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5Y1 -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5Y1
KR200400235Y1 KR20-2005-0022970U KR20050022970U KR200400235Y1 KR 200400235 Y1 KR200400235 Y1 KR 200400235Y1 KR 20050022970 U KR20050022970 U KR 20050022970U KR 200400235 Y1 KR200400235 Y1 KR 200400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main body
moving bracket
blocking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9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무
Original Assignee
한성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무 filed Critical 한성무
Priority to KR20-2005-00229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with obstructing members moving in a translatory motion, e.g. vertical lift barriers,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횡단보도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따라 승하강이 되는 이동브래킷과, 상기 이동브래킷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구비하는 와인딩부재와, 횡단보도의 건너편에 상기 와인딩부재와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에 따라서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따라 승하강이 되는 이동브래킷을 구비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와인딩부재의 이동브래킷과 상기 가이드부재의 이동브래킷의 사이에 연결되어 보행자의 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보행자차단부재와, 상기 본체의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하되 상기 이동브래킷의 승하강 위치에 따라서 차도방향으로 절첩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차량차단부재로 구성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횡단보도 정지선의 양측에 설치되어 교통신호의 변화에 따라서 보행자 및 차량의 진입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보행자차단부재와 차량차단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보행자가 보다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통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로 하여금 횡단보도의 정지선을 준수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차량의 정지선위반 사고와 횡단보도 내의 교통사고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보행자가 통행할 수 없는 빨간 신호에는 보행자의 위치에 보행자차단부재가 하강한 상태로 있다가 녹색신호일 때에만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보행자차단부재의 전면 또는 후면에 광고문구 또는 광고도안을 포함한 광고매체를 형성하여 보행자로 하여금 시각적인 광고효과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의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A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본 고안은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횡단보도와 연결된 인도의 양측에 설치되어 교통신호에 따라서 차량 및 보행자의 진입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횡단보도내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상에는 보행자가 안전하게 도로를 통행(通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횡단보도가 형성되고, 이러한 횡단보도의 양측에는 대개 보행자 및 차량의 통행시기를 알리기 위한 신호등(信號燈)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교통신호 체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차량 운전자들은 녹색신호가 깜빡이게 되면 보행자의 통행 여부와 관계없이 차량을 운행하게 되므로 보행자가 심리적인 불안감을 조성하게 되고, 특히 차량이 정지선을 위반한 채 횡단보도를 진입하거나, 정체(停滯)된 도로를 무리하게 주행함으로써 발생하는 횡단보도 내의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보도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 상단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기어로 결합하여 90°각도로 작동되는 차단봉지지대와, 상기 차단봉지지대에 결합하는 차단봉으로 구성된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55636호로 안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는 차단봉을 90°각도로 들어올려 작동되도록 하는 구조로서, 상기 기어에 상당한 물리적 하중이 집중되므로 쉬 파손되는 문제를 갖는 것이며, 또 차단봉은 상당한 길이를 갖는 것이어서 들어올려짐에 따른 주변 물체와의 부딪힘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장치의 파손은 물론 안전사고의 우려가 큰 폐단을 갖게 되었다.
또한, 상당한 하중을 갖는 차단봉을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모터를 무리하게 가동해야 하고 모터의 과부하로 인한 설비의 열화 및 고장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었다.
더구나 종래의 차단봉은 횡단보도의 길이에 따라서 차단봉의 길이가 대응되도록 제작되어야 하는데, 이는 차단봉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휨 응력의 증가로 인한 흔들림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차단봉이 절단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므로 결국 차단봉이 도로상에 떨어지게 되므로 차량과 충돌로 인한 교통사고를 유발하게 되었으며, 또한 유지보수 작업이 위험한 도로상에서 이루어지므로 작업자의 안전사고 빈번히 발생하게 되므로 종래의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의 안전성 및 활용범위가 극히 제한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횡단보도와 연결된 인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와인딩부재 및 가이드부재와, 상기 와인딩부재와 가이드부재의 사이를 연결하여 승,하강 되면서 보행자의 진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보행자차단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한 통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보행자차단부재가 상승하게 되면 동시에 차도방향으로 하강하고, 반대로 상기 보행자차단부재가 하강하게 되면 동시에 상승하는 차량차단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통행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100)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크게 횡단보도(A)와 연결된 인도(C)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내측면을 따라 승하강이 되는 이동브래킷(250)과, 상기 이동브래킷(250)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구비하는 와인딩부재(200)와,
상기 와인딩부재(200)와 대향되도록 인도(C)의 타측에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본체(410)와,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에 따라서 상기 본체(410)의 내측면을 따라 승하강이 되는 이동브래킷(430)을 구비하는 가이드부재(400)와,
상기 와인딩부재(200)의 이동브래킷(250)과 상기 가이드부재(400)의 이동브래킷(430)의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보행자의 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보행자차단부재(300)와,
상기 본체(210)의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하되 상기 이동브래킷(250)의 승하강 위치에 따라서 차도방향으로 절첩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차량차단부재(5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와인딩부재(200)와 가이드부재(400)의 본체(210,410)는 횡단보도(A)와 연결된 인도(C)의 양측에 대향(對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외부의 충격 및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공지의 앵커 볼트(Anchor bolt)를 사용하여 지면(地面)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특히, 상기 본체(210,410)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천공된 장공(210a,410a)을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보행자차단부재(300)의 승하강 이동시 간섭을 방지하며,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본체(210,4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동장치는 제어장치(600)와, 상기 본체(210,4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풀리(240,420)와, 상기 이동브래킷(250,4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풀리(240,420)의 외주면을 따라서 이동되는 와이어로프(232,432)와, 상기 본체(210,4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로프(232,432)를 감기 위한 권취드럼(230)과, 상기 권취드럼(230)의 일측에 결합하는 권취기어(231)와, 상기 권취기어(231)와 치합되는 구동기어(221)와, 상기 구동기어(221)에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221)와 권취기어(231)의 구성은 체인, 벨트 등과 같은 공지된 다양한 동력전달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모터의 효율적인 공간배치와 강한 회전력의 전달을 위해서 베벨기어(Bevel gear)를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220)는 공지의 기어드모터 및 표준모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상기 제어장치(600)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하며, 정확한 위치와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브레이크(Break)기능이 포함된 서보모터(Servo motor)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권취드럼(2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로프(232,432)가 감긴 상태로서, 상기 와이어로프(232,432)의 타단은 상기 이동브래킷(250,430)의 상부에 고정되어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권취드럼(230)이 구동모터(220)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로프(232,432)를 감거나 풀어주게 되면서 상기 이동브래킷(250,430)이 승하강 되어, 결국 상기 이동브래킷(250,430)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보행자차단부재(300)가 승하강을 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보행자의 통행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브래킷(250,430)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210,410)의 내측면을 따라 승하강시 원활한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롤러(251,431)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풀리(240,420)는 상기 권취드럼(230)에 의해서 감기게 되는 와이어로프(232,432)의 위치와 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으로, 즉 권취드럼(230)에 의해 와이어로프(232,432)를 감을 때 상기 이동브래킷(250,430)을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풀리(240,420)는 상기 본체(210,410)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대(241,421)에 결합하여진다.
이때 상기 가이드풀리(240,420)의 내부에는 물리적인 하중과 마찰 및 마모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하중 지지력과 회전효율이 높은 베어링(미 도시됨)이 형성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보행자차단부재(300)는 횡단보도(A)의 양측에 설치된 와인딩부재(200)와 가이드부재(400)의 이동브래킷(250,430)의 사이에 연결된 상태로, 차량의 운행중일 때는 보행자의 진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지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여 보행자가 횡단보도(A)을 넘어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행자차단부재(300)는 권취작업이 용이하며, 보행자들과의 신체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단면이 원형의 와이어로프(310)를 사용하였다.
본 고안에서는 보행자의 효율적인 차단을 위해 상기 와이어로프(310)의 하강한 상태는 지면으로부터 약 800~1000㎜ 정도 위치하여 보행자의 횡단보도 진입을 차단하고, 반대로 와이어로프(310)가 상승한 상태는 지면으로부터 약 1900~2100㎜ 정도 위치하도록 하여 보행자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않는 높이로 상승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로프(310)는 보행자들과의 접촉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부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부식성 또는 내구성 및 유연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 금속, 스테인리스, 합성수지, 강화고무,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본 고안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100)의 주변환경 및 설치면적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로프(310)는 야간시 보행자 및 운전자가 와이어로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야광재질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때 야광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 와이어로프에 야광물질을 포함하도록 하거나, 와이어로프에 야광물질이 코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로프(310)에는 경고문구 및 광고수단이 형성된 차단판(320)을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보행자들의 시각적 주의력 및 광고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때 상기 차단판(320)의 표면에 형성되는 경고문구는 "정지선", "횡단보도", "서행", "주의" 등의 다양한 문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경고문구 및 광고수단이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때 상기 차단판(320)은 보행자들과 접촉으로 인한 신체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연질(軟質)의 재질을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로프(310)의 일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하중을 갖는 웨이트(330)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와이어로프(310)를 하부방향으로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므로 항상 일정하게 장력(張力)을 유지시킴은 물론, 적은 힘으로 와이어로프(310)를 하강시킬 수 있게 되므로, 이로 인해 구동모터(220)의 구동효율 및 보행자차단부재(300)의 하강효율을 증대시킬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행자차단부재(300)의 외주면에는 중공관 형상의 차단봉(340)이 끼워져 형성되는데, 이는 차량과의 접촉시 상기 보행자차단부재(300)와 차량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차량차단부재(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로 하여금 주의력을 유발시켜 차량의 운행을 정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본체(210)의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하되 차도방향으로 절첩가능토록 힌지축(511a)을 구비하는 차단바(510)와, 상기 차단바(5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210)의 내부로 돌출되는 걸림돌기(511)와, 상기 차단바(510)의 중간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되 상부는 상기 본체(2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상을 갖는 하강유도바(5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220)의 동작으로 상기 이동브래킷(250)이 하강할 경우에는 상기 본체(210)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돌기(511)를 누르면서 하강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 걸림돌기(511)와 연결된 차단바(510)가 힌지축(511a)을 중심으로 본체(210)의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게 되므로 차량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되며, 반대로 상기 이동브래킷(250)이 상승하게 될 경우에는 상기 본체(210)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하강유도바(530)를 선단부를 들어올리게 되고, 이때 상기 차단바(510) 및 경고판(520)의 자중(自重)으로 인해 차도방향으로 내려지게 되므로 차량의 통행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차단바(510)의 길이는 길어질수록 휨 응력의 증가로 인한 흔들림과 작동시 구동모터(220)의 과부하가 발생하게 되므로 운전자가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 상기 차단바(510)의 길이는 약 900~1000㎜ 정도로 제작하여 상기 차량차단부재(500)의 원활한 동작을 유도하며, 특히 운전자가 상기 차단바(510)를 미처 확인하지 못하고 횡단보도에 진입할 경우 차량과의 직접적인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량차단부재(500)는 야간시 운전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야광재질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때 야광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 차량차단부재에 야광물질을 포함하도록 하거나, 차량차단부재에 야광물질이 코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장치(6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통신호등을 제어하기 위한 공지의 신호등 제어장치에 연결되어 신호등의 전환을 감지하기 위한 신호등 감지부(610)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보행자를 감지하기 위한 보행자 감지센서(670)와, 상기 가이드레일(211)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이동브래킷(250)의 상승과 하강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이동브래킷 상승 감지센서(680) 및 이동브래킷 하강 감지센서(680)와, 설정된 시간 또는 주변의 명암 정도에 따라 자동 점멸(點滅)되도록 하는 타이머(650)가 구비된 조명등(660)과, 상기 신호등 감지부(610)와 각 센서들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를 연산처리하여 구동모터(220)와 경고부저(630), 경광등(640) 등을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6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행자 감지센서(670)와, 이동브래킷 상승 감지센서(670) 및 이동브래킷 하강 감지센서(680)는 접근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접근하는 보행자 또는 차량을 모두 감지할 수 있는 공지의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및 리미트스위치(Limit Switch)를 사용하였다.
상기 경고부저(630)와 경광등(640)은 상기 보행자 감지센서(670)를 통해 보행자가 감지되면 상기 경고부저와 경광등을 작동시켜 보행자에게 경각심을 유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는 상기 경고부저(630)는 보행자에게 청각적 주의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때 경고멘트는 "위험합니다", "차량이 주행중입니다", "정지선을 준수해주십시오" 등의 다양한 멘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명등(660)은 야간시 보행자 및 운전자가 상기 횡단보도(A) 및 차단부재(300)의 존재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 상기 조명등(660)은 백색광을 방출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가로등, 보안등에 널리 사용되는 수은램프, 고압 나트륨램프, 메탈할라이드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전력소모가 적고 발광효율이 높은 고압 나트륨램프 또는 메탈할라이드램프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지방도로나 차량의 통행이 한적한 도로에서 작동될 수 있는 방안으로, 보행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수동버튼과, 설정된 시간에 따라 자동 동작하도록 하는 타이머와, 상기 수동버튼과 타이머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를 연산처리하여 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보행자가 수동버튼을 누르게 되면 경고부저와 경광등이 함께 작동되면서 설정된 시간(3~10초)이 지난 후 본 고안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100)가 동작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보행자의 통행이 잦은 등하교 시간 및 출퇴근 시간에 맞추어 정해진 시간에 따라 자동 동작하도록 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를 연산처리하여 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타이머의 시간은 본 고안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100)가 설치된 지역 및 환경에 따라서 조절되어야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신호등 제어장치에 의해 전환되는 신호등의 신호를 신호등 감지부(610)에 의해 감지하되, 보행자가 통행할 수 있는 녹색등 전환신호일 경우에는 중앙처리장치(620)가 구동모터(220)를 정회전시켜 이동브래킷(250,430)를 상승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보행자차단부재(300)가 상승하게 되면서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통행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상기 이동브래킷(250)이 상승으로 인해 상기 하강유도바(530)를 들어올려 지게 되므로, 결국 상기 차량차단부재(500)의 자중에 의해서 차도방향으로 내려가게 되므로 차량의 진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승하는 이동브래킷(250)의 승,하강 높이는 상기 이동브래킷 상승 감지센서(680)와 이동브래킷 하강 감지센서(690)의 제어신호를 통해서, 상기 구동모터(220)를 정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신호등 감지부(610)가 보행자가 통행할 수 없는 빨간등 전환신호를 감지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620)가 구동모터(220)를 역회전시켜 이동브래킷(250,430)을 하강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보행자차단부재(300)가 하강하면서 보행자의 진입을 차단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이동브래킷(250)이 하강하면서 상기 차량차단부재(500)의 걸림돌기(511)를 누르면서 하강하게 되고, 결국 상기 차량차단부재(500)가 힌지축(511a)을 중심으로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려 지게 되므로 차량의 통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횡단보도 정지선의 양측에 설치되어 교통신호의 변화에 따라서 보행자 및 차량의 진입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보행자차단부재와 차량차단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보행자가 보다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통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로 하여금 횡단보도의 정지선을 준수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차량의 정지선위반 사고와 횡단보도 내의 교통사고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보행자가 통행할 수 없는 빨간 신호에는 보행자의 위치에 보행자차단부재가 하강한 상태로 있다가 녹색신호일 때에만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보행자차단부재의 전면 또는 후면에 광고문구 또는 광고도안을 포함한 광고매체를 형성하여 보행자로 하여금 시각적인 광고효과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의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 - 본 고안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있어서 와인딩부재를 나타내기 위해 일부절개한 사시도.
도 3 -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 -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 - 본 고안에 있어서 가이드부재를 나타내기 위해 일부절개한 사시도.
도 6 - 도 5의 C-C선 단면도.
도 7 - 본 고안에 있어서 보행자차단부재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해 사시도.
도 8 -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9 - 본 고안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의 제어장치 회로구성도.
도 10 - 본 고안에 있어서 차량차단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11 -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고안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200: 와인딩(Winding)부재
210: 본체 210a: 장공(長孔)
210b: 통공(通孔)
211: 가이드레일 212: 지지대
220: 구동모터 221: 구동기어
230: 권취(捲取)드럼 230a: 축
231: 권취기어 232: 와이어로프
240: 가이드풀리 241: 지지대
250: 이동브래킷 251: 가이드롤러
300: 보행자차단부재
310: 와이어로프(Wire rope) 320: 차단판
330: 웨이트(Weight) 340: 차단봉
400: 가이드(Guide)부재
410: 본체 410a: 장공
411: 가이드레일 420: 가이드풀리
421: 지지대 430: 이동브래킷
431: 가이드롤러 432: 와이어로프
500: 차량차단부재
510: 차단바 511: 걸림돌기
511a: 힌지축 520: 경고판
530: 하강유도바
600: 제어장치
610: 신호등 감지부 620: 중앙처리장치
630: 경고부저 640: 경광등
650: 타이머(Timer) 660: 조명등
670: 보행자 감지센서
680: 이동브래킷 상승 감지센서 690: 이동브래킷 하강 감지센서
A: 횡단보도(橫斷步道) B: 차도(車道)
C: 인도(人道) D: 정지선(停止線)

Claims (8)

  1. 공지의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에 있어서,
    횡단보도와 연결된 인도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따라 승하강이 되는 이동브래킷과, 상기 이동브래킷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구비하는 와인딩부재와,
    상기 와인딩부재와 대향되도록 인도의 타측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에 따라서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따라 승하강이 되는 이동브래킷을 구비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와인딩부재의 이동브래킷과 상기 가이드부재의 이동브래킷의 사이에 연결되어 보행자의 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보행자차단부재와,
    상기 본체의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하되 상기 이동브래킷의 승하강 위치에 따라서 차도방향으로 절첩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차량차단부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제어장치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풀리와, 상기 이동브래킷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풀리의 외주면을 따라서 이동되는 와이어로프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로프를 감기 위한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의 일측에 결합하는 권취기어와, 상기 권취기어와 치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차단부재의 일단에는 일정한 하중을 갖는 웨이트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차단부재의 외주면에는 중공관 형상의 차단봉(340)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차단부재에는 경고문구 또는 광고문구가 형성된 차단판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차단부재는 상기 본체의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하되 차도방향으로 절첩가능토록 회동가능한 힌지축을 구비하는 차단바와, 상기 차단바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로 돌출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차단바의 중간일측에서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며 상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상을 갖는 하강유도바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바의 하부에는 경고도안 및 경고문구가 형성된 경고판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교통신호등을 제어하기 위한 공지의 신호등 제어장치에 연결되어 신호등의 전환을 감지하기 위한 신호등 감지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보행자를 감지하기 위한 보행자 감지센서와, 상기 본체 내측면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브래킷의 상승과 하강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이동브래킷 상승 감지센서 및 이동브래킷 하강 감지센서와, 상기 신호등 감지부와 각 센서들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를 연산처리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20-2005-0022970U 2005-08-09 2005-08-09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2004002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970U KR200400235Y1 (ko) 2005-08-09 2005-08-09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970U KR200400235Y1 (ko) 2005-08-09 2005-08-09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5Y1 true KR200400235Y1 (ko) 2005-11-04

Family

ID=43701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970U KR200400235Y1 (ko) 2005-08-09 2005-08-09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35Y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797B1 (ko) * 2007-11-21 2008-08-11 (주)디엔테크 횡단보도 차단기
KR101142003B1 (ko) * 2011-12-14 2012-05-11 주원통신 주식회사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KR101171268B1 (ko) 2011-11-15 2012-08-20 (주) 미도랜드 횡단보도용 지능형 안전사고 방지장치
KR101273393B1 (ko) * 2011-10-18 2013-06-12 주식회사 위트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
WO2019199123A1 (ko) * 2018-04-12 2019-10-17 노준형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KR20190119492A (ko) * 2018-04-12 2019-10-22 노준형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KR102102271B1 (ko) * 2019-11-19 2020-05-29 임길섭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
KR102121063B1 (ko) * 2020-04-16 2020-06-10 서영숙 보행자 신호 시스템
ES2794148A1 (es) * 2019-05-15 2020-11-17 Martinez Joan Miquel Gomez Dispositivo de proteccion para accesos de garaje y puerta de acceso asociada
KR102221649B1 (ko) * 2019-12-19 2021-03-02 주식회사 지인프로테크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102292887B1 (ko) * 2020-06-29 2021-08-23 심이택 횡단보도의 차단막 복구장치
WO2022019377A1 (ko) 2020-07-21 2022-01-27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승객 또는 보행자 안전 장치
KR20220135931A (ko)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CN115182282A (zh) * 2022-07-08 2022-10-14 广西交科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维护桥梁健康的车辆通行智能监管系统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797B1 (ko) * 2007-11-21 2008-08-11 (주)디엔테크 횡단보도 차단기
KR101273393B1 (ko) * 2011-10-18 2013-06-12 주식회사 위트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
KR101171268B1 (ko) 2011-11-15 2012-08-20 (주) 미도랜드 횡단보도용 지능형 안전사고 방지장치
KR101142003B1 (ko) * 2011-12-14 2012-05-11 주원통신 주식회사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WO2019199123A1 (ko) * 2018-04-12 2019-10-17 노준형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KR20190119492A (ko) * 2018-04-12 2019-10-22 노준형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KR102121656B1 (ko) * 2018-04-12 2020-06-10 노준형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ES2794148A1 (es) * 2019-05-15 2020-11-17 Martinez Joan Miquel Gomez Dispositivo de proteccion para accesos de garaje y puerta de acceso asociada
KR102102271B1 (ko) * 2019-11-19 2020-05-29 임길섭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
KR102221649B1 (ko) * 2019-12-19 2021-03-02 주식회사 지인프로테크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102121063B1 (ko) * 2020-04-16 2020-06-10 서영숙 보행자 신호 시스템
KR102292887B1 (ko) * 2020-06-29 2021-08-23 심이택 횡단보도의 차단막 복구장치
WO2022019377A1 (ko) 2020-07-21 2022-01-27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승객 또는 보행자 안전 장치
KR20220011544A (ko)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
KR20220135931A (ko)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CN115182282A (zh) * 2022-07-08 2022-10-14 广西交科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维护桥梁健康的车辆通行智能监管系统
CN115182282B (zh) * 2022-07-08 2024-02-09 广西交科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维护桥梁健康的车辆通行智能监管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235Y1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100722868B1 (ko) 보행자 안전장치
KR100777657B1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101119952B1 (ko) 횡단보도 및 가변차선용 교통안전 시설물
KR200431068Y1 (ko) 횡단보도의 보행자 통행차단용 안전장치
KR102003832B1 (ko) 주행차량의 완충기능을 갖춘 도로의 과속방지턱
US6158696A (en) Railroad accident prevention system with ground-retractable vehicle barrier
US6105905A (en) Railway gate system
KR100661758B1 (ko) 튜브식 차단바를 구비한 안전차단장치
KR20120120549A (ko) 횡단 보도 안전 장치
KR100997805B1 (ko)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KR20110053659A (ko) 속도반응식 과속방지턱
KR101040769B1 (ko) 횡단보도용 차단기
KR200255636Y1 (ko) 횡단보도 보행자 교통안전 보호장치
CN209907131U (zh) 一种自动式行人过街装置
KR101669771B1 (ko) 교통신호등 연계 인도 및 자전거도로 겸용 횡단차단장치
KR200188358Y1 (ko)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보호장치
KR102221649B1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102365652B1 (ko) 도로의 차선 차단 신호장치
KR100740082B1 (ko) 보행자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CN211285378U (zh) 一种市政公路用可控限高架结构
CN210063011U (zh) 有轨电车城市平交道口智能防护装置
KR20090090558A (ko) 세이프존에서의 차량 제어장치
CN108797441B (zh) 与消防救援网络互联的城市内涝应急救援系统
WO2019199123A1 (ko)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