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358B1 - 입체주차장 - Google Patents

입체주차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358B1
KR920001358B1 KR1019870008425A KR870008425A KR920001358B1 KR 920001358 B1 KR920001358 B1 KR 920001358B1 KR 1019870008425 A KR1019870008425 A KR 1019870008425A KR 870008425 A KR870008425 A KR 870008425A KR 920001358 B1 KR920001358 B1 KR 920001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vehicle
pedestals
exit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8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5335A (ko
Inventor
료오헤이 이시게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80005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입체주차장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입체주차의 입출고 부분을 나타내는 전체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입출고부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이재구(移載口)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정면도.
제6도는 제4도의 우측면도.
제7도는 제4도의 VII부의 확대도.
제8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출고구의 평면도.
제9도는 선반의 정면도.
제10도는 모노레일카의 정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입출고 부분 중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입체주차장의 평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X-X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테커크레인 5, 6 : 선반
10, 10a, 11 : 이재구 13, 13a : 입고구
15, 19 : 대차 17, 17a : 출고구
21 : 퇴출로 23, 24 : 입차구
25, 26 : 진입로 27 : 모노레일카
27b : 매달림구 28 : 주행라인
41, 62 : 디딤판 42 : 정지구
51, 63 : 승강대 A, B, a, b : 포크형 받침대
본 발명은 스테커크레인을 사용한 입체주자창에 관한 것이며, 차량의 보관에 있어서 패릿을 사용하지 않는 방식의 입체주차장에 관한 것이고, 특히 자동차 메이커의 차량의 보관용, 차량의 배송센터등의 보관용으로 적합한 입체주차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출고구란 입고구 및 출고구의 적어도 한쪽을 말하며, 입출고구에는 운전자가 승강하는 입출고구와 운전자가 승강하지 않는 입출고구의 두가지가 있다. 입출고도 이와 같다.
스테커크레인을 사용한 입체주차장으로서는 예를들면 일본 특개 61-38071호 공보에 게시된 것이 있다. 이것은 스테커크레인의 주행로에 연하여 다수의 선반을 구비하고 그 일단에 입고구, 출고구, 패릿매거진 및 컨베어라인을 배설하였다. 입고에 있어서 패릿매거진으로부터 일매의 패릿이 컨베어를 거쳐 입고구에 공급된다. 이 패릿에 차량이 재치되면 컨베어에 의해 스테커크레인과의 사이의 이재구로 반송된다.
스테커크레인은 이 차재패릿을 선반에 격납한다. 패릿매거진으로부터 패릿이 없어지면 스테커크레인에 의하여 선반에서 단적된 패릿이 공급된다.
출고명령이 있으면 선반의 차재패릿은 스테커크레인에 의해 이재구로 반송된다. 다음에 컨베어에 의해 출고구로 출고된다. 출고구에 남겨진 공패릿은 컨베어에 의해 패릿매거진에 회수된다. 패릿매거진에 소정수의 패릿이 모이게 되면 컨베어 및 스테커크레인에 의하여 선반에 보관된다. 일본 실개소 58-82981호 공보에는 입출고구와 이재구의 사이의 차재패릿의 반송수단으로서 컨베어 대신에 대차를 사용한 것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스테커크레인이나 패릿매거진의 관계는 게시되어 있지 않다. 일본 특개소 51-34623호 공보에 제시된 것은 차량의 격납에 패릿을 사용하지 않는 방식이다. 이것은 선반, 스테커크레인의 수평이동대, 입출고구에 포크형 받침대를 사용하고 있다. 차량의 차륜이 이 포크형 받침대에 실리게 되는 것이다. 포크형 받침대는 판재를 소정간격으로 수평방향으로 배열한 것이다. 스테커크레인의 포크형 받침대는 선반 및 입출고구의 포크형 받침대에 대하여 수평방향 및 상하방형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배설한다. 입고에 있어서 입고구의 포크형 받침대에 차량의 차륜이 실리게되면 스테커크레인의 수평이동대의 포크형 받침대를 입고구의 포크형 받침대의 하방으로부터 상승시켜서 스테커크레인 포크형 받침대에 의하여 차량의 차륜을 들어올린다. 선반에는 스테커크레인의 포크형 받침대를 상방으로부터 하강시키므로서 차량의 차륜을 선반의 포크형 받침대에 싣게 된다. 출고는 상기 동작과 역동작으로 한다. 그리고 공장에서 공간을 입체적으로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하여 하물의 반송수단으로서 모노레일카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모노레일카는 현수형이다. 다시말해 모노레일카의 주행체는 공중의 레일에 매달려 있으며, 이 주행체의 하면에는 하물을 현수시키도록 되어 있다.
모노레일카부터 지상의 설비에 하물을 내리는 위치 또는 지상의 설비로부터 모노레일카에 하물을 옮기는 위치에서는 모노레일카를 실은 레일이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모노레일카는 모우터를 구비한 자주식과 상기 레일의상방에 펼쳐 놓은 체인에 걸어맞추어 주행하는 방식이 있다. 이 모노레일카는 자동차 공업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예를들어 차량의 보디를 매달아서 반송하는 것도 있다. 보디의 반송은 보디의 하면(예를들어 차량의 잭크업 포인트)을 지지하여 행한다(일본국 특공소 60-21902호 공보, 특공소 60-33699호 공보). 차량의 격납에 패릿을 사용하는 것에서는, 차량의 격납수와 같은 수의 패릿이 필요하며, 다수의 차량을 격납하는 것에서는 패릿의 제작과 비용의 점에서 문제가 생긴다. 그리고 차량의 입출고 운전을 중단하고 패릿의 공급이나 회수의 운전이 필요하게 되므로, 차량의 입출고에 시간을 요하게 된다. 포크형 받침대를 배설할 필요가 있게 되어 고가로 된다. 특히 모노레일카의 사이를 스테커크레인의 포크형 받침대가 통과하므로 선반의 포크형 받침대를 구성하는 판재의 간격은 높은 정밀도로 제작할 필요가 있게 된다. 차량의 격납수의 증가에 따라 문제로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패릿을 사용하지 않는 방식에서 저렴한 입체주차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반에는 포크형 받침대를 설치하지 않고, 단지 차량의 차륜을 받는 받침대만을 설치하고, 입출고구에는 차량의 차륜을 받기 위한 받침좌를 설치하여 스테커크레인의 포크는 차량의 전후 차륜 사이의 보디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구성하므로써 달성된다.
스테커크레인은 차량의 보디의 하면(일반적으로 재크업 포인트)를 지지하여 반송한다. 선반은 차량의 차륜을 지지한다. 그러므로 선반이나 스테커크렌으로부터 포크형 받침대를 쓰지 않게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입고 희망의 차량이 자주 또는 대차에 실려서 입출고구로 들어간다.
이하 본 발명을 제1도 내지 제10도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자동차 메이커의 차량보관용이다. 먼저, 제1도에 의하여 전체구성을 설명한다. 1은 공지의 스테커크레인이고, 양옆의 선반군(5), (6)의 사이를 주행한다. 선반군(5), (6)은 다수의 선반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스테커크레인(1)과 그 양옆의 선반군(5), (6)을 한조의 입체창고로 하여 7조를 병설하였다. 각 선반군(5)의 한쪽의 끝부의 제1행의 선반에는 입고용의 이재구(10)가 설치된다. 각 선반군(6)의 상기 한쪽 끝부의 제1행의 선반에는 출고용의 이재구(11)가 배설된다. 입고용의 이재구(10)의 전방에는 입고구(13)를 구비한다. 입고구(13)와 이재구(10)와의 사이에는 레일(14)상을 주행하는 입고용의 대차(15)가 접속된다. 출고용의 이재구(11)의 전방에는 출고구(17)가 구비된다. 출고구(17)와 이재구(11)의 사이의 측방에 상기 입고구(13)가 설치된다. 출고구(217)와 이재구(11) 사이에는 레일(18)상을 주행하는 출구용의 대차(19)에 의해 접속된다. 출고구(17)에 차량이 출고되면 운전자가 승차하고 퇴출로(21)를 향하여 주행한다. 출고구(17)의 주위에는 운전자가 보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출고구(17)의 주위에는 안전을 위하여 개폐 자유로운 방책(도시생략)으로 포위되어 있다. 상기 이재구(10, (11), 입고구(13), 출고구(17)에는 후술하는 코프형 받침대를 설치한다.
23, 24는 입체주차장의 입차구이고, 7조의 입체창고의 폭의 범위 밖에 있으며, 입고구(13), 출고구(17)의 측방에 설치된다. 진입로(25), (26)를 전전하여 온 차량은 입차구(23), (24)에 정차하고 운전자가 하차한다. 입차구(23), (24)의 노면에는 차량의 정지 위치를 정하기 위한 요홈부(도시생략)가 있다. 이 요홈부는 차량의 전륜의 위치에 있고 전륜이 요홈부에 들어간다. 요홈부 대신에 전륜의 전후의 위치에 볼록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입차구(23), (24)의 주위는 안전을 위해 개폐 자유로운 방책(도시없음)으로 포위한다. 입차구(23), (24)는 두개씩 설치된다. 입차구(23), (24)의 차량은 머리위를 주행하는 대차 예를들어 현수형의 모노레일카(27)의 주행라인이고, 입차구(23), (24) 및 각 입고구(13)의 상방을 통과하여 입차구(23), (24)로 되돌아온다. 모노레일카(27)는 공지의 구성이고,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라인(28)의 레일을 주행하는 주행체(27a)와 그 하부에 매달려 있는 매달림구(27b)와 주행모터(27c)로 구성된다. 매달림구(27b)는 차량의 잭크포인트를 지지하는 것이고, 차량의 폭 방향으로 개폐자유이다. 모노레일카(27)와 입차구(23), (24), 입고구(13)의 사이의 차량의 수수 수단은 공지이다. 예를들어 수수위치에서 모노레일카(27)를 지지하는 레일을 승강시켜서 행한다. 모노레일카(27)는 주행라인(28)에 다수개를 설치하나 한대만을 표시하였다. 모노레일카(27)는 차량을 한대씩 반송한다. 차량은 전진방향으로 입차구(23), (24)로 들어가므로 입고구(13) 및 선반에는 출고구(17)측을 향하여 놓여진다.
28a, 28b는 바이패스라인이다. 29는 생산공장이나 보수공장으로 접속되는 라인이다. 그리고 이재구(10), 입고구(13), 입차구(25) 및 컨베라인(29)의 앞은 각각 입고구이다. 이재구(11), 출고구(7) 및 컨베어라인(29)의 앞은 각각 출고구이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고유명사를 붙인 것이다.
제9도는 선반의 구성을 표시한 것이다. 선반에는 차량(34)의 전후의 차륜을 지지하는 받침대(35), (36)를 각각 배설하였다. 받침대(35), (36)는 차량의 전후의 기둥(37), (38)에 설치한다. 전후의 받침대(35), (36)는 도면에서와 같이 전후로 분할되어 있고, 연속되어 있지 않다. 차량의 전륜을 지지하는 받침대(35)에는 탈륜 방지용의 요홈형상의 받침좌(35a)가 설치된다. 전륜은 받침좌(35a)의 전후의 돌부 사이에 위치한다. 후륜을 지지하는 받침대(36)의 받침좌(36a)는 평판형상이다. 이에 따르면 차량은 전륜을 기준으로 하여 격납된다. 받침좌(36a)는 차종에 의한 휠베이스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39는 전후의 기둥(37), (38)을 연결하는 가로대이며 선반의 한단 건너로 설치된다. 1a는 스테커크레인(1)의 승강대에 설치한 포크이다. 이 포크(1a)는 공지의 것과 같이 선반을 향하여 진퇴 자유이다. 포크(1a)는 전후의 차륜 사이의 보디의 잭크업 포인트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차량의 교한시에 보디를 잭크업하는 위치이다. 포크(1a)의 상면에는 고무등의 완충재를 설치하여 보디의 손상을 방지한다. 전후의 받침대(35), (36)의 사이에는 부재가 없으므로 받침대(35), (36)와 보디의 하면과의 차 높이가 낮더라도 포크(1a)의 진퇴 및 상하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휠베이스나 잭크업 포인트의 거리의 변화에 제한이 필요하게 되나 차량의 크기나 차종을 제한하면 충분히 주차가 가능한 것이다.
제2도, 제3도에 있어서 이재구(10), (11), 입고구(13), 출고구(17) 및 대차(15), (19)에는 각각 포크형 받침대가 있다. 차량의 전륜을 지지하는 포크형 받침대를 A 또는 a라고 표시하고, 후륜을 지지하는 포크형 받침대를 B 또는 b로 표시하였다. 전륜용의 포크형 받침대(A), (a)를 기준으로 하여 차량을 탑재하므로 후륜용 포크형 받침대(B), (b)의 차량의 주행방향의 길이는 전륜용 포크형 받침대(A), (a)의 상기 길이보다도 길다. 포크형 받침대(A), (B)는 이재구(10), (11), 입고구(13), 출고구(17)에 설치된다. 포크형 받침대(a), (b)는 대차(15), (19)에 설치된다. 다시말해 A, B는 고정측 포크형 받침대를 표시하고 a, b는 가동측 포크형 받침대를 표시한다. 가동측 포크형 받침대(a), (b)는 고정측 포크형 받침대(A), (B)에 대하여 상하동된다. 고정측 포크형 받침대(A), (B)에 있어서 차량의 폭 방향의 포크형 받침대의 상호간에는 간극이 있으며, 대차(15), (19)의 포크형 받침대(a), (b)를 지지하는 승강대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설치된다. 따라서 대차(15), (19)는 이재구(10, (11), 입고구(13), 출고구(17)까지 주행된다.
전륜용의 포크형 받침대(A), (a)와 후륜용의 포크형 받침대(B), (b)의 사이에는 포크형 받침대의 방해물이 없다. 특히, 이재구(10, (11)에서는 포크(1a)가 승강하기 때문에 방해물을 설치하지 않는다. 출고구(17)에서는 전후의 포크형 받침대(A), (B)의 사이에는 차량의 후륜이 통과하기 위한 디딤판(41)이 설치된다. 전륜용의 포크형 받침대(A)의 전단는 퇴출로(21)에 접속된다.
포크형 받침대(A), (B)는 모두 동일 높이이다. 포크형 받침대(A), (B), (a), (b)의 구성에 대하여 제4도 내지 제8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4도 내지 제7도는 이재구(10)에 대차(15)가 장차하고 차량을 이재구(10)로 이재하고자 하는 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37, 37, 38, 38은 상기와 같이 선반을 구성하기 위한 기둥이고, 도시된 것은 제1행에 있는 선반을 구성하는 기둥이다. 이 각 기둥에 고정측 포크형 받침대(A), (B)를 부착한다. 포크형 받침대(A), (B), (a), (b)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포크부재(도시의 것은 판재)를 소정간격으로 배열한 것이다. 고정측 포크형 받침대(A), (B)의 각 포크부재의 차량의 폭 방향의 외측의 끝부는 고정좌(46)에 고정된다. 각 포크부재의 내측의 끝부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고정좌(46)는 기둥(37), (38)에 고정된다. 앞뒤의 고정좌(46)의 사이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입고구(13), 출고구(17)의 포크형 받침대(A), (B)는 지상에 입설한 기둥(도시무)에 고정된다.
한편, 가동측(대자측)의 포크형 받침대(a), (b)의 각 포크부재의 내측의 끝부는 승강대(41)에 고정된다. 각 포크부재의 외측의 끝부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가동측 포크형 받침대(a), (b)의 각 포크부재는 고정측 포크형 받침대(A), (B)의 각 포크부재의 사이를 승강할 수가 있다. 승강대(51)를 상승시키면 포크형 받침대(a), (b)의 하면은 고정측 포크형 받침대(A), (B)의 상면보다도 높아진다. 승강대(51)를 하강시키면 포크형 받침대(a), (b)의 상면은 고정측 포크형 받침대(A), (B)의 하면보다도 낮아진다. 승강대(41)의 폭의 치수(Lz)는 고정측 포크형 받침대(A), (B)의 내단간의 거리(l)보다도 작다. 가동측 포크형 받침대(a), (b)의 폭 방향의 외단간의 거리(L2)는 폭 방향의 기둥(37), (38)간의 거리보다도 작다. 이로 인해 포크형 받침대(a), (b)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 상태에서 이재구(10, (11), 입고구(13), 출고구(17)를 통과할 수 있다.
승강대(41)는 내부에 설치한 승강장치에 의해 승강한다. 52는 대차(19)의 차륜이다. 입고구(13), 이재구(10, (11) 및 대차(15), (19)의 전륜측 포크형 받침대(A), (a)에 있어서, 차량의 이송방향의 전후단의 포크부재(ap), (ap)는 다른 포크부재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전륜을 기준으로한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입고구(13)나 이재구(10)에 있어서, 특히 이재구(10)에서는 고정측 포크형 받침대(A)의 전후단의 포크부재(Ap)는 대차(13)측의 포크형 받침대(a)의 전후단의 포크부재(ap)는 대차(13)측의 포크형 받침대(a)의 전후단의 포크부재(ap)보다도 내측에 위치한다.
즉, 위치결정을 위하여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후의 포크부재의 간격은 이재구(10)측이 대차(15)측보다도 작다. 따라서 이재구(10)에 차량이 놓여있을 때에 보다 높은 정밀도를 가지고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선반에 격납함에 있어서도 기둥등에 대한 접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8도에 있어서, 출고구(17)의 후륜측의 포크형 받침대(B)의 후단의 포크부재보다도 후단측에는 차량의 후진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구(42)가 설치된다. 정지구(42)는 포크형 받침대(B)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된다. 전후의 포크형 받침대(A), (B)의 사이에는 후륜 통과용의 디딤판(41)이 있다. 전륜측 포크형 받침대(A)의 전방은 퇴출로(21)로 접속된다. 이같은 구성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고운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고하고자 하는 차량은 전진방향으로 입차구(23), (24)에 들어간다. 운전자가 하차하여 입고를 지령하면 상부의 모노레일카(27)에 의해 매달려 올려지고 지정된 입교구(13)로 반송한다. 차량은 입고구(13)의 포크형(A), (B)상에 놓여진다.
대차(15)는 포크형 받침대(a), (b)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입고구(13)로 들어간다. 포크형 받침대(a), (b)를 상승시켜 차량을 수령하면, 대차(15)는 이 상태에서 이재구(10)에 들어가고, 포크형 받침대(a), (b)를 하강시키고, 그리고 입고구(13)를 향하여 주행한다. 이재구(10)의 포크형 받침대(A), (B)에 놓여진 차량은 스테커크레인(1)에 의해 선반의 받침좌(35a), (36a)에 놓여진다.
출고운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출고지령이 있으면 스테커크레인(1)은 선반에서 차량을 들어내고 이재구(11)의 포크형 받침대(A), (B)상에 놓는다. 대차(19)는 포크형 받침대(a), (b)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이재구(11)로 들어간다. 포크형 받침대(a), (b)를 상승시켜서 차량을 수령하면 대차(19)는 이 상태에서 출고구(17)로 향해 주행한다. 출고구(17)에서 포크형 받침대(a), (b)를 하강시켜 출고구(17)의 포크형 받침대(A), (B)에 차량을 실으면 대차(19)는 이 상태에서 이재구(11)를 향하여 주행한다.
이와같이 선반에는 포크형 받침대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염가로 할 수 있고, 또한 입고구(13), 출고구(17)와 이재구(10), (11)의 사이를 포크형 받침대를 구비한 대차(15), (19)에 의해 차량을 반송하므로 스테커크레인(1)은 잭크업 포인트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입고의 통로는 머리위에 있고, 출고의 통로는 지상에 있으므로 입고와 출고를 동시에 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도의 우측의 입체창고의 조에 차량을 입고시키면서 좌측의 입체창고의 조로부터 차량을 출고시킬 수가 있으며, 섬세한 입고와 출고의 운전을 동시에 이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 역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주행라인(28)은 출고구(17)의 상방을 통과하지 않으므로 안전하다. 모든 입체창고의 조에 출고구가 있으므로 모든 입체창고로부터 직접 출고할 수 있고, 한번에 다량의 차량을 출고할 수가 있다. 이는 입고보다도 출고를 우선하게한 구성이고, 자동차 메이커의 보관용이나 배송센터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또한 출고구(17)를 입고구, 입고구(13)를 출고구, 입차구(23), (24)를 출차구로 하면 입차우선의 구성이 된다.
한쪽의 선반군(5)에 입고용의 입고구(13), 대차(15), 이재구(10)를 설치하고, 다른 쪽의 선반군(6)에 이재구(11), 대차(19), 출고구(17)등을 설치하였으므로 일조의 선반군에서 입고와 출고가 혼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선반군(5)에 이재구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대차(19)의 주행로의 도중에 입고구(13)를 설치한다.
제11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선반군(5)의 제2행의 선반에 이재구(10a)를 설치하고 제1행의 선반은 대차(15)의 통로를 하고 있다. 선반군(5)의 전방에는 출고구(17a)가 있다. 대차(15)는 이재구(10a)와 출고구(17a)의 사이를 주행하고 그 도중에 입고구(13)가 있다.
주행라인(28)의 하방이고 대차(19)의 통로에는 입고구(13a)가 있다. 이재구(10a), 입고구(13a), 출고구(17a)에는 포크형 받침대(A), (B)가 있다. 이재구(10a)의 포크형 받침대(A), (B)와 동일 높이에 있다. 스테커크레인(1)은 2조의 포크(1a), (1b)를 구비한다. 이재구(10a), (11)에서 이재를 행하는 경우에는, 포크(1a)는 이재구(11)로 돌출하고, 포크(1b)는 이재구(10a)로 동시에 돌출한다. 그리하여 포크(1a), (1b)를 구비한 승강대는 이 상태에서 승강한다.
따라서 각각의 이재구(10a), (11)에 동시에 차량을 출고하고 또 동시에 입고 차량을 수령할 수가 있다. 이렇게하면 두개의 출고구(17), (17a)에 동시에 출고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승차시간을 포함하며 극히 단시간이 된다. 한편 하나의 주행라인(27)에 의해 두개의 입고구(13), (13a)에 입고시킬 수가 있어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그리고 각조의 사이는 차량의 도어를 열고 승차할 수 있도록 간극(45)을 마련하였다. 출고구(17)와 이재구(11)와의 거리와 출고구(17a)와 이재구(10a)와의 거리는 될 수 있는 한 동일하게 된다. 대차(19), (15)의 일왕복 시간은 동일하게 되고, 스테커크레인(1)에 의한 2대의 차량의 반송이 용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출고구(17a)를 입고구(13)에 가깝게 설치한다. 이재구(10), (11)에 포크형 받침대(A), (B)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대차(15), (19)와 스테커크레인의 사이에서 차량을 이재하게 된다. 이재구(11)와 출고구(17)의 어느 한쪽에 포크형 받침대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대차(19)의 차량에 승차한다. 디딤판(41)은 출고구(17)쪽에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실시예에 비교하여 입출고에 시간이 걸린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스테커크레인의 주행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입고를 행하고, 그 일단측에서 출고를 행하도록 하고 있으나 일단측으로부터 입고를 행하고 타단측에서 출고를 행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입고용의 모노레일카(27)가 불필요하며 입고구에 직접 차량을 타고 들어가 하차하도록 할 수가 있다. 이재구(10), (11)를 선반군(5), (6)의 중앙부에 설치하고 대차(15), (19)를 중앙부까지 주행하도록 하면 입출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대차(15), (19)나 모노레일카(27)를 사용하지 않고 이재구(10), (11)를 입출고구로 할 수도 있다.
제12도, 제13도에 있어서, 10b는 진입로(25)에 연통하는 입고구이며, 입고용의 이재구도 된다. 차량의 운전석이 우측에 있다고 가정하고 차량의 주행방향의 우측의 선반군(6)에 입고구(10b)를 설치하고 있다. 출고구(11b)는 선반군(6)의 타단에 있고, 퇴출로(21)에 연통되어 있다. 출고구(11b)는 출고용의 이재구도 된다. 입고구(10b), 출고구(11b)의 우측에 승강용의 이재구도 된다. 입고구(10b), 출고구(11b)의 우측에 승강용의 플레트폼(도시무)이 있다. 좌측에는 차량을 자주시킬 때에 폐쇄하는 셔터(도시무)가 있고, 좌측의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스테커크레인(1)의 주행로의 끝부는 방책으로 포위하여 안전을 도모한다.
입고구(10a) 및 출고구(11b)의 전후의 차륜의 받침대(61)의 사이에는 차량의 통로를 위한 디딤판(62)이 있다. 이 디딤판(62)은 승강대(63)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디딤판(62)은 차량이 주행할 때에 받침대(61)와 동일 높이로 되고 포크(1a)를 사용할 때에 하강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패릿이 불필요하게 되고, 또 선반의 포크형 받침대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입체주차장을 지극히 염가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차량을 격납하는 선반의 각각에 상기 차량의 차륜의 각각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35), (36)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선반군(5), (6)과, 상기 선반군(5), (6)의 내부와 외부의 접속구가 되는 이재구(10), (10a), (11)와, 상기 선반과의 사이에서 차량을 싣고 주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의 전후의 차륜 사이의 보디의 하면부를 지지하는 포크(1), (1a)를 가진 스테커크레인(1)과, 상기 스테커크레인의 주행 범위밖에 설치되는 입고구, 출고구(13), (13a), (17), (17a)(이하 입출고구라 함)와, 상기 이재구(10), (10a), (11) 또는 상기 입출고구(13), (13a), (17), (17a)의 각각에 설치한 것으로서 상기 차량의 차륜의 각각을 지지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포크부재를 소정 간격으로 배열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으로 2분된 제1의 포크형 받침대(A), (B)와 상기 이재구(10), (10a), (11)와 상기 입출고구(13), (13a), (17), (17a)와의 사이에서 상기 차량을 싣고 반송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의 차륜의 각각을 지지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포크부재를 소정 간격을 배열한 제2의 포크형 받침대(a), (b)를 구비하고, 상기 제2의 포크형 받침대(a), (b)는 상기 2분된 제1의 포크형 받침대(A), (B)의 사이를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통과 가능한 받침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의 포크형 받침대(a), (b)의 각각의 부재는 상기 제1의 포크형 받침대(A), (B)의 각각의 포크부재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승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의 포크형 받침대(a), (b)를 상기 제1의 포크형 받침대(A), (B)보다도 하강시킨 상태 및 상승시켜서 차량을 실은 상태에서 각각 주행가능한 대차(15), (19)와 상기 제1의 포크형 받침대(A), (B) 또는 상기 제2의 포크형 받침대(a), (b)의 한쪽을 다른쪽에 대하여 승강시키는 승강대(51)로 이루어진 입체주차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포크형 받침대(a), (b)를 승강시키는 승강대(41)를 상기 대차(15)에 설치한 입체주차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구(17), (17a)는 상기 차량의 운전가가 승강하는 것이고, 상기 차량의 전륜의 위치의 제1의 포크형 받침대(A)와 후륜의 위치에 제1의 포크형 받침대(B)와의 사이에 차륜이 통과하는 디딤판(41)이 있고, 상기 입출고구(17), (17a)의 일단측에 상기 대차의 주행로(18)가 있으며, 타단에 상기 차량의 주행로(21)가 설치되는 입체주차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포크형 받침대(A), (B) 및 상기 제2의 포크형 받침대(a), (b)의 각각의 포크부재가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에 배설되어 있는 입체주차장.
  5. 차량을 격납하는 선반의 각각에 상기 차량의 차륜의 각각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35), (36)를 설치한 선반군(5), (6)과, 상기 선반군(5), (6)의 내부와 외부의 접속구가 되는 이재구(10), (10a)와, 상기 선반과의 사이에서 차량을 싣고 주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의 전후의 차륜의 사이의 보디의 하면을 지지하는 포크(1a), (1b)를 가진 스테커크레인(1)과, 상기 스테커크레인의 주행범위 밖에 설치한 제1의 입출고구(13), (13a)와 동일하게 상기 주행범위 외에 설치한 제2의 입출고구(23), (24)와, 상기 제1의 입출고구(13), (13a)와 상기 제2의 입출고구(23), (24)와, 상기 제1의 입출고구(13), (13a)와 상기 제2의 입출고구 (23), (24)와의 사이에서 상기 차량을 매달고서 상기 제1의 입출고구(13), (13a) 및 상기 제2의 입출고구(23), (24)보다도 높은 곳을 주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의 전후의 차륜의 사이의 보디의 하면을 지지하는 매달림구(27b)를 가진 반송차(27)와, 상기 이재구(10), (10a) 및 상기 입출고구(13), (13a)의 각각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의 차륜의 각각을 지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포크부재를 소정 간격으로 배열한 것이고, 동시에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2분시킨 제1의 포크형(B)의 사이를 상기 차량의 주행 받침대(A), (B)와, 상기 이재구(10), (10a)와 상기 제1의 입출고구(13), (13a)와의 사이에서 상기 차량을 싣고 상기 반송차(27)보다도 낮은 곳을 주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의 차륜의 각각을 지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포크부재를 소정 간격으로 배열한 제2의 포크형 받침대(a), (b)를 구비하고, 이 제2의 포크형 받침대(a), (b)는 상기 2분된 제1의 포크형 받침대(A), (B)의 사이를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으로 통과 가능한 받침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이 제2의 포크형 받침대(a), (b)의 각각의 포크부재는 상기 제1의 포크형 받침대(A), (B)의 각각의 포크부재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승강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제2의 포크형 받침대(a), (b)를 상기 제1의 포크형 받침대(A), (B)보다도 하강시킨 상태 및 상승시켜서 차량을 싣은 상태에서 각각 주행 가능한 대차와, 상기 제1의 포크형 받침대(A), (B) 또는 상기 제2의 포크형 받침대(a), (b)의 어느 한쪽을 다른쪽에 대하여 승강시키는 승강대(41)로 이루어지는 입체주차장.
  6. 차량을 격납하는 선반의 각각에 상기 차량의 차륜의 각각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35), (36)를 설치하며, 스테커크레인(1)의 주행로의 양측에 상기 선반을 각각 다수 설치한 두개의 선반군(5), (6)과, 상기 선반군(5), (6)의 내부와 외부와의 접속구로 되는 2개의 이재구(10), (10a), (11)와 상기 선반과의 사이에서 차량을 싣고 주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의 전후의 차륜의 사이의 보디의 하면을 지지하는 포크(1a), (1b)를 가진 스테커크레인(1)과, 상기 스테커크레인(1)의 주행범위 밖에 있으며, 상기 2개의 선반군(5), (6)의 일단측에 설치되고, 차도에 연통되는 제1의 입출고구(17), (17a)와, 상기 스테커크레인(1) 주행범위 밖에 있으며, 상기 2개의 선반군의 일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의 입출고구(17), (17a)와는 다른 용도에 사용되는 제2의 입출고구(13), (13a)와, 상기 스테커크레인(1) 주행범위 밖에 설치한 제3의 입출고구(23), (24)와 상기 제3의 입출고구(23), (24)와 상기 제2의 입출고구(13), (13a)와의 사이에서 차량을 매달고 제3의 입출고구(23), (24), 상기 제2의 입출고구(13), (13a) 및 상기 제1의 입출고구(17), (17a)보다도 높은 곳을 주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의 전후의 차륜 사이의 보디의 하면을 지지하는 매달림구(27b)를 가진 반송차(27)와, 사기 이재구(10), (10a), (11), 상기 제1의 입출고구(17), (17a) 및 제2의 입출고구(13), (13a)의 각각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의 차륜의 각각을 지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포크부재를 소정 간격으로 배열하고 동시에 상기 착량의 폭 방향과 일단측과 타단측으로 2분하는 제1의 포크형 받침대(A), (B)와 상기 이재구(10), (10a)와 상기 제2의 입출고구(13), (13a)와의 사이의 각각에서 상기 차량을 싣고 상기 반송차(27)보다도 낮은 곳을 주행하는 2대의 대차(15), (19)이며, 상기 차량의 차륜의 각각을 지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포크 부재를 소정간격으로 배열한 제2의 포크형 받침대(a), (b)를 구비하며, 제1의 입출고구(17), (17a)와의 사이 및 상기 이재구(11)와 상기 제2의 포크형 받침대(a), (b)는 상기 2분된 제1의 포크형 받침대(A), (B)의 사이를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으로 통과 가능한 받침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의 포크형 받침대(a), (b)의 각각의 포크부재가 상기 제1의 포크형 받침대(A), (B)의 각각의 포크부재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승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의 포크형 받침대(a), (b)를 상기 제1의 포크형 받침대(A), (B)보다도 하강시킨 상태 및 상승시켜서 차량을 실은 상태에서 각각 주행 가능한 대차(15), (19)와, 상기 제1의 포크형 받침대(A), (B) 또는 상기 제2의 포크형 받침대(a), (b)의 한쪽을 다른쪽에 대하여 승상시키는 승강대(51)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입체주차장.
KR1019870008425A 1986-10-08 1987-07-31 입체주차장 KR920001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6-237935 1986-10-08
JP61237935A JPH0733731B2 (ja) 1986-10-08 1986-10-08 立体駐車場
JP237935 1986-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335A KR880005335A (ko) 1988-06-28
KR920001358B1 true KR920001358B1 (ko) 1992-02-11

Family

ID=17022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8425A KR920001358B1 (ko) 1986-10-08 1987-07-31 입체주차장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33731B2 (ko)
KR (1) KR9200013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057U (ko) * 1990-06-26 1992-03-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33731B2 (ja) 1995-04-12
KR880005335A (ko) 1988-06-28
JPS6393970A (ja) 198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5405B (fi) Hiss- och transportanordning foer fordon.
KR920001358B1 (ko) 입체주차장
KR910006191B1 (ko) 입체창고
KR910006192B1 (ko) 입체주차장
KR900006056B1 (ko) 입체 주차장
KR910006194B1 (ko) 입체주차장
JPH0796856B2 (ja) 立体駐車場
JP2643863B2 (ja) 立体駐車場
JPS6393971A (ja) 立体駐車場
JP3448037B2 (ja) 平面往復式駐車装置
JPH0642217A (ja) 多段式駐車装置
JPH0617554A (ja) 立体駐車装置
JPS6393969A (ja) 立体駐車場
JPH03202571A (ja) 走行台車の移動式通路を設けた駐車装置
JPH0339572A (ja) 地下式立体駐車装置
JPH06221018A (ja) 立体駐車場
JP2643864B2 (ja) 立体駐車場
JPH06221017A (ja) 立体駐車場
JP2606604B2 (ja) 立体駐車場
JP4379850B2 (ja) 複数の入出庫口を有する3縦列型昇降式駐車装置
JPH0355717Y2 (ko)
JPH04353173A (ja) 立体駐車装置
JPH0733729B2 (ja) 立体駐車場
JPH0733728B2 (ja) 立体駐車場
JPH0464671A (ja) 立体駐車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2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