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192B1 - 입체주차장 - Google Patents

입체주차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192B1
KR910006192B1 KR1019860006806A KR860006806A KR910006192B1 KR 910006192 B1 KR910006192 B1 KR 910006192B1 KR 1019860006806 A KR1019860006806 A KR 1019860006806A KR 860006806 A KR860006806 A KR 860006806A KR 910006192 B1 KR910006192 B1 KR 910006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conveyor
vehicle
exi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6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3283A (ko
Inventor
료오헤이 이시게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25018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684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86048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763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70003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 E04H6/22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without transverse movement of the parking palette after leaving the transfer mean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입체주차장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입체주차장의 수평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B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입체주차장의 선반의 제1단째의 수평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A-A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B-B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C-C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의 입체주차장의 요부의 선반의 제1단째의 수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테커크레인(반송장치) 2A, 2B : 포오크
4 : 주행로 5, 6 : 선반군
8 : 공간 10, 10A, 10B, 15A, 15B : 입고구
20A, 20B, 21A, 21B : 출고구 27A, 27B, 28A, 28B, 38 : 리프터
47, 52 : 운전자용 도어 48, 53 : 차량용 게이트
15A, 15B, 17A, 17B : 수수구 32 : 퇴출로
15, 16, 31 : 진입로 35 : 콘베이어 매거진
36 : 단적 패릿의 수납부 37 : 단적 패릿의 지지장치
40 : 패릿 41 : 울타리
47 : 도어 60 : 바닥
63, 65 : 통로 64 : 출입구
67 : 차량입구 68 : 차량출구
본 발명은 스테커크레인을 사용한 입체주차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출거"라 함은 "입고", "출고"의 적어도 한쪽을 말한다. "입출고구"도 마찬가지이다.
스테커크레인식의 입체주차장은 일본국 특허공개 공보소 51-7676호 또는 일본국 특허공개 공보소 51-141178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커크레인과, 다수의 격납 선반을 스테커크레인의 주행로의 양쪽옆에 설치한 선반군으로 이루어지고, 양쪽옆의 선반군중 한쪽의 선반군의 단부에 입고구 및 출고구를 설치하고 있다. 스테커크레인은 주행체와, 주행체를 승강하는 승강체와, 승강체로부터 격납 선반측에 대하여 진퇴하는 포오크로 이루어진다. 포오크는 1조이기 때문에 입고 또는 출고는 차량 1대 단위로 행하여진다.
상기 일본국 특허공개 공보소 51-141178호에서는 차량을 패릿에 얹어서 격납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입고구의 근방에는 디패리타이저(depalletizer)를 설치하고, 단적되어 있는 패릿을 분할하여 1매씩 입고구에 공급하고 있다. 또 출고구의 근방에는 패리타이저(palletizer)를 설치하고, 차량의 출고에 따라 불필요하게 된 패릿을 회수하여 단적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입체창고에 있어서 2조의 포오크를 스테커크레인에 설치하고, 2대 단위로 입출고를 행하여 하역을 빠르게 하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공보소 57-107303호, 일본국 특허공개 공보소 57-107304호, 일본국 특허공개 공보소 57-199704호가 있다.
또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공보소 56-154903호에 나타낸 것은 창고이고, 건물의 2층 이상에 선반과 스테커크레인을 설치하며, 선반의 최하부에 하물을 다루는 처리장을 설치하고, 이 하물처리장과 1층을 하물 승강반송 수단으로 접속하고 있다. 하물 승강 반송 수단은 선반의 아랫쪽에 있다. 1층이 입출고구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2조의 포오크 등의 수수(授受)장치를 가지는 스테커크레인을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 입출고구에서 입출고를 빠르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있다.
2조의 포오크를 스테커크레인에 설치하면, 입고구와 격납 선반과의 사이, 격납선반과 출고구와의 사이에서 각각 2대의 차량을 반송할 수 있으므로 하역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고구에 있어서 양옆의 선반군중 한쪽의 선반군에만 출고구를 설치하고, 이 출고구에 2대의 차량을 직렬로 출고하도록 구성한다. 이 경우 각각의 차량에 운전자가 승차할 수 있으므로 승차시간을 1/2로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출고구에 있어서의 뒷차량은 앞차량이 출고구로부터 퇴출한 후가 아니면, 퇴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앞차량이 예를 들면 수하물의 적재등으로 퇴출이 늦어지면, 뒤쪽의 차량은 그동안 주행할 수 없게 된다. 최악의 경우는 앞차량의 운전자가 부재등으로 주행할 수 없을 경우이다.
본 발명의 입체주차장은 차량을 각각 실을 수 있는 2개의 수수장치(2A, 2B)를 구비하고 주행가능한 반송장치(1)와, 상기 반송장치(1)의 주행로(4)의 양측에 따라 다수의 격납선반을 배치하여 이루어진 각각의 선반군(5, 6)과, 외부의 차로(31, 32)와의 사이를 차량이 주행가능하고 또한 차량의 승무원이 승차 또는 하차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각각의 선반군(5, 6)에 설치한 각각의 입출고구(10A, 10B, 20A, 20B)와, 상기 입출고구(10A, 10B, 20A, 20B)와 상기 수수장치(2A, 2B)와의 사이에서 차량을 수수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선반군(5, 6)에 설치한 각각의 수수구(15A, 15B, 17A, 17B)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수수구(15A, 15B, 17A, 17B)는 한쪽의 선반군(5, 6)의 수수구(15B(17B))가 상기 반송장치(1)의 한쪽의 수수장치(2A)에 대응한 위치에 있을 때, 다른쪽의 선반군(6(5))의 수수구(15B(17A))가 다른쪽의 수수장치(2B)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한쪽의 수수장치(2A)와 한쪽의 수수구(15A, 17B)와의 사이의 수수작업과, 상기 다른쪽 수수장치(2B)와 다른쪽의 수수구(15B, 17A)와의 사이의 수수작업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행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과 특징은 이하의 설명에 의하여 명백하여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일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차량을 패릿에 실어서 격납하는 방식이다.
본 실시예는 우측에 운전석이 있는 차량을 주체로 한 주차장의 실시예이고, 운전석이 좌측인 차량을 주체로 할 경우는 입고구와 출고구의 위치가 서로 교체된다. 1은 공지의 스테커크레인이고, 주행체와, 주행체를 승강하는 승강대와, 승강체에 설치한 2조의 포오크(2A, 2B)로 이루어진다. 포오크(2A, 2B)는 수평방향으로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포오크(2A, 2B)는 각각 양측으로 돌출가능하다. 스테커크레인(1)의 주행기(4)의 양쪽 옆에는 다수의 격납 선반으로 이루어진 선반군(5, 6)을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는 스테커크레인(1), 그 양쪽옆의 선반군(5, 6)을 1조로 하여 2조를 병설하고 있다. 제1조의 선반군(6)과 제2조의 선반군(5)과의 사이에는 적어도 약 1m정도의 공간(8)을 두고 있다. 이 공간(8)의 크기는 적어도 차량의 도어를 열고 승강할 수 있는 크기이다.
입고구, 출고구의 구성은 제1조, 제2조도 마찬가지이다.
선반군(5, 6)의 한쪽의 단부에는 입고구(10A, 10B)가 있고, 다른쪽의 단부에는 출고구(20A, 20B)가 있다. 이 입고구(10A, 10B), 출고구(20A, 20B)는 차를 실은 패릿을 반송하는 콘베이어(11A, 11B, 21A, 21B)를 구비하고 있다.
입고구(10A, 10B)에는 선반군(5, 6)과의 사이에 거울(12)을 배치하여 차재패릿을 통과시킬 때에 상승시킨다.
입고구(10A), 출고구(20A)는 선반군(5)의 단부보다도 밖에 설치되어 있다. 입고구(10B), 출고구(20B)는 선반군(6)의 단부의 첫번째줄의 격납 선반내에 설치하고 있다. 입고구(10B), 출고구(20B)의 천장은 사람이 들어갈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로 되어 있다. 또, 그 천장 및 주행로(4)측에는 안전을 위한 벽을 설치하고 있다.
입고구(10A, 10B)는 안전을 위하여 리프터(27A, 27B)의 주위를 울타리 또는 벽으로 둘러싸고 있다. 차량의 주행방향에서 리프터의 우측과 우측의 벽과의 사이에는 운전자의 승강용 플랫홈(46)이 있다. 47은 운전자용 도어, 48은 차량용 게이트이다.
출고구(20A, 20B)는 리프터(27A, 28B)의 주위를 안전을 위하여 울타리 또는 벽(50)으로 둘러싸고 있다. 차량의 주행방향에서 리프터의 우측과 우측의 벽과의 사이에는 운전자의 승차용의 플랫홈(51)이 있다. 52는 운전자용 도어, 53은 차량용 게이트이다.
15A, 15B는 입고구(10A, 10B)와 스테커크레인(1)과의 수수구이고, 그 하부에는 입고구(10A, 10B)의 콘베이어(11A, 11B)에 접속되는 콘베이어(16A, 16B)를 설치하고 있다. 17A, 17B는 출고구(20A, 20B)와 스테커크레인(1)과의 수수구이고, 그 하부에는 출고구(20A, 20B)의 콘베이어(21A, 21B)에 접속되는 콘베이어(18A, 18B)를 설치하고 있다. 이 콘베이어(16A, 16B, 18A, 18B)는 스테커크레인(1)의 포오크(2A, 2B)와의 사이에서 패릿을 수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수수구(15A, 17A)는 선반군(6)의 단부에서 제1행째의 격납 선반내에 있다. 수수구(15B, 17B)는 선반군(5)의 단부에서 제2행째의 격납 선반내에 있다.
포오크(2A)가 수수구(15A)와 수수를 하고 있을 때 포오크(2B)는 수수구(15B)와 수수를 할 수 있다. 포오크(2B)가 수수구(17A)와 수수를 하고 있을 때 포오크(2A)는 수수구(17B)와 수수를 할 수 있다. 이 포오크(2A, 2B)의 동작은 스테커크레인 등에 설치된 제어장치의 지시에 따라서 행한다. 제어장치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포오크만을 동작시키거나, 2개의 포오크(2A, 2B)를 동시에 한쪽의 선반군에 대하여 동작시킬 수가 있다.
선반군(5, 6)의 제1단째의 격납 선반보다도 아랫쪽에 콘베이어라인(25)을 설치하고 있다. 이 콘베이어라인(25)은 출고구(20A, 20B)의 빈 패릿을 입고구(10A, 10B)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입고구, 출고구의 콘베이어(11A, 11B, 21A, 21B)는 각각 리프터(27A, 27B, 28A, 28B)에 실려 있고, 콘베이어(16A, 16B, 18A, 18B)와 콘베이어 라인(25)과의 사이를 승강시킨다. 진입로(31), 퇴출로(32)는 콘베이어 라인(2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다.
35는 공지의 패릿 매거진이고, 선반(5, 6)의 각각의 하부에 설치하고 있다. 패킷 매거진(35)은 제1단째의 격납 선반에 설치된 단적 패릿의 수납부(36)와, 단적 패릿을 지지하는 지지장치(37)와, 콘베이어 라인중 하나의 콘베이어(25e)를 승강시키는 리프터(38)로 이루어진다.
이 패릿 매거진은 단적되어 있는 패릿을 1매씩 끌어내어 공급하고, 또 콘베이어 라인(25)으로부터 1매씩 공급된 빈 패릿을 단적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패릿 매거진 그 자체는 공지이므로 그 동작의 요점을 설명한다.
패릿을 단적하는 경우는 출고구(20)로부터 콘베이어 라인(25)에 의하여 반송되어 온 패릿(40)을 리프터(38)를 사용하여 콘베이어(25e)에서 수납부(36)로 밀어올리고 지지장치(37)를 후퇴시키며 다시 패릿 1단분 리프터(38)를 밀어올리고 지지장치(37)를 돌출시켜서 단적 패릿을 지지하는 것이다.
패릿을 취출(取出)하려면, 콘베이어(25e)를 상승시켜 단적한 패릿을 밀어 올리고, 지지장치(37)를 후퇴시킨 다음에 콘베이어(25e)를 패릿 1단분을 내리고, 지지장치(37)를 돌출시키고, 콘베이어(25e)를 하강시켜, 1매의 패릿을 취출하는 것이다. 이 패릿은 콘베이어 라인(25)에 의하여 입고구(10)로 이송된다.
또한 콘베이어 라인(25)에는 복수의 패릿을 싣고 있다. 단 출고구(20A, 20B)의 근방의 콘베이어(25f, 25g)에는 통상 패릿이 실려 있지 않고, 출고구(20A, 20B)의 빈 패릿을 즉시 회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납부(36)의 스테커크레인(1)측의 측면에는 단적 패릿을 수수하기 위한 개구를 설치하고 있다.
스테커크레인(1)의 주행로(4)의 양단은 울타리(41)로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구성의 동작을 설명한다. 스테커크레인(1)은 2개의 하물을 1단위로 하여 반송할 수 있으므로, 그 경우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먼저 입고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진입로(31)로부터 입체주차장의 부지로 들어온 차량은 각 입고구(10A, 10B)의 바로 앞에서 정지하여 동승자를 하차시킨다. 이것은 특히 입고구(10B)에서는 차량의 좌측 도어를 열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우측 핸들차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좌측 핸들차를 주체로 할 경우에는 입고구와 출고구의 위치를 반대로 한다.
콘베이어 라인(25)으로부터 입고구(10A, 10B)의 콘베이어(11A, 11B)에 패릿이 공급되면, 입고구(10A, 10B)의 게이트(48)가 열리므로 입고구(10A, 10B)에 차량을 넣는다. 입차가 되면 게이트(48)가 닫힌다. 운전자는 도어(47)를 통하여 밖으로 나온 후, 단말기를 조작하여 입고운전을 지령한다. 그리고 주차카드를 수령한다.
입고운전이 지령되면, 리프터(27A, 27B) 및 거울(12)이 상승하고, 콘베이어(11A, 11B, 16A, 16B)가 운전되어 패릿을 수수구(15A, 15B)에 반입한다. 스테커크레인(1)은 포오크(2A)를 수수구(15A)측으로 돌출시키고, 포오크(2B)를 수수구(15B)측으로 돌출시켜, 2대의 차를 실은 패릿을 받는다.
그리고 스테커크레인(1)은 소정의 격납 선반에 반송한다. 격납 선반으로의 격납 작업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출고운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출고를 요구하는 자는 대합실 등에 설치한 단말기에 주차카드를 삽입하고, 출고를 지령한다. 단말기로부터는 출고되는 출고구의 위치(번호)가 지시되므로, 그 지시에 따라 소정의 출고구로 간다. 각 출고구의 표시기에는 주차카드의 번호가 출고순서대로 표시되어 있다.
다음에 출고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출고지령이 있었던 2대의 차를 실은 패릿을 실은 스테커크레인(1)이 수수구(17A, 17B)의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면, 포오크(2B)를 수수구(17A)측으로 돌출시키고, 동시에 포오크(2A)를 수수구(17B)측으로 돌출시키고 콘베이어(18A, 18B)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승된 콘베이어(21A, 21B)에 반송하고, 리프터(28A, 28B)를 하강시킨다. 다음에 출고구(20A, 20B)의 도어를 열고 승차한 후 전진시킨다. 그리고 일단 정지하여 동승차를 승차시킨다.
출고구의 빈 패릿은 콘베이어(25f, 25g)에 회수된다. 이 때, 입고구로부터 빈 패릿의 요구가 있으면 각 빈 패릿은 입고구측으로 1패릿 분이 반송된다. 요구가 없으며 콘베이어(25e)의 패릿을 수납부(36)에 단적하고, 그 후 콘베이어(25f, 25g)의 패릿을 콘베이어(25e)로 향해 1패릿 분을 반송한다.
출고가 연속됨으로서 수납부(36)에 소정수의 패릿이 단적되면, 스테커크레인(1)이 빈 선반을 반송한다. 입고가 연속됨으로서 수납부(36)로부터 패릿이 없어지면 스테커크레인(1)은 격납 선반으로부터 단적 패릿을 반송해 온다. 스테커크레인(1)이 2대의 차를 실은 패릿을 취급할 때 2조의 포오크(2A, 2B)를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다.
입고 및 출고가 연속되고 있지 않을 때는 스테커크레인(1)은 한쪽의 포오크만을 사용하여 1대 단위로 반송한다.
이상과 같이 입고구(10A, 10B) 또는 출고구(20A, 20B)는 각각 병렬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2개의 입고구를 직렬로 설치하거나, 2개의 출고구를 직렬로 설치한 것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출고구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직렬로 설치하였을 경우는 앞쪽의 차량의 퇴출이 지연되면, 뒤쪽의 차량의 출고도 지연되는 것이다. 특히 앞쪽의 차량의 운전자가 부재등으로 퇴출할 수 없을 때는 심각한 문제점으로 된다.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출고구를 병렬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이 없는 것이다.
또 패릿은 일반적으로 실린 차량의 차륜전후를 끼워 잡도록 차량고정용 스토퍼를 돌출시키고 있다. 출고를 함에 있어서는 이 돌출된 스토퍼를 넘어가야만 한다. 2개의 출고구를 직렬로 설치하였을 경우는 앞쪽의 차량의 패릿을 통과하기 때문에 매우 승차감이 나빠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가 없는 것이다.
입고구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상차감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 2개의 입고구를 직렬로 설치하였을 경우 뒤쪽의 차량의 정지위치를 표시하는 거울등의 하강이 매우 곤란해진다. 2대의 차량을 간격을 두고 진입시키지 않으면 안 되므로, 결과적으로 입고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입고구를 병렬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이 없는 것이다.
그리고 또 이 2개의 입고구, 출고구에 접속되는 2개의 수수구(15A, 15B, 17A, 17B)는 스테커크레인(1)의 포오크(2A, 2B)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2개의 차를 실은 패릿을 수수함에 있어서, 스테커크레인(1)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고, 하나의 정지점에서 수수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입고구와 입고용의 수수구는 별도로 되어 있으나, 입고구(10A, 10B)를 수수구(15A, 15B)의 위치에 설치하면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또 출고구와 출고용의 수수구와의 관계도 마찬가지이다.
1조의 선반군에 2개의 입고구를 설치하고 있으나, 입고가 연속되지 않을 경우에는 한쪽의 선반군에만 입고구를 설치하여도 된다.
입고용의 수수구로서 수수구(15A, 15B)외에 입고구(10B)를 수수구로 하고, 또 선반군(5)의 좌단으로부터 제2행째의 제1단의 선반을 수수구(15A)에 접속시킨 수수구로 구성하였을 경우는 상기와 같은 입고운전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운전을 할 수 있다. 즉, 포오크(2A, 2B)를 한쪽의 선반군을 향하여 돌출시키면, 입고구(10A)와 수수구(15B)의 2대의 차를 실은 패릿을 1조로 하여 또는 수수구(15A)와 이 수수구(15A)에 접속하는 수수구와의 그대의 차를 실은 패릿을 1조로 하여 반송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한쪽의 선반군의 입고구가 고장난 경우라도, 다른쪽의 선반군의 입고구를 사용하여 입고시키면 스테커크레인은 2대의 차를 실은 패릿을 동시에 반송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한쪽의 조의 2대의 차를 실은 패릿을 반송하고 다음에 상기 다른쪽의 조의 2대의 차재 패릿을 반송하여 교대로 행할 수도 있다.
또 수수구(15A, 15B)를 1조로 하여 2대의 차를 실은 패릿을 반송한 후, 입고구(10B)와 수수구(15A)에 접속한 수수구를 1조로 하여 2대의 차를 실은 패릿을 반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입고구(10B)에의 차량의 입차가 입고구(10A)에의 차량의 입차보다도 더딜 경우에 유효하다. 출고용의 수수구로서 수수구(17A, 17B)외에 출고구(20B)를 수수구로 하고 또 선반군(5)의 우단으로부터 제2행의 제1단 선반을 수수구(17A)에 접속한 수수구로 하면, 상기와 같은 출고운전에 부가하여 다른 출고운전을 할 수 있다.
수수장치로서 포오크(2A, 2B)를 사용하고 있으나, 다른 수단을 사용할 수가 있다.
입고구(10A, 10B)와 출고구(20A, 20B)와의 사이에서 스테커크레인(1)의 주행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지하로 통로를 설치하고, 이 통로와 공간(8)을 계단으로 연결하면, 입출고구와 주차장 밖을 접속하는 통로(보도)를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승무원과 차량과의 교차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갖게 된다.
다음에 제4도 내지 제7도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스테커크레인의 주행방향에서 주차장 용지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의 우측에 입고구가 있고, 좌측에 출고구가 있다. 선반군(5, 6)의 번호는 제1도 내지 제3도의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차량의 주행방향의 좌측의 선반군을 "5"로 하고, 우측의 선반군 "6"으로 하고 있다. 각 선반군(5, 6)의 격납선반의 수는 스테커크레인(1)의 주행방향에 따라 9개 있다. 선반의 단수(段數)는 4단이다.
제5도, 제6도에 있어서, 60은 스테커크레인(1)의 주행로(4) 및 선반군(5, 6)을 지지하는 바닥이고, 주차하기 위한 차량의 진입로(15), 퇴출로(16), 승무원을 위한 통로(63)의 면(GL)보다도 윗쪽에 설치하고 있다. 스테커크레인(1)은 바닥(60)의 윗면을 주행한다. 바닥(60)은 차량의 주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한 기둥으로 지지되어 있다.
즉 1층 부분이 입출고를 위한 영역으로 되고, 2층 이상의 부분이 차량의 격납 영역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1층의 입고구(10A, 10B)로 차량을 타고 들어가, 승무원이 하차하면, 리프터(27A, 27B)에 의해 2층 부분으로 상승시켜 격납한다. 또 차량을 출고할 경우에는 2층 부분으로부터 리프터(28A, 28B)로 출고구(20A, 20B)에 출고한다.
입고용 리프터(27A, 27B)는 선반군(5, 6)의 제4행째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선반군(5)의 제3행 및 제2행의 제1단의 선반저부에는 입고용의 콘베이어(70, 71)를 설치하고 있다. 선반군(6)의 제3행의 제1단의 선반의 저부에는 입고용의 콘베이어(73)를 설치하고 있다. 출고용의 리프터(27A)는 선반군(5)의 제7행에 있다. 출고용의 리프터(28B)는 선반군(6)의 6행에 있다. 선반군(5)의 제6행, 선반군(6)의 제7행의 각각의 선반이 제1단의 저부에는 출고용의 콘베이어(73, 74)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콘베이어(70 내지 74)는 스테커크레인(1)의 포오크가 들어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해당 부분의 선반은 스테커크레인과의 사이의 수수구이다. 패릿 매거진(35)은 각 선반군(5, 6)의 제5행의 제1단의 선반에 있다.
제7도에 있어서, 스테커크레인(1)의 주행방향의 직각방향에 주차장의 차량의 입구(67), 출구(68)가 있다. 또 동일하게 통로(63) 및 승무원의 출입구(64)가 있다.
입고구(10A) 및 출고구(20A)의 플랫홈(46, 51)은 주행로(4)의 아랫쪽에 있다. 입고구(10B) 및 출고구(20B)의 플랫홈(46, 51)은 공간(8)아랫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의 입고운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구(67)로부터 들어간 차량은 진입로(31)를 지나서 입고구(10A, 10B)의 앞쪽에서 일단 정지하고, 동승자를 하차시킨다. 그 동승자는 통로(65)를 통하여 통로(63)에 이른다. 입고구(10A, 10B)를 나온 운전자도 통로(63)로부터 출입구(64)에 이른다.
입고요구가 연속되고 있을 경우에는 리프터(27A)의 차를 실은 패릿은 콘베이어(70)를 경유하여 콘베이어(71)에 반송된다. 리프터(27B)의 차를 실은 패릿은 콘베이어(72)에 공급된다.
콘베이어(71, 72)에 각각 차를 실은 패릿이 실려 있을 경우에는 스테커크레인(1)은 포오크(2A)가 제2행에 위치하도록 정지한다. 그리고 포오크(2A)를 콘베이어(27)에, 포오크(2B)를 콘베이어(28)에 동시에 돌출시키고, 동시에 집어넣는다. 그후 스테커크레인(1)은 빈 선반에 차를 실은 패릿을 격납한다. 출고운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운전자는 통로(63)로부터 출고구(20A, 20B)로 들어간다. 동승자는 통로(63)로부터 통로(66)를 지나서 퇴출로(32)에서 대기한다.
출고요구가 연속되고 있을 경우에는 스테커크레인(1)은 2대의 차를 실은 패릿을 취출하고, 포오크(2A)가 제6행이 위치되도록 정지한다. 그리고 포오크(2A)를 콘베이어(73)에, 포오크(2B)를 콘베이어(74)에 동시에 돌출시키고, 2대의 차를 실은 패릿을 동시에 콘베이어(73, 74)에 옮긴다. 콘베이어(73, 74)는 상승한 콘베이어(21A, 21B)에 반송한다.
출고에 의하여 콘베이어(21A)에 남은 빈 패릿(40)은 콘베이어(25f)에 공급된다. 콘베이어(21B)의 빈 패릿(40)은 콘베이어(25e)에 공급된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차량을 단시간에 입고 및 출고할 것이 요구되지만, 입고보다도 출고를 우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출고용의 수수구인 콘베이어(73, 74)는 선반군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입구(67)로부터 입고구(10A, 10B)까지의 직선거리(L1)는 차량이 입고구의 중앙(차량의 폭방향의 중앙을 말한다)으로 진입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가능한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출고용 콘베이어(73, 74)를 중앙측(제6행, 제7행)에 설치하고, 그 근방(제4행)에 입고구(11A, 11B)를 설치하고 있다. 이 경우 입고용의 콘베이어(70, 71, 72)를 입고구(11A, 11B)보다도 차량의 주행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의 행(제3행, 제2행)에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거리(L1)를 충분히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출고용의 콘베이어(73, 74)는 다른 행(제6행, 제7행)에 설치하고, 입고구(20A, 20B)도 콘베이어(73, 74)의 행에 설치하고 있다. 즉 제6행, 제7행으로 이루어진 4개의 선반에 있어서, 콘베이어(73, 74)를 하나의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선반에 설치하고, 다른 하나의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선반(제7행, 제6행)에 출고구(21A, 21B)를 설치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출고용 콘베이어(73, 74)를 중앙측에 설치하여도 거리(L2)를 작게, 거리(L2)를 크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행수가 작은 것, 즉 작은 용지의 경우에도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대각선상에 출고구(20A, 20B), 출고용 콘베이어(73, 74)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패릿 매거진(33, 35)에의 빈 패릿(40)의 회수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입고구와 출고구 사이에 패릿 매거진(35)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패릿 매거진을 작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패릿 매거진(35)의 아랫쪽을 통로(17)로 하고 있으므로 한층 더 거리(L2)를 작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각 리프터의 콘베이어가 스테커크레인의 포오크와의 사이에서 차를 실은 패릿을 수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리프터의 윗쪽의 선반도 수수구가 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콘베이어(11A)와 콘베이어(72)와의 조합, 콘베이어(11B)와 콘베이어(70)와의 조합, 콘베이어(21A)와 콘베이어(21B)와의 조합이 있다. 콘베이어(21A)와 콘베이어(21B)와의 조합으로 출고한 후, 콘베이어(73)와 콘베이어(74)의 조합으로 출고하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콘베이어(11A)와 콘베이어(70)의 조합, 콘베이어(70)와 콘베이어(71)의 조합, 콘베이어(11B)와 콘베이어(72)의 조합, 콘베이어(21A)와 콘베이어(73)의 조합, 콘베이어(74)와 콘베이어(21B)이 조합이 있다.
제8도에 나타낸 실시예는 선반군(5)의 출고구(20A)(콘베이어 21A)와 콘베이어(73)의 위치를 교체하고 있다. 스테커크레인(1)은 포오크(2A)에 의하여 콘베이어(73)에 출고하고, 포오크(2B)로 선반군(6)의 제8행의 콘베이어(75)에 출고한다. 콘베이어(75)의 차를 실은 패릿은 콘베이어(74)에 반송할 수 있다. 선반군(5)의 콘베이어(73)의 아랫쪽에는 콘베이어가 불필요하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입고구로부터 출고구까지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제9행의 1층 부분을 기계실 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콘베이어(21A)와 패릿 매거진(35)이 인접하고 있으므로 리프터(28A)의 정지 높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어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출고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는 행수가 많은 것에 적합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출고에 있어서 단시간에 더욱이 용이하게 2대의 차량을 입출고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서는 입출고구와 수수구로 이루어지는 1조를 주행로 양측의 선반군에 각각 설치하고 있다. 또 반송장치에는 2개의 수수장치를 구비하고, 2개의 수수장치가 각각의 선반군의 수수와의 사이에서 동시에 이 재작업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한쪽의 선반군에 2개의 수수구를 설치한 것에 비하여 입출고에 요하는 시간을 대폭적으로 감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차량을 각각 실을 수 있는 2개의 수수장치(2A, 2B)를 구비하고 주행가능한 반송장치(1)와, 상기 반송장치(1)의 주행로(4)의 양측에 따라 다수의 격납선반을 배치하여 이루어진 각각의 선반군(5, 6)과, 외부의 차로(31, 32)와의 사이를 차량이 주행가능하고 또한 차량이 승무원이 승차 또는 하차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각각의 선반군(5, 6)에 설치한 각각의 입출고구(10A, 10B. 20A, 20B)와, 상기 입출고구(10A, 10B, 20A, 20B)와 상기 수수장치(2A, 2B)와의 사이에서 차량을 수수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선반군(5, 6)에 설치한 각각의 수수구(15A, 15B, 17A, 17B)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수수구(15A, 15B, 17A, 17B)는 한쪽의 선반군(5(6))의 수수구(15A(17B))가 상기 반송장치(1)의 한쪽의 수수장치(2A)에 대응한 위치에 있을 때, 다른쪽의 선반군(6(5))의 수수구(15B(17A))가 다른쪽의 수수장치(2B)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한쪽의 수수장치(2A)와 한쪽의 수수구(15A, 17B)와의 사이의 수수작업과, 상기 다른쪽 수수장치(2B)와 다른쪽의 수수구(15B, 17A)와의 사이의 수수작업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행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입체주차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입출고구(20A, 20B)는 승무원이 승차하기 위한 것인 입체주차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입출고구(10A, 10B, 20A, 20B)는 승무원이 승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각각의 선반군(5, 6)에 설치한 각각의 출고구(20A, 20B)와, 승무원이 하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반송장치(1)의 주행방향의 한쪽측의 위치에서 상기 각각의 선반군(5, 6)에 설치한 각각의 입고구(10A, 10B)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수수구(15A, 15B, 17A, 17B)는 상기 각각의 출고구(20A, 20B)에 접속한 각각의 출고용 수수구(17A, 17B)와, 상기 각각의 입고구(10A, 10B)에 접속된 각각의 입고용 수수구(15A, 15B)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고용 수수구(17A, 17B)와 상기 입고용 수수구(15A, 15B)로 이루어진 조합을 상기 각각의 선반군(5, 6)에 하나씩 설치한 입체주차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구(10A, 10B, 20A, 20B)와 상기 수수구(15A, 15B, 20A, 20B)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입출고구(10A, 10B, 20A, 20B)와 상기 수수구(15A, 15B, 17A, 17B)와의 사이에 차량을 반송하는 제2반송장치(11A, 11B, 16A, 16B, 18A, 18B, 21A, 21B, 27A, 27B, 28A, 28B, 70, 71, 72, 73, 74, 75)를 상기 각각의 선반군(5, 6)에 각각 설치한 입체주차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구(10A, 10B, 20A, 20B), 수수구(15A, 15B, 17A, 17B) 및 격납 선반내의 차량의 방향은 상기 반송장치(1)의 주행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입출고구(10A, 10B, 20A, 20B)는 상기 반송장치(1)의 주행방향에서 각각의 선반군(5, 6)의 단부측에 설치하고, 차량의 주행방향에서 입체주차장이 주대상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석이 없는 측에 위치하는 입출고구(10A, 20B)는 상기 반송장치(1)의 주행로(4)보다도 상기 주행방향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입체주차장.
  6. 제6항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방향에서 입체주차장이 주대상으로 되는 차량의 운전석측에 위치하는 입출고구(10B, 20B)는 상기 선반군(6)의 단부의 상기 격납선반내에 설치되어 있는 입체주차장.
  7. 차량을 각각 실을 수 있는 2개의 수수장치(2A, 2B)를 구비하는 주행가능한 반송장치(1)와, 상기 반송장치(1)의 주행로(4)의 양측에 따라 다수의 격납 선반을 배치하여 이루어진 각각의 선반군(5, 6)과, 외부의 차로(31, 32)와의 사이를 차량이 주행가능하고 또한 차량의 승무원이 승차 또는 하차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각각의 선반군(5, 6)에 설치된 각각의 입출고구(10A, 10B, 20A, 20B)와, 상기 반송장치(1)와 상기 각각의 선반군(5, 6)으로 이루어진 부분의 연직방으로 설치되고 상기 입출고구(10A, 10B, 20A, 20B) 및 상기 차로(31, 3)를 가지는 입출고를 위한 공간과, 상기 입출고구(10A, 10B, 20A, 20B)와 상기 격납선반을 접속하는 것으로 그 입출고구(10A, 10B, 20A, 20B)마다 설치된 각각의 리프터(27A, 27B, 28A, 28B)와, 상기 입출고구(10A, 10B, 20A, 20B)와 상기 수수장치(2A, 2B)와의 사이에서 차량을 수수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선반군(5, 6)에 설치한 각각의 수수구로 이루어지고, 그 각각의 수수구는 한쪽의 선반군(5(6))의 수수구가 상기 반송장치(1) 한쪽의 수수장치(2A)에 대응한 위치에 있을 때, 다른쪽의 선반군(6(5))의 수수구가 다른쪽의 수수장치(2B)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한쪽의 선반군(5(6))의 수수구와 상기 한쪽의 수수장치(2A)와의 사이의 수수작업과 상기 다른쪽의 선반(6(5))의 수수구와 상기 다른쪽의 수수장치(2B)와의 사이의 수수작업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제어장치를 설치하여 되는 입체주차장.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입출고구(20A, 20B)를 승무원이 승차하기 위한 것인 입체주차장.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수수장치(2A, 2B)는 수평방향으로 병설되어 있고, 한쪽의 선반군(5)에서 수평방향에 인접한 2개의 격납선반과 이것에 대응한 다른쪽의 선반군(6)의 2개의 격납 선반으로 이루어진 4개의 격납 선반중 하나의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2개의 격납 선반을 상기 각각의 리프터(27A, 27B, 28A, 28B)가 승강하는 격납선반으로 이루어진 입체주차장.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리프터(27A, 27B, 28A, 28B)가 승강하는 각각의 격납 선반의 수평방향의 한쪽에 인접하는 각각의 격납선반을 상기 각각의 수수구로서 설치하고, 그 각각의 수수구와 상기 각각의 리프터(27A, 27B, 28A, 28B)에 각각 콘베이어(11A, 11B, 21A, 21B, 70, 71, 72, 73, 74, 75)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입체주차장.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격납 선반에서 다른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2개의 격납 선반을 상기 콘베이어를 갖는 각각의 수수구로 이루어진 입체주차장.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수수장치(2A, 2B)는 수평방향으로 병설되어 있고, 한쪽의 선반군(5)의 하나의 제1격납선반과 이에 대향한 위치의 다른쪽의 선반군(6)의 하나의 제2격납 선반으로 이루어진 2개의 격납 선반을 상기 각각의 리프터(27A)(27B)가 승강하는 격납 선반으로 하고, 상기 반송장치(1)의 주행방향으로 차량을 반송하는 콘베이어(11A, 11B)를 상기 각각의 리프터(27A, 27B)에 설치하고, 상기 제1격납 선반의 수평방향에 인접하는 제3격납 선반을 상기 한쪽의 선반군의 수수구로 함과 동시에, 그 수수구로 상기 상승한 리프터(27A)의 콘베이어(11A)에 접속하는 콘베이어(70)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입체주차장.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격납 선반의 수평방향에 인접한 제4격납 선반을 상기 한쪽의 선반군(5)의 수수구로 함과 동시에, 상기 제3격납 선반의 콘베이어(70)에 접속하는 콘베이어(71)를 설치하고, 상기 제3격납 선반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다른쪽의 선반군(6)의 제5격납 선반을 상기 다른쪽의 선반군의 수수구로 함과 동시에, 그 수수구로 상기 상승한 리프터(27B)의 콘베이어(11B)에 접속하는 콘베이어(72)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입체주차장.
  14. 차량을 각각 실을 수 있는 2개의 수수장치를 구비하는 주행가능한 반송장치(1)와, 상기 반송장치(1)의 주행방향을 따라 차량을 격납하는 것으로 상기 반송장치(1)의 주행로의 각 측면을 따라 다수의 격납 선반을 배치시켜 이루어진 각각의 선반군(5, 6)과, 상기 각각의 선반군(5, 6)의 연직방향에서 상기 반송장치(1)의 주행방향을 따라 설치한 각각의 진입로(31) 및 그 진입로(31)의 하류측에 설치한 각각의 퇴출로(32)와, 상기 진입로(31)에 접속되어 있고 승무원이 하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각각의 선반군(5, 6)의 연직방향으로 설치한 각각의 입고구(10A, 10B)와, 상기 퇴출로(32)에 접속되어 있고, 승무원이 승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에서 상기 입고구(10A, 10B)보다도 하류측에 상기 각각의 선반군(5, 6)의 연직방향으로 설치한 각각의 출고구(20A, 20B)와, 상기 반송장치(1)와 상기 각각의 선반군(5, 6)으로 이루어진 부분의 연직 방향에 설치되고 상기 진입로(31), 퇴출로(32), 입고구(10A, 10B) 및 출고구(20A, 20B)를 가지는 입출고를 위한 공간과, 상기 반송장치(1)의 주행방향을 향해 차량을 반송하는 제1콘베이어(11A, 11B)를 구비하고 상기 입고구(10A, 10B)와 상기 격납 선반을 접속하는 것으로서 그 입고구(10A, 10B)마다에 설치한 각각의 제1리프터(27A, 27B)와, 상기 반송장치(1)의 주행방향을 향해 차량을 반송하는 제2콘베이어(21A, 21B)를 구비하고 상기 출고구(20A, 20B)와 상기 격납선반을 접속하는 것으로 그 출고구(20A, 20B)마다에 설치한 각각의 제2리프터(28A,28B)와, 상기 제1리프터(27A, 27B)와 상기 제2리프터(28A,28B)와의 사이의 상기 각각의 선반군(5, 6)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콘베이어(11A, 11B)에 패릿(40)을 공급하고 상기 제2콘베이어(21A, 21B)로부터 패릿(40)을 회수하는 각각의 패릿 매거진(35)과, 상기 각각의 제1콘베이어(11A, 11B)에 접속가능하고 상기 각각의 진입로(31)의 연직방향 각각의 선반군(5, 6)내에 설치한 각각의 제3콘베이어(70, 71, 72)로 이루어지고, 그 각각의 제3콘베이어(70, 71, 72)는 한쪽의 선반군(6)의 제3콘베이어(72)가 상기 반송장치(1)의 한쪽의 수수장치(2B)에 대응한 위치에 있을 때 다른쪽의 선반군(5)의 제3콘베이어(71)가 다른쪽의 수수장치(2A)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제2콘베이어(21A, 21B)에 접속가능하고 상기 각각의 퇴출로(32)의 연직방향의 각각의 선반군(5, 6)내에 설치한 각각의 제4콘베이어(73, 74)로 이루어지고, 그 각각의 제4콘베이어(73, 74)는 한쪽의 선반군(6)의 제4콘베이어(74)가 상기 반송장치(1)의 한쪽의 수수장치(2B)에 대응한 위치에 있을때, 다른쪽의 선반군(5)의 제4콘베이어(73)가 다른쪽의 수수장치(2A)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반송장치(1)가 상기 각각의 제3콘베이어(70, 71, 72)와 상기 각각의 제4콘베이어(73, 74)와의 사이에서 행하는 각각의 수수작업에서 상기 한쪽의 선반군(6)의 제3콘베이어(72)와 마찬가지로 제4콘베이어(74)와 상기 반송장치(1)의 한쪽의 수수장치(2B)와의 사이의 수수작업과, 상기 다른쪽의 선반군(5)의 제3콘베이어(71)와 마찬가지로 제4콘베이어(73)와 상기 다른쪽의 수수장치(2A)와의 사이의 수수작업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행하게 할 수 있는 제어장치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입체주차장.
KR1019860006806A 1985-09-27 1986-08-18 입체주차장 KR9100061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250185A JPH066842B2 (ja) 1985-09-27 1985-09-27 立体駐車場
JP85-212501 1985-09-27
JP85-228604 1985-10-16
JP22860485A JPH0617638B2 (ja) 1985-10-16 1985-10-16 機械式駐車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283A KR870003283A (ko) 1987-04-16
KR910006192B1 true KR910006192B1 (ko) 1991-08-16

Family

ID=26519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6806A KR910006192B1 (ko) 1985-09-27 1986-08-18 입체주차장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10006192B1 (ko)
GB (1) GB21808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36101B (en) * 1989-09-21 1994-04-13 Leung Lit Cheong A method of and system for load storage and retrieval
US5810539A (en) * 1996-04-05 1998-09-22 Zhang; Ruyu Maximum auto-parking device
US8011870B2 (en) * 2005-09-13 2011-09-06 Subramanian Venkatraman Multi level automated car par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80827B (en) 1989-12-06
KR870003283A (ko) 1987-04-16
GB8621581D0 (en) 1986-10-15
GB2180827A (en) 1987-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6192B1 (ko) 입체주차장
KR910006194B1 (ko) 입체주차장
KR910006191B1 (ko) 입체창고
KR900006056B1 (ko) 입체 주차장
JP2643864B2 (ja) 立体駐車場
JP2643863B2 (ja) 立体駐車場
JPH06221016A (ja) 立体駐車場
JP2647024B2 (ja) 立体駐車場の運転方法
JP2643862B2 (ja) 立体駐車場
KR910002589B1 (ko) 입체 주차장과 그 작동방법
JP2606604B2 (ja) 立体駐車場
JPH0828084A (ja) 立体駐車場
JPH0733729B2 (ja) 立体駐車場
JPH06221017A (ja) 立体駐車場
JPS61270472A (ja) 立体倉庫
JP2647025B2 (ja) 立体駐車場
JPH0355717Y2 (ko)
JPH06221018A (ja) 立体駐車場
JPH074103A (ja) 立体駐車場
JPH0733728B2 (ja) 立体駐車場
JPS61270470A (ja) スタツカクレ−ン式立体駐車場
JPS61270471A (ja) 立体倉庫
JPS6175174A (ja) 立体駐車場
JPS61270473A (ja) スタツカクレ−ン式立体駐車場
JPH06221019A (ja) 立体駐車場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