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909B1 -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 Google Patents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909B1
KR940004909B1 KR1019910011526A KR910011526A KR940004909B1 KR 940004909 B1 KR940004909 B1 KR 940004909B1 KR 1019910011526 A KR1019910011526 A KR 1019910011526A KR 910011526 A KR910011526 A KR 910011526A KR 940004909 B1 KR940004909 B1 KR 940004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pallets
lift
parking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1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2637A (ko
Inventor
박우용
Original Assignee
박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용 filed Critical 박우용
Priority to KR1019910011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909B1/ko
Publication of KR930002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0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conveyor chains or rotatable rollers for horizontal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제1도는 본 발명의 분할팔레트방식에 대한 횡형 타워식주차장치의 입고 행정을 도시한 평면개요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횡형 타워식주차장치의 출고행정 평면개요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종형 타워식주차장치의 입고행정 평면개요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종형 타워식주차장치의 출고행정 평면개요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횡형 그랜드식주차장치의 입·출고행정 평면개요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종형 그랜드식주차장치의 입·출고행정 평면개요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본 구성중의 횡형 분할팔레트의 분할개요도.
제8도는 본 발명의 기본 구성중의 종형 분할팔레트의 분할개요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횡형 타워식주차장치의 부분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횡형 타워식주차장치구성중에 리프트 상부에 구성되는 팔레트 정열대의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횡형 타워식주차장치구성중에 리프트 상부에 구성되는 팔레트 정열대의 평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 횡형 타워식주차장치의 평면 구성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 횡형 타워식주차장치구성중에 리프트와 적재대의 일부구성을 나타낸 확대평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중 횡형 타워식주차장치의 이동장치부분 일부 확대평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중 횡형 타워식주차장치의 이동장치부분 일부 확대단면도.
제16도는 제14, 15도중의 팔레트 접동편과 체인후크의 일부 사시도.
제17도는 제14, 15도중의 팔레트 접동편과 체인후크의 일부 평면확대도.
제18도는 본 발명중 횡형 타워식주차장치의 팔레트 정열 장치부 측면구성도.
제19도는 제18도중 리프트 상부의 수직 프레임부분의 확대평면도.
제20도는 제18도중 리프트 수직 프레임과 팔레트 정열 장치의 안내장치 평면도.
제21도는 제18도중 팔레트 정열대의 팔레트수평이동대 구동부 확대측면도.
제22도는 제21도중 팔레트 수평 이동대의 마그네크부 확대단면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횡형 타워식주차장치의 팔레트와 체인열의 접동상태 평면도.
제24도는 제23도중 일부 팔레트들과 체인후크의 초기 접동상태 평면개요도.
제25도는 제24도의 초기상태에서 주차형 교환작동의 초기작동상태 평면개요도.
제26도는 제25도의 초기작동후 연동작동상태의 평면개요도.
제27도는 제26도의 연동작동후에 진행된 교환 진입상태의 평면 개요.
제28도는 제27도의 교환진입작동후의 주차형 교환작동완료상태 평면개요도.
제29도는 제28도의 주차형 교환작동후의 하차형 초기작동상태 평면개요도.
제30도는 본 발명중 횡형 타워식주차장치의 보조밀대 측면구성도.
제31도는 본 발명중 횡형 타워식주차장치의 보조밀대 단면도.
제32도는 본 발명중 횡형 타워식주차장치의 일실시예 탑재받침대장치 측면도.
제33도는 본 발명중 횡형 타워식주차장치의 일실시예 탑재받침대장치 횡단면도.
제34도는 제33도의 탑재받침대장치의 일측받침편 작동상태측면도.
제35도는 제34도의 탑재받침대장치의 타측받침편 작동상태측면도.
제36도는 제34도의 탑재받침대장치의 1조의 작동상태측면도.
제37도는 종래의 평면팔레트식 횡형 주차장치의 팔레트 평면작동도.
제38도는 종래의 평면팔레트식 횡형 주차장치의 주차, 하차 개요도.
제39도는 종래의 평면팔레트식 횡형 주차장치의 팔레트이동장치 측면도.
제40도는 종래의 포크팔레트식 횡형 주차장치의 사시도.
제41도는 종래의 포크팔레트식 횡형 주차장치의 내부측면도.
제42도는 종래의 포크팔레트식 횡형 주차장치의 요부구성 사시도.
제43도는 종래의 포트팔레트식 횡형 주차장치의 리프트장치 사시도.
제44도는 종래의 포크팔레트식 횡형 주차장치의 포크팔레트의 작동도.
제45도는 종래의 포크팔레트식 횡형 주차장치의 평면구성도.
제46도는 종래의 포크팔레트식 횡형 주차장치의 팔레트이송장치 부분도.
제47∼48도는 종래의 포크팔레트식 횡형 주차장치의 주차행정개요도.
재49도는 종래의 포크팔레트식 횡형 주차장치의 리프트부 발췌사시도.
제50도는 종래의 포크팔레트식 횡형 주차장치의 적재행정중 이동공정평면도.
제51도는 종래의 포크팔레트식 횡형 주차장치의 적재행정중 적재공정평면도.
제52도는 종래의 포크팔레트식 횡형 주차장치중 대기상태 리프트사시도.
제53도는 종래의 포크팔레트식 필레트와 적재대의 교차상태 평면도.
제54도는 종래의 포크팔레트식 횡형 주차장치의 하차행정중 팔레트가 적재대하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리프트부의 사시도.
제55도는 종래의 평판팔레트식 그랜드형 입체주차장치의 사시도.
제56도는 종래의 평판팔레트식 그랜드형 입체주차장치의 평면구성도.
제57도는 종래의 평판팔레트식 그랜드형 입체주차장치의 측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평판팔레트식 타워 2a : 평판팔레트식 적재대
3a : 평판팔레트식 리프트 5a : 평판팔레트식 구동부
6a : 평판팔레트 V1, V2 : 자동차
Pz : 주차대 8a : 리프트의 모터
Ud : 승강부 Tp : 주행대차
10b : 포크팔레트식 타워 16b, 17b : 수평적재빔
20b : 리프트 21b, 22b : 주프레임
23b : 보조 프레임 30b : 포크식팔레트
35b, 36b : 연결프레임 37b, 38b : 전·후륜 탑재용 포크군
40b : 포크식적재대 41b, 42b : 적재포크군
50b : 리프트권상장치 55b : 로우프
G : 이송로울러 M1 : 구동용 모터
2c : 그랜드식주차장치의 적재대 6c : 그랜드식의 평판팔레트
20c : 승강용 리프트 50c : 그랜드식의 권상장치
Vmax : 주차최대사양 Vmin : 주차최소사양
Ps : 주차사양최대 면적 P1~P6 : 분할 횡형 팔레트
P1'~P6' : 분할 종형 팔레트 10 : 본 발명의 타워
20 : 본 발명의 리프트 21 : 리프트의 중간프레임
22 : 리프트의 하부 프레임 23 : 리프트의 바닥 프레임
24 : 연결축 25 : 유니버셜 조인트
26 : 전동용 스프라킷기어 40 : 본 발명의 적재대
41 : 적재대 중간 프레임 50 : 리프트권상장치
55 : 로프 56 : 중량추
61 : 팔레트의 휠 62a~62h : 리프트측 레일
63a~63h : 적재대측 레일 S1a, S1c : 구동 스프라킷기어
S1b, S1d, S2a,~S2d : 아이들스프라킷기어
66 : 구동축봉 65a : 아이들 측봉
66a, 66b : 슬라이드 구동용체인 66c, 66d : 연동용체인
F1a~F4d, F1x : 체인의 후크 661, 662 : 체인편
663, 664 : 후크편 665 : 로울러
666 : 로울러 핀 667 : 가이드편
67 : 체인레일
R1a~R1d, R4a~R4d, R2a~R2d, R3a~R3d : 팔레트의 접동편
700, 700a : 탑재 받침대 장치 701, 701a : 받침편
702, 703, 702a, 703a : 지지대 704, 705, 704a, 705a : 작동간
706, 706a : 받침대 708, 709, 708a, 709a : 축수공
710, 711, 710a, 711a : 회동축 712, 712a : 키
713, 713a : 핀 707 : 끼움홈
715, 715a : 브라켓 720, 720a : 유압실린더
721, 721a : 유압실린더의 작동로드 722, 722a : 핀
SL : 받침편의 잠입면 GL : 팔레트의 상면
K1 : 레일과 레일사이의 중심선 K2 : 보조밀대의 중심선
D1 : 중심선(K1)과 중심선(K2) 사이의 길이
201 : 리프트의 수직프레임 202 : 리프트의 상부프레임
203 : 중앙프레임 204, 205 : 좌우프레임
206, 207 : 내측프레임 210 : 체인 안내대
800 : 팔레트 정열장치 812, 813, 812a, 813a : 구동축
814 : 연결축
815, 816, 815a, 816a : 구동스프라킷기어
817, 818, 817a, 818a : 구동피니언 819, 820, 819a, 820a : 좌우 승강축
821, 822, 821a, 822a : 피동피니언 823, 824, 823a, 824a : 스프라킷기어
825 : 하부스프라킷기어 826 : 수직 가이드슈
827 : 수직 안내레일 828, 829 : 체인
830, 831 : 승강정열대 832, 833 : 전방프레임
834, 835 : 중앙프레임 836, 837 : 좌우프레임
841, 842, 841a, 842 : 승강체인 843, 844 : 랙
845 : 경사단 846 : 가이드편
850, 851 : 팔레트이동대 852, 853 : 이동모터
854 : 베어링 855, 856 : 회전축
857, 858 : 이동피니언 859 : 반원추형 가이드휠
860 : 팔레트 부착용 마그네트 861 : 파이프 지지대
862 : 스프링박스 863 : 스프링
864 : 스프링시이트 865 : 조임나사
866 : 전원선 900, 900a~900b : 보조밀대
901 : 작동대 902 : 축
903 : 로드 904 : 중간판
905 : 랙 906 : 레일
907 : 가이드슈 908 : 피니언
909 : 솔레노이드 910 : 보조밀대 구동축
911 : 보조밀대휠 912 : 측면작동구
본 발명은 주차설비를 구성함에 있어서 자동차를 리프트에 탑재하여 상하로 승강시키는 리프트장치와, 이 리프트장치에 의해서 임의의 층으로 이송된 자동차를 적재대로 횡행 이동(移動)시키는 제반 형식의 이송장치[평판식 팔레트, 포크식팔레트, 슬라이드식 팔레트, 주행대차 등]와, 이 이송장치로 이적된 자동차를 적재하는 제반 형식의 적재장치등을 구비하는 입체식 주차설비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주차방식[장치 및 방법]을 제공코져 한 것으로서 특히 주차설비의 특성을 좌우하는 자동차 탑재 및 적재, 이동용 기구인 이송장치의 구성중에 팔레트 구조를 분할식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먼저 지금까지 제공되어 있는 주요 입체식 주차설비의 제반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37~59도는 공지된 입체식 주차설비중에서 특성별로 분류되는 주요방식의 주차장치와 작동공정의 개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37~39도는 평판팔레트방식의 주차설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방식은 좌우로는 수층의 적재대(2a)를 형성하고 중앙부는 리프트(3a)의 승강부(4a)로 형성되는 타워(1a)로 구성되고, 리프트(3a)의 구동부(5a)는 타워(1a)상부에 설치되어 리프트 (3a)를 승강부(4a)내에서 상하로 승강시킬수 있도록 로프로 연결되어 있다. 각층 적재대(2a)에는 평판팔레트(6a)를 각각 설치하여 리프트(3a)와 적재대(2a)사이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리프트(3a)의 상면에 수개의 이송용휠과 로울러와 모터(8a)가 설치되며, 이 평판팔레트(6a)는 자동차(V)를 탑재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리프트(3a)에 얹혀져 타워(1a) 하방의 1층 주차대(Pz)에서 자동차(V)를 탑재하여 임의의 적재층으로 이동시켜 횡행이동 적재되거나, 적재대(2a)에서 자동차(V)를 적재하고 있다가 리프트(3a)에 횡행이동 탑승하여 1층 주차대(Pz)에 리프트(3a)로 하강되어 자동차(V)를 출고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평판팔레트(6a)를 사용하는 주차(방식)장치의 특성은 자동차(V)를 탑재하는 팔레트가 한장의 평판으로 형성되어 자동차(V)를 탑재, 이송, 적재할 때에 안전성이 보장되는 장점은 있으나, 각 층의 적재대(2a)마다 각각 평판팔레트(6a)와 이송로울러를 구비하여야 되므로 제작비가 높아지고 설비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제39도와 같이 부피가 크고 무거운 평판팔레트(6a)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이송로울러 및 구동용의 모터(8a)등 제반부품을 큰 규격의 부품을 사용하여야 되므로 적재대(2a)의 충고가 상대적으로 높아져 타워(1a) 전체의 건축 한정높이내에서의 적재층수가 줄어지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구조상의 특성과 함께 평판팔레트(6a)방식의 사용상 특성은, 제3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V)를 입·출고시키는 작동에 있어서 제반 구조상 각공정을 단계적으로 순차제어를 하여야 하므로 리프트의 불필요한 대기시간이 길고, 빈 팔레트를 반환한 후 다음공정을 시작함에 따른 공정수 증가와 일행정당 주행시간이 길어지고 전체적으로 입출고 시간이 느려서 작동효율과 경제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평판팔레트(6a)방식의 주차설비에서는 자동차를 입출고 시키는 행정유형이 (가) 출고행정후-입고행정, (나) 입고행정후-출고행정, (다) 출고행정후- 출고행정, (라) 입고행정후-입고행정, 형태의 4가지로 대별되는바 각각의 행정 유형별 작동상태를 예시한 일부 공정개요도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은 다음과 같다.
(가) 출고행정후-입고행정
제38도와 같이 2, 4층의 적재대(2a)에는 좌우에 각각 자동차가 적재되어 있고 리프트(3a)와 3층용 평판팔레트(6a)는 3층에 적재되어 있던 자동차를 출고시킨 후 주차대(Pz)에서 입고형으로 대기중인 상태에서, 다른 자동차(V1)를 적재시켜야 되는 입고행정이 이어질때에는, 1층 주차대(Pz)상에서 입고형으로 대기중인 3층용 빈 평판팔레트(6a)에 바로 입고된 자동차(V1)를 탑재하여 리프트(3a)를 제38b도와 같이 3층으로 상승시킨 후 리프트(3a)가 정지된 상태에서 자동차(V1)가 탑재된 3층용 평판팔레트(6a)를 3층의 빈 적재대(2a)로 횡행이동시켜서 제38c도와 같이 자동차(V1)을 적재한 후 리프트(3a)는 정지된 그대로 3층에서 출고형으로 대기하는 3공정으로 작동된다.
(나) 입고행정후-출고행정
상기한 입고행정후에 출고행정을 할시는, 즉 3층에 적재된 자동차를 재출고할시는 리프트(3a)가 3층에서 출고형으로 대기중이므로 전술한 3층으로 입고행정과 역순으로 간단히 3공정으로 출고를 수행할 수 있으나 다른 층인 4층등에 적재된 자동차(V2)를 출고할 시는 3층에 대기하고 있던 빈 리프트(3a)를 4층으로 상승시킨후 출고할 자동차(V2)를 탑재한 4층용 평판팔레트(6a)를 팔레트(3a)측으로 횡행이동시켜 싣고 리프트(3a)를 주차대(Pz)로 하강착지시켜 자동차(V2)를 출고시킨 후 리프트(3a)는 빈 4층용 평판팔레트(6a)를 싣고 입고형으로 대기하는 4공정으로 작동된다.
(다) 출고행정후-출고행정
상기한 출고행정에 이어서 또다시 다른층인 3층등에 적재되어 있는 자동차 (V1)의 출고행정이 요구될때는, 리프트(3a)가 주차대(Pz)에서 출고된 4층용 빈 평판팔레트(6a)를 싣고 입고형으로 대기중이므로 이 4층용 빈 평판팔레트(6a)를 리프트 (3a)로 상승시켜, 출고된 4층 적재대(2a)에 횡행이동 반환한 후 빈 리프트(3a)를 3층으로 다시 하강시켜, 출고할 자동차(V1)가 탑재된 3층 평판팔레트(6a)를 리프트(3a)위로 횡행이동시켜 싣고 주차대(Pz)로 하강하여 자동차(V1)를 출고시킨 후 리프트(3a)는 3층용 빈 평판팔레트(6a)를 싣고 입고형으로 대기하는 6공정으로 작동된다.
(라) 입고행정후-입고행정
상기 (가) 출고행정후-입고행정과 같이 입고행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다시 새차의 입고행정이 연이어 요구될때에는 빈 리프트(3a)가 앞행정에서 입고된 3층 적재대(2a)의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으므로 가장 가까운 빈 적재대(2a)인 5층으로 상승하여 5층용 빈 평판팔레트(6a)를 횡행이동시켜 싣고 주차대(Pz)로 하강착지하여 새로 입고되는 자동차(V3)를 탑재한 후 5층으로 리프트(3a)를 상승시켜 5층 적재대(2a)에 평판팔레트(6a)를 횡행이동시켜 적재한 후 리프트(3a)는 5층에서 출고형으로 대기하는 6공정으로 작동된다.
이상에서 파악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평판팔레트(6a)방식의 주차설비는 각층의 적재대(2a)에 전용의 평판팔레트(6a)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므로서, (다) 출고행정후-출고행정, 이나 (라) 입고행정후-입고행정의 경우에는 최소 6공정으로 만흥ㄴ 공정으로 작동되고, 특히 타워(1a)의 적재충고가 높은 주차설비에서 이러한 6공정중, 출고후, 다음 출고를 위하여 빈 평판팔레트(6a)를 반환하고 출고용 평판팔레트(6a)를 다시 주차대(Pz)로 이동시키는 리프트(3a) 작동공정이나, 입고 후 다음 입고를 위하여 빈 평판팔레트(6a)를 찾아 싣고서 주차대(Pz)로 이동한 후 다시 자동차를 탑재하고 적재할 적재대(2a)로 이동하여야 되는 리프트(3a)의 작동공정에 소요되는 주행시간은 대단히 길어지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예를 들면 타워가 20층인데 20층에서 입고행정이 완료된 후 다시 입고행정이 요구되고 빈 적재대는 20층에만 있다면, 2층에 정지되어 있던 빈 리프트(3a)가 20층으로 상승하여 빈 평판팔레트(6a)를 싣고서 다시 주차대(Pz)까지 하강한 후 자동차를 탑재하고 다시 20층으로 상승하여 적재대(2a)에 적재하여야 되므로 이경우에는 리프트(3a)가 일행정에 20층을 3회 주행하는 긴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며, 반대로 2층 적재대(2a)의 자동차를 출고하여 주차대(Pz)대 2층용 빈 평판팔레트(6a)가 리프트(3a)에 실려 출고행정이 완료된후 다시 출고행정이 요구되는데, 출고될 자동차가 20층의 적재대(2a)에 있다면 주차대(Pz)에 정지되어 있던 리프트(3a)가 2층용 빈 평판팔레트(6a)을 2층으로 반환한 후 20층으로 상승하여 출고할 평판팔레트(6a)를 받아서 다시 주차대(Pz)까지 하강한 후 자동차를 출고하여야 되므로 이 경우에는 리프트(3a)가 20층을 2회 주행하는 긴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단점은 입출고가 빈번한 경우와 상업용으로 주차설비를 운영할 경우에 매우 비능률적이고 비경제적인 것이다.
이러한 평판팔레트(6a)방식의 단점을 해결하고져 제40~54도로 도시된 바와 같은 일명 포크식 입체주차장치가 본 출원인에 의하여 특허출원 제90-12749호로 선출원 제공되어 있는바, 이 장치는 타워상부의 리프트 권상장치(50b)로 승강작동되는 리프트(20b)에 좌우 적재대측으로 횡행이동하는 포크식팔레트(30b)를 이송장치로 구비하며, 적재층에는 이 포크식팔레트(30b)와 상하로 엇갈려 교차하면서 자동차를 옮겨받는 포크식적재대(40b)를 고정식으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설명하면은, 제40~4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권상장치(50b)에 로우프(55b)로 연결되어 승강제어되는 리프트(20b)는 적재부와 승강부의 전후에서 좌우로 길게 설치된 주프레임(21b)(22b)과, 이 주프레임(21b)(22b)을 중간에서 연결한 보조프레임(23b)과, 주프레임(21b)(22b)의 내단에 설치되어 포크식팔레트(30b)를 좌우로 횡행이동시키는 수개의 이송로울러(G)로 구성된다.
이 리프트(20b)에는 자동차를 탑재하여 적재층에서 좌우의 포크식적재대 (40b)로 이동적재하는 포크식팔레트(30b)가 이송로울러(G)에 치합되어 있다. 이 포크식팔레트(30b)는 연결프레임(35b)(36b)의 좌우외향으로 수평 돌출된 자동차 전,후륜 탑재용 포크군(37b)(38b)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포크식팔레트(30b)로 이송된 자동차를 옮겨받는 포크식적재대(40b)의 구성은 제45, 53도에 되시된 바와 같이 포크식팔레트(30b)의 포크군(37b)(38b)과 엇갈려 교차되는 형태로 배치된 적재포크군(41b)(42b)이 각층의 좌우 적재부에서 수평적재빔(16b)(17b)의 내단에 수평 방향으로 내향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포크식팔레트(30b)를 사용하는 주차(방식)장치의 특성은 자동차(V)를 탑재하는 팔레트가 리프트(20b)에 1대만 설치되어 있어 전술한 평판팔레트(6a)방식과 비교할 때 수십세트의 팔레트와 이송로울러들의 제작비가 절감되는 장점은 있으나, 자동차(V)를 탑재, 이송, 적재할 때에 안전성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리프트(20b)의 높이도 제4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로울러(G) 및 구동용의 모터(M1)등 제반부품을 큰 규격의 부품으로 사용하여야 되고, 이러한 부품들이 설치되는 리프트(20b)의 주프레임(21b)(22b)이나 보조프레임(23b) 규격도 강도를 고려하여 비교적 큰규격의 자재를 사용하여야 되므로서 팔레트(20b)가 평면적으로 높아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나 이러한 포크식팔레트(30b) 방식은 적재대에서의 자동차 적재, 하차방법이 제47~54도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행정은 먼저 리프트(20b) 하단을 포크식 적재대(40b)보다 다소 높게 정지시킨후 중앙부의 포크식팔레트(30b)를 좌우의 포크식적재대(40b) 상방으로 횡행 이동시키되 자동차(V)가 적재된 포크군(37b)(38b)이 적재포크군(41b)(42b)과 상하로 교차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리프트(20b)를 포크식적재대(40b) 하방으로 충분히 하강시킨후 자동차(V)를 포크식적재대(40b)의 적재포크군(41b)(42b)에 옮겨 적재하는 행정으로 작동되고, 하차(출고)행정 작동시에는 이와 역순으로 먼저 리프트(20b) 상단을 출고할 포크식적재대(40b)보다 다소 밑에 정지시킨 후 중앙부의 대기된 빈 포크식 적재대(40b)를 좌우의 어느 일측 포크식적대대(40b) 하방으로 횡행 이동시킨 후 리프트(20b)를 포크식 적재대(40b) 상방으로 상승시켜 적재포크군(41b)(42b)에 적재되어 있는 자동차(V)를 포크식팔레트(30b)의 포크군(37b)(38b)에 옮겨 탑재한 후 포크식팔레트(30b)를 다시 팔레트(20b)의 중앙부로 횡행 환원시킨 상태에서 팔레트(20b)를 타워 하방의 주차대(Pz)로 하강시켜 자동차(V)를 출고하는 행정으로 작동되는 것인 바, 이러한 작동을 위해서는 포크식적재대(40b)의 상부공간이 자동차(V)를 적재할 수 있는 최소높이에 포크식팔레트(30b)의 이동을 위한 공간높이 및 상층에서의 포크식팔레트(30b)의 하강높이를 가산하여 설계되어야 되므로 타기종에 비하여 단위 층고가 대폭 높을 뿐 아니라, 이 가산된 높이가 누적되면은 타워의 한정된 높이내에서의 적재층수가 현저히 줄어지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구조상의 특성과 함께 포크식팔레트(30b) 방식의 사용상 특성인 자동차(V) 입·출고(적재,하차) 작동행정을 살펴보면,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반 구조상 각 공정을 단계적으로 순차제어하여야 되므로 리프트(20b)의 불필요한 대기시간이 길어지고, 공정이 많아 전체적인 입출고 시간이 월등히 빠르지 못한 단점이 있다.
포크식팔레트(30b) 방식의 주차설비에도 자동차를 입, 출고시키는 행정 유형이 (가) 출고행정후-입고행정, (나) 입고행정후-출고행정, (다) 출고행정후-출고행정, (라) 입고행정후-입고행정, 형태의 4가지로 대별되는바 각각의 행정 유형별 작동상태를 예시한 일부 공정개요도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은, (가) 출고행정후-입고행정은, 최초의 작동시에는 리프트(20b)가 타워하방의 주차대(Pz)에 위치하므로 주차대(Pz)로 입고된 자동차(V)를 리프트(20b)의 포크식팔레트(30b) 상의 포크군(37b)(38b)에 탑재한 후 리프트(20b)를 적재할 임의의 층으로 상승시키며, 이때 리프트(20b)의 위치는 리프트(20b)하단을 포크식 적재대(40b)보다 다소 높게 정지시킨 후 중앙부의 포크식팔레트(30b)를 좌우의 포크식적재대(40b) 상방으로 횡행 이동시키되, 자동차(V)가 적재군 포크군(37b)(38b)이 적재포크군(41b)(42b)과 상하로 교차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리프트(20b)를 포크식적재대(40b) 하방으로 충분히 하강시킨후 자동차(V)를 포크식 적재대(40b)의 적재포크군(41b)(42b)에 옮겨 적재하는 포크식팔레트(30b)는 리프트(20b)의 중앙으로 환원 이동하여 대기하는 5행정으로 작동된다.
(나) 입고행정후-출고행정은, 상기한 입고행정후 입고층에서 대기중인 리프트 (20b)를 출고층으로 상승시켜 리프트(20b) 상단을 출고할 포크식적재대(40b)보다 다소 밑에 정지시킨 후 중앙부의 대기된 빈 포크식팔레트(30b)를 출고할 일측 포크식적재대(40b) 하방으로 횡행 이동시킨 후 리프트(20b)를 포크식적재대(40b) 상방으로 상승시켜 적재포크군(41b)(42b)에 적재되어 있는 자동차(V)를 포크식팔레트(30b)의 포크군(37b)(38b)에 옮겨 탑재한 후 포크식팔레트(30b)를 다시 리프트(20b)의 중앙부로 횡행 환원시킨 상태에서 리프트(20b)를 타워 하방의 주차대(Pz)로 하강시켜 자동차(V)를 출고한 후 대기하는 6행정으로 작동되고, (다) 출고행정후-출고행정은, 전술한 (나) 입고행정후-출고행정과는 리프트(20b)의 정치위치만 임의의 입고층에서 주차대(Pz)로 바뀌고 동일한 행정으로 실시되므로 주차대(Pz)에서 출고할 임의의 적재층으로 리프트(20b)를 이동한 후 동일한 행정으로 임의의 적재층에 적재된 자동차(V)를 출고한 후 리프트(20b)가 주차대(Pz)에 대기하는 6행정으로 작동되며, (라) 입고행정후-입고행정은, 전술한 (다) 출고행정후-출고행정과는 리프트(20b)의 정치위치만 임의의 출고층에서, 앞행정에서 입고후 정지한 입고층으로 바뀌어서 동일한 행정으로 실시되므로 주차대(Pz)에서 출고할 임의의 적재층으로 리프트(20b)를 이동한 후 동일한 행정으로 임의의 적재층에 적재된 자동차(V)를 출고하고 리프트(20b)가 주차대(Pz)에 대기하는 6행정으로 작동된다.
이와 같이 유형별 주차행정을 살펴보면 포크식팔레트(30b) 방식으로 자동차(V)를 입·출고시키는 작동에 있어서도 제반 구조상 각 공정을 단계적으로 순차제어하여야 되므로 리프트(20b)의 불필요한 대기시간이 길어지고, 일공정당 주행시간이 리프트(20b) 및 포크식팔레트(30b)의 경량화로 전술한 평판팔레트(6a) 방식보다는 다소 빠르지만 일행정당 공정이 5~6공정으로 증대되어 작동되므로서 평균적인 입출고 시간면에서 월등한 신속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한 타원형으로 좌우, 상하로만 적재대를 설치하는 입체주차설비외에 제55~5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층 다열로 적재대를 설치하는 일명 그랜드형 입체주차설비의 특성은, 전술한 평판팔레트(6a) 방식의 제반구성을 동일하게 원용하여 구성하되, 주차대(Pz)과 각층 사이에서 자동차(V)를 평판팔레트(6c)에 탑재하여 각층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용리프트(20c)와, 이 승강용리프트(20c)와 해당층에서만 적재대(2c) 사이를 주행하면서 평판팔레트(6c) 및 자동차(V)를 교환하여서 각층에 다열로 설치된 적재대(2c)에 배송하는 주행대차(Tp)와, 이 주행대차(Tp)로부터 배송된 자동차(V)가 탑재된 평판팔레트(6c) 및 빈 평판팔레트(6c)를 분배받아 적재하는 적재대(2c)의 구성으로 실시되는 것인바, 이러한 그랜드형 주차설비의 특성은 넓은 대지이면서 층고가 낮게 제한되는 장소에서 효과적으로 많은 주차를 시킬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주차, 하차행정이 전술한 평판팔레트방식의 행정에 승강용리프트(20c)와 적재대(2c) 사이를 왕복 주행하는 주행대차(Tp) 배송행정을 추가하여야 되므로 출고행정후 출고공정이 재차 요구되는 경우에는 최대 10공정으로 작동되어야 한다. 이러한 공정 증대현상은 다른 행정에서 승강용리프트(20c)의 공정과 동시에 주행대차(Tp)의 공정이 복합 제어되어서 전체적인 평균 주차시간이 짧아져도 일부공정에서의 주행시간은 타형식과 비교하여 상당히 길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주차대(Pz)에서 주차할 자동차(V)가 적체되며, 출고를 기다리는 운전자도 장시간 대기하여야 되며, 더욱이 상업용 설비로 운용할 시에는 경제성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여러형식의 슬라이드 이동형 팔레트를 이송장치로 구비하여 타원형이나 그랜드형으로 구성되는 입체식 주차설비에 있어서 제반 특성상으로 지적되는 구조적인 문제점과 사용상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저 발명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첫번째 목적은, 주차설비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작단가가 다소 상승되더라도 자동차를 입·출고시키는 주차, 하차작동에 있어서 주차속도를 좌우하는 각 행정당 작동공정수 및 각 공정당 주행시간을 최소화하여 주차·하차속도면에서 월등한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두번째 목적은, 제한된 높이내에서 최대로 적재층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이용율과 대지이용율을 최대화함에 있다.
세번째 목적은, 적재대의 배열방법에 의하여 구분되는 타원형이나 그랜드형의 종,횡형구조에 동일방식으로 두루 적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네번째 목적은, 주차방식은 동일하지만 부품규격이 상이한 팔레트식 타워형과 그랜드형을 구성함에 주요작동부품을 통일화 함에 있다.
다섯째 목적은, 확보되는 주차속도의 월등한 신속성에 의하여 주차설비를 상업용으로 운용함에 경제성을 대폭 증감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여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주차설비의 특성을 좌우하는, 자동차의 탑재 및 이송, 적재를 수행하는 이송수단을 슬라이드이송에 의한 단일팔레트방식에서 적재대와 리프트에 슬라이드식으로 상호 교환되는 분할팔레트를 각각 배분하고 자동차의 적재, 하차시에는 이 분할팔레트를 상호 교환할 수 있는 구동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슬라이드 교환형 분할팔레트 방식이란 횡형 주차방식과 종형 주차방식의 두가지 기본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는바, 횡형 주차방식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반 승용자동차의 주차사양(전장,전폭,윤거,축거)을 감안하여 주차최대사양(Vmax)과 주차최소사양(Vmin)을 두루 수용할 수 있도록 적정 규격으로 설계되는 장방형 면적(Ps)을, 길이방향으로 4등분한 크기로 4개의 분할된 횡형 팔레트(P1)(P2)(P3)(P4)를 구비하되, 도면상 상하 외측방으로 위치된 팔레트(P1)(P4)상면으로는 제반 승용자동차의 전후륜을 두루 수용하여 안착시킬 수 있는 적정 탑재면이 형성되게 분할하여, 외측방 2개의 팔레트(P1)(P4)는 벌려진 위치로 리프트(20)좌우에 종형으로 배설하고, 내측의 2개의 팔레트(P2)(P3)는 적재대(40)의 중앙에 횡방향으로 배설하여 되고, 종형 주차방식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반 승용 자동차의 주차사양(전장,전폭,윤거,축거)을 감안하여 주차최대사양(Vmax)과 주차최소사양(Vmin)을 두루 수용할 수 있도록 적정 규격으로 설계되는 장방형 면적(Ps)을, 길이방향으로 4등분한 크기의 4개의 분할된 종형팔레트(P1')(P2')(P3')(P4')를 구비하되 도면상 좌우로 위치된 팔레트(P1')(P4')상면으로는 제반 자동차의 전후륜을 두루 수용하는 적정 탑재면이 형성되게 분할하여, 외측방 2개의 팔레트(P1')(P4')는 절려진 위치로 리프트(20)좌우에 종형으로 배설하고, 내측의 2개의 팔레트(P2')(P3')는 적재대(40)의 중앙에 종방향으로 배설하는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구성중 횡형팔레트(P1)(P2)(P3)(P4)를 구비하는 횡형주차방식의 주차행정을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는 승강부(Ud)로 되어 자동차(V)가 탑재된 팔레트(P1)(P4)를 싣고서 승강되는 리프트(20)장치를 설치하고 승강부(Ud)의 좌우측으로는 리프트(20)로 이송된 자동차(V)를 팔레트(P2)(P3)와 교차시켜 적재하는 적재대(40)를 여러층으로 설치하여 자동차(V)의 적재, 하차작동시에 리프트(20)측의 팔레트(P1)(P4)가 적재대(40)에 측면(폭방향)으로 입출고되게 적용한 일실시예의 횡형 타워주차장치에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프트(20)상에 전후로 벌려져 배설된 팔레트(P1)(P4)는 자동차(V)를 탑재하여 승강부(Ud)내에서 리프트(20)로 승강되면서, 적재행정시에는 제1도와 같이 두 개의 팔레트(P1)(P4)가 자동차(V)를 싣고 적재층으로 상승된 후 적재대(40)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동시에 적재대(40)에 모아져 배설된 두개의 빈 팔레트(P2)(P3)는 이와 연동되어 동시에 적재이동되는 팔레트(P1)(P4)사이로 적재대(40)에서 리프트(20)상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리프트(20)에 실려지는 행정으로 작동되며, 출고행정시에는 제2도와 같이 적재대(40)에는 자동차(V)가, 벌려진 두개의 팔레트(P1)(P4)위에 적재되어 있고 리프트(20)에는 중앙으로 모아진 두개의 빈 팔레트 (P2)(P3)가 실려 있는바, 리프트(20)측에서 빈 팔레트(P2)(P3)를 적재대(40)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이 작동에 연동되어 동시에 자동차(V)가 탑재된 팔레트(P1)(P4)가 리프트(20)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빈 팔레트(P2)(P3)는 적재대(40)에 중앙으로 모아진 상태로 적재되고 자동차(V)가 탑재된 팔레트(P1)(P4)는 리프트(20)에 실려 승차대로 하강한 후 자동차(V)가 출고되면 벌려진 상태로 리프트(20)위에 실려있는 행정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또, 기본구성중 종형 팔레트(P1')(P2')(P3')(P4')를 구비한 종형 주차방식의 주차행정을 제3,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형 타워주차장치로, 중앙부는 승강부(Ud)로 되어 자동차(V)가 탑재된 팔레트(P1')(P4')를 싣고서 승강되는 리프트(20)를 설치하고 승강부(Ud)의 좌우측에는 리프트(20)로 이송된 자동차(V)를 팔레트(P2')(P3')로 이송받아 적재하는 적재대(40)를 여러층으로 설치하여 자동차(V)의 적재, 하차작동시에 리프트(20)측의 팔레트(P1')(P4')가 적재대(40)에 길이방향으로 입출고되게 적용한 일실시예에서 상세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프트(20)상에 전후로 벌려져 배설된 팔레트(P1')(P4')는 자동차(V)를 탑재하여 승강부(Ud)내에서 리프트(20)로 승강되면서, 적재행정시에는 제3도와 같이 두 개의 팔레트(P1')(P4')가 자동차(V)를 싣고 적재층으로 상승된후 적재대(40)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동시에 적재대(40)에 모아져 배설된 두개의 팔레트(P2')(P3')는 이와 연동되어 동시에, 적재이동되는 팔레트(P1')(P4')사이로 적재대(40)에서 리프트(20)상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리프트(20)에 실려진 행정으로 작동되며, 출고행정시에는 제4도와 같이 적재대(40)의 벌려진 두개의 팔레트(P1')(P4')에는 자동차(V)가 적재되어 있고 리프트(20)에는 중앙으로 모아진 두개의 빈 팔레트(P2')(P3')가 실려 있는바, 리프트(20)측에서 빈 팔레트(P2')(P3')를 적재대(40)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이 작동에 연동되어 동시에, 자동차(V)가 탑재된 팔레트(P1')(P4')가 리프트(20)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빈 팔레트(P2')(P3')는 적재대(40)에 중앙으로 모아진 상태로 적재되고 자동차(V)가 탑재된 팔레트(P1')(P4')는 리프트(20)에 상호 교환 적재된 후 리프트(20)는 승차대로 하강하여 자동차(V)가 출고되면 리프트(20)위에는 벌려진 상태의 팔레트(P1')(P4')가 실려있는 행정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 횡형 타워식주차방식에 적용실시되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교환형 분할팔레트 방식은 다층 다열로 적재대를 설치하는 일명 그랜드형 주차장치에도 같은 방식으로 적용하여 횡형 팔레트(P1)(P2)(P3)(P4)를 구비한 횡형 주차방식과 종형팔레트(P1')(P2')(P3')(P4')를 구비한 종형 주차방식의 두가지 기본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
횡형 그랜드식주차방식은 제1,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횡형 타워식주차방식의 사양을 기본구조로 적용하되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다열로 설치된 수개의 적재대(40)마다 중앙으로 모아진 두개의 팔레트(P2)(P3)를 각각 횡형으로 설치하고, 일측의 주차대(Pz)과 각층사이에서 자동차(V)를 싣고 승강시키는 리프트(20)에는 외측으로 벌어진 두개의 팔레트(P1)(P4)를 횡형으로 설치하며, 각층에서만 횡형으로 다열 설치된 전후열 적재대(40)사이를 주행하면서 적재대(40)와 리프트(20)간에 자동차(V)룰 이송 교환하는 주행대차(Tp)에는 중앙으로 모아진 두개의 팔레트(P5)(P6)를 횡형으로 설치하는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는바, 횡형 그랜드식주차장치의 주차행정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20)위에 전후로 벌려져 배설된 팔레트(P1)(P4)는 자동차(V)를 탑재하여 승강부(Ud)내에서 리프트(20)로 승강되면서, 적재행정시에는 제5도와 같이 두개의 팔레트(P1)(P4)에 자동차(V)를 탑재하고 리프트(20)로 적재층에 상승시킨후 대기된 주행대차(Tp)측으로 자동차(V)가 탑재된 팔레트(P1)(P4)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이 작동에 연동되어 동시에 주행대차(Tp)에 배치된 빈 팔레트(P5)(P6)는 이동되는 두개의 팔레트(P1)(P4)사이로 빠져 리프트(20)상면으로 이동 교환되고, 자동차(V)를 실은 주행대차(Tp)는 임의의 적재대(40)에 이동되어 다시 팔레트(P1)(P4)를 적재대(40)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적재하고 동시에 적재대(40)에 모아져 배설되어 있던 두개의 빈 팔레트(P2)(P3)는 이와 연동되어 적재이동되는 팔레트(P1)(P4)사이로 빠겨 적재대(40)에서 리프트(20)상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교환되어 리프트(20)에 실려지는 행정으로 작동되며, 출고행정시에는 상기한 적재대(40)에는 벌려진 두개의 팔레트(P1)(P4)에는 자동차(V)가 적재되어 있고 주행대차(Tp)에는 중앙으로 모아진 빈 팔레트(P2)(P3)가 실려있고 리프트(20)에는 빈 팔레트(P5)(P6)가 실려있는바, 적재행정과 역순으로 주행대차(Tp)의 팔레트(P2)(P3)를 적재대(40)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적재시키면 이와 연동되어 동시에, 적재대(40)의 자동차(V)가 탑재한 팔레트(P1)(P4)는 이동되는 팔레트(P2)(P3)외측으로 빠져 주행대차(Tp)에 교환 적재되어, 이 주행대차(Tp)를 다시 리프트(20)측으로 이동시켜 자동차(V)가 탑재된 팔레트(P1)(P4)를 리피트(20)측으로 이동시켜 이와 연동되는 동시에, 리프트(20)측의 빈 팔레트(P5)(P6)가 이동되는 두 개의 팔레트(P1)(P4)사이로 빠져 주행대차(Tp)에 교환 이동되고 자동차(V)가 탑재된 팔레트(P1)(P4)는 리프트(20)에 실려 승차대로 하강한 후 자동차(V)가 출고되면 벌려진 상태로 리프트(20)위에 실려있는 행정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종형 그랜드식 주차방식은 제3,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형 타워주차방식의 사양을 기본구조로 적용하되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형다열로 설치된 수개의 적재대(40)마다 중앙으로 모아진 팔레트(P2')(P3')를 각각 종형으로 설치하고, 일측의 주차대(Pz)과 각층사이에서 자동차(V)를 싣고 승강시키는 리프트(20)에는 외측으로 벌어진 두개의 팔레트(P1')(P4')를 종형으로 설치하며, 각층에서만 종형으로 다열 설치된 전후열적재대(40)사이를 주행하면서 적재대(40)와 리프트(20)간에 자동차(V)를 이송교환하는 주행대차(Tp)에는 중앙으로 모아진 두개의 팔레트(P5')(P6')를 종형으로 설치하는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는바, 이러한 구성의 종형 그랜드식주차장치의 주차행정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20)위에 전후로 벌어져 배설된 종형 팔레트(P1')(P4')는 자동차(V)를 탑재하여 승강부(Ud)내에서 리프트(20)로 승강되면서, 전술한 횡형 그랜드식주차장치의 주차행정과는 교환되는 팔레트의 형식과 슬라이드 이동방식이 상이할 뿐 동일한 행정으로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행정이 적동되고 출고행정은 적재행정과 역순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횡·종형 타워식주차장치 및 횡·종형 그랜드식주차장치의 리프트(20)와 적재대(40) 및 주행대차(Tp)에 각각 2개씩의 슬라이드 이동식의 분할팔레트를 설치하여 자동차의 적재, 하차작동을 이 분할팔레트들이 동시에 상호 교환되는 주차방식으로 실시함에는, 리프트(20)와 적재대(40) 및 주행대차(Tp)에의 분할팔레트들을 설치하는 현가장치와, 리프트(20)와 적재대(40)사이와 리프트(20)와 주행대차(Tp)사이 및 적재대(40)와 주행대차(Tp) 사이의 슬라이드 이동 및 동시 교환작동을 위한 이동장치가 요구되고, 리프트(20)가 1차 적재행정을 한 후 오므려진 팔레트(P2)(P3)를 싣고 있는 상태에서 연속하여 2차 적재행정을 할 때는 자동차(V)를 탑재하기 위해서는 오므려져 있는 팔레트(P2)(P3)를 벌려주어야 하고, 반대로 리프트(20)가 1차 출고행정을 한 후 주차대(Pz)에서 벌려진 팔레트(P1)(P4)를 싣고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연속하여 2차 출고행정을 할 때는 벌려진 상태로 자동차(V)를 탑재하고 있는 팔레트(P2)(P3)와 교환 하기 위해서는 벌려져 있는 팔레트(P1)(P4)를 중앙으로 오므려야 하므로 이러한 리프트(20)에서의 팔레트 정열장치가 요구되며, 특히 횡형 타워식과 횡형 그랜드식주차장치에 적용되는 횡형 분할식 팔레트(P1)(P4)(P3)(P3)의 경우에는 주차대(Pz)에서 자동차(V)를 운행하여 탑재시키기 위해서는 벌려진 전후방 팔레트 사이에 바퀴주행을 위한 받침대가 요구되고, 반대로 리프트(20)에 오므려진 팔레트가 실려질 때에는 이 받침대가 제거되어야 하므로 이 받침대는 주차행정을 위하여 리프트(20)가 주차대(Pz)로 하강할 때는 팔레트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상승하여 받침면을 형성하고 반대로 제반공정에서 리프트(20)측으로 오므려진 팔레트가 실려질 때에는 이 받침면이 팔레트의 밑면으로 잠입하는 출몰식 받침대 구성으로 구비되어 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분할팔레트방식을 만족시키는 제반장치의 기본구성을 일실시예의 횡형 타워식주차장치에 적용하여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9∼3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횡형 타워식주차장치의 구성으로 타워(10)상부의 리프트권상장치(50)와 로프(55)와 중량추(56)로 승강되도록 구성된 리프트(20)와, 이 리프트(20)에 실려서 승강이동되는 2개의 분할된 팔레트(P1)(P4)로 자동차(V)를 탑재하여 타워의 각층에 마련된 적재대(40)의 팔레트(P2)(P3)에 상호 교환식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적재, 하차작동을 하는 분할팔레트 방식의 주차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리프트(20)의 구성은 제10~3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개의 프레임으로 상자형 함체를 형성하되 하방에는 분할식 팔레트(P1)(P4)와 이 팔레트(P1)(P4)를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안내 및 이동장치인 레일과 체인기어열, 구동장치 및 보조밀대, 자동차(V)탑재용 출몰식 받침대등이 설치되며 상방으로는 수직프레임(201)에 의하여 자동차(V)가 입고되는 적정 높이로 공간을 두고, 중앙에 위치된 팔레트(P1)(P4)를 외측으로 벌려주거나 벌려진 팔레트(P2)(P3)를 중앙으로 모아주는 팔레트정열장치가 설치된다.
팔레트(P1)(P4)(P2)(P3) 안내장치는 제12, 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 (20)와 적재대(40)사이를 팔레트(P1)(P4)(P2)(P3)들이 슬라이드 평면이동 할 수 있도록 팔레트(P1)(P4)(P2)(P3)의 저면 네귀퉁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휠(61)을 설치하고 리프트(20)의 상면과 적재대(40)에는 이 휠(61)의 슬라이드 안내용으로 리프트(20)측에는 8개의 레일(62a~62h)을 설치하고, 적재대(40)측에는 이 레일 (62a~62h)들과의 좌우연장선상으로 각각 8개씩의 레일(63a∼63h)을 팔레트(P1)(P2)(P3)(P4)의 이동방향인 좌우 횡방향으로 각각 설치하며, 이러한 슬라이드 이동, 안내장치로 리프트(20)에는 벌려진 팔레트(P1)(P4)를 설치되고 적재대(40)에는 중앙부에 오므려진 팔레트(P2)(P3)을 설치한 상태에서 적재나 하차작동을 위하여 양측의 팔레트를 동시에 연동하여 상호 교환하는 구동장치는 제13~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20)에는 외측팔레트(P1)(P4)안쪽인 레일(62b)과 레일(62c) 사이의 중간과 레일(62f)과 레일(62g) 사이의 중간에 각각 팔레트(P1)(P4)의 좌우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구동체인열을 마련하되, 각 구동체인열은 각각 구동스프라킷기어(S1a)(S1c)와 아이들 스프라킷기어(S1b)(S1b)를 리프트(20)의 중간프레임(21)상에 구동축봉(65)과 아이들 축봉(65a)으로 피봇축설하여 슬라이드 구동용체인(66a)(66b)들을 각각 설치하여서 되며, 적재대(40)에는 내측팔레트(P2)(P3)의 외측인 레일(63b)과 레일(66c)사이의 중간과, 레일(63f)과 레일(63g)사이의 중간에 각각 팔레트(P1)(P4)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아이들 체인열을 마련하되, 각 아이들체인열은 각각 스프라킷기어(S2a~S2d)를 적재대(40)의 중간프레임(41)상에 아이들 축봉(65a)으로 피봇축설하여 슬라이드 연동용체인(66c)(66d)들을 각각 구비하여서 된다.
각 체인(66a)(66b)(66c)(66d)의 기본구성은 제13, 15, 23∼29도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개의 후크(F1a~F4d,F1x)들을 체인의 전길이에 걸쳐서 적정한 간격을 두고 외향으로 구비하되, 각각의 후크(F1a~F4d,F1x)들은 제15∼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정간격의 위치에서 상하 체인편(661)(662)의 중간부를 외향으로 수평 연장한 후크편(663)(664)을 마련하여 선단에 로울러(665)를 핀(666)으로 유동자유롭게 설치하여서 되고, 각각의 하부 후크편(664)의 후단은 하향은 절곡한 가이드편(667)으로 형성하여 리프트(20)의 중간프레임(21)상면에서 체인(66a)(66b)(66c)(66d)의 직진 이동부 하방에 고정설치되는 체인레일(67)에 안내되는 구성으로 된다.
상기한 구성중, 각각의 체인열 구성기준 및 각각의 체인(66a)(66b)(66c)(66d)에 전길이에 걸쳐서 구비되는 후크(F1a~F4d,F1x)의 설치기준은 후술하는 팔레트(P1)(P2)(P3)(P4)의 접동편들을 효과적으로 슬라이드 구동, 또는 연동시키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조건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각 체인열에 구비되는 후크(F1a∼F4d,F1x)들의 설치간격은 최소한도 사용되는 스프라킷기어의 반원둘레(πD/2)보다 동일하거나, 다소 넓은 간격으로 형성하여 작동전의 대기상태에서 임의의 후크가 각각의 스프라킷기어 수직중심선상의 상측이나 하측에 위치할 때, 이 후크의 전, 후에 위치된 후크가 스프라킷기어의 외측원호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배려하여야 한다.
이러한 배려는 각 체인열로 팔레트(P1)(P4)(P2)(P3)들을 슬라이드 구동, 연동시킬 때 최대의 작동행정을 얻기위하여 각 스프라킷기어의 외측단을 각 팔레트의 외측단과 동일선상으로 맞추어 설치하였을 때 후크가 스프라킷기어의 외측단을 원호선상에 위치하여 프레임 외측으로 돌출되면 리프트(20)의 승강작동시에 상호간섭에 의한 파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의 각 체인별로 팔레트(P1)(P4)(P2)(P3)들을 상호 교환하기 위해서는 이 후크(F1a~F4d,F1x)들과 접속되는 구조로 각 팔레트(P1)(P4)(P2)(P3)의 저면부 4모서리에는 작동편(R1a~R1d)(R4a~R4d)(R2a~R2d)(R3a~R3d)들을 각각 구비하여서 된다.
이 후크와 작동편들의 기본 접동구조를 제13∼17, 2∼29도에 도시한 일실시예의 장치도와 전체개요도 및 일부작동개요도와 같다.
리프트(20)의 상부팔레트(P1)에는, 하측 작동편(R1c)(R1d)들을 각각 좌우 스프라킷기어(S1a)(S1b)의 수직중심선 상부 우측에서 체인(66a)에 설치된 임의의 후크(F1a~F4b)들과 외측(도면상 우측의 적재대방향)으로 접동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층작동편(R1a)(R1b)들은 스프라킷기어(S1a)(S1d)의 수직중심선 좌측편에서 후트들과 접동되는 위치로 설치된다.
리프트(20)의 하부팔레트(P4)에는 상기한 상부팔레트(P1)의 구성과 상하대칭형으로, 상측작동편(R4a)(R4b)들을 체인(66b)의 하측에서 임의의 후크(F4c∼F4d)들과 좌우스프라킷기어(S1c)(S1d)의 수직 중심선 하부 우측(도면상 우측의 적재대방향)에서 접동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하측작동편(R4c)(R4d)들은 스프라킷기어(S1c)(S1d)의 수직 중심선 좌측편에서 후크들과 접동되는 위치로 설치된다.
적재대(40)의 상부팔레트(P2)에는, 상측 작동편(R2a)(R2b)들을 각각 좌우 스프라킷기어(S2a)(S2b)의 수직 중심선 하부 좌측에서 체인(66c)에 설치된 임의의 후크(F2c∼F2d)들과 외측(도면상 좌측의 리프트방향)으로 접동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하측 작동편(R2c)(R2d)들은 스프라킷기어(S2a)(S2b)의 수직 중심선 우측편에서 후크들과 접동되는 위치로 설치된다.
적재대(40)의 하부팔레트(P3)에는 상기한 상부 팔레트(P2)의 구성과 상하대칭형으로, 하측작동편(R3c)(R3d)들을 각각 좌우스프라킷기어(S2c)(S2b)의 수직중심선 상부 좌측에서 체인(66c)에 설치된 임의의 후크(F3a∼F3b)들과 외측(도면상 좌측의 리프트방향)으로 접동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측작동편(F3a)(F3b)들은 스프라킷기어(S2c)(S2d)의 수직중심선 우측편에서 후크들과 접동되는 위치로 설정된다. 이러한 접동구성은 리프트(20)의 좌측에 설치되는 적재대(40a) 구성에서는 적재대(40)와 대칭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실시되는 접동구성은 제15도와 같이 리프트(20)에 설치된 구동체인 (66a)(66b)의 스프라킷기어(S1a)(S1c)를 구동축봉(65)들로 중간프레임(21)에 축설하여, 리프트(20)의 하부프레임(22)에 설치되는 모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연동된 스프라킷기어(26)의 좌우 연결축(24)과 각각 유니버셜 조인트(25)로 동시에 회전 연동되게 설치되어 주차, 하차행정시의 제어작동으로 다음과 같이 슬라이드 이동에 의한 교환작동을 수행한다.
제23, 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초기 접동구성에서 리프트(20)측의 구동체인열인 구동 스프라킷기어(S1a)(S1c)를 모터를 회전제어하여 각각 반대방향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동 스프라킷기어(S1a)(S1c)들은 체인(66a)(66b)을 회전시키고 이에따라 각 체인(66a)(66b)의 전길이에 걸쳐서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후크(F1a~F4d,F1x)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각 스프라킷기어(S1a∼S1d)의 수직중심선상의 상하측에서 각각 팔레트(P1)(P4)의 하,상측작동편(R1c)(R1d)(R4a)(R4b)들을 우측으로 밀게되어 팔레트(P1)(P4)들이 적재대(40)측으로 이동하는 초기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초기작동은 계속되는 체인(66a)(66b)의 회전에 의하여 리프트(20)측의 팔레트(P1)(P4)들을 점차적으로 적재대(40)측으로 진입시키게 되는바, 이후의 작동과정을 제24∼29도등에 도시한 리프트(20)의 상부팔레트(P1)와 적재대(40)의 상부팔레트(P2)간의 슬라이드 교환 기본작동개요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초기접동에서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66a)이 회전하여 구동 스프라킷기어(S1a)의 수직중심선 상방 우측편에 각각 위치되어 있는 팔레트(P1)의 하측작동편(R1c)(R1d)들을 임의의 접동된 후크(F1a)(F1b)가 우측으로 밀어 팔레트(P1)를 적재대(40)측으로 수평이동시키면, 팔레트(P1)의 우. 하측작동편(R1d)이 적재대(40)측 스프라킷기어(S2a)의 수직중심선 상측에 위치된 체인(66c)의 후크(F2a)와 좌측에서 접동된다.
이러한 초기작동시에는 적재대(40)의 팔레트(P2)는 작동되지 않는다.
계속하여 리프트(20)측 구동체인(66a)이 회전하면 팔레트(P1)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은 좌하측작동편(R1c)과 접동된 후크(F1a)에만 전달되므로 이 후크(F1a)가 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라킷기어(S1b) 측으로 점차 이동되면 팔레트(P1)의 우측선단도 점차 적재대(40)으로 진입되어 초기작동상태인, 우.하측접동편(R1d)이 스프라킷기어(S2a)의 상측에서 후크(F2a)에 접동된 상태에서 점차적으로 후크(F2a)를 밀면서 진입하게 되어 체인(66c)을 회전시키게 되고, 체인(66c)이 회전되면 이 체인의 하측에서 임의의 후크(F2c)(F2d)에 리프트(20)측으로 접동되어 있던 팔레트(P2)의 상측작동편(R2a)(R2b)들을 리프트(20)으로 밀게 되어 팔레트(P2)가 리프트(20)측으로 진입하는 교환식 연동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리프트(20)측 팔레트(P1)의 진입에 의한 적재대(40)측 팔레트(P2)의 교환식 연동작동이 이루어져서 적재대(40)측 팔레트(P2)의 좌측선단에 이 리프트(20)의 우측편으로 진입되면 구동스프라킷기어(S1a)에 의하여 계속 회전하고 있는 체인(66a)의 후크들 중에 임의의 후크(F1x)가, 진입된 팔레트(P2)의 좌.상측작동편(R2a)을 우측에서 접동하게 되어, 제2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레트(P2)를 후크(F1x)가 점차적으로 리프트(20)의 좌측편의 정위치로 밀고가서 안착시키는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 교환 이동 작동력은 구동 스프라킷기어(S1a)로 회전시키는 체인(66a)의 후크(F1a)가 제27도와 같이 반대편 스프라킷기어(S1b)의 수직중심선을 상측을 지나 원호상으로 회전하면 후크(F1a)와 접동편(R1c)의 접동이 해제되는 지점에서 상실되고 리프트(20)의 팔레트(P1)는 적재대(40)측에 완전히 진입하지 못하고 정지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제반작동상태의 설명은 편의상 리프트(20)측의 상측팔레트(P1)와, 적재대(40)측의 상측팔레트(P2)간의 작동개요만을 기술하였으나, 이러한 상측팔레트(P1)(P2)들과 상하대칭형으로 구성되는 리프트(20)측의 하측팔레트(P4)와 적재대(40)측의 하측팔레트(P3)간에서도 동일한 작동이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볼 때 리프트(20)측의 팔레트(P1)(P4)을 구동체인열로 적재대(40)측으로 슬라이드 수평이동시키면 이와 연동하여 적재대(40)측의 팔레트(P2)(P3)들이 리프트(20)측으로 슬라이드 수평이동하는 적재형 교환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술한 작동중에 리프트(20)측의 팔레트(P1)(P4)들이 구동체인(66a)의 구동력에 의해서 적재대(40)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작동중에, 제27도와 같이 팔레트(P1)의 하측작동편(R1c)이 구동체인(66a)을 벗어나 적재대(40)측에 완전히 진입되지 못하고 작동정지가 되면, 이 불완전 진입상태의 팔레트(P1)(P4)들을 적재대(40)의 지정위치에 이동 적재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구동장치를 필요로 하는 바, 다음과 같은 장치가 마련된다.
제13∼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20)상의 각 팔레트(P1)(P4)(P2)(P3)정열위치 하방에는 좌우측 적재대(40)방향으로 작용하는 8개의 보조밀대(900) 장치가 설치된다.
이 보조밀대(900)의 각각의 구성은 제30∼3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에는 몸체에 부착된 풀형 솔레노이드(909)의 로드(903)에 하단이 부착되어 축(902)을 중심으로 수평상태에서 수직으로 젖혀질 수 있는 작동대(901)가 설치되고, 내부중간판(904)에는 랙(905)이 설치되어 밀대몸체와 간섭되지 않도록 측면작동구 (912)로 관통되는, 보조밀대 구동축(910)에 고정축설된 피니언(908)과 치합되어 있으며, 중간판(904) 밑면에는 가이드슈(907)를 길이방향으로 고정하여 리프트(20)의 하부프레임(22)에 설치된 레일(906)에 안내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밀대몸체의 하단은 리프트(20)의 하부프레임(22)위에 수개의 휠(911)로 이동자유롭게 얹혀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보조밀대(900)는 전술한 팔레트(P1)(P4)들의 불완전 진입 정지상태에서, 솔레노이드(909)를 제어하여 로드(903)로 선단의 작동대(901)를 상측으로 젖혀 세운 후, 구동축(910)을 회전시켜 축설된 피니언(908)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피니언(908)과 치합된 랙(905)의 전진력으로 보조밀대(900)가 가이드슈(907)의 레일(906) 안내로 적재대(40)측으로 전진 이동된다. 보조밀대(900)가 적재대(40)측으로 전진하면 선단의 작동대(901)가 적재대(40)측으로 진입중에 정지된 팔레트(P1)(P4)의 후단을 밀어 제28도와 같이 정위치에 완전히 진입시킨다.
진입완료 작동 후 구동축(910)을 반대로 회전제어하면 보조밀대(900)는 역회전되는 피니언(908)이 랙(905)을 후방으로 밀어 제자리로 환원되고, 동시에 솔레노이드(909)의 로드(903)를 당겨 세워진 작동대(901)를 회동하향정착시켜서 다음 행정에서의 팔레트(P1)(P4)(P2)(P3)들의 슬라이드 이동시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중에 각각의 보조밀대(900)들을 작동시키는 구동축(910)의 구동구성은 도면에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팔레트(P1)(P4)하단의 좌측2개의 보조밀대(900a)(900d)는 하나의 구동축으로 동시에 작동되게, 우측 2개의 보조밀대 (900a)(900d)들은 또다른 하나의 구동축으로 동시에 작동되게 각각 모터와 연결하며, 팔레트(P2)(P3)들을 미는 중앙부 좌측 2개의 보조밀대(900b)(900c)들과 우측의 보조밀대(900b)(900c)들도 각각 별개의 2축으로 장치되고, 각축은 각각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작동으로 적재행정을 위한 리프트(20)측의 팔레트(P1)(P4)와 적재대(40)측의 팔레트(P2)(P3)를 각각 교차시켜 교환하는 적재형 슬라이드 이동이 완료되면, 하차행정을 위한 하차형 작동은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상기한 적재형 작동이 완료되면 제28도와 같이 리프트(20)상에는 팔레트(P2)(P3)들이 중앙에 모아져 위치되고, 적재대(40)측에는 팔레트(P1)(P4)가 벌려진 상태로 적재되어 있으므로, 하차형 작동은 리프트(20)측에서 구동체인(66a)(66b)를 회전시켜서 중앙으로 모아져 있는 팔레트(P2)(P3)들을 다시 적재대(40)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복귀작동으로 이루어진다.
구동스프라킷기어(S1a)(S1c)의 구동축봉(65)들을 모터를 제어하여 주차(적재)작동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제어시키면, 구동스프라킷기어(S1a)는 시계반대방향으로, 스프라킷기어(S1c)는 시계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면서 체인(66a)(66b)을 회전시키고 체인에 설치된 각 후크는 팔레트(P2)(P3)의 접동편들을 적재대(40)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는바, 제29도와 같은 상태로, 리프트(20)의 상측 팔레트(P2)와 적재대(40)의 상측 팔레트(P1)에 의한 작동상태만을 설명하면, 스프라킷기어(S1a)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체인(66a)의 좌측 스프라킷기어(S1a)의 수직 중심선 상측부근에 위치된 임의의 상측 후크(F1d)가 스프라킷기어(S1a)의 좌측 반원호를 시계반대방향으로 공회전한 후 팔레트(P2)의 작동편(R2a)과 좌측으로 접동되어 팔레트(P2)를 직진운동으로 밀어 적재대(40)측으로 점차 진입시키는 슬라이드 이동작동이 이루어지고, 적재대(40)측으로 진입하는 팔레트(P2)의 우·상측 작동편(R2b)은 스프라킷기어(S2a)의 수직중심선 하측부근에서 체인(66c)의 하측에서 위치된 임의의 후크(F2b)를 밀면서 진입하게 된다.
후크(F2b)가 밀리면 체인(66c)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우측 스프라킷기어(S2b)의 수직 중심선 상하부근에 위치되어 있던 임의의 후크(F2a)가 시계반대방향으로 반원호상 공회전한 후 팔레트(P1)의 접동편(R1d)과 우측에서 접동되어 리프트(20)측으로 팔레트(P1)를 점차적으로 밀어 환원 진입시키는 작동순으로 전술한 적재형 작동과 역순으로 작동된다.
이러한 진입작동은 체인(66a) 후크(F1d)가 반대편 스프라킷기어(S1b)의 수직중심선 하측을 지나 원호상으로 회전되면 후크(F1d)와 접동편(R2a)의 접동이 해제되는 지점에서 구동력이 상실되므로 리프트(20)측에서 적재대(40)측으로 이동되던 팔레트(P2)는 적재대(40)측에 완전히 진입하지 못하고 작동정지상태로 작동이 완료된다.
이러한 작동정지상태에서 불완전진입을 해소하는 작동을 상술한 보조밀대 (900)가 리프트(20)상의 각 팔레트(P1)(P4) 정열위치 하방에서 좌우측 적재대(40)방향으로 작동함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되어 팔레트(P2)(P3)밑에 설치된 보조밀대 (900b)(900c)로 불완전 진입상태의 팔레트(P2)(P3)들을 후단을 밀어 정위치로 완전히 진입시켜서, 리프트(20)측에 있던 빈 팔레트(P2)(P3)와 적재대(40)측에 있던 자동차를 탑재한 팔레트(P1)(P4)를 각각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교환하는 하차형 작동을 완료한다.
이러한 분할팔레트(P1)(P4)(P2)(P3)들의 적재형, 하차형 교환작동후에 제반 주차, 하차행정을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속입고시에는 1차 입고후에 리프트 (20)상에서 오므려져 실려있는 팔레트(P2)(P3)들을 자동차(V)를 탑재하기 위해서는 벌려주어야 하고, 반대로 연속출고시에는 1차 출고행정을 한 후 주차대(Pz)에 안착되어 있는 리프트(20)를 출고층으로 상승시키면서, 벌려져 리프트에 실려있는 팔레트(P1)(P4)들을, 자동차가 탑재된 적재대의 벌려진 팔레트(P2)(P3)와 교환하기 위해서는 중앙으로 오므려주어야 하므로, 리프트(20)상에서 팔레트 정열장치(800)가 요구된다.
이 팔레트정열장치(800)의 일실시예 구성은 자동차가 리프트(20)에 실린 상태에서는 리프트(20)상방에 위치하고 작동시에는 리프트(20)의 하단에 실린 팔레트 상면으로 하강하여 팔레트를 들어 올린후 요구되는 위치로 이동시켜 재정열하는 좌우 승강정열대(830)(831)을 구비한다.
이 승강정열대에는, 팔레트 부착용 마그네트(860)를 하단에 구비하고 승강정열대(830)(831)의 프레임 위에서 수평이동하는 팔레트이동대(850)(851)가 설치되며 제9∼11, 18∼22도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프트(20)의 상부로 자동차의 전고를 감안하여 내부에 충분히 입고될 수 있도록 네 귀에 수직프레임(201)을 적정 높이로 설치하여 상부프레임(202)을 리프트(20)와 같은 크기로 구비하여, 중앙의 상부 프레임(203)상에는 중앙에 구동모터(811)을 설치하여 좌우 구동축(812)(813)을 유니버셜조인트로 된 연결축(814)으로 연동시키고, 이 좌우 구동축(812)(813)은 좌우 내측 프레임(206)(207)에서 각각 전후로 구동스프라킷기어(815)(816)와 구동피니언(817)(818)을 축설하여 설치되며, 이 구동피니언(817)(818)에는 좌우프레임(204)(205)의 상단에 설치된 좌우 승강축(819)(820)과 피동피니언(821)(822)을 연동시켜 축설한다.
이 경우 승강축(819)(820)의 양단은 네 귀의 수직프레임(201)까지 연장되어 구동피니언(817)(818)과 치합되는 좌우 4개 피동피니언(821)(822)외에 좌우축에 각각 1개씩의 피동피니언(821a)(822a)과, 네귀 수직프레임(201)에 설치된 수직체인열을 구동시키는 양단 2개의 스프라킷기어(823)(823a)가 축설되고, 피동피니언(821a)(821a)에는 내측프레임 (206)(207)의 구동피니언(817a)(818a)과 연동시키며, 이 구동축(812a)(813a)에는 구동스프라킷기어(815)(816)와 대칭위치로 구동스프라킷기어(815a)(816b)를 축설한다.
좌우 승강축(819)(820)의 양단에 설치된 구동스프라킷기어(823)(823a)는 각각 네귀 수직프레임(201) 상단에서 복열로 축설된 스프라킷기어(824)(824a)의 일측스프라킷기어(824a)와 체인(829)으로 연결되고, 타측스프라킷기어(824)는 하부스프라킷기어(825)와 체인(828)으로 연동된 수직 체인열로 형성하며, 체인(828) 일측에는 승강정열대(830)(831)의 전방 프레임(832)(833)의 양단에 부착된 수직가이드슈(826)가 연결되어, 네귀의 수직프레임(201) 내측에 부착된 수직 안내레일(827)에서 각각 수직으로 안내된다. 승강정열대(830)(831)의 구성은 전후 2개의 대칭된 구성으로 분리되어 팔레트(P1)(P4)(P2)(P3)를 각각 위치정열할 수 있도록 하되, 하측 승강정열대(830)는 중앙부 프레임(834)이 좌우 구동축(812)(813)에 축설된 구동스프라킷기어(815)(816)와 체인(841)(842)으로 각각 좌우에서 연결되어 네귀의 수직프레임(201)에서 전방프레임(832)이 안내되는 구성과 함께 수평상태로 리프트(20)의 팔레트면까지 승강제어되고, 상측 승강정열대(831)는 중앙부프레임(835)이 좌우 구동축(812a)(813a)에 측설된 구동스프라킷기어(815a)(816a)와 체인(841a)(842a)으로 각각 좌우에서 연결되어 네귀의 수직프레임(201)에서 전방 프레임(832)(833)에 안내된 구성과 함께 수평상태로 리프트(20)의 팔레트면까지 승강제어된다.
상술한 상·하측 승강정열대(831)의 중앙부프레임(834)(835)에 연결된 좌우 구동 스프라킷기어(815)(816)(815a)(816a)의 체인(841)(842)(841a)(842a)들은 각각 체인 안내대(210)에 얹혀져 안내되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체인이 벗어나지 않도록 공지한 아이들휠들로 탄력있게 지지된다.
이 승강정열대(830)(831)에는 각각 좌우프레임(836)(837) 상면에 설치된 랙 (843)(844)을 타고 자체의 구동원으로 전후 수평이동되는 패널형의 팔레트 이동대(850)(851)가 설치된다.
이 팔레트이동대의 구성은 제10, 11, 18, 21, 22도와 같이, 각각의 승강정열대 좌우프레임(836)(837)의 상면에는 각각 좌우 랙(843)(844)을 설치하고, 팔레트 이동대(850)(851)의 상면에는 베어링(854)으로 양단을 회전자유롭게 축설한 회전축(855)(856)을 각각 설치하여 이동대 중앙에 고정된 이동모터(852)(853)와 연동시키며, 이 회전축(855)(856)의 양단에는 각각 좌우 랙(843)(844)에 치합되는 이동피니언(857)(858)을 고정축설하여, 각각의 이동모터(852)(853)를 제어회전시키면 이동피니언(857)(858)들이 좌우프레임(836)(837)상면의 랙(843)(844)을 타고 전후로 왕복이동 제어되어 팔레트이동대(850)(851)가 전후로 수평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중 이동피니언(857)(858)과 랙(843)(844)의 구성에서는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기어인 이동피니언(857)(858) 내측으로 각각 반원추형의 가이드휠(859)을 부착하고, 랙(843)(844)의 내측단은 이 가이드휠(859)이 안내되는 경사단(845)으로 가공하며, 좌우프레임(836)(837)내 단에는 팔레트 이동대(850)(851)의 들뜸을 제지하는 가이드편(846)을 설치하여 양측 이동피니언(857)(858)이 랙(843)(844)을 타고 전후진 이동작동시에 가이드휠(859)과 가이드편(846)의 작용으로 양단이 전진방향에 대하여 뒤틀림 없이 평행상태로 전후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중 팔레트이동대(850)(851)의 하단에는 제18, 22도와 같이 좌우로 간격을 두고 각각 2개의 팔레트 부착용 마그네트(860)가 설치된다.
이 마그네트(860)는 파이프형 지지대(861)에 고정 부착되어 팔레트이동대(850)(851)의 하단에 고정되는 스프링박스(862)내에 스프링(863)과 스피링시이트(864), 조임나사(865)등으로 상하로 탄력있게 설치되고 마그네트(860)의 전원선(866)은 지지대(861) 내부에서 상부로 인출되게 처리된다.
이와 같이 2개의 마그네트(860)를 각각 하단에 부착한 2개의 팔레트이동대(850)(851)를 구비하는 전후 승강정열대(830)(831)는, 리프트(20)상측의 상부프레임(203) 중앙에 설치된 구동모터(811)를 제어작동시키면, 좌우의 구동축(812)(813)을 연결축(814)으로 연동시켜, 좌우 구동축(812)(813)에 각각 전후로 축설된 구동 스프라킷기어(815)(816)와 구동피니언(817)(818)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좌우프레임(204)(205)의 상단에 설치되어 구동피니언(817)(818)과 치합된 피동피니언(821)(822)도 회전하므로, 좌우승강축(819)(820)이 회전하면서 양단에 축설된 네귀 수직프레임(210)내의 상부스프라킷기어(824)(824a)도 회전시켜서, 체인(828)을 승강시키게 된다.
이러한 각 구동축과 승강축 회전이 이루어지면 승강정열대(830)(831)는 구동스프라킷기어(815)(816)와 체인(841)(842)으로 연결된 중앙부프레임(834)(835)과, 네귀 수직프레임(201)내의 승강 체인(828)에 수직가이드슈(826)(851)로 연결된 전방프레임(832)(833)이 각각 동일한 승강력을 받아 리프트(20)의 팔레트면과 상부프레임 사이를 승강하게 되고, 이 승강정열대(830)(831)에서는 각각 좌우프레임(836)(837) 상면에 설치된 랙(842)(844)과 치합된 이동피니언(857)(858)을, 이동모터(852)(853)의 제어구동으로 회전시켜 전후로 이동할 수 있고, 하단에는 마그네트(860)가 부착된 팔레트이동대(850)(851)가 구비되는바, 상술한 본 발명의 분할팔레트(P1)(P4)(P2)(P3)들을 적재, 하차행정으로 상호 교환을 시킨후 연속입고시에는 리프트(20)상에서 오므려져 있는 팔레트(P2)(P3)들을 자동차(V)를 탑재하기 위해서 벌려주어야 하고, 반대로 연속출고시에는 리프트(20)상에서 벌려져 있는 팔레트(P1)(P4)를 중앙으로 오므려야 되는 팔레트 정열작동을 다음과 같이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승강정열대(830)(831)의 구성으로, 팔레트(P1)(P4)등을 벌릴 경우에는 팔레트이동대(850)(851)를 오므려진 팔레트(P2)(P3)의 상방에 정위치하도록 이동, 정지시킨 후 좌우 승강정열대(830)(831)만 리프트(20)의 팔레트면으로 하강시켜서, 팔레트이동대 하단의 마그네트(860)를 오므려져 있는 팔레트(P1)(P4)상면에 압착시킨다.
압착전에 마그네트(860)의 전원을 단속하면 마그네트가 팔레트(P2)(P3)를 부착하므로, 이어서 승강정열대(830)(831)를 다소상승시킨후 팔레트이동대(850)(851)를 외측방향인 팔레트(P1)(P4)의 벌림 정위치상방으로 이동시키고, 다시 승강정열대(830)(831)를 하강시켜 레일(62a)(62b)(62g)(62h)위에 팔레트(P1)(P4)(P2)(P3)를 안착시킨다.
팔레트(P2)(P3)가 리프트레일에 안착정열되면 마그네트(860)의 전원을 끊어 자력을 삭제한후 승강정열대(830)(831)를 상부로 상승환원시켜 벌림작동을 완료한다.
반대로 벌려져 있는 팔레트(P2)(P3)들을 원위치로 오므릴 경우에는 팔레트이동대(850)(851)를 벌려져 있는 팔레트(P2)(P3)의 정상면에 위치되게 수평 이동시키면서 승강정열대(830)(831)를 리프트(20)의 탑재면으로 하강시켜서, 하단에 부착된 마그네트(860)로 벌려져 있는 팔레트(P2)(P3)를 압착시킨다.
마그네트(860)가 팔레트(P2)(P3)를 부착하면 승강정열대(830)(831)를 다소 상승시킨 후 팔레트이동대(850)(851)를 내측방향으로 이동시켜 팔레트(P2)(P3)를 오므림 정위치상에서 레일(62c-62f)위에 안착시킨다. 팔레트(92)(93)가 안착정열되면 마그네트(860)의 전원을 끊어 자력을 삭제한 후 승강정열대(830)(831)를 상부로 상승환원시켜 오므림작동을 완료한다.
이와 같은 제반작동은 리프트(20)의 위치에 따라서 리프트(20)의 이동행정중에 실시되므로 별도로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 공정이다.
이러한 팔레트(P1)(P2)(P3)(P4)들이 정열작동을 실시함에 있어서 팔레트이동대(850)(851) 저면에 설치된 마그네트(860)는 스프링박스(862)내에 스프링(863)과 스프링시이트(864), 조임나사(865)등으로 상하로 탄력있게 설치되어 있으므로서 승강정열대(830)(831)를 리프트(20) 상방으로 하강시켜서 팔레트(P1)(P4)(P2)(P3) 상면에 마그네트(860)를 접지시킬 시에 다소 압박상태로 눌려져 접지하므로, 승강정열대(830)(831)의 하강제어를 단순제어로 실시할 수 있고 아울러 마그네트(860)의 접지력을 보강시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며, 승강정열대(830)(831)에서의 각각의 팔레트이동대(850)(851)의 수평이동장치에 있어서도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기어인 이동피니언(857)(858)의 내측편으로 각각반원추형의 가이드휠(859)을 부착하고, 랙(843)(844)의 내측단은 이 가이드휠(859)이 안내되는 경사단(845)으로 구성하므로서 양측 이동피니언(857)(858)이 랙(843)(844)을 타고 전후진 이동작동시에, 가이드작용을 하여 좌우축의 전진방향에 대한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고, 좌우 이동피니언(857)(858)의 설치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면서 원활하게 전후진 이동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갖는 것이다.
상기한 제반구성으로 본 발명의 횡·종형식 분할팔레트를 상호교환식으로 리프트(20)측과 적재대(40)측에 각각 배설하여 자동차의 주차, 하차작동을 실시함에 있어서, 팔레트가 제8도와 같이 종형으로 분할되는 형식에서는 자동차가 분할된 좌우 팔레트(P1')(P4')에 종방향으로 탑재되므로 팔레트면을 그대로 탑재 주행판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레트가 횡형으로 분할되어 자동차(V)의 전륜은 상방의 팔레트(P1)에 탑재되고, 후륜은 하방의 팔레트(P4)에 탑재되어야 하는 형식에서는 중앙의 팔레트(P2)(P3)를 적재대(40)에 설치하므로 중앙이 공간부로 비어 있게 되고 주차대에서 자동차(V)를 탑재할 수 없는 난점이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최초에 벌려진 팔레트(P1)(P4)에 자동차(V)를 탑재할 때나, 입고(적재)행정으로 자동차(V)를 리프트(20)측의 팔레트(P1)(P4)에 탑재하여 임의의 적재대(40)측의 팔레트(P2)(P3)와 각각 동시 연동식으로 슬라이드 교환작동시켜서, 자동차(V)가 탑재된 팔레트(P1)(P4)를 적재대(40)에 입고하고 리프트(20)는 교환된 오므려진 상태의 빈 팔레트(P2)(P3)를 싣고 출고층에서 정지 대기중에, 연속하여 새차를 입고하기 위해 리프트(20)를 주차대로 하강시키면서 동시공정으로 팔레트 정열장치를 작동제어하여 오므려져 중앙에 실린 팔레트(P2)(P3)를 전후방으로 벌려서 주차대에 안착시켜서 새차를 리프트(20)상의 벌려진 팔레트(P2)(P3)에 탑재하는 경우에는 중앙부의 빈공간에 별도의 자동차 탑재주행을 위한 받침대를 형성시켜야 되고, 이 탑재 받침대는 자동차(V)를 탑재한 후에는 상술한 분할팔레트들의 교환작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제거되거나 옮겨지는 특성을 가져야 된다.
이와 같이 횡형 팔레트방식에서 리프트(20)상으로의 자동차(V)탑재를 위한 탑재 받침대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일실시예로 실시할 수 있다.
제9, 12도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형 팔레트를 적용한 횡형 타워식주차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적재대(40)측에 설치된 두장의 팔레트(P2)(P3)가 이동안착 될 수 있는 공간을 중앙에 형성하고 상측팔레트(P1)는 레일(62a)(62b)위에, 하측팔레트(P4)는 레일(62g)(62h)위에 각각 설치하며, 중앙공간부에는 적재대(40)측에 배치된 팔레트(P2)(P3)가 슬라이드 이동 교환될 수 있도록 팔레트(P2)용 레일(62c)(62d)과, 팔레트(P3)용 레일(62e)(62f)이 설치되고, 각조 팔레트 레일사이의 중심에는 좌우측방으로 각각 적재대(40)측을 향하여 보조밀대(900) 장치가 설치되는 리프트(20)측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탑재 받침대장치(700)는, 제12, 13도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팔레트(P1)(P4)의 내측인 팔레트(P2)(P3)의 이동공간부 좌우측에, 자동차의 전후륜이 주행할 수 있는 좌우폭과, 팔레트의 상면(GL)의 높이로 위치되는 받침면이 형성되게 수개의 받침편(701)(701a)들을 평면상으로는 좌우빗살형으로 배치함을 1조로 한 탑재 받침대장치(700)를 설치하되, 설치위치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62c)과 좌우 보조밀대(900a)(900b) 사이의 좌우측과, 좌우 보조밀대(900a)(900b)와 레일(62d) 사이의 좌우측과, 레일(62e)과 좌우 보조밀대(900c)(900d) 사이의 좌우측과, 좌우 보조밀대(900c)(900d)와 레일(62f) 사이의 좌우측, 8개소에 각각 2조씩의 탑재 받침대장치(700)를 설치한다.
각조의 탑재 받침대장치(700)는 상기한 8개소에서 각각 제32, 36도 등과 같이 좌우대칭형(제12,13도는 전후 대칭)으로 설치하되, 빗살형 우측받침편(701)들 사이로 좌측받침편(701a)들이 엇갈려 위치되게 2조씩 설치하고 각조의 구성은 유압실린더로 작동되는 4절 링크기구로 형성된다.
각조의 탑재받침대장치(700)에는 제32, 3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20)의 하부프레임(2)상면에 저면이 고정되고, 일정간격의 빗살형 끼움홈(707)이 상방에 폭방향으로 일정깊이 요설되며 가로방향으로는 전후로 끼움홈(707)들을 관통하는 두개의 축수공(708)(709)이 형성된 받침대(706)를 설치하여 키홈이 있는 회동축(710)(711)으로 받침편의 전후측 지지대(702)(703)를 각각 축수공(708)(709)에 키(712)로 회동자유롭게 축설한다.
받침편(701)들은 대칭되는 반대편 받침편(701a)들과 각각 엇갈려 잠입하강될 수 있도록 받침편폭보다 넓은 간격을 갖고 좌우빗살형으로 각각 배치되어 하단이, 받침대(706)의 끼움홈(707)에서 회동축(710)(711)에 축설된 지지대(702)(703)의 상단에 핀(713)으로 유동자유롭게 설치된다.
이 받침편(701)의 길이는 제3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62d)과 레일(62e)사이의 중심선(K1)에서, 일측 보조밀대(900d)의 중심선(K2)까지의 길이(D1)를 반분한 길이보다 다소 짧은 길이로 형성한다.
이러한 받침편(701)들을 지지하여 받침대(706)에 회동축(710)(711)으로 축설되는 지지대(702)(703)들중에 일측 가장자리의 것에는 하부로 각도를 갖고 경사진 작동간(704)(705)을 일체로 형성하여, 리프트(20)의 바닥프레임(23)에 브라켓(715)으로 설치된 유압실린더(720)의 작동로드(721)에 유동자유롭게 각각 핀(722)으로 축설된다.
이러한 지지대(702)(703)의 작동간(704)(705)을 유압실린더(720)의 작동로드(721)에 유동자유롭게 각각 핀으로 축설하는 구성은 지지대(704)(705)가 수직으로 세워진 위치에서는 유압실린더(720)의 작동로드(721)가 잠입된 상태에서 작동간(704)(705)를 축설시키며, 유압실린더(720)의 스트로크는, 유압회로의 제어로 유압실린더(720)의 작동로드(721)가 작동간(704)(705)을 회동시켜서, 지지대(702)(703)에 유설된 받침편(701)의 상면이 최대상승 높이인 팔레트의 상면(GL)위치에서, 팔레트들의 슬라이드 이동작동중에 최대한 간섭되지 않는 위치인 잠입면(SL)까지 하강시켰을시의 하강높이로 작동되는 승강행정이 최대스트로크내에서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여유를 두고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실시되는 1조의 탑재받침대장치(700)는, 상술한 8개소의 설치위치에서 각각, 일측레일과 일측보조밀대(900) 사이의 공간내에서 좌우대칭형으로 2조씩 설치되는 것으로 1조의 작동상태와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탑재받침대장치(700)의 작동은 도면에는 표현하지 않았으나, 각각의 유압실린더(720)를 공지한 유압회로와 제어장치에 연결하여, 설정된 순차제어로 작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1조의 탑재받침대장치(700)는 제32∼3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720)의 작동로드(721)가 실린더에 잠입된 상태에서는 각 받침편(701)의 상면이 팔레트의 상면(GL)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대(702)(703)의 상단에 핀(713)으로 결합되어 받쳐져 있고, 이 지지대(702)(703)들의 하단은 각각 회동축(710)(711)에 키(712)로 고정되어 있으며, 회동축(710)(711)은 리프트의 중간프레임(21)에 고정된 받침대(706)에 회동자유롭게 축설되어 있으므로, 가장자리측 지지대(702)(703)의 하단부인 작동간(704)(705)을 유압실린더(720)의 작동로드(721)를 작동시켜 밀어주면, 지지대(702)(703)가 키(712)로 고정축설된 회동축(710)(711)을 받침대 (706)의 축수공(708)(709)에서 회동시켜서, 회동축(710)(711)에 좌우빗살형으로 수개 축설된 모든 지지대(702)(703)들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지대(702)(703)의 상단에 부착된 받침편(701)들도 회전하게 되어, 제34도와 같이 4절링크의 작용으로 받침대(701)의 상면이 팔레트의 상면(GL)위치에서, 수평면을 유지하면서 좌·하방으로 이동되는 원호상의 궤적으로 하강작동하게 되고 이러한 하강작동은 유압실린더(721)을 제어하여 받침편(701)의 상면이 잠입면(SL)에 위치하면 작동정지시켜 하강작동을 완료한다.
이와 같은 받침편(701)의 하강작동은 받침편(701)의 상면을 잠입면(SL) 위치에서 팔레트의 상면(GL)으로 이동시키는 상승작동시에 역순으로 실시되어, 유압실린더(721)의 작동로드(721)를 작동간(704)(705)을 당겨주게 제어하면 잠입면(SL)에 위치된 받침편(701)이 상면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원호상으로 우·상방으로 상승되는 궤적으로 상승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1조의 탑재받침대장치(700)의 승강(출몰) 작동상태는, 일측 레일과 일측 보조밀대(900) 사이의 동일공간내에서, 좌우 대칭형이면서 빗살형 받침편(701)과 평면상 배설위치가 서로 엇갈리게 정열되는 도면상 좌측의 받침편(701a)을 지지하는 좌측편 탑재받침대장치(700a)의 구성에서도 제35도와 같이 동일한 방식의 대칭방향으로 작동되어, 제36도와 같이 1개소 내에서 각각 2조의 받침편(701)(701a)들과 지지대(702)(703)(702a)(703a)등이 중앙측에서 서로 엇갈려 잠입, 출몰, 작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과 출몰 작동을 구비하는 탑재받침대장치(700)는 상기한 8개소에 각각 설치되어 작동함에 있어서, 일측 레일과 일측 보조밀대(900b) 사이의 좁은 공간내에 각각 2조의 받침편(701)(701a)들과 지지대(702)(703)(702a)을 빗살형으로 엇갈리면서 대칭형으로 설치하면서, 전체작동구조를 4절 링크형으로 구성하여 받침편(701)(701a)들의 이동궤적을 원호상으로 형성하므로서, 승강작동시에 좌우의 근접위치된 보조밀대(900)들이나 레일(62c)(62d)등에 받침편(701)(701a)들이 간섭받지 않고 승상이 원활히 이루어지며, 이울러 상승된 상태에서는 2개의 받침편(701)(701a)만으로 레일(62b)과 레일(62c) 사이의 중심선(K1)에서, 일측 보조밀대(900)의 중심선(K2)까지의 길이(D1)에 걸쳐 받침면을 형성하므로, 벌려져 있는 팔레트(P1)(P4) 사이의 공간부에, 팔레트의 상면(GL)과 동일한 높이의 받침면을 형성할 수 있고, 하강된 상태에서는 받침편(701)(701a)들의 상면이 팔레트(P1)(P4)들의 하단면보다 다소 낮은 잠입면(SL)에 위치할 때 좁은 폭안에 효과적으로 잠입하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효과를 갖는 탑재받침대장치(700)는 본 발명의 분할팔레트를 상호교환식으로 리프트(20)측과 적재대(40)측에 각각 배설하여 자동차의 주차, 하차작동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12, 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레트가 횡형으로 분할되어 리프트(20)에서, 자동차(V)의 전륜은 상방의 팔레트(P1)에 탑재되고 후륜은 하방의 팔레트(P4)에 탑재되는 횡형팔레트 형식에서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최초의 적재행정으로 주차대(Pz)에서 벌려진 팔레트(P1)(P4)에 자동차(V)를 탑재할 경우나, 전술한 바와 같이 입고(적재)행정에 이어서 연속하여 입고행정이 요구되어 오므려져 중앙에 실린 팔레트(P2)(P3)를 전후방으로 벌려져 주차대(Pz)에 안착시킨 후, 새차를 리프트(20)상의 벌려진 팔레트(P2)(P3)에 탑재하는 경우와, 출고층에서 출고할 자동차(V)를 팔레트(P1)(P4)에 싣고 하강하여 주차대(Pz)에서 출고할 경우등과 같이 제반 행정후에 자동차(V)를 주차대(Pz)에서 벌려진 팔레트(P1)(P4)위로 주행시켜야 할 경우에는, 전술한 공정으로 탑재받침대장치(700)를 상승상태로 작동시켜, 받침편(701)들이 팔레트의 상면(GL)과 동일한 높이로, 벌려진 팔레트(P1)(P4)(P2)(P3) 사이의 중앙부 빈 공간에 받침면을 형성토록 하므로서, 이 받침면(받침편(701))위로 자동차(V)를 주행시켜 전후륜을 팔레트(P1)(P4)에 탑재할 수 있는 것이고, 자동차(V)를 팔레트(P1)(P4)에 탑재한 후에는 바로 탑재받침대장치(700)들을 하강작동시켜 잠입면(SL)위치로 받침면(701)들을 잠입시켜서, 적재행정으로, 임의의 적재층에서 분할팔레트들을 상호 교환작동시킬시에는 적재대(40)측에서 리프트(20)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오므려진 팔레트(P2)(P3)의 이동통로를 간섭하지 않도록 실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반 일실시예장치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교환형 분할팔레트 방식에 의한 횡·종형 타워식 및 횡종형 그랜드식주차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의 평판팔레트식이나 포크팔레트식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특징은, 주차설비를 구성함에 있어서 팔레트의 구성을 각층 전용식에서 교환에 의한 공동사용형 분할식으로 구성하므로서 전체적인 장치의 제작단가는 다소 상승되나, 자동차를 입·출고시키는 주차, 하차작동에 있어서 주차속도를 좌우하는 각 행정당 작동공정수 및 각 공정당 주행시간을 최소화하여 주차·하차 속도면에서 월등한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교환형 분할팔레트방식으로 전술한 제반 구성의 주차장치를 구성하면 그랜드형을 제외한 횡·종형 타워식에서의 주차, 하차행정이 앞에서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모든 유형별 주차, 하차행정에서 공통적으로 최소3 단계와 최대 4단계의 공정만으로 완료시킬 수 있다.
즉 입고행정은, 자동차의 탑재-리프트상승-분할팔레트 동시교환적재의 공정으로 작동된 후 입고층에서 대기하는 3공정으로 실시되고, 입고 후 출고행정은, 분할팔레트의 동시교환 하차-리프트의 하강-주차대에서 자동차 출고의 3공정으로 실시되며, 입고 후 입고행정은 리프트 하강-주차대에서 자동차 탑재-리프트상승-분할팔레트 동시교환적재.의 공정으로 작동된 후 대기하는 4공정으로 되고, 출고후 출고행정은, 리프트 상승-분할팔레트 동시교환하차-리프트 하강-주차대에서 자동차 출고의 4공정으로 실시되는 것으로서, 평판팔레트 방식에 비하면 최대행정에서 2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고, 포크식에 비하면 최소행정에서 2공정, 최대행정에서 2공정을 각각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각 행정에서 구분되는 단위공정간의 주행시간에 있어서도 평판팔레트 방식은 각 공정을 단계적으로 순차제어를 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대기시간이 길고, 타워의 충고가 높은 경우에는 빈 팔레트를 반환하거나 반대로 빈 적재대에서 빈 팔레트를 출고층으로 운반하는 긴 주행시간의 공정으로 실시되어야 하므로 상당히 긴 주행시간이 소요되나,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팔레트를 분할하여 교환식으로 구성하고, 각 팔레트의 정열작동은 전술한 제반장치들의 특성에 의하여 다른 공정이 실시중에 동시에 복합적으로 실시되므로, 팔레트를 반환하거나 빈 팔레트를 가지러 가는 공정이 생략되면서, 대기상태에서 바로 다음 공정으로 이어지므로 공정간 주행시간과 각 공정의 주행시간이 대폭 감축되어 전체적으로 매우 월등한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그랜드형에 있어서는 종래의 평판팔레트를 사용하는 방식에 비하여 최대 10공정으로 작동되던 연속출고 행정을, 5행정으로 대폭 감소시켜서 상당히 시간감축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두번째 특징은, 전술한 바와 같이 팔레트를 분할하여 교환식으로 구성하므로서 각 팔레트가 소형화, 경량화되고 이로 인하여 팔레트의 구동장치도 소형화, 경량화되므로 리프트에서의 자동차 탑재층고가 줄어들고 특히 포크식에 비하면 적재충고가 대폭 감소되어 제한된 높이내에서 적재층을 증대 확보하여 공간이용률과 대지이용률을 최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세번째 특징은, 팔레트는 분할하여 교환식으로 구성하고, 작동행정의 구분은 포크식팔레트의 특성을 가지므로서 평판팔레트이나 포크식팔레트의 구분없이 통일된 타워식으로, 적재대의 배열방법에 의하여 타워형이나 그랜드형의 종·횡형구조에 동일방식으로 두루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네번째 특징은, 주차방식은 동일하지만 부품규격이 상이한 타워형과 그랜드형을 구성함에 있어서 주요 작동부품을 통일화할 수 있으므로, 주차장치의 구조물공사나 기구물제작에 높은 생산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다섯번째 특징은, 상기와 제반특징으로 확보되는, 하차, 주차행정의 월등한 신속성에 의하여 주차설비를 상업용으로 운용함에 있어서 경제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주차설비를 상업용으로 운영할 시에는 단위시간당 주차입출고량과 적재대의 이용빈도에 의하여 수익성이 좌우되므로 하차, 주차시간이 빨라지면 보다 많은 차량을 주차대로 입고되는 즉시 적재시킬 수 있고, 적재된 자동차는 출고요구시에 즉시 출고시킨 후 다른 차를 바로 입고시킬 수 있으므로, 적재대의 이용율이 대폭 높아지고 이로 인하여 일정시간을 한단위(예:30분단위)로 하여 정액의 주차대금을 징수하는 경우에는 경제적으로 상당한 수익 증대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고, 특히나 주차설비를 이용하는 운전자가 직접 주차대로 자동차를 주행입고시키는 경우와 주행출고 하는 경우에, 주차, 하차속도에 월등한 신속성이 확보되면 순서에 밀려서 장시간 대기하는 폐단이 해소되는 장점과, 이로 인하여 이용자의 선호도를 높여줄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는 것이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팔레트를 리프트와 적재대용으로 분할 구성하여 리프트와 적재대측간에 상호 슬라이드 교환식으로 연동시키는 이동수단에 있어서는 설명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과 스프타킷기어 및 안내레일외에도 벨트와 풀리를 조합하는 수단이나, 랙과 피니언을 조합하는 수단으로도 동일한 작용과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 팔레트의 이동수단인 체인의 후크와 접동편들의 구성도 예시한 수단외에 팔레트를 밀거나 끌고 갈 수 있는 제반 기구등으로 변형하여서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장치들로 분할된 팔레트들을 리프트와 적재대간에 교환작동을 실시함에 있어서도 체인과 스프타킷기어의 규격과 후크의 간격을 정밀히 설계하면 별도의 보조밀대를 사용하지 않아도 완전히 이동 정열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상술한 설명과 도면으로 제시된 일례의 보조밀대장치는 이러한 정밀한 설계와 작동을 피하여 작동을 단순화시키면서 작동중의 오차나 하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첨가장치인 보조밀대의 구성은 또한 예시된 구성외에 선단의 작동대로 팔레트의 후단을 밀어주는 구성을, 모터와 연동되는 구동축에 피니언을 설치하고 몸체에는 이 피니언과 치합되는 랙을 설치하여 전후진시키는 구성외에 구동축에 직교하는 워엄기어장치와 로드를 설치하여, 구동축을 회전시키면 로드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팔레트를 밀어줄 수 있는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나사관과 나사축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선단의 작동대는 스프링으로 탄력설치하여 제어턱에서 회동하여 입설되는 구성으로 하고 몸체를 직접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연결하여 유압회로로 전후진시키는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리프트의 상방에 설치되어 작동시에는 팔레트 상면으로 하강하여 팔레트들을 벌려주거나 오므려주는 팔레트정렬장치의 구성에 있어서도 예시된 구성외에 전후 2개의 승강대를 하나로 합쳐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 각각의 구동부나 작동부의 구성에 있어서는 예시된 체인외에 벨트와 풀리를 조합하는 수단으로도 대체 사용할 수 있으며, 팔레트 이동대의 구성에 있어서는 좌우 이동수단을, 예시된 랙과 피니언에 의한 구동수단외에 워엄과 워엄기어를 이용하여 회전축에는 워엄을 설치하고 좌우프레임에는 이 워엄과 물리는 워엄기어를 설치하여 이동시키는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또는 좌우프레임 상에는 회전 구동되는 나사축을 길게 설치하고 팔레트 이동대에는 이 나사축을 감싸는 나사관을 설치하여 이동시키는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주차방식이 상술한 횡형분할시 팔레트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횡형 주차장치에 있어서, 벌려진 팔레트사이에 자동차를 주행 탑재시키기 위한 받침수단으로 설치되는 예시된 구성의 탑재받침대장치에 있어서도, 반드시 상술한 구성으로만 실시되어야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아니다.
예시된 탑재받침대장치는 리프트에 직접 설치하여 리프트를 승강시킬시에 함께 옮겨 다니면서 작동되도록 한 것인바,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의 하나인 주차, 하차의 신속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타공정중에 복합적으로 동시에 작동되어 공정수를 줄이도록 하는 것인바, 이 탑재받침대장치는 반드시 리프트에 일체로 구비하지 않고 주차대에서 리프트의 양측에 별도의 받침판을 측면 출입식으로 마련한 후, 리프트가 주차대에 안착한 후에 이 측면 출입식 받침대를 리프트 중앙부 공간으로 이동시켜서 자동차의 주행판으로 사용하게 하고, 자동차가 리프트의 전후 팔레트에 탑재된 후에는 양측으로 빼내서 제거하는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에서 예시한 리프트에 일체로 설치된 출몰식탑재받침대장치에 비하여 리프트 구성에 단순해지는 장점은 있으나 각 행정에 받침대 설치, 제거의 공정이 추가되어 신속성이 결여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의 예시된 출몰식 탑재받침대장치는 본 발명의 타구성중에 팔레트의 안내레일과 보조밀대장치에 의하여 설치공간이 한정되는 관계로 받침편들을 빗살형으로 하고 출몰구조를 사절링크를 이용하여 잠입된 위치와 상승된 위치를 상이하게 구성하였으나, 팔레트의 안내레일과 보조밀대의 다른 구성으로 하여 팔레트들이 이동하는 공간부에 별도의 구조물이 설치되지 않으면 받침면을 팔레트크기의 판면으로 하여, 중앙의 공간부에서 직접 상하로만 승강출몰하는 구성으로도 실시하거나, 또는 일부를 빗살형의 구성으로 하여 복합적으로도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출몰작동은 유압식이나 캠식, 나사축등의 제반 승강수단으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2)

  1. 자동차를 탑재하여 승강시킬 수 있는 리프트장치와 이 리프트장치에 의하여 임의의 층으로 이송된 자동차를 적재하는 적재대기 수층으로 설치되는 입체식 주차설비를 구성함에 있어서 자동차의 탑재와 적재용으로 사용하는 팔레트 구성을, 자동차를 탑재할 수 있는 면적을 4등분한 크기의 4개의 패널로 된 분할팔레트로 형성하여서 2개의 팔레트는 자동차의 전후륜을 탑재할 수 있도록 벌려서 리프트장치에 설치하고 2개의 팔레트는 리프트장치에 벌려서 설치된 2개의 팔레트 사이로 통과할 수 있도록 오므려서 각층의 적재대에 설치하며 리프트장치와 각층의 적재대에는 리프트장치에 설치된 2개의 팔레트와 적재대측에 설치된 2개의 팔레트를 주차·하차작동시에 슬라이드 수평이동으로 동시에 상호 교환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을 각각 구비하며 리프트장치에는 팔레트의 설치위치를 정열할 수 있는 팔레트정열장치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탑재와 적재용으로 사용되는 팔레트를 4개의 패널로 분할하는 구성을, 제반 승용자동차의 주차사양인 전장, 전폭, 윤거, 측거를 감안하여 주차최대사양(Vmax)과 주차최소사양(Vmin)을 두루 수용할 수 있도록 적정 규격으로 설계되는 장방형 면적(Ps)을 폭방향으로 4등분한 크기로 4개의 분활된 횡형 팔레트(P1)(P2)(P3)(P4)를 구비하여 상하 외측방 2개의 팔레트(P1)(P4)는 벌려진 위치로 리프트(20)전후에 횡형으로 배설하고, 중앙부 내측의 2개의 팔레트(P2)(P3)는 적재대(40)의 중앙에 횡방향으로 배설하여서 타워식 횡형 주차방식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탑재와 적재용으로 사용되는 팔레트를 4개의 패널로 분할하는 구성을, 제반 승용자동차의 주차사양인 전장, 전폭, 윤거, 축거를 감안하여 주차최대상(Vmax)과 주차최소사양(Vmin)을 두루 수용할 수 있도록 적정 규격으로 설계되는 장방형 면적(Ps)을 길이방향으로 4등분한 크기로 4개의 분할된 종형팔레트(P1')(P2')(P3')(P4')를 구비하여 좌우 외측방 2개의 팔레트(P1')(P4')는 벌려진 위치로 리프트(20)의 좌우에 종형으로 배설하고, 중앙부 내측의 2개의 팔레트(P2')(P3')는 적재대(40)의 중앙에 종방향으로 배설하여서 타워식 종형 주차방식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탑재와 적재용으로 사용되는 팔레트는 4개의 패널로 분할하는 구성을, 제반 승용자동차의 주차사양인 전장, 전폭, 윤거, 축거를 감안하여 주차최대사양(Vmax)과 주차최소사양(Vmin)을 두루 수용할 수 있도록 적정 규격으로 설계되는 장방형 면적(Ps)을 폭방향으로 4등분한 크기로 4개의 분활된 횡형 팔레트 (P1)(P2)(P3)(P4)를 구비하여 상하 외측방 2개의 팔레트(P1)(P4)는 벌려진 위치로 리프트(20)전후에 횡형으로 배설하고, 중앙부 내측의 2개의 팔레트(P2)(P3)는 적재대(40)의 중앙에 횡방향으로 배설하며, 각층에서만 횡형으로 다열 설치된 전후열적재대(40)사이에 주행하면서 적재대(40)와 리프트(20)간에 자동차를 이송교환하는 주행대차(Tp)에는 중앙으로 모아진 두개의 팔레트(P5)(P6)를 횡형으로 배설하여서 그랜드식 횡형 주차방식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탑재와 적재용으로 사용되는 팔레트는 4개의 패널로 분할하는 구성을, 제반 승용자동차의 주차사양인 전장, 전폭, 윤거, 축거를 감안하여 주차최대사양(Vmax)과 주차최소사양(Vmin)을 두루 수용할 수 있도록 적정 규격으로 설계되는 장방형 면적(Ps)을 길이방향으로 4등분한 크기로 4개의 분활된 횡형 팔레트(P1')(P2')(P3')(P4')를 구비하여 좌우 외측방 2개의 팔레트(P1')(P4')는 벌려진 위치로 리프트(20)전후에 종형으로 배설하고, 중앙부 내측의 2개의 팔레트(P2')(P3')는 적재대 중앙에 횡방향으로 배설하며, 각층에서만 횡형으로 다열 설치된 전후열 적재대(40)사이에 주행하면서 적재대(40)와 리프트(20)간에 자동차를 이송교환하는 주행대차(Tp)는 중앙으로 모아진 두개의 팔레트(P5')(P6')를 배설하여서 그랜드식 종형 주차방식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6. 분할팔레트 방식을 응용하여 타워식 횡. 종형 입체주차장치 및 그랜드식 횡. 종형 입체주차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리프트와 각층의 적재대에 분할팔레트들을 안착시키면서 슬라이드 이동시킬수 있는 현가장치로, 각각의 팔레트에는 하단에 수개의 휠을 설치하고 각각의 리프트와 적재대의 프레임에는 수개의 안내일들을각각의 팔레트의 하방측에 설치하여 구성하며, 이러한 현가장치로 설치되는 각각의 분할팔레트들을 리프트와 적재대 간에 수평방향으로 상호 교환이동시키는 이동장치로는, 리프트의 일부 안내레일사이에는 팔레트를 간섭으로 적재대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체 인열을 설치하고 적재대의 일부 안내레일 사이에는 이 구동체인열과 동일연장선상으로 팔레트들을 간섭하는 아이들체인열을 각각 설치하여서 되며, 이러한 이동장치에 의해서 수평향으로 상호 교환이동된 리프트상의 팔레트들을 오므리거나 벌려주는 팔레트 정열장치로는, 리프트를 상자형으로 형성하여 상부에는 별도의 구동력으로 리프트의 팔레트면에서 상부사이를 승강하는 승강정열대를 마련하고 이 승강정열대에는 좌우로 수평이동하면서 팔레트들을 부착하여 중앙이나 외측으로 팔레트를 정열하는 팔레트이동대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리프트와 각층의 적재대에 분할팔레트들을 안착시키면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현가장치의 구성을, 분할팔레트(P1)(P4)(P2)(P3)의 네귀하단에는 리프트(20)와 적재대(40)사이를 슬라이드 평면이동 할수 있도록 각각 길이방향으로 휠(61)을 설치하고 리프트(20)의 상면과 적재대(40)에는 이 휠(61)의 슬라이드 안내용으로 리프트(20)측에는 4개의 팔레트 하방으로 8개의 레일(62a-62h)을 설치하고, 적재대(40)측에는 이 레일(62a-62h)들과 좌우연장선상으로 각각 8개의 레일(63a-63h)을 각각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8.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분할팔레트를 리프트와 적재대 간에 수평방향으로 상호 교환이동시키는 이동장치의 구성을, 리프트(20)에는 외측팔레트(P1)(P4) 안쪽인 레일(62b)과 레일(62c)사이의 중간과 레일(62f)과 레일(62g)사이의 중간에 각각 팔레트(P1)(P4)의 좌우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구동체인열을 마련하되, 구동체인열을 각각 구동 스프라킷기어(S1a)(S1c)와 아이들 스프라킷기어(S1b)(S1d)를 리프트(20)의 중간프레임(21)상에 구동축봉(65)과 아이들 축봉(65a)으로 피봇축설하여 슬라이드 구동용체인(66a)(66b)들을 각각 설치하여서 되며, 적재대(40)에는 내측팔레트 (P2)(P3)의 외측인 레일(63b)과 레일(63c)사이의 중간과, 레일(63f)과 레일(63g)사이의 중간에 각각 팔레트(P1)(P4)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아이들 체인열을 마련하되, 이 아이들체인열은 각각 스프라킷기어(S2a-S2d)를 적재대(40)의 중간프레임(41)상에 아이들 축봉(65a)으로 피봇축설하여 슬라이드 연동용체인(66c)(66d)들을 각각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한 분할팔레트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9. 제8항에 있어서 현가장치로 설치되는 각각의 분할팔레트들을 간섭하여 적재대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체인열과 이 구동체인열과 동일연장선상으로 설치되어 적재대측의 팔레트들을 간섭하는 아이들체인열의 체인구성을 각각의 체인(66a)(66b)(66c)(66d)에 수개의 후크(F1a-F4d,F1x)(F2a-F3d)들을 체인의 전길이에 걸쳐서 적정한 간격을 두고 외향으로 구비하여 각각 팔레트들의 접동편과 간섭 접동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체인(66a)(66b)(66c)(66d)에 적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수개의 후크(F1a-F4d,F1x)(F2a-F3d)들의 구성을, 각 후크들은 상하체인편(661)(662)의 중간부를 외향으로 수평 연장한 후크(663)(664)편을 마련하여 선단에 로울러(665)를 핀(666)으로 유동자유롭게 설치하여서 팔레트들의 접동편과 간섭 접동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11.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체인(66a)(66b)(66c)(66d)에 수개의 후크(F1a-F4d,F1x)(F2a-F3d)들을 설치하는 간격을, 사용되는 스프라킷기어의 반원둘레 (πD/2)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팔레트들의 접동편과 간섭 접동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12.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체인(66a)(66b)(66c)(66d)에 적정간격의 위치에 설치되는 하부 체인편(662)의 후단을 하향으로 절곡하여 가이드핀(667)으로 형성하고 이 가이드편(667)을 리프트(20)의 중간프레임(21)상면에서 체인(66a)(66b)(66c)(66d)의 직진이동부 하방에 고정설치되는 체인레일(67)에 안내되는 구성으로 실시함을 특징으로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13. 제6항에 있어서 현가장치로 설비되는 각각의 분할팔레트를 리프트와 적재대 간에 수평방향으로 상호교환이동시키는 이동장치의 구성중에 리프트측 팔레트를 간섭하여 적재대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체인열과 이 구동체인열과 동일연장선상으로 설치되어 적대측의 팔레트들을 간섭하는 아이들체인열의 체인구성에 의하여 간섭되는 팔레트의 간섭구성을, 각 체인(66a)(66b)(66c)(66d)의 수개의 후크(F1a-F4d,F1x)(F2-F3d)들과 각각의 스프라킷기어(S1a-S1d)(S2a-S2d)의 수직중심선 상하방에서 접동될수 있도록, 팔레트의 저면부 4모서리에 작동편(R1a-R1d)(R4a-R4d) (R2a-R2d)(R3a-R3d)들을 구비함을 특징으로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14. 제6항에 있어서 이동장치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상호 교환이동된 리프트상의 팔레트들을 오므리거나 벌려주는 팔레트 정열장치의 구성을 리프트를 상자형으로 형성하여 상부에서 별도의 구동력으로 리프트의 팔레트면에서 상부사이를 승강하는 승강정열대를 마련하되, 리프트(20)의 상부에 자동차가 탑재되는 공간을 두고 네귀에 수직프레임(201)을 설치하여 상부프레임(202)(204)(205)으로 리프트(20)와 같은 크기의 상단을 구비하며, 중앙 상부프레임(203)상의 구동모터(811)와 좌우 구동축(812)(813)을 유니버셜조인트로된 연결축(814)으로 연동시키고, 이 좌우구동축(812)(813)은 좌우 내측프레임(206)(207)에서 각각 전후로 구동스프라킷기어(815)(816)와 구동피니언(817)(818)을 축설하며, 이 구동피니언(817)(818)에는 좌우프레임(204)(205)의 상단에 설치된 좌우승강축(819)(820)과 피동피니언(821)(822)을 연동시켜 축설하며, 이 좌우승강축(819)(820)의 양단은 네귀의 수직프레임(201)까지 연장하며 구동피니언(817)(818)과 치합되는 좌우 2개의 피동피니언(821)(822)외에 좌우축에 각각 1개씩의 피동피니언(821a)(822a)과, 네귀 수직프레임(201)에 설치된 수직체인열을 구동시키는 양단 2개의 스프라킷기어(823)(823a)를 축설하며 피동피니언(821a)(821a)에는 내측프레임(206)(207)에 축설된 구동축 (812a)(813a)의 구동피니언(817a)(818a)과 연동시키며, 이 구동축(812a)(813a)에는 구동스프라킷기어(815)(816)와 대칭위치로 구동스프라킷기어(815a)(816a)를 축설하며, 좌우 승강축(819)(820)의 양단에 설치된 스프라킷기어(823)(823a)는 각각 네귀 수직프레임(201)상단에서 복열로 축설된 스프라킷기어중 일측스프라킷기어(824a)와 체인(829)으로 연결되고, 타측스프라킷기어(824)는 하부 스프라킷기어(825)와 체인(828)으로 연동된 수직체인열로 형성하며, 체인(828)일측에는 승강정열대(830)(831)의 전방프레임(832)(833)양단에 부착된 수직가이드슈(826)가 연결되어, 네귀의 수직프레임(201)내측에 부착된 수직 안내레일(827)에서 각각 수직안내되는 전후 2개의 승강정열대(830)(831)로 구성하여 중앙부프레임(834)(835)을 스프라킷기어(815)(816)와 (815a)(816a)에 체인(841)(842)(841a)(842a)으로 연결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15. 제14항에 있어서 이동장치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상호 교환이동된 리프트상의 팔레트들을 오므리거나 벌려주는 팔레트 정열장치의 구성을, 리프트를 상자형으로 형성하여 상부에서 별도의 구동력으로 리피트의 팔레트면에서 상부사이를 승강하는 승강정열대(830)(831)에는, 각각 좌우프레임(836)(837)의 상면에는 각각 좌우로 랙(843)(844)을 설치하고 패널의 상면에는 수개의 베어링(854)으로 양단을 회전자유롭게 축설한 회전축(855)(856)을 중앙에 고정된 이동모터(852)(853)와 연동키시며 이 회전축(855)(856)의 양단에는 각각 좌우랙(843)(844)에 치합되는 이동피니언(857)(858)을 고정축설하여, 각각의 이동모터(852)(853)를 제어 회전시키면 이동피니언(857)(858)들이 좌우프레임(836)(837) 상면의 랙(843)(844)을 타고 전후로 왕복이동 제어되는 팔레트이동대(850)(851)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16. 제15항에 있어서 이동장치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상호 교환이동된 리프트상의 팔레트들을 오므리거나 벌려주는 팔레트 정열장치의 구성을 리프트를 상자형으로 형성하여 상부에서 별도의 구동력으로 리프트의 팔레트면에서 상부사이를 승강하는 승강정열대(830)(831) 구성에서, 좌우프레임(836)(837)상면의 랙(843)(844)과 치합되는 팔레트이동대(850)(851)의 이동피니언(857)(858)의 구성을 이동피니언(857)(858) 내측으로 각각 반원추형의 가이드휠(859)을 부착하고 각각의 랙(843)(844) 내측단은 이 가이드휠(859)이 안내되는 경사단(845)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17. 제16항에 있어서 이동장치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상호 교환이동된 리프트상의 팔레트들을 오므리거나 벌려주는 팔레트 정열장치의 구성을, 리프트를 상자형으로 형성하여 상부에서 별도의 구동력으로 리프트의 팔레트면에서 상부사이를 승강하는 승강정열대(830)(831)로 구성하여 좌우프레임(836)(837)상면에서 좌우로 수평이동하는 팔레트이동대(850)(851)를 구비하는 구성에서 팔레트이동대(850)(851)의 저면에 각각 팔레트부착용 마그네트(860)를 장치함을 특징으로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18. 제17항에 있어서 이동장치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상호 교환이동된 리프트상의 팔레트들을 오므리거나 벌려주는 팔레트 정열장치의 구성을 리프트를, 상자형으로 형성하여 상부에서 별도의 구동력으로 리프트의 팔레트면에서 상부사이를 승강하는 승강정열대(830)(831)로 구성하여 좌우프레임(836)(837)상면에서 좌우로 수평이동하는 팔레트이동대(850)(851)를 구비하고 이 팔레트 이동대(850)(851)의 저면에는 팔레트부착용마그네트(860)를 장치하는 구성에서 이 마그네트(860)는 파이프형 지지대(861)에 고정부착되어 팔레트이동대(850)(851)의 하단에 고정되는 스프링박스(862)내에 스프링(863)과 스프링시이트(864), 조임나사(865)등으로 상하로 탄력있게 설치되고 마그네트(860)의 전원선(866)은 지지대(861)내부에서 상부로 인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19. 제6항에 있어서 타워식과 횡형 그랜드식주차장치에 횡형 분할식팔레트(P1)(P4)(P2)(P3)를 적용하는 구성에 있어서 주차대(Pz)에서 자동차(V)를 주행시켜 탑제시키기 위해서 리프트의 벌려진 전후방 팔레트사이에 바퀴주행을 위해 구비되는 탑재 받침대의 구성을, 상승할때는 팔레트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상승하여 받침면을 형성하고 하강하여 잠입할때는 팔레트의 밑면이하로 잠입하여 분할팔레트들의 교환작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출몰식의 구성으로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20. 제19항에 있어서 리프트에 설치되어 주차대(Pz)에서 자동차(V)를 주행시켜 탑재시키기 위해서 리프트의 벌려진 전후방 팔레트사이에 바퀴 중행을 위해 구비되는 탑재 받침대의 구성으로 상승할때는 팔레트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상승하여 받침면을 형성하고 하강하여 잠입할때는 팔레트의 밑면이하로 잡입하여 분할팔레트들의 교환작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출몰식의 구성으로 구비되는 탑재 받침대장치(700)의 구성으로, 두 팔레트(P1)(P4)의 내측인 팔레트(P2)(P3)의 이동공간부 좌우측에 자동차의 전후륜이 주행할수 있는 좌우폭과, 팔레트 상면(GL)을 높이로 위치되는 받침면이 형성되게 수개의 받침편(701)(701a)들을 평면상으로는 좌우빗살형으로 배치함을 1조로한 탑재 받침대장치(700)를 레일(62c)과 좌우 보조밀대(900a)(900b)사이의 좌우측과, 좌우 보조밀대(900c)(900d)와 레일(62f)사이의 좌우측과, 레일(62e)과 좌우 보조밀대(900c)(900d) 사이의 좌우측과, 좌우 보조밀대(900c)(900d)와 레일(62f) 사이의 좌우측 위치로 8개소에 각각 2조씩의 탑재 받침대장치(700)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21. 제20항에 있어서 각조의 탑재 받침대장치(700)를 8개소에서 각각 좌우대칭형으로 설치하되, 빗살형우측받침편(701)들 사이로 좌측받침편(701a)들이 엇갈려 위치되게 2조씩 설치하여 각조의 구성은 유압실린더로 작동되는 4절 링크기구형으로, 각조의 탑재 받침대장치(700)에는 리프트(20)의 하부프레임(22)상면에 저면이 고정되고, 일정간격의 빗살형 끼움홈(707)이 상방에 폭방향으로 일정깊이 요설되며 가로방향으로는 전후로 끼움홈(707)들을 관통하는 두개의 축수공(708)(709)이 형성된 받침대(706)를 설치하여, 키홈이 있는 회동축(710)(711)으로 받침편의 전후측지지대(702)(703)를 각각 축수공(708)(709)에 키(712)로 회동자유롭게 축설하고 받침편(701)들은 대칭되는 반대편 받침편(701a)들과 각각 엇갈려 잠입하강될 수 있도록 받침편폭보다 넓은 간격을 갖고 좌우빗살형으로 각각 배치하여 지지대(702)(703)의 상단에 핀(713)으로 유동자유롭게 설치하며 이 받침편(701)의 길이는 레일(62b)과 레일(62c)사이의 중심선(K1)에서 일측보조밀대(900)의 중심선(K2)까지의 길이(D1)를 반분한 길이보다 다소 짧은 길이로 형성하고, 이 받침편(701)들을 지지하여 받침대(706)에 회동축(710)(711)으로 축설되는 지지대(702)(703)들중에 일측 가장자리의 것에는 하부로 각도를 갖고 경사진 작동간(704)(705)을 일체로 형성하여, 리프트(20)의 바닥프레임(23)에 브라켓(715)으로 설치된 유압실리더(720)의 작동로드(721)에 유동자유롭게 각각 핀(722)으로 축설하여, 지지대(704)(705)가 수직으로 세워져 상단에 유설된 받침편(701)(701a)들의 상면이 최대상승 높이인 팔레트 상면(GL)에 위치할 때와, 잠입면(SL)까지 하강시켰을시의 승강행정이 유압실린더(720)의 최대스트로크내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22.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분할팔레트 방식을 응용하여 타워식 횡. 종형 입체주차장치 및 그랜드식 횡. 종형 입체주차장치를 구성하여서 각각의 분할팔레트를 리프트와 적재대 간에 수평방향으로 상호 교환이동시키는 작동을 보환하는 장치로, 리프트(20)상의 각 팔레트(P1)(P4)(P2)(P3)정열위치 하방에는 좌우측 적재대(40)방향으로 작용하는 8개의 보조밀대(900)장치를 설치하되, 이보조밀대(900)의 각각의 구성은 선단에는 몸체에 부착된 솔레노이드(909)의 로드(903)에 하단에 부착되어 축(902)을 중심으로 수평상태에서 수직으로 젖혀질수 있는 작동대(901)가 설치되고, 내부중간판(904)에는 랙(905)을 설치하여 밀대몸체와 간섭되지 않도록 측면작동구(912)로 관통되는, 보조밀대 구동축(910)에 고정축설된 피니언(908)을 치합하여, 중간판(904)밑면에는 가이드슈(907)를 길이방향으로 고정하여 리프트(20)의 하부프레임(22)에 설치된 레일(906)과 안내되게 설치되며 밀대몸체의 하단은 리프트(20)의 하부프레임(22)위에 수개의 휠(911)로 이동자유롭게 얹혀지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KR1019910011526A 1991-07-08 1991-07-08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KR940004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1526A KR940004909B1 (ko) 1991-07-08 1991-07-08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1526A KR940004909B1 (ko) 1991-07-08 1991-07-08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637A KR930002637A (ko) 1993-02-23
KR940004909B1 true KR940004909B1 (ko) 1994-06-04

Family

ID=19316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1526A KR940004909B1 (ko) 1991-07-08 1991-07-08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9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629B1 (ko) * 2006-02-13 2007-05-23 이금철 서랍식 다층 순환 주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856B1 (ko) * 1995-04-27 2003-05-23 삼중테크 주식회사 상하좌우이동이가능한차량이송장치
CN110857598A (zh) * 2018-08-22 2020-03-03 武汉艾森威尔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立体车库的拖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629B1 (ko) * 2006-02-13 2007-05-23 이금철 서랍식 다층 순환 주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637A (ko) 199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0035780A2 (de) Verfahren und lagersystem zum ein- und auslagern von lasten
US6042322A (en) Machine for handling objects and a pallet that is especially suitable for use in the said machine
KR940004909B1 (ko)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CN107444864B (zh) 一种多楼层物料配送系统
JPH04129907A (ja) 自動倉庫システムおよび自動倉庫
CN211309759U (zh) 一种拆叠盘子母车及布架转运系统
KR970702954A (ko) 주차장에 이용할 수 있는 이동단을 가진 모듈저장 시스템(modular storage system with movable rack, specially applicable to motor vehicles)
CN218402788U (zh) 一种升降式多层转载装置
EP0263988B1 (de) Regalanordnung
US3592348A (en) Load carrier-load support mechanism in automatic warehousing system
JP2863705B2 (ja) 機械式立体駐車装置
JP2577647B2 (ja) 立体機械式駐車設備
JP3056139B2 (ja) 機械式駐車場
JP2945873B2 (ja) 機械式立体駐車場
KR930006343B1 (ko) 에레베이터식 입체주차장치
CN212475705U (zh) 一种具有货物防滑落功能的提升机
KR0141441B1 (ko) 로드 컨베어식 입체주차장
KR930004019B1 (ko) 에레베이터식 입체 주차장치
CN218057465U (zh) 一种集装箱的底侧梁自动上料装置
CN115303826B (zh) 一种货车自动装车设备
JP3448037B2 (ja) 平面往復式駐車装置
KR930006344B1 (ko) 에레베이터식 입체주차장치
JPH06108688A (ja) 立体駐車装置
JP2649183B2 (ja) 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
JP2549898B2 (ja) エレベーター式立体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