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503B1 - 이동형 팔레트를 이용한 포크식 주차설비 - Google Patents

이동형 팔레트를 이용한 포크식 주차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503B1
KR100605503B1 KR1020040057492A KR20040057492A KR100605503B1 KR 100605503 B1 KR100605503 B1 KR 100605503B1 KR 1020040057492 A KR1020040057492 A KR 1020040057492A KR 20040057492 A KR20040057492 A KR 20040057492A KR 100605503 B1 KR100605503 B1 KR 100605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fork
moving
parking facility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8653A (ko
Inventor
황성필
Original Assignee
황성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필 filed Critical 황성필
Priority to KR1020040057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503B1/ko
Publication of KR20060008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의 입고 및 출고가 안전하고 신속한 포크식 주차설비가 개시된다. 포크식 주차설비는 복수개의 플랫폼 층을 제공하는 구조체, 팔레트 레일 및 팔레트 레일의 양쪽에 설치되어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는 적재 포크를 포함하는 플랫폼 지지대, 적재 포크에 대응하는 이동 포크를 포함하며 팔레트 레일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자체적으로 이동 포크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팔레트, 이동 팔레트를 수평하게 이송하기 위한 수평 이송장치, 그리고 이동 팔레트를 수직하게 이송하기 위한 수직 이송장치를 구비한다. 이동 팔레트가 팔레트 레일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하기 때문에 차량의 입고 및 출고가 안전하며, 적재 포크 및 이동 포크의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하중에 의한 처짐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이동 팔레트의 이동 경로를 최단화함으로써 신속한 입고 및 출고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이동형 팔레트를 이용한 포크식 주차설비{FORK-TYPE PARKING FACILITY SYSTEM USING A MOVING PALLET}
도 1은 종래의 포크식 주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포크식 주차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의 입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팔레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 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팔레트를 각각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의 이동 팔레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하여 이동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에서 플 랫폼 지지대 및 이동 팔레트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포크식 주차설비 110:구조체
120:플랫폼 지지대 122:팔레트 레일
124:적재 지지프레임 126:적재 포크
130:이동 팔레트 132:슬라이딩 베이스
134:승강 프레임 136:이동 포크
140:팔레트 리프트 148:팔레트 베이스
150:수평 이송장치 160:수직 이송장치
본 발명은 주차설비(parking facility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한정된 공간에 최대한의 주차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주차된 차량을 신속하게 입고 및 출고할 수 있는 다층형 주차설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대중적으로 보편화 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자동차 이용률 및 자동차 보급률이 매년마다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자동차 보급률의 증가와 함께 자동차 관련 시설에 대한 필요성도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이용의 증가 로 인해 가장 중요하게 거론되는 이슈(issue) 중 하나가 주차(parking)에 관한 것이다.
번화한 도시와 같이, 한 건물 또는 한 시설에 대한 자동차 이용 인구가 많은 반면에 제공될 수 있는 주차 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경우, 주차 공간의 확보는 자동차 이용자 간에 첨예한 중요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주차 관련 문제는 더 나아가 사회 전반의 문제로 발전될 수도 있다.
게다가, 자동차 보급이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2대 이상의 자동차를 보유하는 가정이 증가하면서 주차 공간 확보의 과제는 더욱 심각한 수준에 다다르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차 공간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주차 설비(parking equipment)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주차 설비의 주목적은 한정된 공간에 최대한 많은 주차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며, 주목적에 못지 않게 중요하게 고려되는 부수적인 목적들로는 간단한 구조 및 시스템의 유지, 조작의 편의성, 차량의 신속한 입고(enter) 및 출고(exit), 저렴한 공사 비용 등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종래에 여러 종류의 포크식 주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포크식 주차장치는 빗 형상(comb-like)의 포크바를 이용하여 차량을 지지하고, 포크바를 상호 교차시킴으로써 차량의 위치를 전환하는 방식의 주차설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을 이송하는 팔레트 및 주차공간에 장착되어 차량을 지지하는 플랫폼 지지대에는 각각 차량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포크가 제공되며, 상기 포크는 차량의 4개 바퀴를 모두 지지하도록 플랫폼 지지대의 전후 좌우에 형성 된다. 일반적으로 포크식 주차장치에서는 목적된 주차공간으로부터 플랫폼 지지대가 팔레트의 통로로 이동하여 팔레트가 통과하는 경로 상에 노출되고,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의 포크가 상호 중첩되도록 팔레트가 플랫폼 지지대를 통과함으로써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 간에 차량의 위치를 전환할 수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각각의 플랫폼 지지대를 독립적으로 수평 이동시키기 때문에, 플랫폼 지지대 각각에는 별도의 구동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비용의 측면에서도 제조 비용을 현저하게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플랫폼 지지대를 고정시키고 팔레트를 이송하는 방식의 포크식 주차장치도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포크식 주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포크식 주차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의 주차장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97893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주차장치는 스태커크래인을 이용한 무팔레트 가대식 주차시스템으로서, 다수의 주차공간을 가지고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랙(10)과, 랙(10)의 주차공간에 설치되어 차량(C)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적재바(20), 적재바(20)의 측면으로 접근 및 후퇴하면서 차량(C)을 적재바(20) 상에 적재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인출시키는 운반포크(30) 및 운반포크(30)를 전후 좌우 상하 방향의 3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스태커크래인으로 구성된다.
랙(10)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포스트(11)들 사이에서, 포스트(11)들에 인접하게 2열로 배치된다. 이웃하는 포스트(11)을 서로 직교하도록 수평보 (12, 13)들이 배치되며, 수평보(12, 13)들은 포스트(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랙(10)에 다수의 주차 공간을 격자형으로 제공한다.
적재바(20)는 적정 두께 및 폭을 갖는 판상으로 구성되며, 랙(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수평보(13) 위에 직교하도록 폭 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된다. 이러한 적재바(20)는 다수개가 구비되어 적어도 그 두께보다는 큰 간격을 두고 수평보(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적재바(20)의 단부는 운반포크(30)가 측면에서 중첩되어 진입할 수 있도록 수평보(13)로부터 외측으로 길게 돌출된 외팔보 형태를 취하며, 적재바(20)는 대략 포크(fork) 형태를 이룬다.
차량 및 운반포크(30)를 이송하기 위해 스태커크레인이 사용되며, 스태커크레인은 랙(10) 사이에 설치되어 바닥과 천장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고, 스태커크레인의 캐리지에는 운반포크(30)가 구동수단에 의해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동수단은 차량(C)의 신속한 적재와 인출을 위해 동시에 작동되는 2단 슬라이딩 구조를 취한다. 이를 위해 캐리지에 슬라이더를 장착하고, 랙-피니언 구조를 이용하여 운반포크(30)를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이송할 수가 있다.
이때, 적재바(20)의 높이(a)와 운반포크(30)의 포크바의 높이(b)가 동일하며, 적재바(20)의 돌출탭 높이(c)와 포크바(32)의 돌출탭 높이(d) 역시 동일하다. 운반포크(30)가 차량(C)를 탑재하여 적재바(20)로 진입할 때, 포크바(32)의 상단이 적재바(20)의 상단보다 일정 여유(g1)만큼 높게 위치한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반대로, 운반포크(30)가 빠져 나올 때는, 포크바(32)의 상단이 적재바(20)의 상단보 다 일정 여유(g2)만큼 낮게 위치한 상태로 후퇴하게 된다. 물론, 적재바(20)로부터 차량을 인출할 경우에는 상기 과정을 반대로 수행하면 된다.
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보(13)의 위치는 운반포크(30)의 완전한 진입을 위해 적재바(20)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포크바(32)의 길이와 고정보(31)의 폭 및 랙(10)의 수평보(13)의 폭을 합한 값의 1/2 이상 안쪽으로 치우치게 된다. 대체적으로 승용차의 폭이 약 1.8~2.0m인 점을 감안할 때, 수평보(13)로부터 돌출되는 적재바(20)의 단부까지는 약 1.0m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
적재바(20)가 약 1미터 이상의 외팔보 형태로 지지되기 위해서는 단부에서는 약간의 처짐이 발생하며, 그 위에 약 1.5~2.0톤의 차량이 적재된다면, 그 처짐을 더욱 증가하게 된다. 처짐이 증가할수록 차량은 더욱 불안정하게 지지되며, 차량의 불안정한 지지에 의해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물론, 상기 처짐에 대한 위험은 적재바(20)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며, 차량을 운반하기 위한 포크바(3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운반포크(30)가 차량을 운반하는 경우에도 또 다른 문제가 될 수 있다. 즉, 랙에 의해서 차량을 지지한 운반포크(30)가 한쪽으로 치우쳐 편심이 생기면, 운반포크(30) 및 캐리지가 전체적으로 기울어질 수 있으며, 이때 운반포크 상에 적재된 차량은 불안정한 상태에 있게 된다. 또한,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운반 포크의 하단에 아래로 쳐져 있기 때문에, 운반 포크의 좌우 이동 및 상하 이동이 제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차량을 편심 없이 수평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차량을 상하로 이동시킬 때에도 안전하게 지지하여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포크식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팔레트의 이동 경로 및 작동장치를 단순하게 유지함으로써 차량을 신속하게 입고 및 출고할 수 있는 포크식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팔레트를 이용하여 차량을 이송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팔레트에는 고하중의 무게가 부하되는데, 이러한 고하중에도 불구하고 차량 및 팔레트를 안전하고 정숙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포크식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랫폼 지지대가 차지하는 높이를 최소로 유지함으로써, 플랫폼 층에 넓은 주차공간을 제공하거나 제한된 공간에서 더 많은 플랫폼 층을 제공할 수 있는 포크식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포크식 주차설비는 복수개의 플랫폼 층을 제공하는 구조체, 각 플랫폼 층에서 차량을 지지하는 플랫폼 지지대, 플랫폼 지지대의 팔레트 레일에 지지되면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 팔레트, 이동 팔레트를 수평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평 이송장 치, 이동 팔레트를 플랫폼 층 간에 수직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직 이송장치를 포함한다.
본 주차설비는 차량을 지지 및 이송하기 위해서 평판형 팔레트가 아닌 포크식 팔레트를 사용하며, 포크식 팔레트로부터 차량을 이송 받아 보관하는 플랫폼 지지대 역시 빗 형상(comb-like)의 포크를 포함한다. 따라서 플랫폼 지지대는 적재 포크를 포함하며, 이동 팔레트는 이동 포크를 포함한다.
플랫폼 지지대에는 적재 포크 외에 팔레트 레일이 설치되며, 팔레트 레일은 이동 팔레트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팔레트의 이동롤러를 지지한다. 이동 팔레트는 팔레트 레일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딩 베이스 및 슬라이딩 베이스 상에 배치된 승강 프레임을 포함하며, 슬라이딩 베이스와 승강 프레임 사이에는 팔레트 리프트가 장착되어 승강 프레임을 승강시킬 수가 있다. 이동 포크는 승강 프레임에 형성되어 차량을 지지한 상태로 승강 프레임과 함께 상하로 이동할 수가 있다. 차량을 지지하고 있는 이동 포크가 적재 포크를 위에서 아래로 교차 통과하면서 차량을 적재 포크 상에 이전할 수 있으며, 빈 상태의 이동 포크가 차량을 적재한 적재 포크를 아래에서 위로 교차 통과하면서 적재 포크에 적재되었던 차량을 이송 받을 수가 있다. 플랫폼 지지대에서 이동 팔레트는 팔레트 레일 상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하중을 안전하게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이동 팔레트 및 차량은 편심 없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가 있다.
이를 위해서, 슬라이딩 베이스 및 승강 프레임 사이에는 팔레트 리프트가 장착되며, 팔레트 리프트는 슬라이딩 베이스에 대해 승강 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 는 기능을 한다. 팔레트 리프트는 사다리 잭, 가레지 잭(garage jack), 유압식 잭(oil jack), 및 공압식 잭(air jack) 등의 승강 방식을 이용하여 전동으로 승강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포크식 주차설비는 이동 팔레트를 수평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평 이송장치를 포함한다. 수평 이송장치는 이동 팔레트에 설치되어 이동 팔레트와 함께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 팔레트의 외부에 설치되어 이동 팔레트의 외부에서 이동 팔레트를 이송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팔레트를 수직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직 이송장치로 포함한다. 수직 이송장치는 구조체의 상부에 장착된 수직 구동장치, 및 수직 구동장치와 팔레트 베이스를 기능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와이어를 포함하며, 수직 구동장치로부터 와이어를 통해서 이동 팔레트를 승강하기 위한 힘이 전달된다. 실제로는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guide roller), 풀리(pulley) 또는 스프로켓(sprocket)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동력 전달방법에 따라 와이어도 와이어, 벨트, 체인 등으로 변경될 수가 있다.
이동 팔레트에 수평 이송장치가 장착되어 독자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면, 포크식 주차설비는 이동 팔레트를 지지하기 위한 팔레트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팔레트 베이스는 와이어를 통해 수직 이송장치와 연결되어 있으며, 수직 이송장치의 작동에 의해서 팔레트 통로를 통과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크식 주차장치는 기본적으로 플랫폼 지지대는 고정되고, 이동 팔레트가 플랫폼 지지대까지 이동하여 차량을 전환하며, 포크바를 되도록 짧 게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하중에 의한 포크바의 처짐을 최소화할 수 있고, 팔레트 내부에 적재 포크가 횡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차량을 플랫폼 지지대 상의 깊은 곳까지 무리 없이 이송하여 적재할 수가 있다.
적재 포크 및 이동 포크는 다양한 형태 및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폭방향 주차 또는 길이방향 주차에 따라 지지프레임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며, 적재 포크 및 이동 포크가 배향되는 방향도 차량 바퀴와 나란하게 또는 수직하게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승강 프레임이 팔레트 레일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단에 이동 포크가 낮게 장착됨으로써, 팔레트 레일 및 적재 포크 간의 높이 간격, 즉 플랫폼 지지대의 높이를 얇게 유지할 수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의 입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100)는 구조체(110), 플랫폼 지지대(120), 이동 팔레트(130), 팔레트 베이스(148), 수평 이송장치(150), 및 수직 이송장치(160)를 포함한다.
구조체(110)는 프레임 구조물 또는 건축물 등의 방식으로 제공되며, 복수개의 플랫폼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조체(110)는 철골 등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중앙에 상하로 형성된 팔레트 통로(112)를 기준으로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다층형의 플랫폼 층들이 제공된다. 그리고 각각의 플랫폼 층에는 플랫폼 지지대(120)가 설치된다.
플랫폼 지지대(120)는 팔레트 레일(122), 적재 지지프레임(124) 및 적재 포크(126)를 포함한다. 하나의 플랫폼 지지대(120)는 각 플랫폼 층에 고정된 설치물로서 차량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동 팔레트(130)로부터 차량을 이송 받고 이동 팔레트(130)가 다시 차량을 출고할 때까지 차량을 보관하게 된다. 구조체(110)의 벽면과 나란하게 플랫폼 지지프레임이 장착되며, 그 플랫폼 지지프레임 상으로 팔레트 레일(122)이 팔레트 통로(112)를 향해 수직하게 배치된다. 팔레트 레일(122)은 이동 팔레트(130)의 이동롤러 간격에 대응하도록 이격되어 플랫폼 지지프레임 상에 고정되어 있다. 팔레트 레일(122)의 단부에는 이동 팔레트(130)의 출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경사진 진입부가 제공된다.
구조체(110)에는 각각의 플랫폼 지지대(120)에 대응하여 전후 단에 적재 지지프레임(124)이 고정되고, 적재 지지프레임(124)의 내측으로 적재 포크(126)가 형성된다. 적재 지지프레임(124)은 브라켓을 이용하거나 용접 등에 의해서 구조체(110)의 전후측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주차되는 차량의 전후륜 거리보다 넓게 이격된다. 그리고, 적재 지지프레임(124)에는 차량의 바퀴에 대응하여 4군의 적재 포크(126)가 형성된다. 적재 포크(126)는 수cm의 두께를 갖는 철강판재 로서 적재 지지프레임(124)에 세워진 형태로 용접되어 고정되며, 다수개의 철강판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1군의 적재 포크(126)를 형성한다. 이때 적재 포크(126)의 판재 간 거리는 판재의 두께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체(110)의 상단에는 팔레트 베이스(148)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 이송장치(160)가 설치된다. 수직 이송장치(160)는 수직 구동장치(162), 구동 풀리(164), 종동 풀리(166) 및 와이어(168)를 포함하며, 와이어(168)은 수직 이송장치(160)로부터 분기되어 팔레트 베이스(148)를 지지한다. 수직 구동장치(162)의 회전은 구동축을 통해 구동 풀리(164)를 회전시키며, 구동 풀리(164)의 회전은 4개의 와이어(168)로 전달되고, 종동 풀리(166)가 와이어(168)의 이동 경로를 안내함으로써 팔레트 베이스(148)의 모서리를 수직으로 지지하며, 팔레트 베이스(148)가 똑바로 상하로 이동하도록 보조한다.
이동 팔레트(130)는 슬라이딩 베이스(132), 승강 프레임(134), 이동 포크(136) 및 팔레트 리프트(140)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베이스(132)는 팔레트 베이스(148) 상에 위치한다. 슬라이딩 베이스(132)는 팔레트 베이스(148)가 상하로 이동할 때 팔레트 베이스(148) 상에 고정되지만, 팔레트 베이스(148)가 특정 플랫폼 지지대(120)에 인접하게 위치한 후에는 팔레트 베이스(148)와 플랫폼 지지대(120) 간에 이동할 수가 있다. 슬라이딩 베이스(132)는 팔레트 레일(122)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된 이동롤러를 포함하며, 슬라이딩 베이스(132)에는 수평 이송장치(150)가 장착되고 이동 롤러와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수평 이송장치(150)의 작동에 의해서 이동 롤러가 회전을 하게 되고, 이동 팔레트(130)가 수평으로 이동할 수가 있다.
슬라이딩 베이스(132) 상에는 팔레트 리프트(140)가 장착되고, 팔레트 리프트(140) 상에는 승강 프레임(134)이 장착된다. 도 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팔레트(130)가 팔레트 레일(122)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승강 프레임(134)은 팔레트 리프트(140)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할 수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팔레트(130)는 차량(C)을 지지하며, 목적된 플랫폼 층으로 이송된다. 팔레트 베이스(148)가 목적된 플랫폼 층의 플랫폼 지지대(120)에 위치한 후, 팔레트 리프트(140)가 작동하기 시작하여 이동 포트(136)의 저면이 적재 포크(126)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승강 프레임(134)을 상승시킨다.
승강 프레임(134)이 적절한 높이까지 상승한 후, 슬라이딩 베이스(132)에 장착된 수평 이송장치(150)가 작동을 시작하여, 이동 팔레트(130)를 플랫폼 지지대(120)로 이송하기 시작한다. 이때 팔레트 리프트(140)는 상승된 높이를 유지하며, 이동 팔레트(130)는 이동 포크(136)가 적재 포크(126)와 오버 랩 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을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수평 이송장치(150)가 정지한 후, 팔레트 리프트(140)가 작동을 시작하여, 승강 프레임(134)을 하강시킨다. 승강 프레임(134)이 하강하면서, 이동 포크(136)는 적재 포크(126)와 교차하게 된다. 이동 포크(136)가 적재 포크(126)와 교차하면서, 이동 포크(136)에 의해 적재된 차량(C)은 적재 포크(126)에 지지되고, 빈 상태의 이동 포크(136)는 적재 포크(126)를 통과한다. 이동 포크(136)와 승강 프레임(134)가 슬라이딩 베이스(132)에 밀착한 후, 이동 팔레트(130) 는 적재 포크(126) 및 팔레트 레일(122) 사이의 통과공간을 통해 이동하여, 팔레트 베이스(148)로 복귀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과정은 차량(C)을 플랫폼 지지대(120)를 입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만, 상기 과정을 역으로 진행함으로써 플랫폼 지지대(120)에 적재되어 있는 차량을 다시 이동 팔레트(130)로 전환할 수가 있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팔레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팔레트 리프트(140)는 리프트 구동장치(141), 기어박스(142), 나사축(143), 힌지부(144), 상부 링크(145) 및 하부 링크(146)를 포함한다. 리프트 구동장치(141)는 슬라이딩 베이스(132) 상에 장착되며, 양쪽에 배치된 기어박스(142)와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기어박스(142)는 각각 하나 또는 분리된 나사축(143)으로 동력을 전달하며, 이때 리프트 구동장치(141)의 구동축과 나사축(143)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또한, 각각의 나사축(143)의 단부에는 사다리 잭(jack) 형상의 승강부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부는 나사축(143)의 나사선 맞물려 축을 따라 이동하는 힌지부(144), 힌지부(144)와 승강 프레임(134)에 각각 힌지로 연결된 상부 링크(145) 및 힌지부(144)와 슬라이딩 베이스(132)에 각각 힌지로 연결된 하부 링크(146)를 포함한다. 따라서, 리프트 구동장치(141)가 작동함에 따라 구동장치의 회전이 기어박스(142)를 통해 나사축(143)으로 전달되고, 나사축(143)의 회전에 의해 힌지부(144)가 나사축(143)을 따라 이동할 수가 있다.
도 7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팔레트를 각각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팔레트 리프트(140-2)는 오일 구동펌프(141-2), 오일 실린더(142-2), 상부 가이드(145-2) 및 하부 가이드(146-2)를 포함한다.
구동펌프(141-2)는 슬라이딩 베이스(132) 상에 장착되며, 구동펌프(141-2)의 양쪽으로 오일 잭(oil jack) 형상의 오일 실린더(142-2)가 각각 배치된다. 오일 실린더(142-2)는 내부 압력에 따라 상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양 단부에는 고정 브라켓(143-2)이 형성되어 각각 슬라이딩 베이스(132) 및 승강 프레임(134)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베이스(132)에는 하부 가이드(146-2)가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하부 가이드(146-2)에 대응하는 상부 가이드(145-2)가 승강 프레임(134)의 저면에 형성된다. 상부 가이드(145-2) 및 하부 가이드(146-2)는 상호 맞물림을 유지함으로써, 승강 프레임(134)이 슬라이딩 베이스(132) 상에서 상하로만 이동하도록 제한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가 있다.
즉, 구동펌프(141-2)에 의해서 오일 압력이 변화하게 되고, 압력 변화에 따라 오일 실린더(142-2)는 상하로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오일 실린더(142-2)의 높이 조절에 의해서 슬라이딩 베이스(132)에 대한 승강 프레임(134)의 높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압 대신 공압 등 다른 유체를 이용한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직접 승강 프 레임을 승강시키거나, 다른 링크 시스템을 이용한 간접적인 방법으로 승강 프레임을 승강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의 이동 팔레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하여 이동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는 구조체, 플랫폼 지지대(220), 이동 팔레트(230), 팔레트 베이스, 수평 이송장치(250), 및 수직 이송장치를 포함한다.
구조체, 팔레트 베이스 및 수직 이송장치는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서,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을 생략할 수가 있다.
플랫폼 지지대(220)는 팔레트 레일(222), 적재 지지프레임(224) 및 적재 포크(226)를 포함한다. 하나의 플랫폼 지지대(220)는 각 플랫폼 층에 고정된 설치물로서 차량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동 팔레트(230)로부터 차량을 이송 받고 이동 팔레트(230)가 다시 차량을 출고할 때까지 차량을 보관하게 된다. 플랫폼 지지대(220)에서 팔레트 레일(222) 및 적재 포크(226) 간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간격으로는 제1 실시예와 같은 방식의 이동 팔레트(130)가 통과할 수가 없다. 다만, 팔레트 레일(222) 및 적재 포크(226) 간의 간격이 좁기 때문 에 각각의 플랫폼 층에서 플랫폼 지지대(220)가 차지하는 높이 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이동 팔레트(230)는 슬라이딩 베이스(232), 승강 프레임(234), 이동 포크(236) 및 팔레트 리프트(240)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베이스(232)는 팔레트 베이스 상에 위치한다. 팔레트 베이스가 특정 플랫폼 지지대(220)에 인접하게 위치한 후에는, 슬라이딩 베이스(232)는 팔레트 베이스와 플랫폼 지지대(220) 간에 이동할 수가 있다. 슬라이딩 베이스(232)는 팔레트 레일(222)에 대응하는 폭으로 저면에 장착된 이동롤러를 포함하며, 슬라이딩 베이스(232)에는 수평 이송장치(250)가 장착되고 이동롤러와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수평 이송장치(250)의 작동에 의해서 이동 롤러가 회전을 하게 되고, 이동 팔레트(230)가 수평으로 이동할 수가 있다.
슬라이딩 베이스(232) 상에는 팔레트 리프트(240)가 장착되고, 팔레트 리프트(240) 상에는 승강 프레임(234)이 장착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 레일(222) 및 적재 포크(226) 사이의 좁은 공간을 이동 팔레트(230)가 통과하기 위해서 승강 프레임(234)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승강 프레임(234)가 최저 위치에 위치할 때, 승강 프레임(234)의 측부가 팔레트 레일(222)의 양측면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이동 포크(236)는 승강 프레임(234)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 포크(236)의 상면은 승강 프레임(234)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서 형성된다.
제2 실시예의 플랫폼 지지대(220)에서도 차량은 길이방향으로 주차된다. 승 강 프레임(234)의 폭이 차량의 좌우 바퀴 간 거리보다 짧기 때문에 차량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으며, 이동 포크(236)가 승강 프레임(234)에서 바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차량의 바퀴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가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는 길이방향 주차 외에도 폭방향으로 주차되는 경우도 적용이 가능하며, 이때 차량은 팔레트 레일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입하여 이동 팔레트 상에 위치할 수가 있다.
다시 본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면, 팔레트 레일(222) 및 적재 포크(226) 간의 간격을 좁힐 수가 있어, 플랫폼 층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더 많이 확보할 수가 있다.
이동 팔레트(230)가 팔레트 레일(222)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승강 프레임(234)은 팔레트 리프트(240)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할 수가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동 팔레트(230)는 차량(C)을 지지하며, 팔레트 리프트(140)는 승강 프레임(234)을 상승시킨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도 10에서 이동 팔레트(230)는 차량(C)을 지지하고 있지 않으며, 승강 프레임(234)이 슬라이딩 베이스(23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9는 이동 팔레트가 차량을 플랫폼 지지대(220)에 적재하기 이전 상태 또는 플랫폼 지지대(220)로부터 차량을 이송 받은 상태에 해당하며, 도 10은 이동 팔레트가 차량을 플랫폼 지지대(220)에 적재한 이후 상태 또는 플랫폼 지지대(220)로부터 차량을 이송 받기 전 상태에 해당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에서 플랫폼 지지대 및 이동 팔레트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플랫폼 지지대(320-1)는 팔레트 레일(322-1), 적재 지지프레임(324-1) 및 적재 포크(326-1)를 포함한다. 하나의 플랫폼 지지대(320-1)는 각 플랫폼 층에 고정된 설치물로서 차량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동 팔레트(330-1)로부터 차량을 이송 받고 이동 팔레트(330-1)가 다시 차량을 출고할 때까지 차량을 보관하게 된다. 구조체(310-1)의 벽면과 나란하게 플랫폼 지지프레임이 장착되며, 그 플랫폼 지지프레임 상으로 팔레트 레일(322-1)이 팔레트 통로를 향해 수직하게 배치된다. 팔레트 레일(322-1)의 양쪽으로 적재 지지프레임(324-1)이 안쪽을 향하도록 용접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으며, 각 적재 지지프레임(324-1)의 외측면에는 적재 포크(326-1)가 바깥쪽을 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이동 팔레트(330-1)에서는 승강 프레임(334-1)의 단부에 이동 포크(336-1)가 장착되며, 이동 포크(336-1)는 적재 포크(326-1)에 대향하도록 안쪽을 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플랫폼 지지대(320-2)는 팔레트 레일(322-2), 적재 지지프레임(324-2) 및 적재 포크(326-2)를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플랫폼 지지대(320-1)와는 다르게, 도 11의 플랫폼 지지대(320-2)에서는 팔레트 레일(322-2)의 양쪽으로 적재 지지프레임(324-2)가 넓게 이격되어 있으며, 적재 포크(326-2)도 적재 지지프레임(324-2)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안쪽을 향하도록 배향된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이동 팔레트(330-2)에서도 승강 프레임(334-2)에 이동 포크(336-2)가 장착되는데, 이동 포크(336-2)가 장착되는 프레임은 차량의 바퀴 거리보다 좁게 이격되어 있으며, 각 프레임에서 이동 포크(336-2)는 적재 포크(326- 2)에 대향하여 바깥쪽을 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 포크 및 이동 포크의 고정되는 위치 및 배향되는 방향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가 있다. 단, 적재 포크 및 이동 포크가 프레임으로부터 짧은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축의 과도한 처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는 적재 포크 또는 이동 포크의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외팔보의 처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정적으로 차량을 이송 및 적재할 수가 있다. 하지만, 포크의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해서 팔레트가 플랫폼 지지대과 되도록 많이 오버랩(overlap)되어야 하고, 주차설비의 제작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라도 팔레트의 이동 과정이 간단하고 단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에서는 팔레트 레일을 플랫폼 지지대에 설치하고, 팔레트 레일을 이용하여 이동 팔레트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가 있다.
또한, 이동 팔레트에서는 슬라이딩 베이스와 승강 프레임 사이에 팔레트 리프트를 설치함으로써, 슬라이딩 베이스가 견고한 지지된 상태에서 승강 프레임을 안정되게 승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동 팔레트가 직접 플랫폼 지지대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가 용이하게 오버랩 될 수 있으며, 이동 팔레트가 움직이는 경로를 최단화함으로써 입고 및 출고에 필요한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가 있다.
또한, 팔레트를 이용하여 차량을 이송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팔레트에는 고하 중의 무게가 부하되는데, 팔레트 레일이 이동 팔레트를 안전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고하중의 차량을 운반함에 있어서도 차량 및 팔레트를 안전하고 정숙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포크식 주차설비에 있어서,
    상기 포크식 주차설비의 몸체를 형성하며 복수개의 플랫폼 층을 제공하는 구조체;
    상기 구조체의 각 층에 설치되며, 팔레트 레일 및 상기 팔레트 레일의 외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는 적재 포크를 포함하는 플랫폼 지지대;
    상기 팔레트 레일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딩 베이스, 상기 슬라이딩 베이스 상에 배치된 승강 프레임, 상기 승강 프레임에 형성되어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는 이동 포크, 및 상기 슬라이딩 베이스와 상기 승강 프레임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 프레임을 승강시키기 위한 팔레트 리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팔레트 리프트에 의해서 상기 이동 포크가 상기 적재 포크를 교차하면서 통과하는 이동 팔레트;
    상기 이동 팔레트를 수평하게 이송하기 위한 수평 이송장치; 및
    상기 이동 팔레트를 수직하게 이송하기 위한 수직 이송장치; 를 구비하는 포크식 주차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팔레트를 지지하기 위한 팔레트 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 이송장치는 상기 팔레트 베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 팔레트는 상기 팔레트 베이 스에 지지되어 상기 수직 이송장치에 의해서 상기 플랫폼 층 간에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식 주차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송장치는 상기 이동 팔레트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 팔레트와 함께 상기 플랫폼 지지대 및 상기 팔레트 베이스 간에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식 주차설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송장치는 상기 구조체의 상부에 장착된 수직 구동장치, 및 상기 수직 구동장치와 상기 팔레트 베이스를 기능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구동장치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팔레트 베이스가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식 주차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지지대에서 상기 적재 포크는 상기 팔레트 레일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소정의 높이를 갖는 통과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통과 공간을 통해서 빈 상태의 상기 이동 팔레트가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식 주차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팔레트에서 상기 이동 포크는 상기 승강 프레임의 외측에 장착되며, 상기 이동 포크의 상면은 상기 승강 프레임의 상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식 주차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은 ㄷ-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팔레트 레일의 양측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포크는 상기 승강 프레임의 상면보다 낮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식 주차설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리프트는 공기식 또는 유압식 리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식 주차설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리프트는 리프트 구동장치, 상기 리프트 구동장치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외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축, 및 상기 나사선 맞물려 상기 나사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나사축을 따라 이동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와 상기 슬라이딩 베이스에 힌지로 연결된 하부 링크, 및 상기 힌지부와 상기 승강 프레임에 힌지로 연결된 상부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식 주차설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의 벽면과 나란하게 플랫폼 지지프레임이 장착되며, 상기 플랫폼 지지프레임 상으로 상기 팔레트 레일이 팔레트 통로를 향하도록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플랫폼 지지대는 상기 팔레트 레일의 양쪽으로 고정된 적재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 지지프레임은 안쪽을 향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적재 지지프레임의 외측면에는 상기 적재 포크가 바깥쪽을 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적재 포크에 대향하도록 상기 이동 팔레트에서는 상기 승강 프레임의 단부에 상기 이동 포크가 안쪽을 향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식 주차설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의 벽면과 나란하게 플랫폼 지지프레임이 장착되며, 상기 플랫폼 지지프레임 상으로 상기 팔레트 레일이 팔레트 통로를 향하도록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플랫폼 지지대는 상기 팔레트 레일의 양쪽으로 고정된 적재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 지지프레임은 안쪽을 향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적재 지지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상기 적재 포크가 안쪽을 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적재 포크에 대향하도록 상기 이동 팔레트에서는 상기 승강 프레임의 단부에 상기 이동 포크가 바깥쪽을 향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식 주차설비.
KR1020040057492A 2004-07-23 2004-07-23 이동형 팔레트를 이용한 포크식 주차설비 KR100605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492A KR100605503B1 (ko) 2004-07-23 2004-07-23 이동형 팔레트를 이용한 포크식 주차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492A KR100605503B1 (ko) 2004-07-23 2004-07-23 이동형 팔레트를 이용한 포크식 주차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653A KR20060008653A (ko) 2006-01-27
KR100605503B1 true KR100605503B1 (ko) 2006-08-01

Family

ID=37119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492A KR100605503B1 (ko) 2004-07-23 2004-07-23 이동형 팔레트를 이용한 포크식 주차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5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408B1 (ko) * 2005-09-26 2006-10-16 황성필 주차설비
KR101670324B1 (ko) * 2016-06-17 2016-10-28 류완희 내진기능이 구비된 포크식 주차설비
CN106593038A (zh) * 2016-12-04 2017-04-26 江苏瑞科停车系统科技有限公司 立体车库升降装置
CN106677578A (zh) * 2017-02-28 2017-05-17 合肥市春华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立体车库用机械式防坠安全装置
CN109653578A (zh) * 2019-02-14 2019-04-19 戴觉全 一种全封闭智能立体车库
KR20230040077A (ko) * 2021-09-15 2023-03-22 이완영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7175U (ko) * 1989-03-11 1990-10-05 이종윤 입체주차장
KR910016950U (ko) * 1990-03-16 1991-10-28 박준공 횡행식 다단 주차장치
JPH058812A (ja) * 1991-07-04 1993-01-19 Railway Technical Res Inst 受渡し装置
JPH06264638A (ja) * 1993-03-16 1994-09-20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立体駐車場
JPH116322A (ja) 1997-06-17 1999-01-12 Hitachi Zosen Corp 櫛刃式立体駐車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7175U (ko) * 1989-03-11 1990-10-05 이종윤 입체주차장
KR910016950U (ko) * 1990-03-16 1991-10-28 박준공 횡행식 다단 주차장치
JPH058812A (ja) * 1991-07-04 1993-01-19 Railway Technical Res Inst 受渡し装置
JPH06264638A (ja) * 1993-03-16 1994-09-20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立体駐車場
JPH116322A (ja) 1997-06-17 1999-01-12 Hitachi Zosen Corp 櫛刃式立体駐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653A (ko) 200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828B1 (ko) 물류 자동화 창고
US9963899B2 (en) Lift-slide parking system
US7871232B2 (en) Line feed system with indexing cart
US20060182550A1 (en) Loading and unloading stand for palletless storage system
US20050095093A1 (en) Storage retrieval system comprising a load receiving element
KR100605503B1 (ko) 이동형 팔레트를 이용한 포크식 주차설비
TW299297B (ko)
CN209905642U (zh) Agv小车及仓储系统
JP2003054705A (ja) 自動倉庫システム
WO2011011380A1 (en) Stackable carri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carrier assemblies
KR100654160B1 (ko) 주차 설비에서의 차량 이송장치
JP2658834B2 (ja) マスト
CN105307970A (zh) 用于地面运输工具的提升架
KR100605502B1 (ko) 포크식 팔레트를 이용한 주차설비
CN216784591U (zh) 顶升装置以及多层顶升设备
JP3786346B2 (ja) スリーウェイスタッカクレーンを備えた自動倉庫
JP5333826B2 (ja) 物品搬送装置
JP5821823B2 (ja) 物品収納設備
JP2003002409A (ja) 自動倉庫
KR101095514B1 (ko) 포크타입 주차설비
KR930004019B1 (ko) 에레베이터식 입체 주차장치
KR200172636Y1 (ko)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의 리프트
KR20080059738A (ko) 지게차의 캐리지 추락방지장치
JP3601620B2 (ja) 保管装置
KR100426052B1 (ko) 화물 적재용 운반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