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3685Y1 - 입체주차장치 - Google Patents

입체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3685Y1
KR0113685Y1 KR2019940016392U KR19940016392U KR0113685Y1 KR 0113685 Y1 KR0113685 Y1 KR 0113685Y1 KR 2019940016392 U KR2019940016392 U KR 2019940016392U KR 19940016392 U KR19940016392 U KR 19940016392U KR 0113685 Y1 KR0113685 Y1 KR 01136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parking
elevator
parking spac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6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951U (ko
Inventor
이익중
Original Assignee
이익중
주식회사 덕산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중, 주식회사 덕산기공 filed Critical 이익중
Priority to KR2019940016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3685Y1/ko
Publication of KR9600019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9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36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36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7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vertical parking loo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4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dollie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wheeled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강기와 차량적재용 파렛트를 이용하여 상ㆍ하ㆍ좌ㆍ우의 각 주차공간으로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게 한 입체주차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수직과 수평프레임 및 파렛트안내레일을 설치하여 상ㆍ하ㆍ좌ㆍ우로 다수의 주차공간을 형성한 다음 차량이 적재되는 이동식 파렛트를 각각 설치하고 좌ㆍ우 주차공간의 중아에 파렛트 입ㆍ출고를 위한 승강기를 설치하여 주차공간 내로 차량을 입ㆍ출고 시키도록 한 고안이 국내실용신안공고 제91-4976호로 공지된 바 있다.
이는 수평 2열 주차방식으로 단위면적당 주차효율이 매우 낮은 편이며 파렛트를 결속하여 입출고시키는 승강기의 체인 어태지먼트(걸림봉)가 승강기의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감속기는 승강기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어서 길이가 매우 긴 축봉을 사용하므로 축봉의 중간에 유니버셔죠인트로 자재이음이 필요하게 되어 소요부품과 생산원가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수직프레임(2)과 수평프레임(4)및 안내레일(6)를 다층으로 된 좌ㆍ우 주차공간의 외측으로 연장 설치하여 수평4열 또는 수평6열로 주차공간(7)을 형성하고, 각 주차공간(7)에는 전ㆍ후 면으로 한쌍의 바퀴(44)가 축고정되고, 양측면 중앙에 암ㆍ수훅크(52)(54)가 고정된 파렛트(나)를 입고하여 암ㆍ수훅크의 걸림편(53)과 요입부(50)의 걸림작용에 의해 인접하는 파렛트와 파렛트가 서로 결속되게 하고, 최상층 또는 일단의 주차층에는 파렛트(나)가 비어 있는 여유주차공간(56)을 설치하여 파렛트 입ㆍ출고시 파렛트를 임시로 존치할 수 있게 하고, 걸림봉(27)(28)(29)이 고정된 체인(22)(23)은 구동모터(10)과 감속기(12)가 위치하는 승강기(가)의 중앙부로 치중설치하여 유니버셜죠인트를 생략하고, 체인(22)(23)의 일단에는 스프링 완충장치(26)를 설치하여서 된것으로 단위면적당 주차댓수를 높이고, 또한 소요부품과 생산원가가 절담되게 한것이다.

Description

입체주차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도시한 수평6열 입체주차방식의 정면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 승강기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부분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승강기의 단면구성도로서 파렛트가 격납된 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 승강기의 완충장치 단면도로서, (가)는 종단면도,(나)는 횡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 승강기의 동력전달체계를 도시한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 파렛트 평면도
제8도는 본 고안 훅크에 걸림봉이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 암수훅크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제10도는 본 고안 파렛트와 파렛트가 서로 결속된 상태의 사시도
제11도는 본 고안 파렛트의 스토퍼장치로서, (가)는 정면도, (나)는 측면단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승강기 나 : 파렛트
2 : 수직프레임 4 : 수평프레임
6 : 파렛트안내레일 7 : 주차공간
8 : 승강기의 안내레일 10 : 구동모터
12 : 감속기 20 : 측판
21 : 격판 22,23 : 체인
24 : 감속기 축봉 25 : 카플링
26 : 완충장치 27,28,29 : 걸림봉
30 : 베어링 31 : 작동구
32 : 돌출편 33 : 고정편
34 : 요입홈 35 : 연결편
36 : 볼트 38 : 나사봉
40 : 코일스프링 41 : 받침편
42 : 너트 43 : 돌출테
44 : 바퀴 45 : 개방홈
46 : 걸림턱 48 : 후육부
49,50 : 요입부 51 : 돌출편
52 : 암훅크 53 : 걸림편
본 고안은 승강기와 파렛트(차량적재대)를 이용하여 상ㆍ하 및 좌ㆍ우의 각 주차공간으로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게 한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 각 주차층의 외측으로 주차공간과 파렛트를 증설하여 수평4열 또는 수평6열로 주차되게 하여 단위면적당 주차댓수를 증가시키고, 승강기의 좌ㆍ우측의 분산위치하는 파렛트 입ㆍ출고용 체인을 승강기의 가운데 위치로 치중설치하여 소요부품과 제작비를 줄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가지 형태의 주차방식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협소한 부지의 경우에는 다층으로 된 입체주차장을 주로 설치하여 많은 양의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게 하고 있다.
상기의 입체주차장치 중에서, 수직과 수평프레임 및 파렛트안내레일로 상ㆍ하 및 좌ㆍ우에 주차공간을 형성한 다음 차량이 적재되는 이동식 파렛트를 각각 설치하고, 그 중앙부에 파렛트의 입ㆍ출고를 위한 승강기를 설치하여 주차공간 내로 차량을 입고 및 출고시키도록 한 입체주차장치의 파렛트 입ㆍ출입장치가 국내실용신안공고 제91-4976호로 안출된 바 있다.
상기한 입체주차장치의 파렛트 입ㆍ출입장치는 수평2열 주차방식으로 승강기의 좌ㆍ우양측에 좌측이 우측보다 다소 높거나 또는 다소 낮게 파렛트 안내레일을 설치하여 다층으로 주차공간을 형성하고, 각 주차공간에는 전ㆍ후면으로 이동용 바퀴가 축고정되고, 승강기가 위치하는 방향으로는 훅크(반원형요구)가 돌설된 차량적재용 파렛트를 설치하고, 승강기에는 모터와 감속기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체인을 설치하고, 체인의 좌ㆍ우측면에는 서로 대칭하여 측면으로 돌출되는 걸림봉(체인어태치먼트)을 일정간격으로 고정하므로서,요구하는 파렛트의 훅크가 단속회전되는 체인걸림봉에 걸림작용되어 승강기로 파렛트가 출입되게 한 것이다.
상기한 입체주차장치의 파렛트 입ㆍ출입 장치는 1대의 승강기로 상ㆍ하 및 좌ㆍ우의 주차공간으로 차량이 각각 입체주차되므로 주차효율이 비교적 높은 편이나, 수평 2열 주차방식이므로 수평4열이나 수평6열 주차방식에 비여하는 단위 면적당 주차효율이 매우 낮은 편이며, 또한 파렛트의 일측면 가장자리에 훅크를 설치하고, 이와 대향하는 승강기의 양측 가장자리에 체인걸림봉을 분산설치하여 파렛트가 안정감 있게 출입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으나,체인을 정역회전시키는 모터와 감속기는 승강기의 중앙에 위치하고 체인은 승강기의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므로 길이가 긴 연결봉으로 동축이 되게 이들을 연결하고 축의 유동이나 진동회전 방지를 위하여 연결봉의 중앙에 유니버셜죠인트로 자재이음 하였기 때문에 부품소요가 많은 등의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승강기의 좌ㆍ우측에 위치하는 각 주차공간의 외측으로 다수의 주차공간과 파렛트를 연설하여 한대의 승강기로 수평4열이나 수평6열로 입체주차시킬 수 있게 하여 단위면적당 주차댓수증가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승강기의 양측 가장자리에 분산위치하는 파렛트 입ㆍ출고용 체인기어를 모터와 감속기가 위치하는 승강기의 중앙부로 편중설치하여 유니버셜죠인트를 삭제하므로서 제조원가 절감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및 파렛트 안내레일을 주차층의 각 외측으로 연장설치하여 수평4열 또는 수평6열로 주차공간을 형성하고, 주차공간내에는 전ㆍ후면으로 한쌍의 바퀴가 축고정된 파렛트의 양측면 중앙에 걸림편과 개방홈이 각각 형성된 암ㆍ수훅크를 고정하여 파렛트와 파렛트간이 결속되어 안내레일의 좌ㆍ우로 이동되게 하되, 일단의 주차층에 위치하는 주차공간에는 파렛트가 없는 여유주차공간을 확보하여 차량 입ㆍ출고시 필요하면 차량이 적재되거나 또는 적재되지 않은 파렛트를 임시로 존치시킬 수 있게 하고, 모터와 감속기가 위치하는 승강기의 중앙부에는 한쌍의 체인과 다수의 체인기어를 설치한 다음 길이가 짧은 축봉으로 감속기와 축연결 하므로서 유니버셜죠인트를 삭제토록 하고, 치중설치된 체인에는 완충력과 긴장력을 갖도록 완충장치를 부가한 것이다.
상기에서 주차공간과 파렛트를 수평8열이나 그 이상의 열로 형성하여 단위 면적당 주차댓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나, 요구하는 파렛트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경우 가운데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파렛트들을 최상층의 여유주차공간이나 파렛트가 비어있는 주차공간으로 이동시킨 연후라야 요구하는 파렛트의 입ㆍ출고가 가능해 지므로 입고 및 출고시간이 과다소요 되어 실익이 없어지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 도시한 수평6열 입체주차방식의 정면구성도로서, 지면의 적정위치에 승강기(가)가 설치되고, 승강기(가)의 좌ㆍ우측에 다층으로 주차공간이 형성되고 주차공간내에 차량적재용 파렛트가 설치되어 요구하는 파렛트가 승강기로 출입할 수 있게 된 수평2열 방식의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 승강기(가)의 좌ㆍ우로 위치하는 주차층(주차공간)의 외측으로 수직프레임(2)과 수평프레임(4) 및 파렛트 안내레일(6)를 연장설치하여 수평4열 또는 수평6열로 주차공간(7)을 형성하여 파렛트(나)를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제2도는 본 고안 승강기(가)의 평면구성도이고, 제4도는 파렛트(나)가 격납된 승강기(가)의 단면 구성도로서, 양측 가장자리에 ㄷ자형상의 파렛트(나) 출입용 안내레일 (8)이 대칭고정되고, 대략 중앙부에 구동모터(10)와 감속기(12)가 설치된 승강기에 있어서, 승강기(가)의 중앙에 평행하는 한쌍의 체인기어(14)를 축봉(16)(17)(18)과 브라켓(19)으로 회전가능하게 측판(20)과 양격판(21)에 각각 고정하고, 체인기어(14)의 외면에는 제4도와 같이 한쌍의 체인(22)(23)을 정ㆍ역회전되게 감되 일단의 체인기어 축봉(17)에 감속기(12)의 축봉(24)을 카플링(25)으로 축연결하고, 다른 일단의 체인기어축봉(18)에는 제5도와 같이 스프링 완충장치(26)를 설치하여 한쌍의 체인(22)(23)이 완충 및 긴장상태를 갖도록 하고, 각 체인(22)(23)의 양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걸림봉(27)(28)(29)이 측면으로 대칭 돌출되게 베어링으로 축고정한다.
상기한 제5도의 완충장치(26)는 축봉(18)의 양단부에 베어링(30)으로 작동구(31)가 축고정되며 작동구(31)의 상ㆍ하돌출편(32)은 양격판(21)에 고정된 상ㆍ하고정편(33)의 요입홈(34)에 결합되어 좌ㆍ우로 미끄럼운동(sliding)하게 된다.
작동구(31)의 일측은 한개의 연결편(35)양단에 볼트(36)와 너트(37)로 고정되며 연결편(35)에는 승강기의 측판(20)에 헐겁게 끼움된 한쌍의 나사봉(38)이 체결되고 측판(20)의 외측으로 돌출된 나사봉(38)에는 받침편(39)과 코일스프링(40)과 받침편(41)이 차례로 끼움되고, 또한 너트(42)가 이완가능하게 체결되어 체인(22)(23)의 완층력과 긴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7도 내지 제10도는 본 고안 파렛트(나)의 평면도와 단면도 및 사시도로서, 파렛트(나)의 전ㆍ후면에 돌출테(43)가 형성된 한쌍의 바퀴(44)를 축고정하여 안내레일(6)(8)을 따라 좌ㆍ우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파렛트(나)의 양측면 중앙부에는 개방홈(45)가 걸림턱(46)이 형성된 암ㆍ수훅크를 각각 고정하여 파렛트(나)와 파렛트(나)가 서로 결속되게 하고, 또한 걸림턱(46)이 승강기(가)로 출입할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 파렛트의 바퀴(44)는 단면이ㄷ형상인 승강기의 안내레일(8)에서는 요입된 레일의 안내홈에 삽입되어 이동하고,주차공간의 안내레일(6)에서는 상부에 얹혀서 이동이 되며 돌출테(43)는 두 안내레일(6)(8)의 내측면에 각각 접하게 되므로 파렛트(나)가 전ㆍ후 및 좌ㆍ우로의 흔들림 없이 승강기와 각 주차공간으로 안정감 있게 출입 및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체인(22)(23)을 종래와 같이 승강기의 양측 가장자리로 분산설치할 필요성이 없어진다.
상기에서 훅크의 구조는 제9도와 같이 파렛트(나)의 브라켓(47)에 볼트고정되는 후육부(48)가 상단 일측으로 형성되고, 후육부(48)의 타측으로는 승강기의 체인(22)(23)이 출입할 수 있게 개방홈(45)을 형성한다.
또한, 개방홈(45)의 양측 중앙에는 걸림봉(27)(28)(29)이 출입가능하게 개방홈(45)쪽으로 트인 요입부(49)를 형성하여 대향 걸림턱(46)이 형성되게 하고, 또한 승강기의 걸림봉(27)(28)(29)이 상·하로 출입할 수 있게 하되, 요입부(49)의 상·하부를 경사지게 확개하여 걸림봉(27)(28)(29)의 출입이 쉽도록 한다.
상기에서 훅크의 일측 요입부(49)외측면에 또 다른 요입부(50)가 형성되게 한쌍의 돌출편(51)을 외향 돌설하여 암훅크(52)를 구성하고, 또 다른 훅크의 일측 요입부(49)외측면 중앙에 상기한 암훅크의 요입부(50)에 끼움되는 걸림편(53)을 외향돌설하여 수훅크(54)를 구성하되, 제6도와 같이 암ㆍ수훅크(52)(54)가 파렛트의 중심선(55)를 기점으로 서로 어긋지면서 훅크의 걸림편(53)과 요입부(50)가 중심선(55)을 향하도록 고정하여 파렛트와 파렛트를 서로 결속할 수 있게 하고, 고정된 암ㆍ수훅크(52)(54)의 요입부(49)간 거리는 체인 (22)(23)에 고정된 걸림봉(16)(17)(18)간의 거리(one storke)와 동일하게 하여 차량적재용 파렛트(4)를 구성한 다음 각 주차공간(7)에 상기의 파렛트(나)를 입고 시킨다.
상기에서 파렛트 입고시 최상층 또는 일단의 주차층에 위치하는 각 주차공간에는 파렛트(나)가 없는 여유주차공간(56)을 형성하여 파렛트(나) 입ㆍ출고시 필요에 의해 파렛트를 임시로 입ㆍ출고시킬수 있게 하고, 파렛트(나)의 좌ㆍ우로 고정된 암ㆍ수훅크(52)(54)의 요입구(50)와 걸림편(53)이 서로 결합되어 인접하는 파렛트와 파렛트가 결속되게 한다.
이때 각 주차공간으로 입고된 파렛트들은 제11도의 스토퍼장치와 같이 파렛트의 저면으로 돌설된 걸림편(57)과 수평프레임(4)의 일단에 적정 간격으로 고정된 정지롤러(58)에 의해서 정지된 위치를 고수하게 된다.
상기에서 승강실(67)로 돌출된 좌ㆍ우측 파렛트의 암ㆍ수훅크(50)(54)간의 이격거리는 파렛트의 폭길이(파렛트의 양측에 고정된 암ㆍ수훅크 간의 거리)보다 조금더 이격되게 설치하여 승강되는 파렛트와 주차공간의 파렛트 서로 간에 충돌이나 간섭이 되지 않게 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60)은 승강기의 승강안내바퀴
(61)은 승강안내레일
(62)는 구동모터와 감속기의 축연결용 카플링
(63)은 승강기 회전장치(turn table)의 돌출봉에 삽입되는 결합구
(64)는 암ㆍ수훅크 고정볼트
(65)는 암ㆍ수훅크 고정너트
(66)은 탄발스프링이 내설된 정지롤러(58)의 완충장치
(67)은 승강실
(68)은 연결편
(69)는 자동차
(70)은 승강기의 상부 바닥판
(71)은 미끄럼 방지판
(72)는 중량추
(73)은 승강장치의 승강 안내휠
(H)는 좌ㆍ우 주차공간의 높이 차이 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차량(69)를 입고시키기 위하여 주차제어기(도시않됨)의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승강장치(도시않됨)가 구동되어 종래와 같이 하강해 있던 승강기(가)가 빈 파렛트가 위치하는 가장 가까운 주자층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승중인 체인의 걸림봉(27)(28)은 평소에는 제2도 또는 제4도와 같이 승강기(가)의 양측에 균형있게 위치하게 되고 승강실(67)로 돌출된 암 ㆍ수훅크(52)(54)와는 부딪히지 않는 거리(L)로 이격되어 있어서 상승 또는 하강시에 암ㆍ수훅크(52)(54)와의 간섭이나 충돌이 방지된다.
한편 상승중이던 승강기의 파렛트가 주자층에 거의 가까워 지면 구동모터(10)가 정회전하여 축봉(17)이 제4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감속회전하게 되고 ,체인(22)(23)과 걸림봉 또는 이동하게 된다.
이때 체인(22)(23)을 따라 이동중이던 걸림봉이 승강실(67)로 돌출된 일측 혹크의 요입부(49)와 수직일직선이 되면 구동모터(10)가 정지 및 제동되게 설치된 위치감지센서(도시 않됨)에 의해 구동모터(10)가 정지 및 제동되고, 승강기의 계속적인 상승에 의해 훅크의 요입부(49)와 수직일직선 상태가 된 일측 걸림봉(27)이 제8도와 같이 훅크의 요입부(49)에 삽입되고, 승강위치감지센서(도시않됨)에 의해 승강기의 상승이 바로 멈추어져 걸림봉(27)이 혹크의 요입부(49)에 걸림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구동모터(10)가 1스트로크(one stroke) 정회전하여 축봉(17)이 제4도의 화살표방향으로 다시 감속 회전되면 체인(22)(23)과 걸림봉(27)(28)(29)이 이동하게 되고, 이동되는 걸림봉(27)의 작용에 의해 파렛트(나)가 승강기(가)의 상부로 이동적재된다.
상기에서 파렛트 입고시 암ㆍ수훅크(52)(54)에 의해 파렛트가 서로 결속된 상태이므로 주차공간의 가운데와 가장자리에 위치하던 파렛트들이 이동되는 파렛트를 따라 견인되어 현재의 주차공간 보다 내측으로 위치하는 주차공간으로 각각 자리이동하여 정지하게 되고,가장자리의 주차공간에는 파렛트가 없는 상태가 된다.
승강기의 상부에 파렛트가 이동적재된 상태에서 승강장치가 동작하여 승강기(가)의 하강이 시작되고,따라서 결속된 암ㆍ수훅크 간에 높이 차이가 발생되면서 승강기에 적재된 파렛트와 내측 주차공간에 위치하는 파렛트간의 결속이 해재되고, 이어서 구동모터(10)가 간헐 정회전하여 체인(22)(23)가 파렛트(나)가 제4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하게 되고,이 동된 파렛트는 제4도와 같이 승강기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어서 승강기에 적재된 파렛트의 암·수훅크(52)(54)와 승강실(67)로 돌출된 암ㆍ수훅크(52)(54)사이에 이격거리(L)가 발생되고,체인(22)(23)의 양단부는 승강실(67)로 돌출된 개방홈(45)을 통과하게 되므로 승강시 파렛트와 승강기 서로 간에 간섭과 충돌이 방지된다.
계속 하강하던 승강기(가)의 결합구(63)가 도시되지 않는 승강기회전장치(turn table)에 삽입안착되면 승강기와 파렛트의 하강이 완료되고, 회전장치에 의해서 승강기 및 파렛트가 180도 회전된후 정지되면 파렛트의 상부에는 주차하고자 하는 차량을 진입시켜 차량을 적재하게 된다.
차량의 적재가 완료되면 주차제어기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승강기를 상승시키게 되고,상승되는 승강기는 주차하고자 하는 주차층에서 정지하게 되나 주차층에 도달하기 직전에 파렛트 출고시와 마찬가지로 구동모터(10)의 간헐회전동작(역회전)에 의해 파렛트가 주차층의 일내측 주차공간으로 이동하여 이격거리(L)가 없어지고 승강기의 계속상승으로 암ㆍ수훅크(52)(54)가 서로 결합되어 승강기의 파렛트와 주차층의 파렛트가 결속이 되고 승강위치감지센서(도시않됨)에 의해 승강기의 상승이 멈추면서, 승강기의 파렛트와 주차공간의 파렛트가 수평일직선이 되면서 승강이 멈춘다.
상기의 상태에서 구동모터(10)가 1스트로크 역회전하여 축봉(17)이 제4도의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감속회전하게 되고 체인(22)(23)과 걸림봉 또한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차량이 적재된 파렛트가 내측 주차공간내로 밀려 들어가 차량이 입고 및 주차되는 승강기는 현재 위치에 있거나 또는 하강하여 대기하므로서 차량의 입고가 완료된다.
상기에서 승강기에 적재된 파렛트의 바퀴(44)는 제 3도와 같이 승강기 안내레일(8)의 안내홈에 각각 삽입되므로 파렛트(나)의 전ㆍ후 유동이 방지되고 암ㆍ수훅크의 요입부(49)내에는 제동상태로 정지해 있는 걸림봉(27)(28)이 위치하므로 파렛트의 좌ㆍ우 유동이 방지된다.
상기에서 차량주차시 숭강기의 승강길이가 짧아지게 가장 낮은 주자층 부터 주차시킴이 효율적이고, 또한 주차공간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파렛트에 차량을 먼저 주차시키고, 다음으로 가운데에 위치하는 파렛트에, 그 다음으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파렛트의 순으로 주차함이 효율적이므로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가장자리의 파렛트에 차량을 먼저 주차시키기 위해서는 가운데와 내측에 위치하는 파렛트는 승강기(가)를 이용하여 여유주차공간(56)이나 파렛트가 비어있는 주차공간으로 임시 이동시켜 놓은 다음 가장자리의 주차공간에 차량을 먼저 주차시키고, 다음으로 임시이동시켜 놓았던 파렛트나 주차공간(7)상의 빈 파렛트를 이동시켜 차량을 적재한 다음 파렛트가 비어있는 가운데와 내측의 주차공간으로 차량을 각각 주차시키면 된다.
상기에서 차량이 입고된지 않은 초기상태에서는 파렛트가 비어 있는 여유주차공간(또는 여유 주차층)이 일단의 주차층에 한정 위치하게 되나, 차량이 입ㆍ출고 되면서 파렛트의 위치(자리)이동이 발생되므로 여유주차공간(56)의 위치한정개념이 없어지게 된다.
본 고안에서 승강기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체인을 한개로 설치할 수 도 있으나 한쌍으로 설치하면서 일정거리를 갖도록 한 이유는 파렛트 간을 결속시키는 암ㆍ수혹크(52)(54)가 파렛트의 중심선(55)을 서로 벗어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여 일측 체인의 걸림봉은 승강기의 좌측에 위치하는 파렛트의 훅크에 걸림작용되게하고, 타측 체인의 걸림봉은 승강기의 우측에 위치하는 파렛트의 훅크에 걸림작용되게 한 것이다.
각 주차공간에 주차된 차량을 출고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주차제어기(도시 않됨)로 출고차량(호출차량)이 적재된 파렛트의 번호를 누르게 되면 승강장치(도시않됨)가 구동되어 파렛트가 적재되지 않은 빈 승강기가 상승하게 되고, 호출중에 가까워지면 구동모터(10)가 간헐 정회전하여 체인(22)(23)과 걸림봉(27)(28)(29)이 이동하여 승강실의 일측으로 돌출된 훅크의 요입부(49)와 걸림봉이 수직일직선이 되고, 이 상태에서 상승중인 승강기(가)가 호출층에 도달하여 정지되면 훅크의 요입부(49) 중앙에 걸림봉이 삽입되어 위치하게 되고, 전기한 바와같이 구동모터(10)가 1스트로크 정회전하고 이와 연동되는 걸림봉의 작용으로 호출차량이 적재된 내측의 파렛트가 승강기의 상부로 1스트로크 이송되어 적재되고, 다음으로 승강기(가)가 하강하면서 적재된 파렛트와 내측 주차공간 상의 파렛트의 결속이 해제되고, 구동모터(10)의 간헐 정회전에 의해 파렛트 간에 간섭 및 충돌이 안되게 일정거리(L) 이격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승강기의 하강이 완료되어 회전장치에 승강기가 안착되면 회전장치가 180도 회전되고 차량 또한 입고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밖의 진출이 용이해진다.
차량이 승강기의 밖으로 진출하여 빈 파렛트가 남게 되면 승강기는 현위치에서 다음 차량의 입고(주차)를 기다리거나 또는 재상승하여 파렛트를 빈 주차공간에 입고하므로서 출고 대기하게 된다.
상기의 차량출고시 호출차량을 내측 주차공간에 위치하는 경우로 예를 들었으나, 호출차량이 주차공간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경우 내측이나 가운데 주차공간에 위치하는 빈 파렛트 또는 차량이 적재된 파렛트는 승강기(가)를 이용하여 여유주차공간(56)으로 임시 이동시켜 놓거나, 또는 파렛트가 비어 있는 근거리의 주차공간으로 이동시켜 놓은 후 호출차량을 출고시키게 된다.
본 고안 승강기(가)에 탄력설치된 완충장치(26)는 파렛트 입ㆍ출고시의 충격을 완화시켜주며, 또한 체인(22)(23)이 항상 긴장력을 갖도록 하여 주므로서 파렛트의 정확한 입ㆍ출입이 되게 하여 완충력 및 긴장력은 체결된 너트(42)의 이완이나 죄임에 따라 가변조절된다.
본 고안에서 차량주차를 수평6열로 예를 들었으나 수평4열 입체주차방식으로 할 수 도있으며, 이 경우 수평6열 입체주차방식에 비하여 단위면적당 주차댓수는 떨어지게 되나 파렛트의 불필요한 이동횟수가 줄어들므로 차량 입ㆍ출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그 작용효과는 수평6열 주차방식과 물론 동일하다.
또한, 본 고안 입체주차장치가 설치되는 부지의 크기에 따라 수평주차공간을 수평4열이나 수평6열이 아닌 수평3열, 수평5열, 수평7열 등의 홀수열로 안배하여 설치할 수도 있으며 주차층이 비교적 높거나 층수가 많을 경우에는 중간주차층에 여유주차공간과는 또 다른 여유주차공간을 형성하므로서 차량이나 파렛트의 입ㆍ출고시 신속성을 도모할 수 있게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구동모터(10)는 통상의 제어회로와 구동드라이버를 갖춘 서보모터나 D.C모터 또는 AC모터 또는 스태핑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승강실(67)의 좌ㆍ우측으로 위치하는 주차공간과의 파렛트는 제4도와 같이 높이(H)차이를 갖게 되므로 우측 파렛트 좌측 파렛트가 영향을 받지 않게 되고, 이와 반대로 좌측 파렛트 입ㆍ출고시에는 승강기(가)가 높이(HH)만큼 상승하게 되므로 우측파렛트가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1대의 승강기를 중심으로 수평4열 또는 수평6열로 주차되므로 단위면적당 주차댓수가 증가되고 승강기에 유니버셜죠인트가 불필요하여 소요부품과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승강기의 좌ㆍ우측에 다층으로 주차공간이 형성되고, 각 주차공간에는 바퀴가 축고정되고 일측면으로 훅크가 고정된 파렛트를 설치하고, 구동모터(10)로 정역회전되는 승강기의 체인(22)(23)에는 걸림봉(27)(28)(29)을 대향 고정하여 요구하는 파렛트가 입ㆍ출고되게 한 수평2열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 다층으로 된 좌ㆍ우 주차공간의 외측으로 수직프레임(2)과, 정지롤러(58)가 고정된 수평프레임(4)및 안내레일 (6)을 연장설치하여 수평6열로 주차공간(7)을 형성하고, 각 주차공간(7)에는 개방홈(45)가 요입부(49)(50)가 형성된 암훅크(52)가 일측면에 고정되고, 개방홈(45)과 요입부(49)와 걸림편(53)이 형성된 수훅크(54)가 타측면에 고정되고 걸림편(57)이 저향 돌설된 파렛트(나)를 설치하되, 암ㆍ수훅크의 요입부(50)와 걸림편(53)에 의해 인접하는 파렛트와 파렛트가 결속되게 하고, 일단의 주차층에는 파렛트(나)가 없는 여유주차공간(56)을 형성하여 차량 입ㆍ출고시 파렛트(나)를 임시로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입체주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걸림봉(27)(28)(29)이 고정된 승강기의 체인(22)(23)을 승강기(가)의 중앙부로 치중 설치하고, 암ㆍ수훅크(52)(54)를 파렛트(나)의 중앙부 양측에 어긋나게 고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주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수평4열로 입체주차되게 주차공간(7)과 파렛트(나)로 수평4열로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주차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암ㆍ수훅크(52)(54)의 요입부(49) 상ㆍ하를 확개 형성하여 걸림봉(27)(28)(29)의 출입이 쉽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주차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주차층에 파렛트(나)가 비어있는 여유주차공간을 추가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주차장치.
KR2019940016392U 1994-06-30 1994-06-30 입체주차장치 KR01136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392U KR0113685Y1 (ko) 1994-06-30 1994-06-30 입체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392U KR0113685Y1 (ko) 1994-06-30 1994-06-30 입체주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951U KR960001951U (ko) 1996-01-19
KR0113685Y1 true KR0113685Y1 (ko) 1998-04-13

Family

ID=19387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6392U KR0113685Y1 (ko) 1994-06-30 1994-06-30 입체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36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078B1 (ko) * 2012-12-27 2014-04-21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승강기 타입의 주차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9676B (zh) * 2017-10-25 2023-12-29 广东怡丰智能车库有限公司 车辆搬运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078B1 (ko) * 2012-12-27 2014-04-21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승강기 타입의 주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951U (ko) 199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38024A (ko) 입체형 주차시스템
CN101560844A (zh) 一种垂直升降式停车设备
CN100458088C (zh) 多列联动垂直升降式停车设备
KR0113685Y1 (ko) 입체주차장치
CN201416286Y (zh) 一种垂直升降式停车设备
KR101011116B1 (ko) 평면왕복방식 다열 주차장치
KR100702666B1 (ko) 다층형 주차설비
JP6327872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の横行装置
CN201065663Y (zh) 多列联动垂直升降式停车设备
KR20070098148A (ko) 평면왕복식 다열 주차장치
KR100766226B1 (ko) 평면왕복식 주차장치
JP3591073B2 (ja) 多段フォーク装置
KR960014365B1 (ko) 엘리베이터식 입체 주차장치
KR910007933Y1 (ko) 입체주차장치
US20230243173A1 (en) Automated parking floor conveyor systems
KR100257109B1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팰리트횡행 구동장치
KR200341480Y1 (ko) 포크식 승강 주차장치
JP2963852B2 (ja) 格納システム
KR101095514B1 (ko) 포크타입 주차설비
CN212054004U (zh) 侧向多层链条式升降横移停车设备
JPH04203176A (ja) 駐車装置
JP2549897B2 (ja) エレベーター式立体駐車装置
KR100632390B1 (ko) 이동형 주차장치
KR930002374B1 (ko) 다층순환형 입체 주차장치
JPS614082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