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764B1 -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 - Google Patents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764B1
KR100949764B1 KR1020080032806A KR20080032806A KR100949764B1 KR 100949764 B1 KR100949764 B1 KR 100949764B1 KR 1020080032806 A KR1020080032806 A KR 1020080032806A KR 20080032806 A KR20080032806 A KR 20080032806A KR 100949764 B1 KR100949764 B1 KR 100949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lift
parking
vehicle
t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7344A (ko
Inventor
김수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텍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텍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텍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032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764B1/ko
Publication of KR20090107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 E04H6/28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turntables, rotary elevators or the like on which the cars are not permanently parked
    • E04H6/287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turntables, rotary elevators or the like on which the cars are not permanently parked using comb-type transfer means

Abstract

복수개의 격납실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격납층과, 상기 격납층 간의 피견인차량의 이동을 위해 상기 격납층 사이를 승강하도록 마련된 리프트와, 피견인차량의 출고 및 입고를 위해 상기 리프트의 승강로와 통하도록 마련된 출입구와, 상기 리프트와 상기 격납실 간의 피견인차량 이송을 중계하도록 상기 격납층에 마련된 중계장치를 구비하는 주차설비와; 상기 출입구로 진입하려하거나 상기 출입구로부터 출고된 피견인차량의 대기를 위해 상기 출입구 외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회전판과; 상기 주차설비 내부에서 이송되거나 주차되는 피견인차량의 지지를 위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주차파레트와; 상기 회전판과 리프트 사이에서 이송되는 피견인차량을 지지를 위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 대기파레트;와, 상기 주차 또는 대기파레트를 수평이동시키도록 마련된 견인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리프트는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된 리프트몸체와, 피견인차량이 상부에 탑재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리프트몸체에 탑재된 상기 주차 또는 대기파레트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상승동작될 때는 상기 주차 또는 대기파레트에 탑재된 피견인차량을 상부에 인계받고 상기 리프트몸체에 탑재된 상기 주차 또는 대기파레트 상부로부터 하부로 하강동작될 때는 상부에 탑재되어 있던 피견인차량을 상기 주차 또는 대기파레트에 인계할 수 있도록 상기 리프트몸체에 승강가능하도록 마련된 포크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에는 상승동작시 상기 회전판에 안착된 상기 대기파레트의 슬라이딩동작을 차단하고 하강동작시에는 상기 대기파레트의 슬라이딩동작을 허용하도록 마련된 데크프레임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견인장치는 상기 리프트와 상기 중계장치 간에 이루어지는 상기 주차파레트의 수평이동과 상기 회전판과 상기 리프트 간에 이루어지는 상기 대기파레트의 수평이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리프트에 마련되는 제1견인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 {Parking System for towed vehicles}
본 발명은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견인차량을 통해 견인되어 온 피견인차량을 신속하게 입고 및 출고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며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마련된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다른 나라에서도 마찬가지이겠으나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불법주차와 같이 교통법규를 위한한 상태로 장기간 방치된 차량들은 특정 견인지역으로 견인되어 그 차량주에게 소정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 견인제도는 각 시/도/구청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기 견인지역은 대부분 시내 외곽이나 시외의 넓은 공터 등에 마련되어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견인지역을 시내 외곽이나 시외에 마련하는 이유는 견인된 다량의 피견인차량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인구가 밀집되고 여유분의 땅이 적은 시내에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견인지역을 시내 외곽이나 시외에 마련하게 되면, 피견인 차량을 시내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견인지역으로 견인해 가거나 견인지역에 견인된 차량을 차량주가 다시 찾아오는데 따른 경제적 손실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또 야외에 마련되는 견인지역은 비나 눈으로부터 차량을 보호할 수 없기 때문에, 수시로 차량주의 민원이 제기되고 있으며, 견인차에 견인된 상태로 주차되는 견인차량을 주차하기 위해서는 피견인차량의 보관공간은 물론 견인차량의 운동공간도 확보가 되어야 하므로, 견인지역이 실제 보관되는 차량들의 수에 비해 휠씬 큰 면적으로 마련되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건물형 주차설비를 이용하여 피견인차량을 주차할 수 있도록 마련된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으며, 한국 등록특허 제0543872호의 공보에 기재된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이 그 일례가 되겠다.
이러한 종래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은 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일측에 견인차 입구와 타측에 견인차 출구가 형성되고 견인차에 의해 견인된 피견인차량이 안착되는 피견인차량용 파레트가 견인차 입구와 견인차 출구 사이의 피견인차량 대기 장소에 설치되는 입출고 대기실과, 입출고 대기실과 연결되어 다수 대의 피견인차량을 적재 및 보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주차설비와, 입출고 대기실에 위치하는 피견인차량 또는 피견인차량용 파레트를 주차설비로 운반하는 운반장치를 구비하여 마련된다.
이중 상기 주차설비는 다단의 격납층이 형성된 건물형 주차설비로써, 이러한 주차설비를 구비하는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면, 먼저 시내의 좁은 공간에도 다량의 피견인차량을 효율적으로 주차시킬 수 있게 되며, 주차된 피견인 차량을 눈이나 비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운반장치는 입출고 대기실에 위치하는 피견인차량이 안착된 피견인차량용 파레트를 수평이송이시는 수평이송장치와, 수평이송장치로부터 피견인차량용 파레트를 인계받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와, 승하강장치에 의해 승하강된 피견차량용 파레트를 특정주차실로 인계하는 인계장치를 구비하여 차량의 입고 및 출고 동작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의 경우에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종래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은 견인차 입구 및 견인차 출구와 피견인차량용 파레트의 대기 위치가 고정되도록 마련되어 피견인차량을 피견인차량용 파레트에 올려놓는 동작이 반드시 피견인차량을 견인하고 있는 견인차가 견인차 입구 및 출구를 통해 입출고 대기실을 지나는 과정 중에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피견인차량을 입출고 대기실의 피견인차량용 파레트에 안착시키는 동작이 자유롭지 못했으며, 파견인차 입구 및 견인차 출구 외측에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피견인차량을 입출고 대기실에 대기시키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이러한 종래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은 피견인차량의 입고를 위해 항시 비어 있는 피견인차량용 파레트를 입출고 대기실에 대기시켜 놓아야 하므로, 하나의 피견인차량의 입고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주차설비 내부에 비어 있는 상태의 다른 피견인차량용 파레트를 다시 운반장치를 통해 입출고 대기실까지 옮겨야 하고, 출고시 격납실에 위치되어 있던 피견인차량을 피견인차량용 파레트와 함께 입출고 대기실로 이동시키기 전에는 입출고 대기실에 대기되어 있는 피견인차량용 파레트를 주차설비 내부에 비어 있는 격납실로 이동시켜야만 하는 등 피견인차량의 입출고 동작시 피견인차량이 탑재된 피견인차량용 파레트를 이송시키는 동작과 더불어 항시 비어 있는 피견인차량용 파레트를 원거리까지 다시 이송해야한 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피견인차량의 입출고 동작시간이 길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입출고 동작에 따른 전력소모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견인차에 견인되어 있는 피견인차량을 주차설비 외부에 보다 용이하게 대기시킬 수 있으며, 견인차량을 통해 견인되어 온 피견인차량을 보다 신속하게 입고 및 출고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은 복수개의 격납실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격납층과, 상기 격납층 간의 피견인차량의 이동을 위해 상기 격납층 사이를 승강하도록 마련된 리프트와, 피견인차량의 출고 및 입고를 위해 상기 리프트의 승강로와 통하도록 마련된 출입구를 구비하는 주차설비와; 상기 출입구로 진입하려하거나 상기 출입구로부터 출고된 피견인차량의 대기를 위해 상기 출입구 외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과 리프트 사이에서 이송되는 피견인차량의 지지를 위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 대기파레트;를 포함하되, 상기 리프트는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된 리프트몸체와, 피견인차량이 상부에 탑재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리프트몸체에 탑재된 상기 대기파레트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상승동작될 때는 상기 대기파레트에 탑재된 피견인차량을 상부에 인계받고 상기 리프트몸체에 탑재된 상기 대기파레트 상부로부터 하부로 하강동작될 때는 상부에 탑재되어 있던 피견인차량을 상기 대기파레트에 인계할 수 있도록 상기 리프트몸체에 승강가능하도록 마련된 포크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회전판에 안착된 상기 대기파레트의 슬라이딩동작을 선택적으로 차단 및 허용하도록 마련된 데크프레임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은 복수개의 격납실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격납층과, 상기 격납층 간의 피견인차량의 이동을 위해 상기 격납층 사이를 승강하도록 마련된 리프트와, 피견인차량의 출고 및 입고를 위해 상기 리프트의 승강로와 통하도록 마련된 출입구와, 상기 리프트와 상기 격납실 간의 피견인차량 이송을 중계하도록 상기 격납층에 마련된 중계장치를 구비하는 주차설비와; 상기 출입구로 진입하려하거나 상기 출입구로부터 출고된 피견인차량의 대기를 위해 상기 출입구 외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회전판과; 상기 주차설비 내부에서 이송되거나 주차되는 피견인차량의 지지를 위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주차파레트와; 상기 회전판과 리프트 사이에서 이송되는 피견인차 량의 지지를 위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 대기파레트;와, 상기 주차 또는 대기파레트를 수평이동시키도록 마련된 견인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리프트는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된 리프트몸체와, 피견인차량이 상부에 탑재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리프트몸체에 탑재된 상기 주차 또는 대기파레트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상승동작될 때는 상기 주차 또는 대기파레트에 탑재된 피견인차량을 상부에 인계받고 상기 리프트몸체에 탑재된 상기 주차 또는 대기파레트 상부로부터 하부로 하강동작될 때는 상부에 탑재되어 있던 피견인차량을 상기 주차 또는 대기파레트에 인계할 수 있도록 상기 리프트몸체에 승강가능하도록 마련된 포크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에는 상승동작시 상기 회전판에 안착된 상기 대기파레트의 슬라이딩동작을 차단하고 하강동작시에는 상기 대기파레트의 슬라이딩동작을 허용하도록 마련된 데크프레임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견인장치는 상기 리프트와 상기 중계장치 간에 이루어지는 상기 주차파레트의 수평이동과 상기 회전판과 상기 리프트 간에 이루어지는 상기 대기파레트의 수평이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리프트에 마련되는 제1견인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 하부에는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몸체가 마련되고, 상기 데크프레임은 상승동작시 상기 회전판과 수평을 이루고 하강동작시 상기 회전몸체 내부로 수용되도록 상기 회전몸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크프레임과 포크프레임은 상기 주차 또는 대기파레트와 상하방향으로 상호 교차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크프레임과 데크프레임은 각각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도록 포크 형태로 마련된 복수개의 프레임포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차 및 대기파레트에는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도록 포크형태로 마련된 복수개의 파레트포크부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포크부 및 파레트포크부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소정간격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지지간을 구비하되, 상기 프레임포크부의 지지간은 내향되도록 연장형성되고, 상기 파레트포크부의 지지간은 외향되도록 연장형성되며, 상기 프레임포크부의 지지간과 파레트포크부의 지지간은 상하방향으로 상호 겹침이 방지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견인장치는 상기 회전판과 상기 리프트 사이를 이송하는 상기 대기파레트의 수평이동동작을 보조하도록 상기 회전몸체에 마련되는 보조견인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차 및 대기파레트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파레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마찰로드가 마련되고, 상기 보조견인장치는 상기 마찰로드 양측에 밀착된 상태로 양방향 중 일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하면서 마찰로드를 이동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마찰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몸체의 중앙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은 입고되거나 출고될 피견인차량의 대기를 위한 대기파레트가 주차설비의 출입구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판 상에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 은 별도의 출구 및 입구가 없을 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므로, 피견인차량은 회전판의 어느 방향을 통해서도 대기파레트 상에 대기 상태로 탑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 주차시스템에 의하면, 견인차에 견인되어 있는 피견인차량을 보다 용이하게 주차설비 외부에 대기시킬 수 있게 되며, 회전판 외부 일측의 공간확보가 어려운 경우에도 피견인차량을 별 어려움 없이 대기파레트 상에 대기되도록 탑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에서는 입고 또는 출고될 피견인차량 대기를 위한 대기파레트는 회전판과 출입구 쪽으로 위치된 리프트 사이에서만 이송되고, 주차설비 내부에서의 피견인차량의 이송을 위해 사용되는 주차파레트는 리프트와 격납실 사이에서만 이송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면, 종래에 비해 피견인차량이 탑재되지 않은 빈 상태로 이송되는 주차 또는 대기파레트의 이송거리가 크게 단축되면서 피견인차량의 입출고 동작시간이 단축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피견인차량의 입출고 동작에 따른 전력소모도 큰 폭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은 견인 처리되는 피견인차량(C)의 주차를 위해 마련된 것으로, 복수개의 피견인차량(C) 을 입고하여 보관하거나 출고 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건물형태의 주차설비(10)와, 이 주차설비(10)의 출입구(11)로 진입하려하거나 출입구(11)로부터 출고되는 피견인차량(C)의 대기를 위해 상기 출입구(11)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100)을 구비하며, 주차설비(10)의 외부나 내부 일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주차설비(10) 및 회전판(100)의 전반적인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반(미도시)이 설치된다. 제어반(미도시)은 사용자가 주차설비(10) 및 회전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중 먼저 주차설비(10)는 복수개의 격납실(13a)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격납층(12)을 구비하는 건물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이러한 주차설비(10) 내부에는 상기 격납층(12) 간의 피견인차량(C)의 이동을 위해 격납층(12) 사이를 승강하도록 마련된 리프트(200)와, 상기 리프트(200)와 격납실(13a) 간의 피견인차량(C) 이송을 중계하도록 마련된 중계장치(3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출입구(11)는 피견인차량(C)의 출고 및 입고를 위해 최 상부 격납층(12) 상부 쪽 리프트(200)의 승강로와 통하도록 지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상기 격납층(12)은 지하에 매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는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의 일종으로써, 각 격납층(12)의 격납실(13a)은 복수의 주차열(13)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중계장치(300)로는 상기 주차열(13) 사이에 마련되는 이동통로(14)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대차가 채용된다. 물론 본 발명에 있어서 주차설비(10)는 타워방식 등 평면왕복식이 아닌 다른 방식의 것으로도 마련될 수 있으며, 중계장치(300)는 상기 이동통 로(14) 상에 마련된 횡레일(14a)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 주차시스템은 주차설비(10) 내부에서 이송되거나 주차되는 피견인차량의 지지를 위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주차파레트(500)와, 상기 회전판(100)과 리프트(200) 사이에서 이송되는 피견인차량(C)을 지지를 위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 하나의 대기파레트(400)와, 상기 주차 또는 대기파레트(400,500)를 수평이동시키도록 마련된 견인장치(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대기파레트(400)는 회전판(100)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착되는데, 상기 대기 및 주차파레트(400,500)는 상호 동일한 형상을 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대기 및 주차파레트(400,500)는 다수의 빔이나 파이프를 서로 용접하거나 볼트로 조립하여 대략 사각틀체 형상을 이루는 파레트몸체(510)를 구비한다. 파레트몸체(510)의 양측 하단에는 파레트(400,500)의 수평방향 이송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파레트롤러(520)가 설치되며, 파레트몸체(510)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견인장치(600)에 의한 견인동작시 사용되도록 파레트몸체(5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마찰로드(530)가 설치 고정된다.
또 파레트몸체(510)의 전방과 후방 쪽 양측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외향연장되는 다수개의 지지간(541)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피견인차량(C)의 바퀴를 지지하도록 포크형태로 마련되는 한 쌍의 파레트포크부(540)가 각각 마련된다. 각각의 파레트포크부(540)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나의 파레트포크부(540)를 이루는 복수개 의 지지간(541)이 파레트몸체(510)에 볼트로 체결되는 체결편(542)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에서는 이송중인 피견인차량(C)의 지지를 위해 마련되는 대기 및 주차파레트(400,500)가 적은 재료비를 통해서도 제조가 가능하면서도 경량으로 마련되어 대기 및 주차파레트(400,500) 제조비용 및 대기 및 주차파레트(400,500) 이송시 발생하는 에너지비용 면에 있어서 종래 주차설비의 파레트에 비해 경제적이게 된다. 격납층(12)의 각 격납실(13a) 바닥에는 주차파레트(500)의 파레트롤러(520)의 구름동작를 안내하도록 안내레일(15)이 설치된다.
이러한 대기 및 주차파레트(400,500)의 구조에 있어서 파레트포크부(540)의 구성은 후술하게 될 데크프레임(150) 및 포크프레임(230)과의 관계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후 데크프레임(150) 및 포크프레임(230)의 상세한 설명시 함께 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에 의하면, 입고 또는 출고되는 피견인차량(C)의 이송동작이 크게 상기 회전판(100)과 상기 출입구(11) 쪽에 위치한 리프트(200) 사이에서 일어나는 대기파레트(400)의 왕복이송동작과, 주차설비 내부에서 리프트(200)와 격납실(13a) 사이에서 일어나는 주차파레트(500)의 이송동작 2가지로 구분할 수 있게 되는데, 먼저 회전판(100)과 리프트(200)의 상세한 구조와 함께 회전판(100)과 리프트(200) 사이에서 이송되는 피견인차량(C)의 이송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100)은 전체적으로 원판형태를 취 하여 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게 되는데, 회전판(100) 하부에는 회전판(100)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몸체(110)가 결합된다. 회전몸체(110)는 빔이나 파이프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일자형 연결대(111,112)를 서로 용접하거나 볼트로 조립하여 직육면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연결대(111,112)는 가로로 배치되는 가로연결대(111)와 세로로 배치되는 세로연결대(112)로 구분된다.
회전몸체(110)의 하단 중심에는 베어링(120)에 지지되도록 회전몸체(110)와 일체를 이루는 회전축(130)이 설치되고, 베어링(120) 상부 회전축(130) 외주에는 종동기어(131)가 형성되는데, 종동기어(131) 일측에는 회전판구동모터(121)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구동기어(122)가 종동기어(131)와 이물림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회전판구동모터(121)의 구동으로 구동기어(122)가 회전하게 되면, 회전몸체(110) 및 이와 일체로 마련된 회전판(100)은 구동기어(122)와 기어결합된 종동기어(131)의 회전을 통해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회전판(100)의 회전방향은 구동기어(122)의 회전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달라지게 된다.
또 회전판(100)의 중앙에는 회전몸체(110) 내부와 통하도록 사각형상의 관통홀(101)이 천공되는데, 관통홀(101) 하부 쪽 회전몸체(110)에는 관통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홀(101)을 가로지르도록 안내레일(140)이 설치되어 회전판(100) 상에 안착되는 대기파레트(400)의 파레트롤러(520)의 구름동작을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대기파레트(400)는 안내레일(140)을 따라 관통홀(101) 상에 위치되면서 상면이 회전판(100)의 상면과 일치되도록 회전판(100) 상에 안착되며, 안내레일(140)의 길이 방향 쪽 관통홀(101) 외측은 대기파레트(400)의 이동을 위해 하부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몸체(110)에는 상승동작시 상단이 대기파레트(400) 외측 관통홀(101)로 집입되어 대기파레트(400)의 슬라이딩동작을 차단하고 하강동작시에는 다시 회전몸체(110) 내부로 이동하여 상기 대기파레트(400)의 슬라이딩동작을 허용하도록 마련된 데크프레임(150)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데크프레임(150)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이나 파이프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일자형 지지대(151,152,153,154)를 서로 용접하거나 볼트로 조립하여 형성되며, 상면이 회전판(100)과 일치되거나 회전몸체(110) 내부로 수용되도록 승강동작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데크프레임(150)은 상부 양측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상부지지대(151)와, 하부 양측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한 쌍의 하부지지대(152), 그리고 상부지지대(151)와 하부지지대(152)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거나 하부지지대(152)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지지대(153,154)로 구성되는데, 데크프레임(150)의 각 상부지지대(151) 내측에 있어서 대기파레트(400)의 각 파레트포크(540)부와 대응하는 부위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내향연장되는 다수개의 지지간(161)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피견인차량(C)의 바퀴를 지지하도록 포크형태로 마련되는 복수개의 프레임포크부(160)가 마련된다.
프레임포크부(160) 역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각각의 지지간(161)이 체결편(162)을 통해 데크프레임(150)에 볼트로 체결되며, 프레임포크부(160)의 지지 간(161)도 소정간격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다. 그런데 프레임포크부(160)의 지지간(161)은 파레트포크부(540)와 반대로 내측으로 내향되게 연장형성되고, 프레임포크부(160)의 지지간(161)과 파레트포크부(540)의 지지간(541)은 상하방향으로 상호 겹침이 방지되도록 마련되며, 프레임포크부(160) 사이의 상부지지대(151) 내측에는 회전판(100)의 대기파레트(400) 상으로 탑재되는 차량의 지지를 위한 복수의 데크부(170)가 일체로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포크부(160)와 파레트포크부(540)의 구조를 통해 데크프레임(150)과 대기파레트(400)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교차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데크프레임(150)의 승강동작을 안내하기 위해 데크프레임(150)의 모서리 쪽 연결지지대(153) 외측의 회전몸체(110)에는 데크프레임(150)의 승강동작시 데크프레임(150)의 모서리 쪽 연결지지대(153)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롤러(112a)가 설치되고, 데크프레임(150)의 중앙 쪽 연결지지대(153) 양측에는 대응하는 회전몸체(110)의 중앙 쪽 세로연결대(112)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롤러(153a)가 설치되며, 데크프레임(150)의 승강동작은 데크프레임(150) 하부 내측에 설치되는 제1승강구동장치(180)를 통해 이루어진다.
제1승강구동장치(180)는 회전몸체(110) 중앙에 일정 높이로 이격 설치되는 제1승강용구동모터(181)와, 제1승강구동모터(181)와 연동되게 데크프레임(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각각 연장 설치되어 소정의 동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제1승강용회전축(182)과, 상기 각 제1승강용회전축(182)의 단부에 결합되어 그 회전력을 감속시켜 전달하도록 마련된 제1승강용감속기(183)와, 제1승강용감속기(183) 에서 데크프레임(150)의 폭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각각 연장 설치되어 연동하는 제1승강용샤프트(184)와, 각 제1승강용샤프트(184)의 단부에 일체로 축설되어 회전되는 제1승강용피니언기어(185)와, 제1승강용피니언기어(185)와 치합될 수 있도록 데크프레임(150)에 형성되는 제1승강용랙기어(118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승강용랙기어(186)는 데크프레임(150)의 모서리 쪽 연결지지대(153) 내면에 연결지지대(153)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승강용구동모터(181)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됨에 따라 제1승강용피니언기어(185)의 회전방향이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데크프레임(150)은 제1승강용피니언기어(185)와 치합된 제1승강용랙기어(186)의 승강동작을 통해 승강하게 된다.
이때 데크프레임(150)의 승강정도는 데크프레임(150)이 상승동작된 상태에서 프레임포크부(160)와 데크부(170)가 회전판(100) 및 회전판에 안착된 대기파레트(400)와 수평상태를 이루고, 데크프레임(150)이 하강동작된 상태에서 회전판(100)에 안착된 대기파레트(400)가 데크프레임(150)의 간섭업시 자유롭게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범위내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승동작된 데크프레임(150)의 상단은 관통홀(101) 상에서 대기파레트(400)와 매칭되며, 여기서 매칭이라 함은 데크프레임(150)의 프레임포크부(160)의 지지간(161)과 대기파레트(400)의 파레트포크부(540)의 지지간(541)이 상호 엇갈린 상태로 수평을 유지함을 뜻하며, 이를 통해 대기파레트(400)는 포크프레임(150)에 걸려 수평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제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프트(200)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이나 파이프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일자형 연결대(211,212)를 서로 용접하거나 볼트로 조립하여 직육면체 형상을 취하는 리프트몸체(210)를 구비한다. 리프트몸체(210)를 이루는 연결대()는 가로로 배치되는 가로연결대(211)와 세로로 배치되는 세로연결대(212)로 구분되며, 상기 리프트몸체(210) 일측의 승강로에는 리프트(200)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를 감거나 풀어 상기 리프트(200)의 승강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권상기(200A)가 설치된다.
또 리프트몸체(210)의 내측 중앙에는 리프트(200) 상에 탑재되는 대기파레트(400) 또는 주차파레트(5000)의 파레트롤러(520)의 구름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레일(220)이 형성되며, 리프트몸체(210)에 탑재되는 대기 또는 주차파레트(400,500) 외측의 리프트몸체(210)에는 피견인차량(C)이 상부에 탑재될 수 있도록 마련된 포크프레임(230)이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포크프레임(230)은 피견인차량(C)을 상부에 탑재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리프트몸체(210)에 안착된 상기 대기 또는 주차파레트(40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상승동작될 때는 상기 대기 또는 주차파레트(400,500)에 탑재된 피견인차량(C)을 상부에 인계받고, 상기 리프트몸체(210)에 안착된 상기 대기 또는 주차파레트(400,500) 상부로부터 하부로 하강동작될 때는 그 상부에 탑재되어 있던 피견인차량(C)을 상기 대기 또는 주차파레트(400,500)에 인계할 수 있도록 상기 리프트몸체(210)에 승강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프레임(230)은 빔이나 파이프로 형 성되는 다수개의 일자형 지지대()를 서로 용접하거나 볼트로 조립하여 형성되며, 상면이 리프트몸체(210) 상부로 리프트몸체(210)와 소정간격 이격되거나 리프트몸체(210) 내부로 수용되도록 승강동작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포크프레임(230)은 상부 양측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상부지지대(231)와, 하부 양측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한 쌍의 하부지지대(232), 그리고 상부지지대(231)와 하부지지대(232)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거나 하부지지대(232)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지지대(233,234)로 구성된다.
포크프레임(230)의 각 상부지지대(231) 내측에 있어서 대기 및 주차파레트(400,500)의 각 파레트포크부(540)와 대응하는 부위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내향연장되는 다수개의 지지간(241)을 통해 형성되며 피견인차량(C)의 바퀴를 지지하도록 포크형태로 마련되는 복수개의 프레임포크부(240)가 마련된다.
상기 프레임포크부(240)는 데크프레임(150)의 프레임포크부(160)와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마련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포크부(240) 역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각각의 지지간(241)이 체결편(242)을 통해 포크프레임(230)에 볼트로 체결되며, 상기 프레임포크부(240)의 지지간(241) 역시 소정간격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다. 또 상기 프레임포크부(240)의 지지간(241)도 파레트포크부(540)와 반대로 내측으로 내향되게 연장 형성되고, 프레임포크부(240)의 지지간(241)과 파레트포크부(540)의 지지간(541)은 상하방향으로 상호 겹침이 방지되도록 마련되며, 프레임포크부(240) 사이와 대응하는 리프트몸체(210)의 상부 쪽 가로연결대(211) 내측에 는 리프트(200) 상으로 탑재되는 차량의 지지를 위한 복수의 데크부(250)가 일체로 마련된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251은 리프트몸체에(210) 고정되도록 상기 안내레일(220)에서 외향연장된 지지간을 가리킨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포크부(240)와 파레트포크부(540)의 구조를 통해 포크프레임(230)과 대기 및 주차파레트(400,500)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교차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포크프레임(230)의 승강동작을 안내하기 위해 포크프레임(230)의 모서리 쪽 연결지지대(233) 외측의 리프트몸체(210)에는 포크프레임(230)의 승강동작시 포크프레임(230)의 모서리 쪽 연결지지대(233)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롤러(212a)가 설치되고, 포크프레임(230)의 중앙 쪽 연결지지대(234) 양측에는 대응하는 리프트몸체(210)의 중앙 쪽 세로연결대(212)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롤러(231a)가 설치되며, 포크프레임(230)의 승강동작은 제2승강구동장치(260)를 통해 이루어진다.
제2승강구동장치(260)는 리프트몸체(210) 중앙에 일정 높이로 이격 설치되는 제2승강용구동모터(261)와, 제2승강구동모터(261)와 연동되게 포크프레임(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각각 연장 설치되어 소정의 동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제2승강용회전축(262)과, 상기 각 제2승강용회전축(262)의 단부에 결합되어 그 회전력을 감속시켜 전달하도록 마련된 제2승강용감속기(263)와, 제2승강용감속기(263)에서 포크프레임(230)의 폭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각각 연장 설치되어 연동하는 제2승강용샤프트(미도시)와, 각 제2승강용샤프트(미도시)의 단부에 일체로 축설되어 회전되는 제2승강용피니언기어(264)와, 제2승강용피니언기어(264)와 치합될 수 있 도록 포크프레임(230)에 형성되는 제2승강용랙기어(26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2승강용랙기어(265)는 포크프레임(230)의 모서리 쪽 연결지지대(233) 내면에 연결지지대(233)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승강용구동모터(261)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됨에 따라 제2승강용피니언기어(264)의 회전방향이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포크프레임(230)은 제2승강용피니언기어(264)와 치합된 제2승강용랙기어(265)의 승강동작을 통해 승강하게 된다.
이때 포크프레임(230)의 승강정도는 포크프레임(230)이 리프트몸체(210)에 안착된 상기 대기 또는 주차파레트(400,50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상승동작될 때 상기 대기 또는 주차파레트(400,500)에 탑재된 피견인차량(C)이 포크프레임(230) 상부로 인계되고 포크프레임(230)이 리프트몸체(210)에 안착된 상기 대기 또는 주차파레트(400,500) 상부로부터 하부로 하강동작될 때는 포크프레임(230) 상부에 탑재되어 있던 피견인차량(C)이 상기 대기 또는 주차파레트(400,500)에 인계될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견인장치(600)는 먼저 상기 리프트(200)와 상기 중계장치(300) 간에 이루어지는 상기 주차파레트(500)의 수평이동과 상기 회전판(100)과 상기 리프트(200) 간에 이루어지는 상기 대기파레트(400)의 수평이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리프트(200)에 마련되는 제1견인장치(610)를 포함한다.
제1견인장치(610)는 리프트몸체(210)의 양단 쪽 안내레일(220) 사이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되는데, 각 제1견인장치(610)는 프랙션롤러유닛(611)을 구비한다. 프랙션롤러유닛(611)은 선단에 마련된 한 쌍의 마찰롤러(611a)를 구비하며, 마찰롤러(611a)는 회전모터(612)를 통해 회전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모터(612)가 회전하도록 제1견인장치(610)가 구동되면, 한 쌍의 마찰롤러(611a)가 회전하게 되고, 대기 및 주차파레트(400,500)는 하부의 마찰로드(530)가 상기 마찰롤러(611a)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찰롤러(611a)의 회전방향으로 이끌리게 되면서 수평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한 쌍의 제1견인장치(610) 중에서 회전판(100)에 인접하도록 위치된 제1견인장치(610)는 회전판(100)과 리프트(200) 사이에서의 대기파레트(400)의 이송동작시에 사용되며, 반대 쪽 제1견인창치(610)는 리프트(200)와 중계장치(300) 사이에서의 주차파레트(500)의 이송동작시에 사용된다. 참고로 제1견인장치(610) 사이와 외측에 마련된 미설명 부호 601은 대기 및 주차파레트(400,500)의 마찰로드(530)를 안내하도록 마련된 가이드롤러이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견인장치(600)는 상기 제1견인장치(610)에 의해 회전판(100)과 상기 리프트(200) 사이를 이송하는 상기 대기파레트(400)의 수평이동동작을 보조하도록 상기 회전판(100)의 회전몸체(110)에 마련되는 보조견인장치(6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조견인장치(620)는 상기 제1견인장치(610)와 동일하게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마찰롤러(621a)를 구비하는 프랙션롤러유닛(621)와, 프랙션롤러유닛(621)의 구동을 위한 회전모터(622)을 구비하고, 제1견인장치(610)와 달리 하나로 구성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보조견인장치(620)는 하나로 마련되면서도 회 전판(100)에 안착된 대기파레트(400)를 양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회전몸체(110) 중앙부 쪽 안내롤러(140) 사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조견인장치(620) 양측의 회전몸체(110)에는 각각 대기파레트(400)의 마찰로드(530)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롤러(601)가 설치된다.
참고로 회전판(100)의 회전몸체(110)에 마련된 안내레일(140)과 출입구(11)로 이동된 리프트(200)의 리프트몸체(210)에 마련된 안내레일(220)은 파레트(400,500)의 원활한 수평이송동작을 위해 상호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판(100)과 리프트(200) 사이에서 이송되는 피견인차량(C)의 이송동작을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12는 회전판(100)과 리프트(200)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로, 대기파레트(400)가 회전판(100)에서 리프트(200) 쪽으로 이송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피견인차량(C)을 주차설비(10) 부근으로 견인해 온 견인차(C?)는 견인되어 있는 피견인차량(C)을 회전판(100) 중앙에 안착되어 있는 대기파레트(400) 상에 탑재시키게 된다. 이때 견인차(C?)는 도 5와 같이 회전판(100)을 통과하면서 대기파레트(400) 위에 피견인차량(C)을 탑재시킬 수도 있고, 피견인차량(C)을 후진하는 과정에서 대기파레트(400) 위에 탑재시킬 수도 있다. 또 상기 회전판(100)은 별도의 출구 및 입구가 없을 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므로, 피견인차량(C)은 회전판(100)의 어느 방향을 통해서도 대기파레트(400) 상에 대기 상태로 탑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 주차시스템에 의하면, 견인차(C?)에 견인되어 있는 피견인차량(C)을 보다 용이하게 주차설비(10) 외부에 대기시킬 수 있게 되며, 회전판(100) 외부 일측의 공간확보가 어려운 경우에도 피견인차량(C)을 별 어려움 없이 대기파레트(400) 상에 탑재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이때는 상기 회전판(100) 및 회전판(100)에 안착된 대기파레트(400)가 모두 지면과 수평을 이루고 있으므로, 피견인차량(C)이 회전판(100) 및 대기파레트(400) 상에 용이하게 오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회전판(100) 상의 대기파레트(400)에 대기 상태로 탑재되고 견인차(C?)와의 연결이 분리된 피견인차량(C)은 도 12의 a와 같이 각각의 바퀴가 회전판(100) 상에 안착되어 있는 대기파레트(400)의 파레트포크부(160) 위에 얹혀진 상태로 있게 되고, 이 상태의 대기파레트(400)는 데크프레임(150)의 상단이 대기파레트(400)와 수평을 이루도록 데크프레임(150)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딩동작이 차단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서 리프트(200)는 출입구(11) 쪽으로 승강하게 되며, 회전판(100)은 대기파레트(400)가 리프트(200)와 일직선 상태가 되도록 회전하게 된다.
대기파레트(400)와 리프트(200)가 일직선을 이룬 상태에서는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파레트(400)가 회전몸체(110) 상의 안내레일(14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데크프레임(150)이 대기파레트(400) 하부 쪽으로 하강동작하게 된다.
또 이와 동시에 리프트(200)에서는 포크프레임(230)이 리프트몸체(210) 내부로 하강동작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피견인차량(C)이 탑재된 회전판(100) 상의 대 기파레트(400)는 상기 보조견인장치(620)와 회전판(100) 쪽 제1견인장치(610)가 정방향으로 구동됨에 따라 회전몸체(110)와 리프트몸체(210)에 형성된 안내레일(140,220)을 따라 리프트(200) 쪽으로 수평 이송되며, 이때는 구조가 도 12의 c에 도시된다.
보조견인장치(620)와 제1견인장치(610)의 견인동작은 대기파레트(400)가 리프트(200) 상의 정위치에 완전하게 탑재 될 때까지 이루어지며, 대기파레트(400)가 리프트(200) 상에 탑재가 완료되면, 이번에는 도 12의 d와 같이 상기 포크프레임(230)이 대기파레트(400)를 경유하여 대기파레트(400) 상부로 승강동작되는 과정에서 대기파레트(400)에 탑재되어 있던 피견인차량은 포크프레임(230)으로 인계된다.
이와 같이 포크프레임(230)이 리프트몸체(210) 상부로 상승동작된 상태에서 피견인차량(C) 없이 비어 있는 대기파레트(400)는 다시 회전판(100) 쪽 제1견인장치(610)와 보조견인장치(620)의 역구동에 의해 도 12의 e와같이 다시 회전판(100) 쪽으로 이송되며, 이로써 회전판(100)에서 파레트(200)로 이송되는 피견인차량(C)의 이송동작이 일단락된다. 그리고 이후 회전판(100) 쪽은 하강동작되어 있던 데크프레임(150)은 다시 상승동작되면서 회전판으로 이송되어 안착된 대기파레트(400)의 슬라이딩동작을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리프트(200)는 피견인차량(C)이 탑재된 포크프레임(230)이 상부로 상승된 상태로 피견인차량(C)을 입고시킬 격납층(12)으로 승강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반대로 리프트(200) 상에 탑재되어 있는 피견인차량(C)을 출고를 위해 회전판(100)으로 이송시킬 때는 피견인차량(C)이 역으로 도 12의 e-d-c-b-a 순서에 따라 이송된다.
즉, 후술하겠지만 상기 중계장치(300)에서 리프트(200) 상으로 이송된 피견인차량(C)은 리프트몸체(210) 상부로 상승동작된 포크프레임(230)의 상부에 탑재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보조견인장치(620)와 제1견인장치(610)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면, 회전판(100) 상에 안착되어 있던 빈 대기파레트(400)가 포크프레임(230) 하부의 리프트몸체(210) 상으로 이송되고, 포크프레임(230)은 이 상태에서 대기파레트(400)를 경유하도록 하강동작되면서 상부에 탑재되어 있던 피견인차량(C)이 대기파레트(400)에 인계되도록 한다. 그러면 이번에는 보조견인장치(620)와 제1견인장치(610)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서 피견인차량(C)이 탑재된 대기파레트(400)를 회전판(100)으로 이송해 가게 되는데, 이 상태의 데크프레임(230)은 회전몸체(110) 내부로 하강동작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데크프레임(230)은 대기파레트(400)가 회전몸체(110)의 정위치에 안착되도록 슬라이딩 된 이후 다시 상승동작하여 대기파레트(400)의 슬라이딩동작을 차단하게 되며, 이로써 출고 될 피견인차량(C)의 대기동작이 완료된다.
다음은 도 14와 도 15를 참고하여 중계장치(300)의 구조를 설명하고, 리프트(200)와 중계장치(300)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피견인차량의 이송동작에 관하여 설 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중계장치(300)로는 대차가 채용되며, 각 격납층(12)의 주차열(13) 사이의 이동통로(14) 상에는 중계장치(300)의 이동을 위한 횡레일(14a)이 설치되고(도 1참조), 중계장치(300)에는 중계장치의 구동을 위한 대차이동장치(310)가 설치된다. 대차이동장치(310)는 중계장치(300)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되며, 각각 대차구동모터(311)와, 대차구동모터(311)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대차구동롤러(3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계장치(300)는 상기 대차구동롤러(312)가 횡레일(14a) 위에서 구름동작 됨에 따라 이동통로(14) 상에서 이동된다. 따라서 중계장치(300)는 대차구동모터(311)의 구동이 중단되면서 대차구동롤러(312)가 정지함에 따라 고정된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301은 중계장치(300)의 구동시 횡레일 양측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가이드롤러이다.
그리고 중계장치(300)에는 상기 견인장치(6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주차파레트(500)의 수평방향 이송을 위한 제2견인장치(630)가 설치된다.
상기 중계장치(300)에도 상부로 수평이동되는 주차파레트(500)의 파레트롤러(520)의 구름동작을 안내를 위한 안내레일(320)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견인장치(310)는 격납실(13a)과 중계장치(300) 사이의 주차파레트(500)의 이송과 리프트(200)와 중계장치(300) 사이의 주차파레트(500)의 이송을 위해 중계장치(300)의 양단 쪽 안내롤러(320) 사이에 한 쌍으로 설치된다. 제2견인장치(630) 역시 제1견인장치(610) 및 보조견인장치(620)처럼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마찰롤러(631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랙션롤러유닛(631)과 마찰롤러(631a)를 회 전시키기 위한 회전모터(632)를 구비한다. 단 제2견인장치(630)의 경우 주차파레트(500)를 격납실(13a)로부터 축출하거나 격납시키기 위해 전후진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이를 위해 프랙션롤러유닛(631) 일측에는 전후진용모터(633)가 설치되며, 전후진용모터(633)의 축에는 전후진용피니언기어(634)가 결합되고, 제2견인장치(630)가 설치되는 장착대(635)에는 전후진용피니언기어(634)와 기어결합되는 랙기어(636)가 일체로 설치된다. 제2견인장치(630) 사이에 마련된 미설명 부호 601은 주차파레트(500)의 마찰로드(530)를 안내하도록 마련된 가이드롤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중계장치(300)와 리프트(200) 사이에서 이송되는 피견인차량(C)의 이송동작을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판(100)에 대기되어 있다가 리프트(200) 상으로 이송된 피견인차량(C)은 리프트몸체(210) 상부로 상승동작된 포크프레임(230) 위에 탑재된 상태가 되고, 리프트(200)는 이 상태에서 탑재된 피견인차량(C)을 격납시키고자 하는 격납실(13a)이 위치한 격납층(12)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된다.
그러면 이 상태에서 중계장치(300)는 해당 격납층(12) 내에 있는 빈 주차파레트(500)를 상부에 안착시킨 상태로 리프트(200)와 일직선을 이루도록 리프트(200) 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도 15의 a에는 이 상태가 도시된다. 이때 중계장치(300)에 안착되는 주차파레트(500)는 피견인차량(C)을 주차시킬 격납실(13a)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도 15의 b와 같이 중계장치(300)에 안착된 주차파레트(500)가 포크프레임(230) 하부 리프트몸체(210) 상에 안착되 도록 제2견인장치(630)가 구동된다.
빈 주차파레트(500)가 리프트몸체(210)에 안착된 상태에서 포크프레임(230)은 도 15의 c와 같이 하부의 주차파레트(500)를 경유하도록 주차파레트(500) 하부로 하강동작하게 되는데, 이때 포크프레임(230) 상에 탑재되어 있던 피견인차량(C)은 리프트몸체(210)에 안착된 주차파레트(500)로 인계된다.
피견인차량(C)이 주차파레트(500)로 인계되면, 리프트(200) 상의 제1견인장치(610)와 중계장치(300)의 제2견인장치(630)의 구동을 통해 피견인차량(C)을 탑재한 상태로 리프트몸체(210) 상에 안착되어 있던 주차파레트(500)는 도 15의 d와 같이 중계장치(300) 상부로 수평이동되고, 이후 중계장치(300)는 피견인차량(C)이 탑재된 주차파레트(500)를 지정된 격납실(13a) 쪽으로 이동하여 격납실(13a)에 격납시키게 된다. 이때 주차파레트(500)의 수평이송은 중계장치(300)의 제2견인장치(630)의 구동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반대로 특정 격납층(12)의 격납실(13a)에 주차되어 있던 피견인차량(C)을 출고를 위해 리프트(200)로 이송시킬 때 중계장치(300)와 리프트(200)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피견인차량(C)의 이송동작은 도 15의 역순이 되겠다.
즉, 먼저 중계장치(300)는 출고될 피견인차량(C)이 주차되어 있는 격납실(13a) 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피견인차량(C)이 탑재된 주차리프트(500)를 제2견인장치(630)를 이용하여 중계장치(300) 상부로 수평이동시키고, 피견인차량(C)이 탑재된 주차파레트(500)가 상부에 안착된 중계장치(300)는 리프트(200)와 일직선을 이루도록 리프트(20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중계장치(300) 상의 주차파레트(500)가 리프트몸체(210) 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리프트(200)에 있는 포크프레임(230)은 리프트몸체(210) 내부로 하강동작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는 중계장치(300)의 제2견인장치(630)와 리프트(200)의 제1견인장치(610)가 구동됨에 따라 중계장치(300) 상의 주차파레트(500)가 피견인차량(C)을 탑재한 상태로 리프트몸체(210) 상부로 수평이동되어 안착된다.
그리고 리프트몸체(210) 상에 주차파레트(500)의 안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리프트몸체(210) 내부로 하강동작되어 있던 포크프레임(230)이 상부의 주차파레트(500)를 경유하여 주차파레트(500) 상부로 상승동작하게 되며, 주차파레트(500)에 탑재되어 있던 피견인차량(C)은 이 과정 중에 포크프레임(230) 상부로 인계된다.
피견인차량(C)이 포크프레임(C)으로 인계되면, 제1견인장치(610)와 제2견인장치(630)의 구동을 통해 리프트(200) 상의 주차파레트(500)는 다시 중계장치(300) 상부로 이송되고, 리프트(200)는 포크프레임(230)이 승강한 상태에서 출입구(11) 쪽으로 승강이동하게 된다.
출고를 위해 출입구(11) 상에 위치된 리프트(200)에서 상기 회전판(100) 쪽으로 이송되는 피견인차량(C)의 이송동작은 이미 상술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에서는 입고 또는 출고될 피견인차량(C)의 대기를 위한 대기파레트(400)는 회전판(100)과 출입구(11) 쪽으로 위치된 리프트(200) 사이에서만 이송되고, 주차설비(10) 내부에서의 피견인차량(C)의 이송을 위해 사용되는 주차파레트(500)는 리프트(200)와 격납실(13a) 사이에서만 이송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면, 종래에 비해 피견인차량(C)이 탑재되지 않은 빈 상태로 이송되는 주차 또는 대기파레트(400,500)의 이송거리가 크게 단축되면서 피견인차량(C)의 입출고 동작시간이 단축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피견인차량(C)의 입출고 동작에 따른 전력소모 또한 큰 폭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에 있어서 대기 또는 주차파레트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에 있어서 회전판 쪽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에 있어서 회전판 쪽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에 있어서, 피견인차가 견인차가 견인된 상태에서 회전판의 대기파레트 상에 탑재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에 있어서 데크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에 있어서, 데크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에 있어서 리프트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에 있어서 리프트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에 있어서 포크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에 있어서 포크프레임으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에 있어서 회전판과 리프트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로, 대기파레트가 회전판에서 리프트 쪽으로 이송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에 있어서 회전판에서 리프트로 이송되는 피견인차량의 이송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에 있어서 중계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에 있어서 중계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에 있어서 리프트에서 중계장치로 이송되는 피견인차량의 이송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주차설비 100: 회전판
150: 데크프레임 200: 리프트
230: 포크프레임 300: 중계장치
400: 대기파레트 500: 주차파레트

Claims (7)

  1. 삭제
  2. 복수개의 격납실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격납층과, 상기 격납층 간의 피견인차량의 이동을 위해 상기 격납층 사이를 승강하도록 마련된 리프트와, 피견인차량의 출고 및 입고를 위해 상기 리프트의 승강로와 통하도록 마련된 출입구와, 상기 리프트와 상기 격납실 간의 피견인차량 이송을 중계하도록 상기 격납층에 마련된 중계장치를 구비하는 주차설비와; 상기 출입구로 진입하려하거나 상기 출입구로부터 출고된 피견인차량의 대기를 위해 상기 출입구 외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회전판과; 주차된 피견인차량의 지지 및 상기 리프트와 상기 격납실 사이에서 이송되는 피견인차량의 지지를 위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주차파레트와; 상기 회전판과 상기 출입구 쪽에 위치된 상기 리프트 사이에서 이송되는 피견인차량의 지지를 위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 대기파레트와; 상기 주차 또는 대기파레트를 수평이동시키도록 마련된 견인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리프트는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된 리프트몸체와, 피견인차량이 상부에 탑재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리프트몸체에 탑재된 상기 주차 또는 대기파레트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상승동작될 때는 상기 주차 또는 대기파레트에 탑재된 피견인차량을 상부에 인계받고 상기 리프트몸체에 탑재된 상기 주차 또는 대기파레트 상부로부터 하부로 하강동작될 때는 상부에 탑재되어 있던 피견인차량을 상기 주차 또는 대기파레트에 인계할 수 있도록 상기 리프트몸체에 승강가능하도록 마련된 포크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에는 상승동작시 상기 회전판에 안착된 상기 대기파레트의 슬라이딩동작을 차단하고 하강동작시에는 상기 대기파레트의 슬라이딩동작을 허용하도록 마련된 데크프레임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 하부에는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몸체가 마련되고, 상기 데크프레임은 상승동작시 상기 회전판과 수평을 이루고 하강동작시 상기 회전몸체 내부로 수용되도록 상기 회전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견인장치는 상기 리프트와 상기 중계장치 간에 이루어지는 상기 주차파레트의 수평이동과 상기 회전판과 상기 출입구 쪽에 위치된 상기 리프트 간에 이루어지는 상기 대기파레트의 수평이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리프트에 마련되는 제1견인장치와, 상기 회전판과 상기 출입구 쪽에 위치된 상기 리프트 사이를 이송하는 상기 대기파레트의 수평이동동작을 보조하도록 상기 회전몸체에 마련되는 보조견인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프레임과 포크프레임은 상기 주차 또는 대기파레트와 상하방향으로 상호 교차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프레임과 데크프레임은 각각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도록 포크형태로 마련된 복수개의 프레임포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차 및 대기파레트에는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도록 포크형태로 마련된 복수개의 파레트포크부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포크부 및 파레트포크부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소정 간격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지지간을 구비하되,
    상기 프레임포크부의 지지간은 내향되도록 연장형성되고, 상기 파레트포크부의 지지간은 외향되도록 연장형성되며, 상기 프레임포크부의 지지간과 파레트포크부의 지지간은 상하방향으로 상호 겹침이 방지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
  6. 삭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및 대기파레트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파레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마찰로드가 마련되고,
    상기 보조견인장치는 상기 마찰로드 양측에 밀착된 상태로 양방향 중 일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하면서 마찰로드를 이동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마찰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몸체의 중앙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
KR1020080032806A 2008-04-08 2008-04-08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 KR100949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806A KR100949764B1 (ko) 2008-04-08 2008-04-08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806A KR100949764B1 (ko) 2008-04-08 2008-04-08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344A KR20090107344A (ko) 2009-10-13
KR100949764B1 true KR100949764B1 (ko) 2010-03-25

Family

ID=4153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806A KR100949764B1 (ko) 2008-04-08 2008-04-08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7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8261A (zh) * 2018-08-29 2018-11-23 石家庄铁道大学 旋转立体式车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9017A (ja) * 1991-11-26 1993-06-15 Daifuku Co Ltd 立体駐車場
KR100257108B1 (ko) 1997-11-06 2000-05-15 이종수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 및 그 주차방법
KR200291853Y1 (ko) 2002-07-04 2002-10-11 박진수 일체형 개인차고를 갖는 고층아파트 구조
KR100569817B1 (ko) * 2005-10-26 2006-04-14 주식회사 코스텍엔지니어링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 및 주차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9017A (ja) * 1991-11-26 1993-06-15 Daifuku Co Ltd 立体駐車場
KR100257108B1 (ko) 1997-11-06 2000-05-15 이종수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 및 그 주차방법
KR200291853Y1 (ko) 2002-07-04 2002-10-11 박진수 일체형 개인차고를 갖는 고층아파트 구조
KR100569817B1 (ko) * 2005-10-26 2006-04-14 주식회사 코스텍엔지니어링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 및 주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344A (ko) 2009-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408B1 (ko) 주차설비
KR100864755B1 (ko) 파킹 장치
KR20100123298A (ko) 파레트형 주차설비
JP2009197417A (ja) 機械式駐車場
KR20100097775A (ko) 로봇을 이용한 자전거 주차장치
RU2376430C1 (ru) Многоярусна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автостоянка модульного типа
KR100702666B1 (ko) 다층형 주차설비
JPH07113284B2 (ja) 多層複列型収納設備
KR100949764B1 (ko)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
JP2008215051A (ja) 駐車設備
KR20050001072A (ko) 승강 이동식 빌라형 주차장치
KR20050008152A (ko) 승강 이동식 주차장치
JPH04353175A (ja) 立体駐車装置
RU2304207C1 (ru) Многоэтажная стоянка для легковых автомобилей
JP2021032068A (ja) 機械式駐車設備
JP5653134B2 (ja) 連立型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2578010Y2 (ja) 移送装置を具えた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2945873B2 (ja) 機械式立体駐車場
RU2427692C1 (ru) Хранилище (варианты)
KR200326274Y1 (ko) 승강 이동식 빌라형 주차장치
KR200329497Y1 (ko) 승강 이동식 주차장치
JP3592933B2 (ja) 資材ストック装置
KR200414248Y1 (ko) 주차설비
JP3103278U (ja) 鉄筋コンクリート壁を有した建物組込型で横行搬送装置を具備した篭の昇降式立体駐車装置
KR100543872B1 (ko) 피견인차량용 주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