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970B1 - 자동창고를 가지는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창고를 가지는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970B1
KR950012970B1 KR1019920019178A KR920019178A KR950012970B1 KR 950012970 B1 KR950012970 B1 KR 950012970B1 KR 1019920019178 A KR1019920019178 A KR 1019920019178A KR 920019178 A KR920019178 A KR 920019178A KR 950012970 B1 KR950012970 B1 KR 950012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ed
container
guid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9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은
Original Assignee
박수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은 filed Critical 박수은
Priority to KR1019920019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2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970B1/ko

Link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창고를 가지는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제 1 도 (a)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정면도.
(b)는 본 발명의 1층 평면 개략도.
(c)는 (b)의 "A"부 2층 상세도.
(d)는 (b)의 "B"부 1층 상세도.
(e)는 (b)의 "C"부 2층 상세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철도 트레일러 이송장치에 관한 도면으로,
(a)는 철도 트레일러 평면도.
(b)는 (b)의 B-B선 단면도.
(c)는 (b)의 A-A선 단면도.
(c')는 (b)의 B-B선 단면도.
(d)는 (a)의 A-A선 단면도.
(e)는 (d)의 B-B선 단면도.
(f)는 (d)의 C-C선 단면도.
(g)는 (a)의 "A"부 상세 사시도.
(h)는 이송장치의 평면도.
(i)는 (h)의 D-D선 단면도.
(j)는 (i)의 E-E선 단면도.
(k)는 이송장치의 요부 사시도.
제 3 도는 본 발명 트랙터 트레일러 파레트에 관한 도면으로,
(a)는 부분절취된 평면도.
(b)는 (a)의 A-A선 단면도.
(c)는 (a)의 B-B선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회전크레인에 관한 도면으로,
(a)는 상부 평면도.
(b)는 (a)의 정면도.
(c)는 (a)의 A-A선 단면도.
(d)는 (a)의 "A"부 발췌 사시도.
(e)는 하부 평면도.
(f)는 (e)의 정면도.
(g)는 (f)의 "A"부 상세 단면도.
(h)는 가변안내구의 사시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이송로 도면으로,
(a)는 제 1 도 (c)(d)의 A-A선 단면도.
(b)는 제 1 도 (c)(f)의 B-B선 단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카트에 관한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a)의 A-A선 단면도.
(d)는 (a)의 B-B선 단면도.
(e)는 사시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리프트에 관한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a)의 A-A선 단면도.
(c)는 (a)의 B-B선 단면도.
(d)는 (a)의 C-C선 단면도.
(d')는 (a)의 D-D선 단면도.
(e)는 리프트의 자체 프레임 사시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카트 및 리프트에 부설되는 핀 출몰장치의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제 9 도는 본발명의 갠트리 크레인 저부에 횡설되는 바닥카트의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a)의 A-A선 단면도.
(c)는 (a)의 B-B선 확대 단면도.
(d)는 (a)의 "A"시도.
(e)는 (a)의 C-C선 확대 단면도.
(f)는 (a)의 D-D선 확대 단면도.
(g)는 전원입력을 위한 집전장치를 도시한 요부 평면도.
(h)는 (g)의 "B"시도.
(i)는 집전장치의 부분절취된 사시도.
(j)는 (a)의 "X"요부 사시도.
제 10 도는 본 발명의 바닥카트의 다른 실시예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a)의 A-A선 단면도.
(c)는 바닥카트의 승하강 위치 평면도.
(d)는 (c)의 A-A선 단면도.
(e)는 경사로 부분의 레일 평면도.
(f)는 (e)의 정면도.
제 11 도는 본 고안의 바닥카트의 또다른 실시예의 도면으로,
(a)는 제 1 도 (b)의 A-A선 확대 단면도.
(b)는 회전크레인 하부 위치의 요부 단면도.
제 12 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콘테이너박스 저면 사시도.
제 13 도는 자동차고 각실의 바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 14 도는 본 발명의 이송로나 카트, 리프트 및 창고의 실 등에 적용되는 롤러의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사각프레임이 단면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철도 트레일러 100P : 피트
100A : 트랙터 트레일러 100 : 상판
111 : 안내홀 112 : 절결부
120 : 록킹장치 120C1, 120C2: 유압실린더
120R1, 120R2: 로드 121 : 핀헤드
122 : 핀축 122a : 사각축
123 : 케이스브라켓 123a : 안내홈부
124 : 고정채널 125 : 회전레버
126 : 시이소레버 126a : 구형돌출부
127 : 너트 130 : 가이더
131 : 경사판넬 130M : 모터
141 : 비틀림스프링 142 : 가이드판넬
143 : 사각캡하우징 144 : 몸체
144a : 콘센트단자 145 : 안내봉
145a : 스프링 146 : 안내봉
148 : 가이드브라켓 147a : 스프링
151 : 레일 151a : 래크
152 : 몸체 152R : 롤러
152S : 축 152R′: 로드
152a : 연결판 152b : 부시
152s : 스프라켓 152M : 모터
152c : 체인 153C : 유압실린더
153a : 버팀대 153R : 로드
153b : 절결부 153 : 케이스 프레임
153s : 스프라켓 153M : 모터
153S : 축 153s : 스프라켓
154 : 사각기둥 155 : 가이드 기둥
156C : 유압실린더 156 : 안내프레임
156a : 전원플러그 156R : 로드
157 : 가이드 프레임 158 : 트로리선
159 : 집적장치 160 : 파레트장치
160P : 피트부 161 : 로드프레임
162 : 로드 162C : 왕복동실린더
162a : 프레임 164 : 지지대
165 : 축받이 165R : 롤러
166 : 파레트 167 : 펠릿부
168a : 안내홈부 168R : 롤
168 : 안내가이더 200 : 회전크레인
210 : 기동 220A, B : 레일
230M1, M2: 모터 230R1, R2: 롤러
230S : 모터 230B : 프레임
230 : 상부체 231 : 지지대
231A : 보조지지대 232a : 장공
232 : 버팀판 232C : 유압실린더
232R : 로드 233S : 시브축
233C : 시브 234 : T레일
235 : 지지채널 236 : 지지브라켓
236C : 시브 240 : 하부체
240M : 모터 240s : 스프라켓
241 : 사각틀체 241A, B : 프레임
242 : 베어링 243 : 부시
W : 와이어 250 : 회전체
250S : 축 251 : 경사프레임
252 : 원형프레임 252c : 체인
253 : 원반 254 : 지지프레임
255 : 지지브라켓 255R : 롤러
260 : 착탈체 261 : 사각틀체
261A,B : 프레임 262 : 환봉
262T : 턴버클 262b : 종프레임
262A : 고정대 263C : 유압실린더
263 : 핀 264 : 경사판넬
270 : 가변안내구 270C : 유압실린더
270R : 로드 271 : 가이더
271A : 경사부 272 : 단턱부
273 : 지지브라켓 300 : 이송로
310 : 격자형 프레임 320 : 사각프레임
321 : 고정롤러 322 : 롤러
330 : 안내프레임 330M : 모터
330S : 축 330s : 스프라켓
330c : 체인 340 : 핑거
350C : 유압실린더 350A : 단턱부
350L : 링크 350 : 안내가이더
400 : 카트 400R : 카트레일
410 : 틀체프레임 410R : 롤러
410M : 모터 410S : 축
411 : 횡대 420 : 사각프레임
421a : 록크핀 421 : 고정롤러
422 : 롤러 430M : 모터
430S : 축 430s : 스프라켓
430 : 핑거 430c : 체인
431 : 지지브라켓 432a : 절결부
432A : 채널 432B : 채널
450 : 핀 출몰장치 450M : 모터
450S : 축 450s : 스프라켓
452 : 체인가이더 453 : 베이스판
454 : 롤러 455 : 핀
456 : 레버 457 : 앵글베이스
457a : 핀 459 : 리미트스위치
500 : 리프트 510 : 틀체프레임
511 : 횡대 512 : 기둥
513 : 들보 520 : 사각프레임
522 : 롤러 530 : 핑거
550M : 모터 552 : 체인가이더
541 : 래크부 545 : 돌출부
544 : 래크부 546 : 베이스
547 : 가이드레일 600 : 창고
610 : 실 620 : 기계실
630 : 리프트실 700 : 바닥카트
700P : 피트 710M : 모터
711 : 롤러 712 : 지지간
720 : 틀체 721 : 종대
722 : 횡대 721a : 스프링받이
731 : 판스프링 732 : 축받이 브라켓
740 : 차륜 750 : 집전장치
740S : 차축 740R1, 740R2: 레일
751A, B : 트로리선 700A : 바닥카트
760 : 사각프레임 760R : 롤러
761 :위치감지센서 760G : 가이더
760A : 단턱부 700' : 바닥카트
770 : 지주 771 : 들보
780C : 유압실린더 790 : 스프라켓
790c : 체인 800 : 갠트리 크레인
283 : 유압실린더 381 : 경첩
900 : 선박 A : 사각프레임
B : 브라겟 C : 지지틀
S : 스프링 a : 구멍
b : 안내장공 10 : 콘테이너
12 : 안내홈 12a : 확개부
본 발명은 수출입을 위한 콘테이너의 자동 입출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두에 설치되어 수출입되는 콘테이너를 선박으로의 선적 및 하역과 이에 따른 창고에의 보관등이 일련의 자동화 라인으로 그 입출고가 간단하며 신속하고 별도의 부대 설비가 필요없이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창고를 가지는 콘테이너의 입출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콘테이너 수출입을 위한 시스템을 살펴보면, 철도와 트랙터 트레일러 등의 운송수단에 의해 콘테이너를 부두에 운반하여 통상 야적시킨 상태에서 크레인에 의해 3∼4개 층씩 분류하여 적당한 배치계획을 세워 적층시켜 놓는다.
이후 선적등 기타의 운반이 필요할때 크레인 또는 지게차나 그밖의 트랙터 트레일러로 운송 이동시키기 때문에 평면 배치계획이 치밀해야 하며 특히 운반차량등의 주행로를 감안하여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평면계획상의 면적활용도가 매우 좋지 않음은 물론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콘테이너 야적으로 콘테이너의 물동량에 따라 부도의 면적이 커질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들의 배치계획이나 수송계획에 따른 장비 및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콘테이너를 보관할 수 있는 자동화창고를 두고 이 양측으로 콘테이너를 들어 올리거나 내리고 회전 및 수평 이동을 하는 회전크레인을 구비하여, 내륙기지측에 설치된 철도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철도 트레일러 및 트랙터 트레일러용 파레트와, 부두기지측에 바닥카트를 두어 회전크레인으로 선적하기 위한 콘테이너를 이송로에서 들어올려 바닥카트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갠트리 크레인 하부 중심까지 수평이동하여 갠트리 크레인에 의해 선적 또는 그 반대로 바닥카트로 하역을 할 수 있게 설치되는 콘테이너 자동 입출고 시스템을 구비하여 부두의 면적활용도를 극대화 시키며 콘테이너의 수출입을 위한 이송수단 전 라인이 별도의 운송수단이 필요없이 자동화 되게 하여 인원절감과 단위 설치면적에 따른 물동량의 증대 등을 이루며 나아가 컴퓨터 전산망에 의한 콘테이너의 수출입 상태를 자동 전산화 함에 있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내륙기지 즉, 철도 트레일러로부터 콘테이너를 이송하는 것을 시작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도 (a)(b)(c)에서와 같이 기관차에 연결되어 내륙기지에 도착한 철도 트레일러(100) 또는 트랙터 트레일러(100A)는 상판에 콘테이너(10)을 장착시킨 상태에서 회전크레인(200) 하부 중심에 도착된 콘테이너(10) 중심을 일치토록하여, 회전크레인(200)에 의해 상부로 인상하여 내륙기지측 창고의 2층 바닥면 설치된 자체 구동력을 갖는 이송로(300)를 따라 자동으로 이동시키게 하는데, 이때 콘테이너(10)의 중량과 선적한 날짜 및 선박의 이름을 바코딩하여 입력하여 두고 컴퓨터에 의하여 보관될 실이 결정되면 컴퓨터의 지시에 의하여 이송로(300)를 따라 자동 진입되고 제 1b 도에서와 같이 횡행 이동되는 카트(400)가 이를 받아 연장 선상의 이송로(300)를 통해 부두기지측의 리프트(500)로 보내고 이 리프트(500)에 의해, 창고(600)의 보관시킬 층으로 수직 이동되고, 이 보관시킬 층의 카트(400)에 의해 각실(610)에 보관되어지거나 필요에 따라 카트(400)가 출고시킬 콘테이너(10)의 실(610)앞에 위치되어, 다시 부두 기지측 리프트(500)로 보내고, 이 리프트(500)에 의해 부두 기지측 출고용의 이송로(300)로 보내지며, 부두기지 출고용 회전크레인(200)에 의해 바닥카트(700, 700A)상에 안착되게 구성되고, 이 바닥카트가 이동되어 갠트리 크레인(800)의 견인위치에 도착되어서, 이 갠트리 그레인(800)에 의해 선박(900)에 선적하는 일련의 자동화 설비로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선박(900)으로부터의 하역 출고를 위한 시스템은 상기의 역순으로 대향측에 설치되는 부두기지측의 입고용으로 설치된 이송로(300)에서 그 상부의 회전크레인(200)에 의해 부두기지측 이송로(300)로 콘테이너(10)가 이동되어(제 1d 도 참조) 역시 카트(400)에 의해 이송로(300)로 보내고 이 이송로에 의해 내륙기지측 리프트(500)상에 얹혀져서 내륙기지 창고의 원하는 층에서 그 층의 카트(400)에 의해 실(610)에 격납 보관시킨다.
물론, 필요에 따라 컴퓨터의 지령에 의해 카트(400)와 리프트(500)에 의해 인출하여 내륙기지 출고용 리프트(500)를 통해 그 층에 설치된 내륙기지측 이송로(300)와 내륙기지 출고용 회전크레인(200)에 의해 철도트레일러(100) 또는 트랙터 트레일러(100A)상에 얹혀서 출고 완료 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창고(600)의 사방에 위치되는 이송로(300)는 대등한 구조를 가지나 콘테이너(10)가 회전크레인(200)으로부터 안착되는 부분에는 콘테이너의 안전한 안착을 위한 안내가이더(760G)(제 11b 도 참조)를 가지며, 이 이송로들은 도면상 내륙기지측은 2층 바닥면에 부두기지측은 1층 바닥면에 위치시킨다.
이하에서 각 부분에 대한 상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2(a) 도 에서와 같이 콘테이너(10)가 얹혀질 철도 트레일러(100)를 형성함에 있어서, 철도륜 상에 부설되는 상판(100)은 제 12 도에서와 같이 콘테이너(10)의 크기에 따라 사귀 모서리 저면의 장공(11)에 록킹되게 한 제 2(d) 도, 제 2(e) 도, 제 2(f) 도에서와 같은 록킹장치(120)를 일정 콘테이너의 크기별 간격마다에 설치함과 동시에 그 각각의 일측으로는 제 2(g) 도 에서와 같이 장착시킬 콘테이너(10)의 사귀부를 안내할 모터(130M)로 출몰되는 콘테이너 가이더(130)를 구비하며, 제 2(b)도 와 같이 철도레일(100R)을 따라 안내되는 상판(110)의 전후에는 제 2(c)도, 제 2(c') 도에서와 같이 전원공급용 콘센트(140)를 가지며, 이 콘센트 전후로는 일정간격을 가지는 륜(100W)이 축(100S)으로 부설되어 철도 트레일러(100)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철도 트레일러(100)가 주행할 철도 레일(100R) 사이의 저부로는 제 2(j) 도 에서와 같이 피트(100P)를 형성하여 상기 철도 트레일러(100)를 구동시킬 이송장치(150)를 설치한다.
한편, 상기의 철도 트레일러(100)에서 록킹장치(120)의 상세한 구성의 설명을 제 2(d) 도, 제 2(e) 도, 제 2(f) 도에 따라 설명하면, 상판(110) 각각의 안내홀(111)에 안착되는 장방형의 핀 헤드(121) 하부로는 핀축(122)이 케이스 브라켓(123)에 축설됨과 동시에 이 핀축(122)의 중앙부위가 사각축(122a)으로 형성되며, 이 케이스브라켓(123) 일측의 고정개널(124)에 힌지 결합되는 유압실린더(120C1)의 로드(120R1)와 힌지 결합된 회전레버(125)가 상기 핀축(122)의 사각축(122a)부에 결합되며, 연장돌출된 이 회전레버의 선단이 원호면을 가지게 형성되어 케이스 브라켓(123) 내면의 원호형 안내홈부(123a)를 따라 안내되게 하며(제 2(e) 도 참조), 이 핀축(122) 하부에는 중앙에 이 핀축이 관통되어 좌우로 이격 공간을 갖고, 상하부로 구형 돌출부(126a)를 형성한 시이소레버(126)의 상기 돌출부(126a)와 접촉 승하강하는 상하 한쌍의 너트(127)를 핀측(122)에 나사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시이소레버(126)의 일단은 케이스 브라켓(123)외부로 돌출되어 힌지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케이스 브라켓(123)의 다른쪽 외측 상부에 힌지 결합된 유아실린더(120C2)의 로드(120R2)단이 힌지 결합된다.(도면 제 2(d) 도, 제 2(e)도 참조)
그리고 제 2 도 (g)에 따라서 상판(110)에 부설된 콘테이너 가이더(130)를 살펴보면, 상판(110)의 안내홀(111) 위치에서 콘테이너 모서리를 감싸는 직각상 외측으로 벌어진 경사판벨(131)의 일측연부가 하부로 수직 연장되어 상판(110) 저면에 고정되는 감속기를 가지는 모터(130M)의 정역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출몰 자재토록 상판 안내홀(111) 외측으로 상기 경사판넬(131)의 절첩 회동 가능한 절결부(112)를 두어서 된다.
그리고 상판(110) 전후에 부설된 전원공급용 콘센트(140)는 제 2(c) 도, 제 2(c') 도에서와 같이 추후 설명할 이송장치(150)의 전원 플러그가 삽입되게 구성하는데, 하부 사방에 비틀림 스프링(141)으로 탄설된 가이드 판넬(142)을 힌지결합한 사각캡 하우징(143)의 내부에는 저면에 콘센트단자(144a)를 형성한 몸체(144)가 양측안내봉(145)에서 스프링(145a)으로 탄설되어 상하 충격 흡수 가능케하며, 그 상부로는 상판(110)저면에 고정되는 사방 사각기둥(146)이 사각캡 하우징(143)의 상면 가장자리와 요철 결합되어 좌우 슬라이딩 되게한 상태에서 상기 사각기둥 사이의 X, Y방향으로의 안내봉(147) 각각의 사각하우징 캡(143) 상부에 고정된 가이드 브라켓(148)에 고정 설치되어 그 좌우로 스프링(147a)을 탄설하여서 전원공급용 콘센트(140)를 구성한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철도 트레일러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장치를 제 2 도 (h), (i), (j), (k)에 따라 살펴보면, 피트(100P)의 길이 방향 저부로 I빔빈으로 된 레일(151)을 깔고 그 상부에 래크(151a)를 부착 설치하여, 전후 양측으로 상기 레일(151)의 내측홈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롤러(152R)가 축(152S)으로써 몸체(152)에 설치된다.
이 몸체(152)는 대향되는 양측 채널(152C)의 저부가 연결판(152a)으로 연결고정된 상태로써, 축(152S)위치에는 보강을 위해 부시(152b)가 고정된다.
그리고 전후방중 일측 축(152S)에는 제 2(h) 도에서와 같이 스프라켓(152s)을 가지고 상기 몸체(152)상에 고정 설치되는 클러치와 감속기를 가지는 모터(152M)와 체인(152c)으로 상기 스프라켓 (152s)을 연결한다.
그리고, 중앙 사방의 상기 몸체(152)상에 세워 고정 설치되는 유압실린더(153C)를 두고 상부에 횡설된 버팀대(153a)의 저면에 이 실린더 로드(153R)단을 각각 고정하되 이 버팀대(153a) 양측으로는 제 2(j) 도에서와 같이 하부에 래크 안내용 절결부(153b)를 갖는 체인 케이스 프레임(153)을 고정하되, 이 내부 전후양측으로 스프라켓(153s)을 축 결합하고, 그 각각의 내측 하부 위상으로도 각각 보조 스프라켓(153s )을 측설한다. 제 2(j) 도 참조.
한편, 전후방중 일측의 스프라켓(153s) 사이에는 감속기를 가지는 모터(153M)를 가지되, 이 감속기 양측으로 축(153S)이 연결되어 스프라켓(153s)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체인 케이스 프레임(153) 하부의 절결부(153b) 직 하부에 래크(151a) 가 위치되어 상기 전후 스프라켓 및 보조 스프라켓(153s)의 양측으로 권설되는 체인(153c)과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52)의 중앙에는 유압실린더(152C)를 내설하여 세워 설치한 사각기둥(154)이 고정되고 이에 내삽되어 승하강 안내되게 한 가이드 기둥(155)이 상기 유압실린더(152C)의 로드(152R')와 연결되며, 이 가이드 기둥(155) 상부의 전후 양방으로는 유압실린더(156C)가 내설된 안내 프레임(156)이 고정되어 측면에서 상기 사각기둥(154) 및 가이드 기둥(155)과 T형을 유지하며 내삽된 이 유압실린더의 로드(156R)는 선단에 양측으로 한쌍의 상하롤러(157R)를 축설한 가이드 프레임(157)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안내프레임(156) 상면 중앙에는 철도 트레일러(100)의 상판(110) 저면의 전원공급용 콘센트(140)에 착달되는 전원플러그(156a)를 구비한 이송장치(150)를 구성하여 철도 트레일러(100)를 이송시킬 수 있게 하되, 이송장치는 피트(100P) 내부의 트로리선(158)과 전원접속을 위한 집전장치(159)를 가진다.
한편, 철도 트레일러(100) 이외의 다른 운송수단인 트랙터 트레일러(100A)에 의한 진입시에는 제 1 도에서와 같이 역시 회전크레인(200)의 범위내의 하부에 파레트 장치(160)로 설치되는데, 이를 제 3 도에 따라 설정하면, 피트부(160P) 중앙 양측에 로드프레임(161)이 고정되며 그 사이에 로드(162)를 가지되 이 로드(162)에 왕복동 실린더(162C)가 관통 좌우 이송되게 설치한다. 이때, 왕복동 실린더 양측의 프레임(162a)은 파레트(166)를 지지하도록 길이방향 양측으로 한쌍의 I형강으로 된 지지프레임(163)과 고정되며, 왕복동 실린더(162C)의 양 양측 저면 피트(160P)상에 한쌍의 채널 지지대(164)가 횡설되고 그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축받이(165) 사이에 롤러(165R)가 축설되어, 상기 한쌍의 I형강으로 된 지지프레임(163)의 저면 사이로 안내되게 설치한다. 이때 이 롤러(165R)는 왕복동 실린더(162C)의 스트로크 구간의 외측밖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이 파레트(166)의 전후 양측 각각에는 펠릿부(167)가 돌설되어, 상기 펠릿부가 삽입되는 안내홈부(168a)를 가지며, 그 대등위치의 피트부(160P)에는 상기 펠릿부(167)가 탑재 안내되는 롤러(168R)들을 부설한 안내가이더(168)를 갖는다.
그리고, 제 1 도의 (a)(b)에서와 같이 회전 크레인(200)은 기본적으로 창고(600) 설비의 네 부분에 설치되는데 내륙기지측의 입출고용으로는 2층 상부에 설치되고 부두기지 입출고용으로는 1층 상부에 설치된다.
이를 내륙기지측의 입고용으로 포현된 제 1(c) 도 및 제 4 도에 따라 회전 크레인을 살펴보면, 철도 트레일러(100) 및 트랙터 트레일러(100A)의 상단(110) 및 파레트 장치(160)들의 배치폭 보다 넓은 폭을 가지게 제 1(a) 도와 같이 기중(210)으로 지지되어 수평하게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회전크레인의 횡방향 이동용레일(220A)을 가지며, 이 레일(220A) 상으로는 내부에 모터(230M1)로 구성되는 롤러(230R1)를 가지는 일정길이의 롤러 프레임(230A)을 양측에 두고, 이 롤러 프레임 상부 전후로는 회전 크레인(200)의 종방향 이동을 위한 레일(220B)이 설치되어 사각틀을 이룬 상태에서 철도 트레일러(100) 및 트랙터 트레일러(100A)상부에서 종횡 이동 가능하게 되는데(제 1(c) 도 참조), 이 회전크레인(200)은 제 4(a) 도, 제 4(c) 도에서와 같이 양측에 전후로 롤러(230R2)를 내설한 롤러 프레임(230B)이 지지대(231)에 의해 연결 고정된 상태에서 일측롤러(230R2) 사이에는 중앙에 모터(230M2)와 감속기로 동력 전달되는 롤러축(230S)이 연결되어 제 1(c) 도에서와 같이 레일(220B) 상에서 주행되게 하고, 일측 지지대(231)의 양측 상면에는 와이어 통과용 장공(232a(제 4(b) 도 참조)을 갖는 버팀판(232)을 고정하여 유압실린더(232C)를 고정 설치하고, 이 유압실린더의 로드(232R)단에 시브축(233S)으로 한쌍의 시브(233C)를 부설하되 이 시브축(233S) 양단이 제 4(d) 도와 같이 일정길이의 T레일(234)상으로 유압실린더의 로딩에 따라 안내되게 설치된다. 이때, T레일(234)은 지지대(231) 및 격자틀로 고정된 보조 지지대(231A)상에 지지채널(235)로 지지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이 반대방향의 버팀판(232)은 후방 각각에 한쌍의 시브(236C)를 지지브라켓(236)에 축설하여 회전크레인(200)의 상부체(230)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체(230) 사방의 시브(233C, 236C)중 외측시브와의 수직하방위치에 제 4(b) 도, 제 4(c) 도와 같이 시브(241C)를 축설한 사각틀체(241)를 횡 프레임(241A)과 종프레임(241B)을 이용하여 구조적 강도를 갖게 하부체(240)를 형성하되 제 4(g) 도에서와 같이 중앙에 베어링(242)을 갖는 부시(243)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체(230)의 버팀판(232)에 고정시킨 와이어(W)를 전후 내측시브 사이에 권회시켜 외측시브로 권회하는데, 이때 버팀판(232)의 장공(232a)을 통해 권회 가능하게 되며, 외측 시브의 하부로 늘어뜨려 하부체(240)의 사각틀체(241)에 부설된 시브(241C)를 돌아 다른측 시브(241C)를 거쳐 올라가 상부체(230)의 지지대(231) 저부에 고정시킨다. (제 4(c) 도 참조) 그리고, 상기 하부체체(240)는 제 4(g) 도에서와 같이 회전체(250)의 축(250S)이 결합되어 제 4(f) 도에서와 같은 하부에 고정된 착탈체(260)를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데, 이 회전체(250)를 살펴보면, 제 4(b) 도, 제 4(e) 도, 제 4(f) 도에서와 같이 축(250S) 상부 사방으로 하향 경사 프레임(251)이 일정직경의 원형 프레임(252)과 고정 설치되고, 이 원형 프레임(252)의 일정등각도 방사상으로는 중심원반(253)에 지지프레임(254)을 고정하여 구조적 강도를 가지며, 상기 원형 프레임(252) 둘레면에는 체인(252c)이 부착 설치되어 하부체(240) 일측에 고정되는 모터(240M)와 감속기에 의해 동력 전달되는 스프라켓(240s)과 치합 구동되게 하며, 이 원형 프레임(252)의 저면에는 지지브라켓(255)에 축설된 롤러(255R)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안내지지되게 한다. 이때 축(250S)은 제 4(g) 도와 같이 하부체(240)의 부시(243)에 관통되고 돌출된 단에 착탈체(260)를 고정한다.
즉 상기 회전체(250)의 하향된 축(250S) 단에는 콘테이너(10)를 집거나 놓게 할 착탈체(260)가 고정 설치되는데, 이를 살펴보면, 제 4(e) 도, 제 4(f) 도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긴 장방형 사각틀체(261)상의 중앙에는 횡프레임(261A)과 종프레임(261B)을 적층 고정하여 상기의 하부체(240)에 관통되는 회전체(250)의 축(250S)과 고정되게 하는데(제 4(f) 도, 제 4(g) 도참조), 중앙의 종 프레임(261B) 상부 사방으로는 사각틀체(261)사귀부로는 턴버클(262T)을 가지는 인장 환봉(262)에 의해 현수설치된다. 이때 보다 안정된 현수를 위해 길이방향의 양측에 종프레임(261b)을 두어 용접된 고정대(262A)에서 한번 더 고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 장방형 사각틀체(261)의 길이 방향으로는 콘테이너(10)의 길이별 크기의 전후 양측 장공(11)에 착탈되는 핀(263)을 가지는 유압실린더(263C)가 설치되며 (제 4(e) 도참조), 사각틀체 하부로는 콘테이너의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40피트 콘테이너를 수직 안내하기 위한 경사판넬(264)을 가지며(제 4(f) 도 참조), 각각의 콘테이너의 크기별 길이방향에 대한 센터를 맞추도록 양측위치 각각에 가변안내구(270)를 설치하는데, 이는 제 4(h) 도에서와 같이 사각틀체(261)의 프레임상에 힌지결합된 유압실린더(270C)의 로드(270R)단에 가이더(271)를 힌지결합하되, 지지브라켓(273)에 핀결합 된 가이더(271)의 내저부가 경사부(271A) 및 단턱부(272)를 가지며, 유압실린더(270C)의 로딩에 따라 일정각도로 회전되어 접탈되게 구성된다. 이때 가이더(271)의 단턱부(272)는 콘테이너의 수직방향위치에 대한 스톱핑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회전크레인(200)은 제 1(c) 도, 제 1(e) 도에서와 같이 횡방향 주행레일(220A)의 하부 일정위치 즉, 2층 바닥 일정위치에서 창고(600)로 콘테이너를 입고시켜 주거나 또는 횡방향 다른측에서 출고시키기 위한 내륙기지측 이송로(300) 및 부두기지측의 1층 바닥의 대응위치 각각에도 이송로(300)가 부설되는데, 2층 바닥에 설치되는 내륙기지측의 예를 들어 제 1 도 (c)(e)에 따라 설명하면, 이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이송로로 병설될 수 있으며, 이 이송로는 격자형 프레임(310)상에 일정간격을 가지며, 제 5(a) 도에서와 같이 평행하게 설치되는 사각프레임(320)의 내측으로 고정롤러(321)를 일정간격으로 부설함과 동시에 이 사각프레임(320) 일정간격으로 롤러(322)를 부설하되, 제 4 도에서와 같이 지지틀(C)과 상기프레임(320) 사이에 이 프레임 저면에 고정된 스프링(S)을 개재하고 이 지지틀(C)에 고정된 브라켓(B)에 상기 고정롤러(322)의 축이 결합되어 프레임(320)의 안내장공(b)에 의해 상부하중에 탄동되게 한다. 그리고 이 사각프레임(320) 내측으로는 상면에 핑거안내용 절결부를 가지는 한쌍의 체인 안내프레임(330)을 두고 제 1(c) 도에서와 같이 모터(330M)로써 감속기를 거쳐 동력 전달되는 축(330S) 양단의 스프라켓(330s)으로 체인(330c)을 구동시키되, 이 체인(330c)의 일정간격으로는 핑거(340)가 부설된다.
한편, 모든 이송로(300)중 콘테이너(10)가 안착되는 즉, 내려 세팅되는 이송로 위치에는 측방에 대한 콘테이너의 정확한 안내 세팅을 위해 사각프레임(320)의 저면에 부착 설치되는 유압실린더(350C)의 로딩에 따라 링크(350L)와 연결되어 착탈되는 내측저부에 단턱부(350A)를 갖는 안내가이더(350)를 부설한다.(제 5(b) 도 참조)
이렇게 구성된 상기의 이송로(300)를 통해 내륙기지측 창고(600)로 진입된 콘테이너(10)는 카트(400)를 징검다리로하여 연결되는 이송로(300) 및 리프트(500)를 거쳐 창고(600)의 실(610)로 보내거나 곧바로 선박으로 선적하기 위해 내륙기지 창고(600)의 카트(400)를 징검다리로 한 이송로(300)를 거쳐 부두 창고쪽 리프트(500)와 카트(400) 및 리프트(500)에서 곧바로 부두기지측 출고용 이송로(300)를 통해 부두측 창고(600) 밖으로 콘테이너(10)을 출고시키게 한 일련의 설비 시스템으로 창고(600)가 구성되는데, 이때 각 카트의 구조를 살펴보면, 제 6 도에서와 같이 장방형 틀체 프레임(410)의 저부 4귀에 제 1(b) 도에서와 같이 카트 주행로(640)에서의 횡방향 주행을 위한 롤러(410R)를 가지되 이 프레임(410)의 중앙위치의 감속기와 클러치를 가지는 모터(410M)로 회전되는 롤러축(410S)과 이 일측롤러(410R)를 연결시켜 카트레일(400R)상으로 횡행 주행되고, 종방향의 양 내측으로 제 6(c) 도, 제 6(e) 도와 같이 콘테이너(10)의 장공(11)으로 착탈되는 핀출몰장치(450)를 가지는 체인(450c)을 길이방향으로 권회형성시킨 체인가이더(452)를 구비하고, 중앙의 감속기를 가지는 모터(450M)로 구동전달되는 축(450S)단의 스프라켓(450s)으로 상기 체인을 구동시키게 형성하되, 상기 스프라켓(450s)을 체인가이더(452) 중앙하부로 돌설된 지지브라켓(451)상에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그 체인가이더(452) 양 내측으로는, 본 발명의 개선된 콘테이너(10)의 안내홈(12)에 안착되게 일정간격으로 고정롤러(421)를 내향 설치하고 상변으로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 14 도의 예에 따라 내부에 스프링(S)으로 탄동 설치되는 롤러(422)가 일정간격으로 돌설되는 사각프레임(420)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카트틀체(410)의 횡대(411)상에 지지 고정되어 콘테이너의 이송로 역할을 수행하게 한 것으로, 이 사각프레임(420)은 종방향으로 이송로(300) 및 추후 설명할 리프트의 사각프레임과 동일한 구조와 폭을 가지게 형성된다.
한편, 이 카트(400)의 양쪽 사각프레임(420)의 전후 내부로는 제 6(a) 도에서와 같이 유압실린더(420C)로 출몰되는 록크핀(421a)을 두어 이송로(300) 또는 리프트(500)와의 종방향의 진직도를 맞추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 6(d) 도에서와 같이 상기 사각프레임(420)의 내측으로는 감속기를 가지는 모터(430M)로 회전되는 축(430S)단에 스프라켓(430s)을 부설하여 양단에 핑거(430)를 가지며, 종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체인(430c)이 체인 가이더(432)로 안내되게 하는데, 이때 체인가이더(432)는 상부에 핑거(430) 안내용 절결부(432a)를 갖는 채널(432A)로 형성하고, 그 하부는 상호 내향된 채널(432B)로 박스라인이 형성되는데, 이 체인 가이드(432)의 내부에서 체인(430c)이 안내되게 하되, 제 6(e) 도에서와 같이 지지브라켓(431)으로 지지고정 설치되며, 상기 스프라켓(430s)은 길이방향의 중앙에 제 6(d) 도에서와 같이 처진 하부 위치에서 구동력을 전달하게 한다.
한편, 상기 체인 가이더(432)는 전후 양측 저부에 일정길이로 부설되는 슈앵글(433)을 설치하여 가이드레일(434)에 의해 요철결합구조로 안내결합됨과 동시에, 지지브라켓(431)으로 고정되고 왕복동 실린더(440C)의 양측에 제 6(d) 도에서와 같이 롤러(440R)를 부설하여, 상기 지지브라킷에 고정된 상태에서 틀체 프레임(410)의 횡대(411)상에 일정길이 규격으로 고정된 안내레일(441)을 고정하고, 그 전후단에 로드 프레임(442)을 고정하고 그 사이에 한쌍의 안내로드(443)를 고정하여, 상기 왕복동 실린더(440C) 양측에 부설된 롤러(440R)가 상기 안내레일(441)에서 안내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핀 출몰장치(45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제 8 도에서와 같이 베이스판(453)의 양단이 체인(450c)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체인 가이더(452)에 안내되게 양측 하부에 롤러(454)를 부설하여, 상기 체인 가이더의 양측면을 따라 안내이동되게 함과 동시에 감속기를 가지는 모터(455M1)에 의해 웜결합된 핀(455)이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출몰되게 하는데, 그 좌우측으로는 내측으로 모터(455M2)에 의해 중앙에 비틀림스프링(456a)으로 힌지결합된 위치감지 레버(456)를 회동 가립 또는 내측으로 펼쳐지게 함과 동시에 상기 모터(455M2)를 앵글베이스(457)에 고정하여 상기 레버(456)의 감지에 따라 앵글베이스(457)가 회동되게 핀(457a)으로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대향측의 앵글베이스 배면에 완충 스프링(458a)을 탄설하고 리미트 스위치(459)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앵글베이스(457) 끝단에는 이동구간한도를 제한하는 일정 홈을 가지는 스톱퍼(458b)를 구비하여서 된다.
상기와 같은 카트(400)에서 다시 전기에 설명한 것 같은 구성의 이송로(300)로 보내지고, 이 이송로(300)에서 콘테이너(10)는 리피트(500)에 진입되어 충고 이동을 하여 각층의 카트(400)에 의해 창고(600)의 실(610)에 넣어 보관되거나 또는 카트(400)로 꺼내어져 다시 부두 기지측의 리프트(500)에서 부두 기지측 출고용 이송로(300)로 내보내지는데, 여기서 제 7 도에 따라 리프트의 구성을 살펴보면, 장방형의 틀체 프레임(5l0)내에 양측으로는 콘테이너의 측면장공(11)으로 착탈되는 상기 카트에서와 같은 구성의 핀 출몰장치(450)를 가지는 체인(550c)이 길이방향으로 권회형성되어 일측의 감속기를 가지는 모터(550M)로 구동 전달되는 축(550S)의 단에 스프라켓(550s)으로 상기 체인을 구동시키게 형성하되 스프라켓(551) 및 체인가이더(552)로 지지 및 커버되게 하며, 제 7(d) 도에서와 같이 체인가이더(552)의 전후 일정길이 저부에는 저면에 래크부(544)를 가지며, 양측으로 돌출부(545)를 갖는 베이스(546)를 고정하여, 하기에서 설명할 사각 프레임(520)과 틀체 프레임(546) 사이에 가이드레일(547)로 안내되게 형성함과 동시에, 사각틀체(510)의 횡대(511)상에 설치되는 모터(560M)에 의해 회전되는 축(560S)에 설치된 기어(560G)에 의해 전후 출몰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그 내측으로는 카트(400)에서와 같은 폭과 구조로서 일정간격으로 본 발명의 개선된 콘테이너 박스이동시 사용되는 고정롤러(521)를 대향 설치하고, 상면으로는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에 스프링(S)이 탄동설치되는 롤러(522)가 일정 간격으로 돌설되는 사각 프레임(520)이 리프트 틀체 프레임(510)의 횡대(511)상에 지지 고정된다.(제 14 도 참조)
그리고, 그 내측으로는 카트(400)에서와는 서로 다른 폭(보다 넓도록)을 가지며, 카트에서와 같이 모터(530M) 및 감속기 양측으로 회전되는 축(530S)단에 스프라켓(530s)을 부설하여 일정간격으로 핑거(530)를 가지는 체인(530c)이 종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게 상부에 핑거 안내용 절결부(532a)를 갖는 채널(532A)을 두고, 그 하부에 상호 내향된 채널(532B)로 박스라인을 형성한 체인 가이드(532)로 핑거체인이 안내되며 상기 축(530S)은 이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531)에 위치되어 구동력을 전달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 지지브라켓(531)사이의 저부에는 왕복동실린더(540C) 가 고정되어 리프트 틀체 프레임(510)의 횡대(511)상의 일정구간에 안내 레일(541)을 고정하고 이 안내 레일의 전후로는 제 7(a) 도에서와 같이 로드 프레임(542)이 고정되고, 그 사이에 한쌍의 안내로드(543)가 설치되어 왕복동 실린더가 안내됨과 동시에 이 왕복동 실린더(540C)의 양측으로 제 7(d') 도에서와 같이 롤러(540R)를 부설하여 상기 안내레일(541)을 따라 안내되게 설치구성한 것으로 카트에서와 폭만 다를 뿐 같은 구성이다.
그리고, 이 리프트 틀체 프레임(510)의 4귀에는 제 7(a) 도에서와 같이 리프트실(630), 수직상으로의 레일(500R)을 따라 승하강 될 롤러(510R)를 가지며, 틀체 프레임(510) 양측 상부로는 기둥(512)과 그 상부에 들보(513)가 고정설치된 4귀에서 와이어 로프(W)가 고정되어 창고(600)의 리프트실(630) 상부에 제 1(a) 도에서와 같은 기계실(620)의 권상기(621)에 의해 승하강되게 하며, 일측면의 양측으로는 상기 리프트의 무게보상을 위한 카운터 웨이트(570)가 가이드 레일(570R)을 따라 안내되게 설치된다.
이후, 부두 기지측 창고(600)밖의 이송로(300)로 나온 콘테이너(10)는 역기 전기한 회전크레인의 구성과 같은 부두 기지측 출고용 회전 크레인(200)으로 이동되어 바닥카트상에 얹혀지는데, 이 바닥카트(700)의 구성을 제 9 도에 따라 살펴보면, 바닥카트 틀체(720) 전후 양측으로 제 9(a) 도, 제 9(d) 도에서와 같이 감속기를 가지는 모터(710M)로 회전되어 피트(700P)의 상부 양 가장자리 평면에 지지되는 롤러(711)를 가지는 지지간(712)을 가지고, 그 사이에 중앙에는 바닥카트 상호간의 충돌시 충격흡수를 위한 버퍼(71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카트 틀체(720)는 제 9(a) 도에서와 같이 양측 폭방향으로 각각 한쌍의 종대(721)가, 길이방향의 일정간격으로는 횡대(722)가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제 9(b) 도에서와 같이 상기 종대(721)의 저부 전후로는 각각 한쌍씩의 판스프링(731)이 저부 축받이 브라켓(732)의 중앙에 고정안착되어 틀체(720) 저면의 스프링받이(721a)에 접탈되게 구성되고, 이 축받이 브라켓(732) 전후로는 차륜(740W)이 축설되는데, 제 9 도 (g)(h)(i)와 같이 일측 또는 양측으로 집전장치(750)가 부설된다.
한편, 제 9(f) 도, 제 9(e) 도와 같이 이 차륜이 설치되는 축(740S)은 틀체(720)의 종대(721)에 하향설치된 가이드 철판(723)의 안내절결부(723a)로 상하안내되게 함과 동시에 제 9(f) 도에서와 같이 스플라인 결합되어 제 9(c) 도 및 제 9(j) 도와 같이 축받이 브라켓(732)의 일측에 고정되는 유압실린더(732C)의 로드(732R)에 의해 축(740S)에 고정된 축 로딩판(732b)을 연동시킴으로써 차륜(740W)이 외부로 도출되거나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축받이 브라켓(732) 사이를 연결고정한 바닥판넬(732a)의 상기 한쌍의 차축의 중앙 양측으로 2단 유압실린더(720C)를 세워 설치하여, 바닥카트(700)의 틀체 전체를 들어 올릴수 있도록 그 로드(720R)가 종대(72l) 사이에 고정 설치된다. 물론, 이 바닥카트의 틀체상에는 판넬(714)이 부설된다.
그리고 모든 주요부분들은 하부체에 설치되는데 이차륜의 구동은 전방 또는 후방중 어느 일측의 양차축(740s1) 사이의 감속기가 부설된 모터(740M)로 구동되는 스프라켓(740s)에 의해 전후 차축(740S)에 고정된 스프라켓(740s2)에 제 9(a) 도와 같이 체인(740c)으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차륜(740W)이 회전되게 구성하며, 제 9c) 도와 같이 피트(700P)상 양측벽으로 돌출된 상측 및 하측의 레일(740R1, 740R2)상을 주행하게 설치된다. 이 레일은 피트(700P) 내부에 상기의 차륜이 주행하는 상하 레일(740R1, 740R2)이 내측으로 돌설되게 설치되며, 내벽의 일정위치 상하 각각에는 트로리선(751A, 751B)이 길이 방향으로 횡설되어 있으며, 바닥카트(700)에는 집전장치(750)가 부설되어 상기 트로리선(751A, 751B)과 선택적 접속을 이루며 주행되면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하는데, 이 집전장치(750)를 살펴보면 제 9(g) 도, 제 9(h) 도, 제 9(i) 도 및 제 9(j) 도에서와같이 바닥카트의 틀체의 종대(721) 일측 저면에 고정되는 브라켓(751)에 유압실린더(750C)의 로드(750r)가 내측 상하로 안내장공(752a)을 가지며, 외측으로 피트의 트로리선에 삽입 안내되게한 집전단자(752b)를 구비한 박스(752) 내부에서 상하로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게 스프링(753a)으로 탄동되는 슬라이더(753)에 고정설치된 구성이며 하부 트로리선(751B)의 집전장치는 상기와 동일한 구성으로 축받이 브라켓(732)의 차륜내측상면에 고정 부설된다.
한편, 이 바닥카트는 현재 일반적인 콘테이너 구성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이나, 제 12 도에서와 같은 본발명에 따른 콘테이너(10)의 경우 깊은 피트 및 복잡한 카트의 구성이 필요없이 제 11(a) 도에서와 같이 바닥카트(700A)는 콘테이너(10) 저면의 안내요홈(12)에 위치되는 롤러(760R)를 평형하게 횡설되는 사각 프레임(760)에 설치하되 일정간격으로는 양 롤러 사이에 축(760S)을 설치하여 감속기를 가지는 모터(760M)에 의해 구동 사이에 축(760S)을 설치하여 감속기를 가지는 모터(760M)에 의해 구동 전진시키게 설치되며, 이 축(760S) 사이에는 제 1(b) 도에서와 같이 위치검지센서(761)에 의해 콘테이너(10)가 지난후 구동이 멈추게 하고 도착되면 구동되게 설치한다.
그리고 창고로부터의 출고측 즉, 부두기지측 출고용 회전크레인(200) 하부 위치(제 1(d) 도 참조)와 창고로부터의 입고측 즉 내륙기지측 입고용 회전크레인(200) 하부까지(제 1(c) 도 참조) 사각 프레임 외측으로는 제 11(b) 도 에서와 같이 유압실련더(760C)와 링크(760L)로 착탈되는 저부에 단턱부(760A)를 가지는 가이더(760G)를 부설한다.
또한, 제 10 도에서와 같이 바닥카트를 가공 지선 상태로 공중에 설치시킬 수도 있는데, 이때 바닥카트(700')의 구성은 피트내의 구성과 대동하나 피트(700P) 구조가 필요없이 주행로상의 지상으로의 양측지주(770)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그 상하부로 들보(771)가 고정되며, 이 들보 상 양측으로는 상하레일(740R1', 740R2')을 구성한 것으로, 바닥카트(700')는 축(740S')의 스플라인 결합이 필요없으며, 차륜(740W')이주행되는 레일(740R1')이 설치지주 양단측부에서 적어도 1개 이상의 유압실린더(780C)에 의해 상기 레일이 출몰자재되게 설치 구성되며(제 10(d) 도 참조), 또한 경사로에서의 바닥카트(700')의 견인을 위해 차륜(740W')의 양측으로 제 10(f) 도에서와 같이 스프라켓(790)을 두고 경사구간의 레일 상구간에는 상기 스프라켓(790)과 치합되는 체인(790c)을 고정 설치하여서 된다. 이때 상하부의 트로리선(751A', 751B')는 제 10b) 도, 제 10(d) 도에서와 같이 상부에서는 지주 일측에서 하향되게 돌설되고 하부에는 하부들보(771)상의 중앙에서 상향 돌설된 구조이다. 따라서 집전장치(750')는 하부에서는 바닥판넬(732a') 중앙상에 하향 설치되고 틀체프레임(720')의 집전장치는 제 9(i) 도에서와 같은 구성을 갖되 상향 설치되는 구성이면 된다.
한편, 부두기지측 평면상에 설치되는 바닥카트(700, 700A)들의 양측으로는 제 1(d) 도에서와 같이 이 바닥카트에서의 콘테이너를 선박에 선적 또는 하역시키기 위한 갠트리 크레인(800)이 레일(810)을 따라 수평이동되는데, 그 상부측에 위치한 회전크레인(200)의 종방향 이동을 위한 레일(220A)이 갠트리 크레인(800)의 수평이동시 장애를 받지 않게 하기 위해 레일(220A)의 바닥카트 설치구간 외측 일정위치에 경첩(281)을 두어 절첩되는 레일구간 양측에 로드(282)단을 힌지 결합한 유압실린더(283)가 고정구간에 힌지 결합 설치하게 한다.
한편, 제 1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콘테이너 격납용 실(610)의 사시도로써 양측 사각프레임(611)내에 일정 즉 콘테이너 크기별 간격에 따른 위치 각각에는 스프링(S)이 탄설된 롤러(612)를 설치하고(제 14 도 참조)내측에는 고정롤러(613)를 두며 최후단 양측에는 제일 긴 길이 콘테이너용 스톱퍼(614)를 가지되 입구로부터 하향된 3/1200의 구배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의 트랙터 트레일러(100A)의 콘테이너 적재 상판에는 철도 트레일러(100) 상판(110)에 설치된 것과 동일한 구성 및 배치로 설치되는 제 2(d) 도, 제 2(e) 도, 제 2(f) 도와 같은 록킹장치(120) 및 제 2(g) 도와 같은 콘테이너 가이더(130)를 설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송로(300)나 카트(400) 및 리프트(500)와 창고의 실(610)등에 설치되는 롤러는 보다 상세하게 제 14 도에서와 같이 사각프레임(A)의 상부구멍(a)상으로 롤러(R)가 도출되게 설치하되 롤러축(Rs)이 사각프레임(A)의 양측면에 절결된 안내장공(b)에 인착되어 사각프레임 외부로 상기 롤러축(Rs)을 고정한 브라켓(B) 하부로 스프링(S)을 탄설하되 스프링 지지틀(C)에 스프링을 안착시킨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콘테이너(10)는 상기 고정롤러들이 안내되게 양쪽 저부에 안내요홈(12)을 횡설하되 그 전후단 각각에는 안내가 용이하게 된 확개부(12a)를 가진다.
한편, 상기한 모든 구성에서 모터들은 감속기를 필수적으로 가지며 필요에 따라 클러치가 부설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마치고, 본 발명의 전체적인 배치에 따른 구성을 제 1 도에 따라 살펴보면, 철도 트레일러(100)가 내륙기지측에 적어도 1개열 이상이 배치되면서 적재된 콘테이너(10)는 철도 트레일러로부터 들어 옮기거나 안착시키는 내륙기지측 입고용 및 출고용의 회전 크레인(200)이 설치되고 이송로(300)를 따라 내륙기지측 창고(600)내로 들어가거나 나오게 배치된다.
그리고, 창고의 내륙기지측은 콘테이너를 안착 보관할 수 있는 전후 양측으로 실(610)을 가지게 고층으로 설치되며, 그 사이에는 카트(400)가 주행할 수 있는 카트 주행로(640)를 갖는다. 그리고 콘테이너(10)의 출고측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리프트(500)가 승하강 하는 리프트실(630)을 가진다.
이와 접한 부두기지측 창고(600)에서는 상기 내륙기지측 입고용 회전 크레인(200)으로부터 2층으로 진입되게 한 이송로(300)에서 카트(400)로, 또 이 카트(400)에서 이송로(300)를 거쳐 부두기지측 창고(600)의 리프트(500)와 연결되게 배치되며 역시 부두기지측 창고의 양측으로는 고층의 실(610)을 구비하여 각층 중앙의 카트 주행로(640)를 통해 카트(400)에서 리프트(500)로 전달되어 부두 기지측으로 콘테이너(10)를 내보내는 이송로(300) 및 부두기지측 출고용 회전크레인(200)을 가진다.
그리고 반대측의 부두기지측에서 상기 내륙기지측으로의 출고방향과 각각 일직선상을 이루는 평면에도 이송로(300)를 배치하며, 부두기지측 창고 외부로부터 수입되는 콘테이너의 입고를 위한 이송로 및 부두기지측 입고용 회전 크레인을 가진다.
그리고 이 창고와 평행을 이루는 바닥카트가 설치되게 한 평면 배치를 가지는데, 이는 꼭 부두 대 내륙기지 관계 배치뿐만 아니라 내륙기지 대 내륙기지식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송로는 상기에서 설명한 구조로 되나 콘테이너를 내려 놓는 곳에는 이 내려지는 콘테이너의 정위치 안착을 위한 철도 트레일러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는 이와 유사한 콘테이너 가이더를 구비한다(예를들어 부두기지측 창고의 입고용 이송로, 내륙기지측 창고의 출고용 이송로 및 바닥카트 등).
또한 상기 배치의 종횡으로의 복수배치는 본 발명의 설계변경적 기술에 속하며 바닥카트 및 이송로나 리프트와 카트 등에서의 고정롤러와 스프링이 탄설된 롤러의 이중배치는 콘테이너의 현재 기존제품이나 본 발명에 의한 콘테이너의 혼용을 가능케하며, 본 발명의 콘테이너로 대체 사용될시에는 스프링 롤러를 해체해버리면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내륙기지측에서 부두기지측으로 선적하기 위한 순서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관차(도시안됨)가 철도 트레일러(100)의 콘테이너(10)가 적재된 상판(110)을 이끌고 들어와 기관차가 분리된 상태에서 이송장치(150)가 각 트레일러(100)를 일정구간씩 이동시켜주어 회전크레인(200)의 센터에 정위치 되게 옮겨 준다.
따라서 먼저 이송장치(150)의 작동을 제 2 도 (h)(i)(j)(k)에 따라 살펴보면, 피트(100P) 내부의 트로리선(158)과 이송장치(150)의 집전장치(159)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는데, 먼저 고속이송시에는 유압실린더(153C)를 작동시켜 체인 케이스 프레임(153)을 들어올려 레일(151)상면에 부설된 래크(151a)와 체인(153c)과의 치합관계를 해제시킨후, 모터(152M)를 동작시킴으로서 체인(152c)에 의해 스프라켓(152s)으로 연동되는 롤러 축(152S)을 회전시켜줌으로서 롤러(152R)가 레일(151)을 따라 고속 이동된다.
이는 주로 이송장치(150)만의 이동시 사용되며, 철도 트레일러(100)를 연결하여 정밀 이동시에는 유압실린더(153C)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체인케이스 프레임(153)내에서 스프라켓 및 보조 스프라켓(153s)에 권회된 체인(153c)이 레일(151) 상부의 래크(151a)와 절결부(153b)를 통해 치합된 상태에서 모터(153M)의 동력으로 정밀이동케 한다.
이렇게 하여 최초의 철도 트레일러(100)의 센터를 맞추거나 다음 작업때의 철도 트레일러(100)의 상판(110)에 콘테이너(10)를 회전크레인(200)하부까지 센터를 맞추며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이송장치(150)와 철도 트레일러(100)의 연결이 필요한데 이는 이송장치(150)의 센터가 철도 트레일러(100)의 일측 전후 차륜(100W) 중심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152C)의 로드(152R')가 상승 작용됨에 따라 사각기둥(154)에 내삽 안내되는 가이드 기둥(155)이 상승 돌출되고, 유압실린더(156C)의 작동으로 안내프레임(156)전후로, 가이드 프레임(157)이 돌출되면서 그 선단의 상하 한쌍의 롤러(157R) 사이에 철도 트레일러의 차륜축(100S)과 밀접되면서 이송장치(150)와 철도 트레일러(100)가 일체감을 갖게 된다.
즉, 이송장치(150)의 이동에 따라 철도 트레일러(100)가 기관차 없이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안내프레임(156) 중앙의 전원플러그(156a)는 추후 설명할 철도 트레일러(100) 상판(110) 저부에 설치된 전원공급용 콘센트(140)와 결합되어 철도 트레일러(100)의 기타 전원이 필요한 장치들(록킹장치의 착탈, 안내가이더의 접탈, 기타 센서의 전원공급 및 제어용)에 전원공급을 하게 한다.
한편, 철도 트레일러(100)는 제 2(a)∼(g) 도에서와 같이 콘테이너(10)의 상판(110)에서의 안전한 정위치 안착을 위한 콘테이너 가이더(130)와 록킹장치(120) 및 전원공급용 콘센트(140)등을 가지는데, 먼저 제 2(b) 도, 제 2(c) 도, 제 2(c') 도에 따라 전원공급용 콘센트(140)의 작동을 설명하면, 전기한 이송장치(150)의 가이드 기둥(155) 상승시 안내프레임(156)상의 전원플러그(156a)가 삽입 됨에 따라서, 가이드판넬(142)이 비틀림 스프링(141)을 압축시키며 사각 캡 하우징(143)내로 절첩되어 안내유도되는 기능을 가지며, 계속 삽입되어 전원플러그(156a)의 단자가 콘센트 단자(144a)를 가지는 몸체(144)에 삽입되어 전원을 공급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전원 플러그가 빠짐에 따라 비틀림 스프링(141)의 탄력으로 가이드판넬(142)이 도면상 화살표방향으로 되들아 나와서 우수 및 기타 먼지 이물질에 대한 전기적 방호역할을 한다.
한편, 삽입시 몸체(144)는 안내봉(145)에 탄설된 스프링(145a)에 의해 상하로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며 또한 사방으로의 진동 및 충격흡수는 사각기둥(146) X, Y각 방향으로 안내봉(147)을 가지는 가이드 브라켓(148)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47a)이 하게 된다.
한편, 콘테이너 가이더(130)는 콘테이너(10)를 상판(110)에 내려 놓을시의 안내장치로서 내륙기지측 창고측에서 출고되는 콘테이너를 회전크레인(200)으로부터 내려 놓을시 필요한 것으로, 그 작용을 보면 제 2(a) 도, 제 2(g) 도에서와 같이 상판(110)의 일정 위치의 절결부(112)로 모터(130M)에 의해 회전 출몰자재되는 경사판넬(131)을 기립시켜 안내하므로써 콘테이너의 장착시 정위치 시키며, 필요없을 시에는 모터(130M)의 역회전으로 절첩시켜 상판(110) 저부에 은폐시킨다. 그리고 록킹장치(120)는 철도 트레일러(100)의 주행시 흔들림 등에 의한 이탈방지 등의 목적으로 콘테이너(10)를 상판(110)상에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를 제 2(a) 도, 제 2(d) 도, 제 2(e) 도, 제 2(f) 도에 따라 설명하면, 제 2(d) 도에서 실선상태는 록크해제 상태로서 콘테이너(10)를 회전크레인(200)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그 이전 작동에서 주행을 위해 록킹시키기 위해서는 핀 헤드(121)가 상판의 안내홀(111)에 안착되어 콘테이너(10)의 장공(11)으로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서, 즉 도면상 실선상태에서 유압실린더(120C2)가 로드를 잡아당기는 작동으로 시이소레버(126)의 구형돌출부(126a)에 의해 타단의 힌지결합주를 중심으로 상승되면서 핀축(122)에 결합된 너트(127)를 상부로 밀어올리므로써 핀헤드(121) 즉 핀축(122)이 상승되어 콘테이너(10)의 장공(11)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너(120C1)의 로드(120R1) 돌출작용으로 회전레버(125)가 케이스 브라켓(123)의 안내홈부(123a)에 가이드되며, 핀축(122)의 사각축(122a)부분과 결합된 관계로 이 핀축(122)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핀헤드(121)가 약 90。정도로 회전되어 콘테이너(10) 장공(11)과 핀헤드(121)가 걸려서 빠져 나올수 없게 된다.(도면 제 2(d) 도의 사상선 상태)
한편, 상기 록킹장치(120) 및 콘테이너 가이더(130)는 상기 설명한 이송장치(150)로부터 전원공급을 받는다. 또한, 제 2(a) 도에서와 같이 록킹장치(120) 및 콘테이너가이더(130)는 상판(110) 센타에서의 배열위치는 기제작되는 콘테이너의 크기별 종류에 맞는 위치의 다수개소에 배열 설치된다.
이상에서는 회전크레인(200)의 센터에 위치되게 한 철도 트레일러(100)의 경우를 설명했으나, 트랙터 트레일러(100A)로 진입시 회전크레인(200)에 센타를 맞추기 위한 작동을 제 3 도에 따라 살펴보면, 트랙터 트레일러(100A)가 진입되어 파레트장치(160)의 판넬(166)상에 얹혀지게 운전하여 진입한 후 회전크레인(200)과의 센타 정위치를 맞추기 위해 왕복동 실린더(162C)가 좌 또는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제 3(c) 도에서와 같이 왕복동 실린더의 프레임(162a)으로 지지프레임(163)과 고정된 판넬(166)이 트랙터 트레일러를 재치한 상태에서 좌 또는 우로 이동된다. 이때 판넬(166)에 실린 하중은 축받이(165)이 착설된 롤러(165R)에 미끄럼되면서 안내지지된다.
또한 제 3(a) 도, 제 3(b) 도에서와 같이 전후 양단의 펠릿부(167)가 안내가이더(168)의 안내홈부(168a)에 의해 좌우로의 큰 유동없이 안전하게 안내되며 롤러(168R)에 의해 미끄럼안내 및 지지되어 회전크레인(200)과의 센타를 맞추게 한다. 이러한 일련의 작동은 위치 감지센서나 전기적 제어에 의한 주지된 여러 수단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 트랙터 트레일러(100A)의 도시안된 상판에도 철도 트레일러(100)의 상판(110)에서 같은 배열 및 배치와 구성을 갖는 록킹장치(120) 및 콘테이너 가이더(130)가 구비되어 동일하게 작용된다. 트랙터 트레일러의 전원공급은 트랙터로부터 공급받는다.
이렇게 철도 트레일러(100)나 트랙터 트레일러(100A)로 정위치 된 콘테이너는 회전크레인에 의해 들어올려지는데, 이 회전크레인(2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제 1(c) 도 및 제 4 도에서와 같이 횡행 레일(220A)상에서 모터(230M1)의 구동에 따라 를러 프레임(230A)내의 롤러(230R1)가 구동되면서, 회전크레인(200)이 횡행 이동된다. 이때, 1층 바닥에 위치된 철도 트레일러(100) 또는 트랙터 트레일러(100A)의 트레일러 즉, 상차된 콘테이너와의 길이방향 센타위치에서 정지시킨후, 또는 동시에 모터(230M2)의 구동으로 축(230S)의 롤러 프레임(230B)내에 설치된 롤러(230R2)가 구동되어 종방향 레일(220B)을 따라 이동되어 철도 트레일러(100) 또는 트랙터 트레일러(100A)에 상차된 콘테이너(10)의 폭방향 센터를 일치시킨다.
그리고 상부체(230)상의 유압실린더(232C)의 로드(232R)를 삽입시키는 작용에 따라 전 시브(233C)가 앵글레일(234)을 따라 안내된다.
따라서 권취된 와이어로프(W)가 평면의 길이방향에서 하부로의 높이 방향으로 로프길이를 늘려주게 되면서 하부체(240)가 하강되고 일련된 회전체(250)와 축결합 고정된 착탈체(260)가 일체로 하강된다.
물론, 이 하부체(260)가 하강되기 전에 모터(240M)의 작동으로 스프라켓(240s)이 회전되어 원형 프레임(252) 외부 둘레에 부설된 체인(252c)과 치합 회전되므로써 원형 프레임(252)을 회전시켜서 들어올리고자 할 콘테이너(10)의 정확한 X, Y방향에 대한 중심을 일치시킨다. 이때 롤러(255R)가 원형 프레임(252)에 걸리는 하중을 이기며 원활히 미끄럼 안내되게 한다.
이러한 상하부체(230, 240)의 종행이동과 회전체(250)의 작동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하부체(230, 240)의 하강도 상기의 모든 작동과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여 결국 콘테이너(10)를 들어올릴 착탈체(260)의 최하단부인 경사판넬(264)이 콘테이너(10)의 외상단 높이보다 약간 높은 위치까지는 상기의 모든 작동 즉, 상하부체(230, 240)의 X, Y방향에 대한 이동과 회전체(250)의 회전 및 하부체(240)의 하강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평면상의 직선 운동이 아니라 공간상의 시점에서 도착점까지의 경사단거리선으로 착탈체(260)를 최단 시간으로 이동이 가능케 작용한다.
이렇게 하여 들어올릴 콘테이너(10)가 정중앙위치에 도달되어 최종적으로 와이어로프(W)의 높이 방향 늘어짐 즉 유압실린더(232C)의 로드(232R)가 완전 삽입된 상태로 됨으로써, 긴 장방형 사각틀체(261)의 길이방향측 및 폭방향측 하방의 경사판넬(264)에 콘테이너(10)가 상대적으로 안내되어 사각틀체(261)상에 장착된다. 이후, 사각틀체(261)의 길이방향 프레임상에 설치된 유압실린더(263C)에 의해 내측으로 출몰 자재되는 핀(263)이 내향 돌출되어 안착된 콘테이너(10) 양측면의 모서리면에 있는 장공(11)에 삽입 록크된다.
한편, 이 착탈체(260) 중심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는 콘테이너의 길이별 크기에 따른 길이방향의 안내를 위한 경사판넬 안내구인 가변안내구(270)가 위치되는데, 이는 평시에는 유압실린더(270C)의 로드(270R)돌출로 지지브라켓(273)에서 핀 결합된 가이더(271)가 절첩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즉 근접되는 콘테이너의 크기별 길이방향 양단에 있는 가변안내구(270)가 유압실린더(270C)의 로드(270R)가 삽입되므로써 제 4 도(e)(f)에 의해 길이방향에 대한 안내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때 가이더(271)의 단턱부(272)는 콘테이너(10)의 상대적 진입시 높이 즉 수직방향에 대한 정위치 스톱핑역할을 수행한다. 즉, 이렇게 콘테이너 크기별에 따라 알맞게 안내 정위치되게 하여 핀(263)으로 록킹된 상태에서 다시 상부체(230)상의 유압실린더(232C)의 로드(232R)가 돌출됨에 따라서 이 로드간의 시브(233C)가 앵글레일(234)을 따라 안내되며 각 시브들을 수회 이상 권회하는 와이어로프(W)를 상부로 잡아당겨 주므로써, 철도 트레일러(100) 또는 트랙터트레일러(100A)상의 콘테이너(10)를 인상하여 콘테이너(10)를 지층 즉 1층에서 2층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제 1(c) 도에서와 같이 회전 크레인(200)의 모터(230W1)에 의한 롤러(230R1) 구동으로 레일(220A)을 따라 횡이동되어 2층 바닥상의 이송로(300)인 레일 역할을 하는 사각프레임(320)위에서 정지시킨후, 다시 상부체(230)상의 유압실린더(232C), 로드(232R)를 삽입시켜 주므로써 들어 옮긴 콘테이너(10)를 하강시킨다. 이때 제 5 도에서와 같이 회전크레인(200) 하부에 위치하는 이송로(300)의 사각프레임(320) 외측에는 접탈가능한 안내가이더(350)가 유압실린더(350C)의 로딩으로 링크(350L)에 의해 세워진 상태로 저부의 단턱부(350A)가 사각 프레임(320)상면에 걸리게 되어 콘테이너(10) 하강시 정위치 안내장치 및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가진다.
이렇게 해서 콘테이너(10)가 안착되면 회전크레인(200)의 핀(263)이 유압실린더(263C)에 의해 외측으로 록킹해제시켜 착탈체(260)를 약간 들어 올리거나 다음작업을 위해 복귀되게 한 후, 이송로(300)의 자체 구동에 의해 콘테이너(10)를 비로서 내륙기지측 창고(600)내로 진입시키는데, 이때 안내가이더(350)를 유압실린더(350C)의 로드 삽입으로 외측방으로 절첩되게 한 후 장애없이 이동되게 한다.
한편, 콘테이너(10)는 그 저면이 스프링(S)에 탄설된 롤러(322)상에 위치되고 본 발명의 콘테이너(10)경우, 안내요홈(12)이 고정롤러(321)에 안착되는 상태이다.
이후 제 1(c) 도의 모터(330M) 구동으로 축(330S)이 회전되어 스프라켓(330s)에 의해 상부가 절결된 체인 안내프레임(300)내에서 체인(330c)이 구동되는데, 이때 핑거(340)가 콘테이너(10)의 후단을 걸어밀기때문에 전진된다. 이렇게 하여 진입되는 콘테이너(10)는 내륙 기지측창고(600)로 종행하는 동안, 이 내륙기지측 창고의 카트(400)를 징검다리로 이송되어야 창고의 면적효율상 좋은데, 이 카트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제 6 도에서와 같이 카트(400)의 롤러(410R)가 모터(410M)의 동력전달을 하는 축(410S)에 의해 구동되어 횡행 이동되며, 각층의 실(610)내로 콘테이너(10)을 입고시키거나 출고시키게 한것으로, 일단 카트주행로(640)로 횡행되는 카트(400)가 이송로(300) 위치에서 정지하여 이송로(300)의 사각프레임(320)과 카트(400)의 사각프레임(420)이 일직선을 이룬 상태에서 전후단에 유압실린더(420C)를 로딩시켜 록크핀(421a)을 이송로(300)상의 사각프레임(320)에 삽입하여 진동 및 하중에 대한 주행로상의 진직도를 유지시킨다.
이후, 콘테이너(10)는 이송로(300)에서 핑거체인(330C)의 설치구간을 벗어나서는 전진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이송로(300)에서 카트(400)로 진입시킬 수 있는 한계점으로 콘테이너의 후단이 카트(400) 밖을 벗어나 이송로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왕복동 실린더(440C)를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제 6(d) 도에서와 같이 양측방의 롤러(440R)가 안내레일(441)을 따라 이동되므로써 지지브라켓(431)으로 체인 가이더(432)와 고정된 상태이므로 왕복동 실린더(440C)의 이동에 따라 체인 가이더(432)가 이동되는데, 이 체인 가이더(432) 양단의 하부 일정구간에 형성된 슈앵글(433)이 가이드 레일(434)에 안내된다. 따라서 제 6(a) 도의 우측으로 체인가이더(432)가 돌출되어 이송로(300) 측으로 진입된다.
물론, 이 체인 가이더(432)의 폭은 이송로(300)의 체인 가이더(330) 폭과 상호 틀리게 하여 장애없이 겹쳐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400)의 체인가이더(432)가 이송로(300)에 미처 진입되지 못한 콘테이너(10)의 후단부 이상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모터(430M)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스프라켓(430s)에 의해 체인(430c)이 회동되고 따라서 체인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핑거(430)가 콘테이너(10)를 밀면서 채널(432A)의 절결부(432a)로 안내 이송되게 함에 따라서 사각 프레임(420)의 롤러(422) 및 고정롤러(421)를 따라 콘테이너(10)가 이송된다.
한편, 사각프레임(420) 외측으로의 제 8 도에서와 같은 핀 출몰장치(450)는 창고 각실(610)(제 12 도 참조)에 격납된 콘테이너(10)의 출고시 인출을 위해 있는 것으로, 그 외의 콘테이너 이동시에도 사용된다. 모터(450M)의 구동으로 스프라켓(450s)이 체인(450c)을 구동시킴에 따라 이 핀 출몰장치(450)가 이동되다가 제 8 도에서와 같이 위치감지 레버(456)가 콘테이너(10) 선단에 닿음에 따라 핀(457a)을 중심으로 앵글베이스(457)가 탄성스프링(458a)을 압축하며 리미트스위치(459)를 작동시킴으로써 모터(455M1)가 작동되어 핀(455)을 돌출시켜 콘테이너(10)의 장공(11)에 록크된다.
즉 콘테이너(10)의 상대적 이동에서 진행방향으로부터 근접된 위치감지레버(456)는 접어놓고 다른쪽은 그대로 있는 상태로 서로 대응되게 접어 세워지거나 펼쳐져 있게 한다. 물론, 필요없을시에는 모터(455M2)의 동작으로 위치감지레버(456)를 회동시켜 세워놓을 수 있게 한다.
이후, 모터(450M)를 콘테이너(10)가 실(610)로부터 빠져 나오게 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카트(400) 상부로 옮겨 놓을 수 있게 한다.
이때 실(610)은 제 13 도에서와 같이 바닥이 미세하게 약 3/1200의 구배로 입구로부터 후방으로 하향경사를 갖게 설치되어 창고구조물의 진동 등에 의해 콘테이너(10)가 자연탈락이 되지 않게 하며 삽입시 일정 콘테이너 크기별 단계마다에 설치된 하부에 스프링(S)이 탄설된 롤러(612)에 의해 정위치 격납이 이루어지게 작용된다. 이때 콘테이너(10)는 삽입시 제 13 도에서와 같이 카트 주행로 측으로 약간 돌출되게 격납된다.
한편, 핑거(430)에 의해 카트(400)에 탑재 및 계속해서 전진되는 콘테이너(10)는 다시 이송로(300)를 거치거나 상황에 따라 리프트(500)로 곧바로 들어갈수도 있는데, 이 리프트(5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제 7 도 참조) 상기 카트(400) 및 이송로(300)를 거쳐 유인된 콘테이너(10)를 카트에서와 같은 동작인 왕복동 실린더(540C)를 구동하여 유압실린더(531)으로 고정된 체인 가이더(532)를 출몰케 하는 작동으로 돌출시켜 돌출위치한 상태에서 모터(530M)의 작동으로 스프라켓(530s)에 권회된 체인(530c)을 회전시켜줌에 따라 핑거(530)가 콘테이너 후단을 밀며 들여보내거나 또는 핀출몰장치(제 8 도 참조)에 의해 콘테이너를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콘테이너(10)는 사각프레임(520)의 전기에 설명한 구성과 같은 롤러(522) 및 고정롤러(521)에 의해 미끄럼 안내되며, 계속 전진시킬시 다시 카트(400) 및 리프트(500)등을 거쳐 부두기지측 출고용도의 회전크레인(200)하부의 이송로(300) 상에 위치시킨다. 물론, 리프트(500)에서는 경우에 따라 기계실(620)에서의 권회에 따라 리프트실(630)내에서 롤러(510R)가 가이드레일(500R)을 따라 승하강되어 원하는 층의 카트(400)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부두기지측 출고용도 콘테이너(10) 회전크레인(200)은 전기한 회전크레인(200)에서와 같은 작용으로 되는 것으로, 이송로(300)상의 콘테이너(10)를 들어서 갠트리 크레인(800)에 의해 선적되게 하기 위한 바닥카트로 보내어서 안착되게 한다.
이 바닥카트의 작용을 제 9 도에 따라 살펴보면 회전크레인(200)에 의해 바닥카트(700)의 판넬(714)에 안착되면 모터(740M)가 동작되어 스프라켓(740s1)에 전후로 걸린 체인(740c)이 축(740S)을 회전시킴으로써 차륜(740W)이 레일(740R1)상으로 주행되므로써 갠트리 크레일(800)의 센타에 위치 정지케 한후 갠트리 크레인(800)에서 주지의 수단들에 의해 견인시켜 선박(900)에 선적토록된다.(제 1(a) 도, 제 1(b) 도 참조)
한편, 이 바닥카트로의 전원공급은 피트(700P)내의 트로리선(751A)과 접점되는 집전장치(750)에 의해 이루어지는 집전단자(752b)가 트리로선에 접속된 상태에서 박스(752)내에 슬라이더(753)사이에 스프링(753a)을 탄동 설치하여 바닥카트의 주행에 따른 진동 충격등을 흡수할 수 있게 되며, 이의 접탈은 유압실린더(750C)의 로드(750r)가 슬라이더(753)에 고정되어 작동된다.
이렇게 하여 갠트리 크레인(800)에 의해 콘테이너(10)가 들어올려진 후 비어있는 바닥카트(700)는 다음 작업을 위해 되돌려 보내지는데, 다른 바닥카트들의 장애를 피하기 위해 몸체가 피트 하부로 함몰되는 작동을 한다.
이는 먼저 차륜(740W)을 레일(740R1)상에서 내측으로 삽입시키기 위한 하중을 덜어주기 위해 판넬(714)의 전후방 양측에 설치된 모터(710M)를 구동시켜 제 9(a) 도의 점선상태에서 실선상태로 피트(700P)의 양측 가장자리면에 지지간(712)의 롤러(711)가 접하게 한후, 계속되는 모터(710M)의 구동에 의해 지렛대작용으로 제 9(a) 도, 제 9(d) 도에서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바닥카트(700) 전체가 약간 들린다. 따라서 차륜(740W)이 레일(710R1)상에서 약간 들린다.
이 상태에서 유압실린더(732C)의 로드(732R)의 삽입작동으로 이 로드가 축 로딩판(732b)을 잡아당기고 따라서 축(740S)이 스플라인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항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며 삽탈 가능하게 된다(제 9(c) 도의 점선 참조)
이후 바닥판넬(732a)상에 설치된 유압실린더(720C)의 로드(720R) 돌출로 판넬 하부체의 자중에 의해 판넬(714)은 피트 가장자리에서 지지간(712)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차륜(740W)이 하부레일(740R2)보다 약간 높은 위치까지 하부체만 하강되고(제 9(c) 도 점선 및 제 9(j) 도 참조), 이후 유압실린더)(732C)에 의해 차륜(740W)을 다시 원위치로 돌출시킨 다음 유압실린더(720C)로 차륜(740W)을 레일(740R2)상에 안착시킨후 하부체상의 치륜(740W) 내측위치의 축받이 브라켓(732)상에 부설된 집전장치(750)의 유압실린더(750C) 로드(750r)가 돌출되어 박스(752) 외측으로의 집전단자(752b)가 피트(700P) 하부의 트로리선(751B)에 접속된다.
이후 모터(710M)는 역진 지지간(712)을 접어 원위치시킨 상태에서 피트 상부측의 트로리선(751A)에 접속된 집전장치(750)의 유압실린더(750C)를 후진 작동하여 전원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유압실린더(720C)의 로드(720R)를 삽입시키는 작동으로 비로서 상부체인 판넬(714)이 피트(700P)내로 하강되어 피트 하부의 레일(740R2) 상위치에 바닥카트(700)가 위치되게 한다.
이후 필요로 하는 반대 방향으로 모터(740M)를 역회전시켜 줌으로써 스프라켓(740s1)에 의해 체인(740c)으로 연결구동되는 축(740S)이 회전되어 차륜(740W)이 하부레일(740R2)을 따라 피트하부로 주행되게 하여 필요위치에서 다시 들어올리는데, 이는 상기의 바닥카트(700)가 하부로 함몰되는 작동의 역순으로 작동된다.
한편, 판넬(714)과 하부체와의 상하로의 분리 및 결합시 축(S)은 제 9(e) 도에서와 같이 가이드 철판(723)의 안내절결부(723a)에 의해 분리 안래 장착되게 하며 판스프링(731)은 판넬 저면의 스프링받이(721a)에 접탈된다.
그리고 바닥카트의 다른 실시예를 제 10 도에 따라 설명하면, 가공 운반 방식으로 갠트리 크레인의 필요없이 선적을 하거나 중요하게는 하역되는 콘테이너의 부두 근처에 창고등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시스템을 거치지 않고 직접 이송되게 할때 사용되거나 내륙기지창고에서 부두기지 근처의 창고로 이송등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이의 작동 상태를 제 10 도애 따라 설명하면 제 9 도에 따른 작용과 대등하되 바닥카트(700')의 상하강 동작에서 차륜(740W')이 출몰되는 동작이 아니라 유압실린더(780C)에 의해 레일(740R1')이 출몰되는 동작으로 되며, 경사로 구간에서는 체인(790c)을 부설하여 차륜(740W') 양측의 스프라켓(790)에 의해 경사로 구간의 운행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 가공상태의 바닥카트(700') 이송방식에서의 전원공급은 하부중앙에 두어 별도의 집전장치 필요없이 하부유체의 하강에 따라 자연 접속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면 제 10 도에서 제 9 도에 따른 같은 구성의 부호를 동일하게 하면서 "' "를 붙여 도면에 기재하였다.
한편 바닥카트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 12 도에 의한 신형 콘테이너(10)의 전용으로 제 9 도에 따른 복잡한 구성이 필요없이 제 11 도에서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모터(760M)의 작동으로 구동되는 축(760S) 양단의 롤러(760R)가 구동되어 콘테이너(10) 저면의 안내홈(12)에 안착되어 이동시키되, 이 모터(7600M)들의 구동은 위치감지센서(761)에 의해 릴레이 방식으로 순차 구동되면서 콘테이너(10)를 전진시키도록 한다. 이때, 유압실린더(760C)에 의해 기립된 가이더(760G)는 회전크레인(200)의 하부에서 하강되는 콘테이너(10)의 안내유도 장착 작용을 한다. 물론 장착된 콘테이너의 이동시에는 유압실린더(760C)로 로드를 집어넣어 가이더(760G)가 외측으로 재껴지게 하며 콘테이너 이동시의 장애를 받지 않게 한다.
한편, 갠트리 크레인(800)은 상기 바닥카트들이 횡설된 폭보다 큰 폭의 기둥으로 세워 설치되어 일정구간을 횡행하는데 회전크레인(200)의 이송로 구간에 장애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해 제 1(d) 도에서와 같이 갠트리 크레인(800)이 이 구간을 지날때 들어 주기 위해 유압실린더(283)의 로드(282)를 삽입 당겨주므로써 경첩(281)에 의해 창고(600)측으로 들어올려 주고 갠트리 크레인이 지난후에 로드(282)를 돌출시켜 다시 원위치 시킨다.
이상과 같은 일련의 구성 및 작동 설명에서 주지의 수단으로 용이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는 기술사항은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따른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인 설계도면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발명은 상기의 모든 작동을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자동제어될 수 있어 무인 자동화 부두의 콘테이너 입출고 시스템을 이룰수 있으며, 특히 콘테이너의 적층 높이를 창고 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한정되지 않아 부두의 콘테이너 물량을 단위면적당의 비율을 높게 하며 지금까지의 재래식 방식에 의한 별도의 부대설비 필요없이 콘테이너의 간단 신속한 선적 및 하역이 이루어지므로 수출입을 위한 모든 절차가 신속히 이루어져 급변하는 세계 수출입 시장에 파급효과를 주는 매우 특출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2)

  1. 콘테이너 보관실을 갖는 창고의 선박이 접안된 부두측에 갠트리 크레이인과 그 하부에 철도 트레일러로 콘테이너를 이동시키는 철로와 그 반대측의 내륙기지와 창고의 하부통로에는 철도 트레일러로 콘테이너를 이동시키는 철도가 배치되고, 이 창고의 하부통로에는 철도 트레일러로 콘테이너를 이동시키는 철로가 배치되고 이 창고의 상부에서 이동장치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엘리베이터를 갖게 한 화물취급의 장치에 있어서, 고층창고(600)로의 각층의 양측으로 설치된 실(610)사이로의 카트주행로(640)로 횡행이동되며 각실(610)내에 콘테이너를 핀출몰장치(450)로 인출해내는 카트(400)를 구비하고, 이 창고와 평행한 적어도 1개열 이상의 회전크레인 하부정위치 운송수단으로 이송장치(150)에 의해 레일(151)상면에 부설된 래크(151a)와 체인(153c)의 치합관계를 해제하여 고속이동하는 수단과 상기 래크(550, 151a)와 체인(153c)을 치합시켜 저속 정밀 이동하는 수단을 가지며 피트(100P)내에 설치되는 철도 트레일러(100)를 횡설하고, 선박(900)이 접안되는 부두기지측의 창고와 평행한 적어도 1개열 이상의 갠트리 크레인 하부정위치 운송수단으로 피트(700P)내의 상하 각각에 설치되는 주행용 레일(740R1,740R2)상을 차륜(740W)이 오가는 수직 이동수단에 의해 오가는 바닥카트들의 장애 및 중단이 없이 이동되게 한 바닥카트(700)를 횡설함과 동시에, 이 바닥카트의 배치 폭보다 큰 폭으로 레일을 따라 횡행하는 공지의 갠트리 크레인(800)을 부설하며, 내륙기지측의 창고 양측에는 상기 철도 트레일러 배치폭 및 보다 큰 폭으로 일정길이 구간에 기둥(210)으로 2층 상부에 위치하는 평행한 한쌍의 횡방향 이동용 레일(220A)을 가지고 이에 횡행하는 회전크레인(200)을 가지되 이 회전크레인은 유압실린더(232C)와 와이어(W)로 승강동력을 얻는 상부체(230)와 이 동력으로 승강되는 하부체(240) 및 상기 하부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250) 하부로 콘테이너 록킹수단을 갖는 착탈체(260)를 구비하며, 이 레일(200A) 구간의 하부위치 2층 바닥에는 적어도 1개열 이상의 바닥카트(400)를 징검다리로 한 내륙기지 창고로 종설되는 상부에 탈착된 콘테이너(10)의 이동구동력을 자체에 가지는 이송로(300) 및 창고 외측까지의 이송로(300)를 구비하며, 상기 부두기지측 창고 양측의 상기 내륙기지측의 회전크레인 대응위치에는 부두기지측의 바닥카트의 배치 폭보다 큰 폭으로 기둥(210)에 의해 1층 상부에 위치하는 평행한 한쌍의 종방향 이동용 레일(220B)을 가지고 이에 종행되는 회전크레인(200)을 가지며, 이 레일(22b) 구간의 하부위치 1층 바닥에는 상기 내룩기지측의 이송로와 일직선상을 이루는 창고 외측까지의 창고로의 이송로(300)를 구비하되 각각의 창고(600)내로 연장된 이송로와 부두기지측 출고용 및 내륙기지측출고용 이송로 사이에는 바닥카트(400)를 징검다리로 한 리프트(500)로써 일직선상을 이루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창고용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철도 트레일러(100)는 콘테이너(10)의 크기 별 위치 사귀모서리의 장공(11)에 록킹되게 안내홀(11)에서 출몰되는 록킹장치(120)를 저면에 부설하고, 그 각각의 일측으로는 콘테이너의 사귀부를 수직 안내할 가이더(130)가 절결부(112)로 출몰되게 한 상판(110)을 가지되, 그 전후방 양측에는 전후로 한쌍씩의 륜(100W)이 축(100S)으로 부설되어 철도레일(100R)로 수행케 하되, 그 각각의 중앙에는 전원공급용 콘센트(140)를 하향 돌설하고 그 하부길이 방향의 피트(100P)내의 이송장치(150)로 이동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창고용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록킹장치(120)는 상판(110)의 안내홀(111)에 안착되는 장방형 핀헤드(121) 하부로사각축(122a)부를 가지는 핀축(122)이 케이스 브라켓(123)에 축설되어, 그 일측의 고정채널(124)에 힌지결합되는 유압실린더(120C1)의 로드(120R1)와 힌지 결합된 회전레버(125)가 상기 사각축부에 결합되어 돌출된 선단이 케이스 브라켓 내면의 원호형 안내홈부(123a)에 안내되게 함과 동시에 반대측면의 케이스 브라켓 상부에 힌지결합된 유압실린더(120C2)의 로드(120R2)가 힌지 결합된 시이소 레버(126)의 다른단은 반대측 케이스 브라켓 외부로 돌출되어 힌지결합하되, 중앙에는 상기 핀축이 관통되고 좌우로 이격 공간을 가지며 상하부로 구형 돌출부(126a)를 형성하여 핀축에 나합되는 상하부의 너트(127)와 유압실린더(120C2)의 로딩에 따라 접촉 승하강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창고용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가이더(130)는 상판(110)의 안내홈(111) 위치에서 콘테이너 모서리를 감싸는 직각상 외측으로 벌어진 경사판넬(131)의 일측 연부가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상판 저면에 고정되는 모터(130M)의 정역회전에 따라 절결부(112)로 회전출몰 자재토록 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창고를 가지는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전원공급용 콘센트(140)는 하부 사방에 비틀림 스프링(141)으로 탄설되는 가이드판넬(142)을 힌지결합한 사각캡 하우징(143)의 내부에는 저면에 콘센트 단자(144a)를 형성한 몸체(144)가 양측 안내봉(145)에서 스프링(145a)으로 탄설되며, 그 상부로는 상판 저면에 고정되는 사방 사각기둥(146)이 상기 사각캡 하우징(143)의 상면 가장자리와 결합되어 좌우 슬라이딩되게 X, Y방향으로의 안내봉(147)을 사각캡 사이 중앙에 가이드 브라켓(148) 좌우 각각으로 스프링(147a)을 탄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창고용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피트(100P)내의 이송장치(150)는 피트의 길이방향 저부에 레일(151)을 깔고 그 상부에 래크(151a)를 가지고, 전후 양측으로 이 레일에 안내되는 롤러(152R)가 양측채널의 저부가 연결판(152a)으로 연결 고정된 몸체(152)의 부시(152b)를 통해 축(152S)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일측축에 고정된 스프라켓(152s)을 몸체상에 고정된 모터(152M)와 체인(152c)을 연결 구동케 하며, 그리고 중앙 사방의 상기 몸체상에 세워 설치되는 유압실린더(153c)의 로드(153R) 각각에 버팀대(153a)를 고정하되 이 버팀대 양측으로는 하부에 레크안내용 절결(153b)를 갖는 체인 케이스 프레임(153)을 고정하되 이 내부 전후 양측 및 그 내측하부로 스프라켓 및 보조스프라켓(153s)을 축설함과 동시에, 일측 스프라켓(153s)이 모터(153M)로 동력 전달되는 축(153S)이 설치되어 이에 권회된 체인(153c)을 구동케하며, 몸체 중앙에는 유압실린더(152C)를 내설한 사각기둥(154)이 고정되고 이에 내삽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152R)에 힌지 결합되는가이드 기둥(155)과, 그 상부에는 천후 양방으로 유압실린더(156C)가 내설된 안내프레임(156)이 고정되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156R)가 선단 양측 한쌍의 상하롤러(157R)를 부설한 가이드 프레임(157)에 힌지결합됨과 동시에, 이 안내프레임 상면 중앙에는 전원공급용 콘센트(140)에 착탈되는 전원플러그(156a)를 구비하며, 피트 내부의 트로리선(158)과 접속되는 집전장치(159)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창고용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7. 제 1 항 있어서, 회전크레인 하부정위치 운송수단으로 트랙터 트레일러(100A)를 구비하되, 이 트랙터 트레일러의 상판에는 록킹장치(120) 및 가이더(130)를 형성함과 동시에 회전크레인 하부에는 피트부(160P)중앙 양측에 로드프레임(161)이 고정되고 그 사이에 로드(162)를 가지되 왕복동 실린더(162C)를 관통 설치하며, 이 왕복동실린더 양측의 프레임(162a)은 파레트(166)를 지지하는 길이방향 양측으로의 한쌍의 I 형상으로 지지된 지지프레임(163)과 고정되며, 파레트(166) 길이방향 양측 저면의 피트(160P)상에는 한쌍의 채널 지지대(164)가 횡설되고 그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축받이(165) 사이에 롤러(165R)가 축설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63)의 저면 사이로 안내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이 파레트(166)의 전후 양측 각각에는 펠릿부(167)가 돌설되어 상기 펠릿부가 삽입되는 안내홈부(168a)를 가지며, 그 저부에는 상기 펠릿부(167)가 탑재 안내되는 롤러(168R)들을 부설한 안내가이더(168)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창고용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 크레인(300)은 양측에 전후로 롤러(230R2)를 내설한 롤러 프레임(230B)이 지지대(231)에 의해 연결 고정된 상태에서 일측 롤러(230R2) 사이에는 중앙에 모터(230M2)로 동력 전달되는롤러축(230S)이 연결되어 레일(220B)상에서 주행되게 하고, 일측 지지대(231)의 양측상에는 와이어 통과용장공(232a)을 갖는 버팀판(232)을 고정하여 유압실린더(232C)를 고정 설치하고, 이 유압실린더의 로드(232R)단에 시브축(232S)으로 한쌍의 시브(233C)를 부설하되 이 시브축 양단이 일정길이의 T레일(234)상으로 안내되게 설치하며, T레일(234)은 지지대(231) 및 격자틀로 고정된 보조 지지대(231A)상에 지지채널(235)로 고정 지지 공정되며, 버팀판(232)의 후방 각각에는 한쌍의 시브(236C)를 지지브라켓(236)에 축설하여 회전크레인(100)의 상부체(230)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체(230) 사방의 시브(233C, 236C)중 외측시브와의 일직 하방에 시브(241C)를 축설한 사각틀체(241)를 횡 프레임(241A)과 종프레임(241B)으로 형성하여 하부체(240)를 형성하되 중앙에 베어링(242)을 갖는 부시(243)를 구비하여 상부체(230)의 버팀판(232)에 고정시킨 와이어(W)를 전후 내측 시브 사이에 권회시켜 외측시브로 권회하는데, 버팀판(232)의 장공(232a)을 통해 권회케하며 외측 시브의 하부로 늘어뜨려 하부체(240)에 사각틀체(241)에 부설된 일측시브(241C)를 돌아 다른측 시브(241C)를 거쳐 상부체(230)의 지지대(231) 저부에 고정시키며, 이 하부체(240)는 회전체(250)의 축(250S) 상부 사방으로 하향 경사프레임(251)이 일정직경의 원형 프레임(252)과 고정 설치되고, 이 원형프레임(252)의 일정등각도 방사상으로는 중심원반(253)에 지지프레임(254)을 고정하여 구조적 강도를 가지며, 상기 원형 프레임(252)둘레면에는 체인(252c)이 부착설치되어 하부체(240) 일측에 고정되는 모터(240M)에 의해 동력 전달되는 스프라켓(240s)과 치합구동되며, 이 원형 프레임(252)의 저면에는 지지브라켓(255)에 축설된 롤러(255R)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착탈체(260)는 길이방향으로 긴 장방형 사각틀체(261)상의 중앙에 횡프레임(261A)과 종프레임(26iB)을 적층 고정하여 상기의 하부체(240)에 관통되는 회전체(250)의 축(250S)과 고정되게 하는데, 중앙의 종 프레임(261B) 상수 사방으로는 사각틀체(261) 사귀부로 인장 환봉(262)에 턴버콜(262T)로 현수 설치되고, 이 장방형 사각틀체(261)의 길이 방향으로는 콘테이너(10)의 길이별 크기의 전후 양측 장공(11)에 착탈되는 핀(263)을 가지는 유압실린더(263C)가 설치되며, 사각틀체 하부로는 콘테이너의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40피트 콘테이너를 수직 안내하기 위한 경사판넬(264)을 가지며 각각의 콘테이너의 크기별 길이 방향에 대한 센터를 맞추기 위한 양측 위치 각각에 가변 안내구(270)를 설치해서 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창고용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가변안내구(270)는 사각 프레임(261)의 프레임 상에 힌지결합된 유압실린더(270C)의 로드(270R)단과 가이더(271)를 힌지 결합하되, 지지브라켓(273)에 의한 핀결합된 가이더(271)의 내저부에 경사부(271A)부 및 단턱부(272)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창고용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이송로(300)는 바닥면 또는 격자형 프레임(310)상에 일정간격을 가지며 평행하게 설치되는 사각프레임(320)의 내측으로 고정롤러(321)를 일정간격으로 부설함과 동시에 이 사각프레임 내부에서 일정간격을 가지며 스프링(S)으로 탄설되는 롤러(322)를 부설하며, 그 내측으로는 일정간격을 가지며 상면에 핑거안내용 절결부를 가지는 한쌍의 체인 안내프레임(330)을 두고, 모터(330M)로써 구동되는 축(330S) 양단의 스프라켓(330s)으로 체인(330c)을 구동시키되, 이 체인의 일정간격으로는 핑거(340)가 부설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창고용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콘테이너가 내려 장착되는 부분의 이송로(300)에는 사각프레임(320)의 저면에 부설되는 유압실린더(350C)의 로딩에 따라 링크(350L)와 연결되어 착탈되는 내측저부에 단턱부(350A)를 갖는 안내가이더(350)를 구비해서 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창고용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카트(400)는 장방형 틀체 프레임(410)의 저부 4귀에 카트 주행로(640)에서의 횡방향 주행을 위한 롤러(410R)를 가지되 일측의 롤러(4l0R)는 모터(410M)로 회전되는 롤러축(410S)과 연결되어 카트레일(400R)상으로 횡행 주행되며, 종방향의 양 내측으로는 콘테이너(10)의 장공(11)으로 착탈되는 핀 출몰장치(450)를 가지는 체인(450c)이 길이방향으로 권회 형성되어 모터(450M)로 구동전달되는 축(450S)단의 스프라켓(450s)으로 구동시키게 형성하되 지지브라켓(451)상에 고정설치된 체인 가이더(454)로 안내되며, 그 양 내측으로는 일정간격으로 고정롤러(421)를 내향설치하고 상변으로는 내부에 스프링(S)으로 탄동 설치되는 롤러(422)가 일정간격으로 돌설되는 사각프레임(420)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카트틀체(410)의 횡대(411)상에 지지 고정됨과 동시에 이 사각 프레임의 전후로는 유압실린더(420C)로 출몰되는 록크핀(421a)을 두어 이송로(300) 또는 리프트(500)와의 종방향의 진직도를 맞추게 구성되며, 상기 사각프레임의 내측으로는 모터(430M)로 회전되는 축(430S)단에 스프라켓(430s)을 부설하여 양단에 핑거(430)를 가지며 종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체인(430c)이 체인 가이더(432)로 안내되게 하되, 체인 가이더(432)는 상부에 핑거(430) 안내용 절결부(432a)를 갖는 채널(432A)로 형성하고 그 하부는 상호 내향된 채널(432B)로 박스라인이 형성되어 이 체인 가이드의 내부에서 체인(430C)이 안내되게 하고, 지지브라켓(431)으로 지지고정 설치되며 상기 스프라켓(430s)은 길이방향의 중앙의 처진 하부 위치에서 구동력을 전달하게 하며, 상기 체인 가이더(432)는 전후 양측에 일정길이로 부설되는 슈앵글(433)을 설치하여 가이드 레일(434)에 의해 요철 장착됨과 동시에, 지지브라켓(431)으로 고정되고 왕복동 실린더(440C)의 양측에 롤러(440R)를 부설하여 상기 지지브라켓에 고정된 상태에서 틀체 프레임(410)의 횡대(411)상에 일정길이 규격으로 고정된 안내레일(441)을 고정하고, 그 전후단에 로드 프레임(442)을 고정하여 그 사이에 한쌍의 안내로드(443)를 고정됨하여 상기 왕복동 실린더(440C)의 안내가 이루어지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창고를 가지는 콘테이너입출고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리프트(500)는 장방형의 틀체 프레임(510)내에 양측으로는 콘테이너의 측면장공(11)으로 착탈되는 핀 출몰 장치(450)를 가지는 체인(550c)이 길이방향으로 권회형성되어 일측의 모터(550M)로 구동전달되는 축(550S)의 단에 스프라켓(550s)으로 구동시키게 형성하여 스프라켓(551) 및 체인가이더(552)로 지지 및 커버되며 이 체인 가이더(552)의 전후 일정길이 저부에는 저면에 래크부(544)를 가지며 양측으로 돌출부(545)를 갖는 베이스(546)를 고정하여 그 내측의 사각 프레임(520)과 틀체 프레임(510) 사이에 가이드레일(547)로 안내되게 형성함과 동시에 사각틀체(510)의 횡대(511)상에 설치되는 모터(560M)에의해 회전되는 축(560S)에 설치된 기어(560G)에 의해 전후 출몰되게 형성하고, 그 내측으로는 카트(400)에서와 같은 폭과 구조를 가지며 일정간격으로 고정롤러(521)를 대향 설치하고 상면으로는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에 스프링(S)이 탄동 설치되는 롤러(522)가 일정간격으로 돌설되는 사각 프레임(520)이 리프트 틀체프레임(510)의 횡대(511)상에 지지고정되며, 그 내측으로는 카트(400)에서 보다 넓은 폭간격을 가지며 모터(530M) 양측으로 회전되는 축(530S)단에 스프라켓(530s)를 부설하여 양측에 핑거(530)를 가지는 체인(530c)이 종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게 상부에 핑거 안내용 절결부(532a)를 갖는 채널(532A)을 두고 그 하부에 상호 내향된 채널(532B)로 박스라인을 형성한 체인 가이드(532)로 핑거체인이 안내되며 상기 축(530S)은 이를 지지하는 스프라켓(531)에 위치되어 구동력을 전달하게 설치되며, 이 지지브라켓(531) 사이의 저부에는 왕복동 실린더(540C)가 고정되어 리프트 틀체 프레임(510)의 횡대(511)상의 일정구간에 안내레일(541)을고정하고 이 안내레일의 전후로는 로드 프레임(542)이 고정되어 그 사이에 한쌍의 안내로드(543)가 설치되어 왕복동 실린더가 안내됨과 동시에 이 왕복동 실린더(540C)의 양측으로 롤로(540R)를 구성하여 상기 안내레일(541)을 따라 안내되게 설치구성하며, 이 리프트 틀체 프레임(510)의 4귀에는 리프트실(630) 수직상으로의 레일(500r)을 따라 승하강될 롤러(510R)를 가지며 틀체 프레임(510) 양측상부로는 기둥(512)과 그 상부에 들보(513)가 고정 설치된 4귀에서 와이어 로프(W)가 고정되어 창고(600)의 리프트실(630) 상부 기계실(620)의 권상기(621)에 의해 승하강 되게 하며, 일측면의 양측으로는 상기 리프트의 무게보상을 위한 카운터 웨이트(570)가 가이드 레일(570R)을 따라 안내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창고용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핀 출몰장치(450)는 베이스판(453)의 양단이 체인(450c, 550c)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체인 가이더(452, 552)에 안내되게 양측 하부에 롤러(454)를 부설하여 상기 체인 가이더의 양측면을 따라 안내 이동되게 함과 동시에 감속기를 가지는 모터(455M1)에 의해 웜 결합된 핀(455)이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출몰하되, 그 좌우측으로는 내측으로 모터(455M2)에 의해 중앙에 비틀림스프링(456a)으로 힌지 결합된 위치감지 레버(456)를 회동 기립 또는 내측으로 펼쳐지게 함과 동시에 상기 모터(455M2)를 앵글베이스(457)에 고정하여 상기 레버(456)의 감지에 따라 앵글베이스(457)가 회동되게 핀(457a)으로 힌지결합되며, 대향측의 앵글베이스 배면에 완충 스프링(458a)을 탄설하여 리미트 스위치(459)를 조정하게 설치하되, 상기 앵글베이스(457) 끝단에는 이동구간 한도를 제한하는 스톱퍼(458b)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창고용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바닥카트(700)는 틀체(720) 전후 양측에 모터(710M)로 회전되어 피트(700P)의 상부 양 가장자리 평면에 지지되는 롤러(711)를 가지는 지지간(712)을 가지고, 중앙에는 바닥카트 상호간의 충돌시 충격흡수를 위한 버퍼(713)를 구비하며, 양측 폭 방향으로 각각 한쌍의 종대(721)가, 길이방향의 일정간격으로는 횡대(722)가 고정설치되며, 이 종대(721)의 저부 전후로는 각각 한쌍씩의 판스프링(731)이 저부 축받이 브라켓(732)의 중앙에 고정안착되어 틀체(720) 저면의 스프링받이(721a)에 접탈되게 구성되고 이 축발이 브라켓(732) 전후로는 차륜(740W)이 축설하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집전장치(750)를 부설하며, 차륜이 설치되는 축(740S)은 틀체(720)의 종대(721)에 하향설치된 가이드 철판(723)의 안내절결부(723a)로 상하 안내되게 함과 동시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축받이 브라켓(732)의 일측에 고정되는 유압실린더(732C)의 로드(732R)에 의해 축에 고정된 로딩판(732b)을 연동시킴으로서 차륜(740W)이 외부로 도출되거나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축받이 브라켓(732) 사이를 연결 고정한 바닥판넬(732a)의 상기 한쌍의 차축의 중앙 양측으로 2단 유압실린더(720C)를 세워 설치하여 바닥 카트(700)의 틀체 전체를 들어 올릴수 있도록 로드(720R)가 종대(721) 사이에 고정설치됨과 동시에 이차륜의 구동은 전방 또는 후방중 어느 일측의 양차축(740S) 사이의 감속기가 부설된 모터(740M)로 구동되는 스프라켓(740s1)에 의해 전후 차축(740S)에 고정된 스프라켓(740s2)에 체인(740c)으로 구동되게 하며 피트(700P)상 양측벽으로 돌출된 상측 및 하측의 레일(740R1, 740R2)상을 주행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창고용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캔트리 크레인(800)으로의 센타하부에 위치하는 운송수단인 바닥카트(700A)는 콘테이너(20) 저면의 안내요홈(12)의 위치되는 롤러(760R)를 평행하게 횡설되는 사각 프레임(760)에 설치하되 일정간격으로는 양 롤러 사이에 축(76S)을 설치하여 감속기를 가지는 모터(760M)에 의해 구동 전지시키게 설치되며, 이 축(760S) 사이의 일정간격으로는 위치감지센서(761)에 의해 콘테이너(10)가 지난 후 구동이 멈추게하고 도착되면 구동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콘테이너가 내려 장착되는 위치에는 유압실린더(760C)와 링크(760L)로 착탈되는 저부에 단턱부(760A)를 가지는 가이더(760G)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창고용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캔트리 크레인의 센터 상·하부 또는 선박으로부터 직접선적 및 하역시키기 위한 운송수단으로 바닥카트(700')는 주행로상으로 일정간격으로 양측지주(770)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그 상하부로 들보(771)가 고정되며, 이들 들보상 양측으로는 상하 레일(740R1',740R2')을 고정하되 차륜(740W)이 주행되는 상하 레일의 주행로 양끝단부에는 일정구간이 적어도 1개 이상의 유압실린더(780C)에 의해 상기 레일이 출몰자재되게 단절구성하며, 경사로에는 바닥카트(700')의 견인을 위해 레일 외측으로 체인(790C)을 고정설치하여 스플라인 결합이 불필요한 축(740S') 양단의 차륜(740W') 양측으로 상기 체인구간과 치합되는 스프라켓(790)을 구비하며, 상하측의 트로리선(751A', 751B')은 지주일측에서 하향되고 하부는 중앙에서 상향된 배열로 상부의 집전장치는 상향된 구성으로 되며 하부는 바닥카트(700') 하부 바닥판넬(732a')에서 하향설치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창고용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18. 제 15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집전장치(750)는 바닥카트의 틀체 일측 저면에 고정되는 브라켓(751)에 유압실린더(750C)의 로드(750r)가 내측 상하로 안내장공(742a)을 가지며 외측으로는 트로리선에 삽입안내되게 한 집전단자(752b)를 구비한 박스(752) 내부에서 상하로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게 스프링(753a)으로 탄동되는 슬라이더(753)에 고정설치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창고용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캔트리 크레인의 레일(810)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회전크레인(200)의 레일(220A)에는 캔트리 크레인의 수평이동시 장애를 받지않게 하기 위해 레일(220a)의 바닥카트 설치구간 외측 일정위치에 경첩(281)을 두어 절첩되는 레일구간 양측에 로드(282)단을 힌지결합한 유압실린더(283)가 고정구간에 힌지결합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창고용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창고(600)의 실(610)은 양측 사각 프레임(611)내의 일정 콘테이너 크기별 간격에 따른 위치 각각에는 스프링(S)이 탄설된 롤러(612)를 설치하고 내측에는 고정롤러(613)를 두며, 이 사각프레임 최후단 상면에는 스톱퍼(614)를 돌설시키되 입구로부터 3/1200의 구배로 하향된 경사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창고용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21. 제 10 항, 제 12 항, 제 13 항, 제 2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행로, 카트, 리프트 및 실(610)등에 부설되는 롤러(R)는 사각 프레임(A)의 상부구멍(a)상으로 도출되게 설치하되, 롤러축(Rs)이 사각 프레임의 양측면에 절결된 안내장공(b)에 안착되어 사각 프레임 외부로 상기 롤러축(Rs)을 고정한 브라켓(B) 하부로의 스프링 지지틀(C)에 스프링(S)을 탄설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창고용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콘테이너(10)는 저면 양측에 안내요홈(12)을 형성하되, 그 전후단측에는 확개부(12a)를 가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창고용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KR1019920019178A 1992-10-19 1992-10-19 자동창고를 가지는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KR950012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9178A KR950012970B1 (ko) 1992-10-19 1992-10-19 자동창고를 가지는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9178A KR950012970B1 (ko) 1992-10-19 1992-10-19 자동창고를 가지는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970B1 true KR950012970B1 (ko) 1995-10-24

Family

ID=19341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9178A KR950012970B1 (ko) 1992-10-19 1992-10-19 자동창고를 가지는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29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977B1 (ko) * 2011-03-03 2011-07-19 이상철 물류창고용 랙구조물
CN116290183A (zh) * 2023-02-27 2023-06-23 菏泽市海创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河道淤泥自动化清理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977B1 (ko) * 2011-03-03 2011-07-19 이상철 물류창고용 랙구조물
CN116290183A (zh) * 2023-02-27 2023-06-23 菏泽市海创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河道淤泥自动化清理装置
CN116290183B (zh) * 2023-02-27 2023-08-25 菏泽市海创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河道淤泥自动化清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28093B1 (en) Aerial railway-based multimodal transport interconnecting system
US6715977B2 (en) Loading device for ISO containers
FI79510C (fi) Kajkran och saett foer flyttning av last mellan fartyg och kaj.
CN112811061A (zh) 一种饰面材料印刷机凹版辊仓储存取车
CN102040070A (zh) 航空集装箱自动化储存设备、储存系统和出入库控制方法
CN113184433A (zh) 一种密集型重载智能仓储系统
KR910006193B1 (ko) 입체주차장
KR950012970B1 (ko) 자동창고를 가지는 콘테이너 입출고 장치
CN207631914U (zh) 一种集装箱堆场系统
CN217349274U (zh) 提升机及仓储系统
KR100230144B1 (ko) 화물 하역/선적 장치
JP3164204B2 (ja) 物品保管棚用の物品搬送装置
WO1995031396A1 (en) Automatic wharfage system for storage, loading and unloading of cargo containers
CN113291689A (zh) 提升机及仓储系统
EP3428092B1 (en) Straddle-type multimodal transport interconnecting system
JP2932879B2 (ja) キャブ付き出し入れ装置
JPH03177205A (ja) トンネルセグメントの一時保管・搬入設備
CN213446116U (zh) 一种闸门井共享双通道维修系统
JPH03197775A (ja) 立体機械式駐車設備
JPH0977212A (ja) 輸送車の搬入搬出方法
CN215754487U (zh) 一种饰面材料印刷机凹版辊仓储存取车
CN212221478U (zh) 一种用于集装箱卡车的并排装卸作业货场
JP2645705B2 (ja) コンテナ用シヤーシの保管設備
JP3270436B2 (ja) 立体駐車装置のパレット支持装置
JPH035571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