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019B1 - 에레베이터식 입체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에레베이터식 입체 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019B1
KR930004019B1 KR1019900016480A KR900016480A KR930004019B1 KR 930004019 B1 KR930004019 B1 KR 930004019B1 KR 1019900016480 A KR1019900016480 A KR 1019900016480A KR 900016480 A KR900016480 A KR 900016480A KR 930004019 B1 KR930004019 B1 KR 930004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rear wheel
pedal
lift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6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8297A (ko
Inventor
박우용
Original Assignee
우단실업 주식회사
박우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단실업 주식회사, 박우양 filed Critical 우단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16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019B1/ko
Publication of KR920008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0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에레베이터식 입체 주차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이 실시되는 일실시예의 입체주차장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면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에레베이터식 주자장치의 종단면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요부구성을 보인 부분 발췌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평면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의 구성중 리프트장치부의 부분발췌도.
제7도는 본 발명중 리프트장치와 적재대팔레트의 일실시예 발췌사시도.
제8도의 제8(a)도, 제8(b)도는 리프트장치의 페달가이드대의 작동상태도.
제9도는 리프트장치와 적재대팔레트의 요부구성 확대평면도.
제10도는 리프트장치의 슬라이더와 후크핀과 페달가이드대의 구성도.
제11도는 적재대팔레트의 후륜페달플레이트의 구성도.
제12도의 제12(a)도는 적재대이송장치의 일측부 평면구성도.
제12(b)도는 적재대이송장치의 일측부 기어열구성도.
제13도는 적재대이송장치중의 적재부이송대의 구동구조 단면도.
제14도는 적재대이송장치중의 리프트부이송대의 구동구조 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중의 입출고팔레트장치의 일실시예 평면구성도.
제16도는 제15도중의 A-A선상으로 본 입출고팔레트장치의 단면구성도.
제17도는 입출고팔레트장치중의 챤넬과 각바의 교접상태 단면도.
제18도는 자동차를 탑재한 리프트장치와 적재대팔레트의 평면구성도.
제19도는 자동차를 적재하기 위한 리프트의 상승, 대기상태사시도.
제20도는 자동차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대팔레트의 이동상태사시도.
제21도는 자동차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대팔레트의 이동완료사시도.
제22도는 리프트장치의 자동차를 적재대팔레트에 옮겨 실은 상태사시도.
제23도는 자동차를 옮겨 실은 적재대팔레트의 적재부측으로의 이동상태사시도.
제24도는 자동차를 옮겨 실은 적재대팔레트의 적재부측으로의 이동완료사시도.
제25도는 종래의 내향포크형 엘리베이터식 주차장치의 요부구성과 작동상태도.
제26도는 종래의 내향포크형 엘리베이터식 주차장치의 요부구성과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타워구조물 20 : 리프트장치
30 : 적재대팔레트 40 : 적재대이송장치
50 : 리프트권상장치 60 : 입출고팔레트장치
11 : 주기둥 12,13 ; 수평지지빔
14 : 주차대 15 : 주차대의 출입구
21,22 : 리프트장치의 좌우프레임
23,24 : 리프트장치의 전후륜후크핀(Hook Pin)
25 : 리프트장치의 페달가이드대
26 : 리프트장치의 위치가변형 좌우슬라이더
27 : 리프트장치의 전후리프트가이드
28 : 슬라이더(26)용 베어링 24a,24b : 전후륜후크핀의 두쪽
V0: 페달가이드대의 "V"형 가이드공간부
V1 : 가이드공간부(V0)의 상부폭 31,32 : 적재대팔레트의 가이드프레임
33,34 : 적재대팔레트의 주프레임 35 : 적재대팔레트의 전륜 페달플레이트
36 : 적재대팔레트의 후륜페달플레이트
37 : 적재대팔레트의 플레이트 슬라이더
R : 가이드플레임의 랙기어 41 : 적재부이송대
42 : 리프트부이송대 Be : 이송기어용 베어링
M1 : 리프트부모터 S2 : 적재부 구동축
G,G1,G2,G5,G6,G7,G8,G9 : 이송기어 F1,F2 : 스프라킷기어
C1,C2 : 체인 G3,G4,G8,G9 : 아이들 이송기어
M2 : 리프트부모터 S2 : 리프트부 구동축
51 : 리프트권상장치용 모터 52 : 리프트권상장치용 감속기
53 : 리프트권상장치용 풀리 56 : 카운타웨이트
55 : 리프트권상용 로우프 61 : 착지부
62 : 전륜후크홈 63 : 전륜받침페달
64 : 후륜받침페달 65 : 평판형의 후방팔레트
66 : 가변형 전방팔레트 67 : 후륜후크홈
68 : 주차대 하부의 좌대 69,69' : 안내레일
70 : 안내로울러 71 : 팔레트가변용 피니언
72 : 팔레트가변용 랙기어 73 : 챤넬
74 : 각바(Square bar) M3 : 팔레트가변용 모터
75,76 : 수평, 수직방향의 보조로울러 77 : 롤러베어링
78 : 가이드부싱
본 발명은 수개층의 적재대가 좌우로 형성되고 그중앙으로는 타워상부의 권상장치와 로우프로 연결되어 상하로 수직 상승하는 리프트장치를 갖는 에레베이터식 입체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프트장치는 좌우로 분리된 두개의 승강프레임으로 되고 적재대는 각각의 적재층에서 독립된 구동원에 의해서 리프트장치측으로 횡방향 슬라이드 작동되는 적재대차를 구비한 형색의 주차장치에서, 리프트장치와 적재대차 및 주차대의 구성을 개량하여 보다 효율적인 주차시스템을 구성하고져 함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종래에 제공된 제반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 에레베이터식 입체주차장치의 특징은 수직순환식 입체주차장치에 비하여 주차 입출고 속도가 상대적으로 신속하고, 주차장치 전방에 걸쳐서 주차입·출고시의 작동부는 리프트와 적재대차, 혹은 리프트와 이송대차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로터리식으로 주차장치 전체를 순환시키는 것에 비하여 낮은 구동력으로도 주차장치의 전반적인 행정을 가동시킬 수 있는 장점과, 작동부가 감소됨에 비례하여 작동부의 기구적 결함율의 감소 및 마모, 파손등에 의한 작동에라율의 감소효과와 이에 따른 보수작업의 간편함 및 제반장치의 수명증대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제반 장점을 갖는 에레베이터식 입체주차장치의 주요구성은 타워 구조물, 리프트장치, 자동차적재용 팔레트장치, 팔레트와 적재함의 자동차 이송장치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구성요소들의 조합 여하에 따라서 주차장치의 주요 특성인 제작성, 주차행정, 주차속도, 안전성, 경제성등의 효율이 얻어지는바, 지금까지 제공된 대부분의 에레베이터식 주차장치의 구성들은 주차장치에서 중요하게 요구되는 신속성, 경제성, 안전성의 세가지 특성을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할 뿐아니라 일부 특성이 월등하면 다른 특성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예를들면, 자동차를 적재하는 적재대의 수량과 동일한 수량의 이동대차용 팔레트를 구비하고 타워형의 구조물내에 통상의 권상장치와 로우프로 연결된 수직 승강형 리프트장치를 설치하여, 팔레트를 주차대와 적재대 사이를 승강, 좌우 이동시키면서 자동차를 입출고 시키는 팔레트형의 주차장치는, 자동차를 탑재하는 팔레트를 적재층 각각의 적재대와 동일한 많은 수량을 구비하여야 되는 제작상 단점과, 자동차 입출고 행정이 각각 최소 7행정 이상이 소요되어 신속성의 효율이 현저히 낮아지는 단점과, 리프트장치의 운행시에는 항상 무거운 통판의 팔레트를 리프트에 싣고 이동하여야 되고 7행정 이상의 많은 시간동안 리프트장치를 가동시켜야 되므로 권상장치의 구동력이 높아 지면서 부하량과다로 인하여 전력손실이 매우 커지는 경제성면의 효율도 지극히 낮은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팔레트 이송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고 입출고 시간의 신속성을 최대한 증대시키고져한 구성으로는 첨부도면 제25~26도등에 도시한 것과 같은 내향형포크를 갖는 리프트장치와, 외향형포크를 갖는 슬라이드적재대팔레트로된 일명 포크형 엘리베이터식 입체주차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이 구성은 수직으로 상하이동하는 리프트(1)에는 좌우프레임(2)(3)내단으로 각각 자동차를 탑재하는 내향포크군(4)을 전후방에 설치하고 수개층의 좌우 적재층에는 각각 개별로 구동하는 모터를 설치하여 리프트축으로 횡방향으로만 이동하는 적재대(5)를 설치하되, 적재대(5)의 구성은 슬라이드 로울러에 얹혀지는 전후방의 가이드프레임(6)(6')과 이 가이드프레임을 전후로 연결하는 주프레임(7)(7')을 갖는 " "형으로 형성되어 주프레임(7)(7')의 좌우단으로 리프트(1)의 내향포크군(4)과 교차되는 형태로 배치한 적재용 외향포크군(8)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바, 이 구성의 구조적 특징으로는 전술한 이동대차형 팔레트식과 비교하여 리프트의 구조가 대폭 소형화되고, 각각의 적재층마다 구비한 이동대차형 팔레트를 슬라이드식의 적재대(5)로 대체 설치하므로써, 자동차 한대당 소요되는 주차행정이 대폭 신속해지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이러한 내향포크군(4)의 리프트(1)와 적재용 외향포크군(8)을 갖는 횡행 슬라이드식의 적재대로 자동차를 이송, 적재하는 구성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경제성과 안전성이 취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즉, 주차대에서 리프트(1)의 내향포크군(4)에 자동차를 탑재하여 임의의 적재층으로 상승시키면 적재용 외향포크군(8)의 적재대(5)가 내향포크군(4) 밑면까지 슬라이드 이동하여 자동차를 옮겨 싣고 다시 원위치로 환원하는 작동을 위하여, 적재층마다 적재대(5)의 슬라이드작동용 구동모터를 각각 설치하여야 되고, 포크형 탑재대(4) 밑면까지의 이동을 위하여서는 수개층의 적재대에 연동되는 구조의 보조구동모터를 리프트(1)의 전후벽에 별도로 수개 설치하여야 되는바, 많은 모터의 설치에 따른 제작비와 설비비의 상승 및 모터의 작동동력의 증대, 여러개의 모터를 순차제어하여야 하는 난해한 제어시스템이 요구되고, 각층별로 구분작동되는 적재대(5)의 슬라이드구조는 상대적으로 부품수가 증가되므로 제작공정이 늘어나고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기구적 결합부 및 구동부에서 제반트러블이 발생하므로서 정밀하고 신속한 제어작동과 간편한 조작성이 요구되는 주차장치의 특성을 만족시키지 못할 뿐아니라, 리프트(1)의 좌우프레임(2)(3)의 내단에 형성된 내향 포크군(4)(전후방으로 약 60개가 설치됨)과, 적재대(5)의 주프레임(7)(7')의 외단에 형성된 외향포크군(8)들이 매 적재, 하차행정으로 운행될때 마다 포크끼리의 교차점이 좁은 간격으로 수없이 형성되므로 작동제어시스템이나 제어부품 및 작동부품에서 트러블이 발생하면 포크가 서로 간섭되고, 이로인해 포크가 휘거나 파손되면 리프트(1)의 내향포크군(4)이 적재대(5)의 적재용 외향포크군(8)에 걸려서 작동이 원활치 못하거나 운행이 중단되는 등의 갖은 고장과, 경우에 따라서는 리프트(1)의 프레임(2)(3)이나 적재대(5)의 가이드프레임(6)(6')이 일측으로 심하게 기울거나 뒤집혀서 적재된 자동차를 파손시킬수 있는 매우 심각한 사고 위험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에레베이터식 입체주차 장치들의 단점들을 제거하여 경제성, 신속성, 안정성면에서 월등한 특성을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에레베이터식 입체주차장치를 제공코져 함에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입·출고 주차행정이 복잡한 이동 대차형 팔레트구조와 포크형팔레트 등을 제거하여, 리프트에는 전·후륜타이어를 탑재하는 후크핀(Hook Pin)을 구비하되 전륜 후크핀은 고정식으로 하고, 후륜 후크핀은 가이드대가 부착된 위치 가변형 후크로 구비하며, 적재층의 슬라이드형 적재대에는 전륜측은 고정식의 페달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후륜측은 위치 가변형 페달플레이트로 구성하며, 주차대에는 입출고 전용의 팔레트장치를 설치하되 전륜측은 고정식의 페달플레이트를 설치하고 후륜측은 검지기에 의하여 입고되는 자동차의 후륜위치를 파악하여 위치가 자동설정되는 가변식의 페달플레이트를 설치한 시스템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일실시예의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에레베이터식 입체주차장치는 타워구조물(10), 리프트장치(20), 적재대팔레트(30), 적재대이송장치(40), 리프트권상장치(50), 입출고팔레트장치(60)를 주요구성으로 실시된다.
타워구조물(10)은 제1~5도등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종래에 알려진 슬라이드 적재팔레트를 갖는 포크형 에레베이터식 입체주차장치의 타워구조물의 구성과 유사한 구성으로서, 평면상으로는 장방형이고 수직으로는 임의의 적재층을 수용하여 "H"빔(beam) 재료로 모서리에 주기둥(11)을 입설하고 이 주기둥을 각층마다 수평으로 사방에서 지지하는 수평지지빔(12)(13)을 설치하여서 되며, 타워구조물(10)의 하부는 주차대(14)로 되어 전방에 출입구(15)를 형성하며, 상부에는 모터(51), 풀리(53), 카운타웨이트(56)로 구성되는 통상의 리프트권상장치(50)를 구비하여 로우프(55)로 리프트장치(20)의 좌우프레임(21)(22)을 연결하여 수직으로 승강제어토록 구성된다.
타워구조물(10)의 내면적은 평면상으로 리프트장치(20)가 작동되는 중앙의 리프트부, 적재대팔레트(30)가 설치되는 좌우의 적재대로 적정히 구획된다.
리프트장치(20)의 구성은 제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리프트권상장치(50)에 각각 독립적인 로우프(55)로 연결되는 좌우프레임(21)(22)과, 이 좌우프레임(21)(22)에 내향으로 형성되는 전·후륜타이어 탑재용의 전후륜후크핀(Hook Pin)(23)(24)을 구비하되 전륜후크핀(23)은 좌우프레임(21)(22)의 내측단에 고정형으로 설치되고, 후륜후크핀(24)은 페달가이드대(25)를 구비하면서 각각 위치가변형의 좌우 슬라이더(26)의 내측단에 내향으로 부착된다.
좌우프레임(21)(22)은 수평지지빔(12)(13)에 수직으로 고정 입설되는 전후 리프트가이드(27)에 전후단이 안내되어 좌우프레임(21)(22)사이로 적재대팔레트(30)가 수용되는 폭을 유지하면서 수직방향으로만 승강되게 설치되고, 후륜후크핀(24)이 부착된 좌우 슬라이더(26)는 제5~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 "형의 챤넬로하여 좌우프레임(21)(22)에 베어링(28)을 갖고 감싸지는 구조로 설치하여 일정거리를 자유롭게 이동하는 위치 가변형으로 구성한다.
이 위치 가변형 좌우 슬라이더(26)의 내측에 설치되는 페달가이드대(25)의 구성은 제8~9도등에 도시한 바와같이 두쪽의 후크핀(24a)(24b)에서 상하방에 걸쳐 각각 외측으로 경사지게 벌어져 "V"형의 가이드공간부(V0)를 형성하는 형태로 되어 제8-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적재대팔레트(30)의 후륜 페달플레이트(36)를 두쪽의 후크핀(24a)(24b)사이도 가이드하거나, 반대로 제8-a도와 같이 후륜 페달플레이트(36)에 의해서 좌우 슬라이더(26)가 가이드되어 두쪽의 후크핀(24a)(24b)을 페달플레이트(36)와 외접시키는 위치정열 작동을 갖는 구성으로 실시된다. 상기한 구성중에 페달가이드대(25)에 형성되는 "V"형의 가이드공간부(V0)의 상부폭(V1)은 주차장치에서 입고할수 있는 전차종의 전후륜축간(軸間)거리를 감안하여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적정폭으로 설정된다.
적재대팔레트(30)의 구성은 제4,5,7도등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직으로 상승하는 상술하는 구성의 리프트장치(20)의 좌우프레임(21)(22)으로 부터 탑재된 자동차를 옮겨 받아 적재하는 공지한 구성의 일부를 응용하되, 수개층의 좌우 적재층에서 각각 개별로 제어구성되는 모터에 연동되어 리프트축으로 적재대팔레트(30)를 횡행 이동시키는 이송기어(G)에 얹혀지는 전후방의 가이드프레임(31)(32)과, 이 가이드프레임을 전후로 연결하는 주프레임(33)(34)을 갖는 " "형으로 형성하여 주프레임(33)(34)의 좌우측단으로 리프트장치(20)의 전후륜후크핀(23)(24)과 교접하는 위치로 고정식의 전륜 페달플레이트(35)와 위치 가변형의 후륜 페달플레이트(36)를 구비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위치 가변형의 후크 페달플레이트(36)는 제5,7,9,11도등에 도시한 바와같이 좌우 양측의 주프레임(33)(34)에 걸쳐서 얹혀지는 플레이트 슬라이더(37)의 양측단에 외향으로 부착되어 전술한 리프트장치(20)의 페달가이드대(25)와 연동하여 전후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형성된다.
가이드프레임(31)(32)은 제4,5,7,13,14도등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후 수평 지지빔(12)(13)에 설치되는 적재대이송장치(40)의 이송기어(G)와 치합되는 랙기어(R)를 내설한 C형챤넬로 형성하여 적재대팔레트(30)를 리프트장치(20)측으로 횡행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된다.
적재대이송장치(40)의 구성은 상술한 좌우측의 적재대팔레트(30)를 각각 적재대위치에서 리프트부로 왕복횡행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5,7,12,13,14도등에 도시한 바와같이 공지의 구성으로 실시되는바, 전후 수평 지지빔(12)(13)의 내측단으로, 좌우측의 적재부 전후방과 중앙의 리프트부 전후방으로 분리하여 각각 적재부이송대(41)와 리프트부이송대(42)로 구분하여 구성된다.
적재부이송대(41)의 구성은 수개의 이송기어(G)들을 적재대팔레트(30)의 가이드프레임(31)(32)내부에 설치된 랙기어(R)와 치합되게 적정간격으로 노출시켜 배치하고 내부에서 각각 베어링(Be)으로 축설된다. 이 이송기어(G)들의 구동규조는 제12,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적재부모터(M1)의 구동축(S1)으로 두개의 이송기어(G1)(G2)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수개의 스프라킷기어(F1)와 체인(C1)으로 연동시킨 구성을 구비하며, 이송기어(G1)(G2)좌우에는 수개의 아이들 이송기어(G3)(G4)를 설치한다.
리프트부이송대(42)의 구성은 수개의 이송기어(G5~G9)들을 적재대팔레트(30)의 가이드프레임(31)(32)내부에 설치된 랙기어(R)와 치합되게 적정간격으로 노출시켜 배치하고 내부에서 각각 베어링(Be)으로 축설하되, 이송기어들의 구동구조는 제12,1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리프트부모터(M2)의 구동축(S2)으로 세개의 이송기어(G5,G6,G7)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킬수 있도록 수개의 스프라킷기어(F2)와 체인(C2)으로 연동시킨 구성을 구비하며, 구동 이송기어(G5)(G6)(G7)의 좌우로는 수개의 아이들 이송기어(G8)(G9)를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각각의 적재층별로 설치되는 적재부이송대(41)와 리프트부이송대(42)의 이송기어(G)들은, 자동차의 주차, 하차행정을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반에서 적재부, 리프트부모터(M1)(M2)를 제어하는 순차제어회로에 의하여 우측이나 좌측의 일측방향으로 회전제어되면서 좌우측의 적재대팔레트(30)를 리프트장치(20)측으로 왕복 횡행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작동을 한다.
이와같은 구성의 리프트장치(20)와 적재대팔레트(30), 적재대이송장치(40)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서는 타워하부의 주차대(14)에, 리프트장치(20)와 연동하여 자동차를 입·출고시키기 위한 입출고팔레트장치(60)가 별도로 구비한다.
입출고팔레트장치(60)의 일실시예 구성은 제12,3,15,16,17도등에 도시한 바와같이 타워구조물(10)로 구획된 리프트작동부의 하단인 지하층으로 장방형의 주차대(14)를 마련하여 리프트장치(20)의 좌우프레임(21)(22)이 착지될 수 있는 공간의 착지부(61)을 좌우측으로 형성하고, 후방측에는 좌우프레임(21)(22)의 전륜후크핀(23)이 끼워지는 전륜후크홈(62)사이로 전륜받침페달(63)을 좌우를 구비하는 평판형의 후방팔레트(65)를 설치하고, 전방축으로는 입고되는 자동차의 전·후륜간의 거리를 검지기로 사전에 측정하여 검지된 거리에 맞추어 후륜받침페달(64)의 위치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가변형의 전방팔레트(66)를 구비하여서 된다.
가변형 전방팔레트(66)의 구성은 제15~17도등에 도시한 바와같이 중간부의 좌우측으로 리프트의 후륜후크핀(24)이 끼워지는 후륜후크홈(67)과 후륜받침페달(64)이 설치되는 하우징으로 형성하여 저면내부에서 적어도 4곳이상의 위치에서 하부 좌대(68)의 안내레일(69)(69')에 안내로울러(70)로 얹혀져 전후방으로 이동자유롭게 설치되고, 위치가변 구동구성은 하우징의 저면에는 피니언(71)이 부착된 모터(M3)를 설치하고 주차대 피트상면에는 전후로 좁은 폭의 좌대(68)를 설치하여 이 좌대(68)상면에 피니언(71)과 치합되는 랙기어(72)를 고정 설치하여서 입고되는 자동차의 전후륜간 거리를 사전에 감지하는 감지기의 신호로 모터(M3)를 제어하면서 전방팔레트(66)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된다.
이러한 후방팔레트(65)와 전방팔레트(66)사이와, 전방팔레트(66)와 주차대 출입구(15)사이에는 차륜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가변 브라지구조로 수개의 챤넬(73)과 각바(74)를 빗살형으로 교차시켜 배설하는바, 전방팔레트(66)의 후륜받침페달(64)전후방으로는 챤넬(73)을 부착하고 후방팔레트(65)의 전방과 주차출입구(15)에는 각바(74)를 각각 설치하여 전방팔레트(66)가 전후로 이동되어도 챤넬(73)과 각부(74)의 엇물린 상면으로 차륜이 빠지지 않고 통과할수 있는 브리지로 형상되는 구성으로 된다. 이러한 일실시예의 가변브릿지의 구조는 예시된 챤넬(73)과 각바(74)를 여러개 빗살형으로 엇물리게 배열하는 구성외에도 단순형의 통판을 상하로 겹친 구조로 하여 전방팔레트(66)의 전후측 통로의 길이가 신축되는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첨부된 도면중의 미설명부호 75,76은 전방팔레트(66)에 차량이 편심되어 탑재될때 전방팔레트(66)와 후륜받침페달(64)이 일측으로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수평, 수직방향의 보조로울러이고, 제17도의 77은 챤넬(73)과 각바(74)의 엇물리는 구조에서 챤넬(73)의 처짐과 들림을 방지하고져 각바(74)에서 횡축으로 챤넬(73)의 저면으로 축설한 롤러베어링이고, 제9도에 상세히 도시된 78은 적재팔레트(30)의 후륜 페달플레이트(36)와 전방팔레트(66)의 후륜받침페달(64)의 선단부 측단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싱으로서, 좌우프레임(21)(22)의 후륜후크핀(24)에 부착된 페달가이드대(25)와의 접촉시에 원활한 경사이동을 유기할 수 있는 제반제질로 형성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타워구조물(10)의 상방에 설치된 리프트권상장치(50)는 공지의 제어시스템으로 리프트장치(20)를 리프트가이드(27)에 안내하여 수직방향으로만 승강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적재대팔레트(30)는 각각의 적재층에서 적재대이송장치(40)와 연동되어 적재부위치에서 리프트부로 횡행 슬라이드 왕복작동을 하도록 제어됨은 전술한 바와같다.
자동차의 주차(적재)·출고(하차)작동 행정은 상기한 리프트장치(20)의 승강제어와 적재대팔레트(30)의 슬라이드 작동과 입출고팔레트장치(60)의 마련된 위치 가변형 전방팔레트(66)의 작동을 순차제어하여 이루어진다.
주차(적재)행정의 초기작동은 타워구조물(10)의 하방에 마련된 주차대(14)에 리프트장치(20)의 좌우프레임(21)(22)을 하강시켜 입출고팔레트장치(60)의 좌우측으로 마련된 착지부(61)에 좌우프레임(21)(22)을 착지시킨다.
입출고팔레트장치(60)의 착지부(61)에 좌우프레임(21)(22)이 착지되면 좌우프레임(21)(22)의 전륜후크핀(23)은 후방팔레트(65)의 전륜후크홈(62)에 끼워져 전륜받침페달(63)과 외접하고, 후륜후크핀(24)은 페달가이드대(25)로 전방팔레트(66)의 후륜받침페달(64)을 가이드하면서 후륜후크홈(67)에 끼워진다.
이와 같은 리프트장치(20)의 좌우프레임(21)(22) 착지작동이 완료된후, 주차대(14)측으로 자동차가 다가서면 전륜과 후륜사이의 축간거리를 통상의 공지된 감지기로 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타에 의해서 입출고팔레트장치(60)의 전방팔레트(66)에 설치된 모터(M3)를 제어한다. 모터(M3)를 제어하여 좌대(68)에 설치된 피니언(71)과 연동된 랙기어(72)를 회전시키면 전방팔레트(66)가 전후진하면서 측정된 입고차량의 전후륜간 거리와 동일한 위치에 후륜후크핀(24)이 위치되게 이동하게 된다. 전방팔레트(66)가 이동하여 후륜후크핀(24)이 위치되게 이동하게 된다. 전방팔레트(66)가 이동하여 후륜후크핀(24)의 위치가 고정되면, 자동차를 주차대(14)의 입출고팔레트장치(60)상면으로 입고시켜 후방팔레트(65)의 전륜받침페달(63)에는 자동차의 전륜을 싣고 전방팔레트(66)의 후륜받침페달(64)에는 자동차의 후륜을 실어준다.
입출고팔레트장치(60)에 자동차가 입고 완료된 상태에서 리프트장치(20)를 상승 작동시키면 좌우프레임(21)(22)의 전륜후크핀(23)과 후륜후크핀(24)이 각각 전륜후크홈(62)과 후륜후크홈(67)에서 빠지면서 전륜받침페달(63)과 후륜받침페달(64)에 탑재된 자동차의 전후륜을 옮겨 싣고 상승하게 된다.
리피트장치(20)에 탑재된 자동차를 비어있는 적재층에 적재하는 행정은 리프트장치(20)의 승강위치제어와, 적재대팔레트(30)를 리프트부로 횡행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적재대이송장치(40)의 순차제어에 의해서 수행된다.
먼저, 리프트장치(20)의 좌우프레임(21)(22)에 부착된 페달가이드대(25)의 최하단을,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하고저 하는 적재대팔레트(30)의 주프레임(33)(34)에 외향으로 설치된 위치 가변형의 후륜 페달플레이트(36)의 최상단보다 다소 높게 위치되게 리프트장치(20)의 승강위치를 제어한다.
이어서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장치(20)의 좌우프레임(21)(22)밑으로 적재대팔레트(30)를 횡행이동시킨다. 적재대팔레트(30)의 횡행이동은 전술한 적재대이송장치(40)의 구동구성에 의하여 수행되는바, 먼저 적재부이송대(41)의 모터(M1)를 제어하여 이송기어(G1)(G2)를 구동시키면 이 이송기어(G1)(G2)와 치합된 랙기어(R)를 횡행 작동시키고, 따라서 가이드프레임(31)(31)이 리프트측으로 슬라이드 작동되어 적재대팔레트(30)를 리프트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적재대팔레트(30)가 점차 리프트부로 이동되면서 가이드프레임(31)(32)이 적재부이송대(41)의 구동용 이송기어(G1)(G2)를 벗어나 가이드프레임(31)(32)의 선단이 리프트이송대(42)의 아이들 이송기어(G8)를 거쳐 구동용 이송기어(G5)(G6)(G7)에 연동되는 위치로 이동되면 적재부이송대(41)의 모터(M1)를 정지시키고 동시에 리프트부이송대(42)의 모터(M2)를 순차제어한다. 리프트부이송대(42)의 이송기어(G5)(G6)(G7)를 구동하여 적재대팔레트(30)의 이동위치를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장치(20)의 정중앙으로 위치되게 제어한후 적재대팔레트(30)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이러한 적재대팔레트(30)의 횡행 슬라이드 이동행정이 완료되면 이어서 리프트장치(20)의 좌우프레임(21)(22)에 탑재된 자동차를 적재대팔레트(30)에 옮겨 싣는 행정으로 리프트장치(20)의 하강작동이 실시된다.
즉, 리프트장치(20)의 좌우프레임(21)(22)이 하강되면 전륜후크핀(24)에 설치된 페달가이드대(25)의 일측하단이 제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에 위치한 적재대팔레트(30)의 가변형 후륜 페달플레이트(36)의 선단과 간섭되면서 후륜 페달플레이트(36)를 두쪽의 후륜후크핀(24a)(24b)사이로 경사면을 따라 가이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계속하여 리프트장치(20)의 좌우프레임(21)(22)을 하강시키면 전륜후크핀(23)과 후륜후크핀(24)에 탑재되어 있는 자동차의 전후륜을 적재대팔레트(30)의 전·후륜 페달플레이트(35)(36)에 자동적으로 얹혀지고 전·후륜후크핀(23)(24)은 전·후륜 페달플레이트(35)(36)와 교차되면서 하방으로 통과된다. 리프트장치(20)를 제2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대팔레트(30)의 하방으로 완전히 하강시킨후 자동차를 옮겨 실은 적재대팔레트(30)는 제23~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적재대이송장치(40)의 리프트측으로의 이동제어작동과 역순의 방식으로 제어하여 적재부이송대(41)측으로 복귀시켜 적재행정을 완료한다.
상술한 주차(적재)행정으로 소정의 적재층에 적재한 자동차를 다시 출고(하차)하는 행정은 주차행정의 역순으로 실시된다.
먼저 리피트장치(20)를 출고하고져 하는 적재층의 적재대팔레트(30)하방으로 승강제어하되, 좌우프레임(21)(22)에 부착된 페달가이드대(25)의 최상부가 적재대팔레트(30)의 최하단과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다소의 간격을 두고 정지, 대기시킨다. 이어서 하차할 자동차가 적재된 적재대팔레트(30)를 전술한 방식으로 구동하여 대기된 리프트장치(20)의 정중앙 상방으로 횡행 이동시킨다. 이어서 리프트장치(20)를 상승시키면 후륜후크핀(24)에 부착되어있는 페달가이드대(25)의 일측 상단이 제8-a도와 같이 자동차의 후륜이 적재되어 위치가 고정된 후륜 페달플레이트(36)의 선단과 간섭되면서 경사지게 상승되는 가이드작용을 하여 페달가이드대(25)와 일체로 부착된 후륜후크핀(24)을 후륜 페달플레이트(36)와 외접하는 형태로 가이드한다.
이러한 가이드작용을 하면서 계속하여 리프트장치(20)를 상승시키면 후륜후크핀(24)은 후륜 페달플레이트(36)의 외측으로 교차하여 상승하면서 적재된 자동차의 후륜을 옮겨 받고, 동시에 전륜후크핀(23)도 전륜페달프레이트(35)와 교차 상승하면서 전륜을 옮겨 받아 자동차를 탑재하게 된다.
리프트장치(20)를 상승시켜 전·후륜후크핀(23)(24)에 적재대팔레트(30)로부터 자동차를 옮겨 탑재한 행정이 완료되면 다시 역순으로 적재대팔레트(30)를 적대부이송대(41)측으로 회송시키고 리프트장치(20)를 하방의 주차대로 하강시킨다.
하차할 자동차를 탑재한 리프트장치(20)가 주차대의 입출고팔레트장치(60)의 상방으로 하강되어 리프트장치(20)의 좌우프레임(21)(22)이 착지부(41)에 착지되면, 전륜이 탑재된 좌우프레임(21)(22)의 전륜후크핀(23)은 전륜후크홈(62)으로 끼워져 전륜받침페달(63)에 전륜을 옮겨싣는 하차행정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나, 후륜이 탑재된 후륜후크핀(24)은 전술한 주차행정상의 초기행정인 가변형 후륜후크핀(24)과 전방팔레트(66)의 후륜후크홈(67)의 정열작동과 역순의 작동으로 후륜받침페달(64)의 위치를 정열하면서 후륜을 하차한다.
즉, 입출고팔레트장치(60)의 착지부(61)에 좌우프레임(21)(22)이 착지되는 작동이 진행되면 좌우프레임(21)(22)의 후륜후크핀(24)에 일체로 부착된 페달가이드대(25)의 일측 최하단이 후륜받침페달(64)의 선단부와 먼저 접촉하여 제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륜페달플레이트(36)의 위치정열 작동과 동일한 방식으로, 탑재된 자동차의 축간거리로 전·후륜후크핀(23)(24)의 거리가 고정되어 하강하는 페달가이드대(25)의 경사면으로 무부하상태인 후륜받침페달(64)을 전후로 이동시켜 가이드하면서 후륜받침대(64)을 두쪽의 후륜 후크홈(24a)(24b)사이로 정열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정열된 후륜받침페달(64)의 외측으로 두쪽의 후륜후크홈(24a)(24b)이 교차하여 하강하면 후륜후크핀(24)에 탑재된 후륜은 자연적으로 후륜받침페달(64)에 옮겨져 실리고 후륜후크핀(24)은 후륜후크홈(67)에 착지된다.
리프트장치(20)의 차지를 완료하여 전·후륜후크핀(23)(24)에 탑재된 하차용 자동차를 전·후륜받침페달(63)(64)로 옮겨 싣는 하차행정이 완료되면 운전자가 탑승하여 후방팔레트(65)와 전방팔레트(66)상면에서 주차대출입구로 자동차를 출고시킨다.
이와 같은 주차(적재)·하차(출고) 행정으로 소정의 적재층에 자동차를 적재, 하차할 수 있는 본 발명은 종래의 제반주차장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주차장치의 작동방식이 신속성과 경제성이 있는 수직순환식이면서도 안전성이 월등히 높다.
본 발명의 주차시스템은 타워구조물, 리프트장치, 자동차적재용 팔레트장치, 팔레트의 이송장치를 갖는 종래의 수직순환식의 일부구성을 원용하면서 주차행정의 제반효율을 좌우하는 리프트장치와 적재대팔레트의 구성을 종래구성인 리프트의 내향 포크군과, 적재대팔레트의 주프레임 외단에 형성된 외향포크군구조를 완전히 제거하고, 좌우프레임(21)(22)에 전륜후크핀(23)과 후륜후크핀(24)을 설치한 리프트장치(20)와, 주프레임(33)(34)에 전륜 페달플레이트(35)와 위치가변형의 후륜 페달플레이트(36)를 설치한 적재대팔레트(30)와, 리프트장치(20)와 연동하면서 전륜받침페달(63)과 위치가변형 후륜받침페달(64)을 갖는 입출고팔레트장치(60)로 구성하여 리프트장치(20)와 적재대팔레트(30)의 교차점을 극소화하므로서, 종래의 포크식이 좁은 간격으로 수많은 교차점을 갖고 운행되어 포크의 간섭율이 높고, 이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는 포크 파손, 운행중단, 적재팔레트 전복, 자동차 파손등의 제반트러블과 위험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여 안전성이 충분히 보장된다.
둘째, 포크의 간섭과 위험성을 배제하여 운행·제어하므로 단위 행정별 운행시간과 연계시간 및 전체적인 주차, 하차시간이 대폭 절감되어 주차·하차행정의 신속성을 높이며, 아울러 고속운행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셋째, 자동차 1대당 주차, 하차시간이 대폭 단축되므로 주차장치의 전체 시스템구동전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로타리식 입체주차장치와 비교하여서 주차장치에서 요구되는 제반특성이 우수함은 물론, 제반 수직순환식의 입체주차장치의 통판팔레트식과 포크식의 시스템과 비교하여서도 안정성, 경제성, 신속성면에서 매우 월등한 특성의 주차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수개층의 적재층이 좌우로 형성되며 그 중앙으로는 타워상부의 권상장치와 로우프로 연결되어 상하로 수직 상승하는 좌우로 분리된 두개의 승강프레임으로된 리프트장치와, 적재층에는 독립된 구동원에 의해서 리프트장치측으로 횡방향 슬라이드 작동되는 적재대팔레트를 구비한 통상의 에레베이터식 입체주차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리프트장치의 좌우프레임에 형성하는 자동차 탑재부의 구성은 후크핀(Hook Pin)형으로 구비하되 전륜 후크핀은 고정식으로 하고 후륜 후크핀은 좌우프레임에서 전후로 위치가 가변되는 슬라이더에 위치정열 가이드대를 구비하여 일체로 형성하며, 적재층의 횡행 이동형 적재대팔레트에 형성하는 자동차륜 탑재부의 구성은 상기한 리프트장치의 전·후륜후크핀과 교차식으로 연동하는 페달플레이트형으로 구비하되, 전륜측은 고정식의 페달플레이트를 설치하고, 후륜측은 주프레임에서 전후로 위치가 가변되는 플레이트 슬라이더의 좌우측단에 후륜 페달플레이트를 일체로 구비한 구성으로 되며, 타워구조물의 하방에 설치되는 주차대에는 입·출고되는 자동차를 상기한 리프트장치에 탑재, 하차하는 입출고 전용의 팔레트장치를 설치하되 리프트장치의 전륜후크핀과 교접하는 전륜받침페달은 고정식으로 후방팔레트에 구비하며 후륜후크핀과 연동하는 후륜받침페달은, 착지되는 리프트장치의 위치정열 가이드대와의 간섭작동이나 입고되는 자동차의 축간거리를 감지한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구동장치에 의하여 주차대의 전방측에서 전후로 위치가 자동 설정되는 위치 가변형 전방팔레트의 측단에 일체로 구비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에레베이터식 입체주차장치.
  2. 1항에 있어서 리프트장치의 좌우프레임(21)(22)에 구비되는 전·후륜탑재부인 전·후륜후크핀(23)(24)의 구성을, 두쪽의 후크핀으로 하여 사이로 적재대팔레트(30)의 전·후륜페달플레이트(35)(36)와 입출고팔레트장치(60)의 전·후륜받침페달(63)(64)이 내접하면서 교차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을 갖고 좌우프레임(21)(22)의 전후방에서 내향으로 장착됨을 특징으로한 에레베이터식 입체주차장치.
  3. 1항에 있어서, 리프트장치의 후륜탑재부 구성을, 좌우프레임(21)(22)의 전방일측에 각각 " "형의 챤넬로 좌우프레임(21)(22)상단과 수개의 베어링(28)을 갖고 감싸져 전후로 일정거리를 자유롭게 이동하는 위치 가변형의 좌우 슬라이더(26)를 설치하고 이 좌우 슬라이더(26)의 내측단으로는 각각 두쪽의 후크핀으로된 후륜후크핀(24)을 설치하여서 이 후륜후크핀(24)에는 적재대팔레트(30)의 후륜페달플레이트(36)와 입출고팔레트장치(60)의 후륜받침페달(64)을 위치정열하는 페달가이드(25)를 각각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한 에레베이터식 입체주차장치.
  4. 1항에 있어서, 후륜후크핀(24)에 설치되는 페달가이드(25)의 구성을, 두쪽의 후크핀(24a)(24b)에서 상하방에 걸쳐 각각 외측으로 경사지게 벌어져 "V"형의 가이드공간부(Vo)를 형성하는 형태로 되고 가이드공간부(Vo)의 상부폭(V1)은 주차장치로 입고되는 전차종의 전후륜축간(軸間) 거리를 수용하는 임의의 폭으로 가변되는 적재대팔레트(30)의 후륜 페달플레이트(36)와 입출고 팔레트장치(60)의 후륜받침페달(64)의 선단과 접촉되어 두쪽의 후크핀사이로 후륜페달플레이트(36)와 후륜받침페달(64)을 충분히 가이드할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에레베이터식 입체주차장치.
  5. 1항에 있어서, 적재대팔레트(30)의 차륜 탑재부의 구성중 후륜탑재부의 구성을,리프트장치(20)의 페달가이드(25)와 접촉되어 두쪽의 후륜후크사이로 통과하는 후륜페달플레이트(36)를 주프레임(33)(34)의 전방양측에 걸쳐서 감싸져 전후로 일정거리를 자유롭게 이동하는 위치 가변형의 좌우 플레이트 슬라이더(37)의 양측단에 외향으로 장착하여됨을 특징으로한 에레베이터식 입체주차장치.
  6. 1항에 있어서, 입출고팔레트장치의 전방팔레트의 구성은, 좌우측단으로는 후륜후크핀(24)이 끼워지는 후륜후크홈(67)을 갖는 전륜받침페달(64)을 설치하고 저면내부에서 적어도 4곳이상의 위치에서 주차대에 설치된 좌대(68)의 안내레일(69)(69')에 안내로울러(70)로 얹혀져 전후방으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되며, 하우징의 저면일측에는 피니언(71)이 부착된 모터(M3)를 설치하고 주차대 피트상면의 좌대(68)에 설치된 랙기어(72)와 치합하여서 입고되는 자동차의 축간거리를 사전에 측정하는 감지기의신호로 모터(M3)를 제어하여 전방플레트(66)의 위치를 전후로 이동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에레베이터식 입체주차장치.
  7. 1항에 있어서, 입출고팔레트장치(60)의 후방팔레트(65)와 전방팔레트(66)사이와, 전방팔레트(66)와 주차대출입구(15)사이에 차륜이 통과할 수 있는 가변브릿지의 구조로 챤넬(73)과 각바(74)를 여러개 빗살형으로 엇물리게 배열하되, 전방팔레트(66)의 후륜받침페달(64)전후방으로는 챤넬(73)들을 부착하고 후방팔레트(65)의 전방과 주차출입구(15)에는 각바(74)를 각각 설치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에레베이터식 입체주차장치.
KR1019900016480A 1990-10-16 1990-10-16 에레베이터식 입체 주차장치 KR930004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6480A KR930004019B1 (ko) 1990-10-16 1990-10-16 에레베이터식 입체 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6480A KR930004019B1 (ko) 1990-10-16 1990-10-16 에레베이터식 입체 주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297A KR920008297A (ko) 1992-05-27
KR930004019B1 true KR930004019B1 (ko) 1993-05-19

Family

ID=19304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6480A KR930004019B1 (ko) 1990-10-16 1990-10-16 에레베이터식 입체 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0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297A (ko) 199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309741U (zh) 一种多层穿梭车换层的提升组件
JPH11278607A (ja) 自動倉庫
KR970702954A (ko) 주차장에 이용할 수 있는 이동단을 가진 모듈저장 시스템(modular storage system with movable rack, specially applicable to motor vehicles)
KR910006193B1 (ko) 입체주차장
KR930004019B1 (ko) 에레베이터식 입체 주차장치
US3592348A (en) Load carrier-load support mechanism in automatic warehousing system
JP2863705B2 (ja) 機械式立体駐車装置
JP2577647B2 (ja) 立体機械式駐車設備
KR100295876B1 (ko) 엘리베이터방식주차설비의턴테이블장치
CN110950102A (zh) 一种装车起重系统
JP3591073B2 (ja) 多段フォーク装置
KR930006344B1 (ko) 에레베이터식 입체주차장치
KR940004909B1 (ko)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JP2662816B2 (ja) 地下式立体駐車装置
JP3448037B2 (ja) 平面往復式駐車装置
CN217228906U (zh) 一种小车换层提升机
CN221070093U (zh) 一种集装箱堆垛机的水平行走装置
JP3888755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KR930006343B1 (ko) 에레베이터식 입체주차장치
JP4117862B2 (ja) 3縦列型昇降式駐車装置
JP3960566B2 (ja) 3縦列型昇降式駐車装置
JP2511104Y2 (ja) 昇降荷台付きラック設備
JP3476054B2 (ja) 物品収納設備
JP2863712B2 (ja) 機械式駐車場におけるパレットリフター
JP2649183B2 (ja) 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