 차량(A)이 탑재된 팔레트(40)를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30)가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종래의 평면왕복식 주차장치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납실(20)에 주차된 차량을 출고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출고 지정된 층의 임의의 주행레일(50) 상에 위치된 대차(10)를 작동시켜 출고할 차량(A)의 위치까지 이송시킨 다음 상기 대차(10)에 차량(A)이 탑재된 팔레트(40)를 격납실(20)에서 횡행으로 이송시켜 대차(10)의 상부로 탑재한 상태에서 상기 주행레일(50)을 따라 상기 대차(10)를 리프트(30)의 위치까지 주행.이송시켜 정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대차(10)가 작동하는 도중에는 주차장치의 입고부에 대기하고 있던 리프트(30) 상에는 비어있는 팔레트(40)가 올려져 있으므로 상기 리프트(30)를 작동시켜 그 상부 에 위치한 팔레트(40)를 원위치 격납층 임의의 장소에 설치된 다른 대차(10)에 의해 비어있는 격납실(20)에 격납시켜 상기 리프트(30)의 상부가 비워진 상태가 되게 한 후 상기 리프트(30)를 추가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여 출고되는 차량의 격납층으로 이동.정렬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동된 상기 리프트(30)에 출고예정인 차량(A)이 탑재된 팔레트(40)를 격납층에 설치된 상기 대차(10)가 이송시켜 리프트(30) 상에 올려놓게 되면 상기 리프트(30)가 작동하여 주차장치의 입고부로 이송되게 되어 차량(A)을 출고하게 되는 것이며, 출고 후 비어있는 팔레트(40)가 상부에 탑재된 상태의 리프트(30)는 대기상태를 유지하거나 차량(A)의 연속 출고시 상기의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A)을 입고시킬 경우에는 입고부에 대기하고 있는 상기 리프트(30)의 상부에 올려진 빈 팔레트(40)의 상부에 차량(A)을 위치시키면 상기 팔레트(40)와 차량(A)이 탑재된 리프트(30)가 작동하여 입력될 격납층으로 이동하면, 지정된 격납층 임의의 위치에 대기중인 대차(10)는 리프트(30)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대차(10)에 차량(A)과 팔레트(40)를 견인시킨 후 대차(10)가 주행 이동하여 지정된 격납실(20)에 상기 차량(A)과 팔레트(40)를 격납시키는 동시에 입고 지정된 격납층 외 타 격납층의 빈 팔레트(40)를 그 층에 설치된 대차(10)가 주행이동하여 올려놓고, 지정된 격납층에서 추가 승/하강한 상기 리프트(30)의 위치로 이송시킨 다음 빈 팔레트(40)를 상기 리프트(30)의 상부로 옮겨 탑재시키면 상기 리프트(30)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입고부에 위치되어 대기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입고시의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평면왕복식 주차장치는 입고부에 항상 빈 팔레트(40)를 대기시키고 있어야 하므로 차량(A)의 입고시 상기 차량(A)이 탑재된 팔레트(40)를 격납실(20)에 격납한 후 다른 빈 팔레트(40)를 견인하여 상기 리프트(30)의 상부에 위치시켜 입고 대기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며, 차량(A)의 출고시에는 상기 리프트(30) 상에 대기중인 빈 팔레트(40)를 소정의 위치 즉, 비어있는 격납실(20)에 상기 팔레트(40)를 격납시켜 상기 리프트(30)의 상부를 비운 상태에서 리프트(30)를 지정된 층으로 추가 승/하강시켜 출고 지시된 차량(A)이 탑재된 팔레트(40)를 이송 및 출고시켜야 하므로 작동단계가 많고 복잡하여 입.출고 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많은 작동에서 발생되는 소요동력의 전력소모가 많아 유지비용에 많으므로 사용자의 불편과 관리자의 비용부담을 증가시키는 현실이다.
한편, 상기 대차(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프레임(12)의 각 모서리부에 주행레일(50)을 매개로 전후방향으로 구동되는 주행휠(14)이 설치되고, 이 주행휠(14)이 구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16a) 및 구동축(16b)을 포함하는 주행구동부(16)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12)의 횡축으로 다수의 횡행로울러(17)가 2열로 배치되어 설치되고 이 횡행로울러(17)가 정역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횡행로울러 구동모터(18a)와, 구동축(18b) 및 구동체인(18c) 등으로 구성되어 설치되는 횡행구동부(18)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10)의 프레임(12) 양단부에는 견인수단(19)이 설치되어 격납실(20)에 격납된 팔레트(40)를 상기 횡행로울러(17)의 상면 으로 축출하게 되는데, 상기 견인수단(19)은 후크(19a)와 이 후크(19a)에 구동력을 인가시키는 후크모터(19b) 및 구동체인(19c)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부품이 설치된 상기 대차(10)의 작동은 먼저, 주행구동부(16)의 구동모터(16a)을 구동시켜 주행휠(14)이 일방향으로 회전되게 하여 상기 대차(10)가 지정된 팔레트(40)가 위치한 곳까지 주행이송되면 ,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후크모터(19b)를 작동시켜 상기 후크(19a)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동하는 상기 후크(19a)에 팔레트(40)의 단부가 걸려 상기 대차(10) 측으로 당겨지며, 횡행로울러 구동모터(18a)를 구동시켜 횡행로울러(17)를 회전하여 팔레트(40)를 대차 상부로 횡행이송시킨 후 상기 대차를 주행시켜 리프트로 주행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후크(19a)에 의해 팔레트(40)를 견인하는 방식을 후크방식(Hooking type)이라 한다.
한편, 상기 후크(19a)작동에 의한 팔레트(40)를 축출하는 방식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이를 개선한 마찰롤러방식(Friction roller type)이 근래에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마찰롤러방식의 견인수단(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10)의 중앙에 설치되는 구동모터(62)와, 상기 구동모터(62)의 양측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며 그 길이를 조절하는 압압로드(64)와, 상기 압압로드(64)의 일단에 각각 체결되며 대차(10)의 양측단부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유동레일(68) 상에 설치되는 유동판(66)과, 상기 유동판(66) 상에는 그 일측에 장착되는 별도의 구동모터(70)와 체인(72)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 역할과 상기 팔레트(40)를 축출하여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마찰롤러(74)가 일체로 설치되어 구성되며, 이에 적용 되는 팔레트(40)는 그 하부에 마찰플레이트(42)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되, 상기 팔레트(40)의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로 제공되게 된다.
이와 같이 대차(10)의 양측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동일하게 작동되는 견인수단(60)의 작용은 먼저, 상기 대차(10)가 주행 및 이송되어 팔레트(40)의 일측과 접하게 되면 대차(10) 중앙에 설치된 구동모터(62)를 구동시켜 이와 연동된 압압로드(64)를 회전하며 그 길이가 연장되어 그 일단에 각각 체결된 유동판(66)을 상기 팔레트(40) 측으로 밀어넣어 상기 마찰롤러(74) 사이에 마찰플레이트(42)의 일단이 긴밀하게 끼워지게 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62)를 다시 역으로 구동시켜 상기 압압로드(64)의 길이를 줄여 유동판(66)을 원상복귀시키면 상기 마찰롤러(74)에 의해 팔레트(40)가 대차(10) 측으로 축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작동과 동시에 상기 유동판(66)에 별도로 장착된 구동모터(70)를 구동하여 상기 마찰롤러(74)를 회전시켜 그 사이에 긴밀하게 끼워진 마찰플레이트(42)를 마찰력에 의해 대차(10) 측으로 끌어당겨 견인하여 상기 대차(10)의 상부에 팔레트(40)가 탑재 및 정렬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마찰롤러방식에 사용되는 대차(10)의 견인수단(60)은 그 설치가 매우 까다롭고 번거로워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고장에 대비하여 보수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대차프레임 측면에 별도 공간을 포함하여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중량체여서 유동에 따른 전력의 소모가 많아 효율성이 저하되었고, 무엇보다 상기 팔레트(40)를 축출하기 위해 구동모터(62)를 구동시킬 경우 압압로드(64)나 기타 수단에 의해 일체형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된 양측의 유동판(66) 모두가 이송되어 불필요한 다른 유동판(66)까지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구동부의 용량증가 및 큰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가 요구되어 경제성을 저하시키며 또한, 주차 공간이 비효율적으로 활용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됨은 물론 상기 유동판을 이송시키는 구동모터 및 압압로드의 고장시 대차 양측을 모두 사용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고, 상기 팔레트는 차량의 길이와 폭 이상의 치수로 형성되는 구조물인 관계로 중량이 많고 부피가 커 운반이 매우 곤란하여 현장 설치시 충분한 공간확보 없이는 설치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후크 및 마찰롤러방식 외에 체인 드라이빙 후크방식(Chain driving hook type)이 사용되어 왔으나 그 실효를 거두지는 못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근래의 중.고속 주차장치에는 마찰롤러방식을, 중.저속 주차장치에는 후크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고안은 차량의 입.출고시 상기 차량을 층간 이동시키는 리프트에 포크식 프레임을 설치하여 리프트 상에 차량의 입.출고를 신속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동 절차의 간소화로 전력소비를 최소화하여 효율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대차의 양측에 설치되는 견인수단 및 축출수단이 각각의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게 하여 구동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구비되는 구동부의 구동용량 즉, 구동모터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하여 대차설치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포크식 조립형 팔레트를 이용하므로 중량 감소 및 조립이 용이한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다수의 격납층으로 이루어지며, 입고부에 위치되는 차량을 탑재하여 상하수직승강부에 의해 이송시키는 리프트가 설치되고, 각 층에는 차량이 탑재되어 있거나 비어있는 상태의 팔레트를 이송하는 대차가 주행레일을 따라 운행되며, 상기 대차에 의해 이송된 팔레트를 격납시키는 다수의 격납실이 형성된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중량을 지탱할 수 있도록 다수의 빔을 직사각형 형태가 되게 용접 또는 볼트조립으로 고정되며, 모서리부와 중앙부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에 의해 일정 높이가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상/하부틀과, 상기 상부틀 상에는 다수의 지지간과 데크를 일체로 형성하고, 일측에는 팔레트를 이동시키 위한 견인수단과, 이 견인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팔레트를 안내 및 지지하는 안내롤러가 설치되며,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 상에는 그 양측면에 2개 1조로 된 지지롤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지롤러 사이에 위치되어 안전하게 승/하강되는 가이드가 모서리부에 수직으로 각각 설치되며, 중앙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상에는 2개 1조의 지지롤러를 설치하여 이 지지롤러 사이에 상기 상/하부틀의 중앙부에 설치된 지지대가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의 상/하부에는 다수의 빔을 일체로 연결.고정시켜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되, 내측 상부에는 각각 다수의 지지간을 내향되게 형성하여 그 상부 에 차량이 탑재되는 포크프레임과, 상기 포크프레임과 연결되어 소정의 동력 전달에 의해 상기 포크프레임을 일정 높이로 승/하강시키는 승강구동부가 일체로 설치된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의 상부 또는 주행레일을 따라 해당 층을 운행하며 차량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직사각형 형태의 본체 양측에는 소정의 동력을 발생하는 각각의 구동모터와 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는 주행휠과 보조휠이 본체의 양측 전/후방에 각각 다수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소정의 동력으로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견인수단과 상기 견인수단을 소정의 동력으로 좌/우 유동이 가능하게 하여 상기 팔레트를 격납실로부터 축출하는 축출수단이 일체로 설치된 대차와; 상기 대차에 설치된 견인수단 및 축출수단의 작동에 의해 리프트 또는 대차의 상부로 탑재되거나 차량을 탑재한 상태로 격납실에 격납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그 길이보다 더 연장된 길이로 구비되는 마찰봉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저면에는 다수의 견인휠이 설치되고, 전/후면 양측에는 포크형태의 지지간이 각각 외향되게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팔레트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 예시도 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를 확대 도시해 보인 평면 예시도 이며, 도 8a, 8b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작동 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 예시도, 도 9는 도 7의 측면 예시도, 도 10a, 10b는 본 고안에 따른 포크프레임을 확대 도시해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1a, 11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승강구동 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대차를 확대 도시해 보인 평면 예시도, 도 13은 도 12의 정면 예시도, 도 14는 도 12의 측면 예시도,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팔레트를 확대 도시해 보인 평면 예시도, 도 16은 도 15의 정면 예시도, 도 17a, 17b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출.입고시의 작동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개요도, 도 18a, 18b는 도 17a, 17b의 주차시스템에 의한 주차방법을 각각 도시해 보인 상세 설명도 및 도 19a, 19b는 도 18a, 18b의 주차방법을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예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는 다수의 격납층으로 이루어지며, 입고부(1)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상하수직구동부(7)에 의해 그 상부에 탑재되는 차량(A)을 승/하강시켜 지정된 층으로 이송하는 리프트(100)와, 견인수단(200)과, 축출수단(300)과, 상기 리프트(100)에 탑재된 차량(A)을 넘겨받아 격납실(5)로 이송하는 대차(400)와, 상기 대차(400)의 상부에 탑재되어 상기 리프트(100)로부터 차량(A)을 인계받아 그 상부에 탑재시킨 상태로 격납실(5)에 격납되어지는 팔레트(5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리프트(10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틀(110)과, 포크프레임(120)과, 승강구동부(130) 및 상기 리프트(10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견인수단(20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상/하부틀(110)(110')은 다수의 빔이나 사각 파이프를 평탄하게 서로 교차시켜 견고하게 용접 또는 볼트조립으로 고정시키되, 상기 상부틀(110)의 양측에는 서로 외향되게 다수의 지지간(11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그 사이에는 차량(A)이 안전하게 탑재될 수 있도록 소정 면적의 데크 (114)가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일체로 조립.설치되고, 상기 상부틀(110) 상의 중앙부 양측에는 각각 안내롤러(150)를 설치하여 상기 팔레트(500)가 안전하게 리프트(100) 상에 안내되어 탑재될 수 있도록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틀(110)(110') 사이에는 다수의 지지대(116)를 수직으로 설치하되, 상기 다수의 지지대(116) 중 상/하부틀(110)(110') 중앙부를 지지하는 지지대(116')를 제외한 나머지 지지대(116)의 양측면 상에는 각각 2개 1조의 지지롤러(118)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상부틀(110) 양측으로 포크형태의 지지간(112) 다수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지지간(11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소정 면적을 갖는 금속판의 데크(114)를 일체로 체결.고정시키되, 상기 다수의 지지간(112)은 체결공(도시하지 않음)이 다수 형성된 금속재질의 체결판(112') 상에 포크형태가 되도록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상부틀(110)에 볼트(B)로 체결.고정시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크프레임(120)은 도 10a,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틀(110)의 내부로 설치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모서리부와 중앙부에는 각각의 가이드(122)(122')를 수직으로 설치하되, 상기 모서리부에 형성된 가이드(122)는 상기 상/하부틀(110)(110')의 모서리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대(116) 상에 설치된 지지롤러(118) 사이에 각각 긴밀하게 삽입되어 승/하강시 상기 지지롤러(118)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중앙부에 설치된 가이드(122') 상에는 2개 1조의 지지롤러(124)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상/하부틀(110(110')의 중앙부 지지대(116')를 따라 상/하 유동하며 상기 포크프레임(120)이 지지되도록 하면 되 는데 이때, 상기 모서리부의 가이드(122)의 일측면에는 소정 높이를 갖는 랙기어(138)가 각각 일체로 장착되며, 상기 포크프레임(120) 내측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지지간(126)을 일정 간격으로 내향되게 형성하여 상기 지지간(126)의 상부에 차량(A)이 탑재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다수의 지지간(126)은 체결공(도시하지 않음)이 다수 형성된 금속재질의 체결판(126') 상에 포크형태가 되도록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포크프레임(120)에 볼트(B)로 체결.고정시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구동부(130)는 소정의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포크프레임(120)을 일정 높이로 승/하강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틀(110')의 중앙에 일정 높이로 이격.설치되는 구동모터(M1)와, 상기 구동모터(M1)와 연동되게 양측으로 각각 연장.설치되어 소정의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132)과, 상기 회전축(132)의 단부와 결합되어 그 회전력을 감속시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틀(11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감속기(R1)와, 상기 감속기(R1)의 전/후방으로 각각 연장.설치되어 연동되는 샤프트(134)와, 상기 샤프트(134)의 단부에 일체로 축설되어 회전되는 다수의 피니언기어(136)과, 상기 피니언기어(136)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포크프레임(120)의 가이드(122) 상에 각각 장착되는 랙기어(1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피니언기어(136)의 회전력에 의해 랙기어(138)가 승/하강하며 이와 일체로 된 상기 포크프레임(120) 전체가 일정 높이로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1a,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부(130)는 상기 하부틀(110')의 중앙에 일정 높이로 이격.설치되는 구동모터(M1)와, 상기 구동모터(M1)와 연동되게 양측으로 각각 연장.설치되어 소정의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132)과, 상기 회전축(132)의 단부와 결합되어 그 회전력을 감속시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틀(11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감속기(R1)와, 상기 감속기(R1)와 체인(142)으로 연결되는 회전하는 연동기어(140)가 일체로 축설되며, 상기 연동기어(1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도록 다수의 베어링(142')에 의해 상기 하부틀(110')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축(144)과, 상기 구동축(144)의 양단부에 각각 편심되게 축설되어 편심 회전하는 다수의 캠(146)과, 상기 캠(146)의 외주연과 접하여 상기 캠(146)의 편심회전에 의해 회전하며 승/하강되는 다수의 승강롤러(148)가 상기 포크프레임(120) 하부에 각각 일체로 설치된 것이다.
상기 견인수단(200)은 상기 리프트(100)의 상부틀(110) 일측에 설치된 안내롤러(150)의 측간 거리에 일체로 설치되는 소정 면적을 갖는 견인판(212)과, 상기 견인판(212)의 일단에 설치되어 소정의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M2)와, 상기 구동모터(M2)의 회전력을 감소시키는 감속기(R2)와, 상기 감속기(R2)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연동.회전되며 한쌍으로 구비되는 회전기어(214)와, 상기 회전기어(214)와 치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견인판(212)의 일측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고정축(216) 상에 각각 일체로 축설되어 회전되는 평기어(218) 및 스프로킷(220)과, 상기 스프로킷(220)과 체인(222)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스프로킷(220')이 상기 견인판(212)의 타측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고정축(224) 상에 축설되고, 상기 스프로킷(220')의 상부로는 각각 마찰롤러(226)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축설시켜서 된 것으로서, 상기 팔레트(500)가 대차(400)로부터 밀려나오면 동시에 작동되어 상 기 리프트(100)의 상부틀(110)로 탑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대차(400)는 각 층에 설치된 주행레일(3)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양측에 설치되는 견인수단(200)과 상기 견인수단(200)을 좌/우 유동시키는 축출수단(30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본체(410)는 다수의 빔이 직사각형 형태로 용접.고정되어 형성되며, 소정의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M3)와 상기 구동모터(M3)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412) 및 상기 회전축(412)에 축설되어 회전되거나 상기 주행레일(3)이 그 사이에 위치되는 다수의 주행휠(414)과 보조휠(414')을 상기 본체(410)의 전방 양측과 그 하부에 각각 일체로 설치하고, 본체(410)의 후방 양측과 그 하부에는 다수의 보조휠(414')만을 각각 설치하여 상기 대차(400)가 주행레일(3)을 따라 안정되게 운행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며, 여기서 미설명 부호 416은 안내롤러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대차(400)의 상부로 팔레트(500)가 탑재되거나 탑재된 팔레트(500)가 축출.견인될 때에 그 수평 이동상태가 유지되도록 견고하게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견인수단(200)은 상기 리프트(100)에 설치된 견인수단(200)과 동일하게 구비되어 상기 대차(400)의 본체(410)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팔레트(500)를 대차(400)의 본체(210) 상부로 끌어당기거나 상기 리프트(100) 또는 격납실(5)로 밀어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축출수단(300)은 상기 대차(400)의 양측에 설치된 견인수단(200)을 좌/우로 유동시켜 상기 팔레트(500)를 격납실(5)로부터 축출하거나 격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대차(400)의 본체(410)의 양측 전/후방에 각각 설치.고정되어 소정의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M4)와, 상기 구동모터(M4)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기어(310)와, 상기 피니언기어(310)와 치합되어 상기 견인수단(200)의 견인판(212)을 좌/우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견인판(212)의 전/후방 일측에 장착되는 랙기어(312)와, 상기 랙기어(312)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410)의 양측에 설치되는 축출레일(314)을 따라 좌/우 유동되는 유동롤러(316)와, 상기 견인판(212)의 저면에 설치되어 수평 유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수평롤러(318)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한편, 상기 팔레트(500)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400)에 설치된 견인수단(200) 및 축출수단(300)에 의해 축출되거나 격납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데 저면 중앙에는 팔레트(500) 전체의 길이보다 긴 사각파이프 또는 소정 두께 및 길이를 갖는 금속부재로 구비되는 마찰봉(510)을 길이방향으로 설치.고정하고, 저면의 전/후방에는 상기 대차(400) 및 리프트(100)의 상부 또는 격납실(5)로의 축출 및 탑재시 그 이동이 원활하도록 각각 다수의 견인휠(520)이 설치하며, 전/후면 양측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지지간(530)을 포크형태가 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외향되게 설치하되, 상기 다수의 지지간(530)은 체결공(도시하지 않음)이 다수 형성된 금속재질의 체결판(530') 상에 포크형태가 되도록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팔레트(500)의 전/후방에 각각 볼트(B)로 체결.고정시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다수의 구성 부품이 견고하게 조립.체결되어 각각의 위치에 설치 된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를 이용한 주차방법은 도 17a, 18a, 19a에서와 같이 입고 1단계 ~ 입고 6단계(S1 ~ S6)까지는 차량(A)을 지정된 격납실(5)에 입고시키는 주차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고, 도 17b, 18b, 19b에서와 같이 출고 1단계 ~ 출고 5단계(S1' ~ S5')는 격납실(5)에 입고된 차량(A)을 축출하여 출고시키는 주차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차량(A)의 입고시 주차방법의 단계를 입체주차장치의 작용과 더불어 설명한다.
먼저, 상기 입고 1단계(S1)는 입체주차장치의 격납실(5)에 차량(A)을 주차할 경우에는 입고부(1)에 위치.대기중인 상기 리프트(100)의 상부틀(110)에 형성된 다수의 지지간(112)과 데크(114)와 상기 지지간(112)과 엇갈리게 형성된 포크프레임(120)의 지지간(126) 상부에 차량(A)을 탑재 및 정렬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 입고 2단계(S2)는 상기 리프트(100) 상에 차량(A)이 탑재되면 상하수직승강부(7)의 구동으로 수직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여 지정된 층으로 리프트(100)가 이송되며, 상기 리프트(100)에 설치된 승강구동부(130)가 가동하여 포크프레임(120)과 차량(A)을 일정 높이로 승강시키게 되는데, 상기 승강구동부(130)의 작동은 먼저, 구동모터(M1)가 구동되어 그 양측으로 연장된 회전축(132)을 회전시켜 하부틀(1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감속기(R1)에 상기 구동모터(M1)의 동력을 전달하면, 상기 감속기(R1)의 전/후방으로 각각 연장되게 설치된 각각의 샤프트(134)가 회전하며, 상기 샤프트(134)에 축설된 피니언기어(136)가 회전하여 이와 치합된 지지대(122) 상의 랙기어(138)에 상기 구동모터(M1)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차량(A)이 탑재된 상기 포크프레임(120)을 일정 높이까지 상승시켜 정지 상태로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부(13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크프레임(120)의 승/하강 작동은 먼저, 구동모터(M1)가 구동되어 그 양측으로 연장된 회전축(132)을 회전시켜 하부틀(1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감속기(R1)에 상기 구동모터(M1)의 동력을 전달하면, 상기 감속기(R1)와 체인(142)으로 각각 연결된 연동기어(140)가 일체로 축설된 구동축(144)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축(144)의 양단부에 각각 편심되게 축설된 캠(146)이 편심회전하되, 그 편심이 최대로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정지하게 되면 그 외주연과 접한 승강롤러(148)가 회전되며 상기 캠(146)의 편심된 높이만큼 상승하여 상기 포크프레임(120) 전체가 일정 높이로 상승하게 되어 그 상태가 유지되게 되는 것이며, 이후 상기 포크프레임(120)의 하강시 상기 구동모터(M1)를 정 또는 역으로 구동시켜 상기 캠(146)의 편심이 최하인 시점에서 그 외주연과 접한 승강롤러(148)를 하강하여 상기 포크프레임(120) 전체가 상부틀(11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지정된 층의 주행레일(3)에 대기하고 있던 대차(400)는 본체(410)의 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된 구동모터(M3)와 회전축(412)에 의해 주행휠(414)를 구동시켜 지정된 격납실(5)에 격납된 팔레트(500)의 위치로 이송되면 상기 축출수단(300)의 구동모터(M4)가 작동되어 피니언기어(310)를 회전시키고, 이와 치합된 랙기어(312)가 일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랙기어(312)와 일체로 된 견인판(212)에 설치된 유동롤러(316)가 축출레일(314)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견인수단의 마찰롤러 사이에 상기 팔레트(500)의 저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마찰봉(510)이 긴밀하게 끼워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견인판(212)은 그 저면에 설치된 다수의 수평롤러(318)에 의해 안전하게 수평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말찰봉(510)이 마찰롤러(226) 사이에 끼워지면 상기 축출수단(300)의 구동모터(M4)가 역으로 구동되어 상기 견인판(212)을 원상복귀시켜 상기 팔레트(500)를 격납실(5)로부터 축출함과 동시에 상기 견인수단(200)의 구동모터(M2)를 구동시켜 이와 연동된 감속기(R2)의 회전기어(214)와, 평기어(218) 및 스프로킷(220)이 체인(222)으로 연결된 스프로킷(220')과 마찰롤러(226)를 각각 회전시켜 그 사이에 위치된 마찰봉(510)을 대차(400)의 상부로 끌어당겨 상기 격납실(5)로부터 팔레트(500)를 견인함과 동시에 상기 안내롤러(416)에 의해 대차(400)의 본체(410) 상부로 안전하게 탑재되어 고정된 상태로 상기 리프트(100)가 승/하강하여 정지되는 측으로 이송시키면 되는데 이때, 상기 팔레트(500)의 저면에는 다수의 주행휠(520)이 설치되어 상기 대차(400)의 본체(210) 상으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고 3단계(S3)는 리프트(100)의 포크프레임(120)과 그 상부에 탑재된 차량(A)이 일정 높이로 승강된 상태에서 지정된 층으로 이송되면, 주행레일(3)을 따라 이송되던 상기 대차(400)가 리프트(100)와 직선 상태가 되도록 일치.정렬되면서 대차(400) 본체(410)에 설치된 견인수단(200)과 상기 리프트(100)의 상부틀(110) 상에 설치된 견인수단(200)의 구동모터(M3)에 의해 작동되는 마찰롤러(226)를 회전시켜 그 상부에 탑재된 팔레트(500)의 마찰봉(310)을 회전 마찰력에 의해 밀어넣어 견인하여 상기 리프트(100)의 상부틀(110) 상으로 진입 즉, 승강구동부(130)의 작동에 의해 승강된 포크프레임(120)과 상부틀(110) 사이에 발생된 틈에 상기 팔레트(500)를 안전하게 견인 및 정렬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리프트(100)의 상부틀(110) 상에 설치된 다수의 안내롤러(150) 사이에 상기 마찰봉(510)이 삽입되어 수평 견인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고 4단계(S4)는 상기 입고 3단계(S3)에 의해 팔레트(500)가 리프트(100) 상부틀(110) 상에 위치.정렬되면 상기 리프트(100)에 설치된 승강구동부(130)를 역으로 작동시켜 일정 높이로 승강되어 있던 상기 포크프레임(120)을 하강시키면, 상기 포크프레임(120)에 내향되게 형성된 다수의 지지간(126)과 상기 팔레트(500)에 형성된 다수의 지지간(530)이 서로 교차하며 상기 팔레트(500)의 지지간(530) 상부로 차량(A)이 자연스럽게 인계되며 탑재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입고 5단계(S5)는 상기 팔레트(500)에 차량(A)이 탑재되면 상기 리프트(100)와 대차(400)의 견인수단(200)을 동시에 역으로 작동하여 상기 팔레트(500)의 마찰봉(510)을 다시 끌어당겨 차량(A)이 탑재된 팔레트(500)를 대차(400)의 본체(410) 상부에 안전하게 탑재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 입고 6단계(S6)는 차량(A) 입고시의 마지막 단계로서, 상기 대차(400)의 본체(410) 상부에 차량(A)과 팔레트(500)가 탑재되면 구동모터(M3)를 작동하여 이 구동모터(M3)의 회전력이 회전축(412)으로 전달되어 상기 회전축(412)에 축설된 주행휠(414)이 구동하게 되고, 상기 본체(410)의 양측 저면에 설치된 다수의 보조휠(414')에 의해 안전하게 주행레일(3)을 따라 지정된 격납실(5)의 위치로 이동되 게 되며, 이어서 상기 대차(400)에 설치된 견인수단(200)의 구동모터(M3)가 구동하여 이 구동에 의해 연동되는 견인판(212) 상의 마찰롤러(226)도 고정축(22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사이에 긴밀하게 끼워져 있던 상기 마찰봉(510)을 밀어내어 상기 차량(A)이 탑재된 상태의 팔레트(500)를 격납실(5)로 견인하게 되는 것이며, 이어서 상기 축출장치(300)가 작동하여 상기 마찰롤러(226)에 끼워져 있던 마찰봉(510)의 단부를 격납실(5)의 내측으로 더 밀어 상기 팔레트(500)를 안전하게 격납실(5)에 격납시킴과 동시에 상기 차량(A)이 팔레트(500)로 인계되어 상기 리프트(100)의 포크프레임(120)이 비어있는 상태가 되면 상기 상하수직승강부(7)를 작동시켜 리프트를 입고부(1)에 이송시키거나 대기하거나, 상기 단계를 반복 또는 출고를 위해 지정된 격납층으로 이송시키면 된다.
한편, 상기한 차량(A)의 출고시 주차방법의 단계를 입체식주차장치의 작용과 더불어 설명한다.
상기 출고 1단계(S1')는 주차되어 있는 차량(A)을 출고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먼저, 지정된 격납층의 대차(400)가 지정된 격납실(5)로 주행레일(3)을 따라 이송되어 차량(A)이 탑재된 팔레트(500)를 상기 견인수단(200) 및 축출수단(300)을 작동시켜 축출.견인하여 상기 대차(400)의 상부로 탑재한 다음 그 전방 양측에 설치된 구동모터(M3)와 회전축(412)을 구동시켜 상기 회전축(412)에 축설된 다수의 주행휠(414)를 구동하여 상기 리프트(100)가 위치될 지점으로 운행함과 동시에 입고부(1)에서 대기중인 리프트(100)는 상하수직승강부(7)를 가동하여 해당 층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출고 2단계(S2')는 상기 리프트(100)가 지정된 해당 층으로 승/하강되어 정지하면 상기 대차(400)와 리프트(100)에 설치된 각각의 견인수단(200)을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시켜 리프트(100) 측으로 미는 동시에 끌어당기도록 하여 상기 차량(A)이 탑재된 팔레트(500)를 리프트(100)의 상부틀(110)로 안전하게 견인되는데 이때, 상기 상부틀(110) 상에 설치된 다수의 안내롤러(150)에 의해 상기 팔레트(500)가 수평.이송되어 정렬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출고 3단계(S3')는 상기 팔레트(500)가 리프트(100) 상부로 진입되면 상기 승강구동부(130)가 작동하여 구동모터(M1)의 구동에 의해 각각의 회전축(132)과, 감속기(R1), 샤프트(134) 및 상기 샤프트(134)에 축설된 피니언기어(136)가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피니언기어(136)와 치합되는 랙기어(138)가 장착된 가이드(122)가 승강되어 상기 포크프레임(120) 전체가 일정 높이로 승강되면, 상기 포크프레임(120)의 내측에 내향되게 설치된 포크형태의 지지간(126)과 상기 팔레트(500)의 양측에 외향되게 설치된 포크형태의 지지간(530)이 서로 교차되며 상기 포크프레임(120)의 지지간(126) 상부에 상기 팔레트(500)에 탑재되어 있던 차량(A)이 인계 및 탑재됨과 동시에 소정 높이로 승강되어 정지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출고 4단계(S4')는 상기 출고 3단계(S3')에서 포크프레임(120)의 지지간(126)에 차량(A)이 탑재되면 상기 리프트(100)와 대차(400)에 설치된 견인수단(200)을 가동하여 리프트(100)의 상부틀(110)에 탑재된 빈 팔레트(500)를 각각 밀고 끌어당겨 대차(400) 본체(210) 상에 탑재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 출고 5단계(S5')는 차량(A) 출고시의 마지막 단계로서, 상기 대차(400)의 본체(410)에 빈 팔레트(500)가 탑재되면 그 양측에 설치된 구동모터(M3)의 회전축(412)이 주행휠(414)를 구동시켜 설치된 주행레일(3)을 따라 대차(400)의 운행이 계속되다가 비어있는 격납실(5)의 전방에 정지한 다음 상기 대차(400) 본체(410)에 설치된 견인수단(200) 및 축출수단(300)을 재가동시켜 상기 빈 팔레트(500)를 격납실(5)에 밀어넣어 격납시키거나, 연속해서 입고되는 차량(A)을 위해 상기 빈 팔레트(500)를 상기 대차(400)상에 탑재한 상태로 대기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팔레트(500)가 리프트(100)의 상부로부터 벗어나면 상하수직승강부(7)를 작동시켜 상기 리프트(100)를 입고부(1) 측으로 승강 또는 하강시키며 상기 승강구동부(130)를 역으로 작동시켜 일정 높이로 승강된 상태의 포크프레임(120)을 상부틀(110)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강시켜 상기 포크프레임(120)의 지지간(126)에 탑재된 차량(A)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출고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당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적 실시예가 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 및 주차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입.출고시 상기 차량을 층간 이동시키는 리프트 상에 팔레트를 대기시키지 않도록 하여 상기 리프트 및 대차의 작동을 최소화시켜 차량의 입.출고를 신속하게 할 수 있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송 및 운반작동에 따른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상기 리프트에 팔레트가 없는 상태에서 차량을 진입시키므로 종래의 진입층에 팔레트 대기시 제한된 팔레트 크기 내에 운전자가 직접 차량을 정위치시키기 위한 불편을 해소하고, 공간 절감이 가능하여 차량의 높이가 높거나 폭이 넓은 차량도 쉽게 입고시킬 수 있어 어떤 종류의 차량도 수용이 가능하며, 대차의 양측에 설치되는 견인수단 및 축출수단이 각각의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게 하여 구동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비되는 구동부의 구동용량 즉, 구동모터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하여 주차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설치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 다수의 격납층으로 이루어지며, 입고부에 위치되는 차량을 탑재하여 상하수직승강부에 의해 이송시키는 리프트가 설치되고, 각 층에는 차량이 탑재되어 있거나 비어있는 상태의 팔레트를 이송하는 대차가 주행레일을 따라 운행되며, 상기 대차에 의해 이송된 팔레트를 격납시키는 다수의 격납실이 형성된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상기 차량(A)의 중량을 지탱할 수 있도록 다수의 빔을 직사각형 형태가 되게 용접 또는 볼트조립으로 고정되며, 모서리부와 중앙부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116)(116')에 의해 일정 높이가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상/하부틀(110)(110')과, 상기 상부틀(110) 상에는 다수의 지지간(112)과 데크(114)를 일체로 형성하고, 일측에는 팔레트(500)를 이동시키 위한 견인수단(200)과, 이 견인수단(200)에 의해 이동되는 팔레트(500)를 안내 및 지지하는 안내롤러(150)가 설치되며,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116) 상에는 그 양측면에 2개 1조로 된 지지롤러(118)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지롤러(118) 사이에 위치되어 안전하게 승/하강되는 가이드(122)가 모서리부에 수직으로 각각 설치되며, 중앙부에는 별도의 가이드(122')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중앙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122') 상에는 2개 1조의 지지롤러(124)를 설치하여 이 지지롤러(124) 사이에 상기 상/하부틀(110)(110')의 중앙부에 설치된 지지대(116')가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122)(122')의 상/하부에는 다수의 빔을 일체로 연결.고정시켜 서로 마주보게 설치 하되, 내측 상부에는 각각 다수의 지지간(126)을 내향되게 형성하여 그 상부에 차량(A)이 탑재되는 포크프레임(120)과, 상기 포크프레임(120)과 연결되어 소정의 동력 전달에 의해 상기 포크프레임(120)을 일정 높이로 승/하강시키는 승강구동부(130)가 일체로 설치된 리프트(100)와;상기 리프트(100)의 상부 또는 주행레일(3)을 따라 해당 층을 운행하며 차량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직사각형 형태의 본체(410) 양측에는 소정의 동력을 발생하는 각각의 구동모터(M3)와 회전축(412)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M3)와 회전축(412)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는 주행휠(414)과 보조휠(414')이 본체(410)의 양측 전/후방에 각각 다수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4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소정의 동력으로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견인수단(200)과 상기 견인수단(200)을 소정의 동력으로 좌/우 유동이 가능하게 하여 상기 팔레트(300)를 격납실(5)로부터 축출하는 축출수단(300)이 일체로 설치된 대차(400)와;상기 대차(400)에 설치된 견인수단(200) 및 축출수단(300)의 작동에 의해 리프트(100) 또는 대차(400)의 상부로 탑재되거나 차량(A)을 탑재한 상태로 격납실(5)에 격납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그 길이보다 더 연장된 길이로 구비되는 마찰봉(510)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저면에는 다수의 견인휠(520)이 설치되고, 전/후면 양측에는 포크형태의 지지간(530)이 각각 외향되게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팔레트(50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130)는 상기 하부틀(110')의 중앙에 일정 높이로 이격.설치되는 구동모터(M1)와, 상기 구동모터(M1)와 연동되어 각각 양측으로 연장.설치되어 소정의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132)과, 상기 회전축(132)의 단부와 결합되어 그 회전력을 감속시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틀(11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감속기(R1)와, 상기 감속기(R1)의 전/후방으로 각각 연장.설치되어 연동되는 샤프트(134)와, 상기 샤프트(134)의 단부에 일체로 축설되어 회전되는 다수의 피니언기어(136)와, 상기 피니언기어(136)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포크프레임(120)의 가이드(122) 상에 각각 장착되는 랙기어(1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130)는 상기 하부틀(110')의 중앙에 일정 높이로 이격.설치되는 구동모터(M1)와, 상기 구동모터(M1)와 연동되게 양측으로 각각 연장.설치되어 소정의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132)과, 상기 회전축(132)의 단부와 결합되어 그 회전력을 감속시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틀(11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감속기(R1)와, 상기 감속기(R1)와 체인(142)으로 연결되는 회전하는 연동기어(140)가 일체로 축설되며, 상기 연동기어(1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도록 다수의 베어링(142')에 의해 상기 하부틀(110')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축(144)과, 상기 구동축(144)의 양단부에 각각 편심되게 축설되어 편심 회전하는 다수의 캠(146)과, 상기 캠(146)의 외주연과 접하여 상기 캠(146)의 편심회전에 의해 회전하며 승/하강되는 다수의 승강롤러(148)가 상기 포크프레임(120) 하부에 각각 일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출수단(300)은 상기 대차(400) 본체(410)의 양측 전/후방에 각각 설치.고정되어 소정의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M4)와, 상기 구동모터(M4)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기어(310)와, 상기 피니언기어(310)와 치합되어 상기 견인수단(200)의 견인판(212)을 좌/우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견인판(212)의 전/후방 일측에 장착되는 랙기어(312)와, 상기 랙기어(312)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410)의 양측에 설치되는 축출레일(314)을 따라 좌/우 유동되는 유동롤러(316)와, 상기 견인판(212)의 저면에 설치되어 수평 유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수평롤러(318)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0456U KR200407929Y1 (ko) | 2005-10-26 | 2005-10-26 |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0456U KR200407929Y1 (ko) | 2005-10-26 | 2005-10-26 |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1493A Division KR100569817B1 (ko) | 2005-10-26 | 2005-10-26 |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 및 주차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7929Y1 true KR200407929Y1 (ko) | 2006-02-07 |
Family
ID=44481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30456U KR200407929Y1 (ko) | 2005-10-26 | 2005-10-26 |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7929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6226B1 (ko) | 2006-03-31 | 2007-10-10 | 이금철 | 평면왕복식 주차장치 |
KR100766225B1 (ko) | 2006-03-27 | 2007-10-10 | 이금철 | 업 다운 구조를 갖는 수평순환식 주차장치 |
KR100766227B1 (ko) | 2006-03-31 | 2007-10-10 | 이금철 | 평면왕복식 다열 주차장치 |
KR20210011578A (ko) | 2019-07-23 | 2021-02-02 | 이금철 | 평면왕복식 주차장치 |
-
2005
- 2005-10-26 KR KR2020050030456U patent/KR20040792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6225B1 (ko) | 2006-03-27 | 2007-10-10 | 이금철 | 업 다운 구조를 갖는 수평순환식 주차장치 |
KR100766226B1 (ko) | 2006-03-31 | 2007-10-10 | 이금철 | 평면왕복식 주차장치 |
KR100766227B1 (ko) | 2006-03-31 | 2007-10-10 | 이금철 | 평면왕복식 다열 주차장치 |
KR20210011578A (ko) | 2019-07-23 | 2021-02-02 | 이금철 | 평면왕복식 주차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69817B1 (ko) |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 및 주차방법 | |
KR100632408B1 (ko) | 주차설비 | |
CN102501900B (zh) | 可移动装载物的车架总成及其使用方法、一种运输工具 | |
KR200407929Y1 (ko) |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 | |
CN100458088C (zh) | 多列联动垂直升降式停车设备 | |
KR101041846B1 (ko) | 주차장치 | |
CN110626694A (zh) | 一种可自动存取型材货物的立体仓库 | |
KR100641030B1 (ko) | 타워식 컨테이너 적재시스템의 하역 처리방법 및 장치 | |
KR101095514B1 (ko) | 포크타입 주차설비 | |
JP4335792B2 (ja) | 機械式駐車装置 | |
KR0141441B1 (ko) | 로드 컨베어식 입체주차장 | |
KR910007933Y1 (ko) | 입체주차장치 | |
JP3936793B2 (ja) | 機械式駐車装置 | |
CN220885642U (zh) | 一种回收机动车仓储系统 | |
CN220785809U (zh) | 一种物流装卸搬运设备 | |
JP3996023B2 (ja) | 水平循環式駐車装置 | |
KR100333044B1 (ko) | 차량이송로봇을구비한엘리베이터식주차설비 | |
JP4258059B2 (ja) | 倉庫設備における入出庫台車装置 | |
JPH04203176A (ja) | 駐車装置 | |
KR100949764B1 (ko) |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 | |
KR0113685Y1 (ko) | 입체주차장치 | |
JP4369823B2 (ja) |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 |
KR200388208Y1 (ko) | 지하형 다단식 주차설비 | |
JPH0732778Y2 (ja) | 駐車場装置 | |
KR100632390B1 (ko) | 이동형 주차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