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589B1 - 입체 주차장과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입체 주차장과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589B1
KR910002589B1 KR1019850005454A KR850005454A KR910002589B1 KR 910002589 B1 KR910002589 B1 KR 910002589B1 KR 1019850005454 A KR1019850005454 A KR 1019850005454A KR 850005454 A KR850005454 A KR 850005454A KR 910002589 B1 KR910002589 B1 KR 910002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pallet
conveyors
transfer device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5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1269A (ko
Inventor
시로 스기찌
다까히사 기류
고노스께 야마무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60001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입체 주차장과 그 작동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한 실시예의 입체 주차장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횡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체인 컨베이어의 주변의 종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세로 이송용 로울러 컨베이어의 주변의 종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측면도.
제6도는 제1도의 공 팰리트 이재장치의 종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B-B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C-C단면도.
제9도는 제6도의 공 팰리트 이재장치의 공 팰리트를 공급하는 수순의 설명도.
제10도는 제6도의 공 팰리트 이재장치에 의한 공 팰리트의 단적(段積) 설명도.
제11도는 제1도의 출고 수순의 설명도.
제12도는 제1도의 입고 수순의 설명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입체 주차장의 평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입체 주차장의 종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D-D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스태커 크레인 3, 4 : 레일
10, 11 : 선반군 15 : 입고부
16,17,21,22,45,46,50,51,56,57,60,61,71,80,81,100,101 : 컨베이어
20 : 출고부 40 : 체인 컨베이어
47, 75, 76, 82 : 리프터 55 : 턴테이블
70 : 공 팰리트 이재장치
본 발명은 팰리트를 사용하여 차량을 격납하는 입체 주차장의 입출고 장치 및 그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입출고라 함은 입고와 출고중 어느 하나를 말한다.
입체 주차장은 여러가지 형식이 있으나, 비교적 대형의 것으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소 제55-15587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방식이 있다.
이것은 진퇴자유로운 포크(fork)를 갖춘 스태커 크레인과,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 방향의 양측에 설치한 선반군과, 선반군의 일단에서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설치한 입출고용 컨베이어로 구성된다. 입출고용 컨베이어의 일단이 입고구, 타단이 출고구로 되어 있다. 차량은 팰리트에 올려져 반송된다. 스태커 크레인의 양측의 선반군의 한쪽은 입출고용 컨베이어에서 선반군으로 입고하는 입고부로되어 있고, 다른쪽은 선반군에서 입출고용 컨베이어로 출고하는 출고부로 되어 있다. 이 입고부와 출고부는 컨베이어로 구성된다.
그 운전을 설명하면, 입출고용 컨베이어에 의하여 반송된 입고시킬 팰리트가 선반군의 입고부에 이송될때, 선반군의 출고부로부터는 출고할 팰리트가 입출고용 컨베이어에 옮겨진다. 입출고용 컨베이어에 옮겨진 팰리트는 출고부로 운반되어 그 위에 있는 차량을 출고한다. 남은 팰리트는 이 입출고용 컨베이어에 병렬로 설치된 회송용 컨베이어에 의하여 입고부로 옮겨진다. 차량을 선반군에 입고할 때, 출고할 차량이 없는 경우에는 공 팰리트를 선반군으로부터 입출고 컨베이어로 옮긴다. 또한 차량을 선반군으로부터 입출고용 컨베이어에 욺길 때 입고해야할 차량이 없는 경우는 공 팰리트를 입출고용 컨베이어로부터 선반군에 욺긴다.
즉, 입출고용 컨베이어와 선반군의 사이에서 차량의 유무에 관계없이 입고와 출고가 동시에 행하여지도록되어 있다.
그러므로 스태커 크레인은 입고된 팰리트를 선반군으로 옮기고 또 출고해야할 팰리트를 선반군으로부터 출고부로 옮기게 된다. 이것을 한 사이클로하고, 이것을 종료한 후 다음의 입출고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 장치는 자동차의 조립 라인의 주차장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주차장에서 요구되는 것은 입고를 희망한 후, 실제로 입고되기 까지의 입고 대기시간이 짧아야 된다는 것이다. 특히, 대규모외 점포, 휴양지. 일반 빌딩등의 주차장에서는 입고시킬 차량이 쇄도하는 시간대가 있으므로, 이 경우 그 대기시간이 될 수 있는한 짧아야 된다는 것이 요망된다. 출고시에도 시간대가 있으므로 그 대기시간도 짧아야 된다는 것이 요망된다. 일반적으로는 입고와 출고가 모두 대기시간이 짧을 것이 요망되나 경우에 따라 그 어느 한쪽을 우선 시킬수도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공보소 제51-141178호에 나타낸 것은 선반군의 일단에 입고구, 타단에 출고구를 설치하고, 입고구의 근방에는 입고구에 공 팰리트를 공급하는 공 팰리트 디팰리타이저(depalletizer)를 설치하고, 출고구의 근방에는 출고구의 공 팰리트를 회수하는 공 팰리트 집적기(集積機)를 설치한다. 공 팰리트 디팰리타이저는 단적된 팰리트를 하나씩 분해하여 공급한다. 공 팰리트 집적기는 회수한 팰리트를 단적한다. 소정 매수를 단적하면, 스태커 크레인에 의하여 선반군 포는 공 팰리트 디팰리타이저로 운반한다. 또 출입구부에 턴테이블을 설치하여, 차량의 방향전환을 행하는 것은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소 제59-21868호에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고 또는 출고에 요하는 어느 한쪽이나 쌍방의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격납 영역인 입출고부와 입체 주차장 밖의 입출고구의 차도와의 사이에 턴테이블을 설치하고, 이 턴테이블에 두개의 컨베이어를 수평방향으로 병열로 설치하고, 이 두개의 컨베이어의 일단을 차도에 이어 접속시키고, 타단을 상기 입출고부에 이어 접속시켜, 상기 두개의 컨베이어와 입출고부와의 사이에 공 팰리트 이제장치를 설치하고, 공 팰리트 이제장치가 입출고부와의 사이에서 단적 팰리트를 주고 받을 수 있고, 또한 상기 두개의 컨베이어중 한쪽의 컨베이어와의 사이에서 한장의 팰리트를 주고 받을 수 있게 설치하고, 턴테이블에서 차량이 실린 팰리트와 공 팰리트를 동시에 회전시키게 하여 시간 단축을 도모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1도 내지 제11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차량의 수출을 위하여 항구에 인접된 곳에 설치된 입체 주차장이다. 요점을 설명하면, 입고는 한대 단위이고, 출고는 두대 단위로 한다. 입고구에는 턴테이블이 있으며, 이는 출고구가 되기도 한다. 턴테이블이 없는 구멍은 출고구로되어 있다. 도면에서 1은 입체 주차장의 건물이고, 다음과 같은 설비가 배치된다. 2는 스태커 크레인이고, 4대가 병설된다. 스태커 크레인(2)은 하부레일(3), 상부레일(4)을 따라 주행한다. 스태커 크레인(2)은 승강대(5)를 갖추고, 좌우의 선반에 각각 단독으로 돌출될 수 있는 포크(6)가 설치된다.
이 승강대(5) 및 포크(6)는 최대 두개의 팰리트를 동시에 취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팰리트를 한개만 취급할 수도 있다. 스태커 크레인(2)의 주행 방향의 양측에는 다수의 격납 선반이 있는 선반군(10),(11)을 구비한다.
선반군(10),(11)은 차량의 길이 방향을 스태커 크레인(2)의 주행 방향에 평행하게 격납되도록 구성한다. 선반군(10),(11)의 각 단의 높이는 동일하다. 한대의 스태커 크레인(2)과 양측의 선반군(10),(11)을 1조로하여 4조가 병설된다. 차량의 입출고구 및 선단군의 입출고부는 각조가 모두 원칙적으로 동일하게 설치된다.
상기 조별 호칭번호는 제1도의 윗쪽으로부터 제1조, 제2조......로 한다. 그리고 스태커 크레인의 호칭번호도 제1도의 윗쪽으로부터 시작된다.
15는 선반군(10)의 끝부에 설치한 스태커 크레인용의 입고부이고, 로울러 컨베이어(16),(17)로 구성된다. 20은 선반군(11)의 끝부에 설치한 스태커 크레인용의 출고부이고, 로울러 컨베이어(21),(22)로 구성된다. 이 입고부(15), 출고부(20)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반군(10),(11)의 제1단의 1행째, 2행째의 공간(1A)에 있다. 이 부분은 격납 선반으로 구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행(行)은 제1도의 좌단으로부터 계수하고 우단의 선반이 10행째가 된다. 입고부(15), 출고부(20)의 로울러 컨베이어(16),(17),(21),(22)는 스태커크레인(2)의 주행 방항으로 회전한다. 로울러 컨베이어(17),(21)의 길이는 팰리트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다. 로울러 컨베이어(16),(22)의 길이는 팰리트의 길이보다 충분히 길다. 로울러 컨베이어(16),(17),(21),(22)는 포크(6)에 의하여 팰리트를 취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40은 두열의 평행한 체인(40a),(40b)으로 구성된 체인 컨베이어이고, 팰리트를 스태커크레인(2)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항으로 반송한다. 체인 컨베이어(40)는 팰리트를 그 짧은쪽 방향으로 반송한다. 각각의 체인 컨베이어(40)는 일조의 출고부로부터 입고부까지 전방에 배치되며 합계 4대가 설치된다.
45,46은 스태커 크레인(2)의 주행 방향으로 팰리트를 반송하는 로울러 컨베이어이고, 두열의 체인(40a),(40b)의 사이에서 입고부(15)와, 출고부(20)의 그 각각의 전방에 설치된다. 그리고 체인 컨베이어(40)는 로울러 컨베이어(45),(46)의 양단을 관통한다.
50,51은 스태커 크레인(2)의 주행 방항으로 팰리트를 반송하는 로울러 컨베이어이고, 그 길이는 팰리트의 길이보다 충분히 길다. 일조의 로울러 컨베이어(50),(51)는 제1및 제2의 스태커 크레인(2)의 전방에 설치되고, 이들은 평행하다. 제3 및 제4스태커 크레인(2)에는 로울러 컨베이어(51)가 설치되지 않는다.
제3도에 있어서, 체인 컨베이어(40)의 상면은 로울러 컨베이어(16),(22),(50),(51)의 상면보다 낮다. 로울러 컨베이어(45),(46)는 각각 리프터(47)의 위에 올려진다. 로울러 컨베이어(45)의 상승시 상면의 위치는 로울러 컨베이어(16)의 상면과 동일하다. 로울러 컨베이어(46)의 상승시 상면의 위치는 로울러 컨베이어(22),(50)의 상면과 동일하다. 로울러 컨베이어(45),(46)가 하강했을 때의 상면은 체인 컨베이어(40)의 상면보다 낮다.
로울러 컨베이어(22),(16)와, 다른쪽 로울러 컨베이어(50),(51) 및 후술하는 공 팰리트 이재장치(70)의 사이의 칫수(L)는 체인 컨베이어(40)에 의하여 팰리트를 팰리트의 짧은쪽 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제1도에서, 55는 턴테이블이고, 로울러 컨베이어(56),(57)를 평행으로 올려 놓는다. 로울러 컨베이어(56),(57)의 길이는 팰리드의 길이와 거의 같다. 60은 입고부의 로울러 컨베이어이고, 그 길이는 두대 분의 팰리트의 길이보다 충분히 길다. 턴테이블(55) 및 로울러 컨베이어(60)는 제1의 스태커 크레인(2) 및 제2의 스태커 크레인(2)의 열에 설치된다.
제3 및 제4의 스태커 크레인(2)의 조에는 턴테이블(55)을 설치하지 않고, 출고구로서의 로울러 컨베이어(61)를 설치한다. 로울러 컨베이어(61)의 길이는 두대분의 팰리트의 길이보다 충분히 길다.
로울러 컨베이어(60),(61)의 주위는 보도로 되어 있다. 또 로울러 컨베이어(60),(61)의 좌측은 차도(65)이다. 그리고 로울러 컨베이어(60),(61)의 각 로울러 사이는 덮혀져 있어, 차량이 주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로울러 컨베이어(60),(61)는 길이 방향으로 두개로 나누어져 있어, 출고시 두대의 차량사이에 적당한 차사이의 거리를 얻을 수 있도록 운전된다.
출고용의 로울러 컨베이어(21)(22)(46),(50),(56),(60),(61)는 일직선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로울러 컨베이어(51),(57)는 직선상으로 배치되고, 스태커 크레인(2)의 주행로의 전방에 설치된다.
70은 공 팰리트를 공급하거나 또는 공 팰리트를 회수하여 단적하는 장치이며. 이것을 이하에서는 공 팰리트 이재장치라 부른다. 상기와 같이 이 종류의 장치의 기본은 공지이나, 각조의 공 팰리트 이재장치(70)는 차량의 출고로 인하여 생긴 공 팰리트를 로울러 컨베이어(50),(51)측으로부터 받아서 단적한다. 소정 매수의 공 팰리트를 단적하면, 선반군(10),(11)에 격납하도록 로울러 컨베이어(45)에 출고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조의 공 팰리트 이재장치(70)는 다시 단적된 공 팰리트를 로울러 컨베이어(45)로부터 받아서 이 공 팰리트를 한때 단위로 로울러 컨베이어(51)측으로 출고한다.
공 팰리드 이재장치(70)와 로울러 컨베이어(45),(16),(17)는 일직선으로 설치되며 이 공 팰리트 이재장치(70)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도, 제4도, 제5도에 있어서, 71은 세로 이송용 로울러 컨베이어이고, 로울러 컨베이어(50),(51)를 관통한다. 로울러 컨베이어(71)는 스태커 크레인(2)의 포크(6)의 간격에 의해 배치한 두열의 로울러(71a),(71b)로 이루어지며, 각각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프터(75),(76)위에 올려져 있다. 로울러 컨베이어(71)의 상승시의 상면은 로울러 컨베이어(50),(51)의 상면보다 높아지고, 하강시에는 로울러 컨베이어(50),(51)의 하면 보다도 낮아진다. 로울러 컨베이어(71)의 로울러열(71a),(71b)은 로울러 컨베이어(50),(51)의 로울러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로울러 컨베이어(50),(51)의 로울러 구동용 체인은 로울러 컨베이어(71)의 승강에 지강이 없는 위치에 설치된다.
공 팰리트 이재장치(70)에 관하여 제6도 내지 제8도에 따라 설명한다. 공 팰리트 이재장치(70)의 하부에는 단적된 공 팰리트를 스태커 크레인(2)의 주행 방항으로 반송하는 로울러 컨베이어(80)가 설치된다. 이 로울러 컨베이어(80)의 상면은 로울러 컨베이어(16),(50),(51)의 상면과 동일하다. 로울러 컨베이어(80)의 로울러의 사이에는 상기 로울러 컨베이어(71)의 연장선상에 두열의 로울러(81a),(81b)로 구성되는 로울러 컨베이어(81)가 설치된다. 로울러 컨베이어(81)는 리프터(82)에 올려져 있다. 리프터(82)의 하강시에 로울러 컨베이어(81)는, 로울러 컨베이어(80) 보다 낮다. 리프터(82) 및 리프터(75),(76)가 상승했을 때는 로울러 컨베이어(81),(71)는 동일한 높이가 된다.
공 팰리드 이재장(70)의 상부는 단적 공 팰리트(85)의 수납부이고, 팰리트(85)를 수납하는 틀(86)과, 단적 팰리트를 지지하는 래치트(87) 및 이것을 진퇴시키는 실린더(88)로 구성된다. 래치트(87)는 좌우 모두 합쳐 4개가 있으며, 최하단의 팰리트(85)를 지지한다. 틀(86)의 로울러 컨베이어(71)측에는 한개의 팰리트(85)를 통과시키는 개구(90)가 있고, 로울러 컨베이어(45)측에는 단적 공 팰리트가 통과하는 개구(91)가 있다. 그리고 이 개구(91)쪽에 팰리트의 길이 방향의 끝부를 정렬시키는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단적 팰리트가 통과할 때는 개구(91)밖에 위치시키면 된다.
이 공 팰리트 이재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공 팰리트를 공급하는 경우에 대하여 제9도에 따라 설명한다. 도면에서 ①,②와 같이 리프터(82)의 작동에 의하여 로울러 컨베이어(81)가 최하단의 제1레벨로부터 제4레벨까지 상승하고, 단적 공 팰리트(85)를 약간 밀어 올린다.
다음에 ③과 같이 래치트(87)가 후퇴한다. 다음에 ④와 같이 로울러 컨베이어(81)가 팰리트 1단분을 하강하여 제3레벨이 되고, 이 상태에서 래치트(87)가 돌출하여 2단째의 팰리트(85)를 지지한다. 다음에 ⑤에나타낸 바와 같이 상승한 로울러 컨베이어(71)와 동일 높이의 제2레벨로 하강한다. 이 상태에서 로울러 컨베이어(81)가 동작하며 팰리트(85)를 로울러 컨베이어(71)에 반송한다. 다음에 이 상태릍 유지하거나 ① 또는 ②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하여, 소정수의 팰리트를 공급하면, 로울러 컨베이어(81)는 최하단의 제1레벨까지 하강하고, 또 래치트(87)을 후퇴시켜 로울러 컨베이어(80)를 운전하여, 개구(91)측부터 단적 팰리트의 공급을 받는다. 그리고 로울러 컨베이어(81)를 제4레벨까지 상승시키고, 래치트(87)를 돌출시킨다.
다음에 공 팰리트(85)를 단적하는 경우에 관하여 제10도에 의해 설명한다. ①과 같이 로울러 컨베이어(80)보다도 높은 제2의 레벨의 위치에서 로울러 컨베이어(81)를 운전하고, 로울러 컨베이어(71)로부터 공팰리트(85)를 회수한다. 다음에 ②,③과 같이 제3레벨까지 상승시키고 래치트(87)을 후퇴시킨다. 다음에 ④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레벨까지 상승시키고, 최하단의 팰리트(85)에 래치트(87)을 삽입한다. 그리고 로울러 컨베이어(81)는 ①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하여 소정 매수의 팰리트를 회수하면, 로울러 컨베이어(81)를 제3레벨까지 상승시키고, 래치트(87)를 후퇴시켜, 제1레벨까지 하강시킨다. 그리고 로울러 컨베이어(80)에 의해 로울러 컨베이어(45)로 반송한다.
각 로울러 컨베이어(16),(17),(21),(22),(45),(46),(50),(51),(56).(57),(60),(61)(71),(80),(81)는 단독으로 팰리트를 반송한다.
다음에 전체의 입출고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출구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각 조의 선반군에는 출고부(20), 출고용 로울러 컨베이어(60),(61)가 있으므로, 원칙적으로 어떤조의 선반의 차량은 그 전방의 출고용 로울러 컨베이어(60),(61)에 출고된다. 출고지령이 주어진 각 스태커 크레인(2)은 수평방향으로 인접된 두개의 선반에서 각각 차량을 실은 팰리트를 끌어내고, 각 출고부(20)에 내린다. 이때 차량의 전면은 좌측을 향한다.
출고시에 로울러 컨베이어(46)는 상승하고, 로울러 컨베이어(71)는 하강하며, 체인 컨베이어(40)는 정지한다. 로울러 컨베이어(21),(22),(46),(50),(56) 및 (60),(61)은 좌측을 향하여 회전한다. 따라서 로울러 컨베이어(21),(22)에 내려진 차량이 실려있는 팰리트는 로울러 컨베이어(46),(50),(56)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로울러 컨베이어(60) 또는 (61)에 일직선으로 출고된다. 로울러 컨베이어(60),(61)에 출고되므로서 운전자가 승차한 후 전진하여 차도(65)로 출고된다. 턴테이블(55)을 가진 열의 출고 및 출고에 의해 생긴 공 팰리트의 회수에 관하여 제11도에 의해 설명한다. 도면에서 삼각표시의 의미는 도면중에 설명된 바와 같다. 단적 팰리트라 함은 공 팰리트를 복수매 단적한 것을 말한다. 그리고 삼각표시의 방향은 차량의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좌측방향 우측방향 우측세로방향 하측방향 등은 제1도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이것은 제12도의 경우도 동일하다.
제11도에서 먼저 ①과 같이 스태커 크레인(2)은 차량을 실은 두개의 팰리트를 출고부(20)의 스테이션에 내린다. 한대의 차량을 실은 팰리트는 로울러 컨베이어(21)에 위치하고, 다른 한대의 차량을 실은 팰리트는 로울러 컨베이어(22)의 우측에 위치한다. 팰리트상의 차량은 좌측 방향을 향한다.
다음에 로울러 컨베이어(21),(22),(46),(50),(56),(60)는 운전되고 있으므로 ②∼⑦과 같이 두개의 차량을 실은 팰리트는 직선 반송된다. 두대의 차량을 실은 팰리트가 로울러 컨베이어(60)에 도달하면, 로울러 컨베이어(60)는 정지한다.
여기서 운전자가 승차하고, 차도(65)로 전진시켜 출고한다. 따라서 차량은 각 컨베이어를 직선모양으로 반송하므로, 출고가 빨리 행해진다. 그리고 차량은 전진방향으로 출고구에서 출고되므도 출고가 용이하다. 또한 두대의 차량은 한꺼번에 출고된다.
출고되면 ⑧과 같이 로울러 컨베이어(60)에 두대의 공 팰리트가 남는다. 이 공 팰리트의 회수에 대하여 설명한다. 출고하면 로울러 컨베이어(60),(56),(50)를 우측방향을 향하여 회전시킨다. 선두의 공 팰리트가 로울러 컨베이어(56)를 통과하면 로울러 컨베이어(56),(60)의 운전을 정지시킨다. 로울러 컨베이어(50)의 운전은 계속시키고, 공 팰리트가 세로 이송용 로울러 컨베이어(71)의 상방에 위치하면, 로울러 컨베이어(71)가 상승하고, 공 팰리트를 공 팰리트 이재장치(70)를 향하여 반송한다. 공 팰리트 이재장치(70)는 상기와 같이 공 팰리트를 받아서 단적한다.
공 팰리트 이재장치(70)가 공 팰리트를 회수하면, 로울러 컨베이어(71)가 하강하고 로울러 컨베이어(56)가 기동되고, 상기와 동일한 수순으로 다음의 공 팰리트를 공 팰리트 이재장치(70)로 회수한다.
이상과 같은 공 팰리트 회수를 ⑧∼⑩∼③에 의해 나타낸다. 단 제11도에서 전체적인 수순은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공 팰리트의 회수 작업을 행하는 도중에 ①과 같이 출고구(20)의 스태이션에 다음의 차량 실은 팰리트가 출고되면 상기 동일하게 출고 작업을 행한다. 그러나 두개의 공 팰리트의 회수가 완료되기까지는 로울러 컨베이어(50)에 차량 실린 팰리트를 옮길수가 없으므로, ③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두의 차량을 실은 팰리트가 로울러 컨베이어(46)위에 실리면 로울러 컨베이어(46),(22)는 회전을 정지하고 대기한다. 두장의 공 팰리트를 회수하면 로울러 컨베어어(46),(22)가 기동하여 출고 작업을 재개한다.
이와 같이 공 팰리트의 회수 작업과 출고 작업을 병열로 행할 수가 있으므로, 출고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공 팰리트 이재장치(70)에 소정 매수의 공 팰리트가 회수되면, 이 복수의 공 팰리트를 선반군(10),(11)의 빈 선반에 되돌리는 작업을 행한다. ⑤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매수의 공 팰리트가 단적되면, 단적 팰리트는 공 팰리트 이재장치(70)로부터 그 우측의 로울러 컨베이어(45)를 행하여 출고된다. 이때 로울러 컨베이어(45)는 상승하여 우측 방항을 향하여 회전한다. 그리고 입고 스테이션의 로울러 컨베이어(16),(17)도 우측 방향을 향하여 회전하므로, ⑤∼⑦과 같이 반송된다. 이 경우에는 로울러 컨베이어(17)에 이미 반송된 단적 팰리트가 있으므로 로울러 컨베이어(17)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두개의 단적 팰리트가 입고되면, 스태커 크레인(2)은 선반군(10),(11)의 빈 선반에 격납된다. 단적 공 팰리트의 입고부(15)로의 회수 작업과 출고 작업은 병열로 행할수가 있으므로 출고를 빨리 할 수가 있고, 공 팰리트 이재장치(70)로부터 입고부(15)로의 이송은 복수대의 출고에 대하여 한회로 가능하기 때문에 출고를 보다 빨리 할 수가 있다.
두대 단위로 출고하므로 단적 수는 짝수가 좋다. 이 단적수는 스태커 크레인(2)의 취급 가능 중량 등에 의하여 결정된다. 턴테이블(55)을 갖지 않는 열의 출고, 횟수도 상기한 바와 같다. 로울러 컨베이어(61)는 로울러 컨베이어(56),(60)로 구성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다음에 입고 작업에 대하며 설명한다. 입고는 한대 단위로 행해진다. 입고는 입출고구의 로울러 컨베이어(60)를 이용하여 행한다. 입고 차량은 전진 운전에 의해 로울러 컨베이어(60)에 올라가고, 턴테이블(55)에 의하여 방향을 바꾸어 뒤돌아선 상태로 선단에 격납된다. 입고용 공 팰리트는 공 팰리트 이재장치(70)에서 공급된다.
로울러 컨베이어(60)를 갖는 조의 선반군이 다차면 차량이 실린 팰리트는 복수의 체인 컨베이어(40)에 의하여 세로 방향으로 반송되어, 로울러 컨베이어(61)가 있는 조의 선반군에 격납된다.
제12도에 의해 입고작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의 기호는 제11도와 동일하다. ①과 같이, 입출고구의 로울러 컨베이어(60)의 좌측끝에 한개의 공 팰리트가 실리고, 입고 대기 상태로 된다.
차량은 차도(65)로부터 전진 방향으로 진입하여 공 팰리트 위에 실린다. 운전자는 하차하여 그 근방의 제어장치의 단발기를 조작하여, 입고를 지령한다. ②∼③과 같이 로울러 컨베이어(60),(56)는 우측을 향하여 회전하여 차량이 실린 팰리트를 반송한다. ④와 같이 차량이 실린 팰리트가 로울러 컨베이어(56)에 실리면 로울러 컨베이어(56),(60)는 정지하고, 턴테이블(55)이 상승하여 180° 회전한 후 하강한다. 차량은 뒤로 향하게 된다.
다음에 ⑤와 같이 로울러 컨베이어(56),(51)가 우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차량 실은 팰리트를 세로 이송용 로울러 컨베이어(71)의 윗쪽으로 반송한다. 다음에 ⑥과 같이, 로울러 컨베이어(71)가 상승하여 로울러 컨베이어(50)측으로 반송된다.
다음에 ①과 같이 차량 실은 팰리트가 로울러 컨베이어(50)의 위치에 도달하면, 로울러 컨베이어(71)가 하강하고, 로울러 컨베이어(50),(46)에 의하여 선반군(11)측을 향하여 반송한다.
이때 로울러 컨베이어(46)는 상승되어 있다. 차량이 실린 팰리트가 로울러 컨베이어(46)위에 실리면 로울러 컨베이어(46)는 하강하고, 차량이 실린 팰리트를 체인 컨베이어(40)에 옮긴다.
②∼③과 같이 체인 컨베이어(40)가 기동하여 차량이 실린 팰리트를 아랫쪽으로 반송한다. 차량이 실린 팰리트가 입고부(15)의 선방에 도달하면, 체인 컨베이어(40)는 정지하고, 로울러 컨베이어(45)가 상승한다. ④∼⑥과 같이 로울러 컨베이어(40) 및 입고부(15)의 로울러 컨베이어(16)가 우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입고부(15)에 입고된다.
도면에서는 이미 로울러 컨베이어(17)에 차량이 실린 팰리트가 실려져 있으므로, 로울러 컨베이어(17)는 운전하지 않는다. 차량이 실린 팰리트 무게가 입고하면, 스태커 크레인(2)이 선반에 격납한다. 두대 단위이기 때문에 스태커 크레인(2)의 작동 효율이 상승된다.
이와 같이 전진 방향으로 입고된 차량은 턴테이블(55)에 의해 반전되어 뒤돌아선 방향이 되고 그 상태로 격납된다. 그러므로 출고시에는 전진 방향으로 출고가 되는 것이다.
체인 컨베이어(40)는 각조의 열별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 단독으로 운전된다.·그러므로 제1조의 입고구(60)로의 입고 시기와 제2조의 입고구(60)로의 입고 시기가 서로 다르다 할지라도, 체인 컨베이어(40)는 차량이 실린 팰리트를 반송할 수가 있는 것이다.
다음에 로울러 컨베이어(60)로의 입고용 공 팰리트의 공급에 관하여 제12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②와 같이 차량이 실린 팰리트가 로울러 컨베이어(46)에 옮겨지면, 상승한 로울러 컨베이어(71)에 공 팰리트 이재장치(70)로부터 한장의 공 팰리트가 공급된다. 로울러 컨베이어(71)는 공 팰리트를 로울러 컨베이어(51)에 반송한 다음 하강한다.
③과 같이 로울러 컨베이어(51) 및 턴테이블(55)의 로울러 컨베이어(57)가 좌측방향으로 운전되어 공 팰리트를 반송한다. 로울러 컨베이어(57)에 공 팰리트가 실리면 로울러 컨베이어(57)는 정지하고 입고에 대비한다. 턴테이블(55)의 로울러 컨베이어(56), (57)에 각각 차량이 실린 팰리트와 공 팰리트가 실리면, 4와 같이 턴테이블(55)이 회전한다. 다음에 로울러 컨베이어(57),(60)가 기동하고, 입고에 대비한다.
이와 같이 입고와 공 팰리트의 공급이 동시에 행해지므로, 입고가 정체되는 일이 없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공 팰리트 이재장치(70)로의 단적 팰리트의 공급에 관하여 제12도에 의해 설명한다.
1과 같이 스태커 크레인(2)에 의하여 출고부(20)에 제2조의 단적 팰리트가 출고되어 있다. 그리고 ②∼③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두의 단적 공 팰리트는 로울러 컨베이어(22)의 좌단으로 반송되고, 출고 대기로된다.
단적 팰리트의 출고 지령이 주어지면, ④와 같이 로울러 컨베이어(46)에 실려져 ⑤와 같이 체인 컨베이어(40)에 의하여 공 팰리트 이재장치(70)의 전방까지 반송된다. 그리고 로울러 컨베이어(45)가 상승하여 단적 팰리트를 공 팰리트 이재장치(70)에 공급한다.
로울러 컨베이어(22)로부터 로울러 컨베이어(46)로의 이송은 차량이 실린 팰리트가 입고부(15)의 전방으로 이송되고, 체인 컨베이어(40)의 운전이 정지되어 있을 때가 좋다. 출고부(20)로부터의 단적 팰리트의 출고는 복수대의 입고에 대하여 일회이기 때문에 출고를 보다 빨리 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입고를 행하고, 제1조와 제2조의 선반군이 가득차게되어 제3조와 제4조의 선반군에 격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조의 로울러 컨베이어(60)에 입고된 차량을 제3조의 선반군에 격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량이 실린 팰리트가 로울러 컨베이어(60),(56),(51),(71),(50),(46)와 체인 컨베이어(40)를 순차적으로 반송하는 것은 상기한 입고의 경우와 동일하다. 단, 차량 실은 팰리트가 로울러 컨베이어(45)의 상방에 도달해도, 제1스태커 크레인 조의 로울러 컨베이어(45)는 상승하지 않고, 또 체인 컨베이어(40)는 운전을 계속한다. 그리고 제2조 및 제3조의 체인 컨베이어(40)도 운전한다. 그러므로 차량 실은 팰리트는 제2체인 컨베이어(40), 제3체인 컨베이어(40)로 반송된다. 차량 실은 팰리트가 입고되어야할 조의 입고부(15)의 전방에 도달하면, 이 조의 로울러 컨베이어(45)가 상승하여 입고부(15)에 반송한다.
또한, 이 경우 제2조의 체인 컨베이어(40)와 로울러 컨베이어(45),(46)의 팰리트들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시간 조정이 필요하다.
제3조와 제4조의 선반군에 격납되어 있는 단적 팰리트의 제1조, 제2조의 공 팰리트의 이재장치(70)로의 출고는 복수의 체인 컨베이어(40)등의 운전에 의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제1조와 제2조에 격납한 차량을 출고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혹은 차종별 격납을 위하여, 복수의 체인 컨베이어(40)를 사용하여 격납의 조를 변경할 수가 있다.
이것은 공백 시간대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입고용의 로울러 컨베이어(60)와 출고용의 로울러 컨베이어(61)가 있으므로, 입출고를 동시에 행할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 방향의 일쪽으로 부터 입고를 행하고 이 일단으로 부터 출고를 행하는 것에 있어서 전진 방향으로 입고할 수가 있고, 전진 방향으로 출고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턴테이블(55)에 두개의 컨베이어(56),(57)를 설치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운전시키기 때문에, 한쪽의 컨베이어(56)로 차량이 실린 팰리트를 반송할때에 다른쪽의 컨베이어(57)로는 공 팰리트를 반송하게 되고, 입고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다.
팰리트에는 실려진 차량이 이동하지 않도록 하나의 차륜의 전후에 차량고정용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들어 차량 고정을 차량의 전륜측에만 설치하면, 차량의 전후 방향의 팰리트가 비대칭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턴테이블(55)의 한쪽의 컨베이어(56)에 차도(65)를 접속하고, 다른쪽의 컨베이어(57)에 공팰리트 이재장치를 접속하여 턴테이블에 의해 반전시키고 있으므로, 전후 방향에서 비대칭인 팰리트를 이용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의 입고, 출고, 팰리트의 공급 및 회수의 설명은 기본 동작의 설명이다. 실재로는 컴퓨터를 사용하여 공백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이 좋은 운전을 행할수 있도록 제어할 수가 있다. 그리고, 로울러 컨베이어(16),(22),(60),(61)를 각각 복수로 분할하여 각각 1매의 팰리트를 취급하도록 하므로서, 효율이 좋은 운전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고려된다.
예를들어 입고 작업에 있어서 출고부(20)를 입고용으로 사용하고 입고부(15)를 단적 팰리트의 출고용으로 사용하면, 체인 컨베이어(40)를 사용하지 않은 것보다 입고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제4조의 로울러 컨베이어(40)는 로울러 컨베이어(46) 부분만 있으면 된다. 또 제1조와 제2조와의 사이의 반송을 생각하지 않는다면 제1조의 로울러 컨베이어(40)는 불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턴테이블에 두개의 컨베이어를 설치하고, 그 근방에 공 팰리트 이재장치를 설치하였으므로 차량의 입고와 함께 공 팰리트를 공급할 수가 있어 연속적으로 입고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로울러 컨베이어(61)의 출고를 위한 장치는 턴테이블(55)을 가진 입고 장치와는 관계없이 사용할 수가 있다. 예를들어 제1도의 우측단으로 부터 공지의 수단에 의해 입고 시키도록 해도 좋다.
컨베이어는 주로 로울러 컨베이어로 설명하였으나, 기타 컨베이어로 바꿀 수도 있다. 로울러 컨베이어(70)는 체인 컨베이어로도 좋다. 또 체인 컨베이어(40)는 로울러 컨베이어로 바꾸어도 된다.
그리고 로울러 컨베이어(45),(46),(71)를 승강 자유롭게 설치하였으나, 체인 컨베이어(40), 로울러 컨베이어(50),(51)를 승강 자유롭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입고부(15)와 출고부(20)를 합하여 하나로 한것도 이용될 수 있다. 또 제4조에 있어서, 출고부(20)를 입고용으로하면, 체인 컨베이어(40)의 길이를 짧게할 수가 있다.
공 팰리트 이재장치(70)는 컨베이어(51),(50)의 윗쪽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 공 팰리트 이재장치(70)는 선반군(10),(11)부분 끝부의 하나의 선반에 배치해도 좋다.
이상은 수출용 차량의 입체 주차장에 대한 설명이였으나, 슈우퍼마아켓 등의 일반용으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출고는 1대 단위로 한다.
이 경우 보도를 2층 부분에 설치하고, 1층의 각 입출고구를 계단에 의해 접속하면, 입출고의 차량과 탑승자와의 교차를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안전을 기할 수 있다. 상기 보도는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설치한다.
또 이경우 로울러컨베이어(60)를 입고 전용으로 하면, 입고구, 출고구를 분할할 수가 있어 차량의 교차를 방지할 수가 있고, 입고구의 로울러 컨베이어(60)를 제거할 수가 있다. 또 컨베이어(57)의 바로 앞측(차도65측)에도 컨베이어나 차도를 설치하여 출고시 로울러 컨베이어(60)에 상기와 같이 출고함과 동시에 로울러컨베이어(50),(71),(51),(57)를 경유하여 차량이 실린 팰리트를 출고시킬 수가 있다.
제13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것은 입고구와 출고구를 분할하여, 입고구의 어떤 열에는 스태커 크레인과 선반을 설치하지 않은 것이다. 그리고, 턴테이블(55)의 전방의 로울러 컨베이어(60a)는 입고 전용이 된다. Y3,X1,X2,X4영역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X3는 X2의 구성을 X2에 병열로 설치한 것이다. 그러나 X2에 있어서, Y1에는 체인 컨베이어가 없으므로 이 부분의 로울러 컨베이어(45a),(46a)는 고정된다. 그리고 Y2부에는 로울러 컨베이어(50)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체인 컨베이어(40)의 길이도 짧아진다. X3의 Y2영역에는 로울러 컨베이어(45),(46)가 없다. X1의 Y2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60a는 입고용 로울러 컨베이어이다. Y2의 로울러 컨베이어(60a)는 Y1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입고구의 위치는 Y1,Y2모두 동일하게 할수 있으나, 두개의 예를 나타내기 위하여 양자를 다르게 하였다.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서, Y1의 입고구의 차량 실은 팰리트는 로울러 컨베이어(45a)와 X3열의 반송장치를 경유하여 소정의 선반군에 격납된다. Y2의 입고구에서 입고된 차량 실은 팰리트는 로울러 컨베이어(46)와 X2열의 반송장치 및 X3의 반송장치를 거쳐 격납된다.
출고함에 있어서는 X3의 로울러 컨베이어를 거쳐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출고된다.
제14도, 제15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입고구는 출고구와 다른층으로 되어있고, 모든 조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입고구는 스태커 크레인의 승강 영역내에 설치하였다.
제14도에 있어서, 1층에 출고구의 층을 설치하고, 2층 이상의 소정층에 입고구의 층을 설치하고 있다. 출고구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같으며, 출고를 위한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제15도는 입고구 층의 구성이다. 입고용인 로울러 컨베이어(60a)상의 차량 실은 팰리트는 로울러 컨베이어(56)에 의해 이동하고, 턴테이블(55)에서 반전하며, 로울러 컨베이어(51)를 지나서 직접 선반군(10)의 입고부(15)에 들어간다. 단적 공 팰리트는 출고부(20)의 끝부로부터 승강이 자유로운 로울러 컨베이어(100), 로울러 컨베이어(101)를 거쳐 공 팰리트 이재장치(70)에 공급된다. 공 팰리트 이재장치(70)의 공 팰리트는 승강이 자유로운 로울러 컨베이어(71)로 부터 로울러 컨베이어(51)에 공급된다. 이와같이 하면 입고도 빠르게 된다. 로울러 컨베이어(71)를 폐지하고 공 팰리트 이재장치(70)와 로울러 컨베이어(56)를 직열로 접속해도 좋다. 상기 예에서는 입고구의 반송 설비를 스태커 크레인의 대수 보다 작게 설치하려면, 입고구의 층의 입고부에 입고된 차량 실은 팰리트를 스태커 크레인의 승강체를 사용하여 그 수직 방향의 출고층의 입고부 또는 출고부로 옮기고, 출고층의 체인 컨베이어(40)를 사용하여 다른 열의 선반에 격납한다. 그리고 입고층을 출고층과 다른층에 설치하여, 입고구를 열부의 스태커 크레인의 열에만 설치했을 경우와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고층의 입고용 반송 설비는 제1도, 제2도와 같이 구성한다. 즉 체인 컨베이어(40), 로울러 컨베이어(45),(46),(51),(50)을 갖는다. 그리고 출고층의 출고용 반송 설비와 대응시킨다. 그리고 입고층의 예를들어 로울러 컨베이어(45),(46)는 그 수직 방향의 출고층의 로울러 컨베이어(45),(46)와 공통으로 설치하고, 이 로울러 컨베이어(45),(46)을 입고층과 출고층과의 사이에서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한다. 이 로울러 컨베이어(45),(46)는 차량 실은 팰리트를 탑재하고 승강시키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로울러 컨베이어(71)를 페지하고, 공 팰리트 이재장치(70)와 로울러 켠베이어(56)를 직열로 접속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반선된 차량 실은 팰리트를 컨베이어(51)로 반송할때, 공 팰리트 이재장치(70)로 부터 반전된 컨베이어(57)에 공 팰리트를 공급한다. 팰리트는 전후 대칭인 것을 사용한다. 제1도의 실시예의 경우가 시간 단축을 할 수 있다.
또 공 팰리트 이재장치(70)를 컨베이어(57)의 상방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입고시에 턴테이블에 의해 반전시키고 있으나, 입고시에 직진시켜 입고하고, 출고시에 턴테이블에 의해 반전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턴테이블에 두개의 컨베이어를 병열로 설치하고, 한쪽의 컨베이어를 차도에 이어 접속시키고, 어느 한쪽에 공 팰리트 이재장치를 접속시켜 턴테이블의 부분에서 차량이 실린 팰리트와 공 팰리트의 반송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가 있으므로, 입출고의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2)

  1. 차량이 실린 팰리트를 격납하는 선반을 다수개 가진 선반군(10,11)과 이 선반군(10,11)의 길이 방향의 끝부에 설치한 입고부(15), 출고부(20)와, 상기 선반군(10,11)과 상기 입고부(15), 출고부(20)의 사이에서 상기 팰리트를 반송하는 스태커 크레인(2)으로 구성되는 입체 주차장에 있어서, 상기 입고부(15)의 컨베이어(16,17,45,46)와 입체 주차장 외부의 차도(65)와의 사이에 차도(65)를 향하여 컨베이어(51)와 턴테이블(55)를 차례로 설치하고, 이 턴테이블(55)에 두개의 컨베이어(56,57)를 수평방항으로 병렬로 설치하고, 이 두개의 컨베이어(56,57)중의 한쪽의 컨베이어(56)의 일단을 차도(65)에 이어 접속시키고, 다른쪽인 컨베이어(57)의 타단을 컨베이어(51)에 이어 접속시키고, 상기 컨베이어(5l)의 중간에 공 팰리트 이재장치(70)를 설치하여, 공 팰리트 이재장치(70)가 단적한 팰리트를 상기 출고구(20)와의 사이에서 주고 받을 수 있게 하고 나아가 공 팰리트 이재장치(70)가 단적되어 있는 팰리트를 일매씩 상기 컨베이어(51)를 향하여 공급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주차장.
  2. 제1항에 있어서, 공 팰리트 이재장치(70)가 상기 컨베이어(51)의 수평방항으로 병렬로 설치되어 있고, 공 팰리트 이재장치(70)와 컨베이어(51)와의 사이에서 이 컨베이어(5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동하여 공 팰리트를 반송하는 컨베이어(71)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주차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56)의 일단과 차도(65)와의 사이에 컨베이어(60,60a)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주차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6,17), 상기 컨베이어(51) 및 컨베이어(57)를 일직선으로 배치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주차장.
  5. 차량이 실린 팰리트를 격납하는 선반을 다수개 가진 선반군(10,11)과 이 선반군(10,11)의 길이 방향의 끝부에 설치한 입고부(15), 출고부(20)와 상기 선반군(10,11)과 입고부(15), 출고부(20)와의 사이에서 상기 팰리트를 반송하는 스태커 크레인(2)으로 구성되는 입체주차장에 있어서, 상기 출고부(20)와 입체 주차장으로의 입출고부의 차도(65)와의 사이에 턴테이블(55)을 설치하고, 이 턴테이블(55)에 두개의 컨베이어(56,57)를 수평방향에 병렬로 설치하고, 상기 출고부(20)의 컨베이어(21,22,46)과 컨베이어(50)와 상기 턴테이블(55)의 한쪽에 있는 컨베이어(56) 및 상기 차도(65)를 순차적으로 일직선으로 설치하고, 상기 컨베이어(50)에 병렬로 또한 상기 턴테이블(55)의 다른쪽에 있는 컨베이어(57)에 연이어 접속되는 컨베이어(51)를 설치하고, 상기 컨베이어(50) 및 컨베이어(51)에 직교하고, 또한 이 두개의 컨베이어(50,51)에 각각 팰리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상하동하는 컨베이어(71)를 설치하여 상기 입고부(15), 출고부(20)와 턴테이블(55)와의 사이에 공 팰리트 이재장치(70)를 설치하여 공 팰리트 이재장치(70)가 단적되어 있는 팰리트를 일매씩 공급할 수 있고, 동시에 일매씩 공 팰리트를 단적할 수 있게 되어, 이 공 팰리트 이재장치(70)가 상기 컨베이어(71)와의 사이에서 공 팰리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주차장.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고부(15)의 컨베이어(17,16) 및 팰리트 이재장치(70)를 순차적으로 차도(65)측을 향하여 일직선으로 설치하고, 공 팰리트 이재장치(70)가 컨베이어(51)에 병렬로 인접하여 설치하고, 팰리트 이재장치(70)가 상기 입고부(15)의 컨베이어(17)와의 사이에서 단적 팰리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주차장.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고부(15)와 컨베이어(50)를 접속하는 컨베이어(4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입체주차장.
  8. 제5항에 있어서, 컨베이어(56)와 차도(65)의 사이에 컨베이어(6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주차장.
  9. 제8항에 있어서, 컨베이어(60) 및 출고부(20)의 컨베이어(17,16)가 복수의 팰리트를 직렬로 설치할수가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컨베이어(56,57)는 하나의 팰리트를 실을 수 있는 길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입체주차장.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고부(15)와 출고부(20)가 상기 스태커 크레인(2)의 주행로 사이에 끼고, 양측에 병렬로 설치되고, 상기 선반군(10,11)으로 부터 차량을 출고할때의 출고부(20) 및 입고부(15)는 차량을 선반군(10,11)에 입고할 때의 입고부(15) 및 출고부(20)에 각각 해당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주차장.
  11. 스태커 크레인(2)의 주행로를 따라 다수의 격납상자를 가진 선반군(10,11)을 상기 주행도의 양편에 설치하고, 스태커 크레인(2)과 그 양편의 선반군(10,11)을 일조로 하여 최소한 두조를 병설하고, 각조의 두개의 선반군(10,11)의 한쪽 선반군(10)의 끝부에 입고부(15)를 설치하여, 주행로를 거쳐서 다른쪽 선반군(11)의 끝부에 출고부(20)를 설치하는 입체주차장에 있어서, 상기 두개조 중의 어느 한조의 제1조의 출고부(20)와 입체주차장의 입출고부의 차도(65)와의 사이에 턴테이블(5)를 설치하고, 이 턴테이블(5)에 두개의 컨베이어(56,57)를 수평방항으로 병렬로 설치하고, 상기 제1조의 출고부(20)의 컨베이어(2l,22,46)와 컨베이어(50)와 턴테이블(55)의 한쪽의 컨베이어(56) 및 상기 차도(65)를 순차적으로 일직선으로 설치하여, 상기 컨베이어(50)에 병렬로 동시에 상기 턴테이블의 다른쪽의 컨베이어(57)에 연이어 접속한 컨베이어(51)를 설치하고, 상기 컨베이어(50) 및 컨베이어(51)와 직교하고 동시에 이 두개의 컨베이어(50),(51)에 각각 팰리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상하동 하는 컨베이어(71)를 설치하고, 상기 제1조의 입고부(15)의 컨베이어(17,16,45) 및 제1의 공 팰리트 이재장치(70)는 컨베이어(51)에 병렬로 인접 설치하고, 제1의 공팰리트 이재장치(70)가 단적되어 있는 팰리트를 한장씩 공급 가능하고, 또한 한매씩 공 팰리트를 단적 가능하게 하여, 이 공 팰리트를 이재장치(70)가 상기 컨베이어(71)와의 사이에서 공 팰리트를 주고 받으며, 상기 입고부(15), 출고부(20)의 어느 한 컨베이어(17,16,45,21,22,46)과의 사이에서, 단적 팰리트를 주고 받게하고, 상기 두개조 중의 다른쪽 조의 제2조의 출고부(20)와 상기 차도(65)와의 사이에 이 출고부(20)의 컨베이어(21,22,46)에 직렬로 컨베이어(51)를 설치하고, 이 컨베이어(51)로 부터 공 팰리트를 일매씩 받아서 단적하고, 컨베이어(51)와 출고부(20)와 입고부(15)의 어느 것에 단적 팰리트를 공급하는 제2의 공 팰리트 이재장치(70)를 설치하여 컨베이어(50) 또는 컨베이어(51)와, 컨베이어(51)를 접속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상하동 하는 컨베이어(40a,40b)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주차장.
  12. 차량이 실린 팰리트를 격납하는 선반을 다수개 가진 선반군(10,11)과 이 선반군(10,11)의 길이 방향의 끝부에 설치한 입고부(15), 출고부(20)와 상기 선반군(10,11)과 상기 입고부(15), 출고부(20)와의 사이에서 팰리트를 반송하는 스태커 크레인(2)으로 구성된 입체주차장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고부(15)의 컨베이어(17,16,45,46)과 입체주차장 외부의 차도(65)와의 사이에 차도(65)를 향하여 컨베이어(51)와 턴테이블(55)을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턴테이블(55)에 두개의 컨베이어(56,57)를 수평방향으로 병렬로 설치하고, 이 두개의 컨베이어(56,57)중의 한쪽의 컨베이어(56)의 일단을 차도(65)에 연이어 접속하고, 다른쪽의 컨베이어(57)의 타단을 컨베이어(51)에 연이어 접속하여, 상기 컨베이어(51)의 중간에 공 팰리트 이재장치(70)를 설치하여 공 팰리트 이재장치(70)가 단적한 팰리트를 상기 출고부(20)와의 사이에서 주고 받을수 있게하고, 또 공 팰리트 이재장치(70)는 단적된 팰리트를 일매씩 상기 컨베이어(51)를 향해 공급하고, 컨베이어(57)와 컨베이어(56)에 각각 차량이 실린 팰리트와 공 팰리트를 실은 상태에서 턴테이블(55)를 회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주차장의 작동방법.
KR1019850005454A 1984-07-31 1985-07-29 입체 주차장과 그 작동방법 KR910002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8722 1984-07-31
JP15872284A JPS6138071A (ja) 1984-07-31 1984-07-31 立体駐車場の入出庫装置
JP84-158722 1984-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269A KR860001269A (ko) 1986-02-24
KR910002589B1 true KR910002589B1 (ko) 1991-04-27

Family

ID=15677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5454A KR910002589B1 (ko) 1984-07-31 1985-07-29 입체 주차장과 그 작동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138071A (ko)
KR (1) KR91000258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38071A (ja) 1986-02-24
KR860001269A (ko) 198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162597U (zh) 一种无人化仓储系统
US5577597A (en) Work transport system including pallet transport apparatus
CN111846733B (zh) 一种多层托盘式立体仓库模块及立体仓库
KR101733544B1 (ko) 화물 비상 반출이 가능한 물류 자동창고 시스템
KR910006193B1 (ko) 입체주차장
KR910002589B1 (ko) 입체 주차장과 그 작동방법
JP2660602B2 (ja) 自動倉庫
KR910006191B1 (ko) 입체창고
KR910006192B1 (ko) 입체주차장
KR910006194B1 (ko) 입체주차장
CN211495515U (zh) 一种多层托盘式立体仓库模块及立体仓库
JP2643863B2 (ja) 立体駐車場
JPH06221016A (ja) 立体駐車場
JP2643864B2 (ja) 立体駐車場
JPH1046856A (ja) 立体駐車装置における安全装置
JPH06221018A (ja) 立体駐車場
JPH06221017A (ja) 立体駐車場
JPS6138072A (ja) 立体駐車場の入出庫装置
JPH0796856B2 (ja) 立体駐車場
JPH074103A (ja) 立体駐車場
JPH0799056B2 (ja) 立体倉庫の運転方法及び立体倉庫
JPH04254673A (ja) パレット交換装置付き車両搬送台車
JPS6393971A (ja) 立体駐車場
JPH07252956A (ja) 立体駐車場の運転方法
JPH04256607A (ja) 自動倉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4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