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7109B1 -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팰리트횡행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팰리트횡행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7109B1
KR100257109B1 KR1019970058482A KR19970058482A KR100257109B1 KR 100257109 B1 KR100257109 B1 KR 100257109B1 KR 1019970058482 A KR1019970058482 A KR 1019970058482A KR 19970058482 A KR19970058482 A KR 19970058482A KR 100257109 B1 KR100257109 B1 KR 100257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lift
transverse
vehicl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8658A (ko
Inventor
김재환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70058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7109B1/ko
Priority to TW087118244A priority patent/TW448260B/zh
Priority to US09/185,750 priority patent/US6332743B1/en
Priority to CN98111689.2A priority patent/CN1110614C/zh
Priority to JP31639798A priority patent/JP3174553B2/ja
Publication of KR19990038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 E04H6/28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turntables, rotary elevators or the like on which the cars are not permanently parked
    • E04H6/28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turntables, rotary elevators or the like on which the cars are not permanently parked using car-gripping transf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팰리트 횡행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에서는 팰리트 횡행구동장치가 각 주차실마다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조립생산성 저하와 원가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중앙부에 승강로가 형성되고 이 승강로의 좌우 양측에 복수층의 주차실이 형성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승강로에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을 승입출장과 각 주차실 사이에서 승강이동시키는 리프트와, 상기 주차실의 각 층에 설치되어 차량을 적재하는 팰리트 와, 상기 리프트에 횡행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 하측 걸고리가 설치된 걸고리부재와 상기 팰리트 에 설치되어 상기 걸고리부재의 상, 하측 걸고리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부재를 가지는 팰리트 횡행구동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조립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프트가 지정층에 도달하기 전에 리프트측 걸고리가 팰리트 측 걸림부재에 걸릴 수 있는 위치로 미리 횡행작동시킴으로써 입, 출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팰리트 횡행구동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Elaevator type Parking System) 및 그 주차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횡행수단에 의하여 각 주차실의 팰리트 를 주차실과 승강로 사이에서 횡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 조립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기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 및 그 주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는 중앙에 승강통로가 형성되고 이 승강통로의 좌우측에 복수층의 주차실이 구비된 타워형(Tower type) 구조로서, 상기 승강통로를 통해 리프트(Lift)가 승강하면서 상기 복수층의 주차실에 차량을 주차시키거나 상기 주차실에 주차된 차량을 출고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통상의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는 승강속도의 향상 및 소요동력의 절감을 위해 리프트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장치 자체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키는 것이 설계시의 중요한 요건이다.
종래 이러한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의 일례로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92-18228호로 알려진 "팰리트 횡행/승강식 주차장치가" 있다.
이 주차장치에서는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프로킷에 감겨진 체인의 일단에 리프트가 고정되고 이 체인의 타단에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가 고정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주행하는 체인의 양단에 각각 고정된 리프트와 밸런스 웨이트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되어 있으며, 각 주차실의 각층에는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주차 팰리트 (Pallet)를 지지하는 팰리트 지지대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주차장치에서 차량을 입고시키는 경우에는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빈 리프트를 입고 지정층의 팰리트 보다 낮은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리프트에 설치된 팰리트 횡행(橫行)수단에 의하여 팰리트 를 리프트의 상부로 이동시킨 다음 리프트를 승입출장(乘入出場)으로 하강시켜 리프트위에 얹혀진 팰리트 위에 차량을 탑재하고, 다시 리프트를 지정층으로 이동시켜 차량이 탑재된 팰리트 를 팰리트 지지대에 얹혀 지게 한 후, 리프트를 다시 승입, 출장으로 하강시키는 것에 의하여 차량 1 대의 주차가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고된 차량을 출고시키는 경우에는 빈 리프트를 지정층의 팰리트 보다 낮은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횡행수단에 의하여 차량이 탑재된 팰리트 를 리프트위로 이동시킨 다음 리프트를 하강시키며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탑승하여 승출(乘出)하고 나면, 다시 리프트를 승입출장으로 하강시키는 것에 의하여 차량 1 대의 출고가 완료되는 것이다.
또, 종래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의 다른 예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94-7326호로 알려진 "팰리트 횡행/승강 및 리프트 승강식 주차장치가" 있다.
이 주차장치는 상기한 주차장치의 리프트에 회전지지대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입고 및 출고시 차량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종래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의 또 다른 예로서는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 91-8092호로 알려진 "팰리트 횡행/리프트 승강식 주차장치가" 있다.
이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는 리프트와 팰리트 에 서로 엇갈리는 복수의 리프트포크(Lift Fork)와 팰리트로크(Rallet Fork)를 형성하여 리프트만 승강작동시키고 팰리트 는 횡행작동만 하도록 한 것이다.
즉, 이 팰리트 횡행/리프트 승강식 주차장치에서 차량을 입고시키는 경우에는 승입출장에 위치한 리프트에 차량이 승입(乘入)되면, 차량의 차륜은 리프트포크에 얹혀진다.
이 상태에서 리프트가 주차실의 지정층 팰리트 보다 약간 높은 위치까지 이동되면, 주차실에 각 팰리트 마다 설치되어 있는 팰리트 횡행수단에 의하여 팰리트 가 리프트의 하부로 이동된다.
다음 리프트를 하강시키면 차량의 차륜이 얹혀져 있는 리프트포크가 팰리트 의 팰리트 포크와 엇갈리면서 하방으로 통과하여 리프트포크에 안착되어 있던 차량의 차륜은 팰리트 포크에 얹혀진다.
이후, 차량이 탑재된 팰리트 는 다시 횡행수단에 의하여 주차실측으로 이동되며, 리프트는 다시 승입출장으로 이동함으로써 차량 1 대의 입고가 완료된다.
한편, 차량을 출고시키는 경우에는 리프트가 주차실의 지정층 팰리트 보다 약간 낮은 위치까지 이동되면 지정층의 팰리트 가 횡행수단에 의하여 피프트의 상부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리프트를 상승시키면 차량의 차륜이 얹혀져 있는 팰리트 포크가 리프트포크와 엇갈리면서 하방으로 통과하여 팰리트 포크에 얹혀져 있던 차량 차륜은 리프트포크에 얹혀진다.
이후, 팰리트 는 횡행수단에 의하여 다시 주차실측으로 이동되고, 리프트는 차량은 탑재한 상태로 승입출장으로 이동함으로써 차량 1 대의 출고가 완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방식 횡행식 주차장치에서는 펠리트를 횡행시키는 펠리트횡행수단이 각 층의 주차실마다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주차장치의 조립생산성 저하와 원가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팰리트 횡행구동장치가 각 주차실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팰리트 횡행구동장치를 리프트가 지정층에 도달하기 전에 팰리트 의 횡행대기상태로 작동시킬 수 없고, 리프트가 지정층의 팰리트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추가 동작에 의하여 비로소 팰리트 를 횡행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팰리트 가 팰리트 횡행수단에 결합되는 것이어서 그 추가 동작 시간만큼 전체적인 동작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팰리트 를 주차실과 승강로 사이에서 횡행이동시키는 수단을 리프트측에 설치함으로써 주차장치의 조립생산성 저하와 원가절감을 기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팰리트 횡행구동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프트에 설치된 팰리트 횡행수단에 의하여 팰리트 를 횡행시킬 수 있는 자세로 맞물리는 동작이 리프트의 승강동작시 이루어져 리프트가 지정층의 팰리트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추가 동작없이 팰리트 를 곧바로 횡행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입, 출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팰리트 횡행구동장치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의 일례를 보인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팰리트 횡행구동장치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의 리프트와 팰리트 를 포함하여 보인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팰리트 횡행구동장치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리프트와 팰리트 및 턴테이블을 포함하여 보인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팰리트 횡행구동장치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의 리프트와 팰리트 및 리프트승강구동수단을 포함하여 보인 부분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후방 리프트인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후방측 리프트의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팰리트 횡행구동장치를 보인 정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팰리트 횡행구동장치의 부분확대 정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에서 입고시 팰리트 횡행구동장치의 작동도.
제10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에서 출고시 팰리트 횡행구동장치의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인프레임 200 : 리프트
210 : 전방 리프트 220 : 후방 리프트
300 : 팰리트 330 : 횡행안내레일
340 : 횡행안내롤러 350, 360 : 횡행구동모터
351, 361 : 볼스크류 352, 362 : 걸고리부재
370 : 걸림부재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앙부에 승강로가 형성되고 이승강로의 좌우 양측에 복수층의 주차실이 형성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승강로에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을 승입출장과 각 주차실 사이에서 승강이동시키는 리프트와, 상기 주차실의 각 층에 설치되어 차량을 적재하는 팰리트 와, 상기 리프트에 횡행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 하측 걸고리가 설치된 걸고리부재와 상기 패리트에 설치되어 상기 걸고리부재의 상,하측 걸고리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부재를 가지는 팰리트 횡행구동수단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팰리트 횡행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팰리트 횡행구동수단의 걸고리 부재는 상기 리프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횡행구동모터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볼스크류에 나사결합되어 횡행이동하는 너트박스에 고정결합된 걸고리부재 몸체와, 상기 걸고리부재 몸체의 상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걸림부재에 걸리는 상, 하측 걸고리로 구성된다.
상기 상, 하측 걸고리는 상하단과 전면 또는 배면이 개방된 대략 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걸고리에 삽입되어 걸리는 롤러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팰리트 횡행구동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팰리트 횡행구동장치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장치의 외곽을 형성함과 아울러 중앙부에 승강로(T)가 형성되고 이 승강로(T)의 좌우 양측에 복수층의 주차실(P)이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승강로(T)에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트(200)와, 상기 주차실(P)의 각 층에 설치되어 차량을 적재하는 팰리트 (300)와, 상기 리프트를 승강구동시키는 리프트승강구동수단과, 상기 리프트(200)에 설치되어 상기 팰리트 (300)를 주차실(P)과 승강로(T)측으로 횡행시키는 팰리트 횡행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H 빔 등의 형강으로 된 4 개의 주기등(110)과 이 주기등(110) 사이사이에 설치되어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는 보조기둥(도시되지 않음) 및 주기둥(110)들과 보조기둥들을 연결하는 횡간 (120)들로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장치가 독립된 타워형으로 설치될 경우에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0)을 외장판(130)에 의하여 씌우며, 건물내에 설치될 경우에는 외장판 없이 메인프레임(100)을 건물 내에 설치한다.
상기 외장판(13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전면에 차량이 승입, 승출되는 승입출구(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이 승입출구에는 도어(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며, 외장판(130)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건물 자체에 승입출구가 설치되며, 이에 도어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로(T)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기계실(M)의 바닥과 승입출구 바닥과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승입출구 바닥에는 소정 깊이의 피트(140)가 형성된다. 이 피트(140)는 턴테이블(400)이 위치함과 아울러 리프트(200)가 턴테이블(400)보다 하부에 위치할 경우 그 작동공간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차실(P)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횡간(120)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팰리트 지지간(150)에 의하여 각 층별로 구획된다.
상기 리프트(200)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입출구측인 전방 리프트(210)와 그 반대측인 후방 리프트(220)로 구성된다.
도 5 에서는 전방 리프트(210)만을, 도 6 에서는 후방 리프트(220)만을 각각 도시하였으며, 전, 후방 리프트(210, 220)는 대체로 전후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후방 리프트(220)의 지지간(222)은 전방 리프트(210)의 지지간(212)보다 다소 짧고 그 리프트포크(240)의 개수가 전방 리프트포크(230)의 개수보다 적은 것외에는 대체로 동일한 구조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5 및 6에서 전방 리프트(210)과 후방 리프트 (220)의 부호를 병기하였다.
상기 각 리프트(210) (220)는 상기 리프트 승강구동수단에 의하여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트 프레임(211) (221)과, 이 리프트프레임(211) (221)에 고정되어 승강로(T)의 중앙을 향하여 연장되는 지지간(212) (222)과, 이 지지간(212) (222)에 고정되어 양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리프트포크(230) (240)로 구성된다.
상기 전후방측 리프트(210) (220)의 리프트포크(230) (240)에는 차량의 전륜(前輪) 또는 후륜(後輪)이 안착되는 것으로, 차량이 전면 승입상태로 탑재되는 경우에는 전방 리프트(210)의 리프트포크(230)에는 차량의 전륜이 안착되고 후방측 리프트(220)의 리프트포크(240)에는 차량의 후륜이 안착되며, 차량이 후면 승입상태로 탑재되는 경우에는 전방 리프트(210)의 리프트포크(230)에는 차량의 후륜이 안착되고 후방측 리프트(220)의 리프트포크(240)에는 차량의 전륜이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리프트프레임(211) (221)과 지지간(212) (222)은 연결간(213) (223)에 의하여 연결고정되며, 상기 지지간(212) (222)의 좌우방향 혹은 승강로(T)의 좌우방향 폭보다 좁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간(213) (223)의 좌우방향 폭은 상기 지지간 (212) (222)의 좌우방향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간(212) (222)은 틀재와 철판 등에 의하여 장방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틀재만을 사용하여 골격만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프트포크(230) (240)들은 상기 지지간(212) (222)들을 횡으로 가로질려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간(212) (222)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그 연장부에 차량의 차륜이 얹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 후측 리프트(210) (220)의 지지간(212) (222)들은 도 2 및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측단이 서로 연결되지 않고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후술하는 팰리트 (300)의 연결간(312)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간 (213) (223)들은 후술하는 팰리트 (300)의 횡행 안내 롤러 지지대(311)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좁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프트(210) (220)들은 리프트 승강안내수단에 의하여 승강가능하게 안내 됨과 아울러 리프트 승강구동수단에 의하여 승강구동되는 것이다.
상기 리프트 승강안내수단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 프레임(211) (221)에 굴대설치는 승강안내롤러(250) (260)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어 상기 승강안내롤러(250) (260)을 안내하는 다수개(도면에서는 4개)의 리프트승강안내레일(270)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안내롤러(250, 260)들은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프레임(211, 221)의 양측에 고정되어 상하로 연장되는 승강안내롤러지지대(253, 263)에 굴대설치된다.
상기 승강안내레일(270)과 승강안내롤러(250, 260)들은 리프트(210, 220)의 승강작동시 리프트(210, 220)가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됨이 없이 원할하게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승강안내레일(270)들은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전후방안내면(271)과 좌우측방안내면(272)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안내롤러(250, 260)들은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안내면(271)에 구름접촉되는 전후방안내롤러(251, 261)와 상기 좌우측방안내면(272)에 구름접촉되는 좌우측방안내롤러(252, 262)로 구성된다. 도 4 에 도시된 승강안내롤러(250, 260)들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이다.
또한 도 5 에서는 전방 리프트(210)의 승강안내롤러(250)만을 도시하고 도 6 내지 도 8 에서는 후방 리프트(220)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후방 리프트(220)의 승강 안내롤러(260)도 이와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도 5 내지 도 8 에서는 전방 리프트 (210)와 후방 리프트(220)의 대응되는 부분에 대하여 도면 부호를 병기하였다.
상기 리프트승강구동수단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계실(M) (도 1 에 설치되는 승강구동모터(280)에 의하여 주행되는 복수 가닥의 로프(R) (예컨대 8 가닥)의 일단을 밸런스 웨이트(B)에 고정함과 아울러 각 2 가닥의 로프(R)의 타단을 리프트(210) (220)의 리프트 프레임(211) (221)에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구동모터(280)에는 로프(R)들을 주행시키기 위한 구동시브(281)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로프(R)들은 안내시브(282)들을 통하여 그 방향을 전환되어 각각 리프트(210) (220)와 밸런스 웨이트(B)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 주차실의 팰리트 (300)들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주기둥(110)과 보조기둥들 사이에 횡으로 설치되는 전후 한쌍의 팰리트 지지간(150) (도 1)에 승강로(T)와 주차실(P)사이에서 횡행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팰리트 프레임(310)과, 이 팰리트 프레임(310)에 고정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리프트(200)의 리프트포크(230) (240)들과 교호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팰리트 포크(320)로 구성된다.
상기 팰리트 프레임(310)은 좌우 한쌍의 지지간(311)과 이 지지간(311)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간(3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간(311)은 그 좌우방향 내측 폭이 상기 리프트(200)의 리프트포크 (230) (240)의 양단 사이의 폭보다 넓게 배치되어 이 지지간(311)사이로 상기 리프트(210) (220)가 상하로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간(312)은 그 전후방향 폭이 상기 리프트(210) (220)의 양측 지지간(212) (222)의 끝단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어 리프트(210) (220)와 팰리트 (300)가 상하로 교차할 때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200)의 리프트포크(230) (240)와 팰리트 (300)의 팰리트 포크(320)들도 리프트(200)와 팰리트 (300)가 상하로 교차할 때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교호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팰리트 횡행안내수단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양측 주차실(P)의 상기 팰리트 지지간(150)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횡행안내레일 (330)과, 상기 팰리트 프레임(310)에 굴대설치되어 상기 횡행안내레일(330)에 구름접촉되는 횡행안내롤러(340)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 한쌍의 횡행안내레일(330)은 그 내측단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이들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상기 리프트(210) (220)의 연결간(213) (223)이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횡행안내롤러(340)는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팰리트 프레임 (310)의 양단에서 직각을 이루면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연장된 횡행안내롤러지지간(311)에 굴대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양측 횡행안내롤러지지간(311)은 그 끝단 사이의 간격이 상기 리프트(210) (220)의 연결간(313) (323)의 좌우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리프트(210) (220)와 팰리트 (300)가 상하로 교차할 때 상기 팰리트 (300)의 횡행안내롤러지지간(311)과 리프트(210) (220)의 연결간(213) (223)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횡행안내롤러(340)는 각 횡행롤러지지간(311)마다 각각 2개씩 팰리트 (300) 전체에 전후 각 4 개씩 설치되며, 각 롤러간의 간격(축간거리)은 상기 양측횡행안내레일(330)사이의 간격보다 넓게 설정하는 것에 의항 팰리트 (300)의 횡행이동시 팰리트 (300)가 일측 횡행안내레일에서 타측 횡행안내레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2 개 이상의 횡행안내롤러 (340)가 동시에 상기 횡행안내레일(330)사이의 간격내에 위치하지 않고 항상 적어도 3 개의 횡행안내롤러(340)는 양측 횡행안내레일(330)중 어느 한쪽에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어 팰리트 (300)가 항상 평행을 이루면서 안정되게 횡행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팰리트 횡행구동수단은 도 3 내지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 (210) (220)의 리프트프레임(211) (221)에 설치되어 정역회전하는 횡행구동모터 (350) (360)와, 상기 리프트프레임(211) (22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횡행구동모터 (350) (360)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볼스크류(351) (361)와, 상기 볼스크류 (351) (361)에 의하여 왕복이동하는 걸고리부재(352) (362)와, 상기 팰리트 (300)에 설치되어 상기 걸고리부재(352) (362)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부재(370)로 구성된다.
상기 볼스크류(351) (361)는 횡행모터(350) (360)에 횡행전동기구를 통하여 감속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횡행전동기구는 통상적인 기어나 체인/스프로킷 등을 이용한 동력전달기구가 사용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걸고리부재(352) (362)는 상기 리프트 프레임(211) (221)에 횡으로 고정된 안내봉(354) (364)에 의하여 횡행이동가능하게 안내되는 걸고리부재 몸체 (353) (363)와, 상기 걸고리부재 몸체(353) (363)에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 (351) (361)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박스(355) (365)와, 상기 걸고리부재 몸체(353) (363)에 결합되어 상하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연장간(356) (366)과, 상기 연장간(356) (366)의 상하부에 굴대설치되는 각 한쌍의 걸고리(357a, 357b) (367a, 367b)로 구성된다.
상기 걸고리부재(352) (362)의 걸고리(357a, 357b) (367a, 367b)는 전면 또는 후면과 상, 하면이 개방된 대략 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재(370)는 팰리트 (300)의 내측 전후단부에 설치되는 고정편 (371)과, 이 고정편(371)에 굴대설치되어 상기 걸고리(357a, 357b) (367a, 367b)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롤러(37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팰리트 (300)는 리프트프레임(211) (221)의 내측에서 횡행이동하는 것이므로 횡행이동시 팰리트 (30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리프트프레임 (211) (221)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걸고리(357a, 357b) (367a, 367b)는 리프트프레임(211) (221)의 상, 하측간(211a) (221a)에 의하여 안내된다. 여기서 리프트프레임(211) (221)의 상, 하측간(211a) (221a)은 걸고리(357a, 357b) (367a, 367b)의 횡행이동시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의 일부를 제외한 부분의 평면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걸고리부재(352) (362)에는자형 단면의 걸고리(357a, 357b) (367a, 367b)를 설치하고 걸림부재(370)에는 걸림롤러(372)를 설치하였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걸고리(357a, 357b) (367a, 367b)와 동일한 단면의 걸림편을 걸림부재(370)측에 설치하고 상기 걸림롤러와 동일한 구조의 걸고리롤러를 걸고리부재(352) (362)측에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걸고리부재(352) (362)는 그 상하단에 설치된 걸고리(357a, 357b) (367a, 367b)가 양측 주차실(P)(P)에 위치하고 있는 팰리트 (300)의 걸림롤러 (372)에 걸릴 수 있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팰리트 횡행수단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에서는 도 9a와 같이 승강로(T)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승입출장에 리프트(210) (220)가 위치한 상태, 즉 리프트(210) (220)가 턴테이블(도시되지 않음)에 일치하는 상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 (210) (220)와 턴테이블위에 차량이 승입하여 정지한다. 이 때 차량은 리프트(210) (220)의 포크와 턴테이블포크(도시되지 않음)에 동시에 탑재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리프트(210) (220)가 리프트승강구동수단에 의하여 상승하기 시작하면, 차량은 리프트(210) (220)에만 탑재된 상태로 된다.
이 때 리프트승강구동수단의 동작을 살펴보면, 기계실(M)에 설치된 리프트승강구동수단의 승강구동모터(280)가 가동되면 승강구동모터(280)의 동력이 감속기를 거쳐 구동시브(281)에 전달되어 리프트(210) (220)와 밸런스 웨치트(B)가 연결된 로프(R)들이 안내시브(282)들의 안내를 받으면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주행하게 된다. 이 때 승강구동모터(280)의 구동방향이 정방향, 즉 로프(R)가 리프트(210) (220)를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구동되면 리프트(210) (220)는 상승하게 되고 밸런스 웨이트(B)는 하강하게 되며, 반대로 승강구동모터(280)의 구동방향이 역방향, 즉 로프 (R)가 밸런스 웨이트(B)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구동되면 리프트(210) (220)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리프트(200)의 승강작동에 있어서는 전후측 리프트(210) (220)는 각각 리프트프레임(211) (221)에 설치된 승강안내롤러(250) (260)들이 승강안내레일(270)을 따라 안내되며, 상기 승강안내롤러(250) (260)들은 상기 리프트프레임 (211) (221)에 고정되어 상하로 연장된 롤러지지틀(253) (263)에 굴대설치됨과 아울러 각 승강안내롤러(250) (260)는 전후방롤러(251) (261)와 측방롤러(252) (262)로 구성되어 각각 승강안내레일(270)의 전후방안내면(271)과 측방안내면 (272)에 구름접촉하면서 안내되는 것이므로 리프트(210) (220)는 전후방 및 좌우측방으로 유동됨이 없이 안정된 상태로 승강하게 된다.
차량이 탑재된 리프트(210) (220)가 승입출장을 지정층으로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기 팰리트 횡행구동수단이 작동하여 리프트(210) (220)측에 설치된 걸고리부재 (352) (362)가 팰리트 (300)에 설치된 걸림부재(370)에 걸릴 수 있는 위치, 즉 승강로(T)와 주차실(P)의 경계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팰리트 횡행구동수단의 작동을 살펴보면, 팰리트 횡행수단의 횡행구동모터(350) (360)가 작동하여 이에 전동기구를 통해 연결된 볼스크류(351) (361)가 회전하게 되면, 이 볼스크류(351) (361)에 나사결합된 너트박스(355) (365)가 상기 안내봉(354) (364)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너트박스 (355) (365)에 고정결합된 걸고리부재 몸체(353) (363)와 이 걸고리부재 몸체 (353) (363)에서 상하로 연장된 연장간(356) (366)과 이 연장간(356) (366)의 상하단에 설치된 걸고리(357a, 357b) (367a, 367b)가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고리부재(352) (362)가 주차실(P)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걸고리(357a, 357b) (367a, 367b)가 팰리트 (300)측의 걸림롤러(372)에 걸릴 수 있는 위치에 있게 되며, 리프트(210) (220)가 팰리트 (300)의 위치를 통과할 경우 걸고리(357a, 357b) (367a, 367b)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과 상하단이 개방된 대략 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롤러(372)와 걸고리(357a, 357b) (367a, 367b)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상기 리프트(210) (220)가 지정층의 팰리트 (300)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는 하측 걸고리(357b) (267b)가 팰리트 (300)의 걸림롤러(372)에 걸리게 되고 리프트(210) (220)가 지정층의 팰리트 (300)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는 상측 걸고리(357a) (367a)가 팰리트 (300)의 걸림롤러(372)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고리부재(352) (362)의 상측 걸고리(357a) (367a) 또는 하측 걸고리(357b) (367b)가 팰리트 (300)의 걸림부재(370)의 걸림롤러(372)에 걸린 상태에서 걸고리부재(352) (362)가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당해 걸림롤러(372)가 결합된 팰리트 (300)는 주차실(P)과 승강로(T)사이에서 횡행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팰리트 횡행동작에 의하여 팰리트 횡행구동수단의 걸림부재(353) (354)가 주차실(P)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도 9b와 같이 차량이 탑재된 리프트(210) (220)가 지정층의 팰리트 (300)보다 높은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걸고리 부재 (352) (362)의 하측 걸고리(357b) (367b)가 지정층 팰리트 (300)의 걸림롤러 (372)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팰리트 횡행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걸림부재(353) (363)을 승강로(T)측으로 작동시키면 도 9c와 같이 걸림부재(353) (363)의 하측 걸고리(357b) (367b)에 팰리트 (300)측 걸리롤러(372)가 걸려 있으므로 팰리트 (300)는 승강로 (T)측으로 횡행이동하여 차량이 탑재된 리프트(210) (220)의 직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팰리트 횡행수단의 걸고리부재(352) (362)를 지정층으로의 이동 도중에 미리 걸림부재(370)에 걸릴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종래와 같이 리프트(210) (220)가 지정층의 팰리트 (300)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추가 작동에 의하여 걸고리부재(352) (362)를 걸림부재(370)에 걸릴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추가 작동에 소요되는 시간만큼 작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팰리트 프레임(310)에 설치된 횡행안내롤러(340)가 팰리트 지지간 (150)에 설치된 횡행안내레일(330)에 의하여 안내되므로 팰리트 (300)의 횡행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횡행안내롤러(340)는 각 팰리트 프레임(310)의 전후방에 각각 4 개씩 설치되며 그 사이의 간격은 상기 양측 횡행안내레일(330)의 내측단부 사이의 간격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팰리트 (300)가 횡행이동할 때 1 개 이상의 횡행안내롤러 (340)가 양측 횡행안내레일(330)의 내측단 사이의 간격에 위치하지 않고 항상 적어도 3 개 이상의 횡행안내롤러(340)가 횡행안내레일(330)에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팰리트 (300)의 횡행이동이 안정되게 이루어진다.
지정층의 팰리트 (300)가 차량이 탑재된 리프트(210) (220)의 직하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리프트승강구동수단에 의하여 리프트(210) (220)을 도 9d 와 같이 지정층 팰리트 (300)보다 낮은 위치, 즉 걸고리부재(352) (362)의 상측 걸고리(357a, 367a)가 팰리트 (300)측 걸림롤러(372)에 걸리는 위치까지 하강시키면 리프트(210) (220)에 탑재되어 있던 차량이 팰리트 (300)측에 탑재된다.
이때, 리프트(210) (220)를 팰리트 (300)보다 하방으로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리프트포크(230) (240)와 팰리트 포크(320)는 서로 교호 배치되어 있으므로 서로 간섭을 일으키는 일이 없이 리프트포크(230) (240)이 팰리트 포크(320)사이를 통과하여 팰리트 포크(320)보다 낮게 위치하게 되므로 리프트포크(230) (240)에 탑재되어 있던 차량이 팰리트 포크(320)상에 탑재된다.
다시 팰리트 횡행구동수단에 의하여 걸고리부재(352) (362)을 주차실(P)측으로 작동시키면 걸림롤러(372)가 상측 걸고리(357a) (367a)에 걸려 있으므로 차량이 탑재된 팰리트 (300)는 도 9e 와 같이 주차실(P)로 횡행이동하게 된다.
이후, 리프트승강구동수단에 의하여 도 9f 와 같이 리프트(210) (220)를 승입출장으로 하강시킴으로서 차량 1 대의 입고가 완료되는 것이다.
다음, 주차실(P)의 팰리트 (300)에 입고된 차량을 출고함에 있어서는, 출고시에는 도 10a 의 상태에서 리프트승강구동수단에 의하여 리프트(210) (220)를 지정층으로 상승시킨다.
리프트(210) (22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술한 팰리트 횡행수단의 동작에 의하여 걸고리부재(352) (362)를 주차실(P)측으로 이동시켜 리프트(210) (220)가 지정층의 팰리트 (300)보다 낮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걸고리부재(352) (362)의 상측 걸고리(357a) (367a)가 지정층 팰리트 (300)의 걸림부재(370)에 걸릴 수 있는 상태로 유지시킨다.
도 10b 와 같이 리프트(210) (220)가 지정층 팰리트 (300)보다 낮은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걸고리부재(352) (362)의 상측 걸고리(357a) (367a)가 팰리트 (300)의 걸림부재(370)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리프트(210) (220)를 정지시키고 팰리트 횡행수단을 가동시켜 걸고리부재(352) (362)를 승강로(T)측으로 이동시키면 걸고리부재(352) (362)의 상측걸고리(357a) (367a)에 걸리부재(370)가 걸려 있는 팰리트 (300)는 도 10c 와 같이 리프트(210) (22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리프트(210) (220)를 다시 상승시켜 도 10 d 와 같이 리프트(210) (220)가 팰리트 (300)보다 높은 위치로 이동시키면 팰리트 (300)에 탑재되어 있던 차량은 리프트(210) (220)에만 탑재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아울러 리프트(210) (220)가 상승함에 따라 걸골리부재(352) (362)의 하측 걸고리(357b) (367b)가 팰리트 (300)의 걸림부재(370)에 걸린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팰리트 횡행수단을 주차실(P)측으로 작동시키면 걸고리부재(352) (362)의 하측 걸고리(357b) (367b)에 걸림부재(370)가 걸려 있는 팰리트 (300)는 도 10e와 같이 주차실(P)로 복귀하게 된다.
이후, 차량이 탑재된 리프트(210) (220)를 도 10f 와 같이 승입출장으로 하강시켜 차량이 최초 입고시와 마찬가지로 리프트포크(230) (240)와 턴테이블포크(도시되지 않음)에 얹혀진 상태로 유지시킨 다음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승입출구로 빠져나가는 것에 의하여 차량 1 대의 출고가 완료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주차실에 설치되는 팰리트 는 단지 횡행안내레일을 따라 횡행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리프트에 횡행수단을 설치하는 것만으로써 각 주차실의 팰리트 를 주차실과 승강로 사이에서 횡행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리프트에 설치된 횡행수단이 리프트가 지정층의 차량을 입고 또는 출고하기 위하여 팰리트 를 횡행시키는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팰리트 를 횡행시킬 수 있는 자세로 작동되므로 입, 출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중앙부에 승강로가 형성되고 이 승강로의 좌우 양측에 복수층의 주차실이 형성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승강로에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을 승입출장과 각 주차실 사이에서 승강이동시키는 리프트와, 상기 주차실의 각 층에 설치되어 차량을 적재하는 팰리트 와, 상기 리프트에 횡행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 하측 걸고리가 설치된 걸고리부재와 상기 팰리트 에 설치되어 상기 걸고리부재의 상, 하측 걸고리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부재를 가지는 팰리트 횡행구동수단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팰리트 횡행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팰리트 횡행구동수단의 걸고리부재는 상기 리프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횡행구동모터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볼스크류에 나사결합되어 횡행이동하는 너트박스에 고정결합된 걸고리부재 몸체와, 상기 걸고리부재 몸체의 상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걸림부재에 걸리는 상, 하측 걸고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팰리트 횡행구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측 걸고리는 상하단과 전면 또는 배면이 개방된 대략 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걸고리에 삽입되어 걸리는 롤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팰리트 횡행구동장치.
KR1019970058482A 1997-11-06 1997-11-06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팰리트횡행 구동장치 KR100257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482A KR100257109B1 (ko) 1997-11-06 1997-11-06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팰리트횡행 구동장치
TW087118244A TW448260B (en) 1997-11-06 1998-11-03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US09/185,750 US6332743B1 (en) 1997-11-06 1998-11-04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CN98111689.2A CN1110614C (zh) 1997-11-06 1998-11-06 升降式停车系统
JP31639798A JP3174553B2 (ja) 1997-11-06 1998-11-06 エレベータ方式の駐車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482A KR100257109B1 (ko) 1997-11-06 1997-11-06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팰리트횡행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658A KR19990038658A (ko) 1999-06-05
KR100257109B1 true KR100257109B1 (ko) 2000-05-15

Family

ID=19524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482A KR100257109B1 (ko) 1997-11-06 1997-11-06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팰리트횡행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71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7532A (ko) 2022-06-02 2023-12-11 한도현 신속한 입출고 가능한 포크식 주차타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3795A (zh) * 2016-12-31 2018-07-10 湖北光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对正装置
CN110219488A (zh) * 2019-06-11 2019-09-10 湖北理工学院 一种小型机械停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7532A (ko) 2022-06-02 2023-12-11 한도현 신속한 입출고 가능한 포크식 주차타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658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4553B2 (ja) エレベータ方式の駐車装置
KR100286360B1 (ko) 엘리베이터식 주차 설비 및 차량 입출고 방법
KR100257108B1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 및 그 주차방법
KR100257109B1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팰리트횡행 구동장치
JPH11217950A (ja) 駐車設備のターンテーブル装置
KR100257112B1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
KR100295876B1 (ko) 엘리베이터방식주차설비의턴테이블장치
KR100257107B1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 및 그 주차방법
KR100257111B1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승강바닥장치
JP2006207359A (ja) 乗込口の横行装置
KR100257110B1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턴테이블 횡행장치
JP2577647B2 (ja) 立体機械式駐車設備
JP2019090292A (ja) 機械式駐車装置リプレース方法およびリプレース機械式駐車装置
KR19990038665A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리프트처짐방지장치
KR100328200B1 (ko) 입체주차설비와 입, 출고 제어방법
KR19990038662A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
JP4329104B2 (ja) 駐車装置の昇降リフト構造
KR19990073696A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리프트 구조
KR950009909Y1 (ko) 엘리베이터식 입체 주차장치
KR19990038666A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팰리트 횡행안내장치
JP2964825B2 (ja) 立体駐車設備
KR930006344B1 (ko) 에레베이터식 입체주차장치
JP2666676B2 (ja) 立体駐車設備
JP2666675B2 (ja) 立体駐車設備
JP2001317225A (ja) 立体駐車装置用の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