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193B1 - 입체주차장 - Google Patents

입체주차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193B1
KR910006193B1 KR1019860009544A KR860009544A KR910006193B1 KR 910006193 B1 KR910006193 B1 KR 910006193B1 KR 1019860009544 A KR1019860009544 A KR 1019860009544A KR 860009544 A KR860009544 A KR 860009544A KR 910006193 B1 KR910006193 B1 KR 910006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vehicle
trolley
parking lot
stacker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9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294A (ko
Inventor
로오헤이 이시게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70006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 E04H6/22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without transverse movement of the parking palette after leaving the transfe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입체주차장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입체주차장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입고구의 평면도.
제4도는 제1도의 대차의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디팰리타이저의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평면도.
제7도는 제5도의 B-B단면도.
제8도는 제5도의 우측면도.
제9도는 제5도의 팰리트 받침대의 종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텍커 크레인 5, 6 : 선반군
27 : 팰리트 받침대 33 : 입고용의 대차
34 : 출고용의 대차 36 : 레일
38 : 받침대 39 : 잭
41 : 수납부 43 : 피커
44 : 트롤리 45 : 거더
50 : 차륜 55 : 프레임
56 : 모터 57 : 감속기
58 : 드럼 61 : 시이브
본 발명은 반송 수단으로서 스택커 크레인을 사용한 입체주차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출고라함은 입고구 또는 출고구를 말한다. 또, 이재구(移載口)라 함은 다수의 선반으로 이루어진 선반군내의 스텍커 크레인이 입출고와의 사이에서 차량을 수수(授受)하기 위한 문이다. 스텍커 크레인을 사용한 입체주차장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소51-141178호 공보에 나타낸 것이 있다. 이것은 스텍커 크레인의 주행로에 따라 다수의 선반을 구비하고, 그 일단에 입고구 및 디팰리타이저, 타단에 출고구 및 팰리타이저를 구비하고 있다.
입고는 디팰리타이저로부터 1매의 팰리트가 콘베이어로 입고구에 공급되고, 이 팰리트에 차량이 실린다. 이 차재 팰리트는 로울러 콘베이어로 스택커 크레인과의 이재구에 공급된다. 스텍커 크레인은 이 차재 팰리트를 선반에 공급한다. 출고지령이 있으면 차재 팰리트는 스텍커 크레인으로 이재구에 반송되고, 다음에 로울러 콘베이어로 출고구에 출고된다. 출고구에 남은 팰리트는 콘베이어로 팰리타이저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차재 팰리트를 오룰러 콘베이어로 반송하고 있다. 팰리트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으로 제작되어 있다.
발명자의 여러가지의 실험에 의하면, 비교적 조기에 팰리트에 균열이 생기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것은 팰리트의 두께가 얇고, 로울러 콘베이어에서 로울러의 간격이 큰 경우 차재 팰리트를 오룰러 콘베이어로 반송할 때, 차량의 차륜이 실려있는 팰리트의 부분이 만곡되나, 그 만곡상태가 로울러 콘베이어에 의한 반송에 따라 변화되므로 조기에 팰리트가 파손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소58-82981호 공보에는 입고구와 스텍커 크레인의 이재구와의 사이의 차재 팰리트의 반송수단으로서 대차를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는 입고구, 출고구, 이재구, 팰리타이저, 디팰리타이저의 배치관계는 나타나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재 팰리트의 반송수단으로서 대차를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 입출고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입체주차장은 다수의 격납선반을 가지는 선반군(5)과, 선반군(5)에 따라서 주행을 행하고 격납선반과의 사이에서 차재 팰리트를 수수하는 스텍커 크레인(1)과, 차도(20)에 저속된 위치에 설치되고 스텍커 크레인(1)의 주행방향에서 상기 선반군(5)의 단부측에 설치되고 차재 팰리트를 싣기 위한 팰리트 받침대(27)를 가지는 입출고구(10, 11)와, 상기 선반군(5)내에 설치되고, 상기 스텍커 크레인(1)과의 사이에서 차재 팰리트의 수수가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고 차재 팰리트를 싣기 위한 팰리트 받침대(27)를 가지는 이재구(22, 23, 24, 25)와, 차재 팰리트를 싣는 받침대(38)를 상기 팰리트 받침대(2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38)에 차재 팰리트를 실은 상태에서 상기 입출고구(10, 11)와 상기 이재구(22, 23, 24, 25)와의 사이를 주행하는 대차(33, 34)와, 상기 선반군(5)내에 설치되고 상기 스텍커 크레인(1)과의 사이에서 단적 팰리트의 수수가 가능한 위치에 있고, 상기 대차(33, 34)의 주행로(35)의 상부에 있고, 상기 대차(33, 34)에 실은 차량(31)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한 단적 팰리트의 수납부(41, 41a)와, 상기 수납부(41,41a)와 상기 입출고구(10, 11)와의 사이를 주행하는 트롤리(41, 41a)로부터 승강 자유롭게 매달리고 상기 수납부(41, 41a) 및 상기 입출고구(10, 11)의 팰리트(30)를 착탈하는 피커(43, 43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제1도 내지 제10도에 나타낸 일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1은 공지의 스텍커 크레인이고, 양옆의 선반군(5, 6)사이의 주행로(4)를 주행한다. 스텍커 크레인(1)은 승강대를 구비하고, 그 승강대에는 양옆의 격납선반에 돌출하는 포오크를 구비하고 있다. 선반군(5, 6)은 다수의 격납선반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스텍커 크레인(1)과 그 양옆의 선반군(5, 6)을 1조로 하여 2조를 병설하고 있다.
각 선반군(5)의 한쪽의 단부에는 입고구(10)를 설치하고, 타단에는 출고구(11)를 설치하고 있다. 입고구(10) 및 출고구(11)는 주행로(4)의 단부보다도 외단측에 있다. 주행로(4)의 단부는 방책(15)으로 둘러싸여 있다. 입고구(10), 출고구(11)는 그 부위의 팰리트의 좌우에 승무원의 승강용 플렛홈을 설치하고, 방책(16)등으로 둘러 방을 구성하고 있다.
17은 승무원용의 도어, 18은 차량용의 게이트로 승강한다. 20은 차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선반군(5)의 제2행째 및 제3행째의 제1단째의 격납선반을 입고용의 이재구(22, 23)로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4행째 및 제5행째의 제1단째의 격납선반은 출고구의 이재구(24, 25)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의 행수는 선반군의 입고구(10)측의 단부로부터 센다. 단수는 아래쪽으로부터 센다. 여기서는 6행, 5단의 선반군을 나타내고 있다. 입고구(10), 이재구(22, 23, 24, 25) 및 출고구(11)에는 차재 팰리트를 싣기 위한 팰리트 받침대(27)를 설치하고 있다. 각 팰리트 받침대(127)의 높이, 특히 입고구(10), 출고구(11)의 팰리트 받침대(27)의 높이는 팰리트(30)를 실었을 때, 그 노면과 차도(20)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높이이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팰리트 받침대(27)는 입고구(10)등의 각각의 위치에 있어서 전후좌우의 4곳에 설치되고, 이 4개로 하나의 팰리트 받침대가 된다. 입고구(10) 및 출고구(11)의 팰리트 받침대(27)는 차량(31)이 주행에 따라서 팰리트(30)가 들려 올라가지 않도록 전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 입고구(10)의 입구측의 팰리트 받침대 및 출고구(11)의 출구측의 팰리트 받침대는 좌우를 연결하고 있다. 이재구(22 내지 25)의 팰리트 받침대는 격납선반을 구성하는 기둥에 부착되어 있다. 입고구(10)로부터 출고구(11)까지의 아래쪽에는 입고용의 대차(33) 및 출고용의 대차(34)가 주행하는 주행로(35)가 있다. 대차(33, 34)는 레일(36)상을 주행한다. 입고용의 대차(33)는 입고구(10)로부터 이재구(22) 또는 이재구(23)까지 차재 팰리트를 반송한다. 출고용의 대차(34)는 이재구(24) 또는 이재구(25)로부터 출고구(11)까지 차재 팰리트를 반송한다.
대차(33, 34)의 주행용 전원의 공급등은 예를 들면 대차의 아래쪽에 설치한 트롤리선등 공지의 수단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제4도에 있어서, 대차(33, 34)는 받침대(38)를 승강시키는 잭(39)을 구비하고 있다. 잭(39)의 좌우방향의 쪽은 팰리트 받침대(27)의 좌우방향의 간격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또, 받침대(38)는 4개의 팰리트 받침대(27)가 구성하는 공간보다도 작게 설치되어 있다. 대차(33, 34)는 차재 팰리트를 싣고 팰리트 받침대(27)의 사이를 주행할 수 있고, 팰리트 받침대(27)와의 사이에서 차재 팰리트를 이재할 수 있다.
제1도에 있어서, 40은 수납부(41)의 팰리트를 입고구(10)에 공급하는 디팰리타이저이다. 수납부(41)는 선반군(5)의 제1행째의 제1단째의 상부에 있다.
수납부(41)는 단적한 팰리트를 지지하는 팰리트 받침대(42)를 가지고 있다. 팰리트 받침대(42)의 부착위치는, 차재 팰리트를 실은 대차(33)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1단째의 기둥의 상부이다. 제1단째의 높이는 제2단째의 높이보다도 충분히 크다. 또, 팰리트 받침대(42)는 제1도에 의해 전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디팰리타이저(40)의 구성품을 도시하기 위하여 제1도에서는 실제보다도 크게 나타내고 있다. 디팰리타이저(40)는 주로 수납부(41), 수납부(41)의 최상부의 팰리트를 잡기 위한 피커(43), 이 피커(43)를 승강시킴과 동시에 주행하는 트롤리(44), 트롤리(44)가 주행하는 거더(45)로 이루어진다.
거더(45)는 선반군(5)과 입고구(10)의 기둥(46)에 지지되어 있다. 트롤리(44)는 수납부(41)로부터 입고구(10)까지 주행하고, 팰리트 받침대(27)의 위치까지 피커를 하강시킨다. 40a는 출고구(11)에 남은 팰리트를 수납부(41a)에 회수하는 팰리타이저이다. 수납부(41a)는 선반군(5)의 제6행째의 제1단째의 상부에 있다. 수납부(41a)는 단적한 팰리트를 지지하는 팰리트 받침대(42a)를 가지고 있다. 팰리트 받침대(42a)의 설치 위치는 차재 팰리트를 실은 대차(34)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1단째의 기둥의 상부이다. 또, 팰리트 받침대(42a)는 제6행의 전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팰리타이저(40a)의 구성은 디팰리타이저(4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다만 기능이 다를 뿐이다.
예를 들면, 디팰리타이저(40)의 피커(43)는 수납부(41)의 최상부의 팰리트를 잡아 입고구(11)에 공급하는 것인데 반해 팰리타이저(40a)의 피커(43a)는 출고구(11)의 팰리트를 잡아 수납부(41a)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디팰리타이저(40)를 주체로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팰리타이저(40a)에는 디팰리타이저(40)의 번호에 "a"를 붙여 표시하고 있다.
제5도 내지 제10도에 따라 팰리타이저(40)의 상세한 것을 설명한다.
제8도는 팰리트를 지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트롤리(44)는 전후좌우의 4곳에 각각 2개씩 설치한 차륜(50)으로 거더(45)에 싣고 있다. 거더(45)는 2개의 I형의 강철로 형성된다.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2점의 차륜(50)에는 주행용 모터(51)를 설치하고 있다. 차륜(50)은 좌대(54)를 거쳐 프레임(55)를 매달고 있다. 프레임(55)의 상면에는 모터(56), 감속기(57) 및 드럼(58)으로 이루어진 권상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드럼(58)으로부터는 전후좌우로 4줄의 로우프(60)가 풀려 나와, 프레임(55)에 설치한 시이브(61)를 거쳐 피커(43)가 매달려 있다. 드럼(58)을 정회전시키면 4개의 로우프(60)가 풀려나온다. 프레임(55)의 하면의 전후좌우의 4곳에는 하단이 확대된 파이프(63)를 설치하고 있다.
한편, 피커(43)의 프레임(65)의 상면에는 선단의 지름이 작은 4개의 봉(66)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피커(43)가 상승하면, 봉(66)이 파이프(63)에 들어간다.
피커(43)의 직사각형의 프레임(65)의 전후좌우의 4곳에는 팰리트(30)를 지지하는 팰리트 받침대(67)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자유롭게 매달고 있다. 68은 그 회전축이고, 안내용의 통(69) 및 프레임(65)를 관통하여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회전축(68)은 매달려 있다. 통(69)은 프레임(65)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68)의 상단에는 레버(70)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65)의 폭방향의 양측의 2개의 회전축(68, 68)의 레버(70, 70)는 랭크(71, 71)로 연결되어 있다.
이 링크(71, 71)에 각각 평행으로 구동용의 실린더장치(73, 73)를 설치하고 있다. 실린더장치(73)의 로드는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로운 링크(74)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다. 링크(74)의 타단은 링크(71)에 연결되어 있다. 링크(74)의 중앙 핀(75)은 프레임(65)에 설치되어 있다. 제7도는 팰리트 받침대(67)를 후퇴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실린더장치(73)의 로드를 돌출시키면, 팰리트 받침대(67)가 돌출한다.
제8도에 있어서 피커(43)의 길이방향의 일단의 통(69, 69)의 측면에는 팰리트(30)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한상의 광전식스위치(78)를 설치하고 있다. 프레임(65)의 하강에 의하여 스위치(78)가 차광을 검출하면, 프레임(65)의 하강이 정지함과 동시에 팰리트 받침대(67)가 팰리트(30)를 향하여 돌출한다. 스위치(78)와 팰리트 받침대(67)의 설치위치를 설명하면 스위치(78)가 차광을 검출하였을 때, 단적 팰리트의 최상부의 팰리트와 최상부로부터 2단째의 팰리트와의 사이의 간극(80)에 팰리트 받침대(67)를 돌출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단적 팰리트의 최상부의 팰리트나 출고구(11)의 팰리트를 들어 올릴 수 있다. 스위치(78) 또는 회전축(68)은 팰리트(30)의 폭방향의 단부보다도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팰리트(30)의 이면에는 보강판(30a)을 설치하여, 아래쪽의 팰리트(30)에 닿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간극(80)이 얻어진다. 팰리트 받침대(30a)에는 팰리트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82)가 설치되어 있다. 리미트 스위치(82)의 레버(83)는 팰리트 받침대(67)의 아래쪽으로부터 개구(84)를 통하여 상면으로 돌출하고 수평으로 뻗어 있다. 이 리미트 스위치는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두개의 팰리트 받침대(67)에 설치되어 있다. 팰리트를 실은 피커(43)를 하강시켜, 리미트 스위치(82)가 OFF를 검출하면, 입고구(10) 또는 단적 팰리트의 최상부의 팰리트에 착상(着床)한 것이 된다. 이에 따라, 피커(43)의 하강을 정지시키고, 팰리트 받침대(67)를 후퇴시킨다.
또한, 트롤리(44)의 구동용 전원의 공급등은 예를 들면 거더(45)에 평행으로 설치하는 트롤리선등 공지의 수단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제3도에 있어서, 입고구(10) 또는 출고구(11)의 플랫홈(86)에는 상기 피커(43)의 팰리트 받침대(67) 또는 회전축(68)등이 들어갈 수 있는 홈부(87)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팰리트(30)를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다.
입고운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팰리타이저(40)의 수납부(41)에는 단적 팰리트가 수납되어 있다. 트롤리(44)가 제1행째에 정지하고, 권상장치를 사용하여 피커(43)를 하강시킨다. 광전스위치(78)가 차광을 검출하면, 피커(43)의 하강을 정지시키고, 실린더장치(73)를 사용하여 팰리트 받침대(67)를 간극(80)에 돌출시킨다. 다음에 피커(43)를 상승시키면 1매의 팰리트(30)를 들어올릴 수가 있다. 봉(66)이 파이프(63)에 들어간 상태에서 모터(51)를 사용하여 입고구(10)를 향해 주행시킨다. 입고구(10)에 트롤리(44)가 도착하면 피커(43)를 하강시킨다. 피커(43)의 팰리트가 입고구(10)의 팰리트 받침대(27)에 실리면, 팰리트(30)가 피커(43)의 팰리트 받침대(67)로부터 부상(浮上)하므로, 리미트스위치(82)가 OFF된다. 이 OFF1에 의하여 피커(43)의 하강을 정지시키고, 팰리트 받침대(67)를 후퇴시킨다. 다음에 피커(43)를 상승시켜 상승이 완료된 후 제1행에 복귀시킨다. 피커(43)가 패리트를 들어올린 상태로 대기시킨다.
입고구(10)의 팰리트(30)에 차량을 실은 승무원은 하차한 후, 입고의 지령을 행한다. 입고지령이 있으면, 입고구(10)의 하부에 대기하고 있던 대차(33)는 잭(39)으로 받침대(38)를 들어올려 차재 팰리트를 들어올린다. 차재 팰리트가 팰리트 받침대(27)로부터 떨어질 때까지 들어올린 후, 이재구(22, 23)를 향하여 주행한다. 이재구(22, 23)가 비었으면, 이재구까지 주행한다. 이재구(23)에 차재 팰리트가 있으며, 이재구(22)까지 주행한다. 양쪽의 이재구(22, 23)에 차재 팰리트가 있으면, 제1행째에서 대기한다. 이재구(22, 23)에 정지하면, 받침대(38)를 하강시켜 차재 팰리트를 팰리트 받침대(27)에 싣는다. 대차(33)는 그 상태에서 입고구(10)로 복귀한다. 이재구(22, 23)의 차재 팰리트는 스텍커 크레인(1)에 의하여 격납선반에 반송된다.
출고에 대하여 설명한다.
출고의 지령이 있으면 스텍커 크레인(1)이 차재 팰리트를 격납선반으로부터 이재구(24, 25)에 반출한다. 이재구(24, 25)에 차재 팰리트가 없으면 이재구(25)에 출고한다. 이재구(24)에 차재 팰리트가 있으면 이 차재 팰리트가 대차로 출고될 때까지 스텍커 크레인(1)은 대기한다.
이재구(24, 25)에 출고된 차재 팰리트는 팰리트 받침대(27)에 실리게 된다. 대차(34)는 잭(39)에 의하여 받침대(38)를 상승시켜 차재 팰리트를 들어 올린다. 그후, 출고구(11)를 향하여 대차(34)를 주행시킨다.
출고구(11)로부터 차량이 출고하고 지령이 있으면, 팰리타이저(40a)가 팰리트의 회수동작을 개시한다. 이것은 디팰리타이저(40)를 팰리타이저로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디팰리타이저(40)의 부품번호에 "a"를 붙여 설명한다.
출고구(11)에 있어서 피커(43a)를 하강시킨다. 스위치(78a)가 차광을 검출하면, 피커(43a)의 하강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팰리트 받침대(67a)를 돌출시킨다. 다음에 피커(43a)를 상승시키고, 봉(66a)이 파이프(63a)에 들어간 상태에서 제6행째를 향하여 주행시킨다.
제6행째줄에 도착하면 피커(43a)를 하강시킨다. 팰리트 받침대(67a)의 리미트 스위치(82a)가 OFF를 검출하면, 팰리트 받침대(67a)의 팰리트가 수납부(41a)의 팰리트의 상부에 실린 것을 표시하고 있으므로, 피커(43a)의 하강을 정시시킴과 동시에, 팰리트 받침대(67a)를 하강시킨다. 다음에 피커(43a)를 상승하여 대기시킨다.
다음에 피커(43a)를 상승하여 대기시킨다.
수납부(41a)에 소정수(예를 들면 6매)의 팰리트가 모이면, 스텍커 크레인(1)이 반격납선반으로 반송한다. 디팰리타이저(40)의 수납부(41)로부터 팰리트가 없어지면, 스텍커 크레인(1)이 격납선반 또는 수납부(41a)로부터 단적 팰리트를 공급한다.
이상과 같이 차재 팰리트를 반송하는 콘베이어를 사용하지 않고, 입고 또는 출고를 행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팰리트의 판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대차(33, 34)에는 승강자재인 받침대를 설치하고, 입고구(10)와 출고구(11) 및 이재구(22 내지 25)에는 팰리트 받침대(27)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입출고를 빨리 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차재 팰리트를 반송하는 대차(33), (34)와, 빈 팰리트를 반송하는 피커(43(43a))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작업을 분할할 수 있어 입출고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피커(43(43a))는 대차(33(34))의 위쪽을 주행하므로 팰리트의 공급(호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단적 팰리트의 수납부(41(41a))를 입고구(출고구(11))와 이재구(22, 23, (24, 25))와의 사이에 차재 팰리트의 통로의 상부에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피커(43(43a))에 의한 팰리트의 반송을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피커(43(43a))의 주행거리도 단축된다. 또, 수납부(41(41a))의 하부를 차재 팰리트를 실은 대차(3(34))의 대기영역으로 할 수 있어, 한층 더 입출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재구(22, 23, (24, 25))는 스텍커 크레인(1)의 주행로(4)의 중앙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스텍커 크레인(1)의 주행거리가 평균적으로 작아져 한층 더 입출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수납부(41(41a))는 입고구(10(출고구(11)))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안전하다. 이재구(22, 23, (24, 25))는 복수 구비하고 있으므로 입출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입고용의 이재구(22, 23)와 출고용의 이재구(24, 25)를 구분하고 있으나, 입고만을 행할 때에는 이재구(24, 25)에 입고용의 차재 팰리트를 들 수가 있다. 또, 출고만을 행할 때에는 이재구(22, 23)에 출고용의 차재 팰리트를 들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입고 및 출고를 대차(33, 34)로 행하도록 하고 있으나, 어느 한쪽은 종전과 마찬가지로 콘베이어로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입출고구란 입고구 또는 출고구를 말하며, 팰리트 매거진이라 함은 디팰리타이저 또는 팰리타이저를 말한다. 출고구(110가 밝아서 스위치(78a)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는 출고구(11)의 플랫홈(86)보다도 하부에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하여 스위치(78a)가 불필요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대차(33, 34)의 받침대를 승강 자유롭게 설치하고 있으나 팰리트 받침대(27)를 승강 자유롭게 하여도 좋다. 피커(43, 43a)의 팰리트 받침(67, 67a)의 구성은 팰리트를 착탈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팰리트의 상면에 구멍이 있으며, 콘베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spreader)와 같이 구멍에 들어가는 트위스트록크핀을 사용할 수가 있다.
대차 또는 트롤리로서는 리니어카아를 사용할 수 있다. 입고구(10), 출고구(11)가 선반군(5)의 제1단째에 있으므로 이재구도 제1단째에 있다. 입고구등이 예를 들면 제3단째에 있는 경우는 그 이재구가 제3단째로 되어 대차의 주행로도 그 근방에 설치한다. 수납부(41)를 제1단째에 설치하고 있으나, 제2단째에 설치하면 제1단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대차를 사용하여도 팰리트의 공급 또는 회수를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어, 입출고를 빨리 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트롤리 대차로 빈 팰리트, 차재 팰리트를 반송하고 있으므로 콘베이어를 필요치 않게 될 수 있다.
빈 팰리트의 반송은 상부 트롤리로 행하고 차재 팰리트의 반송은 하부대차로 행하고 있으므로 트롤리와 대차를 동시에 운전할 수 있고 입출고를 빨리 행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다수의 격납선반을 가지는 선반군(5)과, 선반군(5)에 따라서 주행을 행하고 격납선반과의 사이에서 차재 팰리트를 수수하는 스텍커 크레인(1)과, 차도(20)에 접속된 위치에 설치되고 스텍커 크레인(1)의 주행방향에서 상기 선반군(5)의 단부측에 설치되고, 차재 팰리트를 싣기 위한 팰리트 받침대(27)를 가지는 입출고구(10, 11)와, 상기 선반군(5)내에 설치되고, 상기 스텍커 크레인(1)과의 사이에서 차재 팰리트의 수수가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고 차재 팰리트를 싣기 위한 팰리트 받침대(27)를 가지는 이재구(22, 23, 24, 25)와, 차재 팰리트를 싣는 받침대(38)를 상기 팰리트 받침대(2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38)에 차재 팰리트를 실은 상태에서 상기 입출고구(10, 11)와 상기 이재구(22, 23, 24, 25)와의 사이를 주행하는 대차(33, 34)와, 상기 선반군(5)내에 설치되고 상기 스텍커 크레인(1)과의 사이에서 단적 팰리트의 수수가 가능한 위치에 있고 상기 대차(33, 34)의 주행로(35)의 상부에 있고, 상기 대차(33, 34)에 실은 차량(31)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한 단적팰리트의 수납부(41, 41a)와, 상기 수납부(41, 41a)와 상기 입출고구(10, 11)와의 사이를 주행하는 트롤리(44, 44a)로부터 승강 자유롭게 매달리고 상기 수납부(41, 41a) 및 상기 입출고구(10, 11)의 팰리트(30)를 착탈하는 피커(43, 43a)로 이루어진 입체주차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커(43, 43a)는 상기 수납부(41, 41a) 및 상기 입출고구(10, 11)의 각각의 상부에서 팰리트(30)를 착탈하는 입체주차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41, 41a)가 주행하는 거더(45, 45a)의 일단을 상기 선반군(5)에 설치하고, 타단을 상기 입출고구(10, 11)에 설치한 기둥(46, 46a)에 설치하고 있는 입체주차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33, 34)는 상기 팰리트 받침대(27)에 대하여 상기 받침대(38)를 승강시키는 잭(39)을 구비하고 있는 입체주차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재구(22, 23, 24, 25)는 상기 주행로(35)상에 복수 구비하고 있는 입체주차장.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44, 44a)는 권상장치(56, 57, 58)를 구비하고, 그 권상장치(56, 57, 58)로부터 풀려나온 4개의 로우프(60)로 상기 피커(43 43a)를 매달고 있는 입체주차장.
KR1019860009544A 1985-12-02 1986-11-12 입체주차장 KR9100061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9257 1985-12-02
JP85-269257 1985-12-02
JP60269257A JPH0617640B2 (ja) 1985-12-02 1985-12-02 スタツカクレ−ン式立体駐車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294A KR870006294A (ko) 1987-07-10
KR910006193B1 true KR910006193B1 (ko) 1991-08-16

Family

ID=17469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9544A KR910006193B1 (ko) 1985-12-02 1986-11-12 입체주차장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617640B2 (ko)
KR (1) KR910006193B1 (ko)
GB (1) GB21836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1007125Y (es) * 1988-06-08 1989-09-01 Sanchez Portillo Ernesto Nuevo garage para automoviles.
US4998856A (en) * 1989-04-18 1991-03-12 Labarre Andre E Motor vehicle parking installation, forming an automatic individual garage in an urban environment
US5018926A (en) * 1989-05-08 1991-05-28 Sternad William A Automatic storage and retrieval apparatus
CA2073036A1 (en) * 1990-01-19 1991-07-20 David Lester Gilbert Storage apparatus
CH680812A5 (ko) * 1990-09-28 1992-11-13 Coenco Sa
JPH07113284B2 (ja) * 1991-12-03 1995-12-06 恵比寿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多層複列型収納設備
DE4218485C2 (de) * 1992-06-04 1994-08-25 Bayerische Park Und Lagersyste Parkeinrichtung
DE4338717A1 (de) * 1993-11-12 1995-05-18 Siemag Transplan Gmbh Automatische Park- und Lager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US20050220594A1 (en) * 1999-07-30 2005-10-06 Gerhard Haag Automated parking garage
US6851921B2 (en) * 1999-07-30 2005-02-08 Gerhard Haag Automated parking garage
CN104032993A (zh) * 2013-05-24 2014-09-10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多交换区矩形智能立体车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83619B (en) 1989-10-04
GB8627790D0 (en) 1986-12-17
GB2183619A (en) 1987-06-10
JPS62129469A (ja) 1987-06-11
JPH0617640B2 (ja) 1994-03-09
KR870006294A (ko) 198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9440B1 (en) Method and storage loading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loads in storage
US5407316A (en) Rapid, compact, high density storage of cargo containers
KR101733544B1 (ko) 화물 비상 반출이 가능한 물류 자동창고 시스템
KR910006193B1 (ko) 입체주차장
US3883013A (en) Apparatus of applying skids of grating structure and removing the same
CN112811061A (zh) 一种饰面材料印刷机凹版辊仓储存取车
JP3164204B2 (ja) 物品保管棚用の物品搬送装置
JP2660602B2 (ja) 自動倉庫
JPH0225779Y2 (ko)
KR910006192B1 (ko) 입체주차장
US6224314B1 (en) Universal rack loading/unloading system
JPH0355717Y2 (ko)
CN110624837A (zh) 一种连续式垂直分拣系统
CN215754487U (zh) 一种饰面材料印刷机凹版辊仓储存取车
KR950012970B1 (ko) 자동창고를 가지는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JPH03177205A (ja) トンネルセグメントの一時保管・搬入設備
JPS63154502A (ja) 立体物品格納装置
JP3448037B2 (ja) 平面往復式駐車装置
JP2649183B2 (ja) 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
KR910002589B1 (ko) 입체 주차장과 그 작동방법
KR880000447B1 (ko) 복수단(複數段)의 포오크가 있는 포오크리프트(fork lift)
JP3476054B2 (ja) 物品収納設備
JPH0249207Y2 (ko)
JPH07217247A (ja) エレベータ方式立体駐車装置
KR930004019B1 (ko) 에레베이터식 입체 주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