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191B1 - 입체창고 - Google Patents

입체창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191B1
KR910006191B1 KR1019860004092A KR860004092A KR910006191B1 KR 910006191 B1 KR910006191 B1 KR 910006191B1 KR 1019860004092 A KR1019860004092 A KR 1019860004092A KR 860004092 A KR860004092 A KR 860004092A KR 910006191 B1 KR910006191 B1 KR 910006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shelf
sphere
stacker
stacker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9204A (ko
Inventor
시로 스기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60009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9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0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conveyor chains or rotatable rollers for horizontal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입체창고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입체주차장의 종단면도(제3도의 A-A단면도).
제2도는 제3도의 B-B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C-C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D-D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E-E단면도.
제6도는 리프터의 종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입체주차장의 종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F-F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입체주차장의 종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G-G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더욱 다른 실시예의 입체주차장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스텍커크레인 5, 6 : 선반군
15, 16, 20, 21, 21a : 입고구
19, 19a, 22, 23, 33, 33a, 37, 49 : 리프터
30, 31, 35, 36, 36a : 출고구 45 : 파렛매거진
46 : 수납부 47 : 지지부재
75 : 표시기 80 : 카드발행기
81 : 출고지령기 91 : 체인스프로켓
본 발명은 스텍커크레인을 사용한 입체창고 특히 입체주차장의 입출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스텍커크레인을 사용한 입체주차장은 일본 특허 공고 제55-155872호에 표시된 바와 같이 차량을 반송하는 스텍커크레인과 스텍커크레인의 주행로의 양측에 설치한 다수의 선반으로 되어 있다. 스텍커크레인과 그 양측 선반을 일조로 하여 복수조를 입설하고 있다. 입출고구는 스텍커크레인의 주행방향의 일단측에 있고 그부에 있어서 스텍커크레인은 차량을 적재한 파렛을 받고, 또 차재(車載)파렛을 출고한다. 격납시의 차량의 방향은 스텍커크레인이 주행방향과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주행로중에는 스텍커크레인의 하나이나, 입고시간이나 출고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하나의 주행로에 2대의 스텍커크레인을 배치하게 된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 59-48305호에는 스텍커크레인의 주행로에 따라 양측에 선반군을 설치하고, 이 선반군의 외측에 선반군에 따라 입출고용의 컨베어라인을 설치하고 있다. 선반군에는 스텍커크레인측과 컨베어라인측으로 개구하고 입출고구를 복수개 설치하고, 이 입출고구를 거쳐 하물을 수수한다. 이에 의하여 하나의 주행로에 1대의 스텍커크레인을 배치하여도 각 스텍커크레인은 단독으로 하물의 입출고를 행하게 할 수가 있다. 또 2대의 스텍커크레인과 선반군을 한조로 하여 이를 복수조병설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복수조를 병설했을 경우에는 각조의 선반군 사이에 하물을 반송하는 컨베어라인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컨베어라인의 크기만큼 용지를 여분으로 필요로 하며, 결과적으로 격납수를 저하시키고 있다. 일본국 실개소 56-154903호에 표시된 것은 창고이며, 건물의 2층 이상에 선반과 스텍커크레인을 설치하고 선반의 최하부에 하물의 처리장을 설치하고, 이 하물처리장과 1층을 하물 승강 반송수단으로 접속하고 있다.
하물 승강 반송수단은 선반의 아래쪽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입출고구라함은 입고구 또는 출고구를 말하며 입출고도 위와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출고의 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용지를 작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주행로에 각각 단독으로 주행가능하게 배치한 2대의 스텍커크레인과, 상기 주행로에 연하여 다수의 격납선반을 설치한 선반군과, 상기 2대의 스텍커크레인중의 한쪽의 스텍커크레인만의 주행범위내에서 상기 선반구내에 설치되고 입고 또는 출고를 위한 제1구와 상기 제1구 및 상기 선반군 외부에 설치한 제2구 사이에서 하물을 반송하게 되는 반송장치와, 상기 제1구에 연속되는 위치에서 상기 한쪽 스텍커크레인과의 사이에서 하물을 이재(移載)하기 위한 제1수수구와, 상기 제1구와 다른쪽 스텍커크레인의 주행범위를 접속하는 것으로서 상기 선반군내에 설치된 컨베어라인과, 상기 다른쪽의 스텍커크레인과의 사이에서 하물을 이재하기 위한 것으로 컨베어라인의 일부에 설치한 제2수수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특징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입체주차장의 경우에 대하여 제1도 내지 제7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3도에 있어서, 1과 2는 공지의 스텍커크레인이고 하나의 레일(3)을 따라 주행한다. 스텍커크레인(1)은 주로 좌반부의 선반군을 작업영역으로 하고, 스텍커크레인(2)은 주로 우반부의 선반군을 작업영역으로 한다. 스텍커크레인(1)(2)은 승강대를 구비하고, 이 승강대의 포오크를 조작하여 선반과의 사이에서 하물의 수수를 행한다. 스텍커크레인(1)(2)의 주행방향의 양측에는 주행방향에 연하여 다단계의 다수의 격납선반을 가진 선반군(5)(6)이 설치되어 있다. 선반군(5)(6)은 차량의 주행방향(길이방향)을 스텍커크레인(1, 2)의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격납하도록 되어 있다. 하나의 스텍커크레인(1)(2)과 그 양옆의 선반군(5)(6)의 조합을 한조로 하여 2조가 병설되어 있다. 이때 인접하는 조의 한쪽조의 선반군(6)과 다른쪽조의 선반군(6)의 사이에는 충분한 간격(예를 들면 80cm)(8)을 두고 있다. 이 간격(8)의 크기는 한쪽조의 선반군(6)의 열에 정차하고 있는 차량의 우측도아를 개방하여도 다른쪽조의 선반군(5)의 열에 정차하고 있는 차량에 닿지 않는 크기이다. 선반군(5)(6)의 스텍커크레인(1)(2)의 주행방향(선반군의 열방향)의 격납선반의 수는 10개이다. 선반군의 열방향의 격납선반을 「행」으로 셈한다. 우단 격납선반이 제1행이고 좌단이 제10행이 된다. 또한 선반군(5)(6)의 격납선반의 단수는 하단으로부터 계산한다. 또 하나의 스텍커크레인(1)(2)과 양옆 선반군(5)(6)의 조합을 조라고 부른다. 도면에 있어서 하측으로부터 조의 수를 계산한다. 이하에서는 제1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나 각조의 구성은 동일하다.
제1도와 제2도에 있어서, 10은 스텍커크레인(1)(2)의 레일(3)과 선반군(5)(6)을 지지하는 바닥이고, 입출고하는 차량(12)의 차도(13)의 면(GL)의 상방에 있다. 바닥은 면(GL)에 설치한 기둥(도시생략)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단, 기둥은 원칙적으로 선반군(5)(6)의 하방에는 없고, 스텍커크레인(1)(2)의 주행로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바닥(10)의 높이는 그 하방을 차량 및 탑승자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이다. 바닥(10)으로부터 상방을 2층, 바닥(10)로부터 하방을 1층이라 부른다. 이 면(GL)에 입고구(15)(16), 출고구(30)(31)가 설치되어 있다. 차량(12)은 도면의 우측으로부터 진입하고, 좌측에서 출고되어 좌측으로 퇴출한다. 선반군(5)(6)으로의 차량(12) 격납은 파렛에 적재하여 행하게 된다. 입고구(15)(16)는 선반군(5)(6)의 제2행째의 각각의 하방에 있다. 즉 스텍커크레인(1)(2)의 주행방향의 끝부에 있다. 입고구(15)(16)는 파렛을 반송하는 컨베어(18)와, 이것을 상하동시키는 리프터(19)로 구성된다. 선반군(5)(6)의 제3행째는 선반에의 입고구(20)(21)가 설치되어 있다. 선반군(5)의 입고구(20)는 제1단째에 설치되어 있다. 선반군(6)의 입고구(21)은 제2단째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3행째에는 면(GL)과 선반의 입고구(20)(21)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리프터(22)(23)가 설치되어 있다. 리프터(22)(23)에는 상면에 컨베어(24)가 설치되어 있다. 선반군(5)의 제2행째의 제1단째에는 상승한 리프터(22)와, 컨베어(24)로부터 파렛을 수령하기 위한 입고용의 컨베어(26)가 설치되어 있다.
선반군(6)의 제2단째의 제4행째부터 제8행까지에는 상승한 리프터(23)의 컨베어(24)로부터 파렛을 수령하기 위한 입고용 컨베어(27a)(27b)(27c)(27d)(27e)가 설치되어 있다. 동일하게 제2행째 입고용의 컨베어(28)가 설치되어 있다. 출고구(30)(31)는 선반군(5)(6)의 제6행째의 각각의 하방에 있다. 즉 스텍커크레인의 주행방향의 중앙부에 있다. 출고구(30)(31)는 파렛을 반송하는 컨베어(32)와 이것을 상하동시키는 리프터(33)로 구성된다. 선반군(5)(6)의 제5행째의 제1단에는 선반으로부터의 출고구(35)(3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5행째에는 면(GL)과 선반의 출고구(35)(36)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리프터(37)가 설치되어 있다. 리프터(37)에는 상면에 컨베어(38)를 설치하고 있다. 선반군(5)(6)의 제6행의 제1단째에는 상승한 리프터(37)의 컨베어(38)에 파렛을 공급하기 위한 출고용의 컨베어(40)가 설치되어 있다. 선반군(5)(6)의 제1단-제6단은 세단등 높이가 낮은 차를 격납하도록 격납선반의 높이를 낮게하고 있다. 선반군(5)(6)의 최상단 제7단째에는 높이가 높은 차를 격납할 수 있도록 격납선반의 높이를 높게 하고 있다. 최상단의 격납선반의 파렛수령부보다도 상방에 있는 기둥(7)은 상부의 레일(4)의 지지와 지붕 지지용이고, 최상단에 격납하는 차량의 하중보다도 작으므로 하방의 격납선반 보다도 기둥의 높이가 높아도 좌굴의 위험은 없다. 키가 높은 차는 입고구(15)로부터 입고되고 출고구(30)로부터 출고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선반군(5)의 제2단째의 제2행, 제3행, 제5행, 제6행은 격납선반으로 되어 있지 않다. 키높은 차는 제10행째에도 격납하므로 스텍커크레인(2)의 주행범위와 스텍커크레인(1)의 주행범위가 중첩되는 행의 키높은 차용의 격납선반에 스텍커크레인(20)으로부터 스텍커크레인(1)으로의 중계선반을 설치하고 있다. 도면에서는 선반(5)의 최상단의 제6행째에 중계선반(9)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스텍커크레인(1)은 제6행-제10행간을 주행하고, 스텍커크레인(2)은 제1행-제6행간을 주행한다. 선반군(5)(6)의 제4행째에는 파렛매거진(45)을 각각 설치하고 있다. 파렛매거진(45)은 선반군의 제1단째에 설치한 파렛의 수납부(46)와, 수납부(46)의 하부에 설치한 파렛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47)와, 컨베어(48)를 제치한 리프터(49)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파렛매거진(45)은 수납부(46)에 단적(段積)한 파렛을 아래쪽으로부터 일매씩 들어내어 입고구에 공급하거나, 출고구의 파렛을 회수하여 리프터(49)에 의해 상부로 들어올려 수납부(46)에 단적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파렛매거진(45)은 공지이지만, 그 동작의 요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파렛을 단적하는 경우는 컨베어를 이용하여 출고구(30)(31)의 파렛을 컨베어(48)상에 회수하고, 그리고 리프터(49)를 사용하여 수납부(46)에 밀어올려, 수납부(46)의 파렛에 아래쪽으로 단적한다. 그리고 지지부재(47)를 후퇴시키고 다시 파렛 1단분을 밀어올리고, 지지부재(47)를 돌출시켜 단적 파렛을 지지한다. 파렛을 들어내리려면, 컨베어(48)를 상승시켜 단적된 파렛을 밀어올리고, 지지부재(47)를 후퇴시켜서 컨베어(48)를 파렛 1단분만 하강시켜서 지지부재(47)를 돌출시키고 리프터(49)를 하강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컨베어(48)상에 일매의 파렛을 들어내리게 된다. 수납부(46)의 스텍커크레인(2)측의 면에는 단적한 파렛의 반송용의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50은 파렛을 입고구(15)(16)에 공급하기 위한 컨베어이고, 리프터(22)(23)의 컨베어(24)(24)의 하강위치보다도 하방에 있다. 51은 출고구(30)(31)로부터 파렛을 회수하기 위한 컨베어이고, 리프터(37)(37)의 컨베어(38)(38)의 하강위치 보다도 하방에 있다. 컨베어(50)(51)는 선반군(5)(6)의 제3행째 및 제5행째의 하방에 각각 있다. 리프터(19)(49)(33)가 하강하였을 때, 컨베어(18)(50)(48)(51)(32)는 동일평면이 되어 파렛 을 반송할 수가 있다. 리프터(19)(33)가 상승하였을 때, 그 컨베어(18)(32)는 하강한 리프터(22)(23)(37)의 컨베어(24)(38)와 동일면이 되고, 또 컨베어(18)(32) 상의 파렛은 차도(13)와 동일이면 된다. 하강한 컨베어(24)(38)와 컨베어(50)(51)와의 사이에는 파렛이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이 있다.
컨베어(26)(24)(48)(38)(40)(28)(27a)(27b)(27c)(27d)(27e)는 스텍커크레인(2)의 포오크와의 사이에서 하물을 수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5도에 있어서 입고구(15)(16) 및 출고구(30)(31)의 주위에는 안전을 위하여 벽(55)(56)을 설치하여 방을 구성하고 있다. 각 방에는 차량의 주행방향의 우측에 플래트폼을 설치하고, 차량의 우측도어를 개방하여 승하차할 수 있다. 59, 60은 하차한 탑승자용 도어이고, 61, 62는 나오는 차의 탑승자용 도어이다. 차량의 전후에는 각각 게이트(63)(64)(65)(6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게이트는 상하동한다. 70, 73은 탑승자의 보도이고, 72는 입고차용의 진입로, 71은 출고차의 퇴출로이다. 각 입고구의 바로 앞의 진입로(72)의 상방에는 입고가 가능한지의 여부에 대한 표시기(75)가 설치되어 있다.
제3행-제5행의 공간(8)의 1단 부분 및 제3행-제5행의 스텍커크레인(1)(2)의 주행면의 하방의 1층 부분에 들어서지 못하도록 칸막이벽이 설치되어 있다. 76은 기계실 또는 사무실이다.
80은 주차카드의 발행기이고, 81은 주차카드에 의해 출고를 지령하는 출고 지령기이다. 주차카드는 자기카드이다.
리프터(22)(23)(37)의 구성을 제6도, 제7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대표로서 리프터(22)에 대하여 설명한다. 리프터(22)는 유압식 엘리베이터이고, 수직으로 설치한 유압실린더장치(90)와, 그 로드의 선단에 설치한 체인스프로켓(91)과, 그 양측에 설치한 레일(93)과, 컨베어(24)를 실은 승강대(94)와, 체인스프로켓(91)을 거쳐 그 끝부를 승강대(94) 및 기초부에 고정시킨 체인(95)으로 구성된다. 승강대(94)에를 레일(93)의 요부에 3 들어가는 로울러가 설치되어 있다. 레일(93)은 기초부 및 바닥(10)에 고정되어 있다. 유압실린더장치(90)의 로드의 신축에 의하여 컨베어(24)는 승강한다.
선반군(5)의 리프터의 레일(93)등은 레일(3)측에 있고, 선반군(6)의 레일은 간극(8)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입체주차장은 중앙제어장치와 각종 기기에 설치된 제어장치에 의하여 운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입고운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파렛매거진(45)으로부터 컨베어에 들어내린 파렛은 컨베어(50)를 경유하여 하강된 리프터(19)의 컨베어(18)에 실어진다. 다음에 리프터(19)가 상승한다. 그리고 게이트(63)가 개방되고, 입고가능하게 된다.
먼저 키낮은 차의 입고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기(75)의 지시에 의거하여 진입로(72)를 통해서 진압한 차량은 각 입고구(15)(16)의 게이트(63)의 전방(하차영역 77)에서 정차하여 동승자를 하차시킨다. 이것은 입고구(15)에서 좌측도어가 열리지 않기 때문이다.
게이트(63)가 개방되면 차량은 입고구(15)(16)에 진입하고, 운전자가 하차하여 도어(59)(60)를 통하여 밖으로 나온다. 도어(59)(60)를 닫고 발행기(80)로부터 주차가드를 빼어 입고를 지령한다. 탑승자는 보도(70)를 통하여 점포등으로 간다.
입고가 지령되면 게이트(64)가 개방되고 컨베어(18)(24)가 운전되어 차재파렛을 리프터(22)(23)에 싣는다.
리프터(22)는 컨베어(24)를 선반(5)의 제1단째까지 상승시키고 컨베어(24)(26)를 동작시켜 차재파렛을 컨베어(26)에 이동시킨다. 스텍커크레인(2)은 이 컨베어(26)상의 차재파렛을 선반군(5)(6)의 우반부의 소정의 격납선반에 격납한다. 단 스텍커크레인(2)이 무작업시나 작업에 여유가 있을 때나 입고가 연속되지 않을 때등에는 컨베어(24)로부터 직접 수령하여 합리적인 하역을 행하게 행할 수가 있다. 한편 리프터(23)는 제2단째까지 컨베어(24)를 상승시키고, 컨베어(24)(27a)(27b)(27c)(27d)(27e)를 사용하여 제8행째를 향하여 반송한다. 스텍커크레인(1)은 컨베어(27e)에 반송된 차재파렛을 선반군(5)(6)의 좌반부의 격납선반에 격납한다. 단 스텍커크레인(1)이 무작업시나 작업여유가 있을 때나 그 스텍커크레인(1)의 위치에 따라서 반송도중에 수령시켜 합리적인 하역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베어(27)를 설치하므로써 스텍커크레인의 주행방향의 일단측의 하물을 타단측을 작업영역으로 하는 스텍커크레인(1)에 반송하고 있으므로 스텍커크레인(1)(2)에 각각 하물을 공급할 수가 있어 하나의 주행로에 2대의 스텍커크레인을 배치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다수의 차량을 단시간에 입고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입고구가 2개 있으므로 더욱 입고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는 것이다.
기본적인 입고운전은 상기와 같으나, 입고구(15)쪽으로 들어간 차량의 탑승자의 하차나 지연되거나 고장에 의하여 주행할 수 없거나 또는 키높은 차의 입고 선반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표시기(75)의 지시를 무시하고 진입한 경우에는, 입고구(15)로부터의 입고가 없게 되므로 스텍커크레인(2)이 놀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스텍커크레인(2)은 컨베어(24)(27a) 또는 (27b)의 차재파렛을 취하여 선반의 우반부에 격납시킨다.
주차카드의 번호와 격납선반의 번호와의 대응의 변경은 중앙제어장치에서 행한다. 또한 리프터(23)에 의해 입고한 차량을 컨베어(28)로 이동시키고, 이것을 스텍커크레인(2)으로 반송시킬 수도 있다.
또한 입고구(16)쪽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스텍커크레인(2)이 컨베어(27a)에 옮겨 싣게 된다.
다음에 키높은 차의 입고에 대하여 설명한다. 키낮은 차와 같이 키높은 차는 표시기(75)의 지령에 의거하여 입고구(15)를 향하여 진입한다. 입고한 키높은 차는 스텍커크레인(2)으로 최상단에 격납한다. 제7행째 이상에 격납하는 경우에는 중계선반(9)에 격납하고, 이것을 스텍커크레인(1)으로 반송한다. 또한 진입로(72)의 상류에는 키높은 차의 검출과 키높은 차의 진입의 가부를 알리는 장치가 있으며, 또한 입고구(15)에는 키높은 차를 검출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출구운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출고를 희망할 경우에는, 출고지령기(81)에 주차카드를 투입하여 출고를 지령한다. 출고지령(81)에서는 출고구번호를 기재한 쪽지가 발행되므로 그에 따라 해당 출고구에 보도(73)를 통해서 들어간다.
먼저 키낮은 차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출고에 있어서 스텍커크레인(1)(2)은 제어장치의 지령에 의거하여 선반군(5)(6)의 컨베어(40)에 차재파렛을 내린다. 즉 두개의 출고구(30)(31)가 항상 이용되도록 스텍커크레인(1)(2)으로부터 내리는 컨베어(40)(40)를 결정한다.
리프터(37)가 컨베어(38)를 상승시키면 컨베어(40)(38)를 사용하여 차재파렛을 컨베어(38)에 반송한다. 그리고 컨베어(38)가 하강하여 차재파렛을 컨베어(32)에 반송한다. 그리고 게이트(66)가 닫힌다. 다음에 출고구(30)(31)의 도어(61)(62)가 개방되고, 운전차가 승차하여 전진방향으로 퇴출한다. 그리고 운전자는 그 전방의 승차영역(78)에서 일시정차시켜 동승자를 태우고 퇴출로(71)를 따라서 퇴출한다.
이와 같이 두개의 출고구(30)(31)를 설치하여 이 두개의 출고구를 항상 이용하도록 스텍커크레인(1)(2)으로부터 출고하고 있으므로 단시간에 다수의 차량을 출고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스텍커크레인(1)은 출고구(30), 스텍커크레인(2)은 출고구(31)와 같이 고정되어 있지 않다. 선반군(5)(6)의 좌반부로부터의 출고가 연속되고 있으면, 스텍커크레인(2)은 컨베어(40)(40)에 교대로 출고한다. 키높은 차의 출고는 선반군(5)의 컨베어(40)에 출고되어 출고구(30)로부터 출고된다. 스텍커크레인(1)(2)은 직접 컨베어(40)에 출고한다.
출고구(30)(31)로부터의 출고에 의하여 게이트(65)가 폐쇄되면 컨베어(32)상의 공파렛의 회수운전을 행하게 된다. 지금 컨베어(48)(50)이 파렛이 있고 컨베어(51)에는 파렛이 없다고 하고, 또 이 회수운전시에 입고구의 컨베어(18)에 파렛이 없고 파렛의 공급을 요구하고 있다고 하자. 회수운전을 위한 리프터(33)가 하강하면, 컨베어(32)(51)(48)(50)(18)(리프터 19는 하강하고 있음)를 제1행째를 향하여 운전시키고 파렛을 순차적으로 반송한다. 하나의 파렛이 이동하면 컨베어(32)(50)(18)는 정지하고, 리프터(19)를 상승시킨다. 컨베어(51)(48)는 컨베어(32)의 파렛이 컨베어(48)에 반송될 때까지 운전을 계속한다.
한편 입고구가 파렛을 요구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기타는 상기 조건과 동일) 컨베어(32)(51)는 제1행째를 향하여 운전된다. 또 리프터(49)를 상승시켜 컨베어(48)상의 파렛을 파렛매거진에 공급한다. 리프터(48)가 하강하면 컨베어(51)(48)을 사용하여 컨베어(48)에 파렛을 반송한다.
이와 같이 입고와 출고가 적절하게 행해지고 있을 때에는 출고구의 파렛을 파렛매거진(45)에 회수하지 않으므로 입고구에 공급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파렛매거진(45)과 격납선반과의 사이에서 단적 파렛을 반송하는 빈도를 적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텍커크레인을 입출고에만 전념토록 할 수가 있어 입출고 시간은 단시간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한쪽의 스텍커크레인측의 입출고구와 다른쪽의 스텍커크레인의 주행범위내와를 접속하는 컨베어라인(27)을 선반군내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컨베어라인(27)을 위한 용지가 불필요하게 되어 용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2대의 스텍커크레인은 운전시킬 수가 있으므로, 입출고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파렛의 공급 또는 회수를 위한 파렛매거진(45)을 컨베어라인(27)의 하방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파렛매거진을 설치할 수가 있어 파렛의 처리를 각조 단위로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파렛용의 컨베어라인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 출고구는 두개의 스텍커크레인의 주행범위가 접하게 되는 근방에 있어서 각 선반군(5)(6)에 출고구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출고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선반의 출고구(35)(36)에 연속되는 컨베어(40)(40)의 길이는 동일하므로 양출고구(30)(31)로부터의 출고에 요하는 시간을 동일하게 할 수 있어 한쪽의 대기시간이 더 길어지거나 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 탑승자의 승차 또는 하차에 시간이 걸치는 입고구와 출고구를 선반군(5)(6)에 각각 설치하였으므로 입고나 출고의 대기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또 각조의 사이를 운전석쪽의 차량도어를 열 수 있도록 간격(8)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도어를 개방한 차량이 있다 하더라도 그 옆으로 입출고를 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특허 제2조의 입고구(15)와 출고구(30)에 있어서, 좌도어를 개방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다. 하차영역(77)과 승차영역(78)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승하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좌핸들차가 주체인 경우에는 입출고구의 플래트폼을 좌측에 설치하면 된다.
또한 보도(70)(73)는 하차영역(77), 승차영역(78)과 입고구(15)(16), 출고구(30)(31)의 사이에 각각 설치하게 되므로 안전하다.
현재에 있어서, 주행하고 있는 차량은 세단과 같이 키가 낮은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격납선반의 높이를 키낮은 차량용으로 낮게 설치하고, 나머지의 격납선반을 웨곤과 같이 키높은 차량을 격납할 수 있는 높이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선반군의 높이가 동일한 경우에는 키낮은 차의 격납수를 많이 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키높은 차를 위한 선반의 입고구(20), 출고구(35)는 격납선반을 2단분 높이로 하여 구성하고 있으므로 키낮은 차의 입고구를 이용하여 키높은 차를 격납할 수가 있고, 입출고구를 적게 할 수 있어 염가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키높은 차를 격납할 수 있는 격납선반을 최상단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최상단보다도 위쪽에 있는 기둥(7)의 높이가 높더라도 좌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키높은 차의 출고구는 한쪽만(출고구 30)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다른쪽 출고구(31)측의 컨베어라인(27)을 제3단째에 설치하거나 또 선반의 출고구(36)를 2단 높이로 취하는 일이 필요없으므로 격납수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키높은 차는 적으므로 한쪽의 출고구(30)만으로 출고를 행해도 충분하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파렛매거진(45)의 지지부재(47)와 같이 지지부재를 선반의 입고구(20), 선반의 출고구(36)(36)의 하부에 각각 설치하고, 차재파렛을 지지하게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컨베어(24)(38)나 스텍커크레인(1)(2)과 차재파렛을 수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컨베어(25)(40)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파렛매거진(45)의 수납부(46)를 스텍커크레인과의 수수구(선반군의 제1단째)에 설치하고 있으나, 컨베어(50)(48)(51)에 의한 컨베어라인의 약간 상방에 수납부의 지지부재(47)를 설치하고, 이 부분 즉 1층 부분에 수납부(46)를 설치한다. 이렇게 하면 1매 마다의 파렛의 공급 및 회수시의 리프터(49)의 승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공급 및 회수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스텍커크레인과의 사이에서 단적 파렛을 수수시키는 경우에는 컨베어(48)를 제1단째의 수수구에 상승시킨다. 따라서 수수구에 지지부재를 설치할 수가 있다. 파렛매거진은 기타 형으로 하여도 좋다.
입고구(16)로부터의 키높은 차의 입고를 허용하는 경우는 선반의 입고구(21)의 높이를 높게 한다. 이 경우 격납선반수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텍커크레인(2), 중계선반(9)를 거쳐 스텍커크레인(1)에 인도하도록 한다.
제8도, 제9도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7행째에 출고구(30)(31)를 설치하고 있다. 제6행째에는 출고용의 리프터(37)가 설치되어 있다. 제5행째의 1층에는 스텍커크레인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에 향하여 보도(100)가 설치되어 있다. 스텍커크레인의 주행면의 아래쪽의 제2행-제7행은 보도(101)로 되어 있다. 제6행째의 간격(8)의 1층은 보도(100)로부터 출고구(31)에 이르는 보도(102)로 되어 있다. 보도(100)(101)(102)의 상면 및 측면에는 안전벽이 설치되어 있다. 보도(100)의 지하에는 컨베어(51)과 컨베어(50)를 접속하는 컨베어(10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입고한 차량의 탑승자는 보도(101)(100)를 통하여 사무실 등으로 나가게 된다. 또 출고하여야 할 차량의 탑승자는 보도(100)로부터 보도(101)를 지나서 목적지에 간다. 또한 출고구(31)의 운전자는 보도(102)를 이용한다. 따라서 탑승자가 차량과 교차되는 일이 없어 안전하다. 단지 입고구(16)의 탑승자는 입고구(16)의 전방을 횡단하게 된다. 제3해-제4행의 간격(8)의 1층을 보도로 하면 안전하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출고구(30)(31)를 입고구로 하고, 입고구(15)(16)를 출고구로 할 수도 있다. 스텍커크레인(1)은 컨베어(27a-27e)로 출고한다.
출구요구가 연속되고 있지 않을 경우 선반군(6)쪽으로부터의 출고구에서는 출고요구를 하고 있으므로 승차할 때까지의 시간이 많이 필요하게 된다. 그 이유는 컨베어의 반송속도는 스텍커크레인의 주행속도 보다도 늦기 때문이다. 그러나 출고요구가 연속되고 있을 경우에는, 컨베어(27)에 다수의 차량을 싣고 있으므로 연속적으로 출고시킬 수가 있다. 스텍커크레인(1)으로부터의 키높은 차의 출고의 중계선반(9)을 이용하여 행하게 된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스텍커크레인의 주행방향의 중앙부를 출고구로 하고 있으나, 입고구의 타단측을 출고구로 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스텍커크레인(2)의 주행범위(제6행째)로부터 선반의 출고구까지의 사이를 컨베어라인으로 접속한다. 입고구(16)(31)를 스텍커크레인의 레일(3)쪽에 근접시키면 간격(8)을 없앨 수가 있다. 이를 위하여 파렛을 스텍커크레인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반송하는 수단을 설치한다.
상기 각 실시예는 2층에 선반군을 설치하고, 1층을 입출고구로 하고 있으나, 선반군 및 스텍커크레인의 주행로를 1층에 설치하고, 스텍커크레인의 주행방향의 일단의 선반군 밖에 입고구, 타단의 선반군 밖에 출고구를 설치한 것에도 이용할 수 있다.
선반의 입고구, 선반의 출고구는 선반군내 또는 선반군 밖에 설치한다.
또 제8도, 제9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5행째의 제1단에 출고용의 컨베어(106)를 설치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컨베어(40)는 스텍커크레인(1)으로부터의 출고용으로 그리고 컨베어(106)는 스텍커크레인(2)으로부터의 출고용으로 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하면 컨베어를 많게 할 수 있으므로, 연속적으로 출고시킬 수가 있다. 또 스텍커크레인으로부터의 주행거리를 작게, 또 스텍커크레인(1)(2)의 충돌의 위험을 적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제10도, 제11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것에 있어서는 1조에 대하여 하나의 입고구 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하나의 입고구(16)를 선반군(60)에 설치하고 있다. 입고구(16)의 벽(55a)은 좌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크게 할 수가 있다. 또 운전자는 차량의 뒤를 통과하여 도어(59)에 이르게 된다. 출고구(30)(31)쪽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선반군(50)의 파렛매거진(45)은 단적 전용이 된다. 컨베어(28)를 제1단째에 설치하고, 제2단째에 격납선반을 설치하지 않고 있다. 키높은 차의 입고의 경우는 컨베어(24)를 제1단째에서 정지시키고, 제1단째의 컨베어(28)에 반송한다. 컨베어(28)를 설치하고 않고, 컨베어(24)로부터 직접 키높은 차를 수령하도록 할 수가 있다. 출고구에 대해서도 하나로 하고, 상기와 같이 1열의 컨베어를 설치하고, 이 컨베어에 스텍커크레인(1)(2)이 출고하도록 할 수가 있다.
제12도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선반군을 차도 보다도 하방에 설치한 것이다. 차도의 면(GL)보다도 상방에 파렛매거진(45)의 수납부(46) 및 지지부재(47)가 설치되어 있다. 상방으로부터 2단째에 컨베어라인(27)을 설치하고 있다. 입고구(15)(16), 출고구(30)(31)는 선반군(5)(6)의 상방에 있다. 입고구나 출고구의 컨베어(18)(32)와 선반의 입고구(21a)(20a)(36a)와의 사이를 리프터(19a)(33a)로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파렛매거진(45)의 컨베어(48)는 리프터(49a)로 선반군의 위쪽으로부터 1단째까지 하강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단적 파렛을 수수한다. 기타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쪽의 스텍커크레인측의 입출고구와 다른쪽 스텍커크레인의 주행범위를 접속하는 컨베어라인을 선반군내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컨베어라인을 위한 용지가 필요없게 되어 용지를 감축할 수 있다. 또 두대의 스텍커크레인을 운전시킬 수 있으므로 입출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두대의 스텍커크레인에 대하여 한쪽의 스텍커크레인측에 있는 입고구의 하물은 선반군내의 컨베어라인을 경유하여 다른쪽의 스텍커크레인에 반송된다. 이 때문에 컨베어라인을 위한 용지가 필요없게 될 수 있다. 또 두대의 스텍커크레인에 대하여 리프터가 한대로도 될 수 있어 저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출고구에 적용하여도 동일하다.

Claims (10)

  1. 하나의 주행로에 각각 단독으로 주행가능하게 설치한 2대의 스텍커크레인(1)(2)과, 상기 주행로를 따라 다수의 격납선반을 설치한 선반군(16)과, 상기 2대의 스텍커크레인(1)(2)중의 한쪽의 스텍커크레인(2)만의 주행범위내에서 상기 선반군(6)내에 설치되고 입고 또는 출고를 위한 제1구(21)(21a)와, 상기 선반군(16)의 연직방향의 외부에 설치한 제2구(16)와의 사이에서 하물을 반송하는 리프터(23)(19a)와, 제1구(21)(21a)에 연속되는 위치에서 상기 한쪽의 스텍커크레인(2)과의 사이에서 하물을 이재(移載)하기 위한 제1수수구와, 상기 제1구(21)(21a) 다른쪽의 스텍커크레인(1)의 주행범위를 접속하는 것으로 선반군(6)내에 설치된 컨베어라인(27)(27a)(27b)(27c)(27d)(27e)과, 다른쪽의 스텍커크레인(1)과의 사이에서 하물을 이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컨베어라인(27)(27a)(27b)(27c)(27d)(27e)의 일부에 설치한 제2수수구로 이루어진 입체창고.
  2. 제1항에 있어서, 제2구(16)가 입고구인 입체창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23)(19a)의 상면에 컨베어라인(27)(27a)(27b)(27c)(27d)(27e)에 접속가능한 컨베어(24)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입체창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16)와의 사이에 공파렛의 공급 또는 회수를 행하는 파렛매거진(45)은 상기 컨베어라인(27)(27a)(27b)(27c)(27d)(27e)의 수직방향으로 있고 이 컨베어라인(27)(27a)(27b)(27c)(27d)(27e)과 높이가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입체창고.
  5. 하나의 주행로에 각각 단독으로 주행가능하게 배치한 2대의 스텍커크레인(1)(2)과, 상기 주행로에 따라 다수의 격납선반을 설치한 선반군(16)과, 상기 2대의 스텍커크레인(1)(2)중의 한쪽의 스텍커크레인(2)만의 주행범위내에서 상기 선반군(6)내에 설치되고 입고 또는 출고의 어느 한쪽을 위한 제1구(21)(21a)와, 상기 선반군(6)의 연직방향의 외부에 설치된 제2구(16)와 상기 제1구(21)(21a)와의 사이에서 하물을 반송하기 위한 것으로 하물을 적재하기 위한 제1컨베어(24)를 갖는 제1리프터(19a)(23)와, 상기 제1구(21)(21a)에 연속되는 위치에서 상기 한쪽의 스텍커크레인(2)과의 사이에서 하물을 이재하기 위한 제1수수구와, 상기 제1구(21)(21a)와 다른쪽의 스텍커크레인(1)의 주행범위를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선반군(6)내에 설치한 컨베어라인(27)(27a)(27b)(27c)(27d)(27e)과, 상기 다른쪽의 스텍커크레인(1)과의 사이에서 하물을 이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컨베어라인(27)(27a)(27b)(27c)(27d)(27e)의 단부(27e)에 배설한 제2수수구와, 상기 컨베어라인(27)(27a)(27b)(27c)(27d)(27e)의 연직방향으로 있고 상기 컨베어라인(27)(27a)(27b)(27c)(27d)(27e)보다 상기 제2구(16)측에 설치되고 2대의 스텍커크레인(1)(2)의 주행범위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입고 또는 출고중의 다른쪽을 위한 제3수수구(36)(36a)와, 상기 선반군(6)의 외부의 제3구(31)와 상기 제3수수구(36)(36a)의 사이에서 하물을 반송하는 제2리프터(37)(33a)로 이루어진 입체창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16)가 입고구인 입체창고.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프터(37)의 상면에서 제2컨베어(38)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3수수구(36)가 복수개이고, 상기 제2리프터(37)의 제2의 컨베어(38)가 승강하는 승강구를 제외한 기타의 제3수수구(36)에 상기 제2컨베어(38)에 접속된 제3의 컨베어(40)(106)가 배설된 입체창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16), 제3수수구(36), 제3구(31)가 상기 제1구(21), 상기 컨베어라인(27)(27a)(27b)(27c)(27d)(27e), 상기 제3수수구(36)의 각각 하방에 배설되어 있는 입체창고.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16)와 제3구(31)와의 사이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컨베어라인(27)(27a)(27b)(27c)(27d)(27e)의 높이와 상이한 높이에서 상기 제2구(16)와 제3구(31)와의 사이에서 공파렛의 공급 및 회수를 행하는 파렛매거진(45)이 설치되어 있는 입체창고.
  10. 하나의 주행로에 각각 단독으로 주행가능하게 배치한 2대의 스텍커크레인(1)(2)과, 상기 주행로의 양측에 따라 다수의 격납선반을 배설한 두개의 선반군(5)(6)과, 상기 2대의 스텍커크레인(1)(2)주의 한쪽의 스텍커크레인(2)만의 주행범위내에서 입고 또는 출고의 어느 한쪽을 위하여 한쪽의 선반군(6)내에 설치한 제1구(21)(21a) 및 다른쪽의 선반군(5)내에 설치한 제2구(20)와, 상기 제1구(21)(21a) 및 제2구(20)와 동일 목적을 위하여 두개의 선반군의 연직방향의 외부에 각각 설치한 제3구(16) 및 제4구(15)와, 상기 제1구(21)(21a)와 제3구(16)와의 사이에서 하물을 반송하기 위한 것으로 하물을 적재하기 위한 제1의 컨베어(24)(18)을 갖는 제1리프터(23)(19a)와, 높이가 높은 하물을 수용가능하도록 설치한 상기 제2구(20)와 제4구(15)와의 사이에서 하물을 반송하기 위한 제2리프터(22)와, 상기 제2구(20)에 연속되는 위치에서 상기 한쪽의 스텍커크레인(2)과의 사이에서 하물을 이재하기 위한 제1수수구와, 상기 제1구(21)(21a)와 다른쪽의 스텍커크레인(1)의 주행범위를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선반군(6)내에 설치한 컨베어라인(27)(27a)(27b)(27c)(27d)(27e)과, 상기 다른쪽의 스텍커크레인(1)과의 사이에서 하물을 이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컨베어라인(27)(27a)(27b)(27c)(27d)(27e)의 단부에 설치한 제2수수구와, 상기 컨베어라인(27)(27a)(27b)(27c)(27d)(27e)의 수직방향에 있고 상기 컨베어라인(27)(27a)(27b)(27c)(27d)(27e) 보다도 상기 제3구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2대의 스텍커크레인의 주행범위내에 있고 또한 입고 또는 출고중 다른쪽을 위한 제3수수구(36)(36a)와, 상기 다른쪽 선반군(5)내에 상기 2대의 스텍커크레인(1)(2)의 주행범위내에 위치하고 높은 키의 하물의 수령이 가능하고 제3수수구(36)와 동일목적을 위한 제4수수구(35)와, 상기 제3수수구(36)(36a) 및 제4수수구(35)와 상기 두개의 선반군(5)(6)의 각각의 연직방향의 외부의 제5구(31) 및 제6구(30)의 각각과의 사이에서 하물을 반송하는 제3리프터(37)(33a) 및 제4리프터(37)로 이루어진 입체창고.
KR1019860004092A 1985-05-27 1986-05-26 입체창고 KR910006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5-112005 1985-05-27
JP60112005A JPH0617637B2 (ja) 1985-05-27 1985-05-27 立体駐車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204A KR860009204A (ko) 1986-12-20
KR910006191B1 true KR910006191B1 (ko) 1991-08-16

Family

ID=14575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092A KR910006191B1 (ko) 1985-05-27 1986-05-26 입체창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617637B2 (ko)
KR (1) KR910006191B1 (ko)
GB (1) GB21755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727B2 (ja) * 1986-01-29 1995-04-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立体駐車場の運転方法
WO2020014608A1 (en) 2018-07-12 2020-01-16 Walmart Apollo, Llc Automated storage retrieval system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protocol
WO2020014615A1 (en) 2018-07-12 2020-01-16 Walmart Apollo,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 recognition and assignment at a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device
CN108798134B (zh) * 2018-08-07 2020-05-19 合肥工业大学 悬挂式循环立体停车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612638D0 (en) 1986-07-02
JPS61270468A (ja) 1986-11-29
JPH0617637B2 (ja) 1994-03-09
GB2175575A (en) 1986-12-03
KR860009204A (ko) 1986-12-20
GB2175575B (en) 1989-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7316A (en) Rapid, compact, high density storage of cargo containers
KR910006191B1 (ko) 입체창고
KR910006194B1 (ko) 입체주차장
KR910006192B1 (ko) 입체주차장
KR900006056B1 (ko) 입체 주차장
JPH06221016A (ja) 立体駐車場
JP2643863B2 (ja) 立体駐車場
JP2643864B2 (ja) 立体駐車場
JPS61270472A (ja) 立体倉庫
JPH0355717Y2 (ko)
JPS61270471A (ja) 立体倉庫
JPS61270470A (ja) スタツカクレ−ン式立体駐車場
JPS61270473A (ja) スタツカクレ−ン式立体駐車場
JPH074103A (ja) 立体駐車場
JP2643862B2 (ja) 立体駐車場
KR920001358B1 (ko) 입체주차장
JP2606604B2 (ja) 立体駐車場
JPH0733729B2 (ja) 立体駐車場
JPS61270474A (ja) 立体駐車場
JP2647025B2 (ja) 立体駐車場
JPH0733728B2 (ja) 立体駐車場
JPH07252956A (ja) 立体駐車場の運転方法
JPS6198877A (ja) 洗車装置付き立体駐車場
JPH06221017A (ja) 立体駐車場
JPH066835B2 (ja) 洗車装置付き立体駐車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